KR20160020592A - 감각신호출력장치 - Google Patents

감각신호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592A
KR20160020592A KR1020140104883A KR20140104883A KR20160020592A KR 20160020592 A KR20160020592 A KR 20160020592A KR 1020140104883 A KR1020140104883 A KR 1020140104883A KR 20140104883 A KR20140104883 A KR 20140104883A KR 20160020592 A KR20160020592 A KR 20160020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ircuit
pole
vibration
coil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150B1 (ko
Inventor
강윤규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to KR102014010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150B1/ko
Priority to US15/329,206 priority patent/US10257614B2/en
Priority to CN201580039415.2A priority patent/CN106576206A/zh
Priority to PCT/KR2015/004063 priority patent/WO2016017903A1/ko
Publication of KR2016002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회로(110)가 진동유도부(120)로 인가되는 교번 신호(N-S->S-N)의 방향(극성)에 따라 탄발체(170)의 지지하에 케이스(101) 상에서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행하는 방향에서는 완충력을 제공하고, 진행하는 반대방향에서는 반발력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동유도부(120)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탄발체(170)의 지지하에 케이스(101) 상에서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행하는 반대방향에서는 반발력을 배가시키고 진행하는 방향에서는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 상에 마련됨으로써, 출력은 증대되면서도 별도의 복잡한 완충수단 없이 출력 증대용 구성요소가 진동 완충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감각신호출력장치{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코일을 포함한 진동유도부가 고정되고, 케이스 개방부에 고정된 탄발체에 의해 자기회로가 탄발 지지된 상태에서 코일의 교번 신호에 반응하여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및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감각신호출력장치로서, 특히, 자기회로는 마그네트로만 이루어지고, 코일은 듀얼(Dual)로 이루어져서 된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각신호출력장치 즉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음향을 출력시키거나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ㆍ리시버ㆍ버저ㆍ진동모터(바이브레이터)와 같은 음향 또는 진동력을 출력시키는 장치이며, 골전도(骨傳導) 출력장치도 이에 해당된다.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와 요크(3) 상면에 순차적으로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끼움 고정을 통해 적층 고정되는 마그네트(4) 및 탑플레이트(5)의 외주 방향 또는 내주 방향에 코일(6)이 간격(공극)을 두고 위치하여, 코일(6)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공극에 형성되는 자속에 반응하는 마그네트(4)와 탑플레이트(5 ; 기능 및 설계에 따라서는 요크 또는/ 및 중량체도 포함)를 포함한 자기회로가 진동하면서 진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 또한 이와 같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3)와 탑플레이트(4)를 자기회로로 구분하며, 코일(6)을 진동유발부로 구분한다.
이러한 구조의 감각신호출력장치는 통상 함체형 케이스(1)와 덮개(2) 내에 수용되며, 상기 마그네트(4)와 탑플레이트(5)가 안착 고정된 요크(6) 즉 자기회로를 별도의 판스프링(7)이 지지하면서 케이스(1)에 고정(예컨대, 리벳(8) 고정 또는 용접 고정 또는 케이스에 사출 고정)시켜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는 자기회로가 마그네트(4)와 탑플레이트(5)가 안착 고정된 요크(6)로 이루어져 있어 부피에 비해 마그네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자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그 면적을 포함한 사이즈가 커서 슬림화 추세에 있는 휴대용 IT기기에 적용함에 있어 극히 제한적이며, 휴대용 IT기기의 슬림화를 제약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IT기기의 슬림화 추세에 맞추어 면적을 포함한 전체 사이즈를 소형화시킬 경우, 진동 출력이 낮아져 고출력의 특성에도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동 과정에서 자기회로의 움직임이 자제되지 않고 진동 범위의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여 케이스에 충돌하면서 잡음(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완충수단을 부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발지지수단 즉 판스프링(7)은 원형의 외곽 테두리(7a) 및 중앙면(7b) 사이에 간격을 두고 탄발암(7c)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탄발암(7c)의 양단 중 일측 단은 외곽테두리(7a)에 연결되고, 타측 단은 중앙면(7b)에 연결되어지되, 연결부위가 상호 어긋난 위치에 존재하면서 호(곡선) 형태로 연장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판스프링(7)은 탄발암(7c)이 호(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진동과 관련하여 응답속도가 지연되어 신속하면서 정밀한 출력 특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탄발암(7c) 양단이 연결되는 부분이 진동 시 뒤틀리게 되므로, 잦은 진동에 의해 해당 부분이 찢어지는(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글 글래스폰과 같이 가느다란 프레임(감각신호출력장치가 고정되어질 대상)에 적용이 불가능하거나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감각신호출력장치의 선행 기술을 소개하는 문헌은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문헌에 게재된 종래 기술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1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6482호(출원번호 : 10-2005-7016399호(2005.09.02) ; 골전도장치)
