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425A -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425A
KR20150012425A KR1020130087922A KR20130087922A KR20150012425A KR 20150012425 A KR20150012425 A KR 20150012425A KR 1020130087922 A KR1020130087922 A KR 1020130087922A KR 20130087922 A KR20130087922 A KR 20130087922A KR 20150012425 A KR20150012425 A KR 2015001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power
unit
in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2425A/ko
Priority to EP14829094.3A priority patent/EP3026772B1/en
Priority to CN201910117400.3A priority patent/CN110011281A/zh
Priority to CN201480037727.5A priority patent/CN105359367A/zh
Priority to PCT/KR2014/006694 priority patent/WO2015012587A1/ko
Priority to US14/906,922 priority patent/US10153646B2/en
Publication of KR2015001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전압을 패시브 소자의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여 과전압을 감지하고, 과충전 시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전압을 패시브 소자의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여 과전압을 감지하고, 과충전 시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전기 구동용 자동차의 배터리 과충전 감지 및 차단하는 RAD(Runaway Arrest Device)는 배터리가 과충전시 배터리 셀이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을 이용하여 과충전 여부를 감지한다. 구성상 배터리 셀의 측면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배터리 셀 측면의 스웰링 변위량에 의해 물리적으로 스위치가 눌려짐으로서 과충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RAD는 스위치를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선에 직렬 접속시켜 배터리 과충전시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배터리 결속 상태를 감지하는 HVIL(High Voltage Interlock Loop)를 통해 배터리관리장치(BMS: Battery Management System)로 이상 현상을 통보함으로써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RAD는 배터리 과충전시 발생하는 스웰링 현상에 의존하므로, 배터리 셀 스웰링 현상 자체가 배터리 자체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 불규칙한 점을 감안해 보았을 때에, 과충전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의 측면에 위치하는 스위치와 배터리 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구성해야 하는 어려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오동작 가능성, 배터리 셀 측면의 스웰링을 감지하기 위해서 배터리 셀 측면에 스위치가 장착될 공간이 필요한 점 등 여러 사정이 고려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기존 전기 구동용 자동차의 배터리 과충전 감지 및 차단하는 CID(Current Interrrupt Device)는 배터리가 과충전시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이 본래의 위치에서 이탈되도록 배터리 셀의 텝(tab)부를 끊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CID는 배터리 과충전시에 발생되는 배터리 셀 스웰링 현상에 민감하게 동작하기 위해서 기구적으로 weak point를 고의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기계적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과, 앞서 RAD와 같이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기 위해서 배터리 셀 측면에 장치가 장착될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미국공개특허 [2011-0298463]에서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공개특허 [2011-029846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전기적인 변화로 과충전을 감지하고, 패시브 소자를 이용하여 과충전 시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에 연결되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분배하는 입력전압 분배부;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와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를 통해 입력된 전압이 일정전압 이상 감지되면 동작하는 전압 감지부; 상기 전압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압 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내부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시켜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코일부와 연결되고, 배터리관리장치(BMS)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는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압 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치부가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 상기 릴레이 코일측 선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 감지부는 션트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애노드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의 저항과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캐소드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가 연결된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며,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가 연결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과 연결되고,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를 이용하여 분배된 입력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레퍼런스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원 차단부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일부의 일측은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가 연결된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부의 타측은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일측은 배터리관리장치(BMS)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타측은 공통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되며,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비복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원 차단부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전원 차단부의 코일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또는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애노드와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에 연결되는 안전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안전부는 커패시터, TVS 다이오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팩의 충전 중에 과충전이 발생되면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관리장치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된 전원 차단부에 의해 배터리 팩의 과충전 시 배터리 관리장치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배터리관리장치의 제어와 