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833A -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833A
KR20150007833A KR20130082372A KR20130082372A KR20150007833A KR 20150007833 A KR20150007833 A KR 20150007833A KR 20130082372 A KR20130082372 A KR 20130082372A KR 20130082372 A KR20130082372 A KR 20130082372A KR 20150007833 A KR20150007833 A KR 20150007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ed
wheel
lo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459B1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4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형태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는 파이프를 지지 및 가이드하면서 이송시키도록, 상기 파이프의 표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휠부; 상기 휠부의 저부에 결합된 제 1 승강플레이트;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저부에 결합되고, 플레이트 변위에 따른 부하 하중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하중게이지부; 상기 하중게이지부의 저부에 결합된 제 2 승강플레이트;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저부에 결합된 변위조절부; 상기 변위조절부의 저부에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부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HAND-HELD TYPE APPARATUS FOR STUFFING PIPE}
본 발명은 선박의 블록의 파이프 설치 구멍의 방향과 위치에 맞게 파이프를 적입시키도록, 파이프를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일반 건축물 보다도 규모가 훨씬 크고, 공정면에서도 복잡하며, 수많은 부재와 기자재 등을 기밀하게 설치 및 조립하여 부유체로서 구조적 강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예컨대, 선박용 의장공사에서는 선각공사와 병행해서 진행되는데, 미리 설계한 공정에 맞춰서 파이프와 철의장제품들을 만든다. 이후, 블록 선행의장공사를 통해서 선체의 블록 내부에 의장품과 파이프들을 적재적소에 정밀하게 설치하는 블럭 선행의장공사가 실시된다.
특히, 선박 건조시 도크에서 선박의 각 부분인 블록을 결합시켜 제작하게 되는데, 각각의 블록을 제작할 때 블록 내부 또는 외부에 필요한 파이프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선체의 내부에는 파이프가 많이 결합 또는 설치되는데, 천정 또는 이동식 타워 크레인을 사용하여 블록의 내부에 파이프를 적입(積入)하는 경우, 크레인의 운전 부주의 등으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고 타워 크레인의 가동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체의 블록에 설치되는 파이프 중에는 10미터 이상의 장관이 있고, 이러한 장관을 설치할 때, 작업자가 협소 구역에서 불안전한 자세에서 파이프를 핸들링하는 작업을 수행시,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를 블록의 파이프 구멍 등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는 파이프 구멍의 위치 및 방향에 맞게 파이프를 가이드하면서 이송시키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파이프 적입 장치는, 주행 및 조향이 가능한 본체로서 휴대하기가 매우 어렵고, 블록의 파이프 구멍과 같은 좁은 공간이나, 본체의 바퀴로 이동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사용될 수 없다.
특히, 선박의 의장품의 한 종류인 파이프는 파이프의 연결 부분에 플랜지와 같은 돌출물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안착대의 롤러에 걸려 파이프가 이송되기 어려운 중량물이다.
이런 경우, 종래 기술에서도 단순히 안착대를 실린더로 승강 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안착대 중 상기 플랜지 근처의 안착대만을 하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파이프와 안착대의 롤러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플랜지의 간섭을 피할 수는 있을지언정, 상기 이격 공간 위쪽에 있는 파이프의 부위에서 상기 이격 공간으로 인하여 지지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의 부위에서 굽힘력이 하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파이프의 자중에 의해 파이프가 휠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될 수 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재빠르게 파이프를 이동시켜서, 하강된 상태의 안착대의 롤러 위쪽의 이격 공간을 이용하여, 파이프 이동시 플랜지가 롤러에 대하여 간섭 없이 지나가게 한 후, 다시 원래 상태로 안착대의 롤러가 복귀되도록, 안착대를 상승시켜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 입장에서는 하강된 상태의 안착대의 롤러에 다시 놓여질 파이프의 굽힘 하중 또는 롤러 허용 하중을 파악할 방법이 없다.
즉, 작업자는 경험에 의존하여 적당히 또는 단순하게 파이프의 높이(위치)에 대응하도록 안착대 및 롤러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이 경우, 상승된 안착대의 롤러에 가중될 하중, 즉 상기 롤러 허용 하중이 기존 주변의 안착대에 작용한 롤러 허용 하중과 차이를 갖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모든 안착대의 롤러에서 균일한 지지력이 파이프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실린더를 작동시켜서 안착대를 적당 위치까지 상승시켜서 다른 안착대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지만, 그 상승된 안착대의 롤러에 인가된 하중이 다른 안착대의 롤러 허용 하중과 동일한지, 또는 약한지, 혹은 강한지 알 수 없다.
