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927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927A
KR20160003927A KR1020140081638A KR20140081638A KR20160003927A KR 20160003927 A KR20160003927 A KR 20160003927A KR 1020140081638 A KR1020140081638 A KR 1020140081638A KR 20140081638 A KR20140081638 A KR 20140081638A KR 20160003927 A KR20160003927 A KR 2016000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output
stage
transistor
inverting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846B1 (ko
Inventor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8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1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capacitors as main elements of the stages
    • G11C19/182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capacitors as main elements of the stages in combination with semiconductor elements, e.g. bipolar transistors,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는,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로써,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각각은 제1 노드를 구비한 안정화부, 상기 안정화부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며 반전 및 비반전 노드를 구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부는 제2 클럭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노드에 상기 제3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노드상의 충전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고전위 전원을 상기 반전노드로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반전 노드상의 충전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반전 노드 및 상기 출력 단자를 방전하는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에 의해 충전된 상기 비반전 노드 상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 클럭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8 트랜지스터, 상기 비반전 노드 상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반전 노드를 방전하는 제6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휴대폰(Mobile Phone),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포터플기기(potable device) 및, HDTV 등의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을 구현하는 정보전자장치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되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활발히 연구되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 대면적 화면의 실현이라는 이유로 인해 현재에는 액정표시장치(LCD)가 각광을 받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액정표시패널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를 집적회로 형태로 형성하여 TCP또는 COF 테이프와 같이 액정표시패널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로 인해서 부품소자 수가 증가하고, 부품소자 수의 증가에 따른 공정 증가로 공정비용이 상승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경량화 및 소형화 하는데 문제점이 되고 있어, 게이트 구동부를 액정표시패널에 형성하는 GIP(Gate Driver in panel) 방식의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내장회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서 데이터 구동부는 칩 형태로 형성하여 TCP 또는 COF 테이프와 같이 액정표시패널에 부착하여 형성되고, 액정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는 액정셀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어 형성되어 있고, 표시영역의 외곽에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GIP 방식의 게이트 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 배선을 구동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종속 접속된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회로도에 인가되는 신호와 각 노드 상의 전압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을 구성하는 각종 트랜지스터는 구동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누적 스트레스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각 트랜지스터의 열화 정도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3 및 제7 트랜지스터(T3, T7)에 대부분의 시간 동안 하이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및 제7 트랜지스터(T3, T7)는 다른 트랜지스터에 비해 열화 정도가 심하고, 그 결과 상기 제3 및 제7 트랜지스터(T3, T7)의 문턱전압(Vth)이 회로 전체의 수명을 결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3은 교번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의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전노드(QB1, QB2)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down1, Tdown2)가 교번 구동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down1, Tdown2)가 교번 동작함으로써 소자의 열화와 회복을 반복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한편 도 3과 같은 구조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스테이지에서 트랜지스터를 비정질실리콘(a-si)으로 제조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비정질실리콘(a-si)의 트랜지스터의 경우 양의 문턱 전압 쉬프팅 정도와 음의 문턱 전압 쉬프팅 정도가 거의 비슷하여 일정한 문턱 전압으로 포화될 수 있다. 즉, 교번 동작하여도 원상복귀 현상이 잘 일어난다. 따라서 비정질실리콘(a-si)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구동 회로에서는 회로의 신회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옥사이드(Oxide)로 제조된 트랜지스터의 경우 양의 문턱 전압 쉬프팅 정도보다 음의 문턱 전압 쉬프팅 정도가 적어 교번 동작 시 원상복귀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옥사이드(Oxide)로 제조된 트랜지스터가 교번 동작하는 경우 양의 문턱 전압으로 쉬프팅하여 결국에는 정상적으로 구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교번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를 옥사이드(Oxide)로 제조하는 경우 회복 특성이 나빠 반전 노드(QB1, QB2) 상의 전압만으로는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down1, Tdown2)가 턴온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비반전노드(Q) 상의 전압이 방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비반전노드(Q) 상의 전압이 방전되지 않는 경우, 출력기간이 아닌 구간에서 클럭신호에 따른 부트스트랩(bootstrap) 현상에 따라서 원치 않는 신호가 출력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출력단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소스 단자 사이에 부트스트랩 커패시터를 별도로 연결하였다. 그러나 도1 및 도3과 같은 회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트랜지스터 외에도 많은 트랜지스터가 실제로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회로의 면적이 크다. 따라서 면적이 큰 회로에 별도의 커패시터를 부가하는 경우 면적이 더 증가하여 베젤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으므로, 별도의 커패시터를 형성 하는 것은 이와 같은 제약이 있었다.
