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753A -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753A
KR20150118753A KR1020140044700A KR20140044700A KR20150118753A KR 20150118753 A KR20150118753 A KR 20150118753A KR 1020140044700 A KR1020140044700 A KR 1020140044700A KR 20140044700 A KR20140044700 A KR 20140044700A KR 20150118753 A KR20150118753 A KR 20150118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device
bending
state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478B1 (ko
Inventor
조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478B1/ko
Priority to US14/314,747 priority patent/US8928619B1/en
Priority to CN201480076336.4A priority patent/CN106062678B/zh
Priority to EP14889459.5A priority patent/EP3132333B1/en
Priority to PCT/KR2014/005710 priority patent/WO2015160034A1/en
Priority to US14/570,756 priority patent/US20150293620A1/en
Publication of KR20150118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753A/ko
Priority to US15/146,401 priority patent/US95755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플랫 상태인 경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벤딩 상태인 경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3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1 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itive su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접거나 구부려도 동일한 화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말아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펼쳐진 상태에서도 구부림을 통해 다양한 크기 및 각도의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디텍트함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입력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랫 상태 및 벤딩 상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터치 인풋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 유닛,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벤딩 각도를 센싱하는 벤딩 센서 유닛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터치 센서 유닛 및 벤딩 센서 유닛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플랫 상태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 보정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1 벤딩 상태인 경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3 위치로 보정하고,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1 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플랫 상태인 경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벤딩 상태인 경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3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1 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랫 상태 또는 벤딩 상태에 따라 각각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위치를 다르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벤딩 상태를 구분하여 제1 벤딩 상태 또는 제2 벤딩 상태에 따라 각각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위치를 다르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벤딩 각도에 따라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위치를 보정하는 방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에 대한 보정을 통해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 위치를 정확히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영역 별로 상태를 설정하고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각각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1 위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벤딩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벤딩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드래그 인풋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역별 상태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아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형태가 변경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자종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1 위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벤딩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변경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의 상단에서 플랫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복수의 그래픽컬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오브젝트(11), 제2 오브젝트(12) 및 제3 오브젝트(1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인풋이 제1 센싱 라인(14)과 제1 오브젝트(11)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디텍트된 경우, 해당 터치 인풋을 제1 오브젝트(11)를 선택하는 터치 인풋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인풋이 제2 센싱 라인(15)과 제2 오브젝트(12)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디텍트된 경우, 해당 터치 인풋을 제2 오브젝트(12)를 선택하는 터치 인풋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인풋이 제3 센싱 라인(16)과 제3 오브젝트(13)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디텍트된 경우, 해당 터치 인풋을 제3 오브젝트(13)를 선택하는 터치 인풋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도 1의 중단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될 수 있다. 벤딩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플랫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공했던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이미지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벤딩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곡률만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도 함께 벤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의 중단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좌우 사이드가 안쪽으로 벤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좌우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벤딩됨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어,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좌우 길이가 축소된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중단에서 제1 오브젝트(11)와 제2 오브젝트(12) 사이의 간격 및 제2 오브젝트(12)와 제3 오브젝트(13) 사이의 간격은 도 1의 상단에 비해 감소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에 의해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된 경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즉, 도 1의 하단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오브젝트(11)가 디스플레이된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제3 오브젝트(13)가 디스플레이된 위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1의 상단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를 함께 변경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가 위치가 변경된 오브젝트를 시각으로 확인하고 해당 오브젝트를 터치 인풋을 이용하여 선택할 때,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와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위치가 상이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의 하단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센싱라인의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센싱라인의 좌측에 위치한 다른 센싱라인을 이용하여 제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는 제1 오브젝트가 플랫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위치보다 좌측으로 이동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인풋을 센싱하는 제2 센싱라인의 위치는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오브젝트가 벤딩축 상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제2 오브젝트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축 상에 위치하거나 벤딩축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센싱라인은 플랫 상태 및 벤딩 상태에서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3 센싱라인(16)의 위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제3 센싱라인의 우측에 위치한 다른 센싱라인을 이용하여 제3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는 제3 오브젝트가 플랫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위치보다 우측으로 이동되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와 함께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 인풋을 정확하게 디텍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벤딩에 의한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1 위치 보정과 달리, 제2 위치 보정은 사용자의 시선이 인지하는 터치 포인트와 실제 터치 포인트 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없애기 위한 보정이다. 