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324U - 굴삭기 - Google Patents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324U
KR20160003324U KR2020150001728U KR20150001728U KR20160003324U KR 20160003324 U KR20160003324 U KR 20160003324U KR 2020150001728 U KR2020150001728 U KR 2020150001728U KR 20150001728 U KR20150001728 U KR 20150001728U KR 20160003324 U KR20160003324 U KR 201600033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oom
excavator
tool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502Y1 (ko
Inventor
윤영덕
Original Assignee
윤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덕 filed Critical 윤영덕
Priority to KR2020150001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02Y1/ko
Priority to JP2017551980A priority patent/JP6429098B2/ja
Priority to PCT/KR2015/013841 priority patent/WO2016099163A1/ko
Priority to US15/532,127 priority patent/US10508542B2/en
Priority to CN201580066363.8A priority patent/CN107002379B/zh
Priority to EP15870330.6A priority patent/EP3236001B1/en
Publication of KR20160003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는, 일단이 상부 선회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Boom)과, 일단이 붐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아암(Arm)과, 일단이 제1 아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굴착 장치가 결합되는 제2 아암(Arm)과, 상부 선회체와 붐을 연결하고, 붐을 관절 운동 시키는 붐 실린더와, 붐과 제1 아암을 연결하고, 제1 아암을 관절 운동시키는 제1 아암 실린더 및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연결하고, 제2 아암을 관절 운동시키는 제2 아암 실린더를 포함하고, 제1 아암 실린더는 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삭기{Excavator}
본 고안은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원활한 굴착 작업이 가능한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굴착 또는 천공한 후에 굴착 또는 천공된 지중에 구조물을 매설하여 설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링(Boring) 작업이란 탐층(探層), 탐정(探井), 탐광(探鍵) 등을 위해 지하의 지층 두께, 광물질 등을 조사하는 굴착(또는, 천공) 작업이나, 건축 공사, 지반에 대한 기초 파일링 시공 공사, 터널 공사, 지하철 공사 등을 수행하는 건설 공사 현장에서 지반, 암반, 터널 전단면 등을 기계적으로 절삭하거나 파쇄하여 굴착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굴착 작업은 기존의 재래식 공법인 폭약에 의한 발파 공법이 소음 및 진동의 발생, 작업자의 안정성 문제 등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터널 굴착기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으로 대체되어 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터널 굴착기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며, 대형 크기이므로 터널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는 작업에 대한 제한이 커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널 굴착기를 사용하여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진동과 소음 발생이 심해 작업 장소는 물론 주변 지역까지 피해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터널 굴착기에 비해 크기가 작고 비용이 저렴하며, 제1 아암 실린더가 붐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터널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원활한 굴착 작업이 가능한 굴삭기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 아암 실린더가 붐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터널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원활한 굴착 작업이 가능한 굴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는, 일단이 상부 선회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Boom)과, 일단이 상기 붐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아암(Arm)과, 일단이 상기 제1 아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굴착 장치가 결합되는 제2 아암(Arm)과, 상기 상부 선회체와 상기 붐을 연결하고, 상기 붐을 관절 운동 시키는 붐 실린더와, 상기 붐과 상기 제1 아암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아암을 관절 운동시키는 제1 아암 실린더 및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아암을 관절 운동시키는 제2 아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 실린더는 상기 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아암 실린더는 상기 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착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아암 및 상기 제2 아암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 연결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선 구동력 및 회전 구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 받은 직선 구동력 및 회전 구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굴착용 툴을 포함하며, 상기 굴착용 툴은 상기 몸체부가 상기 한 쌍의 걸림 연결체에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굴착 작업이 수행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굴착용 툴은 보링 툴(Boring tool), 해머 툴(Hammer tool), 치즐(Chise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따르면, 제1 아암 실린더가 붐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터널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원활한 굴착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따르면, 터널 공사시에 터널 굴착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 크기이며 비용이 저렴한 굴삭기를 이용함으로써, 터널 공사용 굴착기를 따로 마련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터널 