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550A -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 Google Patents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550A
KR20150041550A KR1020137025159A KR20137025159A KR20150041550A KR 20150041550 A KR20150041550 A KR 20150041550A KR 1020137025159 A KR1020137025159 A KR 1020137025159A KR 20137025159 A KR20137025159 A KR 20137025159A KR 20150041550 A KR20150041550 A KR 20150041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ock
limit stopper
uni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962B1 (ko
Inventor
타케시 야마네
토쿠조 코바야시
켄고 타무라
Original Assignee
비젠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젠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비젠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암 레스트 프레임의 판 두께를 얇게 하여 암 레스트를 경량화하거나 암 레스트 프레임의 디자인 변경 등에 용이하게 대응하거나 수송 코스트 등을 고려한 암 레스트의 생산 양태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한 스토퍼 수용부(11a) 및 하한 스토퍼 수용부(11b)가 설치된 장착 금구(11)와; 변위 캠(12a) 및 복귀 캠(12b)이 단면에 설치된 로크 드럼(12)과; 일단이 자유단(13a)이고 타단이 고정단(13c)으로 된 로크 스프링(13)과; 상한 스토퍼 돌부(14a)와 하한 스토퍼 돌부(14b)와 유닛 결합편 A를 구비하며, 기립통부(14d)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4)와; 내통부(15a)에 스프링 가이드(15b)와 유닛 결합편(15c)을 설치한 커버 플레이트(15)로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10)을 구성하고, 암 레스트의 각도 조절에 관계된 모든 기능을 암 레스트용 각도 조절 유닛(10) 내에서 완결시킨다.

Description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armrest mechanism unit}
본 발명은 각도 조정이 가능한 암 레스트의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에 설치되는 암 레스트는, 그 선단부가 시트의 전방을 향한 초기 위치와 시트의 상방을 향한 수납 위치 사이에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 3을 참조). 종래의 암 레스트에서 각도 조정 기구는 암 레스트 프레임의 기단부에 대하여 로크 드럼이나 로크 스프링 등의 로크 부재가 용접 결합으로 조립되었다(특허문헌 1, 2). 이 때문에 암 레스트 프레임은 판 두께를 두껍게 해 둘 필요가 있으며, 700 g을 넘는 무거운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암 레스트도 각도 조절 기구가 유닛으로 되어 있지 않아서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송 코스트가 높고, 암 레스트의 디자인이 변경될 때마다 금형이나 제조 라인을 새롭게 다시 만들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암 레스트는, 복잡한 기구를 갖는 고부가가치의 각도 조정 기구에 대해서는 극히 경량이고 소형으로 하여 일본에서 조립하고, 금형만 있으면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암 레스트 프레임의 제조나, 암 레스트의 전체 조립 작업에 대해서는 해외 등 자동차 조립 공장 근처에서 수행하는 등의 생산 양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7-236547 호 특허문헌 2 :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208720 호 특허문헌 3 :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192132 호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뤄진 것으로, 각 부재의 판 두께를 얇게 하여 암 레스트를 경량화 하거나 암 레스트의 디자인 변경 등에 합리적으로 대응하거나 수송 코스트 등을 고려한 암 레스트의 생산 양태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시트 프레임에 장착되고, 초기 위치로부터 일정한 각도 조정 가능 범위 사이에서는 상방 회동(回動)이 가능하고 하방 회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각도 조정 가능 범위를 상방으로 초과하면 수납 위치까지의 상방 회동 및 초기 위치까지의 하방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으로서, 상한 스토퍼 수용부 및 하한 스토퍼 수용부가 설치된 장착 금구(金具)와; 변위 캠 및 복귀 캠이 단면(端面)에 설치되고, 장착 금구에 고정 결합된 로크 드럼과; 일단이 로크 드럼의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자유단(自由端)이고, 타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로크 드럼의 외주면에 밀착 상태로 감겨진 것으로, 자유 상태에서 로크 드럼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로크 스프링과; 상한 스토퍼 