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951A - 마킹 장치, 플레이트 인출기, 및 플레이트의 인출 방법 - Google Patents

마킹 장치, 플레이트 인출기, 및 플레이트의 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951A
KR20150124951A KR1020157022850A KR20157022850A KR20150124951A KR 20150124951 A KR20150124951 A KR 20150124951A KR 1020157022850 A KR1020157022850 A KR 1020157022850A KR 20157022850 A KR20157022850 A KR 20157022850A KR 20150124951 A KR20150124951 A KR 20150124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holder
marking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스완 라만
이헹관
Original Assignee
헬러만티톤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러만티톤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헬러만티톤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orming Counted Batch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마킹 장치 안에 적층된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플레이트 인출기가 제공되는바,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홀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유지하고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도록 설계된 안내 요소들; 및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제1 개구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인출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에 마킹을 수행하기 위한 마킹 장치가 제공되는바, 상기 마킹 장치는: 플레이트 인출기;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에 마킹을 수행하기 위한 마킹 기기; 및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로부터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집어서 플레이트 인출기로부터 마킹 기기까지 전달하도록 구성된 포획 기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는 마킹을 위하여 상기 마킹 기기로 공급된다.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보유하는 단계; 및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상측 플레이트의 인출 방법도 제공된다.

Description

마킹 장치, 플레이트 인출기, 및 플레이트의 인출 방법{A MARKING APPARATUS AND A PLATE EXTRACTOR AND A METHOD OF EXTRACTING THE PLATE}
본 발명은 플레이트에 마킹을 하기 위한 마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마킹 장치에 있는 복수의 플레이트들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하기 위한 플레이트 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산업들에 있어서, 혼동을 방지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오류를 방지하고 궁극적으로는 식별오인으로 인한 사고와 작업정지 시간의 소요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비 및 설비의 마킹이 중요하다.
일 형태의 마킹은 마킹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추후에 장비 및 설비에 부착될 수 있는 매체에 마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의 장점은 기계에 의하여 상기 매체에 먼저 마킹이 생성되고, 추후에 장비 및 설비에 부착된다는 점이다.
공정들에 적합한 많은 매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일 유형의 매체는 플레이트이며,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플레이트와 같은 금속 플레이트인데,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플레이트는 내식성이 강하여 더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통상적으로 스크류, 접착제, 및 스트랩(strap)에 의하여 상기 장비 및 설비에 부착된다. 금속 플레이트는 0.5mm 내지 2mm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마킹용 플레이트가 현장에서 장비 및 설비에 설치되는 것이 낯선 일은 아니며, 보통의 경우에는 그러한 플레이트들이 현장 조건으로 인하여 더 우수한 설치상의 내구성을 위해서 접착제보다는 스크류 또는 스트랩에 의하여 장비 및 설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하다면, 스크류보다는 스트랩을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스크류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손상되어서 장비 또는 설비의 표면에 국부적인 문제가 발생하거나 그 표면 아래의 재료가 산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플레이트를 스트랩에 의하여 고정시키기 위해서, 스트랩을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플레이트의 설계안에 포함되어야 할 특징부들이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에 브리지(bridge)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써 브리지와 플레이트 표면 사이에 루프(loop)가 형성되어서 스트랩이 상기 브리지와 플레이트 사이의 루프를 통해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스트랩이 플레이트에 확보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예를 들어 파이프와 같은 장비 또는 설비에 고정되는데, 이는 상기 스트랩을 장비 또는 설비 둘레로 감쌈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브리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플레이트의 스트립 부분(strip portion)이 플레이트의 해당 측부로부터 나오도록 프레스가공하고 변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플레이트의 다른 측부에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스트랩은 케이블들을 서로 묶기 위한 통상적인 케이블 타이(cable tie)일 수도 있다.
마킹 플레이트의 현장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필요할 때에 플레이트에 마킹을 할 수 있는 마킹 기계들을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다. 그러한 마킹 기계들을 위한 마킹 플레이트들의 로딩(load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킹 플레이트들은 서로에 대해 적층되어서 복수의 적층된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로써 마킹 전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하나의 플레이트가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플레이트들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마킹 기계에 플레이트들을 적층해 넣는 것이 성가실 수 있으며, 사용자가 플레이트들에 의하여 베이거나 상처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장비 및 설비에 플레이트들을 고정시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들에 형성되는 브리지는 적층된 플레이트들로부터 플레이트를 인출함을 방해한다. 동일한 유형의 플레이트들의 적층된 구성형태에서, 최상측 플레이트 아래의 최하측 플레이트의 브리지들은 최상측 플레이트의 브리지들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안으로 돌출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플레이트를 인출함이 상기 브리지들 간의 인터페이스(interface)와 오목부에 의하여 방해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마킹하기 위한 마킹 장치를 제공하되,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플레이트 인출기와, 상기 마킹 장치에 위치된 적층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 또는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킹 장치 내에 적층된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하기 위한 플레이트 인출기가 제공되는바,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홀더(holder)로서, 상기 홀더는 일 단부, 상기 일 단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대측에 위치한 다른 단부, 전방벽, 및 상기 전방벽의 반대측에 있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벽 및 후방벽 모두는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다른 단부로 연장되며, 상기 홀더의 일 단부 근처에는 제1 개구(first opening)가 구비되고,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유지하되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을 안내하도록 설계된 안내 요소(guiding element)들을 포함하는, 홀더; 및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인출 메카니즘(extract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종장형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를 따라서 연장된 종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종축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들에 의하여 각각 한정되는 평행한 평면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대해 직각일 수 있고 또한 플레이트의 상기 일 측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홀더가 상기 인출 메카니즘에 인접하여 배치된 때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의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가 놓여지는 베이스 또는 지면에 대하여 직각이거나 또는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인출 메카니즘은: 상기 홀더의 일 단부 근처에 배치되어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잡도록 구성된 잡기용 기기(engaging device); 및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안내 요소들을 따라서 상기 잡기용 기기를 향하여 또는 잡기용 기기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공급 메카니즘(feeding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잡기용 기기가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잡게끔 잡기용 기기와 접촉하도록 상승되고,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인출 기기로부터 멀리 하강되며, 이로써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가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 요소들은 상기 홀더 안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일 단부 근처로부터 상기 홀더의 다른 단부 근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후방벽을 따라서 상기 일 단부 근처로부터 상기 다른 단부 근처까지 연장된 슬롯(slo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한 쌍의 측벽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벽들 각각은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후방벽까지 연장되되 상기 홀더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안내 요소들은 적어도 일 측벽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요소는 한 쌍의 핀(fin)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들 각각은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상기 핀과 전방벽 사이에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측벽들 사이에 보유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홀더의 상기 다른 단부 근처에 제2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홀더의 상기 다른 단부 근처에 스토퍼(stopper)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홀더로부터 나감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홀더가 상기 인출 메카니즘에 보유됨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인출 메카니즘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잡기용 기기는 흡착 패드(suction pa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흡착 패드는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때에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가 흡착 패드에 잡히게 하는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출 메카니즘은 상기 흡착 패드와 유체 소통(fluid communication)되는 진공 펌프(vacuum pum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메카니즘은 공급 메카니즘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actuating means)과 상기 작동 수단에 결합된 승강 수단(elevating means)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작동 기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잡기용 기기를 향하여 상승시키거나, 또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상기 잡기용 기기로부터 멀리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 메카니즘은, 상기 작동 수단에 연결된 릴레이 메카니즘(relay mechanism)과, 상기 작동 수단과 승강 수단 간의 동력 전달을 연계하기 위한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메카니즘은 상기 작동 수단에 연결된 제1 풀리(first pulley), 상기 승강 수단에 연결된 제2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둘레에 루프(loop)를 이루는 벨트(bel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수단은, 나사가 형성된 관통 구멍(through hole) 및 상기 나사가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리드 스크류(lead screw)를 구비한 병진 요소(translat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수단은 스테퍼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층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의 최상측 플레이트에 마킹을 수행하기 위한 마킹 장치도 제공하는바, 상기 마킹 장치는: 전술된 플레이트 인출기;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에 마킹을 수행하는 마킹 기기(marking device); 및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로부터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포획하여,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로부터 상기 마킹 기기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가 상기 마킹을 위한 마킹 기기로 공급되게 하는, 포획 기기(picking device);를 포함한다.