무관하게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입력전압 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전압을 전압감지부의 입력전압으로 사용함에 따라, 전압감지부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션트레귤레이터로 구성된 전압감지부를 사용함에 따라, 전압감지부의 온도에 따른 동작편차를 최소화 하여 동작정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과충전 감지회로와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회로를 별도로 구성함에 따라, 평상시 전압감지부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차단부를 비복귀회로로 구성함에 따라, 과충전 발생 후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래칭 릴레이로 구성된 전원 차단부를 사용함에 따라, 자기유지회로의 별도구성이 필요치 않아 크기, 비용과 무게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차단부의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에 의하여 코일 동작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여 전압감지부가 영향받지 않도록 함에 따라, 전압감지부의 정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안전부의 구성에 따라, 오차율을 감소시키고, 순간적인 전압상승에 의해 다른 소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동작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전원 차단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과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과충전 상태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를 포함한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를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를 포함한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를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전원 차단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과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과충전 상태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를 포함한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를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를 포함한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를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1000)는 입력전압 분배부(100), 전압 감지부(200), 전원 차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 있어서, 배터리 팩(10) 충전 중에 과충전이 발생되면 배터리 셀의 전압이 상승하게 되며,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의 전압 값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과충전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의 전압을 패시브 소자의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여 일정 전압에 패시브 소자가 동작하여 과충전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입력전압 분배부(100)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에 연결되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분배한다.
과충전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의 전압 값과, 패시브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값은 다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을 패시브 소자의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이 과충전 시 전압으로 나타날 경우, 패시브 소자가 동작되도록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입력전압(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의 전압)을 분배한다.
여기서, 입력전압 분배부(100)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받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입력받거나, 배터리 팩(10) 전체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입력받도록 배터리 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전압으로 받는 제1 입력전압 분배부와, 배터리 팩(10) 전체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입력받는 제2 입력전압 분배부 등 여러 개의 입력전압 분배부를 구성하고 이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전압 감지부, 제2 전압 감지부, 제1 전원 차단부, 제2 전원 차단부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과충전 방지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다수 개의 과충전 방지장치(1000)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 예로 무접점 릴레이 소자(110)가 배터리 팩(10)에서 맨 하위에 연결된 단위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입력받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압 감지부(200)는 입력전압 분배부(100)와 연결되며, 입력전압 분배부를 통해 입력된 전압이 일정전압 이상 감지되면 동작한다.
전원 차단부(300)는 전압 감지부(200)와 연결되며, 전압 감지부(200)의 동작에 의해 내부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시켜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다시 말해, 전압 감지부(200)에 입력된 전압이 과충전 발생 시의 전압이면, 전원 차단부(300)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외부 회로(배터리관리장치: BMS)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터리 팩(10)의 충전 중에 과충전이 발생되면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에 따라,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은 배터리 셀(10)과 연결된 파워릴레이어셈블리(PRA: Power Relay Assembly)(20) 및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에 포함된 각각의 릴레이를 제어하는 배터리관리장치(BMS: Battery Management System)(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는 제1 메인 릴레이(+)(21), 제2 메인 릴레이(-)(22), 프치라지(Pre-Charge) 릴레이(23), 프리차지(Pre-Charge) 저항(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메인 릴레이(+)(21)는 배터리 팩(1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배터리 팩(1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메인 릴레이(-)(22)는 배터리 팩(10)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고, 배터리 팩(1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프리차지 저항(24)과 프리차지 릴레이(23)는 배터리 팩(1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제1 메인 릴레이(21)에 접속하기 전에 프리차지(Pre-Charge)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1 메인 릴레이(21)에 바로 접속 시 발생할 수 있는 아크 방전(Arc Discharge)을 방지하여 회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프리차지 릴레이(23)는 제1 메인 릴레이(+)(21)와 병렬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저항(24)은 프리차지 릴레이(23)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배터리 팩(10)은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를 통해 전기적인 연결 및 차단이 가능하며, 배터리관리장치(30)에 의해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의 각각의 릴레이가 제어된다.
