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308A -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308A
KR20150095308A KR1020140016461A KR20140016461A KR20150095308A KR 20150095308 A KR20150095308 A KR 20150095308A KR 1020140016461 A KR1020140016461 A KR 1020140016461A KR 20140016461 A KR20140016461 A KR 20140016461A KR 20150095308 A KR20150095308 A KR 20150095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fermented
food
beverage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민
문미화
Original Assignee
송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민 filed Critical 송상민
Priority to KR102014001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5308A/ko
Publication of KR2015009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3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84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using microorganisms or biological material, e.g. enzy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 희석물에 장류, 김치류, 젓갈류, 전통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투여하고 발효시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배양(활성 배양 포함)한 다음, 그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식품재료로서 적합한 식품원료를 혼합함으로써,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해 식품의 재료로 적합한 식품원료가 지니는 유효성분이 추출되고 또한 그 추출물을 발효시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는다. 이어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은 증류하여 증류음료를 얻거나, 이온교환장치에서 이온교환처리를 수행토록 이온교환음료를 얻거나, 0.1~0.5㎛ 여과막을 갖는 고압여과기 바람직하게는 청징여과음료를 수행하여 청징여과음료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장류, 젓갈류,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로서 식품원료가 지니는 유효성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추출되게 함과 동시에 유용미생물의 작용으로 유효성분이 분해되고 새로운 성분이 합성되도록 발효시킴으로써 영양가가 향상되고, 기호성, 저장성, 약리성 등이 매우 우수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얻게 된다. 또한 그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등 다양한 형태의 미생물 발효음료를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Fermentation method of producing Effective Microorganisms Beverage}
본 발명은 당 희석물에 장류, 김치류, 젓갈류, 전통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투여하고 발효시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배양(활성 배양 포함)한 다음, 그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식품재료로서 적합한 식품원료를 혼합함으로써,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해 식품의 재료로 적합한 식품원료가 지니는 유효성분이 추출되고 또한 그 추출물을 발효시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는다. 나아가 상기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등 다양한 형태의 음료를 제조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의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용미생물(EM ; Effective Microorganisms)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 수십 종을 조합, 배양한 것이다.
대표적인 복합유용미생물은 1982년에 일본국 소재 류큐대학 농학부 히가 데루오 교수에 의하여 개발된 액상으로 EM-1, EM-5, EM-X, EM-Z, EM Bokashi, EM Ceramics, EM FPE 및 Activated EM이라는 상품명으로 하여 시판되고 있으며, 관련회사로는 일본국 소재 이엠 코포레이션(EM Corporation) 및 대한민국 소재 이엠 코리아(EM Korea) 및 에버미라클(evermiracle)등이 있다. 그리고 누구나 용이하게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최근, 당을 물에 희석하여 소량의 EM과 미강이나 탈지강 또는 쌀뜨물을 혼합하여 적정온도에서 호기 발효시켜 배양된 활성액인 유용미생물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유용미생물은 처음에는 농업자재로써 주로 사용되었다. 그 후, 그 효능과 능력이 해명됨에 따라 환경정화나 수질개선, 공중위생 등의 용도 적용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9092호에서는 법제유황과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민물장어 양식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73887호에서 유황발효액비와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병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334157호에서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독유황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 10-1268079 호의 한약재와 선옥균을 이용한 식품 첨가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14185호에서는 소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동물 사료용(국내특허 등록 제 10-0481971 호), 화장품(국내특허 등록 제 10-0721119호), 섬유 유연제, 소취제, 치약, 세제 등으로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EM을 활용한 건강식품의 대표적인 것으로 EM-X가 있다. EM-X는 EM발효물을 제균하여 고농축 시킨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일체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천연물 100%의 원료로 생산된 EM-1, EM-5 등과 같은 유용미생물로 만들어진다.
한편, 영양이나 약리 목적을 위해 식물 고유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저온수 추출법(가열하지 않는 물에 식물을 혼합하여 추출하는 방법), 열수에 의한 추출법(열수 추출법), 초임계에 의한 추출법(초임계 추출법), 에탄올에 의한 추출법(에탄올 추출법; 에탄올에 식물을 일정기간 혼합하여 에탄올에 식물이 지니는 유효성분이 추출되도록 하는 방법), 당에 의한 추출법(당 추출법; 설탕, 과당, 맥아당, 유당, 자당, 꿀 등의 당에 일정비율로 한방약재와 같은 식물을 일정기간 혼합하여 식물의 유효성분이 당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저온수 추출법은 식물에 함유하는 유효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추출할 있는 장점을 지니나 식물에 따라서는 추출하기 어려운 난제가 있으며, 식물의 유효성분이 추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많다.
열수 추출법은 단시간에 식물에 함유하는 유효성분이 추출되는 장점이 있으나 고온에 의해 많은 량의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단점이 있으며, 추출물은 극히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은 냉장보관하여 이용하나 그마저도 3~15일 이내로 보존력이 떨어져 부패하기 전에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초임계 추출법은 식물이 지니는 유효성분을 최소한 파괴하지 않고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초임계 추출법과 저온추출법 및 열 추출법 등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은 극히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은 여름철에 고온의 자연 상태에서는 1시간 이내에 부패할 수 있으며, 냉장고와 같은 저온 보관에서도 3일 내지 1개월 이내로서 저장성이 약하여 추출물은 장기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에탄올 추출법은 식물이 지니는 유효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 에탄올에 의한 추출물은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실온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에탄올에 의한 추출물은 에탄올 흡수를 자제하여야하는 환자에게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에탄올 때문에 필요한 특정 유효성분을 지니는 추출물의 흡수량을 충분하기 섭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에탄올을 마실 수 없는 자에게는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하는 유효성분이 아무리 탁월하더라도 이를 섭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당 추출법은 에탄올추출법과 유사하게 식물이 지니는 유효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 당 추출물은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실온보관이 가능하며, 당의 단맛으로 인해 대부분의 사람이 복용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당에 의한 추출물은 당뇨나 고혈압 환자 등에게는 특정 유효성분이 필요로 하더라도 당을 자주 또는 많이 복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당 추출물에 함유하는 유효성분의 흡수량을 충분하기 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음료로는 요쿠르트, 야쿠르드, 요플레이 등으로 예시되는 유산균을 이용한 제품이 있으나,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인 장류, 젓갈류,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나 유산균음료에도 유용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나 이들 발효식품에서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배양하고, 그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식물이나 동물의 유효성분을 추출 및 발효시키고, 나아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되는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등 다양한 형태의 음료를 제조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당 희석물에 장류, 김치류, 젓갈류, 전통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에 속하는 발효식품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배양한 다음, 그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식품재료로서 적합한 식품원료를 혼합함으로써,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해 식품의 재료로 적합한 식품원료가 지니는 유효성분이 추출되고 또한 그 추출물을 발효시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는다. 이어서, 상기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음료를 제조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류, 김치류, 젓갈류, 전통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에 속하는 발효식품으로부터 얻어진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손상시키키 않고 추출하고 또한 발효시켜 영양성, 기호성, 약리성이 뛰어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로 음료 제조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영양성, 기호성, 약리성이 뛰어난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등 다양한 형태의 미생물 발효음료를 제공하는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 당 희석물에 장류, 젓갈류,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의 발효식품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0.01~30%의 비율로 투여하여 혼합하고 그것을 20~40℃의 온도에서 10~30일간 발효시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추출하여 수득하는 유용미생물 수득 단계;
b) 당 희석물에 상기 a단계에서 수득 된 유용미생물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적어도 1% 이상의 비율을 투여하여 혼합하고 그것을 20~40℃의 온도에서 7~30일간 발효시켜 유용미생물을 배양하여 활성화하는 유용미생물 활성화 단계;
c) 상기 a나 b단계에서 얻어진 유용미생물에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임산물 등의 식품원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0.1~90%의 비율로 혼합하여 20~40℃의 온도에서 10일 내지 6개월 정도 발효시켜 식품원료에 포함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유용미생물에 의해서 추출하고 또한 그 추출물을 발효시켜 식품원료 유효성분이 함유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발효가 완료된 식품원료 유효성분이 함유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중 어느 하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단계는 발효식품에 함유된 다양한 유용미생물 중에서도 당 희석물에 적응할 수 있는 유용미생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당 희석물에 사용되는 당은 제한되지 않으며, 이룰 테면 설탕, 과당, 맥아당, 유당, 자당, 꿀, 엿, 조청, 올리고당, 과당, 사탕, 포도당, 당밀, 원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면 된다. 그리고 물에 희석되는 당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0.1~10%, 바람직하게는 0.5~5%, 더욱 바람직하게는 0.6~3%의 비율로 함유하면 좋다. 상기 범위보다 당의 함량이 클 경우, 추출 배양된 유용미생물은 산도가 너무 높거나 지나친 사용량에 따른 비용 발생으로 경제적이지 못하며, 반대로 상기 함량보다 적을 경우 발효식품으로부터 유용미생물이 추출되지 못하거나 배양하기 어려워 조성물이 부패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당 희석물에 사용되는 물은 증류수, 수돗물, 해양심층수, 정제수, 지하수, 약수물, 암반수 등 위생상 문제가 없는 것이면 좋다.
