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553A - 지엽류 입출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입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553A
KR20150098553A KR1020140145727A KR20140145727A KR20150098553A KR 20150098553 A KR20150098553 A KR 20150098553A KR 1020140145727 A KR1020140145727 A KR 1020140145727A KR 20140145727 A KR20140145727 A KR 20140145727A KR 20150098553 A KR20150098553 A KR 20150098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paper
feeding
foreign matt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따까 나미까와
히로유끼 우에다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8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지엽류 등에 섞여 투입된 경화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반환할 수 있는 지엽류 입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엽류 입출 장치(10)는, 투입되는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부(50)와, 수납부 아래에 설치되는 이물질 배출부(90)와, 지엽류를 내부에 반송하는 조출부(70)와, 조출부에 설치되는 롤러(72)와, 지엽류를 조출부까지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 부재(52, 54)와, 한 쌍의 이동 부재 중, 롤러를 통과시켜 롤러를 지엽류에 접촉시키기 위한 간극이, 지엽류에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제1 이동 부재(54)와, 제1 이동 부재가 투입 시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지엽류의 이동 경로에 진입하여 제1 이동 부재의 간극을 막고, 제1 이동 부재가 투입 시의 위치로부터 조출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지엽류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는 차폐 부재(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입출 장치{PAPER NOTES INPUT OUTPUT DEVICE}
본 발명은, 자동 거래 장치에 설치되는 지엽류 입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거래 장치(ATM이라고도 칭함)에는, 입금하는 지폐의 투입이나 출금하는 지폐의 배출을 위해, 지폐 입출금부가 설치된다. 지폐 입출금부에는 지폐에 섞여 경화나 클립 등의 소위 이물질이 잘못 투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물질이 지폐 반송용의 기구에 침입하면, 이물질이 반송 기구의 일부에 걸리거나, 혹은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임펠러 등에 말려들어가 블레이드를 파손시켜, 큰 트러블이 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그로 인해, 지폐 입출금부에는 경화 등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기구가 설치되고, 이물질 배출 기구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개량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도 13, 도 14 및 도 15는, 종래의 이물질 배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자동 거래 장치(200)의 외관도의 예이다. 자동 거래 장치(200)의 정면부의 상부를 바라보아 우측에는, 거래용의 자기 카드나 IC 카드를 삽입/배출하기 위한 카드 삽입/배출구(210)가 설치되고, 상부를 바라보아 좌측에는, 통장을 삽입/배출하기 위한 통장 삽입/배출구(212)가 설치된다. 카드 삽입/배출구(210)의 하측에는 지폐를 배출 또는 투입하기 위한 지폐 입출금구(214)가 설치되고, 통장 삽입/배출구(212)의 하측에는 경화 입출금구(216)가 설치된다. 또한, 지폐 입출금구(214) 및 경화 입출금구(216)의 하면에는 조작/표시부(218)가 설치된다. 지폐 입출금구(214)의 내부에 지폐 입출금부(220)가 설치된다.
도 14 및 도 15는 이물질이 입금 반환부 등에 인입되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도 15는 도 13의 자동 거래 장치(200)의 지폐 입출금부(220)를 좌측면에서 본 내부 단면도이다. 도 14, 도 15에서는 이물질 배출 기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4의 (A)는 고객에 의해 지폐(400)가 지폐 입출금부(220)의 수납부(305)에 투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지폐 입출금부(220)의 우측 상부에 수납부(305)가 설치된다.
수납부(305)에는 투입된 지폐(400)를 다발 상태로 조출부(340)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스테이지(310)와 루프(320)가 설치된다. 스테이지(310)와 루프(320)는 지폐(400)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시켜 배치된다. 스테이지(310)와 루프(320)는, P1 방향으로 이동된다.
수납부(305)의 좌측에, 입금된 다발의 지폐(400)를 1매씩 내부에 반송하는 조출부(340)가 설치된다. 조출부(340)는 지폐(400)의 다발을 1매씩 조출하는 조출 롤러(342)와, 조출된 1매씩의 지폐(400)를 자동 거래 장치(200)의 내부에 반송하는 임펠러(344)를 갖는다. 또한, 조출부(340)로 이동된 지폐(400)에 조출 롤러(342)를 접촉시키기 위해, 루프(320)에는 조출 롤러(342)를 통과시키는 간극이 복수 형성된다.
조출부(340)까지 이동되는 지폐(400)의 이동 경로의 하부에, 입금 반환부(350)가 설치된다. 입금 반환부(350)는 입금된 지폐(400)를 보류하고, 하부에 설치된 밀어 올림대(352)에 의해 지폐(400)를 수납부(305)까지 복귀시켜, 고객에게 반환하는 것이다.
입금 반환부(350)의 상부에, 수납부(305)로부터 조출부(340)까지 이동되는 지폐(400)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브릿지(330)가 설치된다. 브릿지(330)는 지폐(400)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입금 반환부(350)로부터 지폐(400)를 수납부(305)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브릿지(330)는 수납부(305)측으로 이동하여, 입금 반환부(350)의 상부를 개방한다.
