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352A -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352A
KR20150121352A KR1020140046749A KR20140046749A KR20150121352A KR 20150121352 A KR20150121352 A KR 20150121352A KR 1020140046749 A KR1020140046749 A KR 1020140046749A KR 20140046749 A KR20140046749 A KR 20140046749A KR 20150121352 A KR20150121352 A KR 20150121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server
ob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제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컴
Priority to KR102014004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352A/ko
Publication of KR2015012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OBD 표준 DLC를 통해 차량 내부의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망과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의 휴대폰 및 제휴사 서버와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 및 필터링한 후 근거리 통신망 및 광대역 통신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디바이스와 서버와의 이더넷 라우트를 설정하고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의 차량 정보를 수신 및 2차 가공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며 차량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운용모듈, 및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에서 전송되는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의 제공 및 관리를 위해 서비스 종류에 따라 재가공 및 저장하는 텔레메틱스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을 재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The vehicle synthet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운행기록 자가진단시스템(On-board Diagnostics)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 인터페이스(OBD 표준 DLC)를 통해 차량 정보를 수집, 분석 및 가공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망과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버와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함으로써 OBD와의 호환성 문제 및 데이터 전송속도 문제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하고 국지성 탈피하여 저비용으로 차량 관제, 차량 운행 기록의 저장 및 운행 습관 분석, 차량 진단 등의 고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휴대폰을 이용한 스마트키, 원격 차량 제어 및 도난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 종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도 스마트 기술이 도입되면서 자동차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한 많은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으며, 자동차와 통신망의 연결을 통해 자동차는 독립적인 제품이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네트워크 제품으로써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해 낼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자동차 업체에서는 자동차 생산, 판매 후 고장 및 사고 시 정비소에서만 고객과 대화할 수 있었던 부분을 자동차 운행 중 언제, 어디서나 고객과 대화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나은 고객 서비스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되었고, 그에 따라 자동차 업체에서는 차량 자체의 품질 향상 외에도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와 출시된 차량의 사후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스마트 기술이 적용된 차량에는 고장진단 기능이 통합되어 있는 운행기록 자가진단장치인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OBD 시스템은 초창기 모델인 OBD I의 경우 시스템 결함을 자동차 제어장치가 인식하고 저장하여 나중에 정비사들이 정비하는데 도움을 주는 형태의 것에서부터, 최근에는 자동차 부품명칭의 표준화, 결함코드번호체계의 표준화를 포함하고 특히 자동차 배기가스 수준을 점검하고 진단할 수 있는 OBD Ⅱ 시스템으로까지 발전되어 있다.
이러한 OBD Ⅱ 시스템이 경우는 데이터 연결 컨넥터(DLC-data link connector, 현재 16핀 배열이 표준화되어 있음), 산소 센서,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EGR 밸브), EVAP 벤트 솔레노이드, EVAP 연료탱크압력 센서, 캠샤프트 포지션 센서가 통상 포함되어, 엔진의 실화 여부, 촉매성능의 이상 여부, 증발가스 제어장치의 이상 유무, 연료장치의 이상 유무, 산소센서의 이상 유무, EGR 가스제어장치 등의 이상 유무가 측정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OBD Ⅱ 시스템에는 각종 센서(예를 들면,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 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가 부가되어, 다양한 운행 정보(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감지, 일정 운전 기간 중의 시간 및 거리, 급가속/급제동 등)에 대한 데이터의 축적을 가능케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저장하였다가 활용하는 형태인 차량용 블랙박스에 대한 차량 진단 정보의 효율적인 전달 문제 및 배기가스 규제문제와 맞물려 OBD Ⅲ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이 OBD Ⅲ 시스템이 OBD Ⅱ 시스템과 다른 점은 우선 배기가스와 관련된 차량의 이상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비소 및 환경 오염관련 규제/단속기관에 전달하는 것이며, 현재는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을 위하여 노변 기록기(roadside reader), 로컬 스테이션 네트워크(local station network) 및 위성 등이 제안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 OBD Ⅲ 시스템에서 제안된 방법의 대부분은 법규 제정과 연계된 광범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을 기반으로 하는 것들로 현실화까지는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며, 원격 모니터링의 현실화는 전세계적인 표준화에 의한 국지성 탈피, 장치의 단순화, 정기적인 운행정보의 전달, 기존 차량 내에 설치된 기존 OBD II 시스템과의 호환성 및 저비용 등의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현실화 가능하게 되므로 현재까지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방법은 표준으로 제안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된 국내의 기술로는, SK Networks의 '드림카드' 서비스, 현대자동차의 'CRM' 서비스, SKT의 차량용 MIV 시스템 등이 있으며, 해외의 기술로는 미국 정비 협회인 AAA, 아우디의 무상 진단 서비스, 도요타의 '엔튠 시스템', 포드의 텔레메틱스 서비스, 중국 e-eye 카오신(SKT 자외사)의 도난방지 및 차량 진단과 제어 서비스 등이 있다.
