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312A - 비계 - Google Patents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312A
KR20160000312A KR1020140077532A KR20140077532A KR20160000312A KR 20160000312 A KR20160000312 A KR 20160000312A KR 1020140077532 A KR1020140077532 A KR 1020140077532A KR 20140077532 A KR20140077532 A KR 20140077532A KR 20160000312 A KR20160000312 A KR 2016000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reinforcing
support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139B1 (ko
Inventor
강지호
Original Assignee
강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지호 filed Critical 강지호
Priority to KR102014007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1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4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wo-dimensional frame-like elements, e.g. of rods in L- or H-shape, with or without br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장에 임시로 설치되는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더 많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결국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비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기구 및 상기 지지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연결봉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유닛과, 양 단부가 상기 연결유닛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중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 지지 프레임 사이에 상기 두 지지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계{SCAFFOLDING}
본 발명은 작업장에 임시로 설치되는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강도가 보강된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건축공사 또는 선박건조와 같이 높은 곳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임시 가설물로서, 재료의 운반 경로, 작업원의 이동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으로 이용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는 일반적으로 파이프와 같은 강재를 용접하여 틀을 만든 뒤 이러한 틀에 작업발판을 고정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는 파이프를 용접하여 만든 것으로서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없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 위에는 많은 수의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 위에는 작업에 소모되는 각종 자재를 올려놓을 수 없었다. 따라서 자재를 작업위치까지 이동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는 파이프를 단순하게 용접하여 틀을 만든 것이므로, 내구성이 낮았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가 파손된 경우 이를 수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어 문제가 되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가 파손되는 경우, 이 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던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어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통해 더 많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비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통해 더 크고 더 높게 설치가 가능하게 하는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 구조를 통해 내구성을 향상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을 통해 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기구 및 상기 지지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연결봉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유닛과, 양 단부가 상기 연결유닛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중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 지지 프레임 사이에 상기 두 지지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바디와, 상기 상측 지지바디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측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상측 지지바디 및 하측 지지바디에 결합되는 지지리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바디와, 상기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지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결합부는 상기 보강 프레임이 안착되도록 상기 상측 지지바디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안착부와, 상기 보강 프레임의 양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보강 프레임을 구속하도록 상기 상측 지지바디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구속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상측 보강바디와, 상기 상측 보강바디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측 보강바디와, 상기 상측 보강바디와 상기 하측 보강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상측 보강바디 및 상기 하측 보강바디에 결합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보강바디의 길이는 상기 상측 보강바디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상측 보강바디와, 상기 보조 프레임이 결합되는 보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결합부는 상기 보조 프레임이 안착되도록 상기 상측 보강바디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 안착부와,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보조 프레임을 구속하도록 상기 상측 보강바디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 구속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유닛은 바디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연결봉이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기구는 상측 지지기구와, 상기 상측 지지기구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측 지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지지기구의 보강 프레임과 상기 하측 지지기구의 보강 프레임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지지 프레임과 제2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 프레임의 양 단에 연결된 제3지지 프레임과 제4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 프레임과 나란하게 상기 제1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3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4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3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4지지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 프레임, 상기 제2지지 프레임, 상기 제3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4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비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에 의하면, 보강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지지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에 의하면,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음에 따라 더 많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결국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지지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파손된 비계를 보수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에 의하면, 내구성이 향상됨에 따라 비계의 파손으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과 연결유닛을 분리하여 지지기구를 조립에 의해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계의 지지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계의 연결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계의 지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비계의 보강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비계의 지지기구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의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기구(10) 및 지지기구(10)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봉(20)을 포함한다. 지지기구(10)는 연결봉(20) 각각에 결합된 복수개의 연결유닛(100)과, 양 단부가 연결유닛(100)과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200) 및 지지 프레임(200) 중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 지지 프레임(200) 사이에 두 지지 프레임(2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보강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지지기구(10)는 지지 프레임(200)과 보강 프레임(300)으로 구성된다. 지지기구(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의 뼈대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지지기구(10)의 지지 프레임(200) 및 보강 프레임(300)이 뼈대로서 기능한다. 지지기구(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의 뼈대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지지기구(10)는 연결봉(20)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로 적층된다. 즉, 하나의 지지기구(10)가 설치되면, 이 지지기구(10)에 연결봉(20)이 결합되고, 이 연결봉(20) 위에 다른 지지기구(10)가 설치된다.
