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820A -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820A
KR20150045820A KR20130125548A KR20130125548A KR20150045820A KR 20150045820 A KR20150045820 A KR 20150045820A KR 20130125548 A KR20130125548 A KR 20130125548A KR 20130125548 A KR20130125548 A KR 20130125548A KR 20150045820 A KR20150045820 A KR 20150045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image
shared
file stored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덕
이인식
황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820A/ko
Priority to US14/464,151 priority patent/US20150109464A1/en
Priority to EP20140181554 priority patent/EP2863323A1/en
Publication of KR2015004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4Redundancy elimination performed by the file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제2 장치로 공유하는 단계;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이 상기 제2 장치로 공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Files by Using Thumbnail Images}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발전에 따라 보다 고화질, 고용량의 이미지를 촬영 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또한, 이렇게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다양한 방식(예를 들면, 장치간 공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타장치로 쉽게 공유할 수 있다.
그런데, 디지털 촬영장치에 저장된 이미지가 타 장치로 복사되더라도 사용자가 삭제하기 전까지는 원본이 그대로 저장되어 있어서 동일한 이미지 파일이 여러 저장공간에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즉, 제한된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는 장치들이, 동일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함으로써, 저장공간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었다.
한편, 저장공간의 낭비를 막기 위해 복사된 이미지 파일을 단순 삭제할 수 도 있지만, 이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타장치로 복사된 이미지 파일을 열람하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미지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미지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이미지가 공유되더라도 썸네일 이미지를 보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 이미지, 원본 이미지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제2 장치로 공유하는 단계;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이 상기 제2 장치로 공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복사 또는 백업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용량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삭제되는 원본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 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을 상기 이미지 파일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테이블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름, 상기 이미지 파일이 공유된 장치, 상기 삭제된 원본 이미지 사이즈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공유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이미지파일 수신 완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제2 장치에 공유된 이미지 파일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이미지파일 및 파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제2 장치에 공유된 이미지 파일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용량을 축소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장치에 저장 용량이 소정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량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의 저장 용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제2 장치로 공유하는 파일 공유부;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이 상기 제2 장치로 공유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하는 축소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일 공유부는,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복사 또는 백업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축소부는 상기 삭제되는 원본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 하고, 상기 테이블을 상기 이미지 파일에 삽입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테이블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름, 상기 이미지 파일이 공유된 장치, 상기 삭제된 원본 이미지 사이즈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공유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제2 장치에 공유된 이미지 파일이 동일한지 판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축소부는 상기 제1 장치의 저장 용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는 상기 제2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촬영장치(1)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공유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정된 이미지 파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정된 이미지 파일에 삽입된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의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라는 것은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는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 특별한 특성, 구조, 특징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라는 어구의 등장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이미지 파일을 디지털 촬영장치, 서버, PC 및 모바일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유”는 일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타 장치로 “복사” 또는 “백업”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촬영장치(1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공유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 파일을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2), PC(Personal computer)(3)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에 직, 간접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촬영장치(1)에는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DSLR), 미러리스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 및 촬상소자를 포함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촬영장치(1)에서 생성되는 이미지는 썸네일 이미지 및 이미지 정보(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를 색인이 가능하도록 축소한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미지 파일 검색시 용량이 큰 원본 이미지 대신 원본이미지를 용량과 크기를 축소시킨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신속한 색인 및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Exif정보는 디지털 촬영장치(1)의 이미지 파일안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의 정보를 의미한다. Exif정보에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디지털 촬영장치(1)의 제조사(Maker), 모델(Model), 이미지 에디터(Software), 이미지를 보정한 날짜(Datetime), Exif 버전(Exif Version), 촬영한 날짜(Shoot Datetime), 웹에 올려진 사진의 실제 크기(Image Size), 노출 시간(Exposure Time:셔터 스피드), 촬영 프로그램(Exposure Program), 렌즈 초점 길이(Focal Length), 조리개 개방 수치(F-Number), 플래시 사용 여부 등 세부적인 부가정보가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기록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장치(1)의 촬영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는 썸네일 이미지, 원본 이미지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형태(도 3의 30)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도2의 100)는 디지털 촬영장치(1)이거나 또는 디지털 촬영장치(1)에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의 모듈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는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장치는(1)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이미지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하거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한 규약에 따라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가 변경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PC(3)는 무선 네트워크뿐 아니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디지털 촬영장치(1)에 저장된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는 저장장소로만 이용되므로 PC(3)가 후술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4)는 디지털 촬영장치(1)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공유 받을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직접 이미지 파일을 공유 받을 수도 있지만, 서버(2)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 함으로써, 우회적으로 이미지 파일을 공유 받을 수도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4)에는 노트북,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120)이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등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따라서 이미지 파일이 공유되면, 동일한 이미지 파일이 여러 저장공간에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즉, 제한된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는 장치들이, 동일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함으로써, 저장공간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상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이하,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는 파일 공유부(110), 판단부(120), 축소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송수신부(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공유부(110)는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제2 장치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장치(1)가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서버(2), PC(3)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 중 하나가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일 공유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제2 장치로 복사하거나 백업할 수 있다.
