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06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066A
KR20160018066A KR1020140102069A KR20140102069A KR20160018066A KR 20160018066 A KR20160018066 A KR 20160018066A KR 1020140102069 A KR1020140102069 A KR 1020140102069A KR 20140102069 A KR20140102069 A KR 20140102069A KR 20160018066 A KR20160018066 A KR 20160018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con
user
external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원
구엔나디나리쉬킨
키스웽
최예람
데이비드켐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066A/ko
Priority to US14/566,839 priority patent/US20160044382A1/en
Publication of KR2016001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3Implementing client middleware, e.g. Multimedia Home Platform [MH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기기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외부기기를 설정하면 관련 앱의 아이콘은 디스플레이부의 첫 페이지에 표시한다. 또한, 복수의 외부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외부기기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관련 앱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기기의 설정에 따라 앱을 자동으로 배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의 스마트 TV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의 스마트 TV는 OS(Operating System)를 기반으로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OS를 기반으로 하는 앱의 배치는 스마트 TV에 최적화된 배치이나, 화면에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앱의 수는 가독성과 실용성 측면에서 한정적이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외부기기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앱을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외부기기를 스마트 TV에서 제어하는데 앱의 페이지를 넘겨가며 찾아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하는 외부기기에 따라 앱을 자동으로 배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하는 외부기기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관련 앱들을 자동으로 배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초기 화면에 배치되는 프리미엄 앱에 우선하여 설정한 외부기기와 관련된 앱을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각 외부기기의 설정 횟수를 카운트 하여 우선순위를 영상표시장치가 자동으로 결정하여 관련 앱을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앱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외부기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설정 완료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완료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아이콘을 상기 초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외부기기에 관련된 앱을 최초 화면에 배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하는 외부기기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 우선순위에 따라 관련 앱들을 자동으로 배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네트워크 운영자(10), 컨텐츠 제공자(20)와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51)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인터페이스부(47)와 도 4의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7과 같은 배경 이미지(201)와 아이콘들(212)로 구성된 메뉴 화면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동작하지 않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경 이미지(201) 및 아이콘들(212)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따라 동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UX 중 최근 목록에 대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30)의 UX 중 홈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UX 중 런쳐(Launcher)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부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6은 홈 화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나타낸다.
도 17은 일반 앱의 한 종류인 CP(Content Provider) 앱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18은 홈 화면에서 현재 표시 앱(302)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9는 최근 목록 화면을 전반적으로 나타낸다.
도 20은 최근 목록을 삭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1은 최근 목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22는 런쳐 화면의 전반적인 내용을 나타낸다.
도 23은 5-웨이 모드에서 아이콘의 이동 방법을 나타낸다.
도 24는 5-웨이 모드에서 아이콘의 삭제 방법을 나타낸다.
도 25는 포인터 모드에서 아이콘의 이동 방법을 나타낸다.
도 26은 포인터 모드에서 아이콘의 삭제 방법을 나타낸다.
도 2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 원격제어장치(51)와 외부기기(400)를 나타낸다.
도 28은 외부기기의 연결에 따라 관련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50)가 설정된 외부기기(400)와사용관련된 아이콘을 자동으로 전진 배치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외부기기(400)가 디스플레이 장치(30)에 동시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관련 앱의 아이콘 배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31은 다수의 외부기기(400)가 연결된 경우에 우선순위에 따라 관련 아이콘을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2은 사용자가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을 프리미엄 앱에 우선하여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30)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원격제어장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네트워크 운영자(10), 컨텐츠 제공자(20)와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영자(10),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s Provider)(2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네트워크 운영자(1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이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20)에게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하드웨어 정보도 제공한다.
예컨대, 네트워크 운영자(10)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한 컨텐츠들을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제공할 때 필요한 기본 화면 프레임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그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1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네트워크 운영자(1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조자와 동일 주체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인터넷을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제공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운영자(10)를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에는 컨텐츠 제공자(20) 별로 컨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펌웨어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조 과정 중에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컨텐츠 제공자(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2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AOD, MO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화상 전화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컨텐츠 제공자(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TV,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용 전화기 등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방송 수신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텐츠 제공자(2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제공될 각종 컨텐츠를 만들거나 또는 배포하는 사업자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 사업자, AOD 사업자, 게임 사업자,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자, 날씨 정보 제공자,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V 방송국은 기존의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국을 의미하며, 이러한 방송국은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저장하고 이를 디지털로 바꾸어서 전송할 수 있다.
라디오 방송국은 오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며, 비디오 컨텐츠와 함께 또는 비디오 컨텐츠 없이 오디오 컨텐츠 만을 제공할 수 있다.
VOD 사업자 및 AOD 사업자는 TV 방송국이나 라디오 방송국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즉, VOD나 AOD의 경우에는 내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혹은 영화, 음악 들을 저장해 놓고 나서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해준다. 예를 들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서 제대로 보지 못했던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바로 재생을 해서 볼 수 있다.
AOD 사업자는 오디오 컨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MOD(Music On Demand) 서비스 제공자는 내가 원하는 음악을 다운로드 받아서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화상 전화 사업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날씨 정보 제공자는 여러 지역의 날씨 정보를 제공해주며,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는 사진을 편집 및 저장하는 툴을 제공해 준다.