이렇게 한번 하강되었다가 다시 상승된 안착대의 롤러와 파이프간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경우, 파이프 이송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처짐이 생길 수 있고, 반대로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할 경우, 그 안착대의 롤러에서만 파이프 이송 방향에 대하여 상향으로 파이프를 굴곡시킬 수 있는 과도한 지지력으로 작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파이프 이송 방향성이 악화되어서, 파이프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파이프 적입 장치는 복수로 사용되어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데, 이러한 파이프 적입 장치들의 배치 또는 정렬 작업에 역시 작업자의 경험을 의존함으로써, 파이프 적입 장치의 정밀한 정렬 작업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 파이프 적입 장치는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게 회전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롤러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파이프를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파이프 피팅(fitting)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파이프를 안전하게 지지 및 이송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파이프 적입 장치는 실린더 등의 유압 설비를 이용하기 때문에, 휴대형으로 소지, 이동 및 보관이 매우 어렵고, 거대한 사이즈로 인하여, 파이프 적입 작업자가 현장 환경에 맞게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용이하게 소지 및 이동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1858호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휠부, 하중게이지부, 변위조절부, 고정부를 휴대 가능하게 구성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고, 파이프를 파이프의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휠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체크하여 높이조절 이후에 휠부에 인가되는 파이프의 하중을 체크함으로써, 균등하게 지지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파이프 이송 효율을 증대시키고, 파이프 이송 도중 굽힘 변형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형태에 따르면, 파이프를 지지 및 가이드하면서 이송시키도록, 상기 파이프의 표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휠부; 상기 휠부의 저부에 결합된 제 1 승강플레이트;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저부에 결합되고, 플레이트 변위에 따른 부하 하중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하중게이지부; 상기 하중게이지부의 저부에 결합된 제 2 승강플레이트;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저부에 결합된 변위조절부; 상기 변위조절부의 저부에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부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게이지부는,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 사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휠부는, 상기 파이프의 이송 방향 및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옴니휠; 및 상기 옴니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된 휠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부는, 상기 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호 이격되어 대향적으로 경사 배치된 이송휠; 상기 이송휠의 회전 중심에 결합된 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지샤프트를 V자 형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샤프트가 결합되어 있는 삼각형 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게이지부는,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상부테두리에 마련되어 있고, 정지턱이 슬라이딩구멍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는 외부 하우징; 상기 정지턱에 대응하는 단턱이 안착구멍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하단면이 가리키는 눈금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기 위한 볼트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슬라이딩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안착구멍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휠 허용 하중에 대응한 탄성 계수를 갖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조절부는, 레버를 갖는 핸들; 상기 핸들이 끝단에 결합된 나사샤프트; 상기 나사샤프트의 일측과 타측에서 대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된 접철링크부; 상기 접철링크부의 상측 끝단에 조인트 결합되고,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에 연결된 이동브래킷; 및 상기 접철링크부의 하측 끝단에 조인트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된 고정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인력을 작용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케이싱; 및 상기 영구자석의 배치구조를 회전에 의해 변경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된 스위치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제 2 승강플레이트에 결합된 레이저 조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아우트리거(outrigg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우트리거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양측 다리의 하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된 높이 조절형 지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옴니휠 구조의 휠부를 제공하여, 파이프를 파이프의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의 이송 및 회전 도중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파이프와 선박 의장품간 피팅 작업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 1 승강플레이트와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사이에 하중게이지부를 구비하고, 변위조절부에 의해 휠부, 제 1 승강플레이트, 하중게이지부 및 제 2 승강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휠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작업자의 육안으로 체크할 수 있고, 그 결과, 다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와 대등한 지지력(예: 파이프의 중량에 대응한 상대적인 하중)이 높이조절된 해당 휠부에 인가되게 할 수 있고, 높이 조절로 인해 파이프의 이송 방향성이 변화되지 않게 함에 따라 파이프 이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파이프 이송 도중 굽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실시예는 고정부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부에 볼트로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볼트를 풀어서, 고정부 대신에 선박의 론지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클램프부재(미 도시)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설치 효용성이 높다.
