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976A - 객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객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976A
KR20150086976A KR1020140007280A KR20140007280A KR20150086976A KR 20150086976 A KR20150086976 A KR 20150086976A KR 1020140007280 A KR1020140007280 A KR 1020140007280A KR 20140007280 A KR20140007280 A KR 20140007280A KR 20150086976 A KR20150086976 A KR 20150086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vering
electronic device
display
hovering inpu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976A/ko
Priority to US14/601,561 priority patent/US20150205392A1/en
Publication of KR2015008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객체의 표시 형태 결정 방법은,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키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Description

객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ING AN OBJECT AND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근접 인식을 이용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장치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장치는 방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 서비스 또는 음악 재생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전자 장치 사용자들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의 조작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 및 키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및 키 입력 유지 시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객체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키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키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및 키 입력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함으로써, 전자 장치 사용자는 호버링 입력 장치의 조작에 따른 객체의 다양한 표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및 키 입력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및 키 입력 시간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체 효과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및 키 입력에 기반하여 입체 효과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스마트 가전(smart white appliance)(예: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전자 액자),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electronic dictionary),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전자 의복,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HMD(head-mounted display),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앨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또는 프로젝터(projector)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전압 ADC값에 기반하여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다. 하지만,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은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1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16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버스(110)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호버링 검출 프로그램(131), 객체 표시 형태 결정 프로그램(132) 및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133)을 실행하여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P 및 CP는 프로세서(120) 내에 포함되거나 서로 다른 IC 패키지들 내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AP 및 CP는 하나의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AP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AP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AP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CP는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CP는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단말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CP는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또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P는 통신 모듈(160)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AP 또는 CP는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AP 또는 CP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CP는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링크를 관리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CP는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12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통신 모듈(160))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내부 버퍼 및 외부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호버링 검출 프로그램(131), 객체 표시 형태 결정 프로그램(132) 및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래밍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호버링 검출 프로그램(131)은 호버링 검출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호버링 검출 프로그램(131)은 사용자 입력 모듈(14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포함된 호버링 검출부를 통해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호버링 검출 프로그램(131)은 호버링 입력 장치와 호버링 검출부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호버링 검출 프로그램(131)은 호버링 입력 장치와 호버링 검출부 사이의 거리 변화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호버링 입력 장치는 전자 펜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객체 표시 형태 결정 프로그램(132)은 호버링 및 키 입력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 결정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호버링 검출 프로그램(131)으로부터 호버링 입력 및 호버링 입력 장치의 키 입력을 수신 받은 경우, 객체 표시 형태 결정 프로그램(132)은 키 입력 유지 시간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객체 표시 형태 결정 프로그램(132)은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객체 표시 형태 결정 프로그램(132)은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133)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133)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133)은 객체 표시 형태 결정 프로그램(132)으로부터 전달받은 객체의 표시 형태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장 메모리는 SSD(Solid State Drive)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외장 메모리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널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예: 미들웨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은 미들웨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자 장치(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는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커널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32)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에 전자 장치(1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을 수행할 수 있다. API는 어플리케이션이 커널 또는 미들웨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40)은,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 받아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모듈(14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은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직접 터치뿐만 아니라 근접 인식(호버링)도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패널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는 키패드 또는 터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입력 장치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펜을 통해, 전자 장치에서 마이크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사용자에게 화상, 영상 또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패널 또는 홀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은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한, 패널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패널 또는 홀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디스플레이 제어 어플리케이션(133)의 제어에 따라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전자 장치(100)와 다른 전자 장치(102, 104)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60)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네트워크 통신(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162)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예: 같은 타입) 장치이거나 또는 다른(예: 다른 타입) 장치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은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는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호버링 검출부(200), 객체 표시 형태 결정부(21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호버링 검출부(20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호버링 검출 프로그램(131)을 실행하여 호버링 검출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호버링 검출부(200)는 사용자 입력 모듈(14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포함된 호버링 검출부를 통해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호버링 검출부(200)는 호버링 입력 장치와 호버링 검출부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호버링 검출부(200)는 호버링 입력 장치와 호버링 검출부 사이의 거리 변화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호버링 입력 장치는 전자 펜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객체 표시 형태 결정부(2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객체 표시 형태 결정 프로그램(132)을 실행하여 호버링 및 키 입력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 결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호버링 검출부(200)로부터 호버링 입력 및 호버링 입력 장치의 키 입력을 수신 받은 경우, 객체 표시 형태 결정부(210)는 키 입력 유지 시간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객체 표시 형태 결정부(210)는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객체 표시 형태 결정부(210)는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133)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부(220)는 객체 표시 형태 결정부(210)로부터 전달받은 객체의 표시 형태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및 키 입력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8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버링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펜(811, 911 또는 1011)에 의해 호버링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임을 가정으로 한다.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 후, 303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키 입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8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811, 911 또는 1011)에 의해 호버링 감지 후, 전자 펜(811, 911 또는 1011)에 포함된 키(813, 913 또는 1013)가 눌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펜(811, 911 또는 1011)에 포함된 키(813, 913 또는 1013)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임을 가정으로 한다.
