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228A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228A
KR20150136228A KR1020140063344A KR20140063344A KR20150136228A KR 20150136228 A KR20150136228 A KR 20150136228A KR 1020140063344 A KR1020140063344 A KR 1020140063344A KR 20140063344 A KR20140063344 A KR 20140063344A KR 20150136228 A KR20150136228 A KR 20150136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rallel
pixel
openings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247B1 (ko
Inventor
김훈기
이병주
장주훈
진유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47B1/ko
Priority to DE102014117761.4A priority patent/DE102014117761B4/de
Priority to CN201410806242.XA priority patent/CN105182550B/zh
Priority to US14/581,279 priority patent/US10321119B2/en
Priority to JP2014260092A priority patent/JP6150787B2/ja
Priority to TW103145311A priority patent/TWI563292B/zh
Publication of KR2015013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02B30/29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lenticular array, e.g. slanted arrays, irregular arrays or arrays of varying shap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slanted parallax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크로스토크와 시청 영역 간의 휘도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에 굽은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 합착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중첩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와 나란하도록 기울어진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갖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화소의 일측변과 나란한 기울기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화소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3D 크로스토크와 시청 영역 간의 휘도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장감 있고 실감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2차원(2D) 영상뿐만 아니라 3차원(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2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그 해상도와 시야각 등 표시 영상 품질 면에서 큰 발전을 하였으나, 2차원의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영상의 깊이(Depth)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반면에,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2차원 평면이 아닌 3차원의 입체적으로 표시함으로써 2차원 표시 장치보다 훨씬 현실감 있고 실감나는 입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입체 안경을 이용하는 안경 방식과 입체 안경을 이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의 입체감을 준다는 측면에서는 안경 방식과 동일하지만, 입체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뷰(Multi-view)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화소들(P)이 배열된 표시 패널(10)을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표시하고,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22)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렌즈 시트(20)를 통해 입체용 영상을 멀티-뷰(Multi-view)로 분리한다.
표시 패널(10)에 형성된 각 화소(P)에는 멀티-뷰(Multi-view)에 따라 할당된 뷰 맵(View map)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렌티큘러 렌즈 시트(20)는 렌티큘러 렌즈(22)에 포함된 i개의 화소(P)들에 표시되는 영상을 뷰 맵에 대응되는 복수의 시청 영역으로 분리함으로써 시청자가 복수의 시청 영역에서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시청자는 정해진 시청 영역에서 자신의 좌안에 인식되는 좌안 영상(LI)과 우안에 인식되는 우안 영상(RI)의 양안시차에 의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 시트(20)는 렌티큘러 렌즈(22)의 길이 방향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는 표시 패널(10)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미도시)을 가리는 블랙 매트릭스(미도시)가 렌티큘러 렌즈(22)에 의해 확대되어 발생되는 밴딩 아티펙트(Banding artifact) 현상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렌티큘러 렌즈 시트(20)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짐에 따라 인접한 시청 영역 간의 겹침 영상으로 인해 3D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렌티큘러 렌즈(22)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시청 영역별 휘도의 불균일로 인하여 시청 영역간의 휘도 편차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3D 크로스토크와 시청 영역 간의 휘도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에 굽은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 합착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중첩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와 나란하도록 기울어진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갖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화소의 일측변과 나란한 기울기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화소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둔각으로 굽은 제 1 변과 제 2 변으로 이루어진 상기 일측변; 상기 일측변과 나란하도록 이격되면서 둔각으로 굽은 제 3 변과 제 4 변으로 이루어진 타측변; 상기 제 1 변과 상기 제 3 변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변; 및 상기 제 2 변과 상기 제 4 변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제 1 변, 제 4 변, 제 1 및 제 2 연결변 상에 중첩되는 N개(단, N은 5)의 꼭지점을 포함하는 M(단, M은 N과 같거나 큰 자연수)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제 1 변과 나란한 제 1 개구변; 상기 제 3 변과 나란한 제 2 개구변; 상기 제 1 개구변의 일단과 상기 제 2 개구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3 개구변; 상기 제 2 연결변과 나란하고 상기 제 1 개구변의 타단에 연결된 제 4 개구변; 및 상기 제 4 변과 나란하고 상기 제 2 개구변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5 개구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제 1 변과 나란한 제 1 개구변; 상기 제 3 변과 나란한 제 2 개구변; 상기 제 1 개구변의 일단과 상기 제 2 개구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3 개구변; 상기 제 2 연결변과 나란한 제 4 개구변; 상기 제 4 변과 나란하고 상기 제 2 개구변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5 개구변; 및 상기 제 2 변과 나란하고 상기 제 1 개구변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 6 개구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화소의 개구부와 렌티큘러 렌즈의 기울기가 서로 나란하여 화소의 개구부가 인접한 시청 영역에 침범하지 않음으로써 3D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최소화 내지 방지하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청 영역별 휘도의 합의 균일해지므로 시청 영역 간의 휘도 편차를 최소화 내지 제로(Zero)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 영역 간의 영상이 서로 분리되어 서로 겹쳐지지 않기 때문에 입체 영상의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뷰(Multi-view)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 1 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 2 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화소와 도 5a에 도시된 개구부의 중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뷰(Multi-view)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제 2 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화소와 