전원 차단부(300)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부는 전압 감지부(200)와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압감지부(200)가 전원 차단부(300)의 코일에 전원을 인가 할 수 있다.
스위치부는 배터리관리장치(30)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된다.
이때, 전압 감지부(200)의 동작에 의해 전원 차단부(300)의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 차단부(300)의 스위치부가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 릴레이 코일측 선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릴레이 코일측 선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각각의 릴레이 코일에 전원이 인가될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관리장치(30)에 의한 각각의 릴레이 제어가 불가능하며, 각각의 릴레이는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다시 말해, 배터리관리장치(30)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된 전원 차단부(300)에 의해 배터리 팩(10)의 과충전 시 배터리 관리장치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배터리관리장치(30)의 제어와 무관하게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배터리관리장치(30)의 문제 발생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압 분배부(100)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배터리 셀의 전압을 분배하는 것은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압을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 나타나는 전압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 나타나는 전압이 4.75V이고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이 2.5V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KΩ과 20KΩ의 저항을 이용하면, 배터리 셀의 전압이 4.75V(과충전 시 전압) 이상인 경우, 전압감지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전압 분배부(100)로 입력된 전압(과충전 감지용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셀의 전압)이 과충전 시 전압일 경우 전압감지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압으로 맞추기 위해 복수 개의 저항을 이용하여 전압을 분배할 수 있다.
입력전압 분배부(100)의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은, 입력 전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전압을 입력받는지, 혹은 배터리 팩(10) 전체 전압을 입력받는지에 따라서, 그에 맞추어 배터리 저항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전압 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전압을 전압감지부의 입력전압으로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하나의 셀, 다수 개의 셀, 배터리 팩 전체 등)의 전압을 입력전압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전압감지부를 다양하게 구성(전압감지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에 따른 제약이 없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감지부(200)는 션트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션트레귤레이터는 애노드, 캐소드 및 레퍼런스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션트레귤레이터의 애노드는 입력전압 분배부(100)의 저항과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션트레귤레이터의 캐소드는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연결된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며, 션트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는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연결된 배터리 셀의 음극과 연결된다.
이때, 입력전압 분배부(100)를 이용하여 분배된 입력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으로 입력되면 션트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레퍼런스가 통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션트레귤레이터(SR : Shunt Regulator)의 애노드에 기 설정된 전압 크기보다 작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 캐소드와 레퍼런스가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션트레귤레이터(SR : Shunt Regulator)의 애노드에 기 설정된 전압 크기보다 큰 전압이 인가될 경우, 캐소드와 레퍼런스가 통전(동작)된다.
통상적으로 단위 배터리 셀의 충전 전압 크기가 4.2 볼트라는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배터리 셀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받을 경우, 과충전으로 감지되어야 하는 전압 크기는 4.2볼트에서 5볼트 사이 값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 나타나는 전압이 4.75V이고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이 2.5V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KΩ과 20KΩ의 저항을 이용하면 배터리 셀의 전압이 4.75V(과충전 시 전압) 이상의 값일때 션트레귤레이터의 애노드에 2.5V 이상의 값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캐소드와 레퍼런스가 통전(동작)된다.
션트레귤레이터는 외부 온도에 따른 작동전압의 편차가 무접점 릴레이 소자(SSR: Solid State Relay) 등에 비하여 상당히 작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동작편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동작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과충전으로 감지되어야 하는 전압 크기는 입력 전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전압을 입력받는지 혹은 배터리 팩(10) 전체 전압을 입력받는지에 따라서 그에 맞추어 배터리 과충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 크기가 결졍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차단부(300)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부는 일측이 입력전압 분배부(100)가 연결된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고, 타측이 션트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연결된다.