상기 포획 기기는 작동 부재(actuating member) 및 상기 작동 부재에 연결된 한 쌍의 손가락 형상부(finger)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손가락 형상부들은 손가락 형상부들이 이격되는 개방 위치와 손가락 형상부들이 서로 모이는 집음 위치(pinching position) 간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가락 형상부들은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집도록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하여 작동되는 때에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집음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포획 기기는 적어도 두 쌍의 손가락 형상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손가락 형상부의 각 쌍은 손가락 형상부의 다른 쌍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포획 기기는,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로부터 마킹 기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와 마킹 기기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킹 기기는 엠보싱 기기일 수 있다.
상기 마킹 기기는 상기 인출 메카니즘과 신호를 교신하고 상기 인출 메카니즘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콘트롤러(control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마킹 장치 내에 길이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방법도 제공되는바, 상기 방법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보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잡기용 기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잡기용 기기에 의하여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잡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하강시켜서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는 마킹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a 에는 도 1 에 도시된 마킹 장치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 에는 마킹 플레이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 에는 도 2a 에 도시된 마킹 플레이트가 복수개로 적층된 모습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도 1 의 마킹 장치의 플레이트 인출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에는 도 3 에 도시된 홀더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 에는 도 4a 의 선 A-A을 따라서 취한 홀더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a 내지 도 5c 에는 도 4a 에 도시된 홀더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d 에는 도 4a, 도 4b, 및 도 5a 내지 도 5c 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도시된 홀더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 홀더는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5e 에는 도 5d 에 도시된 홀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도 4a, 도 4b, 및 도 5a 내지 도 5e 에 도시된 홀더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에는 도 4a, 도 4b, 도 5a 내지 도 5e, 및 도 6 에 도시된 홀더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위에서 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도 4a, 도 4b, 도 5a 내지 도 5e,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홀더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위에서 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 에는 도 6 의 홀더를 위에서 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 에는 도 1 에 도시된 마킹 장치의 인출 메카니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에는 도 10 에 도시된 인출 메카니즘의 잡기용 기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 에는 도 10 에 도시된 인출 메카니즘의 공급 메카니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 에는 도 10 에 도시된 인출 메카니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 에는 도 1 에 도시된 마킹 장치의 포획 기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 에는 도 14 에 도시된 포획 기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 에는 도 14 에 도시된 포획 기기가 마킹 장치 내의 다양한 위치들에 있는 모습이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17 에는 도 1 에 도시된 마킹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 간의 교신(communication)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 에는 도 1 에 도시된 마킹 장치의 슈트(chute)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 에는 도 3 의 플레이트 인출기를 이용하여 마킹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 에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한, 도 19 의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 에는 도 12 에 도시된 공급 메카니즘의 승강 수단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 에는 도 12 에 도시된 공급 메카니즘에 적합한 안내 레일(guiding rail)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복수의 플레이트(20)에 마킹하기 위한 마킹 장치(10)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 마킹 장치는 예를 들어 적층된 형태로 되어 있는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나온 플레이트(24)에 마킹을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 참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 장치(10)는 마킹 장치 안에 적층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22)(도 1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아래에서 설명됨)를 인출하기 위한 플레이트 인출기(1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마킹 장치(10)는, 최상측 플레이트(22)에 마팅하는 마킹 기기(400)와,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100)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집어서 최상측 플레이트(22)를 플레이트 인출기(100)로부터 마킹 기기(400)로 전달하여 최상측 플레이트가 마킹을 위한 마킹 기기(400)로 공급될 수 있게끔 하도록 구성된 포획 기기(5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a 에는 마킹 장치(10)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마킹에는 엠보싱(embossing), 잉크 스탬핑(ink stamping), 새김(inscribing)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마킹 장치는 엠보싱 장치, 스탬핑 장치, 새김 장치 등으로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도 2a 에는 플레이트(24)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24)는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와 같은, 종장형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 2a 에 도시된 플레이트(24)는 제1 단부(26) 및 제1 단부(26) 반대측의 제2 단부(28)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적어도 제1 단부(26)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루프(loop; 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a 에 도시된 플레이트(24)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1 단부(26) 및 제2 단부(28) 각각에 루프(30)를 구비한다. 플레이트(24)는 종장형 형상의 플레이트(24)를 따라서 연장된 종축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30)들은 상기 종축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30)들은 플레이트(24)의 일 측부(34)에서 플레이트(24)에 연결된 브리지(32)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리지(32)는 플레이트의 스트립 부분을 프레싱(pressing)하고 변형시켜서 플레이트(24)의 일 측부(34)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바, 이로써 플레이트(24)의 다른 측부에서는 오목부를 형성하게 된다. 브리지(30)들은 서로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가단성(malleable)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20)는 서로의 위에 적층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적층되어서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0)는 길이방향(L)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2a 에 도시된 플레이트(24)를 참조할 때, 길이방향(L)은 플레이트(24)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룬다. 길이방향(L)은 플레이트(24)의 일 측부(34)에 대해 직각일 ㅅ 있으며, 플레이트(24)의 일 측부(34)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최상측 플레이트(22)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에서 최외측 플레이트 또는 제1 플레이트일 수 있는바, 최상측 플레이트(22)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다른 플레이트를 분리시키지 않고서 접근하여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인출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2) 각각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플레이트(24)의 치수, 예를 들어 길이, 폭, 및 두께가 설계 요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플레이트(24)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바, 이로써 플레이트(24)의 길이와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인출기(100)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홀더(210)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상기 홀더(210) 안에 유지되어 있는 때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22)(도 3 에는 보이지 않음)를 길이방향(L)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인출 메카니즘(300)을 구비한다. 홀더(210)는 인출 메카니즘(300)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최상측 플레이트(22)가 인출 메카이즘(300)에 의하여 상기 홀더(2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한 인출 메카니즘(30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출 메카니즘(300)에 인접하여 배치된 때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L)은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100)가 놓여 있는 베이스(base) 또는 지면에 대해 직각이거나 또는 수직일 수 있다.
