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160A -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항균제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항균제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160A
KR20150074160A KR1020157013584A KR20157013584A KR20150074160A KR 20150074160 A KR20150074160 A KR 20150074160A KR 1020157013584 A KR1020157013584 A KR 1020157013584A KR 20157013584 A KR20157013584 A KR 20157013584A KR 20150074160 A KR20150074160 A KR 20150074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
group
ether derivative
phenyl ether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요시오카
노리히사 타이라
사야카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와 카세이 콤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와 카세이 콤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이와 카세이 콤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7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1/14Eth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wherein Cn means a carbon skeleton not containing a ring;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61K31/10Sulfides; Sulfoxides; Sulf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6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having th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benzene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3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57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carbon atoms both belonging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43/295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carbon atoms both belonging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5/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65/21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ether groups, groups, groups, o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2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 C07C69/28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esterified with dihydroxy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2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 C07C69/30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esterified with trihydroxy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미백 효과), 항균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경시적 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화장료의 원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화합물로서, tert-부틸기 등이 치환된 페놀기의 수산기에, 수산기 등이 치환된 프로필기가 결합된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항균제 및 상기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항균제 및 화장료{A PROPYL-PHENYL-ETHER DERIVATIVE, AND MELANOGENESIS INHIBITOR, SKIN-LIGHTENING AGENT, ANTIMICROBIAL AGENT AND COSMETIC CONTAINING SAID PROPYL-PHENYL-ETHER DERIVATIVE}
본 발명은 화장료의 원료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활성성분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및 항균제, 그리고 상기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화장료를 사용할 때에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등의 미백 효과나 항균 효과, 또한 항여드름, 항비듬, 항주름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사용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그래서, 화장료의 원료로는 상기의 효과가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미백 효과, 특히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에 대한 기대가 크다.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내에서 활성 산소가 발생하거나 그 주위의 세포에서 다양한 물질이 방출된다. 이 활성 산소나 다양한 물질로 인해,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되어 티로시나제 활성이 증가하여 멜라닌이 과도하게 생성된다. 이 멜라닌은 표피 세포에 전달되고, 그 결과 피부의 색조가 변화되어 흑화된다. 또한 멜라닌의 생성과 배출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표피 세포에 멜라닌이 과잉 축적되면 기미나 주근깨가 된다. 따라서 멜라닌의 과잉 축적을 막기 위해 코지산(kojic acid),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등의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등의 여러 가지 미백제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코지산, 알부틴이나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고 흑화를 막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그 효과는 불충분하다. 또한, 코지산이나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의 대부분은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 경시적인 착색 문제도 있다.
또한, 하이드로퀴논은 안전성이나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화장품에는 사용하기 곤란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서는 하이드로퀴논 알킬 에테르류 등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들은 하이드로퀴논을 기본 골격으로 하고 있어 안전성이 우려된다.
또, 페놀성 수산기를 가진 2-(4-히드록시페닐)에탄올의 아실화 유도체(특허 문헌 2)나 알킬 페닐 에테르 배당체(특허 문헌 3)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유도체는 페놀성 수산기를 에스테르 결합이나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정성이 나쁜 것으로 생각되며, 가수분해에 의해 페놀성 수산기가 유리되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우려된다.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화합물로는 tert-부틸페놀 등의 알킬 페놀류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안전성이 낮아 화장료에 응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비특허문헌 1).
한편, 화장품 시장에서는 화장품 제제의 부식방지를 위해, 또한 여드름의 원인의 일종인 여드름균, 두피의 비듬이나 가려움의 원인이 되는 말라세치아(Malassezia)균, 액취의 원인이 되는 균들의 활동을 억제하기 위해 새로운 항균성 화합물도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토코페릴인산염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4). 그러나,이 화합물은 여드름균에 대해서만 효과를 보여 광범위하게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6-19206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 제4658898호 특허문헌 3 : 일본특허 제3340930호 특허문헌 4 : 일본특허 제4828126호
비특허문헌 1 :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Vol. 114(1), pp157-164(2000)
근래, 화장료에 대한 요구는 더욱 고도화되고 있어, 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등의 미백 효과, 또는/및 항균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경시적인 안정성 등이 우수한 화장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미백 효과)나 항균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경시적인 안정성 등도 뛰어나 화장료의 원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여 피부의 흑화를 막고 기미나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여 화장품의 균 오염, 여드름이나 비듬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특히 미백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열심히 검토한 결과, 특정 관능기로 치환된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 및 그 염이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또는 항균 효과를 가지며 뛰어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 (Ia) 또는 (Ib)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1)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식 (I), (Ia) 또는 (Ib)에 있어서,
R은 -CH2-CHR2-CH2R1 또는 -CH(CH2R2)-CH2R1를 나타내며,
Ra는 -CH2-CHR2-CH2-O-CH2-CHR2-CH2- 또는 -CH2-CHOH-CH2-를 나타내고,
Rb는 탄소수가 1∼5인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1 및 R2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R8O, R9S, R10R11N, R12A, 탄소수가 1∼22인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가 3∼22인 포화 또는 불포화 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8, R9, R10, R11 및 R12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22인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수산기로 수소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가 3∼22인 포화 또는 불포화 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를 나타내며,
A는 인산 에스테르기, 황산 에스테르기, 에스테르기, 티오에스테르기 또는 아미드기 또는 이들 염을 나타내는데, 단,
R1 또는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산기, 또는 R12 A-로 표시되며 A가 인산 에스테르기, 황산 에스테르기 또는 에스테르기 또는 이들 염인 기이며, 또한
R3, R4, R5,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기로 수소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가 1∼12인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가 1∼5인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수소를 나타내는데,
R1 및 R2가 동시에, 수산기 및 R12 A-로 표시되며 A가 인산 에스테르기, 황산 에스테르기 또는 에스테르기 또는 이들 염인 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기일 때에는 R3, R4, R5, R6 및 R7의 탄소수의 합계는 2이상이다.
식 (I) 중의 R가 -CH2-CHR2-CH2R1인 경우, 또는 -CH(CH2R2)-CH2R1인 경우, 식 (I)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은 각각, 다음에 나타낸 화학식 (Ic) 또는 구조식 (Id)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4
R1 및 R2 그리고 R8, R9, R10, R11 및 R12은 탄소수가 1∼22인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탄소수가 3∼22인 환식 탄화수소이어도 좋다. 여기서, 탄소수가 1∼22인 지방족 탄화수소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중 어느 것이어도 좋으며, 또한 직쇄형 또는 분지형 중 어느 경우에도 포화 또는 불포화 중 어느 탄화수소이어도 좋다. 또한, 탄소수가 3∼22인 환식 탄화수소란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갖는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불포화의 고리에는 방향고리도 포함된다. 탄소수가 3∼22인 환식 탄화수소는 그 수소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R3, R4, R5, R6 및 R7은 탄소수가 1∼12인 지방족 탄화수소이어도 좋다. 여기서, 탄소수가 1∼12인 지방족 탄화수소는 직쇄형이어도 좋고 또는 분지형이어도 좋으며, 또한 직쇄형 또는 분기형 중 어느 경우에도 포화의 탄화수소이어도 좋고 또한 불포화의 탄화수소이어도 좋다.
R1 또는 R2는 R12A로 표시되는 관능기이어도 좋지만, 여기서, A로 표시되는 인산 에스테르기, 황산 에스테르기, 에스테르기, 티오에스테르기 및 아미드기는 각각 다음에 나타낸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2가기이다. 식 중, *는 R12와의 결합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일반식 (I), (Ia) 또는 (Ib)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 및 그 염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중에서도, R1 또는/및 R2가 수소, 탄소수 1∼2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R8O, R9S 및 R10R11N에서 선택되는 기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는 보다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R1가 R8O이며, R2가 수산기인 경우에는 보다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양태로서, 일반식 (I), (Ia) 또는 (Ib)로 표시되며, R1 또는/및 R2가 수소, 탄소수 1∼2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R8O, R9S 및 R10R11N에서 선택되는 기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2), 그리고 R1가 R8O이며 R2가 수산기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3)를 제공한다.
상기의 바람직한 양태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중에서도, 일반식 (I)으로 표시되는 것은 더욱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R1가 R8O이며 R2가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의 R1가 R8O이며 R2가 수산기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로서,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4)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중에서도, R8가 수소 또는 탄소수 1∼2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청구항 5)은 특히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R8가 탄소수 1∼2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청구항 6)이 바람직하다.
