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08U -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08U
KR20160001808U KR2020140008471U KR20140008471U KR20160001808U KR 20160001808 U KR20160001808 U KR 20160001808U KR 2020140008471 U KR2020140008471 U KR 2020140008471U KR 20140008471 U KR20140008471 U KR 20140008471U KR 20160001808 U KR20160001808 U KR 201600018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ap
side plate
partition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희
이진욱
김형태
Original Assignee
브리즈앤브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즈앤브리지(주) filed Critical 브리즈앤브리지(주)
Priority to KR2020140008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808U/ko
Publication of KR20160001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게 조립되며 내부 공간에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는 수납박스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는, 전개된 상태에서,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좌측판과 우측판; 상기 좌측판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는 좌측 상부 플랩과 좌측 하부 플랩; 상기 우측판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는 우측 상부 플랩과 우측 하부 플랩; 및 상기 바닥판의 상하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측판과 하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부 스페이서; 하부 스페이서; 상기 상부 스페이서와 하부 스페이서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칸막이판; 및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판 중 서로 인접하는 칸막이판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수납박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 {Box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s}
본 고안은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 재질로 만들 수 있고 복수개의 칸막이를 구비한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종이 등을 접어서 박스나 수납용기를 만드는 고안들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4843호(등록일자 2006년 8월 21일)는 복수개의 서랍 및 이들 서랍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갖는 수납박스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354472호(등록일자 2014년 1월 16일)는 전면이 개방되게 조립되는 메인 프레임과 이 메인 프레임의 상하측에 조립되는 서브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가구용 공간박스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종이 박스의 경우 박스 내부에 칸막이를 형성할 경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칸막이를 별개로 만들어서 각각 박스 내부에 개별적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복수개의 칸막이를 형성할 경우 복수개의 칸막이를 각기 개별적으로 조립하고 박스에 결합시키는 조립 과정이 번거롭고 각 칸막이를 박스 내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로 조립된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박스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칸막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게 조립되며 내부 공간에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는 수납박스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는, 전개된 상태에서,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좌측판과 우측판; 상기 좌측판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는 좌측 상부 플랩과 좌측 하부 플랩; 상기 우측판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는 우측 상부 플랩과 우측 하부 플랩; 및 상기 바닥판의 상하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측판과 하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부 스페이서; 하부 스페이서; 상기 상부 스페이서와 하부 스페이서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칸막이판; 및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판 중 서로 인접하는 칸막이판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 칸막이판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의 서로간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좌측 고정부재와 우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칸막이를 일체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복수개의 칸막이를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일 실시에 따르면, 복수개의 칸막이를 일체로 조립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각 칸막이의 앞뒤 간격이 일정하게 고정되고 수납박스에도 더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칸막이가, 조립된 상태에서 수납박스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칸막이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며 수납박스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전개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납박스의 좌측판과 우측판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수납박스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보조판이 수납박스의 바닥판 상부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와 칸막이 부재의 전개 사시도,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칸막이 부재를 부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칸막이 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칸막이 부재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부재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고정부재가 좌우에 부착된 칸막이 부재를 수납박스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예시적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위)', '하부(아래)',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할 때, 전개도 상태에서 임의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왼쪽과 오른쪽을 각각 좌측 및 우측이라 칭하고, 아래쪽과 위쪽을 각각 하측과 상측이라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1에서 바닥판(101)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부재를 각각 좌측판(104)과 우측판(105)이라 칭하고 아래쪽과 위쪽의 부재를 각각 하측판(102)과 상측판(103)이라 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전개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납박스의 좌측판과 우측판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수납박스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보조판이 수납박스의 바닥판 상부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수납박스(10)는 종이, 바람직하게는 골판지 등의 두꺼운 종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수납박스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10)는 전개된 상태에서 사각형 형상의 바닥판(101), 바닥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좌측판(104)과 우측판(105), 좌측판(104)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좌측 상부 플랩(109)과 좌측 하부 플랩(106), 우측판(105)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우측 상부 플랩(108)과 우측 하부 플랩(107), 그리고 바닥판(101)의 상하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상측판(103)과 하측판(102)을 포함한다.
