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8394A -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 Google Patents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8394A
KR20140148394A KR1020147026871A KR20147026871A KR20140148394A KR 20140148394 A KR20140148394 A KR 20140148394A KR 1020147026871 A KR1020147026871 A KR 1020147026871A KR 20147026871 A KR20147026871 A KR 20147026871A KR 20140148394 A KR20140148394 A KR 20140148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etup
completion
time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832B1 (ko
Inventor
타카시 시이키
마사히코 이데
Original Assignee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8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455Monitor process stat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483Verify monitored data if valid or not by comparing with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145Manual, enter identification, name workpiece and teach manufacturing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368Quality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공정에 관한 작업이 행해지는 때에 그 사항이 입력되는 입력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실적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를 제공한다.
가공대상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를 조정하는 작업의 개시시, 동 작업의 완료시 및 가공작업의 완료시 각각에 있어서, 핸디 터미널(10)을 이용하여 그 사항이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결과는 공장 실적수집PC(20) 및 프로그래스 서버(30)를 통해서 지원툴 실적서버(50)로 제공된다. 여기서는 입력이 실제로 행해진 것의 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52)를 통해서 공장의 작업자에게 열람가능하도록 표시한다.

Description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FABRICATION PROCESS MANAGEMENT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적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관리지원장치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특허문헌1에 보여지듯이, 입력수단으로서 개인이름이나, 작업시간, 작업내용을 기억하는 기억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데스크탑 등의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각 작업자가 실적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9812(단락 0021, 도2 등)
한편, 상기의 입력수단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입력되어 수집된 실적정보의 신뢰성은 반드시 높지만은 않다는 문제점이 본 발명자에 의해 발견되고 있다. 이는 입력정보의 입력이 예정대로 되지 않는다 데에 원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조공정에 관한 작업이 수행되는 때에 그 내용이 입력되는 입력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실적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청구항1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의하면, 판단수단 및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지는 가의 여부를 외부에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통지된 정보가 입력자에게 피드백되어 입력방법의 개선을 촉구하는 상황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적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2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수집처리수단을 구비하여 동일한 종류의 입력에 대한 판단결과를 일일이 통지하지 않고 복수의 입력에 대한 판단결과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동일한 종류의 입력이 빈번하게 행해지는 경우 개별적인 입력이 예정된 대로 행해지지 않더라도 입력 전체에 있어서 예정대로 행해지거나 행해지지 않은 총수나 비율에 대한 정보가 실적수집의 신뢰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특히 유효하게 된다. 이 점에서 청구항2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는 동일한 종류의 입력이 빈번하게 행해지는 경우의 실적수집에 대하여 특히 유익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3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의하면, 청구항2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판단수단의 판단대상 설정에 의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입력수단에 관해서 일괄하여 예정된 대로 행해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거나 판단결과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4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의하면, 청구항3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판단수단의 판단방법에 의해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지는 경우와 행해지지 않는 경우의 입력결과 사이의 관계가 상이하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한 종류의 입력만으로부터는 얻어지지 않는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5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의하면, 청구항3 기재의 제조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판단수단의 판단방법에 의해 각 입력이 실제로 행해졌는지 행해지지 않았는지의 이원적인(binary manner) 판단을 행함으로써 실제로는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외부에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6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변화되더라도,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한, 상기 변화는 특정한 범위 내로 되는 것에 착안하였다. 이에 따라 청구항4 기재의 제조공정의 지원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작업에 필요한 시간에 기초하여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7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변화하더라도 작업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게 되면 그 변화는 작업에 의해 정해지는 특정한 범위 내로 되는 것에 착안하였다. 이때, 동일한 종류의 작업에 대해 서로 상이한 가공대상에 대응하는 개시시각 사이의 시간간격이나 종료시각 사이의 시간간격에 대해서도 자연히 정상적인 범위가 정해지게 된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입력시각 사이의 시간간격이 판정치 이상으로 되었는가의 여부의 판단처리를 행함으로써 청구항7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서는 청구항3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가의 여부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8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의하면, 청구항3∼7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제조공정에서 관련되어 서로 한 쌍의 작업을 형성하는 조정작업과 가공작업에 대한 입력의 판단결과를 일괄하여 취급함으로써 실적수집의 신뢰성 평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9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의하면, 청구항8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셋업완료와 가공개시가 거의 동일한 시간에 일어나는 점을 감안하여 이들에 관련된 입력을 공통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입력작업의 간소화 및 통지내용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10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의하면, 청구항2∼9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예정대로 행해진 것과 행해지지 않은 것의 비율을 통지함으로써 동일한 종류의 입력이 빈번하게 행해지는 경우의 실적수집에 특히 유익한 정보를 적절하게 통지할 수 있다.
청구항11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0 기재의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제조공정마다 비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비율의 시각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각 제조공정의 실적수집의 신뢰성 평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
도2는 핸디 터미널(handy terminal)의 처리 순서를 보인 흐름도.
도3은 실적수집 처리의 순서를 보인 흐름도.
도4는 작업시간의 산출처리 순서를 보인 흐름도.
도5는 입력결과의 판단처리 순서를 보인 흐름도.
도6은 판단결과의 표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7은 통지처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8은 도2의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결과의 판단처리 순서를 보인 흐름도.
도9는 판단결과의 표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10은 통지처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1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결과의 판단처리 순서를 보인 흐름도.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제품을 제조하는 공장 내의 기기와 그 기기와 통신가능한 하드웨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핸디 터미널(10)은 제품을 제조하는 공장 내에 구비된다. 핸디 터미널(10)은 제품 제조공정의 각각에 있어서 그 제조공정에 포함된 작업실적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자세하게는, 각 제조공정은 가공대상을 가공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부재(가공기계)의 조정작업과, 가공대상을 가공하는 작업을 포함하며, 핸디 터미널(10)에는 조정작업의 개시시, 조정작업의 완료시 및 가공작업의 완료시의 각각의 해당 사항이 입력된다. 이때, 조정작업의 완료시가 가공작업의 개시시로 되도록 하여 이를 하나의 입력으로 끝내도록 하고 있다.
