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697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697A
KR20150026697A KR20130130984A KR20130130984A KR20150026697A KR 20150026697 A KR20150026697 A KR 20150026697A KR 20130130984 A KR20130130984 A KR 20130130984A KR 20130130984 A KR20130130984 A KR 20130130984A KR 20150026697 A KR20150026697 A KR 20150026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toner contain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광혁
고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306,939 priority Critical patent/US9335723B2/en
Priority to CN201410367470.1A priority patent/CN104423213B/zh
Publication of KR2015002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며, 바틀(bottle) 형상을 가진 제1 및 제2 토너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토너 용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부 하우징부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홈에 각각 장착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바틀 타입의 토너 용기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지 인쇄를 위해, 상담지체(예로써, 감광 드럼)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 후 그 토너 화상을 인쇄 용지에 직접 또는 전사 벨트를 이용하여 전사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방식이 적용되는 레이저 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는,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장치가 교체 가능하게 소모품 형태로 장착됨이 일반적이다.
통상의 토너 공급 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외부 하우징의 일부를 개방시킨 후 본체 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외부 하우징을 개방시키지 않고서는 토너 공급 장치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부 하우징의 개폐가 수반되므로 토너 공급 장치의 교체 작업이 다소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 공급 장치의 장착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토너 공급 장치의 교체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며, 바틀(bottle) 형상을 가진 제1 및 제2 토너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토너 용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부 하우징부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홈에 각각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의 색상과 상기 제2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의 색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토너 용기에 수용되는 토너는 검정 색상의 토너이고, 상기 제2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는 하일라이트용 색상의 토너일 수 있다.
상기 제1 토너 용기 장착홈과 상기 제2 토너 용기 장착홈은 서로 거리를 두고 병렬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토너 용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 밖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되게 대응하는 토너 용기 장착홈에 장착는 것일 수 있다.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부로부터 수직하게 하방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부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홈을 가진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토너 유출공을 가진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면 하우징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토너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공이 형성된 용기 몸체; 및 상기 토너 배출공을 폐쇄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토너 배출공을 개방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 몸체에 장착된 셔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용기 몸체 내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각각의 토너 용기는 상기 셔터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부의 저면부는 대응하는 토너 용기 장착시 상기 셔터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토너 배출공을 폐쇄하는 판 형상의 셔터부; 상기 셔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탄성 가압 부재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 지지부; 및 상기 셔터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토너 용기 장착시 상기 가압 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토너 용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셔터 부재의 배치는, 상기 용기 몸체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 부재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공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공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부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셔터 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돌기는 상기 토너 용기 장착부에 구비된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부에는 스크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 부재에는 상기 스크류 돌기와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의 측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기가 형성되며,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 돌기의 회전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토너 용기 장착시 상기 회전 돌기를 상기 상부 하우징부로부터 상기 회전 안내홈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토너 용기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를 토너 용기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Ⅰ-Ⅰ 절단선을 따르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토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용기 장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토너 용기 장착부에 토너 용기가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 가능한 대안적인 토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토너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토너 용기가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토너 용기 장착홈 부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토너 용기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유사한 부분 단면도서 셔터 부재의 대안적인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는 Ⅱ-Ⅱ 절단선을 따르는 도 10의 단면도로서, 도 12a는 도 7의 토너 용기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시키는 과정에서 토너 용기의 삽입 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b는 도 7의 토너 용기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토너 용기 회전 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10에 유사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의 토너 용기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토너 용기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 14의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Ⅲ-Ⅲ 절단선을 따르는 도 14의 단면도이다.
