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719A - 복합 분산매를 이용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분산매를 이용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719A
KR20150009719A KR20130083998A KR20130083998A KR20150009719A KR 20150009719 A KR20150009719 A KR 20150009719A KR 20130083998 A KR20130083998 A KR 20130083998A KR 20130083998 A KR20130083998 A KR 20130083998A KR 20150009719 A KR20150009719 A KR 2015000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nic crystal
color
display device
particles
dispers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훈
이원목
이종인
한성구
고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719A/ko
Priority to US14/334,050 priority patent/US9563098B2/en
Publication of KR2015000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2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y interferen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2Photonic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34Colour display without the use of colour mosaic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 인가를 통해 색상이 조절되는 광결정성 표시소자용 조성물에 있어서, 광결정의 분산매를 유전상수가 다른 2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복합 분산매를 사용하여 입자 간격을 미세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범위의 파장을 포괄하는 RGB 풀컬러 구현이 가능하게 하는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분산매를 이용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reflective color of polymeric colloidal photonic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mixed dispersing media}
본 발명은 전기장 인가를 통해 색상이 조절되는 광결정성 표시소자용 조성물에 있어서, 광결정의 분산매를 유전상수가 다른 2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복합 분산매를 사용하여, 휘발성을 낮추고, 부반응이 없으면서 입자 간격을 미세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범위의 파장을 포괄하는 RGB 풀컬러 구현이 가능하게 하는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과 이에 의해 조절된 광결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고 플렉시블 소자로 응용될 수 있는 반사형 표시 소자에 관한 연구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반사형 표시 소자의 예로 E-ink의 전자 잉크(electronic ink) 기술을 들 수 있으나, 이는 기본적으로는 흑백 표시 방법으로서 풀컬러 표시 소자 구현을 위해서는 컬러필터 장착의 필요가 있어 반사율이 낮아 표시 소자의 색상이 어두우며, 다양한 색 표현이 어렵고, 색 전환 속도 역시 느려 동영상 표현이 부적합한 한계가 있다.
종래 반사형 컬러 표시소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방법의 하나로 매질에 분산된 입자의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방법이 있다. 광결정은 매질 내에 정렬된 입자 또는 3차원 구조물을 의미하며, 광결정에 입사된 빛이 3차원 구조에 의해 Bragg 회절되어 특정 파장의 빛 만이 반사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광결정은 전기장에 의해 구조상 입자 간격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전기 변색 표시 소자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결정 표시소자는 RGB 풀컬러를 구현하기 위하여 컬러필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얇고, 제작 방식에 따라 매우 높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 표면 전하를 갖는 특정 크기의 입자를 단일 용매에 분산시켜 액상 콜로이드 광결정을 제조하여 자기장 인가를 통해 반사색을 조절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원하는 색상의 표시장치 색상 범위를 갖기 위해서는 콜로이드에 포함되는 광결정성 입자 자체의 크기를 합성 과정에서 정밀하게 조절하여 제조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콜로이드의 단일 용매로 주로 사용하는 물의 경우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가 발생되는 부반응이 문제가 되며, 휘발성이 있어 장기간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3372호(2011.09.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892호(2009.10.22.)