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294A -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294A
KR20150095294A KR1020140016430A KR20140016430A KR20150095294A KR 20150095294 A KR20150095294 A KR 20150095294A KR 1020140016430 A KR1020140016430 A KR 1020140016430A KR 20140016430 A KR20140016430 A KR 20140016430A KR 20150095294 A KR20150095294 A KR 2015009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fermented
useful
microorganisms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민
문미화
Original Assignee
송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민 filed Critical 송상민
Priority to KR102014001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5294A/ko
Publication of KR2015009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29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8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4/20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4/22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24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9/26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 희석물에 장류, 김치류, 젓갈류, 전통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배양하여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는다. 이어서, 상기 유용미생물의 색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증류하여 증류액을 제조하거나, 이온교환처리하여 이온교환액을 얻는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배양 및 활성화할 수 있으며, 질 좋은 액상의 유용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액, 이온교환액 등 색상이 제거된 유용미생물을 제조함으로써 투명한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침구류, 벽체 및 생활공간에 포도 또는 살포시에도 색상의 변질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색상이 제거되지 않는 유용미생물에 비해 다량으로 사용 가능하며, 그에 따른 살균, 코팅, 냄새제거 등의 효과도 우수하다. 또한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은 세제, 살균제, 탈취제, 코팅제, 섬유 유연제, 진딧물제거, 비린내 제거, 비누 등의 용도로 활용 가능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Description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Fermented foo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Effective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당 희석물에 장류, 김치류, 젓갈류, 전통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투여하여 혼합하고 발효시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증식시키고, 또한 그것을 활성 배양하여 얻어지진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액이나 이온교환액 형태의 유용미생물로 재가공되는 것인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되는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의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용미생물(EM ; Effective Microorganisms)이라 함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 수십 종을 조합, 배양한 것이다. 효모, 유산균 및 광합성 세균이 유용미생물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균종이며, 이들 균들 간의 복잡한 공존공영 관계가 만들어내는 발효생성물의 항산화력이 유용미생물의 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유용미생물 중의 상기 효모는 주로 발효 합성을 하는 균으로 빵, 맥주, 와인 등 알콜 합성에 빠지지 않는 미생물이며,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대량으로 합성하는 능력이 있으며, 토양 속에서는 좋은 미생물상을 만들어 내기 위한 먹이가 된다. 유용미생물 중의 상기 유산균은 요구르트, 치즈 제조에 빠지지 않는 미생물로 썩기 쉬운 것을 가공하여 보존성을 갖게 하는 힘이 강하며, 유기물을 최초로 발효, 분해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유용미생물 중의 상기 광합성세균은 고세균의 일종으로 식품가공에서는 치즈와 어장(魚醬; 열대지역에서 생선으로 만든 간장, 약간 매운맛이 난다)에 일부 존재하며, 보통은 고온, 고압을 좋아하고, 식물체 표면과 토양표면에서 공생관계를 유지하면서 생존하고 있는 특수한미생물이다. 효모나 유산균과는 달리 폭발적인 번식력은 없지만, 이 2종류와 공존함으로써 빠른 합성, 발효력을 발휘한다.
이러한 복합유용미생물은 일체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천연물 100%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대표적인 복합유용미생물은 1982년에 일본국 소재 류큐대학 농학부 히가 데루오 교수에 의하여 개발된 EM-1과 같은 액상의 미생물은 전세계 150여 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유용미생물은 처음에는 농업자재로써 주로 사용되었다. 그 후, 그 효능과 능력이 해명됨에 따라 환경정화나 수질개선, 공중위생 등의 용도 적용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9092호에서는 법제유황과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민물장어 양식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73887호에서 유황발효액비와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병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334157호에서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독유황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 10-1268079 호의 한약재와 선옥균을 이용한 식품 첨가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14185호에서는 소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동물 사료용(국내특허 등록 제 10-0481971 호), 화장품(국내특허 등록 제 10-0721119호), 섬유 유연제, 치약, 세제 등으로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EM을 활용한 건강식품의 대표적인 것으로 EM발효물을 제균하여 고농축 시킨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EM-X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용미생물은 목재, 석재, 유리, 금속, 자기, 토기, 섬유, 플라스틱, 페인트 도포체 등의 물체표면에 살포나 도포함으로써 살균, 코팅, 냄새제거 등의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검갈색, 갈색, 노란색 등의 유용미생물 특유의 색상으로 인해 도포체에 변색을 가져오기도 한다. 특히, 생활공간에서 침구류, 벽지, 책, 옷 등의 살포체는 더욱 그러하여 다량의 물에 유용미생물을 소량 희석하여 사용함으로써, 살균, 코팅력, 냄새제거 등의 효과가 떨어지며, 그것도 자주 사용할 경우 변색을 피할 수는 없기 때문에 쉽게 변색하는 흰색의 침구류, 옷, 벽체, 책 등에는 사용이 자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인 장류, 젓갈류,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나 유산균음료에도 유용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나 이들 발효식품에서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배양하고, 그 유용미생물의 색상을 제거함으로써 침구류, 벽지, 책, 옷 등에 다량의 살포 시에도 살포체가 유용미생물로 인해 변색되지 않으며 살균, 코팅, 냄새제거 등의 효과가 나타낼 수 있는 유용미생물은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당 희석물에 장류, 김치류, 젓갈류, 전통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배양하여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는다. 이어서, 상기 유용미생물의 색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증류하여 증류액을 제조하거나, 이온교환처리하여 이온교환액을 얻는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류, 젓갈류, 김치류, 주류, 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은 소량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배양 및 활성화하는데 적용함에 따른 비용절감과 더불어 등이 뛰어난 질 좋은 액상의 유용한 미생물을 다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인정된다.
또한, 질 좋은 액상의 유용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액이나 이온교환액 등 색상이 제거된 유용미생물을 제조함으로써 투명한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침구류, 벽체 및 생활공간에 포도 또는 살포시에도 색상의 변질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색상이 제거되지 않는 유용미생물에 비해 다량으로 사용 가능하여 그에 따른 살균, 코팅, 냄새제거 등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장점이 인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은 세제, 살균제, 탈취제, 코팅제, 섬유 유연제, 진딧물제거, 비린내 제거, 비누재료 등의 용도로 활용하여 경제적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 당 희석물에 장류, 젓갈류,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의 발효식품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0.01~30%의 비율로 투여하여 혼합하고 그것을 20~40℃의 온도에서 10~60일간 발효시켜 유용미생물을 추출하여 수득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 수득 단계;
b) 당 희석물에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유용미생물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적어도 1% 이상의 비율을 투여하고 혼합하여 20~40℃의 온도에서 7~30일간 발효시켜 유용미생물을 활성 배양하여 활성배양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a나 b단계에서 얻어진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증류하거나, 이온교환처리하여 유용미생물 고유의 색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단계는 발효식품에 함유된 다양한 유용미생물 중에서도 당 희석물에 적응할 수 있는 유용미생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당 희석물에 사용되는 당은 제한되지 않으며, 이룰 테면 설탕, 과당, 맥아당, 유당, 자당, 꿀, 엿, 조청, 올리고당, 과당, 사탕, 포도당, 당밀, 원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면 된다. 그리고 물에 희석되는 당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0.1~10%, 바람직하게는 0.5~5%, 더욱 바람직하게는 0.6~3%의 비율로 함유하면 좋다. 상기 범위보다 당의 함량이 클 경우, 추출 배양된 유용미생물은 산도가 너무 높거나 지나친 사용량에 따른 비용 발생으로 경제적이지 못하며, 반대로 상기 함량보다 적을 경우 발효식품으로부터 유용미생물이 추출되지 못하거나 배양하기 어려워 조성물이 부패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당 희석물에 사용되는 물은 증류수, 수돗물, 해양심층수, 정제수, 지하수, 약수물, 암반수 등 위생상 문제가 없는 것이면 좋다.
