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028A -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028A
KR20150133028A KR1020140059822A KR20140059822A KR20150133028A KR 20150133028 A KR20150133028 A KR 20150133028A KR 1020140059822 A KR1020140059822 A KR 1020140059822A KR 20140059822 A KR20140059822 A KR 20140059822A KR 20150133028 A KR20150133028 A KR 20150133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fire
spray
derivativ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788B1 (ko
Inventor
김해지
신성훈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성훈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7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5/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power-drive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가 개시된다. 플러그의 단자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라 소화를 진행하는 소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장치는, 내부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방지하는 분사차단막; 및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분사차단막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유도하는 분사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본 발명은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옥내 배선측의 접속기인 콘센트에 전원이 연결되고, 전자제품의 케이블 단부에 형성된 플러그가 콘센트와 접속되면,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제품이 작동될 수 있다.
하나의 콘센트로 다수개의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플러그가 결속되는 결속부를 다수개 형성시킨 멀티탭 등과 같은 콘센트가 많이 사용된다.
콘센트에 많은 수의 전기장치를 결속시켜 사용하거나 단위시간에 대한 전력소비량이 많은 다리미나 헤어드라이기 등의 전기장치를 장시간 사용할 때에는 상기 콘센트에 많은 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전선이 훼손되는 합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센트에는 상기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안전하게 전기장치들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391호(2013.06.10 공개, 안전 콘센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 후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러그의 단자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라 소화를 진행하는 소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장치는, 내부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방지하는 분사차단막; 및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분사차단막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유도하는 분사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가 제공된다.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이동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차단막은 상기 이동관과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하고, 화재 발생이 있는 경우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해제하여 상기 분사유도체를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이동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유도체는, 상기 분사차단막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락킹부의 일단이 상기 분사노즐을 관통하여 상기 분사유도체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분사유도체는, 상기 분사노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상기 분사차단막을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헤드; 상기 락킹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단부의 단면적은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락킹부를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해제하는 락킹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조절부는, 상기 락킹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 후면의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분사노즐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후면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센트 후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자동적으로 진압함으로써 대형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와 소화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소화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와 소화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소화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0)는, 본체(11), 커버(12), 센서부(13), 삽입돌기(14) 및 소화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플러그(plug) 단자가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커버(12)는 본체(11)의 전면에 결합된다. 센서부(13)는 콘센트(10) 후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3)는 여러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광센서일 수 있다. 수광센서는 콘센트(10) 후면의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에 따른 빛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기준값 이상의 빛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소화장치(100)로 송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3)는 콘센트(10)의 본체(11)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부(13)가 감지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센서부(13)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콘센트(10)의 본체(11) 후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센서부(13)가 상기 삽입홀에 볼트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삽입돌기(14)는 소화장치(100)와 끼움결합되는 부분으로, 소화장치(100)의 삽입홈(171)에 삽입될 수 있다.
소화장치(100)는 저장부(110), 분사노즐(120), 분사차단막(130) 및 분사유도체(140)를 포함하고, 락킹부(150), 락킹조절부(160) 및 프레임(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내부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카트리지로서, 콘센트(10)의 본체(11)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화약제는 불을 끌 수 있는 물질로서, 이산화탄소(CO2), 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120)은 소화약제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저장부(110)와 연결되는 노즐이다. 분사노즐(120)에는 분사구(121)가 구비되어 소화약제가 분사구(121)를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20)은 콘센트(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분사구(121)는 분사노즐(12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구(121)는 효율적인 화재 진압을 위하여 소화약제가 분사노즐(120)에서 양측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1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구(121)는 화재에 취약한 부분을 향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분사차단막(130)은 분사노즐(1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화약제의 분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분사차단막(130)에 의하여 소화약제는 저장부(110)에서 분사노즐(120) 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분사차단막(130)은 분사유도체(140)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도록, 폴리아세탈(POM: Polyacetal, Polyoxymethylene)수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10)와 분사노즐(120) 사이에 이동관(131)이 개재될 수 있다. 이동관(131)은 저장부(110)에서 분사노즐(120)로 소화약제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동관(131)은 필요에 따라 절곡될 수 있으나, 소화약제가 이동하는 데에 있어, 소화약제가 받는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곡선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0)는 분사노즐(120)의 양측에 설치되고, 이동관(131) 역시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차단막(130)은 분사노즐(120)과 이동관(13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분사차단막(130)이 제거되기 전까지는 저장부(110) 내의 소화약제가 이동관(131) 내부로 이동하여 머무를 수 있다.
