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981A -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981A
KR20150126981A KR1020157031555A KR20157031555A KR20150126981A KR 20150126981 A KR20150126981 A KR 20150126981A KR 1020157031555 A KR1020157031555 A KR 1020157031555A KR 20157031555 A KR20157031555 A KR 20157031555A KR 20150126981 A KR20150126981 A KR 20150126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gesture
screen
area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665B1 (ko
Inventor
겐고 고아라
히데노리 가와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6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031Use of touch scree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44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OI operator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표시부(101)와, 좌표 입력부(102)와, 표시 처리부(107)와, 조작 처리부(108)와, 제어부(110)와,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의 유효화/무효화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고, 표시 화면은 표시 내용의 변경이 가능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과, 표시 내용의 변경이 불가능한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을 가지고, 전환부는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무효인 경우에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과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의 조작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유효화하고,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경우에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의 조작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무효화하고, 화면 제스처를 유효화하며, 표시 처리부(107)는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경우에,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에 소정의 표시를 행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PROGRAMMABLE DISPLAY DEVICE AND SCREEN OPERATION PROCESSING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형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산업용에 이용되는 표시·조작 단말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비롯하여, 표시 디바이스와 1점 이상의 터치 조작 좌표의 검출이 가능한 좌표 입력부를 구비한 컴퓨터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에서는, 고기능화, 화면의 고해상도화에 따라서, 그 표시 컨텐츠는 보다 고정밀하게 되어 있다. 한편, 한정된 사이즈의 화면에 많은 정보를 표시(배치)하면, 개개의 요소(오브젝트)의 사이즈가 작아져, 시인성·조작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특히 터치 조작에 있어서, 사람의 손가락끝의 사이즈에 대해 충분한 사이즈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오브젝트는, 적확(的確)한 좌표 지시가 곤란하여, 오조작을 일으키기 쉽다. 여기서, 오브젝트란 터치해서 조작하는 스위치의 기능을 가지는 것, 또는 그래프 혹은 램프 등 정보를 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 등의 컴퓨터상의 가상적인 부품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일부의 컴퓨터 장치에서는, 작은 오브젝트를 지시하기 위한 펜 모양의 부속품(스타일러스(stylus))을 구비한 것이 있다. 스타일러스는 작은 오브젝트의 조작 외, 문자의 자필 입력 등 정밀도가 요구되는 조작에 대해서는 유효하다. 그러나 스타일러스는 분실 또는 파손의 우려가 있거나, 휴대형(可搬型, portable type))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는 조작시에 한쪽 손으로 컴퓨터 장치를 잡고, 다른 쪽 손으로 스타일러스 펜을 잡고 조작하기 때문에, 2점 이상의 동시 조작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 손가락끝으로의 조작을 상정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에 제시되는 것처럼, 2개의 손가락끝으로 동시에 터치한 2점의 간격을 넓히는 조작(핀치 오픈(pinch open) 또는 핀치 아웃(pinch-out)이라고 함), 혹은 좁히는 조작(핀치 클로즈(pinch close) 또는 핀치 인(pinch-in)이라고 함)에 대응하여, 각각 표시 화면의 일부를 확대, 축소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제품도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열람·조작하는 대상을 필요에 따라서 확대 표시하여, 시인성·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축소 표시하여 많은 정보를 부감적(俯瞰的)으로 확인하는 것을 동적(動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추가로, 1점을 터치한 채로 터치 위치를 이동 후에 릴리스(release)(드래그, 빠르게 튕기는 경우는 플릭((flick)이라고 불림)함으로써 표시 내용의 스크롤(scroll)(표시 위치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위치의 이동이나 터치 상태의 변화를 수반하는 조작은 제스처(gesture)(제스처 조작)라고 불리고 있다.
제스처의 타입에는, 상기한 것처럼 터치한 채로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것 같은 조작을 수반하는 것이 있는 반면에, 1점을 순간적으로 터치 후, 릴리스하는 탭(tap) 조작, 연속해서 2번 탭을 행하는 더블 탭 조작 등 다양하다. 이들 제스처 타입의 판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터치한 점수(点數), 터치를 계속하고 있는 시간, 터치하고 있는 좌표의 변화에 기초하여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 성질상, 예를 들어 화면상에 배치한 가상적인 스위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생각했을 때, 그 스위치를 터치한 순간에 스위치의 화상을 누른 상태의 이미지로 전환함으로써, 터치 조작이 스위치에 작용한 것을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에 할당한 기능(예를 들어 화면을 전환하는 기능)을 터치와 동시에 발동(發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터치한 시점에서는 스위치에 대한 조작인지, 드래그 또는 플릭 조작인지, 추가로는, 핀치 오픈 또는 핀치 클로즈를 의도한 조작이 우연히 1점째의 터치가 스위치의 영역 내에서 행해진 것인가의 구별이 되지 않은 채, 스위치가 기능하게 되어, 유저에게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동작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에 있다. 이에, 제스처 조작에 대응한 컴퓨터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스위치 등의 조작을 수반하는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터치 상태의 릴리스시(터치 해제시)에 조작을 판정한다. 이와 같이 릴리스시에 오브젝트가 동작하는 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OFF 동기」라고 부른다. 이것에 반해서 터치시에 오브젝트가 동작하는 것을 「ON 동기」라고 부른다.