돌부(突部)와 하한 스토퍼 돌부와 유닛 결합편(結合片) A를 구비하고, 내부에 로크 드럼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기립통부(起立筒部)를 설치하며, 기립통부의 외주면에 로크 스프링의 고정단(固定端)측을 소정의 감김 횟수만큼 감아 고정단을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로크 드럼 및 로크 스프링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통부(內筒部)와, 내통부에 로크 스프링의 자유단의 위치를 유지하는 스프링 가이드와, 유닛 결합편 B가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이들 부재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유닛 결합편 A와 커버 플레이트의 유닛 결합편 B를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고, 암 레스트가 초기 위치로부터 각도 조정 가능 범위에 있을 때, 암 레스트의 하방 회동에 대해서는, 로크 스프링이 로크 드럼에 대하여 조임 상태가 되어서 그 회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방 회동에 대해서는, 풀림 상태가 되어서 그 회동을 가능하게 하며, 암 레스트가 각도 조정 가능 범위를 상방으로 초과하면 로크 스프링의 자유단이 로크 드럼의 변위 캠으로 눌려서 느슨해진 상태로 스프링 가이드에 걸려서 유지됨으로써 상방 회동 및 하방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암 레스트가 수납 위치에 도달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한 스토퍼 돌부와 장착 금구의 상한 스토퍼의 수용부가 당접(當接)하여 상방 회동이 규제되고, 암 레스트가 하방 회동으로 초기 위치에 도달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한 스토퍼 돌부와 장착 금구의 하한 스토퍼 수용부가 당접하여 하방 회동이 규제됨과 함께 로크 스프링의 자유단이 로크 드럼의 복귀 캠에 의해 스프링 가이드에 의한 유지가 해제되어 로크 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은 암 레스트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회동 기구, 소정 각도로 조정된 암 레스트가 내려가지 않도록 로크 상태로 하는 로크 기구 및 암 레스트의 각도 조정 가능 범위를 정하는 스토퍼 기구 등을 모두 구비하고 있고, 암 레스트의 각도 조정에 관계된 모든 기능이 그 유닛 내에서 완결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를 일체로 코킹하여 기구부를 상하로부터 둘러싸는 구조로 함으로써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의 판 두께를 얇게 하고 유닛 전체의 경량화가 가능해짐과 함께 유닛 구조에 맞춘 결합 구조로 함으로써 암 레스트 프레임의 경량화도 가능해진다. 더욱이 암 레스트 프레임에 각도 조정에 관계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암 레스트의 디자인이 변경된 경우 등에는 암 레스트 프레임의 금형만 변경하면 될 뿐, 제조 라인을 새롭게 다시 만들 필요가 없어서 합리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은, 암 레스트 프레임 필요 없이 유닛 단독으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에 대해서는 일본에서 조립하고 암 레스트 프레임의 제조나 암 레스트 전체의 조립 작업에 대해서는 해외나 자동차 조립 공장 근처에서 수행하는 등의 생산 양태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은, 강판제(鋼板製)의 암 레스트 프레임의 기단부(基端部)에 장착하여 코킹 결합 등에 의해 일체화시킴으로써 암 레스트가 된다. 본 발명의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은 암 레스트 프레임과 한 금형, 일 공정으로 코킹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 후,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및 암 레스트 프레임을 표피로 피복하고, 표피 내부에 주입한 발포수지에 의해 전체를 일체화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각 부재의 판 두께를 얇게 하여 암 레스트를 경량화하거나 암 레스트의 디자인 변경 등에 합리적으로 대응하거나 수송 코스트 등을 고려한 암 레스트의 생산 양태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을 암 레스트 프레임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을 암 레스트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및 암 레스트 프레임을 표피로 피복하고, 표피 내부에 주입한 발포수지에 의해 전체를 일체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암 레스트를 회동 조작하고 있을 때의, 로크 드럼의 복귀 캠 및 변위 캠과, 로크 스프링의 자유단과, 커버 플레이트의 스프링 가이드 및 보조 캠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이하, '유닛'으로 표기한다)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닛(10)을 암 레스트 프레임(20)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닛(10)을 암 레스트 프레임(2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닛(10) 및 암 레스트 프레임(20)을 표피로 피복하고, 표피(50) 내부에 주입한 발포수지(60)에 의해 전체를 