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414A -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 Google Patents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414A
KR20150102414A KR1020140024245A KR20140024245A KR20150102414A KR 20150102414 A KR20150102414 A KR 20150102414A KR 1020140024245 A KR1020140024245 A KR 1020140024245A KR 20140024245 A KR20140024245 A KR 20140024245A KR 20150102414 A KR20150102414 A KR 20150102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assembly
base material
juice
drum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열
박명진
박만욱
장동희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414A/ko
Publication of KR2015010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서기의 사용전에 별도로 모재를 절삭해야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칼날을 구비하여 효율적인 착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A juicer with direct fee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서기의 사용전에 별도로 모재를 절삭해야하는 불편함 없이 효율적인 착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주서기는 일반적으로 야채나 과일 등과 같은 재료(이하, '모재'라 칭함)부터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주서기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주서기는 분쇄 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 내에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모재를 수용한 후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한 구동부를 이용하여 분쇄 스크류를 회전함으로써 모재를 분쇄하여 녹즙 또는 과즙을 추출한다. 여기서 모재 투입구에 모재를 넣기 전에, 투입구의 사이즈는 대략 2~3cm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투입구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사전에 모재를 잘게 절삭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다. 최근 이러한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모재의 전처리가 필요 없도록 투입구의 사이즈를 크게 한 주서기들이 등장했다.
예를 들면 국내특허등록 제10-1270140호는 투입구의 사이즈를 크게 하고 파쇄날과 파쇄가공부 사이에 모재가 말려들어감으로써 스크류에 공급됨과 동시에 파쇄되도록 구성된 착즙모듈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모재의 전처리 없이 주서기에 직투입이 가능하더라도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하여 모재의 절삭이 착츱과 동시에 이루어짐으로 구동부에 많은 부하가 걸려 주서기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모재가 파쇄날과 파쇄가공부 사이에 말려들어가기 전부터 스크류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오히려 모재를 전처리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착즙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이 간과되어 있다.
국내특허등록 제10-1300464호는 앞서 제시한 국내특허등록 제10-1270140호와 달리 안전 커버를 더 포함한 장점이 있지만, 이로 인하여 투입한 모재가 다 말려 들어갔는지, 다음 모재를 투입해야하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워, 착즙과정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하여 모재의 절삭 및 착즙을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구동부에 무리가 갈 수 있으며 착즙 효율도 떨어진다.
국내특허등록 제20-0357015호는 배와 같이 강도가 강한 과일 종류를 작게 절삭하지 않고 통째로 투입하여 과즙을 짜낼 수 있도록 금속 칼날과 분쇄기를 사용하여 개선된 주스 제조기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푸셔를 이용하여 모재가 원심분리기 바닥에 형성된 요철칼날에 접촉하여 잘게 절삭되기까지 지속적으로 힘을 가해야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서기의 사용전에 별도로 모재를 절삭해야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종래 주서기들은 비효율적이며, 모재를 추가로 투입하기 전에 모재가 스크류에 말려들어가는 정도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 등과 같이 사용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270140 B
(특허문헌 2) KR10-1300464 B
(특허문헌 3) KR20-0357015 B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과일이나 야채 등의 모재를 투입할 때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한 효율적인 전처리부가 포함된 주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재가 통째로 투입될 때 착즙 스크류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전처리부와 드럼이 구성되어 착즙뿐만 아니라 에너지적으로도 효율적인 주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푸셔부를 지속적으로 힘으로 눌러줘야 하는 번거로움 및 많은 양의 모재를 착즙할 경우에도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모재의 말려들어간 정도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용이하게 모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공의 드럼(100); 상기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상기 드럼(100) 상부에 위치하며, 상측면이 개방된 전처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400)는 모재가 투입되는 모재 투입통(460) 및 상기 모재 투입통(460)의 하측에 구비된 모재 안내부(450)를 포함하며, 상기 모재 안내부(450)는 상기 모재 투입통(460)의 충심축(A)에 대한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제고한다.