도 4는 트랜지스터의 수를 줄인 쉬프트 레지스터의 스테이지의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출력 파형에서 나타나는 리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같은 구동회로는 트랜지스터의 개수를 줄인 회로로써 심플 로직 회로(Simple Logic circuit; SLC)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구동회로는 제3 및 제7 트랜지스터(T3, T7)의 소자가 먼저 열화되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한다고 하여도, 제6 트랜지스터(T6)에 별도로 연결된 부트스트랩 커패시터(CB)에 의하여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즉, 회로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별도의 커패시터를 형성하여도 베젤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클럭 신호들(CLK(N-1), CLK(N+2))가 하이논리와 로우논리 신호로 반복할 때 상기 클럭 신호들(CLK(N-1), CLK(N+2))이 로우논리가 되면 Q 노드와 출력단을 로우로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Q 노드가 제대로 방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도 1 및 도 3과 같은 회로에서는 QB 노드의 충전된 전압에 의하여 Q 노드를 방전할 수 있으나 도 4와 같은 회로에는 QB 노드가 없기 때문에 Q 노드를 확실하게 방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Q 노드가 확실히 방전되지 않는 경우, 도 5와 같이 클럭신호(CLKN)가 하이 논리가 될 때마다 원치 않은 출력이 나타나는 리플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딤(Dim) 현상이나 화상적으로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클럭 신호에 의한 게이트 구동부의 출력 단의 리플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게이트 구동부를 구성하는 각종 트랜지스터의 열화 현상에도 상기 게이트 구동부가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네로우 베젤을 실현할 수 있는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트랜지스터의 수를 줄인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는,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로써,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각각은 제1 노드를 구비한 안정화부, 상기 안정화부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며 반전 및 비반전 노드를 구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부는 제2 클럭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노드에 상기 제3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노드상의 충전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고전위 전원을 상기 반전노드로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반전 노드상의 충전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반전 노드 및 상기 출력 단자를 방전하는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에 의해 충전된 상기 비반전 노드 상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 클럭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8 트랜지스터, 상기 비반전 노드 상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반전 노드를 방전하는 제6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가 서로 다른 시점에서 하이 논리로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신호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제1 노드가 충전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비반전 노드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안정화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하이논리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노드를 방전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를 상기 비반전 노드로 제공하는 제3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다음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반전노드를 방전하는 제5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제6 트랜지스터는 상기 반전 노드에 저전위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반전 노드를 방전하고,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반전 노드와 상기 저전위전원의 공급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반전 노드 상의 전압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단자와 상기 저전위전원의 공급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0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구비한 게이트 구동부;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K(K는 자연수)개의 게이트 배선이 형성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가 서로 다른 시점에서 하이 논리로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신호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제1 노드가 충전되는 표시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n(n은 자연수) 번째 스테이지에 있어서, 상기 이전 스테이지는 n-1 번째 스테이지이고, 상기 다음 스테이지는 n+4 번째 스테이지인 표시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액정 패널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비표시 영역에 내장된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는,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로써,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각각은 안정화부, 상기 안정화부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며 반전 및 비반전 노드를 구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제1 스테이지는, 출력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출력부는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상기 비반전노드의 충전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 클럭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반전노드에 저전위전원을 공급하고, 미 출력 기간 동안, 상기 안정화부는 제2 및 제3 클럭 신호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반전노드로 고전위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반전노드를 충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반전노드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상기 비반전노드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저전위전원을 공급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제2 및 제3 클럭 신호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제1 클럭 신호는 로우 논리가 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를 상기 비반전노드에 제공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제3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반전 노드에 저전위 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클럭 신호에 의한 게이트 구동부의 출력 단의 리플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를 구성하는 각종 트랜지스터의 열화 현상에도 상기 게이트 구동부가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네로우 베젤을 실현할 수 있는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수를 줄인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로도에 인가되는 신호와 각 노드 상의 전압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3은 교번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의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트랜지스터의 수를 줄인 쉬프트 레지스터의 스테이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출력 파형에서 나타나는 리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내지 제6 클럭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스테이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 스테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 스테이지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N 스테이지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제1 내지 제6 클럭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00)과, 외부시스템으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인가 받아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400)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액정패널(100)을 제어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200,30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글라스를 이용한 기판 상에 K개의(K는 자연수) 게이트 배선(GL)과 다수의 데이터 배선(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되고, 교차 지점에 다수의 화소를 정의한다. 각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액정캐패시터(Clc) 및 스토리지캐패시터(Cst)가 구비되며, 모든 화소들은 하나의 표시영역(A/A)을 이루게 된다. 화소가 정의되지 않은 영역은 비표시영역(N/A)으로 구분된다.