상기 당 희석물에 투여되는 발효식품(fermented food)은 젖산균이나 효모 등 미생물의 발효 작용을 이용하여 만든 식품으로 장류, 젓갈류,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의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발효식품으로서 장류는; 예컨대, 된장, 고추장, 청국장, 간장, 춘장, 막장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된장은 일본된장 미소(쌀 미소, 보리미소, 콩미소)도 포함된다. 그리고 된장, 고추장, 간장(일본간장 포함), 춘장, 막장은 적어도 4개월 이상 발효되어 유용미생물이 생성된 것이 사용되어야 하며, 수년 동안 오래 숙성되어 유용미생물이 풍부한 것인 전통발효 된장, 전통발효 고추장, 전통발효 간장, 전통발효 춘장 등은 더욱 좋다. 또한 청국장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삶은 콩을 볏짚과 함께 용기에 넣고 35~38℃의 온도에서 3~7일간 발효시킨 것이면 더욱 좋다.
발효식품으로서 젓갈류는; 어류의 살·알·창자 등을 소금에 짜게 절여 맛들인 식품으로 적어도 3개월 이상 발효에 의해 미생물이 생성된 것을 사용되어야 하며, 변질되지 않게 발효가 잘된 숙성된 1년 이상의 것은 더욱 좋다. 물론, 양념이 들어간 젓갈도 포함된다. 젓갈류의 종류로는 예컨대,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비웃젓, 게웃젓(전복창자), 새우젓, 가자미젓, 강달이젓, 고노리젓, 고등어젓, 갈치젓, 까나리젓, 꽁치젓, 능성어젓, 눈치젓, 대구젓, 도루묵젓, 도미젓, 돌치젓, 동태젓, 등피리젓, 디포리젓, 매가리젓, 멸치젓, 모챙이젓, 민어젓, 반지젓, 뱅어젓, 밴댕이젓, 송애젓, 뱀장어젓, 웅어젓, 자리젓, 전어젓, 정어리젓, 준치젓, 황숭어젓 등갈게젓, 겟가제젓, 게장, 게젓, 고개미젓, 곤쟁이젓, 꽃게젓, 농발게젓, 능갱이젓, 대하젓, 돌게젓, 바다게젓, 박하지젓, 방게젓, 백하젓, 벌떡게젓, 부새우젓, 새우맛젓, 새우액젓, 새하젓, 썰게젓, 오젓, 육젓, 자젓, 중하젓, 참게젓, 청게젓, 털게젓, 토하젓, 피앵이젓, 화란게젓, 황발이젓 등꼴뚜기젓, 굴젓, 낙지젓, 대합젓, 동죽젓, 맛젓, 모시조개젓, 바지락젓, 백합젓, 소라젓, 오분자기젓, 오징어젓, 어리굴젓, 조개젓, 한치젓 등갈치속젓, 게웃젓, 고등어내장젓, 대구아가미젓, 민어아가미젓, 명태아가미젓, 뱀장어 창젓, 전어밤젓, 조기속젓, 조기아가미젓, 창란젓, 해삼창자젓 등게알젓, 고등어알젓, 대구알젓, 대구이리젓, 명란젓, 복어알젓, 새우알젓, 성게알젓, 숭어알젓, 연어알젓, 장대알젓, 조기알젓, 화란젓 및 이외에도 가자미식해, 갈치식해, 광어식해, 노가리식해, 대구식해, 도다리식해, 도루묵식해, 멸치식해, 명태식해, 뱅어식해, 우럭식해, 전어식해, 전갱이식해, 조기식해, 쥐치식해, 홀때기식해, 횟대식해, 고동식해, 낙지식해, 대합식해, 마른 오징어식해, 문어식해, 오징어식해, 한치식해, 명태아가미식해, 명태창자식해, 명란식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발효식품으로서 김치류는; 채소 발효 식품으로 소금에 절인 채소에 젓갈이나 장류 등과 양념을 혼합하여 저온에서 발효시켜 만든 식품으로 적어도 3일 이상 발효에 의해 미생물이 생성된 것이 사용되어야 하며, 변질되지 않게 토굴이나 김치냉장고 등에서 발효 숙성이 잘된 6개월 이상의 것은 더욱 좋다. 김치의 종류로서는 예컨대, 배추김치, 통배추김치, 나박김치, 보김치, 양배추보김치, 백김치, 총각무김치, 깍두기, 열무물김치, 부추김치, 오이소박이, 깻잎김치, 미나리 김치, 우엉김치, 쑥갓김치, 오징어채김치, 파김치, 갓김치, 호박김치, 도라지김치, 죽순김치, 콩잎김치, 돌나물김치, 시금치김치, 봄갓김치, 얼갈이김치, 양배추김치, 가지김치, 박김치, 총각김치, 고춧잎김치, 가을갓김치, 동아김치, 고추김치, 칡순김치, 감동젓김치, 백김치, 무청깍두기, 굴깍두기, 숙깍두기, 보쌈김치, 오이김치, 열무김치, 갓김치, 장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섞박지, 무·오이송송이, 석류김치, 짠짠지, 창란젓깍두기, 채김치, 해물김치, 강릉깍두기, 깍두기, 씀바귀김치, 서거리김치, 동치미, 파래김치, 꼴뚜기무생채, 무청김치, 검들김치, 약김치, 고춧젓김치, 고구마순김치, 고구마줄기김치, 고춧잎김치, 풋고추김치, 고들빼기조기젓김치, 고들빼기새우젓김치, 전복김치, 씀바귀김치, 갓김치, 고구마김치, 고들빼기김치, 양파김치, 콩나물김치, 감동김치, 감김치, 박깍두기, 무짠지, 파래김치, 반지(백지), 고구마김치, 골곰짠지, 분홍지, 더덕지, 사연지, 쪽파김치, 마늘줄기김치, 토란김치, 박김치, 씀바귀김치, 미나리김치, 무말랭이김치, 돗나물김치, 돌뱅이국물김치, 비지미, 전복김치, 동지김치(꽃동배추김치), 해물김치, 나박김치, 양하김치, 당근김치, 귤물김치, 퍼데기김치, 백김치, 겨자김치, 삶은무김치, 매화김치, 알타리동치미, 연꽃동치미, 오이물김치, 봄김치(햇김치), 가자미식해, 명태김치, 채칼김치, 한치김치, 호박열무김치, 고수김호박김치, 고수김치, 꿩김치, 닭김치, 가두배추섞박김치, 참나물김치, 섞박지, 달래젓김치치, 호박배추김치, 들깻잎짠지, 보쌈김치, 백김치, 비늘김치, 숙김치, 용인외지, 씀바귀김치, 순무김치, 채김치, 순무짠지, 순무섞박지, 팥잎김치, 연꽃동치미, 인삼물김치 예시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간장이나 된장, 고추장 등에 저린 것인 발효식품도 포함되는데 예를들면; 저림고추, 오이지, 단무지, 죽순지, 버섯지, 칡잎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발효가 충분히 진행되어 유용미생물이 생성된 것을 사용하여야 마땅하다. 따라서 담근 즉시 먹는 겉절이, 풋절이 등과 같은 김치는 유용미생물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적용되지 않는다.
