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512A - 용지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512A
KR20150110512A KR1020157018548A KR20157018548A KR20150110512A KR 20150110512 A KR20150110512 A KR 20150110512A KR 1020157018548 A KR1020157018548 A KR 1020157018548A KR 20157018548 A KR20157018548 A KR 20157018548A KR 20150110512 A KR20150110512 A KR 20150110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undle
stapled
stacking tray
stacked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시게 마스나리
유미코 가토
히로시 츠치야
Original Assignee
그라드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69221A external-priority patent/JP61837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46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078024A/ja
Application filed by 그라드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그라드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4/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by discontinuous stitching with filamentary material, e.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6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09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 B65H31/3018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from opposite part-support elements, e.g. opera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8Apparatus for vibrating or knocking the pile during 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3/00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 B65H33/06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by displacing articles to define batches
    • B65H33/08Displacing whole batches, e.g. forming stepp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03G15/6544Details about the binding means or proced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9Forming a pile forming a pile in which articles are offset from each other, e.g. forming stepped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2Cutting partially, e.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65H2301/51616Binding processes involving simultaneous deformation of parts of the material to be b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4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managing processing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4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managing processing of handled material processing was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3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65H2405/1134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movable, e.g. pivo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65H2405/351Means for moving support shifting transversely to transport direction, e.g. for handling stepp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6Damages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261Clogging
    • B65H2601/2611S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31Stitc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과제] 철침(綴針)을 사용하지 않고 화상(畵像) 형성제의 용지를 철(綴)하는 스테이플(staple) 처리에서 생기는 지분(紙粉) 찌꺼기가 용지의 화상을 더럽히거나, 장치의 내부로 비산(飛散)하지 않는다.
[해결 수단] 복수매의 용지로 이루어지는 용지다발에, 자동으로, 소정 형상의 절입 혀부와 절입 구멍을 형성하고, 절입 구멍에 절입 혀부를 끼워 넣어 용지다발의 각 용지 서로를 결합시켜 용지다발을 스테이플하는 스테이플부(410)와,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을 배출하는 용지다발 배출 수단(70)과, 배출되는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을 적재하는 적재 트레이(3)를 구비하며, 적재 트레이(3) 상에,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용지다발 배출 수단(70)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3)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적재 위치를 설정했다.

Description

용지 후처리 장치{PAPER POST-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종래, 복사기(複寫機)나 프린터 등의 화상(畵像) 형성 장치에 접속되며, 철침을 사용하지 않고 화상 형성제의 용지(用紙)를 철(綴)하는 스테이플(staple) 처리를 행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다기능화 되고 있으며, 대량의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부(部)마다 화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주류가 되고 있음과 아울러, 화상 형성 장치의 다기능화에 따라서, 기록 출력된 용지에 대해서 스테이플 처리 등의 후처리를 행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출현하고 있다(특허 문헌 1 ~ 특허 문헌 4 참조).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용지 후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경우, 금속제의 철침(스테이플 침(針))을 철하는 대상인 복수매의 용지에 박아 넣어, 해당 금속제가 철침 자체로 복수매의 용지를 철하고 있다.
그런데, 금속제의 철침을 사용하여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면, 철침이 소모품이 되어, 소모품의 코스트가 소요됨과 아울러, 스테이플 처리한 용지를 슈레더(shreder)에 걸 때, 철침을 떼어내는 시간이 들어, 작업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철침을 떼어내지 않고 슈레더에 걸면, 슈레더의 고장의 원인이 되며, 또, 리사이클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침(針)을 사용하지 않고 서류를 철하는 서류 철구(綴具)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5 ~ 특허 문헌 8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6-7206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01-130826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공개 제2002-96963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특허공개 제2001-316034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특허공고 소49-5960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특허공개 제2005-74787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특허공개 제2005-74858호 공보 특허 문헌 8 : 일본특허공개 제2012-148505호 공보
이와 같이 침을 사용하지 않고 서류를 철하는 서류 철구에서는, 복수매의 용지로 이루어지는 용지다발에, 소정 형상의 절입부 또는 오목부 등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결합부에서 용지다발의 각 용지 서로를 결합시켜 용지다발을 철하기 때문에, 결합부에서는 철하는 것에 의해서 단차가 생긴다. 이 때문에, 적재 트레이 상(上)에,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겹쳐 적재할 때에,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단차에 의해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적재 트레이 상에,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하는 것이 가능한 용지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또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畵像) 형성 장치에 접속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된 용지가 순차적으로 보내어지며, 상기 보내어져 오는 용지(用紙)에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매의 용지로 이루어지는 용지다발에, 자동으로, 소정 형상의 절입 혀부와 절입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절입 구멍에 상기 절입 혀부를 끼워 넣어 상기 용지다발의 각 용지 서로를 결합시켜 상기 용지다발을 스테이플(staple)하는 스테이플부와,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배출하는 용지다발 배출 수단과,
배출되는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적재하는 적재 트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상기 용지다발 배출 수단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를 설정한 것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용지다발 배출 수단은,
전진(前進) 위치에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선단측을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떨어뜨리고, 상기 용지다발의 후단부만을 얹은 상태로 하며, 후진시켜 상기 용지다발의 후단부를 적재 트레이 상에 떨어뜨려 적재하는 서포트(support)와,
