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292A -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292A
KR20150120292A KR1020150049481A KR20150049481A KR20150120292A KR 20150120292 A KR20150120292 A KR 20150120292A KR 1020150049481 A KR1020150049481 A KR 1020150049481A KR 20150049481 A KR20150049481 A KR 20150049481A KR 20150120292 A KR20150120292 A KR 2015012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inorgan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데라시마
유이치 다카무라
시게키 가와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
    • C09J7/0232
    • C09J2201/28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 가공성이 향상되고, 장기 보관해도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고,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점착제층(2)의 양면이 박리 라이너(3), 박리 라이너(4)로 보호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로서, 상기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를 갖고, 상기 드라이 에지부 각각의 폭 방향의 길이가 점착제층의 두께의 20배 이상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이다.

Description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SUBSTRATE-LESS DOUBLE-COAT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모든 분야에 있어서 대향하는 2매의 부재를 접합하는 경우에, 취급성, 작업성, 접합 접착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지지체가 되는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 전화 등에 있어서의 소형 전자 부품이나 그 주변 기기의 고정에 상기 양면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경량·소형·박형화의 경향이 있는 소형 전자 부품이나 그 주변기기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의 박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로부터, 지지체가 되는 기재를 갖지 않고 점착제층만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 소위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82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69281호 공보
종래부터 있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는, 지지체가 되는 기재를 갖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층이 변형되기 쉽고, 특히 점착제층의 두께를 박층화한 경우에는 현저해진다. 이것은, 지지체가 되는 기재가 있을 경우에는, 점착제층의 변형을 그 기재에 의해 억제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소정의 폭으로 절단할 경우, 점착제층이 변형됨으로써 절단날에 점착제가 부착되고, 그 절단면에 점착제가 재부착됨으로써 절단면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절단날에 부착된 점착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절단 가공을 일시 중단하고, 절단날의 세정을 행할 필요가 있어, 절단 가공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았다. 특히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세밀하게 절단 가공할 때에는 현저하다. 또 한편으로, 절단 가공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장기 보관한 후에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려고 하면 박리 시의 점착제 끌림이 발생하여, 취급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측면으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와, 박리 라이너의 측면에 점착제가 부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절단 가공성이 향상되고, 장기 보관해도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여,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무기재 양면 점착 테이프의 구조 자체에 주목하여, 무기재 양면 점착 테이프의 양단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를 설치하고, 그 드라이 에지부와 점착제층의 두께 관계에 주목하여, 소정의 드라이 에지부를 설치함으로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을 때의 절단 가공성이 향상되고, 또한, 장기 보관해도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기재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1] 점착제층의 양면이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로서, 상기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를 갖고, 상기 드라이 에지부 각각의 폭 방향의 길이가 점착제층의 두께의 20배 이상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2]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107Pa 이하이다.
[3]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80℃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106Pa 이하이다.
[4]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이다.
[5]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탄소수가 4 내지 20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단량체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체이다.
[6]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폭 방향의 길이가 1mm 내지 30mm이다.
[7]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 내지 100㎛이다.
[8]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드라이 에지부 각각의 폭 방향의 길이가 1mm 이상이다.