수납부(305)의 하부에는 지폐에 섞여 투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부(360)가 설치된다. 이물질 배출부(360)는 취득한 이물질을 자동 거래 장치(200)의 전방면에 설치한 반환부(도시하지 않음)로 반환한다. 수납부(305)의 저부에는 지폐(400)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바닥판(370)이 설치된다. 바닥판(370)은 지폐(400)를 지지하면서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부(360)로 낙하시키도록, 지폐(400)를 지지하는 면에 큰 간극이 형성된 부재이다.
도 14의 (B)는 입금 반환부(350)로부터 지폐(400)를 수납부(305)로 되돌리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브릿지(330)는 P2 방향으로 이동하고, 지폐(400)를 적재한 밀어 올림대(352)가 P4 방향으로 이동한다. 지폐(400)의 상승 후, 스테이지(310)와 루프(320)는 지폐(400)를 사이에 두고, P3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폐(400)를 수납부(305)로 되돌린다.
도 14의 (C)는 이물질(500)이 루프(320)의 간극으로부터 조출부(340)나 입금 반환부(350)에 인입되어 버리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루프(320)에 조출 롤러(342)를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이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폐(400)에 섞여 투입된 이물질(500)이 루프(320)의 간극을 통과하여, 조출부(340)에 들어가고, 또한, 브릿지(330)의 간극을 통과하여 입금 반환부(350)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다.
도 14의 (D)는 지폐(400)에 끼인 상태의 이물질(500)이, 지폐(400)가 조출부(340)로 이동하는 도중(P5)에, 브릿지(330)의 간극으로부터 입금 반환부(350)로 낙하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물질(500)이 지폐(400)에 끼인 상태이면, 지폐(400)의 이동 중에, 이물질(500)이 낙하하게 된다.
도 15는 이물질(500)이 입금 반환부(350)에 인입되는 다른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폐(400)가 수납부(305)에 비스듬하게 투입됨으로써, 혼입된 이물질(500)이, 입금 반환부(350)에 인입되어 버리는 경우이다. 도 15의 (A)는 수납부(305)에 비스듬하게 투입된 지폐(400)에 이물질(500)이 끼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B)는 지폐(400)가 스테이지(310)와 루프(320) 사이에 끼워 넣어져, 비스듬한 상태로부터 기립한 상태로 이행하면서 조출부(340)까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납부(305)에서는, 이물질(500)은 비스듬하게 된 지폐(400)에 의해, 이물질 배출부(360)로 낙하시키지 않고, 지폐(400) 속에 저류되어 있다. 그리고, 지폐(400)는 수납부(305)로부터 조출부(340)까지로의 이동 중에, 스테이지(310)와 루프(320) 사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비스듬한 상태로부터 기립한 상태로 변화하므로, 그 도중에, 이물질(500)이 브릿지(330)의 간극으로부터 입금 반환부(350)로 낙하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8-30843호 공보
지폐 등의 지엽류에 혼입된 이물질은, 통상은 투입구 하부에 설치된 이물질 반환부로 낙하시켜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지폐와 지폐 사이 등에 끼워져 있었던 경우는 낙하시키지 않고, 지폐 조출부로 이동한다. 이물질은 이동간에 이물질 반환부 이외의 장소로 낙하시켜 기구를 파손시키거나, 혹은 지폐와 함께 조출되어 내부에서 잼 트러블이 되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그로 인해,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이물질 배출부로 낙하시키는 기구가 요구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지엽류 등에 혼입된 경화 등, 투입된 이물질을 확실하게 반환할 수 있는 지엽류 입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엽류 입출 장치는 고객으로부터 투입되는 지엽류를 수납하고, 상기 지엽류에 섞여 투입되는 이물질을 낙하시키는 간극이 저부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의 저부의 간극으로부터 낙하시킨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부와, 상기 수납부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이동된 상기 지엽류를 내부에 반송하는 조출부와, 상기 조출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출부로 이동된 상기 지엽류에 접촉해서 상기 지엽류를 내부에 반송하는 롤러와, 상기 수납부에 투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끼워 넣어서 상기 조출부까지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 중 상기 조출부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끼워 넣고, 상기 지엽류가 상기 수납부에 투입되는 투입 시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출부까지 이동하는 부재로서, 상기 조출부까지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롤러를 통과시켜 상기 롤러를 상기 지엽류에 접촉시키기 위한 간극이, 상기 지엽류에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1 이동 부재가 상기 투입 시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엽류의 이동 경로에 진입하여 상기 제1 이동 부재의 간극을 막고, 상기 제1 이동 부재가 상기 투입 시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출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엽류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엽류 등에 혼입된 경화 등, 투입된 이물질을 확실하게 반환할 수 있는 지엽류 입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입출 장치를 구비한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의 지폐 반송 관련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지폐 투입 시의 각 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브릿지의 진동에 의한 이물질 낙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투입된 지폐가 수납부로부터 조출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지폐가 조출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지폐 입출금 장치의 3면도이고, 루프와 포크 관련의 부품을 추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의 주된 부재를 분해시켜 배열된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의 주된 부재를 분해시켜 배열된 분해도이다.
도 10은 브릿지와 포크의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캠 롤러의 캠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캠 롤러의 회전각에 따라서 캠 핀이 상하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도의 예이다.