지지기구(10)의 연결유닛(100)은 연결봉(20)에 결합된다. 연결유닛(100)은 연결봉(20)과 별개로 형성된다. 연결유닛(100)에는 지지 프레임(200)이 결합된다. 연결유닛(100)은 지지 프레임(200)과 별개로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연결유닛(100)이 지지 프레임(200)과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기구(10)는 지지 프레임(200), 연결유닛(100)의 구성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연결유닛(100)이 지지 프레임(200)과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 프레임(200), 연결유닛(100)을 포함하는 각 구성을 조립하여 지지기구(10)를 완성할 수 있게 되었다.
지지기구(10)의 지지 프레임(2020)은 연결유닛(100)에 결합된다. 연결유닛(100)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200)은 지지기구(10)의 외부 뼈대가 된다.
보강 프레임(300)은 서로 마주보는 두 지지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된 지지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보강 프레임(300)은 외부 뼈대로 기능하는 지지 프레임(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지지기구(10)의 내부 뼈대로 기능한다.
지지기구(10) 각각은 연결유닛(100), 지지프레임(200), 보강 프레임(300)의 조립에 의해 뼈대를 구비한 하나의 견고한 구조물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외부 뼈대로 기능하는 지지 프레임(200) 외에 내부 뼈대로 기능하는 보강 프레임(300)을 더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200) 외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보강 프레임(300)은 지지 프레임(200)과 함께 하중을 부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구조적으로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가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작업자가 한 번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를 이용한 작업을 더욱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 위에는 더 많은 자재를 올려놓을 수 있다. 즉, 작업에 사용되는 각종 자재를 한 번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 위에 올려놓은 후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에 따르면, 자재를 작업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를 이용할 경우 작업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구조적으로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더 크고 더 높게 설치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비계(1) 자체의 질량 때문에 비계(1)를 너무 크고 높게 설치하는 경우, 비계(1)가 무너질 염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해 더 크고 높게 설치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구비된 보강 프레임(300)이 지지 프레임(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된다. 반대로, 보강 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하중 역시 지지 프레임(200)에 의해 분산된다. 지지 프레임(200) 및 보강 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됨에 따라, 지지 프레임(200) 및 보강 프레임(30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지지 프레임(200)과 보강 프레임(30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 전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내구성이 향상되어, 비계(1)가 파손되어 발생하는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그 내구성이 향상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계(1)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연결유닛(100)과 지지 프레임(200)이 별개의 구성으로 존재함에 따라 지지기구(10)를 조립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위치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 지지기구(10)를 높은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지지기구(10)를 조립하여 설치할 수 없다면, 지지기구(10)를 지상에서 완성한 후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통해 높은 작업 위치까지 지지기구(10)를 이동시켜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를 설치하는데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거대한 지지기구(10)가 이동하면서 다른 구성과 충돌하여 사고가 발생할 염려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높은 위치에서 지지기구(10)의 구성을 하나씩 조립해가면서 지지기구(10)를 완성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에 따르면, 별도의 장비가 없어도 높은 위치에 지지기구(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작은 구성들을 조립하는 것으로서 안전하게 지지기구(10)를 설치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에 의하면, 지지기구(10)는 뼈대를 구비한 하나의 견고한 구조물로 존재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가 작업 위치에 도달할 정도의 높이까지 완성되지 않은 미완성이라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10단의 지지기구(10)가 필요한데 8단의 지지기구(10)만이 설치된 경우, 8단까지의 각 단의 지지기구(10)는 모두 견고한 구조물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안전한 8단 지지기구(10) 위에서 9단 및 10단의 지지기구(10)를 설치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그 설치 과정이 안정적이다.