따라서 제1 위치 보정에서 언급한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사용자는 오브젝트를 터치하는 손가락의 윗면을 응시할 수 있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터치하는 것은 손가락의 아랫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터치 위치와 실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입력된 터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는 제2 위치 보정이 필요하다. 도 2에서는 터치 인풋의 좌우 위치변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위치 보정 방법은 상하 위치변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를 터치할 수 있다. 도 2의 상단은 플랫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의 하단은 측단면도이다.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해 제1 터치 인풋(21)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터치 인풋(21)은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1 위치에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위치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속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22)을 제1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터치하고자 한 위치와 실제로 손가락(22)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된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별도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위치 보정을 실행하지 않고, 제1 터치 인풋(21)이 디텍트된 위치를 제1 위치로 확정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해 제2 터치 인풋(23)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터치 인풋(23)은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각도를 이루는 제2 위치에 입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24)을 제2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터치하고자 한 위치와 실제로 손가락(24)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된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24)의 밑면 중앙 부분과 제2 위치에서 컨택트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손가락(24)의 윗면 중앙 부분을 응시하는 자신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교차하는 제3 위치를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는 d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위치에서 디텍트된 제2 터치 인풋(23)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위치가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에 있는 경우, 제3 위치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방향으로 d1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d1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d1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해 제3 터치 인풋(25)을 입력할 수 있다. 제3 터치 인풋(25)은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각도를 이루는 제4 위치에 입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26)을 제4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제4 위치에서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터치하고자 한 위치와 실제로 손가락(26)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된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26)의 밑면 중앙 부분과 제4 위치에서 컨택트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손가락(26)의 윗면 중앙 부분을 응시하는 자신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교차하는 제5 위치를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위치와 제5 위치 사이는 d2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4 위치에서 디텍트된 제3 터치 인풋(25)의 위치 정보를 제4 위치로부터 제5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4 위치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방향에 있는 경우, 제5 위치를 제4 위치로부터 제2 방향으로 d2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d2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d2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제1 위치가 제4 위치 사이의 거리가 크므로, d2는 d1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1 위치로부터 터치 포인트가 멀어질수록,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벤딩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위치 보정은 사용자의 시선이 인지하는 터치 포인트와 실제 터치 포인트 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없애기 위한 보정이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사용자는 오브젝트를 터치하는 손가락의 윗면을 응시할 수 있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터치하는 것은 손가락의 아랫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터치 위치와 실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입력된 터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는 제2 위치 보정이 필요하다. 도 3에서는 터치 인풋의 좌우 위치변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위치 보정 방법은 상하 위치변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를 터치할 수 있다. 도 3의 상단은 제1 벤딩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의 하단은 측단면도이다.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해 제1 터치 인풋(31)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터치 인풋(31)은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1 위치에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위치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속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벤딩된 경우, 벤딩 축 상에 또는 벤딩 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32)을 제1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터치하고자 한 위치와 실제로 손가락(32)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된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별도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위치 보정을 실행하지 않고, 제1 터치 인풋(31)이 디텍트된 위치를 제1 위치로 확정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해 제2 터치 인풋(33)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터치 인풋(33)은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각도를 이루는 제2 위치에 입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34)을 제2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각도를 이루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벤딩되었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터치하고자 한 위치와 실제로 손가락(34)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된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34)의 밑면 부분과 제2 위치에서 컨택트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손가락(34)의 윗면 부분을 응시하는 자신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교차하는 제3 위치를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는 d3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손가락의 밑면 중앙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택트되었으나, 도 3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벤딩 상태이므로 컨택트된 위치가 손가락의 밑면 중앙 부분이 아닐 수 있다. 즉, 제2 위치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축으로부터 제1 방향에 있는 경우, 손가락 중 밑면 중앙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편향된(biased)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상태의 d3는 플랫 상태의 d1에 비해 작은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동일한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 인풋에 대한 보정을 실시할 때, 제1 벤딩 상태의 보정 거리를 플랫 상태의 보정 거리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위치에서 디텍트된 제2 터치 인풋(33)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위치가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에 있는 경우, 제3 위치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방향으로 d3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d3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d3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해 제3 터치 인풋(35)을 입력할 수 있다. 