이 외에도, 컨텐츠 제공자(20)는 PF(Packet Filter) 서버, EPG 서비스 제공자, ECG(Electronic Content Guide) 서비스 업자, 포털 서버(Portal Server) 운영자 등 인터넷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서버 운영자일 수 있다.
PF 서버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모든 방송 정보와 로케이션 정보 등을 대신 관리해주는 업체가 서비스를 한다. 이 서비스는 주로 해당 방송국의 방송 시간이나 방송에 필요한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 접속을 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EPG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간대 별로 조회하고, 채널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EPG 정보를 제공한다.
ECG 서비스는 컨텐츠 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컨텐츠의 정보와 접속 서버의 위치 및 접근 권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서버들을 쉽게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과 컨텐츠의 정보를 상세하게 알려 주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포털 서버는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면 방송국이나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업체의 웹서버로 연결한다. 포털 서버의 역할은 각 방송국이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며, 데이터 패킷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51) 또는 조작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 즉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외에, 방송 수신부(41)를 통해 무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RF 신호 형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부(41), 역다중화부(42), 영상신호 처리부(43), 디스플레이부(4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 OSD 생성부(4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 저장 인터페이스부(48), 저장장치(49), 외부신호 입력부(39)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위 구성요소들 중 방송 수신부(41), 역다중화부(42), 영상신호 처리부(43)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4)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하나의 방송 처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컨텐츠가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 디지털 방송신호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된다.
방송수신부(41)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제어부(50)의 튜닝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와,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역다중화부(42)에 의해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등으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역다중화부(42)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43)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된다.
이때, 영상신호 처리부(43)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4)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44)로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데, 음성신호 처리부는 AC-3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역다중화부(42)를 통해 분리된 부가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는 후술할 저장 인터페이스부(48)를 통해 저장장치(49)에 저장된다.
저장장치(49)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나 패널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가 이에 포함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10)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도 수신한다.
OSD 생성부(46)는 사용자의 판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한다.
즉, 상기 OSD 생성부(46)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외부신호 입력부(39)는 다른 재생 장치, 예컨대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신호 입력부(39)에 다른 재생 장치를 접속하여 그 재생 장치에 저장된 멀티 미디어를 디스플레이부(44)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20)의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40)는 3D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40)의 메뉴 화면은 3D로 제공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도 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3D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추가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3D 포맷터(38)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의 동작은 도 2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처리부(48)의 출력단에 3D 포맷터(38)가 배치된다. 3D 포맷터(38)는 영상 신호 처리부(48)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3D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4)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OSD 생성부(46) 내에 OSD 출력을 3D로 변환하는 별도의 3D 포맷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3D 이미지 처리를 위해 다양한 공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51)의 일예를 나타낸다. 원격제어장치(51)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7)에 포함될 수 있는 RF 신호, 적외선 신호 등의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해 제어부(5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원격제어장치(51)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뿐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에 반응하는 원격제어장치(51)로서 이하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이라 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은 디스플레이 장치(3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에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이 포인팅하는 지점에 포인터(53)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에 표시된 포인터(53)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5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에 표시되는 포인터(53)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30)에 표시된 포인터(53)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53)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49)에 표시된 포인터(53)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포인터(53)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에 표시되는 포인터(53)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인터페이스부(47)와 도 4의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좌표값 산출부(115) 및 무선 통신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15)는 전술한 제어부(5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는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는 RF 모듈(112) 또는 IR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은, 무선 통신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전원공급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인터페이스부(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1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인터페이스부(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1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은 디스플레이 장치(30)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1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은 디스플레이 장치(3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1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1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140)는 움직임 센서로서 자이로 센서(141) 또는 가속도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41)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141)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1)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1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1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15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1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60)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이 디스플레이 장치(30)와 RF 모듈(1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과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제어부(180)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과 페어링(pairing)된 디스플레이 장치(3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140)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무선 통신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20)와,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53)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는 RF 모듈(112)을 통하여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112)을 통하여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15)는 무선 통신부(111)를 통하여 수신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49)에 표시할 포인터(53)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입력된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 전송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어부(47)로 전송된다. 제어부(47)는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동작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메뉴 화면 및 그 조작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메뉴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 Provider) 중 하나를 선택해서 접속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하는 동작 모드(이하, 넷캐스트 모드라 함)에 진입했을 때의 초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이다. 상기 메뉴 화면은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들(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특정 주제를 갖는 배경 이미지(201)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의 메뉴 화면의 배경 이미지(201)로는 도시(City)를 주제로 한 이미지가 사용되었고, 그 전면에는 각각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아이콘들(212)이 표시되어 있다. 메뉴 화면의 배경 이미지는 특정 주제를 가질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도시 외에도 정글, 백화점, 해변, 우주, 동화 속 장면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질 수 있다. 배경 이미지는 주제에 따라 그에 맞는 기본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들(212)은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 서버들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들로써, 사용자는 아이콘들(212)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이콘(212)도 배경 이미지(201)와 관련될 수 있다. 즉, 아이콘(212)은 배경 이미지(212)의 주제에 맞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들(212)은 도시의 거리에 세워진 구조물 또는 광고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212)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각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예컨대 지역 등에 따라 배경 이미지(201)가 변경되면 아이콘들(212) 또는 아이콘(212)에 표시되는 이미지도 변경될 수 있다.