도 7a에 도시된 개구부의 중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뷰(Multi-view)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백 라이트부(200), 및 렌티큘러 렌즈 시트(3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110, 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격자 형태로 배열된 화소 영역에 굽은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화소 각각에는 멀티-뷰(Multi-view)(또는 시청 영역)의 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뷰 맵(View map)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3D 크로스토크와 시청 영역별 휘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면서 복수의 화소 각각 상에 중첩되는 복수의 개구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화소의 개구 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 화소의 일측변과 나란한 기울기(θ)로 기울어져 복수의 화소에 중첩됨으로써 화소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면서 화소와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제 2 기판(120)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124)에 의해 정의된다. 블랙 매트릭스(124)는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을 제외한 제 2 기판(120)의 나머지 영역 전체에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122)에는 컬러 필터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개구부(122)의 컬러 필터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 필터층 중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 필터층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패널(100)은 패널 구동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해당 화소에 공급하여 액정층에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백 라이트부(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해 각 화소에 할당된 뷰 맵에 따른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백 라이트부(20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0)에 광을 조사한다. 이러한 백 라이트부(200)는 형광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 등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표시 패널(110)의 후면에 조사한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 시트(300)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의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을 뷰 맵에 대응되는 복수의 시청 영역으로 분리함으로써 시청자가 복수의 시청 영역에서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시청자는 정해진 시청 영역에서 자신의 좌안에 인식되는 영상과 우안에 인식되는 영상의 양안시차에 의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이를 위해, 렌티큘러 렌즈 시트(300)는 베이스 필름(310)의 상면으로부터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320)는 베이스 필름(310)의 상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320)는 반원 형태 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블록 렌즈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각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은 개구부(122)의 기울기(θ)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다. 즉,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320)는 표시 패널(100) 상에 일정한 기울기(θ)로 기울어지는 사선 형태를 가지도록 나란하게 배열된다.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320)의 피치 폭(Pitch width)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구현하는 멀티-뷰(Multi-view)(또는 시청 영역)의 수 및 화소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320)의 피치 폭(Pitch width)은 표시 패널(100)의 중심부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미세한 길이만큼 짧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입체 영상을 중심부 쪽으로 모이게 하는 효과를 줌으로써 시청자의 영상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 1 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는 발명의 핵심과 관련된 주요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며, 그 외 다른 구성의 구체적인 모습은 생략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판(11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111), 복수의 데이터 라인(113),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복수의 화소(P)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111)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113)은 제 1 기판(110) 상에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복수의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111)은 제 1 기판(110) 상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가로 방향(X)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113)은 제 1 기판(110) 상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세로 방향(Y)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111)은 곧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113)은 하나의 화소 영역에서 둔각을 가지도록 한번 굽은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라인(111)과 데이터 라인(113)이 교차 배열되어 정의되는 화소 영역도 한번 굽은 형태를 갖는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화소 영역의 트랜지스터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게이트 라인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데이터 라인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화소 전극(115)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반도체층,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게이트 전극이 반도체층 아래에 위치하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게이트 전극이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탑 게이트(top gate)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P)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115), 및 공통 전극(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소 전극(115)은 각 화소 영역의 개구 영역에 형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것으로,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액정층에 전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화소 전극(115)은 화소 영역과 동일하게 한번 굽은 형태로 이루어져 화소 영역 내에 2개의 도메인을 형성함으로써 화소(P)의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공통 전극은 화소 전극(115)과 함께 전계를 형성시켜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공통 전극은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구동하는 전계 형상 방식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공통 전극(300)은 복수의 화소 영역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화소 전극(115)은 그 내부에 슬릿(Slit)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소 전극(115)은 핑거(Finge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소 전극(115)이 핑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화소 전극(115)과 평판(Plate) 형상의 공통 전극 사이에서 프린지 필드(Fringe field)가 형성되고, 이러한 프린지 필드에 의해서 액정층의 액정 분자가 구동된다. 즉, 상기 화소 전극(115)과 공통 전극은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Fringe field switching mode)에 따라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구동하게 된다.