타이밍 제어부(400)는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RGB)와, 클럭신호(DCLK), 수평동기신호(Hsync), 수직동기신호(V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등의 타이밍 신호를 인가 받아 게이트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수평동기신호(Hsync)는 화면의 한 수평선을 표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수직동기신호(Vsync)는 한 프레임의 화면을 표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또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액정패널(100)에 정의된 화소에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400)는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게이트 구동부(200)의 제어신호(GCS) 및 데이터 구동부(300)의 제어신호(DCS)를 생성한다.
그 밖에 타이밍 제어부(400) 는 게이트 구동부(200)의 각 스테이지의 구동 타이밍을 결정하는 복수의 클록신호(C1 ~ C6)를 생성하고, 게이트 구동부(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400)는 입력받은 영상데이터(RGB DATA)를 데이터 구동부(300)가 처리 가능한 형태로 정렬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정렬된 영상데이터(RGBv)는 화질개선을 위한 색좌표 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된 형태일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0)는 액정패널(100)의 양단, 비표시영역(N/A)에 두 개가 구비된다. 각 게이트 구동부(200a, 200b)는 쉬프트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부(200)는 액정패널(100)의 기판 제조시 박막패턴 형태로 비표시영역상에 게이트-인-패널(Gate-In-Panel, GIP)방식으로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200a, 200b)는 타이밍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응답하여 액정패널(100)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배선(GL 1 ~ GL n)을 통해 3 수평기간(3H) 동안 유지되는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교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된 게이트 하이전압(VGH)은 일정 수평기간 동안 중첩될 수 있다. 이는 게이트 배선(GL 1 ~ GL n)을 프리차징(precharging) 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전압 인가 시 보다 안정적인 화소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게이트 구동부(200a)에는 각각 3 수평기간(3H)을 갖는 제1 및 제3 클록신호(CLK 1, CLK 3)가 인가되고, 제2 게이트 구동부(200b)에는 제4 및 제6 클록신호(CLK 4, CLK 6)가 인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1, C2, C3)는 순차적으로 하이 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클럭 신호이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1, C2, C3)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하이 레벨로 인에이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1, C2, C3)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상승하는 상승 에징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1, C2, C3)들 중에서 어느 두 개의 클럭 신호의 하이레벨이 중첩되는 기간에서 나머지 하나의 클럭 신호는 로우레벨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4 내지 제6 클럭 신호(C4, C5, C6)는 순차적으로 하이 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클럭 신호이다. 또한 상기 제4 내지 제6 클럭 신호(C4, C5, C6)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하이 레벨로 인에이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내지 제6 클럭 신호(C4, C5, C6)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상승하는 상승 에징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상기 제4 내지 제6 클럭 신호(C4, C5, C6)들 중에서 어느 두 개의 클럭 신호의 하이레벨이 중첩되는 기간에서 나머지 하나의 클럭 신호는 로우레벨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1, C2, C3)는 제1 게이트 구동부(200a)에 인가되는 클럭 신호가 될 수 있고, 제4 내지 제6 클럭 신호(C4, C5, C6)는 제2 게이트 구동부(200b)에 인가되는 클럭 신호가 될 수 있다.
한 주기를 6 등분하여 1 등분마다 제1 내지 제6 클럭 신호(C1~C6)들 중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일예로 6 수평기간(6H)를 한 주기로 하면, 1수평기간(1H) 마다 제1 내지 제6 클럭 신호(C1~C6)가 하이논리로 인에이블 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6 클록신호(C1 ~ C6)는 하이구간이 3 수평기간(3H)동안 진행될 수 있으며, 각 클록 신호는 서로 다른 1 수평기간(1H) 하이논리로 인에이블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스테이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N(N은 자연수) 번째 스테이지의 연결관계와 상기 N 번째 스테이지로부터 해당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하이전압(VGH)를 출력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게이트 구동부(200a)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스테이지로써 N-2, N, N+2, N+4 스테이지를 도시하였고, 제2 게이트 구동부(200b)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스테이지로써 N-1, N+1, N+3, N+5 스테이지를 도시하였다.
상기 각 스테이지들 각각은 제1 내지 제6 클럭 신호(C1~C6)에 동기하여 복수개의 게이트 배선(GL 1 ~ GL n) 중 어느 하나에 게이트하이전압(VGH)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1 게이트 구동부(200a)의 N 스테이지는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1, C2, C3)를 입력 받고, 이전 스테이지인 제2 게이트 구동부(200b)의 N-2 스테이지의 게이트하이전압(VGH)인 출력 신호와 다음 스테이지인 제1 게이트 구동부(200a)의 N+4 스테이지의 게이트하이전압(VGH)인 출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N-1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는 N 스테이지의 스타트 신호(VST)가 될 수 있고, 상기 N+4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는 N 스테이지의 리셋 신호(RST)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 스테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신호의 입력 단자와 해당 신호는 동일한 부호로 표기한다.