넷째, 본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제 2 승강플레이트에 레이저 조준기를 부가하여, 다수의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간 정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중간 저부에서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아우트리거를 장치하여, 파이프의 안정된 지지 기반이 될 수 있고,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본 실시예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사이즈로 제작되어, 이동 및 보관, 취급이 간편할 수 있다.
일곱째, 본 실시예 중 다른 응용예에 따르면,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자체는 파이프의 연장 방향으로 일치되게 배치되어 있고, 휠부의 이송휠만이 파이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각도 90도 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파이프 적입 작업 현장의 바닥의 돌출물을 피해서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중게이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중게이지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및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는 파이프 등과 같이 길이가 긴 부재를 이송 및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선체의 블록의 구멍 또는 협소한 공간에 방향 및 위치를 맞추어서 삽입, 즉 적입하기 위한 휴대형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휴대형 장치로서의 본 실시예는 휠부(100), 제 1 승강플레이트(200), 하중게이지부(300), 제 2 승강플레이트(400), 변위조절부(500), 베이스플레이트(600) 및 고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700)가 자석클램프일 수 있으나, 흡착에 의한 고정 수단 또는 취부 수단 혹은 일반적인 착탈 수단이 될 수도 있으므로, 특정 고정, 취부, 착탈 수단 중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휠부(100)는 파이프를 지지 및 가이드하면서 이송시키도록, 상기 파이프의 표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휠부(100)는 파이프 이송에 따라 자유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파이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거나, 회전시에도 구조적 강성이 유지될 수 있는 기준을 바탕으로 설계 및 제작될 수 있다.
휠부(100)는 2개의 휠을 1 쌍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원주면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각 휠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휠부(100)는 상기 파이프의 이송 방향 및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옴니휠(110); 및 상기 옴니휠(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1 승강플레이트(200)의 일측 및 타측 상면에 이격 배치되어서, 제 1 승강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된 휠브래킷(1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옴니휠(110)은 휠몸체 전체가 휠브래킷(120)의 회전샤프트(121)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휠몸체의 테두리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다수의 회전핀(111)을 각각 기준으로하여 상기 회전핀(111)에 결합된 테두리휠(112)들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옴니휠(110)의 구성에 의해서, 파이프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 즉 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피동적으로 옴니휠(110) 자체가 회전할 수도 있고,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파이프가 회전할 때, 역시 피동적으로 옴니휠(110)의 테두리휠(112)들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옴니휠(110)의 특성에 의해서 작업자는 파이프의 길이 방향의 이송 및 지지를 수행하면서도, 파이프와 다른 파이프와의 결합, 또는 파이프와 선체 블록의 파이프 결합부위와의 결합, 즉 피팅(fitting)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1 승강플레이트(200)는 휠부(100)의 저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휠부(100)의 설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판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승강플레이트(200)는 미도시된 다수의 볼트 및 볼트 구멍(미 도시)을 이용하여 휠부(100)의 휠브래킷(120)과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제 1 승강플레이트(200)와 휠브래킷(120)은 용접을 통해서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승강플레이트(200)에는 하중게이지부(300)의 상부와의 취부 가능한 결합을 위해서 하중게이지부(300)용 볼트 구멍(미 도시)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중게이지부(300)는 제 1 승강플레이트(200)의 저부에 결합되고, 플레이트 변위에 따른 부하 하중을 표시하는 역할, 즉 눈금(323)을 지시하여 상기 플레이트 변위에 대응하는 상기 부하 하중을 표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하중게이지부(300)는 제 1 승강플레이트(200)와 제 2 승강플레이트(400) 사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고, 각각 제 1 승강플레이트(200)의 저면과 제 2 승강플레이트(40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하중게이지부(300)의 구성, 결합관계 및 기능은 도 2 및 도 3을 통해서 상세하게 후술될 수 있다.
