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079A -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079A
KR20150025079A KR20130102231A KR20130102231A KR20150025079A KR 20150025079 A KR20150025079 A KR 20150025079A KR 20130102231 A KR20130102231 A KR 20130102231A KR 20130102231 A KR20130102231 A KR 20130102231A KR 20150025079 A KR20150025079 A KR 20150025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ood
food garbage
discharge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버
Priority to KR2013010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5079A/ko
Publication of KR2015002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음식쓰레기에 물을 공급하면서 분쇄하여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을 배출하고, 분쇄된 음식쓰레기에 고열을 제공하여 빠른 속도로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음식쓰레기분쇄통(10)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수용공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20)와, 분산부재(2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칼(30)과, 고정칼(3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칼(30)과 상호작용하여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회전칼(40)와, 회전칼(4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설치되고, 회전칼(40)와 상호작용하여서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으깨어지도록 하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타공판(50) 및 타공판(50)과 고정칼(30)을 관통하는 상태로 회전칼(40)와 분산부재(20)에 키결합된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PULVERIZATION UNIT FOR FOOD GARBAGE}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음식쓰레기에 물을 공급하면서 분쇄하여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을 배출하고, 분쇄된 음식쓰레기에 고열을 제공하여 빠른 속도로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의 음식물 조리대에는 싱크대(세정대)가 설치된다. 싱크대의 상부에는 배수통이 형성되고, 배수통의 하부에는 플렉시블 배수용 호스를 통해 하수구가 연결된다.
음식쓰레기의 처리는 위생적이고도 효율적인 처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음식쓰레기의 분쇄처리 및 탈수처리를 병행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처리절차를 수행하는 기존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를 통해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2)와 분쇄기(2)로부터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탈수 처리하는 탈수기(3)를 포함하여 음식쓰레기의 분쇄 및 탈수처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일예로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분쇄기(2)를 지나 탈수기(3)를 거친 음식쓰레기는 적재통(4)에 적재되고 음식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배출호스(5)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전술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분쇄기와 탈수기가 각각 독립된 장치로 나뉘어져 있어 단순히 대량의 음식쓰레기를 처리한다는 측면에 있어서는 그 나름대로 효과적이라고 볼 수는 있겠으나, 음식쓰레기에서 염분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로 분쇄됨에 따라 재활용되지 못하고 쓰레기로만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특허공개번호 10-2003-0042158(2003.05.2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음식쓰레기의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음식쓰레기에 물을 공급하면서 분쇄하여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을 배출하고, 분쇄된 음식쓰레기에 고열을 제공하여 빠른 속도로 신속하게 건조시킬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은,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음식쓰레기분쇄통(10)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수용공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20)와, 분산부재(2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칼(30)과, 고정칼(3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칼(30)과 상호작용하여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회전칼(40)와, 회전칼(4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설치되고, 회전칼(40)와 상호작용하여서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으깨어지도록 하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타공판(50) 및 타공판(50)과 고정칼(30)을 관통하는 상태로 회전칼(40)와 분산부재(20)에 키결합된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산부재(2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식쓰레기분쇄통(10)은 내주면에 고정돌기(13)가 형성되고, 고정칼(30)은 장방형의 판형태로 형성되면서 양단에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고정돌기(13)에 끼워지는 고정홈(32)이 형성되며, 회전축(61)이 관통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되고, 관통홀(31)은 회전축(61)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중앙에 키홀(41)이 형성되는 회전몸체(42) 및 회전몸체(4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고정칼(3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고정칼(30)의 외측을 관통하는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회전칼날(43)을 포함하며, 회전칼날(43)은 고정칼(3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면(44)과, 상부면(44)의 끝단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절단된 음식쓰레기를 타공판(50)으로 가압하여서 으깨는 가압면(45) 및 가압면(45)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타공판(50)에 접촉되는 하부면(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식쓰레기분쇄통(10)은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고정돌기(13)가 형성되고, 타공판(50)은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테두리가 근접되도록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타공홀(53)이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고정돌기(13)에 끼워지는 고정홈(52)이 형성되고,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이 관통되는 관통홀(51)이 형성되며, 관통홀(51)은 회전축(61)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공판(5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에 키결합되어, 타공판(50)을 관통하여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하부에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70)를 더 포함하며, 배출부재(70)는 중앙에 키홀(71)이 형성되는 배출몸체(72) 및 배출몸체(7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배출몸체(72)와 함께 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날개(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배출몸체(72)는 