도 16b는 Ⅳ-Ⅳ 절단선을 따르는 도 14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를 토너 용기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Ⅰ-Ⅰ 절단선을 따르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서형 사이즈의 모노크롬 레이저 프린터로서, 본체(200), 및 본체(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너 용기(20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200)는 다수의 내부 부품들을 수용하며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10)을 갖는다. 이러한 외부 하우징(110)은, 화상형성장치(1)의 저면 및 상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저면 및 상면 하우징부(111,114), 화상형성장치(1)의 전면 및 후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전면 및 후면 하우징부(112,113),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의 우측면 및 좌측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고 있는 우측 및 좌측 하우징부(115,116)를 포함한다. 이러한 외부 하우징(11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는 직육면체의 심플한 외관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하우징부(112)에는 다수의 음향방출공들을 가진 음향방출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0) 내에는 음향방출부(118)를 통해 알림음, 음악 등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 유닛(160)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하우징부(115)에는 USB 포트(119)가 구비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USB 포트(119)는 좌측 하우징부(116) 또는 후면 하우징부(113)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USB 포트(119)에 USB 케이블을 통해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외부 기기가 연결된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는 USB 포트(119)에 연결된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로서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된 외부 기기가 제공하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면 하우징부(113)에는 본체(200) 안으로의 용지 투입을 위한 용지 투입 도어(113a)가 구비되어 있다. 용지 투입 도어(113a)는 힌지(113b)에 의해 후면 하우징(1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인쇄 작업시 사용자는 용지 투입 도어(113a)를 개방하여 후면 하우징(113)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킨 후 본체(200) 안으로 용지들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면 하우징부(112)는 힌지(112a)에 의해 저면 하우징부(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 작업시 전면 하우징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저면 하우징부(11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인쇄 작업이 완료된 용지들은 저면 하우징부(111)에 나란하게 펼쳐진 전면 하우징부(112) 상에 순차적으로 적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면 하우징부(114)에는 토너 용기(200)의 잔여 토너량을 아날로그식으로 보여주는 토너량 표시 유닛(102)이 장착되어 있다. 토너량 표시 유닛(102)은 토너 용기(200)와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토너량 표시 유닛(102)의 표시 눈금들은 위아래로 배열되는데, 대안적으로 토너량 표시 유닛(102)의 표시 눈금들은 차량의 속도 표시 눈금들과 같이 원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와 연결된 컴퓨터 모니터 없이도 토너량 표시 유닛(102)을 보고 토너 용기(200) 내의 잔여 토너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토너 용기(200)는 바틀(bottle)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바틀(bottle)'은 상단부에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투입구와 연결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용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용기(200)는 원형 단면을 가지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토너 용기(200)는 타원형 단면, 직사각형 단면 등 다양한 단면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토너 용기(200)의 내부에는 단색상(예로써, 블랙)의 토너가 수용되어 있다. 본체(100)에는 상부 하우징부(114)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토너 용기 장착홈(10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토너 용기 장착홈(101)에 토너 용기(200)가 장착됨으로써 토너 용기(200)에 수용된 토너가 본체(100)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토너 용기 장착홈(101)을 좌측 하우징부(115) 또는 우측 하우징부(116)와 같은 본체(100)의 측면부에 형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토너 용기(200)를 토너 용기 장착홈(101)에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 하우징부(114)에 토너 용기 장착홈(101)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이러한 토너 용기 장착홈(101)은 상부 하우징부(114)로부터 수직하게 하방 연장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 장착홈(101)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200)도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토너 용기(200) 내에 수용된 토너는 중력의 도움으로 토너 용기(200)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토너 용기 장착홈(101)은 외부 케이싱(110)에 의해 가려져 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토너 용기(200) 교체시 외부 케이싱(110)을 개방하는 것과 같은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토너 용기(200)의 교체 작업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단지 하나의 토너 용기(200)가 도시되어 있지만, 보다 긴 다른 토너 용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선택에 따라, 용량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토너 용기들 중 하나가 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토너 용기(200)는 적어도 그것의 상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본체(100) 내부를 보지 않고도 본체(100)에 어떤 토너 용기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 내부에는 현상 유닛(120), 픽업 유닛(141), 하나 이상의 이송 유닛(142), 전사 롤러(143), 정착 유닛(144), 배지 유닛(145), 및 노광 유닛(146) 등의 부품들이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현상 유닛(120)은 현상 유닛 케이싱(121)과, 그 케이싱 내에 수용된 감광 드럼(122), 현상 롤러(123), 및 공급 롤러(124) 등을 포함한다. 