스위치부는 일측이 배터리관리장치(BMS)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되고, 타측이 공통선(-)과 연결된다.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팩과 연결된 모든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해야 한다. 예를 들어, 파워릴레이어셈블리가 배터리 팩에 연결될 경우 제1 메인릴레이(+), 제2 메인릴레이(-) 및 프리차지 릴레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해야 한다. 각각의 릴레이 모두의 전기적인 연결을 한 번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릴레이 코일과 연결된 공통 선로의 사이에 전원 차단부(300)를 연결하여 공통선로를 차단하는 것으로 손쉽게 모든 릴레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과충전 감지회로(코일부와 연결된 회로)와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회로(스위치부와 연결된 회로)를 별도로 구성함에 따라, 평상시 전압감지부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원 차단부(300)는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의해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위치부가 동작되며,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비복귀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위치부가 동작되는 구성으로,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스위치부의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준다.
비복귀회로로 구성된 전원 차단부는 비복귀 회로를 통해서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배터리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 줌으로써, 배터리 과충전에 대한 후속 조치가 있기 전까지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전원 차단부를 비복귀회로로 구성함에 따라, 과충전 발생 후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배터리 팩(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전원 차단부(300)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전원 차단부(300)로 래칭(Latching) 릴레이 소자가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래칭 릴레이 소자는, 별도의 제어를 하기 전까지는 코일에 전류가 끊어져도 접점이 그대로 붙어 있는 상태로 있는 릴레이 소자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의 과충전 시 나타나는 전압이 4.75V이고 전압감지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이 2.5V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전압이 4.75V 미만이면 션트레귤레이터가 통전불가 상태가 되고 래칭 릴레이 역시 전압 감지부(200)가 동작하지 않은 초기상태를 유지하므로 배터리관리장치(30)에 의한 파워릴레이 제어(제1 메인릴레이(+), 제2 메인릴레이(-) 및 프리차지 릴레이의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전압이 4.75V 이상이면 션트레귤레이터가 통전 상태가 되고 래칭 릴레가 동작하여 파워릴레이어셈블리의 코일단에 전류가 차단되어 각각의 릴레(제1 메인릴레이(+), 제2 메인릴레이(-) 및 프리차지 릴레이)이 모두가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된다.
이때, 래칭 릴레이는 과충전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된 이후,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내부 스위치를 계속 현 상태(과충전 차단 상태)로 유지하면서 초기 상태(배터리관리장치(30)에 의한 릴레이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복귀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배터리 과충전 상태가 발생되어 래칭 릴레이 의 스위치가 변경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전압 분배부(100)로 입력되는 전압이 배터리관리장치(30)로 전달되도록 구성(To BMS:Voltage Sensing)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 내의 릴레이들의 전원 차단 여부에 상관없이 배터리관리장치(30)에 과충전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렇게 감지된 과충전 상태는 차량 외부나 내부에 과충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 등을 켜지게 하여 과충전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다시 말해, 래칭 릴레이에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배터리 과충전 상태를 알리는 신호가 외부로 제공되도록 해 줌으로써, 배터리 과충전에 대한 후속 조치가 있기 전까지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해 줄 수 있다.
그 이외에도 래칭 릴레이로 구성된 전원 차단부를 사용함에 따라, 자기유지회로의 별도구성이 필요치 않아 크기, 비용과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적용 가능한 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를 직접 구현한 예를 보여준다. 이렇게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를 구성하는 소자들로만 장착된 PCB에 커넥터를 장착하여, 배터리 셀 및 파워릴레이어셈블리(20)에 연결할 수 있으며,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배터리 팩(10) 내부 어디든 장착할 수 있어 배치가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셀의 전압을 배터리관리장치(30)로 전달하는 센싱PCB에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에 사용 가능한 소자들을 실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센싱 PCB 커넥터에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가 필요한 핀 수만 늘려 커넥터를 추가하지 않아도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크기와 제작 단가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1000)의 장착 위치를 전압 센싱 PCB 또는 배터리 팩(10) 내부 등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차단부(300)는 전원 차단부(300)의 코일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300)의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에 의하여 코일 동작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고, 전압감지부(200)의 노이즈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전압감지부(200)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는 배터리 셀의 양단 또는 션트레귤레이터의 애노드와 션트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에 연결되는 안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전부(400)는 커패시터, TVS 다이오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적용 가능한 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를 직접 구현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터리관리장치(30)와 별도로 배터리 과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안정성 추가 확보 및 ISO26262 규격에 부합하도록 해 준다.