여기서, 특허 문헌 1에는, 터치 조작에 따라서, 화면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모드와 할당된 처리를 실행하는 플릭 모드를 전환하는 터치 패널 처리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임의의 지점을 길게 누름(long press)으로써 플릭 모드로 이행함과 아울러, 메뉴(복수 구획을 가지는 조작 가이드)를 표시시킨 후에, 터치 위치를 시프트(shift)함으로써 메뉴를 선택하여, 스크롤 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주입력 모드와 부입력 모드를 마련하여, 주입력 모드에 있어서, 터치 스위치의 터치 조작마다 위치 검출부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처리 동작을 실행하고, 부입력 모드에 있어서, 터치 스위치의 복수 회 터치 조작을 서로 관련하는 일련의 조작 입력으로서 미리 정해진 처리 동작을 실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추가로, 특허 문헌 3에는, 감시 화면상의 기기 표시 에어리어에 대해서 오퍼레이터에 의한 터치 조작용으로서, 표시된 플랜트 기기(plant device)의 대상 심볼을 복수 손가락으로 집어서 밀어 넓히거나, 밀어 줄이거나, 또는 밀어 비틀어서 회전시키는 멀티 터치 조작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12/060352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10-20496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 2012-174127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iOS 휴먼 인터페이스 가이드 라인", [online], 2012년 12월 17일, 애플 재팬 주식회사,[평성 25년 2월 5일 검색], 인터넷(URL:https://developer.apple.com/jp/devcenter/ios/library/documentation/MobileHIG.pdf)
예를 들어, 산업 용도로 이용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그 표시 화면 내에 스위치를 비롯한 오브젝트를 배치·표시하고, 이것을 조작함으로써,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접속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의 제어장치의 디바이스로의 값의 기입 지시 또는 조작을 행한다. 이러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생산 장치에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때, 스위치의 응답 속도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금이라도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터치한 시점에서 스위치 등 조작을 행하는 것, 즉 ON 동기에서 오브젝트가 기능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서는 스위치 누름 중인지 비(非)누름 중인지에 따라서, 제어장치의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값을 전환하는 스위치의 실현도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는 모멘터리 스위치(momentary switch)라고 불리며, 터치시에 스위치가 동작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ON 동기의 오브젝트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서는, 일반적인 컴퓨터 기기와 마찬가지로, 많은 오브젝트를 화면 내에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상태를 동시적으로 일람(一覽)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한편으로, 터치 조작에 의해서 스위치 등의 조작을 행하는 오브젝트를 실수없이 조작 가능한 시스템이 일반적인 컴퓨터 기기 이상으로 요구된다. 이들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조작 대상으로 하는 지점(경우에 따라서는 열람하고 싶은 정보)를 확대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또한 ON 동기에서도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비특허 문헌 1에 제시되는 일반적인 태블릿형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에서 채용되고 있는 제스처 조작의 기술에서는, 상기한 것처럼 스위치의 ON 동기에 의한 조작과, 줌(zoom), 스크롤 등의 제스처 조작이 공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스위치의 ON 동기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핀치 오픈/핀치 클로즈에 의한 표시의 확대/축소, 혹은 드래그/플릭에 의한 스크롤을 무효화(無效化)하고 있던지, 또는 제스처 조작을 적용할 수 있는 영역을 한정하여, 스위치상에서의 제스처 조작을 무효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ON 동기에서 동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한 표시의 확대에는 대응할 수 없다. 왜냐하면, 만약, 스위치 이외의 영역에서의 제스처로 화면의 확대를 행한다고 하면, 확대 조작한 결과, 표시 영역이 스위치로 채워졌을 경우에, 그 이후 제스처 조작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특허 문헌 3에서는, 복수 손가락으로 집어서 밀어 넓히거나, 밀어 줄이거나, 또는 밀어 비틀어서 회전시키는 멀티 터치 조작의 대상을 대상 심볼(오브젝트)로 하고 있고, 대상 심볼 자체는 멀티 터치 조작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표시 내용의 확대/축소, 스크롤과 같은 조작을 멀티 터치 조작으로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특허 문헌 1에서는, 플릭 모드와 스크롤 모드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은, 플릭 모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으로서 화면의 길게 누름을 상정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1에는, 짧은 누름이 행해진 경우에 플릭 모드로 이행해도 좋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ON 동기에서 동작하는 스위치상에서는 스위치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이 기술을 그대로 ON 동기를 필요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적용할 수 없다.
또, 특허 문헌 2에서는, 주입력 모드와 부입력 모드를 마련하고, 이들 사이의 전환을, 시프트 버튼의 누름에 의해서 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화면의 확대/축소, 스크롤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화면을 확대하고, 스크롤한 결과, 시프트 버튼이 표시 영역 밖으로 나가서, 조작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는 상정되어 있지 않다.
추가로, 퍼스널 컴퓨터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기본 소프트웨어에서는, 마우스의 왼쪽 클릭에 의해서 오브젝트를 조작하고, 오른쪽 클릭에 의해서 특별한 메뉴(콘텍스트 메뉴(context menu))를 표시하고, 콘텍스트 메뉴에 의해서 모드를 전환하는 것도 존재한다. 그렇지만, 터치 조작에 있어서는, 왼쪽 클릭, 오른쪽 클릭과 같은 구별을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터치 조작을 주체로 한 장치에는 이러한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 기기의 감시 및 조작을 행하는 터치 조작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있어서, 제어장치의 조작에 대해서는 ON 동기에 의한 조작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화면 제스처 조작에 의한 표시 화면의 확대/축소, 스크롤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제어장치의 감시 및 조작을 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있어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접촉한 입력 지시체의 1점 이상의 조작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입력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 내에, 정보의 표시만을 행하는 표시 오브젝트, 또는 조작이 가능한 조작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 처리 수단과, 상기 좌표 입력 수단으로 얻어지는 상기 입력 지시체의 상기 조작 좌표로부터 상기 입력 지시체의 변화를 추출하는 조작 처리 수단과, 상기 입력 지시체의 변화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제어 수단과,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의 유효화/무효화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화면은 표시 내용의 변경이 가능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과, 표시 내용의 변경이 불가능한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무효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과 상기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의 상기 조작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유효화하고,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의 상기 조작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무효화하고, 상기 화면 제스처를 유효화하며, 상기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경우에,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에 소정의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의 유효/무효를 전환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을 무효화했을 경우에는, 조작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ON 동기에서 실현하고,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을 유효화했을 경우에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 내에 배치된 조작 오브젝트로의 조작이 무효화된다. 그 결과,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 내의 표시 내용의 변경을 행할 때, 화면으로의 터치를 수반하는 조작이 포함되어도, 실수로 표시 내용에 포함되는 조작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일이 없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서 사용되는 오브젝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 실시 형태에 의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 실시 형태에 의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 전환되는 2개의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이 실시 형태에 의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이 실시 형태에 의한 모드 전환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베이스 화면과 윈도우 화면이 혼재해 있는 경우의 모드 전환과 제스처 조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 실시 형태에 의한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의 제스처 조작시의 처리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의 스크롤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의 줌 조작시의 거동(擧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의 확대·축소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줌 및/또는 스크롤을 적용한 전후(前後)의 좌표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서 사용되는 오브젝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치 패널식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서 사용되는 오브젝트에는, 정보의 표시만을 행하는 표시 오브젝트와, 터치 스위치와 같이 조작에 대해서 반응하는 조작 오브젝트가 존재한다.
표시 오브젝트로서, 외부 접속 기기의 디바이스값에 따라 표시를 전환하는 램프(501), 디바이스값을 정기적으로 수집하고, 축적한 시계열 정보를 꺾은선 그래프로 표시하는 트랜드 그래프(502), 디바이스값을 그대로 수치로서 표시하는 수치 표시(503) 등이 있다.