아이콘들(212)을 선택할 때, 사용자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동작 인식 원격제어장치(51)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뉴 화면에는 위와 같은 아이콘 외에도 다양한 종류와 수의 아이콘들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아이콘들(212)의 좌우에는 스크롤바(207a,207b)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스크롤바(207a,207b)를 선택하면 추가적인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아이콘(212) 중 하나, 예컨대 넷플라이 아이콘(204)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204)은 다른 아이콘들과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트된다. 선택된 아이콘(204)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동작 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화살표 버튼을 조작하거나, 다른 아이콘을 선택하면 하이라이트가 선택된 아이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에서 동작 인식 원격제어장치(51)의 ENTER 버튼 또는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하는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로 접속하고, 컨텐츠 제공자 서버의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
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수, 크기, 위치 및 배열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이콘들(212)은 각 컨텐츠 제공자를 식별하기 위한 명칭이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조자가 판매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0)에 내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30)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중에 도 1의 네트워크 운영자(10)가 컨텐츠 제공자(20)로부터 아이콘으로 사용될 이미지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전송해 주거나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가 직접 컨텐츠 제공자(20)의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과 같은 배경 이미지(201)와 아이콘들(212)로 구성된 메뉴 화면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화면은 배경 이미지(201)와 그 위에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2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화면은 도 9과 같이 배경 이미지(201)를 포함하는 레이어(213)와, 아이콘들(212)을 포함하는 레이어(213')를 오버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레이어(213, 213')에 서로 다른 효과를 줄 수 있다. 예컨대, 아이콘들(212)만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도 있고, 배경 이미지(201)만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동작하지 않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넷캐스트 모드를 실행하였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네트워크 케이블이 언플러그되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도 10과 같이 메뉴 화면 전체에 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텍스트로 알리는 것보다는 도 10과 같이 일반 공사 현장의 출입 차단 테이프(216)와 케이블이 언플러그임을 나타내는 임의의 그래픽 이미지(217)로 표시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사용자에게 재미를 주는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넷캐스트 서비스는 완전히 사용 불가인 상태이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동작하지 않는다는 표시(216,217)를 제외하고 나머지 메뉴 화면의 이미지들, 즉 배경 이미지(201)와 아이콘들(212)은 반투명하게 또는 흐리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경 이미지(201) 및 아이콘들(212)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따라 동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101)에서, 컨텐츠 제공자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아이콘들과 함께 배경 이미지도 표시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받는다.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없으면 계속 대기한다.
단계(S103)에서, 배경 이미지와 아이콘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과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이미지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또는 스틸 이미지일 있으며, 선택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와 관련될 수 있다.
단계(S104)에서,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있으면, 단계(S105)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없으면, 위 이미지를 계속 반복해서 표시할 수도 있고, 복수의 서로 다른 동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S106)에서, 컨텐츠 제공자 서버의 초기화면을 표시하고, 단계(S107)에서,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이하 네트워크TV(30)의 UX(user experience)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UX(user experience)의 가장 상위 계층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UX 중 최근 목록에 대한 동작을 나타낸다.
최근 목록은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한 동작의 목록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최근에 사용한 앱 또는 최근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입력한 목록을 나타낸다. 최근 목록은 사용한 순서의 역순으로 목록이 배치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최근 목록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최근 목록은 앱 또는 입력에 대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최근 목록은 앱 또는 입력의 이름이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이미지 또는 이름이 없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본으로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근 목록을 통하여 자주 사용하는 앱이나, 입력을 빠르게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30)의 UX 중 홈 화면을 나타낸다.
홈 화면은 하단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앱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앱을 대표하는 이미지인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기본으로 저장된 기본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선호하는 앱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앱 또는 계약에 의해 표시되는 프리미엄 앱을 포함할 수 있다. 홈 화면은 사용자에게 선호하는 앱, 입력, 설정 또는 정보를 백그라운드에 표시한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UX 중 런쳐(Launcher) 화면을 나타낸다.
런쳐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앱과 입력을 포함하는 모든 소스의 관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앱을 삭제하거나, 앱의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 시킬 수 있다. "app preview"는 사용자에게 앱에 대한 추가적인 관심을 불러올 수 있는 개발자가 제공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app preview는 백그라운드(213)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app preview를 통하여 앱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부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기존의 TV가 부팅되는 과정은 1)전원을 누르면 2)최초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44)에 제조사의 로고를 표시하며 3)사용자가 지난 사용에서 입력했던 마지막 입력을 런칭시키는 순서로 이루어 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난 사용의 마지막에서 채널 10번을 시청하고 있었다면, 전원을 켰을 때 최초로 채널 10번을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하는 식이다.
