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190A -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190A
KR20150068190A KR1020130154101A KR20130154101A KR20150068190A KR 20150068190 A KR20150068190 A KR 20150068190A KR 1020130154101 A KR1020130154101 A KR 1020130154101A KR 20130154101 A KR20130154101 A KR 20130154101A KR 20150068190 A KR20150068190 A KR 20150068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control tower
control
communication network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2031B1 (ko
Inventor
유규형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031B1/ko
Priority to US14/551,539 priority patent/US9290277B2/en
Priority to CN201410764407.1A priority patent/CN104717463A/zh
Publication of KR2015006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3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simple or augmented images from one or more cameras located onboard the vehicle, e.g. tele-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64U2101/31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for surveil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64U2201/104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using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의한 감시 시스템은 카메라를 탑재한 비행체, 상기 비행체와 제1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비행체와 분리 혹은 체결되는 컨트롤 타워 및 상기 컨트롤 타워와 제2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감시하는 중앙 통제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시 시스템{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보안 시장이 발달하면서 여러 종류의 감시 시스템들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감시 시스템은 감시가 필요한 지역의 기둥, 천장, 벽 등에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어, 감시 카메라가 촬상한 영상을 중앙 통제소로 전송하여 직접 감시를 수행하거나 촬상된 영상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산불 감시, 도로 교통 감시, 가스관 감시, 대형 발전소 감시 등에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어, 하나의 감시 카메라가 감시할 수 있는 영역이 한정적일 수 있고, 감시 카메라를 설치할 수 없는 곳의 감시는 이루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시스템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탑재한 비행체;
상기 영상을 제1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고, 상기 비행체와 분리 혹은 체결되는 컨트롤 타워; 및
상기 컨트롤 타워로부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을 수신받아 감시하는 중앙 통제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원거리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타워는, 상기 비행체가 체결되는 장착부; 및 상기 비행체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비행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타워는, 상기 비행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가 획득한 영상을 토대로 착륙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착륙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카메라를 탑재한 비행체;
상기 비행체와 분리 혹은 체결되는 컨트롤 타워;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타워는,
상기 비행체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부;
상기 비행체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비행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촬상부가 획득한 영상을 토대로 착륙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착륙 유도부; 를 포함한다.
상기 비행체는 상기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 상기 비행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비행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비행체가 상기 컨트롤 타워에 복귀하는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비행체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고정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에 대한 감시를 할 수 있으며, 상기 비행체는 중앙 통제소가 아닌 컨트롤 타워에서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있어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보다 넓은 지역에 대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비행체와 컨트롤 타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타워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가 컨트롤 타워에 착륙하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감시 시스템은 카메라(110)를 탑재한 비행체(100), 상기 비행체(100)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컨트롤 타워(200), 및 중앙 통제소(300)를 포함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은 비행체(100)와 컨트롤 타워(200) 사이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제1 통신망(10) 및 컨트롤 타워(200)와 중앙 통제소(300) 사이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제2 통신망(2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카메라는 고정되어 있어, 하나의 CCTV 카메라가 감시할 수 있는 영역이 한정적이며, CCTV 카메라를 설치할 수 없는 곳의 감시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소형 무인 항공기에 카메라를 탑재하는 감시 시스템인 경우, 중앙 통제소에서 직접 무인 항공기를 조정하여 감시 지역을 관찰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시 시스템인 경우에는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용량의 한계가 있어 중앙 통제소로부터 출동할 수 있는 공간적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행체(100)는 카메라(110)를 탑재하고 있어, 컨트롤 타워(200)와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는 경우 및 컨트롤 타워(200)와 분리되어 체공하고 있는 경우에 감시한 영상을 획득하여 컨트롤 타워(200)로 전송하고, 컨트롤 타워(200)는 이를 중앙 통제소(300)에 전송한다.
이 때, 비행체(100)는 컨트롤 타워(200)와 제1 통신망(10)을 통해 통신하고, 컨트롤 타워(200)와 중앙 통제소(300)는 제2 통신망(2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망(10)은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제1 통신망(10)으로 사용될 수 있는 통신망은 blue-tooth 방식, zigbee 방식, Wi-Fi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한 통신망일 수 있다.