분사유도체(140)는 콘센트(10)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이 있는 경우, 분사차단막(130)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분사유도체(140)는 고속으로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이동하여 분사차단막(130)을 관통하여 파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차단막(130)이 제거되면, 압력 차에 의하여 소화약제가 분사노즐(120)로 고속으로 이동하고 분사구(121)를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락킹부(150)는 화재 발생이 없는 경우 분사유도체(140)를 구속하고, 화재 발생이 있는 경 분사유도체(140)를 구속해제하여 분사유도체(140)를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분사유도체(140)는 분사노즐(1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사노즐(120) 내에는 분사유도체(140)를 수용하는 수용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분사유도체(140)가 분사노즐(120) 내부에 있다면, 화재 발생 시 분사유도체(140)가 분사차단막(130)을 파괴하더라도 분사노즐(120) 자체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소화약제를 온전히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락킹부(150)의 일단은 분사노즐(120)을 관통하여 분사유도체(140)를 지지함으로써 분사유도체(140)를 구속할 수 있다. 락킹부(150)의 일단이 분사노즐(120)을 관통하더라도 락킹부(150)의 일단과 분사노즐(120)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소화약제가 유출되지 않는다.
분사유도체(140)는 몸체(141), 헤드(142), 지지부(143) 및 탄성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41)는 분사노즐(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헤드(142)는 몸체(141)의 단부에 분사차단막(130)을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헤드(142)는 실제적으로 분사차단막(130)을 파괴시키는 역할을 하며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142)가 분사차단막(130)에 만드는 구멍을 통하여 분사유도체(140)가 이동하기 위하여 헤드(142)의 크기는 몸체(141)의 폭보다 커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42)의 단부의 단면적은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142)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헤드(142)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분사차단막(130)의 특정 지점(예를 들어, 분사차단막(130)의 중앙)에 분사유도체(140)가 가하는 힘이 강력해질 수 있다.
지지부(143)는 락킹부(150)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으로 몸체(141)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3)는 몸체(14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부(150)는 헤드(142)와 지지부(143)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부(143)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43)의 전체 폭은 헤드(14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헤드(142)가 분사차단막(130)에 만든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탄성부재(144)는 분사노즐(120) 내부에 배치되어 지지부(143)를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4)는 압축된 상태로 분사노즐(120)의 수용부(122)에 위치하여 지지부(143)를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의 탄성부재(144)는 몸체(141)를 커버(12)할 수 있다. 지지부(143)가 몸체(14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경우, 탄성부재(144)는 지지부(143)의 일면을 가압하고, 락킹부(150)는 지지부(143)의 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분사유도체(140)가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4)는 분사유도체(140)가 구속해제 되었을 때,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더해주므로, 분사유도체(140)가 빠른 속도로 분사차단막(130)을 제거(파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에 따라, 분사차단막(130) 파괴의 정확성을 높여주며, 화재 진압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150)는 두 개의 바(bar)가 서로 연결된'H'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바 일단은 분사노즐(120) 내부에 관통되어 헤드(142)와 지지부(14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락킹조절부(160)는 분사유도체(140)를 구속해제하기 위하여 락킹부(150)를 분사노즐(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락킹조절부(160)는 와이어(161), 회전체(162), 구동부(163)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61)는 락킹부(150)의 타단에 결합되며, 불필요하게 끊어지지 않도록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이어(161)는 도르래(164)에 의하여 이동 방향이 변화할 수 있다. 도르래(164)를 이용하면, 와이어(161) 이동에 대한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회전체(162)는 와이어(161)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회전체(162)가 회전하면 와이어(161)는 와인딩(winding)될 수 있다. 회전체(162)에는 홀(162a)이 형성되어 와이어(161)가 삽입될 수 있다. 와이어(161)는 홀(162a)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구동부(163)는 회전체(16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162)와 모터는 끼워맞춤되어 있어 특별한 부품이 없이도 결합되며 모터 회전에 따라 회전체(162)가 회전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화재의 발생에 따라 구동부(163)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콘센트(10) 본체(11)의 후면에 구비된 센서부(13)에 의하여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센서부(13)로부터 신호를 송신받게 되고, 구동부(163)를 구동시킨다.