이처럼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차량 관련 정보들의 네트워크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여러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개발의 흐름은 신뢰성과 자동차라는 환경적인 특수성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 및 서비스들의 근거리 통신 방법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거나 스마트 폰을 통하여 광대역망과 연계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의 문제 또는 통신 비용의 부담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는 단점이 있고, OBD와의 호환성 및 국지성 탈피, 저비용 조건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KR 10-0374153 B1 2003.02.17 등록 KR 10-0512487 B1 2005.08.29 등록 KR 10-0843901 B1 2008.06.27 등록 KR 10-0836688 B1 2008.06.03 등록 KR 10-2011-0113379 A 2011.10.17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의 OBD 표준을 통해 차량 내부의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망(WiFi, Bluetooth 등)과 광대역 통신망(3G, LTE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휴대폰 및 제휴사 서버(파트너 또는 웹 포탈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방향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OBD와의 호환성 문제 및 데이터 전송속도 문제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으며 국지성 탈피하여 저비용으로 차량 관제, 차량 운행 기록의 저장 및 운행 습관 분석, 차량 진단 등의 고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최신 자동차에서 제공되는 BCM(Body Control Module)을 통한 원격 시동, 차동 개폐, 및 도난 방지 기능 등의 스마트 키의 기능을 휴대폰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차량 종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차량의 운행기록 자가진단장치(OBD)에 연결되어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 및 필터링한 후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망 및 광대역 통신망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테블릿 PC 중에서 선택되는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디바이스와 서버와의 이더넷 라우트를 설정하고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에서 전송되는 차량 정보를 수신 및 2차 가공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며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의 운용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량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운용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이다.
상기 본 발명 시스템에서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은, 차량의 운행기록 자가진단장치(OBD)의 데이터 연결 커넥터(DLC)에 연결되기 위한 OBD 인터페이스부, OBD 인터페이스부로부터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대역 통신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전달하거나 반대로 수신하여 OBD 인터페이스부에 전달하는 통합 통신부, OBD 인터페이스부로부터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필터링한 후 통합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OBD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에 전달하는 주제어부,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 테스트, 및 기타 외부 입력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아 주제어부에 전달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시스템에서 통합 통신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GSM 또는 CDMA 방식의 3G/L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탑재하며, 아울러 GPS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모듈, 가속도나 진동 또는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로의 외부 입력정보의 입력을 위한 외부 입력 컨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은,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에서 전송되는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하나 이상의 차량으로부터 수집하여 서비스의 제공 및 관리를 위해 서비스 종류에 따라 재가공 및 저장하는 텔레메틱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프로토콜(High CAN, Low CAN, K-Line, J1850, AutoSAR, GENIVI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온-보드 자가진단시스템(On-board Diagnostics)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 인터페이를 통해 차량 내부의 유효 필터링 정보, 필터링 정보들을 이용한 분석 정보, 차량 상태 진단 정보, 고장정보 수집 및 분석, 운행 기록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고 이를 WiFi,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망과 3G, 4G(LTE) 등의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의 휴대폰 및 제휴사 서버(파트너 또는 웹 포탈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양방향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관제, 차량 운행 기록의 저장 및 운행 습관 분석, 차량 진단 등의 고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스마트 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을 이용한 스마트키, 원격 차량 제어 및 도난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인 차량 운행정보의 수집과 분석 및 관리를 통해, 국지성 탈피, 장치의 단순화, 정기적인 운행정보의 전달, 차량 내의 설치된 기존 OBD II 시스템과의 호환성 및 저비용 등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저용량 진단 데이터만을 송/수신할 수 있었던 데이터 전송 속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과의 통신 연계를 통하여 최신 자동차에서 제공되는 BCM 기능을 통하여 시동, 도어 개폐 등 스마트 키를 휴대폰으로 대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서비스의 개념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의 디바이스 운용 