핸디 터미널(10)은 바코드 스캐너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핸디 터미널 (10)은, 핸디 터미널(10)이 구비한 기능을 지정하도록 조작되는 조작수단(입력버튼 10a)과, 지정된 기능 등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디스플레이 10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각 제조공정에는 그 제조공정을 표시하는 1차원 코드가 기재된 공정코드표(12)와 각 공정대상 또는 가공대상군(롯트)의 번호(제조번호)를 표시하는 1차원 코드가 기재된 제조명령서(14)가 부여된다.
이때, 작업자는 조정작업의 개시 및 조정작업의 완료, 가공작업의 완료시에 핸디 터미날(10)의 입력버튼(10a)을 조작하여 조정작업의 개시, 조정작업의 완료 및 가공작업의 완료 각각을 지시한 후, 1차원 코드를 핸디 터미널(10)에 의해 읽어들인다. 이것이 작업에 대응한 입력으로 된다.
또한, 핸디 터미널(10)에는 작업 중에 불량품이 발생한 경우에 불량품의 종류와 불량품의 수를 입력하는 기능과 정상적으로 가공된 가공대상물의 수(양품 수) 등을 입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핸디 터미널(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공장 내에 구비된 하드웨어 수단(공장 실적수집PC(20)로 송신된다. 공장 실적수집PC(20)는 연산수단과, 핸디 터미널 (1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실적데이터를 구비한 실적수집 데이터베이스(22)를 구비한다. 실적수집 데이터베이스(22)는 공장 실적수집PC(20)에 내장된 기억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화일관리 시스템이다.
각 공장에 구비되는 공장 실적수집PC(20)는 프로그래스 서버(30)와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로그래스 서버(30)는 연산수단과 진척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진척상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진척상황 데이터베이스는 프로그래스 서버(30)에 내장된 기억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화일관리 시스템이다. 상기 진척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는 연산수단의 연산에 의해서 생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핸디 터미널(10)을 이용하여 입력되어야 할 것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프로그래스 서버(30)를 통해서 관리자에 의해 수동 입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코어 서버(40)는 제조공정을 관리하는 최상위의 하드웨어 연산처리수단이다. 코어 서버(40)는 각각의 관리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42)를 구비하고 있다. 관리 데이터베이스(42)는 코어 서버(40)에 내장된 기억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화일관리 시스템이다.
지원툴 실행서버(50)는 프로그래스 서버(30) 및 코어 서버(40)와 통신하고, 실적수집의 처리를 지원하는 처리를 행한다. 지원툴 실행서버(50)는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를 구성한다. 지원툴 실행서버(50)는 연산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52)로 출력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52)에서 연산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52)는 실제로는 하나가 아닌 각 공장의 작업자가 열람가능하도록 각 공장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작업자에 의해 작업이 행해지는 때에 이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입력처리에 대하여, 작업자에 의한 실제의 작업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2에는 핸디 터미날(10)에 의한 입력에 수반되는 처리의 순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컨대 소정주기로 반복해서 실행된다.
「조정작업의 개시시 (셋업개시시)」
여기서는 먼저 작업자가 핸디 터미널(10)의 입력버튼(10a)을 조작해서 셋업모드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b)에는 셋업개시 모드에 대응한 표시가 행해진다. 작업자가 셋업개시 모드를 지정하고 도1에 표시된 공정코드표(12)의 1차원 코드를 핸디 터미널(10)로 읽어 들이고, 계속해서 제조명령서(14)의 대응하는 제조번호의 1차원 코드를 핸디 터미널(10)로 읽어 들인다. 이것이 셋업개시 시에 작업자가 해야할 처리이다.
이에 대응해서 스텝(S10)에서는 셋업개시 모드로 되는 것과, 공정코드가 입력된 것과, 제조번호가 입력된 것과의 논리적(論理積)이 '예스'인지 '노'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셋업개시 시에 행해져야 할 상기 처리가 행해져서 스텝(S10)에서 '예스'로 판단되면 스텝(S12)로 이행된다. 스텝(S12)에서는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와 이에 연계되어 셋업개시된 사항을 공장 실적수집PC(20)로 통지한다.
「조정작업의 완료시 (셋업완료시)」
여기서는, 작업자가 핸디 터미널(10)의 조작버튼(10a)을 조작함으로써 셋업완료 모드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b)에는 셋업완료 모드에 대응한 표시가 행해진다. 작업자는 셋업완료 모드를 지정하면 도1에 표시된 제조명령서(14)의 대응하는 제조번호의 1차원 코드를 핸디 터미널(10)로 읽어 들인다. 이것이 셋업완료 시에 작업자가 하여야할 처리이다.
이에 대응해서 스텝(S14)에서는 셋업완료 모드로 되는 것과, 제조번호가 입력된 것과의 논리적(論理積)이 '예스'인지 '노'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작업자에 의해 셋업완료 시에 행해져야 할 상기 처리가 행해지고 스텝(S14)에서 '예스'로 판단되면 스텝(S16)으로 이행된다. 스텝(S16)에서는 제조번호와 이에 연계되어 셋업완료된 사항을 공장 실적수집PC(20)로 통지한다.
「가공작업의 완료시」
여기서는, 작업자가 핸디 터미널(10)의 조작버튼(10a)을 조작함으로써 가공완료 모드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b)에는 가공완료 모드에 대응한 표시가 행해진다. 작업자는 가공완료 모드를 지정하면 도1에 표시된 제조명령서(14)에 대응하는 제품번호의 1차원 코드를 핸디 터미널(10)로 읽어 들인다. 이것이 가공완료 시에 작업자가 하여야할 처리이다.
이에 대응해서 스텝(S18)에서는 가공완료 모드로 되는 것과, 제조번호가 입력된 것과의 논리적이 '예스'인지 '노'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작업자에 의해 셋업완료 시에 행해져야 할 상기 처리가 행해지고 스텝(S18)에서 '예스'로 판단되면 스텝(S20)으로 이행된다. 스텝(S20)에서는 제조번호와 이에 연계되어 가공완료된 사항을 공장 실적수집PC(20)로 통지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S10)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S14)으로 이행하고, 스텝(S14)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S18)으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S12, S16, S20)의 처리가 완료된 경우와 스텝(S18)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도3는 공장 실적수집PC(20)에 의해서 행해지는 일시를 기억하는 처리를 보여주고 있다. 이 처리는 예컨대 소정 주기로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S30)에서 핸디 터미널(10)로부터 셋업개시 통지가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셋업개시 통지가 행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S32)에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연계되어 셋업 개시일시를 상기 도1에 표시된 실적수집 데이터베이스(22)에 기억시킨다. 이러한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셋업개시 통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그 시각의 일시를 셋업개시 일시로 하는 처리와, 셋업개시 일시를 제조번호와 연계하여 기억하는 처리를 구비한다.