홀더(210)는 상기 인출 메카니즘(30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홀더(210)는 인출 메카니즘(300)에 클립핑(clipping)되거나, 또는 자성 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너가, 또는 스크류,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인출 메카니즘(300)에 대한 홀더(210)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인출 메카니즘(30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메카니즘(300)에 홀더(2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24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수단(240)은 한 쌍의 걸쇠(latch; 306)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걸쇠(306)들은 홀더(210) 상의 대응되는 개구(252)들의 쌍에 걸림으로써 상기 홀더(21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 에는 한 쌍의 걸쇠(306)들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음). 걸쇠(306)들은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단부를 갖는 연장 아암(extended arm)일 수 있다. 상기 걸쇠(306)의 제1 단부는 인출 메카니즘(30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걸쇠(306)들은 상기 제2 단부 근처에 상기 홀더(210)에의 걸림을 위한 후크(hook)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쇠(306)들은 상기 제1 단부 근처에서 하우징(housing; 302)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잡는 구성형태(engaging configuration)에서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편향 수단(biasing means)에 의하여 서로를 향하여 편향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를 잡기 위하여 홀더(210)는 상기 걸쇠(306)들에 반하여 가압되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그 멀어짐은 걸쇠(306)들이 대응되는 개구(252)들을 찾아서 편향 수단으로 인하여 상기 잡는 구성형태로 되돌아 스냅핑(snapping)되는 때, 즉 후크가 개구(252)에 맞물리는 때까지 이루어진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쇠(306)들은 상기 잡는 구성형태에서 홀더(210)의 개구(252)들과 맞물려 있다.
고정 수단(240)은 자성 수단(magnetic means)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수단은, 홀더(210)가 자성에 의하여 인출 메카니즘(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벽(306)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수단(240)은, 상기 홀더(210)가 인출 메카니즘(300)에 자성에 의하여 부착된 때에 홀더(210)를 인출 메카니즘(300)에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aligning means)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수단(240)에는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포함될 수 있다. 홀더(210)는 예를 들어 후방벽(228)으로부터 연장된 패널(panel)과 같은 부분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패널에는, 홀더(210)가 인출 메카니즘(300)과 결합되도록 위치된 때에 상기 인출 메카니즘(300)에 있는 나사 구멍들과 대응되는 구멍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체결구는, 상기 나사 구멍들 안으로 체결구를 체결시킴에 의하여 홀더(210)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a 에는 홀더(210)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210)는 케이싱(casing;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일 단부(216), 및 상기 일 단부(216)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측에 있는 다른 단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210)는 전방벽(218) 및 상기 전방벽(218)의 반대측에 있는 후방벽(228)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벽(218) 및 후방벽(228) 모두는 상기 케이싱(230)의 일 단부(216)로부터 다른 단부(226)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벽(218)은 후방벽(22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홀더(210)는 한 쌍의 측벽(232)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232)들은 전방벽(218)으로부터 후방벽(228)으로, 그리고 홀더(210)의 일 단부(216)로부터 다른 단부(226)로 연장된다. 측벽(232)들은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홀더(210)는, 상기 홀더의 일 단부(216) 근처에 적어도 제1 개구(214)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210)는 홀더(210)의 다른 단부(226) 근처에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개구(224)를 구비할 수 있다. 인출 메카니즘(300)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제1 개구(214)를 통하여 길이방향(L)으로 최상측 플레이트(22)(도 4a 에는 보이지 않음)를 인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10)는 홀더(210)의 일 단부(216) 근처로부터 다른 단부(226) 근처까지 길이방향(L)으로 후방벽(228)을 따라서 연장된 슬롯(234)을 구비할 수 있다. 슬롯(234)은 상기 일 단부(216) 근처로부터 다른 단부(226) 근처까지 후방벽(238)의 중앙 부분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는바, 이로써 후방벽(228)으로부터 전방벽(218)을 향하여 볼 때에 슬롯(234)의 중앙 종축(238)이 홀더(210)의 중앙 종축과 실질적으로 선을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슬롯(234)의 일 측부에 있는 좌측 후방벽 부분(238a)의 폭이 슬롯(234)의 다른 측부에 있는 우측 후방벽 부분(238b)의 폭에 대응되도록, 슬롯(234)이 후방벽(228) 상에서 중앙에 있게 된다. 또한, 슬롯(234)이 측벽(232)에 인접한 일 가장자리를 향하여 치우치게끔 상기 폭들이 동일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홀더(210)는 상기 홀더(210)의 다른 단부 근처에 제2 개구(2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구(214) 및 제2 개구(224)는 홀더(210) 내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도록 연계될 수 있다.
도 4b 에는 도 4a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A-A선을 따라 취한 해당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36)가 외팔보(cantilever) 처럼 전방벽(218)으로부터 후방벽(228)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지만, 스토퍼(236)는 후방벽(228)으로부터 전방벽(218)을 향하여 또는 측벽(232)들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스토퍼(236)는 벽들(218, 228) 중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연장된, 하나의 돌출부 또는 외팔보이거나,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 또는 외팔보일 수 있다.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10)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제2 개구(224)를 통하여 홀더(210)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토퍼(236)를 상기 홀더(210)의 다른 단부(226) 근처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홀더(210) 안으로 삽입된 때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는 상기 스토퍼(236)에 의하여 멈추어질 수 있다. 제2 개구(224)가 없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스토퍼(236)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와 홀더(210)의 다른 단부(226) 사이에 간극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전히 필요할 수 있다.