또한, R2가 R12A로 표시되며, A가 인산 에스테르기, 황산 에스테르기 또는 에스테르기 또는 이들 염인 것은 생체 내에서, 포스파타아제, 에스테라아제 등에 의해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수산기를 생성하며, 특히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가 된다. 따라서, R2가 R12A로 표시되며, A가 인산 에스테르기, 황산 에스테르기 또는 에스테르기 또는 이들 염인 경우에도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의 경우는 R3, R4, R5, R6 및 R7가 수소, 또는 탄소수 1∼1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인 것이,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R3, R4, R5, R6 및 R7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분지형의 지방족 탄화수소이며, 또한 R3, R4, R5, R6 및 R7의 탄소수의 합계가 4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3, R4, R5, R6 및 R7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tert-부틸기 또는 sec-부틸기인 경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양태로서,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로서, R3, R4, R5, R6 및 R7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1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7), 일반식 (I)로 표시되며 R3, R4, R5, R6 및 R7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이며, 또한 R3, R4, R5, R6 및 R7의 탄소수의 합계가 4이상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8), 및 일반식 (I)로 표시되며 R3, R4, R5, R6 및 R7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tert-부틸기 또는 sec-부틸기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9)를 제공한다.
일반식 (Ia)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 및 그 염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중에서도, Ra가 -CH2-CH(OH)-CH2-인 것은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양태로서, 일반식 (Ia)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로서, Ra가 -CH2-CH(OH)-CH2-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10)를 제공한다.
일반식 (Ib)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 및 그 염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중에서도, Rb가 -C(CH3)2-인 것은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양태로서, 일반식 (Ib)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로서, Rb가 -C(CH3)2-인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11)를 제공한다.
상기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중에서도, 특히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 나타낸 구조식 (II), 식 (III), 식 (A), 식 (C), 식 (D), 식 (E), 식 (F), 식 (G), 식 (H), 식 (P), 식 (J) 또는 식 (K)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낸 구조식에서는 탄소 원자, 및 이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수소 원자를 생략하고 나타내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식 (II), 식 (III)의 (프로필기의) 1위, 3위의 위치는 CH2기이며, 2위의 위치는 CH기이다. 또한, (페닐기의) 1'위, 4' 위의 위치는 탄소 원자이며, 2'위, 3'위, 5'위, 6'위의 위치는 CH기이다. 식 (II)의 4' 위에 결합하고 있는 기는 tert-부틸기이며, 1위에 결합하고 있는 기는 에톡시기이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그 중에서도, 구조식 (II), 식 (A), 식 (C), 식 (E), 식 (F), 식 (G), 식 (H), 식 (P), 식 (J) 또는 식 (K)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신규 화합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 화합물로서 이하에 나타낸 양태를 제공한다.
구조식 (II)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청구항 12).
구조식 (A)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청구항 13).
구조식 (C)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청구항 14).
구조식 (E)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청구항 15).
구조식 (F)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청구항 16).
구조식 (G)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청구항 17).
구조식 (H)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청구항 18).
구조식 (P)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청구항 19).
구조식 (J)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청구항 20).
구조식 (K)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청구항 21).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는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뛰어난 미백 효과,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뛰어난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화장료(피부 외용제를 포함)에 바람직하게 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뿐만 아니라, 이하에 나타내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항균제 및 화장료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항 1∼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를 제공한다(청구항 22).
상기와 같이, 식 (III)이나 식 (D)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는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멜라닌 생성 억제제의 구체적인 양태로서, 식 (III)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청구항 23), 식 (D)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청구항 24)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를 제공한다(청구항 25).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를 제공한다(청구항 26).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 및 그 염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청구항 27). 화장료에 대한 본 발명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의 배합량은 통상 0.0001 질량%∼10 질량%가 바람직하다. 0.001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갖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항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한편, 1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계(劑系)를 무너트릴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배합량에 상응하는 효과를 바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는 뛰어난 미백 효과를 보여주므로,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는 특히 미백을 목적으로 한 미백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항균을 목적으로 한 화장료로서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나 항균 효과를 가지며, 또한 안정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이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멜라닌 생성 억제제는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나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안정성이 뛰어나 미백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항균제는 뛰어난 항균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이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나 미백 효과, 항균 효과를 가지며 안정성이 뛰어난 화장료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는 뛰어난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1-O-알킬-2-히드록시-3-(4'-알킬페녹시)프로필,
1-O-알킬-2-히드록시-3-(2'-알킬페녹시)프로필,
1-O-알킬-2-히드록시-3-(3'-알킬페녹시)프로필,
1- 알킬-2-히드록시-3-(4'-알킬페녹시)프로필,
1-알킬-2-히드록시-3-(2'-알킬페녹시)프로필,
1-알킬-2-히드록시-3-(3'-알킬페녹시)프로필,
1,2-디-히드록시-3-(4'-알킬페녹시)프로필,
1,2-디-히드록시-3-(2'-알킬페녹시)프로필,
1,2-디-히드록시-3-(3'-알킬페녹시)프로필,
1,3-디-히드록시-2-(4'-알킬페녹시)프로필,
1,3-디-히드록시-2-(2'-알킬페녹시)프로필,
1,3-디-히드록시-2-(3'-알킬페녹시)프로필,
1-O-알킬-3-히드록시-2-(4'-알킬페녹시)프로필,
1-O-알킬-3-히드록시-2-(2'-알킬페녹시)프로필,
1-O-알킬-3-히드록시-2-(3'-알킬페녹시)프로필,
1-알킬-3-히드록시-2-(4'-알킬페녹시)프로필,
1-알킬-3-히드록시-2-(2'-알킬페녹시)프로필,
1-알킬-3-히드록시-2-(3'-알킬페녹시)프로필,
1-O-알킬-2-히드록시-3-(2 ',4'-디-알킬페녹시)프로필,
1-알킬-2-히드록시-3-(2 ', 4'-알킬페녹시)프로필,
1,2-디-히드록시-3-(2 ', 4'- 알킬페녹시)프로필,
1,3-디-히드록시-2-(2 ', 4'- 알킬페녹시)프로필,
1-N-알킬-2-히드록시-3-(4'-알킬페녹시)프로필,
1-N-알킬-2-히드록시-3-(2'-알킬페녹시)프로필,
1-N-알킬-2-히드록시-3-(3'-알킬페녹시)프로필,
1-N-알킬-3-히드록시-2-(4'-알킬페녹시)프로필,
1-N-알킬-3-히드록시-2-(2'-알킬페녹시)프로필,
1-N-알킬-3-히드록시-2-(3'-알킬페녹시)프로필,
1-S-알킬-2-히드록시-3-(4'-알킬페녹시)프로필,
1-S-알킬-2-히드록시-3-(2'-알킬페녹시)프로필,
1-S-알킬-2-히드록시-3-(3'-알킬페녹시)프로필,
1-S-알킬-3-히드록시-2-(4'-알킬페녹시)프로필,
1-S-알킬-3-히드록시-2-(2'-알킬페녹시)프로필,
1-S-알킬-3-히드록시-2-(3'-알킬페녹시)프로필,
1-아실-2-히드록시-3-(4'-알킬페녹시)프로필,
1-아실-2-히드록시-3-(2'-알킬페녹시)프로필,
1-아실-2-히드록시-3-(3'-알킬페녹시)프로필,
1- 포스포릴-2-히드록시-3-(4'-알킬페녹시)프로필,
1-포스포릴-2-히드록시-3-(2'-알킬페녹시)프로필,
1-포스포릴-2-히드록시-3- (3'-알킬페녹시)프로필.
또한, 상기의 예시 중에서, O-알킬은 알콕시기를 의미하며, N-알킬은 알킬 아미노기 또는 디아미노 알킬기를 의미하고, S-알킬은 티오알콕시기를 의미한다.
상기의 예시화합물에서의 알킬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베헤닐기 등의 직쇄 알킬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sec-펜틸기, tert-펜틸기, 이소헥실기, 네오헥실기, sec-헥실기, tert-헥실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2,2-디메틸부틸기, 2-에틸부틸기, 이소헵틸기, 이소옥틸기, 네오옥틸기, sec-옥틸기, tert-옥틸기, 이소노닐기, 이소데실기, 네오데실기, sec-데실기, tert-데실기, 이소운데실기, 이소도데실기, 이소트리데실글리시딜기, 이소테트라데실기, 이소펜타데실기, 이소헥사데실기, 이소헵타데실기, 이소헥사데실기, 이소옥타데실기, 이소노나데실기, 이소베헤닐기 등의 분지쇄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상기의 예시화합물 중의 알킬이 비닐기, 알릴기, 부테닐기, 이소부테틸기, 크로틸기, 옥테닐기, 데세닐기, 도데세닐기 등의 알케닐기로 치환된 것도 들 수 있다.
