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813A -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813A
KR20150082813A KR1020140002228A KR20140002228A KR20150082813A KR 20150082813 A KR20150082813 A KR 20150082813A KR 1020140002228 A KR1020140002228 A KR 1020140002228A KR 20140002228 A KR20140002228 A KR 20140002228A KR 20150082813 A KR20150082813 A KR 2015008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neral
bud
sprout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이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복 filed Critical 이정복
Priority to KR102014000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2813A/ko
Publication of KR2015008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 효과를 나타내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 양액을 새싹 재배에 사용하는 경우 유기미네랄 성분이 강화된 새싹을 재배할 수 있으며, 새싹 추출물 제조 시 초음파추출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유용성분이 보다 많이 함유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Mineral nutrition composition for cultivating organic mineral sprout and cosmetic composition or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 효과를 나타내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 양액을 새싹 재배에 사용하는 경우 유기미네랄 성분이 강화된 새싹을 재배할 수 있으며, 새싹 추출물 제조 시 초음파추출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유용성분이 보다 많이 함유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최근 화장품의 주 트랜드는 식물원료를 기반으로 하는 식물영양소 화장품(Phytochemical Cosmetic ingredients)이다. 식물새싹은 비타민과 2차 대사산물이 풍부하다. 식물의 2차 대사물질은 식물이 병, 병원균, 건조 등 재해에 대한 방어수단으로 생산하며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모노터펜, 피토스테롤 및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s) 등이 있다. 존스 홉킨스 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의 연구에 의하면 브로콜리 새싹의 이소티오시아네이트 함량은 성숙한 브로콜리에 비하여 20~50배 많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근 화장품 원료로 여러 가지 새싹원료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크레스 새싹(Cress sprouts, Lepidium sativum )의 경우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성분이 풍부하여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식물성 영양소(phytonutrients)로 환경오염원 해독하고 중화하는 물질이다. 크레스 새싹 추출원물은 세포의 해독시스템을 작동시키고 유독 산화물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고 보고되었다. 통상 십자화과 식물인 양배추(cabbage), 브로콜리(broccoli), 컬리플라워(cauliflower), 케일(kale), 평지씨(rape-seed), 겨자(mustard), 무(radishes), 고추냉이(horse radish), 큰다닥냉이(water and garden cress)에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가 함유된 것으로 연구되었다.
화장품 원료로 다양한 식물 새싹이 활용되고 있으며 큰다닥냉이(garden cress) 새싹은 세포를 촉진하여 노화억제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겨자(mustard) 새싹은 지방층을 증가시킨다고 한다. 또한 해바라기 새싹은 피부의 새포 에너지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참깨 새싹은 항산화 능력이 높아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 스트레스를 저해하는 효과가 밝혀졌다.
최근 미네랄 화장품 신상품이 대량으로 출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미네랄 화장품의 부작용에 대한 문제도 부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티타늄 옥사이드(Titanium dioxide)와 산화아연(zinc oxide)은 빛을 차단하는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순수한 산화아연이 사용되지 않고 비스무스 옥시클로랄이드(bismuth oxychloride) 등이 혼입되면 피부에 해를 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미네랄 화장품이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피부에 해를 줄 수 있고 나노분자로 된 분말 미네랄 화장품이 사용 중 폐로 흡입될 가능성이 있어 액상 제품을 추천하지만 파라벤류(parabens), 프탈레이트류(phthalates), 향료(fragrances) 등 유독물질이 포함된 경우가 다수 있다. 따라서 미네랄 화장품의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기미네랄 화장료에 대한 개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특히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각종 미량 미네랄이 강화된 새싹 식물을 생산하기 위한 유기미네랄 양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기미네랄 양액을 사용하여 재배된, 유기미네랄이 강화된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원료 생산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국내 생산 유기농 유래 새싹 원료(Organic derived ingredients) 소재를 개발하여 유기농 원료를 국내외 회사에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국내 생산 유기농 유래 새싹 원료(Organic derived ingredients) 종자로 미네랄 강화 새싹 재배 생산 기술을 확립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자에 의한 한약재 추출 기술을 활용하여 유기농에 적합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공정을 개발하여 화학적 조작을 가하지 않고 유기농 화장품 인증기준에 적합한 새싹 추출물의 물리적, 추출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밀싹 추출물, 보리싹 추출물 및 메밀싹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 및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미네랄 양액을 새싹 재배용 양액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초음파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새싹 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 양액을 새싹 재배 시 사용하는 경우 유기미네랄 함량이 높은 새싹을 수확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이 보다 증진된 새싹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가 수익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덧붙여 새싹 추출물 제조 시 초음파추출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유용성분이 보다 많이 함유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도 1은 밀싹 재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메밀싹 재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보리싹 재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메밀싹, 밀싹, 보리싹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의 DPPH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메밀싹, 밀싹, 보리싹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섬유아세포/진피).
도 6은 메밀싹, 밀싹, 보리싹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HaCat 세포/표피).
도 7은 메밀싹, 밀싹, 보리싹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B16F1 세포-멜라닌 형성세포).