도 5a, 5b, 또는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10)의 다양한 구성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슬롯(234)이 제1 개구(214) 및/또는 제2 개구(22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a 에서, 슬롯(234)은 제1 개구(214)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로써 후방벽(228)이 측벽(232)들 및 제2 개구(224)와 만나는 가장자리들을 따라 경계를 이루어 U자 형상의 벽을 형성한다. 도 5b 에서, 슬롯(234)은 제2 개구(224)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로써 후방벽(228)이 측벽(232)들 및 제1 개구와 만나는 가장자리들을 따라서 경계를 이루어 역 U자 형상의 벽을 형성한다. 도 5c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슬롯(234)들은 제1 개구(214) 및 제2 개구(224)에 연결될 수 있는바, 이로써 후방벽(228)이 길이방향으로 두 개인 좌측 후방벽 부분(238a) 및 우측 후방 단부 벽 부분(238b)을 형성하는데, 이 길이방향 부분 각각은 후방벽(228)이 측벽(232)들을 만나고 서로를 향하는 두 개의 가장자리들로부터 연장된다. 도 5a 내지 도 5c 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토퍼(234)는 전방벽(218) 또는 후방벽(228)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5a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벽(228)이 제2 개구(224)와 만나는 가장자리를 따라 있는 후방벽(228)의 경계 부분에서, 스토퍼(236)는 상기 경계 부분 위로 또는 상기 경계부분으로부터 멀리 홀더(2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데, 이로써 (도 12 내지 도 13 에 도시된) 승강 수단(326)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상기 스토퍼(236) 상에 안착된 때의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와, 상기 홀더(210)가 인출 메카니즘(300)에 부착된 때(도 3 참조)의 경계 부분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 5d 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홀더(210) 내에 유지하고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의 안내를 위하여 상기 전방벽(218), 후방벽(228), 및 측벽(232)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후방벽(228)과 측벽(232)들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요소일 수 있다.
도 5e 에는 홀더(210) 내에 로딩된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구비한 홀더(2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e 에는 스토퍼(236)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토퍼(236) 상에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안착되어 있는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와 제2 개구(22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는 홀더(2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210)는 앞선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벽(218), 상기 전방벽(218)의 반대측에 있는 후방벽(228), 및 상기 전방벽(218)과 후방벽(228)에 접하는 측벽(232)들을 구비한 케이싱(230)을 구비할 수 있다. 홀더(210)는 제1 개구(214) 및 상기 제1 개구(214)의 반대측에 있는 제2 개구(2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10)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유지시키고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L)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계된 안내 요소(212)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홀더(210)의 다른 단부(226) 근처에 스토퍼(2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전방벽(218)에 복수의 개구(222)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개구(222)들은 상기 홀더(210)의 일 단부(216) 근처로부터 다른 단부(226)로 연장된 종장형의 외형을 가진 것일 수 있다. 개구(222)들은 상기 홀더(210) 내의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의 시작적인 검사를 허용한다. 또한 상기 개구(222)들로 인하여, 상기 홀더(210)를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재료가 적게 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3개의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2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10) 안에는 안내 요소(212)들이 배치될 수 있다. 안내 요소(212)들은 측벽(232)들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일 단부(216) 근처로부터 홀더(210)의 다른 단부(226) 근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안내 요소(212)들은 적어도, 상기 스토퍼(236)로부터 또는 스토퍼(236) 근처로부터 상기 홀더(210)의 제1 단부(26) 근처가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안내 요소(212)들이 단 하나의 측벽(232)으로부터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내 요소(212)들과 전방벽(218)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의 폭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상기 안내 요소(212)들이 전방벽(21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7 에는 홀더(2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요소(212)는 두 개의 측벽(232)들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연장된 한 쌍의 핀(242)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핀(242)은 전방벽(21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핀(242)들은 전방벽(21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그 이격된 간격은 플레이트(24)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는 한 쌍의 핀(242)들과 전방벽(218) 사이에, 그리고 측벽(232)들 사이에 보유될 수 있고, 길이방향(L)으로 이동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핀(242)은 두 개의 측벽들(232) 대신에 하나의 측벽(23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핀(242)들은 상기 홀더(210)의 일 단부(216) 근처로부터 다른 단부(226) 근처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는 (도 7 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236)에 의하여 제2 개구(224)로부터 나옴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요소(212)는 한 쌍의 채널(채널; 244)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각각의 채널(244)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수용면(receiving face)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채널(244)들의 수용면들은 서로를 대면하도록 되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상기 한 쌍의 채널(244)들의 수용면들 각각 안에서 상기 한 쌍의 채널(244)들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10)는 측벽(232)들 및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 24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246)는 측벽(232)으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핀(248)일 수 있다. 핀(248)은 상기 일 단부(216) 근처로부터 다른 단부(226) 근처까지 또는 스토퍼(236) 근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안내 요소(212)들 및 스페이서(246)가 홀더(21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요소(212)들 및/또는 스페이서(246)들은 길이방향(L)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유지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안내 요소(212)들 및 스페이서(246)들의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홀더(210) 내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의 위치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플레이트(24)의 평면 크기보다 폭넓은 홀더(210)가 사용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한 평면 치수를 갖는 플레이트(24)들이 상기 홀더(210) 안에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표준적인 크기의 케이싱(230)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표준적인 크기의 케이싱(230)으로 인하여 다중의 치수를 갖는 플레이트(24)들을 위한 표준적 크기의 홀더(210)가 상기 홀더(210) 내에 보유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홀더(210)를 인출 메카니즘(300)에 부착시키기 위한 표준적인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다양한 치수의 플레이트들을 보유하기 위하여 다양한 치수를 갖는 다양한 홀더들은, 상기 홀더를 인출 메카니즘(300)에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수단들 또는 조정 수단들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10 에는 인출 메카니즘(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인출 메카니즘(300)은 (도 10 에는 도시되지 않은)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잡도록 구성된 잡기용 기기(310)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잡기용 기기(31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메카니즘(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 메카니즘(300)은 하우징(housing; 302)의 일 측부에서 결합 벽(engaging wall; 304)을 구비한 하우징(30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벽(310)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318)(도 3 참조)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슬롯(318)은 상기 결합 벽(310)의 최상측 단부 부분 근처로부터 상기 결합 벽(310)의 최상측 단부 부분 반대측에 있는 결합 벽(304)의 최하측 단부 부분 근처까지 연장된다. 