또한, 상기 드럼(100)의 하부영역은 원통형이며, 상기 드럼(100)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드럼(100)의 하부영역의 연장선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투입공간(14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공간(140)의 상단부는 상기 모재 투입통(460)의 하단부의 일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재 투입통(460)의 중심축(A)과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축(B)은 이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400)의 개방된 상측면을 통해 삽입 가능한 푸셔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셔부(500)의 측면에는 오목하게 파여진 칼날 수용부(521)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 수용부(521)의 하단에는 오목하게 파여진 모재 수용부(52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 수용부(521)의 상부면은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셔부(500)의 상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탁 돌출부(542)가 위치하고 모재 투입통(460)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탁 돌출부(542)가 삽입되는 결탁 홈(462)이 위치하며, 상기 결탁 홈(462)의 너비는 상기 결탁 돌출부(542)의 너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재 안내부(450) 내측에 안내리브(41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재 투입통(460) 내측에 칼날(461)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드럼(100) 하부에 위치하는 몸체(300); 및 상기 몸체(300)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바닥부(600)를 더 포함하는 주서기를 제공하나.
또한, 상기 몸체(300)는 내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위치하며, 상기 바닥부(600)에는 상기 상부 지지대(310)에 연결되는 하부 지지대(6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300)는 상기 드럼(100)의 상기 투입 공간(140)의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립체 받침부(3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는 착즙날(251)이 스크류 형식으로 외부에 부착되는 조립체 상부(250); 및 상기 조립체 상부(250) 내측에 위치하며 메쉬망(276)이 구비된 조립체 하부(270)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서기의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는,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 외측에 위치하며 메쉬망을 구비한 메쉬망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큰 과일이나 야채 등의 모재가 넓은 투입구를 지나 모재 안내부 및 드럼의 돌출된 모양에 의해 형성되어 위치하는 투입공간으로 직투입이 가능하며, 푸셔부의 모양에 의해 푸셔부를 모재 투입통에 삽입할 시에 모재의 말려들어가는 정도를 바로 알아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모재 투입통의 칼날 및 모재 안내부의 안내 리브에 의해 편리하게 절삭되어 모재를 전처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모재가 칼날에 의해 전처리되어 안내 리브를 따라 투입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하강하므로 푸셔부를 지속적으로 힘으로 눌러줄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의 하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주서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및 이를 수용하는 드럼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셔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한 원리가 주서기 이외의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 착즙 스크류 조립체가 구비된 다른 기기에도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주서기의 구성의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주서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는, 상측면이 개방된 전처리부(400) 및 전처리부(400)의 개방된 상측면을 통해 삽입 가능한 푸셔부(500)와 전처리부(400) 하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드럼(100),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드럼(100)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300), 몸체(300)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부(6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드럼(100)과 스크류 조립체(200)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로 지칭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전처리부(4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주서기는 전처리부가 없어 사용자가 과일이나 야채 등의 모재를 투입할 때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랐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부(400)는 드럼 덮개부(440), 모재 안내부(450) 및 모재 투입통(460)을 구비하며, 모재 투입통(460)은 상부가 소정의 큰 직경을 가진 실질적인 원통 형상이며, 내측에 칼날(461)이 구비되어 이러한 번거로움 없이 사과와 같은 단단한 과일 등의 모재를 절삭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재를 절삭하는 칼날(461)은 모재 투입통(460)의 내측에 고정되어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삼각뿔의 모양이다. 둥근 형상인 과일이나 야채의 모재를 고려하여 투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이 절삭 효율을 위해 바람직하다. 칼날(461)이 삼각뿔의 모양을 가짐으로써 모재가 절삭되면서 투입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통과한다.