쉬프트 레지스트는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중에서 N번째 스테이지인 N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N 스테이지의 이전 스테이지는 N-1 스테이지로 지칭할 수 있고, 상기 N-1 스테이지의 이전 스테이지는 N-2 스테이지로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N 스테이지 다음 스테이지는 N+1 스테이지로 지칭할 수 있고, 상기 N+1 스테이지의 다음 스테이지는 N+2 스테이지로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N+2 스테이지의 다음 스테이지는 N+3 스테이지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N 스테이지를 제1 스테이지로 지칭할 수 있고, N-1 스테이지를 제2 스테이지로 지칭할 수 있으며, N+4 스테이지를 제3 스테이지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N 스테이지에 인가되는 메인 클럭 신호는 제1 클럭 신호(C1)로 지칭할 수 있고, 상기 제1 클럭 신호(C1)는 N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게이트 구동부(200a)의 N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를 Vgout1이라고 지칭한다면, 제2 게이트 구동부(200b)의 N-1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는 Vgout2로서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로 지칭할 수 있고, 그리고 제1 게이트 구동부(200a)의 N+4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는 Vgout3로써 다음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 스테이지에는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인 Vgout2와 다음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인 Vgout3가 인가될 수 있다.
<회로 구성 요소의 연결 관계>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트(210)의 제1 스테이지는 제1 내지 제9 트랜지스터(T1~T9) 및 제1 커패시터(C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2 클럭 신호 입력단자(C2))와 제3 클럭 신호 입력단자(C3)) 그리고 제1 노드(N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는 제2 클럭 신호 입력단자(C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클럭 신호 입력단자(C2)에 공급되는 제2 클럭 신호(C2)에 의하여 제어되고, 드레인 단자는 제3 클럭 신호 입력단자(C3)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클럭 신호(C2)에 따라서 제3 클럭 신호(C3)를 소스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소스 단자는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1 노드(N1)와 고전위전원공급단자(VDD) 그리고 반전노드(QB)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단자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노드(N1)에 충전되는 충전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고, 드레인 단자는 고전위전원공급단자(VDD)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노드(N1)에 충전되는 충전 전압에 따라서 상기 고전위전원(VDD)을 소스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소스 단자는 반전노드(Q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 단자(Vgout2)와 비반전노드(Q)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단자 및 드레인 단자는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 단자(Vgout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Vgout2)에 의하여 제어되고,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Vgout2)를 소스 단자와 연결된 비반전노드(Q)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1 클럭 신호 입력단자(C1)와 제1 노드(N1) 그리고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단자는 제1 클럭 신호 입력단자(C1)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는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럭 신호 입력단자(C1)에 따라서 상기 제1 노드(N1)를 상기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로 스위칭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노드(N1)에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하여 상기 제1 노드(N1)를 방전할 수 있다.
상기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3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 단자(Vgout3)와 비반전노드(Q) 그리고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단자는 제3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 단자(Vgout3)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는 비반전노드(Q)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는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 트랜지스터(T5)는 상기 제3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 단자(Vgout3)의 제3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Vgout3)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반전노드(Q)에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를 스위칭 할 수 있다. 즉, 상기 비반전노드(Q)에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하여 상기 비반전노드(Q)를 방전할 수 있다.
상기 제6 트랜지스터(T6)는 비반전노드(Q)와 반전노드(QB) 그리고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6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단자는 비반전노드(Q)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는 반전노드(QB)에 연결되고, 소스단자는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6 트랜지스터(T6)는 상기 비반전노드(Q)에 충전되는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반전노드(Q)에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를 스위칭 즉, 상기 비반전노드(Q)에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하여 상기 비반전노드(Q) 상의 전압을 방전할 수 있다.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는 반전노드(QB)와 비반전노드(Q) 그리고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단자는 반전노드(QB)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는 비반전노드(Q)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는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는 반전노드(QB)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비반전노드(Q)에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를 스위칭, 즉 상기 비반전노드(Q)에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하여 상기 비반전노드(Q)를 방전할 수 있다.
상기 제8 트랜지스터(T8)는 비반전노드(Q)와 제1 클럭 신호 입력단자(C1) 그리고 제1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8 트랜지스터(T8)의 게이트 단자는 비반전노드(Q)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는 제1 클럭 신호 입력단자(C1)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는 제1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8 트랜지스터(T8)는 상기 비반전노드(Q) 상의 충전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1)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는 반전노드(QB)와 제1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1) 그리고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의 게이트 단자는 반전노드(QB)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는 제1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1)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는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는 상기 반전노드(QB) 상의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고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1)에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하여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1)를 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패시터(CB)는 상기 비반전노드(Q)와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및 소스 단자는 각 단자의 전압에 따라서 그 명칭을 달리 부를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두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가 더 높은 경우 해당 단자를 드레인 단자로 하고, 나머지 단자를 소스 단자로 지칭할 수 있다.