모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의 구성 및 전체적인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서비스의 개념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은,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 디바이스 운용모듈(200), 텔레메틱스 서버(30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은 차량의 운행기록 자가진단장치(OBD)에 연결되어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필터링한 후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21-123)을 통해 근거리 통신망 및 광대역 통신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예를 들면 도 1의 전체 개념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파트너 서버, 클라우드 서버, 유저 웹 포탈 서버 등이 있을 수 있음)에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에 전달한다. 이때 OBD의 차량정보는 차량 운행 정보, 차량 진단 정보, 운전습관 및 경제운전 분석을 위한 필터링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차량 운행 정보는 차량의 총 주행 거리, Trip별 운행 거리, Trip 온/오프 시간, 속도, 분당 회전수(RPM), 순간 연비, 브레이크, 기어 변속 단수, GPS 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량 진단 정보는 ABS/EBS 고장코드, Intarder 고장코드, ECAS 고장코드, 엔진 부하율, Auto Transmission 고장코드, Urea Level 상태, Engine Coolant Temperature 상태, Engine Coolant Over Temp Waring 상태, Engine Oil Pressure 상태, Immobilizer Fuel Block 상태, Engine 진단 Lamp 상태, Water In Fuel 상태, Door Open 상태, Parking Brake 상태, Front Fog Lamp 상태, Pusher Axle 상태, Engine Brake 작동 상태, ABS/EBS 상태, TPMS 상태, Fuel Tank 상태, ECU 및 UNIT S/W 버전 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습관 및 경제운전 분석을 위한 필터링 정보는, Trip 별 최고 속도, Trip 별 속도 분포, Trip 별 RPM 분포, 공회전 횟수 및 시간, 급가속 횟수 및 시간, 급감속 횟수 및 시간, 급출발 횟수, 급제동 횟수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은, OBD 인터페이스부(110), 통합 통신부(120), 주제어부(130),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은 전원 공급부(150)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OBD 인터페이스부(110)는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이 차량의 운행기록 자가진단장치(OBD)의 데이터 연결 커넥터(Data Link Connect)에 연결되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의 핀 배열을 갖는 제1연결단자(J1)을 통해 차량의 운행기록 자가진단장치(OBD)에 연결된다.
통합 통신부(120)는 BD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1차 가공하고,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대역 통신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전달하거나 반대로 수신하여 OBD 인터페이스부(110)에 전달한다. 이러한 통합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G/LTE 셀룰러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통합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 와이파이 통신모듈(122), 및 3G/4G(LTE) 셀룰러 통신모듈(123)과, 그리고 각 통신 모듈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안테나(121a), 와이파이 안테나(122a), 및 3G/4G(LTE) 셀룰러 안테나(123a)을 포함하며,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모듈(124)과 GPS 안테나(124a), 가속도나 진동 또는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25),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140)와 연결되어 주제어부(130)로의 외부 입력정보의 입력을 위한 외부 입력 컨넥터(140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핀 배열을 갖는 제2연결단자(J2)가 외부 입력 컨넥터(140a)에 대응되며 제3연결단자(J3) 및 제4연결단자(J4)가 각각 3G/4G(LTE) 안테나(123a) 및 GPS 안테나(124a)에 각각 대응되어 구성된다.
주제어부(130)는 OBD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필터링한 후 통합 통신부(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OBD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차량에 전달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40)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테스트, 및 기타 외부 입력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아 주제어부(130)에 전달한다.
디바이스 운용모듈(200)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테블릿 PC 등의 무선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디바이스와 서버와의 이더넷 라우트(Ethernet Route)를 설정하고,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에서 전송되는 차량 정보를 수신 및 2차 가공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s Interface)를 통해 제공하며,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의 운용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량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로 전송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의 디바이스 운용 모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들로서, 이러한 디바이스 운용모듈(200)은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에서 수신되는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2차 가공하여, 차량의 운행 기록 정보(도 4a), 차량의 상태 및 소모품 교체 정보(도 4b), 운전 습관 분석 정보(도 4c), 및 차량 진단 정보(도 4d) 중의 적어도 하나로 2차 가공된 차량정보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s Interface)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디바이스 운용모듈(200)은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의 운용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온프, 도어 온/오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바이스의 키조작신호에 의해 생성하여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로 전송한다.