한편, 스텝(S30)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34)에서 핸디 터미날(10)로부터 셋업완료 통지가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셋업완료 통지가 행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36)에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연계하여 셋업완료 일시를 상기 도1에 표시된 실적수집 데이터베이스(22)에 기억시킨다. 이러한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셋업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그 시각의 일시를 셋업완료 일시로 하는 처리와 셋업완료 일시를 제조번호와 연계하여 기억하는 처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2의 스텝(S16)에서의 처리에서 공정코드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동일한 핸디 터미날(10)로부터 출력된 가장 근접한 공정코드를 이번 공정코드로 인식한다.
한편, 스텝(S34)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38)에서 핸디 터미널(10)로부터 가공완료 통지가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가공완료 통지가 행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40)에서 제조번호에 연계하여 가공완료 일시를 상기 도1에 표시된 실적수집 데이터베이스(22)에 기억시킨다. 이러한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가공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그 시각의 일시를 가공완료 일시로 하는 처리와 가공완료 일시를 제조번호와 연계하여 기억하는 처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2의 스텝(S20)에서의 처리에서 공정코드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동일한 핸디 터미널(10)로부터 출력된 가장 근접한 공정코드를 이번 공정코드로 인식한다.
상기 스텝(S32, S36, S40)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와 스텝(S38)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셋업개시에 수반하는 입력처리를 잊은 후에 셋업완료 후에 수반하는 입력처리를 행한 경우, 그 입력에 수반하는 셋업완료 일시를 공정코드와 연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경우, 잠정적으로 그 제조번호에 의해서 특정되는 가공대상에 대하여 이전에 완료된 공정에 연계시키는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동일한 공정코드에 대해서 셋업완료 일시가 2개가 기억되는 경우, 그 중에 하나가 에러로 되고, 관리자에 의해 어떠한 공정코드에 관한 셋업완료 일시로 되는가를 특정하는 작업이 행해지며, 프로그래스 서버(30)를 통해서 데이터가 보정된다. 한편, 특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어느 한 편의 셋업완료 일시를 제거하는 처리 등이 행해지게 된다.
도4에는 프로그래스 서버(30)의 처리 수행 중에, 특히 공장 실적수집PC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실적수집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가공하는 처리(시간산출 처리)의 순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컨대 소정주기(예를 들면 24시간에 한번)로 반복해서 실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에서는, 먼저 스텝(S50)에서 공정코드를 선택한다. 이어서 스텝(S52)에서 제조번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스텝(54)에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의해서 특정되는 셋업개시 일시 및 셋업완료 일시에 기초하여 네트 셋업시간 (net setup time)을 산출한다. 이러한 처리에서는 먼저 공장 실적수집PC(20)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를 통지한다. 이에 따라 공장 실적수집PC(20)에 의해서 실적수집 데이터베이스(22)로의 액세스 처리가 행해지고,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의해서 특정되는 셋업개시 일시 및 셋업완료 일시가 읽혀져서 그에 관한 데이터가 프로그래스 서버(30)로 송신된다. 이러한 송신처리에 대응해서, 셋업개시 일시 및 셋업완료 일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셋업완료 일시와 셋업개시 일시를 적절한 방법으로 표기하고, 이러한 차분연산(差分演算)을 행함으로써 네트 셋업시간을 산출한다.
이어서 스텝(56)에서는,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의해서 특정되는 셋업완료 일시 및 가공완료 일시에 기초하여 네트 가공시간 (net setup time)을 산출한다. 이러한 처리에서는 먼저 공장 실적수집PC(20)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를 통지한다. 이에 따라 공장 실적수집PC(20)에 의해서 실적수집 데이터베이스(22)로의 액세스 처리가 행해지고,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의해서 특정되는 셋업완료 일시 및 가공완료 일시가 읽혀져서 그에 관한 데이터가 프로그래스 서버(30)로 송신된다. 이러한 송신처리에 대응해서, 셋업완료 일시 및 가공완료 일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공완료 일시와 셋업완료 일시를 적절한 방법으로 표기하고, 이러한 차분연산(差分演算)을 행함으로써 네트 가공시간을 산출한다.
다음, 스텝(S58)에서는, 스텝(S50)에서 선택된 공정코드에 관한 전체 제조번호에 대해서 스텝(S54, S56)의 처리가 완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S52)으로 되돌아 간다. 한편, 스텝(S58)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S59)에서 전 공정에 대하여 스텝(S54, S56)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S50)으로 되돌아 같다. 그리고 스텝(S59)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도5에는 지원툴 실행서버(50)를 실행하는 처리(판단처리)의 순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컨대 소정주기(예를 들면 24시간) 마다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상기 일련의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S60)에서 공정코드를 선택한다. 이어서 스텝(S62)에서 제조번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스텝(S64)에서는 스텝(S60)에서 선택된 공정코드 및 스텝(S62)에서 선택된 제조번호에 의해서 특정되는 셋업개시 일시를 취득한다. 이러한 처리는 실제로는 프로그래스 서버(30)를 통해서 공장 실적수집PC(20)에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를 지정함으로써 대응하는 셋업개시 일시의 데이터 송신을 촉구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로 된다. 즉,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응하는 셋업개시의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셋업개시 일시의 데이터가 지원툴 실행서버(50)로 송신되지 않는다. 이 경우, 예컨대 프로그래스 서버(30)를 통해서 공장 실적수집PC(20)로부터 지원툴 실행서버(50)로 셋업개시에 관한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사항을 통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입력결과의 취득수단을 구성한다.