상기의 예시화합물에서의 아실로서는 아세틸기, 포르밀기, 프로파노일기, 부타노일기, 펜타노일기, 헥사노일기, 헵타노일기, 옥타노일기, 노나일기, 데카노일기, 운데카노일기, 도데카노일기, 테트라데카노일기, 헥사데카노일기, 옥타데카노일기, 에이코사노일기, 헥사데세노일기, 옥타데세노일기, 올레일기, 옥타데카트리에노일기, 이코사테트라에노일기, 이소옥타노일기, 이소팔미토일기, 이소스테아로일기, 2-프로필펜타노일기, 2-부틸헥사노일기, 2-펜틸헵타노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예시화합물에서의 포스포릴기가 알킬포스포릴기로 치환된 화합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는 이미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구조식 (IV)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과 하기 구조식 (V)로 표시되는 알킬 할라이드를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8
식 중, R3, R4, R5, R6 및 R7은 상기 일반식 (I)의 경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며, X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또한, 구조식 (IV)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과 글리시돌, 글리시딜 에테르, 에폭시 알칸 등의 에폭시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 구조식 (IV)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과 알킬 할라이드이나 황산 디알킬 등의 알킬화제와 반응시키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와 산무수물이나 산할라이드 등의 아실화제를 반응시킴으로써 아실화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반응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매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THF), 피리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함수용매로서는 물만으로 이루어진 것, 그리고 물을 주체로 하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DMSO, DMF, 디옥산, THF, 피리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목적물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의 반응은 산 촉매, 염기성 촉매, 상간 이동 촉매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는 실리카겔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수지 등의 수지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활성탄 처리, 추출, 증류, 결정화 등의 수단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이 필수 성분 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유성원료, 계면활성제, 다른 보습제, 고분자 화합물, 산화 방지제, 다른 미백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이온 봉쇄제, 단백가수분해물, 아미노산 또는 이들 유도체, pH 조정제, 방부제, 증점제, 색소나 다른 약제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유성원료로서는 예를 들어, 올리브유, 동백유, 마카다미아 너츠유, 다실유(tea seed oil), 피마자유, 트리(카프린/카프릴)글리세릴 등의 유지류, 호호바유,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라놀린, 밀랍 등의 왁스류, 유동 파라핀, 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류,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의 지방산류,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류,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산 세틸,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트리-2-에틸헥사노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 펜타실록산 등의 실리콘류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고급 지방산 비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아실-N-메틸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 성 계면활성제, 염화알킬트리메틸 암모늄, 염화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미노 초산 베타인, 알킬아미드아미노 초산 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N-히드록시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다가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변성실리콘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말티톨, 소르비톨, 1,3-부틸렌글리콜, 젖산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피롤리돈 카본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잔탄검, 폴리비닐알코올, 고분자의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타민 E나 탄닌, BHT(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는 미백 효과를 갖지만,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다른 미백제도 첨가할 수 있다. 다른 미백제로서는 예를 들면, 엘라그산(ellagic acid), 코지산, 캐모마일꽃 추출물, 감초 추출물, 루시놀, 로즈마리 추출물, 알부틴,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4-메톡시 살리실산 칼륨염, 아스코르빈산, 글리세릴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글루코시드, 아스코르빈산 인산 마그네슘 등의 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메톡시 계피산 에틸헥실, 옥토크릴렌, 4-tert-부틸 4'-메톡시벤조일메탄,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 안식향산 헥실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어 시트라말산, 아가릭산(agaric acid), 글리세린 산, 시키미산(shikimic acid), 히노키티올, 몰식자산, 탄닌산, 커피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 글리콜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피틴산, 폴리인산, 메타인산, 및 이들 유사체 그리고 이들 알칼리 금속염 및 카본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단백가수분해물로서는 예를 들면, 우유 단백, 실크 단백, 밀 단백, 쌀 단백, 완두콩 단백, 콜라겐, 케라틴, 대두, 참깨, 콘키올린(chonchiolin), 해양 콜라겐 등의 단백 가수분해물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있다. 아미노산 또는 이들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알기닌, 리신,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 글루타민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프롤린, 히스티딘 등의 아미노산과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젖산, 구연산, 글리콜산, 호박산, 주석산(tartaric acid), 사과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안식향산 알킬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 칼륨, 페녹시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캐롭 검, 구아 검, 펙틴, 한천, 퀸스 시드(quince seed), 전분, 알게콜로이드, 잔탄검, 덱스트란, 석시노 글루칸, 콜라겐, 젤라틴, 카제인, 알부민,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니트로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알기닌산 나트륨,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렌 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색소로서는 타르 색소, 천연 색소, 무기 안료, 고분자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천연 향료, 합성 향료, 조합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약제로서는 피부거침 방지제 또는 항염증제를 들 수 있다. 피부거침 방지제 또는 항염증제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틸리틴산 디칼륨, 글리틸레틴산 스테아릴, 살리실산 메틸, 피리독신염산염, 알란토인, 바다 소금, 쌍백피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치자 추출물, 캐모마일꽃 추출물, 감초 추출물, 무환자 추출물, 살구씨 추출물, 황금(黃芩) 추출물, 첨차 추출물, 비파 추출물, 은행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톱풀 추출물, 홍화 추출물, 가문비나무 추출물, 셀비어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진피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망초 추출물, 앨티어(althea)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인삼 추출물, 작약 추출물, 천궁 추출물, 용담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 황백 추출물, 인진호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복숭아 잎 추출물, 얼룩조릿대 추출물, 율무쌀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황련 추출물, 영지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부처브룸 추출물, 당아욱 추출물, 도깨비 부채 추출물, 자리(Rosa roxburghii)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육모용 약제, 여드름용 약제, 비듬/가려움용 약제, 액취방지용 약제 등도 다른 약제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계는 임의이며, 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젤계, 분말분산계, 물-기름 이층계 등 모두 가능하며,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따라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프로필 알킬 페닐 에테르 유도체 또는 그의 염과 상기 임의 배합 성분을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1-(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tert-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6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불화프로필(1.64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37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0/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을 실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각 원료와는 다른 Rf값이며 UV흡수를 갖는 스팟이 확인되었으며, 원료에서 다음 나타낸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4'-tert-부틸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19
합성예 2 : 1-(4'-tert-부틸페녹시)에틸의 합성
4-tert-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6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0.43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브롬화에틸(2.20g)을 첨가하여 다시 4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0.97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0/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다음에 나타낸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4'-tert-부틸페녹시)에틸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20
합성예 3 : 1,2-디-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의 합성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1.00g)에 물(5.00g), DMSO(10.0g)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진한 황산(0.06g)을 넣고 8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0.85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을 실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다음에 나타낸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21
합성예 4 : 1,2-디-히드록시-3-(2'-메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메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37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0.30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75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49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을 실시하여, 생성물(0.47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다음에 나타낸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2'-메틸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22
실시예 1 : 1,2-디-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tert-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6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50g)을 첨가하여 다시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37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1/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70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 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상기 구조식 (III)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4 ' -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29(9H,s), 2.49(OH,brs), 2.99(OH,brs), 3.74(1H,dd), 3.83(1H,dd), 4.02(2H,m), 4.10(1H,m), 6.85(2H,d), 7.30(2H,d)
13C-NMR(100MHz, CDCl3): δppm 31.4, 34.1, 63.7, 69.1, 70.4, 113.9, 126.3, 144.0, 156.1
실시예 2 : 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tert-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53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프로필렌옥사이드(1.16g)를 첨가하여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37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20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23
NMR(핵자기공명분석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29(9H,s), 1.35(3H,d), 1.62(OH,brs), 3.93(2H,dd), 5.24(1H,m), 6.85(2H,d), 7.30(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6.7, 21.3, 31.5, 34.1, 68.9, 70.0, 114.1, 126.2, 143.8, 156.3, 170.6
실시예 3 : 1-O-에틸-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및 2-O-에틸-1-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tert-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6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에틸글리시딜에테르(0.50g)를 첨가하여 다시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37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 L(0.35g) 및 생성물 M(0.03g)을 얻었다.
생성물 L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생성물 L은 상기 구조식 (II)로 표시되는 1-O-에틸-2-히드록시-3-(4 '-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22(3H,t), 1.30(9H,s), 3.59(4H,m), 4.01(2H,m), 4.15(1H,m), 6.86(2H,d), 7.30(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5.1, 31.5, 34.1, 66.9, 68.9, 69.1, 71.3, 114.0, 126.3, 143.8, 156.3
생성물 M에 대해서도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생성물 M은 하기 구조식 (Ⅵ)로 표시되는 2-O-에틸-1-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25(3H,t), 1.30(9H,s), 3.71(5H,m), 4.03(2H,t-like), 6.85(2H,d), 7.30(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5.7, 31.6, 34.2, 62.7, 66.0, 67.4, 78.0, 114.0, 126.3, 143.8, 156.4
Figure pct00024
실시예 4 : 1-O-에틸-2-히드록시-3-(4'-sec-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sec-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6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에틸글리시딜에테르(0.50g)를 첨가하여 다시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17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 A(0.38g) 및 생성물 B(0.04g)를 얻었다.