한편 이러한 디바이스 운용모듈(200)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현가능하나, 블루투스 연결과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여러 가지 형태의 소스가 있을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텔레메틱스 서버(300)는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에서 전송되는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하나 이상의 차량으로부터 수집하여, 서비스의 제공 및 관리를 위해 구축되는 서버로서,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재가공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서버는 예를 들면 도 1의 전체 개념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파트너 서버, 클라우드 서버, 유저 웹 포탈 서버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통신 프로토콜의 경우 전체 서비스의 안정성 및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은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에서부터, 스마트폰에 탑재된 디바이스 운용모듈(200), 및 텔레메틱스 서버(300)에 이르기까지 전체 데이터에 적용되어 진다.
본 통신 프로토콜은 컨텐츠 타입 CAN(control area network) 프로토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 타입 CAN 프로토콜은 차량에서 규칙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RAW CAN Message를 수신하여, 컨텐츠별로 데이터를 각각 추출한 후, 하나의 프레임에 모아서 전송하는 프로토콜 규격으로서, 이 프레임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에서부터, 스마트폰에 탑재된 디바이스 운용모듈(200) 또는 텔레메틱스 서버(300)로 초단위의 정해진 간격으로 계속 전송한다.
이러한 컨텐츠 타입 CAN 데이터 메시지의 구조는, 캔 헤더(CAN_Header), 캔 페이로드(CAN_Payload), 캔 트레일러(CAN_Trailer)로 구성된다.
캔 헤더(CAN_Header)는 데이터 메시지의 시작과 특징을 나타내는 헤더 정보가 포함되는 데이터로서 6 byte 크기를 갖으며, 캔 페이로드(CAN_Payload)는 항목별로 추출된 캔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42 byte 크기를 갖고, 캔 트레일러(CAN_Trailer는 데이터 메시지의 손상 유무를 판단하는 책섬(Checksum)과 끝을 나타내는 3 byte 크기의 정보를 갖는다.
캔 헤더(CAN_Header)의 구조는 스타트 프레임(START_FRAME), 디바이스 아이디(DEVICE_ID), 콘트롤(CONTROL), 시퀀스(SEQUENCE), 페이로드 길이(PAYLOAD LENGTH), 및 커멘드(COMMAND)로 구성된다.
스타트 프레임(START_FRAME)은 CAN Data Message의 시작을 알려주는 1 byte 크기의 필드로, 값은 0x02의 고정된 값을 갖는다.
디바이스 아이디(DEVICE_ID)는 CAN Data Message를 만들어주는 장치를 구분하는 1 byte 크기의 필드로, 값은 0x30의 고정된 값을 갖는다. 이 값은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를 의미한다. 만약 스마트 폰이 해당 메시지를 다시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로 보낼 경우에는 DEVICE_ID 값 0x30에 1을 더해서 스마트 폰으로 송신해야 한다.
콘트롤(CONTROL)은 제어와 관련된 3 bit 크기의 필드값으로서, 다음의 표 1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구분 값(bit) 내용
NONE 000 제어명령이 없는 일반적인 normal 상태
NAK 001 해당 메시지가 NG 상태, 재전송 요구
ACK 010 정상 응답
OK-REPEAT 011 재전송 OK
NG-REPEAT 100 재저송 불가능
시퀀스(SEQUENCE)는 순서번호로서, 0 부터 31까지의 순환 반복되는 값을 갖으며, 5 bit 크기의 필드이다.
페이로드 길이(PAYLOAD LENGTH)는 페이로드(PAYLOAD) 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하는 값을 갖는, 1 byte 크기의 값이다.