이어서, 스텝(S66)에서는, 상기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관한 셋업개시에 관련한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S66)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68)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한 셋업개시에 관련한 입력결과에 기호 I를 부여한다. 이에 반해서 스텝(S66)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70)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한 셋업개시에 관련한 입력결과에 기호 O를 부여한다. 이때 상기 스텝(S60, S62)의 처리는 이미 가공이 완료된 공정, 제품을 지정하는 코드, 번호를 선택하는 처리로 된다. 따라서, 셋업개시에 관련한 입력은 행해진 것으로 간주된다. 이에, 기호 I는 예정대로 입력된 경우에 부여되고, 기호 O는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 부여된다. 스텝(S66 ∼ S70)은 본 실시형태에서 판단수단을 구성한다.
스텝(S68, S70)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스텝(S72)에서 상기 스텝(S60)에서 선택된 공정코드 및 스텝(S62)에서 선택된 제조번호에 의해서 특정되는 셋업완료 일시를 취득한다. 이러한 처리는 실제에는 프로그래스 서버(30)를 통해서 공장 실적수집PC(20)에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대응하는 셋업완료 일시의 데이터 송신을 촉구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로 된다. 이때,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응하는 셋업완료의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셋업완료 일시의 데이터가 지원툴 실행서버(50)로 송신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프로그래스 서버(30)를 통해서 공장 실적수집PC(20)로부터 지원툴 실행서버(50)로 셋업완료에 관한 입력이 없다는 사항을 통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입력결과의 취득수단을 구성한다.
이어서, 스텝(S74)에서는 상기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관한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S74)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76)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해서 셋업완료에 따른 결과에 기호 I를 부여한다. 이에 반해서, 스텝(S74)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S78)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해서 셋업완료에 따른 결과에 기호 O를 부여한다. 이때 기호 I는 예정대로의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 부여되고, 기호 O는 예정대로의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부여된다. 스텝(S74 ∼ S78)의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판단수단을 구성한다.
스텝(S76, S78)의 처리가 완료된 경우 스텝(S80)에서, 상기 스텝(S60)에서 선택된 공정코드 및 스텝(S62)에서 선택된 제조번호에 의해 특정되는 가공완료 일시를 취득한다. 이러한 처리는 실제로는, 프로그래스 서버(30)를 통해서 공장 실적수집PC(20)에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대응하는 가공완료 일시의 데이터 송신을 촉구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로 된다. 이때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응하는 가공완료의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가공완료 일시의 데이터가 지원툴 실행서버(50)로 송신되지 않는다. 이 경우, 예컨대 공장 실적수집 PC(20)로부터 지원툴 실행서버(50)로 가공완료에 관한 입력이 없었다는 사항을 통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입력결과의 취득수단을 구성한다.
이어서, 스텝(S82)에서는 상기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관련한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S82)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84)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한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결과에 기호 I를 부여한다. 이에 반해서 스텝(S82)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S86)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한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결과에 기호 O를 부여한다. 여기서 기호 I는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 부여되고, 기호 O는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부여된다. 스텝(S82 ∼ S86)의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판단수단을 구성한다.
스텝(S84, S86)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스텝(S88)으로 이행된다. 스텝(S88)에서는 스텝(S60)에서 지정된 공정코드와 관련해서 전체 제조번호에 대해서 스텝(S64 ∼ S86)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S88)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62)로 되돌아 간다. 이에 반해서 스텝(S88)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90)으로 이행된다. 스텝(S90)에서는 전체 공정코드에 대해서 스텝(S62 ∼ S86)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아직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가의 여부의 판단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것이 있게 되면 스텝 (S60)으로 되돌아 간다.
이에 반해서, 스텝(S90)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92)에서 이전에 가공된 전체 공정코드, 제조번호에 관한 상기 판단결과를 수집하는 처리를 포함하여 연산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수집연산처리를 구성한다. 그리고 스텝(S94)에서는 상기 도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52)를 이용하여 연산처리 결과를 시각적으로 통지(표시)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통지수단을 구성한다.
이때,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의 각각이 예정대로 행해졌는가 여부의 판단결과는 그것을 총합한 총합판정으로 해서 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이 3성분으로 되는 벡터표시로 된다. 도6에서 판정 A는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에 관한 판단결과를 나타내고, 판정 B는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에 관한 판단결과를 나타내며, 판정 C는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에 관한 판단결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판정 A, B, C 각각은 총합판정의 표기에서 벡터의 제1 성분, 제2 성분 및 제3 성분으로 된다. 이에 더하여, 도6에서 셋업개시 일시의 등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셋업완료 일시의 등록이 있는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는바, 이는 에러에 대응해서 프로그래스 서버(30)를 이용해서 관리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입력의 보정이 행해짐으로써 생성된 것이다.
도7은 디스플레이(52)의 표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총합판정으로 취득한 벡터로 되는「III」,「II0」,「I0I」,「I00」,「0II」,「0I0」,「00I」의 각각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공정코드(α***1, α***2, … α**1 1, β***1, β***2,…, β***9)마다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율은 몇 개의 공정을 행하는 각 부서(A**1, A**2)에도 표기되고 있다. 도면에 표시된 예에서는, 공정코드 α***1, α***2, … α**1 1를 실행하는 것은 부서 A**1이고, 공정 β***2,…, β***9를 실행하는 것은 부서 A**2이다.
