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458A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458A
KR20150107458A KR1020140030436A KR20140030436A KR20150107458A KR 20150107458 A KR20150107458 A KR 20150107458A KR 1020140030436 A KR1020140030436 A KR 1020140030436A KR 20140030436 A KR20140030436 A KR 20140030436A KR 20150107458 A KR20150107458 A KR 2015010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polycarbonat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pea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훈
김대식
이정민
권기혜
김도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458A/ko
Priority to US14/569,568 priority patent/US9279053B2/en
Priority to DE102014227006.5A priority patent/DE102014227006B4/de
Priority to CN201410842163.4A priority patent/CN104910600B/zh
Publication of KR2015010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 80 중량%; 및 (B)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C) 펄 메탈 입자 1 ~ 4 중량부; 및 (D) 착색료(colorant) 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장 처리 없이도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 시에 화이트 펄의 우수한 도장감을 갖으면서 물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COMPOSITION OF POLYCARBONATE}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에, 펄 메탈 입자와 화이트 계열의 착색료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조성물로 제품 제조 시에 별도의 도장 처리 없이도 화이트 펄의 우수한 도장감의 외관과, 내충격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 등의 자동차 내장재에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키는 무도장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내충격성, 내열성, 강성 등으로 전기전자 및 자동차 용도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눈금판(Indicator panel) 등의 자동차 내장재의 경우, 내충격성, 내열성, 강성 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내충격성, 내열성과 착색성을 가지나 저온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 등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중 전기전자, 자동차 내외장재로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얼로이(PC/ABS) 수지가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 PC/ABS 수지는 저온 및 상온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내열성, 강성, 성형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착색성에 제한이 있으며 자외선(UV)에 대한 내광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때 고급스러운 외관 및 다양한 칼라와 자외선, 케미칼, 수분, 열 등의 외부 공격(Attack)인자로부터 보호를 위해 일반적으로 표면에 도장, 코팅 등을 적용해 왔다.
이런 도장 공정의 경우 여러 단계의 도장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불량률 및 유해 휘발 성분의 발생률이 높고 리사이클(Recycle)에 제한이 많으며 비용 상승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 친환경 트렌드 증가에 따라 도장공정을 제거한 무도장 내장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50780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나, 이를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하는 경우 도장 느낌의 외관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자외선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도장, 코팅 등의 공정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별도의 도장 처리 없이도 화이트 펄의 우수한 도장 느낌의 외관과 내충격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에 보다 적합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50780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에, 펄 메탈 입자와 화이트 계열의 착색료(이산화티탄)를 혼합한 조성물의 경우, 별도의 도장 작업 없이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자체로 화이트 펄의 우수한 도장감을 갖으면서 내충격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장 처리 없이도 화이트 펄의 우수한 도장감을 갖으면서 물성도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 80 중량%; 및 (B)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C) 펄 메탈 입자 1 ~ 4 중량부; 및
(D) 착색료(colorant) 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별도의 도장 처리 없이도 화이트 펄의 우수한 도장감을 가지는 자동차 내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별도의 도장 작업 없이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자체에 화이트 펄의 도장감이 발현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제품 제조 시에 공정을 단순화하고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충격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의 우수한 물성을 갖기에 자동차 내장재에 더욱 적합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실시예 1)을 이용하여 제조한 화이트 펄 도장감의 외관을 갖는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 성형품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 80 중량%; 및 (B)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C) 펄 메탈 입자 1 ~ 4 중량부; 및 (D) 착색료(colorant) 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 80 중량%; 및 (B)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6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B)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를 4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착색성이 저하되고 내열성 등의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80 중량% 초과하여 포함하거나 (B)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를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내충격성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C) 펄 메탈 입자는 판상의 운모 표면에 금속 산화물이 코팅된 형태로, 평균 입자 크기가 5 ~ 35 ㎛ 이며, 펄 메탈 입자 대비 금속 산화물 중량 비율이 1 : 0.35 ~ 0.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티타늄, 산화철, 산화크롬,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산화세륨, 산화리튬, 산화은 및 산염화비스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이때 상기 펄 메탈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5 ㎛ 미만인 경우나 35 ㎛ 초과인 경우에는 화이트 펄 도장감의 외관을 구현하는데 제한이 있어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펄 메탈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 펄 메탈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 4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 메탈 입자가 4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나 유동성 등의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펄 도장감의 외관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이트 색감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D) 착색료(colorant)는 이산화티탄(TiO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탄은 자외선에 안정적이며 열가소성 수지에 적용시 내충격성이나 유동성 등의 물성에 대한 영향성이 적은 특징이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착색료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료가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하는 칼라 구현이 어려우며, 10 중량부 초과인 경우 내충격성이나 유동성 등의 물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화이트 펄의 도장감을 갖기에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 시에, 제품에 별도의 도장 처리 없이도 소비자가 선호할 만한 도장감 및 색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충격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바,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 눈금판(Indicator panel), 인테리어 가니쉬(Interior garnish), 콘솔 어퍼 커버(Console upper cover)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7
하기 표 1에 나타낸 폴리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폴리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분 및 함량
성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
예7
열가소성 수지
(단위: 중량%)
폴리카보네이트2 ) 75 100 90 50 75 75 75 75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3) 25 - 10 50 25 25 - 25
그라프트 공중합체4) - - - - - - 10 -
비닐 공중합체5 ) - - - - - - 15 -
총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첨가제1 )
(단위: 중량부)
펄 메탈 입자16 ) 2 2 2 2 0.5 5 2 -
펄 메탈 입자27 ) - - - - - - - 2
착색료 이산화티탄 5 5 5 5 5 5 5 5
1)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를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첨가되는 첨가제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 중량부로 나타냄.