발효식품으로서 발효주류는; 과일이나 곡류, 서류 등과 기타 원료에 들어있는 당질과 전분질을 곰팡이나 효모의 작용에 의해 발효시켜 만든 술로서 효모나 젖산균 등 미생물의 존재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곡물주(맥주, 막걸리, 동동주, 순곡 청주, 교동 법주, 한산 소곡주, 해남 진양주, 청주(사케) 등), 과실주(선인장열매주, 복분자, 포도주, 머루주), 에탄올에 식물이나 동물을 혼합하여 담금주 및 이들을 혼합한 혼성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발효식품으로서 식초류는; 곡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곡물식초(흑초, 동초, 현미식초, 흑미식초 등),과실을 이용하여 제조된 과실식초(사과식초, 포도식초,감식초, 석류식초, 선인자열매식초), 한방약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한방약재식초(인삼식초, 솔잎식초, 도라지식초, 더덕식초), 증류식초를 포함한 통상의 식초에 특정 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담가 제조된 담근식초 및 이들을 혼합한 혼성식초 등 미생물의 존재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발효식품으로서 유산균식품류는; 고상 또는 액상의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으로 요플레이, 야쿠르트, 요구르트 등이다.
그리고 선택된 발효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0.1~30%를 투여한다. 상세하게는 장류나 젓갈류는 0.1~30%, 바람직하게는 0.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며,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은 0.1~30%, 바람직하게는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 등이다. 장류나 젓갈류와 같이 염분의 농도가 높은 발효식품일수록 발효 속도가 너무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고,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는 함량이 높을수록 발효가 잘 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함량보다 높은 비율로 투여하여도 무방하나 너무 높은 함량은 경제적이지 못하다. 반대로 상기 함량보다 적을 경우 유용미생물이 추출되지 못하거나 배양하기 어려워 조성물이 부패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발효식품으로부터 유용미생물을 추출 및 배양하는데 필요한 온도는 20~40℃, 바람직하게는 20~35℃,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5℃이다. 상기 온도범위보다 높으면 발효진행이 어렵거나 발효식품에 함유된 유용미생물이 사멸되는 문제가 있으며, 반대로 상기 온도보다 낮으면 발효의 진행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발효진행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발효가 진행되면 발효식품에 함유된 다양한 유용미생물 중에서 당희석물 조건에 적응 가능한 유용미생물만이 발효식품으로부터 추출됨과 동시에 당을 먹이원으로 하여 당희석물의 환경 조건에 적응하며, 증식되는데 적정량의 당, 적정온도, 적정한 산소공급 등 다양하게 조합된 환경조건에 따라 빠르게 확대 배양 되게 된다.
물론, 발효과정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데 이를테면, 25~35℃에서 발효시작 후 36~48시간이 지나면 발효조에서 기포가 발생하면서 가스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3~4일이 지나면서 외부의 세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성물 상층 표면으로 균막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때 조성물을 발효조의 뚜껑이 닫힌 상태로 혐기발효를 지속시켜도 무방하나,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발효조의 뚜껑을 잠깐씩 열어 가스를 배출시키거나 1회 이상 저어주거나, 지속적으로 공기발생기로 산소를 공급해주어 호기적으로 발효시키면 더욱 왕성한 발효가 진행되게 되게 된다. 발효기간은 선택된 발효식품과 온도 및 발효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통상 20℃ 이상에서라면 10~30일 정도면 충분하다.
이렇게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은 장류, 젓갈류, 김치류 등의 발효식품으로부터는 유산균, 납두균, 효모, 아세트산균, 광합성세균 등을 포함하는 유용미생물이 수십여 종으로 복합체이며, 유산균식품류의 발효식품으로부터는 유산균이 배양 및 활성화된 것이며, 발효주류나 발효식초류에서는 발효주나 발효식초에 함유되어 당을 먹이원으로 하는 유용미생물균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양 및 활성화된 것이다.
그리고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나 천 등의 필터로 적어도 1회 이상 반복적으로 여과하여 유용미생물의 부산물을 포함하는 찌꺼기를 깨끗이 분리해주는 것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는 a단계에서 얻어진 유용미생물을 배양하여 활성화하는 공정으로서, 발효조에 당 희석물에 상기 a단계에서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유용미생물을 투여하여 혼합하고 그것을 증식시켜 활성화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당 희석물에 혼합하되, 상기 a단계의 최종으로 얻어진 유용미생물 곧,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에 대하여 적어도 1% 이상의 비율이나 함량 비중이 클수록 증식이 잘 된다. 따라서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유용미생물은 바람직한 함량은 조성물 총 %에 대하여 1~30%, 바람직하게는 2~2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이다.
그리고 혼합물은 20~40℃의 온도에서 7~30일간 충분히 발효되면 활성화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게 된다.
물론, 본 단계에서의 활성 배양된 유용미생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조성물 구성에 있어서 발효식품 대신 a단계에서 수득한 유용미생물이 사용될 뿐 상기 a단계와 상이하다. 따라서 a단계 및 b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완성된 유용미생물은 거의 상이하다. 이를테면, a단계에서 유용미생물을 추출하기 위한 발효식품으로 된장이 선택되어 된장 유용미생물을 수득하였다면, b단계는 a단계에서 수득된 된장유용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a단계의 조성물 구성에서 선택된 발효식품인 된장 대신 a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수득된 된장유용미생물을 b단계의 조성물 구성으로서 투여할 뿐, 상기 a단계와 유사한 제조과정을 거쳐 활성 배양되는 것임으로 a단계에서 발효식품으로부터 수득된 된장유용미생물이나 그 된장유용미생물을 배양하여 활성화한 b단계의 된장유용미생물은 거의 상이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활성 배양액은 발효식품이 아니라 발효식품으로부터 추출 및 배양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발효 후 찌꺼기 발생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단계는 a단계 또는 b단계에서 제조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식품의 재료로 적합한 식품원료를 혼합하여 식품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유용미생물에 의해 추출 및 발효시켜 식품원료 유효성분이 함유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는 단계이다.