커멘드(COMMAND)는 2 byte 크기를 갖으며, 이 메시지의 데이터 성격을 의미한다. 고정된 값 'RC'를 갖으며, 이 값은 데이터의 성격이 콘텐츠 타입의 CAN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캔 페이로드(CAN_Payload)의 구조는 엔진 부하율(ENGINE_LOAD), 연료탱크의 상태(UREA_LEVEL), 엔진 쿨런트 온도 상태(ENGINE_COOLANT_TEMP), 콜드 스타터 히터 상태(COLD_STARTER_HEATER), 이모빌라이저 연료 블럭 상태(IMMOBILIZER_FUEL_BLOCK), 엔진 진단 램프 상태 B(ENGINE_LAMP_B), 엔진 쿨런트 오버 온도 상태(ENGINE_COOLANT_OVER_TEMP), OBD_MIL, WATER_IN_FUEL, 순간연비(MOMENT_FUEL_EFFICIENCY), AUTO_TRANSMISSION_GEAR, ENGINE_OIL_PRESSURE, AUTO_TM_GEAR, 엔진 진단 램프 A(ENGINE_LAMP_A), 전방 안개등 상태(FRONT_FOG_LAMP), PUSHER_AXLE, 도어 오픈 상태(DOOR_OPEN), 주차브레이크 상태(PARKING_BRAKE), ABS_EBS, TPMS로 구성된다.
CAN_Trailer 구조는 리저브드(RESERVED), 체크섬(CHECK SUM), 스탑 프레임(STOP FRAME)로 구성된다.
리저브드(RESERVED)는 1 byte 크기를 갖는 예약 필드로서, 0x00 값을 갖는다.
체크섬(CHECK SUM)은 START FRAME 필드로부터 CHECK SUM 필드 이전까지의 모든 필드를 더한 1 byte 크기의 책섬 필드로, 데이터의 손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필드이다.
스탑 프레임(STOP FRAME)은 데이터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필드값으로 고정된 값인 0x03 값을 갖는 1 byte 크기의 필드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통합 및 최적화하기 위해서, Bluetooth V3.0, IEEE 801.11b/g/n, 3G or LTE 등의 세 가지 통신 모듈이 설계될 수 있다. 각각의 통신 모듈들은 장/단점을 모두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신 모듈들의 기술적 최적화와 동작의 효율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통합 전략이 필요하다.
먼저, BCM(Body Control Module)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크게 세 가지 기술적 이점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첫째, 차량이 운행되지 않을 경우에도 상시 전원으로 동작이 되어져야 하므로, 최소 소비전력을 가진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야 한다.
둘째, 연결 시간이 아주 짧아 차량의 반응 시간을 최대한 빨리하여야 한다.
셋째, 데이터 및 연결 보안성이 아주 높아야 한다.
위의 세 가지 기술적 요구 사항 중에서 가장 적합한 통신 방법은 블루투스인데, 이 블루투스는 가장 적은 소비전력과 연결 시간(단, Bluetooth V3.0의 Fast Connect 기능이 지원되어야 한다.), 및 보안성에 있어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으므로, 따라서, BCM 기능 구현에는 Bluetooth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누적된 정보의 서버 전송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 정보(운행, 고장, 이상)는 주기적으로 서버로 전송되어야 하나, 누적된 데이터는 하루 기준으로 약 1MB 정도의 용량을 차지하므로,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전송 시나리오, 전송 비용 등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세 가지 통신 모듈을 이 기능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세가지 체크 포인트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체크 포인트 첫 번째는 전송 속도로서, 데이터 전송 속도는 차량의 운행이 멈춘 후 단말기가 얼마나 많은 소비전력을 이용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따라서 Wi-Fi와 3G가 가장 유용한 솔루션이다.
체크 포인트 두 번째는 전송 비용으로서, 데이터 전송 비용은 소비자가 구매 후 가장 부담되는 부분으로써 이를 최소화하는 알고리듬이 전체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장 고가의 비용이 발생되는 3G 통신 모듈을 가장 우선 순위를 낮게 하여 통신망을 구축하여야 한다.