제2 통신망(20)은 컨트롤 타워(200)가 중앙 통제소(300)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망으로, 원거리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제2 통신망(20)은 이동 통신을 위한 중계기와 기지국이 통신할 때 사용되는 상용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제2 통신망(20)은 3G, W-CDMA,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IEEE 802.16,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의 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망(20)은 상용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일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 타워(200)가 중계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앙 통제소(300)와 비행체(100)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비행체(100)가 감시한 영상을 중앙 통제소(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 타워(200)는 비행체(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는 경우, 비행체(100)는 컨트롤 타워(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행체(100)는 컨트롤 타워(200)의 주변을 체공하면서 감시 영상을 획득, 전송하다가 배터리 잔량이 일정한 수준에 다다른 경우, 컨트롤 타워(200)로 복귀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비행체(100)는 컨트롤 타워(200)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행체(100)는 평소에는 컨트롤 타워(200)에 고정되어 감시를 수행하다가 중앙 통제소(300)에 의한 명령에 의해서 컨트롤 타워(200)와 분리되어 명령받은 지역으로 출동하여 그 지역을 감시할 수 있다.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 비행체(100)는 베터리 잔량 및 컨트롤 타워(200)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컨트롤 타워(200)로 돌아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비행체(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목적지로 출동이 가능하며, 또한 비행체(100)와 컨트롤 타워(200)와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소(300)는 비행체(100)의 카메라(110)가 획득한 영상을 토대로 특정지역을 관찰 또는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중앙 통제소(300)는 카메라(110)가 보낸 영상을 실시간 감시 또는 저장하는 수단 및, 비행체(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중앙 통제소(300)는 제2 통신망(20)을 통하여 컨트롤 타워(200)와 통신을 하며, 이를 통해, 비행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행체(100)는 복수의 비행체(100a 내지 100n)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트롤 타워(200)도 복수의 컨트롤 타워(200a 내지 200n)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통신망(20)은 복수의 컨트롤 타워(200a 내지 200n)로 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를 중앙 통제소(300)로 전송, 또는 중앙 통제소(300)로 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신호를 복수의 컨트롤 타워(200a 내지 200n)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트 스위치는 이더넷 스위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스위치를 이용하여 데이터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비행체(100a 내지 100n) 및 복수의 컨틀로 타워(200a 내지 200n)는 각각 고유의 식별 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비행체(100a 내지 100n)는 개별적으로 중앙 통제소(300)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비행체(100a)는 제1 컨트롤 타워(200a)에 장착되며, 제n 비행체(100n)는 제n 컨트롤 타워(200n)에 장착되도록 초기에 설정될 수 있고, 추후에 중앙 통제소(300)의 명령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중앙 통제소(300)는 제1 비행체(100a)에 대하여 특정 위치의 감시에 대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비행체(100)에 카메라(110)를 탑재하여 고정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에 대한 감시를 할 수 있으며, 상기 비행체(100)는 중앙 통제소(300)가 아닌 컨트롤 타워(200)에서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있어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보다 넓은 지역에 대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4를 통해서, 보다 자세한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비행체와 컨트롤 타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100)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타워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비행체(100) 및 컨트롤 타워(2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며, 도 2b는 비행체(100) 및 컨트롤 타워(200)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모습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감시 시스템은 비행체(100) 및 컨트롤 타워(200)를 포함한다. 비행체(100)는 수직이착륙형 무인 비행체로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받는 비행체일 수 있다. 비행체(100)의 하부에는 카메라(110)가 장착되어 있어, 컨트롤 타워(200)와 체결 및 분리 시에 모두 감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행체(100)는 몸체(105)을 중심으로 제1 프로펠러(101), 제2 프로펠러(102), 제3 프로펠러(103), 제4 프로펠러(104)를 구비한 비행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가 장착되며 무인으로 구동할 수 있는 비행체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비행체(100)의 몸체(105)의 하부에는 카메라(110) 및 충전 단자(106)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 단자(106)는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체결될 때, 컨트롤 타워(200)의 전력 공급 단자(235)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비행체(100)의 배터리는 컨트롤 타워(200)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이 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충전 단자(106)은 몸체(105)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충전 단자(106)은 몸체(105)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 타워(200)에는 상기 충전 단자(106)와 맞물릴 수 있는 전력 공급 단자(235)가 구비된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별도의 구조물은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체결되는 경우, 자동으로 비행체(100)의 충전 단자(106)에 맞물리도록 설계될 수 있다.