기존의 TV에서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사용자가 지난 사용에서 입력했던 마지막 입력을 런칭시키면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할 준비를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홈 화면을 불러올 수 있게 도와주며, 불러온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앱 또는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마지막 입력이 없는 경우에(예를 들면 최초 구입 후 첫 사용) 기본으로 저장된 입력을 런칭 시킨다. 기본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30)가 제조되는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홈 화면을 조작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서 홈 화면은 원격제어장치(51)에서 홈 버튼을 눌러 불러올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홈 화면은 최근 목록 또는 런쳐 화면에서 뒤로 가기를 클릭하여 불러올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홈 화면은 앱의 가장 상위 단계에서 뒤로 가기를 클릭하여 불러올 수 있다.
도 16은 홈 화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나타낸다.
홈 화면은 최근 목록 버튼(301), 현재 표시 앱(302), 스토어(303), 퀵 런쳐(304), 런쳐 버튼(305), 글로벌 액션(306), 시간(307)을 포함한다.
최근 목록 버튼(301)는 최근 목록 화면으로 홈 화면을 전환 시킨다. 최근 목록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앱이나 입력에 대해 표시한다. 표시의 순서는 입력한 순서의 역순으로 표시된다.
현재 표시 앱(302)는 현재 사용되는 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일 백그라운드(213)에서 실행되고 있는 앱 또는 입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앱에 대한 정보는 이름이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표시 앱(302)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계속해서 업데이트가 되어 바뀔 수 있다.
스토어(303)는 홈 화면은 앱 스토어 화면으로 전환한다. 스토어(303)는 런쳐 화면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스토어(303)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지 않고 지울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앱 스토어에서는 기본적으로 설치된 앱을 제외하고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앱을 찾아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설치할 수 있다. 앱 스토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설치된 앱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퀵 런쳐(304)는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최대 앱 수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최대 앱 수는 8개가 될 수 있다. 퀵 런쳐(304)는 일반 앱 아이콘과 시스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반 앱 아이콘은 RGB 칼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시스템 아이콘은 무채색의 텍스트 라벨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런쳐 버튼(305)는 런쳐 화면으로 홈 화면을 전환 시킨다. 글로벌 액션(306)은 설정 정보, 공지사항 그리고 입력 선택창을 화면의 왼쪽 상단에 표시한다. 시간표시(307)은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나타낸다. 도 16에서 글로벌 액션(306)이나, 시간표시(307)의 위치는 각각 좌상단과 우상단에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의사 또는 제조사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7은 일반 앱의 한 종류인 CP(Content Provider) 앱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퀵 런쳐(304)에 표시되는 앱 중에는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CP(content provider) 앱(또는 프리미엄 앱)(308)을 포함할 수 있다. CP 앱(308)은 계약 조건에 의해 정해진 특정 수만큼 설치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 수는 6개가 될 수 있다. CP 앱은 계약에 의해 시스템 영역에 빌트인 되어 설치될 수 있다. CP 앱은 계약에 의해 설치되는 앱으로 초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노출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야 이용 빈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CP 앱은 스터브(Stub) 앱의 형태로 최초 설치 된다. 스터브 앱의 상태란 앱을 사용자가 바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완전히 설치하는 것이 아닌, 앱의 실제 기능을 제외하고, 앱의 외형만을 설치한 상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스터브 앱은 최초 화면에 아이콘이 표시되나, 실제 해당 앱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설치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스터브 앱을 활용하기 위해 해당 앱을 추가적으로 다운로드 받아 완전히 설치해야 한다.
사용자가 해당 CP 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나, 계약에 의해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내 저장장치(49)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저장장치(49)의 용량을 완전히 설치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차지하는 스터브 앱 상태로 최초 설치된다.
도 18은 홈 화면에서 현재 표시 앱(302)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 현재 표시 앱(302)의 상단에 형성되는 원형의 삭제 버튼(309)을 클릭할 수 있다. 삭제 버튼(309)를 클릭하면 현재 스크린에 표시되는 앱이 닫힌다. 현재 스크린에 표시되는 앱이 닫히면 대기하고 있는 앱이 런칭된다.
일 실시 예에서 대기하고 있는 앱이란 가장 최근에 실행했던 앱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대기하고 있는 앱이란 기본으로 최초 설계 시부터 정해진 앱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모든 앱을 닫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마지막 입력에 대한 동작이 자동적으로 런칭된다.
도 19 내지 21은 최근 목록 화면에 대한 것이다.
도 19는 최근 목록 화면을 전반적으로 나타낸다.
최근 목록 화면은 타이틀 미리 보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타이틀 미리 보기(310)는 타이틀과 관련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타이틀 미리 보기(310)는 타이틀에 관련된 텍스트가 될 수 있다.
타이틀 미리 보기(310)는 앱 타이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뷰 타이틀(313)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앱에서 뷰 타이틀(313)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뷰 타이틀(313)이 앱 타이틀(312)와 같은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타이틀 미리 보기(310)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저장장치(49)에 기본적으로 저장된 이미지(31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최근 목록을 삭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삭제 버튼(315)은 포커스된 앱의 상단에 포인터(53)를 위치하면 나타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삭제하고자 하는 최근 목록의 상단의 삭제 버튼(315)을 클릭하여 해당 목록을 삭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51)의 포인터(53)를 삭제 버튼(315)에 올려 놓은 뒤에, 원격제어장치(51)의 OK버튼을 눌러 삭제 할 수 있다.