또한, 하중게이지부(300)는 휠부(100)가 2개의 휠을 1 쌍으로 구성한 상태의 하중을 받기 때문에, 제 1 승강플레이트(200)와 제 2 승강플레이트(400) 사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어 안정된 작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변위란, 제 2 승강플레이트(400)가 변위조절부(5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위치 변화를 의미하되, 특히 휠부(100)가 파이프의 저부에 접촉한 이후, 계속된 변위조절부(500)의 상승력에 의해 하중게이지부(300) 내부의 탄성체(330)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향으로 움직 등의 위치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승강플레이트(400)는 상기 하중게이지부의 저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승강플레이트(400)는 하중게이지부(300)의 설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판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승강플레이트(400)에는 하중게이지부(300)의 하부와의 취부 가능한 결합을 위해서 하중게이지부(300)용 볼트 구멍(미 도시)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2 승강플레이트(400)의 중간에는 역시 미 도시되어 있지만, 변위조절부(500)의 상부와의 취부 가능한 결합을 위해서 변위조절부(500)용 볼트 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변위조절부(500)는 제 2 승강플레이트(400)의 저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휠부(100), 제 1 승강플레이트(200), 하중게이지부(300) 및 제 2 승강플레이트(400)의 높이를 조절, 즉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변위조절부(500)는 레버(511)를 갖는 핸들(510)과, 핸들(510)이 끝단에 결합된 나사샤프트(520)와, 나사샤프트(520)의 일측과 타측에서 대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된 접철링크부(530)와, 접철링크부(530)의 상측 끝단에 조인트 결합되고,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400)의 저면에 연결된 이동브래킷(540) 및, 접철링크부(530)의 하측 끝단에 조인트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된 고정브래킷(550)을 포함할 수 있다.
변위조절부(500)에서 핸들(510) 또는 레버(511)는 인력에 의해 회전(R)될 수 있다. 즉 핸들(510) 또는 레버(511)의 회전(R)에 의해 나사샤프트(520)는 회전하고, 이렇게 회전하는 나사샤프트(520)에 나사 결합된 접철링크부(530)는 좁혀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브래킷(540)의 높이(H)(변위)가 조절될 수 있고, 그 결과, 이동브래킷(540)의 위에 탑재된 제 2 승강플레이트(400), 하중게이지부(300), 제 1 승강플레이트(200) 및 휠부(100)는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브래킷(540)이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20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200)에 상기 휠부(1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브래킷(540)의 높이(H)(변위)는 상기 휠부(100)의 변위 또는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200)의 변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변위조절부(500)는 핸들(510)을 회전(R) 시킬 경우, 이동브래킷(540)의 높이(H)가 조절될 수 있지만, 이동브래킷(540)이 하향으로 하중을 받더라도 핸들(510)은 역회전 되지 않는 리프팅 잭킹 장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600)는 제 1 승강플레이트(200) 또는 제 2 승강플레이트(400)과 동일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변위조절부(500)의 저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600)는 변위조절부(500)의 고정브래킷(550) 및 고정부(700)와의 취부 가능한 결합을 위해서 체결용 볼트 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볼트 결합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베이스플레이트(600)의 상면 중간 위치는 변위조절부(500)의 고정브래킷(55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고정부(700)가 선체 블록용 론지의 형상에 대응한 클램프부재(미 도시)로 교체 결합될 수 있기 위해서, 베이스플레이트(600)의 저부 양측에는 각각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부(700)의 케이싱 상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700)는 베이스플레이트(600)의 저부 양측에 각각 결합된 것으로서, 즉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700)는 인력을 작용하는 영구자석(미 도시)을 내장한 케이싱(710)과, 상기 영구자석의 배치구조를 회전에 의해 변경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부(700)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케이싱(710)에 결합된 스위치레버(7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레버(720)는 인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한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게 케이싱(71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휠부(100), 제 1 승강플레이트(200), 하중게이지부(300), 제 2 승강플레이트(400), 변위조절부(500), 베이스플레이트(600) 및 고정부(700)는 영구자석 또는 탄성체(스프링) 등을 제외하고 휴대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 재질 또는 고강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고, 구조적 강성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볼트 구멍이 아닌 중량 감소용 구멍(미 도시)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다수의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로서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방식과 같이 다수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 즉 일렬로 이격 배치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이격 배치를 용이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600)에 부가된 레이저 조준기(800), 또는 제 2 승강플레이트(400)에 부가된 레이저 조준기(800')를 더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레이저 조준기(800, 80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수의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간 정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 조준기(800)는 베이스플레이트(600)의 일측 끝단 상면에서 베이스플레이트(600)의 짧은 변 방향(예: 폭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타겟(target)에 레이저빔을 조사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레이저 조준기(800')는 제 2 승강플레이트(400)의 중심 상면에서 제 2 승강플레이트(400)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조준기(800, 