일체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자동차 시트에 구비되는 암 레스트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닛(1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암 레스트 프레임(20)의 기단부(基端部)에 설치된 관통홀(貫通穴, 21)에 장착하여 일체화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유닛(10)과 암 레스트 프레임(20)의 일체화는, 도 2 및 도 3의 코킹 결합부(α, 3군데)로 도시한 것과 같이 강판제(鋼板製)의 암 레스트 프레임(20)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벽부의 선단을 내측으로 접고, 유닛(10)의 입벽(立壁, 15e)에 코킹 결합을 함으로써 암 레스트 프레임(20)의 경량화를 추구하고 있다. 암 레스트 프레임(20)의 가장자리부의 벽부는 코킹 결합부(α) 이외의 부분도 그 선단을 내측으로 접었으며(도 2의 컬(22)을 참조), 자동차가 충돌했을 때에도 안전하도록 하였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유닛(10) 및 암 레스트 프레임(20)을 표피(50)로 피복하고, 주입구(61)로부터 암 레스트 프레임(20)과 표피(50)의 간극에 발포수지(60, 발포 폴리우레탄)를 주입하여 전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암 레스트(10)가 완성된다. 후술하는 로크 스프링(13)의 고정단(固定端, 13b)은 유닛(10)에서의 주입구(61)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4)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간부(14e)를 설치하고, 공간부(14e)로부터 주입구(61)가 보이도록 하였다. 이로써 주입구(61)가 시트 백의 폭에 들어가도록 암 레스트의 회동(回動) 중심으로 접근시켜서 암 레스트의 완성품을 시트 프레임(시트 백)에 장착했을 때에 주입구(61)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닛(10)은 장착 금구(金具, 11)가 시트 프레임(도시 생략)에 대하여 고정되고, 암 레스트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정한 각도 조정 가능 범위에 있을 때에는 상방 회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하방 회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암 레스트를 유지하며, 각도 조정 가능 범위를 상방으로 초과하면 수납 위치까지의 상방 회동 및 초기 위치까지의 하방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암 레스트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닛(10)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닛(10)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한 스토퍼 수용부(11a) 및 하한 스토퍼 수용부(11b)가 설치된 장착 금구(11)와; 변위 캠(12a) 및 복귀 캠(12b)이 단면에 설치된 로크 드럼(12)과; 로크 드럼(12)의 외주면에 밀착 상태로 감겨지는 로크 스프링(13)과; 상한 스토퍼 돌부(突部, 14a)와 하한 스토퍼 돌부(14b)와 유닛 결합편(結合片, 14c, 유닛 결합편 A)을 구비하며 내부에 기립통부(起立筒部, 14d)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4)와; 내통부(內筒部, 15a)와 스프링 가이드(15b)와 유닛 결합편(15c, 유닛 결합편 B)과 보조 캠(15d)이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15)와; 장착 금구(11)와 베이스 플레이트(14) 사이에 배치된 수지 와셔(16)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 스프링(13)은 로크 드럼(12)의 외주면에 밀착 상태로 감겨진다. 자유 상태의 로크 스프링(13)의 내경은, 로크 드럼(12)의 외경보다 근소하게(2 ~ 5 %) 작게 되어 있다. 로크 스프링(13)의 일단은,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고 로크 드럼(12)의 변위 캠(12a) 및 복귀 캠(12b)으로부터 작용을 받는 자유단(自由端, 13a)으로 되어 있다. 한편, 로크 스프링(13)의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4)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단(13b)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 리테이너(17)를 베이스 플레이트(14)에 대하여 결합 고정하고 그 사이에 로크 스프링(13)의 고정단(13b)을 끼움으로써 고정단(13b)을 베이스 플레이트(14)에 고정하고 있다. 로크 스프링(13)의 내주면은 복수의 홈(13c)을 형성하여 조면화(粗面化)하고, 로크 드럼(12)에 대한 로크 스프링(13)의 잠금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로크 드럼(12)은 감합 오목부(12c)에 장착 금구(11)의 감합 볼록부(11c)를 감합시켜 코킹함으로써 장착 금구(11)에 대하여 결합 고정되고(도 3의 코킹 결합부 β를 참조), 시트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4) 및 커버 플레이트(15)는 로크 드럼(12)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암 레스트 프레임(20)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의 기립통부(14d)의 외주면은 로크 드럼(12)의 외주면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로크 스프링(13)의 고정단(13b)측이 소정의 감김 횟수만큼 감겨진다. 