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845A -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845A
KR20150042845A KR1020157006466A KR20157006466A KR20150042845A KR 20150042845 A KR20150042845 A KR 20150042845A KR 1020157006466 A KR1020157006466 A KR 1020157006466A KR 20157006466 A KR20157006466 A KR 20157006466A KR 20150042845 A KR20150042845 A KR 2015004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ch
wireless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끼 오따
요시히로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에서 개시된 기술은, 무선 단말기가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종래는 사용할 수 없었던 경우에 있어서 확장 제어 신호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무선 기지국이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보다도 이전에 송신된,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수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BASE ST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전화 시스템(셀룰러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의 가일층 고속화·대용량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 차세대의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해 논의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나, LTE의 무선 통신 기술을 베이스로 한 LTE-A(LTE-Advanced)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 제안되어 있다.
3GPP에 있어서 완성된 최신의 통신 규격은, LTE-A에 대응하는 Release 10이며, 이것은 LTE에 대응하는 Release 8 및 Release 9를 대폭으로 기능 확장한 것이다. 현재는, Release 10을 더욱 확장한 Release 11의 완성을 향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이후에서는,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LTE」는 LTE 및 LTE-A 외에, LTE를 확장한 그 외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3GPP의 Release 11에서는, 다양한 기술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하향 무선 프레임의 제어 신호에 대해, 문제 제기가 이루어짐과 함께 활발한 논의가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는 그 개략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기지국을 향하는 방향의 무선 링크를 상향 링크(UL:UpLink)라고 칭하고,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단말기를 향하는 방향의 무선 링크를 하향 링크(DL:DownLink)라고 칭한다.
먼저, 도 1에, 3GPP의 Release 10까지의 DL 서브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무선 단말기용의 데이터 신호의 송신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는 서브 프레임 단위로 행한다. DL의 무선 링크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신호 상에 구축된다. 도 1 및 후술하는 도 2에 있어서, 횡방향(우향)은 주파수축을 나타내고, 종방향(하향)은 시간축을 나타낸다. DL 서브 프레임은, 시간축 방향에서 2개의 슬롯(제1 슬롯, 제2 슬롯)으로 분할된다. 예를 들어, DL 서브 프레임의 길이는 1밀리초이며, 1개의 슬롯의 길이는 0.5밀리초이다.
또한, DL 서브 프레임은, 시간축 방향에서 선두로부터 특정한 길이(n개의 OFDM 심볼. n={1, 2, 3})의 제어 신호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데이터 신호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제어 신호 영역은, DL 제어 신호에 상당하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도 1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제어 신호 영역에, 2개의 PDCCH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데이터 신호 영역(14)은 DL 데이터 신호에 상당하는 물리 하향 공유 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도 1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데이터 신호 영역에, 2개의 PDSCH가 배치되어 있다.
PDCCH(DL 제어 신호)는 제어 신호 영역 내에 소정의 규칙으로 배치된다. 또한, PDSCH(DL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 영역 내의 어느 주파수 영역(주파수 폭)을 차지하도록 배치된다. PDSCH는, 무선 서브 프레임 내의 시간축 방향에서 복수로 나뉘어지는 일은 없고, 서브 프레임 내에 있어서는 일정한 주파수 영역을 점유한다.
데이터 신호 영역 내의 DL 데이터(PDSCH)는, 제어 신호 영역 내의 PDCCH로부터 관련지어져 있다. 도 1에 있어서도, 일례로서, 2개의 PDCCH가, 2개의 DL 데이터(PDSCH)에 각각 관련지어져 있다.
PDCCH와 DL 데이터(PDSCH)와의 관련짓기에 대해 설명한다. PDCCH에는, DL 제어 정보인 DCI(Data Control Information)가 부호화·변조되어 전송된다. 이 DCI는, 서브 프레임 상의 PDSCH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PDSCH가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인 RB 할당(Resource Block Allocation)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는 제어 신호 영역 내를 검색하여 자기 앞(宛)의 PDCCH를 검출함으로써, 자기 앞의 DL 데이터(PDSCH)가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앞의 DL 데이터(PDSCH)를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단말기가 자기 앞의 PDCCH를 검출하기 위해 행하는 제어 신호 영역 내의 검색 처리를 설명한다. DCI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순회 용장 검사)가 부여되어 있고, 이 CRC는, 무선 단말기의 식별자인 RNTI(C-RNTI나 SPS-CRNTI 등)나, 공통 제어 정보를 통지하는 RNTI(SI-RNTI나 P-RNTI 등)를 사용하여 마스킹된다. 구체적으로는, 16비트의 CRC 패리티 비트와 16비트의 RNTI 등의 논리합을 행함으로써, CRC가 RNTI로 마스킹된다. 또한, 마스킹은 스크램블링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무선 단말기는 RNTI를 사용하여 이 CRC의 마스킹을 디코딩할 수 있으면, 자기 앞의 PDCCH라고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단말기는, 제어 신호 영역 내에서 PDCCH가 배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모든 부분에 대해, RNTI를 사용하여 CRC의 마스킹의 디코딩을 행한다. 그리고, CRC의 마스킹의 디코딩이 성공한 경우, 무선 단말기는 그 CRC가 부여된 PDCCH를 자기 앞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CRC의 마스킹의 디코딩이 실패한 경우, 무선 단말기는 그 CRC가 부여된 PDCCH를 자기 앞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자기 앞의 PDCCH가 검출된 경우에는, 그 PDCCH에 포함되는 RB 할당의 값에 기초하여, DL 데이터(PDSCH)가 배치된 무선 리소스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런데, 3GPP에 있어서, 제어 신호 영역은 선두로부터 최대로 3 심볼로 결정되어 있다. 만일 제어 신호 영역을 이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구래(舊來))의 무선 단말기(Release 8까지만 대응한 무선 단말기 등)에 대한 호환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 최대 3 심볼의 제약을 변경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그러나, 이 제약으로 인해, 제어 신호 영역이 결핍되는 것이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DL 데이터(PDSCH)의 수가 많아, 대응하는 PDCCH의 수도 많은 경우에, 제어 신호 영역이 결핍되는 것이 생각된다.
따라서, 3GPP의 Release 11에서는, 새로운 DL 서브 프레임이 제안되어 있다. 도 2에, Release 11에서 제안된 DL 서브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낸다.
도 2의 DL 서브 프레임에서는, 종래의 데이터 신호 영역 중에, 종래의 제어 신호 영역과는 다른 제어 신호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별도의 제어 신호 영역을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라고 칭한다.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은, 확장된 DL 제어 신호에 상당하는 확장 물리 하향 제어 채널(E-PDCCH:Enhanced-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배치할 수 있다.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은, 종래의 제어 신호 영역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E-PDCCH에는, PDCCH와 마찬가지로, DCI를 전송할 수 있다. 그로 인해, PDCCH와 마찬가지로, E-PDCCH를 DL 데이터(PDSCH)에 관련지을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2개의 E-PDCCH와 1개의 PDCCH가 3개의 DL 데이터(PDSCH)에 각각 관련지어져 있다. E-PDCCH의 도입에 의해, 구래의 무선 단말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DL 제어 정보(DCI)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을 필요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12-508483호 공보
3GPP TS36.211 V11.0.0(2012-09) 3GPP TS36.212 V11.0.0(2012-09) 3GPP TS36.213 V11.0.0(2012-09) 3GPP R1-113155 "Motivations and scenarios for ePDCCH"(2011-10) 3GPP Email discussion [70-17] on R1-123*** "WF on ePDCCH search space"(2012-08)
상술한 바와 같이,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의 도입에 의해, 제어 신호 영역이 결핍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세는 후술하는데, 각종 제약에 의해, 무선 단말기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를 언제나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무선 단말기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를,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것이,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의 편리성을 저하시킴과 함께,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의 도입 효과를 한정적인 것으로 하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무선 단말기가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를 종래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경우에 있어서 확장 제어 신호 및 E-PDCCH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무선 기지국이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보다도 이전에 송신된,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수신한다.