이와 같이 시각표시를 함으로써 핸디 터미널(10)을 이용하여 행하여야 할 입력이 행해지는지의 여부가 지극히 명확하게 인식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입력이 실제로 행해지지 않은 비율이 높은 경우, 입력이 실제로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에 대한 대책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대책을 시행하여 성과를 높이게 되면 상기 도4에 도시된 처리에 의해서 산출되는 네트 셋업시간과 네트 가공시간에 대한 실적수집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대책은 작업환경 등의 개선에 국한되지만은 않는다. 사실, 도7에 도시된 표시를 공장의 작업자 등이 열람가능하게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효과(50% 미만의 확율이 90% 정도로 상승)가 얻어지는 것을 발명자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작업자의 의식개혁을 촉구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자발적인 개선을 촉구하기 때문인 것으로 고려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1)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이 실제로 행하여 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통지함으로써 통지된 정보가 작업자에게 피드백되어 입력의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 촉구되는 상황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적수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입력결과(상기에서는 24시간 동안의 결과를 예시)에 관련된 판단결과를 수집하여 이를 표시하였다. 이에 따라 동일한 종류의 입력이 빈번하게 행하여지는 경우에 실적수집에 매우 유익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3)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에 관한 판단을 일괄적으로 표시하였다. 이에 따라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입력에 대한 판단결과를 동시에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4) 가공개시에 따른 입력과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을 동일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입력작업의 간소화 및 통지내용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5)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진 것(I I I)의 비율 및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것의 비율(I I O, I O I 등)을 통지함으로써 동일한 종류의 입력이 빈번하게 행해지는 경우에 실적수집에 매우 유익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6) 실제로 입력이 되었는지 여부의 판단결과를 제조공정마다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각 제조공정의 실적수집의 신뢰성 평가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7) 제조공정에 따라 시간적으로 인접하게 되는 다른 종류의 입력(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의 각각의 판단결과를 이원적으로 표기함과 아울러 벡터의 각 성분으로 판단결과를 벡터로 표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판단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콤팩트(compact)하게 표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의 관계에 기초하여 입력이 예정대로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8은 본 실시형태의 지원툴 실행서버(50)를 실행하는 처리(판단처리)의 순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컨대 소정주기(예를 들면 24시간)마다 반복해서 실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에는, 먼저 스텝(S100)에서 공정코드를 선택한다. 이어서 스텝(S102)에서는 제품번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스텝(S104)에서는 스텝(S100)에서 선택된 공정코드 및 스텝(S102)에서 선택된 제조번호에 의해서 특정되는 네트 셋업시간 T1을 취득한다. 이러한 처리는 실제로는, 프로그래스 서버(30)에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대응하는 네트 셋업시간 T1의 데이터 송신을 촉구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로 된다. 이때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응하는 네트 셋업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네트 셋업시간 TI의 데이터가 지원툴 실행서버(50)로 송신되지 않는다. 이 경우, 예컨대 프로그래스 서버(30)로부터 지원툴 실행서버(50)로 네트 셋업시간 T1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항을 통지하여야 한다. 스텝(S104)의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입력결과의 취득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네트 셋업시간 T1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은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공정에 대응하는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과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생긴다.
이어서 스텝(S106)에서는 네트 셋업시간 T1이 역치(threshold value) Tth1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역치 Tth1는 셋업시간으로 예상되는 최소시간 이하(예를 들면 「1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처리는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및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셋업개시에 따른 사항이 입력되고, 조정작업의 완료에 따른(셋업완료에 따른) 사항의 입력이 되는 경우, 이러한 두 개의 입력 사이의 시간간격은 조정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 된다. 그리고 조정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작업자 개인차를 고려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폭 내에 있어야 할 것으로 고려되는바, 상기 시간간격이 과도하게 짧은 경우에는 입력되어야 할 타이밍에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셋업완료에 따라서 행해지는 입력이 셋업개시에 따라서 행해지는 입력에 연속되고, 실제의 조정작업과 가공작업이 그 후에 행해지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스텝(S106)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08)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서의 셋업개시 및 셋업완료에 대한 입력결과에 기호 O를 부여한다. 이에 반해서, 스텝(S106)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10)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관련한 셋업개시 및 셋업완료에 대한 입력결과에 기호 I를 부여한다. 이때 기호 I는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 부여되고, 기호 O는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부여된다. 스텝(S106 ∼ S110)의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판단수단을 구성한다. 즉, 상기 스텝(S104)에서 네트 셋업시간 T1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텝(S106)에서 '예스'로 판단되어, 지정된 공정코드와 제조번호에 관련한 셋업개시 및 셋업완료에 대한 입력결과에 기호 O를 부여하여야 한다.
스텝(S108, S110)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스텝(S112)로 이행된다. 스텝(S112)에서는 스텝(S100)에서 선택된 공정코드 및 스텝(S102)에서 선택된 제조번호에 의해 특정되는 네트 가공시간 T2를 취득한다. 이러한 처리는 실제로는, 프로그래스 서버(30)에,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를 지정하여 대응하는 네트 가공시간 T2의 데이터 송신을 촉구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로 된다. 이때, 지정된 가공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응하는 네트 가공시간 T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네트가공시간 T2의 데이터가 지원툴 실행서버(50)로 송신되지 않는다. 이 경우, 예컨대 프로그래스 서버(30)로부터 지원툴 실행서버(50)로 네트 가공시간 T2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항을 통지하여야 한다. 스텝(S112)의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입력결과의 취득수단을 구성한다. 네트 가공시간 T2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은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대응하는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생긴다.
이어서 스텝(S114)에서는 네트 가공시간 T2가 역치 Tth2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역치 Tth2는 가공시간으로 예정되는 최소시간 이상(예를 들면 「1분」)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처리는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셋업완료에 따른 사항의 입력이 행해지고 가공작업의 완료에 따르는 사항의 입력이 행해지는 경우, 이러한 두 개의 입력 간 시간간격은 가공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 된다. 그리고 가공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작업자의 개인차를 고려하여도 어느 정도 폭 내로 유지되는 것으로 고려되기에 상기 시간간격이 과도하게 짧은 경우에는 입력이 행해져야할 타이밍에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가공완료에 따라서 행해지는 입력이 셋업완료에 따라서 행해지는 입력에 연속되고 실제의 가공작업이 그 후에 행해지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스텝(S114)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16)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서의 셋업완료 및 가공완료에 대한 입력결과에 기호 O를 부여한다. 이에 반해서 스텝(S114)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18)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 관련한 셋업완료 및 가공완료에 대한 입력결과에 기호 I를 부여한다. 이때 기호 I는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 부여되고, 기호 O는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부여된다. 한편 스텝(S114 ∼ S118)의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판단수단을 구성한다. 즉, 상기 스텝(S112)에서 네트 가공시간 T2가 취득되지 않는 경우, 스텝(S114)에서 '예스'로 판단하여 지정된 공정코드 및 제조번호에서의 셋업완료 및 가공완료에 대한 입력결과에 기호 O를 부여하여야 한다.
스텝(S116, S118)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스텝(S120)으로 이행된다. 스텝(S120)에서는 스텝(S100)에서 지정된 공정코드와 관련하여, 전체 제조번호에 대한 스텝(S104 ∼ S118)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S120)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02)로 되돌아 간다. 이에 반해서, 스텝(S120)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22)로 이행된다. 스텝(S122)에서 는 전체 공정코드에에 대하여 스텝(S102 ∼ S120)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S122)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아직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지의 여부의 판단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해서 스텝(S100)으로 되돌아 간다.