도 8은 코직산, 메밀싹, 밀싹, 보리싹 추출물의 미백효과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프로콜라겐 함량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TNF-alpha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전기분해용 금속 및 전기분해되는 금속 및 전기분해 용액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제조된 미네랄 액(위), 및 해양심층수 농축액을 용매로 한 전기분해 미네랄 용액(아래)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밀싹 추출물, 보리싹 추출물 및 메밀싹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새싹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초음파병합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새싹 재료를 부직포에 담아 초음파병합추출기(ultrasound assisted extractor)에서 추출을 진행할 수 있다. 추출 후 수득된 추출물은 파우더 농축기에 넣고 농축시킬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초음파병합추출기는 기존의 추출방법과는 달리 초음파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순도가 높은 추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료 중량의 2 내지 10배의 추출용매를 시료에 가하고, 40~95℃, 구체적으로 50~85℃, 보다 구체적으로 60~80℃의 온도에서 1~10시간, 구체적으로 2~8시간, 보다 구체적으로 2~6시간, 보다 더 구체적으로 2~3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되는 초음파추출기는 10~80 kHz, 구체적으로 20~70 kHz, 보다 구체적으로 30~60 kHz의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새싹 추출물은 물, C1 -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싹 추출물, 보리싹 추출물 및 메밀싹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노화를 방지하고,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소위 먹는 화장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식품은 노화 방지,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 이외에도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새싹 추출물은 물, C1 -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 및 Co, Cr, Cu, Fe, Mg, Mn, Sr, Zn, Li, V, Se 및 S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9종 이상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새싹 재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 및 Co, Cr, Cu, Fe, Mg, Mn, Sr, Zn, Li, V, Se 및 S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0종 이상의 미네랄을 함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1종 이상의 미네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2종 모두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각 미네랄은 해양심층수 1L에 대하여, Fe 및 Zn 각각 1~20 mg; Cu, Sr 및 Li 각각 0.5~10 mg; Mn, Sn, Se, Cr, V, Co 각각 0.1~5 mg을 첨가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Fe 및 Zn 각각 5~15 mg; Cu, Sr 및 Li 각각 2~8 mg; Se, Cr, V, Co 각각 0.5~2 mg을 첨가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Fe 및 Zn 각각 10 mg; Cu, Sr 및 Li 각각 5 mg, Mn, Sn, Se, Cr, V, Co 각각 1 mg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미네랄 양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재배된 밀싹, 보리싹 또는 메밀싹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로숀, 크림, 에센스, 아스트린젠트, 유액, 젤, 립스틱, 분무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바디클렌져,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목욕제, 팩, 마사지제,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이크 및 메이크업베이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네랄액 조제 및 투입량
미네랄액 베이스로 해양심층수(입수처: 주)워터비스)를 사용하였다. 해양심층수의 농축액은 마그네슘 함량이 70,000 ppm, 칼륨이 20,000 ppm, 나트륨이 20,000 ppm 정도 이다(표 1 참조). 해양심층수 농축액에 부족한 미네랄인 Fe, Mn, Zn, Sr, Se, Sn, Cr, Co, V의 첨가 처리를 하였다. 전기분해에 의한 미네랄액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전기분해에 의한 미네랄액 제조
Ca, Mg, Fe, Li, Mn, Zn, Sr, Se, Sn, Cr, Co, Ti, V 의 금속을 전기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물속에 이온화시킴으로써 고농도의 미네랄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온성 미네랄 제조용 전기분해장치는 슬라이닥스로 전압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정류기를 달아 직류를 발생시키도록 만들어졌으며, 20A 전류를 저장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콘덴서를 설치하고,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회로를 갖춘다.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양극의 전선은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전선과 연결한 후 음극엔 백금판을 설치하고, 양극엔 이온화시키기를 원하는 금속을 접지하여 물속에 담갔다. 전기를 가하고 전압을 금속에 따라 적절히 높여주고, 전류의 흐름을 높이고, 금속이온의 용출을 돕기 위해 염이나 유기산과 같은 물질을 전해액으로 넣어주면 금속의 이온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양극에서 녹아나온 이온성 금속은 음극에 달라붙어 코팅될 수 있어 음극은 역삼투막을 통해 격리시켜 전기는 통하되 금속 이온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 지속적으로 물에 녹여 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장치를 통해 금속을 이온화시킨 후 ICP 장비나 각종 계측기를 통해 미네랄의 농도를 측정한 후 양액의 제조에 이용하였다. 대다수 양이온의 금속들은 전극의 양극에 접지하여 이온화시키며, 유황이나 셀레늄과 같은 음이온 물질의 경우엔 음극을 이용하여 녹여낸다. 보통 10ppm의 미네랄 양액을 만들기 위해 농축 미네랄액은 200ppm 이상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2) 해양심층수 용매 활용 전기분해 미네랄액 조제
이때 전체의 미네랄액은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해양심층수 같은 미네랄액을 기반으로 만듦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미네랄양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심층수의 농축액은 마그네슘 함량이 70,000ppm, 칼륨이 20,000ppm, 나트륨이 20,000ppm 정도 되며, 기타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어 이 농축액에 부족한 미네랄을 첨가하여 미네랄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미네랄의 침전을 고려하여 칼슘을 비롯한 Fe, Mn, Zn, Sr, Se, Sn, Cr, Co, Ti, V의 부족한 미네랄은 따로 만들어 사용할 때 섞어 사용한다.