상기 서포트를 전진, 후진시키는 서포트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서포트를 구동하고, 상기 서포트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서포트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상기 서포트를 후진시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낙하하는 위치가 상기 적재 트레이의 받이벽에 닿는 위치이며,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용지다발 배출 수단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배출하는 배출 롤러와,
상기 배출 롤러를 구동하는 롤러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 롤러를 구동하고, 상기 배출 롤러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배출 롤러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낙하의 위치가 상기 적재 트레이의 받이벽에 닿는 위치이며,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용지다발 배출 수단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배출하는 배출 클립(clip)과,
상기 배출 클립을 구동하는 클립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립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 클립을 구동하고, 상기 배출 클립으로부터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배출 클립으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낙하의 위치가 상기 적재 트레이의 받이벽에 닿는 위치이며,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소정 형상의 절입 혀부와 절입 구멍을 형성할 때에 생기는 지분(紙粉) 찌꺼기를 수납하는 지분 찌꺼기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리는 워닝(warning)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워닝 수단은, 스테이플의 작동 횟수를 검출하여, 설정 작동 횟수가 되면 상기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워닝 수단은, 스테이플되는 용지의 매수를 검출하여, 상기 스테이플되는 용지의 매수가 설정 매수가 되면 상기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지분 찌꺼기 수납부는,
지분 찌꺼기를 안내하는 더스트 슈트(dust chute)와,
지분 찌꺼기를 모으는 수납 상자와,
지분 찌꺼기를 상기 수납 상자에 모으는 집진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수납 상자의 내벽에 지분 찌꺼기가 부착하지 않도록 하는 저지 수단을 상기 수납 상자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수납 상자가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용지 후처리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배출하는 용지다발 배출 수단과, 배출되는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적재하는 적재 트레이를 구비하며, 적재 트레이 상에,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용지다발 배출 수단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적재 트레이 상에, 스테이플이 걸려서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 없이,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겹쳐서 적재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서포트로부터의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서포트를 후진시키면,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적재 트레이 상에 낙하하는 위치가 적재 트레이의 받이벽에 닿는 위치이며, 적재 트레이 상에, 스테이플이 걸려서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 없이,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겹쳐서 적재 가능하게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배출 롤러로부터의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낙하의 위치가 적재 트레이의 받이벽에 닿는 위치이며, 적재 트레이 상에, 스테이플이 걸려서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 없이,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겹쳐서 적재 가능하게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배출 클립으로부터의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낙하의 위치가 적재 트레이의 받이벽에 닿는 위치이며, 적재 트레이 상에, 스테이플이 걸려 위치 어긋남 없이,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겹쳐서 적재 가능하게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복수매의 용지로 이루어지는 용지다발에, 자동으로, 소정 형상의 절입 혀부와 절입 구멍을 형성하고, 절입 구멍에 절입 혀부를 끼워 넣어 용지다발의 각 용지 서로를 결합시켜 용지다발을 스테이플하고, 이 소정 형상의 절입 혀부와 절입 구멍을 형성할 때에 생기는 지분 찌꺼기를 수납함으로써, 침의 충전 상황을 체크하는 센서가 필요없고, 구조가 간단하게 되며, 또한 스테이플 처리에서 생기는 지분 찌꺼기가 용지의 화상을 더럽히거나, 장치의 내부로 비산(飛散)하지 않는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림으로써,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스테이플의 작동 횟수를 검출하여, 설정 작동 횟수가 되면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림으로써,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스테이플되는 용지의 매수를 검출하여, 스테이플되는 용지의 매수가 설정 매수가 되면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림으로써,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확실히 지분 찌꺼기를 수납 상자에 모을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수납 상자의 내벽에 지분 찌꺼기가 부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분 찌꺼기를 수납 상자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수납 상자가 착탈 가능하고, 지분 찌꺼기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서포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스택(stack) 및 조거(jogger)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용지다발의 적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조거 및 스택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스테이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스테이플하지 않은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스테이플하지 않은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스테이플하는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스테이플하는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는 스테이플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스테이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용지다발을 철(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용지다발을 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용지다발을 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용지다발을 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용지다발을 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스테이플하기 전의 상태의 용지다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스테이플한 상태의 용지다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스테이플한 용지다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워닝(warning) 수단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용지(用紙) 후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지 후처리 장치의 구성)
도 1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1)는, 장치 본체(2)에, 적재 트레이(3), 서포트(support)(20), 조거ㆍ스택(joggerㆍstack) 수단(30), 스테이플(staple) 장치(40), 용지 반송 수단(10) 등을 가진다. 이 장치 본체(2)의 저부에는, 좌우의 양측에 위치 결정 부재(90)가 하부로 돌출하여 마련되며, 이 위치 결정 부재(90)를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畵像) 형성 장치의 상부에 삽입하여 용지 후처리 장치(1)가 배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가 하부로부터 반입된다. 용지 반송 수단(10)은,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로부터 반입되는 용지를 적재 트레이(3)로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조거ㆍ스택 수단(30) 및 스테이플 장치(40)에 의해 조거ㆍ스택 처리 및 스테이플 처리를 실시하며, 처리된 용지다발은 적재 트레이(3) 상에 적재된다.
도 6 내지 도 9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며, 도 6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제어도, 도 7은 서포트의 작동을 나타내고, 도 7의 (a)는 서포트가 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b)는 서포트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스택 및 조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용지다발의 적재를 나타내며, 도 9의 (a)는 가지런히 한 용지다발의 선단측을 적재 트레이 상에 떨어뜨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b)는 가지런히 한 용지다발의 후단측을 적재 트레이 상에 떨어뜨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의 장치 본체(2)에는, 용지 반송 수단(10)과, 서포트(20)와, 조거ㆍ스택 수단(30)과, 스테이플 장치(40) 등이 배치된다. 용지 반송 수단(10)은, 반송 가이드(11)와, 반송 롤러(12)로 구성되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100)를, 장치 본체(2)의 하부 위치로부터 적재 트레이(3) 상으로 반송한다. 반송 롤러(12)는, 예를 들면 모터, 벨트, 기어 등의 동력 전달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반송 구동 수단(200)에 의해서 구동되며, 이 반송 구동 수단(200)에 의해서 반송 롤러(12)를 구동하여 용지(100)가 반송된다.
