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693A -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693A
KR20150135693A KR1020140062333A KR20140062333A KR20150135693A KR 20150135693 A KR20150135693 A KR 20150135693A KR 1020140062333 A KR1020140062333 A KR 1020140062333A KR 20140062333 A KR20140062333 A KR 20140062333A KR 20150135693 A KR20150135693 A KR 20150135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ntent
online
publisher
distribu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채
유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브릭
Priority to KR102014006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5693A/ko
Publication of KR2015013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콘텐츠 게시자가 온라인 콘텐츠를 게재하고, 게재한 온라인 콘텐츠에 콘텐츠 게시자가 직접 온라인 광고를 등록하며, 콘텐츠 요청자가 온라인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온라인 콘텐츠와 온라인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를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게시자가 게재한 온라인 콘텐츠에 콘텐츠 게시자가 직접 온라인 광고를 등록하며, 콘텐츠 요청자가 온라인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온라인 콘텐츠와 온라인 콘텐츠에 등록된 온라인 광고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게시자는 자신이 올리는 콘텐츠에 직접 광고를 등록할 수 있고, 광고 게재에 대한 권리를 콘텐츠 게시자와도 공유하게 됨으로써 해당 웹 사이트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s to be registered on-line AD by user}
본 발명은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 게시자가 온라인 콘텐츠를 게재하고, 게재한 온라인 콘텐츠에 콘텐츠 게시자가 직접 온라인 광고를 등록하며, 콘텐츠 요청자가 온라인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온라인 콘텐츠와 온라인 콘텐츠에 등록된 온라인 광고를 함께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됨에 따라 인터넷은 현대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었다. 많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 검색, 온라인 게임, 전자 상거래, 인터넷 뱅킹, 이메일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더욱이 인터넷을 통하여 수동적으로 정보를 수용하기만 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 경험 등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해 게시판 등에 글 등을 게시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발맞추어 광고주들은 게시판 등의 웹 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하기 위해 해당 웹 페이지를 운영하는 업체에 광고를 의뢰하고, 해당 업체는 웹 페이지에 광고를 게시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가 광고의 게재를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고, 일부 유튜브(Youtube) 등과 같은 일부 인터넷 서비스 업체가 광고 수익의 극히 일부를 콘텐츠 게시자에게 주고 있는 상황이다.
KR 10-0854143 (전종한) 2008. 8. 19. 특허문헌 1은 동영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통한 광고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동영상 UCC의 분류된 각 장면을 통해 연상될 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광고 콘텐츠가 선택되어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영상 UCC가 재생될 때 설정된 광고 콘텐츠가 함께 노출되도록 하는 광고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9-0041230 (주식회사 엔톰애드) 2009. 4. 28. 특허문헌 2는 인터넷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로서, 특허문헌 2에는 광고주가 콘텐츠의 내용이나 인기도 등을 직접 판단하여 광고 제공 여부를 결정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 게시자가 온라인 콘텐츠를 게재하고, 게재한 온라인 콘텐츠에 콘텐츠 게시자가 직접 온라인 광고를 등록하며, 콘텐츠 요청자가 온라인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온라인 콘텐츠와 온라인 콘텐츠에 등록된 온라인 광고를 함께 제공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콘텐츠 게재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콘텐츠를 게재하는 콘텐츠 게재부;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등록하는 광고 등록부; 및 상기 콘텐츠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에 등록된 상기 광고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 등록부는,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등록하는 경우, 상기 광고의 노출 시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노출 시기 정보는, 상기 광고의 노출 기간, 상기 광고의 노출 주기 및 상기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광고에 설정된 광고 노출 시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광고 형식에 따른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의 조작에 의해 생성하는 광고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는, 광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광고 등록부는,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지정된 광고 노출 위치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등록부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 중에서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기 광고 노출 위치에 상기 광고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광고가 등록된 콘텐츠 제공 장치의 콘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콘텐츠 게재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콘텐츠를 게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에 등록된 상기 광고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 등록 단계는,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등록하는 경우, 상기 광고의 노출 시기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노출 시기 정보는, 상기 광고의 노출 기간, 상기 광고의 노출 주기 및 상기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광고에 설정된 광고 노출 시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광고 형식에 따른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의 조작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는, 광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광고 등록 단계는,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지정된 광고 노출 위치에 등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고 등록 단계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 중에서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기 광고 노출 위치에 상기 광고를 등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콘텐츠 게시자가 게재한 온라인 콘텐츠에 콘텐츠 게시자가 직접 온라인 광고를 등록하며, 콘텐츠 요청자가 온라인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온라인 콘텐츠와 온라인 콘텐츠에 등록된 온라인 광고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게시자는 자신이 올리는 온라인 콘텐츠에 직접 온라인 광고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게시자가 올리는 온라인 콘텐츠에 직접 온라인 광고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게재에 대한 권리를 콘텐츠 게시자와도 공유하게 됨으로써 해당 웹 사이트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에 광고를 등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 가능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광고가 등록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광고가 등록된 콘텐츠 제공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이하 '콘텐츠 제공 장치'라 한다)(100), 복수의 콘텐츠 게재 단말(200-1 내지 200-n) 및 복수의 콘텐츠 요청 단말(300-1 내지 300-n)을 포함하며, 이들 장치(100, 200, 300)는 통신망(40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을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콘텐츠(이하 '콘텐츠'라 한다)를 저장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견, 경험, 지식 등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해 게시판 등의 웹 페이지에 게시하는 콘텐츠를 나타내고, 문자, 영상, 음성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사용자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를 게시한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온라인 광고(이하 '광고'라 한다)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 요청 단말(300)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콘텐츠 요청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때,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해당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도 함께 콘텐츠 요청 단말(300)에 제공한다.