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결정 입자가 분산되는 분산매로서 유전상수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복합 분산매를 사용하여 광결정 입자의 크기 자체를 조절하지 않고도 원하는 RGB 풀컬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광결정 입자 농도가 저농도인 경우에도 선명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물 만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인 수소 발생의 부반응을 줄이고 휘발성을 낮출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복합 분산매에 광결정 입자를 분산하여 광결정을 형성함으로써 부반응이 없고 휘발성이 낮아 안정성이 증진되며, 상기 복합 분산매의 농도 조절을 통하여 상기 광결정 입자의 간격을 정밀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광결정 입자의 농도가 저농도인 경우에도 선명한 색상 구현이 가능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전상수가 상이한 2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복합 분산매에 광결정성 입자를 분산시켜 제조되는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으로서, 상기 복합 분산매의 상기 2종 이상의 용매의 농도를 조절하여 상기 광결정의 반사색을 정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사색 조절 방법에 따라 반사색이 조절된 광결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반사색 조절 방법에 따라 조절된 광결정을 2 이상의 광투과성 전극을 포함하는 밀폐 용기 내에 투입하고, 상기 광투과성 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입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에 따라 조절된 광결정, 2 이상의 광투과성 전극을 포함하는 광결정 표시장치로서, 상기 광결정을 상기 2 이상의 광투과성 전극 사이에 투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성 입자는 표면 전하를 갖는 고분자 입자로서, 상기 광결정성 입자들은 광결정 내에서 동일 부호의 표면전하를 갖기 때문에 입자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광결정성 입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구형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구형 입자는 합성시에 음이온성 단량체와 음이온성 개시제를 사용하여 합성된 입자의 표면 음이온 밀도를 높인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광결정성 입자는 직경 50nm~300nm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결정성 입자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표면 전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동일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반사색 스펙트럼의 피크가 달라지므로, 원하는 전압에서 구현되는 색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입자 자체의 합성시에 상기 입자의 크기를 정밀 조절할 필요가 있었던 종래 기술과 달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결정은 복합 분산매의 농도 조절을 통하여 손쉽게 상기 반사색 스펙트럼의 피크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광결정성 입자는 상기 광결정 총 중량에 대하여 0.1~70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3~1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결정성 입자가 0.1중량% 미만으로 낮으면 충분한 색상 발현을 위한 회절이 일어나지 않으며,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져 콜로이드 입자의 속도가 느려져 색상 구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결정은 복합 분산매의 농도 조절을 통하여 입자간의 간격을 정밀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15중량% 이하의 저농도의 광결정성 입자만을 포함하여도 선명한 색상 발현이 가능하며, RGB 풀컬러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분산매는 유전상수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분극성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극성 액체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디에틸에테르, 메틸-t-부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2-부탄올, 아세토니트릴, 아세트산,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분산매는 물과 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분산매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단일 용매를 분산매로 사용한 경우에 나타나는 반사색 스펙트럼 피크의 파장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결정의 반사색 파장의 정밀 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복합 분산매에 함유되는 용매의 유전상수 차는 0.1~1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결정성 입자와 상기 복합 분산매의 굴절률 차이는 0.05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표시 장치는 상기 광투과성 전극 사이에 0.1~20V의 전기장을 인가하여 입자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반사색 파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광투과성 전극은 상기 전기장이 인가되는 영역을 2개 이상의 부분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 대하여 각각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전극은 광결정 표시소자에 관한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투명 전극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TO 전극(Indium Tin Oxide) 전극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은, 광결정성 입자를 2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복합 분산매에 분산시켜 광결정을 제조하며, 상기 복합 분산매에 포함되는 용매의 농도 조절을 통하여 광결정성 입자간의 입자 간격의 정밀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광결정성 입자의 합성에 의해 결정되는 입자의 크기, 상기 광결정성 