2) MFI(Melt flow index, 310℃/1.2kg 조건)가 6.0g/10min인 제일모직 사의 INFIN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함.
3) IDEMITSU 사의 RC-1700을 사용함.
4)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이 그라프트 공중합된 코어-쉘 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통상의 유화중합법으로 제조된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함량 58%, 평균 입경이 270nm인 공중합체를 사용함.
5) 스티렌 76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24 중량%의 단량체 혼합물을 통상의 현탁중합법으로 중합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g/mol인 공중합체를 사용함.
6) 평균 입자 크기가 20㎛, 전체 펄 메탈 입자 중량 대비 코팅된 금속산화물 중량비가 1 : 0.4 인 펄 메탈 입자
7) 평균 입자 크기가 125㎛, 전체 펄 메탈 입자 중량 대비 코팅된 금속산화물 중량비가 1 : 0.4인 펄 메탈 입자
실험예 :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7의 수지 조성물에 첨가제로서 안정제, 활제, 내광제, 이형제를 추가로 혼합한 조성물을 압출/가공하여 펠렛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은 L/D=29, 직경 45 ㎜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였고, 바렐 온도는 260℃로 설정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80℃에서 2 시간 동안 건조 후, 6Ooz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80℃, 금형온도 60℃로 설정하여 물성평가용 시편 및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물성평가용 시편과 성형품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물성 평가를 하였다. 단, 유동성, 내열성 및 내광성을 제외한 물성 평가는 실제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 성형품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1) 외관 측정:
화이트 펄 도장감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평가용 시편 표면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화이트 펄 도장감이 우수한 경우 OK로, 화이트 펄 도장감이 열세한 경우 NG로 표기하였다.
(2) Melt flow index(MI) 측정:
유동성을 평가하기 위해 ASTM D1238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250℃, 10 kg 조건에서 melt flow index(MI)를 측정(단위: g/10min)하였다.
(3) 열변형 온도(HDT) 측정:
내열성을 평가하기 위해 ASTM D648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18.56 kgf 하중에서 측정(단위: ℃)하였다.
(4) 헤드임팩트 평가:
내충격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대자동차 MS210-05-B-1 또는 MS652-14에 규정된 방법으로,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 성형품을 포함하는 내장부품파트를 이용하여 자동차 헤드임팩트 평가를 진행하였다.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 성형품이 깨지지 않은 경우 Pass로, 성형품이 깨진 경우 NG로 표기하였다.
(5) 내약품성 평가:
내약품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대자동차 MS210-05-B-1 또는 MS652-14에 규정된 방법으로,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 성형품을 포함하는 내장부품파트 표면에 가솔린, 엔진오일, 에탄올, 유리세정제 및 구리스 도포 후 상온에서 168 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외관을 평가하였다. 표면에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및 광택저하가 없고,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이 3급 이상인 경우 Pass로, 그렇지 않은 경우 NG로 표기하였다.
(6) 내광성 평가:
현대자동차 MS210-05-B-1 또는 MS652-14에 규정된 방법으로, SAE J 1885에 규정된 제논 아크 시험방법에 의해 내광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시편을 89±3℃, 50±5%RH 조건에서 126MJ/m2 의 에너지를 조사한 후의 색차(△E)가 2.0 이하이고,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이 3급 이상인 경우 Pass로, 그렇지 않은 경우 NG로 표기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구분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외관 OK OK OK NG NG OK OK NG
MI 10 6 7 13 11 8 27 9
HDT 125 125 125 123 125 123 110 125
헤드임팩트 Pass NG NG Pass Pass NG Pass Pass
내약품성 Pass NG NG Pass Pass Pass NG Pass
내광성 Pass Pass Pass Pass Pass Pass NG Pass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와 대비하여 우수한 화이트 펄의 도장 외관을 발현하면서도 내충격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광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과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단독에 펄 메탈 입자와 이산화티탄을 적용한 경우에는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취약하게 된다. 비교예 2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내충격성 및 내약품성 저하가 발생하게 되고, 비교예 3과 같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면 화이트 펄의 도장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비교예 4와 같이 펄 메탈 입자 함량이 부족한 경우 화이트 펄 도장감의 외관 발현이 어려우며, 비교예 5와 같이 펄 메탈 입자 함량이 과다한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교예 7과 같이 입자 크기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펄 메탈 입자를 적용 시에도 우수한 화이트 펄 도장감의 외관 발현이 어렵게 된다.