생성물 A에 대하여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생성물 A는 상기 구조식 (A)로 표시되는 1-O-에틸-2-히드록시-3-(4 '-sec-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80(3H,t), 1.21(6H,m), 1.55(2H,m), 2.54(1H,m), 3.59(4H,m), 4.01(2H,m), 4.13(1H,m), 6.84(2H,d), 7.09(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2.2, 15.1, 22.0, 31.3, 40.8, 66.9, 68.9, 69.2, 70.5, 114.3, 128.0, 140.5, 156.4
또한, 생성물 B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원료 및 그 반응성 등으로부터 얻어진 생성물 B는 하기 구조식 (B)로 표시되는 1-히드록시-2-O-에틸-3-(4'-sec-부틸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25
실시예 5 : 1,2-디-히드록시-3-(4'-sec-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sec-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6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50g)을 첨가하여 다시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26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65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상기 구조식 (D)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4 '-sec-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80(3H,t), 1.20(3H,d), 1.55(2H,m), 2.54(1H,m), 3.74(1H,dd), 3.83(1H,dd), 4.01(1H,m), 4.10(1H,m), 6.84(2H,d), 7.09(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2.2, 22.0, 31.3, 40.8, 63.7, 69.2, 70.5, 114.3, 128.0, 140.5, 156.4
실시예 6 :1,2-디-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sec-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6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50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43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65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 (P)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2 '-sec-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26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84(3H,t), 1.20(3H,d), 1.60(2H,m), 2.66(OH,brs), 3.06(1H,m), 3.78(1H,ddd), 3.87(1H,dd), 4.05(2H,d), 4.14(1H,m), 6.85(1H,d), 6.96(2H,dt-like), 7.16(2H,m)
13C-NMR(100MHz, CDCl3): δppm 12.2, 22.5, 29.9, 33.6, 63.9, 69.3, 70.6, 114.5, 121.3, 126.6, 126.9, 135.9, 155.7
실시예 7 : 1,2-디-옥타노일-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실시예 1에서 얻어진 1,2-디-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1.00g)에 DMF 7mL, 트리에틸아민(0.30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n-카프릴산무수물(0.80g)을 첨가하였다.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97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5/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65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상기 구조식 (C)로 표시되는 1,2-디-옥타노일-3-(4 '-tert-부틸페녹시)프로필(0.65g)인 것이 확인되었다.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88(6H,m), 1.30(25H,s), 1.63(4H,m), 2.36(4H,m), 4.01(2H,m), 4.26(3H,m), 6.85(2H,d), 7.31(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4.1, 22.6, 24.7, 24.9, 29.0, 29.07, 29.13, 34.09, 34.14, 34.20, 65.2, 68.7, 68.65, 68.70, 114.0, 126.4, 144.1, 156.1, 174.2, 179.8
실시예 8 : 2-히드록시-1,3-디-(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에피클로로히드린(1.00g)에 수산화나트륨(0.43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4-tert-부틸페놀(1.96g)을 첨가하여 다시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87g에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9g), 수산화나트륨 (0.24g)을 첨가하고 4-tert-부틸페놀(1.96g)을 첨가하였다.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추출했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을 하여 얻어진 잔사 2.56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0/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을 실시하여, 생성물(0.48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2-히드록시-1,3-디-(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27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30(18H,s), 1.63(OH,brs), 2.64(OH,brs), 4.13(4H,m), 4.17(1H,m), 6.87(4H,m), 7.28(4H,d)
13C-NMR(100MHz, CDCl3): δppm 31.4, 34.1, 68.7, 68.8, 114.0, 126.3, 143.9, 156.1
실시예 9 : 1-(4"-히드록시페녹시)-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에피클로로히드린(1.00g)에 수산화나트륨(0.43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4-tert-부틸페놀(1.96g)을 첨가하였다. 다시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87g에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9g), 수산화나트륨(0.24g)을 첨가하고, 하이드로퀴논(1. 43g)을 첨가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추출했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을 실시하여 얻어진 잔사 2.56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3/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27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4"-히드록시페녹시)-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30(9H,s), 1.64(OH,brs), 2.64(OH,brs), 4.10(4H,m), 4.13(1H,brs), 6.81(4H,m), 7.31
13C-NMR(100MHz, CDCl3): δppm 31.5, 34.1, 68.7, 68.8, 69.4, 114.0, 115.5, 126.3, 144.0, 153.0, 156.1
실시예 10 : 디[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에테르의 합성
에피클로로히드린(1.00g)에 수산화나트륨(0.43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0.43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4-tert-부틸페놀(1.96g)을 첨가하여 다시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87g에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9g), 수산화나트륨(0.24g)을 첨가하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1,2-디-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2.19g)을 첨가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추출했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2.56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5/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35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디[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에테르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29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29(18H,s), 1.67(OH,brs), 2.82(OH,brs), 3.28(OH,brs), 3.71(2H,m), 3.85(2H,m), 3.98(4H,m), 4.14(2H,m), 6.84(4H,m), 7.29(4H,m)
13C-NMR(100MHz, CDCl3): δppm 31.5, 34.1, 67.7, 67.8, 68.5, 68.7, 69.08, 69.15, 69.18, 69.42, 71.5, 71.6, 72.1, 72.4, 72.7, 114.0, 126.24, 126.29, 143.7, 143.8, 143.9, 156.1, 156.2, 156.3
실시예 11 : 1-O-세틸-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에피클로로히드린(1.00g)에 수산화나트륨(0.43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0.43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4-tert-부틸페놀(1.96g)을 첨가하여 다시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추출했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87g에 세틸알코올(3.16g), 황산(0.21g)을 첨가하여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3.02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30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O-세틸-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30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86(9H,t), 1.24, 1.28(35H,s), 1.56(2H,m), 3.46(2H,m), 3.56(2H,m), 3.99(2H,m), 4.13(1H,m), 6.84(2H,d), 7.28(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4.1, 22.7, 26.1, 29.3, 29.5, 29.6, 29.7, 31.5, 31.9, 34.0, 68.9, 69.1, 71.4, 71.7, 114.0, 126.2, 143.7, 156.3
실시예 12 : 1,2-디-히드록시-3-(4'-n-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n-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6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43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50g)을 첨가하였다.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28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58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4'-n-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31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90(3H,t), 1.32(2H,m), 1.54(2H,m), 2.52(2H,t), 3.71(1H,dd), 3.80(1H,dd), 3.98(2H,m), 4.07(1H,m), 6.80(2H,d), 7.06(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3.9, 22.2, 33.8, 34.7, 63.7, 69.1, 70.4, 114.3, 129.3, 135.7, 156.3
실시예 13 : 1,2-디-히드록시-3-(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이소프로필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9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24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60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38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53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32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20(6H,d), 2.84(1H,m), 3.72(1H,dd), 3.81(1H,dd), 3.99(2H,d-like), 4.08(1H,m), 6.82(2H,d), 7.12(2H,d)
13C-NMR(100MHz, CDCl3): δppm 24.1, 33.2, 63.7, 69.2, 70.4, 114.3, 127.3, 141.7, 156.4
실시예 14 : 1,2-디-히드록시-3-(4'-에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에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33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26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67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26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40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4'-에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33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18(3H,s), 2.57(2H,d), 3.72(1H,dd), 3.81(1H,dd), 3.99(1H,brd), 4.07(1H,brd), 6.81(2H,d), 7.08(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5.8, 27.9, 63.7, 69.2, 70.4, 114.4, 128.8, 137.1, 156.3
실시예 15 : 1,2-디-히드록시-3-(4'-tert-아밀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tert-아밀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4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20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50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22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 (0.50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4'-tert-아밀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34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65(3H,t), 1.35(9H,m), 1.59(1H,q), 3.58(4H,m), 4.00(2H,m), 4.15(1H,m), 6.84(2H,d), 7.22(2H,d)
13C-NMR(100MHz, CDCl3): δppm 9.1, 15.1, 28.6, 36.9, 37.3, 66.9, 68.9, 69.1, 71.3, 113.9, 126.9, 142.0, 156.2
실시예 16 : 1,2-디-히드록시-3-(4'-α-큐밀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α-큐밀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9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5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38g)을 첨가하였다.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05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31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4'-α-큐밀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35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66(6H,s), (1H,m), 3.73(1H,dd), 3.83(1H,dd), 4.01(2H,m), 4.10(1H,m), 6.81(2H,d), 7.16(3H,m), 7.25(4H,m)
13C-NMR(100MHz, CDCl3): δppm 30.8, 42.3, 63.7, 69.1, 70.4, 113.9, 125.6, 126.7, 127.86, 127.94, 143.6, 150.7, 156.2
실시예 17 : 1,2-디-히드록시-3-[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9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5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40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10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40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 (G)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36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70(9H,s), 1.22(3H,m), 1.33(3H,s), 1.69(2H,s), 3.58(4H,m), 4.00(2H,m), 4.15(1H,m), 6.83(2H,d), 7.26(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5.1, 31.6, 31.7, 32.3, 37.9, 56.9, 66.9, 68.9, 69.1, 71.3, 113.7, 127.1, 142.6, 156.2