또, 조작 오브젝트로서는, 터치 조작에 의해 디바이스값을 재기입하는 스위치(511), 통상은 디바이스값을 수치로서 표시하지만, 수치를 변경하기 위한 숫자 패드(512)로부터의 입력에 의해서 수치를 디바이스에 설정하는 수치 입력(513),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노브(knob)」를 터치한 채로 터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값을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터치를 릴리스한 시점의 값을 디바이스에 설정하는 슬라이더 컨트롤(514) 등이 있다. 또, 윈도우 화면의 위치 또는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윈도우 테두리도, 조작 오브젝트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2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표시부 전체에 표시하는 화면인 베이스 화면(610)과, 표시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베이스 화면(610)을 덮도록 표시하는 화면인 윈도우 화면(620)을 표시 가능하게 한다. 또, 윈도우 화면(620)은 표시부에 복수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 화면(610)과 윈도우 화면(620)에는, 표시 오브젝트와 조작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적당히 배치된다. 이 표시 오브젝트와 조작 오브젝트의 배치는, 프로젝트 데이터에 정의된다.
도 3은 이 실시 형태에 의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영역(700)의 일부를, 유저에 의한 화면 제스처가 유효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으로 하고, 나머지 영역을 유저에 의한 화면 제스처가 무효인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으로 하여, 표시 화면의 영역을 구별한다. 즉, 화면 제스처에 의해서 표시 내용의 변경이 지시된 경우에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에서는 지시에 따라 표시 내용이 변경되지만,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에서는 표시 내용이 변경되지 않는다.
이 예에서는,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이 표시 영역(700)의 최상부에 띠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에는, 후술하는 통상 조작 모드와 화면 제스처 모드를 전환하는, 조작 오브젝트로서의 모든 전환 스위치(7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모든 전환 스위치(710)를 누를 때마다 통상 조작 모드와 화면 제스처 모드가 전환된다.
통상 조작 모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설정되는 프로젝트 데이터에서의 설정에 기초하여 조작하는 모드이다. 또, 화면 제스처 모드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에 배치된 조작 오브젝트로의 조작을 무효화하는 한편,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에서 행해진 소정의 조작에 기초하여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말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이란, 예를 들어 표시 내용의 확대 혹은 축소 또는 표시 위치의 변경(스크롤) 등을 의미한다. 즉, 통상 조작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표시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조작 오브젝트로의 조작이 유효화되어 있고, 조작 오브젝트를 조작하면, ON 동기에서 동작한다. 그에 반하여,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는, 조작 오브젝트로의 조작이 무효화되어 있으므로, 조작 오브젝트로의 손가락 등의 입력 지시체의 접촉에 의해서도, 조작이 ON 동기에서 동작하는 일은 없다.
또한, 화면 제스처 모드시에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의 조작 오브젝트로의 조작은 무효가 되지만,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에 배치한 조작 오브젝트로의 조작은 가능하다. 그 때문에, 화면 제스처 모드시에 있어서도,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 내에 배치된 모드 전환 스위치(710)를 조작하여, 통상 조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과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의 구별은 프로젝트 데이터에 화면 단위로(예를 들어 베이스 화면(610), 윈도우 화면(620)의 각각에 대해) 설정 가능하게 한다.
도 3에서는 예로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을 사각형 영역으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형상은 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타원형이나 임의의 다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은 전술한 것처럼 화면 단위로 설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표시 중인 화면에 의해서 화면 제스처 기능의 적용 유무를 구별하고 싶은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설정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데이터 단위로 해도 좋다.
도 4는 이 실시 형태에 의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 전환되는 2개의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통상 조작 모드시의 화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화면 제스처 모드시의 화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a)에 제시되는 것처럼, 통상 조작 모드시에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과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도 4 (b)에 제시되는 것처럼, 화면 제스처 모드시에는, 화면 제스처 모드인 것이 유저에 의해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통상 조작 모드시와는 표시가 다르도록 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화면 제스처 모드시에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의 외주부(外周部)를 굵은선(703)으로 둘러싸도록 하고 있다. 또, 이 굵은선(703)은, 예를 들어 적색 등의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배색으로 해도 좋고, 점멸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을 둘러싸는 선을 굵은선(703)으로 하는 것은, 화면 제스처 모드시에도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의 표시 내용에 영향을 최대한 주지 않기 위함이다. 즉,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의 외주부를 굵은선(703)으로 하는 것만으로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의 면적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에 표시되고 있는 내용을 축소 표시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표시하는 화면 내용에 따라서는, 이러한 굵은선으로의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화면 제스처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 화면 내에 중첩 표시해도 좋다.
한편, 통상 조작 모드시에는 표시 영역(700)에 대해 여분의 정보는 최대한 표시하지 않고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통상 조작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특별한 표시를 행하지 않는 경우를 도면에서는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조작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특별한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화면에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과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을 마련하고,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에 통상 조작 모드와 화면 제스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710)를 마련했다. 또, 통상 조작 모드에서는, 조작 오브젝트에 닿으면 ON 동기에서 동작하지만,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는, 조작 오브젝트에 닿더라도 ON 동기에서 동작시키지 않고, 화면 제스처의 궤적(軌跡)으로부터 그 조작 지시를 판단하여 동작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이 실시 형태에 의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는 표시부(101), 좌표 입력부(102), 통신 인터페이스부(103)(도 5에서는 통신 I/F로 표기), 외부 기억 인터페이스부(104) (도 5에서는 외부 기억 I/F로 표기), 내부 기억부(105), 파일 시스템 처리부(106), 표시 처리부(107), 조작 처리부(108), 통신 처리부(109) 및 제어부(110)를 가진다.
표시부(101)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좌표 입력부(102)는, 예를 들어 표시부(101)와 겹쳐서 배치된 터치 패널로서, 손가락 등의 입력 지시체의 접촉 위치의 좌표(터치 좌표)를 검출한다. 좌표 입력부(102)는 복수 점의 터치 좌표를 동시 검출 가능하게 한다. 복수 점의 터치 좌표가 동시 검출 가능한 터치 패널로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식 등 다종의 제품이 있고, 그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3)는 제어장치 등의 외부 접속 기기(120) 또는 퍼스널 컴퓨터(130) 등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할 때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부분이다.
외부 기억 인터페이스부(104)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휴대 가능한 외부 기억매체(15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할 때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부분이다.
내부 기억부(105)는 NAND형 혹은 NOR형 플래쉬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서 구성된다.
내부 기억부(105) 또는 외부 기억매체(150)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젝트 데이터(180) 등이 기억된다. 프로젝트 데이터(180)는 표시부(101)에 표시되는 화면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또, 화면 데이터에는, 조작 오브젝트 또는 표시 오브젝트의 배치 위치가 포함된다. 추가로, 내부 기억부(105) 또는 외부 기억매체(150)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의 현재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모드 상태 기억 영역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모드 상태 정보는 표시 화면마다 모드 상태를 기억한다.
파일 시스템 처리부(106)는 내부 기억부(105) 또는 외부 기억매체(150)에 기억된 프로젝트 데이터(180)의 판독 기입의 처리를 실행한다.