800')는 휴대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고, 레이저 발생 장치(미 도시)를 내부에 구비한 조준기 케이스, 상기 조준기 케이스를 베이스플레이트(600) 또는 제 2 승강플레이트(400)의 상면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접착제 등의 고정 장치(미 도시)와, 상기 조준기 케이스의 정면에 형성된 레이저 발사 구멍(820) 및, 조준기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타겟(81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조준기(800, 800')는 각각의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마다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일측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레이저 조사 방향을 파이프 이송 방향에 일치시킨 후, 일측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레이저 조준기(800, 800')에서 발사된 레이저 광이 타측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레이저 조준기의 타겟에 상기 레이저 광이 조준되게 하거나, 또는 일측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를 파이프 이송 방향에 일치시킨 후, 그 일측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레이저 조준기(800, 800')에서 발사된 레이저 광에 대하여 다른 모든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가 정렬되도록 이격 배치함으로써, 모든 파이프 적입 장치가 레이저 광의 조사 방향 또는 파이프 이송 방향에 일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광은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조준기(800, 800')의 설치 위치는 파이프를 정렬할 수 있는 곳이라면, 상기 언급된 위치를 제외한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구성품의 다른 위치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600)의 중앙 저부에 결합되고, 베이스플레이트(6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아우트리거(900)(outrig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트리거(900)는 베이스플레이트(600)의 지지 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폭이 좁은 베이스플레이트(600)에게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하고,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전복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때, 아우트리거(900)는 베이스플레이트(600)의 볼트 구멍 및 볼트(미 도시)를 이용하여 취부 가능하게 베이스플레이트(60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필요에 의해 아우트리거(900)가 사용될 필요가 없는 경우, 베이스플레이트(600)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장치 중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거나, 협소한 공간의 환경에 적극적으로 적응하면서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우트리거(900)는 아우트리거(900)의 양측 다리(901)의 하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된 높이 조절형 지주(910)를 더 포함하여, 단차를 갖는 지면에 대응하여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고, 지면 또는 바닥 등의 기준면과의 높이 차이 극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중게이지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중게이지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중게이지부(300)는,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기 위해서 다수의 볼트 구멍을 갖는 플랜지부(311)가 상부테두리에 마련되어 있고, 정지턱(312)이 슬라이딩구멍(313)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는 외부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하우징(310)은 상하 개방된 중공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하중게이지부(300)는 정지턱(312)에 대응하는 단턱(321)이 안착구멍(322)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 하우징(310)의 하단면(314)이 가리키는 눈금(323)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기 위한 볼트 구멍(324)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슬라이딩구멍(313)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하우징(320)은 내부 하우징(320)의 상부만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 하우징(320)의 하부는 폐쇄된 중공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눈금(323)은 하기에 설명할 탄성체(330)의 탄성 계수에 대응한 휠 허용 하중별로 마킹된 것으로서, 미리 실험을 통해서 눈금 간격이 파악된 후, 파악된 눈금 간격에 맞춰 상기 내부 하우징(320)의 하부쪽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중게이지부(300)는 안착구멍(322)에 삽입되어 있고, 이송하려는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휠 허용 하중에 대응한 탄성 계수를 갖는 탄성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330)는 코일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유압 방식 또는 가스 충진 방식 등의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하중게이지부(3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승강플레이트(200)과 제 2 승강플레이트(400)의 사이에 설치될 경우, 탄성체(330)의 상단은 제 1 승강플레이트(200)의 저면에 접촉하고, 탄성체(330)의 하단은 안착구멍(322)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부하 하중이 인가되어, 탄성체(330)가 압축될 때 발생되는 탄성반발력은 제 1 승강플레이트(200)의 저면을 기반으로 내부 하우징(320)이 상승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거나, 또는 반대로 안착구멍(322)의 바닥면을 기반으로 제 1 플레이트(200)가 하강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을 병행 참조하여, 하중게이지부(3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휠부(100) 등을 상승시키려는 방향으로 변위조절부(500)의 핸들(5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위조절부(500)에 의해서, 휠부(100)는 파이프의 저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브래킷(540)의 높이(H)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휠부(100)가 단순히 파이프의 저부에 접촉되거나 접촉 전이라면, 탄성체(300)에는 휠부(100), 제 1 승강플레이트(200) 및 하중게이지부(300)의 외부 하우징(310) 등의 장치 구성품의 자체 하중만이 탄성체(300)에 인가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후, 작업자가 휠부(100) 등을 상승시키려는 방향으로 변위조절부(500)의 핸들(510)을 더 회전시킬 경우, 이동브래킷(540)이 제 2 승강플레이트(400) 및 내부 하우징(320)을 상향으로 푸시하는 하중이 발생된다.