문헌2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56693호(출원번호 : 10-2009-0074450호(2009.08.12) ; 리니어 진동모터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케이스에 코일을 포함한 진동유도부가 고정되고, 케이스 개방부에 고정된 탄발체에 의해 자기회로가 탄발 지지된 상태에서 코일의 교번 신호에 반응하여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및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감각신호출력장치로서, 특히, 자기회로는 마그네트로만 이루어지고, 코일은 듀얼(Dual)로 이루어져서 된 감각신호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자기회로(110)가 진동유도부(120)로 인가되는 교번 신호(N-S->S-N)의 방향(극성)에 따라 탄발체(170)의 지지하에 케이스(101) 상에서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행하는 방향에서는 완충력을 제공하고, 진행하는 반대방향에서는 반발력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회로(110)가 마그네트로만 이루어지거나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적층체와 공극을 형성하는 요크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트랙형)또는 정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탄발체(170)가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장축방향의 양측 단과 중간 부분에 고도 차이를 가지며 케이스(101)의 개방부를 최단 경로로 횡단하면서, 상기 자기회로(110) 또는 상기 자기회로(110) 및 출력을 외부 또는 신체로 전달하는 출력전달체(180)를 입체적으로 탄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탄발체(17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외곽과 중앙 부분에 다수의 곡선형 탄발암이 마련되어, 상기 자기회로(110) 또는 상기 자기회로(110) 및 출력을 외부 또는 신체로 전달하는 출력전달체(180)를 입체적으로 탄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동유도부(120)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탄발체(170)의 지지하에 케이스(101) 상에서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행하는 반대방향에서는 반발력을 배가시키고 진행하는 방향에서는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 상에 마련됨으로써, 출력은 증대되면서도 별도의 복잡한 완충수단 없이도 진동 완충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회로(110)가 마그네트로만 이루어짐으로써, 동일한 부피에서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에 비해 마그네트의 자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출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발체(170)의 탄발 지지 경로가 케이스(101)의 개방부 센터를 최단거리인 직선으로 횡단하면서 자기회로를 탄발 지지하므로, 코일의 교번 신호에 반응하여 진동하는 응답 속도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비해 정확하고 빠르게 나타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기 탄발체(170)의 탄발 지지경로가 케이스(101)의 개방부 센터를 최단거리인 직선으로 횡단하면서 자기회로를 탄발 지지하므로, 진동 관련 동작에서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의 출력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발체(170)가 케이스(101)의 개방부 센터를 최단거리인 직선으로 횡단하되, 양측 단부와 중간 부분이 고도 차이를 가진 상태로 입체적으로 횡단하면서 자기회로(110)를 탄발 지지하므로, 자기회로(110)가 진동하는 과정에서 탄발체(170)와 충돌 내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잡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의 탄발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중 탄발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 중 자기회로 또는/및 출력전달체와 탄발체의 다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2는 실시예2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실시예2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실시예3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실시예3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실시예4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7은 실시예4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실시예4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1는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회로(110)가 진동유도부(120)로 인가되는 교번 신호(N-S->S-N)의 방향(극성)에 따라 탄발체(170)의 지지하에 케이스(101) 상에서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행하는 방향에서는 완충력을 제공하고, 진행하는 반대방향에서는 반발력을 배가시키는 감각신호출력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트랙형)또는 정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감각신호출력장치(100)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케이스(101)의 형상도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자기회로(110)는 마그네트로만 이루어지거나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적층체와 공극을 형성하는 요크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마그네트는 진동방향의 일측은 S극(도면에서 상방) 타측은 N극(도면에서 하방)으로 착자된 직사각 또는 타원형 또는 정사각 또는 원형의 마그네트블록일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적층체와 공극을 형성하는 요크의 집합체로 이루어질 경우 집합체 모두 마그네트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적층된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케이스(10)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자기회로(110)의 외주면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번신호에 따라 양단의 극성이 변화하면서 자기회로(110)의 진동 반응을 유발하는 코일일 수 있다.