제3 터치 인풋(35)은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각도를 이루는 제4 위치에 입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36)을 제4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제4 위치에서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각도를 이루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벤딩되었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터치하고자 한 위치와 실제로 손가락(36)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된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36)의 밑면 부분과 제4 위치에서 컨택트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손가락(36)의 윗면 중앙 부분을 응시하는 자신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교차하는 제5 위치를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위치와 제5 위치 사이는 d4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손가락의 밑면 중앙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택트되었으나, 도 3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벤딩 상태이므로 컨택트된 위치가 손가락의 밑면 중앙 부분이 아닐 수 있다. 즉, 제4 위치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축으로부터 제2 방향에 있는 경우, 손가락 중 밑면 중앙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편향된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상태의 d4는 플랫 상태의 d2에 비해 작은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4 위치에서 디텍트된 제3 터치 인풋(35)의 위치 정보를 제4 위치로부터 제5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4 위치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방향에 있는 경우, 제5 위치를 제4 위치로부터 제2 방향으로 d4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d4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d4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제1 위치가 제4 위치 사이의 거리가 크므로, d4는 d3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1 위치로부터 터치 포인트가 멀어질수록,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벤딩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 벤딩 상태는 제1 벤딩 상태에 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 각도가 증가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위치 보정은 사용자의 시선이 인지하는 터치 포인트와 실제 터치 포인트 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없애기 위한 보정이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사용자는 오브젝트를 터치하는 손가락의 윗면을 응시할 수 있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터치하는 것은 손가락의 아랫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터치 위치와 실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입력된 터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는 제2 위치 보정이 필요하다. 도 4에서는 터치 인풋의 좌우 위치변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위치 보정 방법은 상하 위치변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를 터치할 수 있다. 도 4의 상단은 제2 벤딩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의 하단은 측단면도이다.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해 제1 터치 인풋(41)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터치 인풋(41)은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1 위치에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위치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속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벤딩된 경우, 벤딩 축 상에 또는 벤딩 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42)을 제1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터치하고자 한 위치와 실제로 손가락(42)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된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별도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위치 보정을 실행하지 않고, 제1 터치 인풋(31)이 디텍트된 위치를 제1 위치로 확정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해 제2 터치 인풋(43)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터치 인풋(43)은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각도를 이루는 제2 위치에 입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44)을 제2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각도를 이루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벤딩되었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터치하고자 한 위치와 실제로 손가락(44)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된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44)의 밑면 부분과 제2 위치에서 컨택트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손가락(44)의 윗면 부분을 응시하는 자신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교차하는 제3 위치를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는 d5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손가락의 밑면 중앙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택트되었으나, 도 4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벤딩 상태이므로 컨택트된 위치가 손가락의 밑면 중앙 부분이 아닐 수 있다. 즉, 제2 위치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축으로부터 제1 방향에 있는 경우, 손가락 중 밑면 중앙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편향된(biased)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될 수 있다. 제2 벤딩 상태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 각도가 제1 벤딩 상태에 비해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위치가 벤딩 축으로부터 제1 방향에 있는 경우, 제2 위치는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했던 위치보다 제1 방향으로 d5 거리만큼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벤딩 상태의 보정 방향은 플랫 상태 및 제1 벤딩 상태의 보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동일한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을 실시할 때, 플랫 상태 및 제1 벤딩 상태의 보정 방향이 제1 방향이라면 제2 벤딩 상태의 보정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위치에서 디텍트된 제2 터치 인풋(43)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위치가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에 있는 경우, 제3 위치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d5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d5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d5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해 제3 터치 인풋(45)을 입력할 수 있다. 제3 터치 인풋(45)은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각도를 이루는 제4 위치에 입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46)을 제4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제4 위치에서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각도를 이루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벤딩되었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터치하고자 한 위치와 실제로 손가락(46)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된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가락(46)의 밑면 부분과 제4 위치에서 컨택트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손가락(46)의 윗면 중앙 부분을 응시하는 자신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교차하는 제5 위치를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위치와 제5 위치 사이는 d6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손가락의 밑면 중앙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택트되었으나, 도 3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벤딩 상태이므로 컨택트된 위치가 손가락의 밑면 중앙 부분이 아닐 수 있다. 