본 발명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는, 상기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소정 폭의 본 발명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기 위하여 절단 가공할 때에 절단날에 점착제가 부착되지 않아, 절단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장기 보관해도, 상기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작업성도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폭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흐름 방향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상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상면도)이다.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점착제층(2)의 양면이 박리 라이너(3), 박리 라이너(4)로 보호되어 있다. 여기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길이 방향을 흐름 방향(101),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폭 방향(102)이라고 한다.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폭 방향(102)의 양단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폭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점착제층(2)의 양면이 박리 라이너(3), 박리 라이너(4)로 보호되고, 양단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폭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흐름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점착제층(2)의 양면이 박리 라이너(3), 박리 라이너(4)로 보호되어 있다.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점착제층(2)을 갖는 구성이다. 또한 점착제층(2)은 1층 또는 다층의 점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무기재」란, 기재(특히 기재 필름)를 갖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점착제층(2)의 양면이 박리 라이너(3), 박리 라이너(4)로 보호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형상은, 시트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어 롤 형상으로 권회된 형상이나 단판 형상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폭 방향(102)의 양단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를 갖는다. 또한, 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의 길이(201·202) 각각이 점착제층(2)의 두께의 20배 이상이다. 이와 같이,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양단에 상기와 같은 드라이 에지부(5)를 가짐으로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소정의 폭으로 절단 가공하여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를 얻을 때, 절단날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절단면의 형상의 변형을 비약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단날에의 점착제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절단날의 세정을 위하여 절단 가공을 일시적으로 정지할 필요도 없어져서, 절단 가공성도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장기 보관한 경우의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어, 박리 라이너 등의 측면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폭 방향(102)의 길이(401)가 짧고 가늘게 되도록 절단 가공할 때에는 적합하다. 이것은, 양면 점착 시트(1)의 폭 방향(102)의 길이(401)가 짧고 가늘게 되도록 절단 가공하는 경우, 절단날에 대하여 보다 점착제가 부착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며, 이렇게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양단에 상기와 같은 드라이 에지부(5)를 가짐으로써 절단면의 형상의 변형이 보다 억제되어, 절단 가공성, 나아가 취급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양단에 갖는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102)의 길이(201·202) 각각의 바람직한 범위는, 점착제층(2)의 두께에 대하여 30배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5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배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5배 이상이다. 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의 길이(201·202)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500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배 이하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소정의 폭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로 절단 가공할 때, 절단날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어, 절단면의 형상의 변형이 더욱 억제된다. 또한 절단날에의 점착제의 부착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절단날의 세정을 위하여 절단 가공을 일시적으로 정지할 필요도 없어져서, 절단 가공성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장기 보관한 경우의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어, 박리 라이너 등의 측면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양단에 갖는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102)의 길이(201·202)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의 길이(201·202)는, 각각, 절단 가공성이나 취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8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5mm이다. 또한, 상기 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의 길이(201·202)의 각각의 길이의 비율(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의 길이(201):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의 길이(202))는 절단 가공성이나 취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1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1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이다. 또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양단에 갖는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의 길이의 비율(합계의 비율)은 절단 가공성이나 취급성의 관점에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 전체의 폭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의 폭 방향(102)의 길이(301)는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30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5mm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절단 가공성이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폭 방향(102)의 길이(401)는 피착체에의 접합 작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5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3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5mm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상면도)이다.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복수의 점착제층(2)을 갖고, 그 양면이 박리 라이너(3), 박리 라이너(4)로 보호되어 있다.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폭 방향(102)의 양단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점착제층(2)의 사이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부(6)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점착제층(2)을 갖고, 그 양면이 박리 라이너(3), 박리 라이너(4)로 보호되고,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폭 방향(102)의 양단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를 갖고, 또한 복수의 점착제층(2)의 사이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부(6)를 갖는다. 이렇게 복수의 점착제층(2)의 사이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부(6)를 가짐으로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를 장기 보관한 경우에, 점착제층(2)의 비어져 나옴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에 외압이 가해진 경우에도 점착제층(2)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를 피착체에 접합할 때에도, 박리 라이너가 박리하기 쉬워져, 점착제층(2)의 박리 시의 점착제 끌림을 억제할 수 있어, 피착체에의 접합 작업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형상이 롤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이 외압에 의해 비어져 나오기 쉬워지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점착제층(2)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2)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다양한 용도에 따라서 설정하면 되고,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피착체에의 접합 작업성의 관점에서 2개 또는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부(6)의 폭 방향(102)의 길이(203)는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0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8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5mm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를 장기 보관한 경우에, 더한층 점착제층(2)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에 외압이 가해진 경우에도 점착제층(2)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를 피착체에 접합할 때에도, 박리 라이너가 더한층 박리하기 쉬워져, 점착제층(2)의 박리 시의 점착제 끌림을 억제할 수 있어, 피착체에의 접합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부(6)의 폭 방향(102)의 길이(203)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양단에 갖는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102)의 길이(201·202)와,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부(6)의 폭 방향(102)의 길이(203)는 취급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2)의 두께의 20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배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50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배 이상이다. 드라이부(6)의 폭 방향(102)의 길이(203)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500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배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양단에 갖는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5)의 폭 방향의 길이와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부(6)의 폭 방향의 길이의 합계의 비율은, 절단 가공성이나 취급성, 접합 작업성의 관점에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 전체의 폭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다.