상부로 뾰족한 콘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측에 삽입홈(74)이 형성되고, 배출날개(73)는 배출몸체(72)의 삽입홈(74)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삽입돌기(75)가 형성되고, 삽입돌기(75)측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식쓰레기분쇄통(10)은 하부에서 일측에 배출구(12)가 형성되고, 배출날개(73)는 탄성을 갖는 고무로 구성되고,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 형성된 배출구(12)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배출몸체(72)의 외주면에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까지의 길이(D1)보다 큰 길이(D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상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싱크대(1)의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80)를 더 포함하며, 음식쓰레기포집부재(80)는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수홀(2)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수분배출홀(81)이 일측에 형성되고,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 연통되는 음식쓰레기투입홀(82)이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통(83)과,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배수통(83)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통(83)을 싱크대(1)에 고정시키는 고정링(84)과, 고정링(84)의 테두리에 걸쳐져서 배수통(83)에 수용된 상태로 싱크대(1)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쓰레기가 걸러지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거름망(85) 및 배수통(83)의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폐쇄하는 뚜껑(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배수통(83)은 상부내주면에 암나사산(83a)이 형성되고, 고정링(84)은 싱크대(1)의 배수홀(2)에 걸쳐지도록 상단의 테두리에 외향플랜지(87)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배수통(83)의 암나사산(83a)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84a)이 형성되며, 고정링(84)은 상단의 테두리에 거름망(85)이 걸리도록 내향플랜지(88)가 형성되고, 내향플랜지(88)의 내측 테두리에 배수홈(8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은,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음식쓰레기에 물을 공급하면서 분쇄하여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을 배출하여 염분의 함유량을 최소화시키고, 분쇄된 음식쓰레기에 고열을 제공하면서 교반시켜서 타지 않게 하면서 빠른 속도로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식쓰레기가 절단된 후에 으깨질 수 있어서 음식쓰레기가 얇게 되면서 표면적이 증대되어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음식쓰레기포집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은,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음식쓰레기분쇄통(10)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수용공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20)와, 분산부재(2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칼(30)과, 고정칼(3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칼(30)과 상호작용하여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회전칼(40)와, 회전칼(4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설치되고, 회전칼(40)와 상호작용하여서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으깨어지도록 하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타공판(50) 및 타공판(50)과 고정칼(30)을 관통하는 상태로 회전칼(40)와 분산부재(20)에 키결합된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을 포함한다.
음식쓰레기분쇄통(10)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수용공간(11)에 수용된 음식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하부에서 일측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고정돌기(13)가 형성된다. 또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은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분사노즐(15)이 설치된다. 이러한, 물분사노즐(15)은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서 음식쓰레기가 분쇄되는 과정에 물을 공급하므로 음식쓰레기가 용이하게 분쇄될 뿐만 아니라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음식쓰레기의 분쇄가 완료된 후에 물을 분사하여 음식쓰레기분쇄통(10)을 청소할 수 있다.
분산부재(2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대략 "U"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이 키결합되는 키홀(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산부재(20)는 회전부재(6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 수용된 음식쓰레기를 분산시켜서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칼(30)은 장방형의 판형태로 형성되면서 중앙부분에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이 관통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되고, 양단에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고정돌기(13)에 끼워지는 고정홈(32)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31)은 내주면이 회전축(61)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축(61)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칼(30)은 장방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측으로 음식쓰레기가 통과될 수 있고, 양단의 고정홈(32)이 고정돌기(13)에 끼워져서 고정됨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칼(40)와 상호작용하여서 외측으로 통과되는 음식쓰레기가 절단되게 한다.
회전칼(40)은 중앙에 키홀(41)이 형성되는 회전몸체(42) 및 회전몸체(4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고정칼(3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고정칼(30)의 외측을 관통하는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회전칼날(43)을 포함한다.
회전칼날(43)은 고정칼(3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면(44)과, 상부면(44)의 끝단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절단된 음식쓰레기를 타공판(50)으로 가압하여서 으깨는 가압면(45) 및 가압면(45)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타공판(50)에 접촉되는 하부면(4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면(44)에서 가압면(45)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회전칼날(43)의 상부의 끝단이 날카롭게 되어서 음식쓰레기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이 회전몸체(42)의 키홀(41)에 키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면, 회전칼날(43)이 고정칼(30)의 저면과 타공판(50)의 상면에 상부면(44)과 하부면(46)이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음식쓰레기를 절단한다. 이때, 절단된 음식쓰레기가 가압면(45)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타공판(50)의 상부에서 가압되면서 으깨지는 상태로 타공판(50)을 통과하게 된다. 즉, 회전칼날(43)은 고정칼(30)과 타공판(50)의 사이에서 수평상태로 회전되어 고정칼(30)과 가위운동식으로 스쳐지나면서 음식쓰레기를 절단하고 절단된 음식쓰레기를 으깬다.