상기 당 희석물에 투여되는 발효식품(fermented food)은 젖산균이나 효모 등 미생물의 발효 작용을 이용하여 만든 식품으로 장류, 젓갈류,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의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발효식품으로서 장류는; 예컨대, 된장, 고추장, 청국장, 간장, 춘장, 막장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된장은 일본된장 미소(쌀 미소, 보리미소, 콩미소)도 포함된다. 그리고 된장, 고추장, 간장(일본간장 포함), 춘장, 막장은 적어도 4개월 이상 발효되어 유용미생물이 생성된 것이 사용되어야 하며, 수년 동안 오래 숙성되어 유용미생물이 풍부한 것인 전통발효 된장, 전통발효 고추장, 전통발효 간장, 전통발효 춘장 등은 더욱 좋다. 또한 청국장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삶은 콩을 볏짚과 함께 용기에 넣고 35~38℃의 온도에서 3~7일간 발효시킨 것이면 더욱 좋다.
발효식품으로서 젓갈류는; 어류의 살·알·창자 등을 소금에 짜게 절여 맛들인 식품으로 적어도 3개월 이상 발효에 의해 미생물이 생성된 것을 사용되어야 하며, 변질되지 않게 발효가 잘된 숙성된 1년 이상의 것은 더욱 좋다. 물론, 양념이 들어간 젓갈도 포함된다. 젓갈류의 종류로는 예컨대,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비웃젓, 게웃젓(전복창자), 새우젓, 가자미젓, 강달이젓, 고노리젓, 고등어젓, 갈치젓, 까나리젓, 꽁치젓, 능성어젓, 눈치젓, 대구젓, 도루묵젓, 도미젓, 돌치젓, 동태젓, 등피리젓, 디포리젓, 매가리젓, 멸치젓, 모챙이젓, 민어젓, 반지젓, 뱅어젓, 밴댕이젓, 송애젓, 뱀장어젓, 웅어젓, 자리젓, 전어젓, 정어리젓, 준치젓, 황숭어젓 등갈게젓, 겟가제젓, 게장, 게젓, 고개미젓, 곤쟁이젓, 꽃게젓, 농발게젓, 능갱이젓, 대하젓, 돌게젓, 바다게젓, 박하지젓, 방게젓, 백하젓, 벌떡게젓, 부새우젓, 새우맛젓, 새우액젓, 새하젓, 썰게젓, 오젓, 육젓, 자젓, 중하젓, 참게젓, 청게젓, 털게젓, 토하젓, 피앵이젓, 화란게젓, 황발이젓 등꼴뚜기젓, 굴젓, 낙지젓, 대합젓, 동죽젓, 맛젓, 모시조개젓, 바지락젓, 백합젓, 소라젓, 오분자기젓, 오징어젓, 어리굴젓, 조개젓, 한치젓 등갈치속젓, 게웃젓, 고등어내장젓, 대구아가미젓, 민어아가미젓, 명태아가미젓, 뱀장어 창젓, 전어밤젓, 조기속젓, 조기아가미젓, 창란젓, 해삼창자젓 등게알젓, 고등어알젓, 대구알젓, 대구이리젓, 명란젓, 복어알젓, 새우알젓, 성게알젓, 숭어알젓, 연어알젓, 장대알젓, 조기알젓, 화란젓 및 이외에도 가자미식해, 갈치식해, 광어식해, 노가리식해, 대구식해, 도다리식해, 도루묵식해, 멸치식해, 명태식해, 뱅어식해, 우럭식해, 전어식해, 전갱이식해, 조기식해, 쥐치식해, 홀때기식해, 횟대식해, 고동식해, 낙지식해, 대합식해, 마른 오징어식해, 문어식해, 오징어식해, 한치식해, 명태아가미식해, 명태창자식해, 명란식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발효식품으로서 김치류는; 채소 발효 식품으로 소금에 절인 채소에 젓갈이나 장류 등과 양념을 혼합하여 저온에서 발효시켜 만든 식품으로 적어도 3일 이상 발효에 의해 미생물이 생성된 것이 사용되어야 하며, 변질되지 않게 토굴이나 김치냉장고 등에서 발효 숙성이 잘된 6개월 이상의 것은 더욱 좋다. 김치의 종류로서는 예컨대, 배추김치, 통배추김치, 나박김치, 보김치, 양배추보김치, 백김치, 총각무김치, 깍두기, 열무물김치, 부추김치, 오이소박이, 깻잎김치, 미나리 김치, 우엉김치, 쑥갓김치, 오징어채김치, 파김치, 갓김치, 호박김치, 도라지김치, 죽순김치, 콩잎김치, 돌나물김치, 시금치김치, 봄갓김치, 얼갈이김치, 양배추김치, 가지김치, 박김치, 총각김치, 고춧잎김치, 가을갓김치, 동아김치, 고추김치, 칡순김치, 감동젓김치, 백김치, 무청깍두기, 굴깍두기, 숙깍두기, 보쌈김치, 오이김치, 열무김치, 갓김치, 장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섞박지, 무·오이송송이, 석류김치, 짠짠지, 창란젓깍두기, 채김치, 해물김치, 강릉깍두기, 깍두기, 씀바귀김치, 서거리김치, 동치미, 파래김치, 꼴뚜기무생채, 무청김치, 검들김치, 약김치, 고춧젓김치, 고구마순김치, 고구마줄기김치, 고춧잎김치, 풋고추김치, 고들빼기조기젓김치, 고들빼기새우젓김치, 전복김치, 씀바귀김치, 갓김치, 고구마김치, 고들빼기김치, 양파김치, 콩나물김치, 감동김치, 감김치, 박깍두기, 무짠지, 파래김치, 반지(백지), 고구마김치, 골곰짠지, 분홍지, 더덕지, 사연지, 쪽파김치, 마늘줄기김치, 토란김치, 박김치, 씀바귀김치, 미나리김치, 무말랭이김치, 돗나물김치, 돌뱅이국물김치, 비지미, 전복김치, 동지김치(꽃동배추김치), 해물김치, 나박김치, 양하김치, 당근김치, 귤물김치, 퍼데기김치, 백김치, 겨자김치, 삶은무김치, 매화김치, 알타리동치미, 연꽃동치미, 오이물김치, 봄김치(햇김치), 가자미식해, 명태김치, 채칼김치, 한치김치, 호박열무김치, 고수김호박김치, 고수김치, 꿩김치, 닭김치, 가두배추섞박김치, 참나물김치, 섞박지, 달래젓김치치, 호박배추김치, 들깻잎짠지, 보쌈김치, 백김치, 비늘김치, 숙김치, 용인외지, 씀바귀김치, 순무김치, 채김치, 순무짠지, 순무섞박지, 팥잎김치, 연꽃동치미, 인삼물김치 예시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간장이나 된장, 고추장 등에 저린 것인 발효식품도 포함되는데 예를들면; 저림고추, 오이지, 단무지, 죽순지, 버섯지, 칡잎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발효가 충분히 진행되어 유용미생물이 생성된 것을 사용하여야 마땅하다. 따라서 담근 즉시 먹는 겉절이, 풋절이 등과 같은 김치는 유용미생물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적용되지 않는다.