또는, 파일 공유부(110)는 소정 조건에 따라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제2 장치로 복사하거나 백업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가 연결된 경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촬영 장치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결될 때마다 디지털 촬영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클라우드 서버로 공유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30)은 이미지 정보(31), 썸네일 이미지(32) 및 원본이미지(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31)는 디지털 촬영장치(1)의 이미지 파일안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의 정보를 의미한다. 이미지 정보(31)에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디지털 촬영장치(1)의 제조사(Maker), 모델(Model), 이미지 에디터(Software), 이미지를 보정한 날짜(Datetime), Exif 버전(Exif Version), 촬영한 날짜(Shoot Datetime), 웹에 올려진 사진의 실제 크기(Image Size), 노출 시간(Exposure Time:셔터 스피드), 촬영 프로그램(Exposure Program), 렌즈 초점 길이(Focal Length), 조리개 개방 수치(F-Number), 플래시 사용 여부 등 세부적인 부가정보가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기록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썸네일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를 축소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파일 검색시 용량이 큰 원본 이미지 대신 원본이미지를 용량과 크기를 축소시킨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신속한 색인 및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원본 이미지(33)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 원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디지털 촬영장치(1)의 사양에 따라 그 화질 및 용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TIFF(Tagged Image File Format)나 JPEG 규격에 따라 압축된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120)는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이 제2 장치로 공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에는 이미지 파일을 복사 또는 백업하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은 클라우드 시스템 또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버(2)로 공유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촬영장치(1)에 포함된 판단부(120)는 디지털 촬영장치(1)와 서버(2)에 동일한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1)로 공유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부(120)가 디지털 촬영장치(1)와 서버(2)에 동일한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한 규칙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서 이미지 리사이즈가 수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즉,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소부(130)는 공유된 이미지 파일의 원본이미지 파일을 삭제함으로써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시키는데, 이미지가 리사이즈 되는 경우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면 안되므로, 판단부(120)는 서버(2)에 원본 이미지 파일이 복사되었는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미지 리사이즈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파일 공유부(110)가 리사이즈가 수행된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또는 파일 공유부(110)가 원본 이미지 파일을 공유하면, 서버(2)가 공유된 원본 이미지 파일을 리사이즈 하여 저장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 판단부(120)가 이미지가 리사이즈 되었는지 판단 가능하지만, 후자의 경우는 판단부(120)가 이미지 파일이 리사이즈 되어 서버(2)에 저장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판단부(120)는 서비스 제공자에 따라 이미지를 리사이즈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책을 미리 저장하고, 이미지 파일이 공유될 때, 서비스 제공자를 인식하여 원본 이미지 파일이 공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부(120)는 서버(2)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디지털 촬영장치(1)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비교하여 원본 이미지 파일이 공유되었는지 판단 가능하다.