[점착제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피착체에 대하여 접합할 때에,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중요해지는데, 절단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점착제 자체를 변형이 적은 것(예를 들어 탄성률이 높은 점착제)으로 한 경우에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접합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았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은 2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가 바람직하게는 107Pa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07Pa,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06Pa, 가장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05Pa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피착체에 대한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2)의 전단 저장 탄성률 G'는,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조성(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에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공중합 조성)이나 분자량, 가교제 기타의 첨가제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는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전단 저장 탄성률 G'의 측정>
측정 샘플(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1.5mm 내지 2mm의 두께로 제작한 후, 이것을 직경 7.9mm의 펀치로 펀칭하여 측정용의 시료로 한다. 점탄성 스펙트로미터(상품명 「ARES」, Rheometric Scientific사제)를 사용하여, 척 압력 100g중, 전단을 주파수 1Hz로 설정하고, 승온 속도 5℃/분으로 측정을 행한다. 장치는, 스테인레스스틸제의 8mm 패러렐 플레이트(TA 인스트루먼츠사제, 형식 708.0157)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은 80℃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가 106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06Pa,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06Pa, 가장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05Pa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피착체에 대한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2)의 전단 저장 탄성률 G'는,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조성(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에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공중합 조성)이나 분자량, 가교제 기타의 첨가제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는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장기 보관한 경우의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어, 박리 라이너 등의 측면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을 구성하는 점착제(베이스 중합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층(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2)의 질량(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이다. 점착제층(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함유량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100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7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의 겔 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20질량% 내지 9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내지 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 내지 50질량%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피착체에 대한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을 구성하는 점착제가 고무계 점착제인 경우에는, 점착제층(2)의 겔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0질량% 내지 2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질량% 내지 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 내지 5질량%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피착체에 대한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겔 분율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겔 분율의 측정>
겔 분율은, 무게 W1의 측정 샘플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제 다공질 시트에 싸서 실온에서 1주일간 아세트산에틸에 침지한 후, 그 측정 샘플을 건조시켜서 아세트산에틸 불용해분의 무게 W2를 계측하고, W1 및 W2를 다음 식: 겔 분율[%]=W2/W1×100;에 대입함으로써 구해진다. 상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제 다공질 시트로서는, 닛토덴코샤제의 상품명 「니토플론(등록 상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단량체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아크릴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주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20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이들 중에서도,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나 접합 작업성의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5 내지 12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주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10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점착제는, 응집력, 가교성 등의 개질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부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 또는 비치환) 아미드계 단량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계 단량체; N-비닐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비닐모르폴린,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단량체; N-비닐카르복실산 아미드류;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단량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에스테르 단량체; (메트)아크릴산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등의 산소 원자 함유 복소환을 갖는 단량체; 불소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 실리콘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다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다관능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부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단량체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성분 중에서도, 응집력, 가교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히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부틸 또는 아크릴산(AA)이다. 상기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이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20중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기한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수성, 비용 등의 면에서, 용액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 방법이다.
이 용액 중합 시에는, 각종의 일반적인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점착제의 중합 시에는,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아조계 중합 개시제;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시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등의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등의 유용성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가교제를 첨가하여 가교해도 된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금속 알콕시드, 금속염, 아민 화합물, 히드라진 화합물, 알데히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아크릴계 점착제에 함유하는 관능기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에의 응집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에폭시계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사용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중량부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도소샤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도소샤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도소샤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샤제, 상품명 「테트래드 C」),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교에샤 가가꾸샤제, 상품명 「에폴라이트 1600」),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교에샤 가가꾸샤제, 상품명 「에폴라이트 1500NP」),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교에샤 가가꾸샤제, 상품명 「에폴라이트 40E」),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교에샤 가가꾸샤제, 상품명 「에폴라이트 70P」),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니찌유샤제, 상품명 「에피올 E-400」),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니찌유샤제, 상품명 「에피올 P-200」),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나가세 켐텍스샤제, 상품명 「데나콜 EX-611」),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나가세 켐텍스샤제, 상품명 「데나콜 EX-314」),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나가세 켐텍스샤제, 상품명 「데나콜 EX-512」), 소르비탄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천연 고무계 점착제; 이소프렌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재생 고무나, 이들의 변성체 등의 합성 고무계 점착제(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함)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착체에 대한 접합 작업성의 관점에서, 부틸 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 고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만 내지 500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만 내지 200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만 내지 150만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예를 들어 부틸 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 고무)는 다음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 30만 이상 500만 이하(바람직하게는 분자량 30만 내지 480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30만 내지 450만)의 고무계 점착제가 50질량% 내지 9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질량% 내지 9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질량% 내지 95질량%이며, 또한 분자량 1만 이상 30만 미만(바람직하게는 분자량 1만 내지 28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1만 내지 25만)의 고무계 점착제의 함유량이 5질량% 이상 5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내지 48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질량% 내지 45질량%이다. 또한, 상기 고무계 점착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질량(100질량%)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분자량 분포를 갖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무계 점착제의 분자량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분자량 분포의 측정>
측정 샘플을 픽킹에 의해 채취한 후, THF 용액을 제조하여 하룻밤 정치하였다. 이 용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여과액에 대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HLC-8120GPC, 도소샤제)를 행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GPC 미분 분자량 분포 곡선의 각 분자량 범위에서의 면적비를 질량 분율(질량%)로서 산출하였다.