여기서, 식품의 재료로 적합한 식품원료는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등의 식품원료 그룹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식품원료로서 농산물(農産物)은 농업 생산 과정을 통해 생산된 생산물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쌀·겉보리·쌀보리·밀·맥주보리 등의 맥류, 기장·조·수수·옥수수·메밀·밀 등의 잡곡류, 콩·팥·녹두·강낭콩·동부 등의 두류, 감자·고구마 등의 서류 등으로 예시되는 것인 식량작물과 누에·벌·식용메뚜기 및 이외에 식용곤충이 포함된 잠견 및 그 부산물(예: 꿀)이 있으며, 배추·양배추·시금치·상추·미나리 등의 엽채류, 수박·참외·오이·호박·토마토·딸기·가지·피망 등의 과채류, 순무·무·당근·우엉·도라지·토란 등의 근채류, 꽈리고추·고추·마늘·파·양파·생강 등의 조미채소류 등으로 예시되는 채소가 있으며, 사과·배·복숭아·포도·감귤·감 등으로 예시되는 과실류와 밤·호도·대추·잣·도토리·은행·산딸기 등으로 예시되는 종실류와 면화·유채·참깨·들깨·땅콩·호프·녹차 등으로 예시되는 특용작물 및 구기자·길경·당귀·작약·황기·천궁·지황·시호·오미자·사삼·인삼·더덕·여주·알로엘·수세미 등으로 예시되는 것인 약용작물과 국화·장미·안개꽃 및 허브로 대변되는 박하·로즈마리·배질·민트·타임·라벤더·자스민·세이즈 등으로 예시되는 것인 화훼작물이 있으며, 표고버섯·메꽃버섯·영지버섯·잎새버섯·단색구름버섯·느타리버섯·팽이버섯·목이버섯·장수버섯·구멍장이버섯류·바늘버섯·한입버섯·옷솔버섯·혓바늘목이·노루궁뎅이버섯·무리우산버섯·덕다리버섯·먹물버섯·갓버섯·말불버섯·말징버섯·환각버섯·말똥버섯·낙엽버섯·애기버섯·애주름버섯·깔때기버섯·매미동충하초·번데기동충하초·자갈버섯·해면버섯·땅해파리버섯·뽕나무버섯·광대버섯류·무당버섯·젖버섯·땀버섯·말불버섯·낙엽버섯·애기버섯·양송이버섯·삼색도장버섯·해면버섯·구름버섯·송이버섯·새송이버섯·싸리버섯·갓버섯·계란버섯·석이버섯·상황버섯·영지버섯·노루궁뎅이버섯·말굽버섯 등으로 예시되는 버섯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원료로서 축산물(animal products)은 가축에 의해서 생산되는 생산물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한우·젖소·돼지·닭·양·말·꿩·오리·염소·메추리·산양·토끼·당나귀·사슴 등으로 예시되는 육류 및 그 부산물(내장·머리·꼬리·다리·기름·뼈·굽·혈액 등)과 우유·염소유·양유·당나귀유 등으로 예시되는 유류, 계란·메추리알·오리알 등으로 예시되는 알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원료로서 임산물(forest products·林産物)은 목재·수목·낙엽 등 산림에서 생산 또는 채취되는 산물(産物)로서 감나무·대추나무·잣나무·매실나무·자두나무·뽕나무 등으로 예시되는 수실류, 왕대·솜대·맹종·죽대 등으로 예시되는 죽류, 두릅나무·엄나무 등으로 예시되는 산나물류, 초피나무(제피나무)·꾸지뽕나무·편백나무·구상나무·스트로브잣나무·리기다소나무·테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버지니아소나무·해송·소나무·낙엽송·전나무·삼나무·옻나무·향나무 등으로 예시되는 약용류 등과 같이 약리효과나 식용에 적용할 수 있는 굴취한 수목·수실(樹實)·수피(樹皮)·수지(樹脂)·생엽(生葉)· 수액·낙엽·꽃·뿌리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것과 솔이끼·우산이끼·송라·물이끼·리트머스이끼·난쟁이이끼·매화나무이끼· 공작이끼· 구슬이끼·엷은잎우산이끼·아이슬란드이끼·빛이끼·꽃이끼·수염이끼·괴불이끼·선구실사리 등으로 예시되는 이끼류가 있으며, 무·해바라기·민들레·꿩의바람꽃·수호초,얼레지·완두·얼치기완두·명아주·기름나물·질경이·클로버·꽃마리·물망초·석잠풀·양귀비·기린초·꽃다지·장대나물·소리쟁이·뽀리뱅이·나팔꽃·미국나팔꽃 등으로 예시되는 초본류가 있으며, 덩굴류환삼·참다래·인동초·산딸기·칡·복분자·머루·오미자·산다래·등나무·작두콩 등으로 예시되는 넝쿨류가 있고, 표고버섯·메꽃버섯·영지버섯·잎새버섯·단색구름버섯·느타리버섯·팽이버섯·목이버섯·장수버섯·구멍장이버섯류·바늘버섯·한입버섯·옷솔버섯·혓바늘목이·노루궁뎅이버섯·무리우산버섯·덕다리버섯·먹물버섯·갓버섯·말불버섯·말징버섯·환각버섯·말똥버섯·낙엽버섯·애기버섯·애주름버섯·깔때기버섯·매미동충하초·번데기동충하초·자갈버섯·해면버섯·땅해파리버섯·뽕나무버섯·광대버섯류·무당버섯·젖버섯·땀버섯·말불버섯·낙엽버섯·애기버섯·양송이버섯·삼색도장버섯·해면버섯·구름버섯·송이버섯·새송이버섯·싸리버섯·갓버섯·계란버섯·석이버섯·상황버섯·영지버섯·노루궁뎅이버섯·말굽버섯 등으로 예시되는 버섯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원료로서 수산물은 수산 활동을 통해서 생산 또는 채취하는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고등어·조기·고래·상어·옥돔·갈치·준치·참치·꽃게·새우·병어·붕장어·가리비·홍해삼·피조개·해삼·미더덕·전복·소라·홍어·굴비·개불·키조개·멸치·가자미·게르치·굴·다랑어·칠게·날치·꼼장어·우럭·참돔·가자미·넙치·농어·멸치· 메기·대구·갈치·대구·드렁허리·메기·바다빙어·뱀장어·복어·숭어·쏨뱅이·아귀·앨퉁이·연어·붕어·잉어·철갑상어·청어·큰가시고기고기·작은가시고기·송사리·쏘가리·꺽지·납자루·버들붕어·버들치·피라미·곤들메기·독가시치·줄돔·바다장어·정강이·한치·문어·오지어·쭈꾸미·낙지·뿔소라·고동·다슬기·대하·대게·홍합·미꾸라지· 돌게·꼬막·바다메기·피조개·까나리·강달이·꽁치·능성어·둔치·도루묵·도미·돌치·동태·등피리·디포리젓· 매가리·모챙이·민어·반지·뱅어·밴댕이·송애·웅어·자리·전어·정어리·황숭어 등갈게·겟가제·고개미·곤쟁이·농발게·능갱이·박하지·방게·백하·벌떡게·청게·털게·토하·피앵이·화란게·황발이 꼴뚜기·동죽·모시조개·바지락·오분자기·성게·장대·광어·노가리·도다리·쥐치·멍개 등으로 예시되는 수산동물과 톳·김·미역·곰취·파래·우뭇가사리·모자반·가사리·꼬시래기·다시마·함초·매생이·세모가사리·멈·개파래·불등가사리·바다감초 등으로 예시되는 수산식물 등이다.