도 21은 최근 목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다.
최근 목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도 21에서 도시하듯이 최근 목록이 없음을 화면 우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최근 목록이 없음을 표시한 부분에 포인터(53)을 올려놓아도 삭제 버튼(315)이 활성화 되지 않는다. 최근 목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최근 목록 화면의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홈 화면으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2는 런쳐 화면의 전반적인 내용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런쳐 화면에서 모든 앱에 대한 관리 또는 설치를 할 수 있다. 런쳐 화면에서 앱의 아이콘은 화면의 하단을 따라 홈 화면 또는 최근 목록 화면에 표시되는 것 보다 작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단에 표시된 아이콘 가운데 하나를 포커싱 하면 배경에 해당 아이콘의 앱과 관련된 이미지(316)가 표시될 수 있다. 해당 이미지(316)은 포커싱된 앱의 미리 보기가 될 수 있다. 이미지(316)가 없거나 표시할 수 없는 형태인 경우에는 저장 장치(49)에 저장된 기본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런쳐 화면에 포커싱된 앱의 타이틀(317)이 표시될 수 있다. 포커싱 된 앱의 서브 타이틀(318)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타이틀(317)의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포커싱된 앱의 아이콘(319)이 타이틀(317)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형태는 하나의 실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은 런쳐 화면에서의 아이콘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아이콘을 제어하는 방법에는 5-웨이 모드에 의한 방법과 포인터(53)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5-웨이 모드에 의한 것은 원격제어장치(51)의 방향키와 OK 버튼을 이용한 제어을 말한다. 포인터(53)를 이용한 방법은 원격제어장치(51)로 커맨더를 이용한 제어을 말한다.
도 23은 5-웨이 모드에서 아이콘의 이동 방법을 나타낸다.
런쳐 에디트 모드에서 해당 앱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아이콘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원격제어장치(51)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키를 눌러 아이콘을 조작한다. 방향키에 의해 아이콘이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51)의 OK버튼을 누르거나 아래쪽 방향키를 눌러 이동을 완료한다.
도 24는 5-웨이 모드에서 아이콘의 삭제 방법을 나타낸다.
런쳐 에디트 모드에서 해당 앱의 아이콘이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아이콘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아이콘을 포커싱 하기 위해 원격제어장치(51)에서 위쪽 방향키를 누른다. 위쪽 방향키를 눌러 아이콘이 포커싱된 상태에서 위쪽에 대한 방향키를 한번 더 누른다. 위쪽 방향키를 한번 더 누르면 삭제 버튼이 활성화 된다. 삭제 버튼이 활성화 되면 OK버튼을 누른다. 삭제 버튼은 누르면 화면에 포커싱된 아이콘의 삭제 의사를 묻는 화면이 표시된다. 방향키에 의해 YES 또는 NO 를 선택할 수 있다. YES를 선택하면 해당 아이콘이 삭제 된다.
도 25는 포인터 모드에서 아이콘의 이동 방법을 나타낸다.
런쳐 에디트 모드에서 해당 앱의 아이콘이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아이콘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아이콘을 포커싱 하기 위해 포인터(53)를 아이콘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포인터(53)는 아이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해야 한다. 포인터(53)를 이동하여 아이콘은 포커싱 하면, 아이콘을 클릭하여 원하는 위치에 놓는다.
도 26은 포인터 모드에서 아이콘의 삭제 방법을 나타낸다.
런쳐 에디트 모드에서 해당 앱의 아이콘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아이콘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아이콘을 포커싱 하기 위해 포인터(53)를 아이콘에 근접시킨다. 아이콘이 포커싱되면 포인터(53)를 아이콘의 상단에 활성화 되는 삭제 버튼에 위치시킨다. 삭제 버튼을 원격제어장치(51)의 ENTER 버튼 또는 스크롤 휠을 이용하여 누른다. 삭제 버튼은 누르면 화면에 포커싱된 아이콘의 삭제 의사를 묻는 화면이 표시된다. 포인터(53)에 의해 YES 또는 NO 를 선택할 수 있다. YES를 선택하면 해당 아이콘이 삭제 된다.
도 2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 원격제어장치(51)와 외부기기(400)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가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30)에 다수의 외부기기(400)이 연결될 수 있다. 외부기기(400)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원격제어장치(51)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도 28은 외부기기의 연결에 따라 관련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디스플레이 장치(30)에 복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S201). 복수의 아이콘들 각각은 복수의 앱들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아이콘들 각각은 복수의 앱들을 대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복수의 앱들 각각은 컨텐트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기기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앱의 아이콘을 화면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앱의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다. 아이콘은 텍스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RGB 컬러로 표현될 수 도 있다.
아이콘의 수가 특정 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30)는 페이지를 나누어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화면에 아이콘을 8개씩 배치하여 9번째 아이콘부터는 제2 페이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이콘의 표시는 화면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외부기기(400)로부터 인식 신호를 수신한다 (S203).