이하에서는 지지기구(10) 및 연결봉(2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지지기구(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의 뼈대로서 기능한다. 지지기구(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기구(10)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발판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업발판 위에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자재들이 보관될 수도 있다. 지지기구(10)는 작업발판(미도시), 작업자 및 각종 자재들의 무게를 지지한다.
지지기구(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기구(10)는 4개의 지지 프레임(200)과 4개의 연결유닛(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기구(10)는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기구(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쪽에 위치한 하측 지지기구(11)는 위쪽에 위치한 상측 지지기구(12)의 하중을 지지한다.
하측 지지기구(11)에는 연결봉(20)이 결합된다. 연결봉(20)의 위쪽에는 상측 지지기구(12)가 결합된다. 연결봉(20)은 상측 지지기구(12)를 지지한다. 연결봉(20)의 일단에는 하측 지지기구(11)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측 지지기구(12)가 결합된다. 하측 지지기구(11)와 상측 지지기구(12)는 연결봉(20)에 의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적층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지지기구(10)는 연결봉(20) 및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연결유닛(100)을 포함한다.
연결유닛(100)은 지지 프레임(200)과 별개로 형성된다. 연결유닛(100)이 지지 프레임(200)과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기구(10)가 지지 프레임(200), 연결유닛(100) 등의 구성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연결유닛(100)에 의해 지지 프레임(200), 연결유닛(100) 등 각 구성을 조립하여 지지기구(10)를 완성할 수 있다.
연결유닛(100)은 연결봉(20)과 별개로 형성된다. 즉, 지지기구(10)의 지지 프레임(200)은 연결봉(20)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연결유닛(100)을 통해 연결봉(20)에 결합된다. 연결유닛(100)이 존재함에 따라 연결봉(20)에 지지 프레임(200)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연결봉(20)에 별도의 가공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결봉(20)의 강도를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의 연결봉(20)은 더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유닛(100)은 지지기구(10)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구(10)가 사각형 형상을 가지면, 1개의 지지기구(10)에는 4개의 연결유닛(100)이 포함된다.
연결유닛(100)은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110)와, 지지 프레임(200)이 결합되는 결합부(120)와, 연결봉(20)이 결합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연결유닛(1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바디부(110)에 결합부(120)와 연결부(130)가 형성된다. 바디부(11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 삼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부(110)의 측면에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바디부(110)의 단부에 연결부(130)가 형성된다.
결합부(120)는 바디부(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바디부(110)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바디부(110)는 4개의 측면을 가진다. 결합부(120)는 4개의 측면에 모두 형성된다. 즉, 바디부(110)의 4개의 측면에 모두 지지 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바디부(11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결합부(120)는 지지 프레임(20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2개의 돌기로 형성된다. 결합부(120)의 두 개의 돌기 사이에 지지 프레임(200)이 삽입되면, 별개의 체결수단이 결합부(120)와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결합부(120)와 지지 프레임(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00)은 2개의 바디(210, 220, 도 4 참고, 이에 대해서는 지지 프레임을 설명하면서 상술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디부(110)의 1개의 측면에 2개의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다만, 결합부(120)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 프레임(200)이 포함하는 바디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연결부(130)는 바디부(110)의 단부에 형성된다. 연결부(1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연결부(130)의 외경은 연결봉(20)의 내경과 대략 같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부(130)에 연결봉(20)이 억지 끼움 되면서 연결유닛(100)과 연결봉(20)이 결합된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지지기구(10)는 연결유닛(100)에 결합되어 지지기구(10)의 외부 뼈대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200)은 연결유닛(100)에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구(10)가 사각형 형상을 가지면, 1개의 지지기구(10)는 4개의 지지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20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 프레임(201)과, 제2지지 프레임(202)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200)은 제1지지 프레임(201) 및 제2지지 프레임(202)과 다른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3지지 프레임(203) 및 제4지지 프레임(204)을 포함한다. 즉, 제1지지 프레임(201) 및 제2지지 프레임(202)의 양 단에는 제3지지 프레임(203) 및 제4지지 프레임(204)이 결합된다. 반대로, 제3지지 프레임(203) 및 제4지지 프레임(204)의 양 단에는 제1지지 프레임(201) 및 제2지지 프레임(202)이 결합된다. 제1지지 프레임(201), 제2지지 프레임(202), 제3지지 프레임(203) 및 제4지지 프레임(204)이 연결되어 사각형 형상의 지지기구(10)를 형성한다.