이렇게 상향으로 푸시하는 하중은, 부하 하중(예: 상기 장치 구성품의 자체 하중과 파이프에서 인가된 파이프 하중을 합한 하중)과의 균형 상태(equilibrium)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탄성체(330)를 압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압축으로 인하여, 외부 하우징(310)의 하단면(314)이 상기 부하 하중에 대응한 눈금(323)을 지시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부하 하중을 미리 파악하기 위한 다수의 실험이 전제된 것을 기초로 한다. 즉, 다수의 하중 실험을 통해서, 현장에서 사용하는 파이프와 동일한 실험용 시폄(실험용 파이프)를 기준으로 다양한 종류의 탄성체(330)를 교체해가면서, 상기 휠부(100)의 휠 허용 하중과 유사한 탄성 계수를 갖는 탄성체(300)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부하 하중의 크기가 미리 파악될 수 있다. 또한, 미리 파악된 부하 하중의 크기에 대한 수치는 파이프 적입 작업 현장의 작업자에게 교육을 통해서 알려 줄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적입 작업 현장의 작업자는 외부 하우징(310)의 하단면(314)이 눈금(323)을 지시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미리 파이프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하 하중의 수치를 미리 알고 있는 상태이므로, 변위조절부(500)의 핸들(510)의 회전(R)의 각도 또는 회전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작업자 자신이 알고 있는 부하 하중의 수치의 눈금(323)을 외부 하우징(310)의 하단면(314)가 가리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하 하중은 플랜지 통과를 위해서 높이(H)를 조절하기 전 상태의 지지력과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일단 하강하였다가 다시 상승된 휠부(100)가 과도한 지지력으로 파이프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파이프 이송 방향성이 악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파이프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부연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들은 레이저 조준기(800)를 이용하여 파이프 적입 작업 현장의 바닥(B)(예: 선체의 블록의 철판)에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레이저 조준기(800)를 이용하여 정렬하는 방법은 앞서 도 1을 통해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물론,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들은 줄자에 의해 그어진 기준선(미 도시)에 맞춰 정렬될 수도 있다.
이후, 작업자는 각 고정부(700)의 스위치레버(720)를 유한한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시켜서, 케이싱(710)이 자력에 의해 바닥(B)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아우트리거(900)의 지주(910)를 나사 회전시켜서, 지주(910)의 저면이 바닥(B)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가 전복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P)는 다수의 작업자의 인력 또는 파이프(P) 주변의 배력 장치 내지 크레인, 체인호이스트 등의 견인력을 이용하여 이송될 수 있다.