굴착기를 사용하여 굴착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따르면, 제2 아암에 굴착 장치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작업 용도, 작업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굴착 장치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따르면, 굴착 장치의 몸체부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부를 이용하여 한 쌍의 걸림 연결체에 결합되는 몸체부의 작업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굴삭기의 위치, 굴삭기에 구비된 암의 작업 반경 범위 등에 의한 제한 없이 굴착용 툴을 원하는 작업 방향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굴삭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굴삭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굴삭기에서 복수의 제1 아암 실린더가 구비되었을 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굴삭기에서 굴착 장치가 결합되었을 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굴삭기에 결합되는 보링 툴이 구비된 굴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굴삭기에 결합되는 해머 툴이 구비된 굴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굴삭기에 결합되는 치즐이 구비된 굴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굴삭기를 이용하여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굴삭기를 이용하여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굴삭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굴삭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굴삭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굴삭기에서 복수의 제1 아암 실린더가 구비되었을 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일반적인 굴삭기(excavator)(1)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 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 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 작업, 지반 또는 암반을 정리하는 정지 작업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 기계로서, 궤도나 바퀴 등으로 구비되어 장비의 이동 역할을 수행하는 주행체(100), 주행체(100)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고 운전실과 기계실을 구비한 상부 선회체(2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1)는 상부 선회체(200)에 연결된 붐(10), 제1 아암(20), 제2 아암(30), 붐 실린더(40), 제1 아암 실린더(50), 제2 아암 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붐(10)은 일단이 상부 선회체(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붐(10)은 후술할 붐 실린더(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 아암(Arm)(20)은 일단이 붐(1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아암(20)의 일단은 붐(10)의 타단에 형성된 절취부(11) 내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후, 회동축(12)에 의해 붐(10)에 회동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아암(20)은 후술할 제1 아암 실린더(50)에 의해 상부 선회체(20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2 아암(Arm)(30)은 일단이 제1 아암(2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2 아암(30)이 한 쌍의 링크로 구비되어 후술할 제2 아암 실린더(60)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2 아암(30)의 형상, 개수,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제1 아암(20)의 타단과 제2 아암(30)의 타단에는 후술할 굴착 장치(3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가 구비될 수 있다. 굴착 장치(300)는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에 결합된 제2 아암(30)을 통하여 제2 아암 실린더(60)에 연결되므로 제2 아암 실린더(60)의 동작에 따라 회동 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굴착 장치(300)는 일반 굴삭 및 토사 운반을 위한 버켓(Bucket), 단단한 지반 또는 암반, 암석 등의 파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하는 크라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굴착 장치(300)는 몸체부(310), 구동부(320), 굴착용 툴(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굴착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붐 실린더(40)는 상부 선회체(200)와 붐(10)을 연결하고, 붐(10)을 관절 운동 시킬 수 있다. 제1 아암 실린더(50)는 붐(10)과 제1 아암(20)을 연결하고, 제1 아암(20)을 관절 운동시킬 수 있다. 제2 아암 실린더(60)는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을 연결하고, 제2 아암(30)을 관절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아암 실린더(50)는 붐(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굴삭기(1)의 제1 아암 실린더(50)가 종래의 굴삭기처럼 붐(10)의 상부에 배치되지 않고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터널에서와 같은 협소한 공간의 작업장에서도 원활히 굴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붐 실린더(40), 제1 아암 실린더(50) 및 제2 아암 실린더(60)는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예를 들고 있으나, 이와 달리, 공압 실린더 등 다양한 형태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제1 아암 실린더(50)는 붐(1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아암 실린더(50)가 사용될 경우 제1 아암(20)의 구동에 소요되는 구동력이 부가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1)의 굴착 장치(3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굴삭기에서 굴착 장치가 결합되었을 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굴삭기에 결합되는 보링 툴이 구비된 굴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굴삭기에 결합되는 해머 툴이 구비된 굴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굴삭기에 결합되는 치즐이 구비된 굴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 장치(300)는 