제1지지 프레임(201)과 제2지지 프레임(202) 사이에는 보강 프레임(300)이 배치된다. 제1지지 프레임(201)과 제2지지 프레임(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프레임(300)이 배치된다.
제3지지 프레임(203)과 제4지지 프레임(204)에는 보강 프레임(300)이 결합된다. 제3지지 프레임(203)과 제4지지 프레임(204)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프레임(300)이 결합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지지 프레임(200)은 연결유닛(100)에 결합된 상측 지지바디(210)와, 상측 지지바디(210)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측 지지바디(220)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200)은 지지기구(10)의 외부 뼈대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큰 하중을 지지해야 한다. 지지 프레임(200)은 더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지지바디(210, 220)를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200)은 상측 지지바디(210)와 하측 지지바디(220)를 구비함에 따라 더 큰 하중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게 된다.
상측 지지바디(210)와, 하측 지지바디(220)는 모두 연결유닛(100)에 결합된다. 즉, 상측 지지바디(210)와 하측 지지바디(220)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200)은 지지기구(10)의 외부 뼈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휘어지거나 비틀리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 지지 프레임(200)이 그 형태를 유지해야 지지기구(10)의 형태도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200)의 상측 지지바디(210) 및 하측 지지바디(220)가 모두 연결유닛(1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지지 프레임(200)은 상측 지지바디(210)와 하측 지지바디(220)의 사이에서 상측 지지바디(210)와 하측 지지바디(220)를 연결 및 지지하는 지지리브(230)를 포함한다.
지지리브(230)는 상측 지지바디(210)와 하측 지지바디(220)에 수직으로 연결된 수직 지지리브(231)를 포함한다. 지지리브(230)는 상측 지지바디(210)와 하측 지지바디(220) 사이에서 경사지도록 배치된 경사 지지리브(232)를 포함한다.
지지리브(230)는 상측 지지바디(210)와 하측 지지바디(220)를 지지하여 지지 프레임(20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즉, 지지리브(230)는 지지 프레임(200)이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지지 프레임(200)에는 지지 결합부(240)가 형성된다. 지지 결합부(240)는 지지 프레임(200)의 상측 지지바디(2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 프레임(201) 및 제2지지 프레임(202)에 형성된 지지 결합부(240)에는 후술할 보조 프레임(400)이 결합된다. 반면, 제3지지 프레임(203) 및 제4지지 프레임(204)에 형성된 지지 결합부(240)에는 보강 프레임(300)이 결합된다.
지지 결합부(240)는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이 안착되는 지지 안착부(241)와,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을 구속하는 지지 구속부(242)를 포함한다.
지지 안착부(241)는 상측 지지바디(2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 안착부(241)는 상측 지지바디(210)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지지 안착부(241)는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다. 지지 안착부(241)는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의 폭과 대략 유사한 폭으로 형성된다.
