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649A -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 - Google Patents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649A
KR20150099649A KR1020140020503A KR20140020503A KR20150099649A KR 20150099649 A KR20150099649 A KR 20150099649A KR 1020140020503 A KR1020140020503 A KR 1020140020503A KR 20140020503 A KR20140020503 A KR 20140020503A KR 20150099649 A KR20150099649 A KR 20150099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n film
roll
zinc
film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034B1 (ko
Inventor
조규진
표명호
송인욱
이빛나
김규한
정민훈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파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0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2Alloys based on zin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6Electrodes for primary cells
    • H01M4/0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0Printed batteries, e.g. thin fil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투롤 그라비아 장비의 공정을 통한 대량 고속 생산과 롤투롤 양면 아연 도금을 이용한 양면 전극기술로 다양한 1회용 전자소자에 적용 가능한 박막전지의 제조와 그 박막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금속 포일을 기반으로 롤투롤 그라비아 도금 장비의 기술을 이용한 음극 순수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 1 양태이며, PET 혹은 PT Film을 기반으로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 장비를 이용하여 인쇄 기술을 이용한 양극 이산화망간층을 형성하는 제 2 양태이며, 알칼리 유기 폴리머 전해질과 분리막을 2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인쇄하여 접합하는 제 3 양태로 나뉜다.

Description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 {Thin film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투롤 그라비아 장비의 공정을 통한 대량 고속 생산과 롤투롤 양면 아연 도금을 이용한 양면 전극기술로 다양한 1회용 전자소자에 적용 가능한 박막전지의 제조와 그 박막전지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배터리의 모습은 점점 부피가 작아지면서 고성능의 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전지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전자기기들의 크기도 작고 휴대하기 편리하게 적용이 되고 있지만, 전지 부피의 한계로 인해 전자기기의 크기에서 한계가 생기며, 전지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비용이 매우 많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박막전지는 얇은 기판에 수 나노미터(nm)에서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다양한 공정을 이용하여 적층으로 형성되지만, 유연한 상태에서 물질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저비용과 간단한 공정으로 대량생산에 적합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박막전지는 얇은 필름을 기반으로 제조됨으로써 내구성이 약하여 액체 전해액이 쉽게 누설될 수 있으며, 전해액의 누설로 인해 다른 외부 물질에 영향을 주어 박막전지뿐만 아니라 외부 전자기기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최근 박막전지는 다양한 제조방법으로 개발이 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증착 방식으로 박막전지가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증착 방식은 초기 비용 및 관리 비용이 매우 크며, 시간을 매우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빠른 생산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번호 제10-1197199호(2012년10월29일) 한국 공개번호 제10-2011-0137671호(2011년12월23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금을 진행하며, 롤투롤 그라비아 장비를 이용하여 빠른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재료를 잉크화하여 별다른 공정없이 인쇄기술만 필요로 하기 때문에 초기 비용 및 관리 비용을 큰 폭으로 절감할 수 있고, 작은 규모의 공간에서 빠른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롤투롤 도금과 그라비아 장비의 장점인 공정의 간소화, 저비용, 빠른 생산이 가능한 기술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플렉시블한 박막 전지가 지닌 소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롤투롤 아연 도금 기술을 이용해 아연을 플라스틱 또는 금속 포일에 도금한 후 이를 전지 중앙의 음극 물질로 사용하고 동시에 전지가 직렬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용량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금을 진행하며, 롤투롤 그라비아 장비를 이용하여 빠른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모든 재료를 잉크화하여 별다른 공정없이 인쇄기술만 필요로 하기 때문에 초기 비용 및 관리 비용을 큰 폭으로 절감할 수 있고, 작은 규모의 공간에서 빠른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전지용 음극 제조에 사용되는 롤투롤 도금 장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박막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전지용 양극의 제조공정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전지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박막전지의 출력전압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의 도면에서 막(층) 또는 영역들의 크기 또는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발명은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 장비와 롤투롤 도금 장비의 장점을 접목한 새로운 방식의 공정과 양면 양극을 이용한 직렬형 전지구조로 고성능 박막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박막전지의 구조는 음극(anode), 양극(cathode), 전해질(electrolyte), 전극(electrode)으로 구분된다.
박막전지는 각 물질들의 작은 영향에도 전지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박막전지의 각 물질들은 순도가 높은 고체 상태에서 제조가 되나, 이러한 고체 상태의 박막전지 제조는 소형화 및 경량화, 플렉시블화 등에 어려움이 생긴다.