타공판(50)은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테두리가 근접되도록 원판형태로 형성되면서 중앙부분에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이 관통되는 관통홀(51)이 형성되고, 양측에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고정돌기(13)에 끼워지는 고정홈(52)이 형성되며, 절단된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타공홀(53)이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51)은 내주면이 회전축(61)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축(61)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칼(40)에 의해 절단되면서 으깨진 음식쓰레기가 타공홀(53)을 통과하여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하부에 쌓여서 모여지게 된다.
회전부재(60)는 회전축(61)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축(61)이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하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분산부재(20)의 키홀(21)과 회전칼(40)의 키홀(41)에 키결합되므로 회전축(61)의 회전에 의해 분산부재(20)와 회전칼(40)이 동시에 회전된다. 즉, 음식쓰레기가 분산되면서 절단되므로 미세한 크기로 용이하게 분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61)는 상단에 볼트가 나사결합 되도록 나사홀(62)이 형성된다. 즉, 볼트가 회전축(61)의 나사홀(62)에 결합됨에 따라 분산부재(20)와 회전칼(40)을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공판(5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에 키결합되어, 타공판(50)을 관통하여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하부에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70)를 더 포함한다.
배출부재(70)는 중앙에 키홀(71)이 형성되는 배출몸체(72) 및 배출몸체(7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배출몸체(72)와 함께 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날개(73)를 포함한다.
배출몸체(72)는 상부로 뾰족한 콘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측에 삽입홈(74)이 형성된다. 즉, 배출몸체(72)는 상부에 음식쓰레기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날개(73)는 배출몸체(72)의 삽입홈(74)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삽입돌기(75)가 형성되고, 삽입돌기(75)측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타공판(50)을 관통한 음식쓰레기가 배출몸체(72)의 상부에 쌓이지 않고 배출날개(73)의 상단에 걸쳐지지 않으면서 배출날개(73)의 일측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배출날개(73)는 배출몸체(72)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및 청소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출날개(73)는 탄성을 갖는 고무로 구성되고,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 형성된 배출구(12)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배출날개(73)는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배출몸체(72)의 외주면에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까지의 길이(D1)보다 큰 길이(D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출날개(73)는 삽입돌기(75)가 삽입홈(74)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면 끝단이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휘어지게 된다. 휘어진 상태의 배출날개(73)가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과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에 키결합된 배출몸체(72)와 함께 회전되면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배출날개(73)가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배출구(12)에 위치되면 휘어진 상태에서 강하게 펴지면서 음식쓰레기를 배출구(12)로 튕기듯이 밀어서 배출시킨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상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싱크대(1)의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80)를 더 포함한다.
음식쓰레기포집부재(80)는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수홀(2)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수분배출홀(81)이 일측에 형성되고,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 연통되는 음식쓰레기투입홀(82)이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통(83)과,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배수통(83)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통(83)을 싱크대(1)에 고정시키는 고정링(84)과, 고정링(84)의 테두리에 걸쳐져서 배수통(83)에 수용된 상태로 싱크대(1)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쓰레기가 걸러지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거름망(85) 및 배수통(83)의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폐쇄하는 뚜껑(86)을 포함한다.
배수통(83)은 상부내주면에 암나사산(83a)이 형성되고, 싱크대(1)의 측방으로 배출되는 수분이 유입되도록 타측에 수분유입홀(83b)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통(83)은 하단이 전술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음식쓰레기투입홀(82)이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수용공간(11)에 연통된다. 즉, 뚜껑(86)이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개방하면 음식쓰레기가 음식쓰레기분쇄통(10)으로 수용될 수 있다.
고정링(84)은 싱크대(1)의 배수홀(2)에 걸쳐지도록 상단의 테두리에 외향플랜지(87)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배수통(83)의 암나사산(83a)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84a)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링(84)은 상단의 테두리에 거름망(85)이 걸리도록 내향플랜지(88)가 형성되고, 내향플랜지(88)의 내측 테두리에 배수홈(89)이 형성된다.
거름망(85)은 상부가 개구되면서 내부에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도록 용기형태이면서 수분이 관통되는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고, 고정링(84)의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상부의 테두리에 걸림플랜지(85a)가 형성된다.