지지 구속부(242)는 상측 지지바디(2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 구속부(242)는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측 지지바디(210)에 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 구속부(242)는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의 폭과 대략 유사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지지 구속부(242) 사이에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이 배치되면,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지지 구속부(242)는 지지 안착부(24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 구속부(242)는 지지 안착부(241)의 양 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안착부(241)와 지지 구속부(242)로 구성되는 지지 결합부(240)는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이 지지 프레임(200)에 쉽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 결합부(240)는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의 단부를 구속 및 지지할 수 있는 포켓과 같은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을 지지 프레임(2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을 지지 결합부(240)에 안착시키면 1차 결합이 된다. 1차 결합이 된 상태에서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은 지지 결합부(240) 자체에 지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지지장치가 필요없다. 이렇게 1차 결합 후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과 지지 결합부(240)를 체결하면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과 지지 프레임(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200)과 보강 프레임(300) 또는 보조 프레임(400)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지지기구(10)는 지지 프레임(200)과 함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보강 프레임(300)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더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300)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향상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보강 프레임(300)은 지지 프레임(200)에 결합된다. 보강 프레임(300)은 제3지지 프레임(203) 및 제4지지 프레임(204)에 결합된다. 보강 프레임(300)은 제3지지 프레임(203) 및 제4지지 프레임(204)의 지지 결합부(240)에 결합된다.
보강 프레임(300)은 지지 프레임(2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보강 프레임(300)은 제1지지 프레임(201) 및 제2지지 프레임(202)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보강 프레임(300)은 제1지지 프레임(201) 및 제2지지 프레임(202)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보강 프레임(300)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지지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된다. 보강 프레임(300)은 제1지지 프레임(201) 및 제2지지 프레임(202) 사이에 배치된다. 보강 프레임(300)은 제1지지 프레임(201) 및 제2지지 프레임(202) 사이에 적어도 한 개가 배치된다. 도면에서 지지기구(10)가 3개의 보강 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의 보강 프레임(30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보강 프레임(300)은 지지 프레임(200)에 결합된 상측 보강바디(310)와, 상측 보강바디(310)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측 보강바디(320)를 포함한다.
보강 프레임(300)은 지지 프레임(200)의 하중을 분담하는 내부 뼈대로 기능한다. 보강 프레임(300)은 내부 뼈대이기 때문에 지지기구(10)의 형태와는 관련도가 낮다. 따라서 보강 프레임(300)은 다소 휘어지면서 하중을 지지하더라도 무방하다. 보강 프레임(300)이 다소 휘어지면서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견고하게 하중을 지지하는 것보다 보강 프레임(300)의 파손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 보강바디(310)만 지지 프레임(200)에 결합되고, 하측 보강바디(320)는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되지 않는다. 또한, 하측 보강바디(320)의 길이는 상측 보강바디(3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하측 보강바디(320)는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되지 않고 하측 보강바디(320)가 상측 보강바디(310)보다 짧게 형성됨에 따라, 보강 프레임(300)이 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결합부(240)에 보강 프레임(300)을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1차 결합이 된다. 이와 같이, 지지 프레임(200)과 보강 프레임(300)을 쉽게 결합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보강 프레임(300)을 지지 결합부(240)의 위에서 끼워 넣는 식으로 결합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보강 프레임(300)을 지지 프레임(200)에 쉽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측 보강바디(310)만을 지지 프레임(200)에 결합한다. 나아가, 하측 보강바디(320)를 상측 보강바디(310)보다 짧게 형성하여, 보강 프레임(300)의 단부를 쉽게 지지 결합부(240)에 안착시킬 수 있게 하였다.
도 5를 참고하면, 보강 프레임(300)은 상측 보강바디(310)와 하측 보강바디(320)의 사이에서 상측 보강바디(310)와 하측 보강바디(320)를 연결 및 지지하는 보강리브(330)를 포함한다.
보강리브(330)는 상측 보강바디(310)와 하측 보강바디(320)에 수직으로 연결된 수직 보강리브(331)와, 상측 보강바디(310)와 하측 보강바디(320) 사이에서 경사지도록 배치된 경사 보강리브(332)를 포함한다.