도 14는 이물질이 입금 반환부에 인입되는 종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이물질이 입금 반환부에 인입되는 다른 종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입출 장치를 구비한 자동 거래 장치(ATM이라고도 칭함)(1)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지엽류에는 지폐뿐만 아니라 통장이나 전표나 수표 등이 포함되지만, 이하에서는 지폐를 지엽류의 대표로 한다. 그리고, 지엽류 입출 장치를 대표해서, 지폐 입출금 장치를 예로 하여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자동 거래 장치(1)의 정면의 상부를 바라보아 우측에는, 거래용의 자기 카드나 IC 카드를 삽입 혹은 배출하기 위한 카드 삽입/배출구(150)가 설치된다. 자동 거래 장치(1)의 정면의 상부를 바라보아 좌측에는, 통장을 삽입 혹은 배출하기 위한 통장 삽입/배출구(152)가 설치된다.
카드 삽입/배출구(150)의 하측에는, 지폐를 배출 또는 투입하기 위한 지폐 입출금구(154)가 설치되고, 통장 삽입/배출구(152)의 하측에는 경화를 배출 또는 투입하기 위한 경화 입출금구(156)가 설치된다.
지폐 입출금구(154) 및 경화 입출금구(156)의 하면에는, 조작/표시부(158)가 설치된다. 지폐 입출금구(154)의 내부에 지폐 입출금 장치(10)가 설치된다. 또한, 도 1의 우측 상부에, 다른 도면과의 관계를 규정하는 좌표축을 나타낸다. X방향을 폭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좌우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것으로 한다. Y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전후는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한다. 또한, Z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2는 지폐 입출금 장치(10)를 구비한 자동 거래 장치(1)에 있어서의, 지폐 반송 관련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의 자동 거래 장치(1)를 좌측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지엽류 입출 장치로서, 지폐 입출금 장치(10)를 대표해서 설명한다. 도 2 우측 상부의 좌표축에 의해, 도시한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2 이후에서는 작도의 사정상, 도 1에 비해 지폐 입출금구(154)의 각도를 얕게 표현한다.
자동 거래 장치(1)는 지폐 입출금 장치(10), 반송부(30) 및 보관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입출금 장치(10)는, 도 2에서 보아 자동 거래 장치(1)의 우측면에 설치된다. 지폐 입출금 장치(10)는 지폐 입출금구(154) 내부의 수납부(50)와,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고 반송부(30)로 조출을 행하는 조출부(70)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30)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반송로(32), 반입 반출로(33), 감별부(34), 풀부(36) 등을 갖는다. 반송로(32)는 반송부(30) 내부에서 종횡으로 뒤섞여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32)는, 다수의 롤러와, 그들의 롤러에 걸쳐진 다수의 벨트와, 반송로의 분기점에 배치된 전환 게이트 등으로 구성된다. 반송로(32)는 지폐를 감별부(34)나 풀부(36) 등의 각 부위에 반송시키는 것이다.
감별부(34)는 내부를 통과하는 지폐의 진위, 오염, 코너 접힘 등을 판정하는 것이다. 풀부(36)는 고객에 의해 지폐 입출금 장치(10)에 투입되어 조출부(70)로부터 조출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반송로(32)에는 감별부(34)나 풀부(36) 등이 연결된다. 또한, 반입 반출로(33)는 감별부(34)를 통과한 지폐를 보관부(40)의 지정된 카세트에 반송하는 것이다.
보관부(40)는 자동 거래 장치(1)의 하부에 설치된다. 보관부(40)는 지폐 카세트(42)와 리젝트 박스(44)를 갖는다. 지폐 카세트(42)는 지폐를 보관하는 보관고로, 지폐의 사이즈나 금종 등에 따라서 복수개 설치된다.
리젝트 박스(44)는 파손 등으로 재이용할 수 없는 지폐를 수납하는 보관고이다. 지폐 카세트(42)와 리젝트 박스(44)의 상부에, 각각 반입 반출로(33)가 설치된다. 각 반입 반출로(33)는, 도시하지 않은 전환 게이트를 통하여 반송로(32)에 연결된다. 반입 반출로(33)에 의해, 반송로(32)와 지폐 카세트(42) 사이에서의 지폐의 반송 및 반송로(32)와 리젝트 박스(44) 사이에서의 지폐의 반송이 행해진다.
입금 시에는, 지폐 입출금구(154)에 고객으로부터 지폐가 수납부(50)에 투입되고, 지폐는 수납부(50)로부터 조출부(70)로 이동된다. 조출부(70)로 이동된 지폐는 계수되어, 풀부(36)에 저장된다. 계수된 금액이 표시되고, 표시된 금액에 대해 고객으로부터의 승인이 있으면, 풀부(36)에 일시 수용되어 있었던 지폐가 1매마다 풀부(36)의 하방으로부터 조출되어, 감별부(34)에 반송된다.