또한, 전기적 방식으로 과충전을 감지하고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적 방식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기계적 방식보다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배터리 팩
20: 파워릴레이어셈블리
21: 제1 메인 릴레이
22: 제2 메인 릴레이
23: 프리차지 릴레이
24: 프리차지 저항
30: 배터리관리장치
100: 입력전압 분배부
200: 전압 감지부
300: 전원 차단부

Claims (10)

  1.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팩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양단에 연결되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분배하는 입력전압 분배부;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와 연결되며,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를 통해 입력된 전압이 일정전압 이상 감지되면 동작하는 전압 감지부;
    상기 전압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압 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내부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시켜 배터리 팩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 차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과충전 방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코일부와 연결되고, 배터리관리장치(BMS)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는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압 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치부가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 상기 릴레이 코일측 선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부는
    션트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애노드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의 저항과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캐소드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가 연결된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며,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는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가 연결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과 연결되고,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를 이용하여 분배된 입력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레퍼런스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코일부와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일부의 일측은 상기 입력전압 분배부가 연결된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부의 타측은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캐소드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일측은 배터리관리장치(BMS)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 코일측 선로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타측은 공통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코일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되며, 별도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비복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전원 차단부의 코일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 또는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애노드와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에 연결되는 안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는
    커패시터, TVS 다이오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 장치.
KR1020130087922A 2013-07-25 2013-07-25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20150012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922A KR20150012425A (ko) 2013-07-25 2013-07-25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EP14829094.3A EP3026772B1 (en) 2013-07-25 2014-07-23 Battery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CN201910117400.3A CN110011281A (zh) 2013-07-25 2014-07-23 电池过充电防止装置
CN201480037727.5A CN105359367A (zh) 2013-07-25 2014-07-23 电池过充电防止装置
PCT/KR2014/006694 WO2015012587A1 (ko) 2013-07-25 2014-07-23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US14/906,922 US10153646B2 (en) 2013-07-25 2014-07-23 Battery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922A KR20150012425A (ko) 2013-07-25 2013-07-25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902A Division KR102218431B1 (ko) 2017-06-02 2017-06-02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425A true KR20150012425A (ko) 2015-02-04

Family

ID=5239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922A KR20150012425A (ko) 2013-07-25 2013-07-25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53646B2 (ko)
EP (1) EP3026772B1 (ko)
KR (1) KR20150012425A (ko)
CN (2) CN110011281A (ko)
WO (1) WO20150125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491A (ko) 2015-09-11 2017-03-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과충전 방지 회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104942A (ko) * 2016-03-08 2017-09-1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과충전 방지 방법
KR20180098852A (ko) * 2017-02-27 2018-09-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과충전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494B1 (ko) 2015-09-25 2023-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광전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WO2017155272A1 (ko) * 2016-03-08 2017-09-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과충전 방지 방법