공급 메카니즘(320)이 상기 하우징(302) 내부로부터 하우징(302) 외부까지 연장되도록 슬롯(318)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공급 메카니즘(320)은 상기 슬롯(318)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잡기용 기기(310)를 향하여, 즉 적층된 복수의 블레이드(blade; 20)들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상기 잡기용 기기(310)로부터 멀리, 즉 상기 적층된 블레이드(20)들을 하강시키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벽(302)은 두 개의 슬롯(318)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1 에는 잡기용 기기(310)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잡기용 기기(310)는, 홀더(210)가 인출 메카니즘(300)에 부착된 때에 (도 11 에는 도시되지 않은) 홀더(210)의 일 단부(216)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벽(304)에 관하여 설명하자면, 잡기용 기기(310)는 상기 결합 벽(304)의 최상측 단부 근처에 상기 결합 벽(304)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기용 기기(310)는 길이방향에서 상기 홀더의 일 단부(216)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잡기용 기기(310)가 홀더(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기용 기기(310)는 흡착 패드(3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흡착 패드(312)는 최상측 플레이트(22)와 접촉한 때에 최상측 플레이트(22)를 흡착 패드(312)에 붙잡아두기 위한 흡착력을 제공한다. 잡기용 기기(310)는 상기 결합 벽(304)으로부터 연장된 아암(arm; 314)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기용 기기(310)는 아암(314)에 의하여 상기 결합 벽(304)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바, 이로써 잡기용 기기(310)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의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부동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잡기용 기기(310)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향하여 이동 또는 하강되어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잡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멀리 이동 또는 상승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22)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잡기용 기기(310)가 길이방향으로 홀더(21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잡기용 기기(310)는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자성에 의하여 잡도록 구성된 솔레노이드 자석(solenoid magnet)이거나, 또는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인출하기 위하여 최상측 플레이트(22)를 클램핑(clamping)하도록 구성된 클램프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 자석은, 최상측 플레이트(22)와 접촉하도록 하강된 때에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잡기 위하여 자성을 부여받고, 필요한 때에는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22)를 내려놓도록 자성을 박탈당할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메카니즘(300)은 홀더(210)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sensor; 38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380)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 또는 홀더(210)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하여, 빛을 방출하는 광 방출기(도 11 에 도시되지는 않음)와, 홀더(210)가 인출 메카니즘(300)에 부착된 때에 홀더(210)로부터 반사된 빛을 받아들이는 광 수신기(도 11 에 도시되지는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메카니즘(320)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공급 메카니즘(320)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332)과 상기 작동 수단(332)에 결합된 승강 수단(326)을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승강 수단(326)은 작동 수단(332)에 의하여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길이방향(L)을 따라서 잡기용 기기(310)(도 12 에는 미도시)를 향하여 상승시키거나 또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잡기용 기기(310)로부터 멀리 하강시킨다.
상기 공급 메카니즘(320)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길이방향에서 안내 요소(212)들을 따라 잡기용 기기(310)를 향하여 또는 잡기용 기기(310)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이로써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상기 잡기용 기기(310)와 접촉하도록 상승되어서 상기 잡기용 기기가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잡는 공급 위치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인출 장치로부터 먼 베이스 위치(base position)로 하강됨으로써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수단(332)에는 예를 들어 스테퍼 모터와 같은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수단(326)은 나사가 형성된 관통 구멍(352)과 상기 나사가 형성된 관통 구멍(352)를 통하도록 배치된 리드 스크류(342)를 구비한 병진 요소(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342)의 나사는 상기 나사가 형성된 관통 구멍(352)의 나사와 맞물린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병진 요소(350)가 상기 리드 스크류(34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342)가 작동 수단(332)에 의하여 회전되는 때에 상기 병진 요소(350)가 길이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342)가 작동 수단(332)에 의하여 회전되는 때에, 회전방식으로 확고한 방위를 갖도록 유지되는 병진 요소(350)는 상기 병진 요소(350)에 대한 리드 스크류(342)의 회전 작용으로 인하여 리드 스크류(342)를 따라서 병진이동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342)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바, 여기에서 상기 리드 스크류(342)의 종축은 상기 길이방향(L)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리드 스크류(342)는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병진 요소(350)는 회전방식으로 확고한 방위를 갖도록 유지될 수 있는바, 이로써 리드 스크류(342)가 작동 수단(332)에 의하여 회전되는 때에 상기 병진 요소(350)가 길이방향(L)에서 리드 스크류(342)를 따라서 병진운동할 수 있다.
승강 수단(326)은, 상기 병진 요소(350)으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L)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손가락 형상부(328)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병진 요소(350)가 리드 스크류(342)를 따라서 이동하는 때에 상기 손가락 형상부(328)들이 길이방향(L)으로 병진운동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손가락 형상부(328)들은, 상기 홀더(210)가 인출 메카니즘(300)에 부착된 때에, 홀더(210)의 다른 단부(226)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형상부(328)들은 슬롯(318)들을 통하여 결합 벽(304)으로부터 연장되어서, 홀더(210)가 인출 메카니즘(300)에 부착된 때에 홀더(210)의 후방벽(228)을 따라 슬롯(234)(도 10 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홀더(210)(도 10 참조) 안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손가락 형상부(328)는 결합 벽(304)에 있는 슬롯(318)을 통하여 병진 요소(35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2)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두 개의 슬롯(318)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슬롯(318)들로부터 연장된 손가락 형상부(317)들이 두 개 존재할 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형상부(328)들은 홀더(210)의 후방벽(228)을 따라서 슬롯(234)을 통해서 홀더(210)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손가락 형상부(328)들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 아래에서, 즉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와 홀더(210)의 제2 개구(224) 사이에서 홀더(210)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손가락 형상부(328)들이 상기 후방벽(228)으로부터 홀더(210) 안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손가락 형상부(328)들은 개구(222)들을 통하여 전방벽(218)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2 를 참조하면, 공급 메카니즘(320)은 작동 수단(332)에 결합된 릴레이 메카니즘(334)과, 상기 작동 수단(332)으로부터 승강 수단(326)으로 작동력(actuating force)을 전달(relaying)하기 위한 승강 수단(326)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메카니즘(334)은 풀리(pulley) 및 벨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데, 벨트(336)는 제1 풀리(338) 및 제2 풀리(340) 둘레로 루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제1 풀리(338)는 작동 수단(33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풀리(340)는 승강 수단(326)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340)는 리드 스크류(342)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되는 때에, 작동 수단(332)은 제1 풀리(338)를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벨트(336)를 거쳐서 제2 풀리(340)가 회전된다. 제2 풀리(340)가 회전되는 때에는 리드 스크류(342)가 회전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리드 스크류(342)를 따른 병진 요소(350)의 병진 운동이 이루어진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메카니즘(334)이 풀리 및 벨트 시스템 대신에 기어 및 체인 시스템(gear and chain system)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구동 기어(driving gear)가 작동 수단에 연결될 수 있고,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리드 스크류(34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기어와 피니언 기어 둘레에는 체인이 루프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작동되는 때에는 상기 작동 수단(332)이 구동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체인을 거쳐서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어서 리드 스크류(342)가 회전된다.