본체(100) 내에 수용되는 상기 부품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들이므로 이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지 경로(P)를 따라 화상형성장치(1)에 의한 인쇄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 작업이 개시되면, 감광 드럼(122)에는 노광 유닛(146)이 제공하는 레이저에 의해 인쇄 데이타를 반영한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며 그 정전 잠상은 현상 롤러(124)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인쇄 용지는 픽업 유닛(141)에 의해 픽업된 후, 감광 드럼(122)과 전사 롤러(143) 사이를 통과하면서 감광 드럼(122)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전사받는다. 이후 인쇄 용지는 정착 유닛(144)에 의한 화상 정착 과정을 거친 후 배지 유닛(145)에 의해 본체(100) 밖으로 배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상부 하우징부(114)에는 전술한 토너 용기 장착홈(101)(도 2 참조)을 가진 토너 용기 장착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토너 용기 장착부(150)는 상부 하우징부(144)로부터 본체(100) 안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현상 유닛 케이싱(121)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토너 용기 장착부(150)에 대한 토너 용기(200)의 장착이 완료되면, 토너 용기(200)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는 토너 용기 장착부(150)를 통해 현상 유닛(120)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용기 장착부(150)는 상부 하우징(114)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대안적으로 토너 용기 장착부(150)는 현상 유닛 케이싱(121)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5, 6a, 및 6b를 참조하여 토너 용기(200) 및 토너 용기 장착부(1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토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토너 용기 장작부의 사시도이고, 도 6a 및 6b는 토너 용기 장착부에 토너 용기가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6a를 참조하면, 토너 용기(200)는 용기 몸체(210), 캡 부재(220), 셔터 부재(230), 및 탄성 가압 부재(240)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2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서 내부에 토너 수용 공간(215)을 갖는다. 용기 몸체(210)의 하단부(211)에는 토너 배출공(2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몸체(210)의 측면부(212)에는 특정 폭에 걸쳐 암나사산(213)이 형성되어 있다.
캡 부재(220)는 용기 몸체(2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토너 용기(200) 내의 토너가 토너 용기(200)의 상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캡 부재(220)는 용기 몸체(210)의 상단부를 폐쇄하는 캡부(221)와 캡부(2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셔터 가이드 돌기(222)를 포함한다.
셔터 부재(230)는 원판 형상을 가진 셔터부(231), 셔터부(23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탄성 부재 지지부(232), 및 셔터부(23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피가압부(233)를 포함한다.
셔터부(231)는 용기 몸체(210)에 형성된 토너 배출공(211a)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부(231)의 지름은 용기 몸체(210)의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셔터부(231)와 용기 몸체(210) 사이에는 토너 이동을 위한 틈새(C)가 존재한다.
탄성 부재 지지부(232)는 탄성 가압 부재(240) 내에 삽입됨으로써, 캡부(221)와 셔터부(231) 사이에서 제 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가압 부재(240)를 지지한다. 탄성 부재 지지부(232)에는 캡 부재(220)의 셔터 가이드 돌기(222)가 삽입되는 셔터 가이드 홀(234)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 가이드 홀(234)에 셔터 가이드 돌기(222)가 삽입됨으로써, 셔터 부재(230)의 상하 이동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피가압부(233)는 토너 용기(200)가 토너 용기 장착부(150)에 장착될 때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가압 돌기(154)(도 6a 참조)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탄성 가압 부재(240)는 셔터 부재(230)를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가압 부재(240)는 캡 부재(220)의 캡부(221)와 셔터 부재(230)의 셔터부(231) 사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가압 부재(240)는 셔터 부재(230)의 탄성 부재 지지부(232)에 의해 지지된다.
도 5 및 6a를 참조하면, 토너 용기 장착부(150)는, 복수의 토너 유출공(153)이 형성된 저면부(151), 및 저면부(151)로부터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의 상면 하우징(114)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연장부(1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면부(151)에는 4개의 토너 유출공(153)이 형성되어 있는데, 토너 유출공(153)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저면부(151)의 내측면에는 가압 돌기(15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토너 용기(200)가 본체(100)에 장착될 때, 가압 돌기(154)에 의해 셔터 부재(230)가 상방으로 가압됨으로써 토너 용기(200)의 토너 배출공(211a)이 개방된다. 수직 연장부(152)의 내측면에는 특정 폭에 걸쳐 전술한 암나사산(213)에 대응하는 수나사산(155)이 형성되어 있다.