본건의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무선 단말기가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를 종래는 사용할 수 없었던 경우에 있어서 확장 제어 신호 및 E-PDCCH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제어 신호 영역 및 PDCCH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가 E-PDCCH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D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PBCH(MIB)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E-PDCCH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E-PDCCH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MI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MIB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MIB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DL 서브 프레임 상의 PBCH(MIB)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4는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5는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건의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의해 본건의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국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문제의 소재]
여기서는,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종래의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에 있어서의 문제의 소재를 설명한다. 이 문제는, 발명자가 종래의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를 자세하게 검토한 결과로서 새롭게 발견한 것으로, 종래는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인 것에 주의해야 한다.
먼저, E-PDCCH의 기술적 의의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E-PDCCH에는 PDCCH를 배치하는 영역(제어 신호 영역)의 결핍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하는 측면도 있지만, 제어 신호에 대한 간섭 대책이라고 하는 측면도 있다. 종래의 PDCCH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전역을 차지하는 제어 신호 영역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인접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이 동일 또는 일부가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운용되어 있는 경우, 그 복수의 무선 기지국간에서 제어 신호끼리가 서로 간섭하는 것으로 된다. 제어 신호의 송수신에는 데이터 신호보다도 확실성이 요구되지만, 간섭에 의해 신호의 품질이 저하됨으로써, 확실성을 확보할 수 없을 가능성이 생각된다.
이에 대해, 새롭게 도입된 E-PDCCH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중 일부의 주파수만을 차지하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인접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이 동일 또는 일부가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운용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복수의 무선 기지국간에서 확장 제어 신호 영역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면, 제어 신호끼리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은, 예를 들어 인접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간에서 확장 제어 신호 영역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미리 서로 통지함으로써 실현되지만, 다른 방법으로 실현해도 된다. 결국, E-PDCCH를 사용함으로써,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간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어 신호를 확실하게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E-PDCCH는, PDCCH와 달리,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간섭 대책으로서, PDCCH 대신에 E-PDCCH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된다. 즉, E-PDCCH의 사용 형태로서는, E-PDCCH를 PDCCH에 추가하여 사용하는 형태 외에, E-PDCCH를 PDCCH 대신에 사용하는 형태도 상정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어서, 종래의 E-PDCCH에 있어서의 문제를 논하기 전의 준비를 위해, LTE 시스템(3GPP의 Release 8 이후)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의 동작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프로토콜은 몇 개의 레이어(계층)를 포함하지만, L3(Layer3)에 상당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의 동작 모드(RRC 상태)로서, 아이들 모드(RRC_IDLE 상태)와 커넥티드 모드(RRC_CONNECTED 상태)가 규정되어 있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동 중인 무선 단말기는 아이들 모드와 커넥티드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반드시 해당한다.
아이들 모드는, 무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 상당하는 동작 모드이다.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는,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는 한, 관리상 필요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것 이외의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는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는,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는 랜덤 액세스 등을 행함으로써 커넥티드 모드로 천이한다. 한편, 커넥티드 모드라 함은, 무선 단말기가 무선 기지국과 접속 중인 상태이며, 무선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커넥션을 유지하고 있고, 무선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 상당한다. 커넥티드 모드는, 무선 단말기의 비대기 상태에 상당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커넥티드 모드의 무선 단말기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일정 시간 행하지 않았던 경우 등에,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의 커넥션을 해방하는 등으로 하여 아이들 모드로 천이한다.
여기서, 3GPP의 Release 11에 있어서도, Release 8로부터 변경없이, RRC 레이어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의 동작 모드로서, 아이들 모드와 커넥티드 모드가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Release 11에 있어서는 새롭게 E-PDCCH가 도입되어 있다. 그런데, Release 11에 있어서는, 무선 단말기가 아이들 모드에 있어서 E-PDCCH를 수신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Release 11에 있어서는, 무선 단말기가 아이들 모드에 있어서 E-PDCCH를 수신(사용)할 수는 없다. 발명자는 종래의 E-PDCCH에 있어서, 이 점이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 점에 관해, 3GPP의 Release 11의 규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이들 모드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는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와 페이징(호출)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와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의 2종류가 있다. MIB는 미리 무선 리소스가 결정되어 있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에 맵핑되어 송신되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는 제어 채널의 개재없이 MIB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 SIB는 PDSCH에 맵핑되어 송신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는 SIB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PDCCH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페이징도 PDSCH에 맵핑되어 송신되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는 페이징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PDCCH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유저 데이터는 개개의 무선 단말기 앞이기 때문에, 각 유저 데이터(PDSCH)에 관련지어지는 DCI(PDCCH)의 CRC는, 무선 단말기 고유의 식별자인 C-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된다. 그러나, SIB는 무선 기지국(셀) 관리하의 전체 무선 단말기에 공통의 정보이므로, DCI(PDCCH)의 CRC가 SI-RNTI라고 불리는 공통 식별자를 사용하여 마스킹된다. 페이징도 마찬가지로, DCI(PDCCH)의 CRC가 P-RNTI라고 불리는 공통 식별자를 사용하여 마스킹된다.
여기서, 3GPP의 Release 11에 있어서는, SI-RNTI나 P-RNTI에서 CRC를 마스킹하는 경우에는 PDCCH에서 수신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C-RNTI에서 CRC를 마스킹하는 경우에는 PDCCH 또는 E-PDCCH에서 수신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들 규정으로부터, SI-RNTI나 R-RNTI에서 CRC를 마스킹하는 경우에는 E-PDCCH에서 수신되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3GPP의 Release 11에 있어서는,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는 E-PDCCH를 수신할 수는 없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3GPP의 Release 11에 있어서는,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는 E-PDCCH를 수신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무선 단말기는 커넥티드 모드에 있어서만 E-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가 E-PDCCH를 수신(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커넥티드 모드가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발명자는 이 제약이,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의 편리성을 저하시킴과 함께,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의 도입 효과를 한정적인 것으로 하는 요인으로 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도 3에 기초하여, 이 제약을 설명한다. 도 3은 정지 중인(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은) 무선 단말기(20)가 기동되어 E-PDCCH를 수신(사용)할 때까지의 처리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지 중인 무선 단말기(20)는 기동되면 먼저 아이들 모드로 된다. 그로 인해 도 3은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가 E-PDCCH를 수신할 때까지의 처리 시퀀스의 전형예에 상당한다. 도 3에 있어서의 전제로서,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기지국(10)이 형성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정지 중(전원 오프 상태)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3 및 이후의 처리 시퀀스도에 있어서의 각 화살표는, 무선 단말기(20)와 무선 기지국(1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무선 단말기(20)로 향하는 화살표는 DL 신호(DL 서브 프레임), 무선 단말기(20)로부터 무선 기지국(10)으로 향하는 화살표는 UL 신호(UL 서브 프레임)에 상당한다. 또한, 각 화살표에 부가된 문자열은, 신호(서브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괄호 외에 기재)와, 그 정보를 배치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상의 영역인 물리 채널(괄호 내에 기재)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S101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기동한다. 무선 단말기(20)의 기동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가 구비하는 기동용의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행해진다. 기동한 무선 단말기(20)는 먼저는 아이들 모드로 동작한다.
무선 단말기(20)는 기동하면, 무선 단말기(20)는 소위 밴드 서치 및 셀 서치를 행함으로써,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20)는 검출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0)이 사용하는 중심 주파수를 특정함과 함께, 하향의 동기를 행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동기 신호의 패턴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0)이 형성하는 셀의 식별자인 셀 ID를 구한다. 동기 신호는 DL 서브 프레임 상의 동기 채널에 맵핑되고, 동기 채널에는 P-SCH(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와 S-SCH(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의 2종류가 있다. 여기서는 상세는 생략한다.