<안정화부와 출력부의 동작 관계>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210)는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210)는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로써,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각각은 안정화부(211), 상기 안정화부(211)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로 게이트하이전압(VGH)의 출력 신호를 제공하며 반전 및 비반전 노드(QB, Q)를 구비한 출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제1 스테이지가 게이트 배선으로 게이트하이전압(VGH)를 출력하는 출력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출력부(212)는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상기 비반전노드(Q)의 충전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 클럭 신호(C1)를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반전노드(QB)에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지가 게이트 배선으로 게이트하이전압(VGH)를 출력하지 않는 미 출력 기간 동안, 상기 안정화부(211)는 제2 및 제3 클럭 신호(C2, C3)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반전노드(QB)로 고전위전원(VDD)을 공급하여 상기 반전노드(QB)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212)는 상기 반전노드(QB)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상기 비반전노드(Q)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클럭 신호(C2, C3)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제1 클럭 신호(C1)는 로우 논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를 상기 비반전노드(Q)에 제공하는 트랜지스터(T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제3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반전 노드(Q)에 저전위 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T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들 중 어느 하나는 안정화부(211) 및 출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부(211)는 전술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 T2) 그리고 제4 트랜지스터(T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부(211)는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 입력단자(C1, C2, C3)로부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1, C2, C3)를 입력 받을 수 있고, 고전위전원공급단자(VDD)로부터 고전위전원(VDD)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출력부(212)는 제6 내지 제9 트랜지스터(T6, T7, T8, T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12)는 제1 클럭 신호 입력단자(C1) 및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에 연결되어 제1클럭 신호(C1) 및 저전위전원(VSS)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정화부(211)로부터 고전위전원(VDD)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는 제3 및 제5 트랜지스터(T3, T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T3)는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2)와 상기 출력부(21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2)로부터 제공되는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Vgout2)을 상기 출력부(212)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4 트랜지스터(T5)는 다음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3)와 상기 출력부(212) 그리고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음 스테이지의 출력 단자(Vgout3)로부터 제공되는 다음 스테이지의 출력(Vgout3)에 따라서 상기 출력부(212)로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도에 따른 동작관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동작 관계를 설명한다.
<1H; 반전노드(QB)충전기간>
이하 N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상기 N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를 제1 출력 신호(Vgout1)로 지칭한다.
반전노드(QB)충전기간(1H)에서 안정화부(211)는 반전노드(QB)를 충전할 수 있다.
제2 클럭 신호(C2)가 하이레벨이 되는 경우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온 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하는 경우 하이논리의 제3 클럭 신호(C3)를 제1 노드(N1)로 제공할 수 있다.
반전노드(QB)충전기간(1H)은 상기 제2 및 제3 클럭 신호(C2, C3)가 모두 하이 레벨이므로 제1 노드(N1)은 하이 레벨로 충전되고, 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T2)는 턴온 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가 턴온하면 상기 반전노드(QB)는 고전위전원공급단자(VDD)로부터 고전위전원(VDD)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전노드(QB)가 충전될 수 있다.
1H 기간 전, 미출력기간동안 반전노드(QB)가 하이 논리로 표현되어 있으나,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에 따라서 상기 반전노드(QB) 상의 전압이 어느 정도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안정화부(211)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고전위전원(VDD)에 의하여 상기 반전노드(QB)가 충전된다. 따라서 상기 반전노드(QB)는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반전노드(QB)충전기간과 미출력기간에 반전노드(QB) 전압이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T7, T9)를 완전히 턴온할 수 있을 정도의 전압으로 충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전노드(QB)가 충전됨으로써 상기 반전노드(QB)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된 출력부(212)의 제7 트랜지스터(T7)는 턴온되어 비반전노드(Q)에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하여 상기 비반전노드(Q)를 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전노드(QB)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된 출력부(212)의 제9 트랜지스터(T9) 또한 턴온되어 비반전노드(Q)에 저전위전원(VSS)을 공급하여 제1 출력출력단자(Voug1)를 로우논리로 잡아줄 수 있다.
<2H; 비반전노드(Q) 충전 및 반전노드(QB) 방전기간>
비반전노드(Q) 충전 및 반전노드(QB) 방전기간(2H) 동안 하이레벨의 제2 클럭신호(C2)에 의하여 제1 트랜지스터(T1)의의 턴온은 유지하고, 이 때 제3 클럭신호(C3)는 로우레벨이되므로 제1 노드(N1)의 전압은 로우레벨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N1)가 로우레벨이 됨으로써 제2 트랜지스터(T2)는 턴오프되고 반전노드(QB)에는 고전위전원(VDD)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Vgout2)에 의하여 제3 트랜지스터(T3)는 턴온하고 그에 따라 비반전노드(Q)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비반전노드(Q)가 충전됨으로써, 상기 비반전노드(Q)와 게이트 전극이 연결된 출력부(212)의 제6 트랜지스터(T6)는 턴온하고 그에 따라 반전노드(QB) 상에 저전위전원(VSS)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반전노드(QB)는 방전할 수 있다. 그리고 반전노드(QB)가 방전됨으로써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T7, T9)는 턴오프할 수 있다.