보강리브(330)는 상측 보강바디(310)와 하측 보강바디(320)를 보강하여 보강 프레임(30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즉, 보강리브(330)는 보강 프레임(300)이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보강 프레임(300)에는 보강 결합부(340)가 형성된다. 보강 결합부(340)는 보강 프레임(300)의 상측 보강바디(310)에 형성된다. 보강 결합부(340)에는 후술할 보조 프레임(400)이 결합된다.
보강 결합부(340)는 보조 프레임(400)이 안착되는 보강 안착부(341)와, 보조 프레임(400)을 구속하는 보강 구속부(341)를 포함한다.
보강 안착부(341)는 상측 보강바디(3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강 안착부(341)는 상측 보강바디(310)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보강 안착부(341)는 보조 프레임(400)이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다. 보강 안착부(341)는 보조 프레임(400)의 폭과 대략 유사한 폭으로 형성된다.
보강 구속부(342)는 상측 보강바디(3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강 구속부(342)는 보조 프레임(400)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측 보강바디(310)에 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보강 구속부(342)는 보조 프레임(400)의 폭과 대략 유사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보강 구속부(342) 사이에 보조 프레임(400)이 배치되면, 보조 프레임(400)의 이동이 제한된다. 보강 구속부(342)는 보강 안착부(34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보강 구속부(342)는 보강 안착부(341)의 양 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안착부(341)와 보강 구속부(342)로 구성되는 보강 결합부(340)는 보조 프레임(400)이 보강 프레임(300)에 쉽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보강 결합부(340)는 보조 프레임(400)의 단부를 구속 및 지지할 수 있는 포켓과 같은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보조 프레임(400)을 보강 프레임(3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보조 프레임(400)을 보강 결합부(340)에 안착시키면 1차 결합이 된다. 1차 결합이 된 상태에서 보조 프레임(400)은 보강 결합부(340)에 지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지지장치가 필요없다. 이렇게 1차 결합 후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보조 프레임(400)과 보강 결합부(340)를 체결하면 보강 프레임(300)과 보조 프레임(400)의 결합이 완료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에 의하면, 보강 프레임(300)과 보조 프레임(400)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하측 지지기구(11)의 보강 프레임(300)과 상측 지지기구(12)의 보강 프레임(30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하측 지지기구(11)의 보강 프레임(300)과 상측 지지기구(12)의 보강 프레임(300)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반면, 도 6을 참고하면, 하측 지지기구(11)의 보강 프레임(300)과 상측 지지기구(12)의 보강 프레임(300)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하측 지지기구(11)의 보강 프레임(300)과 상측 지지기구(12)의 보강 프레임(300)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특히, 하측 지지기구(11) 및 상측 지지기구(12)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면, 하측 지지기구(11)의 보강 프레임(300)과 상측 지지기구(12)의 보강 프레임(300)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측 지지기구(11)의 보강 프레임(300)과 상측 지지기구(12)의 보강 프레임(300)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면, 보강 프레임(300)이 여러 방향으로 지지 프레임(200)의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의 강도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지지기구(10)는 보강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400)은 보강 프레임(300)에 결합된다. 보조 프레임(400)이 지지 프레임(200)과 보강 프레임(3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보조 프레임(400)의 일단은 보강 프레임(3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 프레임(200)에 결합된다. 반면, 보조 프레임(400)이 두 개의 보강 프레임(3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보조 프레임(400)의 양단은 서로 다른 보강 프레임(300)에 결합된다.