또한, 칼날(461)의 절삭 효율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고려하여 날의 두께와 날카로운 정도는 사람의 손이 닿았을 때 다치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461)의 양면이 이루는 각도(미도시)를 약 45도에서 50도 사이로 하여 과일과 같은 모재는 효율적으로 절삭하되, 사람에게는 안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인 칼날보다 무디게 제조된다. 이때, 칼날(461)이 스크류 조립체(200) 상부에 있어 주서기의 동작 중에 손이 스크류 조립체(200)에 닿지 못하도록 막아주므로 안전성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칼날 모양은 삼각뿔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경사진 칼날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모재 안내부(450) 및 드럼 덮개부(44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모재 투입통(460)의 하측에 구비된 모재 안내부(450)는 안내 리브(451)를 구비한다. 모재 안내부(450)는 모재 투입통(460)의 중심축(A)에 대한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이때, 칼날(461)에 의해 절삭된 모재가 안내 리브(451)를 따라 자연스럽게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하고,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하면서 모재를 남김없이 착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모재 안내부(450) 내측에 위치하는 안내 리브(451)에 의한 모재의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인하여 푸셔부(500)로 모재를 지속적으로 힘으로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없게 된다.
또한, 드럼 덮개부(440)의 하측에 모재 투입통(460)의 중심축(A)과 이심이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축(210)과 동심인 축(B)의 선상에 축공(442)이 위치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의 상부 회전축(211)이 삽입 가능하다. 드럼 덮개부(440)의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모재가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력에 의해 더 균형있게 효율적으로 착즙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부(400)는 그 하부가 드럼(100)의 상부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드럼(10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드럼 덮개부(440) 및 모재 투입통(460)의 하부 가장자리에 상부 연결부(441)가 위치하여 드럼(100)의 하부 연결부(141)와 연결되어 결합된다.
도 4 및 8을 참조하여 푸셔부(5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푸셔부(500)는 칼날 수용부(521)를 구비하여 푸셔부(500)가 모재 투입통에(460)에 삽입되면서 푸셔부(500)와 칼날(461)이 충돌하지 않고, 투입된 모재가 더 효율적으로 절삭될 수 있도록 돕는다. 칼날 수용부(521)의 하측에는 오목하게 파여진 모재 수용부(520)를 포함하며, 모재 수용부(520)의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은 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사과와 같이 구면을 가진 단단한 모재 등을 수용하기 더 효과적이다.
칼날 수용부(521)는 푸셔부(500)의 하면 및 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푸셔부(500)가 전처리부(400)에 삽입될 때, 전처리부(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결탁 홈(462)이 푸셔부(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결탁 돌출부(542)과 연결되며 결탁 홈(462)의 너비가 결탁 돌출부(542)의 너비보다 큼으로써 결탁 돌출부(542)가 결탁 홈(462)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푸셔부(500)가 모재 투입통(460)에 삽입된 후, 푸셔부(500)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기 설정된 만큼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 모재가 칼날(461)에 의해 더 효율적으로 절삭되어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모재의 잘린 조각이 칼날(461)과 칼날 수용부(521) 사이에 끼어 재밍(jamming)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푸셔부(500)를 누르는 힘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푸셔부(500)의 상부에 푸셔 그립(513), 푸셔 리브(510), 및 상부 기준(514)이 구비되어 각각 사용자가 푸셔부(500)를 잡기 용이하게 하며, 푸셔부(500)의 이동을 가시화시키고, 전처리부(400)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기준(464)과 정렬되었을 때가 시작 자세임을 나타내어, 사용에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칼날 수용부(521)의 상부면은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푸셔부(500)를 전처리부(40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칼날(461)과의 충돌을 방지하며, 칼날 수용부(521)의 상부면이 칼날(461)과 만났을 경우에, 상부면의 경사진 형상에 의해 푸셔부(500)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으며, 절삭된 모재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상으로 자유낙하 하여 푸셔부(500)를 지속적으로 힘을 주어 누르지 않아도 된다.
다음, 도 3, 4 및 7을 참조하여 드럼(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드럼(100)의 하부영역은 원통형의 용기 구조로서, 드럼(100)의 상부영역에는 드럼(100)의 하부영역의 연장선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투입공간(140)이 위치한다. 투입공간(140)은 모재 투입통(460)의 중심축(A)에 대한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된 안내 리브(451)와 대응하는 형상이다. 안내리브(451), 스크류 조립체(200) 및 투입공간(140)의 상호작용에 의해 모재는 투입 후 전부 착즙이 될 수 있도록 이동한다. 드럼(100)의 상단부는 모재 투입통(460)의 하단부의 일부에 연결되며, 이때 투입공간(14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투입 후면(142)은 경사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모재가 자연스럽게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하여 착즙된다.