발효식품으로서 발효주류는; 과일이나 곡류, 서류 등과 기타 원료에 들어있는 당질과 전분질을 곰팡이나 효모의 작용에 의해 발효시켜 만든 술로서 효모나 젖산균 등 미생물의 존재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곡물주(맥주, 막걸리, 동동주, 순곡 청주, 교동 법주, 한산 소곡주, 해남 진양주, 청주(사케) 등), 과실주(선인장열매주, 복분자, 포도주, 머루주), 에탄올에 식물이나 동물을 혼합하여 담금주 및 이들을 혼합한 혼성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발효식품으로서 식초류는; 곡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곡물식초(흑초, 동초, 현미식초, 흑미식초 등),과실을 이용하여 제조된 과실식초(사과식초, 포도식초,감식초, 석류식초, 선인자열매식초), 한방약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한방약재식초(인삼식초, 솔잎식초, 도라지식초, 더덕식초), 증류식초를 포함한 통상의 식초에 특정 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담가 제조된 담근식초 및 이들을 혼합한 혼성식초 등 미생물의 존재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발효식품으로서 유산균식품류는; 고상 또는 액상의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으로 요플레이, 야쿠르트, 요구르트 등이다.
그리고 선택된 발효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0.1~30%를 투여한다. 상세하게는 장류나 젓갈류는 0.1~30%, 바람직하게는 0.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며,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은 0.1~30%, 바람직하게는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 등이다. 장류나 젓갈류와 같이 염분의 농도가 높은 발효식품일수록 발효 속도가 너무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고,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는 함량이 높을수록 발효가 잘 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함량보다 높은 비율로 투여하여도 무방하나 너무 높은 함량은 경제적이지 못하다. 반대로 상기 함량보다 적을 경우 유용미생물이 추출되지 못하거나 배양하기 어려워 조성물이 부패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발효식품으로부터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배양하는데 필요한 온도는 20~40℃, 바람직하게는 20~35℃,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5℃이다. 상기 온도범위보다 높으면 발효진행이 어렵거나 발효식품에 함유된 유용미생물이 사멸되는 문제가 있으며, 반대로 상기 온도보다 낮으면 발효의 진행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발효진행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발효가 진행되면 발효식품에 함유된 다양한 유용미생물 중에서 당희석물 조건에 적응 가능한 유용미생물만이 발효식품으로부터 추출됨과 동시에 당을 먹이원으로 하여 당희석물의 환경 조건에 적응하며, 증식되는데 적정량의 당, 적정온도, 적정한 산소공급 등 다양하게 조합된 환경조건에 따라 빠르게 확대 배양 되게 된다.
물론, 발효과정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데 이를테면, 25~35℃에서 발효시작 후 36~48시간이 지나면 발효조에서 기포가 발생하면서 가스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3~4일이 지나면서 외부의 세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성물 상층 표면으로 균막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때 조성물을 발효조의 뚜껑이 닫힌 상태로 혐기발효를 지속시켜도 무방하나,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발효조의 뚜껑을 잠깐씩 열어 가스를 배출시키거나 1회 이상 저어주거나, 지속적으로 공기발생기로 산소를 공급해주어 호기적으로 발효시키면 더욱 왕성한 발효가 진행되게 되게 된다. 발효기간은 선택된 발효식품과 온도 및 발효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통상 20℃ 이상에서라면 10~30일 정도면 충분하다.
이렇게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은 장류, 젓갈류, 김치류 등의 발효식품으로부터는 유산균, 납두균, 효모, 아세트산균, 광합성세균 등을 포함하는 유용미생물이 수십여 종으로 복합체이며, 유산균식품류의 발효식품으로부터는 유산균이 배양 및 활성화된 것이며, 발효주류나 발효식초류에서는 발효주나 발효식초에 함유되어 당을 먹이원으로 하는 유용미생물균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양 및 활성화된 것이다.
그리고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나 천 등의 필터로 적어도 1회 이상 반복적으로 여과하여 유용미생물의 부산물을 포함하는 찌꺼기를 깨끗이 분리해주는 것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는 a단계에서 얻어진 유용미생물을 배양하여 활성화하는 공정으로서, 발효조에 당 희석물에 상기 a단계에서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유용미생물을 투여하여 혼합하고 그것을 증식시켜 활성화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당 희석물에 혼합하되, 상기 a단계의 최종으로 얻어진 유용미생물 곧,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에 대하여 적어도 1% 이상의 비율이나 함량 비중이 클수록 증식이 잘 된다. 따라서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유용미생물은 바람직한 함량은 조성물 총 %에 대하여 1~30%, 바람직하게는 2~2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이다.
그리고 혼합물은 20~40℃의 온도에서 7~30일간 충분히 발효되면 활성화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단계에서의 활성 배양된 유용미생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조성물 구성에 있어서 발효식품 대신 a단계에서 수득한 유용미생물이 사용될 뿐 상기 a단계와 상이하다. 따라서 a단계 및 b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완성된 유용미생물은 거의 상이하다. 이를테면, a단계에서 유용미생물을 추출하기 위한 발효식품으로 된장이 선택되어 된장 유용미생물을 수득하였다면, b단계는 a단계에서 수득된 된장유용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a단계의 조성물 구성에서 선택된 발효식품인 된장 대신 a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수득된 된장유용미생물을 b단계의 조성물 구성으로서 투여할 뿐, 상기 a단계와 유사한 제조과정을 거쳐 활성 배양되는 것임으로 a단계에서 발효식품으로부터 수득된 된장유용미생물이나 그 된장유용미생물을 배양하여 활성화한 b단계의 된장유용미생물은 거의 상이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활성 배양액은 발효식품이 아니라 발효식품으로부터 추출 및 배양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발효 후 찌꺼기 발생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단계는 a단계나 b단계에서 얻어진 액상의 유용미생물이 지니는 고유 색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기로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거나, 이온교환처리장치를 통해 이온교환처리하여 이온교환액을 얻는 단계이다.
먼저, 증류액, 이온교환액 중 어느 하나를 얻기 위해서, 상기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광목이나 체 등을 여과기로 이용하여 1차 여과하거나 정수필터를 통해 필터여과를 수행하는 것은 권장한다.
상기 유용미생물 고유의 색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액을 얻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증류액을 제조하는 방법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증류기의 증류탱크에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넣고 30~60℃의 중온에서 증류함으로써 열에 의해 유효성분 손상을 최소화하거나, 60~150℃ 정도의 고온에서 증류하여 증류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고온으로 가열 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증류탱크와 연결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냉각장치로 이송되며 액화되어 또한 포집조로 포집함으로써 맑고 투명한 증류액을 얻게 된다. 물론, 증류액을 제조하는 증류기는 시판되는 다양한 종류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상기 유용미생물 고유의 색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액을 얻는 방법은 이온 교환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서, 이온 교환 수지, 이온 교환막 등에 의해 유용미생물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흡착 제거함으로써 이온교환액을 얻게 된다. 또한 이온교환액은 적어도 1회 이상 이온교환장치에서 이온교환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점점 더 투명한 이온교환액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이온교환액은 유용미생물 고유의 성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이온교환처리 전보다 훨씬 연해지거나 투명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증류 또는 이온교환처리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목재, 석재, 유리, 금속, 자기, 토기, 섬유, 플라스틱, 페인트 도포체 등의 물체표면에 살포나 도포함으로써 물체가 변색되지 않고 살균력, 코팅력, 냄새제거 등의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생활공간에서 침구류, 벽지, 책, 옷 등에 살포하여도 살포체가 변색되지 않고 살균력, 코팅력, 냄새제거 등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장점을 지닌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색상이 제거된 유용미생물을 포함)은 살균력, 코팅력, 냄새제거 및 정전기방지 등으로 활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색상이 제거된 유용미생물을 포함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 그대로 또는 물에 희석하여 식물재배시 발생하는 진딧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식물에 분무,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 그대로 또는 물에 희석하여 비린내 나는 생선을 일정시간 침지하여 건조함으로써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에 의해서 생선 비린내가 제거된 생선을 얻는 용도로 적용가능하다. 물론,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이 생선의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생선의 몸체가 작은 것(예를 들면; 멸치, 새우 등)은 그대로 적용되어도 무방하나, 생선의 몸체가 큰 것은 토막을 내거나 자반(예를 들면; 자반고등어, 자반삼치, 자반옥돔 등)을 하여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 그대로 또는 그 희석물에 침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은 보습, 무좀, 습진,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가려움증, 아토피성 피부염 및 기타 피부질환 등의 효과가 있어서, 상술된 관련 분야의 용도로 활용하거나,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을 비누제품에 함유함으로써 보습, 무좀, 습진, 지루성 피부염, 가려움증 등의 개선 및 치료 목적으로 동물이나 인간의 경피에 적용하는 용도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비누는 경피에 적용할 수 있는 성상의 것이면 어떤 것도 양호하며 일반적으로 고형비누, 액상비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때, 비누 조성물에 함유되는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적정한 비율은 조성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2~20%이나 바람직하게는 관련법에 따른 허용범위까지 이다.