토너 용기(200)의 장착 과정은, 토너 용기(200)를 본체(100)의 토너 용기 장착부(150)에 삽입시키는 제1 단계, 및 토너 용기(200)를 회전시켜 토너 배출공(211a)을 개방시키는 제2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도 6a는 상기 제1 단계(토너 용기 삽입 단계)가 완료된 이후 토너 용기(200)와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상기 제2 단계(토너 용기 회전 단계)가 완료된 이후 토너 용기(200)와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단계(토너 용기 삽입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도 셔터 부재(230)는 탄성 가압 부재(24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토너 배출공(211a)을 폐쇄하는 제1 위치(폐쇄 위치)를 여전히 유지한다. 이때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가압 돌기(154)는 셔터 부재(230)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처럼 상기 제1 단계(토너 용기 삽입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도 토너 배출공(211a)은 여전히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토너 용기(200)로부터 토너가 배출되지 않는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단계(토너 용기 회전 단계)에서 토너 용기(220)를 제1 방항(정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토너 용기(200)의 암나사산(213)이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수나사산(155)에 체결되면서 토너 용기(200)는 하방으로 좀 더 진입한다. 제2 단계에서 셔터 부재(230)는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가압 돌기(15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용기 몸체(210)의 토너 배출공(211a)을 개방하는 제2 위치(개방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단계(토너 용기 회전 단계)가 완료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200)의 토너 배출공(211a)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토너 용기(200) 내에 수용된 토너는 토너 용기(200)의 토너 배출공(211a) 및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토너 유출공(153)을 통해 현상 유닛(120)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로부터 토너 용기(200)를 분리하는 과정은 이상 설명한 토너 용기(200)의 장착 과정과 반대로 진행된다. 우선, 토너 용기(200)를 제2 방향(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산들(213,155) 간의 결합 및 셔터 부재(230)에 대한 가압 돌기(154)의 가압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돌기(154)의 가압이 해제되므로 셔터 부재(230)는 탄성 가압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토너 배출공(211a)을 폐쇄하는 제1 위치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토너 용기(200)를 토너 용기 장착부(150)로부터 빼냄으로써 토너 용기(200)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이처럼 셔터 부재(230)에 의해 토너 배출공(211a)이 폐쇄된 후 토너 용기 장착부(150)로부터 토너 용기(200)가 분리되므로, 토너 용기(200)의 교체 작업시 토너 용기(200) 내의 잔류 토너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0) 또는 사용자의 손이 더렵혀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에는 전술한 제1 타입의 토너 용기(200)에 대안적인 제2 타입의 토너 용기(300)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타입의 토너 용기(300)에 대해 도 7 내지 11, 12a, 및 1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 내지 11을 참조한다.
도 7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 가능한 대안적인 토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토너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토너 용기가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토너 용기 장착홈 부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토너 용기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유사한 부분 단면도서 셔터 부재의 대안적인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토너 용기(300)는, 토너 수용 공간(317)을 가진 원통 형상의 용기 몸체(310)와, 용기 몸체(3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 부재(320)와, 용기 몸체(310)의 저면부(311)에 결합된 셔터 부재(330)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310)는 원판 형상의 저면부(311) 및 저면부(3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측면부(312)를 포함한다. 