보조 프레임(400)은 지지 프레임(200)과 보강 프레임(300)과 달리 단순한 바(bar) 형태로 형성된다. 보조 프레임(400)은 지지 프레임(200) 및 보강 프레임(300)의 하중을 보조적으로 부담하는 기능한 수행하기 때문이다. 보조 프레임(400)까지 지지 프레임(200)과 보강 프레임(300)과 같이 2개의 바디로 형성되면, 지지기구(10) 자체가 너무 견고하게 구성되어 오히려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조 프레임(400)도 보강 프레임(300)과 같이 2개의 바디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 프레임(40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지 결합부(240) 또는 보강 결합부(340)에 결합된다. 지지 결합부(240) 및 보강 결합부(340)는 보조 프레임(40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프레임(400)을 지지 결합부(240) 및 보강 결합부(340)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1차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1차결합 후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보조 프레임(400)과 지지 결합부(240) 및 보강 결합부(340)를 체결하면 보조 프레임(400)과 지지 프레임(200) 또는 보강 프레임(300)의 결합이 쉽게 완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지지기구(10)는 연결유닛(100)과 지지 프레임(200)이 결합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지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보강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닛(100)은 연결봉(2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 및 지지 프레임(20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집중되는 곳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는 보강부재(500)를 마련하여 연결유닛(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보강부재(500)는 지지 프레임(200)에 결합된다. 보강부재(500)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200)에 동시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보강부재(500)는 제1지지 프레임(201) 및 제3지지 프레임(203)에 결합된다.
보강부재(500)는 지지 프레임(200)에서 연결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된다. 보강부재(500)는 보강 프레임(300) 중에서 연결유닛(100)에서 가장 인접한 보강 프레임(300)보다 연결유닛(100)에 더 인접하게 위치한다. 보강부재(500)는 보조 프레임(400) 중에서 연결유닛(100)에서 가장 인접한 보조 프레임(400)보다 연결유닛(100)에 더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연결봉(20)은 지지기구(10)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봉(20)은 하측 지지기구(11)와 상측 지지기구(12) 사이에 배치된다. 하측 지지기구(11)의 연결유닛(100)에 연결봉(20)이 결합된다. 연결봉(20)의 위쪽에는 상측 지지기구(12)의 연결유닛(10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봉(20)을 사이로 지지기구(10)들이 적층된다.
도 7에는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5개의 지지기구(10)가 적층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가 도시되어 있다. 각 층의 지지기구(10)는 아래에 위치하는 연결봉(20)에 의해 지지된다. 도면에는 5층의 지지기구(10)를 가진 비계(1)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2층 이상의 지지기구(10)를 가진 비계(1)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지지기구(10)들이 동일한 높이(층)에서 횡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기구(10)의 연결유닛(100)은 사각기둥 형태의 바디부(110)를 구비하고, 바디부(110)의 측면에는 모두 결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지지기구(10)를 기준으로 하나의 면에 있는 2개의 연결유닛(100)은 그 옆의 다른 지지기구(10)의 연결유닛(100)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기구(10)들을 횡으로 계속하여 연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를 횡 방향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 : 비계
10 : 지지기구 20 : 연결봉
100 : 연결유닛 110 : 결합부
120 : 바디부 130, 140 : 연결부
200 : 지지 프레임 210 : 상측 지지바디
220 : 하측 지지바디 230 : 지지리브
240 : 지지 결합부
300 : 보강 프레임 310 : 상측 보강바디
320 : 하측 보강바디 330 : 보강리브
340 : 보강 결합부
400 : 보조 프레임 500 : 보강부재

Claims (8)

  1. 작업장에 임시로 설치되는 비계에 있어서,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기구; 및
    상기 지지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연결봉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유닛과, 양 단부가 상기 연결유닛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중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 지지 프레임 사이에 상기 두 지지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바디와, 상기 상측 지지바디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측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상측 지지바디 및 하측 지지바디에 결합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바디와, 상기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지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결합부는 상기 보강 프레임이 안착되도록 상기 상측 지지바디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안착부와, 상기 보강 프레임의 양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보강 프레임을 구속하도록 상기 상측 지지바디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상측 보강바디와, 상기 상측 보강바디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측 보강바디와, 상기 상측 보강바디와 상기 하측 보강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상측 보강바디 및 상기 하측 보강바디에 결합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보강바디의 길이는 상기 상측 보강바디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상측 보강바디와, 상기 보조 프레임이 결합되는 보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결합부는 상기 보조 프레임이 안착되도록 상기 상측 보강바디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 안착부와,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보조 프레임을 구속하도록 상기 상측 보강바디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바디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연결봉이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측 지지기구와, 상기 상측 지지기구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측 지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지지기구의 보강 프레임과 상기 하측 지지기구의 보강 프레임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8.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지지 프레임과 제2지지 프레임;
    상기 제1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 프레임의 양 단에 연결된 제3지지 프레임과 제4지지 프레임;
    상기 제1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 프레임과 나란하게 상기 제1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3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4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3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4지지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 프레임, 상기 제2지지 프레임, 상기 제3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4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비계.