외부기기(400)가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외부기기(400)으로부터 인식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기기는 셋톱 박스, 게임기, 휴대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그 외 디스플레이 장치와 활용 가능한 외부기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기기(4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에 고유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유의 신호는 장치의 ID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기기의 시리얼 넘버가 될 수 있다.
외부기기(4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와 연결이 이루어 지면 자동으로 인식 신호를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자신이 연결되었음을 알린다. 일 실시 예에서 셋톱 박스의 설정 여부는 디스플레이 장치(30) 내부의 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의 앱은 디바이스 커넥터(Device Connector)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어부(50)는 외부기기(400)로부터 전달된 인식 신호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400)를 인식한다(S205).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어부(50)는 앱을 통해 외부기기(400)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30)내의 Input Hub앱을 통해 외부기기의 설정을 변경한 내용에 기초하여 인식할 수 있다. Input Hub앱이란 외부기기(400) 중 셋톱 박스 외 게임기, DVD 등에 대한 설정을 TV가 자동으로 감지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변경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여 TV에 연결된 외부입력 기기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앱을 말한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셋톱 박스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내부의 모듈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IRDB Manager라는 모듈을 통해 셋톱 박스의 설정을 인식할 수 있다. IRDB Manager는 사용자에게 연결된 외부기기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설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셋톱 박스를 인식하는 단계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최초에 셋톱 박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면 특정 연결 단자에 셋톱 박스가 연결되었다는 정보를 EIM(External Input Manager)가 파악한다. EIM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정보를 하드웨어 수준에서 파악한다. 따라서 특정 단자에 어떤 기기가 현재 연결되었는가를 파악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기기의 특성 또는 설정 정보 등을 파악할 수는 없다.
EIM을 통해 특정 연결 단자에 셋톱 박스가 연결된 정보를 수신하면 초기설정(First Use) 또는 Device connector 앱이 사용자에게 설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셋톱 박스에 대한 상세한 정보(예를 들면 제조사 등)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설정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며, 이후 저장된 셋톱 박스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50)가 화면 상의 앱의 아이콘 순서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HDMI 장비를 이용해 외부기기를 연결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기기와 교환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기기를 자동 인식(Auto Detection)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DMI를 이용하여 교환되는 전기 신호에는 외부기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영역이 있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해당 정보를 해석하여 현재 연결되어 있는 외부기기(400)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외부기기 정보에 대한 신호는 특정 규약을 따르는 프로토콜(Protocol)일 수 있다. 제어부(50)는 연결된 외부기기(400)를 인식하여 사용할 준비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가 외부기기(400)를 인식을 완료하면, 제어부(50)는 인식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207).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44)에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5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완료 메시지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녹음된 완료에 대한 육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완료를 뜻하는 고유의 소리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외부기기(400)로부터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한다(S209).
일 실시 예에서 설정 완료 신호란, 외부기기의 설치 완료에 관한 신호일 수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설정 완료 신호란 사용자가 외부기기(400)의 설정을 완료한 것을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해 해당 외부기기(400)의 설정이 완료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설정에 관하여,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셋톱 박스를 최초 설치하여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셋톱 박스에 수신되는 채널들의 채널 테이블을 수정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채널은 남기고 선호하지 않는 채널을 삭제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게임기의 동작에 관한 설정일 수 있다.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외부기기(400)를 설정하면 이는 해당 외부기기(400)를 사용하겠다는 의사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외부기기(400)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외부기기(400)의 동작에 필요한 앱의 아이콘을 자동으로 전진하여 배치한다(S211).
이에 대해서는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50)가 설정된 외부기기(400)와사용관련된 아이콘을 자동으로 전진 배치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44)에 최초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도 29a). 일 실시 예에서 최초에 셋톱 박스를 설치하는 경우, 셋톱 박스 앱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셋톱 박스 앱이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셋톱 박스 앱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최초 셋톱 박스 설치시, 기본적으로 셋톱 박스 앱의 아이콘은 아이콘이 배열될 때 가장 후 순위에 배치된다. 아이콘의 배치 순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조작이 없다면 설치순으로 정해지기 때문이다.