최초, 파이프의 이송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모든 휠부(100)의 높이가 파이프(P)의 적입 위치에 대응한 높이에 맞춰져 있다. 이때, 휠부(100)가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파이프(P)의 플랜지(F)는 휠부(100)에 걸려 파이프(P)의 이송의 관점에서 걸림턱이 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걸림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다가오는 플랜지(F) 쪽의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휠부(1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강된 휠부(100)의 상태는 도 5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3개의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가 바닥(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경우라면, 이들 중 2번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변위조절부(500)의 높이(H1)는 다른 변위조절부의 높이(H2)에 비해 낮기 때문에, 파이프(P)의 플랜지(F)가 2번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휠부(100)와 간섭되지 않고, 2번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각 휠부(100)의 테두리휠(112)는 파이프(F)의 이송 방향을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면서 파이프(F)를 지지할 수 있고, 만일 파이프(F)가 피팅을 위해 파이프(F)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도, 휠부(100)의 옴니휠(110) 자체가 파이프(F)와 함께 연동 회전함으로써, 파이프(F)의 이송 및 피팅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이프(P)의 플랜지(F)가 2번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휠부(100)의 위쪽의 이격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작업자는 변위조절부(500)를 사용하여 다시 휠부(100)를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즉 원위치시키도록 상승시킴과 동시에, 최초 부하 하중과 동일한 하중이 재 상승된 휠부(100)를 통해 파이프(P)에 인가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외부 하우징(310)의 하단면(314)이 자신이 미리 알고 있는 부하 하중에 해당하는 수치의 눈금(323)을 가리킬 때까지 변위조절부(500)의 핸들(510)을 더 회전시킨 후 핸들(510)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런 경우, 상기 부하 하중에 대응한 적절한 지지력이 파이프(P)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플랜지(F)를 회피하기 위한 높이 조절로 인해 파이프(P)의 이송 방향성이 변화되지 않게 함에 따라 파이프(P)의 이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파이프(P)의 이송 도중에 파이프(P)의 굽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응용예의 설명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제 1 승강플레이트(200), 하중게이지부(300), 제 2 승강플레이트(400), 변위조절부(500), 베이스플레이트(600), 고정부(700), 레이저 조준기(800) 및 아우트리거(90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들 구성의 내용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본 응용예에 따른 휠부(100a)는 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호 이격되어 대향적으로 경사 배치된 이송휠(130)과, 이송휠(130)의 회전 중심에 결합된 지지샤프트(140)와, 상기 지지샤프트(140)를 V자 형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샤프트(140)가 결합되어 있는 삼각형 지지블록(150)을 포함할 수 있다.
삼각형 지지블록(150)의 일측 경사면과 타측 경사면에는 상기 지지샤프트(140)가 V자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송휠(130)들이 파이프의 저부를 V자 형태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이송휠(130)의 원주면 폭(W)이 이송휠(130)의 직경(D)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의 파이프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파이프의 이송 도중 파이프가 이송휠(130)의 바깥쪽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및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응용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는 위의 실시예(예: 도 1) 또는 응용예(예: 도 8)에 비하여, 고정부(700a)가 각도 90도로 회전된 상태로 베이스플레이트(600)의 저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스위치레버(720)가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 현장의 구조물와의 간섭을 피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응용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는 제 1 승강플레이트(200a)와 제 2 승강플레이트(400a) 사이로 2개의 하중게이지부(300)의 사이에 추가적으로 하중게이지부(300a)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앞서 설명한 파이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파이프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응용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는 위의 응용예(예: 도 8)에 비하여, 삼각형 지지블록(150a)이 각도 90도로 회전 상태로 제 1 승강플레이트(200a)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다른 응용예에 따른 제 1 승강플레이트(200a)는 회전된 상태의 삼각형 지지블록(150a)에게 최대한 넓은 지지면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제 1 승강플레이트(200a)의 중간위치의 양측변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된 확장부(2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삼각형 지지블록(150)의 결합 방향에 따라, 휠부(100b)의 한 쌍의 이송휠(130)의 배치 위치도 기존에 비해 각도 90도로 회전된 상태와 같이 변경되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다른 응용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는 제 1 승강플레이트(200a) 및 그 아래 위치한 구성품들의 길이 방향이 파이프(P)의 연장 방향과 일치하도록 파이프 적입 작업 현장의 바닥(B)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파이프 적입 작업 현장 의 바닥(B)에 존재 가능한 기타 돌출 구조물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도 있게 된다.