셀 ID를 취득한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DL 신호의 복조가 가능하게 된다. S102 이후에 있어서, 특별히 명기는 하지 않지만, 무선 단말기(20)는 다음과 같이 하여 DL 신호의 복조를 행하고, DL 신호로부터 각종 정보를 취출한다. 무선 단말기(20)는 S101에서 취득한 셀 ID에 기초하여, DL 신호(DL 서브 프레임)에 배치된 참조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20)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특성을 추정한다. 무선 단말기(20)는 추정된 채널 특성에 기초하여, DL 신호의 복조를 행하고, DL 신호에 포함되는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3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S102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다. MIB는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의 1종이며, 물리 통지 채널(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에서 송수신된다. PBCH는, 소정의 타이밍(40 서브 프레임 주기, 10 서브 프레임마다 반복 송신이 가능)으로 송신되고, DL 신호에 있어서의 중심 주파수(S101에서 특정됨)의 주변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20)는 MIB(PBCH)가 배치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일 없이, MIB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에, D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MIB(PBCH)의 송신 영역을 나타낸다. PBCH는, DL 프레임(10개의 D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최초의 DL 서브 프레임에만 배치된다. 도 4는 DL 프레임의 최초의 DL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DL 프레임에 있어서의 최초의 DL 서브 프레임의 2번째의 슬롯에 있어서, PBCH는 중심 주파수의 전후의 6 리소스 블럭분의 대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PBCH의 무선 리소스는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20)는 MIB(PBCH)가 배치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일 없이, MIB를 수신할 수 있다. MIB는 다른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MIB(PBCH)는 10 서브 프레임마다 4회, 반복 송신이 가능하다. MIB의 송수신에는 확실성이 요구되지만, 이와 같이 송신됨으로써, 송수신의 확실성을 확보하고 있다. MIB는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10)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S103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SIB1을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다. SIB1은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의 1종이며, SIB1이 송신되는 타이밍은 서브 프레임 단위에서는 결정되어 있지만(80 서브 프레임 주기), MIB와는 달리, PDSCH에 동적으로 배치된다.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20)는 SIB1을 수신하기 위한 DCI를 PDCCH에 있어서 수신한 후에, SIB1을 PDSCH에 있어서 수신한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제어 신호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 채널인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를 수신한다.
S103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20)측의 처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S101에서 취득한 중심 주파수와 S102에서 취득한 주파수 대역폭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기지국(10)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S101에서 DL 신호의 동기가 완료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20)는 DL 신호로부터 각 서브 프레임을 읽을 수 있다. 무선 단말기(20)는 서브 프레임을 잘라내면,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소정의 무선 리소스(최초의 리소스 블럭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PCFICH를 수신한다. PCFICH에는 그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제어 신호 영역이 서브 프레임의 선두로부터 시간 방향에서 어느 심볼분인지(1∼3심볼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그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제어 신호 영역을 잘라낼 수 있다.
S103에 있어서, 계속해서 무선 단말기(20)는 SIB1(PDSCH)에 관련지어진 DCI(PDCCH)를 검출하기 위해 제어 신호 영역을 검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검색은 DCI에 부여된 CRC에 의해 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SIB1에 관련지어진 DCI(PDCCH)의 CRC는, 통상의 유저 데이터와 같이 C-RNTI가 아니라, 공통 식별자인 SI-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을 디코딩한다.
이상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SIB1(PDSCH)에 관련지어진 DCI(PDCCH)를 얻을 수 있다. 무선 단말기(20)는 이 DCI에 포함되는 RB 할당에 기초하여, SIB1(PDSCH)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인식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SIB1을 얻을 수 있다. SIB1에는 그 외의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인 SIB2 등이 송신되는 타이밍(서브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S104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SIB2를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다. SIB2는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의 1종이며, SIB2가 송신되는 타이밍(서브 프레임)은 SIB1에서 나타내어진다. SIB2도 SIB1과 마찬가지로 PDSCH에 맵핑된다.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20)는 S104에 있어서, SIB2(PDSCH)에 관련지어진 DCI(PDCCH)를 먼저 수신하고, 수신한 DCI(PDCCH)에 기초하여 SIB2(PDSCH)를 수신한다.
S104에 있어서의 SIB2의 수신은, S103에 있어서의 SIB1의 수신과 마찬가지로 행하면 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B2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상향의 사용 주파수(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S104와 S105의 사이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필요에 따라 SIB3 등(3GPP의 Release 11에서는 SIB13까지 규정되어 있음)을 적절히 수신해도 된다. SIB3 이후도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의 1종이며, SIB3 등이 수신되는 타이밍(서브 프레임)은 SIB1에서 나타내어진다. SIB3 등도 SIB1이나 SIB2와 마찬가지로 PDSCH에 맵핑된다. SIB3 등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상세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S105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랜덤 액세스·프리앰블(RAP:Random Access Preamble)을 무선 기지국(10)에 송신한다.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기지국(10)에 할당된 64종류의 랜덤 액세스·프리앰블(패턴 신호)로부터 랜덤으로 하나를 선택하고, UL 서브 프레임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에 맵핑하여 무선 기지국(10)에 송신한다.
S106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은 S105에서 수신한 랜덤 액세스·프리앰블에 응답하여, 랜덤 액세스·리스펀스(RAR:Random Access Response)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한다. 랜덤 액세스·리스펀스는 DL 서브 프레임의 PDSCH에 맵핑된다.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20)는 S106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리스펀스(PDSCH)에 관련지어진 DCI(PDCCH)를 먼저 수신하고, 수신한 DCI(PDCCH)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리스펀스(PDSCH)를 수신한다.
S106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리스펀스의 수신은, S103에 있어서의 SIB1의 수신과 거의 마찬가지로 행하면 되지만, SI-RNTI 대신에 R-RNTI를 사용하는 점만이 상이하다.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랜덤 액세스·리스펀스는 몇 가지의 정보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의 일시적인 식별자인 Temporary C-RNTI를 포함한다. 또한, 랜덤 액세스·리스펀스는, 무선 단말기(20)가 상향의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무선 단말기(20)는 랜덤 액세스·리스펀스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0)과의 사이에서 상향의 동기를 취할 수 있다.
S107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S106에서 수신한 랜덤 액세스·리스펀스에 응답하여,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무선 기지국(10)에 송신한다.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는, 무선 단말기(20)가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C-RNTI를 할당받기 위한 메시지이다.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는 L3(Layer3)의 신호이며, U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물리 상향 공유 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맵핑된다. 일반적으로 PUSCH에서 L3 신호 등을 포함하는 UL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20)는 스케줄링·리퀘스트를 물리 상향 제어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서 무선 기지국(10)에 송신(도시하지 않음)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은 BSR(Buffer Status Report)용의 UL grant를 PDSCH에서 무선 단말기(20)에 송신(도시하지 않음)하고, 무선 단말기(20)는 그 UL grant에 기초하여 BSR을 PDSCH에서 무선 기지국(10)에 송신(도시하지 않음)하고, 무선 기지국(10)은 UL 데이터용의 UL grant를 PDSCH에서 무선 단말기(20)에 송신(도시하지 않음)한다. 마지막으로, 무선 단말기(20)는 UL 데이터를 그 UL grant에 기초하여 PUSCH에서 무선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여기서는 상세는 생략한다.
S108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은 S107에서 수신한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한다.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는 DL 서브 프레임의 PDSCH에 맵핑된다.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20)는 S108에 있어서,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PDSCH)에 관련지어진 DCI(PDCCH)를 먼저 수신하고, 수신한 DCI(PDCCH)에 기초하여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PDSCH)를 수신한다.