키 입력을 감지한 후, 305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및 키 입력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키 입력 시간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및 키 입력 시간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701)에 표시된 입체 효과 모드 설정 메뉴(703)에서 "ON"(705)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에 기반하는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체 효과 모드 설정 메뉴(703)에서 "OFF"(707)가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한 후, 403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버링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펜(811)에 의해 호버링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임을 가정으로 한다.
호버링을 감지한 경우, 405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키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811)에 의해 호버링 감지 후, 전자 펜(811)에 포함된 키(813)가 눌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펜(811)에 포함된 키(813)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임을 가정으로 한다.
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407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키 입력 시간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811)에 의해 호버링 감지 후, 전자 펜(811)에 포함된 키(813)가 눌린 경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801)에 물감이 퍼지는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803). 이때, 키(813)가 눌린 상태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물감이 퍼지는 양이 늘어남을 표시할 수도 있다(805). 이때, 전자 장치는 입체 효과 모드에서 물감 효과를 선택한 것임을 가정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감지 후, 전자 펜에 포함된 키가 눌린 시간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701)에 표시된 입체 효과 모드 설정 메뉴(703)에서 "ON"(705)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에 기반하는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체 효과 모드 설정 메뉴(703)에서 "OFF"(707)가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한 후, 503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버링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펜(911)에 의해 호버링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임을 가정으로 한다.
호버링을 감지한 경우, 505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의 거리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9a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자 펜(911)과 디스플레이(901) 사이의 거리(931 또는 933)를 확인할 수 있다.
호버링 거리를 확인한 후, 507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키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9a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911)에 의해 호버링 감지 후, 전자 펜(911)에 포함된 키(913)가 눌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펜(911)에 포함된 키(913)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임을 가정으로 한다.
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509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911)에 의해 호버링 감지 후, 전자 펜(911)에 포함된 키(913)가 눌린 경우, 전자 장치는 호버링 높이에 기반하여 물방울이 물에 떨어져 튀어 오르는 형태를 디스플레이(901)에 표시할 수 있다(921). 이때, 전자 펜(911)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물방울이 물에 떨어져 튀어 오르는 높이가 높아짐을 디스플레이(901)에 표시할 수도 있다(923). 이때, 전자 장치는 입체 효과 모드에서 물방울 효과를 선택한 것임을 가정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하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701)에 표시된 입체 효과 모드 설정 메뉴(703)에서 "ON"(705)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에 기반하는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체 효과 모드 설정 메뉴(703)에서 "OFF"(707)가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입체 효과 모드를 동작한 후, 603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0a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버링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펜(911)에 의해 호버링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임을 가정으로 한다.
호버링을 감지한 경우, 605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키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0a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1011)에 의해 호버링 감지 후, 전자 펜(1011)에 포함된 키(1013)가 눌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펜(1011)에 포함된 키(1013)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임을 가정으로 한다.