입자의 농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반사색 피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결정은 물 이외의 휘발성이 낮은 용매를 물과 함께 포함하기 때문에 용매 휘발에 따른 장시간 안정성 열화를 피할 수 있으며, 물이 과량 포함된 경우 전압 인가로 인해 물이 전기분해되어 수소가 발생하게 되는 부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에 의하면, 반사색 파장 조절을 위해 광결정성 입자의 합성시의 입자 크기의 정밀 조절 없이도 용이하게 원하는 RGB 풀컬러의 구현이 가능하며, 발현 가능한 색채 파장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상기 광결정성 입자의 농도가 저농도인 경우에도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면서도 부반응이 없고 장시간 안정성이 우수한 표시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기입자와 단일 분산매를 사용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단일 분산매(물)를 사용한 광결정 표시장치에 태양태양 입사하였을 때와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반사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고분자 입자와 혼합 용매를 사용한 광결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표시장치의 용매 조성을 변경하여 입자 사이 간격을 변화시킨 광결정 표시장치의 모식도와 각 표시장치의 상, 하 기판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반사색 변화를 유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3 입자를 혼합 분산매에 분산시켜 제조한 광결정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전압 인가가 없는 상태에서의 글리세롤 각 농도에 대한 색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3 입자를 혼합 분산매에 분산시켜 제조한 광결정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전압 인가가 없는 상태에서, 글리세롤 각 농도에 대한 UV-Vis 분광계를 사용하여 반사율을 측정하여 반사율 스펙트럼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3 입자를 글리세롤 농도가 각각 25, 30, 35중량%인 물-글리세롤 혼합 분산매에 분산시킨 광결정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0v, 3.1v, 3.5v의 전압을 인가하면서 반사광 색변화를 UV-Vis 분광계를 사용하여 반사율 측정을 실시하여 스펙트럼 상의 피크 파장을 시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3 입자를 글리세롤 농도가 30중량%인 물-글리세롤 혼합 분산매에 분산시킨 광결정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0 ~ 3.9V 사이의 전압을 0.1V 간격으로 인가하면서 반사광 색변화를 디지털 카메라로 측정하고, 측정된 색변화를 CIE 색좌표상에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3 입자를 글리세롤 농도가 35중량%인 물-글리세롤 혼합 분산매에 분산시킨 광결정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0 ~ 3.9V 사이의 전압을 0.1V 간격으로 인가하면서 반사광 색변화를 디지털 카메라로 측정하고, 측정된 색변화를 CIE 색좌표상에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폴리스티렌 구형입자의 합성
스티렌 단량체, 음이온성 단량체인 3-알릴옥시-2-하이드록시-1-프로판술폰산, 음이온성 개시제인 포타슘퍼설페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화제로 소듐도데실설페이트(Sodium Dodecylsulfate), X-linker로 다이비닐벤젠(Divinylbenzene)을 사용하였다. 사용량은 증류수 30㎖에 스티렌 단량체 6~13㎖, 음이온성 단량체인 3-알릴옥시-2-하이드록시-1-프로판술폰산은 0~0.6g, 음이온성 개시제인 포타슘퍼설페이트는 0.01~1g, 소듐도데실설페이트는 0.011~0.54g, 다이비닐벤젠은 0.51g을 사용하여 유화중합법을 통하여 폴리스티렌 구형입자를 합성하였다. 상기 개시제, 유화제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합성되는 입자의 직경이 작아지며, 단량체의 양이 적어지는 경우에도 입자 직경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입자 직경을 조정하여 하기 표 1의 직경을 갖는 폴리스티렌 구형입자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폴리스티렌 구형입자의 크기 및 표면 전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입자 직경(nm) 표면전위(mV)
PS-1 90 -49.62
PS-2 150 -56.77
PS-3 170 -61.10
[시험예 1] 단일 분산매를 사용한 광결정 표시장치의 반사색 확인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PS-3 입자(직경 170nm) 15중량%를 물에 분산시켜광결정을 형성한 후, 두 장의 ITO 전극 사이에 도 1과 같이 60㎛ 두께로 투입시켜 밀폐시켰다. 물에 분산된 복수의 PS-3 입자들은 표면 음전위에 의한 반발력으로 인하여 전기적으로 안정화되어 면심입방 광결정 정렬구조를 형성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광 등의 백색광이 입사되면 Bragg 회절 현상에 의해 녹색의 특수 파장의 빛 만을 반사하는 표시장치로서 작동한다. 상기 광결정이 밀폐된 ITO 전극 사이에 2.5V 이상의 직류 전기장을 인가하면 음전하를 띈 복수의 입자들이 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양극(+) 쪽으로 이동하여 광결정 입자의 간격이 줄어들며, 이로 인하여 Bragg 반사광의 파장이 짧아져 표시장치의 색이 청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1] 광결정의 제조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PS-3 입자(직경 170nm) 15중량%를 물에 분산시켜 비교예 1을 제조하고, 상기 PS-3 입자 15중량%를 물에 분산시킨 후 하기 표 2의 조성이 되도록 글리세롤을 첨가하여, 혼합 분산매에 분산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인 실시예 2~7를 제조하였다.