다른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화소 전극(115)과 상기 공통 전극은 화소 영역 내에서 서로 교번되도록 핑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화소 전극(115)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서 수평 전계가 형성되고, 이러한 수평 전계에 의해서 액정층의 액정 분자가 구동된다. 즉, 상기 화소 전극(115)과 상기 공통 전극은 인 플레인 스위칭 모드(In plane switching mode)에 따라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복수의 화소(P) 각각은 상기 화소 전극(115)의 형성 구조 또는 상기 화소 전극(115)과 공통 전극의 형성 구조에 대응되도록 한번 굽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데이터 라인(113)의 길이 방향에 기초한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각 화소(P)는 둔각으로 한번 굽은 형태를 갖는 일측변(117a), 일측변(117a)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이격된 타측변(117b), 일측변(117a)의 일단과 타측변(117b)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변(117c), 및 일측변(117a)의 타단과 타측변(117b)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변(117d)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 화소(P)는 일정한 면적으로 가지는 "〈"자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일측변(117a)은 "〈"자 형태를 가지도록 둔각으로 굽은 제 1 변(S1)과 제 2 변(S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변(S1)과 제 2 변(S2)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꺽임부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짐으로써 상기 일측변(117a)은 "〈"자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타측변(117b)은 "〈"자 형태를 가지도록 둔각으로 굽은 제 3 변(S4)과 제 4 변(S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3 변(S3)은 상기 제 1 변(S1)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이격되고, 제 4 변(S4)은 상기 제 3 변(S1)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이격된다.
상기 제 1 연결변(117c)은 제 1 변(S1)과 제 3 변(S3) 각각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변(117d)은 제 1 변(S1)과 제 3 변(S3) 각각의 타단을 서로 연결한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 2 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화소와 도 5a에 도시된 개구부의 중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는 발명의 핵심과 관련된 주요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며, 그 외 다른 구성의 구체적인 모습은 생략하였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 2 기판(110)은 복수의 개구부(122)를 정의하는 블랙 매트릭스(124), 및 복수의 개구부(122)에 형성된 컬러 필터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124)는 전술한 복수의 화소(P) 각각에 중첩되는 복수의 개구부(122)를 포함하도록 제 2 기판(110) 상에 형성되어 각 화소(P)의 개구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화소(P)의 일측변(117a)과 나란한 기울기로 기울어지고, 화소(P)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면서 화소(P)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전술한 화소(P)의 제 1 변(S1), 제 4 변(S4), 제 1 및 제 2 연결변(117c, 117d) 상에 중첩되는 5개의 꼭지점을 가지는 5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에 기초한 화소(P)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비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제 1 내지 제 5 개구변(122a, 122b, 122c, 122d, 122e)을 가지는 5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변(122a)은 일단이 상기 화소(P)의 제 1 변(S1)과 제 1 연결변(117c)이 만나는 제 1 꼭지점(AP1) 상에 중첩되고, 타단이 상기 화소(P)의 제 2 연결변(117d) 상에 중첩된다. 이때, 제 1 개구변(122a)의 타단은 제 1 변(S1)의 일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IEL)과 제 2 연결변(117d)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CP)에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개구변(122a)은 상기 제 1 꼭지점(AP1)과 상기 교차점(CP) 사이에 상기 제 1 변(S1)과 나란한 기울기를 갖는 사선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변(S1)과 일치(또는 중첩)되는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변(122b)은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변(117c) 상에 중첩되고, 타단이 상기 화소(P)의 제 4 변(S4) 상에 중첩된다. 이때, 상기 제 2 개구변(122b)은 상기 제 1 개구변(122a)(또는 제 3 변)과 나란하도록 제 3 변(S3)에 인접한 화소(P) 내에 중첩된다. 이러한, 제 2 개구변(122b)은 제 3 변(S3)에 인접한 제 1 연결변(117c) 상에서부터 제 4 변(S4) 사이에 상기 제 1 개구변(122a)(또는 제 3 변)과 나란한 기울기를 갖는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 2 개구변(122b)의 연장 선은 상하로 인접한 개구부(122)의 제 1 개구변(122a)과 일치되게 된다.