이와 같은 식품원료는 위생적인 것을 권장하며,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중에서 단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품원료는 그대로의 것, 건조한 것, 절단한 것, 파쇄된 것, 마쇄된 것, 분쇄된 것, 압착된 것, 가열된 것, 액상의 것, 고상의 것, 술이나 설탕, 과당, 맥아당, 유당, 자당, 꿀 등에 혼합된 것 및 그 추출액 등 그 형태 및 성상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섭취 가능한 상태의 식품으로 가공하거나 조리한 것과 식품원료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의 그 어떤 단계의 것도 포함된다. 또한, 당 추출법에 의해 유효성분이 추출되어 여과 후 버려지는 당 추출물의 찌꺼기(일명, 효소 찌꺼기) 등도 식품원료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약리목적으로 식품원료를 선택할 때는 약리학적으로 공지된 지식에 근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한의사나 한약사와 같은 전문지식인의 도움을 받아 한방약재를 특정 일정비율로 조제한 것을 식품원료로 선택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식품원료 또는 가공식품 중 염분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염분을 5% 이내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희석될 수 있는 량으로 조절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상술된 식품원료는 발효조의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혼합할 수 있는 것이 좋고, 필요에 따라 혼합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쓸 수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선택된 식품원료가 부력으로 인해 발효조의 액상의 유용미생물 상층부로 밀려올라 감으로서 식품원료가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온전하게 혼합(침지)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식품원료가 부력으로 인해 발효조의 액상의 유용미생물 상층부로 밀려올라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부력된 부분에 무거운 돌 등을 올려놓아 침지가 잘 되도록 하거나, 면 자루이나 양파자루와 같은 통기성 있는 자루포대 속에 부력방지제(예; 차돌)와 함께 식품원료를 넣어 침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유용미생물에 혼합되는 식품원료의 함량은 유용미생물에 충분히 혼합할 수 있을 정도의 량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0.1~90%정도 범위에서 적절하게 그 비율을 조절함은 물론, 식품원료도 그에 합당하게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예컨대, 건조된 식품원료를 너무 많은 량을 혼합하였을 경우 건조 식품원료가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건조 식품원료 전체 또는 그 일부가 혼합할 수 없게 그 비율을 조절하거나, 반대로 식품원료의 함량이 너무 적게 조절함으로써 추출되는 유효성분의 량이 너무 미약할 정도는 권장되지 않는다.
참고로, 식품원료가 액상으로 유용미생물에 혼합되는 경우라면 그 액상의 식품원료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5~80%, 바람직하게는 5~50%, 바람직하게는 10~20%의 범위 내에서 그 비율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고농축액 일수록 함유비율이 10~20%에서 조절되어야 한다.
또한 식품원료가 지방이 많은 동물성 원료일 경우에는 조성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1~20%정도 범위에서 적절하게 그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함량보다 지방이 많은 동물성 식품원료의 량이 너무 많은 경우 유용미생물이 동물성 식품원료의 지방을 발효시키는 기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거나, 부패하는 문제가 있다.
이어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혼합된 식품원료는 실내에서 20~40℃, 바람직하게는 2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30~32℃의 발효온도에서 식품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해서 추출되고 또한 그 추출물이 발효되게 된다. 발효과정에서 조성물은 발효시작 후 36~48시간이 지나면 발효조에서 기포가 발생하면서 가스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3~4일이 지나면서 외부의 세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성물 상층 표면으로 균막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때 조성물을 발효조의 뚜껑이 닫힌 상태로 혐기발효를 지속시켜도 무방하나,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발효조의 뚜껑을 잠깐씩 열어 가스를 배출시키거나 1회 이상 저어주거나, 지속적으로 공기발생기로 산소를 공급해주어 호기적으로 발효시키면 더욱 왕성한 발효가 진행되게 되게 된다.
발효기간은 선택된 식품원료 또는 식품원료 형태, 발효온도 및 발효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며, 10일 내지 6개월 정도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상기 발효기간보다 단축하거나 더 연장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a단계 또는 b단계에서 얻어진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된 유용미생물에 식품원료를 혼합하여 발효시킨 결과로 얻어진 식품원료 유효성분이 함유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식품원료가 지니는 유효성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추출되게 함과 동시에 유용미생물의 작용으로 유효성분이 분해되고 새로운 성분이 합성되어 영양가가 향상되고, 또한 맛과 향이 새로워져 기호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약리목적으로 선택된 식품원료라면 유용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면서 추출되고, 또 추출된 유효성분은 지속적인 발효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약리성이 더욱 우수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는 c단계의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중 어느 하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먼저,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중 어느 하나를 제조함에 있어서, 여과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은 압착여과 또는 광목이나 체 등을 여과기로 이용하여 1차 여과하거나 정수필터를 통해 필터여과를 수행하는 것은 권장한다.
상기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증류처리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증류하는 방법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증류기의 증류탱크에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넣고 30~60℃의 중온에서 증류음료를 얻거나, 60~150℃ 정도의 고온에서 증류한다. 이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증류탱크와 연결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냉각장치로 이송되며 액화되어 또한 포집조로 포집함으로써 맑고 투명한 증류음료를 얻게 된다. 물론, 증류음료를 제조하는 증류기는 시판되는 다양한 종류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상기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이온교환음료를 얻는 방법은 이온 교환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서, 이온 교환 수지, 이온 교환막 등에 의해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흡착 제거함으로써 이온교환음료를 얻게 된다. 또한 이온교환음료는 적어도 1회 이상 이온교환장치에서 이온교환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점점 더 투명한 이온교환음료를 얻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이온교환음료는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 고유의 성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이온교환처리 전보다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의 색상이 연해지거나 투명한 상태가 된다.
상기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청징여과음료를 얻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0.1~0.5㎛ 여과막을 갖는 고압여과기로 청징여과를 수행함으로써,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 고유의 성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청징여과음료를 얻게 된다. 물론, 이온교환음료는 적어도 1회 이상 동일한 여과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미세함 혼탁물까지 제거되어 깨끗한 이온교환음료를 얻게 됨은 물론, 숙성기간에 침전물이 생기는 것을 막아주는 장점을 가진다.
하기,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유용미생물 수득 공정
실시예 1
20L의 발효조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5년 숙성 발효된 된장(제조사;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성에 위치한 000 사찰) 0.3kg,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8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천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된장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된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15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멸치액젓(제조사; 신영광식품) 100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천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멸치액젓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멸치액젓 유용미생물을 대략 18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김치냉장고에서 2년 숙성 발효되고 도깨비방망이로 파쇄한 배추김치 200g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천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배추김치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배추김치 유용미생물을 대략 17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막걸리(제조사; 이동말걸리) 0.5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천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막걸리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막걸리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감식초(제조사; 아이러브상주) 0.4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광목천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감식초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감식초 유용미생물을 대략 19L 정도를 수득하였다.
(2)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의 활성 배양액 제조공정
실시예 6
600L의 발효조에 당밀 10L, 지하수 정수물 575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된장 유용미생물 15L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15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1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된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600L 정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멸치액젓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15일간 발효시키되 대략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멸치액젓 유용미생물을 대략 20L 정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8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3에서 수득된 배추김치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배추김치 유용미생물을 대략 20L 정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된 막걸리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막걸리 유용미생물을 대략 20L 정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20L의 발효조에 당밀 0.5L, 지하수 정수물 19L을 희석한 다음, 그 희석물에 상기 실시예 5에서 수득된 감식초 유용미생물 0.5ℓ를 투여하여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키되 1~3일에 적어도 1회 이상 밀폐된 발효조의 뚜껑을 열어 막대로 저어 주였으며, 또한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2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은 여과기로 여과함으로써 활성 배양된 액상의 감식초 유용미생물을 대략 20L 정도를 제조하였다.