도 10 을 참조하면, 인출 메카니즘(300)은 흡착 패드(312)와 유체 소통되는 진공 펌프(316)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펌프(316)는 최상측 플레이트(24)와 흡착 패드(312)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이로써 흡착 패드(312)가 최상측 플레이트(24)와 접촉하는 때에 흡착력을 발생시키고 기밀성 밀봉(air-tight seal)을 형성한다.
진공 펌프(316)는 진공 스위치를 거쳐서 상기 잡기용 기기(310)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급 메카니즘(320)은, 진공 펌프(316)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마킹 기기(400)는, 예를 들어 엠보싱 기기, 잉크 스탬핑 기기, 새김 기기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20)들에 마킹을 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에는 포획 기기(500)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포획 기기(500)는 작동 부재(510)와, 상기 작동 부재(510)에 연결된 한 쌍의 집게(pincer; 5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한 쌍의 집게(520)는 한 쌍의 집게(520)가 떨어져 이격되는 개방 위치와 집게(520)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모이는 집음 위치 간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집게(520)는, 작동 부재(510)에 의하여 작동되는 때에 개방 위치로부터 집음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집을 수 있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 기기(500)는 적어도 두 쌍의 집게(520)를 구비할 수 있는데, 한 쌍의 집게(520)는 다른 쌍의 집게(52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두 쌍의 집게(520)는 상기 플레이트(24)의 단부들 근처에서 상기 브리지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폭 정도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치수를 갖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두 쌍의 집게(520)들 사이의 폭은 가장 짧은 플레이트의 브리지들 사이의 거리 정도로 설계될 수 있다.
포획 기기(500)는, 최상측 플레이트(22)를 플레이트 인출기(100)로부터 마킹 기기(400)로 전달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인출기(100)와 마킹 기기(400)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 장치(10)는 인출 메카니즘(300)으로부터 마킹 기기(400)까지 연장된 레일(12)를 구비할 수 있는바,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인출 메카니즘(300)과 마킹 기기(400) 사이에서 전달하기 위하여 포획 기기(500)가 인출 메카니즘(300)과 마킹 기기(400) 간으로 움직이게끔 레일(12) 상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획 기기(500)는 레일(12)이 포획 기기(500)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레일(12)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할 수 있는바, 이로써 포획 기기(500)가 레일(12)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게 된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2)은 한 쌍의 평행한 로드(rod)들일 수 있는데, 포획 기기(500)는 상기 평행한 한 쌍의 로드들 상에서 활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포획 기기(500)가 상기 평행한 로드들에 제한될 수 있어서, 포획 기기(500)의 보다 안정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 기기(500)는 인출 메카니즘(300)으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22)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 위치(pick up location; 532), 마킹을 위하여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제1 방향(D1)에서 마킹 기기(400)로 공급하기 위한 마킹 위치(marking location; 534), 및 마킹된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수집기(collector; 150)로 내려놓기 위한 내려놓음 위치(release location; 536) 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포획 기기(500)의 위치들(532, 534, 536)은 상기 레일(12)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내려놓음 위치(536)는 포획 위치(532)와 마킹 위치(534) 사이에 있을 수 있다.
포획 위치(536)에서, 포획 기기(500)는 최상측 플레이트(22)를 포획하기 위하여 인출 메카니즘(300)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고, 최상측 플레이트(22)를 포획한 후에는 제2 방향(D2)을 따라서 인출 메카니즘(300)으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다. 제1 방향(D1)은 제2 방향(D2)에 대해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마킹 위치(534)에서, 포획 기기(500)는 최상측 플레이트(22)를 마킹을 위해 배치시키도록 마킹 기기(400)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22)의 마킹 후에는 마킹 기기(400)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다.
도 18 에는 슈트(14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마킹 장치(10)는 마킹된 플레이트(24)들을 예를 들어 박스인 수집기(150)로 채널링(channeling)시키기 위한 슈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참조).
도 18 을 참조하면, 슈트(140)는 진입 지점(entry point; 142), 이탈 지점(exit point; 144), 및 상기 진입 지점(142)과 이탈 지점(144) 사이의 채널(channel; 14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슈트(140)의 진입 지점(142)은 내려놓음 위치(536)에서 포획 기기(5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슈트(140)의 진입 지점(142)은 내려놓음 위치(536)에서 포획 기기(5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슈트(140)의 진입 지점(142)은 두 쌍의 집게(520) 아래에서 상기 두 쌍의 집게(520) 사이에 또는 길이방향(L)에서 상기 두 쌍의 집게(5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7 에는 마킹 장치(10)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마킹 장치(10)는 인출 메카니즘(300)과 신호를 교신하고 인출 메카니즘(30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콘트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러(600)는 공급 메카니즘(320) 및 포획 기기(500)와 교신하고 이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수단(332)의 작동은 상기 콘트롤러(6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작동 수단(332)이 스테퍼 모터인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러(600)가 상기 스테퍼 모터의 회전 방향과, 상기 작동 수단(332)을 예를 들어 일 방향으로 작동시키는데에 필요한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요한 시간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상기 잡기용 기기(310)에 접촉하도록 상승시키고, 후속하여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상기 홀더(210)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 예를 들어 홀더(210) 내의 최저 지점까지 하강시키는데에 필요한 시간일 수 있다.
콘트롤러(6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개별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킹 기기(400) 및 포획 기기(500)와 신호를 교신할 수 있다.
마킹 장치(10)는, 예를 들어 마킹될 플레이트들의 치수 및 상기 플레이트들 상에 마킹될 문구와 같은 지시사항을 콘트롤러(600)에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식 패널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예를 들어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과, 문구 및 지시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예를 들어 키보드와 같은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마킹 장치(10)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의 연결을 위한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를 포함할 수 있다.