측정 조건
칼럼: TSKgel
칼럼 사이즈: 6.0mmI.D.×150mm
용리액: THF
유량: 0.6mL/min
검출기: RI
칼럼 온도: 40℃
주입량: 20μL
상기 분자량 분포를 갖는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1종의 고무계 점착제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고무계 점착제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절단 가공성이나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 피착체에 대한 접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고무계 점착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점착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중량 평균 분자량 30만 내지 150만(바람직하게는 40만 내지 110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45만 내지 100만)의 고분자량 점착제와, 중량 평균 분자량 1만 이상 30만 미만(바람직하게는, 1만 내지 20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만 내지 10만)의 저분자량 점착제를, 95/5 내지 65/35(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68/32, 특히 바람직하게는 85/15 내지 70/30)[전자/후자(질량비)]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콘 고무나 실리콘 레진, 또는, 이들에 실록산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등의 가교제를 첨가하여 가교·중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은 상기 점착제(베이스 중합체) 이외에, 다른 성분(예를 들어, 적당한 점착 부여제, 가소제(예를 들어,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등), 충전제, 산화 방지제 등)을 함유해도 되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점착 부여제가 사용된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점착 부여 수지가 사용된다. 그 점착 부여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로진계 수지), 로진 유도체 수지, 석유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케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첨가량은, 베이스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내지 50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내지 50질량부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로진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검 로진, 우드 로진, 톨 로진 등을 들 수 있다. 로진계 수지로서, 임의의 적절한 로진을 불균화 또는 수소 첨가 처리한 안정화 로진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로진계 수지로서, 임의의 적절한 로진의 다량체(대표적으로는 2량체)인 중합 로진, 임의의 적절한 로진을 변성(예를 들어, 불포화산에 의한 변성)하여 얻어진 변성 로진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로진 유도체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로진계 수지의 에스테르화물, 로진계 수지의 페놀 변성물, 페놀 변성된 로진계 수지의 에스테르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석유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공중합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테르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α-피넨 수지, β-피넨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케톤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케톤류(예를 들어, 지방족 케톤, 지환식 케톤)와 포름알데히드를 축합시켜서 얻어지는 케톤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의 양면은 박리 라이너(3), 박리 라이너(4)로 보호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박리 라이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계 등의 박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의 박리층을 갖는 기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저접착성 기재;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의 무극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의 접합 작업성의 관점에서, 박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저접착성 기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착체에 대한 접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박리 라이너의 점착제층(2)에 대한 180° 박리 시험에 있어서의 박리력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착체에 대한 접합 작업성의 관점에서 0.03N/50mm 내지 1N/50m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6N/50mm이다. 또한, 박리력은, JIS Z 0237:2009에 준거한 180°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고, 측정 조건은 23℃, 50% RH의 분위기 하에서,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300mm/분이다. 또한, 점착제층(2)의 양면에 갖는 각각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은 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0.90N/50mm의 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제층(2)의 양면에 갖는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에 차를 가짐으로써, 점착제층(2)의 박리 시의 점착제 끌림을 억제할 수 있어, 피착체에 대한 접합 작업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4에는, 점착제층(2)의 양면이, 따로따로의 2매의 박리 라이너(박리 라이너(3) 및 박리 라이너(4))에 의해 각각 보호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했지만, 본 발명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는 이와 같은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이, 양면이 박리면이 되어 있는 1매의 박리 라이너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회되는 형태(권회체)로 보호되어 있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 점착제층의 양면이 1매의 박리 라이너로 보호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종종 공지된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 상에 줄무늬 도포나 패턴 도포함으로써 줄무늬 형상의 점착제층을 복수 형성시켜, 박리 라이너를 접합한다. 