박막전지는 박막의 표면에 수 나노미터(nm)에서 수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공정들이 있으나, 가장 빠르고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공정이 도금 공정과 인쇄 공정이다.
이 두 가지의 공정은 빠른 시간에 손쉽게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 저가형, 대량화 생산에 적합하다.
하지만, 인쇄 공정에 필요한 전자잉크 제조 과정에서 고분자의 함량에 의한 저항의 증가로 인해 전지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박막전지의 공정은 주로 증착에 의해 공정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금 공정과 인쇄 공정을 접목시켜 박막전지를 제조하여 그 효율을 상승시켰다.
먼저, 박막전지용 음극의 제조를 위한 제1양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수 아연 전기도금을 위한 도금 공정으로 아연 금속을 양극 기판(1),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 기판을 음극 기판(2)으로 사용하고, 전기 도금액(3)으로 황화물욕, 염화물욕 또는 이들의 혼합욕을 사용한다.
박막전지의 유연함을 위해 15㎛ 두께의 구리 포일 기판을 사용하고, 전력 공급 장치를 이용해 30㎛의 순수아연 도금층을 양면으로 형성하여 총 75㎛의 두께로 면저항 1Ω/sq 미만인 박막전지의 플렉시블한 음극 기판(2)을 제조한다.
순수아연 전기도금액(3)의 조성은 증류수를 용매로 주재료인 염화아연을 첨가하고 전도보조제로 염화암모늄, 염화칼륨, 염화칼슘을 첨가한다.
또한, 주재료인 아연은 상기 염화아연뿐만 아니라 황산아연, 수산화아연, 아연산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고, 전기 도금액 1L 중에서 아연 금속의 농도는 10 ~ 100g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음극 기판 금속 포일 기판 대신에 전기전도성 고분자 PEDOT:PSS, 고분자 아닐린, 고분자 피롤, 또는 탄소나노미터튜브 및 그라핀 등이 코팅된 도전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착화제로는 안식향산이 첨가되며, 표면 개선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1500g/mol)이 첨가되어 표면의 순수 아연층의 도금 상태를 밀도있게 형성하고 45㎛의 두께를 얻는다.
박막전지용 양극의 제조를 위한 제2양태로서,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 공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T 또는 PI 필름의 기판(8)이 사용되고, 초기 전극으로 전도성 탄소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탄소 전극(9)을 형성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소 전극 위에 그래파이트와 탄소가 함유된 층을 인쇄하여 두 번째 전극(10)을 형성한다.
이때 첫 번째 층(탄소 전극)의 면저항은 55Ω/sq로써 이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래파이트가 함유된 잉크를 인쇄함으로써 두 번째 전극(10)은 34Ω/sq 정도의 면저항으로 감소한다.
또한, 상기 탄소 전극(9) 형성시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가운데를 중심으로 반분되게 형성하되,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박막전지의 출력 전류를 높이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전극(9)의 접촉 단자 부분에는 저항이 1Ω/sq 미만인 은(Ag) 함유 잉크를 인쇄하여 은 함유 잉크층(11)을 형성한다.
완성된 양 전극에 평균 크기가 0.1 ~ 30um인 이산화망간 입자 50 ~ 90wt%와, 용매(증류수) 10 ~ 50wt%와, 고분자바인더(Poly ethylene oxide) 1 ~ 10wt% 사용하여. 제조된 점도 200 ~ 10,000cp 이산화망간 잉크를 이용하여 전극의 표면에 인쇄하여 네 번째 층을 형성한다.
기존의 박막전지는 인쇄 기술에 필요한 잉크 제조 과정에서 바인더 역할을 하는 고분자를 첨가하여 생긴 저항에 의해 전지의 효율이 많이 감소하는 어려움에 의해 주로 증착 방식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염화암모늄이온 농도가 1 ~ 10M이고, 염화아연 농도가 0.5 ~ 3M기 되도록 PEO(Poly ethylene Oxide) 2 ~ 20g에 용매 30 ~ 90mL를 혼합하여 제조한 젤 형태의 이온잉크(전해질) 사용으로 이온 전달에 효과적인 고분자를 사용하여 박막전지의 효율 감소를 최소화한다.
인쇄 후 추가적인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되지만, 100℃ 이하의 건조 과정으로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기존의 전해질은 액체 상태로 전지의 사용에 있어서 노화현상에 전해질이 누설되는 현상은 배터리의 성능 감소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악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액체상태의 전해질을 고분자를 이용해 점도가 1000cP 이상의 겔(Gel) 상태의 전해질을 제조하여 전해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전지의 손상에 따른 전자기기의 영향이 없도록 제조된다.