제어부는 M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13)와 연결되는 신호선이 자체적으로 끊어지는 경우에는 MCU는 풀다운(pull-down) 저항을 잃게 되어 선이 단락되었다고 인식하여 구동부(163)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에는 배터리(battery)가 장착되어 있어 스스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모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제어부가 센서부(13)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부(163)를 구동시키면, 회전체(162)가 와이어(161)를 당기게 되고, 와이어(161)는 락킹부(150)를 당기게 된다. 락킹부(150)가 분사노즐(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사유도체(140)가 구속해제되고, 분사유도체(140)는 분사차단막(130)을 향하여 이동하여 분사차단막(130)을 관통하며 파괴하게 된다. 이 때, 소화약제의 불필요한 유출을 막기 위하여 락킹부(150)가 분사노즐(120)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지는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사유도체(140)가 분사차단막(130)을 제거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분사유도체(140)의 지지부(143)를 지지하고 있던 락킹부(150)가 후측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143)의 지지가 종료되며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44)가 지지부(143)를 분사차단막(130)으로 강하게 가압하여 분사유도체(140)가 분사차단막(130)을 파괴할 수 있다.
분사유도체(140)가 분사차단막(130)을 제거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10) 및 이동관(131) 내에 있던 소화약제가 분사노즐(120)로 이동하여 분사구(121)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콘센트(10) 후면에서 발생한 화재가 진압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콘센트용 소화장치(100)는 프레임(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70)은 분사노즐(120)을 고정시키도록 콘센트(10)의 본체(11)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70)에는 콘센트 본체(11)의 삽입돌기(14)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7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사노즐(120)을 고정하기 위하여 분사노즐(120)을 삽입시키는 개구부(17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70)에는 와이어(161)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도르래(164)가 구비되며, 구동부(163)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동부(163)가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70)에는 락킹부(150)가 후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가 마련되는데, 상기 가이드는 'H'모양의 락킹부(150)의 두 개의 바(bar)의 타단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에 의하면, 콘센트 후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어 대형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콘센트
11: 본체
12: 커버
13: 센서부
14: 삽입돌기
100: 소화장치
110: 저장부
120: 분사노즐
121: 분사구
122: 수용부
130: 분사차단막
131: 이동관
140: 분사유도체
141: 몸체
142: 헤드
143: 지지부
144: 탄성부재
150: 락킹부
160: 락킹조절부
161: 와이어
162: 회전체
162a: 홀
163: 구동부
164: 도르래
170: 프레임
171: 삽입홈
172: 개구부

Claims (13)

  1. 플러그의 단자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라 소화를 진행하는 소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장치는,
    내부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방지하는 분사차단막; 및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분사차단막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유도하는 분사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이동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차단막은 상기 이동관과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하고,
    화재 발생이 있는 경우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해제하여 상기 분사유도체를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이동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도체는, 상기 분사차단막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락킹부의 일단이 상기 분사노즐을 관통하여 상기 분사유도체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도체는,
    상기 분사노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상기 분사차단막을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헤드;
    상기 락킹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단부의 단면적은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락킹부를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해제하는 락킹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조절부는,