감별부(34)에 의한 판정 결과는 도시하지 않은 중앙 처리 장치에 통지된다. 중앙 처리 장치는 감별부(34)를 통과한 지폐가, 반송로(32)로 반송되는 도중에, 상기의 통지에 기초해서 다양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지폐가 위조품 등의 접수 불가능한 지폐일 때는, 지폐는 반송로(32)로 역반송되어 지폐 입출금 장치(10)의 지폐 입출금구(154)로 반환된다. 또한, 위조 지폐는 아니지만 예를 들어 큰 오염 등을 나타내고 있어 금후의 사용에 지장이 생각될 때, 또는 다른 지폐와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는, 지폐는 하방의 리젝트 박스(44)에 수용되거나, 또는 지폐 입출금 장치(10)의 지폐 입출금구(154)로 반환된다. 또한, 지폐가 진권이고 또한 오염이 없을 때는, 지폐는 지폐 카세트(42)에 수납된다.
고객에게 지폐를 출금할 때는, 고객이 조작/표시부(158)로부터 입력한 금액에 대응하는 액면과 매수의 지폐가, 지폐에 대응하는 지폐 카세트(42)로부터 반입 반출로(33)에 의해 반송로(32)에 보내진다. 반송로(32)에 보내진 지폐는 감별부(34)에서 금종이 확인되고, 반송로(32)로부터 지폐 입출금 장치(10)의 지폐 입출금구(154)에 반송된다.
지폐 입출금 장치(10)에는, 예를 들어, 소 사이즈 지폐로부터 중 사이즈 지폐, 대 사이즈 지폐의 순서대로 순차 집적된다. 지폐 입출금 장치(10)의 수납부(50)에 지폐가 반송된 후, 지폐 입출금구(154)의 셔터가 개방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사용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10)에 있어서의 이물질 배출 동작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모두, 도 1의 자동 거래 장치(1)에서 좌측면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이물질 배출의 원리를 설명하므로, 모식도로 구성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2는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이물질 배출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지폐 투입 시의 각 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우측 상부에는, 도 1 등과의 도시 방향을 나타내는 XYZ 좌표를 나타낸다. 또한, ST 좌표는 지폐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좌표로, S방향이 지폐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고, T방향이 S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ST 좌표로 나타낸다. 또한, 이하 도 4 내지 도 6은, 도 3과 마찬가지의 도시 방향이므로, 좌표의 표시는 생략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지폐 입출금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지폐 입출금 장치(10)는 수납부(50), 조출부(70), 반환부(80) 및 이물질 배출부(90)를 갖는다.
수납부(50)는 지폐 입출금구(154)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객으로부터 Q1 방향으로 투입되는 지폐(400)를 통합해서 수납하는 것이다. 수납부(50)에는 지폐(400)를 전후 사이에 두고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 부재로서, 스테이지(52)와 루프(54)가 설치된다. 수납부(50)의 전방측에 스테이지(52)가 설치되고, 수납부(50)의 후방측에 루프(54)가 설치된다. 스테이지(52)와 루프(54)는 지폐(400)를 끼워 넣고, 끼운 상태에서, 수납부(50)로부터 조출부(70)로 지폐(400)를 이동시킨다. 스테이지(52)와 루프(54)는, 각각 폭 방향으로 긴 부재이고,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기립해서 배치된다. 스테이지(52)와 루프(54)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수납부(50)와 조출부(70) 사이를 이동한다. 루프(54)는, 한 쌍의 이동 부재 중 조출부(70)의 가까운 측으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끼워 넣고, 스테이지(52)는, 한 쌍의 이동 부재 중 조출부(70)의 먼 측으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끼워 넣는다. 루프(54)를 제1 이동 부재, 스테이지(52)를 제2 이동 부재라고도 칭한다.
수납부(50) 아래에는, 투입된 지폐(400)를 지지하는 바닥판(56)이 설치된다. 바닥판(56)에는 지폐(400)를 지지하기 위한 가늘고 긴 바가 전후 방향에 걸쳐서 설치된다. 바는 폭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각 바 사이는, 큰 간극으로 되어 있고, 지폐(400)에 섞여 투입된 이물질을 아래로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56)과 거의 동일면에 브릿지(58)가 설치된다. 브릿지(58)는 받침대라고도 칭한다. 브릿지(58)는 바닥판(56)과 마찬가지로, 지폐를 지지하기 위한 가늘고 긴 아암이 전후 방향에 걸쳐서 설치된다. 아암은 폭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각 아암 사이는, 큰 간극으로 되어 있고, 지폐(400)에 섞여 투입된 이물질을 아래로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브릿지(58)는 지폐(400)의 이동 방향(S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이물질 배출부(90)를 덮는 위치와 반환부(80)를 덮는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도 3에서는 브릿지(58)은 이물질 배출부(90)를 덮는 위치에 있다. 또한, 브릿지(58)의 아암의 쪽이 바닥판(56)의 바보다도 약간 위로 되도록 설정되고, 브릿지(58)가 이물질 배출부(90)를 덮는 위치에 있는 경우, 즉, 브릿지(58)가 바닥판(56)과 겹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브릿지(58)의 아암이 지폐(400)의 저면에 접한다.