(3)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용미생물에 의해 식품원료 유효성분 추출 및 발효 공정
실시예 11
20L의 발효조에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액상의 된장 유용미생물 16L에 파쇄한 개복숭아 5Kg을 침지 후 밀폐시켜 25~32℃의 온도에서 6개월간 발효시킴으로써, 된장 유용미생물에 의해 개복숭아의 유효성분이 추출되며 동시에 그 추출물은 발효되게 하였고, 발효종료일에 발효조로부터 발효물을 꺼내어 직경 0.1mm 정도의 미세한 구멍을 갖는 스텐 망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검갈색의 색상을 띄는 여과액인 개복숭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 12L 정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20L의 발효조에 다진 닭발 2Kg, 파쇄한 민들레뿌리 3Kg, 다진마늘 3Kg, 벌꿀 3Kg을 상기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액상의 멸치액젓 유용미생물 17L와 잘 혼합한 후 밀폐시켜 25~32℃의 온도에서 7개월간 발효시킴으로써, 멸치액젓 유용미생물에 의해 닭발, 민들레, 마늘, 벌꿀 등의 유효성분이 추출되며 동시에 그 추출물은 발효되게 하였고, 발효종료일에 발효조로부터 발효물을 꺼내어 직경 0.1mm 정도의 미세한 구멍을 갖는 스텐 망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검갈색의 색상을 띄는 여과액인 닭발, 민들레, 마늘, 벌꿀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 16L 정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20L의 발효조에 건조 차조기 200g, 녹차엽 200g, 건조 어성초 400g을 양파자루에 부력방지용으로 약 300g 정도의 차돌과 함께 넣어 양파자루 입구를 밀봉한 다음, 상기 실시예 8에서 제조된 액상의 배추김치 유용미생물 17L에 침지 후 밀폐시켜 25~32℃의 온도에서 3개월간 발효시킴으로써, 배추김치 유용미생물에 의해 차조기와 녹차엽과 어성초가 혼합된 유효성분이 추출되며 동시에 그 추출물은 발효되게 하였고, 발효종료일에 발효조로부터 발효물을 꺼내어 직경 0.1mm 정도의 미세한 구멍을 갖는 스텐 망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검갈색의 색상을 띄는 여과액인 차조기와 녹차엽과 어성초가 혼합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 15L 정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20L의 발효조에 생강마쇄물 2kg, 양파마쇄물 2kg, 옻나무피 200g, 우유 500mmL, 딸기 1kg을 상기 실시예 9에서 제조된 액상의 막걸리 유용미생물 15L에 잘 혼합한 후 밀폐시켜 25~32℃의 온도에서 5개월간 발효시킴으로써, 막걸리 유용미생물에 의해 생강마쇄물, 양파마쇄물, 옻나무피, 우유, 딸기 등의 유효성분이 추출되며 동시에 그 추출물은 발효되게 하였고, 발효종료일에 발효조로부터 발효물을 꺼내어 직경 0.1mm 정도의 미세한 구멍을 갖는 스텐 망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검갈색의 색상을 띄는 여과액인 생강, 양파, 옻나무, 우유, 딸기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 14L 정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20L의 발효조에 상기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액상의 감식초 유용미생물 16L에 익모초 53Kg, 다슬기 3Kg을 껍질 체 침지 후 밀폐시켜 25~32℃의 온도에서 6개월간 발효시킴으로써, 감식초 유용미생물에 의해 익모초 및 다슬기의 유효성분이 추출되며 동시에 그 추출물은 발효되게 하였고, 발효종료일에 발효조로부터 발효물을 꺼내어 직경 0.1mm 정도의 미세한 구멍을 갖는 스텐 망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검갈색의 색상을 띄는 여과액인 익모초, 다슬기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 12L 정도를 제조하였다.
(5)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증류처리하여 증류음료를 얻는 공정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11의 제형 9L를 고압약탕기의 탱크에 넣고 120℃로 가열하였다. 이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파이프라인을 통해 고압약탕기와 연결된 수증기 포집조로 이송되어 수증기를 포집한 다음 10℃ 이하의 온도에서 방치하여 자연 냉각함으로써 맑고 투명한 증류음료 6L을 얻었다.
(6)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이온교환처리하여 이온교환음료를 얻는 공정
실시예 17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담는 수조 및 제 1이온교환수지 필터를 흡입구에 장착되며 배출구는 정수필터와 제 1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되는 수중모터 및 정수필터는 1단계 세디먼트 필터→2단계 프리카본필터→3단계 UF필터포스트→4단계 포스트 카본필터로 구성되며 정수필터 입구는 제 1파이프라인과 연결되고, 정수필터 배출구는 제 2파이프라인과 연결된다. 또한 제 2이온교환수지 필터는 제 2파이프라인과 연결된다.이러한 이온교환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2의 제형을 이온교환처리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갈색의 색상을 띄는 상기 실시예 12의 제형 10L를 수조에 채운다. 그리고 수조에 채워진 수조의 실시예 12의 제형은 수중모터 흡입구에 장착된 제 1이온교환수지 필터를 통해 흡입구로 흡입된다. 이때 실시예 12의 제형은 제 1이온교환수지 필터를 통해 1차 이온교환처리된 이온교환음료가 된다. 그리고 1차 이온교환처리된 이온교환음료는 수중모터 배출구를 통해 수중모터 배출구와 연결된 제 1파이프라인을 통해 정수필터로 이송된다. 그리고 정수필터에서는 1단계 세디먼트 필터→2단계 프리카본필터→3단계 UF필터포스트→4단계 포스트 카본필터의 순차적으로 1차 이온교환처리된 이온교환음료를 여과시킨 후 제 2파이프라인을 통해 정수필터와 연결된 제 2이온교환수지 필터로 이송되어 2차 이온교환처리함으로써, 얻어진 이온교환음료는 고유의 유효성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색상이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가 되었다.
그리고 상기 2차 이온교환음료는 7회 더 동일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투명하고, 맛도 더 순해지고 부드러워진 이온교환음료 8.2L정도를 얻었다.
(7)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청징여과처리하여 청징여과음료를 얻는 공정
실시예 18
내경대 직경이 1:10의 원통관에 상기 실시예 13의 제형을 넣고 10℃의 저온에서 3일간 청징제균을 실시한 다음, 청징되어 나타난 바닥의 침전물층을 제외한 상층을 분리하여 여과면적 1㎡이상의 0.2㎛ 여과막을 갖고 있는 여과기를 사용하여 고압여과하는 한외여과로서 청징제균을 완료하여 청징여과음료 10L을 얻었다.
실험예
(1) 미생물 음료에 대한 관능평가
실험예 1
20대 남성 1명, 40대 남성 1명, 50대 남성 1명 및 여성 1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6 내지 22의 제형에 대한 색, 향, 부드러운맛,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가 하기 표 1에서와 같다.
구 분 실시예11의 제형 실시예12의 제형 실시예13의 제형 실시예16의 제형 실시예17의 제형 실시예18의 제형
2 2 2 5 5 5
3 3 3 5 5 5
부두러운맛 3 4 3 5 5 5
기호도 2.6 3 2.6 5 5 5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실시예 11의 제형과 실시예 12의 제형과 실시예 13의 제형에서보다 상기 실시예 16의 제형과 실시예 17의 제형과 실시예 18의 제형에 대한 향이나 맛, 그리고 기호도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2
(2) 본 발명의 기술로 제조된 미생물 발효음료의 복용으로 인한 약리적 효과 사례
사례 1)
평소 추위에 약하여 감기에도 취약한 체질을 지닌 45살 여성에게 상기 실시예 11의 제형을 권장하고, 비슷한 지병을 앓고 있는 50살의 여성 1명에게 상기 실시예 16의 제형을 권장하여 각각 1회 섭취량; 150mmL로 하여 20일간 복용시켰다. 그 결과 두 여성 모두에게서 복용 후 5일부터 복용후 30~120분 정도 지나면 몸에서 땀이 나고 추위를 덜 타는 것을 느껴졌고, 복용 20일 후 복용 전보다 훨씬 추위에 강해졌으며, 평소 땀이 잘 나지 않았었는데 기분 좋게 땀도 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속하는 상기 실시예 11의 제형 및 실시예 16의 제형에서도 약리효과가 입증되었다.