저면부(311)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스크류 돌기(3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311)에는 제1 및 제2 토너 배출공(313a,313b)과, 제1 및 제2 고정 돌기 관통홀(314a,314b)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312)의 최하단부에는 제1 및 제2 회전 돌기(315a,315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회전 돌기(315a,315b)가 구비되는데,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회전 돌기들의 개수는 1개, 3개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수직 연장부(152)의 내측면에는 전술한 제1 및 제2 회전 돌기(315a,315b)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회전 안내홈(156a,15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연장부(152)의 내측면에는 토너 용기(300)의 장착시 제1 및 제2 회전 돌기(315a,315b)를 제1 및 제2 회전 안내홈(156a,156b)으로 안내하는 제1 및 제2 수직 안내홈(157a,157b)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회전 안내홈(156a,156b)의 형상을 고려하면, 제1 및 제2 회전 돌기(315a,315b)의 회전 각도 범위는 90˚가 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캡 부재(320)는 용기 몸체(310)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토너 용기(300) 내에 수용된 토너가 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셔터 부재(330)는 용기 몸체(310)의 토너 배출공들(313a,313b)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셔터 부재(330)에는 제1 및 제2 토너 배출공(313a,313b)의 개폐 수행을 위한 제1 및 제2 셔터공(331a,33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 부재(330)의 중앙에는 용기 몸체(310)의 스크류 돌기(316)에 체결되는 스크류홀(3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부재(330)의 저면에는 한 쌍의 고정홈(332a,332b)이 형성되어 있다.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저면부(151)에는 한 쌍의 탄성 지지 부재(159a,159b)에 탄성 지지된 한 쌍의 고정 돌기(158a,158b)(도 10 참조)가 구비되어 있는데, 토너 용기(300) 장착시 이러한 고정 돌기들(158a,158b)가 셔터 부재(330)의 고정홈들(332a,332b)에 삽입됨으로써 셔터 부재(300)는 회전 이동을 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돌기 및 고정홈의 개수는 각각 2개이나, 대안적으로 그 개수는 1개, 3개 등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셔터 부재(330)는 그것의 스크류홀(333)을 통해 용기 몸체(310)의 스크류 돌기(316)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용기 몸체(310)의 저면부(311)에 장착된다. 이처럼 셔터 부재(330)가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용기 몸체(310)에 장착됨으로써, 셔터 부재(330)의 장착이 완료된 시점에서 셔터 부재(330)의 고정홈들(332a,332b)의 위치가 토너 용기 장착부(150)의 고정 돌기들(158a,158b)의 위치에 정확히 대응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용기(300)를 토너 용기 장착부(150)에 장착할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돌기들(158a,158b)이 셔터 부재(330)의 고정홈들(332a,332b)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스크류홀(333) 및 스크류 돌기(316)이 나사산이 없는 단순 홀 및 돌기로 각각 구비된 경우라면, 셔터 부재(330)의 고정홈들(332a,332b)이 정해진 위치가 아닌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토너 용기 장착 시에 고정 돌기들(158a,158b)이 셔터 부재(330)의 고정홈들(332a,332b)에 정확히 삽입되기 어렵다.
도 10에와 같이 스크류 돌기(316)는 용기 몸체(310)의 저면부(31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셔터 부재(330)는 용기 몸체(3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도 11에서와 같이 스크류 돌기(316)는 용기 몸체(310)의 저면부(311)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셔터 부재(330)는 용기 몸체(310) 밖에 배치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용기 몸체(310)의 저면부(311)에 고정 돌기 관통홀들(314a,314b)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도 12a 및 12b를 참조한다.
토너 용기(300)의 장착은, 토너 용기(300)를 본체(100)의 토너 용기 장착부(150)에 삽입시키는 제1 단계, 및 토너 용기(300)를 회전시켜 토너 배출공들(331a,331b)을 개방하는 제2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도 12a 및 12b는 Ⅱ-Ⅱ 절단선을 따르는 도 10의 단면도로서, 도 12a는 도 7의 토너 용기의 장착 과정에서 토너 용기 삽입 단계(상기 제1 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b는 도 7의 토너 용기의 장착 과정에서 토너 용기 회전 단계(상기 제2 단계)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 삽입 단계(상기 제1 단계)가 완료되면, 용기 몸체(310)의 제1 및 제2 회전 돌기(315a,315b)는 토너 용기 장작부(150)의 제1 및 제2 회전 안내홈(156a,156b)에 비로소 배치된다. 