표시 처리부(107)는 프로젝트 데이터(180)에 기초하여, 표시부(101)에 소정의 화면을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또, 표시 처리부(107)는 베이스 화면(610)과 윈도우 화면(620)의 겹침을 배려하여 표시부(101)로의 표시 내용을 합성한다.
조작 처리부(108)는 좌표 입력부(102)로부터의 입력 지시체의 터치 좌표로부터, 입력 지시체의 변화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통상 조작 모드에서는, 조작 오브젝트가 버튼인 경우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거나, 슬라이더 컨트롤의 터치 위치와 릴리스 위치를 검출하거나 한다. 또,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는, 좌표 입력부(102)로부터 입력 지시체의 터치점(touch point)수와, 터치 좌표와, 터치점수가 2점인 경우의 2점의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취득하여, 터치점수의 변화, 터치 좌표의 기점(基点), 터치 좌표의 기점으로부터의 변위(變位), 기준이 되는 2점의 터치 위치의 거리인 기준 거리, 또는 기준 거리로부터의 거리 변화를 산출한다.
통신 처리부(109)는 외부 접속 기기(12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통신 처리부(109)는 외부 접속 기기(120)마다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외부 접속 기기(120)의 차이에 의한 통신 방법의 차이를 흡수한다.
제어부(110)는 파일 시스템 처리부(106)를 통해 프로젝트 데이터(180)를 판독하여, 그 내용을 해석함으로써, 표시부(101)에 표시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오브젝트를 수반하지 않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로깅 기능과 같은 비오브젝트 기능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110)는 프로젝트 데이터(180)의 설정에 기초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서 접속된 외부 접속 기기(120)로부터 디바이스값을 판독하여, 외부 접속 기기로의 디바이스값의 기입을 행한다. 추가로, 제어부(110)는 통신 처리부(109)를 통해서 얻어진 외부 접속 기기(120)의 디바이스값을 기초로 그에 대한 응답 처리를 행한다.
또, 제어부(110)는 조작 처리부(108)로부터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지시체에 의한 조작을 식별하여, 그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통상 조작 모드이고, 외부 접속 기기(120)로의 디바이스값의 기입을 지시하는 조작 오브젝트가 눌린 경우에는, 표시 처리부(107)에 대해서 조작 오브젝트의 표시를 누른 상태로 변경하도록 지시함과 아울러, 통신 처리부(109)에 대해서 대응하는 외부 접속 기기(120)로의 디바이스값의 기입 처리를 지시한다. 한편, 화면 제스처 모드이고, 입력 지시체에 의해서 표시 내용의 변경의 지시가 행해진 경우에는, 조작 처리부(108)로부터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 지시를 산출하여, 그 변경 지시를 표시 처리부(107)에 대해서 지시한다.
또한, 프로젝트 데이터(180)는 퍼스널 컴퓨터(130)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인 작화 소프트웨어(131)에 의해 작성 또는 편집된다. 프로젝트 데이터(180)는 외부 기억매체(150)에 퍼스널 컴퓨터(130)로 카피하는 것 외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의 내부 기억부(105) 또는 외부 기억 인터페이스부(104)에 장착된 외부 기억매체(150)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는, 예를 들어 생산 장치에 있어서, 전기적 또는 기계적인 램프, 미터 등의 표시장치나, 스위치, 볼륨 등의 조작 입력장치의 대체품으로서의 표시·입력 장치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PLC 등의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해서 원하는 동작을 리얼타임으로 실행시키도록,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기초로 소정의 연산을 행하여, 그 연산 결과를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해서 송신하는 것과 같은 일련의 처리를 소정의 주기로 행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조작 모드에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로부터 지시받은 제어 기기로의 지시 또는 조작 지령은, 리얼타임, 즉 ON 동기에서 전달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이 실시 형태에 의한 모드 전환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좌표 입력부(102)는 유저에 의한 입력 지시체의 터치 좌표를 소정의 시간 마다에 검출하고, 그 결과를 조작 처리부(108)에 출력한다. 조작 처리부(108)에서는, 입력 지시체의 터치 좌표와 그 시간적 변화 등으로부터, 유저에 의한 입력 상태를 취득한다. 제어부(110)는 이 입력 상태에 기초하여, 모드 전환 지시가 있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1). 예를 들어 상기한 것처럼, 모드 전환 지시가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에 배치되는 모든 전환 스위치(710)를 누름으로써 행해지는 경우에는,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의 모든 전환 스위치(710)상에서 탭 동작이 행해진 경우에 모드 전환 지시가 있었던 것으로 판정되고, 모든 전환 스위치(710)상에서 탭 동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드 전환 지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다.
모드 전환 지시가 없는 경우(스텝 S11에서 No인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고(스텝 S12), 처리가 종료된다. 또, 모드 전환 지시가 있는 경우(스텝 S11에서 Yes인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내부 기억부(105) 또는 외부 기억매체(150)에 마련되는 모드 상태 정보 기억 영역으로부터 현재의 모드를 취득한다(스텝 S13). 현재의 모드가 통상 조작 모드인 경우(스텝 S13에서 통상 조작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화면 제스처 모드로 전환하고(스텝 S14), 처리를 종료한다. 예를 들어 도 4 (a)에 도시되는 것처럼 통상 조작 모드로부터 도 4 (b)의 화면 제스처 모드로의 전환이 행해진다.
한편, 현재의 모드가 화면 제스처 모드인 경우(스텝 S13에서 화면 제스처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통상 조작 모드로 전환하고(스텝 S15),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예를 들어 도 4 (b)에 도시되는 화면 제스처 모드로부터 도 4 (a)의 통상 조작 모드로의 전환이 행해진다.
상기한 예에서는, 모든 전환 스위치(710)를 누를 때마다, 통상 조작 모드와 화면 제스처 모드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모든 전환 스위치(710)의 배치도, 다른 오브젝트의 배치와 마찬가지로, 프로젝트 데이터(180)에 포함되고, 작화 소프트웨어(131)에 의해 설정된다.
모드를 전환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표시 영역(700) 내의 조작 오브젝트 이외의 장소를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터치하는 길게 누름 조작을 화면 제스처로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조작 모드에서는, 표시 영역(700) 내의 조작 오브젝트 이외의 임의의 장소를 소정 시간 길게 누름 조작함으로써 화면 제스처 모드로 전환하고,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의 임의의 영역 또는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 중 조작 오브젝트 이외의 영역을 길게 누름 조작함으로써 통상 조작 모드로 전환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표시 영역(700) 내의 조작 오브젝트 이외의 장소에서 소정 시간 내에 연속해서 2번 터치하는 더블 탭 조작을, 모드를 전환하는 화면 제스처로서 정의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조작 모드에서는, 표시 영역(700) 내의 조작 오브젝트 이외의 임의의 장소를 더블 탭 조작함으로써 화면 제스처 모드로 전환하고,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의 임의의 영역 또는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 중 조작 오브젝트 이외의 영역을 더블 탭 조작함으로써 통상 조작 모드로 전환한다.
