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829A -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829A
KR20150122829A KR1020140048516A KR20140048516A KR20150122829A KR 20150122829 A KR20150122829 A KR 20150122829A KR 1020140048516 A KR1020140048516 A KR 1020140048516A KR 20140048516 A KR20140048516 A KR 20140048516A KR 20150122829 A KR20150122829 A KR 20150122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flow path
solenoid
open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861B1 (ko
Inventor
이인탁
이권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8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16K31/08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using a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급수밸브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는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를 개폐하는 제1플런저와, 상기 제1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제1개폐부; 및 상기 제1유로에 연통되는 제2유로를 상기 제1개폐부의 고장시에만 폐쇄하는 제2플런저와, 상기 제2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제2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제2개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상기 제1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에서 상기 제1플런저에 작용하는 전자기력과 상기 제1플런저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플런저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수밸브{WATER SUPPLY VALVE}
본 발명은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의 열발생이 감소되도록 하여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급수밸브는 정수기와 같은 수처리장치 등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급수밸브는 수도 등의 물공급원과 수처리장치 등의 장치에 연결된다.
그리고, 급수밸브에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이러한 유로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을 수처리장치 등에 공급하거나 수처리장치 등으로의 물을 공급을 중단한다.
유로를 개폐하기 위해서 급수밸브에는 플런저와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에 전기가 인가되는 것에 의해서 플런저가 유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여 유로를 개폐한다.
급수밸브에서는 비교적 빈번히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가 인가되는 솔레노이드에는 열이 비교적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열 발생에 의해서 급수밸브에, 특히 솔레노이드가 구비되고 플런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보빈부재에, 열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급수밸브에 열변형이 발생하면, 급수밸브가 파손되며 오작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급수밸브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급수밸브에는 유로를 계속하여 개폐하는 메인 플런저와 솔레노이드 외에 메인 플런저와 솔레노이드가 정상 작동할 때는 유로를 개방하나 메인 플런저와 솔레노이드의 고장시에는 유로를 폐쇄하는 보조 플런저와 솔레노이드도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플런저는 메인 플런저와 솔레노이드의 정상 작동시에는 유로를 개방하여야만 하지만,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이동하여 메인 플런저와 솔레노이드의 정상 작동시에도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는 급수밸브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밸브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급수밸브에서 발생되는 열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급수밸브에서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급수밸브의 파손이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제1개폐부의 오작동시 제1유로에 연결된 제2유로를 폐쇄하는 제2개폐부가 제1개폐부의 정상 작동시 제2유로를 폐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급수밸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급수밸브는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를 개폐하는 제1플런저와, 상기 제1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제1개폐부; 및 상기 제1유로에 연통되는 제2유로를 상기 제1개폐부의 고장시에만 폐쇄하는 제2플런저와, 상기 제2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제2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제2개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상기 제1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에서 상기 제1플런저에 작용하는 전자기력과 상기 제1플런저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플런저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플런저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1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기동전압과 상기 제1플런저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킬 때 상기 제1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유지전압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전압을 상기 기동전압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런저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유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된 상기 제2플런저가 개방위치를 계속 유지하도록 자력을 작용하는 자력발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발생부재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런저가 개방위치로 이동된 후에 상기 제2솔레노이드에서는 상기 제2플런저에 주기적으로 전자기력을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플런저가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솔레노이드에 구동전압을 인가한 후에 상기 제2솔레노이드에 주기적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런저는 제2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부와 제2개폐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는 하나의 밸브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런저와 제1솔레노이드는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되는 제1구동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제2플런저와 제2솔레노이드는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되는 제2구동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부와 제2개폐부는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는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는 제1밸브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제1플런저와 제1솔레노이드는 상기 제1밸브바디에 연결되는 제1구동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유로는 제2밸브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제2플런저와 제2솔레노이드는 상기 제2밸브바디에 연결되는 제2구동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바디에는 제1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구멍에는, 외주에 상기 제1솔레노이드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플런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동구멍이 형성된 제1보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바디에는 제2삽입구멍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구멍에는, 외주에 상기 제2솔레노이드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2플런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구멍이 형성된 제2보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구멍에는 상기 제1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연결되는 제1코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동구멍에는, 상기 제2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2플런저가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를 유지하도록 자력을 작용하는 자력발생부재가 구비되는 제2코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제1코어부재에 접촉되도록 제1요크부재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1구동바디의 타면에는 상기 제1요크부재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제2코어부재에 접촉되도록 제2요크부재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2구동바디의 타면에는 상기 제2요크부재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1플런저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1개폐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2플런저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2개폐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런저에 의해서 제1유로를 개방할 때와 개방을 유지할 때 제1솔레노이드에서 제1플런저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크기다 다르도록 하여 급수밸브에서 발생되는 열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밸브에서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급수밸브의 파손이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개폐부의 오작동시 제1유로에 연결된 제2유를 폐쇄하는 제2개폐부의 제2플런저가 제2유로를 개방한 후에도, 제2솔레노이드에서 제2플런저에 주기적으로 전자기력을 작용하여 제1개폐부의 정상 작동시 제2개폐부가 제2유로를 폐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제1개폐부에 포함되는 제1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은 도4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시와 전환 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제2개폐부에 포함되는 제2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급수밸브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와 같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7은 도5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제1개폐부에 포함되는 제1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8은 도4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시와 전환 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제2개폐부에 포함되는 제2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1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200)와 제2개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부(200)와 제2개폐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200)와 제2개폐부(300)는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개폐부
제1개폐부(200)는 제1플런저(220)와 제1솔레노이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런저(220)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210)를 개폐한다. 또한, 제1솔레노이드(230)는 제1플런저(220)를 이동시킨다.