드럼(100)의 하측에는 드럼(100) 내부 바닥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턱(110), 안내턱(110)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홈(111), 내측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홈(112), 찌꺼기 유동관(121), 착즙물 유동관(131)이 구비된다.
제 1 가이드 홈(111)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안내턱(110)의 외측에 안내턱(1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가이드 홈(111)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찌꺼기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홈(112)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안내턱(110)의 내측에 안내턱(1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가이드 홈(112)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착즙물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찌꺼기 유동관(121) 및 착즙물 유동관(131)은 각각 찌꺼기 배출공(미도시) 및 착즙물 배출공(미도시) 연통하여 드럼(100)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찌꺼기 및 착즙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즉, 모재가 스크류 조립체(2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전력에 의하여 착즙물과 찌꺼기로 구분되는데, 착즙물은 후술하는 메쉬망(276)을 통과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유동한 후, 제 2 가이드 홈(112)을 따라 유동하다가 착즙물 배출공(미도시) 및 착즙물 유동관 (131)을 통하여 주서기 외부로 배출되며, 찌꺼기는 메쉬망(276)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부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 후, 제 1 가이드 홈(111)을 따라 유동하다가 찌꺼기 배출공(미도시) 및 찌꺼기 유동관(121)을 통하여 주서기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한편, 찌꺼기 유동관(121)에는 착즙 초기에 찌꺼기가 한번에 배출됨으로써 착즙율 손실을 막을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찌꺼기가 누적되어야 찌꺼기 유동관(121)을 개방하는 기능을 하는 탄성의 패킹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4를 참조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스크류 조립체(200)는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로 이루어진다.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를 관통하도록 그 중앙에 회전축(210)이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에 의하여 회전력이 회전축(210)에 전달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하여 모재를 착즙한다.
조립체 상부(250)의 외부면에는 착즙날(251)이 구비된다. 착즙날(251)은 스크류 형식으로 구비되어, 착즙대상물이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투입되면 착즙날에 의하여 분쇄 및 압착 작용이 이루어져서 착즙물과 찌꺼기로 분리되며, 분리된 착즙물과 찌꺼기는 스크류 형식의 착즙날(251)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다.
조립체 하부(270)의 외부면에는 착즙 리브(271)가 구비된다. 착즙 리브(271)는 드럼(10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착즙대상물의 분쇄 및 압착 작용을 돕는다.
여기에서, 착즙 리브(271)는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의 장착시 착즙날(251)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적으로 이어져야, 조립체 상부(250)에서의 착즙대상물 또는 착즙물 또는 찌꺼기가 스크류 형식의 착즙날(251)과 착즙 리브(271)를 타고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립체 하부(270)의 몸체는 다수의 개구부가 존재하는 하부 바디(275)와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메쉬망(276)을 포함한다.
하부 바디(275)는 조립체 하부(270)의 형태를 유지하는 뼈대 기능을 하며, 메쉬망(276)은 다수의 홀을 통하여 착즙물만 통과시키고 찌꺼기는 통과시키지 않는 기능을 한다. 메쉬망에 의하여, 스크류 조립체(200) 외부에서 분리된 착즙물과 찌꺼기가 메쉬망(276)을 경계로 구분됨으로써 제 1 가이드 홈(111)과 제 2 가이드 홈(112)으로 구분되어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되는 망의 종류는 제시된 메쉬망(276)뿐만 아니라, 메쉬망(276)의 홀의 크기나 모양이 상이한 다른 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및 4를 참조하여 몸체(300) 및 바닥부(6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300)는 내부에 모터와 같은 구동부를 포함하며,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미도시)가 몸체(300) 외면에 배치된다. 회전부재는 각형축(미도시)을 구비하며, 각형축(미도시)이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부에 위치한 회전축(210)에 형성된 축공(212)에 삽입되고 체결되어 회전축(210)을 회전시키고, 회전축(210)을 둘러싸는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한다.