이로써 고정단(13b)에 모든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커버 플레이트(15)의 내통부(15a)는 로크 드럼(1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내통부(15a)에는 로크 스프링(13)의 자유단(13a)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가이드(15b)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스프링(13)의 자유단(13a)은 스프링 가이드(15b)의 옆(스프링 가이드(15b)와 보조 캠(15d)의 간극)을 통하여 내통부(15a)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유닛(1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유닛 결합편(14c)과 커버 플레이트(15)의 유닛 결합편(15c)을 코킹 결합(코킹 결합부 γ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부재를 일체적으로 조합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닛(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암 레스트를 회동 조작하고 있을 때의, 로크 드럼(12)의 복귀 캠(12b) 및 변위 캠(12a)과; 로크 스프링(13)의 자유단(13a)과; 커버 플레이트(15)의 스프링 가이드(15b) 및 보조 캠(15d)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5(a)는 암 레스트를 하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초기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 5(b)는 암 레스트를 초기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각도 조정 가능 범위에 있는 상태를, 도 5(c)는 암 레스트가 각도 조정 가능 범위의 상한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도 5(d)는 로크 스프링(13)의 자유단(13a)이 스프링 가이드(15b)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 상태를, 도 5(e)는 암 레스트가 수납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암 레스트를 초기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각도 조정 가능 범위의 상한 위치까지 중 어느 하나(도 (5b))의 상태에 있을 때는, 암 레스트의 하방 회동에 대해서는 로크 스프링(13)이 로크 드럼(12)에 대하여 조임 상태가 되어 회동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방 회동에 대해서는 로크 스프링(13)이 풀림 상태가 되어, 그 자유단(13a)은 로크 드럼(12)의 단면과 스프링 가이드(15b) 사이의 간극 내를, 로크 드럼(12)의 단면에 대하여 이동하는(도 5의 지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암 레스트를 더욱더 상방 회동시켜서 도 5(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암 레스트가 각도 조정 가능 범위의 상한 위치에 도달하면 로크 스프링(13)은 그 자유단(13a)이 로크 드럼(12)의 변위 캠(12a)으로 눌려서 느슨해진 상태가 된다. 또한 그 직후에, 도 5(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커버 플레이트(15)의 보조 캠(15d)에 의해 로크 스프링(13)의 자유단(13a)은, 스프링 가이드(15d)에 걸린 위치로 안내되고 그 상태로 유지된다. 즉, 로크 스프링(13)의 자유단(13a)은 스프링 가이드(15b)에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눌린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5(d)의 상태가 된 후, 암 레스트는 상방 회동 및 하방 회동의 쌍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d)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암 레스트를 더욱더 상방 회동 시켜서 도 5(e)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암 레스트가 수납 위치에 도달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상한 스토퍼 돌부(14a, 도 4)와 장착 금구(11)의 상한 스토퍼 수용부(11b, 도 4)가 당접(當接)하여 암 레스트는 그보다 상방으로 회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5(d)부터 도 5(e)까지 중 어느 한 상태로부터 암 레스트를 하방 회동시켜서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면 베이스 플레이트(14)의 하한 스토퍼 돌부(14b, 도 4)와 장착 금구(11)의 하한 스토퍼 수용부(11b, 도 4)가 당접하여 암 레스트는 그보다 하방으로 회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때, 도 5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로크 드럼(12)의 복귀 캠(12b)에 의해 로크 스프링(13)의 자유단(13a)이 안내되어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즉, 로크 스프링(13)은 스프링 가이드(15b)에 의한 유지가 해제된 상태가 되어, 하방 회동이 불가능한 로크 상태로 복귀된다.