상기에서 진도유도부(120)인 코일은 양단이 N극과 S극에서 S극과 N극으로 교번하는 코일1,2(121)(122)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를 따라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유도부(120)인 코일은 자기회로(110)의 형상에 따라 전체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빈에 권취되어서 상기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탄발체(170)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장축방향의 양측 단과 중간 부분에 고도 차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101)의 개방부를 최단 경로로 횡단하면서, 상기 자기회로(110) 또는 상기 자기회로(110) 및 출력을 외부 또는 신체로 전달하는 출력전달체(180)를 입체적으로 탄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발체(17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외곽과 중앙 부분에 다수의 곡선형 탄발암이 마련되어, 상기 자기회로(110) 또는 상기 자기회로(110) 및 출력을 외부 또는 신체로 전달하는 출력전달체(180)를 입체적으로 탄발 지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전달체(180)는 원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블록체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탄발체(170)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또는 정사각형(도 6 참조) 또는 원형(도 7 참조)으로 된 외곽 테두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횡단하는 직선의 탄발암으로서, 상기 탄발암은 양측 외곽 테두리 부분이 상향 절곡되어 경사지게 연장되고, 경사지게 연장된 양단이 중간 부분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수평을 유지하는 중간 부분의 면에 상기 자기회로(110) 또는 상기 자기회로(110) 및 출력을 외부 또는 신체로 전달하는 출력전달체(180)가 서로 반대 방향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 테두리 부분의 상향 절곡되는 부분이 제1진동포인트(VP1)가 되고,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제2진동포인트(VP2)가 된다. 상기 진동포인트들은 진동이 시작되는 기준점이 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양측 방향의 상향 경사진 구간이 제1탄발지지경로(SL1)가 되고, 중간 부분의 수평구간이 제2탄발지지경로(SL2)가 된다. 상기 탄발지지경로들은 실질적으로 진동이 일어나면서 탄발하는 구간이다.
또한, 상기 탄발체(170)의 탄발암은 1개가 "-"로 마련될 수도 있고, 2개가 "+"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리벳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F)이 상기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 또는 상기 자지회로(110)와 탄발체(170) 및 출력전달체(180)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 사이 및 탄발체(170)와 출력전달체(180) 사이에는 상기 자기회로(110)와 출력전달체(180)의 진동 범위를 확보하는 스페이서1(114)과 스페이서2(18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114)은 림 형태로 이루어진 별도의 블록일 수도 있고 요크(113)의 일측 면 중앙이 돌출(중앙은 관통)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181)는 림 형태로 이루어진 별도의 블록일 수도 있고 출력전달체(180)의 일측 면 중앙이 돌출(중앙은 관통)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1(114)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자기회로(110)의 중앙 일측 면에 위치하고, 타측은 탄발체(170)의 중앙을 관통하여 출력전달체(180)의 스페이서2(181)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114)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자기회로(110) 중앙 타측 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타측은 탄발체(170)의 중앙을 관통하여 출력전달체(180)의 스페이서2(181)와 접하면서 상기 고정수단(F)의 관통결합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114)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자기회로(110)의 중앙 일측 면에 위치하고, 타측은 탄발체(170)의 일측 중앙면에 접하고, 상기 일측 중앙면을 상기 스페이서2(181)의 타측이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수단(F)의 관통결합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114)은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자기회로(110) 중앙 타측 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타측은 탄발체(170)의 일측 중앙면에 접하고, 상기 일측 중앙면을 상기 스페이서2(181)의 타측이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수단(F)의 관통결합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상기 진동유도부(120)인 코일1,2(121)(122)에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코일1,2(121)(122)의 양단이 각각 N극-S극, N극-S극인 상태가 되면, S극-N극으로 착자된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N극과 인력 작용하고,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1(121)의 S극과 인력 작용하여, 상기 코일1(121) 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는데(도면에서 상방으로 끌어 당겨짐), 이와 함께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과 척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를 밀어내게 된다.