컨트롤 타워(200)는 비행체(100)가 체결되는 장착부(210) 및 비행체(100)가 장착부(210)로 착륙할 수 있도록 착륙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착륙 유도부(240), 비행체(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230)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201)로 구성된다. 컨트롤 박스(201)는 비행체(100)와 중앙 통제소(300) 사이를 통신으로 중계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를 더 포함한다.
장착부(210)는 비행체(100)의 몸체(105)과 제1 내지 제4 프로펠러(101, 102, 103, 104)로 연결되는 부분을 지지하고, 카메라(110)는 노출시킬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체결된 경우에도 비행체(100)는 고정형 감시 카메라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장착부(210)의 일측 또는 컨트롤 타워(200)의 윗부분에는 비행체(100)를 촬상하는 촬상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상부(220)로 부터 촬상한 영상을 기초로 비행체(100)에 착륙 유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장착부(210)의 타측 또는 컨트롤 타워(200)의 윗부분에는 비행체(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230)와 연결되는 전력 공급 단자(2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210)에 비행체(100)가 체결될 때, 비행체(100)의 충전 단자(106)와 장착부(210)의 전력 공급 단자(235)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비행체(100)의 배터리가 충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감시 시스템은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체결 시에는 컨트롤 타워(200)에 고정되어 컨트롤 타워(200)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동시에 주변 영역을 감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분리 시에는 컨트롤 타워(200)를 중심으로 컨트롤 타워(200)와 수직 또는/및 수평으로 일정 반경 떨어진 영역까지 이동하면서 이동 영역을 감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분리될 수 있어, 카메라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 또는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비행체(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행체(1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 제어부(140), 카메라(110), 영상 처리부(115), 배터리(120), GPS 수신부(130)를 포함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제1 통신망(10)을 통해 컨트롤 타워(200)와 신호를 송수신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카메라(110)에 의해 획득된 감시 영상을 제1 통신망(10)을 통해서 송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배터리(120) 정보, GPS 수신부(130)로 부터 받은 위치 정보를 제1 통신망(10)을 통해서 송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컨트롤 타워(200)로 부터 전달된 착륙 유도 신호, 또는 비행체(100) 이동 명령 신호 등을 수신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비행체(100) 전체를 관장하는 메인 제어기로서,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비행체(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비행체(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배터리(120) 잔량을 체크하여 컨트롤 타워(200)로의 복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은 컨트롤 타워(200)와의 거리 및 배터리(120) 잔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컨트롤 타워(200)로 복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컨트롤 타워(200)와의 거리는 GPS 수신부(130)에 의해서 취득한 정보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은 비행체(100)가 규칙적으로 컨트롤 타워(200) 주변을 순회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와 같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비행체(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중앙 통제소(300)로 부터 전달 받은 신호를 기초로 비행체(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에 착륙하는 경우, 착륙 유도 신호를 기초로 비행체(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 의한 동작의 제어란 비행체(100)의 제1 내지 제4 프로펠러(101, 102, 103, 104)의 회전 속도, 몸체(105)의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회전, 비행체(100)의 고도의 상승 및 하강 등 비행체(100)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는 모든 동작을 의미한다.
카메라(110)는 비행체에 탑재되어 감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감시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처리부(115)는 카메라(110)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영상 데이터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을 통해 컨트롤 타워(200)로 전송될 수 있다.
GPS 수신부(130)는 GPS 위성을 통해 비행체(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140)가 비행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컨트롤 타워(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타워(200)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 타워(200)는 장착부(210), 전력 공급 단자(235), 촬상부(220) 및 컨트롤 박스(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01)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 착륙 유도부(240), 전력 공급부(230)를 포함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는 제1 통신망(10)을 통해 비행체(100)와 신호를 송수신 하며, 제2 통신망(20)을 통해 중앙 통제소(3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은 비행체(100)로 부터 송신된 감시 영상, 비행체(100)의 위치 정보 등 비행체(100)로 부터 수신 받은 신호를 제2 통신망(20)을 통해 중앙 통제소(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는 영상 데이터를 통신망에 맞게 변환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는 중앙 통제소(300)로 부터 오는 신호를 받아 비행체(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는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에 착률할 때, 착륙 유도부(240)에서 생성된 착륙 유도 신호를 제1 통신망(10)을 통해 비행체(100)로 송신할 수 있다.