본 실시형태의 암 레스트는 이상의 순서에 의해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명으로부터는 암 레스트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회동 기구, 소정 각도로 조정된 암 레스트가 내려가지 않는 로크 상태로 하는 로크 기구 및 암 레스트의 각도 조정 가능 범위를 정하는 스토퍼 기구 등, 암 레스트의 각도 조정에 관계된 기능 전부가 유닛(10)으로 완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암 레스트 프레임(20)의 디자인 변경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뿐만 아니라 수송 코스트 등을 고려한 암 레스트의 생산 형태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유닛(10)을 A 공장에서 조립하고 암 레스트 프레임(20)을 A 공장과는 다른 B 공장에서 제조하고, B 공장에서 제조된 암 레스트 프레임(20)의 기단부에 대하여 A 공장에서 조립된 유닛(10)을 A 공장과는 다른 C 공장(혹은 B 공장)에서 장착하는 등의 생산 형태에도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A 공장에서 조립된 유닛(10)을, 장착 공정이 수행되는 C 공장(혹은 B 공장)까지 수송할 때에는, 유닛(10)만 수송하면 되므로 짐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수송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고, 금형이나 생산 라인 등의 설비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
10 : 유닛(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11 : 장착 금구
11a : 상한 스토퍼 수용부 11b : 하한 스토퍼 수용부
11c : 감합 볼록부 12 : 로크 드럼
12a : 변위 캠 12b : 복귀 캠
12c : 감합 오목부 13 : 로크 스프링
13a : 자유단 13b : 고정단
13c : 홈 14 : 베이스 플레이트
14a : 상한 스토퍼 돌부 14b : 하한 스토퍼 돌부
14c : 유닛 결합편(유닛 결합편 A) 14d : 기립통부
14e : 공간부 15 : 커버 플레이트
15a : 내통부 15b : 스프링 가이드
15c : 유닛 결합편(유닛 결합편 B) 15d : 보조 캠
15e : 입벽 16 : 수지 와셔
17 : 스프링 리테이너 17a : 상한 스토퍼 당부(當部)
17b : 하한 스토퍼 당부 20 : 암 레스트 프레임
21 : 관통홀 22 : 컬
30 : 수지 커버 40 : 캡
50 : 표피 60 : 발포수지
61 : 주입구 α : 코킹 결합부
β : 코킹 결합부 γ : 코킹 결합부

Claims (3)

  1. 시트 프레임에 장착되고, 초기 위치로부터 일정한 각도 조정 가능 범위 사이에서는 상방 회동(回動)이 가능하고 하방 회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각도 조정 가능 범위를 상방으로 초과하면 수납 위치까지의 상방 회동 및 초기 위치까지의 하방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으로서,
    상한 스토퍼 수용부 및 하한 스토퍼 수용부가 설치된 장착 금구(金具)와;
    변위 캠 및 복귀 캠이 단면(端面)에 설치되고, 장착 금구에 고정 결합된 로크 드럼과;
    일단이 로크 드럼의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자유단(自由端)이고, 타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로크 드럼의 외주면에 밀착 상태로 감겨진 것으로, 자유 상태에서 로크 드럼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로크 스프링과;
    상한 스토퍼 돌부(突部)와, 하한 스토퍼 돌부와, 유닛 결합편(結合片) A를 구비하고, 내부에 로크 드럼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기립통부(起立筒部)를 설치하며, 상기 기립통부의 외주면에 로크 스프링의 고정단(固定端)측을 소정의 감김 횟수만큼 감아 그 고정단을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로크 드럼 및 로크 스프링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통부(內筒部)와, 그 내통부에 로크 스프링의 자유단의 위치를 유지하는 스프링 가이드와, 유닛 결합편 B가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이들 부재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유닛 결합편 A와 커버 플레이트의 유닛 결합편 B를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고,
    암 레스트가 초기 위치로부터 각도 조정 가능 범위에 있을 때, 암 레스트의 하방 회동에 대해서는, 로크 스프링이 로크 드럼에 대하여 조임 상태가 되어서 그 회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방 회동에 대해서는, 풀림 상태가 되어서 그 회동을 가능하게 하며,
    암 레스트가 각도 조정 가능 범위를 상방으로 초과하면 로크 스프링의 자유단이 로크 드럼의 변위 캠으로 눌려서 느슨해진 상태로 스프링 가이드에 걸려서 유지됨으로써, 상방 회동 및 하방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암 레스트가 수납 위치에 도달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한 스토퍼 돌부와 장착 금구의 상한 스토퍼의 수용부가 당접(當接)하여 상방 회동이 규제되고,
    암 레스트가 하방 회동으로 초기 위치에 도달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한 스토퍼 돌부와 장착 금구의 하한 스토퍼 수용부가 당접하여 하방 회동이 규제됨과 함께 로크 스프링의 자유단이 로크 드럼의 복귀 캠에 의해 스프링 가이드에 의한 유지가 해제되어 로크 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2. 제 1 항에 기재한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을 강판제(鋼板製)의 암 레스트 프레임과 일체로 코킹 결합한 암 레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및 암 레스트 프레임을 표피로 피복하고, 표피 내부에 주입한 발포수지에 의해 전체를 일체화시킨 암 레스트.