조출부(70)는 수납부(50)로부터 이동된 지폐(400)를, 지폐 입출금 장치(1O)에 접속된 반송로(32)에 반송하는 것이다. 조출부(70)는 조출 롤러(72)와 임펠러(74)를 갖는다. 조출 롤러(72)는 조출부(70)에서 다발 형상으로 된 지폐(400)를 1매씩 인출하기 위한 롤러이다. 임펠러(74)는 조출 롤러(72)에 의해 인출된 1매씩의 지폐(400)는 반송로(32)에 조출하기 위한 것이다. 루프(54)의 지폐(400)를 끼우는 면에는, 조출 롤러(72)가 지폐(400)에 접하기 위해, 조출 롤러(72)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간극이 형성된다.
루프(54)의 하부에는 포크(60)가 설치된다. 포크(60)는 루프(54)와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포크(60)는 루프(54)에 형성된 조출 롤러(72) 통과용의 간극을 막기(매립하기) 위한 것이다. 포크(60)를 차폐 부재라고도 칭한다. 포크(60)는 수납부(50)와 조출부(70) 사이의 간극을, 이물질이 조출부(70)에 침입하지 않는 정도까지 좁게 하기 위한 부재이다. 포크(60)는 상하(T 방향)로 이동 가능하다. 도 3은 포크(60)가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다. 지폐(400)가 수납부(50)에 투입되는 상태에서는, 포크(60)를 올려서 루프(54)의 간극을 좁게 하도록 한다.
반환부(80)는 입금된 지폐를 보류하고, 하부에 설치된 밀어 올림대(82)에 의해 지폐(400)를, 상부의 개구로부터 수납부(50)까지 복귀시켜, 고객에게 반환하는 것이다. 임펠러(84)는 지폐(400)를 1매씩 밀어 올림대(82)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물질 배출부(90)는 수납부(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지폐(400)에 혼입된 이물질(500)을, 자동 거래 장치(1)에 설치된 반환구(도시하지 않음)까지 반환하는 것이다. 수납부(50)에 투입된 이물질(500a)은 바닥판(56)이나 브릿지(58)에 형성된 간극을 통과하고, 이물질(500b)로서 이물질 배출부(90)로 낙하시킨다. 이물질 배출부(90)에 들어간 이물질(500b)은, 도시하지 않은 통로를 거쳐서 반환구로 되돌려진다.
수납부(50)에 투입된 이물질(500a)이, 후방측의 루프(54)에 부딪치는 방향으로 진행했다고 하면, 종래와 같이 포크(60)가 없는 경우에는, 루프(54)의 간극을 통과하여 조출부(70)에 인입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루프(54)의 간극을 없애거나 혹은 좁게 하는 포크(60)가 설치되었으므로, 이물질(500a)은 루프(54) 혹은 포크(60)에 의해 튕겨져, 이물질 배출부(90) 내에 이물질(500b)로서 낙하시킨다. 이와 같이, 포크(60)가 설치됨으로써, 이물질(500a)이, 루프(54)의 간극을 통과하여 조출부(70)에 인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브릿지(58)의 진동에 의한 이물질(500)의 낙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구성 외에 혹은 단독이어도, 브릿지(58)를 지폐(400)의 이동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이물질(500)의 낙하를 촉진시킬 수 있다.
수납부(50)에 지폐(400)가 투입되고, 투입된 지폐(400)를 스테이지(52)와 루프(54) 사이에 끼워 넣기 전에, 브릿지(58)를 Q2 방향(지폐 이동 방향)을 따라서, 소정 시간(혹은 소정 횟수) 진동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비스듬하게 수납된 지폐(400)의 중간에 인입되어 배출되기 어려워진 이물질(500c)의 경우라도, 지폐(400) 전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지폐(400)로부터 이물질(500c)을 쉽게 빼낼 수 있다.
지폐(400)로부터 빠진 이물질(500c)은 이물질(500d)로서 이물질 배출부(90)로 낙하시킨다. 또한, 브릿지(58)의 진동은 스테이지(52)와 루프(54)의 끼워 넣기 동시, 혹은 끼워 넣기 이후로부터 개시하도록 해도 좋고, 지폐(400)가 조출부(70)로 이동하기 전이면 좋다.
도 5는 투입된 지폐(400)가 수납부(50)로부터 조출부(70)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스테이지(52)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투입된 지폐(400)를 루프(54)에 맞닿게 하여, 지폐(400)를 끼워 넣는다. 그 후, 지폐(400)를 끼워 넣은 스테이지(52)와 루프(54)가 조출부(70)로 이동한다.
지폐(400)를 수납부(50)로부터 조출부(70)로 이동을 할 때에, 포크(60)가 Q3 방향으로 하강하여, 지폐(400)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한다. 또한, 브릿지(58)가, 이물질 배출부(90)를 덮는 위치로부터, 후방측(Q4 방향)으로 진행하여 반환부(80)의 상부 개구를 가리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브릿지(58)를 반환부(80) 상에 이동시키는 것은 반환부(80) 상을 통과하는 지폐를 지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포크(60)의 하강 및 브릿지(58)의 이동 타이밍은 스테이지(52)의 후방측 방향으로의 이동 개시 시, 혹은 지폐(400)를 끼워 넣은 스테이지(52)와 루프(54)의 조출부(70)에의 이동 개시 시, 어느 것이든 좋다.