그 후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사이를 소정 폭으로 절단 가공을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절단 가공은 여러가지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절단날에 의해 절단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도포 시공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한 후에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멀티 코터, 다이 코터, 그라비아 코터, 어플리케이터 등을 사용한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연 건조, 가열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가열 건조하는 경우의 가열 온도는, 건조 대상이 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전자 기기, 전자 디바이스, 전해 콘덴서·비수계 이차 전지 등의 전기 화학 디바이스(그 중에서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내부에 사용되는 구성 부재를 고정하는 용도에 있어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명기하지 않는 한,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아크릴산2-에틸헥실/아크릴산(질량비: 95질량부/5질량부)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중량 평균 분자량 100만) 100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상품명 「코로네이트 L」, 도소샤제) 3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1)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1)을 박리 라이너(상품명 「세라필 MDAR」, 도레이 필름 가꼬우샤제, 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에, 점착제층의 폭이 2mm·점착제층의 간격이 6mm가 되도록 줄무늬 도포 시공하여, 두께 3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점착제층면에 박리 라이너(상품명 「다이아호일 MRF38」, 미쓰비시 주시샤제, 두께 38㎛)를 접합하여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B1)를 얻었다. 그 후, 점착제층의 폭이 2mm, 드라이 에지부를 양단에 갖고 각각의 폭이 3mm가 되도록 절단날(상품명 「NT Spare Blade DISPENSER A」, NT(주)제)을 사용하여 절단하여, 양단에 드라이 에지부를 갖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1)을 얻었다.
실시예 2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상품명 「Oppanol B80」, BASF 재팬(주)제) 80질량부,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상품명 「Oppanol B12SFN」, BASF 재팬(주)제) 20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2)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양단에 드라이 에지부를 갖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2)를 얻었다.
실시예 3
아크릴산2-에틸헥실/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질량비: 40질량부/60질량부/5질량부/4질량부)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중량 평균 분자량 40만) 100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상품명 「코로네이트 L」, 도소샤제) 2질량부, 가교 촉진제로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상품명 「엔빌라이저 OL-1」, 도쿄 파인 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3)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양단에 드라이 에지부를 갖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3)을 얻었다.
실시예 4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1)을 박리 라이너(상품명 「세라필 MDAR」, 도레이 필름 가꼬우샤제, 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에, 점착제층의 폭이 2mm·점착제층의 간격이 6mm가 되도록 줄무늬 도포 시공하여, 두께 10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점착제층면에 박리 라이너(상품명 「다이아호일 MRF38」, 미쓰비시 주시샤제, 두께 38㎛)를 접합하여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B4)를 얻었다. 그 후, 점착제층의 폭이 2mm, 드라이 에지부를 양단에 갖고 각각의 폭이 3mm가 되도록 절단날(상품명 「NT Spare Blade DISPENSER A」, NT(주)제)을 사용하여 절단하여, 양단에 드라이 에지부를 갖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4)를 얻었다.
비교예 1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1)을 박리 라이너(상품명 「세라필 MDAR」, 도레이 필름 가꼬우샤제, 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에 전체 폭에 도포 시공하여, 두께 3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점착제층면에 박리 라이너(상품명 「다이아호일 MRF38」, 미쓰비시 주시샤제, 두께 38㎛)를 접합하여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5)를 얻었다.
비교예 2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6)을 얻었다.
비교예 3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7)을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하기 방법에 의해 전단 저장 탄성률, 절단 가공성,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량, 접합 작업성을 평가하였다.
(1) 중량 평균 분자량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1), (A3)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GPC 측정 장치로서 상품명 「HLC-8120GPC」(도소샤제)를 사용하여, 하기 GPC 측정 조건 하에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다.