여기서, 거름망(85)의 걸림플랜지(85a)는 고정링(84)의 내향플랜지(88)에 걸려도 배수홈(89)이 걸림플랜지(85a)에 의해 커버되어서 폐쇄되지 않으므로, 싱크대(1)에 버려지는 물이 배수홈(89)을 통해 배수통(8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싱크대(1)에는 물이 남지 않게 된다. 특히, 싱크대(1)에서 설거지를 하는 과정에서 김치나 김칫국물이 포함된 음식쓰레기가 거름망(85)에 걸러지는 경우, 김치나 김칫국물에 포함된 고춧가루가 거름망(85)을 막게 되어서 김칫국물이나 설거지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세정수가 거름망(85)을 통해 배수되지 못하면서 배수홈(89)을 통해 배수통(83)으로 유입되게 된다. 즉, 고춧가루가 거름망(85)을 막아도 김칫국물이나 세정수가 배수통(83)으로 유입되어서 수분배출홀(81)을 통해 하수관(미도시)으로 배출될 수 있다.
뚜껑(86)은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폐쇄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통해 음식쓰레기의 악취를 차단한다. 또한, 뚜껑(86)은 수분이 고이지 않도록 상부로 볼록한 반구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뚜껑(86)에 의해 음식쓰레기투입홀(82)이 폐쇄된 상태에서 배수통(83)에 물이 투입되어도 뚜껑(86)의 상부에서 흘러내려서 고이지 않으면서 배수통(83)의 하부에서 수분배출홀(8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배수통(83)에는 김칫국물이나 세정수가 남지 않게 되므로 배수통(83)의 오염과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뚜껑(86)이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폐쇄한 상태에서 음식을 요리하기 위해 재료를 손질하거나 설거지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와 함께 세정수가 싱크대(1)에 버려지게 된다. 이때, 음식쓰레기와 세정수가 싱크대(1)의 배수홀(2)을 통해 배출되면서 세정수는 거름망(85)을 통과하여 배수통(83)에 유입되면서 음식쓰레기는 거름망(85)에 걸러지게 된다. 이어서, 세정수가 배수통(83)에 유입되면서 수분배출홀(81)을 통해 배출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배수통(83)에서 거름망(85)을 분리시키면서 뚜껑(86)을 제거하여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개방한 후에 거름망(85)의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투입홀(82)에 투입시킨다. 이때, 음식쓰레기투입홀(82)에 투입되는 음식쓰레기는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 투입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전술한 회전부재(60)를 작동시켜서 회전축(61)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분쇄한다. 여기서, 세정수와 함께 음식쓰레기가 버려짐에 따라 세정수가 거름망(85)을 통해 배출되면서 음식쓰레기는 모여지게 되므로, 세정수의 배출시 음식쓰레기에 포함되었던 염분도 함께 배출된다. 즉, 음식쓰레기는 염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분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쇄된 음식쓰레기는 전술한 배출부재(70)에 의해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서 별도로 마련된 수집통(미도시)에 모여져서 재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싱크대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와 세정수가 함께 버려져도 세정수는 배출시키고 음식쓰레기만 따로 분리하여서 분쇄할 수 있으므로, 음식쓰레기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음식쓰레기에 물을 분사하면서 분쇄하여 염분의 함유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동물사료나 작물의 비료로 재활용될 수 있어서, 가정이나 식당의 싱크대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싱크대 2 : 배수홀
10 : 음식쓰레기분쇄통 11 : 수용공간
12 : 배출구 13 : 고정돌기
20 : 분산부재 21 : 키홀
30 : 고정칼 31 : 관통홀
32 : 고정홈 40 : 회전칼
41 : 키홀
42 : 회전몸체 43 : 회전칼날
44 : 가압면 45 : 평탄면
50 : 타공판 51 : 관통홀
52 : 고정홈 53 : 타공홀
60 : 회전부재 61 : 회전축
62 : 나사홀 70 : 배출부재
71 : 키홀 72 : 배출몸체
73 : 배출날개 74 : 삽입홈
75 : 삽입돌기 80 : 음식쓰레기포집부재
81 : 수분배출홀 82 : 음식쓰레기투입홀
83 : 배수통 83a : 암나사산
84 : 고정링 84a : 숫나사산
85 : 거름망 85a : 걸림플랜지
86 : 뚜껑 87 : 외향플랜지
88 : 내향플랜지 89 : 배수홈

Claims (10)

  1.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음식쓰레기분쇄통(10)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수용공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20)와,
    분산부재(2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칼(30)과,
    고정칼(3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칼(30)과 상호작용하여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회전칼(40)와,
    회전칼(4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설치되고, 회전칼(40)와 상호작용하여서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으깨어지도록 하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타공판(50) 및
    타공판(50)과 고정칼(30)을 관통하는 상태로 회전칼(40)와 분산부재(20)에 키결합된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산부재(2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은 내주면에 고정돌기(13)가 형성되고,
    고정칼(30)은 장방형의 판형태로 형성되면서 양단에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고정돌기(13)에 끼워지는 고정홈(32)이 형성되고, 회전축(61)이 관통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되며,
    관통홀(31)은 회전축(61)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칼(40)은
    중앙에 키홀(41)이 형성되는 회전몸체(42) 및
    회전몸체(4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고정칼(3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고정칼(30)의 외측을 관통하는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회전칼날(43)을 포함하며,
    회전칼날(43)은 고정칼(3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면(44)과,
    상부면(44)의 끝단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절단된 음식쓰레기를 타공판(50)으로 가압하여서 으깨는 가압면(45) 및
    가압면(45)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타공판(50)에 접촉되는 하부면(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은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고정돌기(13)가 형성되고,