체크포인트 세 번째는 단말기의 차량 정보 누적 주기 및 메모리 용량으로서, 차량 정보는 전혀 필터링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 초당 500Kbps까지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시간당 180Gb라는 너무나도 많은 양이므로 그대로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유효한 차량 정보만을 추출하여 대략 일일 기준 1MB 정도로 낮추어야 하며, 이를 기준으로 한달 동안 저장할 경우를 예상하여 하드웨어를 설계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체크 포인트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아래 예와 같이 기능을 구현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운행 중이거나, 운행이 끝났을 경우에 항시 주변의 Wi-Fi Access Point를 모니터링하고, 운행 중 Wi-Fi AP와 연결되었을 경우 이전 운행 기록을 전송한다. 이때 만약 전송이 완료되지 못하고 연결이 끊어질 것을 대비하여 이어받기 기능을 사전에 구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만약 운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Wi-Fi AP와 연결될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전송하지 못한 운행 기록을 전송한다. 일정 기간(예를 들어 약 2주) 이상 Wi-Fi AP를 통하여 누적된 정보가 전송되지 못할 경우에는 3G 통신 모듈을 통하여 서버와 통신한다. 단, 언제든지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은 추가로 구현하여 스마트 폰의 데이터 이용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의 경우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째 고장 코드 발생 시에는 세 가지 통신 모듈 중에 이미 연결된 통신망이 있을 경우에는 기존 통신망을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응급 상황이므로 3G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통신하여, 서버는 다시 스마트폰에 고장 상태 정보를 알려준다.
둘째 운행 정보 모니터링의 경우 3G 통신망을 이용한 구현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므로, Bluetooth와 Wi-Fi 통신 모듈을 고객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단, Wi-Fi의 경우에는 차량 내에서 핸즈프리(최근에는 거의 모든 차량이 Bluetooth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으므로)와의 통신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Bluetooth를 우선 순위로 한다.
위의 경우들과 같이 기능별, 요금별에 따라 가장 적합한 통신 모듈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의 동작 및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에서는 현재 차량(10) 내부의 여러 가지 정보를 차량 네트워트(In-Vehicle Network)인 High CAN, Low CAN, J1850, K-Line, AutoSAR, GENIVI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가진단 점검단자인 OBD(On Board Diagnostics) 시스템(11)의 표준 인터페이스인 DLC(Data Link Connector)를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이와 같이 수집된 정보에는 유효 정보 필터링 정보, 필터링 정보들을 이용한 분석 정보, 차량 상태 진단 정보, 고장 진단 정보 또는 그 분석정보, 운행 기록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렇게 수집된 OBD의 차량 정보는 이후 통합 통신부(120)에서 각각의 통신 모듈(121-123)을 통해 통신을 원하는 프로토콜에 합당한 정보로 1차 가공되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망 또는 3G/4G(LTE)에 의한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의 휴대폰 또는 서버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테블릿 PC 등의 무선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있는 디바이스 운용모듈(200)에서는, 먼저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의 운용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디바이스와 서버와의 이더넷 라우트(Ethernet Route)를 설정하고,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에서 전송되는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정보를 2차 가공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s Interface)를 통해 도 4a 내지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행 기록 정보(도 4a), 차량의 상태 및 소모품 교체 정보(도 4b), 운전 습관 분석 정보(도 4c), 및 차량 진단 정보(도 4d) 중에서 선택되는 2차 가공된 차량정보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키조작을 통해 선택하는 정보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휴대폰에 탑재된 디바이스 운용모듈(200)에 의해 스마트 키 기능대체, 차량 자가 진단, 차량 운행 기록, 운전 습관 분석, 주차 위치 정보, 운전 경제 지수/연비 출력 등의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디바이스 운용모듈(200)은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의 운용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량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로 전송함으로써, 디바이스(예를 들면 휴대폰)를 이용하여 차량의 스마트 키 기능(문열림, 문닫힘 등), 시동걸기, 라이트 끄기/켜기 등의 원격 차량 제어, 및 도난 방지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차량 소유자로 하여금 네비게이션, 스마트 폰 및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자가 차량 진단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며, 더 나아가 정비소에서도 고객 확보를 위하여 확장된 고객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코 드라이브 인디게이트의 화면 등의 구성을 통해, 운전자로 하여금 경제 운전 등을 유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동차 정비 사업자의 경우 업소 운영의 효율성 증가로 인한 경쟁력 확보 및 솔루션과 콘덴츠의 증가를 통해 고객과의 정보 교류는 물론 서비스의 내용을 진화시켜 많은 고객 확보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IT모바일을 통한 고객관리와 서비스 지원을 통해 다수의 차량이나 차량고객을 관리하는 업계(렌터카 업계/보험업계/운수회사 등)에서 실시간으로 전 차량에 대한 중앙관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업무와 비용 절약을 위한 콘덴츠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시스템을 공급하고자 하는 개발업체에게 비즈니스 모델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관리 