도 29에서 도시하듯이, 초기 화면에는 셋톱 박스와 관련된 아이콘(102)이 표시되지 않으며 라이브 TV와 관련된 아이콘(202)이 표시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셋톱 박스 앱의 아이콘(203)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아이콘 리스트의 페이지를 넘겨 셋톱 박스 앱의 아이콘(203)을 찾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스마트 TV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초기 화면에 표시되는 라이브 TV와 관련된 아이콘(202)을 셋톱 박스의 아이콘(203)으로 잘못 조작하는 실수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기기(400)를 설정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30)내 제어부(50)는 해당 외부기기(400)를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외부기기(400) 앱의 아이콘을 홈 화면의 최초 페이지에 표시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셋톱 박스의 설정을 한 경우에, 제어부(50)는 셋톱 박스와 관련된 아이콘(203)을 아이콘이 배치되는 열에서 전진 배치하여 최초 페이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0)는 셋톱 박스와 관련된 아이콘(203)은 화면 내에 아이콘이 표시되는 임의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50)는 셋톱 박스를 연결하는 경우 라이브 TV 아이콘(202)을 셋톱 박스와 관련된 아이콘으로 자동 변경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50)는 셋톱 박스를 연결 하는 경우 라이브 TV 아이콘(202)을 변경하지 않고, 이 후 사용자가 라이브 TV 아이콘(202)를 실행 시키는 경우 셋톱 박스가 실행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셋톱 박스가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50)는 라이브 TV를 시청자가 이용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라이브 TV 관련 앱(202)을 아이콘을 그대로 유지하고 실행 프로그램을 셋톱 박스 관련 앱의 프로그램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셋톱 박스 연결시 라이브 TV 아이콘을 셋톱 박스 아이콘으로 사용자가 수동 변경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기기(400)를 설정했음에도 관련 아이콘을 찾아 사용자가 홈 메뉴에서 아이콘 페이지를 뒤로 넘겨야 하는 불편은 해소할 수 있다.
도 29b를 참조하면 홈 화면의 첫 페이지에 표시되었던 라이브 TV 앱의 아이콘(202)은 아이콘 표시 부분의 첫 페이지에서 사라지고, 사용자가 설정한 외부기기인 셋톱 박스 앱의 아이콘(203)이 첫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셋톱 박스 앱의 아이콘(203)는 화면 하단의 아이콘 표시줄에서 좌측 끝단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외부기기(400)가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연결된 경우에 관련 앱에 대한 아이콘의 배치가 문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기기(400)가 디스플레이 장치(30)에 동시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관련 앱의 아이콘 배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복수의 외부기기(400)가 연결된다(S301).
복수의 외부기기(400)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각각의 외부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한다(S303).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셋톱 박스의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동시에 게임기의 조작 방법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기기(400)에 대한 설정을 완료하면 설정 완료에 관한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된다. 외부기기(400)는 설정 완료 확인을 받아 해당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전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이를 수신하여 해당 외부기기의 설정 여부와 완료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설정을 완료한 다수의 외부기기(400)에 대한 우선순위 입력여부를 판단한다(S305). 구체적으로 복수의 외부기기(400) 각각에 관련된 앱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간에 관련 앱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되는 순서를 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기기(400)가 두 개 연결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사용자에게 어느 외부기기(400) 앱의 아이콘을 우선하여 배치할 것인지 물어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기기(400)가 세 개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사용자에게 외부기기(400)앱의 아이콘 배치 순서를 순서대로 물어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 우선하여 배치할 아이콘을 물어보고, 그 다음에 배치할 아이콘을 물어보는 식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마지막에 배치될 아이콘에 대해서는 우선순위를 물어보는 것을 생략하고 자동으로 마지막 순서로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 배치의 순서를 입력한 경우에는 해당 입력의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4)에 관련 앱의 위치를 결정한다(S307).
반면에,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 배치의 순서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저장된 우선순위를 디스플레이 장치(30)내 저장부등에서 불러온다(S309). 구체적으로 저장장치(49)에 기 설정된 외부기기(400) 앱의 아이콘 배치 순서를 저장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우선순위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보편적인 사용자들의 사용 습관을 반영하여 최초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설계 시에 설정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우선순위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최초 작동할 때 사용 습관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우선순위는 디스플레이 장치(30)내 제어부(50)가 각 외부기기(400)의 사용 빈도를 카운팅 하여 이에 근거해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가 사용자의 외부기기 사용 시마다 이를 카운팅 하고, 일정 수 이상이 카운팅 되면 카운팅된 수가 많은 순으로 앱의 아이콘을 우선 배치하도록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달 동안 사용자가 셋톱 박스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를 다룬 횟수가 7회이고, 게임기를 사용한 횟수가 3회이고, 공중파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를 다룬 횟수가 1회인 경우에 제어부(50)는 셋톱 박스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을 최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게임기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을 차등, 공중파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을 마지막으로 배치하도록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의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 위치를 결정한다(S311). 우선순위에 따른 아이콘 배치를 도 31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다수의 외부기기(400)가 연결된 경우에 우선순위에 따라 관련 아이콘을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1a를 참조 하면 최초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44)에 아이콘들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라이브 TV와 관련된 아이콘(202)이 최초 화면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수의 외부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제어부(50)는 우선순위에 따라 각 외부기기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 순서를 결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 배치한다.