촬상부(220)는 비행체(100)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220)는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에 착륙을 시도하는 시점부터 비행체(100)를 촬상하여 착륙 유도부(240)가 착륙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착륙 유도부(240)는 촬상부(220)에서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착륙 유도 신호를 생성하고 비행체(100)로 송신하여 비행체(100)가 안전하게 컨트롤 타워(200)의 장착부(210)로 착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착륙 유도부(240)의 착륙 유도 신호 생성 단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착륙 유도부(240)에는 비행체(100)가 장착될 위치의 제1 프로펠러(101), 제2 프로펠러(102), 제3 프로펠러(103), 제4 프로펠러(104), 몸체(105)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에 대해서 미리 정의한 기준 패턴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기준 패턴과 촬상부(220)에서 촬영한 비행체(100)의 영상을 비교하면 비행체(100)의 방향, 위치, 고도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우선,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의 수직 위치에 도달하여 착륙이 시도되면, 촬상부(220)는 비행체(100)의 제1 영상을 촬영한다.(S1)
그 다음, 비행체(100)의 영상과 상기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비행체(100)의 방향을 추정한다.(S2) 추정된 방향을 바탕으로, 비행체(100)의 수평 방향 회전(yaw)량을 결정하여, 수평 방향 회전 명령을 내린다.(S3) 이와 같은 명령은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를 통해서 비행체(100)의 제어부(140)에 전달되고, 제어부(140)에 의해서 비행체(100)의 동작이 제어된다.
그 다음, 촬상부(200)는 비행체(100)의 제2 영상을 촬영(S4)하고, 상기 기준 패턴과 비교하여 비행체(100)의 위치를 추정한다.(S5) 추정된 위치를 바탕으로, 비행체(100)의 수직 방향 회전(pitch/roll)량을 결정하여, 수직 방향 회전 명령(S6)을 내린다. 이와 같은 명령은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를 통해서 비행체(100)의 제어부(140)에 전달되고, 제어부(140)에 의해서 비행체(100)의 동작이 제어된다.
그 다음, 다시 촬상부(200)가 비행체(100)의 제3 영상을 촬영(S7)하고, 비행체(100)가 착륙 가능한 오차 이내에 들었는지 확인한다.(S8) 오차 허용 범위를 넘은 경우, 다시 S1 단계로 이동하여 S1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S8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비행체(100)가 착륙 가능한 오차 이내에 들어오면 비행체(100)의 고도를 추정하여, 고도 하강량 결정 및 고도 하강 명령(S9)을 내린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비행체(100)는 컨트롤 타워(200)로 정해진 방향으로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게 된다. 비행체(100)가 컨트롤 타워(200)와 체결되면 비행체(100)는 컨트롤 타워(200)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을 충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시 시스템은 비행체(100) 및 컨트롤 타워(200)를 이용하여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감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컨트롤 타워(200)의 착륙 유도부(240)에 의해서 비행체(100)가 안전하게 착륙 및 재충전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비행체
200: 컨트롤 타워
300: 중앙 통제소
10:제1 통신망
20:제2 통신망
101, 102, 103, 104: 제1 내지 제4 프로펠러
105: 몸체
106: 충전 단자
110: 카메라
115: 영상 처리부
120: 배터리
130: GPS 수신부
140: 제어부
150: 제1 통신 인터페이스
201: 컨트롤 박스
210: 장착부
220: 촬상부
230: 전력 공급부
235: 전력 공급 단자
240: 착륙 유도부
250: 제2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6)

  1.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탑재한 비행체;
    상기 영상을 제1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고, 상기 비행체와 분리 혹은 체결되는 컨트롤 타워; 및
    상기 컨트롤 타워로부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을 수신받아 감시하는 중앙 통제소;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원거리 유무선 통신망인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타워는,
    상기 비행체가 체결되는 장착부; 및
    상기 비행체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비행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타워는,
    상기 비행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가 획득한 영상을 토대로 착륙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착륙 유도부;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5. 카메라를 탑재한 비행체;
    상기 비행체와 분리 혹은 체결되는 컨트롤 타워;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타워는,
    상기 비행체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부;
    상기 비행체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비행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촬상부가 획득한 영상을 토대로 착륙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착륙 유도부; 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는,
    상기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
    상기 비행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비행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비행체가 상기 컨트롤 타워에 복귀하는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는 감시 시스템.