S108에 있어서의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의 수신은, S103에 있어서의 SIB1의 수신과 거의 마찬가지로 행하면 되지만, SI-RNTI 대신에 Temporary C-RNTI[무선 단말기(20)는 S106에서 취득]를 사용하는 점만이 상이하다.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는 몇 가지의 정보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가 개별로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의 정보를 포함한다. Temporary C-RNTI는, 무선 단말기(20)가 C-RNTI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아이들 모드부터 액세스 모드로 천이하는 초기 액세스의 경우), C-RNTI로 승격한다.
S109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S108에서 수신한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무선 기지국(10)에 송신한다.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는 L3의 신호이며, UL 서브 프레임의 PUSCH에 맵핑된다. S109에 있어서의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의 송신은, S107에 있어서의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의 송신과 마찬가지로 행하면 된다.
무선 단말기(20)는 S109에서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아이들 모드로부터 커넥티드 모드로 천이한다. 이 이후, 무선 단말기(20)는 커넥티드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E-PDCCH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있어서는,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간섭을 피하고자 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단말기(20)에 E-PDCCH를 사용시키고자 한다. 이때,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단말기(20)에 대해 E-PDCCH를 맵핑하기 위한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3에서는 일례로서,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이 무선 단말기(20)에 대해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아니어도 되고, 다른 L3 신호(RRC 시그널링)이어도 되고, L2 신호나 L1 신호이어도 상관없다.
도 3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S110에서 무선 기지국(10)은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한다. S110에서 무선 단말기(20)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편의상, 확장 제어 리소스 정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DL 서브 프레임의 PDSCH에 맵핑된다.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20)는 S110에 있어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PDSCH)에 관련지어진 DCI(PDCCH)를 먼저 수신하고, 수신한 DCI(PDCCH)에 기초하여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PDSCH)를 수신한다. S110에 있어서의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의 수신은, S108에 있어서의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의 수신과 거의 마찬가지로 행하면 되지만, Temporary C-RNTI 대신에 RNTI[무선 단말기(20)는 S108에서 취득]를 사용하는 점만이 상이하다.
다음으로 S111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에 무선 단말기(20) 앞으로의 DL 데이터가 발생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 앞으로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나, 전자 메일 등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20)에 전송할 때에 무선 기지국(10)에 무선 단말기(20) 앞으로의 DL 데이터가 발생한다.
S112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은 S111에서 발생한 DL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10)은 DL 데이터를 DL 서브 프레임 상의 PDSCH에 맵핑함과 함께, 그 PDSCH의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인 DCI를 DL 서브 프레임 상의 E-PDCCH에 맵핑한다. 무선 단말기(20)는 DL 서브 프레임을 수신하고, S110에서 수신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기초하여 그 DL 서브 프레임 상의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읽는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20)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에 배치된 자기 앞의 DCI(E-PDCCH)를 C-RNTI[무선 단말기(20)는 S108에서 취득]에 기초하여 검색한다. 마지막으로 무선 단말기(20)는 검색된 DCI(E-PDCCH)에 기초하여 PDSCH의 무선 리소스를 특정하고, 그 PDSCH에 맵핑된 DL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3에서 나타내어지는 처리 시퀀스는 완료된다.
이상에서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가 E-PDCC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커넥티드 모드로 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발명자는, 도 3의 처리 시퀀스에는 이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몇 가지의 문제가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제1 문제로서, PDCCH에 있어서의 간섭에 의해 도 3의 처리 시퀀스를 완수할 수 없고, 그 결과, 무선 단말기(20)가 E-PDCCH를 사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생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PDCCH는 인접하는 셀간에서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20)에서 수신 실패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도 3의 시퀀스에 있어서는, 무선 단말기(20)가 E-PDCCH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단말기(20)는 PDCCH를 몇 번이나 수신할 필요가 있다. 간섭의 발생이 일시적이면, 그 사이에 수신이 성공할 지도 모르지만, 큰 간섭이 오래 계속되는 경우에는, PDCCH의 수신 실패를 반복하게 된다. 그 결과, 도 3의 처리 시퀀스를 완수할 수 없는 것이 상정된다.
제2 문제로서, PDCCH를 사용하지 않고 E-PDCCH를 사용하는 이용 형태를 실현할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E-PDCCH는 PDCCH와 비교하여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로 인해, E-PDCCH의 사용 형태로서는, E-PDCCH를 PDCCH에 추가하여 사용하는 형태 외에, E-PDCCH를 PDCCH 대신에 사용하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도 3의 처리 시퀀스에 의하면, 무선 단말기(20)에 E-PDCCH를 사용시키기 위해, 무선 기지국(10)은 PDCCH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도 3의 처리 시퀀스에서는, PDCCH를 사용하지 않고 E-PDCCH를 사용하는 이용 형태는 실현할 수 없게 된다.
제3 문제로서,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가 E-PDCCH를 수신하는 것은 PDCCH와 비교하여 지연이 크다. 도 3의 처리 시퀀스에서도 나타내어져 있지만, 무선 단말기(20)는 MIB(와 도시하지 않은 PCFICH)를 수신하면 PDCCH를 수신 가능하다. 이에 대해, 무선 단말기(20)가 E-PDCCH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그 후에 많은 수순을 밟아야만 한다. 따라서,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가 E-PDCCH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가 PDCCH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비해, 데이터의 수신에 지연이 발생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상을 정리하면,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가 E-PDCC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커넥티드 모드로 될 필요가 있지만, 이것을 실현하는 처리 수순에는 복수의 문제가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문제는, 발명자가 종래 기술을 자세하게 검토한 결과로서 새롭게 발견한 것이며, 종래는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이다. 발명자는 이들 문제가,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의 편리성을 저하시킴과 함께, 확장 제어 신호 영역 및 E-PDCCH의 도입 효과를 한정적인 것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후에서는,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의 각 실시 형태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적으로 말하면, 무선 기지국(10)이 PDCCH보다도 이전에 송신하는 신호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가 E-PDCCH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제어 채널(예를 들어 E-PDCCH)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을 무선 기지국(10)이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보다도 이전에 송신된,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20)가 수신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2종류의 제어 채널인 제1 제어 채널과 제2 제어 채널이 사용된다. 도 5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20)가 제1 제어 채널을 수신(사용)할 때의 처리 시퀀스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S203으로부터 설명한다. S203에서 무선 단말기(20)는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2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도 5의 S201을 설명한다. S201에서 무선 기지국(10)은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한다. 제2 리소스 정보는, 제1 제어 채널과 제2 제어 채널 이외의 채널을 통해 송수신된다.
도 5의 S202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제2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이 S202에 있어서, 제2 제어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무엇이라도 좋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S202는 옵션이며, 반드시 필요한 수순인 것은 아니다. 반대로, 도 5에 있어서 S201과 S203의 사이에서 한 번(S202)만 무선 단말기(20)는 제2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있지만, 복수회 수신해도 된다.
결국,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무선 기지국(10)이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보다도 이전에 송신된,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20)가 수신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제2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일 없이 제1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고, 제1 실시 형태를 현실의 LTE 시스템(3GPP의 Release 11)에 맞추어 보다 구체적이고 또한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기초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기초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20)가 E-PDCCH를 이용할 때의 처리 시퀀스를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의 전제로서,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기지국(10)이 형성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도 6에 있어서의 전제로서, 도 3과 같이 무선 단말기(20)가 정지 중일 필요는 없는 것에 주의한다. 도 6의 처리 시퀀스의 개시 시에 있어서는, 무선 단말기(20)는 기동 중이어도 되고, 또한 아이들 모드와 커넥티드 모드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적용 대상은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로 한정되지 않고, 커넥티드 모드의 무선 단말기(20)도 포함되는 것에 주의한다.