몸체(300) 저면에는 몸체와 결합되어 지지하는 바닥부(600)가 위치한다. 몸체는 내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위치하며, 바닥부(600)에는 상부 지지대(310)에 연결되는 하부 지지대(61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10) 및 하부 지지대(610)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로부터 몸체(300)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주서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몸체(300)는 그 상부가 드럼(100)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드럼(100)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드럼(100)의 투입 공간(140)의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립체 받침부(340)가 위치하여, 주서기의 전체적인 균형을 잡아주고, 푸셔부(500)로 모재를 전처리부(400)로 가압할 때에도 착즙 스크류 조립체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2. 주서기(500)의 동작 과정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서기의 스위치(미도시)를 켜서 주서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몸체(300) 내부의 구동부가 작동되고, 이에 구비된 각형축(미도시)이 회전하여 각형축(미도시)과 연결된 회전축(210)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회전축(210)의 회전에 따라 이에 결합된 스크류 조립체(200)가 드럼(100) 내에서 회전하며 주서기의 동작이 개시된다.
주서기가 동작되면 상기 전처리부(400)에 모재가 주입되고, 주입된 모재는 칼날(461)에 도달한다. 칼날(461)이 삼각뿔의 모양을 가짐으로써 모재가 절삭되면서 투입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통과한다.
모재가 전처리부(400)의 칼날(461)에 도달했을 때 푸셔부(500)를 전처리부(400)에 삽입하여 모재가 절삭된다. 칼날 수용부(521)의 하측에 오목하게 파여진 모재 수용부(520)가 모재에 작용하는 힘과 사용자가 푸셔부(500)에 작용시킬 수 있는 회전력에 의해 모재가 칼날(461)에 밀려 더 효과적으로 절삭된다.
전처리부(400)에서 모재가 절삭되어 벌어지면 모재 안내부(450)의 안내 리브(451)에 의해 드럼(100)의 투입 공간(140)을 지나 투입 후면(142)의 경사를 따라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한다. 이때, 절삭된 모재가 스크류 조립체(200)에 자연스럽게 도달하므로 푸셔부(500)를 지속적으로 눌러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스크류 조립체(200)에 의해 분쇄 및 압착되어 착즙물과 찌꺼기로 구분되는데 착즙물과 찌꺼기 모두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부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다.
착즙물이 메쉬망(276)에 이르면 메쉬망(276)을 통과하여 스크류 조립체(200) 내측에서 하방으로 유동함으로써 제 2 가이드 홈(112), 착즙물 배출공(미도시) 및 착즙물 유동관(1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찌꺼기가 메쉬망(276)에 이르면 메쉬망(276)의 홀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유동함으로써 제 1 가이드 홈(111), 찌꺼기 배출공(미도시) 및 찌꺼기 유동관(1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착즙물과 찌꺼기가 구분되어 배출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드럼
110: 안내턱
111: 제 1 가이드 홈
112: 제 2 가이드 홈
121: 찌꺼기 유동관
131: 착즙물 유동관
140: 투입공간
141: 하부 연결부
142: 투입 후면
200: 스크류 조립체
210: 회전축
211: 상부 회전축
212: 축공
250: 조립체 상부
251: 착즙날
270: 조립체 하부
271: 착즙 리브
275: 하부 바디
276: 메쉬망
300: 몸체
310: 상부 지지대
340: 조립체 받침부
400: 전처리부
440: 드럼 덮개부
441: 상부 연결부
442: 축공
450: 모재 안내부
451: 안내 리브
460: 모재 투입통
461: 칼날
462: 결탁 홈
464: 하부 기준
500: 푸셔부
510: 푸셔 리브
513: 푸셔 그립
514: 상부 기준
520: 모재 수용부
521: 칼날 수용부
542: 결탁 돌출부
600: 바닥부
610: 하부 지지대

Claims (15)

  1. 중공의 드럼(100);
    상기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상기 드럼(100) 상부에 위치하며, 상측면이 개방된 전처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400)는 모재가 투입되는 모재 투입통(460) 및 상기 모재 투입통(460)의 하측에 구비된 모재 안내부(450)를 포함하며, 상기 모재 안내부(450)는 상기 모재 투입통(460)의 중심축(A)에 대한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착즙 스크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100)의 하부영역은 원통형이며, 상기 드럼(100)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드럼(100)의 하부영역의 연장선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투입공간(140)이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공간(140)의 상단부는 상기 모재 투입통(460)의 하단부의 일부에 연결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 투입통(460)의 중심축(A)과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축(B)은 이심인,
    착즙 스크류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400)의 개방된 상측면을 통해 삽입 가능한 푸셔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셔부(500)의 측면에는 오목하게 파여진 칼날 수용부(521)가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수용부(521)의 하단에는 오목하게 파여진 모재 수용부(520)가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수용부(521)의 상부면은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면인,