몸체부(310), 구동부(320), 굴착용 툴(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일단이 제1 아암(20) 및 제2 아암(30)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는 하우징(311), 한 쌍의 측면 브라켓(312) 및 결합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결합부(313)를 통해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부(313)는 복수개(예를 들어, 제1 결합부(313A), 제2 결합부(313B), 제1 결합부(313C))가 구비되어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가 결합되는 결합부(313)의 위치에 따라 후술할 굴착용 툴(330)의 작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20)는 몸체부(3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선 구동력 및 회전 구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320)는 직선 구동부(321) 및 회전 구동부(3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직선 구동부(321)는 몸체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굴삭기(1)로부터 공급 받은 오일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부(322)는 굴착용 툴(33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굴삭기(1)로부터 공급 받은 오일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직선 구동부(321) 및 회전 구동부(322)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선 구동부(321) 및 회전 구동부(322)의 구조 및 동작은 당업자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굴착용 툴(330)은 구동부(320)에 연결되며, 구동부(320)로부터 전달 받은 직선 구동력 및 회전 구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굴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굴착용 툴(330)은 보링 툴(Boring tool)(331), 해머 툴(Hammer tool)(332), 치즐(Chisel)(33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링 툴(331)은 몸체부(310)의 타단을 통해 노출된 회전 구동부(322)에 연결되며, 회전 구동부(322)로부터 전달 받은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지반 또는 암반에 대한 굴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보링 툴(331)은 회전 몸체(331a)와 복수의 보링 비트(3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 툴(332)은 몸체부(310)의 타단을 통해 노출된 직선 구동부(321)에 연결되며, 직선 구동부(321)로부터 전달 받은 직선 구동력에 의해 왕복 이동하고 지반 또는 암반에 대한 굴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즐(333)은 몸체부(3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몸체부(310)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지반 또는 암반에 대한 파쇄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드릴 날을 구비할 수 있다. 치즐(333)은 직선 구동부(321)의 직선 구동력과 회전 구동부(32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굴착용 툴(330)은 몸체부(310)가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에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굴착 작업이 수행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310)는 복수의 결합부(313)를 통해 굴삭기(1)의 제1 아암(20) 및 제2 아암(30)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에 결합되는데,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가 결합되는 결합부(313)의 위치에 따라 몸체부(310)의 설치 방향이 바뀌므로 굴착용 툴(330)의 작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5의 굴삭기를 이용하여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5의 굴삭기를 이용하여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굴삭기(1)의 예에서 몸체부(310)에 구비된 3 개의 결합부(313) 중 인접하는 제1 결합부(313A)와 제2 결합부(313B)를 선택하여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에 결합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0에서는 도 5 및 도 6의 예에서 3 개의 결합부(313) 중 인접하는 제2 결합부(313B)와 제3 결합부(313C)를 선택하여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에 결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에 구비된 3 개의 결합부(313) 중 제1 결합부(313A)와 제2 결합부(313B)를 선택하여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굴삭기(1)에 구비된 제1 아암(20)의 초기 위치에서 굴착용 툴(330)이 하부 방향(지반 또는 암반)을 향하게 되므로, 지반 또는 암반과 같은 수평면에 대한 굴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에 구비된 3 개의 결합부(313) 중 제2 결합부(313B)와 제3 결합부(313C)를 선택하여 한 쌍의 걸림 연결체(7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굴삭기(1)에 구비된 제1 아암(20)의 초기 위치에서 굴착용 툴(330)이 전방(측면)을 향하게 되므로, 터널 측벽과 같은 수직면에 대한 굴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굴착 작업시, 붐 실린더(40)는 일단이 상부 선회체(2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붐(10)에 결합되므로 붐 실린더(40)가 팽창하면 붐(10)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붐 실린더(40)가 수축하면 붐(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 아암 실린더(50)는 일단이 붐(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 아암(20)에 결합되므로 제1 아암 실린더(50)가 팽창하면 제1 아암(20)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아암 실린더(50)가 수축하면 제1 아암(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2 아암 실린더(60)는 일단이 제1 아암(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아암(30)에 결합되므로 제2 아암 실린더(60)가 팽창하면 제2 아암(30)에 결합된 굴착 장치(3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아암 실린더(60)가 수축하면 제2 아암(30)에 결합된 굴착 장치(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아암 실린더(50)는 붐(1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터널에서와 같은 협소한 공간의 작업장에서도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굴삭기