물론,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에 대한 구체적 용도는 본 발명의 목적을 이해하는 지식을 가진 자를 통해 적합하게 세제, 살균제, 탈취제, 코팅제, 섬유 유연제, 진딧물제거, 비누, 비린내 제거제 등을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하기,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존의 유용미생물 배약액 제조
실시예 1
50L의 발효조에 유용미생물(제조사; 에버 미라클 ) 3L, 미강 3kg, 소금 3g, 백설탕 3kg에 나머지 량을 지하수 정수물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28~30℃의 온도에서 30일간 숙성 발효시키되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 배양이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노란색을 띠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45L 정도를 수득하였다.
(2)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유용미생물 수득 공정
실시예 2
20L의 발효조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5년 숙성 발효된 된장(제조사;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성에 위치한 000 사찰) 0.3kg,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8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된장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된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5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4년 숙성 발효된 간장(제조사;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성에 위치한 000 사찰) 0.5L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주었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간장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간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8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20L의 발효조에 포도당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3년 숙성 발효된 고추장(제조사; 북한산성에 위치한 000 사찰) 0.4k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고추장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고추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18개월 정도 발효된 막장 0.4k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막장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막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2년 숙성 발효된 춘장 0.3k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춘장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춘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제조사; 북한산성에 위치한 000 사찰) 1kg을 마쇄기로 마쇄한 것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청국장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청국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8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멸치액젓(제조사; 신영광식품) 100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멸치액젓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멸치액젓 유용미생물을 대략 18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9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까나리액젓(제조사; 까나리수산(백령도)) 250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 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까나리액젓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까나리액젓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새우젓(제조사; 신 영광식품) 200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새우젓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새우젓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김치냉장고에서 2년 숙성 발효되고 도깨비방망이로 파쇄한 배추김치 200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배추김치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배추김치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김치냉장고에서 1개월 정도 숙성 발효된 파김치 300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파김치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파김치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김치냉장고에서 2년 숙성 발효되고 도깨비방망이로 파쇄한 무김치 200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무김치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무김치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간장에 1년 이상 침지하여 발효된 저림고추 200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저림 고추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저림 고추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5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막걸리(제조사; 이동말걸리) 0.5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막걸리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막걸리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6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포도주 1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포도주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포도주 유용미생물을 대략 20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7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감식초(제조사; 아이러브상주) 0.4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감식초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감식초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8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현미식초(제조사; 오뚜기) 5L, 당밀 5L에 나머지 지하수 정수 물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현미식초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현미식초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9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사과식초(제조사; 오뚜기) 0.5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사과식초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사과식초 유용미생물을 대략 20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0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유산균음료(불가리스; 남양사 제조) 0.3L을 발효소에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유산균음료 불가 리스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유산균음료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1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유산균음료(요구르트; 남양사 제조) 0.3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유산균음료 요구르트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유산균음료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수득하였다.
(3)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활성 배양액 제조공정
실시예 22
600L의 발효조에 당밀 10L, 지하수 정수물 575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된장 유용미생물 15L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17일간 발효시키되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1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된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600L 정도를 제조한 다음, 발효조를 밀폐시켜 8~20℃의 온도에서 1~3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23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3에서 수득된 간장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주었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간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24
20L의 발효조에 포도당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된 고추장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고추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25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5에서 수득된 막장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막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42일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26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6에서 수득된 춘장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춘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27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7에서 수득된 청국장 유용미생물 0.5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청국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28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8에서 수득된 멸치액젓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멸치액젓 유용미생물을 대략 20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29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9에서 수득된 까나리액젓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까나리액젓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0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0에서 수득된 새우젓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새우젓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1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된 배추김치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배추김치 유용미생물을 대략 20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1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2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된 파김치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파김치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3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3에서 수득된 무김치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무김치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4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4에서 수득된 저림 고추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저림 고추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3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5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5에서 수득된 막걸리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막걸리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6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6에서 수득된 포도주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포도주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7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7에서 수득된 감식초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감식초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8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8에서 수득된 현미식초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현미식초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39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9에서 수득된 사과식초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사과식초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4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40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20에서 수득된 유산균음료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유산균음료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실시예 41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된 유산균음료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1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유산균음료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제조한 다음, 1.5L 패트병 12 개에 각각 충전하고 밀폐시켜 7~13℃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하였다.
(4) 발효식품으로부터 수득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는 공정
실시예 42
상기 실시예 22의 제형 20L를 고압약탕기의 탱크에 넣고 120℃로 가열하였다. 이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파이프라인을 통해 고압약탕기와 연결된 수증기 포집조로 이송되어 수증기를 포집한 다음 13℃ 이하의 온도에서 방치하여 자연 냉각함으로써 유용미생물 특유의 색상이 사라지고, 맑고 투명한 증류액 10L를 제조하였다.
(5) 발효식품으로부터 수득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이온교환처리하여 이온교환액을 얻는 공정
실시예 43
발효식품으로부터 수득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담는 수조 및 제 1이온교환수지 필터를 흡입구에 장착되며 배출구는 정수필터와 제 1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되는 수중모터 및 정수필터는 1단계 세디먼트 필터→2단계 프리카본필터→3단계 UF필터포스트→4단계 포스트 카본필터로 구성되어지며 정수필터 입구는 제 1파이프라인과 연결되고, 정수필터 배출구는 제 2파이프라인과 연결된다. 또한 제 2이온교환수지 필터는 제 2파이프라인과 연결된다. 이러한 이온교환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2의 제형을 이온교환처리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갈색의 색상을 띄는 상기 실시예 22의 제형 20L을 수조에 채운다. 그리고 수조에 채워진 수조의 실시예 22의 제형은 수중모터 흡입구에 장착된 제 1이온교환수지 필터를 통해 흡입구로 흡입된다. 이때 실시예 22의 제형은 제 1이온교환수지 필터를 통해 1차 이온교환처리된 이온교환액가 된다. 그리고 1차 이온교환처리된 이온교환액은 수중모터 배출구를 통해 수중모터 배출구와 연결된 제 1파이프라인을 통해 정수필터로 이송된다. 그리고 정수필터에서는 1단계 세디먼트 필터→2단계 프리카본필터→3단계 UF필터포스트→4단계 포스트 카본필터의 순차적으로 1차 이온교환처리된 이온교환액을 여과시킨 후 제 2파이프라인을 통해 정수필터와 연결된 제 2이온교환수지 필터로 이송되어 2차 이온교환처리함으로써, 얻어진 이온교환액은 고유의 유효성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색상이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가 되었다.
그리고 상기 2차 이온교환액은 5회 더 동일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수록 투명하였고, 맛도 더 순해지고 부드러워진 이온교환액 17L정도를 얻었다.