(GPC 측정 조건)
샘플 농도: 0.2중량%(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샘플 주입량: 10μL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유량(유속): 0.6mL/min
V 칼럼 온도(측정 온도): 40℃
칼럼: 상품명 「TSKgelSuperHM-H/H4000/H3000/H2000(도소샤제)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2) 전단 저장 탄성률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A1) 내지 (A3)을 각각, 박리 라이너(상품명 「세라필 MDAR」, 도레이 필름 가꼬우샤제, 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에 전체 폭에 도포 시공하고, 박리 라이너(상품명 「다이아호일 MRF38」, 미쓰비시 주시샤제, 두께 38㎛)를 접합하여 점착제층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점착제층을 1.5mm 내지 2mm의 두께까지 적층하고, 이것을 직경 7.9mm의 펀치로 펀칭하여 측정용의 시료로 하였다. 점탄성 스펙트로미터(상품명 「ARES」, Rheometric Scientific사제)를 사용하여, 척 압력 100g중, 전단을 주파수 1Hz로 설정하고, 승온 속도 5℃/분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장치는, 스테인레스 스틸제 8mm 패러렐 플레이트(TA 인스트루먼츠사제, 형식 708.0157)를 사용하였다.
(3) 절단 가공성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해서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1) 내지 (C4)를 얻을 때의 절단에 사용한 절단날에의 오염성을 육안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절단 후의 샘플(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절단면을 육안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서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5) 내지 (C7)을 절단날(상품명 「NT Spare Blade DISPENSER A」, NT(주)제)을 사용해서 5mm의 폭으로 절단하고, 50cm 절단한 곳에서 절단날에의 오염성을 육안 관찰하였다. 또한 절단 후의 샘플의 절단면의 관찰을 육안 관찰하였다. 절단날에의 점착제층의 부착성과 샘플의 절단면의 관찰은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절단날에의 오염성]
○: 절단날에 부착물이 없고, 점착제층의 절결이 보이지 않는다
△: 절단면에 부착물이 없고, 점착제층의 절결이 일부에서 보였다
×: 절단면에 부착물이 보였다
[샘플의 절단면의 관찰]
○: 절단면의 형상이 양호
△: 절단면의 형상이 일부분에서 거칠어져 있는 경우
×: 절단면의 형상이 거칠어져 있는 경우
[종합 평가]
절단날에의 오염성과 샘플의 절단면의 관찰에 있어서 ○이 된 것을 ○로 하고, 그 이외를 ×로 하였다.
(4)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량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해서는 양단에 드라이 에지부를 갖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1) 내지 (C4)를 사용하고,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서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5) 내지 (C7)을 샘플로서 사용하고, 샘플을 슬라이드 글래스의 중앙에 두고, 그 위에 같은 형태의 슬라이드 글래스를 두고, 히트 프레스기(상품명 「TP701-B HEAT SEAL TESTER」, 테스터 산교(주)제)로 50℃×1분간, 압력 0.1MPa으로 가열·가압하였다. 그 후, 샘플의 양단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점착제층의 정점 거리를 투영기로 측정하고, 최대 길이를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량으로 하였다.