제1솔레노이드(230)는 전기가 인가되면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플런저(220)는 전자기력에 의해서 영향받는 소재, 예컨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솔레노이드(230)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서 제1플런저(220)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솔레노이드(230)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서, 제1플런저(22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유로(210)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유로(21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여, 제1유로(210)를 개폐한다.
제1유로(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유로(310)와 함께 하나의 밸브바디(BV)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210)는 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210)에 유입될 수 있다.
제1유로(210)는 제1플런저(220)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1개폐구멍(2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런저(220)의 폐쇄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 제1개폐구멍(211)이 폐쇄되면, 제1유로(210)에 유입된 물은 제1유로(210)에 연결되는 제2개폐부(300)의 후술할 제2유로(310)로 유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런저(220)의 개방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 제1개폐구멍(211)이 개방되면, 제1유로(210)에 유입된 물은 제2유로(220)로 유동한다.
한편, 제1플런저(220)의 일단부에는 제1개폐구멍(211)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밀봉부재(O)가 구비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10)는 전술한 제1개폐구멍(211) 이외에 제1입수구멍(212), 제1플런저 삽입구멍(213) 및, 제1출수구멍(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입수구멍(212)은 물공급원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은 제1입수구멍(212)을 통해 제1유로(2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플런저 삽입구멍(213)은 제1개폐구멍(211)과 제1입수구멍(21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플런저 삽입구멍(213)에는 제1플런저(220)의 일단부가 삽입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플런저(220)의 일단부가 제1플런저 삽입구멍(213)에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구멍(211)을 폐쇄하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구멍(211)을 개방할 수 있다.
제1출수구멍(214)은 제1개폐구멍(211)에 연결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런저(220)가 제1개폐구멍(211)을 폐쇄하면, 제1입수구멍(212)에 유입된 물은 제1플런저 삽입구멍(213)까지만 유동하게 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런저(220)가 제1개폐구멍(211)을 개방하면, 제1입수구멍(212)에 유입된 물은 제1플런저 삽입구멍(213)과 제1개폐구멍(211)을 통해 제1출수구멍(214)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제1출수구멍(214)으로 유동한 물은 제2개폐부(300)의 제2유로(310)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제1출수구멍(214) 중 외부로 개방된 부분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부재(CL)가 끼워져서 패쇄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런저(220)와 제1솔레노이드(230)는 밸브바디(BV)에 연결되는 제1구동바디(BD1)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구동바디(BD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AS)에 의해서 밸브바디(BV)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동바디(BD1)가 밸브바디(BV)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1구동바디(BD1)와 밸브바디(BV)의 연결부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10)에 있는 물이 연결부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오링 등의 밀봉부재(O)가 구비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바디(BD1)에는 제1삽입구멍(I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삽입구멍(IS1)에는 제1보빈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보빈부재(250)의 외주에 제1솔레노이드(230)가 구비된다.
제1보빈부재(250) 내부에는 제1이동구멍(2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보빈부재(250)의 제1이동구멍(251)은 전술한 제1유로(210)의 제1플런저 삽입구멍(213)과 연통된다. 따라서, 제1유로(210)의 제1플런저 삽입구멍(213)에 유입된 물은 제1플런저 삽입구멍(213)을 통해 제1보빈부재(250)의 제1이동구멍(251)에도 유입된다.