상기 제 3 개구변(122c)은 상기 제 1 개구변(122a)의 일단과 상기 제 2 개구변(122b)의 일단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 3 개구변(122c)은 제 1 연결변(117c)과 나란한 직선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변(117c)과 일치(또는 중첩)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개구변(122d)은 일단이 상기 제 4 변(S4)과 제 2 연결변(117d)이 만나는 제 2 꼭지점(AP2) 상에 중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개구변(122a)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 4 개구변(122d)은 상기 제 2 꼭지점(AP2)과 상기 교차점(CP) 사이에 제 2 연결변(117d)과 나란한 직선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연결변(117d)과 일치(또는 중첩)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5 개구변(122e)은 상기 제 2 개구변(122b)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122d)의 일단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 5 개구변(122e)은 제 2 개구변(122b)의 타단과 상기 제 2 꼭지점(AP2) 사이에 상기 제 4 변(S4)과 나란한 사선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4 변(S4)과 일치(또는 중첩)되는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화소(P)의 일측변(117a) 기울기와 나란하거나 화소(P)의 일측변(117a)과 일치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하로 인접한 개구부(122)들은 개구부(122)의 기울기 방향(SD)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구부(122)의 기울기 방향(SD)을 기준으로, 홀수번째 수평 라인에 배치된 개구부들(122) 각각은 짝수번째 수평 라인에 배치된 개구부들(122) 사이사이에 배치되고, 이로 인하여 상하로 인접한 개구부(122)들은 서로 엇갈려 서로 중첩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뷰(Multi-view)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렌티큘러 렌즈 시트(300)는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이 개구부(122)의 기울기와 나란하거나 일치하도록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렌티큘러 렌즈(320)에 중첩되는 화소들(P)은 멀티-뷰에 따른 뷰 맵이 할당되고, 할당된 뷰 맵에 따른 입체용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320)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의 시청 영역(VA1 내지 VA9)은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각 화소(P)의 개구부(122)는 인접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중첩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 화소(P)에 중첩되는 개구부(122)의 경계부, 즉 제 1 및 제 2 개구변(122a, 122b) 각각은 렌티큘러 렌즈(32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간의 경계부에 일치하기 때문에 각 화소(P)의 개구부(122)는 인접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침범하거나 중첩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들(P)의 뷰 맵(View map)을 9 뷰(9 view)로 설정할 경우,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은 Arctan(1/6)의 기울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이 개구부(122)의 기울기와 나란하거나 일치함으로써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과 나란한 각 개구부(122)의 경계부는 렌티큘러 렌즈(320)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9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간의 경계부에 일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9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각각에는 뷰 맵(1 내지 9)에 따라 할당된 해당 뷰 맵(1 내지 9)의 화소(P)만이 배치되고, 이로 인해 각 화소(P)의 개구부(122)는 인접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침범하거나 중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위치한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에는 뷰 맵에 따라 할당된 화소(P)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만이 인식되고, 이로 인하여 시청자는 자신의 좌안에 인식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에 인식되는 우안 영상의 양안시차에 의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화소(P)의 개구부(122)가 화소(P)의 일측변과 나란하도록 기울기로 기울어지면서 화소(P)와 다른 형태로 형성되고, 렌티큘러 렌즈(320)가 개구부(122)와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화소(P)의 개구부(122)가 인접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중첩되지 않아 3D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최소화 내지 방지하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청 영역(VA1 내지 VA9)별 휘도의 합의 균일해지므로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간의 휘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간의 영상이 서로 분리되어 겸쳐지지 않으므로 입체 영상의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제 2 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화소와 도 7a에 도시된 개구부의 중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는 발명의 핵심과 관련된 주요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며, 그 외 다른 구성의 구체적인 모습은 생략하였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제 2 기판(110)은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에 확장부(122-1)를 추가로 형성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화소(P) 상에 중첩되면서 상기 제 2 변(S2) 쪽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전술한 화소(P)의 제 1 변(S1), 제 4 변(S4), 제 1 및 제 2 연결변(117c, 117d) 상에 중첩되는 5개의 꼭지점과 화소(P) 상에 중첩되는 하나의 꼭지점을 갖는 6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에 기초한 화소(P)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비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제 1 내지 제 6 개구변(122a, 122b, 122c, 122d, 122e, 122f)을 가지는 5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변(122a)은 일단이 상기 화소(P)의 제 1 변(S1)과 제 1 연결변(117c)이 만나는 제 1 꼭지점(AP1) 상에 중첩되고, 타단이 상기 화소(P)의 제 2 변(S2)에 인접한 화소(P) 상에 중첩된다. 