KR1020130154101A 2013-12-11 2013-12-11 감시 시스템 KR10184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101A KR101842031B1 (ko) 2013-12-11 2013-12-11 감시 시스템
US14/551,539 US9290277B2 (en) 2013-12-11 2014-11-24 Surveillance system and surveillance method
CN201410764407.1A CN104717463A (zh) 2013-12-11 2014-12-11 监视***和监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101A KR101842031B1 (ko) 2013-12-11 2013-12-11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90A true KR20150068190A (ko) 2015-06-19
KR101842031B1 KR101842031B1 (ko) 2018-03-26

Family

ID=5327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101A KR101842031B1 (ko) 2013-12-11 2013-12-11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90277B2 (ko)
KR (1) KR101842031B1 (ko)
CN (1) CN1047174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14B1 (ko) * 2015-09-02 2017-02-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무인 비행체 에어스테이션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 운용 방법
WO2017179953A1 (ko) * 2016-04-15 2017-10-19 (주)코어센스 드론을 이용한 산불 감시 및 진압 시스템
WO2018110883A1 (ko) * 2016-12-13 2018-06-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 이착륙 시스템
KR20180075474A (ko) * 2015-10-28 2018-07-0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비상체를 이용한 관측 시스템 및 관측 방법
KR101991062B1 (ko) * 2019-03-28 2019-06-20 (주)피엠피테크 지능형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7392B2 (en) * 2013-03-14 2016-12-27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Aerial system and vehicle for continuous operation
CN105283384B (zh) 2013-05-03 2018-03-27 威罗门飞行公司 垂直起落(vtol)飞行器
US9561871B2 (en) * 2014-05-07 2017-02-07 Deere & Company UAV docking system and method
US9499265B2 (en) * 2014-07-02 2016-11-22 Skycatch, Inc.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interface
KR101643718B1 (ko) * 2014-07-16 2016-07-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주형 무인비행체 격납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비행체의 격납 및 충전방법
US10196155B2 (en) * 2014-09-09 2019-02-05 Joseph Martin Unmanned aerial delivery system
US9840340B2 (en) * 2014-12-09 2017-12-12 Dan O'Toole Drone docking station and delivery system
US9387928B1 (en) 2014-12-18 2016-07-12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use UAV docking station systems and methods
US9527605B1 (en) * 2014-12-18 2016-12-27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use unmanned aerial vehicle docking station
EP3767422B1 (en) * 2014-12-31 2023-02-15 SZ DJI Technology Co., Ltd. Vehicle altitude restrictions and control
WO2016130847A1 (en) 2015-02-11 2016-08-18 Aerovironment, Inc. Pod launch and landing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WO2016130797A1 (en) * 2015-02-11 2016-08-18 Aerovironment, Inc. Pod cover system for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WO2016130721A2 (en) 2015-02-11 2016-08-18 Aerovironment, Inc. Survey migration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S11021266B2 (en) 2015-02-11 2021-06-01 Aerovironment, Inc. Pod operating system for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WO2016130716A2 (en) 2015-02-11 2016-08-18 Aerovironment, Inc. Geographic survey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S9654984B2 (en) * 2015-04-14 2017-05-16 ETAK Systems, LLC Cell tower installation systems and method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S9764836B1 (en) * 2015-06-09 2017-09-19 Amazon Technologie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secure egress and ingress
US10933997B2 (en) * 2015-10-02 2021-03-02 Insitu, Inc. Aerial launch and/or recovery for unmanned aircraft,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9503295A (ja) * 2015-11-10 2019-02-07 マターネッ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atternet, Inc. 無人航空機を使用した輸送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708037B1 (ko) * 2015-11-16 2017-02-27 주식회사 앤다스 드론 연결형 cctv 장치 및 이에 의한 영상 촬영 방법