즉, 다른 응용예에 따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자체는 파이프(P)의 연장 방향으로 일치되게 배치되어 있고, 휠부(100b)의 이송휠(130)만이 파이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각도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파이프 적입 작업 현장의 바닥의 돌출물을 피해서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100a, 100b : 휠부 200, 200a : 제 1 승강플레이트
300, 300a : 하중게이지부 400, 400a : 제 2 승강플레이트
500 : 변위조절부 600 : 베이스플레이트
700, 700b : 고정부 800, 800' : 레이저 조준기
900 : 아우트리거

Claims (9)

  1. 파이프를 지지 및 가이드하면서 이송시키도록, 상기 파이프의 표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휠부;
    상기 휠부의 저부에 결합된 제 1 승강플레이트;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저부에 결합되고, 플레이트 변위에 따른 부하 하중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하중게이지부;
    상기 하중게이지부의 저부에 결합된 제 2 승강플레이트;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저부에 결합된 변위조절부;
    상기 변위조절부의 저부에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부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게이지부는,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 사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는,
    상기 파이프의 이송 방향 및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옴니휠; 및
    상기 옴니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된 휠브래킷을 포함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는,
    상기 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호 이격되어 대향적으로 경사 배치된 이송휠;
    상기 이송휠의 회전 중심에 결합된 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지샤프트를 V자 형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샤프트가 결합되어 있는 삼각형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게이지부는,
    상기 제 1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상부테두리에 마련되어 있고, 정지턱이 슬라이딩구멍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는 외부 하우징;
    상기 정지턱에 대응하는 단턱이 안착구멍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하단면이 가리키는 눈금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기 위한 볼트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슬라이딩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안착구멍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휠 허용 하중에 대응한 탄성 계수를 갖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조절부는,
    레버를 갖는 핸들;
    상기 핸들이 끝단에 결합된 나사샤프트;
    상기 나사샤프트의 일측과 타측에서 대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된 접철링크부;
    상기 접철링크부의 상측 끝단에 조인트 결합되고, 상기 제 2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에 연결된 이동브래킷; 및
    상기 접철링크부의 하측 끝단에 조인트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된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인력을 작용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케이싱; 및
    상기 영구자석의 배치구조를 회전에 의해 변경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된 스위치레버를 포함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제 2 승강플레이트에 결합된 레이저 조준기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아우트리거(outrigg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우트리거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양측 다리의 하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된 높이 조절형 지주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KR20130082372A 2013-07-12 2013-07-12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KR101487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372A KR101487459B1 (ko) 2013-07-12 2013-07-12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372A KR101487459B1 (ko) 2013-07-12 2013-07-12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833A true KR20150007833A (ko) 2015-01-21
KR101487459B1 KR101487459B1 (ko) 2015-01-28

Family

ID=5257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372A KR101487459B1 (ko) 2013-07-12 2013-07-12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4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414A (ko) 2015-09-11 2017-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적입 장치
KR101884878B1 (ko) * 2017-04-03 2018-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파이프 주행용 대차
KR20200145006A (ko) * 2019-06-20 2020-12-30 (주)명성씨.엠.아이 덕트 이음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532A (ko) 2022-08-31 2024-03-07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10B1 (ko) 2007-06-26 2009-05-21 주식회사 부민엔지니어링 구동제동장치가 장착된 유압 스키드 보기 시스템
KR20110001858U (ko) * 2009-08-18 2011-02-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파이프 적입 장치
KR101240612B1 (ko) * 2010-10-28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KR20130001727U (ko) * 2011-09-05 2013-03-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저 파이프 설치선에 설치되는 파이프 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414A (ko) 2015-09-11 2017-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적입 장치
KR101884878B1 (ko) * 2017-04-03 2018-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파이프 주행용 대차
KR20200145006A (ko) * 2019-06-20 2020-12-30 (주)명성씨.엠.아이 덕트 이음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459B1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459B1 (ko)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KR102017136B1 (ko)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US10113376B2 (en) Conveyor apparatus
US9375369B2 (en) Vehicle lift with biasing device
KR20160119125A (ko) 배관장치 및 배관방법
US10017095B2 (en) Mobile support and lift system
EP1875114A1 (en) Marine pipelaying system for laying an offshore pipeline
US9739104B2 (en) Conveyor apparatus
US10000980B2 (en) Conveyor apparatus
US10077619B2 (en) Conveyor apparatus
US20160052750A1 (en) Pipe flange lifting apparatus
AU2013206250B2 (en) Offshore Horizontal Product Lay Arrangement
JPH11147686A (ja) 建物ユニット用吊り治具
JP6348471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組立方法および分解方法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KR20160127464A (ko) 지게차 수리용 받침장치
US20230361543A1 (en) Cable positioning assembly and pulling system
US11999599B2 (en) Backstop position changing device for crane
JP2018043817A (ja) 吊り具
JP2009256057A (ja) 移動装置および移動方法
KR20240000751U (ko) 차량용 안전밸브 이송장치
KR20200128746A (ko) 차량 고정 장치
WO2016053180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moval of balconies
KR20140006061U (ko) 리프트장치
OA16520A (en) Offshore horizontal product lay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