실시예 18 : 1-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tert-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9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21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3-브로모-1-히드록시프로필(1.02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98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38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37
실시예 19 : 1,2-디-히드록시-3-(2',6'-디-sec-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6-디-sec-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9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6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40g)을 첨가하였다.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24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3/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17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2',6'-디-sec-부틸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38
실시예 20 : 1,2-디-히드록시-3-(2',4'-디-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4-디-tert-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9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6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40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15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31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2',4'-디-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39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29(9H,s), 1.38(9H,s), 3.77(1H,dd), 3.88(1H,dd), 4.05(2H,m), 4.18(1H,m), 6.80(1H,d), 7.16(1H,m), 7.32(1H,d)
13C-NMR(100MHz, CDCl3): δppm 30.0, 31.5, 34.3, 35.0, 64.0, 68.9, 70.8, 111.5, 123.5, 124.1, 137.1, 143.2, 154.8
실시예 21 : 1,2-디-히드록시-3-(2',4'-디-tert-부틸-5'-메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4-디-tert-부틸-5-메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8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5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34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20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27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2',4'-디-tert-부틸-5'-메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40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36(21H,brs), 3.76(1H,dd), 3.87(1H,dd), 4.06(2H,m), 4.16(1H,m), 6.63(1H,s), 7.29(1H,s)
13C-NMR(100MHz, CDCl3): δppm 22.8, 30.1, 31.1, 34.8, 35.5, 64.0, 68.9, 70.8, 116.5, 125.1, 134.2, 134.8, 140.0, 154.4
실시예 22 : 1,2-디-히드록시-3-(2',6'-디-tert-부틸-4'-메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6-디-tert-부틸-4-메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8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5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 .34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15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31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2',6'-디-tert-부틸-4'-메틸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41
실시예 23 : 1,2-디-히드록시-3-(2'-tert-부틸-4'-메톡시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tert-부틸-4-메톡시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2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8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45g)을 첨가하여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39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50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2'-tert-부틸-4'-메톡시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42
실시예 24 : 1,2-디-히드록시-3-(3'-tert-부틸-4'-메톡시페녹시)프로필의 합성
3-tert-부틸-4-메톡시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2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8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45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20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41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3'-tert-부틸-4'-메톡시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43
실시예 25 : 2,2-비스[4'-(1",2"-디-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합성
2,2-비스(4-글리시딜옥시페닐)프로판(1.00g)에 물(5.0g), DMSO(10.0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진한 황산(0.06g)을 첨가하여 다시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54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3/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40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2,2-비스[4'-(1",2"-디-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으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44
실시예 26 : 1-O-(2"-에틸헥실)-2-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1.00g)에 수산화나트륨(0.22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7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2-sec-부틸페놀(0.89g)을 첨가하여 다시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67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10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HPTLC 분석으로 UV 흡수가 있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원료로부터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O-(2"-에틸)-2-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45
실시예 27 : 1-O-에틸-2-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sec-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7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22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에틸글리시딜에테르(0.75g)를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69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54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 (J)로 표시되는 1-O-에틸-2-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46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83(3H,t), 1.23(6H,m), 1.57(2H,m), 3.07(1H,m), 3.59(4H,m), 4.01(2H,d-like), 4.17(1H,m), 6.84(1H,d), 6.93(1H,t-like), 7.14(2H,m)
13C-NMR(100MHz, CDCl3): δppm 12.2, 15.1, 20.4, 29.9, 33.6, 66.9, 68.9, 69.2, 71.4, 111.5, 121.0, 126.5, 126.8, 135.9, 155.9
실시예 28 : 1-O-에틸-2-히드록시-3-(4'-α-큐밀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큐밀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9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0.15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에틸글리시딜에테르(0.53g)을 첨가하여 5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50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47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O-에틸-2-히드록시-3- (4'-α-큐밀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47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22(3H,t), 1.66(6H,m), 3.58(4H,m), 4.00(2H,m), 4.15(1H,m), 6.84(2H,d), 7.16(3H,m), 7.25(4H,m)
13C-NMR(100MHz, CDCl3): δppm 15.1, 30.8, 42.3, 66.9, 68.9, 69.1, 71.3, 113.9, 125.5, 126.7, 127.8, 127.9, 143.3, 150.8, 156.4
실시예 29 : 1-O-에틸-2-히드록시-3-(3'-메틸-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의 합성
3-메틸-4-이소프로필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7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22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에틸글리시딜에테르(0.75g)를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60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74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 (F)로 표시되는 1-O-에틸-2-히드록시-3-(3'-메틸-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48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22(9H,t), 2.92(3H,s), 3.05(1H,m), 3.57(4H,m), 3.98(2H,m), 4.13(1H,m), 6.72(2H,d), 7.13(1H,d)
13C-NMR(100MHz, CDCl3): δppm 15.1, 19.4, 23.4, 28.6, 66.9, 68.8, 69.1, 71.3, 111.8, 116.4, 125.6, 136.4, 139.5, 156.2
실시예 30 : 1-O-에틸-2-히드록시-3-(2',6'-디-sec-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2,6-디-sec-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9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6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에틸글리시딜에테르(0.54g)를 첨가하여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31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39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O-에틸-2-히드록시-3-(2',6'-디-sec-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49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82(6H,m), 1.23(9H,s), 1.59(4H,s), 2.51(1H,m), 3.03(1H,m), 3.56(3H,m), 3.64(1H,dd), 3.99(2H,d-like), 4.16(1H,m), 6.77(1H,d), 6.93(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2.2, 15.1, 20.4, 21.9, 22.0, 29.8, 31.3, 31.4, 33.8, 41.0, 66.9, 69.0, 69.3, 71.5, 111.3, 111.29, 111.32, 124.4, 124.5, 125.6, 125.8, 135.4, 140.1, 153.9
실시예 31 : 1,2-디-히드록시-3-(3'-메틸-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의 합성
3-메틸-4-이소프로필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27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22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글리시돌(0.75g)을 첨가하여 5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54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68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 (E)로 표시되는 1,2-디-히드록시-3-(3'-메틸-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50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18(6H,d), 2.29(3H,s), 3.05(1H,m), 3.72(1H,dd), 3.81(1H,dd), 3.99(2H,m), 4.09(1H,m), 6.71(1H,2m), 7.14(1H,d)
13C-NMR(100MHz, CDCl3): δppm 19.4, 23.4, 63.7, 69.1, 70.4, 111.8, 116.3, 125.7, 136.5, 139.8, 155.9
실시예 32 : 2,2-비스[4'-(1"-O-에틸-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합성
2,2-비스(4-글리시딜옥시페닐)프로판(1.00g)에 에탄올(0.14) 및 진한 황산 (0.03g)을 첨가하여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04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29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2,2-비스[4'-(1"-O-에틸-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51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1.19(6H,t), 1.61(6H,s), 2.50(4H,s), 3.56(8H,m), 3.99(4H,m), 4.13(2H,m), 6.80(2H,d), 7.11(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5.1, 31.0, 41.7, 68.9, 69.0, 71.3, 113.9, 127.7, 143.5, 156.3
실시예 33 : 1-O-에틸-2-히드록시-3-[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녹시]프로필의 합성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1.00g)에 수산화나트륨(0.19g), 테트라부틸 암모늄 브로마이드(0.15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고, 에틸글리시딜에테르(0.55g)을 첨가하여 다시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물을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목적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 1.23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혼합액으로 용출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생성물(0.31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1H-NMR, 13C-NMR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로부터, 이 생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O-에틸-2-히드록시-3-[4'-(1",1",3",3"- 테트라메틸부틸페녹시]프로필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52
NMR(핵자기공명분광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H-NMR(400MHz, CDCl3): δppm 0.70(9H,s), 1.22(3H,m), 1.33(3H,s), 3.58(4H,m), 4.00(2H,m), 4.15(1H,m), 6.83(2H,d), 7.26(2H,d)
13C-NMR(100MHz, CDCl3): δppm 15.1, 31.6, 31.7, 32.3, 37.9, 56.9, 66.9, 68.9, 69.1, 71.3, 113.7, 127.1, 142.6, 156.2
시험예 1 : 멜라닌 생성 억제 시험
하기의 수순에 따라 B16 흑색종 4A5 세포의 테오필린 유발 멜라닌 생성에 대한 작용의 평가를 본 발명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및 합성예 1∼4에서 얻어진 화합물이나 알부틴 등의 비교품에 대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1) B16 마우스 흑색종 4A5주를 8.0×103cells/well의 세포밀도로 48웰 플레이트에 파종했다.