(7)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을 함유한 제품
실시예 44. 이온교환액을 함유한 화장비누
수산화나트륨(90%) 2.5kg과 상기 실시예 43의 제형 3L를 혼합하여 주걱으로 저어 수산화나트륨이 상기 실시예 43의 제형에 온전하게 녹인 수산화나트륨 희석물을 얻고, 여기에 콩기름 5L를 혼합하여 교반노의 교반 속도 60RPM 정도로 교반하면서 이들의 혼합물의 농도가 50ppm이상 되었을 때, 우지 200g을 투여하여 교반기로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혼합물의 농도가 70ppm이상에서 비누형틀에 혼합물을 넣고 자연 냉각하여 40일간 숙성시켜 상기 실시예 43의 제형이 함유된 고체타입의 화장비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존의 유용미생물과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역겨운 맛에 대한 미각적 관능검사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41의 유용미생물 제형을 각각 1.5L의 용기에 담을 것을 20대;남성 4명과 여성 2명, 30대;남성 4명과 여성 5명, 40대;남성 3명과 여성 6명, 50대;남성 5명과 여성 10명에게 각 제형에 대한 내용을 고취시킨 다음, 각 제형을 원하는 만큼 시음할 수 있게 하였으며, 1명 혹은 그 이상이 모인 장소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약 8개월에 걸쳐 실시하여, 각 제형의 역겨운 맛을 미각적으로 비교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1에서와 같다.
제 형
제형의 역겨운 맛 미각적 측정
실시예 1의 제형 1
실시예 2의 제형 4
실시예 3의 제형 4
실시예 4의 제형 4
실시예 5의 제형 4
실시예 6의 제형 4
실시예 7의 제형 4
실시예 8의 제형 4
실시예 9의 제형 4
실시예 10의 제형 4
실시예 11의 제형 4
실시예 12의 제형 4
실시예 13의 제형 4
실시예 14의 제형 4
실시예 15의 제형 4
실시예 16의 제형 4
실시예 17의 제형 4
실시예 18의 제형 4
실시예 19의 제형 4
실시예 20의 제형 4
실시예 21의 제형 4
실시예 22의 제형 4
실시예 23의 제형 4
실시예 24의 제형 4
실시예 25의 제형 4
실시예 26의 제형 4
실시예 27의 제형 4
실시예 28의 제형 4
실시예 29의 제형 4
실시예 30의 제형 4
실시예 31의 제형 4
실시예 32의 제형 4
실시예 33의 제형 4
실시예 34의 제형 4
실시예 35의 제형 4
실시예 36의 제형 4
실시예 37의 제형 4
실시예 38의 제형 4
실시예 39의 제형 4
실시예 40의 제형 4
실시예 41의 제형 4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4; 전혀 역겹지 않음, 3; 보통, 2; 조금 역겨움, 1; 매우 역겨움
< 결 과 >
각 제형에 대한 역겨운 맛을 시음하여 미각적으로 측정 결과 기존의 유용미생물인 실시예 1의 제형에서 시음하는데 입에 넣다가 뱄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 더불어 그에 대한 평점도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우 역겨움으로 시음하기가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실시예의 2~21 제형) 및 그 활성 배양액(실시예의 22~41 제형)에서는 역겹고 불쾌한 맛이 전혀 없이 부드러우면서도 순해 시음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2) 기존의 유용미생물과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떫은맛, 신맛, 단맛에 대한 미각적 관능검사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41의 유용미생물 제형을 각각 1.5L의 용기에 담을 것을 20대;남성 1명, 30대;남성 5명과 여성 7명, 40대;남성 7명과 여성 9명, 50대;남성 4명과 여성 10, 6~80대;남성 5명과 여성 17명에게 각 제형에 대한 내용을 고취시킨 다음, 각 제형을 원하는 만큼 시음할 수 있게 하였으며, 1명 혹은 그 이상이 모인 장소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약 8개월에 걸쳐 실시하여, 각 제형의 맛을 미각적으로 비교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2에서와 같다.
제 형
제형의 맛 미각적 측정
떫 은 맛 신 맛 단 맛
실시예 1의 제형 1 1 3
실시예 2의 제형 5 5 5
실시예 3의 제형 5 5 5
실시예 4의 제형 4 5 5
실시예 5의 제형 5 5 5
실시예 6의 제형 5 5 4
실시예 7의 제형 5 4 5
실시예 8의 제형 5 5 5
실시예 9의 제형 5 5 5
실시예 10의 제형 4 5 5
실시예 11의 제형 4 5 5
실시예 12의 제형 4 5 5
실시예 13의 제형 4 5 5
실시예 14의 제형 4 4 5
실시예 15의 제형 5 5 5
실시예 16의 제형 5 5 5
실시예 17의 제형 4 4 5
실시예 18의 제형 4 5 5
실시예 19의 제형 5 5 5
실시예 20의 제형 3 5 4
실시예 21의 제형 4 3 5
실시예 22의 제형 5 5 5
실시예 23의 제형 5 5 5
실시예 24의 제형 5 5 5
실시예 25의 제형 5 5 3
실시예 26의 제형 5 5 5
실시예 27의 제형 5 5 5
실시예 28의 제형 5 5 5
실시예 29의 제형 5 5 5
실시예 30의 제형 5 5 5
실시예 31의 제형 3 5 5
실시예 32의 제형 5 4 5
실시예 33의 제형 5 5 5
실시예 34의 제형 5 5 5
실시예 35의 제형 4 4 5
실시예 36의 제형 5 5 3
실시예 37의 제형 4 5 5
실시예 38의 제형 5 5 5
실시예 39의 제형 5 5 5
실시예 40의 제형 5 5 5
실시예 41의 제형 5 5 5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조금 좋음, 3; 보통, 2; 조금 강함, 1: 매우 강함
< 결과 >
각 제형에 대한 맛을 시음하여 미각적으로 측정 결과 실시예 1의 제형에서는 떫은맛, 신맛, 단맛의 모든 면에서 매우 강하여 시음시 입에 넣다가 뱄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 더불어 그에 대한 평점도 표 2에서와 같이 매우 나쁜 면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실시예의 2~21 제형) 및 그 활성 배양액(실시예의 22~41 제형)에서는 시음하는데 어려움 없었으며, 평점도 적어도 보통 이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더불어, 기존의 유용미생물(실시예의 1 제형)을 섭취했을 때 괄약근을 조절할 새도 없이 방귀가 나오는 현상은 본 발명의 기술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의 2~41 제형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것은 곧, 본 발명이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식품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또 추출물을 발효 배양 것을 이용하여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제조한 제품을 섭취했을 때도 괄약근을 조절할 새도 없이 방귀가 나오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3) 기존의 유용미생물과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저장성에 대한 시각적인 관능검사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의 제형과 실시예 2의 제형, 실시예 22의 제형, 실시예 24의 제형, 실시예 27의 제형, 실시예 30의 제형, 실시예 32의 제형, 실시예 35의 제형, 실시예 37의 제형, 실시예 39의 제형, 실시예 41의 제형을 각각 1.5L의 투명한 페트병에 1L씩 충전 후 직경 0.2mm 정도의 구멍이 형성된 뚜껑으로 페트병입구에 체결하고 건물 옥상에 설치된 햇빛이 드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약 10개월간 방치하여, 각 제형의 상층 표면으로 균막 형성 후 균막에 푸른 곰팡이가 생성되는 시점을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부패 정도를 비교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3에서와 같다.
제 형 푸른 곰팡이 생성 시점(실험시작일 기준)
실시예 1의 제형 72~82일
실시예 2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22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24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27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30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31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35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37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39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41의 제형 실험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음
실험기간: 5월 초에 시작 후 다음해 2월 말까지임(여름철에는 한낮 온도가 45℃를 육박하거나 한 겨울철에는 - 20℃이상 떨어지는 시기였음)
관찰 방법: 각 제형을 1~10일에 적어도 1회 이상 관찰한 것임.