(5) 접합 작업성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1) 내지 (C7)을 샘플로 하여 사용하였다. 5mm 두께의 SUS430BA판 2장을 어긋나게 놓고 고정하여 5mm의 단차를 갖는 피착체를 준비하였다. 그 피착체에 샘플을 들뜸이 없도록 접합하고 초기 상태로 하였다. 25℃×50% RH의 환경 하에서 30분 후에 있어서, 샘플과 피착체 사이의 간극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간극이 없는 경우에는 ◎, 간극이 1mm 미만인 경우에는 ○, 간극이 1mm 이상 2mm 미만인 경우에는 △, 간극이 2mm 이상인 경우에는 ×로 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를 하기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의 드라이 에지부를 갖는 무기재 양면 점착제 시트는,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를 가짐으로써, 비교예에 비하여 절단 가공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점착제층의 비어져 나옴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착체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2: 점착제층
3: 박리 라이너
4: 박리 라이너
5: 드라이 에지부
6: 드라이부
101: 흐름 방향
102: 폭 방향
201: 드라이 에지부의 폭 방향의 길이
202: 드라이 에지부의 폭 방향의 길이
203: 드라이부의 폭 방향의 길이
301: 점착제층의 폭 방향의 길이
401: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폭 방향의 길이

Claims (8)

  1. 점착제층의 양면이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로서,
    상기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에, 점착제층을 갖지 않은 드라이 에지부를 갖고,
    상기 드라이 에지부 각각의 폭 방향의 길이가 점착제층의 두께의 20배 이상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107Pa 이하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80℃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106Pa 이하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탄소수가 4 내지 20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단량체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체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폭 방향의 길이가 1mm 내지 30mm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 내지 100㎛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에지부 각각의 폭 방향의 길이가 1mm 이상인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KR1020150049481A 2014-04-17 2015-04-08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KR20150120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5245 2014-04-17
JP2014085245 2014-04-17
JP2015042181A JP2015212359A (ja) 2014-04-17 2015-03-04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JP-P-2015-042181 2015-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92A true KR20150120292A (ko) 2015-10-27

Family

ID=54696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481A KR20150120292A (ko) 2014-04-17 2015-04-08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5212359A (ko)
KR (1) KR20150120292A (ko)
TW (1) TW2015462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444A (ko) * 2017-01-19 2018-07-27 조금복 이형지 분리가 용이한 양면접착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WO2020032548A1 (ko) * 2018-08-08 2020-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점착 테이프
KR20200017349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점착 테이프
KR20220119195A (ko) * 2021-02-19 2022-08-29 (주)트러스 양면의 점착특성이 상이한 무기재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27736B2 (en) 2017-02-10 2022-08-30 Lg Chem, Ltd. Substrate-free transfer ta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9795B2 (ja) 2016-01-15 2019-01-09 日東電工株式会社 硬化型粘接着シート
JP6783552B2 (ja) * 2016-05-20 2020-11-1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テープ構造体
JP6870933B2 (ja) * 2016-07-28 2021-05-1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7064560B2 (ja) * 2020-12-03 2022-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8587B2 (ja) * 2010-10-21 2016-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JP5912772B2 (ja) * 2012-03-30 2016-04-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基材レス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40491B2 (ja) * 2012-08-07 2017-05-3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444A (ko) * 2017-01-19 2018-07-27 조금복 이형지 분리가 용이한 양면접착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US11427736B2 (en) 2017-02-10 2022-08-30 Lg Chem, Ltd. Substrate-free transfer tape
WO2020032548A1 (ko) * 2018-08-08 2020-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점착 테이프
KR20200017349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점착 테이프
US11674061B2 (en) 2018-08-08 2023-06-13 Lg Chem, Ltd. Substrate-free adhesive tape
KR20220119195A (ko) * 2021-02-19 2022-08-29 (주)트러스 양면의 점착특성이 상이한 무기재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212359A (ja) 2015-11-26
TW201546229A (zh)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0292A (ko)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KR101745849B1 (ko) 점착 시트
KR101740211B1 (ko) 점착 시트
JP5959867B2 (ja)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US20110284151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JP2009263593A (ja) スピーカー化粧用シート固定用両面接着テープ及びスピーカー化粧用シートの筐体への貼付方法
US20120064810A1 (en) Double-faced adhesive tape and polishing member
CN113412316A (zh) 粘合片
US20160222255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180129624A (ko) 점착 시트 및 그 점착 시트에 이용되는 점착제 조성물
JP2007326899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付着型機能性フィルム
JP5964073B2 (ja)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WO2013183375A1 (ja) 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US20160215180A1 (en) Water-disper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N109852267B (zh) 粘合片
CN105038621A (zh) 无基材的双面粘合片
JP7160965B2 (ja) 両面粘着シート
CN112210325A (zh) 粘合剂组合物
WO2023276655A1 (ja) 光学積層体
WO2022206467A1 (zh) 粘合片
EP4317341A1 (en) Adhesive sheet
WO2023210571A1 (ja) 粘着シート
WO2022202028A1 (ja) 光学積層体、画像表示装置及び粘着剤組成物
JP2022112539A (ja) 両面粘着シート
WO2023054085A1 (ja) 粘着剤組成物及び該粘着剤組成物を用いた粘着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