도 6은 투입된 지폐(400)가 조출부(70)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스테이지(52)와 루프(54)에서 끼워진 지폐(400)가, 반환부(80) 상에 이동한 브릿지(58) 상을 통과하여, 조출부(70)에 이동한다. 조출 롤러(72)는 루프(54)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돌출되어, 지폐(400)에 접촉한다. 이 후, 조출 롤러(72)와 임펠러(74)가 구동되어, 지폐(400)가 1매씩 지폐 입출금 장치(10) 외부로 반송된다.
도 7은 지폐 입출금 장치(10)의 3면도로, 루프(54)와 포크(60) 관련의 부품을 추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도 3과 동일 방향의 도면이고, 도 7의 (B)는 도 3의 T방향에서 본 도면(이하, 상면도라고도 칭함)이고, 도 7의 (C)는 도 3의 S방향에서 본 도면(이하, 정면도라고도 칭함)이다. 또한, 폭 방향과 좌우의 방향은, 도 1과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도 3에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브릿지(58)가 이물질 배출부(90)를 덮는 위치에 있고, 포크(60)가 올라간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도 7의 (B)에서는, 바닥판(56), 브릿지(58) 및 구동계 등을 설명하기 위해, 스테이지(52) 및 루프(54)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의 (B)의 주된 부재를 분해시켜 배열된 분해도가 도 8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B)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8의 (B)는 포크(60)의 상면도이다. 도 8의 (C)는 구동계의 상면도이다. 도 8의 (D)는 바닥판(56)의 상면도이다. 도 8의 (E)는 브릿지(58)의 상면도이다.
도 8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릿지(58)는 폭 방향으로 긴 베이스(58a)를 갖는다. 베이스(58a)에는 폭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후방측 방향을 향해 4개의 가늘고 긴 아암(58b)이 설치된다. 아암(58b)은 지폐(400)를 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58a)의 폭 방향의 양단부의 이면측에, 브릿지(58)를 이동하기 위한 랙(58c)이 설치된다. 아암(58b) 사이 및 아암(58b)과 랙(58c) 사이가, 이물질(500)을 낙하시키기 위한 간극 m이 된다. 또한,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브릿지(58)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브릿지 롤러(58d)가 2개씩 설치된다.
도 8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릿지(58)와 겹치도록, 바닥판(56)이 설치된다. 바닥판(56)은 고정이다. 바닥판(56)은 폭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56a)을 갖는다. 프레임(56a)의 내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프레임(56a)의 전후를 연결하는 가늘고 긴 바(56b)가 설치된다. 바(56b) 사이가, 이물질(500)을 낙하시키기 위한 간극 n이 된다. 각 바(56b)와 각 아암(58b)은 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7의 (B) 및 도 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입출금 장치(10)의 폭 방향의 우측 단부에, 브릿지(58)와 포크(6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00)가 설치된다. 구동 모터(100)의 근방에는 구동력을 감속해서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전달 기어A(102)가 설치된다.
전달 기어A(102)의 출력부에 회전축(104)이 결합된다. 회전축(104)은 바닥판(56) 아래를 관통하도록,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 단부까지 도달하는 길이로 설치된다. 회전축(104)의 좌측 단부에는 수동으로 구동하기 위한 매뉴얼 노브(110)가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104)의 좌우에는, 각각 전달 기어B(106)가 설치된다. 전달 기어B(106)는, 복수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104)의 회전을 브릿지(58)에 전달하는 것이다. 좌우의 전달 기어B(106)에는 브릿지(58)의 좌우 랙(58c)이 교합한다[도 7의 (A) 참조]. 또한, 브릿지(58)의 좌우 단부에 설치된 2개의 브릿지 롤러(58d)는 대응시켜 좌우로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홈에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브릿지(58)는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 모터(100)의 회전에 따라서, 브릿지(5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회전축(104)의 좌우 전달 기어B(106)의 내측에, 각각 캠 롤러(108)가 설치된다. 캠 롤러(108)는 포크(6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캠이다. 포크(60)의 상하 이동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다.
도 7의 (C)는 루프(54)와 포크(6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테이지(52)는 생략하고 있다. 도 8의 (C)의 주된 부재를 분해시켜 배열된 분해도가 도 9이다. 도 9의 (A)는, 도 7의 (C)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9의 (B)는 루프(54)의 정면도이다. 도 9의 (C)는 포크(60)의 정면도이다. 도 9의 (D)는 브릿지(58)의 정면도이다.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루프(54)는 지폐(400)와 접촉하는 부분에 베이스(54a)를 갖는다. 베이스(54a)에는 배면으로부터 조출 롤러(72)를 진입시키기 위한 간극 e가 복수 설치되어, 베이스(54a)는 정면에서 보아 빗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크(60)는 폭 방향으로 긴 베이스(60a)를 갖는다. 베이스(60a)의 상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신장하는 절편(60b)이 복수 설치된다. 절편(60b)은 루프(54)의 간극 e를 막기(매립하기) 위한 것이고, 절편(60b)의 형상은 간극 e에 대응한 형상이다. 즉, 포크(60)의 상부도 루프(54)의 간극 e를 매립하는 빗살 형상으로 형성된다.