혼합 분산매
(혼합 분산매 총 중량에 대한 중량%)
광결정 총 중량에 대한 광결정성 입자 함유량(중량%) 굴절률
물 함량 글리세롤 함량
비교예 1 100 0 15 1.333
실시예 1 90 10 13.5 1.346
실시예 2 80 20 12 1.357
실시예 3 70 30 10.5 1.371
실시예 4 60 40 9 1.384
실시예 5 50 50 7.5 1.397
실시예 6 40 60 6 1.407
실시예 7 30 70 4.5 1.428
[시험예 2] 혼합 분산매의 농도 조절에 따른 반사광 관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광결정 중 비교예 1, 실시예 2 및 3을 두 장의 ITO 기판 사이에 60㎛ 두께로 밀폐시킨 후, 실온에서 글리세롤 함량에 따른 색 변화를 디지털 카메라로 측정하여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결과에서, 글리세롤 함량이 0, 20, 30%로 변할 때 반사광의 색이 각각 초록, 주황, 빨강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의 반사광 파장이 글리세롤 함량의 증가에 따라 길어져 글리세롤 함량 조절을 통해 초기 반사색 파장의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혼합 분산매의 농도 조절에 따른 반사색 스펙트럼 변화 관찰
혼합 분산매 농도 조절에 따른 반사색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광결정 중 비교예 1, 실시예 2, 4, 6 및 7을 두 장의 ITO 기판 사이에 60㎛ 두께로 밀폐시킨 후, UV-Vis 분광계를 사용하여 반사율 측정을 수행하여 반사율 스펙트럼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의 결과에서, 글리세롤 함량 증가에 따라 스펙트럼 피크가 점차 장파장으로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살펴보면, 물-글리세롤 혼합 분산매에 있어서 글리세롤 함량이 증가함에 따른 굴절률 변화만을 고려한다면, Bragg 식에 의해 순수한 물 만을 분산매로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물:글리세롤=30:70의 혼합 분산매를 사용한 경우에 반사 피크의 파장변화는 +7%가 되어야 하므로 물:글리세롤=30:70의 혼합 분산매를 사용한 경우 반사색 스펙트럼의 피크가 615nm로 예상된다. 그러나 도 5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제로 약 36%의 파장 변화가 일어나 스펙트럼 피크 값이 770nm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펙트럼 피크 값의 변화는 글리세롤 함량 증가에 따른 굴절률 변화만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며, 분산매의 유전상수가 증가하면서 광결정성 입자 사이의 분산력이 감소되어 입자 사이 거리가 증가하고, 글리세롤 함량 증가와 동시에 광결정성 입자 비율이 감소됨에 따라 입자간 거리가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는 복합적인 결과로서, 굴절률 변화만으로부터는 예상할 수 없는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4] 전압 인가에 따른 반사광 변화 관찰
상기 참고예 1에서 합성된 PS-3 입자(직경 170nm) 15중량%를 물에 분산시킨 후, 글리세롤을 혼합 분산매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25중량%, 30중량%, 35중량%로 첨가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른 혼합 분산매에 분산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을 제조하였다.
혼합 분산매
(혼합 분산매 총 중량에 대한 중량%)
광결정 총 중량에 대한 광결정성 입자 함유량(중량%)
물 함량 글리세롤 함량
실시예 8 75 25 11.25
실시예 9 70 30 10.5
실시예 10 65 35 9.75
상기 각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을 ITO 전극 사이에 25㎛ 두께로 가두어 표시장치를 제조하였으며, 각 표시장치에 0V, 3.1V, 3.5V의 전압을 인가하여 반사광 색변화를 UV-Vis 분광계를 사용하여 반사율을 측정하였으며, 각 스펙트럼에서의 피크 파장을 시간에 따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의 결과에서, 혼합 분산매의 글리세롤 함량에 따라 동일 전압 인가시의반사광 피크 범위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의 각각의 조성에 따라 제조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을 이용하여 ITO 전극 사이에 25㎛ 두께로 가두어 제조한 표시장치에 0V~3.9V 사이의 전압을 0.1V 간격으로 인가하면서 반사광 색변화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색변화를 색채 색차계로 측정하여 색 변화를 CIE 색좌표상에 도시하여 결과를 각각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에 의하여 반사광의 스펙트럼 범위가 변화하며, 혼합 분산매의 글리세롤 함량을 조절하여 구현되는 컬러의 범위를 풀컬러로 조정할 수 있으며 선명한 색상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롤 30중량%인 실시예 9의 경우 CIE 색좌표상에서 나타나는 표준 색 영역인 NTSC 대비 9.7%의 색 영역을 나타낼 수 있으며, 글리세롤 35중량%인 실시예 10의 경우 13.6%의 색 영역을 나타내므로 혼합 분산매 내의 글리세롤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낼 수 있는 색 범위, 즉 파장 범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글리세롤 함량 증가에 따른 굴절률 변화만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며, 분산매의 유전상수가 증가하면서 광결정성 입자 사이의 분산력이 감소되어 입자 사이 거리가 증가하고, 글리세롤 함량 증가와 동시에 광결정성 입자 함량이 감소되는 점에 의하여도 입자간 거리가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는 복합적인 결과로 판단된다.

Claims (8)

  1. 유전상수가 상이한 2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복합 분산매에 표면 전하를갖는 광결정성 입자를 분산시켜 제조되는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으로서, 상기 복합 분산매의 상기 2종 이상의 용매의 농도를 조절하여 상기 광결정의 반사색을 정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광결정성 입자를 3~15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분산매는 물과 글리세롤 및 에틸렌글리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성 입자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색 조절 방법에 따라 반사색을 조절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산매를 이용한 광결정의 제조 방법.