해양심층수 처리수(미네랄 농축수)
분석 항목 시험결과 시험방법
비 중 1.301 비 중 계
Ca (mg/L) 10 TITRATION
Mg (mg/L) 74,757 TITRATION
K (mg/L) 21,082 IC
Na (mg/L) 20,924 IC
Cl- (mg/L) 183,704 IC
SO4 - (mg/L) 69,356 IC
본 시험의 미네랄 투입내용은 아래와 같다. 해양심층수에 미네랄 강화용으로 전기분해에 의해 Fe, Mn, Zn, Cu, Sr, Se, Cr, Co, V를 함유하는 미네랄 용액을 표 2와 같은 농도로 만들어 실험군에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미네랄 투입량은 Fe, Zn은 10 mg/L, Cu, Sr, Li은 5 mg/L, Se, Cr, Co, V은 1 mg/L을 투입하였다(표 2 참조).
미네랄 투입량
원소 미네랄 투입량(mg/L)
Fe(mg/L) 10
Zn(mg/L) 10
Cu(mg/L) 5
Sr(mg/L) 5
Li(mg/L) 5
Se(mg/L) 1
Cr(mg/L) 1
V(mg/L) 1
Co(mg/L) 1
<유기화장품 개발 대상 국내 생산 새싹 유기농산물 종류 조사>
유기화장품 개발 대상이 되는 국내 유기농 인증 농산물도 매우 다양하게 있다. 본 발명자의 조사결과 23종의 유기농 인증 농산물이 유기농 새싹 화장품 원료로 개발 가능성이 있었다.
국내 새싹 유기농산물 구분 종류수 식물 종류
약초, 산채류 6 인삼, 산마늘, 홍화, 눈개승마, 들깨, 곰취
곡물류 8 밀, 보리, 메밀, 맥주보리, 겉보리, 쌀보리, 호밀, 옥수수
두과작물류 6 콩, 알팔파, 클로버, 쥐눈이콩, 녹두, 땅콩
엽채류 3 고추냉이, 케일, 신선초,
실험예 1. 밀싹 새싹재배 시험
밀 종자에 지하수만을 준 대조구와 표 2의 농도로 제조한 미네랄을 강화시킨 용액을 처리하였다. 밀싹을 18시간 불리고 매일 양액을 주었다. 밀은 상토를 1cm 두께로 깐 위에 흩뿌려 뚜껑을 덮어 두었으며, 용액이 마르지 않도록 매일 용액을 보충하여 주었다. 일주일이 지난 후 밀싹을 관찰하였다. 2주가 지난 후 그 밀싹을 각각 채취하여 각종 미네랄의 함량을 ICP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2. 메밀싹 재배 시험
메밀(Commercial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은 밀싹과 같은 방법으로 하우스에서 재배하였다. 메밀은 상토를 2cm 두께로 깐 위에 흩뿌려 뚜껑을 덮어 두었으며, 용액이 마르지 않도록 매일 용액을 보충하여 주며, 2주일이 지난 후 수확하였다.
실험예 3. 밀싹 재배 시험
보리는 수경 재배 방식으로 새싹을 재배하였다. 생풀 생산 시스템의 환경 제어되는 시설에서 생산하였다. 보리 파종 후 10일에 수확하여 화장품 원료 추출 재료로 활용하였다. 새싹은 30cm의 길이 정도였다.
실험예 4. 미네랄 분석
메밀, 밀, 보리를 새싹으로 재배한 후 시료를 채취하여 상지대학교 자연과학센터의 ICP를 통하여 작물 내에 함유된 미네랄 양을 측정하였다. 각 작물별 실험과정은 하기와 같다.
(1) 전처리 방법의 요약
건조된 시료는 미국 EPA의 Method 3050B(퇴적물, 슬러지, 그리고 토양의 산성분해법)에 준하여 전처리하였다.
① 건조 후 균질하게 섞은 시료 약 1.0 ~ 2.0 g을 정확히 무게를 재고 분해용기에 넣은 후 10 mL의 1:1 질산(미량금속측정용, kanto 社)을 주입하였다. 분해용기에 시계접시를 덮고 가열판에 옮긴 후 95±5℃로 10~15분간 환류시킨 후, 방냉하였다.
② 질산원액 5 mL를 주입하고 30분간 환류시켰다. 만약 갈색 훈연이 발생한다면 이는 HNO3에 의한 시료의 산화를 나타내는 것이며, 갈색 연기가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 이 단계(HNO3 원액 5 mL 주입)를 반복하였다.
③ ②단계의 시료 분해가 완전해진 후 냉각시키고 2 mL의 증류수와 3 mL의 30% H2O2(미량금속측정용, Merck 社)를 주입하였다. 용기를 시계접시로 덮고, 가열과 과산화수소 반응을 시작시키기 위해 덮개가 덮인 용기를 가열판으로 다시 올려놓았다. 지나치게 격렬한 거품발생으로 인한 시료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거품이 가라앉을 때까지 가열하고 용기를 냉각시켰다.