도 6의 S301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 수집의 계기로 되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소정의 이벤트를 검출한 경우에 시스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 이벤트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의 전원 투입(기동), 셀 재선택, 핸드 오버,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타 RAT(Radio Access Technology)로부터의 가입, 불통으로부터의 복귀,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취지의 통지의 수신, 지진이나 쓰나미 등의 정보의 수신 및 시스템 정보의 유효 기한의 만료가 포함된다. 무선 단말기(20)는 이들 이벤트의 발생을 상시 감시하고 있고, 이벤트를 검출한 경우에 S302로 진행한다. 무선 단말기(20)는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이벤트 발생의 감시를 계속한다.
도 6의 S302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단말기(20)에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송신한다. 이에 대해, S302에서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MIB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MIB는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의 1종이며, PBCH에서 송수신된다. PBCH는, 소정의 타이밍(40 서브 프레임 주기, 10 서브 프레임마다 반복 송신 가능)으로 송신되고, DL 신호에 있어서의 중심 주파수의 주변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20)는 MIB(PBCH)가 배치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일 없이, MIB를 수신할 수 있다. MIB는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10)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B는, 종래의 MIB와 달리,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편의상,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고 있다.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은 E-PDCCH를 배치하기 위한 영역에 상당하기 때문에,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는, E-PDCCH의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교를 위해, 도 7에 있어서 종래의 MIB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MIB에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는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도 8a∼b에 기초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B를 설명한다. 도 8a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B의 형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에 나타내어지는 제2 실시 형태의 MIB는, 파라미터인 E-PDCCH-usage와 E-PDCCH-space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E-PDCCH-usage와 E-PDCCH-space가, 전술한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에 대응하고 있다.
E-PDCCH-usage는, D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확장 제어 신호 영역(E-PDCCH)을 사용(배치)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E-PDCCH-usage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값이 1로 되고,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값이 0으로 되는 1비트의 정보로 할 수 있다.
또한, E-PDCCH-space는, 하향의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E-PDCCH-space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임의의 정보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DCCH-space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리소스 블럭(PRB:Physical Resource Block) 단위로 나타내는 정보로 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에서 나타내어지는 MIB에 있어서의 E-PDCCH-space의 정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1.4㎒, 3㎒, 5㎒, 10㎒, 15㎒ 및 20㎒의 6종류의 시스템 대역폭이 준비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폭이 1.4㎒인 경우, 주파수 방향의 리소스 블럭의 수는 6개로 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 6개의 리소스 블럭에 대해 주파수 성분이 작은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식별자를 1∼6으로 할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이 1.4㎒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스템 대역폭이 3㎒, 5㎒, 10㎒, 15㎒, 20㎒인 경우, 주파수 방향의 리소스 블럭의 수는 각각 15개, 25개, 50개, 75개, 100개로 된다. 또한, 시스템 대역폭이 1.4㎒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스템 대역폭이 3㎒, 5㎒, 10㎒, 15㎒, 20㎒인 경우에도, 각 리소스 블럭에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도 8b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도 8a에서 나타내어지는 E-PDCCH-space가 3비트의 정보인 경우의 그 E-PDCCH-space의 정의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E-PDCCH-space는, 000∼111의 8종류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E-PDCCH-space는 이 8종류의 값에 의해,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8종류의 위치를 리소스 블럭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도 8b에 있어서 시스템 대역폭이 1.4㎒(리소스 블럭 6개분)인 경우, E-PDCCH-space는, 000∼101의 6종류의 값에 의해 전체 6개의 리소스 블럭의 식별자 1∼6을 각각 나타내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지 않는 값인 110, 111에 대해서는, N/A(Not Applicable)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도 8b에 있어서 시스템 대역폭이 5㎒(리소스 블럭 25개분)인 경우, E-PDCCH-space는, 000∼111의 8종류의 값에 의해, 전체 25개의 리소스 블럭 중에서 1, 5, 8, 11, 14, 17, 20, 23의 8개의 리소스 블럭의 식별자를 각각 나타내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들과 마찬가지로, 도 8b에 있어서의 다른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서도, E-PDCCH-space의 값을 정의할 수 있다.
도 9에, E-PDCCH-space에 기초하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배치예를 나타낸다. 이 예는, 시스템 대역폭이 1.4㎒(리소스 블럭 6개분)이며, E-PDCCH-space=010인 경우에 상당한다. 이때, 도 8b에 의해, 확장 제어 영역이 차지하는 리소스 블럭은, 주파수가 작은 쪽으로부터 3번째의 것(도 9의 빗금부)으로 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주파수 방향의 폭이 고정값(여기서는 일례로서 1 리소스 블럭분)이라고 하는 전제를 두고 있다. 이 고정값은 복수 블럭분이어도 되고, 무선 기지국(10)이 값을 정하여 무선 단말기(20)에 통지하는 등에 의해 가변값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 6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S302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예를 들어 도 8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MIB를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의해, S302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8a에서 나타내어지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B의 형식은, 일례로서, 도 7에서 나타내어지는 종래의 MIB에 포함되는 스페어 비트의 일부를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MIB에는 10비트의 스페어 비트가 준비되어 있지만, 도 8a의 MIB에서는 이 중의 1비트를 E-PDCCH-usage로서 사용하고, 3비트를 E-PDCCH-space로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도 8a의 MIB에서는 스페어 비트가 6비트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7의 MIB와 도 8a의 MIB는, 정보의 사이즈(비트수)는 동일해진다. 단, 도 8a의 MIB는 일례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의 MIB에 있어서, 확장 제어 리소스 정보를 스페어 비트와는 독립적으로 포함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S303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SIB1을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로 인해 S303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은 MIB를 DL 서브 프레임 상의 PDSCH에 맵핑함과 함께, 그 PDSCH의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인 DCI를 DL 서브 프레임 상의 E-PDCCH에 맵핑하고, 그 DL 서브 프레임을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IB1은 PDSCH에 맵핑되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20)가 SIB1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DCI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처리 시퀀스에 있어서는, SIB1의 수신시(S103)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SIB1(PDSCH)에 관련지어진 DCI를 PDCCH에 맵핑하여 송수신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도 6에 나타내어지는 제2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처리 시퀀스에 있어서는, SIB1의 수신 시(S303)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알고 있기 때문에(S302에서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를 취득), SIB1(PDSCH)에 관련지어진 DCI를 E-PDCCH에 맵핑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S303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는 DL 서브 프레임을 수신하면, S302에서 수신한 MIB에 포함되는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그 DL 서브 프레임 상의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읽는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20)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에 배치된 자기 앞의 DCI(E-PDCCH)를 공통 식별자인 SI-RNTI에 기초하여 검색한다. 마지막으로 무선 단말기(20)는 검색된 DCI(E-PDCCH)에 기초하여 PDSCH의 무선 리소스를 특정하고, 그 PDSCH에 맵핑된 SIB1을 얻을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의 S304∼S309는, 도 3에 있어서의 S104∼S109에 각각 거의 대응하는 처리이다. 단, 도 6에 있어서의 S304, S306, S308에 있어서는, SIB2, 랜덤 액세스·리스펀스,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각 DCI를 E-PDCCH에 맵핑하여 송수신한다. 도 3에 있어서의 S104, S106, S108에 있어서는, 각 DCI를 PDCCH에 맵핑하고 있었으므로, DCI의 맵핑처(先)가 상이하다. 그 외의 점에 있어서는, 도 6에 있어서의 S304∼S309는, 도 3에 있어서의 S104∼S109와 마찬가지로 행하면 된다. 여기서는 S304∼S309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커넥티드 모드와 아이들 모드에서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공통화하는 경우, 도 6에 있어서는, 도 3의 S110과 같이,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해 RRC Reconfiguration Message를 송수신할 필요는 없다. 도 6의 S302에 있어서,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MIB를 이미 송수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6에 있어서의 S310∼S311은, 도 3에 있어서의 S111∼S112에 각각 대응하는 처리이다. 여기서는 S310∼S311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의해, 도 3에서 나타내어지는 처리 시퀀스는 완료된다.