추가로, 화면 제스처 모드시에, 소정 정시간(定時間) 무조작 상태가 계속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부터 통상 조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하, 화면 제스처 모드 자동 해제 기능이라고 함)도 가능하다. 여기서, 무조작 상태란, 최종적인 터치 조작의 릴리스를 검출 후에 터치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화면 제스처 모드 자동 해제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동 해제할 때까지의 시간을 합하여 프로젝트 데이터(180)에 설정하면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모드를 전환하는 수단의 예로서 스위치, 길게 누름, 더블 탭을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냈지만, 복수 점의 동시 터치 또는 터치한 위치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등, 단순한 터치(탭) 조작과 구별할 수 있으면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다만, ON 동기의 스위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조작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명시적인 모드 전환을 위한 스위치(모든 전환 스위치(71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드를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어느 것을 이용할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의 프로젝트 데이터(180)의 작성자(화면 설계자)가, 작화 소프트웨어(131)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를 적용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프로젝트 데이터(180)에 설정할 수 있다.
또,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의 표시 내용은, 화면 제스처 모드 중에만, 미리 준비한 다른 표시 내용으로 전환하여 표시해도 좋다.
이어서, 베이스 화면(610), 윈도우 화면(620)이 혼재해 있는 경우에 대한 처리를 설명한다. 도 7은 베이스 화면과 윈도우 화면이 혼재해 있는 경우의 모드 전환과 제스처 조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a)에 제시되는 것처럼, 베이스 화면(610)에 윈도우 화면(620)이 표시된 상태에 있다. 또, 여기에서는, 화면 제스처 기능의 적용 대상이 베이스 화면(610)인 것으로 하고, 통상 조작 모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유저가 베이스 화면(610) 중의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의 모든 전환 스위치(710)를 누르면, 도 7 (b)의 화면 제스처 모드로 이행한다. 이 때, 베이스 화면(610)만이 화면 제스처 모드로 되고, 베이스 화면(610)에 중첩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620)에는 화면 제스처 모드가 적용되지 않는다. 즉, 베이스 화면(610)에 대해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의 표시 내용의 확대·축소, 스크롤은 행하지만, 윈도우 화면(620)의 표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추가로, 화면 제스처 모드 중은, 화면 제스처 모드가 적용되지 않는 윈도우 화면(620)을 비표시로 한다.
그 후, 예를 들어, 화면 제스처 모드 중에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의 소정의 위치에서 핀치 아웃 등의 표시 내용을 확대하는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도 7 (c)와 같이 베이스 화면(610)이 확대 표시된다. 또, 이 상태에서, 드래그 조작 등의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는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도 7 (d)와 같이 표시 영역이 이동한다. 이들 조작은, 화면 제스처 모드이므로, 설령 조작 오브젝트상에서 조작을 행했다고 하더라도, 조작 오브젝트가 동작하는 일은 없다. 도면의 예에서는, 버튼 모양의 조작 오브젝트(720)상에서 조작을 행했다고 하더라도, 버튼 모양의 조작 오브젝트(720)가 눌리는 일은 없다.
그 후, 베이스 화면(610)의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의 모든 전환 스위치(710)를 누르면, 도 7 (e)과 같이, 통상 조작 모드로 이행한다. 이때, 확대되어, 스크롤된 상태의 베이스 화면(610)에, 윈도우 화면(620)이 다시 중첩되어 표시된다.
또한, 윈도우 화면이 복수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서, 그 중의 하나의 윈도우 화면을 화면 제스처 모드로 되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 윈도우 화면에서 모드 전환을 행하여 화면 제스처 모드로 이행시킨다. 이때, 화면 제스처 기능을 적용하는 윈도우 화면 이외의 윈도우 화면을 비표시로 한다. 또, 베이스 화면에 대해서는 표시를 계속해도 좋지만, 베이스 화면에 대한 조작이 무효인 것이 유저에게 시사되도록, 예를 들어 베이스 화면을 소정의 패턴으로 전부 칠해서 외관상 비표시로 해도 좋고, 베이스 화면의 채도를 낮춰서 표시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화면 제스처 모드 중에는 화면 제스처 기능을 적용하는 화면 이외의 윈도우 화면(620)을 일시적으로 비표시로 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만약 화면 제스처 기능을 적용하는 화면 이외의 윈도우 화면(620)을 표시한 채로 했을 경우에는, 윈도우 화면(620)이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에 겹쳐 있는 경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을 행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 이유의 하나이다. 또 화면 제스처 조작 적용 대상 이외의 윈도우 화면(620)에 대해서 실수로 조작을 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도 이유의 하나이다. 한편, 베이스 화면(610)에 대해서는, 비표시 혹은 그것에 준하는 표시로 함으로써, 화면 제스처 기능의 적용 대상을 명시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화면 제스처 기능을 적용하는 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베이스 화면(610)을 표시하여, 조작도 가능하게 했을 경우에는, 베이스 화면(610) 내에 모든 전환 스위치(710)를 배치함으로써,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과 마찬가지의 용도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화면 제스처 모드 중의 제스처 조작의 판정과 제스처 조작시의 거동에 대한 처리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이 실시 형태에 의한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의 제스처 조작시의 처리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의 스크롤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의 줌 조작시의 거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의 확대·축소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화면 제스처 모드인 것을 전제로 한다.
제어부(110)는 터치 패널(좌표 입력부(102))에서 검출되는 터치점수와 터치 좌표를 조작 처리부(108)에 의해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10)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조작 처리부(108)는 현재의 터치점수를 확인한다(스텝 S31). 터치점수가 1점인 경우에는, 직전의 상태와 터치점수에 변화가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2). 터치점수에 변화가 보여진 경우(스텝 S32에서 Yes인 경우), 즉 직전은 터치가 없거나, 또는 2점 이상의 터치에서, 이번은 1점 터치가 되었을 경우에는, 조작 처리부(108)는, 현재의 터치 좌표를 터치 좌표의 기점으로 하여 유지한다(스텝 S33). 그리고 처리가 스텝 S31로 돌아간다.