비교예 6의 경우와 같이 통상적인 자동차 내장재 소재로 적용 중인 PC/ABS 수지에 본 발명의 펄 메탈 입자와 착색료를 적용한 경우에는 화이트 펄 도장감의 외관이나 내충격성은 우수하나 내열성이 열세이고 내약품성, 내광성의 한계로 도장 공정을 거치지 않은 무도장 상태로 자동차 내장재에 직접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그 자체로 화이트 펄 도장감 및 색감을 갖기에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 시에, 제품에 별도의 도장 처리 없이도 소비자가 선호할 만한 화이트 펄 도장감 및 색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충격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7)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 80 중량%; 및
    (B)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C) 펄 메탈 입자 1 ~ 4 중량부; 및
    (D) 착색료(colorant) 0.1 ~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 메탈 입자(C)는 판상의 운모 표면에 금속 산화물이 코팅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티타늄, 산화철, 산화크롬,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산화세륨, 산화리튬, 산화은 및 산염화비스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 메탈 입자(C)는 평균 입자 크기가 5 ~ 35 ㎛ 이고, 펄 메탈 입자 대비 금속 산화물의 중량 비율이 1 : 0.35 ~ 0.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료(D)는 이산화티탄(T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염료, 안료, 충진제, 안정제, 내광제, 활제, 항균제 및 이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무도장 처리하였으나 화이트 펄 도장의 외관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
KR1020140030436A 2014-03-14 2014-03-1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50107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436A KR20150107458A (ko) 2014-03-14 2014-03-1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14/569,568 US9279053B2 (en) 2014-03-14 2014-12-12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DE102014227006.5A DE102014227006B4 (de) 2014-03-14 2014-12-29 Polycarbonatharz-Zusammensetzung und Fahrzeug-Innenmaterial
CN201410842163.4A CN104910600B (zh) 2014-03-14 2014-12-30 聚碳酸酯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436A KR20150107458A (ko) 2014-03-14 2014-03-1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458A true KR20150107458A (ko) 2015-09-23

Family

ID=5401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436A KR20150107458A (ko) 2014-03-14 2014-03-1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79053B2 (ko)
KR (1) KR20150107458A (ko)
CN (1) CN104910600B (ko)
DE (1) DE10201422700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5295A1 (en) * 2016-05-09 2019-03-20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Polyphenylsulfone compositions including a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
US11525055B2 (en) 2016-07-28 2022-12-13 Shpp Global Technologies B.V. Polycarbonate blends for high release performance
EP3504273B1 (en) * 2016-08-23 2023-07-05 SHPP Global Technologies B.V. Automotive articles including polycarbonate-polycarbonate/polysiloxane compositions having high flow, high impact, and good release properties
CN106854352A (zh) * 2016-12-06 2017-06-16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耐化学品性优异的pc/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486153B (zh) * 2018-11-21 2021-02-09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阻燃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H1975H1 (en) 1999-09-23 2001-07-03 General Electric Co. Thermoplastic article having a metallic flake appearance
JP4170706B2 (ja) 2002-08-30 2008-10-22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US20050085580A1 (en) 2003-10-16 2005-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Color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0782265B1 (ko) 2005-12-30 2007-12-04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20070232744A1 (en) 2006-03-30 2007-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rticles made therefro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869967B1 (ko) 2006-12-29 2008-11-24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U2009309867A1 (en) * 2008-10-28 2010-05-06 Basf Se Nanoscale IR absorber in multilayer molded bodies
KR20100050780A (ko) 2008-11-06 2010-05-14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0539B1 (ko) * 2010-11-23 2014-01-02 제일모직주식회사 표면 특성이 우수한 고광택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47272B1 (ko) * 2010-12-31 2014-10-08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474802B1 (ko) 2011-12-30 2014-12-22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45088B1 (ko) 2012-01-27 2014-09-29 제일모직주식회사 착색성,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50076534A (ko) 2013-12-27 2015-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9053B2 (en) 2016-03-08
US20150259528A1 (en) 2015-09-17
CN104910600B (zh) 2019-08-23
DE102014227006A1 (de) 2015-09-17
CN104910600A (zh) 2015-09-16
DE102014227006B4 (de)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6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5010745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947230B1 (ko)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EP2558533B1 (en) Impact-resistant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KR2015007653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7243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36622B1 (ko)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23250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6983585B2 (ja) 調色シート
CN106832851B (zh) 喷漆性优良的pc/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10017086A (ko) 금속안료를 첨가한 경량 합성수지 조성물
KR10167690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50067472A (ko) 고광택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사출 무도장 성형품
KR10180314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000632B1 (ko) 플라스틱용 고휘도 메탈릭 도료 조성물
KR20160141432A (ko)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장재 성형품
KR10189566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8007743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5201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6012853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43913B1 (ko) 내화학성이 개선된 무광택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391605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3390530B1 (de) Thermoplastische zusammensetzung
KR20230080014A (ko) 흑색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8027566A (zh) 复合树脂组合物及使用该复合树脂组合物的车辆内饰模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