서포트(20)는, 적재 트레이(3)의 상부 위치에 예를 들면 3개 횡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된다. 이 서포트(20)는, 장치 본체(2)에 용지 배출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고, 용지 반송 수단(10)에 의해 배출된 용지(100)의 후단부를, 서포트(20)의 전진 위치에서 지지하고, 후진 위치에서 낙하시킨다. 서포트(20)는, 예를 들면 모터, 캠 등의 동력 전달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서포트 구동 수단(201)에 의해서 구동되며, 이 서포트 구동 수단(201)에 의해서 서포트(20)가 전후진된다.
조거ㆍ스택 수단(30)은, 스택 및 조거하는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가진다. 이 좌우 한 쌍의 조거(31)는, 장치 본체(2)에 용지 배출 센터 위치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좌우 한 쌍의 조거(31)는, 하부 가이드(31a)와, 상부 가이드(31b)와, 연결 가이드(31c)로 이루어지는 단면 コ자 모양이며, 용지 반송 수단(10)에 의해 배출된 용지의 선단 양측 단부와 선단 양측 저부를 지지하여 스택 및 조거한다.
좌우 한 쌍의 조거(31)는, 슬라이드 레버(32)에 의해서 이동체(38)에 마련되며, 좌우 한 쌍의 조거(31)의 가지런히 하는 동작이나 개폐 동작시에는, 모터, 작동축 등의 동력 전달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조거 구동 수단(202)에 의해서 구동되며, 좌우 방향의 이동은 모터, 기어, 벨트 등의 동력 전달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조거 이동 구동 수단(203)에 의해서 구동된다. 좌우 한 쌍의 조거(31)에 의해 용지(100)를 가지런히 한다.
적재 트레이(3)에 대해서 조거ㆍ스택 수단(30)을 상부 위치에 배치하고, 적재 트레이(3)와 조거ㆍ스택 수단(30)과의 사이에 서포트(20)를 배치한 구성이다. 이 때문에, 용지 반송 수단(10)에 의해 배출되는 용지(100)는, 그 선단측이 조거ㆍ스택 수단(30)의 좌우 한 쌍의 조거(31)에 지지되며, 후단부를 전진 위치의 서포트(20)에 얹어 가지런히 하여 용지다발(110)로 한다. 이 때, 서포트(20)는, 용지(100)의 후단부의 폭방향 내측을 지지하고 있고, 서포트(20)가 가지런히 한 용지다발(110)의 후단부의 폭방향 내측을 지지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의 반송계의 구조로부터 용지(100)가 반송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컬(curl)하더라도, 용지다발(110)이 어긋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리는 것에 의해, 가지런히 한 용지다발(110)의 선단측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리고,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만을 서포트(20)에 얹은 상태로 하며, 그리고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서포트(20)에 얹어진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를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한다.
이 적재시, 좌우 한 쌍의 조거(31)는, 하부 가이드(31a)와, 상부 가이드(31b)와, 연결 가이드(31c)로 이루어지는 단면 コ자 모양이며, 용지(100)의 선단 양측 단부와 선단 양측 저부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리는 것에 의해, 가지런히 한 용지다발(110)의 선단측이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진다.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는 서포트(20)에 얹어져 있으며, 이 서포트(20)는, 적재 트레이(3)와 조거ㆍ스택 수단(3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 한 쌍의 조거(31)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며,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서포트(20)에 얹어진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를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함으로써,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원활히 또한 신속히 떨어뜨릴 수 있으며, 또 떨어뜨릴 때에, 용지다발(110)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으로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공기에 의해서 적재하는 용지다발(110)이 어긋나지 않는다.
또, 적재 트레이(3) 상에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배치하고, 적재 트레이(3)와 좌우 한 쌍의 조거(31)의 사이에 서포트(20)가 배치되며, 이 서포트(20)는, 좌우 한 쌍의 조거(31)보다 낮은 위치에 있음으로써,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용지다발(110)을 단시간에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하고, 다음의 용지(100)를 좌우 한 쌍의 조거(31)가 받아들일 수 있어, 받아들임 시간을 단축하며,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스테이플 장치(40)는, 장치 본체(2)의 우측에 내장하여 배치되며, 조거ㆍ스택 수단(30)에 의해 가지런해진 용지다발(110)을 스테이플하며, 이 스테이플은, 가지런해진 용지다발(110)의 후단의 모서리부를, 침을 이용하지 않고 스테이플하는 구성이다.
도 10은 조거 및 스택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스테이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치 본체(2)의 우측에는, 조거ㆍ스택 수단(30)에 의해 가지런해진 용지다발(110)을 스테이플하는 위치에 용지다발 홀더(50)를 배치한다. 이 용지다발 홀더(50)는, 스테이플하는 용지다발(110)을 누른다.
도 10에서는, 조거ㆍ스택 수단(30)의 좌우 한 쌍의 조거(31)는, 조거ㆍ스택의 위치에 있고, 용지다발 홀더(50)는 스테이플 장치(40)를 덮는 커버로서 기능을 하며, 손가락 등이 스테이플하는 위치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우측의 조거(31)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버(32)에 형성된 돌기(33)가 암(34)을 작동시키지 않는 위치에 있다. 암(34)은, 보조 레버(35)를 매개로 하여 링크(36)의 일방의 단부(36a)를 누르면, 타방의 단부(36b)가 안전 스위치(37)의 접점(37a)을 눌러 안전 스위치(37)를 오프(off) 상태로 한다.