이때, 제 1 개구변(122a)의 타단은 제 1 변(S1)의 일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 변(S2)에 인접한 화소(P) 상에 중첩되는 가상의 연장선(IEL)의 끝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개구변(122a)은 상기 제 1 변(S1)보다 긴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변(S1)과 나란한 기울기를 갖는 사선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변(S1)과 일치(또는 중첩)되는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변(122b)은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변(117c) 상에 중첩되고, 타단이 상기 화소(P)의 제 4 변(S4) 상에 중첩된다. 이때, 상기 제 2 개구변(122b)은 상기 제 1 개구변(122a)(또는 제 3 변)과 나란하도록 제 3 변(S3)에 인접한 화소(P) 내에 중첩된다. 이러한, 제 2 개구변(122b)은 제 3 변(S3)에 인접한 제 1 연결변(117c) 상에서부터 제 4 변(S4) 사이에 상기 제 1 개구변(122a)(또는 제 3 변)과 나란한 기울기를 갖는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 2 개구변(122b)의 연장 선은 상하로 인접한 개구부(122)의 제 1 개구변(122a)과 일치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 2 개구변(122b)의 타단은 제 1 개구변(122a)의 타단과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및 제 2 개구변(122a, 122b)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나란하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 3 개구변(122c)은 상기 제 1 개구변(122a)의 일단과 상기 제 2 개구변(122b)의 일단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 3 개구변(122c)은 제 1 연결변(117c)과 나란한 직선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변(117c)과 일치(또는 중첩)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개구변(122d)은 일단이 상기 제 4 변(S4)과 상기 화소(P)의 제 2 연결변(117d)이 만나는 제 2 꼭지점(AP2) 상에 중첩되고, 타단이 제 2 연결변(117d) 상에 중첩된다. 이러한, 상기 제 4 개구변(122d)은 상기 제 2 연결변(117d)과 나란한 직선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연결변(117d)과 일치(또는 중첩)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4 개구변(122d)과 상기 제 3 개구변(122c)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5 개구변(122e)은 상기 제 2 개구변(122b)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122d)의 일단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 5 개구변(122e)은 제 2 개구변(122b)의 타단과 상기 제 2 꼭지점(AP2) 사이에 상기 제 4 변(S4)과 나란한 사선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4 변(S4)과 일치(또는 중첩)되는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6 개구변(122f)은 상기 제 1 개구변(122a)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122d)의 타단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 6 개구변(122f)은 상기 제 1 개구변(122a)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122d)의 타단 사이에 상기 제 5 개구변(122e)과 나란하도록 제 2 변(S2)에 인접한 화소(P) 상에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6 개구변(122f)과 상기 제 5 개구변(122e)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의 확장부(122-1)는 상기 제 4 개구변(122d)과 상기 제 6 개구변(122f)이 만나는 꼭지점과 상기 제 1 개구변(122a)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4 개구변(122d)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가상의 밑변선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확장부(122-1)은 상기 제 2 개구변(122b)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선과 상기 제 4 개구변(117d)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선이 만나는 가상의 꼭지점과 상기 제 5 개구변(122e)을 밑변으로 하는 가상의 삼각형(IT)과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은 상기 확장부(12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되, 상기 확장부(122-1)의 면적만큼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화소(P)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뷰(Multi-view)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렌티큘러 렌즈 시트(300)는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이 개구부(122)의 기울기와 나란하거나 일치하도록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320)에 중첩되는 화소들(P)은 멀티-뷰에 따른 뷰 맵이 할당되고, 할당된 뷰 맵에 따른 입체용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320)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의 시청 영역(VA1 내지 VA9)은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각 개구부(122)의 확장부(122-1)를 제외한 개구부(122)의 