이에 반해서, 스텝(S122)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24)에서 이전에 가공된 전체 공정코드, 제조번호에 관련한 상기 판단결과를 수집하는 처리를 포함한 연산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수집연산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스텝(S126)에서는 상기 도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52)를 이용하여 연산처리 결과를 시각적으로 통지(표시)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통지수단을 구성한다.
이때,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및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의 조(組)와,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의 조와의 각각이 예정대로 되었는가의 여부의 판단결과는 그것을 총합한 총합판정(셋업가공패턴)으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성분으로 되는 벡터 표시로 된다. 도9에서 네트 마크는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및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의 조(네트 셋업시간)에 관련한 판단결과를 보여주며, 네트 가공마크는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과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의 조(네트 가공시간)에 관련한 판단결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네트 셋업마크 및 네트 가공마크의 각각은 셋업가공 패턴의 표기에 있어서 벡터의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각각으로 된다.
도10은 디스플레이(52)의 표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셋업가공 패턴으로 해서 취득하는 벡터인 「I I」,「I O」,「0 I」,「0 0」의 각각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공정코드(α***1, α***2, …α**1 1, β***1, β***2,…, β***9)마다 표기되고 있다. 상기 비율은 몇 개의 가공을 행하는 각 부서( A**1, A**2)에도 표기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공정코드 α***1, α***2, …α**1 1을 실행하는 것이 부서 A**1이고, 공정코드 β***2,…, β***9를 실행하는 것이 부서 A**2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상기 (4) ∼ (7)의 효과에 준하는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8) 네트 셋업시간이 과도하게 짧은 경우,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 및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의 조에 대해서, 입력이 예정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네트 가공시간이 과도하게 짧은 경우,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의 조에 대하여, 입력이 예정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각 입력 자체는 행해졌다 하더라도 예정된 타이밍에서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이하, 제3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은 본 실시형태에서 지원툴 실행서버(50)의 실행 처리순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컨대 소정주기(예를 들면 24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S130)에서 공정코드를 표현하는 기호에 적절한 순위를 부여하고 최상위로부터 순서대로 배열한 후, 그에 대응하는 각 제조번호에 대하여 셋업개시 일시가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배열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는 각 제조번호에 대하여 셋업개시 일시가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배열함과 아울러 그 경우에 셋업개시 일시가 동일하고 공정코드가 상이한 것과 동일한 것이 있는 경우, 공정코드가 동일한 것끼리가 반드시 인접하여 배열되도록 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러한 처리는 프로그래스 서버(30)를 이용하여 공장 실적수집PC(20)에, 공정코드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각 공정코드에 대응하는 셋업개시 일시 및 제조번호의 데이터 송신을 촉구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입력결과의 취득수단을 구성한다.
이어서, 스텝(S132)에서는 상기 배열에서 동일한 공정코드로 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2개의 제조번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스텝(S134)에서는 스텝(S132)에서 선택된 한 쌍의 제조번호에 관련한 셋업개시 일시 t1, t2를 취득한다.
이어서, 스텝(S136)에서는 한 쌍의 셋업개시 일시 t1, t2 사이의 시간차의 절대값이 역치tth 미만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처리는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이 예정대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어떠한 제조번호에 의해 특정되는 가공대상물 또는 가공대상물군(롯트)에 대해서, 조정작업을 행한 후, 가공작업을 행하고 이것이 완료되면 별도의 제조번호에 의해 특정되는 가공대상물 또는 가공대상물군(롯트)에 대하여, 조정작업 및 가공작업을 행하는 것이 예정된다. 이때 조정작업 및 가공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작업자 간의 개인차가 있는바, 일정한 폭 내로 수용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종류의 입력(여기서는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공대상물에 대응하는 시각(셋업개시 일시) 사이의 시간간격이 과도하게 짧은 경우, 입력이 예정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스텝(S136)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38)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한 쌍의 제조번호에 있어서의 셋업개시에 대한 입력결과에 부호 O를 부여한다. 이에 반해서 스텝(S136)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40)에서 지정된 공정코드 및 한 쌍의 제조번호에 관련한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결과에 기호 I를 부여한다. 이때 기호 I는 예정대로 입력이 된 경우에 부여되고, 기호 O는 예정대로 입력이 되지 않은 경우에 부여된다. 한편, 스텝(S136 ∼ S140)의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판단수단을 구성한다.
스텝(S138, S140)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스텝(S142)로 이행된다. 스텝(S142)에서 스텝(S130)에서의 배열에 대하여 인접하는 제조번호 전부의 조에 대해서 스텝(S134 ∼ S140)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S142)에서 '노"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S132)으로 되돌아 간다. 이에 반해서 스텝(S142)에서 '예스'로 판단되는 경우 스텝(144)으로 이행된다.
스텝(S144)에서는 이전에 가동된 전체 공정코드, 제조번호에 관련된 상기 판단결과를 수집하여 합계에 대한 기호 I의 수와 O의 수를 산출하는 연산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수집연산수단을 구성한다. 이어서, 스텝(S146)에서는 상기 도1에 표시된 디스플레이(52)를 이용하여 연산처리 결과를 시각적으로 통지(표시)한다. 이때 예컨대 기호 O로 되는 것의 수를 공정코드마다 표기하여야 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통지수단을 구성한다. 한편, 스텝(S130)의 처리 후, 스텝(S132)에서 선택될 한 쌍의 제조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11에 도시된 처리를 즉시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상기 (4), (6), (7)의 효과에 준하는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9) 서로 상이한 제품번호에 있어서의 셋업 개시일시 사이의 시간차의 절대값이 과도하게 짧은 경우, 입력이 예정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각각의 입력이 실제로 행해지는 경우에도, 예정된 타이밍에 입력이 되지 않은 경우에 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여기서 예정대로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의 과실이나 룰 위반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조정작업을 행한 후, 조정된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제조번호에 대응하는 가공대상물(가공대상물군)을 가공하는 작업을 연속해서 행하는 현장의 실정인 경우, 서로 상이한 제조번호에 대응하는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이 연속적으로 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그와 같은 입력은 일단 예정 밖의 입력으로 간주되고, 현장에서의 작업이 실적관리를 행하는 측의 예정으로부터 어긋나게 되는 때에는, 현장에서의 작업이 어긋나고 있다고 하는 사실을 알아차릴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됨이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개량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용이하게 예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변형예를 예시하여 열거한다.