즉, 제4 위치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축으로부터 제2 방향에 있는 경우, 손가락 중 밑면 중앙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편향된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컨택트될 수 있다. 제2 벤딩 상태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 각도가 제1 벤딩 상태에 비해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위치가 벤딩 축으로부터 제2 방향에 있는 경우, 제4 위치는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했던 위치보다 제2 방향으로 d6 거리만큼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벤딩 상태의 보정 방향은 플랫 상태 및 제1 벤딩 상태의 보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동일한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을 실시할 때, 플랫 상태 및 제1 벤딩 상태의 보정 방향이 제2 방향이라면 제2 벤딩 상태의 보정 방향은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제2 위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4 위치에서 디텍트된 제3 터치 인풋(45)의 위치 정보를 제4 위치로부터 제5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4 위치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방향에 있는 경우, 제5 위치를 제4 위치로부터 제1 방향으로 d6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d6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d4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제1 위치가 제4 위치 사이의 거리가 크므로, d6는 d5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20)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1 위치로부터 터치 포인트가 멀어질수록,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드래그 인풋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드래그 인풋의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드래그 인풋의 위치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위치 정보의 보정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의 상단에서 사용자(20)는 손가락(51)을 이용하여 벤딩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제1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축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사이의 거리를 d7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정 방향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벤딩 상태인 경우, 보정 방향은 벤딩축으로부터 제1 위치로의 방향인 제1 방향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벤딩 상태인 경우, 보정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손가락(51)에 의한 드래그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손가락(51)은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축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축으로 이동된 사용자의 손가락(52)에 대해 도 3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보정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벤딩축에 해당하는 위치를 제3 위치라고 한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3 위치에서 디텍트된 드래그 인풋에 대해 터치 위치에 대한 보정 없이 제3 위치로 드래그 인풋의 위치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축에서의 위치 보정 거리는 0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이 드래그되어 제3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터치 위치에 대한 보정 거리를 d7에서 0으로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인풋에 대한 정확한 터치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하단에서 사용자(20)는 손가락(53)을 이용하여 벤딩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제4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제4 위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축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보정없이 그대로 확정하고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축에서의 위치 보정 거리는 0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4 위치에서 디텍트된 손가락(53)에 의한 드래그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제4 위치에서 디텍트된 손가락(53)은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제5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5 위치로 이동된 사용자의 손가락(54)에 대해 도 3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5 위치에서 디텍트된 드래그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6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위치와 제6 위치사이의 거리를 d8로 정의할 수 있다. 보정 방향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벤딩 상태인 경우, 보정 방향은 벤딩축으로부터 제5 위치로의 방향인 제1 방향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벤딩 상태인 경우, 보정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4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이 드래그되어 제5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터치 위치에 대한 보정 거리를 0에서 d8로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인풋에 대한 정확한 터치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제1 벤딩 상태 또는 제2 벤딩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 미만인 경우 제1 벤딩 상태로 설정되고, 벤딩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를 초과하는 경우 제2 벤딩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 스레시홀드는, 터치 인풋이 발생된 위치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가 수직을 포함하는 제1 각도 레인지 내인 경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 각도일 수 있다. 도 6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위치(p1)에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제1 위치에서 사용자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가 수직일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될 수 있으므로, 벤딩 상태에서 제2 위치(p2)에 터치 인풋이 입력되면, 제2 위치에서 사용자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가 수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벤딩 상태에서 제3 위치(p3)에 터치 인풋이 입력되면, 제3 위치에서 사용자의 시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가 수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 인풋이 제2 위치 및 제3 위치에 입력된 경우, 도 6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 각도는 스레시홀드 각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벤딩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와 동일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 미만인 경우 제1 벤딩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1 벤딩 상태로 설정된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 초과인 경우 제2 벤딩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2 벤딩 상태로 설정된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플랫 상태에서 벤딩이 발생하면 제1 벤딩 상태로 설정되고, 제1 벤딩 상태에서 벤딩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를 초과하면 제2 벤딩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벤딩 상태에서 벤딩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 미만으로 감소하면 제1 벤딩 상태로 설정되고, 제1 벤딩 상태에서 벤딩 각도가 0에 가까운 경우, 플랫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역별 상태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이 발생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영역별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3종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축이 포함된 제1 영역(71)을 플랫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영역(71)에 대해 도 2에서 설명한 플랫 상태에서의 터치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1 영역의 양 옆에 인접한 제2 영역(72)을 제1 벤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2 영역(72)에 대해 도 3에서 설명한 제1 벤딩 상태에서의 터치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가장 자리에 위치한 제3 영역(73)을 제2 벤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제3 영역(73)에 대해 도 4에서 설명한 제2 벤딩 상태에서의 터치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경계 및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사이의 경계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벤딩 각도 또는 영역별 벤딩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2종류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축이 포함된 제1 영역을 플랫 상태, 제1 영역에 인접한 나머지 