바닥판(101)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바닥판(101)의 좌우측에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좌측판(104)과 우측판(105)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바닥판(101)과 좌측판(104) 사이에 절곡선(120)이 위치하고 바닥판(101)과 우측판(105) 사이에도 절곡선(120)이 위치한다. 따라서 조립되었을 때 좌측판(104)은 90도 절곡되어 바닥판(101)의 좌측벽 역할을 하고 우측판(105)은 90도 절곡되어 바닥판(101)의 우측벽 역할을 한다.
좌측판(104)은 내측 좌측판(104a) 및 외측 좌측판(104b)으로 구성된다. 내측 좌측판(104a)과 외측 좌측판(104b)은 가운데의 절곡선(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이며, 이 절곡선(120)을 따라 절곡되었을 때 서로 오버랩된다. 내측 좌측판(104a)의 좌측에는 내측 좌측판(104a)에서 연장된 플랩(114)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판(105)은 내측 우측판(105a) 및 외측 우측판(105b)으로 구성된다. 내측 우측판(105a)과 외측 우측판(105b)은 가운데의 절곡선(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이며, 이 절곡선(120)을 따라 절곡되었을 때 서로 오버랩된다. 내측 우측판(105a)의 우측에는 내측 우측판(105a)에서 연장된 플랩(115)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내측 및 외측 좌측판(104a, 104b), 그리고 내측 및 외측 우측판(105a, 105b)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술하듯이 조립된 상태에서 하측판(102)보다 상측판(103)의 높이가 더 높은 구조를 갖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예컨대 하측판(102)과 상측판(103)의 높이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대안적 실시예인 경우, 내측 및 외측 좌측판(104a, 104b), 및 내측 및 외측 우측판(105a, 105b)은 각각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상을 가짐을 이해할 것이다.
좌측 상부 플랩(109)과 좌측 하부 플랩(106)은 외측 좌측판(104b)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 상부 플랩(108)과 우측 하부 플랩(107)은 외측 우측판(105b)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각 플랩(106,107,108,109)에는 좌우방향으로 좌우폭의 1/2 가량을 가로지르는 절단선(13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립되는 과정에서 외측 좌측판(104b)과 외측 우측판(105b)이 각각 90도 절곡된 상태에서 각 플랩(106,107,108,109)도 90도씩 절곡됨으로써, 좌측 하부 플랩(106)과 우측 하부 플랩(107)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하측벽의 일부가 되고 좌측 상부 플랩(109)과 우측 상부 플랩(108)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상측벽의 일부가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측판(103)과 하측판(102)은 바닥판(101)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측판(103)은 내측 상측판(103a) 및 외측 상측판(103b)으로 구성된다. 내측 상측판(103a)과 외측 상측판(103b)은 가운데의 절곡선(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이며, 이 절곡선(120)을 따라 절곡되었을 때 서로 오버랩된다. 내측 상측판(103a)의 상측에는 내측 상측판(103a)에서 연장된 플랩(113)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판(102)은 내측 하측판(102a) 및 외측 하측판(102b)으로 구성된다. 내측 하측판(102a)과 외측 하측판(102b)은 가운데의 절곡선(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이며, 이 절곡선(120)을 따라 절곡되었을 때 서로 오버랩된다. 내측 하측판(102a)의 하측에는 내측 하측판(102a)에서 연장된 플랩(112)이 형성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수납박스(10)의 조립과정 중 좌측판(104)과 우측판(105)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3은 수납박스(10)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2를 참조하면, 외측 좌측판(104b)과 내측 좌측판(104a)이 각각 90도씩 절곡되어 서로 오버랩된 상태로 바닥판(101)의 좌측벽으로 세워지고, 외측 우측판(105b)과 내측 우측판(105a) 각각 90도씩 절곡되어 서로 오버랩된 상태로 바닥판(101)의 우측벽으로 세워진다. 이 때 내측 좌측판(104a)의 끝에 연장되어 형상된 플랩(114)는 90도 절곡되어 바닥판(101)의 상면에 밀착하고, 마찬가지로 내측 우측판(105a)의 끝에 연장되어 형성된 플랩(115)도 90도 절곡되어 바닥판(101)의 상면에 밀착하여 있다.