KR1020140077532A 2014-06-24 2014-06-24 비계 KR10159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532A KR101599139B1 (ko) 2014-06-24 2014-06-24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532A KR101599139B1 (ko) 2014-06-24 2014-06-24 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12A true KR20160000312A (ko) 2016-01-04
KR101599139B1 KR101599139B1 (ko) 2016-03-02

Family

ID=5516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532A KR101599139B1 (ko) 2014-06-24 2014-06-24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6034A (zh) * 2020-09-09 2020-12-18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爬架的高稳定性结构
KR20220048119A (ko) * 2020-10-12 2022-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CN114524064A (zh) * 2022-02-28 2022-05-24 青岛黄海学院 一种船舶用脚手架装置及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5129A1 (en) * 2002-07-31 2006-08-10 Frans Brinkmann Modular heavy duty support system
JP2006257864A (ja) * 2005-03-15 2006-09-28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足場システム
KR200459501Y1 (ko) * 2011-06-29 2012-03-27 류선용 셀가이드 브리지
JP2012255335A (ja) * 2012-08-30 2012-12-27 Alinco Inc 工事用エレベータの取込ステー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5129A1 (en) * 2002-07-31 2006-08-10 Frans Brinkmann Modular heavy duty support system
JP2006257864A (ja) * 2005-03-15 2006-09-28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足場システム
KR200459501Y1 (ko) * 2011-06-29 2012-03-27 류선용 셀가이드 브리지
JP2012255335A (ja) * 2012-08-30 2012-12-27 Alinco Inc 工事用エレベータの取込ステー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6034A (zh) * 2020-09-09 2020-12-18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爬架的高稳定性结构
CN112096034B (zh) * 2020-09-09 2022-01-04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爬架的高稳定性结构
KR20220048119A (ko) * 2020-10-12 2022-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CN114524064A (zh) * 2022-02-28 2022-05-24 青岛黄海学院 一种船舶用脚手架装置及工作方法
CN114524064B (zh) * 2022-02-28 2022-11-22 青岛黄海学院 一种船舶用脚手架装置及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139B1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1641340B1 (ko)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KR101599139B1 (ko) 비계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US20170028232A1 (en) Lifeline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 and lifeline support device
JP5709150B1 (ja) 組立式足場
JP6210608B1 (ja) 支保工
KR20190075583A (ko)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JP5492293B2 (ja) 構成単位を有する足場システムとその組立方法
KR20140000687U (ko)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KR200438983Y1 (ko) 조립식 작업대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TWI508908B (zh) Shelters
JP5603805B2 (ja) 吊り治具および吊り治具の取付構造、バルコニーユニットの吊り上げ方法
JP2020180507A (ja) スタンション
CN103924813B (zh) 一种输电线铁塔及其休息平台
JP2018123636A (ja) 建物構造
KR102390999B1 (ko) 선조립 대구경 철근 모듈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KR102134348B1 (ko) 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와 철골 기둥 접합부의 격자형 전단 보강 구조물
KR200418150Y1 (ko) 용이한 조립구조를 갖는 호이스트 방호울
CN209841355U (zh) 一种电梯门***测试装置
KR101216734B1 (ko) 표준규격 안전발판 설치용 서포트모듈 및 상기 모듈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서포트모듈시스템
KR101474469B1 (ko) 시스템 동바리를 이용한 비계 발판 가새부재
JP2007231671A (ja) ユニット建物
KR101816153B1 (ko)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