한편,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연결을 통해 디지털 촬영장치(1)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PC(3)로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촬영장치(1)는 단순 저장소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PC(3)가 이미지 파일 관리장치(100)의 판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라 PC(3)가 디지털 촬영장치(1)에 동일한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는지 판단함으로써, 디지털촬영장치(1)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공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PC(3)는 그 판단결과를 디지털 장치(1)로 다시 제공하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수정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촬영장치(1)가 이미지 파일을 모바일 단말(4)로 공유하는 경우에는 서버(2) 또는 PC(3)에서와 유사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장치(1)가 이미지 파일을 모바일 단말(4)로 공유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2 장치의 종류에 따른 구체적인 판단부(120)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소부(130)는 판단부(120)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여,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할 수 있다. 즉, 원본이미지가 삭제되어 용량이 축소된 수정된 이미지 파일(이하, 수정된 이미지 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정된 이미지 파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수정된 이미지 파일(40)은 이미지 정보(41) 및 썸네일 이미지(42)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축소부(130)에서 이미지 파일이 제1 장치에서 제2 장치로 공유되었다고 판단되면, 복수의 장치에 동일한 파일이 중복 되어 저장용량을 낭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제1 장치의 이미지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그런데, 이미지 파일 자체를 삭제하게 되면, 추후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장치(1)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하고자 할 때 이미지 파일이 공유된 장치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이미지 파일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 만을 삭제하여 수정된 이미지 파일(4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이 차지하는 용량은 대부분 원본이미지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이미지 파일내의 원본이미지(도 3의 30)를 삭제하는 동작을 통해 저장 장소는 충분한 용량을 확보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작에 의해서 이미지 파일(도3의 30)이 공유되고 원본 이미지(40)가 수정된 이력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축소부(130)는 원본 이미지 삭제 시(도3의 30), 테이블을 수정된 이미지 파일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에는 이미지 파일의 이름, 이미지 파일이 공유된 장치, 삭제된 원본 이미지 사이즈, 이미지 파일의 공유날짜 및 수정날짜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원본 이미지가 삭제된 후에도,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 원본이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정된 이미지 파일에 삽입된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타 장치로 공유되지 않은 이미지 파일, (b) 및 (c)는 각각 소정 서비스를 이용하여 타장치로 공유된 이미지 파일에 삽입된 테이블(50)을 나타낸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공유가 이루어 지지 않은 파일은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부분(51)에 원본 표시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반면, 도5의 (b), (c)를 참조하면, 공유가 이루어져, 수정된 이미지 파일에는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저장 장소(51), 원본 이미지 사이즈(52), 이미지 파일의 공유날짜(53) 및 수정날짜(54)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테이블(50)은 이미지 정보(도 4의 41)에 삽입되어 저장 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40)는 LCD, LED 모듈 등 화면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수정된 이미지파일의 썸네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부(1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나 모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가 타 장치와 송수신 통해 이미지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타 장치로부터 이미지 파일의 원본이 공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60)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나 플래시 메모리 등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 휘발성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가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파일 공유부(110), 판단부(120), 축소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송수신부(150) 및 저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독립적인 장치로 기술하였지만, 상술한 제1 장치 또는 제2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되거나 또는 제1 장치 또는 제2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이하,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6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공유부(110)는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제2 장치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장치(1)가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서버(2), PC(3)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 중 하나가 해당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120)는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이 제2 장치로 공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에는 이미지 파일을 복사 또는 백업하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축소부(130)는 판단부(120)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여,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할 수 있다. 즉, 원본이미지가 삭제되고 썸네일 이미지만을 보관하여 용량이 축소된 수정된 이미지 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파일이 공유되고 원본 이미지(40)가 삭제된 이력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축소부(130)는 원본 이미지 삭제 시(도3의 30), 테이블을 수정된 이미지 파일에 삽입되어 이미지 파일이 고나리 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바에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은 공유된 이미지 파일의 원본 이미지를 삭제함으로써,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이미지가 공유되더라도 썸네일 이미지를 보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제1 장치(710)가 제2 장치(720)로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제1 장치(710)가 원본 이미지 파일 복사여부를 판단하여 원본 이미지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치(710)는 디지털 촬영장치(1)이며, 제2 장치(720)는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일 수 있다. 또는, 제2 장치는 모바일 단말(4)일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제1 장치(710)가 제2 장치(720)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면 제2 장치(730)는 제2 장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제1 장치(710)는 제2 장치(720)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고, 단계 750에서 제2 장치(720)가 이미지 파일 수신 완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미지 파일 공유가 완료될 수 있다.