KR1020137025159A 2012-08-10 2013-07-29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KR101687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8159 2012-08-10
JP2012178159 2012-08-10
PCT/JP2013/070421 WO2014024709A1 (ja) 2012-08-10 2013-07-29 アームレスト機構部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550A true KR20150041550A (ko) 2015-04-16
KR101687962B1 KR101687962B1 (ko) 2016-12-20

Family

ID=5006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159A KR101687962B1 (ko) 2012-08-10 2013-07-29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90525B2 (ko)
KR (1) KR101687962B1 (ko)
WO (1) WO2014024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4168B1 (ja) * 2014-07-28 2015-01-14 備前発条株式会社 アームレスト
US10906441B2 (en) 2016-03-31 2021-02-02 Ts Tech Co., Ltd. Rotably lockable armrest
JP6685527B1 (ja) * 2019-11-05 2020-04-22 備前発条株式会社 高さ調節式のアームレス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547A (ja) 1994-02-25 1995-09-12 Nhk Spring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4208720A (ja) 2002-12-26 2004-07-29 T S Tec Kk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JP2005342125A (ja) * 2004-06-01 2005-12-15 T S Tec Kk アームレストの取付構成
JP2006192132A (ja) 2005-01-14 2006-07-27 Bizen Hatsujo Kk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9072328A (ja) * 2007-09-20 2009-04-09 Bizen Hatsujo Kk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9261828A (ja) * 2008-04-30 2009-11-12 Ts Tech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JP2010005216A (ja) * 2008-06-27 2010-01-14 Nhk Spring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645A (en) * 1998-03-04 2000-04-18 Tachi-S Engineering U.S.A., Inc. Clutching mechanism for an infinitely adjustable armrest
JP4446442B2 (ja) * 2004-08-18 2010-04-07 備前発条株式会社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7185223A (ja) * 2006-01-11 2007-07-26 Namba Press Works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547A (ja) 1994-02-25 1995-09-12 Nhk Spring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4208720A (ja) 2002-12-26 2004-07-29 T S Tec Kk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JP2005342125A (ja) * 2004-06-01 2005-12-15 T S Tec Kk アームレストの取付構成
JP2006192132A (ja) 2005-01-14 2006-07-27 Bizen Hatsujo Kk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9072328A (ja) * 2007-09-20 2009-04-09 Bizen Hatsujo Kk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9261828A (ja) * 2008-04-30 2009-11-12 Ts Tech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JP2010005216A (ja) * 2008-06-27 2010-01-14 Nhk Spring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24709A1 (ja) 2016-07-25
WO2014024709A1 (ja) 2014-02-13
JP5890525B2 (ja) 2016-03-22
KR101687962B1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349B1 (en) Auto return structure of luggage room screen
US9162594B2 (en) Vehicle seat
KR101687962B1 (ko) 암 레스트 기구부 유닛
US9187021B2 (en) Assist grip
US7988234B2 (en) Headrest for vehicle
US20100259087A1 (en) Seat assembly having a multi-position head restraint assembly
JP5654168B1 (ja) アームレスト
US20180236911A1 (en) Headrest guide
CN105291907A (zh) 用于车辆座椅的角度调节装置
US6637898B2 (en) Manually foldable door mirror
US7044556B1 (en) Head restraint roller guide
JP5420353B2 (ja) ウェビング挿通部材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072328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US20110182658A1 (en) Quick release latch assembly
US10173636B2 (en) Seatbelt buckle assemblies and seat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US11186212B2 (en)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KR101449153B1 (ko) 자동차의 후석 시트백용 가변 웨빙가이드
WO2017169629A1 (ja) アームレスト
US20190168650A1 (en) Foldable head restraint
KR101382118B1 (ko) 시트 리틀라이닝 기구
JP6510456B2 (ja) アームレスト
JP2011147750A (ja) アームレスト
JP2021041734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7044968B2 (ja) アームレスト
JP4504128B2 (ja) ドアチェ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