「제조공정에 따라 시간적으로 인접하여 행해지는 다른 종류의 작업 입력에 대하여」
조정작업의 개시에 따른 입력결과, 조정작업의 완료에 따른 입력결과 및 가공하는 작업의 완료에 따른 입력결과로 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조정작업의 개시에 따른 결과, 조정작업의 완료에 따른 입력결과, 가공하는 작업의 개시에 따른 입력결과 및 가공하는 작업의 완료에 따른 입력결과로 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판단수단에 대하여」
예컨대, 상기 제1 실시형태(도5)의 처리와, 제2 실시형태(도8)의 처리를 병행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제3의 실시형태(도11)의 처리를 병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실시형태(도8)에서, 네트 셋업시간 T1 및 네트 가공시간 T2이 과도하게 긴 경우에도 예정 외의 입력으로 해서 기호 O를 부여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예컨대 가공작업이 양일간에 걸침과 아울러 공장 내에서의 작업시간이 24시간 보다 짧은 경우에는 작업시간 외의 시간을 공제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프로그래스 서버(30) 등에서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해서 기억시켜 놓고, 셋업개시 일시와 셋업완료 일시 간에 날짜가 상위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처리 및 상위하는 경우에 상기의 공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도3의 실시형태(도11)에서, 셋업개시 일시 사이의 시간간격에 대신해서 셋업완료 일시 사이의 시간간격 및 가공완료 일시 사이의 시간간격이 과도하게 짧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진 경우에는 기호 I를 사용하 고,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기호 O를 사용하여 전체의 입력결과를 어느 한쪽에 배분하게 되는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그레이 존(grey zone)을 두어서 판단수단의 판단결과를 3-가 로직 시스템(theree-valued logic system)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는 예컨대 네트 가공시간과 서로 상이한 크기의 2개의 역치와의 대소 비교에 기초하여 시간이 짧은 것의 순으로 예정 외, 그레이, 예정대로로 판단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수집처리 수단에 대하여」
상기 제1의 실시형태(도7) 및 제2의 실시형태(도10)에는 총합(예정대로 행해진 것과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은 것의 합)에 대한 예정대로 행해진 것의 비율(I I I, I I) 및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은 것에 대한 종류별(I I O, I O I 등)의 비율을 산출하는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예정대로 행해진 것의 비율만을 산출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예컨대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은 것에 대해 종류별 비율만을 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형태(도7)에서, 「I I O」,「I O I」,「I O O」,「O I I」,「O I O」,「O O I」의 전부의 합계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여도 무방하다. 반드시 비율을 산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은 것의 소정기간에서의 총수를 산출하는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은 것의 수를 산출하는대신에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은 것의 비율을 산출하여도 무방하다.
「취득수단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원툴 실행서버(50)를 입력결과의 취득수단으로 하고 있는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래스 서버(30) 및 지원툴 실행서버(50)를 한 개의 하드웨어 수단으로 하고, 이에 의해 취득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공장 실적수집PC(20), 프로그래스 서버(30) 및 지원툴 실행서버(50)를 한 개의 하드웨어 수단으로 해서, 이에 의해 취득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반드시 지원툴 실행서버(50)의 기능을 구비하는 하드웨어 수단이 취득수단을 구성하는 것 자체가 필수적이지는 않다. 예를 들면, 상기 도1에 도시된 구성에서 공장 실적수집PC(20)를 취득수단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통지수단에 대하여」
다른 종류의 작업에 관련한 판단결과를 합쳐서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는, 상기 제3의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도7에 나타나 있는 표시에 대신해서 셋업개시에 관한 판단결과, 셋업완료에 관한 판단결과 및 가공완료에 관한 판단결과의 각각을 각기 별도의 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예컨대 셋업개시에 관한 판단결과의 표시를 희망하는지, 셋업완료에 관한 판단결과의 표시를 희망하는지, 가공완료에 관한 판단결과의 표시를 희망하는지를 사용자가 지시가능하도록 하여, 지시에 대응해서 화면을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면 전체의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업개시에 관한 판단결과, 셋업완료에 관한 판단결과 및 가공완료에 관한 판단결과의 전부를 통지하는 것 자체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공개시에 관한 판단결과 및 가공완료에 관한 판단결과만을 통지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공정에 대해 판단결과를 병합해서 통지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공정마다 판단결과를 별도의 표에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공장의 작업자에게 열람가능한 형태의 통지처리를 행하는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관리자에게만 열람가능한 형태로 통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은 수 또는 비율이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 사항을 음성으로 통지할 수도 있다.
「입력수단에 관한 방법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도2)에서,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만에 대한 공정코드를 읽어 들이는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 및 가공완료에 따른 입력에 대해서도 제조번호와 함께 공정코드를 읽어 들이는 것이 무방하다. 이 경우, 입력처리 후에 에러 통지에 기초하여 사람이 입력 데이터를 일부 수작업으로 수정함이 없어도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만이 배제된 데이터(O I I, O I O, O O I)가 생성된다.
「입력수단에 대하여」
입력정보를 갖는 수단으로는, 1차원 코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2차원 코드도 무방하다.
바코드를 이용하는 것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입력수단을 셋업개시, 셋업완료 및 가공완료 각각의 전용 버튼과 제조번호를 검색하는 기능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현재 가공대상으로 하는 제조번호를 지정한 후, 셋업개시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이 행해지게 된다.
「수집처리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구성에 대하여」
예를 들면 핸디 터미널(10)에 셋업개시에 따른 입력이 행해지고부터 셋업완료에 따른 입력이 행해지기까지의 시간과 역치와의 크기 비교를 하는 수단에서, 역치 쪽이 큰 경우, 입력이 적절하지 않다는 사항을 경고음 등으로 통지하는 수단을 탑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크기를 비교하는 수단이 판단수단을 구성하고, 경고음 등을 발생하는 수단이 통지수단을 구성한다.