CN106183823A (zh) * 2016-07-08 2016-12-07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高压控制***及其控制方法
KR102222119B1 (ko) * 2016-08-11 2021-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80098887A (ko) * 2017-02-27 2018-09-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20210108148A (ko) * 2020-02-25 2021-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KR20220012070A (ko) * 2020-07-22 2022-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출력단의 이상 전압 출현 방지기능을 갖는 배터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20055366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충전 관리 장치, 충전 관리 방법 및 전기 차량
US20240097237A1 (en) * 2022-09-21 2024-03-21 Viridi Parente, Inc. Battery pack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and responding to thermal runawa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8938B2 (ja) 1992-03-17 2001-12-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充電装置
JP3581428B2 (ja) * 1995-04-28 2004-10-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充電式電源装置
US5864458A (en) * 1995-09-14 1999-01-26 Raychem Corporatio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PTC devices and switches
JP3368124B2 (ja) * 1995-10-26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過充電防止回路
KR20020009287A (ko) * 2000-07-25 2002-02-01 이형도 정전압 및 정전류 제어 회로
KR100425265B1 (ko) 2001-11-13 2004-03-30 장문환 일반/비상 겸용 형광램프 점등제어장치
US6943529B2 (en) 2001-12-16 2005-09-13 Zinc Matrix Power, Inc. Battery charging system
US6678183B2 (en) * 2002-03-20 2004-01-13 Safco Corporation DC power conditioning system
JP2004064977A (ja) 2002-07-31 2004-02-26 Densei Lambda Kk 無停電電源装置
KR100624944B1 (ko) 2004-11-29 2006-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JP4810459B2 (ja) * 2007-02-19 2011-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の過電圧保護回路
JP5187234B2 (ja) 2009-02-27 2013-04-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二次電池の過充電検出装置
CN201490686U (zh) 2009-07-11 2010-05-26 杭州之江开关股份有限公司 自复式过欠压保护器
KR20110021397A (ko) 2009-08-26 2011-03-0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6030817B2 (ja) 2010-06-04 2016-11-24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バッテリ状態監視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5664223B2 (ja) 2010-12-27 2015-02-04 ソニー株式会社 充電装置
JP5494633B2 (ja) * 2011-12-02 2014-05-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491A (ko) 2015-09-11 2017-03-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과충전 방지 회로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033206B2 (en) 2015-09-11 2018-07-24 Hyundai Mobis Co., Ltd. Overcharge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04942A (ko) * 2016-03-08 2017-09-1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과충전 방지 방법
KR20180098852A (ko) * 2017-02-27 2018-09-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과충전 방지 장치
CN108512266A (zh) * 2017-02-27 2018-09-07 Sk新技术株式会社 电池模块过充电防止装置
CN108512266B (zh) * 2017-02-27 2023-06-02 Sk新能源株式会社 电池模块过充电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56205A1 (en) 2016-06-02
EP3026772B1 (en) 2021-11-10
EP3026772A1 (en) 2016-06-01
WO2015012587A1 (ko) 2015-01-29
US10153646B2 (en) 2018-12-11
CN110011281A (zh) 2019-07-12
CN105359367A (zh) 2016-02-24
EP3026772A4 (en)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2425A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EP35253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charge
US83552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battery pack by detecting destruction of sense resistor in battery pack
US9941712B2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EP2894759B1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With Permanent Disable
KR101882835B1 (ko) 배터리 과충전 감지 장치
EP3767731B1 (en) Battery pack and charging bank
CN110832732A (zh) 电池的保护电路和具备该保护电路的电源装置
KR102218431B1 (ko)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US9472941B2 (en) Battery module
KR102044598B1 (ko)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90094714A (ko)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5037210A1 (ja) 切替回路
EP3534485B1 (en) Battery pack,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11095719A (zh) 蓄电池装置
KR102258736B1 (ko) 배터리 시스템 과전압 방지 장치
KR102246181B1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102363568B1 (ko) 배터리 모듈 과충전 방지 장치
KR20210028356A (ko) 배터리 차단 장치, 배터리 장치 및 전력 차단 방지 방법
JP2015061404A (ja) 二次電池システム
CN110301064B (zh) 用于长期标记至少一个电池部件的***
KR1007522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품 배터리 검출 장치
KR20200141826A (ko) Ess의 셀 밸런싱부 전원 라인 차단 장치
KR20200059460A (ko) 고전력 시스템의 릴레이 스위치 정상동작 검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7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02

Effective date: 2019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