영역을 제1 벤딩 상태 또는 제2 벤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벤딩축이 포함된 제1 영역을 제1 상태, 제1 영역에 인접한 나머지 영역을 제2 벤딩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각 영역별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 거리 및 보정 방향을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영역별로 터치 인풋에 대한 정확한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101), 터치 센서 유닛(102), 벤딩 센서 유닛(103) 및 컨트롤러(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옵셔널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시선을 디텍트하는 시선 디텍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가상 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HMD는 사용자의 헤드 무브먼트를 트랙킹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헤드 무브먼트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가상 현실 이미지 중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 어느 방향을 바라보더라도 각 방향에 할당된 가상 현실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현실 이미지가 만들어 낸 가상 공간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비주얼 인포메이션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폴더블 디스플레이 유닛, 롤러블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보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가 보정된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이미지 또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10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터치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유닛(102)은 터치 인풋을 센싱하고,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싱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실제 터치하고자한 위치와 다를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을 통해 센싱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의도한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102)은 감압식 또는 정전신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센서 유닛(10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 각도를 센싱하고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벤딩 센서 유닛(10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하나의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벤딩 센서 유닛(10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복수의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된 각 영역별 벤딩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벤딩 센서 유닛(103)은 센싱된 벤딩 각도를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벤딩 센서 유닛(103)이 센싱한 벤딩 각도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벤딩 각도에 따라 플랫 상태, 제1 벤딩 상태 및 제2 벤딩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도 영역별로 상태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터치 센서 유닛(102) 및 벤딩 센서 유닛(103)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4)는 동일한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에 대해 벤딩 각도에 따라 다른 터치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플랫 상태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1 벤딩 상태인 경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2 벤딩 상태인 경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4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벤딩 상태는 제1 벤딩 상태로부터 동일한 벤딩 축에 따라 벤딩 각도가 증가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에 있어서, 제2 위치 및 제3 위치는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제4 위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벤딩축으로부터 제1 위치로의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제1 위치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벤딩 축으로의 방향이다. 즉, 컨트롤러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S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제1 위치에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터치가 발생된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이 디텍티된 제1 위치가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한 정확한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다음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S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벤딩 센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는 플랫 상태 및 벤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벤딩 상태는 제1 벤딩 상태 및 제2 벤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벤딩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벤딩축이 존재하는 경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영역별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랫 상태 또는 제1 벤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벤딩 센서로부터 전달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플랫 상태인지 또는 제1 벤딩 상태인지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추가적으로 제2 벤딩 상태인지 여부에 대해서도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태에 따라 보정 방향을 결정하고, 제1 위치와 벤딩축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보정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플랫 상태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S40).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한 제2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축으로부터 제1 위치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제2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거리를 벤딩축으로부터 제1 위치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벤딩 상태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S50).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한 제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축으로부터 제1 위치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떨어진 제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거리를 벤딩축으로부터 제1 위치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거리를 제1 거리에 비해 작게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벤딩 상태에서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1 거리와 제2 거리의 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벤딩 상태에서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2 거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벤딩 상태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에서 제4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방향에 위치한 지점을 제4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보정 방향인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방향에 위치한 제4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위치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벤딩축으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방향으로 제3 거리만큼 떨어진 제4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3 거리를 벤딩축으로부터 제1 위치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설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벤딩 상태에서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3 거리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정된 위치 정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S6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각 상태에 따라 보정된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또는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실제로 터치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 따라 제어되지 않고, 터치 인풋의 보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다른 보정 방향 및 보정 거리를 이용하여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터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센싱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다.