<3H, 4H, 5H; n 스테이지의 출력 기간>
n 스테이지의 출력 기간(3H, 4H, 5H) 동안 제1 클럭 신호(C1)는 하이논리가 될 수 있다.
n 스테이지의 출력 기간(3H, 4H, 5H) 동안 제1 클럭신호(C1)에 의하여 부트스트랩(bootstrap) 현상에 따라 비반전노드(Q) 상의 전압은 상승하고, 제6 트랜지스터(T6)를 완전히 턴온할 수 있다.
상기 제6 트랜지스터(T6)가 완전히 턴온되면서 상기 제1 클럭신호(C1)의 하이논리 신호가 게이트하이전압(VGH)이 되어 n 스테이지의 출력(Vgout1)으로 출력할 수 있다.
<6H; 비반전노드(Q) 전압 감소 기간>
비반전노드(Q) 전압 감소 기간(6H) 동안 상기 제1 클럭 신호(C1)는 로우논리가 되면서, 비반전노드(Q) 상의 전압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기간인 1H~6H 구간 동안, 비반전노드(Q)상의 전압이 하이논리가 되고, 반전노드(QB) 상의 전압은 로우 논리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미출력기간>
미출력기간에서는 반전노드(QB)충전기간(1H)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클럭신호(C2, C3)가 하이레벨로 중첩되는 기간으로써, 이 기간에 제1 노드(N1)가 하이레벨이 되면서 반전노드(QB)는 충전하고 그에 따라 제3 및 제7 트랜지스터(T3, T7)가 턴온하면서 비반전노드(Q)는 방전할 수 있다. 또한 제3 스테이지의 출력(Vgout3)의 하이레벨 신호에 의하여 제5 트랜지스터(T5)가 턴온하면서 비반전노드(Q) 상에 저전위전원(VSS)이 공급됨므로써 상기 비반전노드(Q)가 방전할 수 있다. 즉 안정화부(21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노드(N1) 상의 전압이 주기적으로 충전됨으로써, 반전노드(QB)가 하이논리를 유지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비반전노드(Q) 및 제1 출력 단자(Vgout1)를 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스테이지의 출력(Vgout3)에 의하여 비반전노드(Q)가 확실히 방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T7, T9)의 게이트 단자가 연결된 반전노드(QB) 상에 하이 및 로우논리의 신호가 교번하는 경우, 상기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T7, T9)가 옥사이드(Oxide)로 제조된 경우라면 상기 상기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T7, T9)의 문턱전압의 회복 특성이 나빠 열화로 인한 정상적 동작을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제5 트랜지스터(T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T7, T9)가 열화되어 정상 동작을 못하는 경우라도 비반전노드(Q)가 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T7, T9)의 열화가 진행되고 상기 제5 트랜지스터(T5)만으로 비반전노드(Q) 충분히 방전되지 못하는 경우라면, 상기 비반전노드(Q) 상에 일정 전압이 유지된다. 따라서 미출력기간에 제1 클럭신호(C1)의 하이논리에 의하여 상기 비반전노드(Q) 상의 전압이 제8 트랜지스터(T8)의 문턱 전압 이상의 전압으로 증가한다면 원치 않은 출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커패시터(CB)를 출력부(212)에 부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커패시터(CB)를 이용하여 실시예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커패시터(CB)는 제8 트랜지스터(T8)의 게이트 및 소스 단자 사이에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커패시터를 부가하는 경우 회로의 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적은 트랜지스터만으로 구성되므로, 커패시터를 부가한다고 하여 회로의 면적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므로, 네로우 베젤을 유지하면서도 회로 동작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안정화부(211)의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1 노드(N1)가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되는 기간을 줄여주어 안정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클럭 신호(C1)의 하이레벨에 의하여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하는 경우, 제1 노드(N1)에 저전위전원(VSS)를 공급하여 상기 제1 노드(N1)가 방전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 스테이지의 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출력부(212)는 제2 커패시터(CQ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패시터(CQB)는 반전노드(QB)와 저전위전원공급단자(VSS)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의 오프 커런트(off current)에 의하여 반전노드(QB)상의 전류가 흐를 수 있고, 그에 따라 반전노드(QB)상의 전압이 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2 커패시터(CQB)는 반전노드(QB)의 누설을 막아줄 수 있다.