사례 2)
평소에 소화력 저하, 식욕부진, 천식으로 20여년 고생하고 있는 47살의 여성에게 상기 실시예 17의 제형을 1회 섭취량; 150mmL로 하여 1개월간 복용시켰다. 그 결과 환자에게서 소화력 저하과 식욕부진이 사라졌으며, 천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침의 빈도도 복용 전보다 훨씬 덜하여 매우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속하는 상기 실시예 17의 제형에서도 약리효과가 입증되었다.
사례 3)
생리도 불규칙함은 물론이고 생리통도 매우 심한 20대 여성 3명에게 각각 상기 실시예 15의 제형을 1회 섭취량; 150mmL로 하여 3개월간 복용시켰다. 그 결과 2명에게서는 복용 후 17 내지 22일 만에 생리를 시작하였으며, 약 3개월 정도의 기간에 3명 모두에게서 생리 주기도 규칙적이면서도 생리통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속하는 상기 실시예 15의 제형에서도 약리효과가 입증되었다.
사례 4)
일상생활에서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섭취하고난 다음 소화력이 떨어지고, 나른하고 피곤함을 자주 느끼는 20대 여성 2명과 남성 1명, 50대 남성과 여성 각 1명에게 상기 실시예 14의 제형을 쇠고기나 돼지고기 섭취에 1회 섭취량; 50~100mmL로 하여 3개월간 비 규칙적으로 복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복용자 모두에게서 소화력 우수하고 고기 섭취 후에 오는 피곤함 등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50대 남성과 여성 각 1명에게서는 몸도 매우 가벼운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속하는 상기 실시예 14의 제형에서도 소화력 등의 약리효과가 입증되었다.
사례 5)
숙성조에 상기 실시예 14의 제형 3L에 껍질 및 내장이 제거된 꽁치과메기(구룡포산) 1kg을 투여하여 실시예 14의 제형에 충분히 침지되게 한 후 6시간 동안 10~18℃의 온도에서 숙성시켜 실시예 14의 제형물에 의해서 꽁치과메기의 지방이 적당히 분해되도록 하여 비린내가 제거된 꽁치과메기와 섭취하기 쉽게 손질된 꽁치과메기(구룡포산) 500g을 준비한 것을 10~70대 성인남녀 13명(남:7명, 여:6명)을 대상으로 하여 배추, 미역, 김, 된장, 간장, 와사비, 초장 등을 준비하여 각 과메기를 섭취하되 원하는 취향대로 쌈을 싸서 섭취하도록 하여 각 과메기의 선호도에 대하여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가 하기 표 2에서와 같다.
구 분 비린내가 제거되지 않는 꽁치과메기 실시예 14의 제형에 의해 비린내가 제거된 꽁치과메기
선호도 5
1) 숫자는 3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실시예 14의 제형에 의해 비린내가 제거된 꽁치과메기에는 과메기 특유의 비린내가 없어서 참가자 전원에게서 선호도 매우 좋음으로 우수하였으나, 비린내가 제거되지 않는 과메기에서는 비린내로 인해 선호도가 매우 저조하게 나타나, 본 발명의 기술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 14의 제형을 이용하여 과메기의 지방을 분해하여 과메기 특유의 비린내가 제거된 과메기 식품을 제공하여 과메기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이것은 곧, 과메기 식품 분야에 수익창출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속하는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의 기술로 제조된 미생물 음료는 음료로서만이 아닌 생선의 비린내를 제거하는 용도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속하는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구현예 및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실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발효식품으로부터 제조되는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식품원료의 유효성분을 추출 및 발효시켜 영양성, 기호성, 약리성 등이 매우 탁월하며 식품원료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얻고 또한 그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등 다양한 형태의 유용미생물 발효음료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음료 분야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데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a) 당 희석물에 장류, 젓갈류, 김치류, 발효주류, 발효식초류, 유산균식품류 등의 발효식품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0.01~30%의 비율로 투여하여 혼합하고 그것을 20~40℃의 온도에서 10~30일간 발효시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추출하여 수득하는 유용미생물 수득 단계; b) 당 희석물에 상기 a단계에서 수득 된 유용미생물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적어도 1% 이상의 비율을 투여하여 혼합하고 그것을 20~40℃의 온도에서 7~30일간 발효시켜 유용미생물을 배양하여 활성화하는 유용미생물 활성화 단계; c) 상기 a나 b단계에서 얻어진 유용미생물에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임산물 등의 식품원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성물 총 %에 대하여 0.1~90%의 비율로 혼합하여 20~40℃의 온도에서 10일 내지 6개월 정도 발효시켜 식품원료에 포함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유용미생물에 의해서 추출하고 또한 그 추출물을 발효시켜 식품원료 유효성분이 함유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발효가 완료된 식품원료 유효성분이 함유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증류음료, 이온교환음료, 청징여과음료 중 어느 하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a단계 및 제 b단계에서 당은 설탕, 과당, 맥아당, 유당, 자당, 꿀, 엿, 조청, 올리고당, 과당, 원당, 사탕, 포도당, 당밀, 원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장류는 된장, 고추장, 청국장, 간장, 춘장, 막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젓갈류는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비웃젓, 게웃젓(전복창자), 새우젓, 가자미젓, 강달이젓, 고노리젓, 고등어젓, 갈치젓, 까나리젓, 꽁치젓, 능성어젓, 눈치젓, 대구젓, 도루묵젓, 도미젓, 돌치젓, 동태젓, 등피리젓, 디포리젓, 매가리젓, 멸치젓, 모챙이젓, 민어젓, 반지젓, 뱅어젓, 밴댕이젓, 송애젓, 뱀장어젓, 웅어젓, 자리젓, 전어젓, 정어리젓, 준치젓, 황숭어젓 등갈게젓, 겟가제젓, 게장, 게젓, 고개미젓, 곤쟁이젓, 꽃게젓, 농발게젓, 능갱이젓, 대하젓, 돌게젓, 바다게젓, 박하지젓, 방게젓, 백하젓, 벌떡게젓, 부새우젓, 새우맛젓, 새우액젓, 새하젓, 썰게젓, 오젓, 육젓, 자젓, 중하젓, 참게젓, 청게젓, 털게젓, 토하젓, 피앵이젓, 화란게젓, 황발이젓 등꼴뚜기젓, 굴젓, 낙지젓, 대합젓, 동죽젓, 맛젓, 모시조개젓, 바지락젓, 백합젓, 소라젓, 오분자기젓, 오징어젓, 어리굴젓, 조개젓, 한치젓 등갈치속젓, 게웃젓, 고등어내장젓, 대구아가미젓, 민어아가미젓, 명태아가미젓, 뱀장어 창젓, 전어밤젓, 조기속젓, 조기아가미젓, 창란젓, 해삼창자젓 등게알젓, 고등어알젓, 대구알젓, 대구이리젓, 명란젓, 복어알젓, 새우알젓, 성게알젓, 숭어알젓, 연어알젓, 장대알젓, 조기알젓, 화란젓 및 이외에도 가자미식해, 갈치식해, 광어식해, 노가리식해, 대구식해, 도다리식해, 도루묵식해, 멸치식해, 명태식해, 뱅어식해, 우럭식해, 전어식해, 전갱이식해, 조기식해, 쥐치식해, 홀때기식해, 횟대식해, 고동식해, 낙지식해, 대합식해, 마른 오징어식해, 문어식해, 오징어식해, 한치식해, 명태아가미식해, 명태창자식해, 명란식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김치류는 배추김치, 통배추김치, 나박김치, 보임치, 백김치, 총각무김치, 깍두기, 열무 물김치, 부추김치, 오이소박이, 깻잎김치, 미나리 김치, 우엉김치, 쑥갓김치, 파김치, 갓김치, 호박김치, 도라지김치, 죽순 김치, 콩잎 김치, 돌나물 김치, 시금치김치, 봄 갓김치, 얼갈이 김치, 양배추김치, 가지 김치, 박김치, 총각김치, 가을갓김치, 동아 김치, 고추김치, 칡순 김치, 백김치, 무청깍두기, 굴 깍두기, 보쌈김치, 오이김치, 열무김치, 갓김치, 장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무·오이송이, 석류김치, 짠지, 창난젓깍두기, 해물김치, 강릉깍두기, 깍두기, 씀바귀김치, 동치미, 파래김치, 꼴뚜기무생채, 무청 김치, 검들 김치, 약 김치, 고구마순 김치, 고구마줄기 김치, 풋고초김치, 고들빼기조기젓 김치, 고들빼기새우젓 김치, 전복김치, 씀바귀김치, 갓김치, 고구마김치, 고들빼기김치, 양파김치, 콩나물김치, 감동김치, 감 김치, 무짠지, 파래김치, 반지(백지), 고구마김치, 사연지, 쪽파김치, 마늘줄기 김치, 토란김치, 박김치, 씀바귀김치, 미나리김치, 무말랭이 김치, 돌나물 김치, 돌냉이국물김치, 비지니, 전복김치, 동지 김치, 해물김치, 나박김치, 양하 김치, 당근김치, 귤 물김치, 퍼대기 김치, 백김치, 겨자김치, 삶은 무김치, 매화김치, 알타이동치미, 연꽃동치미, 오이 