포크(60)의 좌우 단부에는, 포크(6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캠 핀(60c)이 설치된다. 또한, 포크(60)의 좌우 단부에는, 포크(6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포크 롤러(60d)가 상하 2개씩 설치된다[도 7의 (A), 도 10 참조]. 또한, 베이스(60a)는 중앙에서 스프링(62)의 훅(도시하지 않음)에 걸림 결합되고, 포크(60)는 스프링(62)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항상 가압된다. 포크(60)의 구동 기구에 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후술하는 구동 기구에 의해, 포크(60)는 상하 이동하지만, 도 5에서 도시한 퇴피 상태에서는, 포크(60)는 절편(60b)의 전체가 지폐(400)의 이동 경로보다 아래의 위치가 될 때까지 내려간다.
도 9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릿지(58)는 평탄 형상의 부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릿지(58)의 좌우 단부의 저부에 각각 랙(58c)이 설치되고, 브릿지(58)의 좌우 단부의 측면에 각각 브릿지 롤러(58d)가 설치된다[도 7의 (A), 도 10 참조].
도 10은, 브릿지(58)와 포크(60)의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은, 도 7의 (A)의 구동 기구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의 (B)는, 도 7의 (C)의 좌측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은 지폐(400)가 투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브릿지(58)가 이물질 배출부(90)를 덮는 위치에 있고, 포크(60)가 올라간 위치에 있다.
브릿지(58)의 좌우 단부에 설치된 랙(58c)이, 회전축(104)에 설치된 전달 기어B(106)와 맞물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릿지(58)는 브릿지 롤러(58d)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홈에 내장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도 10의 상태로부터, 구동 모터(100)에 의해 회전축(104)이 CCW(반시계 방향)로 회전하면, 브릿지(58)는 후측 방향, 즉 반환부(80)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상하 2개 포크 롤러(60d)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홈에 감합되어, 포크(60)는 가이드 홈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그리고, 포크(60)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캠 핀(60c)이, 각각 대응하는 캠 롤러(108)의 원통면의 외주에 접촉한다. 포크(60)는 스프링(62)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11은 캠 롤러(108)의 캠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캠 롤러(108)를 도 10의 (A)와 역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캠 롤러(108)에서, 일정 각도의 부채 형상의 범위(본 예에서는, 120° 정도)가, 전체의 절반 정도의 폭으로 절결되고, 절결된 부분이, 캠부(108a)를 형성한다. 캠 롤러(108)의 각도 위치를 알기 쉽도록, 캠부(108a)의 경계를 r로 나타낸다.
도 12는 캠 롤러(108)의 회전각에 따라서 캠 핀(60c)이 상하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A)와 동일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도 10의 (A)와 동일한 상태이다.
회전축(104)의 CCW(반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캠 롤러(108)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2의 (B)는 캠 롤러(108)의 경계 r이 캠 핀(60c)의 직전의 위치가 된 상태이다. 도 12의 (A)로부터 도 12의 (B) 사이에는, 캠 핀(60c)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서 설명한 브릿지(58)의 전후 방향으로의 진동 동작은 이 범위 내에서 행해지므로, 포크(60)의 높이 위치에 변화는 없다.
도 12의 (C)는, 또한 캠 롤러(10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포크(60)는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캠 핀(60c)이 캠부(108a)에 들어가 내려가고, 포크(60)는 캠 핀(60c)이 캠부(108a)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내려간다.
도 12의 (D)는, 또한 캠 롤러(10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 핀(60c)이 하한까지 내려간 상태이다. 도 12의 (D)의 상태는 구동 모터(100)가 정지하여, 포크(60)가 지폐(400)의 이동 경로로부터 완전히 퇴피한 상태이다. 포크(60)의 하한 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포크(60)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에서 하강이 정지한다. 또한, 도 12의 (D)의 상태에서, 브릿지(58)는 반환부(80)를 덮는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된다.