즉, 상기 코일1,2(121)(122)가 각각 N극-S극, N극-S극인 상태가 되면, 상기 자기회로(110)는 코일1(121)에 의해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코일2(122)에 의해 밀려지게 되어 진동력이 증대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교번하여 상기 코일1,2(121)(122)의 양단이 각각 S극-N극, S극-N극인 상태가 되면, S극-N극으로 착자된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S극과 척력 작용하고,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1(121)의 N극과 척력 작용하는 가운데,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S극과 인력 작용하고,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N극과 인력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자기회로(110)가 코일2(122) 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는데(도면에서 하방으로 끌어 당겨짐), 이와 함께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과 척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가 더 이상 하방으로 진행하는 것을 저항하면서 완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코일1,2(121)(122)가 각각 S극-N극, S극-N극인 상태가 되면, 상기 자기회로(110)는 코일2(122)에 의해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코일2(122)의 저항을 받아 완충되면서 케이스(101)와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동유도부(120)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탄발체(170)의 지지하에 케이스(101) 상에서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행하는 반대방향에서는 반발력을 배가시키고 진행하는 방향에서는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 상에 마련됨으로써, 출력은 증대되면서도 별도의 복잡한 완충수단 없이 출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요소가 진동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탄발체(170)의 중간에 탄발 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자기회로(110)가 케이스(101)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된 코일(120)에 대해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발체(170)는 양측 각각의 제1진동포인트(VP1)가 제1탄발지지경로(SL1)의 진동 기준점이 되고, 상기 제2진동포인트(VP2)가 제2탄발지지경로(SL2)의 진동 기준점이 되어 진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1탄발지지경로(SL1)는 제1진동포인트(VP1)와 제2진동포인트(VP2) 사이에서 만곡지게 휘어지지고 펴지면서 진동을 위한 탄발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탄발지지경로(SL2)는 일측 제2진동포인트(VP2)와 타측 제2진동포인트(VP2) 사이에서 만곡지게 휘어지지고 펴지면서 진동을 위한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발하는 탄발체(170)의 중간 부분 중 케이스(101)의 외측 방향에 출력전달체(180)가 고정되어 있어, 진동력이 출력전달체(180)를 통해 외부 또는 신체로 전달 즉 골전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2는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양단이 N극과 S극에서 S극과 N극으로 교번하는 코일1,2(121)(122)가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코일1(121) 측에 다른 마그네트인 완충/반발부재1(123)이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반발부재1(123)은 자기회로(110)의 S극 위치와 근접한 부분의 극성이 S극으로 동일하게 착자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상기 진동유도부(120)인 코일1,2(121)(122)에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코일1,2(121)(122)의 양단이 각각 S극-N극, S극-N극인 상태가 되면, S극-N극으로 착자된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S극과 완충/반발부재1(123)의 S극에 대해 척력 작용하고(척력 작용 배가),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S극과 인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가 코일2(122) 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과 척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가 더 이상 하방으로 진행하는 것을 저항하면서 완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코일1,2(121)(122)가 각각 S극-N극, S극-N극인 상태가 되면, 상기 S극-N극으로 착자된 자기회로(110)는 코일1(121)과 코일2(12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N극과 S극으로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S극에 의해 밀려지게 되어 진동력이 증대되며, 이때, 증대된 진동력에 의해 자기회로(110)가 진동범위를 넘어 진행하려는 것을 코일2(122)의 N극이 자기회로(110)의 N극과 반발하면서 저항하여 완충 저지시키게 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교번하여, 상기 코일1,2(121)(122)의 양단이 각각 N극-S극, N극-S극인 상태가 되면, S극-N극으로 착자된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N극과 인력 작용하고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1(121)의 S극과 인력 작용하여 상기 코일1(121) 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는데(도면에서 상방으로 끌어 당겨짐), 이와 함께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과 척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를 밀어내게 된다.