    착즙 스크류 조립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500)의 상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탁 돌출부(542)가 위치하고 모재 투입통(460)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탁 돌출부(542)가 삽입되는 결탁 홈(462)이 위치하며, 상기 결탁 홈(462)의 너비는 상기 결탁 돌출부(542)의 너비보다 큰,
    착즙 스크류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 안내부(450) 내측에 안내리브(410)가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 투입통(460) 내측에 칼날(461)이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11.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는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드럼(100) 하부에 위치하는 몸체(300); 및 상기 몸체(300)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바닥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300)는 내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위치하며, 상기 바닥부(600)에는 상기 상부 지지대(310)에 연결되는 하부 지지대(610)를 포함하는,
    주서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0)는 상기 드럼(100)의 상기 투입 공간(140)의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립체 받침부(340)를 포함하는,
    주서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는,
    착즙날(251)이 스크류 형식으로 외부에 부착되는 조립체 상부(250); 및
    상기 조립체 상부(250) 내측에 위치하며 메쉬망(276)이 구비된 조립체 하부(270)를 포함하는,
    주서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는,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 외측에 위치하며 메쉬망을 구비한 메쉬망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주서기.

KR1020140024245A 2014-02-28 2014-02-28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KR20150102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45A KR20150102414A (ko) 2014-02-28 2014-02-28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45A KR20150102414A (ko) 2014-02-28 2014-02-28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14A true KR20150102414A (ko) 2015-09-07

Family

ID=5424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245A KR20150102414A (ko) 2014-02-28 2014-02-28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4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027B1 (ko) * 2021-10-27 2023-03-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WO2023075037A1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027B1 (ko) * 2021-10-27 2023-03-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WO2023075037A1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US8869686B2 (en) Devices and methods to disintegrate foods
KR200483171Y1 (ko)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압착 유형 주스 추출기
RU2594966C2 (ru) Сепаратор перетирающего действ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отделения фруктового или овощного сока от фруктовой или овощной мякоти
KR101858127B1 (ko)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80057480A (ko)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102414A (ko)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JP2015533605A (ja) 柑橘系果物からジュースを搾り出すための柑橘系果物圧搾装置及び方法
KR20150019124A (ko) 청소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170618B1 (ko) 과일분쇄장치
KR102452432B1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257330B1 (ko)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CN210520741U (zh) 一种榨汁机及其下料装置
KR20140101171A (ko) 상향식 착즙 구조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094101A (ko) 전처리 칼날을 구비한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KR20120012039A (ko)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70033141A (ko) 채소 분쇄장치
KR102239344B1 (ko)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KR200397272Y1 (ko) 핸드 쥬서기
KR101510998B1 (ko) 착즙용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는 하우징
KR20130142497A (ko) 다기능 커터기
KR102257333B1 (ko) 회전가능한 일체형 구조를 가진 커버
KR102261630B1 (ko) 탈착식 안전 투입장치
KR102466894B1 (ko) 양파 전용 생즙기
CN212566413U (zh) 一种带榨汁功能的刨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