< 결과 >
각 제형의 상층 표면으로 균막 형성 후 균막에 푸른 곰팡이가 생성되는 시점을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부패 정도를 비교한 결과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1의 제형에서는 시험시작일 72~82일 사이에 육안으로 관찰되었으나, 실시예 2의 제형, 실시예 22의 제형, 실시예 24의 제형, 실시예 27의 제형, 실시예 30의 제형, 실시예 32의 제형, 실시예 35의 제형, 실시예 37의 제형, 실시예 39의 제형, 실시예 41의 제형 등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기존의 유용미생물보다 본 발명의 기술로 제조된 제형이 제품 보존력 곧, 저장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로, 제형에 푸른 곰팡이가 생성되기 시작하면 기일이 지나면서 균막 전체로 번지게 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인간의 배설물 냄새 비슷하게 부패한 냄새를 후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부패한 제형은 산업적으로 사용될 수 없게 된다.
(4) 실험이 종료된 상기 실험예 3의 제형에 대한 배양실험
실험예 4
1.5L의 투명한 페트병 10개에 각각 물 1.2L과 당밀 100g을 희석하여 희석물을 얻고, 상기 실험예 3에서 실험이 종료된 실시예 2의 제형, 실시예 22의 제형, 실시예 24의 제형, 실시예 27의 제형, 실시예 30의 제형, 실시예 32의 제형, 실시예 35의 제형, 실시예 37의 제형, 실시예 39의 제형, 실시예 41의 제형을 상기 당밀 희석물에 각각 100g씩을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이 형성된 병뚜껑으로 페트병의 입구와 바람직하게 체결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15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페트병을 흔들어주었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는 페트병뚜껑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발효과정의 결과 각각 14L 정도의 배양액을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은 상기 실시예 22~41의 결과물과 비슷하게 나타남으로써, 상기 실험예 3의 실험이 종료된 제형에 존재하는 유용미생물이 실험기간 동안에도 부패하지 않고 건강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5) 상기 실험예 4의 결과물인 배양액 제형에 대한 떫은맛, 신맛, 단맛에 대한 미각적 관능검사
실험예 5
상기 실험예 4의 결과물인 배양액의 제형 곧, 실시예 22의 제형, 실시예 24의 제형, 실시예 27의 제형, 실시예 30의 제형, 실시예 32의 제형, 실시예 35의 제형, 실시예 37의 제형, 실시예 39의 제형, 실시예 41의 제형을 50대; 남성 1명, 여성 2에게 실시하여, 각 제형의 맛을 미각적으로 비교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4에서와 같다.
제 형
제형의 맛 미각적 측정
떫 은 맛 신 맛 단 맛
실시예 2의 제형 5 5 5
실시예 22의 제형 5 5 5
실시예 24의 제형 5 5 4
실시예 27의 제형 5 5 5
실시예 30의 제형 5 5 4
실시예 32의 제형 5 5 5
실시예 35의 제형 5 5 5
실시예 37의 제형 5 5 5
실시예 39의 제형 5 5 5
실시예 41의 제형 5 5 5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조금 좋음, 3; 보통, 2; 조금 강함, 1: 매우 강함
< 결과 >
각 제형에 대한 맛을 시음하여 미각적으로 측정 결과 배양된 각 제형은 부드러우면서도 순해 시음하는데 어려움 없었으며, 평점도 표 4에서와 같이 조금 좋음 이상으로 나타나 배양성이 양호함은 물론 저장성도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식기 세척력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예 6
상기 실시예 32의 제형과 물을 1:2 비율로 소형 분무기 병에 넣어 잘 혼합한 다음, 그것을 음식물이 묻어 있는 각 식기의 표면에 살포한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제 1그룹은 수세미로 적당히 식기를 문지른 다음 수돗물로 깨끗이 세척하도록 하는 방법을 수행하고, 제 2그룹은 깨끗한 휴지로 식기의 표면을 닦아내도록 하는 방법을 수행하였다. 참가한 대상은 20대 주부 1명과 50대 주부 3명이다. 그리고 실시예 32의 제형이 식기세척 세제로서의 세척력을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5에서와 같다.
제 형
식기 세척력 측정
제 1 그룹 제 2 그룹
실시예 32의 제형 4 4
1) 숫자는 10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실시예 32의 제형에 대한 세제로서 세척력을 측정 결과 실시예 32의 제형은 일반적인 화학 세제보다 다소 떨어지나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에서와 같이 식기를 세척는 세제로서 적합하다고 생각하며, 평점도 표 5에서와 같이 좋음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히 물 구하기가 힘든 장소(예를들면; 산이나 들이거나 수돗물이 단수되었을 때 등)에서 물 없이 음식물이 묻은 식기를 세척하는데 적합하여 오염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구나 실시예 32의 제형의 유용미생물은 살균력, 코팅력, 탈취력 등이 있어서 세척 후 식기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세균을 분해 살균하고, 식기 표면을 코팅하여 물때 등이 생기지 않게 하며, 음식물 냄새 등을 없애는 탈취력 등이 우수하다.
(7)애완동물의 배설물 냄새의 탈취력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예 7
상기 실시예 22의 제형을 소형 분무기 병에 충전한 다음, 그것을 애완용동물(11년 된 마르티즈 숫컷)이 마룻바닥이나 방바닥의 장판, 화장실바닥의 타일 등에 배설물인 소변이나 대변을 본 경우 우선 휴지로 배설물을 치우고 난 곳에 분무기로 상기 상기 실시예 22의 제형을 적어도 1회 이상 살포한 다음 휴지 또는 마른 걸레나 젖은 걸래 등으로 깨끗이 닦아내도록 하는 방법이다. 참가한 대상은 20대 여성 1명과 40대 및 50대 주부 각각 5명이다. 그리고 실시예 22의 제형이 애완동물의 배설물 냄새 제거력(탈취력)을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6에서와 같다.
제 형 애완동물의 배설물 냄새 제거력 측정
실시예 22의 제형 5
1) 숫자는 5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실시예 22의 제형에 대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냄새 제거력(탈취력)을 측정 결과 실시예 22의 제형은 애완동물의 배설물 냄새가 나는 곳에 살포하여 휴지나 걸레로 닦아 냄으로써 바로 역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냄새가 제거되어 탈취력이 일반적인 화학 탈취제에 비해 그 효과가 결코 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평점도 표 6에서와 같이 매우 좋음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더구나 실시예 22의 제형의 유용미생물은 살균력, 코팅력 등이 있어서 마룻바닥이나 방바닥의 장판, 화장실바닥의 타일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세균을 분해 살균하고, 장판이나 타일 표면을 코팅하여 적당히 매끄러워지게 한다.
(8)세탁물의 정전기 방지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예 8
세탁기로 의복 등 세탁물을 세탁과정에서 마지막 헹굼 시 정전기 방지를 위해 상기 실시예 22의 제형을 세탁물 10Kg 기준으로 물의 량의 최대 시 20~100mmL를 투여하여 헹굼 후 탈수하도록 20대 여성 1명과 40대 및 50대 주부 각각 5명에게 고취시킨 다음, 실시예 22의 제형을 상기 고취한 방법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7에서와 같다.
제 형 세탁물 의복에 대한 정전기 방지 측정 관능검사
실시예 22의 제형 5
1) 숫자는 5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실시예 22의 제형에 대한 세탁물의 정전기 방지 측정 결과 실시예 22의 제형은 세탁물 헹굼 시 투여하고 세탁기의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킨 다음 건조된 의복 하나를 헤어드라이기로 열을 가한 뒤 머리카락에 접촉시켜 본 바, 정전기 발생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평점도 표 7에서와 같이 매우 좋음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22의 제형으로 헹굼 처리된 건조 세탁물은 실시예 22의 제형의 코팅력에 의해 섬유 표면이 코팅됨으로써 의복이 부드럽고 또한 의복에 묻은 세균에 대한 살균력 등으로 섬유유연제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사려된다.