CN105388910A (zh) * 2015-12-15 2016-03-09 中广核工程有限公司 用于监视大型厂房的飞行器无线监视***及监视方法
JP6691794B2 (ja) 2016-02-26 2020-05-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飛行体の離着陸支援装置及び飛行装置
AT15061U1 (de) * 2016-03-10 2016-11-15 Knapp Ag System zum Kommissionieren in der Intralogistik
US9937808B2 (en) * 2016-09-09 2018-04-10 Michael Steward Evans Drone charging stations
US10418853B2 (en) * 2016-09-30 2019-09-17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wirelessly powe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0518876B2 (en) * 2016-12-21 2019-12-31 Makani Technologies Llc Offshore wind kite with seafloor mooring
US20180186473A1 (en) * 2017-01-03 2018-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one hotel an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drone hotel
US10450091B2 (en) * 2017-04-07 2019-10-22 DroneTerminus LLC Package acceptance, guidance, and refuel system for drone technology
JP6815645B2 (ja) * 2017-09-22 2021-01-20 山田技研株式会社 ドローンの離着陸装置及び災害発生予測システム
US11780606B2 (en) * 2017-10-16 2023-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nding platform including positioning arms for engag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9090042A1 (en) * 2017-11-02 2019-05-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mote configuration, maintenance, and installation for communication systems
US10351261B1 (en) * 2018-03-05 2019-07-16 Carolyn Bryant Autonomous drone based package reception and surveillance system
US11148805B2 (en) * 2018-04-10 2021-10-19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nclosure for an unmanned aerial system
US12010426B2 (en) 2018-06-26 2024-06-11 Sony Corpo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USD945352S1 (en) * 2018-10-15 2022-03-08 Connell Naylor Robotically assisted power line aerial diverter mounting tool
CN111063174B (zh) * 2018-10-17 2022-07-12 海隆石油集团(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光纤传感的管道线路安全预警***
EP3880554B1 (en) * 2018-11-15 2023-09-13 Nokia Technologies Oy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charging platfor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FR3089498B1 (fr) * 2018-12-06 2021-07-16 Hoverseen Système de guidage pour l’atterrissage d’un drone
US11691761B2 (en) * 2019-05-17 2023-07-04 FlyFocus Sp. z.o.o. Detachable power cabl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1597515B2 (en) * 2019-08-19 2023-03-07 Epazz, Inc. Charging/re-charging drone assembly system and apparatus
CN110667870B (zh) * 2019-10-12 2023-01-20 内蒙古工业大学 基于太阳能供电的无人机自主起降换电池的能源自治基站
US11897630B2 (en) * 2019-10-24 2024-02-13 Alarm.Com Incorporated Drone landing ground station with magnetic fields
US11679875B2 (en) * 2020-12-03 2023-06-20 Saudi Arabian Oil Company Mechanism for docking a magnetic crawler into a UAV
WO2024035714A1 (en) * 2022-08-09 2024-02-15 Pete Bitar Compact and lightweight drone delivery device called an arcspear electric jet drone system having an electric ducted air propulsion system and being relatively difficult to track in fligh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8990A (en) * 1987-09-11 1989-04-04 Fernandes Roosevelt A Monitoring system for power lines and right-of-way using remotely piloted drone
JP2662111B2 (ja) * 1991-07-25 1997-10-08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垂直離着陸航空機の自動着陸誘導方法
US5716032A (en) * 1996-04-22 1998-02-10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Unmanned aerial vehicle automatic landing system
JP2006082775A (ja) * 2004-09-17 2006-03-30 Hiroboo Kk 無人飛行体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60079398A (ko) 2004-12-31 2006-07-06 안희태 무선 조정 자동 비행체
US7410125B2 (en) * 2005-05-05 2008-08-1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Robotically assisted launch/capture platform for an unmanned air vehicle
KR100645814B1 (ko) * 2005-06-07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의 자동충전 복귀 시스템 및 그 복귀 방법