이러한 제1보빈부재(250)의 제1이동구멍(251)에 제1플런저(2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보빈부재(250)의 제1이동구멍(251)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런저(220)를 탄성지지하도록 제1탄성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이동구멍(251)에는 제1탄성부재(240)가 연결되는 제1코어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코어부재(260)와 제1보빈부재(250) 사이의 제1이동구멍(251)에는 오링 등의 밀봉부재(O)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이동구멍(251)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구동바디(BD1)의 일면, 즉 상면에는 전술한 제1코어부재(260)에 접촉되도록 제1요크부재(270)의 일측이 연결되며, 제1구동바디(BD1)의 타면, 즉 하면에는 제1요크부재(270)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요크부재(27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요크부재(27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측이 제1구동바디(BD1)의 일면에 제1코어부재(260)에 접촉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제1구동바디(BD1)의 타면에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230)에 용이하게 원하는 크기의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제1플런저(2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플런저(2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솔레노이드(230)를 포함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플런저(2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100)에서는 제1플런저(220)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솔레노이드(230)에서 제1플런저(220)에 작용하는 전자기력과 제1플런저(220)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제1플런저(220)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제1플런저(220)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때 제1솔레노이드(230)에 인가되는 기동전압(V1)과 제1플런저(220)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킬 때 제1솔레노이드(230)에 인가되는 유지전압(V2)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전압(V2)을 기동전압(V1)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제1플런저(22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1플런저(220)에는 제1플런저(220)의 자중과 제1탄성부재(240)의 탄성력 이외에 물과 접촉하는 제1플런저(220)의 하면과 상면의 면적 차이에 따른 수압에 의한 힘이 같은 방향으로, 즉 아래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제1플런저(22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플런저(220)의 자중과 제1탄성부재(240)의 탄성력만이 아래방향으로 제1플런저(220)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제1플런저(220)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보다 작은 힘으로도 제1플런저(220)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솔레노이드(230)에서 제1플런저(220)에 전자기력을 작용하지 않아도, 제1플런저(220)의 자중과 제1탄성부재(240)의 탄성력만으로 제1플런저(220)를 제1개폐구멍(211)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플런저(220)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킬 때 제1솔레노이드(230)에 인가되는 유지전압(V2)을 제1플런저(220)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때 제1솔레노이드(230)에 인가되는 기동전압(V1)보다 작게 하여도, 제1플런저(220)에 의한 제1개폐구멍(211)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230)에 인가되는 전압을 다르게 하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제1솔레노이드(230)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100), 예컨대 제1솔레노이드(230)가 구비되는 제1보빈부재(250)에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열변형에 의한 급수밸브(100)의 파손과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개폐부
제2개폐부(300)는 제2플런저(320)와 제2솔레노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런저(320)는 전술한 제1유로(210)에 연통되는 제2유로(310)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200)의 고장시에만 폐쇄한다.
따라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200)가 고장이 아닌 경우에, 제2개폐부(200)는 제2유로(310)를 항상 개방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제1개폐부(200)의 고장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100)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솔레노이드(330)는 제2플런저(320)를 이동시킨다.
제2솔레노이드(330)는 전기가 인가되면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플런저(320)는 전자기력에 영향받는 소재, 예컨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솔레노이드(330)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서 제2플런저(320)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솔레노이드(330)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서 제2플런저(3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유로(310)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유로(31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여, 제2유로(310)를 개폐한다.
이와 같이, 제2플런저(320)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2유로(310)는 전술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10)와 함께 하나의 밸브바디(BV)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310)는 제2플런저(320)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2개폐구멍(3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런저(320)의 폐쇄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 제2개폐구멍(311)이 폐쇄되면, 제2유로(310)에 유입된 물은 제2유로(310)에 연결되는 수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 등의 장치로 유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런저(320)의 개방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 제2개폐구멍(311)이 개방되면, 제2유로(310)에 유입된 물은 이에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등의 장치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제2플런저(320)의 일단부에는 제2개폐구멍(311)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밀봉부재(O)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유로(3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개폐구멍(311) 이외에 제2입수구멍(312), 제2플런저 삽입구멍(313) 및, 제2출수구멍(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입수구멍(312)은 제1유로(210)에 연결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수구멍(312)은 제1유로(210)의 제1출수구멍(214)과 일체로 되어 제1유로(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200)의 제1개폐구멍(211)이 개방되면 제1유로(210)의 물은 제2입수구멍(312)에 유입된다.