나머지 영역은 인접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중첩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 화소(P)에 중첩되는 개구부(122)의 경계부, 즉 제 1 및 제 2 개구변(122a, 122b) 각각은 렌티큘러 렌즈(32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간의 경계부에 일치하기 때문에 각 개구부(122)의 확장부(122-1)를 제외한 개구부(122)의 나머지 영역은 인접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침범하거나 중첩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들(P)의 뷰 맵(View map)을 9 뷰(9 view)로 설정할 경우,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은 Arctan(1/6)의 기울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이 개구부(122)의 기울기와 나란하거나 일치함으로써 렌티큘러 렌즈(320)의 길이 방향(LD)과 나란한 각 개구부(122)의 경계부는 렌티큘러 렌즈(320)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9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간의 경계부에 일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9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각각에는 뷰 맵(1 내지 9)에 따라 할당된 화소(P)의 개구부(122)와 인접한 개구부(122)의 확장부(122-1)만이 배치되고, 이로 인해 각 개구부(122)의 확장부(122-1)를 제외한 개구부(122)의 나머지 영역은 인접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침범하거나 중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위치한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에는 뷰 맵에 따라 할당된 화소(P)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인식되고, 이로 인하여 시청자는 자신의 좌안에 인식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에 인식되는 우안 영상의 양안시차에 의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122) 각각의 확장부(122-1)가 인접한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 중첩되기 때문에 확장부(122-1)의 면적만큼 인접한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간의 겹침 영역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확장부(122-1)의 면적만큼의 3D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각 시청 영역(VA1 내지 VA9)에서 가상의 삼각형(IT)의 면적에 대응되는 휘도 감소량이 상기 확장부(122-1)의 면적에 의해 보상되기 때문에 시청 영역(VA1 내지 VA9)별 휘도의 합의 더욱 균일해지므로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간의 휘도 편차를 더욱 최소화 내지 제로(zero)화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개구부(122)에 확장부(122-1)를 추가로 형성하여 입체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시청 영역(VA1 내지 VA9) 간의 휘도 편차를 더욱 최소화 내지 제로(zero)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표시 패널 110: 제 1 기판
111: 게이트 라인 113: 데이터 라인
115: 화소 전극 117a: 일측변
117b: 타측변 117c: 제 1 연결변
117d: 제 2 연결변 120: 제 2 기판
122: 개구부 122a: 제 1 개구변
122b: 제 2 개구변 122c: 제 3 개구변
122d: 제 4 개구변 122e: 제 5 개구변
122f: 제 6 개구변 122-1: 확장부
124: 블랙 매트릭스 200: 백 라이트부
300: 렌티큘러 렌즈 시트 320: 렌티큘러 렌즈

Claims (12)

  1. 화소 영역에 굽은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 합착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중첩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와 나란하도록 기울어진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갖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화소의 일측변과 나란한 기울기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화소와 다른 형태로 형성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화소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비대칭 구조로 형성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둔각으로 굽은 제 1 변과 제 2 변으로 이루어진 상기 일측변;
    상기 일측변과 나란하도록 이격되면서 둔각으로 굽은 제 3 변과 제 4 변으로 이루어진 타측변;
    상기 제 1 변과 상기 제 3 변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변; 및
    상기 제 2 변과 상기 제 4 변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변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제 1 변, 제 4 변, 제 1 및 제 2 연결변 상에 중첩되는 N개(단, N은 5)의 꼭지점을 포함하는 M(단, M은 N과 같거나 큰 자연수)각형으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제 1 변과 나란한 제 1 개구변;
    상기 제 3 변과 나란한 제 2 개구변;
    상기 제 1 개구변의 일단과 상기 제 2 개구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3 개구변;
    상기 제 2 연결변과 나란하고 상기 제 1 개구변의 타단에 연결된 제 4 개구변; 및
    상기 제 4 변과 나란하고 상기 제 2 개구변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5 개구변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화소 상에 중첩되면서 상기 제 2 변 쪽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은,
    상기 제 1 변과 나란한 제 1 개구변;
    상기 제 3 변과 나란한 제 2 개구변;
    상기 제 1 개구변의 일단과 상기 제 2 개구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3 개구변;
    상기 제 2 연결변과 나란한 제 4 개구변;
    상기 제 4 변과 나란하고 상기 제 2 개구변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5 개구변; 및