및 유류비의 절약과 고객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그 효과가 검증되는 경우 매우 빠르게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와 연관되어 솔루션과 콘덴츠를 제공하는 소프트 산업과 시스템 산업의 발전에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완성차 업체들의 경우 이상 발생 전 및 사고 전에 리콜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하여 자동차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좋은 CRM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차량의 운행기록 자가진단시스템(On-board Diagnostics)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 인터페이스(OBD 표준 DLC)를 통해 차량 내부의 여러 가지 정보(유효 필터링 정보, 필터링 정보들을 이용한 정보분석, 차량 상태 진단, 고장정보 수집 및 분석, 운행기록)를 수집 및 가공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망(WiFi, Bluetooth 등)과 광대역 통신망(3G, LTE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휴대폰 및 제휴사 서버(파트너 또는 웹 포탈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게 하므로, 이러한 양방향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OBD와의 호환성 문제 및 데이터 전송속도 문제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국지성 탈피하여 저비용으로 차량 관제, 차량 운행 기록의 저장 및 운행 습관 분석, 차량 진단 등의 고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최신 자동차에서 제공되는 BCM(Body Control Module)을 통한 원격 시동, 차동 개폐, 및 도난 방지 기능 등의 스마트 키의 기능을 휴대폰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차량 11 : 운행기록 자가진단장치(OBD)
100 :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
110 : OBD 인터페이스부 120 : 통합 통신부
121 :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1a: 블루투스 안테나
122 :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2a : 와이파이 안테나
123 : 3G/4G(LTE) 셀룰러 통신 모듈
123a : 셀룰러 안테나 124 : GPS 모듈
124a : GPS 안테나 125 : 가속도 센서
130 : 주제어부 140 : 외부 인터페이스부
140a : 외부 입력 컨넥터 150 : 전원 공급부
200 : 디바이스 운용모듈 300 : 텔레메틱스 서버

Claims (11)

  1. 차량의 운행기록 자가진단장치(OBD)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 및 필터링한 후,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망 및 광대역 통신망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 및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테블릿 PC 중에서 선택되는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디바이스와 서버와의 이더넷 라우트를 설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에서 전송되는 차량 정보를 수신 및 2차 가공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며,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의 운용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량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운용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100)은,
    차량의 운행기록 자가진단장치(OBD)의 데이터 연결 커넥터(DLC)에 연결되기 위한 OBD 인터페이스부;
    OBD 인터페이스부로부터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대역 통신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전달하거나 반대로 수신하여 OBD 인터페이스부에 전달하는 통합 통신부;
    OBD 인터페이스부로부터 OBD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필터링한 후 통합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OBD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에 전달하는 주제어부;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 테스트, 및 기타 외부 입력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아 주제어부에 전달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통신부는,
    Bluetooth, Wi-Fi, GSM 또는 CDMA 방식의 3G/L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통신부는
    GPS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모듈;
    가속도나 진동 또는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통신부는,
    외부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로의 외부 입력정보의 입력을 위한 외부 입력 컨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BD의 차량정보는,
    차량 운행 정보, 차량 진단 정보, 운전습관 및 경제운전 분석을 위한 필터링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는,
    차량의 총 주행 거리, Trip별 운행 거리, Trip 온/오프 시간, 속도, 분당 회전수(RPM), 순간 연비, 브레이크, 기어 변속 단수, GPS 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습관 및 경제운전 분석을 위한 필터링 정보는,
    Trip 별 최고 속도, Trip 별 속도 분포, Trip 별 RPM 분포, 공회전 횟수 및 시간, 급가속 횟수 및 시간, 급감속 횟수 및 시간, 급출발 횟수, 급제동 횟수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운용모듈은,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에서 수신되는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2차 가공하여, 차량의 운행 기록 정보, 차량의 상태 및 소모품 교체 정보, 운전 습관 분석 정보, 및 차량 제어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로 2차 가공된 차량정보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운용모듈은,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의 운용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온프, 도어 온/오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바이스의 키조작신호에 의해 생성하여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은,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분석 및 통합 통신모듈에서 전송되는 1차 가공된 차량 정보를 하나 이상의 차량으로부터 수집하여, 서비스의 제공 및 관리를 위해 서비스 종류에 따라 재가공 및 저장하는 텔레메틱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KR1020140046749A 2014-04-18 2014-04-18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KR20150121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749A KR20150121352A (ko) 2014-04-18 2014-04-18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749A KR20150121352A (ko) 2014-04-18 2014-04-18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52A true KR20150121352A (ko) 2015-10-29