콘텐츠 게재 단말(200)은 콘텐츠 게재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를 통신망(400)을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콘텐츠 게재 단말(200)은 콘텐츠 게재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는 콘텐츠에 광고를 등록할 수 있다.
콘텐츠 요청 단말(300)은 콘텐츠 요청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400)을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콘텐츠를 요청한다. 아울러, 콘텐츠 요청 단말(300)은 콘테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와 함께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면, 해당 콘텐츠와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한편, 콘텐츠 게재 단말(200)과 콘텐츠 요청 단말(30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명칭을 달리 표현할 것일 뿐, 콘텐츠 게재 단말(200)이나 콘텐츠 요청 단말(300)은 서로 동일한 사용자 단말(도시하지 않음)이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를 받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통신망(400)을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는다.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휴대전화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콘텐츠 게재부(120), 저장부(130), 광고 생성부(140), 광고 등록부(150) 및 콘텐츠 제공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을 통해 다른 장치와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무선 인터넷 모듈(도시하지 않음), 방송 송수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근거리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유선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망 상에서 이동통신 시스템(30)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는 타 이동 단말기(100)와 호 연결을 하거나, 문자,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타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하거나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에는,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통해 방송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시스템에는,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등이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교통 정보, 생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다른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연결된 다른 장치와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동작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내부에 내장된 저장 매체이거나, 탈부착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여기서, 저장 매체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메모리,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이 있다.
콘텐츠 게재부(12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로부터 통신망(400)을 통해 수신한 콘텐츠를 게재한다. 즉, 콘텐츠 게재부(12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게시판 등의 웹페이지에 콘텐츠를 게재한다.
광고 생성부(14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광고 형식에 따른 광고를 콘텐츠 게재 단말(200)의 조작에 의해 생성한다. 여기서, 광고 형식에는 배너 광고, 검색 광고, 오버추어 광고, 인-비디오(In-Video) 광고, 동영상 광고 등이 있다. 즉, 광고 생성부(140)는 콘텐츠의 게재 요청을 한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광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광고는 광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광고 생성부(140)는 광고 템플릿을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게 제공하고,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광고 템플릿을 기반으로 콘텐츠 게재 단말(200)의 조작에 따라 광고를 생성할 수 있다.
광고 등록부(15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콘텐츠 게재 단말(200)이 제공한 콘텐츠에 등록한다. 즉, 광고 등록부(15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광고나 광고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광고를 콘텐츠 게재 단말(200)이 게재 요청한 콘텐츠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광고 등록부(150)는 광고를 콘텐츠에 등록하는 경우, 광고의 노출 시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광고 등록부(150)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의 조작에 의해 해당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의 노출 시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노출 시기 정보는 광고의 노출 기간, 광고의 노출 주기 및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등록부(150)는 광고를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지정된 광고 노출 위치에 등록할 수 있다. 즉, 광고 등록부(150)는 웹 페이지 화면 상에서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광고를 등록할 수 있다.