도 31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우선순위가 셋톱 박스, 게임기, 라이브 TV로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셋톱 박스에 관련된 앱의 아이콘(203)이 각 외부기기와 관련된 아이콘들 중 가장 우선하여 배치되고, 그 다음의 우선순위를 갖는 게임기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204)이 배치되며,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라이브TV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202)이 후 순위로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우선순위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상황에 따라 혹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앱의 위치가 상기와 같이 결정되더라도, 계약 등의 문제로 가장 우선적으로 배치되는 프리미엄 앱을 우선하여 자동으로 배치하는 것은 어렵다. 여기서 프리미엄 앱이란 컨텐트 제공자와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조사 간에 계약에 의해 설치된 앱을 말한다. 프리미엄 앱은 계약 조건에 따라 그리고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하도록 화면에 최우선적으로 배치된다. 사용자가 이용하기 쉬워야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컨텐트에 의한 수익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을 프리미엄 앱보다 우선하여 배치되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 습관에 따라 셋톱 박스와 관련된 앱(102)를 프리미엄 앱보다 자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는 단계 S311에서 결정된 앱들의 배치순서에 더하여 사용자가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을 프리미엄 앱에 우선하여 배치할 것으로 지시하였는가 판단한다(S313).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지시는 원격제어장치(51)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의 지시와 관련하여 도 32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2은 사용자가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을 프리미엄 앱에 우선하여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2a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51)에 의해 포인터(53)가 셋톱 박스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203)을 지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203)을 프리미엄 앱에 우선하여 옮기고자 하는 때에는 원격제어장치(51)을 사용하여 이동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집 모드에서 아이콘(203)을 포인터(53)를 활용해 드래그 하여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해당 아이콘(203)을 프리미엄 앱들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해당 아이콘(203)을 모든 아이콘에 우선하여 화면 하단의 아이콘 페이지의 좌측 끝단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셋톱 박스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203)을 이동 시킨 것을 보여준다. 해당 아이콘(203)이 이동하면서 프리미엄 앱의 배치 순서가 뒤로 밀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30으로 돌아온다.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을 프리미엄 앱보다 우선하여 배치할 것을 지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마지막 프리미엄 앱의 바로 다음 순서에 외부기기와 관련된 앱의 위치를 결정한다(S315). 일 실시 예에서 프리미엄 앱의 개수는 6개일 수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은 초기 화면에서 7번째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을 프리미엄 앱보다 우선하여 배치할 것을 지시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시한 순서로 관련 앱의 위치를 결정한다(S317).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0)는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을 초기 화면의 첫 번째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44)에 외부기기(400)와 관련된 앱을 결정된 순서에 따라 배치한다(S319).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110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앱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외부기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설정 완료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완료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아이콘을 상기 초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아이콘의 표시 위치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단계는
    복수의 외부 기기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기기 아이콘들을 상기 초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 또는 기 저장된 우선순위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우선순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초 설계 시 저장된 우선 순위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우선순위는 상기 외부기기의 설정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횟수가 많은 외부기기를 우선하여 아이콘 표시 순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앱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기기로부터 인식 신호와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신호 입력부;
    아이콘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설정 완료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아이콘을 상기 초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외부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외부기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02069A 2014-08-08 2014-08-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18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069A KR20160018066A (ko) 2014-08-08 2014-08-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4/566,839 US20160044382A1 (en) 2014-08-08 2014-12-11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069A KR20160018066A (ko) 2014-08-08 2014-08-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066A true KR20160018066A (ko) 2016-02-17

Family

ID=5526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069A KR20160018066A (ko) 2014-08-08 2014-08-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44382A1 (ko)
KR (1) KR201600180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034B1 (ko) 2013-12-24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D175824S (zh) * 2014-06-06 2016-05-21 樂視網信息技術 北京 股份有&# 顯示螢幕之圖形化使用者介面
TWI594146B (zh) * 2015-06-17 2017-08-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遙控器的文字輸入方法
CN107888846A (zh) * 2017-11-08 2018-04-06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新接入信源的信号预览方法及电视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5319A1 (en) * 1999-12-10 2005-10-20 Carpenter Kenneth F Features for use with advanced set-top applications o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US8863184B2 (en) * 2001-07-13 2014-10-14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US8051389B2 (en) * 2003-08-26 2011-1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of displaying resources of overlapping but separate hierarchies
JP3897774B2 (ja) * 2004-06-09 2007-03-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JP2007300565A (ja) * 2006-05-03 2007-11-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EP2557782B1 (en) * 2010-04-09 2019-07-17 Cyber Ai Entertainment Inc. Server system for real-time moving image collection, recognition, classification, processing, and delivery
KR101742986B1 (ko) * 2010-07-26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5585506B2 (ja) * 2011-03-18 2014-09-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端末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4382A1 (en)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1524B2 (ja) 無線通信デバイスを用いて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機能性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17638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EP2599325B1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CN102598701B (zh) 为网络电视提供内容信息
US9329746B2 (en)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EP2919477A2 (en) Method and device to create home screen of tv device and restrict its access
EP245366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219946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for a network television
KR20110060650A (ko)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tv의 동작 모드 전환 방법
KR20160018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120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1007297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21547B1 (ko) 네트워크 tv 및 그에 대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KR1016131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KR101539199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51437A (ko)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에 대해 통합 검색이 가능한 네트워크 tv 및 통합 검색 수행 방법
JP2008217322A (ja) 表示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10060505A (ko) 컨텐츠 적응형 스크린 세이버 제공 방법
KR101697775B1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59423A (ko) 컨텐츠 구매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3108B1 (ko) 네트워크 tv의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KR101665131B1 (ko)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20089972A (ko) 복수개의 컨텐트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KR101636574B1 (ko) 공통 포맷을 갖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의 초기화면 제공 방법
KR1021410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