100: 주행체 200: 상부 선회체
10: 붐 11: 절취부
12: 회동축 20: 제1 아암
30: 제2 아암 40: 붐 실린더
50: 제1 아암 실린더 60: 제2 아암 실린더
70: 한 쌍의 걸림 연결체 300: 굴착 장치
310: 몸체부 311: 하우징
312: 한 쌍의 측면 브라켓 313: 결합부
320: 구동부 321: 직선 구동부
322: 회전 구동부 330: 굴착용 툴
331: 보링 툴 331a: 회전 몸체
331b: 복수의 보링 비트 332: 해머 툴
333: 치즐

Claims (4)

  1. 일단이 상부 선회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Boom);
    일단이 상기 붐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아암(Arm);
    일단이 상기 제1 아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굴착 장치가 결합되는 제2 아암(Arm);
    상기 상부 선회체와 상기 붐을 연결하고, 상기 붐을 관절 운동 시키는 붐 실린더;
    상기 붐과 상기 제1 아암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아암을 관절 운동시키는 제1 아암 실린더; 및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아암을 관절 운동시키는 제2 아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 실린더는 상기 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실린더는 상기 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아암 및 상기 제2 아암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 연결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선 구동력 및 회전 구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 받은 직선 구동력 및 회전 구동력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굴착용 툴을 포함하며,
    상기 굴착용 툴은 상기 몸체부가 상기 한 쌍의 걸림 연결체에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굴착 작업이 수행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용 툴은 보링 툴(Boring tool), 해머 툴(Hammer tool), 치즐(Chise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KR2020150001728U 2014-12-19 2015-03-19 굴삭기 KR200483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28U KR200483502Y1 (ko) 2015-03-19 2015-03-19 굴삭기
JP2017551980A JP6429098B2 (ja) 2014-12-19 2015-12-17 掘削機を用いた掘削装置
PCT/KR2015/013841 WO2016099163A1 (ko) 2014-12-19 2015-12-17 굴삭기를 이용한 굴착 장치
US15/532,127 US10508542B2 (en) 2014-12-19 2015-12-17 Excavation assembly for use in excavator
CN201580066363.8A CN107002379B (zh) 2014-12-19 2015-12-17 利用挖掘机的挖掘装置
EP15870330.6A EP3236001B1 (en) 2014-12-19 2015-12-17 Excavation assembly for an excavator, in particular hammer bor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28U KR200483502Y1 (ko) 2015-03-19 2015-03-19 굴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24U true KR20160003324U (ko) 2016-09-28
KR200483502Y1 KR200483502Y1 (ko) 2017-05-23

Family

ID=5704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728U KR200483502Y1 (ko) 2014-12-19 2015-03-19 굴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754B1 (ko) * 2020-07-16 2020-12-02 서원교 측면타입 바이브로 해머용 굴착기 결속장치
KR20210102747A (ko) 2020-02-12 2021-08-20 임상일 전동 포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9681A (ja) * 1990-09-20 1992-04-30 Tomotake Shigemori 土木工事用のサーボ式油圧シリンダー装置
KR20100024467A (ko) * 2010-02-05 2010-03-05 김준모 2단 붐 굴착기와 자체회전운반기를 적용한 터널의 시공법
KR20140077475A (ko) * 2012-12-14 2014-06-24 (주) 대동이엔지 충격흡수식 진동브레이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9681A (ja) * 1990-09-20 1992-04-30 Tomotake Shigemori 土木工事用のサーボ式油圧シリンダー装置
KR20100024467A (ko) * 2010-02-05 2010-03-05 김준모 2단 붐 굴착기와 자체회전운반기를 적용한 터널의 시공법
KR20140077475A (ko) * 2012-12-14 2014-06-24 (주) 대동이엔지 충격흡수식 진동브레이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747A (ko) 2020-02-12 2021-08-20 임상일 전동 포크
KR102185754B1 (ko) * 2020-07-16 2020-12-02 서원교 측면타입 바이브로 해머용 굴착기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02Y1 (ko)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9098B2 (ja) 掘削機を用いた掘削装置
US3729056A (en) Mining and excavating apparatus
JP6774132B1 (ja) 鋼管杭の施工方法
JP5215209B2 (ja) トンネル掘削機を用いた支障物撤去方法
JP2014145177A (ja) トンネル掘削機及び該トンネル掘削機による立坑掘削工法
KR200483502Y1 (ko) 굴삭기
KR101630089B1 (ko) 굴삭기를 이용한 타격 드릴 장치
KR101640311B1 (ko) 굴삭기를 이용한 소형 보링 장치
KR20200091780A (ko) 매트릭스 구조의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와이어-쏘 굴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굴착방법
KR101582166B1 (ko)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JP2011026887A (ja) 杭引抜き用作業機
KR101743679B1 (ko) 보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굴삭기
KR101698445B1 (ko) 슬라이딩붐을 이용한 암파쇄장치
KR100855709B1 (ko) 리퍼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JP5769862B1 (ja) 掘削装置
KR102486334B1 (ko) 저진동 브리오 리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KR20160071274A (ko) 전후진 이동가능 굴착장치
JP5166727B2 (ja) 掘削機
KR20040090435A (ko) 드릴비트의 회전장치
KR101635286B1 (ko) 굴삭기를 이용한 해머 보링 장치
JPH0765451B2 (ja) 地表構造物下部への埋設物施工方法
KR100797582B1 (ko) 암반 굴착 장치
KR20230057553A (ko) 암반천공장치
JP2008274704A (ja) 矩形断面シールド掘進機
JP2023176823A (ja) 土留め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