이때, 토너 용기 장착부(150)에 구비된 고정 돌기들(158a,158b)은 용기 몸체(310)의 고정 돌기 관통홀들(314a,314b)을 통하여 셔터 부재(330)의 고정홈들(332a,332b)(도 8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셔터 부재(330)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때, 용기 몸체(310)에 형성된 토너 배출공들(313a,313b)은 셔터 부재(33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 회전 단계(상기 제2 단계)에서 토너 용기(310)는 정방향(R1 방향)(도면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된다. 그러한 제2 단계가 완료되면, 용기 몸체(310)의 제1 및 제2 토너 배출공(313a,313b)은 셔터 부재(330)의 제1 및 제2 셔터공(331a,331b)의 위치들에 대응되는 위치들에 배치된다. 이는 용기 몸체(310)의 제1 및 제2 토너 배출공(313a,313b)이 셔터 부재(330)에 의해 개방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단계가 완료된 후, 토너 용기(300) 내에 수용된 토너는 토너 용기(300)로부터 배출되어 현상 유닛(120)에 공급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로부터 토너 용기(200)를 분리하는 작업은 이상 설명한 토너 용기(300)의 장착 작업과 반대로 진행된다. 우선, 토너 용기(300)를 역방향(도면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시킴으로써 셔터 부재(330)에 의해 토너 배출공들(313a,313b)이 폐쇄되도록 한다. 이후, 토너 용기(300)를 토너 용기 장착부(150)로부터 빼냄으로써 토너 용기(300)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이처럼 셔터 부재(330)에 의해 토너 배출공들(313a,313b)이 폐쇄된 후 토너 용기 장착부(150)로부터 토너 용기(300)가 분리되므로, 토너 용기(300)의 교체 작업시 토너 용기(300) 내의 잔류 토너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0) 또는 사용자의 손이 더렵혀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3은 10에 유사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의 토너 용기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토너 용기(300)에 암나사산(315')을 형성하고 토너 용기 장착부(150)에 상기 암나사산(156')에 대응되는 수나사산(156')을 형성함으로써, 토너 배출공들(313a,313b)의 개폐시 토너 용기 장착부(150) 내에서의 토너 용기(300)의 회전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예에 의하면, 회전 돌기들(315a,315b)(도 8 참조), 회전 안내홈들(156a,156b), 및 수직 안내홈들(157a,157b)이 필요하지 않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토너 용기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 15의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는 비교적 작은 사이즈를 갖는 투-칼라(two-color) 레이저 프린터로서, 본체(500)와, 본체(5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토너 용기(600A,600B)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500)는 다수의 내부 부품들을 수용하여 화상형성장치(2)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510)을 갖는다. 이러한 외부 하우징(110)은, 화상형성장치(2)의 저면 및 상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저면 및 상면 하우징부(511,514), 화상형성장치(2)의 전면 및 후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전면 및 후면 하우징부(512,513), 그리고 화상형성장치(2)의 우측면 및 좌측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고 있는 우측 및 좌측 하우징부(515,516)를 포함한다. 이러한 외부 하우징(51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500)는 대략 직육면체의 심플한 외관을 갖는다.
전면 하우징부(512)의 상단부에는 인쇄된 용지의 배출을 위한 용지 배출구(5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하우징부(512)의 하단부에는 용지 트레이 유닛(530)의 전단이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용지 트레이 유닛(530)을 잡아당긴 후 용지 트레이 유닛(530) 내에 용지들을 공급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부(514)는 앞쪽에 배치되는 전방 영역(514a) 및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영역(514b)을 포함한다. 후방 영역(514b)이 전방 영역(514a)에 비해 조금 깊게 배치되도록, 두 영역(514a,514b)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후방 영역(514b)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두 개의 토너 용기 장착홈(501A,501B)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510)에는 이러한 후방 영역(514b)을 개폐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 부재(518)가 구비되어 있다.