또한 외측 좌측판(104b)과 외측 우측판(105b)의 상하부에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플랩(106,107,108,109)이 90도씩 절곡되어, 좌측 하부 플랩(106)과 우측 하부 플랩(107)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하측벽으로 세워지고 좌측 상부 플랩(109)과 우측 상부 플랩(108)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상측벽으로 세워져 있다.
그 후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하측판(102b)과 내측 하측판(102a)이 각각 90도씩 절곡됨으로써, 맞물려 결합되어 있는 좌측 하부 플랩(106)과 우측 하부 플랩(107)을 감싸면서 하측벽으로 세워진다. 또한 외측 상측판(103b)과 내측 상측판(103a)이 각각 90도씩 절곡되어, 맞물려 결합되어 있는 좌측 상부 플랩(109)과 우측 상부 플랩(108)을 감싸면서 상측벽으로 세워진다. 이 때 내측 하측판(102a)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플랩(112)과 내측 상측판(103a)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플랩(113)도 90도 절곡됨으로써 바닥판(101)의 상면에 밀착하며 바닥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수납박스(10)가 조립됨으로써, 상부가 개방되고 좌측판(104)과 우측판(105)이 경사지게 구성된 수납박스가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도4에 도시한 것처럼 바닥판(101)의 보강하기 위해 보조판(20)이 바닥판(101)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판(20)은 바닥판(101)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플랩(112,113,114,115)을 가려주어 미관을 향상시키고 바닥판(101)에 부착됨으로써 바닥판(101)을 한층 더 보강하기 위한 것이지만, 보조판(20)의 사용은 선택적인 것이며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보조판(20)이 없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 수납박스(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칸막이 부재의 조립에 대해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5의 위쪽에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부재의 측면을 고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고정부재(30)의 전개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5의 아래쪽에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부재(40)의 전개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10)는 고정부재(30)를 한 쌍 포함하며, 도면에서는 하나만을 도시하였다. 고정부재(3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외측 고정판((31a)과 내측 고정판(31b)이 절곡선(31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조립되는 과정에서, 외측 고정판(31a)과 내측 고정판(31b)이 절곡선(310)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오버랩되며, 그 후 한 쌍의 고정부재(30)의 각각이 수납박스(10)의 내부 공간의 좌측판(104)과 우측판(105)에 밀착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절곡된 상태에서의 고정부재(30)의 형상이 좌측판(104) 또는 우측판(105)과 동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에서 외측 고정판(31a)과 내측 고정판(31b)은 수납박스(10)의 좌측판(104) 또는 우측판(105)의 사다리꼴 형상과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다. 또한 예컨대 좌측판(104)과 우측판(105)이 각각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대안적 실시예의 경우 외측 고정판(31a)과 내측 고정판(31b)이 이 좌측판 및 우측판과 동일하게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상을 갖게 됨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부재(30)의 외측 고정판(31a)과 내측 고정판(31b)의 각각은 절곡선(31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홈(33a, 33b)을 포함한다. 후술하겠지만, 고정부재(30)가 칸막이 부재(40)의 좌측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고정부재(30)의 관통홈(33b)은 칸막이 부재(40)의 좌측 플랩(411, 412, 421, 422, 431, 432, 441, 442)이 관통하기 위한 홈이고, 고정부재(30)가 칸막이 부재(40)의 우측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고정부재(30)의 관통홈(33b)은 칸막이 부재(40)의 우측 플랩(411, 412, 421, 422, 431, 432, 441, 442)이 관통하기 위한 홈이다. 고정부재(30)에서 외측 고정판(31a)의 관통홈(33a)은 내측 고정판(31b)의 관통홈(33b)을 제작할 때 제작 편의를 위해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 대안적 실시예에서 관통홈(33a)이 없어도 무방하다.