(9)진딧물 제거력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예 9
재배된 무 잎사귀에 생긴 진딧물 제거를 위해 상기 실시예 22의 제형 그대로를 무 잎사귀에 소형 분무기로 분사한 제 1 그룹과 상기 실시예 22의 제형과 물을 1:2 비율로 혼합한 것을 무 잎사귀에 소형 분무기로 분사한 제 2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22의 제형이 진딧물제거에 대하여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8에서와 같다.
제 형
진딧물 제거력에 대한 측정 관능검사
제 1 그룹 제 2 그룹
실시예 22의 제형 5 4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실시예 22의 제형의 진딧물 제거 측정 결과 표 8에서와 같이 제 1 그룹에서는 매우 좋음, 제 2 그룹에서는 좋음으로 우수하게 나타나 진딧물제거제로서 적합하다.
(10) 침구류 및 의류의 냄새제거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예 10
매일 사용되는 침구류와 여러 번 입었던 의류 및 흰색의 의복에 상기 실시예 42~43의 제형을 분무기로 분무하여 침구류 및 의류의 냄새제거에 대하여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9에서와 같다.
제 형 냄새제거에 대한 측정
실시예 42의 제형 5
실시예 43의 제형 5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9에서와 같이 침구류나 의복에 배어 있는 냄새제거에 대한 평가에서 매우 좋음으로 나타나 상기 실시예 42~43의 제형은 침구류나 의복에 배어 있는 냄새제거에 적합하다.
(11) 침구류 및 의류의 색소침착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예 11
매일 사용되는 침구류와 여러 번 입었던 의류 및 흰색의 의복에 상기 실시예 42~43의 제형을 분무기로 분무하여 침구류 및 의류의 색소침착에 대하여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10에서와 같다.
제 형 색소침착에 대한 측정
실시예 42의 제형 5
실시예 43의 제형 5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10에서와 같이 침구류나 의복에 상기 실시예 42~43의 제형 그대로를 분사하였으나 색소침착 없이 매우 좋음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12)물 떼 제거력(코팅력)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예 12
물에 희석한 주방용 화학세제(제조사; CJ라이온, 제품명; 참그린 녹차설거지)를 수세미를 이용하여 싱크대 표면에 묻어 있는 분순물을 제거한 후 물로 세척한 다음 마른 행주로 싱크대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고, 1시간 동안 통풍이 잘되게 하여 자연건조하는 제 1방법, 물에 희석한 주방용 화학세제(제조사; CJ라이온, 제품명; 참그린 녹차설거지)를 수세미를 이용하여 싱크대 표면에 묻어 있는 분순물을 제거한 후 물로 세척한 다음 상기 실시예 42의 제형을 분무기로 싱크대 표면에 적당히 뿌린 후 마른 행주로 싱크대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고, 1시간 동안 통풍이 잘되게 하여 자연건조하는 제 2방법을 시행하여 상기 실시예 42의 제형이 물 떼 제거에 대하여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11에서와 같다.
제 형
물 떼 제거에 대한 측정 관능검사
제 1 방법 제 2 방법
실시예 42의 제형 2 5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11에서와 같이 제 1 방법에서는 나쁨, 제 2 방법에서는 매우 좋음으로 측정되어 본 발명의 기술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 42의 제형이 코팅력에 의한 물 떼 제거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13)세탁물의 세정력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 13
입었던 유아 옷을 상기 실시예 24의 제형과 물을 1:20%의 비율로 희석한 희석물에 8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수돗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자연 건조한 제 1세탁물과, 입었던 흰 색상의 속옷을 상기 실시예 24의 제형과 물을 1:50%의 비율로 희석한 희석물에 6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세탁기로 헹굼, 탈수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킨 다음 자연 건조한 제 2세탁물에 대한 세척력에 대한 시각적 측정과 냄새 제거력에 대한 후각적 측정의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12에서와 같다.
제 형
세척력에 대한 시각적 측정 냄새 제거력에 대한 후각적 측정
제 1세탁물 제 2세탁물 제 1세탁물 제 2세탁물
실시예 24의 제형 5 5 5 5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상기 실시예 24의 제형에 대한 세탁물의 세척력에 대한 시각적 측정과 냄새 제거력에 대한 측정의 관능검사는 표 12에서와 같이 매우 좋음 평점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히, 유아 옷 같은 경우에 화학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된 세탁물에 젖비린내 등의 냄새가 온전히 사라지지않고 남아 있는 경우가 흔한데 상기 실시예 24의 제형으로 세탁한 제 1세탁물에는 전혀 남아있지 않아서 매우 좋았다. 또한 제 2세탁물도 흰색이 더욱 뚜렷하게 세탁되어 있었다. 이처럼 세탁물에 묻은 오염원 제거에 탁월한 것은 상기 실시예 24의 제형의 미생물작용 세탁물의 오염원을 깨끗이 분해하여 제거였기 때문이다.
(14) 피부병 치료 또는 개선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예 14
11년 된 애완견(마르티즈)의 피부에 생긴 피부병 치료를 위해 애견 목욕 시 상기 실시예 44의 제품을 세정제로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피부병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13에서와 같다.
제 형 피부병에 대한 측정 관능검사
실시예 44의 제품 5
1) 숫자는 약 1개월 동안 1주일에 3회 정도를 적용한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13에서와 같이 평점이 매우 좋음으로 우수하게 나타나 상기 실시예 43의 제형을 함유하는 실시예 44의 제품이 동물의 피부병 개선 또는 치료용으로서 적합하다고 사려된다.
(15) 생선의 비린내 제거에 대한 관능검사
실험예 11
자반 고등어 5마리를 꼬들꼬들할 정도로 자연상태에서 반건조시킨 제 1 자반 고등어 제형과 숙성조에 상기 실시예 23의 제형과 물을 1:10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에 자반 고등어 5마리를 2~10℃의 온도에서 약 8시간 동안 침 지시킨 후, 숙성조로부터 꺼내어 자반 고등어 표면의 꼬들꼬들할 정도로 자연상태에서 반건조시킨 제 2 자반 고등어 제형을 오븐에 구어 익힌 것을 20대 남성 1명과 여성 2명, 50대 남성 1명과 여성 1명이 시식하여 고등어 비린내 제거 효과에 대하여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14에서와 같다.
제 형 고등어 비린내 제거 효과에 대한 측정
제 1 자반 고등어 제형 2
제 2 자반 고등어 제형 5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14에서와 같이 제 1 자반 고등어 제형에서는 나쁨, 제 2 자반 고등어 제형에서는 매우 좋음으로 우수하게 나타나 상기 실시예 23의 제형이 생선 비린내 제거용으로서 적합하다.