또한, 도 6에서 나타내어지는 처리 시퀀스에 있어서, 소정의 경우에는 S305∼S309의 수순은 생략되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처리 시퀀스의 개시 시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가 커넥티드 모드이며, S301에서 시스템 정보의 유효 기한의 만료가 검출된 경우에는, S305∼S309의 수순은 생략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20)는 시스템 정보(통지 정보)의 갱신을 행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도 6에서 나타내어지는 처리 시퀀스에 있어서, 그 처리 시퀀스의 개시 시에 무선 단말기(20)가 정지 중 또는 아이들 모드이었던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20)는 S301∼S309의 사이에 아이들 모드로서 동작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단말기(20)는 S303, S304, S306 및 S308에 있어서, E-PDCCH를 수신(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나타내어지는 처리 시퀀스에 의하면,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가 일단 커넥티드 모드로 천이하는 일 없이(아이들 모드인 상태로), E-PDCCH를 수신(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MIB(PBCH)는 10 서브 프레임마다 4회, 반복 송신이 행해짐으로써, 송수신의 확실성이 담보되어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인접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이 동일 또는 일부가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운용되어 있는 경우에도, PDCCH 등과 비교하여, MIB(PBCH)의 송수신의 확실성은 높다고 생각된다.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송수신은 확실성이 요구되는 점에서, MIB(PBCH)와 같이 송수신의 확실성이 높은 정보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가 MIB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20)는 그와 같은 MIB를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MIB 수신의 직후(SIB1의 수신 시)로부터 E-PDCCH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가 커넥티드 모드로 되지 않고 E-PDCCH를 수신(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상당하고 있고, MIB의 형식을 일부 변경한 것이다.
제3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많은 부분이 공통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B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B의 형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에 나타내어지는 제3 실시 형태의 MIB는, 파라미터인 E-PDCCH-space를 포함하고 있다.
도 10b는, 도 10a에서 나타내어지는 MIB에 있어서의 E-PDCCH-space의 정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의 MIB는, 도 8a의 MIB와 같이 E-PDCCH-usage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0a의 MIB는, E-PDCCH-space에서 나타낼 수 있는 값 중 1개를 「E-PDCCH를 사용(배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도 10b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도 10a에서 나타내어지는 E-PDCCH-space가 4비트의 정보인 경우의 그 E-PDCCH-space의 정의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E-PDCCH-space는, 0000∼1111의 16종류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중, 예를 들어 E-PDCCH-space=0000을 「E-PDCCH를 사용(배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E-PDCCH-space는 나머지 15종류의 값 (0001∼1111)에 의해,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15종류의 위치를 리소스 블럭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0b에 있어서 시스템 대역폭이 1.4㎒(리소스 블럭 6개분)인 경우, E-PDCCH-space는, 0001∼0110의 6종류의 값에 의해 전체 6개의 리소스 블럭의 식별자 1∼6을 각각 나타내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지 않는 값인 0111∼1111에 대해서는, N/A(Not Applicable)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있어서 시스템 대역폭이 5㎒(리소스 블럭 25개분)인 경우, E-PDCCH-space는, 0001∼1111의 15종류의 값에 의해, 전체 25개의 리소스 블럭 중에서 1, 3, 4, 6, 8, 9, 11, 13, 14, 16, 18, 19, 21, 23, 24의 15개의 리소스 블럭의 식별자를 각각 나타내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들과 마찬가지로, 도 10b에 있어서의 다른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서도, E-PDCCH-space의 값을 정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3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가 MIB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20)는 그와 같은 MIB를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MIB 수신의 직후(SIB1의 수신 시)로부터 E-PDCCH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가 커넥티드 모드로 되지 않고 E-PDCCH를 수신(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의 사이즈(비트수)가 동일한 경우에, 보다 많은 종류의 무선 리소스(리소스 블럭)를 식별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는, 확장 제어 신호 정보를 동기 신호에 있어서 송수신하는 것이다. 제4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많은 부분이 공통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도 3의 S10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기 신호는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에서도 수신 가능하고, 무선 단말기(20)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셀 ID를 특정할 수 있다. 상세는 생략하지만, 무선 단말기(20)는 수신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504종류의 셀 ID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할 수 있다. 즉, 동기 신호에는 정보를 실을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동기 신호에 새롭게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를 싣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동기 신호에 싣는 정보의 사이즈를 종래와 변경하지 않는 방법이 생각된다. 일례로서, 확장 제어 신호 정보를 2비트분으로 하고, 셀 ID를 126종류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동기 신호에 싣는 정보의 사이즈를 종래로부터 증가시키는 방법이 생각된다. 일례로서, 확장 제어 신호 정보를 2비트분으로 하고, 셀 ID를 504종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단말기(20)는 동기 신호로부터 2016종류의 패턴을 특정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아이들 모드 무선 단말기(20)에서도 수신 가능한 신호인 동기 신호에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를 실어 송수신하기 때문에, 다른 실시 형태와 같이,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에서도 E-PDCCH를 수신(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는, 확장 제어 신호 정보를 참조 신호에 있어서 송수신하는 것이다. 제5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많은 부분이 공통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도 3의 S10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참조 신호는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에서도 수신 가능하고, 무선 단말기(20)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특성의 추정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참조 신호는, 수신 전력의 측정 등에도 사용되어 있고, 측정된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셀 선택(셀 재선택을 포함함)이나 핸드 오버에 있어서의 타깃 셀의 선택이 행해진다.
참조 신호의 시퀀스는, 셀 ID와 동일한 504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504종류의 시퀀스는, 6종류의 배치 패턴과 84종류의 신호 패턴의 조합으로 얻어진다. 무선 단말기(20)는 동기 신호로부터 셀 ID를 특정하고, 그 셀 ID에 기초하여 참조 신호의 시퀀스를 특정하고, 특정한 배치 패턴과 신호 패턴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이나 수신 전력 측정 등을 행한다.
참조 신호의 신호 패턴은 채널 추정에 사용되기 때문에, 동기 신호와 같이 단순하게 정보를 싣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확장 제어 신호 정보를 1비트분으로 하고, 무선 기지국(10)이 확장 제어 신호 정보에 따라 신호 패턴 그 자체이거나 신호 패턴의 반전 패턴의 어느 하나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수신한 참조 신호가 신호 패턴 그 자체이거나 신호 패턴의 반전 패턴인지를 추정함으로써,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1비트의 확장 제어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참조 신호의 진폭 방향으로 정보를 싣는 것도 생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참조 신호는 수신 전력 측정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진폭 방향으로 단순하게 정보를 싣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확장 제어 신호 정보를 1비트분으로 하고, 무선 기지국(10)은 규정의 타이밍에 따라 참조 신호의 진폭을 2가지(예를 들어 통상대로 참조 신호를 보내는 것과, 파워 오프함)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수신한 참조 신호의 송신 전력에 의해,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1비트의 확장 제어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아이들 모드 무선 단말기(20)에서도 수신 가능한 신호인 참조 신호에 확장 제어 신호 리소스 정보를 실어 송수신하기 때문에, 다른 실시 형태와 같이,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20)에서도 E-PDCCH를 수신(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는, 제1∼제5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한 변형예이다.