한편, 전회로부터 터치점수가 변화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2에서 No인 경우)에는, 조작 처리부(108)는 현재의 터치 좌표와 터치 좌표의 기점의 변위를 산출한다(스텝 S34). 그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조작 처리부(108)로부터 취득한 터치 좌표의 기점과의 변위에 대응한 스크롤량을 산출한다(스텝 S35). 여기서 스크롤량은 표시부(101)상의 물리적인 터치 좌표의 변화와 스크롤량의 변화를 일치시키도록 한다. 도 9 (a)는 표시 내용(800) 전체 중, 줌이 적용되어 표시부(101)에 표시되는 내용이 표시 영역(8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표시 영역(801)에서 화살표(802)의 방향으로 스크롤이 행해진 것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스크롤한 결과, 표시 내용(800)의 영역 밖이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돌출(protrude)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6). 표시 내용(800)의 영역 밖이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스텝 S36에서 No인 경우)에는, 돌출이 생기지 않도록 표시 위치를 보정한다(스텝 S37). 이것은, 도 9 (b)에 제시되는 것처럼, 표시 영역(801)을 화살표(802)를 따라서 그대로 스크롤시키면, 스크롤 후의 표시 영역(810)에는, 표시 내용(800)과 표시 내용(800)의 영역 밖(돌출 영역)(811)이 포함되게 된다. 이에, 이 돌출 영역(811)을 표시 영역(810)에 포함되지 않도록 표시 위치를 보정하면, 보정 후의 표시 영역(812)과 같이 된다.
그 후, 또는 스텝 S36에서 표시 내용(800)의 영역 밖이 표시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스텝 S36에서 Yes인 경우, 도 9 (a)와 같이 표시 영역(801)이 표시 내용(800)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돌출이 없는 상태에서 스크롤을 적용하여 표시부(101)로의 표시를 갱신한다(스텝 S38). 그 다음은, 스텝 S31로 처리가 돌아간다.
또, 스텝 S31에서 현재의 터치점수가 2점인 경우에는, 조작 처리부(108)는 직전의 상태와 터치점수에 변화가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9). 터치점수에 변화가 보여진 경우(스텝 S39에서 Yes인 경우), 즉 직전은 1점 이하의 터치점수, 또는 3점 이상의 터치점수였을 경우에는, 조작 처리부(108)는 현재의 2점의 터치 위치의 거리를 기준 거리로 하여 유지한다(스텝 S40). 그리고 처리가 스텝 S31로 돌아간다.
한편, 전회로부터 터치점수가 변화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9에서 No인 경우)에는, 조작 처리부(108)는 스텝 S40에서 구한 기준 거리와, 현재의 2점의 터치 위치의 거리의 변화량을 산출한다(스텝 S41). 그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조작 처리부(108)로부터 취득한 2점의 터치 위치의 거리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줌량(표시 내용의 확대, 축소의 양)을 산출한다(스텝 S42). 여기서, 기준 거리를 D0이라고 하고, 현재의 2점간의 거리를 D1이라고 하고, 줌 조작 개시 전의 줌량을 Z0이라고 하고, 최소 줌량을 Zmin이라고 하고, 최대 줌량을 Zmax라고 하고, k를 적당한 계수라고 할 때, 새로운 줌량 Z는 하기 식(1)에 의해서 산출된다. 다만, Zmin≤Z≤Zmax라고 한다.
Z=k·Z0·D1/D0 … (1)
이때, 도 10에 도시되는 것처럼, 줌의 중심은 기준 거리 D0을 산출했을 때의 2점의 중점 P로 한다. 도 10 (a)의 2개의 입력 지시체(850)가 표시부(101)에 접촉해 있을 때의 기준 거리 D0의 중점 P가 줌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2개의 입력 지시체(850)의 거리가 D1이 된 후에는, 도 10 (b)에 도시하는 것처럼, 중점 P를 중심으로 하여 줌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 도 11 (a)은 표시 영역(821)에 대해서 줌 중 축소를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줌 조작에 의해서, 줌 조작 후에 표시부(101)에 표시되는 영역은, 표시 영역(822)과 같이 커진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줌 조작 후의 표시 영역(822)에, 표시 내용(800)의 영역 밖이 포함되는(돌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43). 표시 내용(800)의 영역 밖이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스텝 S43에서 Yes인 경우)에는, 돌출이 생기지 않도록 표시 위치를 보정한다(스텝 S44). 이것은 도 11 (b)에 도시되는 것처럼 표시 영역(821)을 줌(축소)시키면, 줌 후의 표시 영역(831)에는, 표시 내용(800)과 표시 내용(800)의 영역 밖(돌출 영역)(841)이 포함되게 된다. 이에, 이 돌출 영역(841)을 표시 영역(831)에 포함되지 않도록 표시 위치를 보정하면, 보정 후의 표시 영역(832)과 같이 된다.
그 후, 또는 스텝 S43에서 표시 내용(800)의 영역 밖이 표시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스텝 S43에서 No인 경우, 도 11 (b)의 표시 영역(832)과 같이 표시 내용(800)만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돌출이 없는 상태에서 줌을 적용하여 표시부(101)로의 표시를 갱신한다(스텝 S45). 그리고 처리가 스텝 S31로 돌아간다.
상기에서는, 스크롤, 줌을 할 때에 표시 영역 내에는 표시 내용(800)의 범위 밖의 영역이 없도록 돌출의 보정을 행했지만, 예를 들어, 표시 내용(800)의 범위 밖은 소정의 패턴으로 전부 칠하고, 돌출된 영역은 소정의 패턴을 표시하여, 보정을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스처 조작은 터치 위치의 연속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판정되지만, 좌표 입력부(102)에 따라서는, 물리적으로는 터치하고 있어도, 전기적으로는 터치 상태가 순간적으로 릴리스되었다고 파악되는 채터링 현상(chattering phenomenon)을 일으키거나, 1점을 터치하고 있어도, 터치 좌표가 변동하는 현상을 일으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실제의 처리에 있어서는, 현재의 터치 위치뿐만 아니라, 과거 수 회 수집한 터치 위치를 이용한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등의, 신호 평활화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조작 처리부(108)에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크롤, 줌을 적용한 후의 통상 조작 모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면 제스처 모드에서 실시한, 줌 및/또는 스크롤의 결과는, 그 후에 통상 조작 모드로 이행했을 경우에도 계속한다. 도 12는 줌 및/또는 스크롤을 적용한 전후의 좌표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줌 및/또는 스크롤을 하지 않은 화상의 좌표계를 기준 좌표계 Σv,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800)의 좌표계를 표시 내용 좌표계 Σs라고 하고, 기준 좌표계 Σv에 있어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의 좌상(左上) 좌표를 가리키는 벡터를 Pvs라고 하고, 줌량을 Z라고 하고,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에 대한 표시 내용(800)의 기준점의 변위인 스크롤량을 ΔSv라고 할 때, 기준 좌표계 Σv에 있어서의 터치 좌표 Pvt에 대한, 표시 내용 좌표계 Σs에 있어서의 좌표 Pst는 하기 식(2)로 계산된다.
Pst=(Pvt-Pvs+ ΔSv)/Z … (2)
즉,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의 표시 내용(800)에 줌 또는 스크롤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표시부(101)상의 터치 위치 Pvt는, 표시 내용(800)에 있어서의 Pst를 터치한 것으로 간주된다. 프로젝트 데이터(180) 내의 오브젝트의 좌표는 줌, 스크롤이 없는 상태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상기의 식을 이용하여 터치한 좌표를 보정해서, 조작 오브젝트의 유무를 판단하고, Pst가 조작 오브젝트 내의 영역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조작 오브젝트의 조작을 실행한다.