④ 거품이 최소화되거나 일반적인 시료의 외형이 변화가 없을 때까지 따뜻함을 유지하면서 계속하여 30% H2O2를 1 mL 씩 나누어 주입하였다. 이때 주입되는 30% H2O2가 총 10 mL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⑤ 시계접시로 분해용기를 덮고 부피가 대략 5 mL로 감소될 때까지 가열하여 산-과산화수소 분해를 계속하거나 또는 95±5℃에서 끓음 없이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이 모두 증발되지 않도록 덮개를 유지시켰다.
⑥ 시료를 냉각시킨 후 100 mL 용량 플라스크에 깔때기와 여과지(Whatman, No.40)를 이용하여 분해액속의 미립자와 시료용액을 분리하고 정용하여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시료의 분석방법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에 따라 측정용 시료의 발광강도를 측정하고, 분석항목별 표준물질의 농도와 발광강도의 상관관계로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분석원소의 양을 구하여 함량(/kg)을 산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ICP-OES 기기는 유도결합플라즈마 광학분광계(Vista-MPX, Varian)이며 <표 4>에 기기의 분석조건을 요약하였다. 검량선의 선형범위(Linear range)를 벗어난 농도의 시료의 경우 증류수로 희석하여 검량선의 선형범위 이내의 농도를 나타내도록 희석한 후 분석하였다. 모든 시료처리과정은 오염을 최소화하였고, 시료의 희석 및 세척에 사용된 증류수는 Millipore 社의 Nanopure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5. 미네랄 처리에 의한 새싹의 미네랄 함량
(1) 메밀 새싹의 미량 미네랄 농도
실시예1의 미네랄 양액 처리에 따른 메밀싹의 미네랄 농도는 표 5와 같다. 시험 결과 실시예1의 미네랄 양액 처리구에서는 Li, Mn, Sr, Zn이 증가되었다. 리튬 사용에 따른 처리별 리튬 함량은 대조구의 0.19에서 처리구에서 4.59 mg/kg로 높아졌다. 토양의 리튬 함량은 100ppm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통상 과일의 리튬 함량은 14~70 ㎍/g으로 보고되었으며, 고추의 리튬 함량은 194~318 ㎍/g으로 높다(Lovkova 등, 2007).
망간, 아연 처리의 효과는 대조구인 물 공급 새싹재배구와 미량요소 처리구에서 나타났다. 아연은 식물의 화분 형성에 중요한 성분이다. 화분의 Zn 함량은 80mg/kg이다(Cakmak, 2008). 벼의 아연 함량은 10~40 mg/kg, 밀은 13~68 mg/kg으로 보고되었다(Rashid 와 Ryan, 2004).
스트론튬(Sr) 처리는 실시예1의 미네랄 양액 처리구에서는 흡수 효과가 높았으나, 지하수인 대조구에서는 효과가 미미하였다. 천연 상태의 스트론튬 (strontium)은 방사성 원소가 아니며 생물은 스트론튬을 칼슘과 잘 구분하지 못하고 스트론튬을 흡수한다. 동물에서는 뼈와 치아를 구성하며 칼슘의 일부를 대체하는데, 인체에는 약 320 mg의 스트론튬이 함유되어 있으며, 뼈에는 36~140ppm 농도로 들어있다. 1950년대부터 인체 건강에 대한 스트론튬의 유익성이 많이 연구되고, 스트론튬 화합물이 식품보조제로 사용되고 있다(Krutilina 등, 1999).
메밀(buckwheat)의 미네랄 처리에 의한 새싹의 미네랄 농도
원소 종자 새싹(물시용-대조구) 새싹(미네랄 처리구) 농도차(새싹-종자) 농도차(처리구-대조구)
Fe(mg/kg) 61.2 70.7 72.5 9.5 1.8
V(mg/kg) 0.25 0.41 0.45 0.16 0.04
Cr(mg/kg) 0.85 1.01 1.12 0.16 0.11
Li(mg/kg) 0.15 0.19 4.59 0.04 4.4
Mn(mg/kg) 15.5 16.7 26.5 1.2 9.8
Co(mg/kg) 0.00 0.00 0.08 0 0.08
Cu(mg/kg) 6.52 7.78 9.98 1.26 2.2
Zn(mg/kg) 20.5 29.8 39.5 9.3 9.7
Se(mg/kg) 0 0 0.62 0 0.62
Sr(mg/kg) 0.35 0.43 5.80 0.08 5.37
(2) 미네랄 처리에 따른 밀싹의 미네랄 함량
밀싹의 실시예1의 미네랄 양액 처리에 의한 미네랄 흡수량은 표 6과 같다. 철, 리튬, 스트론튬, 망간, 셀레늄 및 스트론튬의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밀(wheat)의 미네랄 처리에 의한 새싹의 미네랄 농도
원소 종자 새싹(지하수-대조구) 새싹(미네랄 처리구) 농도차(새싹-종자) 농도차(처리구-대조구)
Fe(mg/kg) 52.2 67.7 73.6 15.5 5.9
V(mg/kg) 0.55 0.74 1.33 0.19 0.59
Cr(mg/kg) 0.52 0.61 1.09 0.09 0.48
Li(mg/kg) 0.42 0.45 5.20 0.03 4.75
Mn(mg/kg) 38.8 40.2 65.4 1.40 25.2
Co(mg/kg) 0.04 0.04 1.30 0 1.26
Cu(mg/kg) 4.70 4.87 7.55 0.17 2.68
Zn(mg/kg) 38.9 39.5 44.5 0.60 5.0