또한, 박막전지의 유연한 사용에 있어 별도의 유기질 분리막을 사용하여 유연한 상태에 따라 양극이 접촉되지 않아 박막전지의 효율 감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투롤 그라비아 도금 과정의 음극 기판(2)은 15㎛ 두께의 구리 포일 기판이 사용되고, 양극 기판(1)은 아연 금속이 사용된다.
순수 아연 전기 도금의 과정은 양면을 각각 15㎛ 이상의 두께로, 총 45㎛ 이상의 순수 아연 전기도금 두께가 형성된다.
이러한 도금 과정 중 전기 도금액(3)은 50℃의 온도와 1.5A의 전류 값으로 20분간 도금이 진행된다.
이때 순수 아연 전기도금의 두께가 15㎛ 미만인 기판은 박막전지의 성능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소 15㎛ 이상의 도금층을 형성한다.
순수 아연 전기 도금액의 조성은 용매로 사용된 증류수 1L에 주재료인 염화아연(≥98%, SigmaAldrich, USA) 120g을 첨가하고, 전도 보조제로 염화 암모늄(99%, SigmaAldrich, USA) 15g, 염화칼륨(99%, DAEJUNG, Korea) 24g, 염화칼슘(90%, SHOWA, Japan) 30g을 첨가한다.
추가로 착화제로 안식향산(99%, SigmaAldrich, USA) 0.06g 첨가하고, 표면 개선제로 Poly(ethylene glycol)(PEG)(Mn 1500, SigmaAldrich, USA) 6g이 첨가된다.
이때, 도금 후 표면 저항값이 1Ω/sq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 과정의 기판은 50㎛ 두께의 poly(ethylene terephtalate)(PET) 포일 기판(8)이 사용되고, 첫 번째 단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페이스트(DC20 Dozentech, Korea)를 7㎛의 두께로 인쇄하고, 공정의 끝에는 건조실에서 100℃의 온도에 30초간 건조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첫 번째 인쇄층(9)의 면저항 값은 55Ω/sq 이였다.
두 번째 인쇄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저항 감소를 위하여 탄소 페이스트(DC20 Dozentech, Korea) 5g과 그래파이트 (KS6L TIMCAL, USA) 1.5g을 섞고, 점도 조절을 위해 에틸 카비톨 아세테이트(98% DAEJUNG, Korea) 5g을 섞어 잉크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잉크를 6㎛ 두께로 인쇄하고, 공정의 끝에 건조실에서 100℃의 온도에 30초간 건조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두 번째 인쇄층(10)의 면저항 값은 34Ω/sq 이였다.
세 번째 인쇄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켜 출력되는 전류의 값을 크게 하기 위한 부분으로 두 번째 인쇄층에서 출력이 될 부분만, Ag 잉크(PG007 Paru Co, Korea)를 이용하여 인쇄층을 형성한다.
세 번째 인쇄층(11)의 두께는 10㎛로 면저항 값은 0.05Ω/sq 이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양극층(7)을 형성하되, 두께 600 ~ 1000nm, 면적 5 ~ 25㎠로 균일하게 인쇄할 수 있도록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롤 제판의 망점(網點; 인쇄물에 찍히는 그물코 모양의 작은 점)을 사선 라인으로 제조한다.
박막전지의 양극 물질인 전해이산화망간(91% REDSTAR, China) 10g과 그라파이트(KS6L TIMCAL, USA) 1.5g을 섞어 입자의 크기가 5㎛ 미만이 되도록 갈아준다.
알칼리 유기 폴리머 전해질은 증류수 1L에 5몰 농도의 염화암모늄(≥99.9% SigmaAldrich, USA)과 1.1몰 농도의 염화아연(≥98% SigmaAldrich, USA)을 섞은 후, 이온 전도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oxide)(Mv 100,000 SigmaAldrich, USA) 8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겔(Gel)상태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양극층(7)과 전해질층이 따로 분리되어 인쇄가 되면 표면 저항에 의해 박막전지의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전해이산화망간과 그래파이트를 섞은 파우더를 알칼리 유기 폴리머 전해질 8g을 섞어 잉크를 제조한다.
제조된 잉크를 양극층(7)이 인쇄된 표면에 네 번째 인쇄층 즉, 전해 이산화망간층(6)을 형성하되, 그 위치는 양끝의 5cm x 5cm 면적으로 한 부분은 하단 부분의 양극을 형성하고, 또 다른 한 부분은 상단 부분의 양극을 형성하며, 그 두께는 100㎛이다.