추가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에는, 스크립트 또는 매크로라고 불리는 간이(簡易)적인 프로그램 언어로의 입력 정보로서, 터치 좌표를 취득하는 시스템을 갖게할 수 있다. 스크립트와 터치 좌표를 조합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터치한 위치에 도형을 표시하거나, 터치한 좌표에 따라 값을 설정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용도에 이용할 때에도, 터치 좌표를 통상 조작 모드에 있어서는, 터치 조작은 조작 오브젝트의 조작을 행하는 것 외에, 표시 화면 내의 터치 좌표를 취득하여, (2) 식에서 보정한 좌표 Pst를 터치 좌표로 함으로써, 줌 또는 스크롤을 적용한 화상에 대해서도 적절한 터치 좌표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설명은 복수 점의 좌표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구비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를 예로 하고 있지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0)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표시부(101)와 임의의 1점 이상의 조작 좌표가 검출 가능한 좌표 입력부(102)를 구비한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라도 좋다. 또, 조작은 터치 조작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카메라 등의 비접촉형 센서에 의해서 조작한 좌표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형상은 장치의 조작반에 고정시키는 설치형이어도, 손으로 운반해서 사용하는 휴대형이어도, 혹은, 머리 부분에 장착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장치여도 좋다.
또, 상기에서는 1점 내지 2점의 터치 조작을 대상으로 했지만, 3점 이상의 동시 터치 조작에 대해서 기능을 할당해도 좋다.
추가로, 상기 설명에서는, 화면 제스처 모드와 통상 조작 모드의 전환 수단과 화면 제스처 모드 중의 조작에 대한 조작을 나타냈지만, 각각의 조합은 임의이며, 모든 조작을 동시에 실현할 필요는 없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화면 제스처 모드시에는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에 배치된 조작 오브젝트로의 조작을 무효화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의 표시 내용(800)의 변경 조작으로서, 표시 내용(800)의 확대, 축소, 표시 위치 변경(스크롤)과 같은 처리를, 각각 핀치 아웃, 핀치 인, 드래그(플릭)와 같이 터치를 수반하는 조작으로 실시할 때에, 실수로 표시 내용(800)에 포함되는 조작 오브젝트를 조작해 버리는 일이 없다.
또, 표시 내용(800)의 변경은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로 한정되기 때문에,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의 사이즈를 표시부(101) 내의 일부로 한정함으로써,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에는, 표시 내용(800)의 변경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에 임의의 오브젝트를 배치함으로써, 화면 제스처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표시 또는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화면 제스처에 의해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이 스위치로 덮였다고 하더라도,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에 배치한 다른 스위치 또는 소정의 조작에 의해서, 화면 제스처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추가로, 화면 제스처 모드시에는, 표시 화면 내에 화면 제스처 모드 중인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를 행하도록 했으므로, 화면 제스처 모드 중이나 통상 조작 모드인지를 시각적으로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각적인 모드의 구별이 없는 경우에는, 유저가 컴퓨터 장치를 조작할 때에, 모드에 따른 조작을 의식하지 못하여, 조작에 대한 응답을 미리 추측할 수 없다. 그 결과, 유저에 대한 스트레스의 요인이 되거나, 오조작의 원인이 되거나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시각적인 모드의 구별을 행하도록 했으므로, 모드에 따른 조작을 의식할 수 있어, 조작에 대한 응답을 미리 추측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유저에 대한 스트레스의 요인, 또는 오조작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추가로 또, 화면 제스처 모드 중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 기능은, 화면 제스처 모드 중에만 표시하고, 통상 조작 모드시에 표시하지 않게 함으로써, 통상 조작 모드시에는 화면에 부가적인 표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화면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또, 오브젝트의 배치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서, 화면 제스처 모드와 통상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에는, 화면 내에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 등의 조작 오브젝트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추가로,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702)과 조합함으로써,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701) 내의 확대 표시에 의해 동(同)영역 내가 터치 스위치로 채워졌을 경우에도 모드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조작 오브젝트가 배치된 표시 화면을 가지는 터치 패널식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유용하다.
10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01: 표시부,
102: 좌표 입력부, 103: 통신 인터페이스부,
104: 외부 기억 인터페이스부, 105: 내부 기억부,
106: 파일 시스템 처리부, 107: 표시 처리부,
108: 조작 처리부, 109: 통신 처리부,
110: 제어부, 120: 외부 접속 기기,
130: 퍼스널 컴퓨터, 131: 작화 소프트웨어,
150: 외부기억매체, 180: 프로젝트 데이터,
610: 베이스 화면, 620: 윈도우 화면,
700: 표시 영역, 701: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
702: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 703: 굵은선,
710: 모드 전환 스위치, 720: 조작 오브젝트,
850: 입력 지시체.