Se(mg/kg) 0.13 0.15 5.45 5.32 5.30
Sr(mg/kg) 1.55 1.59 12.46 0.04 10.8
(3) 미네랄 처리에 따른 보리싹의 미네랄 함량
보리새싹에는 철, 구리, 망간, 아연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보리새싹에는 이러한 각종 영양 성분들이 균형 있게 함유되어 있다. 보리싹의 실시예1의 미네랄 양액 처리에 의한 미네랄 흡수량은 표 7과 같다. 철, 리튬, 스트론튬, 망간, 셀레늄 및 스트론튬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보리(barey)의 미네랄 처리에 의한 새싹의 미네랄 농도
원소 종자 새싹(물시용-대조구) 새싹(미네랄 처리구) 농도(새싹-종자) 농도차(처리구-대조구)
Fe(mg/kg) 75.7 76.5 85.5 0.8 9.0
V(mg/kg) 0.45 0.65 1.39 0.20 0.74
Cr(mg/kg) 0.52 0.61 1.09 0.09 0.48
Li(mg/kg) 0.40 0.42 4.97 0.02 4.55
Mn(mg/kg) 18.9 20.2 45.1 1.40 24.9
Co(mg/kg) 0.04 0.04 1.23 0 1.19
Cu(mg/kg) 9.50 10.8 15.7 1.3 4.90
Zn(mg/kg) 19.5 52.8 64.7 33.3 11.9
Se(mg/kg) 0.14 0.16 4.58 0.02 4.42
Sr(mg/kg) 1.44 1.48 11.32 0.04 9.84
(4) 잔류농약 검사 결과
새싹의 잔류농약이 검출된 결과는 표 8 과 같다. EPN 등 245 성분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새싹의 잔류농약 검사 결과
시료 시료수 성분 잔류농약 농도
(mg/kg)
비고(분석항목)
메밀싹 2 - 0 EPN 등 245 성분
보리싹 2 - 0 EPN 등 245 성분
밀싹 2 0 0 EPN 등 245 성분
제조예 1. 새싹을 이용한 화장품소재 추출 공정
(1) 추출, 파우더 농축 제조공정
새싹 재료를 부직포에 담아 초음파병합추출기(소니메디(주), ultrasound assisted extraction)에서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이 끝난 추출물을 파우더농축기에 넣고 농축을 진행하였다. 본 초음파 병합 추출장치는 기존의 전통 첩약 탕기 등에 열수 추출방법으로 한약을 달이던 것을 초음파를 활용 낮은 온도에서도 짧은 시간 내에 순도 높은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2) 추출방법
메밀, 밀, 보리 새싹의 추출은 시료중량에 대하여 각각 5배의 증류수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70℃에서 2~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에 사용된 초음파 추출기(Sonimedi Co. 40 kHz,)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들은 표준체로 여과하여 농축 후 동결건조한 뒤에 각각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발아현미 같은 재료는 초음파추출 분쇄한 후 초음파 수조에서 2~3시간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하였다. 초음파 추출한 추출물은 반복 추출하지 않고, 1회 추출 후 여과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추출물은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추출수율 각각의 추출수율은 아래의 식에 의해 계산 하였다(Woo와 Lee, 2008).
Extraction yield (%) = ( A × B / C ) × 100
A : 가용성 고형분 농도 (mg·mL-1), B : 총 추출용매의 양 (mL),
C : 동결건조 시료 양 (mg)
(3) 추출액 수율
초음파 추출물 중 산마늘싹이 가장 높은 추출량을 보였다. 표 9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밀싹 추출물이 메밀싹에 비하여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초음파 추출물의 수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초음파 조사 시 용존산소나 기포를 액외로 방출시키는 탈기현상을 일으켜 이들이 서로 액체와 상호 작용하면서 상승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으로 보인다. 환류냉각추출법은 식물의 가용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Cho 등, 2005; Choi 등, 2005), 열로 인한 유용성분의 파괴, 가용성분 위주의 추출,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단점이 있다. 반면 초음파 추출법은 낮은 온도에서 추출하여 유용성분의 파괴를 줄일 수 있고 짧은 시간에도 높은 추출수율과 생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추출방법이다(Park 등, 2004; Kim 등, 2006).