물김치, 봄 김치(햇김치), 가자미식해, 명태 김치, 채칼 김치, 한치 김치, 호박열무김치, 고수 김치, 꿩 김치, 닭 김치, 참나물김치, 호박배추김치, 들깻잎 짠지, 보쌈김치, 백김치, 비늘 김치, 용인 외지, 씀바귀김치, 순무김치, 순무짠지, 팥잎 김치, 연꽃동치미, 인삼 물김치, 저림 고추, 오이지, 단무지, 죽순지, 칡이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발효주류는 곡물주, 과실주, 담금주, 혼성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식초류는 곡물식초, 과실식초, 한방약재식초, 담금식초, 혼성식초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의 발효식품으로서 유산균식품류는 고상 유산균, 액상의 유산균, 유산균을 함유하는 제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c단계에서 식품원료로서 농산물은 맥류, 잡곡류, 두류, 서류, 엽채류, 과채류, 근채류, 조미채소류, 과실류, 종실류, 특용작물, 약용작물, 화훼작물, 버섯류, 잠견류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c단계에서 식품원료로서 축산물은 육류 및 그 부산물, 유류, 알류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c단계에서 식품원료로서 임산물은 수실류, 산나물류, 약용류, 이끼류, 초본류, 넝쿨류, 버섯류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d단계에서 식품원료로서 수산물은 수산동물, 수산식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d단계의 증류음료는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증류기로 증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d단계의 이온교환음료는 이온 교환 수지, 이온 교환막 등으로 구성된 이온교환장치에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이온교환처리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d단계의 청징여과음료는 0.1~1㎛ 여과막을 갖는 고압여과기로 식품원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유용미생물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6. 제 1항 내지 제 15항의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미생물 발효음료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효음료.

KR1020140016461A 2014-02-13 2014-02-13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20150095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61A KR20150095308A (ko) 2014-02-13 2014-02-13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61A KR20150095308A (ko) 2014-02-13 2014-02-13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308A true KR20150095308A (ko) 2015-08-21

Family

ID=5405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461A KR20150095308A (ko) 2014-02-13 2014-02-13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530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5746A (zh) * 2016-01-29 2016-06-22 四川大学 一种芫根饮料及其制作方法
CN106035219A (zh) * 2016-06-20 2016-10-26 普定县持恒林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脚鸡林下饲养方法
CN107149072A (zh) * 2017-06-28 2017-09-12 大连海洋大学 牡蛎寡糖饮料
CN107279008A (zh) * 2017-07-31 2017-10-24 界首市华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藕塘套养龙虾的方法
KR20180014281A (ko) 2016-07-28 2018-02-08 (주)가보팜스 배착즙박의 유산균 발효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102073981B1 (ko) * 2020-01-19 2020-03-02 문은희 명태의 이리 액젓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3982B1 (ko) * 2020-01-19 2020-03-02 문은희 명태의 이리와 두부를 이용한 액젓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69390A (ko) * 2019-12-03 2021-06-11 계애경 포장 배달용 칼국수 제조 방법
KR20220093287A (ko) 2020-12-27 2022-07-05 윤여민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5746A (zh) * 2016-01-29 2016-06-22 四川大学 一种芫根饮料及其制作方法
CN106035219A (zh) * 2016-06-20 2016-10-26 普定县持恒林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脚鸡林下饲养方法
KR20180014281A (ko) 2016-07-28 2018-02-08 (주)가보팜스 배착즙박의 유산균 발효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CN107149072A (zh) * 2017-06-28 2017-09-12 大连海洋大学 牡蛎寡糖饮料
CN107149072B (zh) * 2017-06-28 2020-07-17 大连海洋大学 牡蛎寡糖饮料
CN107279008A (zh) * 2017-07-31 2017-10-24 界首市华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藕塘套养龙虾的方法
KR20210069390A (ko) * 2019-12-03 2021-06-11 계애경 포장 배달용 칼국수 제조 방법
KR102073981B1 (ko) * 2020-01-19 2020-03-02 문은희 명태의 이리 액젓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3982B1 (ko) * 2020-01-19 2020-03-02 문은희 명태의 이리와 두부를 이용한 액젓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93287A (ko) 2020-12-27 2022-07-05 윤여민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5308A (ko)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TW534800B (en) A novel fermentative composition, their preparation and the use thereof
KR20150095258A (ko) 발효주의 제조방법
KR101651603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된장의 제조방법
CN106721829A (zh) 果蔬酵素饮料制备方法
KR101275750B1 (ko) 꽁치 액젓을 이용한 장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244A (zh) 食用菌的培养方法及其加工利用
KR20020024129A (ko)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술
CN103477864B (zh) 一种灵芝化肉制品的生产方法
KR20150095292A (ko)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CN103181577A (zh) 风味酱野板鸭加工工艺
KR101908392B1 (ko) 버섯주의 제조 방법
CN105124504A (zh) 一种食用臭卤及其相关制品与臭豆腐臭鳜鱼
KR20120061786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게장, 새우장, 전복장의 제조방법
CN111869507A (zh) 一种以百香果为容器培育虫草的方法
KR101002256B1 (ko) 칠황버섯과 원적외선을 이용한 전복 건조법
KR101326274B1 (ko) 매실을 이용한 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방법
KR20100053179A (ko) 미생물 발효를 통한 발효산물로 기능성 벌꿀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기능성 벌꿀
KR101742975B1 (ko)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JP3118453B2 (ja) 松茸キムチ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松茸白菜キムチ及び松茸チョンガーキムチ及び松茸カクテギ及び松茸白キムチ
KR20140071309A (ko)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KR20030008099A (ko) 항암성분을 지닌 약초김치 제조방법
KR101230402B1 (ko) 밤꽃 순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414474B1 (ko) 솔잎엑기스를 첨가한 제품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제품
KR101581159B1 (ko) 삼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젓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