10: 사용자 11: HMD
12: 리얼 오브젝트 21, 22: 증강 현실 이미지
30: 폐쇄형 시야 43: 무브먼트를 갖는 리얼 오브젝트

Claims (20)

  1. 플랫 상태 및 벤딩 상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터치 인풋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 유닛;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벤딩 각도를 센싱하는 벤딩 센서 유닛;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벤딩 센서 유닛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플랫 상태인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상기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 보정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1 벤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상기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3 위치로 보정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2 벤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상기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4 위치로 보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 상태는 상기 제1 벤딩 상태로부터 동일한 벤딩 축에 따라 벤딩 각도가 증가한 상태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벤딩 축으로의 방향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 미만인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벤딩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벤딩 각도가 상기 각도 스레시홀드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2 벤딩 상태로 설정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제1 벤딩 상태로 설정된 때, 상기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제2 벤딩 상태로 설정된 때, 상기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4 위치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와 동일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상기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시선을 디텍트하는 시선 디텍팅 유닛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스레시홀드는, 상기 제1 위치를 응시하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각도가 수직을 포함하는 제1 각도 레인지 내인 경우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벤딩 각도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벤딩 축과 상기 제1 위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4 위치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해 상기 플랫 상태, 상기 제1 벤딩 상태 또는 상기 제2 벤딩 상태를 각각 제1 영역 상태 및 제2 영역 상태로써 설정하고,
    상기 제1 영역 상태 및 상기 제2 영역 상태에 따라 각각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상기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각각 보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인풋의 보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에 대해 상기 터치 인풋을 적용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플랫 상태로부터 상기 벤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에 의한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의 오차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 전환에 의한 터치 센서 유닛의 오차를 더 보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풋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컨택트를 유지한 채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벤딩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플랫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상기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벤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디텍트된 상기 터치 인풋의 위치 정보를 제3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40044700A 2014-04-15 2014-04-15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700A KR102224478B1 (ko) 2014-04-15 2014-04-15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314,747 US8928619B1 (en) 2014-04-15 2014-06-25 Flexible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480076336.4A CN106062678B (zh) 2014-04-15 2014-06-26 柔性触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14889459.5A EP3132333B1 (en) 2014-04-15 2014-06-26 Flexible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4/005710 WO2015160034A1 (en) 2014-04-15 2014-06-26 Flexible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570,756 US20150293620A1 (en) 2014-04-15 2014-12-15 Flexible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146,401 US9575512B2 (en) 2014-04-15 2016-05-04 Flexible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700A KR102224478B1 (ko) 2014-04-15 2014-04-15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753A true KR20150118753A (ko) 2015-10-23
KR102224478B1 KR102224478B1 (ko) 2021-03-08

Family

ID=5211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700A KR102224478B1 (ko) 2014-04-15 2014-04-15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928619B1 (ko)
EP (1) EP3132333B1 (ko)
KR (1) KR102224478B1 (ko)
CN (1) CN106062678B (ko)
WO (1) WO201516003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545A1 (ko) * 2016-03-24 201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WO2023003170A1 (ko) * 2021-07-21 2023-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893215B2 (en) 2021-07-21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D795854S1 (en) * 2012-11-09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KR102204378B1 (ko) * 2014-09-04 2021-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11741B1 (ko) * 2015-01-14 2021-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2741B1 (ko) * 2015-05-27 2022-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83468B1 (ko) * 2015-10-30 2023-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6371576B (zh) * 2015-12-11 2019-05-2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形变控制方法、形变控制装置及用户设备
KR20170073224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트레이스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CN107250953B (zh) * 2015-12-30 2021-02-12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卷轴式柔性输入装置
CN107229407B (zh) * 2016-03-25 2020-11-2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057855B (zh) * 2016-05-30 2019-02-1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WO2018119584A1 (zh) * 2016-12-26 2018-07-0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的交互方法及装置
EP3549007A4 (en) 2017-05-23 2020-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FLEXIBLE COMPUTING DEVICE
