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880A -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880A
KR20150102880A KR1020140024776A KR20140024776A KR20150102880A KR 20150102880 A KR20150102880 A KR 20150102880A KR 1020140024776 A KR1020140024776 A KR 1020140024776A KR 20140024776 A KR20140024776 A KR 20140024776A KR 20150102880 A KR20150102880 A KR 2015010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epression
predetermined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834B1 (ko
Inventor
구정훈
이종하
박희준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83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및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일상적인 활동 내에서 실시간으로 우울감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 검색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인터넷 활동 시에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미리 입력 또는 평균화된 표준 정보와 비교하거나, 상기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 입력된 우울증 징후의 유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적극성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객관적인 우울감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구비 없이 가정에서 용이하게 우울감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PRESSION MONITORING BASED ON US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 기반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울증은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한다. 우울증은 평생 유병률이 15%, 특히 여자에게서는 25% 정도에 이르며, 감정, 생각, 신체 상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다. 우울증은, 주변 지인의 관심이나 전문가의 도움으로 상당 부분 호전될 수 있고, 특히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울증 환자의 상당수가 우울증 발병 여부를 자각하지 못하거나, 주변 지인 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여 장기간 고생하는 경우가 많고, 심각한 경우 자살 등의 극단적인 선택에 이르기도 한다. 또한, 우울증은 한 번의 큰 충격이 되는 사건보다, 장기간 지속적인 우울감을 해소하지 못하는 것이 발병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우울감이 지속되는 경우 즉시 지인이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우울증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감정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병의 특성상 대부분 설문조사(Beck Depression Inventory(BDI),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EPDS), Postpartum Depression Screening Scale(PDSS) 등)나 전문가 상담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문 검사는 일시적인 불편감과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질환을 감별하기 어렵고,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이 적극적으로 설문이나 상담에 참여해야 하므로, 초기 우울증 발병 징후나, 심각한 우울증에 빠진 사람의 경우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우울증의 객관적인 지표를 발견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그 예로 우울증 진단에서의 Dexamethasone 억제검사의 역할(논문집 36,1('83.3) pp.225-231 1225-2557 참조), 뇌졸중 후의 우울증 진단에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를 적용하는 방법(대한재활의학회지 18,3('94.9) pp.576-583 1225-584X KCI 참조)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환자가 병원에 가서 진단을 의뢰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정신과를 찾는 것을 꺼리는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여전히 우울증 발병의 조기 발견은 어렵다.
한편, 현대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biquitous healthcare)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란,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건강관리를 해주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손쉽게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고, 획득 정보는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전문가와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거나, 생체신호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전문가에게 전송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이 그것이다(특허출원 제10-2012-0053689호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상태 정보나 생체 정보를 입력 또는 측정해야 하므로, 역시 사용자의 적극성을 요구한다. 우울증의 경우, 사용자가 전반적인 활동의 의욕을 상실하므로, 사용자의 적극성을 요하지 않으면서 적극적으로 상태를 획득 및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및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일상적인 활동 내에서 자동으로 우울감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 검색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인터넷 활동 시에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미리 입력 또는 평균화된 표준 정보와 비교하거나, 상기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 입력된 우울증 징후의 유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적극성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객관적인 우울감 모니터링이 가능한,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구비 없이 가정에서 용이하게 우울감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 검색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인터넷 활동 시에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 정보는,
뇌파 및 심박 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은,
상기 수집한 정보들 중에서, 미리 입력 또는 평균화된 표준 정보와 차이를 나타내는 특이점을 추출하거나, 미리 설정 입력된 우울증 징후의 유무를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가 미리 정해진 단어군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이 미리 정해진 활동량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우울감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단어군 또는 위치에 속하는 횟수, 상기 활동량, 상기 생체 신호 값을 반영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해진 단어군, 미리 정해진 위치, 미리 정해진 활동량 및 미리 정해진 값을 입력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이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이 분석한 우울감 정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수신처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처는,
지인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및 구급기관 단말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은,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은,
(1)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 검색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인터넷 활동 시에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 정보는,
뇌파 및 심박 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수집한 정보들 중에서, 미리 입력 또는 평균화된 표준 정보와 차이를 나타내는 특이점을 추출하거나, 미리 설정 입력된 우울증 징후의 유무를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수집한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가 미리 정해진 단어군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이 미리 정해진 활동량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우울감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단어군 또는 위치에 속하는 횟수, 상기 활동량, 상기 생체 신호 값을 반영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이전에,
상기 미리 정해진 단어군, 미리 정해진 위치, 미리 정해진 활동량 및 미리 정해진 값을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또는 단계 (2) 이후에,
상기 단계 (1)에서 수집한 정보 또는 상기 단계 (2)에서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이후에,
(3) 상기 단계 (2)에서 분석한 우울감 정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수신처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처는,
지인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및 구급기관 단말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및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일상적인 활동 내에서 실시간으로 우울감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 검색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인터넷 활동 시에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미리 입력 또는 평균화된 표준 정보와 비교하거나, 상기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 입력된 우울증 징후의 유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적극성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객관적인 우울감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구비 없이 가정에서 용이하게 우울감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활동 정보 수집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활동 정보 수집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 수집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의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 및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 또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00)은,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 스마트기기란,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아이패드, 태블릿 PC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이 우울감 모니터링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정보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 또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접근성의 측면에서는 휴대성이 좋고 일반인이 