즉, 상기 코일1,2(121)(122)가 각각 N극-S극, N극-S극인 상태가 되면, 상기 S극-N극으로 착자된 자기회로(110)는 N극과 S극을 띠고 있는 코일1(121)에 의해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에 의해 밀려지게 되어 진동력이 증대되며, 이때, 증대된 진동력에 의해 자기회로(110)가 진동 범위를 넘어 진행하는 것을 완충/반발부재1(123)의 S극이 자기회로(110)의 S극과 반반하면서 저항하여 완충 저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3은 첨부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양단이 N극과 S극에서 S극과 N극으로 교번하는 코일1,2(121)(122)가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코일1(121) 측에 다른 마그네트인 완충/반발부재1(123)이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더 배치되고, 상기 코일2(122) 측에 다른 마그네트인 완충/반발부재2(124)가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반발부재1(123)은 자기회로(110)의 S극 위치와 근접한 부분의 극성이 S극으로 동일하게 착자된 것이고, 상기 완충/반발부재2(124)는 자기회로(110)의 N극 위치와 근접한 부분의 극성이 N극으로 동일하게 착자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상기 진동유도부(120)인 코일1,2(121)(122)에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코일1,2(121)(122)의 양단이 각각 S극-N극, S극-N극인 상태가 되면, S극-N극으로 착자된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S극과 완충/반발부재1(123)의 S극에 대해 척력 작용하고(척력 작용 배가),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S극과 인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가 코일2(122) 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과 완충/반발부재2(124)의 N극에 대해 척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가 더 이상 하방으로 진행하는 것을 저항하면서 완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코일1,2(121)(122)가 각각 S극-N극, S극-N극인 상태가 되면, 상기 S극-N극으로 착자된 자기회로(110)는 코일1(121)과 코일2(12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N극과 S극으로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S극과 완충/반발부재1(123)의 S극에 의해 밀려지게 되어 진동력이 증대되며, 이때, 증대된 진동력에 의해 자기회로(110)가 진동범위를 넘어 진행하려는 것을 코일2(122)의 N극과 완충/반발부재2(124)의 N극이 자기회로(110)의 N극과 반발하면서 저항하여 완충 저지시키게 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교번하여, 상기 코일1,2(121)(122)의 양단이 각각 N극-S극, N극-S극인 상태가 되면, S극-N극으로 착자된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N극과 인력 작용하고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1(121)의 S극과 인력 작용하여 상기 코일1(121) 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는데(도면에서 상방으로 끌어 당겨짐), 이와 함께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과 완충/반발부재2(124)의 N극과 척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를 밀어내게 되며, 이때, 증대된 진동력에 의해 자기회로(110)가 진동범위를 넘어 진행하려는 것을 완충/반발부재1(123)의 S극이 자기회로(110)의 S극과 반발하면서 저항하여 완충 저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코일1,2(121)(122)가 각각 N극-S극, N극-S극인 상태가 되면, 상기 S극-N극으로 착자된 자기회로(110)는 N극과 S극을 띠고 있는 코일1(121)에 의해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에 의해 밀려지게 되어 진동력이 증대되며, 이때, 증대된 진동력에 의해 자기회로(110)가 진동 범위를 넘어 진행하는 것을 완충/반발부재1(123)의 S극이 자기회로(110)의 S극과 반반하면서 저항하여 완충 저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4는 첨부 도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각신호출력장치(100) 전체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발체(170)는 원형의 외곽 테두리(171) 및 중앙면(172) 사이에 간격을 두고 탄발암(173)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탄발암(173)의 양단 중 일측 단은 외곽테두리(171)에 연결되고, 타측 단은 중앙면(172)에 연결되어지되, 연결부위가 상호 어긋난 위치에 존재하면서 호(곡선) 형태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상기 진동유도부(120)인 코일1,2(121)(122)에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코일1,2(121)(122)의 양단이 각각 N극-S극, N극-S극인 상태가 되면, S극-N극으로 착자된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N극과 인력 작용하고,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1(121)의 S극과 인력 작용하여, 상기 코일1(121) 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는데(도면에서 상방으로 끌어 당겨짐), 이와 함께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과 척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를 밀어내게 된다.