두 개의 토너 용기들(600A,600B)은 바틀(bottle) 형상을 갖는다. 상부 케이싱부(514)에 형성된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홈(501A,501B)에 장착됨으로써 토너 용기들(600A,600B)에 수용된 토너들이 화상형성장치 본체(500)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홈(501A,501B)은 서로 거리를 두고 병렬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홈(501A,501B)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토너 용기들(600A,600B)도 서로 거리를 두고 병렬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토너 용기 장착홈들(501A,501B)을 좌측 하우징부(515) 또는 우측 하우징부(516)와 같은 본체(500)의 측면부에 형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토너 용기들(600A,600B)를 토너 용기 장착홈들(501A,501B)에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500)의 상부 하우징부(514)에 토너 용기 장착홈들(501A,501B)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토너 용기 장착홈들(501A,501B)은 상부 하우징부(514)로부터 수직하게 하방 연장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 장착홈들(501A,501B)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들(600A,600B)도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토너 용기들(600A,600B) 내에 수용된 토너들은 중력의 도움으로 토너 용기들(600A,600B)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커버 부재(518)의 개방 만으로 토너 용기 장착홈들(501A,501B)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토너 용기들(600A,600B)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여 토너 용기들(600A,600B)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토너 용기들(600A,600B)은 토너 용기 장착홈들(501A,501B)에 장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토너 용기 장착홈들(501A,501B) 밖으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각 토너 용기(600A,600B)의 상단부(예로써, 캡부)는 수용된 토너의 색상과 같은 색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2)에 장착된 토너 용기의 종류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두 개의 토너 용기(600A,600B)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토너 용기(600A)는 검정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며, 제2 토너 용기(600B)는 검정 색상과 다른 하일라이트용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다. 예로써 제2 토너 용기(600B)에는 하일라이트용으로 사용되는 빨간 색상의 토너가 수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토너 용기(600B)에는 하일라이트용으로 사용 가능한 다른 색상의 토너(예로써, 파란색 토너, 초록색 토너, 노란색 토너 등)가 수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두 개의 토너 용기(600A,600B)에 의해 기본 색상인 검정 색상의 토너와 하일하이트용 색상인 빨간 색상의 토너가 제공되므로, 화상형성장치(2)에 의하여 모노크롬 인쇄는 물론 하일라이트가 부가된 모노크롬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각 토너 용기(600A,600B)는 도 2에 도시된 전술한 제1 타입의 토너 용기(200)(도 2 참조) 및 도 7에 도시된 전술한 제2 타입의 토너 용기(300) 중 어느 하나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토너 용기들(200,300)과 마찬가지로 토너 용기들(600A,600B)의 교체 작업시 토너 용기들(600A,600B)에 잔류하는 토너들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500) 또는 작업자의 손이 더렵혀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a는 Ⅲ-Ⅲ 절단선을 따르는 도 14의 단면도이고, 도 16b는 Ⅳ-Ⅳ 절단선을 따르는 도 14의 단면도이다.
도 16a 및 16b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 본체(500) 내부에는 제1 및 제2 현상 유닛(520A,520B)과, 픽업 유닛(541)과, 다수의 이송 유닛(542a,542b,542c)과, 제1 및 제2 일차 전사 롤러(543A,543B)와, 이차 전사 롤러(590)와, 전사 벨트(570)와, 정착 유닛(544)과, 배지 유닛(545)과, 제1 및 제2 노광 유닛(546A,546B) 등의 부품들이 수용된다.
제1 현상 유닛(520A)는 전술한 제1 토너 용기(600A)에 대응하는 현상 유닛으로서, 현상 유닛 케이싱(521A)과, 그 케이싱 안에 수용된 감광 드럼(522A), 현상 롤러(523A), 및 공급 롤러(524A)를 포함한다. 제2 현상 유닛(520B)은 전술한 제2 토너 용기(600B)에 대응하는 현상 유닛으로서, 현상 유닛 케이싱(521B)과, 그 케이싱 안에 수용된 감광 드럼(522B), 현상 롤러(523B), 및 공급 롤러(524B)를 포함한다. 전사 벨트(570)는 구동 롤러(581)와 아이들 롤러(58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상 언급한 화상형성장치(2) 내의 부품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들이므로 그것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지 경로(P)를 따라 화상형성장치(2)에 의한 인쇄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 작업이 개시되면, 각 감광 드럼(522A,522B)에는 노광 유닛들(546A,546B)이 제공하는 레이저들에 의해 화상 데이타를 반영한 정전 잠상들(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며 그 정전 잠상들은 현상 롤러들(523A,523B)에 의해 토너 화상들로 변환된 후 회전하는 전사 벨트(570)에 1차로 전사된다. 인쇄 용지는 픽업 유닛(541)에 의해 픽업된 후, 아이들 롤러(582)와 이차 전사 롤러(590) 사이를 통과하면서 전사 벨트(570)에 전사된 토너 화상들을 2차로 전사받는다. 이후 인쇄 용지는 정착 유닛(544)에 의한 화상 정착 과정을 거친 후 후 용지 배출구(512a)를 통해 본체(500) 밖으로 배출된다.