조거ㆍ스택 수단(30)의 좌우 한 쌍의 조거(31)가, 조거ㆍ스택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우측의 조거(31)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버(32)에 형성한 돌기(33)가 암(34)을 작동시키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암(34)은, 보조 레버(35)를 매개로 하여 링크(36)의 일방의 단부(36a)를 누르지 않아, 링크(36)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 스위치(37)는 비통전(非通電)인 오프 상태로 스테이플 장치(40)의 작동을 금지하고 있다.
도 11에서는, 조거ㆍ스택 수단(30)의 좌우 한 쌍의 조거(31)가 스테이플의 위치로 이동하여, 스테이플하지만 이 스테이플 위치에서는, 우측의 조거(31)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버(32)에 형성한 돌기(33)가 암(34)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암(34)은, 보조 레버(35)를 매개로 하여 링크(36)의 일방의 단부(36a)를 눌러, 링크(36)가 작동하여 타방의 단부(36b)가 안전 스위치(37)의 접점(37a)을 눌러 안전 스위치(37)를 통전인 온(on) 상태로 하며, 스테이플 장치(40)가 작동하여 스테이플한다.
(용지 후처리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300)는, 가지런히 해야 할 용지(100)의 매수의 지령을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장치로부터 받고, 반송 구동 수단(200), 서포트 구동 수단(201), 조거 구동 수단(202), 조거 이동 구동 수단(203)을 구동하여, 스테이플하지 않은 경우의 시프트 적재 작동 및 막대 적재 작동, 스테이플하는 경우의 시프트 적재 작동 및 막대 적재 작동을 행한다.
[스테이플하지 않은 경우의 시프트 적재 작동]
스테이플하지 않은 경우의 작동을, 도 12 및 도 13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좌우 한 쌍의 조거(31)는,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용지(100)는 반송되어 온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를 기준으로 하여, 용지(100)의 우측 단면(端面)과 좌측 단면(端面)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의 작동으로 가지런히 한다. 용지(100)의 후단부는, 전진 위치의 서포트(20)에 의해서 지지된다(스텝 a11).
용지(10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가지런히 한 후에, 용지다발(11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에 의해서 사이에 두면서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거리 L1 떨어진 적재 위치 K2로 한다(스텝 a12).
이 적재 위치 K2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려, 가지런히 한 용지다발(110)의 선단측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리고,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만을 서포트(20)에 얹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다음으로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서포트(20)에 얹어진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를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한다(스텝 a13). 이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릴 때에, 떨어뜨리는 용지다발(110)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으로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공기에 의해서 적재되는 용지다발(110)이 어긋나지 않는다.  
다음으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로 이동시키며, 다음에 보내져 오는 용지(100)는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를 기준으로 하여, 용지(10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의 작동으로 가지런히 하고, 용지(100)의 후단부는, 전진 위치의 서포트(20)에 의해서 지지된다(스텝 a14).
용지(10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가지런히 한 후에, 용지다발(11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에 의해서 사이에 두면서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거리 L2 떨어진 적재 위치 K3로 한다(스텝 a15).
이 적재 위치 K3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려, 가지런히 한 용지다발(110)의 선단측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리고,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만을 서포트(20)에 얹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다음으로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서포트(20)에 얹어진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를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한다(스텝 a16). 이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릴 때에, 떨어뜨리는 용지다발(110)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으로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공기에 의해서 적재되는 용지다발(110)이 어긋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에서 용지다발(110)을 가지런히 하고 좌우 방향 중 일방으로 이동시켜 적재 위치 K2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리며,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하는 동작과,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에서 용지다발(110)을 가지런히 하고 좌우 방향 중 타방으로 이동시켜 적재 위치 K3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리며,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교호(交互)로 L3만큼 변위시켜 적재한다(스텝 a17).
[스테이플하지 않은 경우의 막대 적재 작동]
스테이플하지 않은 경우의 시프트 적재 작동에서 설명한 스텝 a11 내지 스텝 a13를 반복하여 행하며, 스텝 a14 이후의 작동은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에서 용지다발(110)을 가지런히 하고 좌우 방향 중 일방으로만 이동시켜 적재 위치 K2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리며,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교호로 변위시키지 않고 적재한다.
[스테이플하는 경우의 시프트 적재 작동]
스테이플하는 경우의 작동을, 도 14 및 도 1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좌우 한 쌍의 조거(31)는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용지(100)는 반송되어 온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를 기준으로 하여, 용지(10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의 작동으로 가지런히 한다. 용지(100)의 후단부는, 전진 위치의 서포트(20)에 의해서 지지된다(스텝 a21).
용지(10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가지런히 한 후에, 용지다발(11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에 의해서 사이에 두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테이플 위치 K4에서 스테이플 장치(40)에 의해 스테이플한다(스텝 a22). 스테이플 후, 용지다발(11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에 의해서 사이에 두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반환 적재 위치 K2로 한다(스텝 a23).
이 적재 위치 K2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려, 스테이플한 용지다발(110)의 선단측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리고,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만을 서포트(20)에 얹은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다음으로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서포트(20)에 얹어진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를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한다(스텝 a24). 
다음으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로 이동시키며, 다음에 보내져 오는 용지(100)는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를 기준으로 하여, 용지(10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의 작동으로 가지런히 하고,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는, 전진 위치의 서포트(20)에 의해서 지지된다(스텝 a25).