마킹 장치(10)는, 예를 들어 무선 키보드와 같은 무선 교신 기기와의 교신을 위하여, 블루투스 송수신기(BluetoothTM transceiver)와 같은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마킹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 입력된 지시사항들을 처리하고 콘트롤러(600)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을 포함할 수 있다.
마킹 장치(10)는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하여 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USB interface)와 같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킹 장치(10)는 보조 기기(auxiliary device)와의 연결 및 상기 보조 기기에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공급 포트(power supply por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 에는 마킹 장치(10) 안에 적층된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방법(1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0)는 길이방향(L)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단계(1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0)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보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는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인출하기 전에 홀더(210)에 의하여 보유된다.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구비한 홀더(210)는 마킹 장치(10) 안으로 로딩(loading)될 수 있다. 홀더(210)는 인출 메카니즘(3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 안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존재함은, 상기 홀더(210)가 인출 메카니즘(300), 예를 들어 결합 벽(304)에 부착되는 때에 센서(38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마킹될 플레이트(24)들의 치수와 상기 플레이트(24)들에 마킹될 문구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1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0)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22)를 길이방향(L)으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200)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는 잡기용 기기(310)와 접촉하도록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작동 수단(332)이 작동도리 수 있다. 일단 작동되면, 예를 들어 손가락 형상부(328)들과 같은 승강 수단(326)이 작동되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잡기용 기기(310)를 향하여 이동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 스크류(342)가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리드 스크류(342)의 종축에 대해 회전방향으로 고정된 병진 요소(350)가 잡기용 기기(310)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병진운동하게 된다.
방법(1000)은 잡기용 기기(310)에 의하여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잡는 단계(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잡기용 기기(310)에 접촉하게끔 충분히 상승된 때에는, 최상측 플레이트(22)가 잡기용 기기(310), 구체적으로는 흡착 패드(312)와 접촉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잡도록 잡기용 기기(310)가 작동될 수 있다. 콘트롤러(600)는 진공 펌프(316)를 작동시켜 상기 흡착 패드(312)와 최상측 플레이트(22) 사이에 포함된 공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흡착 패드(312)가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잡을 수 있게 된다.
단계(1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최상측 플레이트(22)가 잡혀지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가 하강됨으로써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인출하게 된다.
한편, 포획 기기(500)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하여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집어 올리도록 작동될 수 있다. 포획 기기(500)가 작동되는 때에는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작동되는 때에는, 상기 두 쌍의 집게(520)가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집기 위하여 최상측 플레이트(22)를 향하여 미리 정해진 포획 위치(532)로 이동될 수 있다. 포획 위치(532)에 도달하면, 상기 두 쌍의 집게(520)들이 개방 위치로부터 집음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최상측 플레이트(22)를 집을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잡기용 기기(310)는 최상측 플레이트(22)에 대한 잡음을 해제시킬 수 있다. 진공 펌프(316)는 콘트롤러(600)에 의하여, 예를 들어 공기를 앞서 형성되었던 진공 안으로 되돌아 가도록 펌핑함으로써, 생성된 흡착력을 제거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최상측 플레이트(22)가 포획 기기(500)에 의하여 집혀진 때, 최상측 플레이트(22)는 인출 메카니즘(300)으로부터 마킹 기기(400)로 전달될 수 있다. 포획 기기(500)는 포획 위치(532)로부터 마킹 위치(534)로 이동할 수 있다. 포획 기기(500)는 레일(12)들을 따라서 마킹 기기(400)을 향하여 활주하여, 최상측 플레이트(22)를 마킹 기기(400)로 공급할 수 있으며, 마킹 기기(400)는 최상측 플레이트(22)에 대하여 예를 들어 엠보싱, 스탬핑, 새김에 의하여 마킹한다.
최상측 플레이트(22)가 마킹된 다음에는, 포획 기기(500)가 최상측 플레이트(22)를 마킹 기기(400)로부터 이탈하도록 빼낼 수 있다. 포획 기기(500)는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22)를 내려놓음 위치(536)으로 전달할 수 있다. 내려놓음 위치(536)에서, 상기 두 쌍의 집게(520)는 슈트(140)의 진입 지저(14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두 쌍의 집게(520)가 집음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되도록 작동됨으로써,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22)가 포획 기기(500)로부터 풀려나서 최상측 플레이트(22)가 슈트(140) 안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방법(1000)이 다음의 최상측 플레이트(22)에 대하여 반복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다음의 최상측 플레이트(22)가 다시 마킹을 위하여 인출될 수 있다.
도 21 에는 공급 메카니즘(32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작동 수단(332)은 승강 수단(326)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수단(332)은 작동 수단(332)에 결합된 기어(gear)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수단(326)은, 승강 수단(326)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장착되고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랙(rack)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326)은 상기 홀더(210)의 제2 개구(224)를 통하여 홀더(210) 안으로 연장된 피스톤일 수 있고, 상기 랙은 전술된 바와 같이 피스톤에 형성될 수 있다.
작동되는 때에는 상기 랙에 결합된 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승강 수단(326)을 길이방향(L)에서 상기 잡기용 기기(310)를 향하여 또는 잡기용 기기(310)로부터 멀리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잡기용 기기(310)를 향하여 또는 잡기용 기기(310)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도 22 에는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병진 요소(350)를 안내하는 안내 레일(324)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공급 메카니즘(320)은 상기 병진 요소(3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324)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로써 상기 작동 기기(330)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병진 요소(350)는 상기 안내 레일(324)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길이방향(L)에서 상기 잡기용 기기(310)를 향하여 상승시키거나 또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상기 잡기용 기기(310)로부터 멀리 하강시킬 수 있다.