아울러, 광고 등록부(150)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광고 등록부(150)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 중에서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지정된 광고 노출 위치에 광고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게재자는 웹 페이지 상에서 광고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지만, 콘텐츠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복수의 광고 노출 위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부(160)는 통신망(400)을 통해 콘텐츠 요청 단말(300)의 콘텐츠 제공 요청이 있으면, 해당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를 통신망(400)을 통해 콘텐츠 요청 단말(300)로 제공한다. 즉, 콘텐츠 게재 단말(200)이 게재한 콘텐츠를 콘텐츠 요청 단말(300)로 제공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부(160)는 해당 콘텐츠뿐만 아니라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해당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도 함께 콘텐츠 요청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부(160)는 광고에 설정된 광고 노출 시기 정보를 기초로 광고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요청 단말(300)이 요청한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의 노출 시기가 "주중"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해당 콘텐츠를 주중에 요청하면 콘텐츠와 광고를 같이 콘텐츠 요청 단말(300)로 제공하고, 해당 콘텐츠를 주말에 요청하면 콘텐츠만 콘텐츠 요청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요청 단말(300)이 요청한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 노출 시기가 "2014년 1월 1일 ~ 2014년 1월 31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해당 콘텐츠를 2014년 1월 31일에 요청하면 콘텐츠와 광고를 같이 콘텐츠 요청 단말(300)로 제공하고, 해당 콘텐츠를 2014년 2월 1일에 요청하면 콘텐츠만 콘텐츠 요청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에 광고를 등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게재 단말(200)은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게시판 등의 웹 페이지를 콘텐츠 게재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화면(SCR)을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콘텐츠 게재 단말(200)은 콘텐츠 게재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UC)를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게재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게재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UC)를 게재할 때, 콘텐츠 게재 단말(200)은 콘텐츠 게재자의 조작에 따라 광고(AD)를 콘텐츠(UC)에 등록할 수 있다. 물론, 콘텐츠 게재 단말(200)은 콘텐츠(UC)에 광고(AD)를 등록하는 경우, 콘텐츠 게재자의 조작에 따라 광고(AD)의 노출 시기 정보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요청 단말(300)이 콘텐츠 게재 단말(200)이 게재한 콘텐츠(UC)를 요청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UC)와 광고(AD)를 같이 콘텐츠 요청 단말(300)에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 가능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게재 단말(200)은 광고(AD)를 콘텐츠(UC)에 등록하는 경우, 콘텐츠 게재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화면(SCR)을 통해 광고 노출이 가능한 위치(AP_1 내지 AP_10)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광고 노출 가능 위치(AP_1 내지 AP_10) 중에서 콘텐츠 게재자에 의해 선택된 광고 노출 위치에 광고(AD)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광고(AD)의 노출 위치를 콘텐츠 게재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광고 가능 노출 위치(AP_1 내지 AP_10) 중에서 하나를 지정하여 광고(AD)를 등록시킬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요청 단말(300)이 콘텐츠 게재 단말(200)이 게재한 콘텐츠(UC)를 요청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UC)와 광고(AD)를 같이 콘텐츠 요청 단말(300)에 제공하고, 광고(AD)가 설정된 위치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게재 단말(200)은 콘텐츠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게시판 등의 웹 페이지에 콘텐츠를 게재하기 위해 콘텐츠를 통신망(400)을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S110).
그러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웹 페이지에 게재한다(S130).
그리고,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콘텐츠에 등록한다(S150). 즉,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광고 형식에 따른 광고를 콘텐츠 게재 단말(200)의 조작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광고는 광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광고나 콘텐츠 게재 단말(200)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광고를 콘텐츠 게재 단말(200)이 게재 요청한 콘텐츠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를 콘텐츠에 등록하는 경우, 광고의 노출 시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게재 단말(200)의 조작에 의해 해당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의 노출 시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노출 시기 정보는 광고의 노출 기간, 광고의 노출 주기 및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를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지정된 광고 노출 위치에 등록할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 중에서 콘텐츠 게재 단말(200)에 의해 지정된 광고 노출 위치에 광고를 등록할 수도 있다.