본체의 상부 하우징(514)에는 두 개의 토너 용기 장착부(550A,55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너 용기 장착부(550A)는 전술한 제1 토너 용기 장착홈(501A)(도 15 참조)을 갖는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부(514)로부터 본체(500) 안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토너 용기 장착부(550A)는 제1 현상 유닛(520A)의 현상 유닛 케이싱(521A)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토너 용기 장착부(550A)에 대한 제1 토너 용기(600A)의 장착이 완료되면, 제1 토너 용기(500A)에 수용된 검정 색상의 토너는 제1 토너 용기 장착부(550A)를 거쳐 제1 현상 유닛(520A)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토너 용기 장착부(550B)는 전술한 제2 토너 용기 장착홈(501B)(도 15 참조)을 갖는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부(514)로부터 본체(500) 안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토너 용기 장착부(550B)는 제2 현상 유닛(520B)의 현상 유닛 케이싱(521B)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토너 용기 장착부(550B)에 대한 제2 토너 용기(600B)의 장착이 완료되면, 제2 토너 용기(500B)에 수용된 하일라이트 색상의 토너는 제2 토너 용기 장착부(550B)를 거쳐 제2 현상 유닛(520B)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토너 용기 장착부(550A,550B)는 상부 하우징부(514)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대안적으로 각 토너 용기 장착부(550A,550B)는 대응하는 현상 유닛 케이싱(521A,521B)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 화상형성장치(제1 실시예) 100 : 화상형성장치 본체
101 : 토너 용기 장착홈 102 : 토너량 표시 유닛
114 : 상부 하우징부 150 : 토너 용기 장착부
200 : 토너 용기(제1 타입) 210 : 용기 몸체
211a : 토너 배출공 230 : 셔터 부재
240 : 탄성 가압 부재 300 : 토너 용기(제2 타입)
310 : 용기 몸체 313a,313b : 토너 배출공
330 : 셔터 부재 331a,331b : 셔터공
2 : 화상형성장치(제2 실시예) 500 : 화상형성장치 본체
501A,501B : 토너 용기 장착홈 520A,520B : 현상유닛
550A,550B : 토너 용기 장착부 600A,600B : 토너 용기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며, 바틀(bottle) 형상을 가진 제1 및 제2 토너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토너 용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부 하우징부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홈에 각각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의 색상과 상기 제2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의 색상은 서로 다른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 용기에 수용되는 토너는 검정 색상의 토너이고, 상기 제2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는 하일라이트용 색상의 토너인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 용기 장착홈과 상기 제2 토너 용기 장착홈은 서로 거리를 두고 병렬 배치된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너 용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 밖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되게 대응하는 토너 용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부로부터 수직하게 하방 연장된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부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홈을 가진 제1 및 제2 토너 용기 장착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토너 유출공을 가진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면 하우징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연장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너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공이 형성된 용기 몸체; 및
    상기 토너 배출공을 폐쇄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토너 배출공을 개방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 몸체에 장착된 셔터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용기 몸체 내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너 용기는 상기 셔터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부의 저면부는 대응하는 토너 용기 장착시 상기 셔터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돌기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토너 배출공을 폐쇄하는 판 형상의 셔터부;
    상기 셔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탄성 가압 부재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 지지부; 및
    상기 셔터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토너 용기 장착시 상기 가압 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토너 용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셔터 부재의 배치는, 상기 용기 몸체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전환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 부재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공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공이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부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셔터 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돌기는 상기 토너 용기 장착부에 구비된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부에는 스크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 부재에는 상기 스크류 돌기와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측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기가 형성되며,
    각각의 토너 용기 장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 돌기의 회전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안내홈이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장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토너 용기 장착시 상기 회전 돌기를 상기 상부 하우징부로부터 상기 회전 안내홈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안내홈이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토너 용기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KR20130130984A 2013-09-02 2013-10-31 화상형성장치 KR20150026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06,939 US9335723B2 (en) 2013-09-02 2014-06-17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ainer mounting groove thereof
CN201410367470.1A CN104423213B (zh) 2013-09-02 2014-07-29 图像形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827 2013-09-02
KR1020130104827 201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697A true KR20150026697A (ko) 2015-03-11

Family

ID=5302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0984A KR20150026697A (ko) 2013-09-02 2013-10-3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66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5649B1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移動部材
US9329526B2 (en) Developer container,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5779915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粉体収納容器
JP551814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80268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58643A (ja) 画像形成装置
JP5505003B2 (ja) 粉体収納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385788B2 (en) Toner cartridge having linearly movable shutter member and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4605822B1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83130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US93357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ainer mounting groove thereof
JP201007230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EP286058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50026697A (ko) 화상형성장치
KR20150026696A (ko) 화상형성장치
JP2010181766A (ja) 画像形成装置
JP525741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76743A (ja) 画像形成装置
JP4983129B2 (ja) 画像形成装置
WO2020194767A1 (ja) 画像形成装置
JP6769321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70840B2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58641A (ja) 画像形成装置
EP377069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tachable part
JP200905864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