Figure pat00002
실험예 6. 피부효능 검사
(1) 항산화 효과
1) 실험방법 :항산화 활성측정: DPPH법
500 uM DPPH (2.2-diphenyl-1-picryl hydrezyl) 용액을 에틸 알콜에 녹여 여과한 후 즉시 사용하였다. 제조된 DPPH 용액과 시료 용액을 1:1로 혼합하여 격렬하게 섞은 후, 상온 암소에 20분간 방치하였다.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식을 이용하여 DPPH 라디컬 제거율(%)을 산출하였다. 이때 라디컬을 제거하는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1mM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DPPH 라디컬 제거율(scavenging, %) = (A - B) / A x 100
상기 식에서, A는 공시 시험액에서 얻은 흡광도이고, B는 검액에서 얻은 흡광도임
2) 시험결과
전체적으로 양성대조군에 비해 항산화력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밀싹, 보리싹의 경우 높은 농도에서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2) 세포 독성, 세포성장 실험
1) 시험방법
인간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케라틴세포(Keratinocyte), 멜라닌세포(Melanocyte)를 96 well 플랫-바톰 마이크로플레이트(flat-bottom microplate)에 적당량 분주하고, 세포가 바닥면에 부착되도록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가 바닥면에 부착한 후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농도의 시료를 well 당 100 ul씩 넣어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세포성장에 대한 영향은 촉진은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hum bromide) assay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천연물 시료의 세포 성장 촉진 및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7 X 103 농도의 섬유아세포를 96 well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시료를 배지에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지만 처리한 그룹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시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추출물 처리 후 24시간 동안의 배양이 끝난 후 배지를 제거한 플레이트에 MTT 파우더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USA) 를 DMEM 배지에 0.33g/L의 농도로 넣어 만든 MTT 용액을 100 ul/well에 넣어 37에서 90분간 반응 시킨 후 이를 제거하고 100 ul/well의 DMSO(Dimethyl sulfoxide)와 상온에서 30분간 추가 반응 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Perkin Elmer, USA) 를 이용하여 57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시험결과
(1) 세포독성, 세포성장 섬유아세포(진피) 실험결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2) 세포독성, 세포성장 HaCat cell(표피) 실험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3) 세포독성, 세포성장 B16F1 cell(멜라닌 형성세포) 실험결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3) 미백 실험( in vitro tyrosinase 억제 실험)
1) 실험방법
미백의 활성의 유효성 평가는 버섯 티로시나제 저해활성(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assay)으로 하였다. 증류수 180 ul, 0.1 M 인산이수소칼륨 200 ul 및 기질액 200 ul의 혼합용액에 20 ul의 검액을 넣어 섞고, 머쉬룸 타이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효소액 20 ul를 넣어 흔들어 섞어 37℃에서 10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용액을 얼음 중에 5 분간 방치한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흡광도 B).
검액 대신 증류수 20 ul를 이용하여 검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공시험액으로 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흡광도 A). 증류수 380 ul, 0.1 M 인산이수소칼륨 200 ul의 혼합용액에 효소액 20 ul를 넣어 검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대조군(blank)으로 하였다. 이때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100 uM의 코지산(kojic acid)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억제율(%)은 하기 식을 통해 산출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억제율 (%) = (A - B) / A x 100
라디컬을 제거하는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1 mM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2) 시험결과
① 세포내에서 멜라닌을 합성하는 반응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효소와 물질들에 의해 조절되며 그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효소로는 속도결정단계를 조절하는 중합효소의 일종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이다.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는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 본 시험 결과 밀싹, 보리싹에서 미백효과를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 효과
Kojic 80 농도(wt %) 메밀싹 밀싹 보리싹
0.09 1.43 29.57 7.15
0.03 -2.03 7.90 9.26
0.09 -3.54 -2.63 7.00
② 멜라닌생성에 중요한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 효과는 대조군인 코직산(Kojic acid)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4) 미백시험( Cell-based assay)
1) 실험방법: B16F1 이용한 멜라닌 분석
멜라닌 분석(Melanin assay)의 경우 1.5 X 105 농도의 B16F1 멜라노마세포를 6 well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멜라닌 합성을 유도시키기 위한 의도로 5nM의 α-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와 함께 시료를 페놀레드(phenol red)가 들어 있지 않은 경우와 멜라닌 합성을 억제시키기 위한 DMEM배지(10% FBS, 1%PS)에 농도별로 72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α-MSH를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는 경우와 멜라닌 합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진 코직산을 800, 1,600μM 처리한 그룹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시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멜라닌 분석의 경우 B16F1 멜라노마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처리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 한 후에 배지로 분비되는 멜라닌 (secreted melanin)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처리하고 72시간 동안의 배양이 끝난 후 배지을 회수하여 1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96 well 플레이트에 옮겨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Perkin Elmer, USA)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밀싹, 보리싹의 경우 멜라닌 형성세포에서 멜라닌 합성 호르몬(Melanin synthesizing hormone)에 의해 야기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5) 주름개선효과 (procollagen assay)
1) 실험방법: 광노화 억제 효과 실험 : 프로콜라겐(procollagen) 함량 측정
주름의 원인은 UV 노출에 의한 진피에서의 콜라겐의 분해가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시료에 대한 광노화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UV를 조사하는 조건에서 섬유아세포 내에서 새로 생성되는 콜라겐 양을 측정하기 위해 프로콜라겐 분석(procollagen assay)을 실시하였다.