그러나, 제2입수구멍(312)이 제1유로(2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유로(210)에 연결될 수 있다면 밸브바디(BV)에 형성된 별도의 연결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제1유로(210)에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플런저 삽입구멍(313)은 제2개폐구멍(311)과 제2입수구멍(31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플런저 삽입구멍(313)에는 제2플런저(320)의 일단부가 삽입가능하다.
이에 의해서, 제2플런저(320)의 일단부가 제2플런저 삽입구멍(313)에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구멍(311)을 폐쇄하거나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구멍(311)을 개방할 수 있다.
제2출수구멍(314)은 제2개폐구멍(311)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200)의 고장으로 제1플런저(220)가 제1개폐구멍(211)을 폐쇄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제2플런저(320)가 제2개폐구멍(311)을 폐쇄하면, 제2입수구멍(312)에 유입된 물은 제2플런저 삽입구멍(313)까지만 유동하게 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런저(320)가 제2개폐구멍(311)을 개방한 상태에서, 제1플런저(220)가 제1개폐구멍(211)을 개방하면, 제1유로(210)를 유동하여 제2입수구멍(312)에 유입된 물은 제2플런저 삽입구멍(313)을 거쳐서 제2개폐구멍(311)을 통해 제2출수구멍(314)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제2출수구멍(314)으로 유동한 물은 제2출수구멍(314)에 연결된 수처리지장치 등의 장치로 유동한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런저(320)와 제2솔레노이드(330)는 밸브바디(BV)에 연결되는 제2구동바디(BD2)에 구비될 수 있다. 제2구동바디(BD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AS)에 의해서 밸브바디(BV)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구동바디(BD1)가 밸브바디(BV)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2구동바디(BD2)와 밸브바디(BV)의 연결부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310)에 있는 물이 연결부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오링 등의 밀봉부재(O)가 구비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바디(BD2)에는 제2삽입구멍(I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삽입구멍(IS2)에는 제2보빈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보빈부재(360)의 외주에 제2솔레노이드(330)가 구비된다.
제2보빈부재(360) 내부에는 제2이동구멍(26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보빈부재(360)의 제1이동구멍(261)은 전술한 제2유로(310)의 제2플런저 삽입구멍(313)과 연통된다. 따라서, 제2유로(310)의 제2플런저 삽입구멍(313)에 유입된 물은 제2플런저 삽입구멍(313)을 통해 제2보빈부재(360)의 제1이동구멍(361)에도 유입된다.
이러한 제2보빈부재(360)의 제2이동구멍(361)에는 제2플런저(3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보빈부재(360)의 제2이동구멍(261)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런저(320)를 탄성지지하도록 제2탄성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이동구멍(361)에는 제2탄성부재(350)가 연결되는 제2코어부재(3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코어부재(370)와 제2보빈부재(360) 사이의 제2이동구멍(361)에는 오링 등의 밀봉부재(O)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이동구멍(361)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구동바디(BD2)의 일면, 즉 상면에는 전술한 제2코어부재(370)에 접촉되도록 제2요크부재(380)의 일측이 연결되며, 제2구동바디(BD2)의 타면, 즉 하면에는 제2요크부재(380)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요크부재(38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요크부재(38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측이 제2구동바디(BD2)의 일면에 제2코어부재(370)에 접촉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제2구동바디(BD2)의 타면에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2솔레노이드(330)에 용이하게 원하는 크기의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제1플런저(3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플런저(3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솔레노이드(330)를 포함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플런저(3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2개폐부(300)는 자력발생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력발생부재(340)에서는 자력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자력발생부재(340)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서 제2유로(310)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된 제2플런저(320)가 개방위치를 계속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솔레노이드(330)에서 발생된 비교적 적은 전자기력으로도 제2플런저(320)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플런저(320)가 개방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제2솔레노이드(330)에서 제2플런저(320)에 전자기력을 계속 작용하지 않아도, 자력발생부재(340)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서 제2플런저(320)가 개방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솔레노이드(330)에서 발생된 비교적 적은 전자기력으로도 제2플런저(320)가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플런저(320)가 폐쇄위치로 이동한 후에, 제2솔레노이드(330)가 계속 제2플런저(320)에 전자기력을 작용하지 않아도, 제2플런저(320)의 자중과 제2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플런저(320)가 폐쇄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자력발생부재(340)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자력발생부재(34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전자석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자력발생부재(3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코어부재(37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자력발생부재(34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플런저(320)가 개방위치를 유지하도록 제2플런저(320)에 자력을 작용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제2솔레노이드(330)에서는 제2플런저(320)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위치로 이동된 후에 주기적으로 제2플런저(320)에 전자기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런저(320)가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제2솔레노이드(330)에 구동전압(V3)을 인가한 후에 제2솔레노이드(330)에 주기적으로 구동전압(V3)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력발생부재(340)의 자력에 의해서 제2플런저(320)가 