(2) 10% 소태아혈청(니치레이 바이오사이언스사제) 함유 듈베코(Dulbecco) 변법 이글배지(SIGMA사제, 이하 'D-MEM'로 약기한다)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최종농도가 1.0mmol/L이 되도록 조정한 테오필린을 함유한 10% 소태아혈청 함유 D-MEM 및 최종농도가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조정한 시료를 함유한 10% 소태아혈청 함유 D-MEM을 첨가하였다.
(3) 시료공존 하에서 3일간 배양 후, 아스피레이터(aspirator)를 이용하여 배지를 제거하고 증류수를 첨가한 후, 초음파에 의해 세포를 파쇄했다.
(4) 그 후, 단백질량을 BCA protein assay kit(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사제)를 사용하여 정량하고, 또한 멜라닌 생성량을 하기에 기재한 알칼리 가용화법으로 측정하였다.
[알칼리 가용화법]
세포파쇄액에 최종농도가 1mol/L가 되도록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가열용해(60℃, 30분)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05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량은 합성멜라닌(SIGMA)을 표준품으로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산출하였다. 단백질량으로 멜라닌량을 제거함으로써 단위 단백질당 멜라닌량을 산출하였다.
(5)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다음 식으로 산출하였다.
멜라닌 생산 억제율(%) = [1-(A-B)/(C-B)]×100
[식 중, A는 시료첨가시의 단위 단백질당 멜라닌량(g/g), B는 Normal군의 단위 단백질당 멜라닌량(g/g), C는 Control군의 단위 단백질당 멜라닌량(g/g)을 나타낸다. ]
상기 Normal군이란 테오필린(-;무첨가) 및 시료(-;무첨가)의 경우이며, Control군이란 테오필린(+;첨가), 시료(-;무첨가)의 경우이다.
(6) 미백 효과의 판정
멜라닌 생산 억제율을 40% 이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시료의 양을 구하고, 그 양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은 N=4(1시료당 4well)로 실시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40% 이상을 나타내는 샘플 농도에 따라 미백 효과를 하기와 같이 표기하고,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또한, 측정은 N=4로 실시하였다.  
≥300μmol/L : △
100∼300μmol/L : ○
30∼100μmol/L : ◎
≤30μmol/L : ◎◎
예 번호 화합물명 판정
비교품 코지산
비교품 아스코르빈산
비교품 알부틴
비교품 하이드로퀴논
비교품 1-(4'-tert-부틸페녹시)프로필(합성예 1)
비교품 1-(4'-tert-부틸페녹시)에틸(합성예 2)
비교품 1,2-디-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합성예 3)
비교품 1,2-디-히드록시-3-(2'-메틸페녹시)프로필(합성예 4)
실시예1 1,2-디-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 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3 1-O-에틸-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3 2-O-에틸-1-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4 1-O-에틸-2-히드록시-3-(4'-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5 1,2-디-히드록시-3-(4'-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6 1,2-디-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7 1,2-디-옥타노일-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8 2-히드록시-1,3-디-(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9 1-(4”-히드록시페녹시)-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예 번호 화합물명 판정
실시예10 디[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에테르
실시예11 1-O-세틸-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12 1,2-디-히드록시-3-(4'-n-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13 1,2-디-히드록시-3-(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
실시예14 1,2-디-히드록시-3-(4'-에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15 1,2-디-히드록시-3-(4'-tert-아밀페녹시)프로필 ◎◎
실시예16 1,2-디-히드록시-3-(4'-α-큐밀페녹시)프로필
실시예17 1,2-디-히드록시-3-[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18 1-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19 1,2-디-히드록시-3-(2',6'-디-sec-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0 1,2-디-히드록시-3-(2',4'-디-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1 1,2-디-히드록시-3-(2',4'-디-tert-부틸-5'-메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2 1,2-디-히드록시-3-(2',6'-디-tert-부틸-4'-메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3 1,2-디-히드록시-3-(2'-tert-부틸-4'-메톡시페녹시)프로필
예 번호 화합물명 판정
실시예24 1,2-디-히드록시-3-(3'-tert-부틸-4'-메톡시페녹시)프로필
실시예25 2,2-비스[4'-(1",2"-디-히디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
실시예26 1-O-(2"-에틸헥실)-2-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27 1-O-에틸-2-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28 1-O-에틸-2-히드록시-3-(4'-α-큐밀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9 1-O-에틸-2-히드록시-3-(3'-메틸-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 ◎◎
실시예30 1-O-에틸-2-히드록시-3-(2',6'-디-sec-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31 1,2-디-히드록시-3-(3'-메틸-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 ◎◎
실시예32 2,2-비스[4'-(1"-O-에틸-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필 ◎◎
실시예33 1-O-에틸-2-히드록시-3-[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녹시]프로필
표 1∼3의 결과는 본 발명의 히드록시 프로필 알킬 페닐 에테르 유도체는 공지의 멜라닌 생성 억제제, 즉 코지산, 알부틴, 아스코르빈산보다 뛰어난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드록시 프로필 알킬 페닐 에테르 유도체 중 대부분의 화합물은 미백 효과가 높은 물질로 알려져 있지만 안전성이 우려되는 하이드로퀴논과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 항균성 시험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황색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의 4가지 균(ATCC주를 사용)을 사용하여, 하기의 수순에 따라 본 발명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에 대해 항균성 시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품으로서 1,2-펜탄디올을 사용하였다.
(1) 트윈 80(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0g을 첨가한 시험관에 각종 샘플을 0.3g, 0.1g 또는 0.05g 넣고, SCD(소이빈 카제인 다이제스트) 한천배지를 최종농도가 3.0%, 1.0%, 0.5%가 되도록 각각 약 10mL씩 첨가하여 vortex로 잘 교반 하였다. 그 후, 샘플을 함유하는 배지를 고압증기멸균(121℃에서 15분)으로 멸균하였으며, 45℃가 될 때까지 냉각하고 배지를 멸균 샬레(chalet)에 조용히 부어, 바닥 외면에 4구분의 표시를 한 샬레 전체에 펼치고, 정치하여 배지를 고화시켰다.
(2) 그 후, (1)에서 제작한 샘플을 포함하는 배지에, 미리 균수가 1.0×104∼5.0×104cfu/mL가 되도록 조제하여 둔 각종 균액을 샬레의 1구분에 1균종씩 4군데에 각각 10μL씩 접종하였다. (즉, 1 샘플에 4가지 균에 대해 3농도가 되므로, 1샘플당 12 검체가 된다.)
(3) 30℃의 항온조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4) 육안에 의해 균의 유무 판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표 4에 나타낸다.
균이 확인된 검체 수가 10검체 이상이었다 : △
균이 확인된 검체 수가 6∼9이었다: ○
균이 확인된 검체 수가 5 이하이었다 : ◎
샘플 시료 판정
비교품 1,2-펜탄디올
실시예1 1,2-디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3 1-O-에틸-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5 1,2-디히드록시-3-(4'-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6 1,2-디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7 1,2-디-옥타노일-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시험예 3 : 항여드름 시험
Propionibacterium acnes(JCM6415 : ATCC주)를 GAM 부용(육즙) 배지(닛스이 제약사제)에 이식하여 37℃, 혐기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GAM 부용 배지에서 희석하여 최종 균체 농도가 OD620 = 0.1가 되도록 조제하고, 이를 시험균액으로 하였다. 실시예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는 최종 농도가 0.1%가 되도록 칭량하고, GAM 부용 배지에 용해한 후 여과 멸균을 실시하여, 이를 시료용액으로 하였다.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스미토모 베이클라이트사제)에 시험 균액을 30μL, 시료 용액을 120μL 첨가한 후, 바로 혐기성 Jar(미쓰비시 가스화학사제)에 마이크로 플레이트와 아네로팩 혐기(미쓰비시 가스화학사제)를 넣고, 37℃, 혐기 조건에서 48시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에 의해 OD620를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품으로서 메틸 파라벤, 페녹시 에탄올, 아스코르빈산 나트륨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기준으로 분류하여 표 5∼표 7에 나타낸다.