단계 760에서 제1 장치(710)는 이미지 파일의 원본이 공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치(710)가 제2 장치(720) 동일한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소셜네 트워크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한 규칙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서 이미지 리사이즈가 수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리사이즈된 이미지를 공유하는 경우는, 제1 장치가 리사이즈가 수행된 파일을 공유하는 제1 경우 또는 파일 공유부(110)가 원본 이미지 파일을 공유하면, 서버(2)가 공유된 원본 이미지 파일을 리사이즈 하여 저장하는 두 가지 제2 경우가 있다. 제1 경우에서는 제1 장치가(710) 스스로 이미지가 리사이즈 되었는지 판단 가능하지만, 제2 경우에서는 제1 장치(710)가 스스로 이미지 파일이 리사이즈 되어 제2 장치에 저장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2 경우에 있어서, 이미지가 리사이즈 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제1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에 따라 이미지를 리사이즈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책을 미리 저장하고, 수신된 제2 장치의 정보를 기초로 제1 경우 또는 제2 경우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는 제2 장치와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비교하는 별도의 동작을 통해 제1 이미지 파일의 원본이 공유되었는지 판단 가능할 수도 있다.
단계 770에서는, 제1 장치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제2 장치로 공유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미지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여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파일 수정에 대한 정보를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테이블 형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제1 장치(810)가 제2 장치(820)로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제2 장치(810)가 원본 이미지 파일 복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치(810)는 디지털 촬영장치(1)이며, 제2 장치(820)는 PC(3) 또는 모바일 단말(4)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연결을 통해 디지털 촬영장치(1)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PC(3)로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촬영장치(1)는 저장장치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PC(3)가 디지털 촬영장치(1)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라 PC(3)가 디지털 촬영장치(1)에 동일한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는지 판단함으로써, 디지털촬영장치(1)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공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PC(3)는 그 판단결과를 디지털 장치(1)로 다시 제공하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수정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830에서, 제1 장치(810)가 제2 장치(820)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면, 단계 840에서, 제1 장치(810)는 제2 장치(820)로 이미지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제1 장치가 저장장치 역할만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1 장치 스스로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제2 장치에 공유되었는지 식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단계 850에서 제2 장치가 원본 이미지 파일이 공유되었는지 판단하여 단계 860에서 이미지 파일 수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870에서 제1 장치가 이미지 파일 수정 명령을 수신하면 이미지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상술한다.
도 9에서는 제1 장치(910)가 제2 장치(920)로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제2 장치(910)가 원본 이미지 파일 복사여부를 판단하고, 나아가 원본 이미지 파일을 직접 수정할 수 있다. 즉, 제1 장치가 저장장치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단계 960에서, 제2 장치가 수정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단계 970에서 수정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980에서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수정된 이미지 파일로 저장됨으로써 제1 장치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썸네일 이미지, 원본 이미지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제2 장치로 공유하는 단계;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이 상기 제2 장치로 공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복사 또는 백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삭제되는 원본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 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을 상기 이미지 파일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름, 상기 이미지 파일이 공유된 장치, 상기 삭제된 원본 이미지 사이즈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공유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이미지파일 수신 완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제2 장치에 공유된 이미지 파일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이미지파일 및 파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제2 장치에 공유된 이미지 파일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을 축소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장치에 저장 용량이 소정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량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의 저장 용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9. 썸네일 이미지, 원본 이미지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제2 장치로 공유하는 파일 공유부;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이 상기 제2 장치로 공유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삭제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하는 축소부를 포함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공유부는,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복사 또는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는