콜라겐 생성에 관여하는 세포주의 하나인 섬유아세포를 1% Antibiotic-Antimycotic (AA, Welgene, Korea)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Welgene, Korea)을 포함한 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um (DMEM, Welgene, Korea)을 이용하여 37℃,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 X 105 농도의 섬유아세포를 6 well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starvation 시켰다. 24시간 후, 우태아혈청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UV 312nm 파장에서 12.5mJ로 조사하였다. 그 후, 시료를 페놀레드-프리 DMEM 배지에 농도 별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50 uM 을 양성대조군으로, UV(+)군을 음성대조군으로, 배지만 처리한 그룹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시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추출물 처리 후 48시간 동안의 배양이 끝난 후 배지와 세포용해물을 각각 수거하였다. 단백질 저해제(Protease inhibitor)가 섞인 RIPA 완충액을 각 well에 넣은 후 얼음 위에서 세포용해물을 세포 스크레이퍼(cell scraper)로 수거하였다. 이를 1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등액을 회수한 후, 브래드포드 분석(Bradford assay)을 이용해 단백질 양을 보정하였다.
수거한 배지는 프로콜라겐 I형 C-펩타이드(Procollagen Type-I C-Peptide) (PIP) EIA 키트(Takara Bio Inc. MK101) 를 이용하여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항체(Antibody)-POD 컨쥬게이트 용액(conjugate solution) 100 ul를 각 well에 첨가하고, 시료나 표준품(standard)을 20 ul씩 넣은 뒤 잘 섞어서 37에서 3시간 방치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내용물을 제거한 뒤 PBS 400 ul로 4번 세척하였다. 제거 후 기질용액 100 u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뒤 스톱 용액(stop solution) 100 ul을 첨가하여 부드럽게 섞어주었다.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 농도곡선을 작성하여 콜라겐 양을 산정하였다.
2) 실험결과
밀싹, 보리싹, 메밀싹의 경우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항염효과(TNF-alpha assay)
1) 실험방법: TNF-alpha assay
TNF-alpha는 pro-inflammatory cytokine의 일종으로 염증반응 억제의 지표로 사용된다. 1 X 105농도의 HacaT 세포를 12 well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TNF-alpha를 유도시키기 위한 의도로 UV 조사와 함께 시료를 배지에 동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추가배양 하였다. UV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 UV를 처리 후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1 uM/ml 처리한 그룹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시료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TNF-alpha assay의 경우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312nm에서 12.5mJ로 UV를 조사한 후, 추출물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로 분비되는 TNF-alpha를 측정하였다. 회수한 배지는 TNF-alpha 키트(invitrogen #KHC3012)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Perkin Elmer,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보리싹의 경우 안정적인 항염효과를 나타냈다. 메밀싹도 항염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밀싹의 경우는 낮은 농도에서 우수한 항염효과를 보이지만 농도가 높아지면서 항염효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7) 피부 효능 시험 결과
전체적으로 양성대조군에 비해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높지 않았으나 밀싹, 보리싹의 경우 높은 농도에서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밀싹, 보리싹, 메밀싹의 경우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싹, 보리싹의 경우 멜라닌 형성세포에서 멜라닌 합성 호르몬(Melanin synthesizing hormone)에 의해 야기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효능 시험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주름개선효과는 밀싹, 보리싹, 미백효과는 밀싹, 보리싹, 항염효과는 밀싹, 보리싹, 메밀싹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 화장품의 제조 >
1. 추출액 제조
피토케미컬(Phytochemical)의 함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 식물미네랄(phyto-minerals) 강화 화장품 소재 개발
비타민 A 팔미테이트 1-2 g
아연 황산염 20~60 g
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5-15 g
동결 건조된 새싹 분말 10~25 g
백리향 오일 5~12 g
크림베이스 적량을 가하여 총량을 1000.00 g으로 함
3. 새싹 크림의 제조
비타민 A 팔미테이트 0.825 g
아연 황산염 22.0 g
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5.0 g
소디움 셀레네이트(sodium selenate) 2.5 g
동결 건조된 새싹 분말 7.5 g
백리향 오일 4.0 g
크림베이스 적량을 가하여 총량을 500.0 g으로 함
4. 비누의 제조
물 330 mL와 NaOH 175 g을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새싹 추출물 10 mg을 약 30 분 동안 조금씩 첨가하면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건조될 때까지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건조시켰다.
5. 목욕제의 제조
새싹 추출물 10 mg을 약 60℃ 정도가 되도록 한 후 천일염을 넣어 포화용액을 만들고, 물을 증발시켰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냉각시킨 후 급속냉동시켜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동결건조된 고형제를 분말화하여 목욕제를 제조하였다.