용지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가지런히 한 후에, 용지다발(11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에 의해서 사이에 두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테이플 위치 K4에서 스테이플 장치(40)에 의해 스테이플한다(스텝 a26). 스테이플 후, 용지다발(110)의 우측 단면과 좌측 단면을 좌우 한 쌍의 조거(31)에 의해서 사이에 두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반환 적재 위치 K3로 한다(스텝 a27).
이 적재 위치 K3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려, 스테이플한 용지다발(110)의 선단측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리고,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만을 서포트(20)에 얹은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다음으로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서포트(20)에 얹은 용지다발(110)의 후단부를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한다(스텝 a28).
이와 같이,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에서 용지다발(110)을 가지런히 하고 좌우 방향 중 일방으로 이동시켜 스테이플 위치 K4에서 스테이플 장치(40)에 의해 스테이플하는 동작과, 그 후 이동시켜 일방의 적재 위치 K2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리며,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하는 동작과,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에서 용지다발(110)을 가지런히 하여 좌우 방향 중 일방으로 이동시켜 스테이플 위치 K4에서 스테이플 장치(40)에 의해 스테이플하는 동작과, 그 후 이동시켜 타방의 적재 위치 K3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리며,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교호로 L3만큼 변위시켜 적재한다(스텝 a29).
[스테이플하는 경우의 막대 적재 작동]
스테이플하는 경우의 시프트 적재 작동에서 설명한 스텝 a21 내지 스텝 a24를 반복하여 행하고, 스텝 a25 이후의 작동은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용지 배출 센터 위치 K1에서 용지다발(110)을 가지런히 하여 좌우 방향 중 일방으로만 이동시켜 스테이플 위치 K4에서 스테이플 장치(40)에 의해 스테이플하는 동작과, 그 후 이동시켜 일방의 적재 위치 K2에서 좌우 한 쌍의 조거(31)를 벌리며, 서포트(20)를 후진시켜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떨어뜨려 적재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용지다발(110)을 적재 트레이(3) 상에 교호로 변위시키지 않고 적재한다.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구성)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은,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을 배출하는 용지다발 배출 수단(70)과, 배출되는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을 적재하는 적재 트레이(3)를 구비하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은,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와 같이 구성된다.
도 6의 (a)의 실시 형태에서는, 용지다발 배출 수단(70)이 서포트 구동 수단(201)과, 서포트(20)로 구성된다. 서포트 구동 수단(201)에 의해 서포트(20)를 구동하고, 서포트(20)로부터의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3)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고, 적재 트레이(3) 상에,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서포트(20)로부터의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3)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서포트(20)를 후진시키면,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이 적재 트레이(3) 상에 낙하하지만, 이 낙하의 위치가 적재 트레이(3)의 받이벽(3a)에 닿는 위치이며, 적재 트레이(3) 상에, 스테이플이 걸려서 발생하는 위치가 어긋지 않게,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을 겹쳐서 적재 가능하게 한다.  
도 6의 (b)의 실시 형태에서는, 용지다발 배출 수단(70)이 롤러 구동 수단(204)과, 배출 롤러(205)로 구성된다. 롤러 구동 수단(204)에 의해 배출 롤러(205)를 구동하고, 배출 롤러(205)로부터의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3)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고, 적재 트레이(3) 상에,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배출 롤러(205)로부터의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3)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배출 롤러(205)의 반송 속도에 의해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이 적재 트레이(3) 상에 낙하하는 위치가 다르지만, 이 낙하의 위치가 적재 트레이(3)의 받이벽(3a)에 닿는 위치이며, 적재 트레이(3) 상에, 스테이플이 걸려서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 없이,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을 겹쳐서 적재 가능하게 한다.
도 6의 (c)의 실시 형태에서는, 용지다발 배출 수단(70)이 클립(clip) 구동 수단(206)과, 배출 클립(207)으로 구성된다. 클립 구동 수단(206)에 의해 배출 클립(207)을 구동하고, 배출 클립(207)으로부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3)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며, 적재 트레이(3) 상에,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배출 클립(207)으로부터의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3)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배출 클립(207)의 반송 속도에 의해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이 적재 트레이(3) 상에 낙하하는 위치가 다르지만, 이 낙하의 위치가 적재 트레이(3)의 받이벽(3a)에 닿는 위치이며, 적재 트레이(3) 상에, 스테이플이 걸려서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 없이,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을 겹쳐서 적재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적재 트레이(3) 상에,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용지다발 배출 수단(70)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배출 위치와, 적재 트레이(3)에 의한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의 적재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적재 트레이(3) 상에, 스테이플이 걸려서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 없이, 스테이플된 용지다발(110)을 겹쳐서 적재할 수 있다.
(스테이플 장치의 구성)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된 용지가 순차적으로 보내어지며, 보내어져 오는 용지에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며, 도 16 내지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 장치를 구비한다. 도 16은 스테이플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스테이플 장치의 단면도, 도 18 내지 도 22는 용지다발을 철(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스테이플하기 전의 상태의 용지다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스테이플한 상태의 용지다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스테이플한 용지다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워닝 수단의 구성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스테이플 장치(40)는, 스테이플부(410)와, 지분(紙粉) 찌꺼기 수납부(440)를 구비한다. 스테이플부(410)는, 철침을 사용하지 않고 화상 형성제의 용지를 철하는 것이면,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것이 이용된다.