    상기 제 2 변과 나란하고 상기 제 1 개구변의 타단과 상기 제 4 개구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 6 개구변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개구변은 서로 나란하면서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5 및 제 6 개구변은 서로 나란하면서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제 5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변은 상기 제 1 변과 중첩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제 5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변의 연장선은 상하로 인접한 개구부의 제 1 개구변 상에 중첩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1. 제 5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 각각의 길이 방향은 상기 개구부의 제 1 개구변과 나란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시청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시청 영역 간의 경계부는 상기 개구부의 제 1 개구변과 일치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0140063344A 2014-05-26 2014-05-26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18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44A KR102181247B1 (ko) 2014-05-26 2014-05-26 입체 영상 표시 장치
DE102014117761.4A DE102014117761B4 (de) 2014-05-26 2014-12-03 Stereobild-Anzeigevorrichtung
CN201410806242.XA CN105182550B (zh) 2014-05-26 2014-12-19 立体图像显示装置
US14/581,279 US10321119B2 (en) 2014-05-26 2014-12-23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2014260092A JP6150787B2 (ja) 2014-05-26 2014-12-24 立体映像表示装置
TW103145311A TWI563292B (en) 2014-05-26 2014-12-24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44A KR102181247B1 (ko) 2014-05-26 2014-05-26 입체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28A true KR20150136228A (ko) 2015-12-07
KR102181247B1 KR102181247B1 (ko) 2020-11-23

Family

ID=5443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344A KR102181247B1 (ko) 2014-05-26 2014-05-26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21119B2 (ko)
JP (1) JP6150787B2 (ko)
KR (1) KR102181247B1 (ko)
CN (1) CN105182550B (ko)
DE (1) DE102014117761B4 (ko)
TW (1) TWI56329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293A (ko) * 2016-12-26 2018-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CN109116571A (zh) * 2017-06-22 2019-01-0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可直立和横向使用的立体显示设备
US10986329B2 (en) 2016-06-30 2021-04-20 Lg Display Co., Ltd. Autostereoscopic 3-dimensional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7376B2 (en) * 2015-03-12 2017-10-31 Lg Display Co., Ltd. Stereopsis display device
KR20170079443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무안경 3d 표시장치
CN106254858B (zh) * 2015-12-31 2018-05-04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光场显示控制方法和装置、光场显示设备
CN107290862B (zh) * 2016-03-30 2020-06-1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多视角显示装置
TWI584046B (zh) 2016-03-30 2017-05-2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多視角顯示裝置
CN106054397A (zh) * 2016-05-27 2016-10-26 贺曙 裸眼立体显示器及其制作方法
KR102597593B1 (ko) * 2016-11-30 2023-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CN110828527B (zh) * 2019-11-21 2023-1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三维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808784A (zh) * 2021-09-15 2023-03-1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6088193B (zh) * 2022-11-07 2024-06-28 北京视延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3494A1 (ja) * 2004-03-26 2005-10-06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三次元ディスプレイ
JP2009519497A (ja) * 2005-12-13 2009-05-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表示装置
US20110050683A1 (en) * 2009-09-03 2011-03-03 Hae-Young Yu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WO2012143817A2 (en) * 2011-04-19 2012-10-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output panel and devi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4373B2 (en) * 2007-07-19 2011-04-12 Chimei Innolux Corporatio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593515B1 (ko) * 2009-04-21 2016-0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 장치
HU0900478D0 (en) 2009-07-31 2009-09-28 Holografika Hologrameloeallito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3d images