이제 도5의 아래쪽의 칸막이 부재(40)의 전개 사시도를 참조하면, 칸막이 부재(40)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부 스페이서(409), 하부 스페이서(405), 상부 스페이서와 하부 스페이서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칸막이판(401, 402, 403, 404), 및 상기 칸막이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칸막이판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연결판(406, 407, 408)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칸막이판을 도시하였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칸막이판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스페이서(409)는 가장 위쪽의 제4 칸막이판(404)을 조립 상태에서의 수납박스(10)의 상측판(103)과 소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부재이고, 하부 스페이서(405)는 가장 아래쪽 칸막이판인 제1 칸막이판(401)을 조립 상태에서의 수납박스(10)의 하측판(102)과 소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제1 내지 제4 칸막이판(401, 402, 403, 404)의 각각의 칸막이판은, 전개된 상태에서 상부판과 이 상부판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하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칸막이판(401)은 제1 하부판(401a)과 제1 상부판(401b)으로 구성되고, 제2 칸막이판(402)은 제2 하부판(402a)과 제2 상부판(402b)으로 구성되고, 제3 칸막이판(403)은 제3 하부판(403a)과 제3 상부판(403b)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제4 칸막이판(404)은 제4 하부판(404a)과 제4 상부판(404b)으로 구성된다. 각 칸막이판(401, 402, 403, 404)의 상부판과 하부판의 형상과 크기는 동일하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칸막이판(401)에서 제4 칸막이판(404)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내지 제4 칸막이판의 각 칸막이판에서, 각 칸막이판의 하부판(401a, 402a, 403a, 404a)은 좌우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플랩(411, 421, 431, 441)을 포함하고, 각 칸막이판의 상부판(401b, 402b, 403b, 404b)은 좌우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플랩(412, 422, 432, 442)을 포함한다. 이 때 각 칸막이판이 조립되었을 때, 각각의 하부판의 플랩(411, 421, 431, 441)과 상부판의 플랩(412, 422, 432, 442)은 각각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각 플랩의 모양과 위치가 정해진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칸막이 부재를 부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칸막이 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칸막이 부재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부재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각 칸막이판(401, 402, 403, 404)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절곡선을 중심으로 상부판과 하부판이 서로 절곡되고, 서로 완전히(180도) 절곡되면 도7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4 칸막이판(401, 402, 403, 404)이 연결판(406, 407, 408)을 사이에 두고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형상을 가진다. 이 때 제1 칸막이판(401)에서 제4 칸막이판(404)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도록 구성되므로, 도시한 것처럼 칸막이판의 높이가 제1 칸막이판(401)에서 제4 칸막이판(404)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7의 조립 상태에서, 각 칸막이판의 하부판의 좌우측 플랩(411, 421, 431, 441)은 상부판의 좌우측 플랩(412, 422, 432, 442)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다.
도8은 도7에서와 같이 칸막이 부재(40)가 조립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부재(30)가 칸막이 부재(4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부착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시한 것처럼 칸막이 부재(40)의 좌측과 우측의 각각에 대해, 칸막이 부재(40)의 제1 칸막이판의 플랩(411, 412)이 내측 고정판(31b)의 첫번째 관통홈(33b)을 관통한 뒤 내측 고정판(31b)에 밀착하도록 절곡되고, 마찬가지로 제2 내지 제4 칸막이판의 플랩들도 각각 이에 대응하는 관통홈(33b)을 관통한 뒤 절곡되어 내측 고정판(31b)에 밀착된다. 그 후 외측 고정판(31a)가 절곡선(310)을 중심으로 180도 절곡되어 외측 고정판(31a)과 내측 고정판(31b)이 서로 중첩되고, 이에 따라 도9에 도시하는 것처럼 칸막이 부재(40)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부재(30)가 결합된다.