도 16의 (a)의 실제의 형태에서는, 스테이플부(410)가 용지다발(110)에 스테이플하는 위치 T1은, 용지다발(110)의 후단 모서리부이고, 또한 후단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도 16의 (b)의 실제의 형태에서는, 스테이플부(410)가 용지다발(110)에 스테이플하는 위치 T1은, 용지다발(110)의 후단 모서리부이고, 또한 후단과 45도의 각도로 되어 있다. 스테이플부(410)가 용지다발(110)에 스테이플하는 위치 T1은, 도 16의 (a)의 실제의 형태 및 도 16의 (b)의 실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이플부(410)의 구조에 의해 여러 가지의 위치로 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스테이플부(410)는, 상형(上型)(411)이 하형(下型)(412)에 대해서 지지축(413)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누름판(414)은, 상형(411)과 하형(412)과의 사이에 배치되며, 지지축(413)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형(411)과 누름판(414)과의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415)이 배치되고, 누름판(414)과 상형(411)과의 사이에는 판 스프링(416)이 배치된다.
스테이플부(410)에는, 상형(411)을 회동시키는 구동 장치(430)가 구비된다. 이 구동 장치(430)는, 예를 들면 전자(電磁)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며, 전원 온(on)에 의해 플런저(431)가 상형(411)을 눌러 압축 코일 스프링(415)에 저항하여 회동시키고, 전원 오프(off)에 의해 상형(411)이 압축 코일 스프링(415)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형(411)에는, 칼날(417), 나이프(knife)(418), 캠(419)이 장착된다. 칼날(417)과 나이프(418)와의 중간에 캠(419)이 배치된다. 캠(419)은 상형(411)에 고정된 칼날(41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판 스프링(420)은 캠(419)의 배면과 맞물린다. 칼날(417)의 칼날면은 U자형으로, 또 나이프(418)의 단면(斷面)은 1자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이들은 조합되어, 도 23에 나타내는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와 I자 모양의 절입 구멍(92)을 형성한다. 나이프(418)의 중앙부에는 거의 장방형의 창(418a)이 뚫려 있다. 칼날(417) 및 나이프(418)에 대향하여, 누름판(414)에 대략 장방형의 구멍(414a, 414b) 및 하형(412)에 대략 장방형의 구멍(412a)이 각각 뚫려 있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스테이플부(4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용지다발(110)을 하형(412)과 누름판(414)과의 사이에 둔다(도 18). 다음으로, 구동 장치(430)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플런저(431)에 의해 상형(411)을 소정 위치까지 눌러 내리면, 칼날(417) 및 나이프(418)는, 누름판(414)의 구멍(414a, 414b)을 각각 관통하며, 그리고 용지다발(110)을 뚫어, 하형(412)에 마련된 구멍(412a)으로 들어간다. 이 때, 칼날(417)에 의해서 용지다발(110)에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가 형성됨과 아울러, 칼날(418)에 의해서 용지다발(110)에 I자 모양의 절입 구멍(92)이 형성되며, 이 잘려진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에 캠(419)의 클로(claw)(419a)가 맞물려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를 밀어 올린다(도 19).
그리고, 상형(411)을 더 눌러 내리면, 누름판(414)의 구멍(414a, 414b)의 사이에 있는 중간 부분(414c)을 지점으로 하여 캠(419)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캠(419)의 클로(419a)는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를 눌러 구부려, 그 선단을 나이프(418)의 창(418a)에 넣는다(도 20).
구동 장치(430)의 전원 온에 의해, 상형(411)은 압축 스프링(415)의 작용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캠(419)은 판 스프링(420)의 작용에 의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도 21). 이 때, 칼날(417) 및 나이프(418)도 함께 상승하고 있어, 칼날(417)은 그대로 용지다발(110)로부터 빠져 나오지만, 나이프(418)는 용지다발(110)의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의 선단을 창(418a)에 걸어 나이프(418)가 뚫은 I자 모양의 절입 구멍(92)에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의 선단을 끼워 넣고 나서 용지다발(110)로부터 빠져 나온다(도 22).
이것에 의해서, 용지다발(110)의 스테이플 동작은 완료하고,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자 모양의 절입 구멍(92)에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의 선단이 끼워 넣어져 있으며, 선단이 노출하는 측이 용지다발(110)의 표측(表側), 즉, 화상 형성되어 있는 측이다.   
지분 찌꺼기 수납부(440)는, 스테이플부(41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며, 스테이플부(410)에서 절입에 의해서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와 I자 모양의 절입 구멍(92)을 형성할 때에 생기는 지분 찌꺼기를 수납한다. 이 지분 찌꺼기 수납부(440)는, 지분 찌꺼기를 안내하는 더스트 슈트(dust chute)(441)와, 지분 찌꺼기를 모으는 수납 상자(442)와, 지분 찌꺼기를 수납 상자(442)에 모으는 집진(集塵) 수단을 구성하는 팬(443)을 가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집진 수단은 팬(443)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감압(減壓) 장치를 이용해도 괜찮다. 이 집진 수단은, 스테이플 장치가 스테이플 동작을 행하는 중간에 구동된다.
더스트 슈트(441)는, 스테이플부(410)로부터 수납 상자(442)로 연통하고 있으며, 이 더스트 슈트(441)에 팬(443)이 배치되고, 더스트 슈트(441)의 상부 위치에는 배기구(441a)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441a)에는, 지분 찌꺼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필터(441b)가 배치된다. 팬(443)을 구동하여 지분 찌꺼기를 더스트 슈트(441)를 매개로 하여 안내하여, 확실히 지분 찌꺼기를 수납 상자(442)에 모을 수 있다. 수납 상자(442)는, 착탈 가능하고, 소정 시기에 떼어내어 교환하거나, 지분 찌꺼기를 배출한다.