즉 전해 이산화망간층(6)을 길이방향 가운데를 중심으로 2개로 분리하여 서로 이격되게 형성한다.
네 번째 인쇄층 즉. 전해 이산화망간층(6)에서는 별도의 건조 과정이 없이 마르지 않는 상태에서 진행한다.
다섯 번째의 단계에서는 플렉시블에 따른 음극층(4)과 양극층(7)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질의 분리막층(5)을 사용하여 건조되지 않는 분리된 전해 이산화망간층(6)의 위에 적신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분리막층(5)은 평량지(WP100 Korea Material Scientific, Korea)를 사용하며, 평량지의 두께는 30㎛이다.
평량지와 순수 전기아연 도금층 즉, 음극층(4)의 원활한 접촉을 위해 적셔진 평량지 즉 분리막층(5) 위에 추가적으로 약간의 겔 상태의 전해질을 뿌려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전지의 접합을 위한 접착제(12)를 도포하는 단계로 박막전지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접착이 가능한 물질이면 모두 가능하고, 본 발명에서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하되, 그 위치는 양극층(7)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으로 이용하게 될 부분의 테두리 부분으로 도포한다.
박막전지를 완성하는 단계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의 하단 부분으로 이용하게 될 부분의 분리막층(5) 위에 순수 아연전기도금 포일 즉, 음극층(4)을 올려놓고, 양극층(7)과 필름 기판(8)을 반으로 접어 다른 한 면의 양극을 음극층(4)의 위에 덮어준다.
그리고 테두리 부분의 접착제(12) 부분을 완벽하게 접착하여 박막전지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와 같이 음극층(4)의 상하로 분리막층(5), 전해 이산화망간층(6), 양극층(7), 필름 기판(8)을 위치시키되, 상하 양극층(7)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한 개의 인쇄 박막전지 내부에 두 개의 박막전지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가 갖는다.
도면에서는 전해 이산화망간층이 같이 형성되어 있으나, 전해질층과 이산화망간층을 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완성된 박막전지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도 9와 같은 갈바노스탯(Galvanostat) 장비를 이용하여 음극단자와 양극단자를 각각 연결 후 전압을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표 1에 제시되었듯이 박막전지의 출력 전압은 1.7V 이상으로 기존의 1차 전지에 비해 높은 출력 전압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류를 3mA로 설정 후, 박막전지 용량(Milliampere hour(mAh))은 측정한 결과는 표 2에 제시한다.
Figure pat00002
표 2에 제시되었듯이 박막전지의 측정 용량은 평균 150mAh의 용량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롤투롤 그라비아 도금 기술과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 기술을 접목시킨 일차 박막전지는 기존의 박막전지에 비해 출력전압과 용량이 크기 때문에 박막전지의 적용 범위를 더욱 크게 확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양극 기판 2: 음극 기판
3: 전기 도금액 4: 음극층
5: 분리막층 6: 전해 이산화망간층
7: 양극층 8: 필름 기판

Claims (12)

  1. 음극 기판을,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을 이용하여 두 개의 아연 전극이 구비되고 전기 아연 도금액이 충전된 도금조에 통과시켜 음극 기판의 양면에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는 박막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도금층을 5 ~ 50㎛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아연 도금액은 황화물욕, 염화물욕 또는 이들의 혼합욕이고,
    주재료 아연은 황산아연, 염화아연, 수산화아연, 아연산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제조되며,
    상기 전기 아연 도금액 1L 중 아연 금속의 농도는 10 ~ 1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기판은 금속 포일 기판이나 도전성 필름 기판이고, 도전성 필름 기판은 전기전도성 고분자 PEDOT:PSS, 고분자 아닐린, 고분자 피롤, 또는 탄소나노미터튜브 및 그라핀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5.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해 필름 기판 위에 박막전지용 양극을 제조하되,
    상기 필름 기판 위에 전도성 탄소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첫 번째 전극(탄소 전극)을 서로 이격되게 반분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분된 첫 번째 전극 위에 그래파이트와 탄소가 함유된 잉크를 인쇄하여 두 번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두 번째 전극의 접촉 단자 부분에 저항이 1Ω/sq 미만인 은(Ag) 함유 잉크를 인쇄하여 세 번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막전지용 양극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전극의 두께와 면적이 균일하게 인쇄되도록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롤 제판의 망점을 사선라인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전지용 양극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해 반분된 두 번째 전극 위에 연속으로 이산화망간층과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전지용 양극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망간층을 평균 크기가 0.1 ~ 30um인 이산화망간 입자 50 ~ 90wt%와, 용매(증류수) 10 ~ 50wt%와. 고분자바인더(Poly ethylene oxide) 1 ~ 10wt% 사용하여, 제조된 점도 200 ~ 10,000cp의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전지용 양극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을 염화암모늄 이온 농도가 1 ~ 10M이고, 염화아연 이온 농도가 0.5 ~ 3M이 되도록 PEO(Poly ethylene Oxide) 2 ~ 20g에 용매 30 ~90mL를 혼합하여 제조한 젤 형태의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전지용 양극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분된 전해질층 위에 분리막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전지용 양극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의해 필름 기판 위에 서로 반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이산화망간층, 전해질층, 분리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항에 의해 제조된 음극을 반분된 분리막층 중 어느 하나의 분리막층 위에 올려놓는 단계;
    상기 필름 기판과 양극층을 반으로 접어 음극층의 상하로 분리막층, 전해질층, 이산화망간층, 양극층, 필름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전지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의해 제조된 박막전지로서,
    양면 아연 음극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양면 아연 음극의 양면에 전해질층, 이산화망간층, 양극층을 인쇄하여 하나의 인쇄 박막전지 내부에 2개의 박막전지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박막전지.