개방위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플런저(32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자력발생부재(340)의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폐쇄위치로 이동하였다고 하더라도, 제2솔레노이드(330)에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구동전압(V3)에 의해서 제2플런저(320)가 다시 개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100)는 제1개폐부(200)와 2개폐부(300)가 별도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급수밸브(100)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100)의 제1개폐부(200)와 제2개폐부(30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폐부(200)의 제1유로(210)와 제2개폐부(300)의 제2유로(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T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유로(210)는 제1밸브바디(BV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플런저(220)와 제1솔레노이드(230)를 포함한 제1개폐부(200)의 구성요소는 제1밸브바디(BV1)에 연결되는 제1구동바디(BD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310)는 제1밸브바디(BV1)와 별도로 이루어진 제2밸브바디(BV2)에 형성되고, 제2플런저(320)와 제2솔레노이드(330)를 포함한 제2개폐부(300)의 구성요소는 제2밸브바디(BV2)에 연결되는 제2구동바디(BD2)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로(210)의 제1출수구멍(214)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310)의 제2입수구멍(312)과 일체로 되지 않고 제1밸브바디(BV1)와 제2밸브바디(BV2)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며, 연결관(T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를 사용하면, 급수밸브에서 발생되는 열이 감소될 수 있으며, 급수밸브에서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급수밸브의 파손이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제1개폐부의 오작동시 제1유로에 연결된 제2유로를 폐쇄하는 제2개폐부가 1개폐부의 정상 작동시 제2유로를 폐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급수밸브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급수밸브 200 : 제1개폐부
210 : 제1유로 211 : 제1개폐구멍
212 : 제1입수구멍 213 : 제1플런저 삽입구멍
214 : 제1출수구멍 220 : 제1플런저
230 : 제1솔레노이드 240 : 제1탄성부재
250 : 제1보빈부재 251 : 제1이동구멍
260 : 제1코어부재 270 : 제1요크부재
300 : 제2개폐부 310 : 제2유로
311 : 제2개폐구멍 312 : 제2입수구멍
313 : 제2플런저 삽입구멍 314 : 제2출수구멍
320 : 제2플런저 330 : 제2솔레노이드
340 : 자력발생부재 350 : 제2탄성부재
360 : 제2보빈부재 361 : 제2이동구멍
370 : 제2코어부재 380 : 제2요크부재
BV : 밸브바디 BV1 : 제1밸브바디
BV2 : 제2밸브바디 BD1 : 제1구동바디
IS1 : 제1삽입구멍 IS2 : 제2삽입구멍
BD2 : 제2구동바디 O : 밀봉부재
V1 : 기동전압 V2 : 유지전압
V3 : 구동전압 CL : 폐쇄부재
AS : 결합부재 TC : 연결관

Claims (20)

  1.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를 개폐하는 제1플런저와, 상기 제1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제1개폐부; 및
    상기 제1유로에 연통되는 제2유로를 상기 제1개폐부의 고장시에만 폐쇄하는 제2플런저와, 상기 제2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제2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제2개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상기 제1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에서 상기 제1플런저에 작용하는 전자기력과 상기 제1플런저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플런저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급수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런저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1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기동전압과 상기 제1플런저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킬 때 상기 제1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유지전압을 다르게 하는 급수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압을 상기 기동전압보다 작게 하는 급수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런저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급수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유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된 상기 제2플런저가 개방위치를 계속 유지하도록 자력을 작용하는 자력발생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수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부재는 영구자석인 급수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런저가 개방위치로 이동된 후에 상기 제2솔레노이드에서는 상기 제2플런저에 주기적으로 전자기력을 작용하는 급수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런저가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솔레노이드에 구동전압을 인가한 후에 상기 제2솔레노이드에 주기적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급수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런저는 제2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급수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와 제2개폐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급수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는 하나의 밸브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런저와 제1솔레노이드는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되는 제1구동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제2플런저와 제2솔레노이드는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되는 제2구동바디에 구비되는 급수밸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와 제2개폐부는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는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되는 급수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제1밸브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제1플런저와 제1솔레노이드는 상기 제1밸브바디에 연결되는 제1구동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유로는 제2밸브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제2플런저와 제2솔레노이드는 상기 제2밸브바디에 연결되는 제2구동바디에 구비되는 급수밸브.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바디에는 제1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구멍에는, 외주에 상기 제1솔레노이드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플런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동구멍이 형성된 제1보빈부재가 구비되는 급수밸브.