특히 옥사이드(oxide)의 트랜지스터에 비하여 비정질 실리콘(a-si)으로 제조된 트랜지스터의 경우 오프 커런트가 크기 때문에, 비정질 실리콘(a-si)으로 제조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커패시터(CQB)를 출력부(212)에 부가하여 반전노드(QB) 상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정이 불안하여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의 산포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라면 제2 커패시터(CQB)를 강화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N 스테이지의 회로도이다.
<미출력 기간>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안정화부(211)는 제10 트랜지스터(T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 스테이지의 미출력 기간에서 반전노드(QB)의 하이레벨에 의하여 상기 비반전노드(Q)가 로우레벨을 유지한다. 이 때 제10 트랜지스터(T10)는 제1 클럭 신호(C1)가 하이레벨이 될 때 커플링(Coupling) 현상으로 인하여 반전노드(QB)의 전압이 높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서 비반전노드(Q)가 안정적으로 로우레벨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비반전노드(Q) 상에는 리플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제1 클럭 신호(C1)가 하이 레벨이 될 때 더 잘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0 트랜지스터(T10)를 적용하는 경우 제1 클럭 신호(C1)가 하이레벨이 될 때 반전노드(QB)상의 전압을 더 높여줘 상기 비반전노드(Q) 상의 리플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정화부(211)는 주기적으로 제1 노드(N1) 상의 전압이 하이논리가 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비반전노드(Q) 상의 전압이 하이논리가 아닐 때, 즉 미출력기간에 상기 비반전노드(Q)를 항상 하이논리로 잡아줌으로써, 미출력기간에 반복적으로 하이논리가 되는 제1 클럭 신호(C1)에 의한 리플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부(211)의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는 주기적으로 반전노드(QB)를 충전하는 기능을 한다. 즉, 비반전노드(Q)가 부트스트랩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반전노드(QB)가 충전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출력부의 제6 트랜지스터(T6)는 비반전노드(Q)가 하이레벨이 될 때 반전노드(QB)를 로우레벨이 되도록 하고, 제7 트랜지스터(T7)는 반전노드(QB)가 하이레벨이 될 때 비반전노드(Q)가 로우레벨이 되도록 하고, 제9 트랜지스터(T9)는 반전노드(QB)가 하이레벨이 될 때 n 스테이지의 출력(Vgout1)이 로우레벨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게이트하이전압(VGH)을 출력하는 기간을 제외하고는 비반전노드(Q)가 확실히 로우 논리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210)는 반전노드(QB)가 하이레벨이 될 때 비반전노드(Q)가 로우레벨을 유지하도록 하여 초기 문턱전압의 마진(margin) 확보가 가능하게 하고, 비반전노드(Q) 상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개수를 줄이고 제1 커패시터(CB)를 통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커패시터(CB)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 부트스트랩의 효율이 증가하므로 열화에 따라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T7, T9)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8 트랜지스터(T8)에 의해 정상적인 출력이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도 3에서 설명한, 교번 동작에 따른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옥사이드(Oxide)로 제조된 트랜지스터의 회복 특성이 나빠 시간이 흐른 후 정상 구동을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력단 트랜지스터에 커패시터를 연결하고자 하였으나, 도 3과 같은 구동회로는 이미 많은 트랜지스터를 포함(일반적으로 13개)하고 있으므로, 도 3과 같은 구동회로에 추가적으로 커패시터를 부가하는 경우 네로우 베젤을 실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4와 같이 심플 로직 회로는 제3 및 제7 트랜지스터(T3, T7)가 열화가 되어도 제6 트랜지스터(T6)에 커패시터(CB)를 연결함으로써 정상 동작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심플 로직 회로는 이미 트랜지스터의 개수를 7개 정도로 줄여 놓았기 때문에 커패시터(CB)를 부가한다고 하여도 베젤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심플 로직 회로는 QB 노드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Q 노드 상에 발생하는 리플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Q 노드를 로우 논리로 잡아줄 수 없어 Q 노드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초기 문턱 전압의 마진(margin)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기술이 가진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써, 반전노드(QB)가 비반전노드(Q)를 로우 논리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클럭 신호에 의한 리플 발생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개수를 줄였기 때문에 제8 트랜지스터(T8)에 제1 커패시터(CB)를 연결하여도 네로우 베젤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8 트랜지스터(T8)에 제1 커패시터(CB)를 연결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그에 따라 이동도가 비정질실리콘(a-Si)보다 우수한 옥사이드(Oxide)로 제조된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1 커패시터(CB)의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초기 문턱전압에 대한 마진(margin)을 더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표시장치
100 액정패널
200 게이트 구동부
200a 제1 게이트 구동부
200b 제2 게이트 구동부
210 쉬프트 레지스터
211 안정화부
212 출력부
300 데이터 구동부
400 타이밍 제어부

Claims (16)

  1.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로써,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각각은 제1 노드를 구비한 안정화부, 상기 안정화부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며 반전 및 비반전 노드를 구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부는 제2 클럭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노드에 상기 제3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노드상의 충전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고전위 전원을 상기 반전노드로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반전 노드상의 충전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반전 노드 및 상기 출력 단자를 방전하는 제7 및 제9 트랜지스터,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에 의해 충전된 상기 비반전 노드 상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 클럭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8 트랜지스터, 상기 비반전 노드 상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반전 노드를 방전하는 제6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가 서로 다른 시점에서 하이 논리로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신호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제1 노드가 충전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비반전 노드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하이논리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노드를 방전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이전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를 상기 비반전 노드로 제공하는 제3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다음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반전노드를 방전하는 제5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트랜지스터는 상기 반전 노드에 저전위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반전 노드를 방전하고,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반전 노드와 상기 저전위전원의 공급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반전 노드 상의 전압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단자와 상기 저전위전원의 공급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0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9. 제1 항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트 회로를 구비한 게이트 구동부;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K(k는 자연수)개의 게이트 배선이 형성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가 서로 다른 시점에서 하이 논리로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신호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제1 노드가 충전되는 표시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n(n은 자연수) 번째 스테이지에 있어서,