△ : OD620 = 0.6 이상
○ : OD620 = 0.3∼0.6
◎ : OD620 = 0.3 이하
예 번호 시료 화합물명 판정
비교품 메틸파라벤
비교품 페녹시에탄올
비교품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비교품 1-(4'-tert-부틸페녹시)프로필(합성예1)
비교품 1-(4'-tert-부틸페녹시)에틸(합성예2)
비교품 1,2-디-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합성예3)
비교품 1,2-디-히드록시-3-(2'-메틸페녹시)프로필(합성예4)
실시예1 1,2-디-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 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3 1-O-에틸-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3 2-O-에틸-1-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4 1-O-에틸-2-히드록시-3-(4'-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5 1,2-디-히드록시-3-(4'-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6 1,2-디-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7 1,2-디-옥타노일-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8 2-히드록시-1,3-디-(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9 1-(4"-히드록시페녹시)-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예 번호 시료 화합물명 판정
실시예10 디[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에테르
실시예11 1-O-세틸-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12 1,2-디-히드록시-3-(4'-n-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13 1,2-디-히드록시-3-(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
실시예14 1,2-디-히드록시-3-(4'-에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15 1,2-디-히드록시-3-(4'-tert-아밀페녹시)프로필 ◎◎
실시예16 1,2-디-히드록시-3-(4'-α-큐밀페녹시)프로필
실시예17 1,2-디-히드록시-3-[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18 1-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19 1,2-디-히드록시-3-(2',6'-디-sec-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0 1,2-디-히드록시-3-(2',4'-디-tert-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1 1,2-디-히드록시-3-(2',4'-디-tert-부틸-5'-메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2 1,2-디-히드록시-3-(2',6'-디-tert-부틸-4'-메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3 1,2-디-히드록시-3-(2'-tert-부틸-4'-메톡시페녹시)프로필
실시예24 1,2-디-히드록시-3-(3'-tert-부틸-4'-메톡시페녹시)프로필
예 번호 시료 화합물명 판정
실시예25 2,2-비스[4'-(1",2"-디-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
실시예26 1-O-(2"-에틸헥실)-2-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27 1-O-에틸-2-히드록시-3-(2'-sec-부틸페녹시)프로필
실시예28 1-O-에틸-2-히드록시-3-(4'-α-큐밀페녹시)프로필 ◎◎
실시예29 1-O-에틸-2-히드록시-3-(3'-메틸-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 ◎◎
실시예30 1-O-에틸-2-히드록시-3-(2',6'-디-sec-부틸페녹시)프로필 ◎◎
실시예31 1,2-디-히드록시-3-(3'-메틸-4'-이소프로필페녹시)프로필 ◎◎
실시예32 2,2-비스[4'-(1"-O-에틸-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
실시예33 1-O-에틸-2-히드록시-3-[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녹시]프로필
시험예 4 [안정성 시험]
실시예 1의 1,2-디-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을 사용하여 50℃에서 4주간 보관했을 때의 착색에 대해 안정성을 하기의 요령으로 평가하였다. 비교품에는 공지의 미백제인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하이드로퀴논,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각 시험시료를 1%의 농도가 되도록 50% 에탄올 용액에 첨가하여 희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희염산 수용액으로 각각 pH 6.0∼8.0로 조제하여 50mL의 스크류 관에 넣어 밀봉하고 50℃에서 4주간 보관하였다. 시험시료의 조제 직후, 보관 2 주후 및 4주후의 용액의 착색도를 하기의 기준으로 10명의 패널이 평가하게 하였다.
3 : 조제 직후에 비헤 거의 변화 없음
2 : 조제 직후에 비해 착색된다
1 : 조제 직후에 비해 강하게 착색
착색 각각의 평가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 : 10명의 총점이 22 이상
△ : 10명의 총점이 15∼21
× : 10명의 총점이 14 이하
시료 2주후 4주후
아스코르빈산(비교품) × ×
코지산(비교품)
하이드로퀴논(비교품) × ×
알부틴(비교품)
1,2-디-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실시예1)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2-디-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는 착색면에서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4 크림
표 9에 나타낸 조성의 No.1∼6의 유상(油相)부의 원료 및 No.7∼10의 수상(水相)부의 원료를 각각 70℃로 가온하고 용해하여 유상 및 수상을 각각 조제하였다. 그 후,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후, 잘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고 생각되는 크림을 조제할 수 있었다. 또한, 표 9 이후의 표 중의 배합량은 질량부를 나타낸다.
No. 성분명 배합량
1 스쿠알란 8.0
2 바셀린 5.0
3 스테아릴 알코올 5.0
4 폴리옥시에틸렌(25) 세틸 에테르 2.5
5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5
6 1-O-에틸-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실시예 3에서 제조한 것) 1.0
7 글리세린 5.0
8 방부제 적량
9 pH 조정제 적량
10 정제수 잔여
실시예 35 유액
표 10에 나타낸 조성의 No. 1∼10의 유성부의 원료, 및 No. 11∼13의 수상부의 원료를 각각 70℃로 가온하고 용해하여 유상 및 수상을 각각 조제하였다. 그 후,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후, 잘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고 생각되는 유액을 조제할 수 있었다.
No. 성분명 배합량
1 팔미틴산 이소스테아릴 4.0
2 호호바유 1.0
3 디메틸폴리실록산 2.0
4 세탄올 1.0
5 스테아린산 1.5
6 밀랍 2.5
7 파라핀 왁스 2,5
8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1.2
9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40) 소르비톨 1.5
10 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실시예 2에서 제조한 것) 0.5
11 프로필렌 글리콜 10.0
12 방부제 적량
13 정제수 잔여
실시예 36 유액
표 11에 나타낸 조성의 No. 4∼10의 유성부의 원료, 및 No. 1∼3, 11∼12의 수상부의 원료를 각각 70℃로 가온하고 용해하여 유상 및 수상을 각각 조제하였다. 그 후,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 한 후, 잘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고 생각되는 유액을 조제할 수 있었다.
No. 성분명 배합량
1 디프로필렌글리콜 3.0
2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인산 에스테르 3.0
3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1.0
4 1,2-디-히드록시-3-(4'-sec-부틸페녹시)프로필(실시예 5에서 제조한 것) 5.0
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1.5
6 밀랍 2.5
7 라놀린 2.0
8 유동 파라핀 16.5
9 스쿠알란 10.0
10 향료 적량
11 방부제 적량
12 정제수 잔여
실시예 37 크림
표 12에 나타낸 조성의 No. 1∼3의 유성부의 원료, 및 No. 4∼10의 수상부의 원료를 각각 70℃로 가온하고 용해하여 유상 및 수상을 각각 조제한 후,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후, 잘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고 생각되는 크림을 조제할 수 있었다.
No. 성분명 배합량
1 유동파라핀 15.0
2 바셀린 15.0
3 1,2-디-히드록시-3-(2'-sec-부티페녹시)프로필(실시예 6에서 제조한 것) 5.0
4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
5 잔탄검 0.1
6 폴리옥시에틸렌(40)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3.0
7 수산화 나트륨 0.05
8 향료 적량
9 방부제 적량
10 정제수 잔여
실시예 38 크림
표 13에 나타낸 조성의 No. 1∼6의 유성부를, 그리고 No. 7∼10의 수상부를 각각 70℃로 가온하고 용해한다. 수상부에 유상부를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이어 호모 믹서로 유화한 후, 잘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여, 미백 효과가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크림을 조제할 수 있었다.
No. 성분명 배합량
1 세틸 알코올 2.0
2 스테아릴 알코올 3.0
3 스쿠알란 6.5
4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5.5
5 메틸폴리실록산 5.5
6 디[2-히드록시-3-(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에테르(실시예 10에서 제조한 것) 1.0
7 1,3-부틸렌글리콜 5.0
8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2
9 방부제 적량
10 정제수 잔여
실시예 39 화장수
표 14에 나타낸 조성의 No. 1∼6의 원료를 잘 교반하면서 혼합함으로써, 화장수를 조제할 수 있었다. 이 화장수는 히드록시 프로필 알킬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No. 성분명 배합량(%)
1 2-히드록시-1,3-디-(4'-tert-부틸페녹시)프로필(실시예 8에서 제조한 것) 0.05
2 에탄올 10.0
3 구연산 0.01
4 구연산 나트륨 0.015
5 글리틸리틴산 칼륨 0.03
6 정제수 잔여

Claims (27)

  1. 하기 일반식 (I), (Ia) 또는 (Ib)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pct00053

    [화학식 2]
    Figure pct00054

    [화학식 3]
    Figure pct00055

    [식 (I), (Ia) 또는 (Ib)에 있어서,
    R은 -CH2-CHR2-CH2R1 또는 -CH(CH2R2)-CH2R1를 나타내며,
    Ra는 -CH2-CHR2-CH2-O-CH2-CHR2-CH2- 또는 -CH2-CHOH-CH2-를 나타내고,
    Rb는 탄소수가 1∼5인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1 및 R2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R8O, R9S, R10R11N, R12A, 탄소수가 1∼22인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가 3∼22인 포화 또는 불포화 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8, R9, R10, R11 및 R12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22인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수산기로 수소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가 3∼22인 포화 또는 불포화 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를 나타내며,
    A는 인산 에스테르기, 황산 에스테르기, 에스테르기, 티오에스테르기 또는 아미드기 또는 이들 염을 나타내는데, 단,
    R1 또는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산기, 또는 R12 A-로 표시되며 A가 인산 에스테르기, 황산 에스테르기 또는 에스테르기 또는 이들 염인 기이며, 또한
    R3, R4, R5,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기로 수소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가 1∼12인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가 1∼5인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수소를 나타내는데,
    R1 및 R2가 동시에, 수산기 및 R12 A-로 표시되며 A가 인산 에스테르기, 황산 에스테르기 또는 에스테르기 또는 이들 염인 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기일 때에는 R3, R4, R5, R6 및 R7의 탄소수의 합계는 2이상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 또는/및 R2가 수소, 탄소수 1∼2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R8O, R9S 및 R10R11N에서 선택되는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3. 제 2 항에 있어서,
    R1가 R8O이며 R2가 수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일반식 (I)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5. 제 4 항에 있어서.