이 실시 형태의 용지 후처리 장치는, 도 2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의 작동 횟수를 검출하여, 설정 작동 횟수가 되면 지분 찌꺼기 수납부(440)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리는 워닝 수단(K1)을 구비한다. 이 워닝 수단(K1)은, 스테이플부(410)에서의 스테이플 동작을 카운트하는 스테이플 동작 카운트 수단(500)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운트 정보를 제어 장치(300)에 보낸다. 제어 장치(300)에서는, 스테이플 동작 카운트 수단(500)이 소정 카운트하면 경보 수단(502)을 구동하여, 수납 상자(442)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배출 시기를 알린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수납 상자(442)를 교환하거나, 수납 상자(442)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를 확실히 배출할 수 있다. 경보 수단(502)은, 경보 램프, 또는 경보 버저로 구성된다.
또, 도 2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하는 용지의 매수를 검출하여, 스테이플하는 설정 매수가 되면 지분 찌꺼기 수납부(440)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리는 워닝 수단(K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워닝 수단(K2)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스테이플하는 용지의 매수가 입력되면, 이 매수와 스테이플하는 횟수에 근거하여 스테이플하는 용지의 매수를 검출하는 용지 카운트 수단(5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운트 정보를 제어 장치(300)에 보낸다. 제어 장치(300)에서는, 용지 카운트 수단(510)이 스테이플하는 설정 매수를 카운트하면 경보 수단(502)을 구동하여, 수납 상자(442)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배출 시기를 알린다.
이와 같이, 복수매의 용지로 이루어지는 용지다발(110)에, 자동으로,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와 I자 모양의 절입 구멍(92)을 형성하고,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와 I자 모양의 절입 구멍(92)으로 용지다발(110)의 각 용지 서로를 결합시켜 용지다발(110)을 스테이플하지만, 절입에 의해 U자 모양의 절입 혀부(91)와 I자 모양의 절입 구멍(92)을 형성할 때에 생기는 지분 찌꺼기를 수납함으로써, 침의 충전 상황을 체크하는 센서가 필요없고, 구조가 간단하게 되며, 또한 스테이플 처리에서 생기는 지분 찌꺼기가 용지의 화상을 더럽히거나, 장치의 내부로 비산하지 않는다.
도 17의 (a)의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상자(442)는, 착탈 가능하고, 소정 시기에 떼어내어 교환하거나, 지분 찌꺼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지분 찌꺼기가 정전기에 의해서 수납 상자(442)에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도 17의 (b) 및 도 17의 (b)의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상자(442)의 내벽에 지분 찌꺼기가 부착하지 않도록 하는 저지 수단을 수납 상자(442)에 구비하며, 수납 상자(442)의 내벽에 지분 찌꺼기가 부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분 찌꺼기를 수납 상자(442)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17의 (b)의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상자(442)를 어스(earth)(450)하여, 지분 찌꺼기가 정전기에 의해서 수납 상자(442)에 부착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 도 17의 (c)의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상자(442)의 내부에 점착 테이프 용기(451)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고, 지분 찌꺼기가 점착 테이프 용기(451)에 접착하도록 하여, 점착 테이프 용기(451)를 떼어내어 폐기하도록 구성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종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며, 철침을 사용하지 않고 화상 형성제의 용지를 철하는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에 적용되며, 철침을 사용하지 않고 화상 형성이 끝난 용지를 철하는 스테이플 처리에서 생기는 지분 찌꺼기가 용지의 화상을 더럽히거나, 장치의 내부로 비산하지 않는다.
1 : 용지 후처리 장치 2 : 장치 본체
3 : 적재 트레이 3a : 받이벽
10 : 용지 반송 수단 11 : 반송 가이드
12 : 반송 롤러 20 : 서포트
30 : 조거ㆍ스택 수단
31 : 좌우 한 쌍의 조거
31a : 하부 가이드 31b : 상부 가이드
31c : 연결 가이드 32 : 슬라이드 레버
33 : 돌기 34 : 암
35 : 보조 레버 36 : 링크
37 : 안전 스위치 38 : 이동체
40 : 스테이플 장치 50 : 용지다발 홀더
91 : U자 모양의 절입 혀부 92 : I자 모양의 절입 구멍
100 : 용지 110 : 용지다발
200 : 반송 구동 수단 201 : 서포트 구동 수단
202 : 조거 구동 수단
203 : 조거 이동 구동 수단
300 : 제어 장치 410 : 스테이플부
411 : 상형 412 : 하형
413 : 지지축 414 : 누름판
415 : 압축 코일 스프링 416 : 판 스프링
417 : 칼날 418 : 나이프
419 : 캠 420 : 판 스프링
430 : 구동 장치 431 : 플런저
440 : 지분 찌꺼기 수납부 441 : 더스트 슈트
442 : 수납 상자 443 : 팬
500 : 스테이플 동작 카운트 수단 510 : 용지 카운트 수단
502 : 경보 수단 K1, K2 : 워닝 수단

Claims (11)

  1. 화상(畵像) 형성 장치에 접속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된 용지(用紙)가 순차적으로 보내어지며, 상기 보내어져 오는 용지에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매의 용지로 이루어지는 용지다발에, 자동으로, 소정 형상의 절입 혀부와 절입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절입 구멍에 상기 절입 혀부를 끼워 넣어 상기 용지다발의 각 용지 서로를 결합시켜 상기 용지다발을 스테이플(staple)하는 스테이플부와,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배출하는 용지다발 배출 수단과,
    배출되는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적재하는 적재 트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상기 용지다발 배출 수단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지다발 배출 수단은,
    전진(前進) 위치에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선단측을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떨어뜨리고, 상기 용지다발의 후단부만을 얹은 상태로 하며, 후진시켜 상기 용지다발의 후단부를 적재 트레이 상에 떨어뜨려 적재하는 서포트(support)와,
    상기 서포트를 전진, 후진시키는 서포트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서포트를 구동하고, 상기 서포트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서포트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상기 서포트를 후진시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낙하하는 위치가 상기 적재 트레이의 받이벽에 닿는 위치이며,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지다발 배출 수단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배출하는 배출 롤러와,
    상기 배출 롤러를 구동하는 롤러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 롤러를 구동하고, 상기 배출 롤러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배출 롤러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낙하의 위치가 상기 적재 트레이의 받이벽에 닿는 위치이며,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지다발 배출 수단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을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배출하는 배출 클립(clip)과,