즉, 상기 코일1,2(121)(122)가 각각 N극-S극, N극-S극인 상태가 되면, 상기 자기회로(110)는 코일1(121)에 의해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코일2(122)에 의해 밀려지게 되어 진동력이 증대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교번하여 상기 코일1,2(121)(122)의 양단이 각각 S극-N극, S극-N극인 상태가 되면, S극-N극으로 착자된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S극과 척력 작용하고,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1(121)의 N극과 척력 작용하는 가운데,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S극과 인력 작용하고, 상기 자기회로(110)의 S극이 코일1(121)의 N극과 인력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자기회로(110)가 코일2(122) 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는데(도면에서 하방으로 끌어 당겨짐), 이와 함께 상기 자기회로(110)의 N극이 코일2(122)의 N극과 척력 작용하여, 상기 자기회로(110)가 더 이상 하방으로 진행하는 것을 저항하면서 완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코일1,2(121)(122)가 각각 S극-N극, S극-N극인 상태가 되면, 상기 자기회로(110)는 코일2(122)에 의해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코일2(122)의 저항을 받아 완충되면서 케이스(101)와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감각신호출력장치 101 : 케이스
110 : 자기회로 114 : 스페이서1
120 : 코일 121,122 : 코일1,2
123, 124 : 완충/반발부재1,2 170 : 탄발체
180 : 출력전달체 181 : 스페이서2
F : 고정수단 VP1,VP2 : 제1,2진동포인트
SL1,Sl2 : 제1,2탄발지지경로

Claims (11)

  1. 자기회로(110)가 진동유도부(120)로 인가되는 교번 신호의 방향에 따라 탄발체(170)의 지지하에 케이스(101) 상에서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자기회로(110)가 진행하는 방향에서는 완충력을 제공하고, 진행하는 반대방향에서는 반발력을 배가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10)는 마그네트로만 이루어지거나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적층체와 공극을 형성하는 요크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케이스(10)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자기회로(110)의 외주면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번신호에 따라 양단의 극성이 변화하면서 자기회로(110)의 진동 반응을 유발하는 코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도부(120)인 코일은 양단이 N극과 S극에서 S극과 N극으로 교번하는 코일1,2(121)(122)가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를 따라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170)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장축방향의 양측 단과 중간 부분에 고도 차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101)의 개방부를 최단 경로로 횡단하면서, 상기 자기회로(110) 또는 상기 자기회로(110) 및 출력을 외부 또는 신체로 전달하는 출력전달체(180)를 입체적으로 탄발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170)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된 외곽 테두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횡단하는 직선의 탄발암으로서, 상기 탄발암은 양측 외곽 테두리 부분이 상향 절곡되어 경사지게 연장되고, 경사지게 연장된 양단이 중간 부분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외곽 테두리 부분의 상향 절곡되는 부분이 제1진동포인트(VP1)가 되고,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제2진동포인트(VP2)가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8.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 사이 및 탄발체(170)와 출력전달체(180) 사이에는 상기 자기회로(110)와 출력전달체(180)의 진동 범위를 확보하는 스페이서1(114)과 스페이서2(181)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양단이 N극과 S극에서 S극과 N극으로 교번하는 코일1,2(121)(122)가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코일1(121) 측에 다른 마그네트인 완충/반발부재1(123)이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더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도부(120)는 양단이 N극과 S극에서 S극과 N극으로 교번하는 코일1,2(121)(122)가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자기회로(110)의 진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코일1(121) 측에 다른 마그네트인 완충/반발부재1(123)이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더 배치되고, 상기 코일2(122) 측에 다른 마그네트인 완충/반발부재2(124)가 접한 상태 또는 간격을 두고 더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1.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170)는 원형의 외곽 테두리(171) 및 중앙면(172) 사이에 간격을 두고 탄발암(173)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탄발암(173)의 양단 중 일측 단은 외곽테두리(171)에 연결되고, 타측 단은 중앙면(172)에 연결되어지되, 연결부위가 상호 어긋난 위치에 존재하면서 호 형태로 연장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20140104883A 2014-07-29 2014-08-13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678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883A KR101678150B1 (ko) 2014-08-13 2014-08-13 감각신호출력장치