도 2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레일(324)은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한 쌍의 종장형 부재들일 수 있으며, 상기 병진 요소(350)는 상기 한 쌍의 종장형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종장형 부재들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내 레일(324)은 상기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예를 들어 로드(rod)와 같은 종장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레일(324)은, 병진 요소(350)가 상기 결합 벽(304)을 따라 이동하게끔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 벽(30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Claims (25)

  1. 마킹 장치 내에 적층된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하기 위한 플레이트 인출기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홀더(holder)로서, 상기 홀더는 일 단부, 상기 일 단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대측에 위치한 다른 단부, 전방벽, 및 상기 전방벽의 반대측에 있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벽 및 후방벽 모두는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다른 단부로 연장되며, 상기 홀더의 일 단부 근처에는 제1 개구(first opening)가 구비되고,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유지하되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을 안내하도록 설계된 안내 요소(guiding element)들을 포함하는, 홀더; 및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인출 메카니즘(extracting mechanism);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메카니즘은:
    상기 홀더의 일 단부 근처에 배치되어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잡도록 구성된 잡기용 기기(engaging device); 및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안내 요소들을 따라서 상기 잡기용 기기를 향하여 또는 잡기용 기기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공급 메카니즘(feeding mechanism);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잡기용 기기가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잡게끔 잡기용 기기와 접촉하도록 상승되고,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인출 기기로부터 멀리 하강되며, 이로써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3.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들은 상기 홀더 안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일 단부 근처로부터 상기 홀더의 다른 단부 근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4.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후방벽을 따라서 상기 일 단부 근처로부터 상기 다른 단부 근처까지 연장된 슬롯(slo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한 쌍의 측벽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 각각은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후방벽까지 연장되되 상기 홀더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안내 요소들은 적어도 일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는 한 쌍의 핀(fin)들을 포함하고, 상기 핀들 각각은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핀과 전방벽 사이에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측벽들 사이에 보유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홀더의 상기 다른 단부 근처에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8.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홀더의 상기 다른 단부 근처에 스토퍼(stopp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홀더로부터 나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홀더가 상기 인출 메카니즘에 보유됨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인출 메카니즘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잡기용 기기는 흡착 패드(suction pad)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 패드는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때에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가 흡착 패드에 잡히게 하는 흡착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메카니즘은 상기 흡착 패드와 유체 소통(fluid communication)되는 진공 펌프(vacuum pum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메카니즘은 공급 메카니즘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actuating means)과 상기 작동 수단에 결합된 승강 수단(elevat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작동 기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잡기용 기기를 향하여 상승시키거나, 또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상기 잡기용 기기로부터 멀리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메카니즘은, 상기 작동 수단에 연결된 릴레이 메카니즘(relay mechanism)과, 상기 작동 수단과 승강 수단 간의 동력 전달을 연계하기 위한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메카니즘은 상기 작동 수단에 연결된 제1 풀리(first pulley), 상기 승강 수단에 연결된 제2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둘레에 루프(loop)를 이루는 벨트(bel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나사가 형성된 관통 구멍(through hole) 및 상기 나사가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리드 스크류(lead screw)를 구비한 병진 요소(translating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인출기.
  18. 적층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의 최상측 플레이트에 마킹을 수행하기 위한 마킹 장치로서,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레이트 인출기;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에 마킹을 수행하는 마킹 기기(marking device); 및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로부터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포획하여,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로부터 상기 마킹 기기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가 상기 마킹을 위한 마킹 기기로 공급되게 하는, 포획 기기(picking device);를 포함하는, 마킹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기기는 작동 부재(actuating member) 및 상기 작동 부재에 연결된 한 쌍의 손가락 형상부(finger)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손가락 형상부들은 손가락 형상부들이 이격되는 개방 위치와 손가락 형상부들이 서로 모이는 집음 위치(pinching position) 간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가락 형상부들은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집도록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하여 작동되는 때에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집음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기기는 적어도 두 쌍의 손가락 형상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형상부의 각 쌍은 손가락 형상부의 다른 쌍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기기는,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로부터 마킹 기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인출기와 마킹 기기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기기는 엠보싱 기기(embossing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메카니즘과 신호를 교신하고 상기 인출 메카니즘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콘트롤러(controll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24. 마킹 장치 내에 길이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보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최상측 플레이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상측 플레이트의 인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잡기용 기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잡기용 기기에 의하여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잡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하강시켜서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최상측 플레이트를 상기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상측 플레이트의 인출 방법.
KR1020157022850A 2013-03-01 2013-03-01 마킹 장치, 플레이트 인출기, 및 플레이트의 인출 방법 KR201501249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G2013/000083 WO2014133453A1 (en) 2013-03-01 2013-03-01 A marking apparatus and a plate extractor and a method of extracting the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951A true KR20150124951A (ko) 2015-11-06

Family

ID=5142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850A KR20150124951A (ko) 2013-03-01 2013-03-01 마킹 장치, 플레이트 인출기, 및 플레이트의 인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50124951A (ko)
MY (1) MY187929A (ko)
WO (1) WO20141334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86393A (en) * 1926-12-17 1928-03-08 Miller Saw Trimmer Company Sheet feeding and registering mechanism
DE3537849A1 (de) * 1985-10-24 1987-04-30 Johannes Gross Etikettiergeraet
IT1403514B1 (it) * 2010-12-21 2013-10-31 Marchesini Group Spa Metodo per alimentare fustellati ad una apparecchiatura di marcatura, dispositivo di trasporto di fustellati e dispositivo di trasferimento di fustellat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453A1 (en) 2014-09-04
MY187929A (en)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7639B (zh) 显微镜切片自动进给装置
EP2793030A2 (en) Test tube gripper, test tube labeling unit, and test tube prepa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6995065B (zh) 一种用于吊牌自动化穿绳的折叠机构
WO2016091144A1 (zh) 一种钢夹自动给料装置
CN106995083B (zh) 一种吊牌自动穿绳机
CN104229487B (zh) 磁铁送料装置
CN106956799B (zh) 一种用于吊牌的自动化穿绳机构
CN214691742U (zh) 转移结构
KR20150124951A (ko) 마킹 장치, 플레이트 인출기, 및 플레이트의 인출 방법
CN110049935B (zh) 堆叠件片材移除器
ES2942431T3 (es) Dispositivo de desapilado de bandejas con instalación de descarga
KR19980043828U (ko) 스트립(strip)의 자동안내장치
CN217376598U (zh) 一种自动取纸机构
CN109607288B (zh) 一种标签接取对齐机构
CN208292223U (zh) 灯管下料装置
KR970075011A (ko) 평헬드 인출 방법 및 그 장치, 평헬드 분리 방법 및 그 기구, 드로퍼 인출방법 및 그 장치, 및 드로퍼 분리 방법 및 그 기구
CN111601689A (zh) 机械手
CN209956901U (zh) 自动上料装置
CN210665773U (zh) 反应杯载具和测试装置
CN217397750U (zh) C型锁片供料机构
CN215894651U (zh) 一种送样装置
CN211027138U (zh) 片状工件整理设备
CN219709011U (zh) 一种装卸平台
EP1550778A2 (en) Screw apparatus for screwing a roofing
CN117509187B (zh) 料盘分离机构及自动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