제1∼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시간축 방향의 길이가 고정값이라고 하는 전제가 놓여 있었다. 제6 실시 형태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시간축 방향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6 실시 형태의 처리의 개요를, 제2 실시 형태(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는, 이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1 실시 형태 및 제3∼제5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시간축 방향의 길이의 동적인 변경은,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영역의 시간축 방향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맵핑하는 물리 채널인 PCFICH(도 3의 S103에 있어서 설명)의 사고 방식을 응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가령,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시간축 방향의 폭을 나타내는 정보(편의상, 확장 제어 신호 영역 사이즈 정보라고 칭함)를 맵핑하는 물리 채널을 E-PCFICH라고 칭하기로 한다.
E-PCFICH는 PCFICH와 마찬가지로 제어 신호 영역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20)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E-PDCCH)을 수신하기 위해 제어 신호 영역을 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문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E-PCFICH로서는, 예를 들어 MIB를 맵핑하는 PBCH로서 종래 사용되어 있는 리소스의 일부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E-PCFICH라고 하는 개별의 물리 채널을 설치하지 않고, 확장 제어 신호 영역 사이즈 정보를 기존의 물리 채널에 맵핑해도 된다. 예를 들어, 확장 제어 신호 영역 사이즈 정보를 PBCH에 맵핑할 수 있다. 이것은, 확장 제어 신호 영역 사이즈 정보를 MIB에 포함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확장 제어 신호 영역 사이즈 정보를, 동기 신호나 참조 신호에 싣는 것으로 해도 된다.
확장 제어 신호 영역 사이즈 정보를 도입함으로써,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시간축 방향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사이즈를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게 되어, 확장 제어 신호 영역(E-PDCCH)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7 실시 형태]
제7 실시 형태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DL 프레임 또는 D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다.
도 11에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L 서브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낸다. 일례로서, 도 11은, DL 프레임(10개의 DL 서브 프레임)의 최초의 DL 서브 프레임(1번째의 DL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D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중심 주파수의 전후의 6 리소스 블럭분의 대역에, S-SCH, P-SCH, PBCH가 배치된다. 이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6 리소스 블럭분의 대역에 있어서, 시간축에서 S-SCH, P-SCH, PBCH의 전후의 영역(단, 제어 신호 영역은 제외함)에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배치하는 무선 리소스는, S-SCH, P-SCH, PBCH가 그렇듯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이 배치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전혀 수신하는 일 없이, E-PDCCH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복으로 되지만,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DL 프레임에 있어서의 최초의 DL 서브 프레임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일부 또는 전부의) DL 서브 프레임에서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D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중심 주파수의 전후의 6 리소스 블럭분의 대역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일부 또는 전부의) 대역에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을 배치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시간축 방향의 길이를 가변값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확장 제어 신호 영역의 주파수축 방향의 길이를 가변값으로 해도 된다. 이것은, 제1∼제5 실시 형태의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
다음으로 도 12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를 갖는다. 무선 기지국(10)은 셀(C10)을 형성하고 있다. 무선 단말기(20)는 셀(C10)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를 통합하여 「무선국」이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무선 기지국(10)은 유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3)와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 장치(3)는 유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2)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10)은 네트워크 장치(3) 및 네트워크(2)를 통해, 다른 무선 기지국과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단말기(20)와의 무선 통신 기능과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분리하여 별도의 장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를 RRH(Remote Radio Head),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를 BBU(Base Band Unit)라고 칭한다. RRH는 BBU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들 사이는 광 파이버 등으로 유선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은 매크로 무선 기지국, 피코 무선 기지국 등의 소형 무선 기지국(마이크로 무선 기지국, 펨토 무선 기지국 등을 포함함) 외에, 다양한 규모의 무선 기지국이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이 사용되는 경우, 그 중계국[무선 단말기(20)와의 송수신 및 그 제어]도 본원의 무선 기지국(1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통신으로 무선 기지국(10)과 통신을 행한다.
무선 단말기(20)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각종 장치나 기기(센서 장치 등) 등의 무선 단말기이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이 사용되는 경우, 그 중계국[무선 기지국(10)과의 송수신 및 그 제어]도 본원의 무선 단말기(2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네트워크 장치(3)는 예를 들어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들 각 구성 부분이,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장치(3)는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에 의해 실현된다. 네트워크 장치(3)의 하드웨어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부는 인터페이스 회로, 제어부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실현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를,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의 외부 장치로서 네트워크나 케이블 경유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
이어서, 도 13∼도 14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은, 무선 기지국(10)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은 송신부(11)와, 수신부(12)와, 제어부(13)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송신부(11)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송신부(11)는 예를 들어 하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 신호를 송신한다. 하향의 물리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의 물리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제어 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20)에 개별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제어 신호나,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20)에 개별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 신호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PBCH 상에서 전송되는 MIB 외에, 동기 신호나 참조 신호 등을 포함한다. 송신하는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5 또는 도 6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단말기를 향해 송신되는 각 하향 신호를 들 수 있다. 또한, 송신하는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8a 또는 도 10a에서 나타내어지는 MIB를 들 수 있다.
수신부(12)는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수신부(12)는, 예를 들어 상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상향의 물리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데이터 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또한, 상향의 물리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제어 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20)로부터 개별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제어 신호나, 접속 상태의 무선 단말기(20)로부터 개별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 신호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참조 신호를 포함한다. 수신하는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5 또는 도 6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기지국을 향해 송신되는 각 상향 신호를 들 수 있다.
제어부(13)는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신부(11)에 출력한다. 제어부(13)는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수신부(12)로부터 입력한다. 제어부(13)는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3)나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는 이들 이외에도 송신부(11)가 송신하는 각종 송신 신호나 수신부가 수신하는 각종 수신 신호에 관련되는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3)가 행하는 제어의 구체예로서는, 도 5 또는 도 6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이 행하는 처리에 관한 제어를 들 수 있다.
도 14는, 무선 단말기(20)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송신부(21)와, 수신부(22)와, 제어부(23)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송신부(21)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송신부(21)는 예를 들어 상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상향 신호를 송신한다. 상향의 물리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데이터 채널인 PUSCH를 포함한다. 또한, 상향의 물리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제어 채널인 PUCCH를 포함한다.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중의 무선 기지국(10)으로 개별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제어 신호나, 접속 중의 무선 기지국(10)으로 개별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 신호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참조 신호를 포함한다. 송신하는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5 또는 도 6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기지국을 향해 송신되는 각 상향 신호를 들 수 있다.
수신부(22)는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수신부(22)는 예를 들어 하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 신호를 수신한다. 하향의 물리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데이터 채널인 PDSCH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의 물리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개별 제어 채널인 PDCCH를 포함한다.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중인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개별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제어 신호나, 접속 중인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개별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 신호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PBCH 상에서 전송되는 MIB 외에, 동기 신호나 참조 신호 등을 포함한다. 수신하는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5 또는 도 6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단말기를 향해 송신되는 각 하향 신호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신하는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8a 또는 도 10a에서 나타내어지는 MIB를 들 수 있다.
제어부(23)는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신부(21)에 출력한다. 제어부(23)는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수신부(22)로부터 입력한다. 제어부(23)는 이들 이외에도 송신부(21)가 송신하는 각종 송신 신호나 수신부(22)가 수신하는 각종 수신 신호에 관련되는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3)가 행하는 제어의 구체예로서는, 도 5 또는 도 6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이 행하는 처리에 관한 제어를 들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마지막으로, 도 15∼도 16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5는, 무선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은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31)를 구비하는 RF(Radio Frequency) 회로(32)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33)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34)와, 메모리(35)와, 네트워크 IF(Interface)(36)를 갖는다. CPU는,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IF(36)를 통해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35)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송신부(11) 및 수신부(12)는 예를 들어 RF 회로(32), 또는 안테나(31) 및 RF 회로(3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CPU(33), DSP(34), 메모리(35),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디지털 전자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ing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을 들 수 있다.