KR1020140020503A 2014-02-21 2014-02-21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 KR10158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503A KR101589034B1 (ko) 2014-02-21 2014-02-21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503A KR101589034B1 (ko) 2014-02-21 2014-02-21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649A true KR20150099649A (ko) 2015-09-01
KR101589034B1 KR101589034B1 (ko) 2016-01-28

Family

ID=5424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503A KR101589034B1 (ko) 2014-02-21 2014-02-21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2805A (zh) * 2021-08-27 2021-12-10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以及电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7898A (ko) * 2008-11-24 2011-08-31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화학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를 위한 3d 나노구조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137671A (ko) 2010-06-17 2011-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197199B1 (ko) 2011-02-28 2012-11-02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박막전지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박막전지
KR20130075145A (ko) *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태양전지용 철/아연-니켈 기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7898A (ko) * 2008-11-24 2011-08-31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화학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를 위한 3d 나노구조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137671A (ko) 2010-06-17 2011-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197199B1 (ko) 2011-02-28 2012-11-02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박막전지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박막전지
KR20130075145A (ko) *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태양전지용 철/아연-니켈 기판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2805A (zh) * 2021-08-27 2021-12-10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以及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034B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6591B (zh) 一种水系锌离子二次电池及其基于有机电极材料的正极的制备方法
Gaikwad et al. A flexible high potential printed battery for powering printed electronics
US9892870B2 (en) Charge storage devices containing carbon nanotube films as electrodes and charge collectors
Gaikwad et al. Highly flexible, printed alkaline batteries based on mesh‐embedded electrodes
US20110183203A1 (en) Polymer supported electrodes
US10593945B2 (en) Printed planar lithium-ion batteries
Kim et al. High performance flexible double-sided micro-supercapacitors with an organic gel electrolyte containing a redox-active additive
US20120276434A1 (en) Highly flexible printed alkaline batteries based on mesh embedded electrodes
KR100812063B1 (ko) 고전자 전도성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고용량/고출력 전기에너지 저장 소자
KR20020077341A (ko) 전기화학적 구조 소자용 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Aliahmad et al. Poly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polymer electrolyte for paper-based and flexible battery applications
JP2007329004A (ja) 双極型電池用電極
JP2012502416A (ja) アノードおよびアノードの作製方法
TW201616717A (zh) 可充電電池
JP2020009764A (ja) グリッド集電体並びに関連する装置及び方法
KR102155871B1 (ko) 고용량 마이크로 슈퍼커패시터, 고용량 마이크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및 마이크로 슈퍼커패시터용 집전체 형성방법
GB2554367A (en) Flexible supercapacitors and manufacture thereof
CN105340115A (zh) 能量存储的方法和装置
KR101589034B1 (ko) 박막전지용 음극, 양극 제조방법과 박막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박막전지
KR102093967B1 (ko) 폴리설파이드 흡착막, 이를 포함하는 분리막, 리튬-황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93805A (ko)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슈퍼 캐패시터
US10879540B2 (en) Layered structure battery with multi-functional electrolyte
US11335515B2 (en) Capacitive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1008742A1 (en) Alternative polymers for lithium ion primary and secondary batteries
Krebs et al. Printable power storage: batteries and supercapac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