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607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의 거리 변화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0a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자 펜(1011)과 디스플레이(1001)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 속도(1031 또는 1033)를 확인할 수 있다.
호버링 거리 변화를 확인한 후, 609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1011)에 의해 호버링 감지 후, 전자 펜(1011)에 포함된 키(1013)가 눌린 경우, 전자 장치는 호버링 거리 변화 속도(1031)에 기반하여 물방울이 물에 떨어져 튀어 오르는 형태를 디스플레이(100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펜(1011)에 의한 호버링 거리 변화 속도가 높아짐(1033)에 따라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물방울이 물에 떨어져 튀어 오르는 높이가 높아짐을 디스플레이(100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입체 효과 모드에서 물방울 효과를 선택한 것임을 가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전자 장치에서 객체의 표시 형태 결정 방법에 있어서,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키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전압 ADC값에 기반하여 상기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유지한 시간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키 입력 유지 시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키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전압 ADC값에 기반하여 상기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를 감지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유지한 시간을 감지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버링 입력 장치에 의한 키 입력 유지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장치.
KR1020140007280A 2014-01-21 2014-01-21 객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86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280A KR20150086976A (ko) 2014-01-21 2014-01-21 객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601,561 US20150205392A1 (en) 2014-01-21 2015-01-21 Display effect control using hovering detection of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280A KR20150086976A (ko) 2014-01-21 2014-01-21 객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976A true KR20150086976A (ko) 2015-07-29

Family

ID=5354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280A KR20150086976A (ko) 2014-01-21 2014-01-21 객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05392A1 (ko)
KR (1) KR201500869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15765A1 (en) * 2014-03-31 2017-04-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action with surface acoustic wave touchscreens
JP2019096098A (ja) * 2017-11-24 2019-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189104B2 (en) 2019-08-28 2021-11-30 Snap Inc. Generating 3D data in a messaging system
US11410401B2 (en) 2019-08-28 2022-08-09 Snap Inc. Beautification techniques for 3D data in a messaging system
US11488359B2 (en) * 2019-08-28 2022-11-01 Snap Inc. Providing 3D data for messages in a messaging system
US11457196B2 (en) 2019-08-28 2022-09-27 Snap Inc. Effects for 3D data in a messag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6771A1 (en) * 2006-02-21 2008-02-14 Seok-Hyung Bae Pen-based drawing system
GB0622451D0 (en) * 2006-11-10 2006-12-20 Intelligent Earth Ltd Object position and orientation detection device
US8232990B2 (en) * 2010-01-05 2012-07-31 Apple Inc. Working with 3D objects
US9244545B2 (en) * 2010-12-17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and stylus discrimination and rejection for contact sensitive computing devices
US9201520B2 (en) * 2011-02-11 2015-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tion and context sharing for pen-based computing inputs
US8933913B2 (en) * 2011-06-28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magnetic 3D stylus
US9594500B2 (en) * 2012-06-27 2017-03-14 sigmund lindsay clements Touch Free hygienic display control panel for a smart toilet
US9342162B2 (en) * 2013-01-29 2016-05-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946365B2 (en) * 2013-03-11 2018-04-17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based pressure-sensitive area for UI control of computing device
US9766723B2 (en) * 2013-03-11 2017-09-19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 sensitive device with hover over stylus control function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5392A1 (en)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0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virtual keyboard
US960228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encrypted message
KR102161200B1 (ko)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43618B1 (ko) 프레임률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128068A1 (en) Method for operating message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0310722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oll speed of content
KR102140290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25293A (ko)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06060B1 (ko) 전자 장치의 효과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06053B1 (ko) 입력 도구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135837A (ko) 디스플레이 운용 전자장치 및 방법
US201603812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panorama image
KR20150086976A (ko) 객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57858B1 (ko)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03130B1 (ko) 심카드 사용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447673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2936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data on a screen
KR10224183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50089393A (ko)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019602A1 (en) Advertisemen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60068514A (ko) 터치 입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45721A (ko)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685197B2 (en)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46270B1 (ko) 전자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KR20150116236A (ko) 잠금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