    R8가 수소 또는 탄소수 1∼2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6. 제 5 항에 있어서,
    R8가 탄소수 1∼2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7. 제 1 항∼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식 (I)로 표시되며, R3, R4, R5, R6 및 R7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12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8. 제 7 항에 있어서,
    R3, R4, R5, R6 및 R7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분지형의 지방족 탄화수소이며, 또한 R3, R4, R5, R6 및 R7의 탄소수의 합계가 4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9. 제 8 항에 있어서,
    R3, R4, R5, R6 및 R7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tert-부틸기 또는 sec-부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Ia)로 표시되며, Ra가 -CH2-CH(OH)-CH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Ib)로 표시되며, Rb가 -C(CH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12. 하기 구조식 (Ⅱ)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4]
    Figure pct00056
  13. 하기 구조식 (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5]
    Figure pct00057
  14. 하기 구조식 (C)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6]
    Figure pct00058
  15. 하기 구조식 (E)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7]
    Figure pct00059
  16. 하기 구조식 (F)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8]
    Figure pct00060
  17. 하기 구조식 (G)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9]
    Figure pct00061
  18. 하기 구조식 (H)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10]
    Figure pct00062
  19. 하기 구조식 (P)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11]
    Figure pct00063
  20. 하기 구조식 (J)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12]
    Figure pct00064
  21. 하기 구조식 (K)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학식 13]
    Figure pct00065
  22. 제 1 항∼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23. 하기 구조식 (Ⅲ)으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화학식 14]
    Figure pct00066
  24. 하기 구조식 (D)로 표시되는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화학식 15]
    Figure pct00067
  25. 제 1 항∼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26. 제 1 항∼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27. 제 1 항∼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57013584A 2012-11-02 2013-10-31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항균제 및 화장료 KR201500741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2916 2012-11-02
JP2012242916 2012-11-02
PCT/JP2013/079498 WO2014069555A1 (ja) 2012-11-02 2013-10-31 プロピルフェニルエーテル誘導体、並びにそれを含むメラニン生成抑制剤、美白剤、抗菌剤及び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160A true KR20150074160A (ko) 2015-07-01

Family

ID=5062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584A KR20150074160A (ko) 2012-11-02 2013-10-31 프로필 페닐 에테르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항균제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38401A1 (ko)
EP (1) EP2915796A4 (ko)
JP (2) JP5750773B2 (ko)
KR (1) KR20150074160A (ko)
CN (1) CN104755452A (ko)
BR (1) BR112015008936A2 (ko)
WO (1) WO2014069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6620B (zh) * 2020-10-26 2022-11-15 江西施美药业股份有限公司 补骨脂酚衍生物、其药学上可接受的盐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9683A (en) * 1962-08-20 1965-04-20 Us Rubber Co Aryl aryl-oxyalkylated sulfite esters
DE1642057A1 (de) * 1967-07-15 1971-04-22 Henkel & Cie Gmbh Verwendung von substituierten Phenylaethern als Potenzierungsmittel in antimikrobiellen Mitteln
DE1922815A1 (de) * 1969-05-05 1970-11-12 Merck Anlagen Gmbh Phenolaether und Phenolester als Stabilisatoren
CH629352GA3 (ko) * 1976-10-06 1982-04-30
JPH07121854B2 (ja) * 1987-03-31 1995-12-2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EP0336142A3 (en) * 1988-04-04 1991-04-24 American Cyanamid Company Novel antagonists of platelet activating factor
JPH06192062A (ja) 1992-12-24 1994-07-1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US5468600A (en) * 1993-07-21 1995-11-21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color photographic material
JPH0784350A (ja) * 1993-07-21 1995-03-31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カラー写真感光材料
JP3208519B2 (ja) * 1994-06-01 2001-09-17 達也 木村 爪の保護剤及び爪の保護剤キット
JPH0854716A (ja) * 1994-08-12 1996-02-27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およびその処理方法
JP3340930B2 (ja) 1997-01-08 2002-11-05 カネボウ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美白化粧料
JP2003160479A (ja) * 2001-09-14 2003-06-03 Kao Corp 外用剤組成物
JP4828126B2 (ja) 2005-02-03 2011-11-3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抗菌剤
EP1898952B1 (en) * 2005-06-17 2012-09-12 Symrise AG Synergistic mixtures of aromatic alcohols and derivatives thereof with tropolone
JP4658898B2 (ja) 2006-10-20 2011-03-23 花王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化粧料
JP2011526250A (ja) * 2008-07-02 2011-10-06 ブリティッシュ コロンビア キャンサー エージェンシー ブランチ ジグリシドエーテル誘導体治療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DE102008042149A1 (de) * 2008-09-17 2010-03-18 Evonik Goldschmidt Gmbh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Formulierungen enthaltend Phenoxyalkylester
EP2193779A1 (en) * 2008-12-05 2010-06-09 Cognis IP Management GmbH Skin whitener
JP2011021170A (ja) * 2009-06-15 2011-02-03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新規ポリウレタン及びそれを用いた乳化剤
TW201221505A (en) * 2010-07-05 2012-06-01 Sanofi Sa Aryloxyalkylene-substituted hydroxyphenylhexynoic acids,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s a medicament
WO2012139039A2 (en) * 2011-04-08 2012-10-11 British Columbia Cancer Agency Branch Bisphenol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i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39253A (ja) 2014-07-31
WO2014069555A1 (ja) 2014-05-08
US20150238401A1 (en) 2015-08-27
JP5830742B2 (ja) 2015-12-09
EP2915796A1 (en) 2015-09-09
JP5750773B2 (ja) 2015-07-22
EP2915796A4 (en) 2016-04-20
CN104755452A (zh) 2015-07-01
BR112015008936A2 (pt) 2017-07-04
JPWO2014069555A1 (ja)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8200B1 (en) Cosmetic composition
JP5406708B2 (ja) 糖脂肪酸エステルとWaltheriaindicaまたはPisumsativumの植物抽出物との組合せを含む皮膚美白のための化粧品組成物
EP2786741A1 (en) Whitening cosmetic
US6395260B1 (en)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benzaldoximes
WO2014092166A1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美白剤
US20030072725A1 (en) Topical cosmetic agents containing 2-hydrazino-1,3 -heteroazoles
JP2009196980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化粧料
KR101826747B1 (ko) 신규한 코지산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7393937B2 (en) N-acetylglucosam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AU2011361982A1 (en) Antibacterial or preserving composition containing 3-butoxy-1,2-propanediol
JP5830742B2 (ja) プロピルフェニルエーテル誘導体、並びにそれを含むメラニン生成抑制剤、美白剤、抗菌剤及び化粧料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851044B1 (ko)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3,5-디히드록시 벤즈아미드 유도체,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7302B1 (ko)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035A (ko) 제니스테인 또는 에피갈로카테친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세포 회춘 촉진 유도용 조성물
JP2780803B2 (ja) 皮膚外用剤
EP2042153B1 (en) Skin cosmetic
JP2015003894A (ja) 抗菌剤
US20030171617A1 (en) 3,4-Dihydroxymandelic acid alkylamides and use thereof
TWI400094B (zh) Skin external preparations
KR20170061562A (ko)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US9351915B2 (en) Ascorbic acid derivative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ascorbic acid derivative solution, and skin external preparation
JP4504656B2 (ja) 新規1,4−ベンゼンジオールカルボン酸エステル誘導体又はその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70076091A (ko)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P2556819A1 (en) External skin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