TW201209479A (en) 2010-08-18 2012-03-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3D image display device and signal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5796761B2 (ja) 2010-09-15 2015-10-2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
CN102104469B (zh) 2011-03-07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上/下行harq反馈信息调度方法及装置
WO2012169466A1 (ja) * 2011-06-10 2012-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4211458A (ja) * 2011-08-31 2014-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US8582060B2 (en) * 2011-12-19 2013-11-12 Japan Display West Inc.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O2013132600A1 (ja) 2012-03-07 2013-09-12 富士通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装置
CN202720346U (zh) 2012-07-03 2013-02-0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栅结构及裸眼立体显示装置
JP6061266B2 (ja) 2012-10-19 2017-01-1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40063344A (ko) 2012-11-16 2014-05-27 최문규 옻을 이용한 옻소금및 옻장류 제조방법
CN202975533U (zh) * 2012-12-26 2013-06-05 黑龙江省四维影像数码科技有限公司 带有柱镜光栅的多视点立体成像ips液晶显示设备
US9513488B2 (en) * 2013-12-06 2016-12-0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3676169B (zh) * 2013-12-06 2016-08-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3494A1 (ja) * 2004-03-26 2005-10-06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三次元ディスプレイ
JP2009519497A (ja) * 2005-12-13 2009-05-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表示装置
US20110050683A1 (en) * 2009-09-03 2011-03-03 Hae-Young Yu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WO2012143817A2 (en) * 2011-04-19 2012-10-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output panel and device ha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6329B2 (en) 2016-06-30 2021-04-20 Lg Display Co., Ltd. Autostereoscopic 3-dimensional display
KR20180075293A (ko) * 2016-12-26 2018-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CN109116571A (zh) * 2017-06-22 2019-01-0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可直立和横向使用的立体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117761A1 (de) 2015-11-26
US20150341623A1 (en) 2015-11-26
JP6150787B2 (ja) 2017-06-21
TWI563292B (en) 2016-12-21
TW201544846A (zh) 2015-12-01
CN105182550A (zh) 2015-12-23
KR102181247B1 (ko) 2020-11-23
US10321119B2 (en) 2019-06-11
DE102014117761B4 (de) 2020-07-09
CN105182550B (zh) 2018-08-31
JP2015225339A (ja) 201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6228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8149348B2 (en) Display device and lenticular sheet of th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JP4371012B2 (ja) 画像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表示パネル及びレンズ
KR102171611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92453A1 (zh) 三维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20011342A (ko) 2d/3d 겸용 표시 장치
KR20130092003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30055997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144733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EP3067733B1 (en) Stereopsis display device
US8749742B2 (en)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element
KR101378342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2283145B1 (ko)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6982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31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US20150145976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KR102263920B1 (ko) 컬러필터기판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US20240168308A1 (en) 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KR102307203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EP3299883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ens panel
KR10228314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6340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20130490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20170014687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