필수적으로 휴대하는 스마트 폰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활동 정보 수집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이 수집하는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 검색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인터넷 활동 시에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은 스마트폰일 수 있는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하여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한 기록에 ‘자살, 우울’등과 같은 우울증과 관련된 단어를 검색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검색 기록을 사용자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메일이나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우울 관련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입력 단어나 문구 기록을 사용자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어나 문구는 검색 또는 입력한 단어나 문구 모두를 수집할 수도 있으나, 미리 정해진 범위의 단어나 문구를 검색 또는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 단어나 문구만을 수집함으로써, 이후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활동 정보 수집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이 수집하는 활동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스마트기기의 경우 대부분 GPS 모듈을 탑재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나 이동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시간, 운동 시간 및 위치 이동을 통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 활동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뇌파, 근력, 심전도 등을 통하여 활동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기기로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검색 또는 입력 단어, 위치 정보, 활동량 정보 등은 우울감을 판단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 없이도 용이하게, 우울감 정도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객관적인 우울감 정도 분석도 가능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 수집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이 수집하는 생체 정보는, 뇌파 및 심박 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다. 뇌파를 생체 정보로 하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은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뇌파 측정 장치가 될 수 있고, 뇌파 측정 장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200)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획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00)은, 수집한 정보들 중에서, 미리 입력 또는 평균화된 표준 정보와 차이를 나타내는 특이점을 추출하거나, 미리 설정 입력된 우울증 징후의 유무를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미리 입력 또는 평균화된 표준 정보란, 우울증 진단을 받지 않은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측정한 활동량, 생체 신호 또는 위치 정보를 평균한 값을 의미할 수도 있고, 연령이나 신체 정보에 따른 평균값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표준 정보를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특이점을 추출함으로써, 특이점의 정도에 비례(반비례)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 입력된 우울증 징후(예: 하루평균 수면시간 2시간 이하 또는 13시간 이상, 활동량 30 이하, ‘자살, 우울’등의 단어 검색 등)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그 횟수나 차이를 반영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00)은,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에서 수집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가 미리 정해진 단어군(자살, 우울 등)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한강, 위험설정 지역)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활동량이 미리 정해진 활동량 이하인 경우,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우울감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미리 정해진 단어군 또는 위치에 속하는 횟수, 활동량, 생체 신호 값을 반영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은, 입력 모듈(300)을 더 포함하여 미리 정해진 단어군, 미리 정해진 위치, 미리 정해진 활동량 및 미리 정해진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저장 모듈(40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0)이 수집한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00)이 분석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된 정보는 통신 모듈(500)을 통하여 외부 기기 등에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00)이 분석한 우울감 정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수신처(1000)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처(1000)는, 지인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및 구급기관 단말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정보란, 수집하거나 분석한 정보를 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우울감 정도가 높으므로 주의를 요한다.”는 경고 메시지일 수도 있다. 경고 메시지를 받은 지인이나 병원은 사용자에게 주의를 기울이거나 검사나 상담을 유도하여 심각한 우울증으로 진전되는 것을 예방하고, 진행된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S100) 및 단계 S100에서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100 이전에 미리 정해진 단어군, 미리 정해진 위치, 미리 정해진 활동량 및 미리 정해진 값을 입력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100 또는 단계 S200 이후에 단계 S100에서 수집한 정보 또는 단계 S200에서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00에서 분석한 우울감 정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수신처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 내지 S3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기타 각 단계에 대해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의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개인의 SNS나 인터넷 검색 등의 활동, 생활 범위, 생체신호의 패턴을 바탕으로 우울감으로 인한 어떤 특정 행동의 변화(이벤트)의 위험성을 판단하여 중재 그룹(의료진, 가족, 친구들)에 경고(경고 메시지 등 발송)함으로써, 지인이나 전문가가 즉각적으로 중재하게 함으로써, 우울감으로 인한 극단적 행동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구비 없이도 용이하고 지속적으로 우울감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200: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
300: 입력 모듈 400: 저장 모듈
500: 통신 모듈 1000: 수신처
S10: 미리 정해진 단어군, 미리 정해진 위치, 미리 정해진 활동량 및 미리 정해진 값을 입력하는 단계
S100: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S200: 단계 S100에서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단계
S210: 단계 S100에서 수집한 정보 또는 단계 S200에서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S300: 단계 S200에서 분석한 우울감 정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수신처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laims (20)

  1.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 검색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인터넷 활동 시에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뇌파 및 심박 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은,
    상기 수집한 정보들 중에서, 미리 입력 또는 평균화된 표준 정보와 차이를 나타내는 특이점을 추출하거나, 미리 설정 입력된 우울증 징후의 유무를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가 미리 정해진 단어군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이 미리 정해진 활동량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우울감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단어군 또는 위치에 속하는 횟수, 상기 활동량, 상기 생체 신호 값을 반영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단어군, 미리 정해진 위치, 미리 정해진 활동량 및 미리 정해진 값을 입력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이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이 분석한 우울감 정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수신처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는,
    지인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및 구급기관 단말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은,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11.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1) 사용자의 활동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 검색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인터넷 활동 시에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뇌파 및 심박 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수집한 정보들 중에서, 미리 입력 또는 평균화된 표준 정보와 차이를 나타내는 특이점을 추출하거나, 미리 설정 입력된 우울증 징후의 유무를 분석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수집한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거나 입력한 단어 또는 문구가 미리 정해진 단어군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이 미리 정해진 활동량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우울감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단어군 또는 위치에 속하는 횟수, 상기 활동량, 상기 생체 신호 값을 반영하여 우울감 정도를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전에,
    상기 미리 정해진 단어군, 미리 정해진 위치, 미리 정해진 활동량 및 미리 정해진 값을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또는 단계 (2) 이후에,
    상기 단계 (1)에서 수집한 정보 또는 상기 단계 (2)에서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후에,
    (3) 상기 단계 (2)에서 분석한 우울감 정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수신처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는,
    지인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및 구급기관 단말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방법.