    상기 배출 클립을 구동하는 클립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립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 클립을 구동하고, 상기 배출 클립으로부터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낙하하여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배출 클립으로부터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배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의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적재 위치의 설정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의 낙하의 위치가 상기 적재 트레이의 받이벽에 닿는 위치이며,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다발이 위치 어긋남 없이 겹쳐서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형상의 절입 혀부와 절입 구멍을 형성할 때에 생기는 지분(紙粉) 찌꺼기를 수납하는 지분 찌꺼기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리는 워닝(warning)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워닝 수단은, 스테이플의 작동 횟수를 검출하여, 설정 작동 횟수가 되면 상기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워닝 수단은, 스테이플되는 용지의 매수를 검출하여, 상기 스테이플되는 용지의 매수가 설정 매수가 되면 상기 지분 찌꺼기 수납부에 모이는 지분 찌꺼기의 제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분 찌꺼기 수납부는,
    지분 찌꺼기를 안내하는 더스트 슈트(dust chute)와,
    지분 찌꺼기를 모으는 수납 상자와,
    지분 찌꺼기를 상기 수납 상자에 모으는 집진(集塵)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자의 내벽에 지분 찌꺼기가 부착하지 않도록 하는 저지 수단을 상기 수납 상자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자가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
KR1020157018548A 2012-12-10 2013-11-18 용지 후처리 장치 KR20150110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9221A JP6183740B2 (ja) 2012-12-10 2012-12-10 用紙後処理装置
JPJP-P-2012-269221 2012-12-10
JP2013214657A JP2015078024A (ja) 2013-10-15 2013-10-15 用紙後処理装置
JPJP-P-2013-214657 2013-10-15
PCT/JP2013/081070 WO2014091882A1 (ja) 2012-12-10 2013-11-18 用紙後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512A true KR20150110512A (ko) 2015-10-02

Family

ID=5093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548A KR20150110512A (ko) 2012-12-10 2013-11-18 용지 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09463A1 (ko)
EP (1) EP2930133A1 (ko)
KR (1) KR20150110512A (ko)
CN (1) CN104968590A (ko)
WO (1) WO2014091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2017B2 (en) * 2015-12-09 2020-05-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output system
JP7371420B2 (ja) * 2019-09-30 2023-10-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排紙装置、処理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CN113524941B (zh) * 2021-06-29 2022-07-12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财务票据的装订方法
JP2023034939A (ja) 2021-08-31 2023-03-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5960B1 (ko) 1968-03-29 1974-02-09
JPH0672060A (ja) 1991-10-30 1994-03-1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文書綴込み装置
JP3740280B2 (ja) * 1998-05-20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1130826A (ja) 1999-11-04 2001-05-15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1316034A (ja) 2000-04-28 2001-11-13 Sharp Corp シート後処理機及び画像形成装置
JP3672809B2 (ja) 2000-09-20 2005-07-2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144290A (ja) * 2000-11-13 2002-05-21 Ricoh Co Ltd 穿孔装置及びその穿孔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5074787A (ja) 2003-08-29 2005-03-24 Kyocera Mita Corp 用紙綴じ装置
JP2005074858A (ja) 2003-09-02 2005-03-24 Ricoh Co Ltd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456145C (zh) * 2003-09-18 2009-01-28 佳能精技股份有限公司 纸张后处理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7413180B2 (en) * 2004-08-06 2008-08-19 Nisca Corporatio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2006103844A (ja) * 2004-10-01 2006-04-20 Canon Finetech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9184747A (ja) * 2008-02-01 2009-08-20 Sharp Corp 回収容器、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265052A (ja) * 2009-05-12 2010-11-25 Ricoh Co Ltd 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1020768A (ja) * 2009-07-14 2011-02-03 Ricoh Co Ltd シート穿孔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06334B2 (ja) * 2009-11-04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5348077B2 (ja) * 2010-06-09 2013-11-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402876B2 (ja) * 2010-08-23 2014-01-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材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2148505A (ja) 2011-01-20 2012-08-09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
JP2012218825A (ja) * 2011-04-05 2012-11-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用紙後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09463A1 (en) 2015-10-29
CN104968590A (zh) 2015-10-07
WO2014091882A1 (ja) 2014-06-19
EP2930133A1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6918B2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44969B2 (ja) 記録材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8342499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system
US20110304090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sheet processing method
JP2012027118A (ja) 画像形成装置
CN102275762A (zh) 片材处理装置和图像形成***
JP5560840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50110512A (ko) 용지 후처리 장치
JP2013052937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13040043A (ja)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24008A (ja) シート処理システムおよびシート処理装置
JP2013050830A (ja) 紙幣整位機構および紙幣処理装置
JP6183740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05206298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38723B2 (ja) 用紙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577908B2 (ja) 画像形成装置
JP5824990B2 (ja)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78024A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13086284A (ja)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WO2014006777A1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19108200A (ja) 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9188664A (ja)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82597B2 (ja) 部品供給機構及び用紙処理装置
JP6969372B2 (ja) 後処理装置
JP6999154B2 (ja) シート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