Family

ID=5443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749A KR20150121352A (ko) 2014-04-18 2014-04-18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35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062A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전유산업 Obd 정보를 이용한 차량 운행 정보 분석 시스템
CN108279353A (zh) * 2018-04-28 2018-07-13 厦门奈克斯特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can bus***客车整车电气综合试验台
KR20180082189A (ko) * 2017-01-10 2018-07-18 한국교통안전공단 Obd 정보를 이용한 차량 운행 정보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WO2019083064A1 (ko) * 2017-10-26 2019-05-02 박진수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KR102013710B1 (ko) * 2019-02-13 2019-10-21 김종복 배기가스 저감 포인트 적립 방법 및 시스템
KR102295427B1 (ko) * 2020-07-16 2021-08-31 센툼팩토리얼 주식회사 OBD(On Board Diagnostics) 장치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기반의 차량 상태 감지방법 및 시스템
CN114167790A (zh) * 2021-12-14 2022-03-11 航天科技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PowerPC构架的远近程控车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062A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전유산업 Obd 정보를 이용한 차량 운행 정보 분석 시스템
KR20180082189A (ko) * 2017-01-10 2018-07-18 한국교통안전공단 Obd 정보를 이용한 차량 운행 정보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WO2019083064A1 (ko) * 2017-10-26 2019-05-02 박진수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CN108279353A (zh) * 2018-04-28 2018-07-13 厦门奈克斯特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can bus***客车整车电气综合试验台
CN108279353B (zh) * 2018-04-28 2024-05-03 厦门奈克斯特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can bus***客车整车电气综合试验台
KR102013710B1 (ko) * 2019-02-13 2019-10-21 김종복 배기가스 저감 포인트 적립 방법 및 시스템
KR102295427B1 (ko) * 2020-07-16 2021-08-31 센툼팩토리얼 주식회사 OBD(On Board Diagnostics) 장치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기반의 차량 상태 감지방법 및 시스템
CN114167790A (zh) * 2021-12-14 2022-03-11 航天科技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PowerPC构架的远近程控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1352A (ko)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US6732031B1 (en) Wireless diagnostic system for vehicles
US9780967B2 (en) System for performing vehicle diagnostic and prognostic analysis
KR101974347B1 (ko) 차량 고장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10943283B2 (en) Service location recommendation tailoring
US9538374B2 (en) Method for vehicle communication by means of a vehicle-implemented vehicle diagnostic system, vehicle diagnostic interface, interace modul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data connection system, and diagnostic and control network for a plurality of vehicles
CA2706963C (en) System for monitoring vehicle use
US20080082221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port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onboard diagnostic port
US20080015748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port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onboard diagnostic port
JP2011076322A (ja) 車載通信端末装置および車両内部データ配信方法
CN104853965B (zh) 用于通过服务供应商选择性地打开车辆的***
US11823112B2 (en) Fleet trigger-based incentives with blockchain
US11887408B2 (en) Service event response tailoring
CN105929815A (zh) 大规模车辆实时监测诊断、远程服务与综合处理方法
US201103071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CN105216748A (zh) 实现车辆状态监控***及方法
US11380146B2 (en)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vehicle type identification through diagnostic port
CN106603712A (zh) 消防车辆及人员信息大数据采集分析***
US202202621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ampering in a Vehicle
US11381422B2 (en) Method to write requests on a vehicle diagnostic bus
KR20160136139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및 방법
JP3217361U (ja) 車載情報提供装置
WO2005057519A1 (ja) 車両情報収集管理方法、車両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管理基地局装置および車両
CN106200440A (zh) 智能手表车辆控制***
KR102295427B1 (ko) OBD(On Board Diagnostics) 장치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기반의 차량 상태 감지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