Claims (10)

  1. 통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제어장치의 감시 및 조작을 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있어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접촉한 입력 지시체의 1점 이상의 조작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입력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 내에, 정보의 표시만을 행하는 표시 오브젝트, 또는 조작이 가능한 조작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 처리 수단과,
    상기 좌표 입력 수단으로 얻어지는 상기 입력 지시체의 상기 조작 좌표로부터 상기 입력 지시체의 변화를 추출하는 조작 처리 수단과,
    상기 입력 지시체의 변화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제어 수단과,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의 유효화/무효화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화면은 표시 내용의 변경이 가능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과, 표시 내용의 변경이 불가능한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무효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과 상기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의 상기 조작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유효화하고,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의 상기 조작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무효화하고, 상기 화면 제스처를 유효화하며,
    상기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경우에,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에 소정의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에 대한 표시 내용의 변경은, 표시 내용의 확대, 축소 또는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 내에 있어서의 표시 위치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표 입력 수단은 상기 입력 지시체의 상기 표시 수단에 접촉한 2점의 상기 조작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조작 처리 수단은 조작 개시시점의 2점간의 거리를 기준 거리로 하여, 조작 개시 이후 2점의 조작이 계속될 때의 현재의 2점간의 거리와 상기 기준 거리 사이의 거리 변화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 내의 표시 내용의 확대 또는 축소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표 입력 수단은 상기 입력 지시체의 상기 표시 수단에 접촉한 1점의 상기 조작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조작 처리 수단은 조작 개시시점의 1점간의 좌표를 기준 좌표로 하여, 조작 개시 이후 1점의 조작이 계속될 때의 현재의 조작 좌표와 상기 기준 좌표의 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 내의 표시 내용의 표시 위치의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소정 시간 동안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지시체에 의한 상기 조작 오브젝트 이외의 영역에 대한 터치를 계속하는 조작에 대응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지시체에 의한 상기 조작 오브젝트 이외의 영역에 대한 두 번의 터치 조작에 대응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에 마련되는 조작 오브젝트인 것을 특징등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 무조작 상태가 계속된 경우에,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상태로부터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무효인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은, 상기 표시 화면 내의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하고,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상태의 경우만 임의의 표시 내용으로 전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0. 표시 수단에 입력 지시체를 통해서 입력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 내용의 변경이 가능한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과, 표시 내용의 변경이 불가능한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을 가지는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 화면 내에, 정보의 표시만을 행하는 표시 오브젝트 또는 조작이 가능한 조작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절차와,
    상기 표시 수단에 접촉한 입력 지시체의 1점 이상의 조작 좌표를 검출하는 절차와,
    상기 입력 지시체의 상기 조작 좌표로부터 상기 입력 지시체의 변화를 추출하는 절차와,
    상기 입력 지시체의 변화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절차와,
    상기 입력 지시체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의 유효화/무효화를 전환하는 절차와,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무효인 경우에,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과 상기 화면 제스처 비적용 영역의 상기 조작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유효화하는 절차와,
    상기 화면 제스처에 의한 조작이 유효인 경우에,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의 상기 조작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무효화하고, 상기 화면 제스처를 유효화함과 아울러, 상기 화면 제스처 적용 영역에 소정의 표시를 행하는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
KR1020157031555A 2013-05-27 2013-05-27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 KR101636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4636 WO2014192060A1 (ja) 2013-05-27 2013-05-27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その画面操作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981A true KR20150126981A (ko) 2015-11-13
KR101636665B1 KR101636665B1 (ko) 2016-07-05

Family

ID=5061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555A KR101636665B1 (ko) 2013-05-27 2013-05-27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04339A1 (ko)
JP (1) JP5449630B1 (ko)
KR (1) KR101636665B1 (ko)
CN (1) CN105247468B (ko)
DE (1) DE112013006924T5 (ko)
TW (1) TWI490771B (ko)
WO (1) WO2014192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6262B2 (ja) * 2013-12-10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1516269S (ko) * 2014-04-08 2015-01-26
TWD180105S (zh) * 2014-11-14 2016-12-11 愛斯佩克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之操作介面之部分
JP1525112S (ko) * 2014-11-14 2015-06-01
US10867445B1 (en) * 2016-11-16 2020-12-15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nt segmentation and navigation
JP2018190444A (ja) * 2018-07-19 2018-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44242B2 (ja) 2018-09-26 2023-03-22 シュナイダーエレクトリ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操作入力制御装置
CN110007800B (zh) * 2019-04-10 2020-11-1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操作模式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4027185A1 (en) * 2021-01-11 2022-07-13 BHS Technologies GmbH Head-mounted display system
USD999228S1 (en) * 2021-06-16 2023-09-19 Aham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4964A (ja) 2009-03-03 2010-09-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タッチパネル装置
WO2012060352A1 (ja) 2010-11-02 2012-05-1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タッチパネル処理装置、タッチパネル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50971A (ko) * 2009-07-28 2012-05-21 소니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2174127A (ja) 2011-02-23 2012-09-10 Hitachi Ltd プラント監視制御用タッチオペ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30090747A (ko) * 2011-11-30 2013-08-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JP2014115702A (ja) * 2012-12-06 2014-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用画面データの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473B1 (ko) * 2001-02-21 2015-08-28 로비 가이드스, 인크. 개인용 비디오 녹화 특징을 갖는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30117427A1 (en) * 2001-07-13 2003-06-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program guide display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4145791A (ja) * 2002-10-28 2004-05-20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操作装置又は画像形成装置
KR100787977B1 (ko) * 2006-03-30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090046110A1 (en) * 2007-08-16 2009-0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displayed image
US20100064261A1 (en) * 2008-09-09 2010-03-11 Microsoft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lative gesture recognition mode
US8584031B2 (en) * 2008-11-19 2013-11-12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KR20100093293A (ko) * 2009-02-16 2010-08-25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JP2011215878A (ja) * 2010-03-31 2011-10-27 Sharp Corp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2407756B1 (en) * 2010-07-15 2017-03-15 BlackBerry Limited Navigation between a map dialog and button controls displayed outside the map
TWI441051B (zh) * 2011-01-25 2014-06-11 Compal Electronics Inc 電子裝置及其資訊呈現方法
JP6159078B2 (ja) * 2011-11-28 2017-07-05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4964A (ja) 2009-03-03 2010-09-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20050971A (ko) * 2009-07-28 2012-05-21 소니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2060352A1 (ja) 2010-11-02 2012-05-1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タッチパネル処理装置、タッチパネル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74127A (ja) 2011-02-23 2012-09-10 Hitachi Ltd プラント監視制御用タッチオペ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30090747A (ko) * 2011-11-30 2013-08-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JP2014115702A (ja) * 2012-12-06 2014-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用画面データの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 "iOS 휴먼 인터페이스 가이드 라인", [online], 2012년 12월 17일, 애플 재팬 주식회사,[평성 25년 2월 5일 검색], 인터넷(URL:https://developer.apple.com/jp/devcenter/ios/library/documentation/MobileHIG.pd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0771B (zh) 2015-07-01
CN105247468B (zh) 2018-01-05
CN105247468A (zh) 2016-01-13
KR101636665B1 (ko) 2016-07-05
WO2014192060A1 (ja) 2014-12-04
TW201445415A (zh) 2014-12-01
DE112013006924T5 (de) 2016-01-07
JPWO2014192060A1 (ja) 2017-02-23
US20160004339A1 (en) 2016-01-07
JP5449630B1 (ja)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665B1 (ko)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
EP2256614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328202B1 (ko) 제스처 입력을 통한 기능 수행 명령실행 방법 및 장치
JP4602166B2 (ja) 手書き情報入力装置。
EP3370140B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working mode of touch screen
JP56641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59482A1 (en) Keyboard gesturing
CN103927082A (zh) 基于手势的用户界面方法和设备
US9773329B2 (en) Interaction with a graph for device control
JP5780438B2 (ja) 電子機器、位置指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6912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ulti-touch-capable display and device having a multi-touch-capable display
JP5809202B2 (ja) 画面操作可能な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JP5875262B2 (ja) 表示制御装置
JPWO2011152335A1 (ja) タッチパネル入力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それによる操作受付方法
EP3371686B1 (en) Improved method for selecting an elemen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40067861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95012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4153916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177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40085197A1 (en) Control and visualization for multi touch connected devices
KR20150098366A (ko)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JP2014186699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709775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カーソル制御方法
JP6112147B2 (ja) 電子機器、及び位置指定方法
KR20150049661A (ko) 터치패드 입력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