도9는 고정부재가 좌우에 부착된 칸막이 부재를 수납박스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부재(30)가 좌우측에 결합된 칸막이 부재(40)가 수납박스(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1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수납박스(10)가 복수개의 칸막이판을 포함함으로써 예컨대 도10에 도시한 것처럼 높이와 크기가 각기 다양한 다수의 물품을 수납박스(10)에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수납박스 20: 보조판
30: 고정부재 40: 칸막이 부재
101: 바닥판 102: 하측판
103: 상측판 104: 좌측판
105: 우측판 31a: 외측 고정판
31b: 내측 고정판 33a, 33b: 관통홈
401, 402, 403, 404: 칸막이판
405: 하부 스페이서 406, 407, 408: 연결판
409: 상부 스페이서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게 조립되며 내부 공간에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는 수납박스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10)는, 전개된 상태에서, 사각형의 바닥판(101);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좌측판(104)과 우측판(105); 상기 좌측판(104)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는 좌측 상부 플랩(109)과 좌측 하부 플랩(106); 상기 우측판(105)의 상하에서 각각 연장되는 우측 상부 플랩(108)과 우측 하부 플랩(107); 및 상기 바닥판의 상하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측판(103)과 하측판(102);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40)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부 스페이서(409); 하부 스페이서(405); 상기 상부 스페이서와 하부 스페이서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칸막이판; 및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판 중 서로 인접하는 칸막이판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40)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판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의 서로간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좌측 고정부재와 우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판의 각각의 칸막이판이, 전개된 상태에서, 상부판 및 이 상부판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고,
    조립되었을 때,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절곡선을 중심으로 접혀서 상기 각각의 칸막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의 상부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부판 좌측 플랩 및 상부판 우측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판의 하부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하부판 좌측 플랩 및 하부판 우측 플랩을 포함하고,
    조립되었을 때, 상기 상부판 좌측 플랩과 상기 하부판 좌측 플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상부판 우측 플랩과 상기 하부판 우측 플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판 좌측 플랩과 상기 하부판 좌측 플랩이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판 우측 플랩과 상기 하부판 우측 플랩이 관통할 수 있는 제2 관통홈을 포함하고,
    조립되었을 때, 상기 상부판 좌측 플랩과 상기 하부판 좌측 플랩이 상기 제1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고정부재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접혀지고, 상기 상부판 우측 플랩과 상기 하부판 우측 플랩은 상기 제2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우측 고정부재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KR2020140008471U 2014-11-18 2014-11-18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 KR201600018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471U KR20160001808U (ko) 2014-11-18 2014-11-18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471U KR20160001808U (ko) 2014-11-18 2014-11-18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08U true KR20160001808U (ko) 2016-05-27

Family

ID=5609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471U KR20160001808U (ko) 2014-11-18 2014-11-18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80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184B2 (en) Foldable paper box
KR20140004471U (ko) 포장상자
JP2009533285A (ja) バスケット
WO2012112538A1 (en) Container with locking or retention feature
US9260216B1 (en) Box design, blank and methods
TWM506794U (zh) 包裝盒
KR200468138Y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KR20160001808U (ko) 복수개의 칸막이를 갖는 수납박스
WO2015079947A1 (ja) トレイ
JP2017507857A (ja) 手動による組立てのためのボール紙シート材料製トレイ及びそのようなトレイを製作するためのブランク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KR200491885Y1 (ko) 포장용 종이 박스
JP3142249U (ja) 組立式収納箱
JP6210959B2 (ja) 連結可能な個装箱構造体とこれを用いた組立式家具
KR101289408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AU2017275573A1 (en) Integrated platform and folding carton tray
JP2018138469A (ja) トレイ及びトレイのブランク
JP3139506U (ja) 仕切り部材
JP3210971U (ja) 仕切付き折畳箱
KR200417986Y1 (ko) 포장용 상자
JP3113506U (ja) 段ボール組立机
JP5954559B2 (ja) 組立て家具
KR101354472B1 (ko) 가구용 공간박스
JP6900858B2 (ja) シート材および間仕切体
KR100312292B1 (ko) 다용도 조립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