    타공판(50)은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에 테두리가 근접되도록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타공홀(53)이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고정돌기(13)에 끼워지는 고정홈(52)이 형성되고,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이 관통되는 관통홀(51)이 형성되며,
    관통홀(51)은 회전축(61)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타공판(5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회전부재(60)의 회전축(61)에 키결합되어, 타공판(50)을 관통하여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하부에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70)를 더 포함하며,
    배출부재(70)는
    중앙에 키홀(71)이 형성되는 배출몸체(72) 및
    배출몸체(7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배출몸체(72)와 함께 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날개(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배출몸체(72)는 상부로 뾰족한 콘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측에 삽입홈(74)이 형성되고,
    배출날개(73)는 배출몸체(72)의 삽입홈(74)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삽입돌기(75)가 형성되고, 삽입돌기(75)측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8. 청구항 6에 있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은 하부에서 일측에 배출구(12)가 형성되고,
    배출날개(73)는 탄성을 갖는 고무로 구성되고,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 형성된 배출구(12)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배출몸체(72)의 외주면에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내주면까지의 길이(D1)보다 큰 길이(D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9.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의 상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싱크대(1)의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80)를 더 포함하며,
    음식쓰레기포집부재(80)는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수홀(2)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수분배출홀(81)이 일측에 형성되고, 음식쓰레기분쇄통(10)에 연통되는 음식쓰레기투입홀(82)이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통(83)과,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배수통(83)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통(83)을 싱크대(1)에 고정시키는 고정링(84)과,
    고정링(84)의 테두리에 걸쳐져서 배수통(83)에 수용된 상태로 싱크대(1)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쓰레기가 걸러지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거름망(85) 및
    배수통(83)의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투입홀(82)을 폐쇄하는 뚜껑(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배수통(83)은 상부내주면에 암나사산(83a)이 형성되고,
    고정링(84)은 싱크대(1)의 배수홀(2)에 걸쳐지도록 상단의 테두리에 외향플랜지(87)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배수통(83)의 암나사산(83a)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84a)이 형성되며,
    고정링(84)은 상단의 테두리에 거름망(85)이 걸리도록 내향플랜지(88)가 형성되고, 내향플랜지(88)의 내측 테두리에 배수홈(8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KR20130102231A 2013-08-28 2013-08-28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KR20150025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231A KR20150025079A (ko) 2013-08-28 2013-08-28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231A KR20150025079A (ko) 2013-08-28 2013-08-28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79A true KR20150025079A (ko) 2015-03-10

Family

ID=5302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231A KR20150025079A (ko) 2013-08-28 2013-08-28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50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925B1 (ko) * 2022-12-29 2023-09-21 장성은 분쇄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925B1 (ko) * 2022-12-29 2023-09-21 장성은 분쇄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3001998B1 (pt) Máquina espremedora para produzir leite de soja com função de moagem
KR20110099423A (ko)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US8613251B2 (en) Centrifugal juicers
KR2015001720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12929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25079A (ko)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KR101484686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143266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14742A (ko) 음식물쓰레기 교반장치
CN109053233A (zh) 家庭生活垃圾回收处理智慧设备
KR101388996B1 (ko) 탈수와 분쇄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
KR2017007940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43836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CN212792360U (zh) 垃圾处理器的研磨***
KR2015001723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130376A (ko) 소용량 음식물 건조처리기
EP1684619B1 (en) Kitchen machine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2015010445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분쇄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615456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WO2009113145A1 (ja) 破砕脱水装置および脱水袋
KR101345231B1 (ko) 회수용 음식물처리기
CN211464255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KR20030031054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