    상기 이전 스테이지는 n-1 번째 스테이지이고,
    상기 다음 스테이지는 n+4 번째 스테이지인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액정 패널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비표시 영역에 내장된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복수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한 쉬프트 레지스터로써,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각각은 안정화부, 상기 안정화부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며 반전 및 비반전 노드를 구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제1 스테이지는,
    출력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출력부는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상기 비반전노드의 충전전압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 클럭 신호를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반전노드에 저전위전원을 공급하고,
    미 출력 기간 동안,
    상기 안정화부는 제2 및 제3 클럭 신호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반전노드로 고전위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반전노드를 충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반전노드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상기 비반전노드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저전위전원을 공급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클럭 신호가 하이 논리로 중첩되는 기간에 상기 제1 클럭 신호는 로우 논리가 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를 상기 비반전노드에 제공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지 중 제3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반전 노드에 저전위 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KR1020140081638A 2014-07-01 2014-07-01 표시장치 KR10219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38A KR102199846B1 (ko) 2014-07-01 2014-07-01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38A KR102199846B1 (ko) 2014-07-01 2014-07-01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27A true KR20160003927A (ko) 2016-01-12
KR102199846B1 KR102199846B1 (ko) 2021-01-08

Family

ID=5516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638A KR102199846B1 (ko) 2014-07-01 2014-07-01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5270B2 (en) 2016-05-18 2020-04-07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split gate non-volatile flash memory cel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404B1 (ko) * 2001-12-12 2009-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벨 쉬프터를 갖는 쉬프트 레지스터
KR20120011966A (ko) * 2010-07-29 2012-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KR20120119456A (ko) * 2011-04-21 2012-10-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KR20140042983A (ko) * 2012-09-28 2014-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56542A (ko) * 2012-10-29 2014-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404B1 (ko) * 2001-12-12 2009-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벨 쉬프터를 갖는 쉬프트 레지스터
KR20120011966A (ko) * 2010-07-29 2012-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KR20120119456A (ko) * 2011-04-21 2012-10-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KR20140042983A (ko) * 2012-09-28 2014-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56542A (ko) * 2012-10-29 2014-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5270B2 (en) 2016-05-18 2020-04-07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split gate non-volatile flash memory cell
US10833179B2 (en) 2016-05-18 2020-11-10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split gate non-volatile flash memory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846B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2853B2 (en)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ing the same
US9997112B2 (en) Display device
US10332467B2 (en)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driving same
US9905194B2 (en)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adaptable power to displa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20063B2 (en) Gate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40152629A1 (en) Shift regis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80122322A1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281753B1 (ko) 스테이지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주사 구동부
US20160247479A1 (en) Scan driver
KR20130107528A (ko)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1366877B1 (ko) 표시장치
US11263988B2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60077315A (ko) 스캔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0748465B2 (en) Gate drive circui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gate drive circuit
CN113299223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0078995B2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40659B1 (ko) 스캔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9117512B2 (en) Gate shift register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KR102015848B1 (ko) 액정표시장치
CN109671382B (zh) 栅极驱动电路以及使用该栅极驱动电路的显示装置
KR102634178B1 (ko) 게이트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402607B1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1837173B2 (en) Gate driving circuit having a node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12002428B2 (en) Gate driving circuit having a node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102436560B1 (ko)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