도 16은, 무선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41)를 구비하는 RF 회로(42)와, CPU(43)와, 메모리(44)를 갖는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CPU(43)에 접속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를 가져도 된다. 메모리(44)는 예를 들어 SDRAM 등의 RAM, ROM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송신부(21) 및 수신부(22)는 예를 들어 RF 회로(42), 또는 안테나(41) 및 RF 회로(4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3)는 예를 들어 CPU(43), 메모리(44),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디지털 전자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ASIC, FPGA, LSI 등을 들 수 있다.
1 : 무선 통신 시스템
2 : 네트워크
3 : 네트워크 장치
10 : 무선 기지국
C10 : 셀
20 : 무선 단말기

Claims (16)

  1.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무선 기지국이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보다도 이전에 송신된,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수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의 이전에 송신되는 통지 정보에서, 수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소스 정보의 수신 시에 상기 무선 단말기는 대기 상태인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E-PDCCH이며, 상기 제2 제어 채널은 PDCCH인 무선 통신 방법.
  5. 무선 단말기와,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보다도 이전에 송신된,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의 이전에 송신되는 통지 정보에서,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소스 정보의 수신 시에 상기 무선 단말기는 대기 상태인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E-PDCCH이며, 상기 제2 제어 채널은 PDCCH인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보다도 이전에 송신된,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채널의 이전에 송신되는 통지 정보에서, 수신하는 무선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소스 정보의 수신 시에 상기 무선 단말기는 대기 상태인 무선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E-PDCCH이며, 상기 제2 제어 채널은 PDCCH인 무선 단말기.
  13.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제어 채널보다도 이전에,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리소스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채널의 이전에 송신하는 통지 정보에서,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소스 정보의 수신 시에 상기 무선 단말기는 대기 상태인 무선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E-PDCCH이며, 상기 제2 제어 채널은 PDCCH인 무선 기지국.
KR1020157006466A 2012-09-21 2012-09-2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 KR20150042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06034 WO2014045322A1 (ja) 2012-09-21 2012-09-21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および無線基地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495A Division KR101865013B1 (ko) 2012-09-21 2012-09-2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845A true KR20150042845A (ko) 2015-04-21

Family

ID=503406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495A KR101865013B1 (ko) 2012-09-21 2012-09-2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
KR1020157006466A KR20150042845A (ko) 2012-09-21 2012-09-2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495A KR101865013B1 (ko) 2012-09-21 2012-09-2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46895B2 (ko)
EP (1) EP2900024B1 (ko)
JP (1) JP5987912B2 (ko)
KR (2) KR101865013B1 (ko)
CN (1) CN104641706B (ko)
WO (1) WO20140453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206A (ko) * 2017-11-17 2019-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5405B1 (en) * 2013-02-06 2018-05-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informat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05432132A (zh) 2013-08-07 2016-03-2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基站装置、终端装置、发送方法以及接收方法
US11582749B2 (en) * 2014-07-03 2023-02-14 Qualcomm Incorporated Cell discovery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306617B2 (en) * 2014-10-24 2019-05-28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973600B1 (ko) * 2015-05-27 2019-04-2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시스템 메시지 획득 판단 방법 및 단말 장치
ES2926165T3 (es) * 2015-07-27 2022-10-24 Huawei Tech Co Ltd Métodos y dispositivos de transmisión de información
SG10202007301XA (en) * 2016-02-04 2020-09-29 Sharp Kk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0512106B2 (en) * 2016-08-12 2019-12-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tate transition method based on random access procedure in communication system
US11528171B2 (en) * 2016-08-12 2022-12-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one or more parameters for defining a more flexible radio communication
MX2019005155A (es) * 2016-11-03 2019-06-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odo de transmision de se?ales, dispositivo de terminal y dispositivo de red.
CN109041228B (zh) * 2017-06-12 2021-03-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基站、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193497A (zh) * 2017-08-09 2023-05-30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WO2019090516A1 (en) * 2017-11-08 2019-05-16 Qualcomm Incorporated Radio network identifier spreading
WO2019182423A1 (en) * 2018-03-23 2019-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0795B2 (ja) * 2006-01-11 2012-09-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報知チャネル信号の送信帯域設定方法
EP3537815B1 (en) 2008-11-04 2020-10-28 Apple Inc. Providing a downlink control structure in a first carrier to indicate control information in a second, different carrier
CA2786801C (en) * 2010-01-11 2016-09-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trol channel interference management for heterogeneous network via an extended pdcch
US8804586B2 (en) * 2010-01-11 2014-08-12 Blackberry Limited Control channel interference management and extended PDCCH for heterogeneous network
US8989069B2 (en) * 2010-03-03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enhancements
CN102215533A (zh) * 2010-04-02 2011-10-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异构***中控制信道上的干扰协调方法和设备
US20120106465A1 (en) * 2010-04-30 2012-05-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ownlink control in heterogeneous networks
KR101964648B1 (ko) * 2011-01-26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50119B1 (ko) * 2011-02-11 2015-09-0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향상된 제어 채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9484A (ko) * 2011-03-01 201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809959B1 (ko) * 2011-04-29 201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665811B2 (en) * 2011-08-15 2014-03-04 Motorola Mobility Llc Reference signal for a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241287B2 (en) * 2011-09-13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Narrow bandwidth operation in LTE
CN103828459A (zh) * 2011-09-27 2014-05-28 日本电气株式会社 Lte的附加载波类型
JP5856810B2 (ja) * 2011-11-02 2016-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集積回路
US8606286B2 (en) * 2012-01-16 2013-12-10 Blackberry Limited E-PDCCH design for reducing blind decoding
US9198181B2 (en) * 2012-03-19 2015-11-24 Blackberry Limited Enhanced common downlink control channels
CN102624489B (zh) * 2012-03-20 2015-05-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增强的控制信道传输的方法、装置及***
CN102594513B (zh) * 2012-03-20 2015-01-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增强的下行控制信道的传输方法及装置
US8761109B2 (en) * 2012-08-03 2014-06-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control chan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206A (ko) * 2017-11-17 2019-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93592B2 (en) 2017-11-17 2020-06-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US11569937B2 (en) 2017-11-17 2023-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US11956078B2 (en) 2017-11-17 2024-04-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87912B2 (ja) 2016-09-07
US20220078774A1 (en) 2022-03-10
CN104641706B (zh) 2018-11-30
KR101865013B1 (ko) 2018-06-05
WO2014045322A1 (ja) 2014-03-27
JPWO2014045322A1 (ja) 2016-08-18
KR20170103990A (ko) 2017-09-13
EP2900024A4 (en) 2015-09-30
EP2900024B1 (en) 2019-03-06
US20150173054A1 (en) 2015-06-18
US11546895B2 (en) 2023-01-03
EP2900024A1 (en) 2015-07-29
CN104641706A (zh)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013B1 (ko)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및 무선 기지국
CN110249575B (zh) 在共享通信介质上配置多子帧发现参考信令(drs)的方法和装置
US10674380B2 (en) On-demand system information for wireless terminal in connected state
AU201231982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187428B (zh) 无线电信网络中的网络节点和方法
US945069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11817835B (zh) 一种波束切换指示方法、设备和***
US9661613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and program
EP3031232B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inter-frequency small cell detection and reporting
CN108370556A (zh) 寻呼无线设备
US11910364B2 (en) Resource determin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20160219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EP3097744A1 (en) Rat selection for devices capable of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KR20150007753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단말의 단말 대 단말 발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3142438B1 (en) Method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s,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WO2015051843A1 (en) Using a base station with a failed interface to core network to configure and advertise cluster head for device-to-device (d2d) wireless communications
EP41080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ue power consumption
EP4319293A1 (e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240039669A1 (e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US20240188042A1 (en) Paging early indication enhancements
WO202319712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delink beam management
US20240129817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4319226A1 (e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240026241A (ko) 무선 자원 제어 접속 모드에 대한 무선 자원 관리 완화
CN115086890A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