US20070228214A1 (en) * 2005-09-26 2007-10-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utonomous launch pad for micro air vehicles
US8019490B2 (en) * 2006-09-29 2011-09-13 Applied Minds, Llc Imaging and display system to aid helicopter landings in brownout conditions
US8162256B2 (en) 2008-03-19 2012-04-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aunch and capture systems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vehicles
US8172177B2 (en) * 2008-06-02 2012-05-08 Advanced Technology & Research Corp. Stabilized UAV recovery system
WO2010108301A1 (zh) 2009-03-27 2010-09-30 Yu Qifeng 飞机着陆与无人机回收的地基摄像测量引导方法
US20110042508A1 (en) 2009-08-24 2011-02-24 Bevirt Joeben Controlled take-off and flight system using thrust differentials
KR101262968B1 (ko) 2009-09-02 2013-05-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구형 탑재부를 구비한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탑재를 위한 무인지상차량을 포함하는 무인 항공 장치
CN102236918B (zh) * 2010-04-26 2014-08-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无人飞行载具及利用其进行数据采集的方法
US8976340B2 (en) * 2011-04-15 2015-03-10 Advanced Scientific Concepts, Inc. Ladar sensor for landing, docking and approach
US9384668B2 (en) * 2012-05-09 2016-07-05 Singularity University Transportation using network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S9527586B2 (en) * 2012-12-19 2016-12-27 Elwha Llc Inter-vehicle flight attribute communication for an unoccupied flying vehicle (UFV)
US9075415B2 (en) * 2013-03-11 2015-07-07 Airphrame, Inc.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14B1 (ko) * 2015-09-02 2017-02-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무인 비행체 에어스테이션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 운용 방법
KR20180075474A (ko) * 2015-10-28 2018-07-0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비상체를 이용한 관측 시스템 및 관측 방법
WO2017179953A1 (ko) * 2016-04-15 2017-10-19 (주)코어센스 드론을 이용한 산불 감시 및 진압 시스템
WO2018110883A1 (ko) * 2016-12-13 2018-06-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 이착륙 시스템
US11459100B2 (en) 2016-12-13 2022-10-04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KR101991062B1 (ko) * 2019-03-28 2019-06-20 (주)피엠피테크 지능형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17463A (zh) 2015-06-17
US9290277B2 (en) 2016-03-22
US20150158598A1 (en) 2015-06-11
KR101842031B1 (ko) 201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031B1 (ko) 감시 시스템
US11693402B2 (en) Flight management system for UAVs
CN107615822B (zh) 向无人飞行器提供通信覆盖范围的方法、设备和***
US20220185487A1 (en) Circuit, base st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WO2018034295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
CN103472847B (zh) 无人机电力线路巡检航迹监控方法与***
CN206077604U (zh) 一种基于无人机的特高压电网建设工程的巡查***
JP2016189114A (ja) 監視システム
JP2016171442A (ja) 監視システム及び飛行ロボット
JP2019114110A (ja) 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KR20170111219A (ko) 화재 관찰을 위한 무인 항공기의 비행 제어 서버 및 제어 방법
KR101979730B1 (ko) 장거리 드론 시스템의 충전을 위한 무인 유도 도킹 시스템
WO2022088208A1 (zh) 一种无人机遥控***
CN205942444U (zh) 一种多功能电力设备巡视无人机
CN105109661B (zh) 基于浮空器的监控方法和网络及浮空器
KR101935695B1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드론 조종권한 양도 시스템
JP6343366B1 (ja) 災害時における情報伝達方法
RU183107U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беспилотным летательным аппаратом, применяемым для выявл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элементов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CN114981855A (zh) 信息处理设备、方法、计算机程序和通信***
WO2022162850A1 (ja) 飛行体、管制システム、飛行体識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22162848A1 (ja) 管制システム、飛行体識別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飛行体
WO2022162849A1 (ja) 飛行体識別システム、管制システム、飛行体識別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飛行体
WO2024009298A1 (en) Delivery drone related system and method
CN115793681A (zh) 一种系留升空侦察与通信中继***及其控制方法
JP2019208240A (ja) 災害時における情報伝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