  15.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바디에는 제2삽입구멍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구멍에는, 외주에 상기 제2솔레노이드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2플런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구멍이 형성된 제2보빈부재가 구비되는 급수밸브.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구멍에는 상기 제1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연결되는 제1코어부재가 구비되는 급수밸브.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구멍에는, 상기 제2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2플런저가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를 유지하도록 자력을 작용하는 자력발생부재가 구비되는 제2코어부재가 구비되는 급수밸브.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제1코어부재에 접촉되도록 제1요크부재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1구동바디의 타면에는 상기 제1요크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급수밸브.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제2코어부재에 접촉되도록 제2요크부재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2구동바디의 타면에는 상기 제2요크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급수밸브.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1플런저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1개폐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2플런저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2개폐구멍을 포함하는 급수밸브.
KR1020140048516A 2014-04-23 2014-04-23 급수밸브 KR10215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16A KR102152861B1 (ko) 2014-04-23 2014-04-23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16A KR102152861B1 (ko) 2014-04-23 2014-04-23 급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829A true KR20150122829A (ko) 2015-11-03
KR102152861B1 KR102152861B1 (ko) 2020-09-08

Family

ID=5459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516A KR102152861B1 (ko) 2014-04-23 2014-04-23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62A (ko) * 2017-08-07 2019-02-18 경수 예 다방변밸브 제어장치
KR102222709B1 (ko) 2020-01-09 2021-03-04 우성알앤디주식회사 부속물 연결구조가 구비된 전자석식 급수 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78U (ja) * 1993-10-21 1995-05-12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自己保持型電磁弁
KR100220312B1 (ko) * 1995-12-05 1999-09-15 나이토 스스무 연소장치
KR20030062649A (ko) * 2002-01-18 2003-07-28 박광희 전자식 밸브의 개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80887A (ko) * 2002-04-11 2003-10-1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형 상시 개폐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110012263A (ko) * 2009-07-30 2011-02-09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가스용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78U (ja) * 1993-10-21 1995-05-12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自己保持型電磁弁
KR100220312B1 (ko) * 1995-12-05 1999-09-15 나이토 스스무 연소장치
KR20030062649A (ko) * 2002-01-18 2003-07-28 박광희 전자식 밸브의 개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80887A (ko) * 2002-04-11 2003-10-1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형 상시 개폐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110012263A (ko) * 2009-07-30 2011-02-09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가스용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62A (ko) * 2017-08-07 2019-02-18 경수 예 다방변밸브 제어장치
KR102222709B1 (ko) 2020-01-09 2021-03-04 우성알앤디주식회사 부속물 연결구조가 구비된 전자석식 급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861B1 (ko)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580B2 (en) Valve device
KR101930466B1 (ko)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KR101239324B1 (ko)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
CN102271753A (zh) 阀***
KR20150122829A (ko) 급수밸브
US11293555B2 (en) Solenoid valve
JP2015152165A (ja) 弁装置
KR100858101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7241181B2 (ja) ガス状媒体を制御するためのジェットポンプユニット
JP7109591B2 (ja) 吐水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TW202001134A (zh) 開關閥及包含該開關閥之基板處理裝置
KR102371012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용 연료 공급 밸브
US11649906B2 (en) Solenoid valve
KR102152287B1 (ko) 이중 씰링 구조를 갖는 고압 솔레노이드 밸브
KR100477002B1 (ko) 전자식 밸브
EP1748239B1 (en) Electro magnetic valve for controlling the delivery of pressurized fluid
KR100443047B1 (ko) 일체형 상시 개폐형 솔레노이드 밸브
JP2007016935A (ja) バルブ機構
KR20030010942A (ko)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0042697A (ko) 전자식 밸브
KR200467277Y1 (ko) 정수기용 저전압 구동형 솔레노이드 밸브
US11280419B2 (en) High-pressure safety valve
KR200387440Y1 (ko) 전자식 밸브
TWI612247B (zh) 流體控制閥
KR200274231Y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