이 후, 지폐(400)가 조출부(70)까지 이동되고, 지폐의 내부에의 반송이 행해진다. 지폐(400)의 반송 종료 후는, 구동 모터(100)를 반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 롤러(108)의 회동에 의해, 캠 핀(60c)이 캠부(108a)에 의해 밀어올려지고, 포크(60)가 상승하여 도 3에서 도시한 위치까지 이동한다. 브릿지(58)도 반환부(80)를 덮는 위치로부터 도 3에서 도시한 이물질 배출부(90)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스테이지(52)와 루프(54)에 의한 이동이나 각종 센서의 검출을 포함하고, 일련의 제어 처리는 중앙 연산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루프의 간극을 막는 차폐 부재로서 포크(60)를 설치하였으므로, 루프(54)의 간극으로부터 조출부의 쪽으로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크(60)가 지폐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 이동하므로, 지폐의 이동을 저해할 우려도 없다. 또한, 투입된 지폐를 조출부(70)로 이동하기 전에 흔들기 동작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지폐 사이에 인입된 이물질이나 지폐가 비스듬하게 투입된 경우라도,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부(90)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포크(60)의 예로서, 루프(54)의 요철 형상에 대응한 빗살 형상의 부재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간극이 없는 박판으로 하여, 루프(54)의 이면으로부터 루프(54)의 간극 전체를 막도록 해도 좋다. 또한, 브릿지(58)의 왕복 이동과 포크(60)의 설치는, 각각 단독으로 행해져도 좋고, 어느 것이어도 이물질 배제 효과는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 단계에서의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시켜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가 적당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전체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해도 좋다. 이와 같은,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자동 거래 장치
10 : 지폐 입출금 장치
50 : 수납부
52 : 스테이지(제2 이동 부재)
54 : 루프(제1 이동 부재)
54a : 베이스
56 : 바닥판
56a : 프레임
56b : 바
58 : 브릿지(받침대)
58a : 베이스
58b : 아암
58c : 랙
58d : 브릿지 롤러
60 : 포크(차단 부재)
60a : 베이스
60b : 절편
60c : 캠 핀
60d : 포크 롤러
62 : 스프링
70 : 조출부
72 : 조출 롤러
74 : 임펠러
80 : 반환부
82 : 밀어 올림대
84 : 임펠러
90 : 이물질 배출부
100 : 구동 모터
102 : 전달 기어A
104 : 회전축
106 : 전달 기어B
108 : 캠 롤러
108a : 캠 롤러

Claims (4)

  1. 고객으로부터 투입되는 지엽류를 수납하고, 상기 지엽류에 섞여 투입되는 이물질을 낙하시키는 간극이 저부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의 저부의 간극으로부터 낙하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부와,
    상기 수납부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이동된 상기 지엽류를 내부에 반송하는 조출부와,
    상기 조출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출부로 이동된 상기 지엽류에 접촉해서 상기 지엽류를 내부에 반송하는 롤러와,
    상기 수납부에 투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끼워 넣어서 상기 조출부까지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 중 상기 조출부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끼워 넣고, 상기 지엽류가 상기 수납부에 투입되는 투입 시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출부까지 이동하는 부재로서, 상기 조출부까지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롤러를 통과시켜 상기 롤러를 상기 지엽류에 접촉시키기 위한 간극이, 상기 지엽류에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1 이동 부재가 상기 투입 시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엽류의 이동 경로에 진입하여 상기 제1 이동 부재의 간극을 막고, 상기 제1 이동 부재가 상기 투입 시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출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엽류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입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이동 부재의 간극을 막는 빗살 형상의 절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입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지지하는 면에 간극이 형성된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엽류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입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된 지엽류를 상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수납부로 반환하는 반환부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엽류의 투입 시에는 상기 수납부의 저면 위치에 있고, 상기 지엽류가 상기 조출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환부의 상부의 개구를 덮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입출 장치.
KR1020140145727A 2014-02-20 2014-10-27 지엽류 입출 장치 KR20150098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0887A JP6165652B2 (ja) 2014-02-20 2014-02-20 紙葉類入出装置
JPJP-P-2014-030887 2014-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553A true KR20150098553A (ko) 2015-08-28

Family

ID=5391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727A KR20150098553A (ko) 2014-02-20 2014-10-27 지엽류 입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65652B2 (ko)
KR (1) KR20150098553A (ko)
CN (1) CN1048672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1294A (ja) * 2016-02-04 2019-04-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CN105825594B (zh) * 2016-03-14 2018-10-1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取款机接客部、自动取款机及动态收钞控制方法
JP6665619B2 (ja) * 2016-03-23 202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JP6956408B2 (ja) * 2018-01-26 2021-11-02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7196360B2 (ja) * 2020-02-21 2022-12-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EP4296983A4 (en) 2021-02-22 2024-04-24 Fujitsu Frontech Limited PAPER SHEET HAND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43A (ja) * 1994-07-18 1996-02-02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JPH10222721A (ja) * 1997-01-31 1998-08-21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装置
JP4107713B2 (ja) * 1998-05-12 2008-06-25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
JP4973166B2 (ja) * 2006-12-11 2012-07-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口機構
JP5462637B2 (ja) * 2010-01-05 2014-04-0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56130A (ja) 2015-08-27
CN104867228A (zh) 2015-08-26
CN104867228B (zh) 2018-05-15
JP6165652B2 (ja)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2056B2 (ja) 紙幣入出金装置及び紙幣取引装置
KR20150098553A (ko) 지엽류 입출 장치
JP6072631B2 (ja) 紙葉類取扱装置
US9873584B2 (en) Medium stack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US11535477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6591787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5632092B2 (ja) 紙葉類取扱装置搬送機構
WO2015141162A1 (ja) 紙葉類処理装置
EP2955702A1 (en) Paper currency-processing device
JP2016222409A (ja) 搬送ガイド、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EP2977966A1 (en) Paper currency-processing device
JP2016027502A (ja) 紙幣入出金機及び紙幣処理装置
JP6702040B2 (ja) 媒体処理装置
JP2016169076A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WO2013061470A1 (ja) 紙葉類取扱装置
JP7447727B2 (ja) 硬貨処理装置及び貨幣取扱装置
JP6194759B2 (ja) 媒体束収納装置
JP2010191785A (ja) 紙幣処理装置
JP6697337B2 (ja) 硬貨処理装置
WO2010097928A1 (ja) 貨幣処理機
JP2017182351A (ja) 硬貨処理装置
JP6206170B2 (ja) 小束処理装置
JP6268934B2 (ja) 小束収納庫及び小束処理装置
JP2013250871A (ja) 媒体分離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KR20190076640A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