이상, 본 명세서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구현예 및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실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로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을 비교적 짧은 기간에 다량으로 배양 및 활성 가능하며, 또한 그 유용미생물의 색상이 제거된 증류액, 이온교환액 등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당 분야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데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a) 당 희석물에 장류, 젓갈류,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의 발효식품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0.01~30%의 비율로 투여하여 혼합하고 그것을 20~40℃의 온도에서 10~60일간 발효시켜 유용미생물을 추출하여 수득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 수득 단계; b) 당 희석물에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유용미생물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적어도 1% 이상의 비율을 투여하고 혼합하여 20~40℃의 온도에서 7~30일간 발효시켜 유용미생물을 활성 배양하여 활성배양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a나 b단계에서 얻어진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증류하거나, 이온교환처리하여 유용미생물 고유의 색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a단계 및 제 b단계에서 당은 설탕, 과당, 맥아당, 유당, 자당, 꿀, 엿, 조청, 올리고당, 과당, 원당, 사탕, 포도당, 당밀, 원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장류는 된장, 고추장, 청국장, 간장, 춘장, 막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젓갈류는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비웃젓, 게웃젓(전복창자), 새우젓, 가자미젓, 강달이젓, 고노리젓, 고등어젓, 갈치젓, 까나리젓, 꽁치젓, 능성어젓, 눈치젓, 대구젓, 도루묵젓, 도미젓, 돌치젓, 동태젓, 등피리젓, 디포리젓, 매가리젓, 멸치젓, 모챙이젓, 민어젓, 반지젓, 뱅어젓, 밴댕이젓, 송애젓, 뱀장어젓, 웅어젓, 자리젓, 전어젓, 정어리젓, 준치젓, 황숭어젓 등갈게젓, 겟가제젓, 게장, 게젓, 고개미젓, 곤쟁이젓, 꽃게젓, 농발게젓, 능갱이젓, 대하젓, 돌게젓, 바다게젓, 박하지젓, 방게젓, 백하젓, 벌떡게젓, 부새우젓, 새우맛젓, 새우액젓, 새하젓, 썰게젓, 오젓, 육젓, 자젓, 중하젓, 참게젓, 청게젓, 털게젓, 토하젓, 피앵이젓, 화란게젓, 황발이젓 등꼴뚜기젓, 굴젓, 낙지젓, 대합젓, 동죽젓, 맛젓, 모시조개젓, 바지락젓, 백합젓, 소라젓, 오분자기젓, 오징어젓, 어리굴젓, 조개젓, 한치젓 등갈치속젓, 게웃젓, 고등어내장젓, 대구아가미젓, 민어아가미젓, 명태아가미젓, 뱀장어 창젓, 전어밤젓, 조기속젓, 조기아가미젓, 창란젓, 해삼창자젓 등게알젓, 고등어알젓, 대구알젓, 대구이리젓, 명란젓, 복어알젓, 새우알젓, 성게알젓, 숭어알젓, 연어알젓, 장대알젓, 조기알젓, 화란젓 및 이외에도 가자미식해, 갈치식해, 광어식해, 노가리식해, 대구식해, 도다리식해, 도루묵식해, 멸치식해, 명태식해, 뱅어식해, 우럭식해, 전어식해, 전갱이식해, 조기식해, 쥐치식해, 홀때기식해, 횟대식해, 고동식해, 낙지식해, 대합식해, 마른 오징어식해, 문어식해, 오징어식해, 한치식해, 명태아가미식해, 명태창자식해, 명란식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김치류는 배추김치, 통배추김치, 나박김치, 보김치, 양배추보김치, 백김치, 총각무김치, 깍두기, 열무물김치, 부추김치, 오이소박이, 깻잎김치, 미나리 김치, 우엉김치, 쑥갓김치, 오징어채김치, 파김치, 갓김치, 호박김치, 도라지김치, 죽순김치, 콩잎김치, 돌나물김치, 시금치김치, 봄갓김치, 얼갈이김치, 양배추김치, 가지김치, 박김치, 총각김치, 고춧잎김치, 가을갓김치, 동아김치, 고추김치, 칡순김치, 감동젓김치, 백김치, 무청깍두기, 굴깍두기, 숙깍두기, 보쌈김치, 오이김치, 열무김치, 갓김치, 장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섞박지, 무·오이송송이, 석류김치, 짠짠지, 창란젓깍두기, 채김치, 해물김치, 강릉깍두기, 깍두기, 씀바귀김치, 서거리김치, 동치미, 파래김치, 꼴뚜기무생채, 무청김치, 검들김치, 약김치, 고춧젓김치, 고구마순김치, 고구마줄기김치, 고춧잎김치, 풋고추김치, 고들빼기조기젓김치, 고들빼기새우젓김치, 전복김치, 씀바귀김치, 갓김치, 고구마김치, 고들빼기김치, 양파김치, 콩나물김치, 감동김치, 감김치, 박깍두기, 무짠지, 파래김치, 반지(백지), 고구마김치, 골곰짠지, 분홍지, 더덕지, 사연지, 쪽파김치, 마늘줄기김치, 토란김치, 박김치, 씀바귀김치, 미나리김치, 무말랭이김치, 돗나물김치, 돌뱅이국물김치, 비지미, 전복김치, 동지김치(꽃동배추김치), 해물김치, 나박김치, 양하김치, 당근김치, 귤물김치, 퍼데기김치, 백김치, 겨자김치, 삶은무김치, 매화김치, 알타리동치미, 연꽃동치미, 오이물김치, 봄김치(햇김치), 가자미식해, 명태김치, 채칼김치, 한치김치, 호박열무김치, 고수김호박김치, 고수김치, 꿩김치, 닭김치, 가두배추섞박김치, 참나물김치, 섞박지, 달래젓김치치, 호박배추김치, 들깻잎짠지, 보쌈김치, 백김치, 비늘김치, 숙김치, 용인외지, 씀바귀김치, 순무김치, 채김치, 순무짠지, 순무섞박지, 팥잎김치, 연꽃동치미, 인삼물김치, 저림고추, 오이지, 단무지, 죽순지, 버섯지, 칡잎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발효주류는 곡물주, 과실주, 담금주, 혼성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식초류는 곡물식초, 과실식초, 한방약재식초, 담금식초, 혼성식초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유산균식품류는 고상 유산균, 액상의 유산균, 유산균을 함유하는 제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c단계의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증류기에서 증류하여 증류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c단계의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이온교환장치에서 이온교환처리하여 이온교환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의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
  12. 제 12항에 있어서,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은 살균, 탈취, 코팅, 정전기 방지, 진딧물제거, 비린내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도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용도.
  13. 제 12항에 있어서,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은 비누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용도.
KR1020140016430A 2014-02-13 2014-02-13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KR20150095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30A KR20150095294A (ko) 2014-02-13 2014-02-13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30A KR20150095294A (ko) 2014-02-13 2014-02-13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294A true KR20150095294A (ko) 2015-08-21

Family

ID=5405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430A KR20150095294A (ko) 2014-02-13 2014-02-13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52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743A (ko) * 2017-10-31 2019-05-09 충청남도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공급장치
KR20200074865A (ko) * 2018-12-17 2020-06-25 전통발효식품 협동조합 더덕 막장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743A (ko) * 2017-10-31 2019-05-09 충청남도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공급장치
KR20200074865A (ko) * 2018-12-17 2020-06-25 전통발효식품 협동조합 더덕 막장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23769A (zh) 一种生态洗涤剂及其制作方法
CN106721829A (zh) 果蔬酵素饮料制备方法
KR101275750B1 (ko) 꽁치 액젓을 이용한 장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5308A (ko)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CN103734338A (zh) 一种提高免疫力的配方驴奶粉
KR20150095258A (ko) 발효주의 제조방법
CN107299004A (zh) 一种可食用洗涤剂及其制作方法、应用
KR20150095292A (ko)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20200086519A (ko) 약초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
KR20150095294A (ko)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KR20150095323A (ko) 천연 혈당조절음료의 제조방법
KR101002256B1 (ko) 칠황버섯과 원적외선을 이용한 전복 건조법
KR20100035442A (ko) 조릿대 음료와 그 제조방법
CN109953301A (zh) 一种老坛酸菜多次腌制方法
KR20150095327A (ko) 천연 세제의 제조방법
CN105211803A (zh) 一种鲜泡菜的制备工艺
KR20150095333A (ko) 비린내가 제거된 과메기의 제조방법
KR20150095331A (ko) 천연 녹 제거제의 제조방법
KR101742975B1 (ko)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KR20150095298A (ko) 유용미생물 증류배양액의 제조방법
CN106213345A (zh) 萝卜的腌制方法
KR100753761B1 (ko) 바지락장
CN104522628A (zh) 干制食用菌及其加工工艺
KR20140071309A (ko)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KR20130124860A (ko) 함초를 포함한 친환경 세제 또는 세정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