    상기 삭제되는 원본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 하고, 상기 테이블을 상기 이미지 파일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름, 상기 이미지 파일이 공유된 장치, 상기 삭제된 원본 이미지 사이즈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공유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제2 장치에 공유된 이미지 파일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는 상기 제1 장치의 저장 용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장치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는 상기 제2 장치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30125548A 2013-10-21 2013-10-21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45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548A KR20150045820A (ko) 2013-10-21 2013-10-21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14/464,151 US20150109464A1 (en) 2013-10-21 2014-08-20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aging image files by using thumbnail images
EP20140181554 EP2863323A1 (en) 2013-10-21 2014-08-20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aging image files by using thumbnail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548A KR20150045820A (ko) 2013-10-21 2013-10-21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820A true KR20150045820A (ko) 2015-04-29

Family

ID=5148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548A KR20150045820A (ko) 2013-10-21 2013-10-21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09464A1 (ko)
EP (1) EP2863323A1 (ko)
KR (1) KR201500458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416B1 (ko) * 2015-08-24 2016-01-11 (주)비씨앤컴퍼니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촬영 무선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4283A (zh) * 2015-04-28 2018-03-30 蒋春花 存储的指令由处理器执行的非临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766716B2 (ja) * 2017-03-23 2020-10-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画像表示方法および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5690B2 (en) * 2000-12-01 2009-02-24 Nikon Corporation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JP2002207621A (ja) * 2001-01-12 2002-07-26 Minolta Co Ltd データ通信端末、カメラ、および記録媒体
JP2004192510A (ja) * 2002-12-13 2004-07-08 Fuji Photo Film Co Ltd ファイル転送プログラム
US20040130634A1 (en) * 2003-01-06 2004-07-08 Delaney Beth M.P. Electronic image history attribute
JP2005269254A (ja) * 2004-03-18 2005-09-29 Orion Denki Kk 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4829256B2 (ja) * 2006-01-24 2011-12-0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WO2008016113A1 (fr) * 2006-08-04 2008-02-07 Nikon Corporation Dispositif de stockage externe et caméra
US7800659B2 (en) * 2006-11-02 2010-09-21 Victor Company Of Japan, Ltd. Camera and file management method used therein
US20080133697A1 (en) * 2006-12-05 2008-06-05 Palm, Inc. Auto-blog from a mobile device
US20100205221A1 (en) * 2009-02-12 2010-08-12 ExaNetworks, Inc. Digital media sharing system in a distributed data storage architecture
KR101595258B1 (ko) * 2009-04-29 2016-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파일 전송 방법
US8886709B2 (en) * 2010-05-21 2014-11-11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image and document upload
US9253340B2 (en) * 2011-11-11 2016-02-02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Wireless camera with image sharing prioritization
US20130239063A1 (en) * 2012-03-06 2013-09-12 Apple Inc. Selection of multiple images
US9705830B2 (en) * 2013-09-09 2017-07-11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to communication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416B1 (ko) * 2015-08-24 2016-01-11 (주)비씨앤컴퍼니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촬영 무선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9464A1 (en) 2015-04-23
EP2863323A1 (en)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7409B (zh) 通过显示备份信息来管理图像文件的设备和方法
US8982223B2 (en) Image send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ing reduced image data with original image data
JP4841554B2 (ja) 画像管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187395B2 (ja) 通信端末、通信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528216B1 (ko) 사진 촬영 처리 방법 및 단말 장치
JP2012513159A (ja) 自動ウェイクアップ及び転送機能並びに転送ステータス表示を備えた無線カメラ
US20130227082A1 (en) Method for uploading media fi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150045820A (ko)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077654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02874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1031291B1 (ko) 음성 사진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00101960A (ko) 디지털 카메라, 사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JP2019180054A (ja)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75720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324515B (zh) 图像记录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20085423A (ko) 촬영된 영상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712415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データファイル処理装置、画像データファイル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490589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0604560B1 (ko) 촬영된 영상에 촬영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US20080317437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6101415A (ja) データ記憶装置
JP2014033354A (ja) 動画記録装置及び動画記録方法
JP2004213487A (ja) カード型装置
JP2007159010A (ja) 撮像装置
JP2021164061A (ja)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