US15/329,206 US10257614B2 (en) 2014-07-29 2015-04-23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CN201580039415.2A CN106576206A (zh) 2014-07-29 2015-04-23 感觉信号输出装置
PCT/KR2015/004063 WO2016017903A1 (ko) 2014-07-29 2015-04-23 감각신호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883A KR101678150B1 (ko) 2014-08-13 2014-08-13 감각신호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592A true KR20160020592A (ko) 2016-02-24
KR101678150B1 KR101678150B1 (ko) 2016-11-22

Family

ID=5544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883A KR101678150B1 (ko) 2014-07-29 2014-08-13 감각신호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2493A (zh) * 2019-01-18 2019-06-07 东莞顺合丰电业有限公司 振动元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56B1 (ko) * 2008-05-01 2009-04-24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20100052753A (ko) * 2008-11-11 2010-05-20 주식회사 예일전자 코인형 선형모터
KR101094651B1 (ko) * 2010-06-16 2011-12-20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20130001431A (ko) *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56B1 (ko) * 2008-05-01 2009-04-24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20100052753A (ko) * 2008-11-11 2010-05-20 주식회사 예일전자 코인형 선형모터
KR101094651B1 (ko) * 2010-06-16 2011-12-20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20130001431A (ko) *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2493A (zh) * 2019-01-18 2019-06-07 东莞顺合丰电业有限公司 振动元件
CN109862493B (zh) * 2019-01-18 2023-12-08 东莞顺合丰电业有限公司 振动元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150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8277B2 (en) Haptic actuator
US9815085B2 (en) Haptic actuator
US10554109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10160010B2 (en) Haptic actuator
KR101944654B1 (ko) 선형 진동모터
US8461969B2 (en) Dual mode vibrator
US10141826B2 (en) Linear vibration motor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oil coupled thereto is positioned to cover the coil, such that the coil does not directly contact a stator part,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that the coil is unwound or disconnected and in which there are two ring-shaped damping members aligned with, spaced apart from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coil
KR101491456B1 (ko) 햅틱 엑추에이터
US20190006926A1 (en) Linear vibration motor
US10257614B2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CN105207440A (zh) 磁平衡导向线性振动马达
CN111405437B (zh) 扬声器装置
US20130033126A1 (en) Linear vibration device
KR101434264B1 (ko) 햅틱 엑추에이터
CN104937823A (zh) 振动发电装置
KR20160020593A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678150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WO2019021969A1 (ja) 振動発生装置
KR101648955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및 그 진동과 관련된 탄발지지체
US20160211735A1 (en) Vibration motor
KR101028498B1 (ko) 듀얼 모드 진동기
KR20120101800A (ko) 진동 발생기
KR101574545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736172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20200110715A (ko) 이중 영구자석을 활용한 수직 진동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