  6. 제5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광결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색 조절 방법에 따라 조절된 광결정을 2 이상의 광투과성 전극을 포함하는 밀폐 용기 내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광투과성 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입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결정의 반사색 조절 방법에 따라 조절된 광결정 및 2 이상의 광투과성 전극을 포함하는 광결정 표시장치로서, 상기 광결정을 상기 2 이상의 광투과성 전극 사이에 투입하여 제조되는 광결정 표시장치.
KR20130083998A 2013-07-17 2013-07-17 복합 분산매를 이용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 KR20150009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998A KR20150009719A (ko) 2013-07-17 2013-07-17 복합 분산매를 이용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
US14/334,050 US9563098B2 (en) 2013-07-17 2014-07-17 Method of and device for controlling reflective color of polymeric colloidal photonic crystal display using mixed dispersion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998A KR20150009719A (ko) 2013-07-17 2013-07-17 복합 분산매를 이용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719A true KR20150009719A (ko) 2015-01-27

Family

ID=5234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3998A KR20150009719A (ko) 2013-07-17 2013-07-17 복합 분산매를 이용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63098B2 (ko)
KR (1) KR201500097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554A1 (ko) * 2015-03-19 2016-09-22 전진환 3d 프린팅에 이용되는 인쇄 매체, 컬러 3d 프린팅 방법, 컬러 3d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13418A (ko) * 2017-04-06 2018-10-1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광결정성 입자 분산액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결정 표시 장치
CN111982834A (zh) * 2020-07-31 2020-11-24 大连大学 一种快速检测有机溶剂蒸汽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1485B (zh) * 2017-01-06 2021-09-07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EP3928132A4 (en) * 2019-02-18 2022-11-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STATIC ALIGNMENT AND SURFACE ASSEMBLY OF PHOTONIC CRYSTALS FOR DYNAMIC COLOR EXHIBITION
CN113960701B (zh) * 2021-11-15 2024-01-19 华东师范大学 一种基于弱极性溶剂体系的低电压电响应光子晶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5019A1 (de) * 2009-06-10 2010-12-16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merkm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merkmals
KR20120011786A (ko) * 2010-07-19 2012-02-08 주식회사 나노브릭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19419B1 (ko) * 2012-11-08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결정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554A1 (ko) * 2015-03-19 2016-09-22 전진환 3d 프린팅에 이용되는 인쇄 매체, 컬러 3d 프린팅 방법, 컬러 3d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13418A (ko) * 2017-04-06 2018-10-1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광결정성 입자 분산액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결정 표시 장치
CN111982834A (zh) * 2020-07-31 2020-11-24 大连大学 一种快速检测有机溶剂蒸汽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2877A1 (en) 2015-01-22
US9563098B2 (en)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9719A (ko) 복합 분산매를 이용한 고분자 콜로이드 광결정 표시 장치의 반사색 조절 방법
US10048505B2 (en) Gra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rating
KR101856834B1 (ko) 착색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CN105044963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9063353B2 (en) Air stable, color tunable plasmonic structures for ultraviolet (UV) and visible wavelength applications
KR20040011621A (ko) 밴드갭 조절을 이용한 광조절장치 및 광결정 디스플레이
WO201513377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773263B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TW201903028A (zh) 膜、組成物的製造方法、硬化物的製造方法及膜的製造方法
Wang et al. 59.1: Invited paper: electrophoretic display platform comprising B, W, R particles
CN110058447A (zh) 彩色滤光片基板及液晶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2014035385A (ja) 調光素子、調光装置、および、それらの駆動方法
CN103676397A (zh) 可调光子晶体滤色器和彩色图像显示装置
KR101401117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Zheng et al. Electrophoretic plasmonic ink for dynamic color display
KR20170123173A (ko) 액정캡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3960701B (zh) 一种基于弱极性溶剂体系的低电压电响应光子晶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Bao et al. Low‐Voltage Electrically Responsive Photonic Crystal Based on Weak‐Polar Colloidal System
Li et al. High-Saturation Full-Color Printing with All-Dielectric Chiral Metasurfaces
Arsenault et al. Development of photonic crystal composites for display applications
KR101327893B1 (ko)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2696B1 (ko) 광결정성 입자 분산액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결정 표시 장치
KR101564092B1 (ko) 구조색을 나타내는 소재 및 방법
US10139698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Wang et al. Photonic‐Crystal Display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