KR1020140024776A 2014-03-01 2014-03-01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26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776A KR101626834B1 (ko) 2014-03-01 2014-03-01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776A KR101626834B1 (ko) 2014-03-01 2014-03-01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880A true KR20150102880A (ko) 2015-09-09
KR101626834B1 KR101626834B1 (ko) 2016-06-02

Family

ID=5424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776A KR101626834B1 (ko) 2014-03-01 2014-03-01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157A1 (en) * 2019-12-23 2021-07-01 Mimos Berha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depression symptoms of a social media user
KR20210101098A (ko) * 2020-02-07 2021-08-18 이진영 펫로스 증후군 예방 및 극복 지원 시스템
KR20210112274A (ko) * 2019-07-12 2021-09-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18A (ko) 2018-11-26 2020-06-03 (주)블라우비트 복합 생체 반응 정보를 이용한 우울증 치료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3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전달 및 표출 방법과, 그를위한 통신 시스템
KR20070014574A (ko) * 2005-07-29 2007-0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기능을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130129657A (ko) * 2012-05-21 2013-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강 관리 스마트 시스템
KR20130134452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무구속 생체정보 획득을 통한 헬스케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3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전달 및 표출 방법과, 그를위한 통신 시스템
KR20070014574A (ko) * 2005-07-29 2007-0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기능을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130129657A (ko) * 2012-05-21 2013-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강 관리 스마트 시스템
KR20130134452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무구속 생체정보 획득을 통한 헬스케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274A (ko) * 2019-07-12 2021-09-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분석 방법
WO2021133157A1 (en) * 2019-12-23 2021-07-01 Mimos Berha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depression symptoms of a social media user
KR20210101098A (ko) * 2020-02-07 2021-08-18 이진영 펫로스 증후군 예방 및 극복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834B1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782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rrhythmia tracking and scoring
KR102116664B1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70947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예측 장치 및 방법
Carreiro et al. Wearable sensor-based detection of stress and craving in patients during treatment for substance use disorder: A mixed methods pilot study
US201501486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 preventative care plan in mental illness treatment
Ahanathapillai et al. Preliminary study on activity monitoring using an android smart‐watch
Alam et al. Cloud based mental state monitoring system for suicide risk reconnaissance using wearable bio-sensors
JP2019523027A (ja) 記憶及び機能の衰えの記録及び分析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Goyal et al. Automation of stress recognition using subjective or objective measures
WO2012007850A1 (en) Medical data acquisition, diagnostic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3520395A (zh) 一种精神状态的实时评估***和方法
WO20191189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r well-being
KR101626834B1 (ko)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582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ealth monitoring
Debard et al. Making wearable technology available for mental healthcare through an online platform with stress detection algorithms: the Carewear project
Martini et al. Data-driven continuous assessment of frailty in older people
Salih Ali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and Web Application Hybrid Scheme for Healthcare Monitoring.
JP2013148996A (ja) 重症度判定装置、及び、重症度判定方法
Ogbuabor et al. Context-aware system for cardiac condi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a survey
US20170351829A1 (en) Smart device for monitoring and capturing patient data
Ghazal et al. An integrated caregiver-focused mHealth framework for elderly care
Kumar et al. A PHR-based system for monitoring diabetes in mobile environment
Boukhechba et al. Physiological changes over the course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for social anxiety
Morales et al. A Biomarker-Based Model to Assist the Identification of Stress in Health Workers Involved in Coping with COVID-19
Elkhovskaya et al. Personalized assistanc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rough multi-level distributed healthcare process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