6. 클렌징 로숀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글리세린 4
소듐하이루로닉에씨드 2
프로필렌글리콜 3
카보머 5
세테아릴알코올 0.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쉐어버터 1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마카다미아넛오일 1
세스퀴올레인산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소르비탄 2
폴리데센 5
미네랄오일 20
디메치콘 5
스테아릴디메치콘 2
트리에탄올아민 0.0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클렌징 로숀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7. 스킨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1,3-부틸렌글리콜 0.02
알란토인 3
소듐히아루노닉에씨드 5
카보머 0.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7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5
소이레시틴 0.2
디메치콘 0.2
세칠옥타노에이트 0.2
쉐어버터 0.2
소듐플리아크릴레이트 3
트리에탄올아민 0.1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3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스킨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8. 세럼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호호바 5
블랙쎄서미 2
스윗아몬드 3
이멀싱파잉왁스 1
비타민E 1
글리세린 2
히아루론산 1
마린 엘라스틴 1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세럼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9. 로숀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1,3-부틸렌글리콜 0.02
알란토인 3
소듐히아루노닉에씨드 5
카보머 0.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7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5
소이레시틴 0.2
디메치콘 0.2
세칠옥타노에이트 0.2
쉐어버터 0.2
소듐플리아크릴레이트 3
트리에탄올아민 0.1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3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로숀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10. 에센스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알란토인 0.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트리에탄올아민 0.2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7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15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4
카보머 0.2
에탄올 3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에센스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11. 크림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알란토인 0.1
글리세린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6
카보머 0.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7
폴리데센 2
스쿠알란 2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3
세틸옥타노이에이트 5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0.1
트리에칠펜탄디올 0.1
쉐어버터 0.2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3
사이클로메치콘 0.3
스테아릴디메치콘 0.5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1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적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크림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12. 팩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베타인 3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 2
알란토인 0.1
소듐하이루로닉에씨드 2
글리세린 3
디프로필렌글리콜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폴리비닐알코올 1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0.9
세스퀴올레인산 0.3
호호바에스테르 2
세테아릴알코올 1.5
페트로라튬 0.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적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팩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13. 마사지크림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정제수 적량
글리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 아민 0.5
유동 파라핀 24.5
스쿠알란 2.5
밀납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카바폴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미량
방부제 미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마사지크림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14. 메이크업 베이스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정제수 적량
코팅실리카 1
실리카 10
이산화티탄 8
산화아연 3
색소 1
판상파우더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메이크업 베이스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15. 파우더 팩트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정제수 적량
마이카 15
이산화티탄 7
실리콘오일 3
에스터계오일 3
색소 적량
향료 적량
탈크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파우더 팩트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우더 팩트를 제조하였다.
16. 투웨이 케이크 제조
새싹 추출물 0.001 v/v%
정제수 적량
마이카 15
이산화티탄 12
실리콘오일 3
에스터계 오일 5
색소 적량
향료 적량
탈크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투웨이 케이크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Claims (14)

  1. 밀싹 추출물, 보리싹 추출물 및 메밀싹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 추출물은 물, C1 -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밀싹 추출물, 보리싹 추출물 및 메밀싹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식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 추출물은 물, C1 -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식품.
  9. 해양심층수; 및
    Co, Cr, Cu, Fe, Mg, Mn, Sr, Zn, Li, V, Se 및 S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9종 이상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새싹 재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Co, Cr, Cu, Fe, Mg, Mn, Sr, Zn, Li, V, Se 및 S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0종 이상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각 미네랄의 함량은 해양심층수 1L에 대하여,
    Fe 및 Zn 각각 1~20 mg;
    Cu, Sr 및 Li 각각 0.5~10 mg; 및
    Mn, Sn, Se, Cr, V, Co 각각 0.1~5 mg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각 미네랄의 함량은 해양심층수 1L에 대하여,
    Fe 및 Zn 각각 5~15 mg;
    Cu, Sr 및 Li 각각 2~8 mg;
    Se, Cr, V, Co 각각 0.5~2 mg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미네랄 양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재배된 밀싹, 보리싹 또는 메밀싹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미네랄 양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재배된 밀싹, 보리싹 또는 메밀싹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식품.
KR1020140002228A 2014-01-08 2014-01-08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KR20150082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28A KR20150082813A (ko) 2014-01-08 2014-01-08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28A KR20150082813A (ko) 2014-01-08 2014-01-08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660A Division KR20160088848A (ko) 2016-07-19 2016-07-19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KR1020160130432A Division KR20160120712A (ko) 2016-10-10 2016-10-10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813A true KR20150082813A (ko) 2015-07-16

Family

ID=5388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228A KR20150082813A (ko) 2014-01-08 2014-01-08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281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453B1 (ko) * 2016-06-20 2016-12-22 박지영 피부 미백, 모공축소,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7515A (ko) 2015-10-23 2017-05-08 이호규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7514A (ko) 2015-10-23 2017-05-08 이호규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3860A (ko) * 2016-12-23 2018-07-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맥주보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10076272A (ko) * 2019-12-13 2021-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KR20220014156A (ko) * 2020-07-28 2022-02-04 박상만 새싹 식물에서 추출된 유기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515A (ko) 2015-10-23 2017-05-08 이호규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7514A (ko) 2015-10-23 2017-05-08 이호규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8453B1 (ko) * 2016-06-20 2016-12-22 박지영 피부 미백, 모공축소,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3860A (ko) * 2016-12-23 2018-07-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맥주보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10076272A (ko) * 2019-12-13 2021-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KR20220014156A (ko) * 2020-07-28 2022-02-04 박상만 새싹 식물에서 추출된 유기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0818175B1 (ko) 모발처리용 조성물
KR20150082813A (ko)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KR101219520B1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KR101924082B1 (ko)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5251B1 (ko)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221790A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レッドビート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JP6595192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フェヌグリーク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170065477A (ko)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0712A (ko)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KR20160088848A (ko)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6731241B2 (ja) ハーブのスプラウトを用いた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500551B1 (ko) 하이드록시시트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0275B1 (ko) 거북으로부터 아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아교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027A (ko)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689552B1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カモミール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291928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ベニバナ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637935B1 (ko)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