    상기 락킹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 후면의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분사노즐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면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1020140059822A 2014-05-19 2014-05-19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101618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22A KR101618788B1 (ko) 2014-05-19 2014-05-19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22A KR101618788B1 (ko) 2014-05-19 2014-05-19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028A true KR20150133028A (ko) 2015-11-27
KR101618788B1 KR101618788B1 (ko) 2016-05-09

Family

ID=5484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822A KR101618788B1 (ko) 2014-05-19 2014-05-19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7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4765A (zh) * 2015-06-30 2015-09-23 张建生 一种具有自灭火安全装置的焊枪用万用插头
CN110279960A (zh) * 2019-05-29 2019-09-27 陕西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防火自灭火插座及插头
KR102249270B1 (ko) * 2019-12-16 2021-05-07 이진국 투척식 소화기가 구비된 안전 멀티탭
KR102414919B1 (ko) * 2021-09-14 2022-06-29 류진환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
KR102435728B1 (ko) * 2022-03-29 2022-08-24 (주)헤스테크놀로지 배터리 테스트 챔버 내부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진압 시스템을 이용한 소화 방법
KR102484196B1 (ko) * 2022-03-23 2023-01-02 이진석 저방전 배터리 충방전 전류량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959A (ko) 2020-12-04 2022-06-13 장경석 콘센트용 소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159Y1 (ko) 2002-03-20 2002-08-13 이종한 소화기용 밸브 개방장치
KR101011709B1 (ko) 2007-08-10 2011-01-28 임두만 콘센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4765A (zh) * 2015-06-30 2015-09-23 张建生 一种具有自灭火安全装置的焊枪用万用插头
CN110279960A (zh) * 2019-05-29 2019-09-27 陕西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防火自灭火插座及插头
KR102249270B1 (ko) * 2019-12-16 2021-05-07 이진국 투척식 소화기가 구비된 안전 멀티탭
KR102414919B1 (ko) * 2021-09-14 2022-06-29 류진환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
KR102484196B1 (ko) * 2022-03-23 2023-01-02 이진석 저방전 배터리 충방전 전류량 제어 시스템
KR102435728B1 (ko) * 2022-03-29 2022-08-24 (주)헤스테크놀로지 배터리 테스트 챔버 내부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진압 시스템을 이용한 소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788B1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788B1 (ko)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101998280B1 (ko) 전기자동차의 소화장치
JP6686232B2 (ja) 知能型自動消火噴射器
US5936531A (en) Electrical fire sensing and prevention/extinguishing system
RU2609215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горячем проходе/холодном проходе центра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KR101825187B1 (ko)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KR101976752B1 (ko) 도로 터널 유지관리용 소화전함
US20160346580A1 (en) Extinguish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liquid synthetic extinguishing agent and water
KR101761723B1 (ko) 사용이 용이한 소방호스를 갖춘 소방장치
KR101940601B1 (ko) 자동 소화시스템
KR1017975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1982659B1 (ko)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WO2018016995A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и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установки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974074B1 (ko) 터널 화재 진압 시스템
KR20090016346A (ko) 콘센트
KR20170028680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재시스템 및 방법
KR102209985B1 (ko) 드라이 팬턴트 조립체
JP2000508935A (ja) 爆発抑制剤散布ノズル
KR101880036B1 (ko)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KR101273352B1 (ko)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WO2004098718A1 (en) Combined water spray fire protection system using common piping with gaseous fire protection system
RU2671122C1 (ru) Способ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складов со стеллажным хранением и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ьно-пусковое автономное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20180046292A (ko) 소방용 분무노즐
KR20150033016A (ko) 벽 내장용 소화장치
KR20140131724A (ko) 소방용 관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