CN112771482A (zh) * 2018-10-26 2021-05-0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滑动轨迹校正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178888B2 (ja) * 2018-12-03 2022-11-2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CN113534974A (zh) * 2020-04-14 2021-10-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方向检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573663B1 (en) 2022-01-21 2023-02-07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Open close detection of foldable phone lid angle calcul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8872A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위치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5871B2 (ja) * 1996-09-09 2005-10-12 株式会社リコー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0769783B1 (ko) 2002-03-29 2007-10-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표시 입력 장치 및 표시 입력 시스템
US7456823B2 (en) 2002-06-14 2008-11-25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JP2005174006A (ja) 2003-12-11 2005-06-30 Canon Inc 表示装置
JP2006053678A (ja) * 2004-08-10 2006-02-23 Toshiba Corp ユニバーサル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機器
US20060227114A1 (en) 2005-03-30 2006-10-12 Geaghan Bernard O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with error correction for sensor movement
GB2426079A (en) * 2005-05-12 2006-11-15 Univ Warwick Projector screen having a flat and a curved configuration
US20070247422A1 (en) 2006-03-30 2007-10-25 Xuuk, Inc.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US7880718B2 (en) 2006-04-18 2011-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aper flex input
EP1967937A1 (en) * 2007-03-06 2008-09-10 Polymer Vision Limited A display unit,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US9823833B2 (en) 2007-06-05 2017-11-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DE102007048596A1 (de) 2007-10-10 2009-04-23 Vodafone Holding Gmbh Flexibles elektronisches 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JP4909922B2 (ja) 2008-02-29 2012-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撓操作可能な情報表示端末装置、及び情報表示用インタフェース
US20100011291A1 (en)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KR20100065418A (ko)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2011099982A (ja) * 2009-11-05 2011-05-19 Sony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8913056B2 (en) * 2010-08-04 2014-12-16 Apple Inc.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effects on a display by using properties of motion
KR101258327B1 (ko) * 2010-10-13 2013-04-25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20169609A1 (en) 2010-12-29 2012-07-05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navigation
US8587539B2 (en) 2011-01-21 2013-11-19 Blackberry Limited Multi-bend display activation adaptation
US8754961B2 (en) 2011-08-17 2014-06-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data from overlapping regions of images
KR101879615B1 (ko) 2011-11-23 2018-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59233A (ko) 2011-11-28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장치 및 방법
KR102148717B1 (ko) 2011-12-0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8610663B2 (en) * 2012-02-06 2013-12-17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11423B2 (en) 2012-02-08 2016-08-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flex gesturing
KR101357292B1 (ko) * 2012-03-12 201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30111812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CN104254871B (zh) * 2012-04-23 2017-10-27 英派尔科技开发有限公司 扭曲校正可变形显示器
KR102079348B1 (ko) * 2012-07-30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2016119B1 (ko) 2012-08-01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2556B1 (ko) 2012-09-05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2713244A1 (en) * 2012-10-01 2014-04-02 Alcatel Lucent Touchscreen device with parallax error compensation
KR102145533B1 (ko) * 2012-10-04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27555B1 (ko) * 2012-12-05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8872A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위치 제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545A1 (ko) * 2016-03-24 201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US10778966B2 (en) 2016-03-24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WO2023003170A1 (ko) * 2021-07-21 2023-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893215B2 (en) 2021-07-21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2678A (zh) 2016-10-26
EP3132333A4 (en) 2017-11-29
EP3132333A1 (en) 2017-02-22
EP3132333B1 (en) 2020-08-05
WO2015160034A1 (en) 2015-10-22
US20150293620A1 (en) 2015-10-15
CN106062678B (zh) 2019-03-15
US8928619B1 (en) 2015-01-06
KR102224478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478B1 (ko)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520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517425B1 (ko) 디지털 디바이스와 상호작용을 위한 다이렉트 포인팅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305508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37346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575512B2 (en) Flexible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32690B2 (en)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141205B2 (en) Input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of input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5423593B2 (ja) 情報処理装置
JP5418232B2 (ja) 操作方向判定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操作方向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09759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US201202998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817572B2 (en) Overlapped transparent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293452B (zh) 剪裁框调整方法及影像处理装置
US20160196002A1 (en) Display device
US20190094997A1 (en) Input interface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5030959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rr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39739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JP2011186880A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座標入力方法
KR101875181B1 (ko)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WO2014132472A1 (ja) 制御装置
US10416884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software keyboard adaptation
US2013020115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966585B1 (ko) 공간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035183A1 (en) Touch-sensitive display with hover location magn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