이후, 콘텐츠 요청 단말(300)로부터 통신망(400)을 통해 콘텐츠의 제공 요청이 오면(S170),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해당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에 등록된 광고를 콘텐츠 요청 단말(300)로 제공한다(S190). 이때,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에 설정된 광고 노출 시기 정보를 기초로 광고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에 광고를 등록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 게재자가 보유한 포인트(예컨대, 적립금 등)에서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차감할 수도 있다. 예컨대, 콘텐츠 게재자가 게시한 콘텐츠에 광고에 등록하는 포인트가 "1,000 포인트"이라고 가정하면, 콘텐츠 게재자 'A'는 2,000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고, 콘콘텐츠 게재자 'B'는 500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으면, 콘텐츠 게재자 'A'는 콘텐츠를 게재하면서 광고를 콘텐츠에 등록할 수 있지만, 콘텐츠 게재자 'B'는 보유 포인트가 부족하여 콘텐츠를 게재하면서 광고를 콘텐츠에 등록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콘텐츠를 광고에 등록하는 경우 일정 포인트가 차감되는 것이 아니라, 광고 형식에 따라 차감되는 포인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광고가 노출되는 위치에 따라 차감되는 포인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의 노출 시기 정보에 따라 차감되는 포인트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콘텐츠 제공 장치, 110 : 통신부,
120 : 콘텐츠 게재부, 130 : 저장부,
140 : 광고 생성부, 150 : 광고 등록부,
160 : 콘텐츠 제공부, 200 : 콘텐츠 게재 단말,
300 : 콘텐츠 요청 단말, 400 : 통신망

Claims (17)

  1. 콘텐츠 게재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콘텐츠를 게재하는 콘텐츠 게재부;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등록하는 광고 등록부; 및
    상기 콘텐츠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에 등록된 상기 광고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광고 등록부는,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등록하는 경우, 상기 광고의 노출 시기 정보를 설정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노출 시기 정보는, 상기 광고의 노출 기간, 상기 광고의 노출 주기 및 상기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광고에 설정된 광고 노출 시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광고 형식에 따른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의 조작에 의해 생성하는 광고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광고는, 광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광고 등록부는,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지정된 광고 노출 위치에 등록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광고 등록부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 중에서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기 광고 노출 위치에 상기 광고를 등록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9.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콘텐츠 게재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콘텐츠를 게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에 등록된 상기 광고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광고 등록 단계는,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등록하는 경우, 상기 광고의 노출 시기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노출 시기 정보는, 상기 광고의 노출 기간, 상기 광고의 노출 주기 및 상기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광고에 설정된 광고 노출 시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광고 형식에 따른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의 조작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광고는, 광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
  15. 제9항에서,
    상기 광고 등록 단계는, 상기 광고를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지정된 광고 노출 위치에 등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광고 등록 단계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광고의 노출이 가능한 위치 중에서 상기 콘텐츠 게재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기 광고 노출 위치에 상기 광고를 등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62333A 2014-05-23 2014-05-23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135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333A KR20150135693A (ko) 2014-05-23 2014-05-23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333A KR20150135693A (ko) 2014-05-23 2014-05-23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693A true KR20150135693A (ko) 2015-12-03

Family

ID=5487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333A KR20150135693A (ko) 2014-05-23 2014-05-23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56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200A (ko) 2018-12-28 2020-07-08 황재윤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200A (ko) 2018-12-28 2020-07-08 황재윤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5380B1 (en) Platform for location and time based advertising
US109024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designate incentives for content transfer
US201203236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promotional offer
US20100114709A1 (en) Real-time distribution of targeted advertisement and sponsored content
GB2452789A (en) Selecting information content for transmission by identifying a keyword in a previous message
US20140156387A1 (en) Generating Advertising Metrics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10339568B2 (en) Audio-triggered notifications for mobile devices
KR20130082994A (ko) 모바일단말기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0148014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区块链节点设备及存储介质
KR101600523B1 (ko) 온라인 광고 대행 방법 및 온라인 광고 대행 시스템
US20140379479A1 (en) Advertisement provision management apparatus, advertisement provision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00114697A1 (en) Real-time distribution of targeted advertisement and sponsored content
KR20200041525A (ko) 이동차량의 광고판의 위치정보와 연동되는 주행거리 기반 광고비를 산정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07969A (ko) 광고중개서버 및 광고중개방법
CN106709749B (zh) 媒体信息的投放方法及服务器
KR20130084691A (ko) 분산된 이종 매체들에서의 협업 추천 및 내장형 트리거 선택
US201303045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ranking information
KR101217893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포워딩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CA28075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through recognition of designated web site and web page
KR101638146B1 (ko) 비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30211B1 (ko) 다양한 링크옵션을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613425B2 (ja)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及びメッセージ配信プログラム
KR20150010854A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광고 서버
US20150332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Slots Before Hyperlink Destination
KR20150135693A (ko)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