「그 외」
입력데이터가 불일치 하는 것과 상관없이, 그것을 사람이 수작업으로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불일치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추론해서 보정하는 연산처리수단을 탑재할 수도 있다.
10…핸디 터미널(입력수단)
50…지원툴 실행서버(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Claims (11)

  1. 제조공정에 관한 작업이 행해지는 때에 그 사항이 입력되는 입력수단을 구비한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입력결과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입력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수단으로의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를 외부로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일 종류의 작업에 관한 복수의 입력결과 각각에 대하여 상기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를 수집하는 처리를 포함하여 연산처리를 행하는 수집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수집처리수단에 의한 연산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단수단의 판단결과로 해서 외부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으로의 입력 중에서 상기 제조공정에 따라 시간적으로 인접하게 되는 다른 종류의 입력의 각각에 대응한 상기 입력결과에 대하여 그것을 입력으로 해서 상기 판단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다른 종류의 입력의 각각에 대응한 상기 입력결과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적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작업의 각각에 대응한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다른 종류의 입력의 각각에 대응하게 되는 상기 입력수단으로의 입력의 각각이 행해졌는지 아닌지의 이원적인 판단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다른 종류의 입력의 각각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판정치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입력수단으로의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동일 종류의 입력에 대해 서로 상이한 가공대상물에 대응하는 입력시각 사이의 시간간격이 판정치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입력수단으로의 입력이 예정대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으로 인접하게 되는 다른 종류의 입력은,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작업과, 상기 가공하는 작업에 앞서서 행해지는 작업으로서의 상기 가공대상물의 가공에 이용하는 부재의 조정작업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작업에 관한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의 입력은, 상기 조정작업의 개시에 따른 입력결과, 상기 조정작업의 완료에 따른 입력결과 및 상기 가공하는 작업의 완료에 따른 입력결과로부터 되는 것을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처리수단은 동일 종류의 작업에서 상기 예정대로 행해진 것으로 판단된 것의 비율과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것의 비율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산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제조공정마다 상기 비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으로 시각적으로 표시가능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KR1020147026871A 2012-11-15 2012-11-15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KR101672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9714 WO2014076807A1 (ja) 2012-11-15 2012-11-15 製造工程の管理支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394A true KR20140148394A (ko) 2014-12-31
KR101672832B1 KR101672832B1 (ko) 2016-11-08

Family

ID=5073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871A KR101672832B1 (ko) 2012-11-15 2012-11-15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71345B2 (ko)
EP (1) EP2835705B1 (ko)
JP (1) JP5881853B2 (ko)
KR (1) KR101672832B1 (ko)
CN (1) CN104169824B (ko)
WO (1) WO20140768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399A1 (ko) * 2021-05-26 2022-12-01 주식회사 테이아 차량의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0875A (zh) * 2017-07-24 2018-01-16 成都东易盛泰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式工序循环记录仪
JP7252031B2 (ja) * 2019-03-28 2023-04-04 シチズンファインデバイス株式会社 工作機械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工作機械に接続される接続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6025A (ja) * 1991-12-19 1993-07-02 Toshiba Corp 設備稼働監視装置
JPH09114889A (ja) * 1995-10-23 1997-05-02 Hitachi Ltd 工程計画の作成方法
JPH09218898A (ja) * 1996-02-14 1997-08-19 Hitachi Ltd 品質記録の管理方法
JP2003029812A (ja) 2001-07-17 2003-01-31 Toshiba Corp 生産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072936A (ja) * 2005-09-09 2007-03-22 Seiko Epson Corp 製造工程管理システムと製造工程管理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製造工程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1558B2 (ja) * 1999-05-11 2004-01-26 日本電気株式会社 代替ロット決定システム
US6850636B1 (en) * 1999-05-25 2005-02-01 Nichiha Corporation Surface inspection system
US7209859B2 (en) * 2002-03-02 2007-04-24 Linxberg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quentially collecting and analyzing real time data with interactive monitoring
CN1299238C (zh) * 2003-01-15 2007-02-07 奥林巴斯株式会社 工序管理***
JP3913185B2 (ja) * 2003-03-24 2007-05-09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試験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試験方法
US20050119863A1 (en) * 2003-08-07 2005-06-02 Buikema John T. Manufacturin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efficiency
JP4884685B2 (ja) * 2005-03-15 2012-02-29 有限会社ティーピクスシステムズ データベースに項目追加を行う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US7809457B2 (en) * 2007-10-30 2010-10-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ramework for automatic generation of sequence of operations
US20110213715A1 (en) * 2010-03-01 2011-09-01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Lean Analytics
CA2857355C (en) * 2011-10-05 2022-06-14 Opteon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dynamic environments
US20130290234A1 (en) * 2012-02-02 2013-10-31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Intelligent Consumer Service Terminal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6025A (ja) * 1991-12-19 1993-07-02 Toshiba Corp 設備稼働監視装置
JPH09114889A (ja) * 1995-10-23 1997-05-02 Hitachi Ltd 工程計画の作成方法
JPH09218898A (ja) * 1996-02-14 1997-08-19 Hitachi Ltd 品質記録の管理方法
JP2003029812A (ja) 2001-07-17 2003-01-31 Toshiba Corp 生産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072936A (ja) * 2005-09-09 2007-03-22 Seiko Epson Corp 製造工程管理システムと製造工程管理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製造工程管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399A1 (ko) * 2021-05-26 2022-12-01 주식회사 테이아 차량의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4217B1 (ko) *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테이아 차량의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69824B (zh) 2016-06-29
US9971345B2 (en) 2018-05-15
CN104169824A (zh) 2014-11-26
KR101672832B1 (ko) 2016-11-08
JPWO2014076807A1 (ja) 2016-09-08
JP5881853B2 (ja) 2016-03-09
EP2835705B1 (en) 2017-03-22
EP2835705A1 (en) 2015-02-11
WO2014076807A1 (ja) 2014-05-22
US20150134098A1 (en) 2015-05-14
EP2835705A4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4831B2 (ja) トレーサビリティ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9396445B2 (en) Controlled data collection system for improving print shop operation
JP6824838B2 (ja) 作業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データ管理方法
JP5130159B2 (ja) 作業分析装置
CN110278121B (zh) 一种检测网络性能异常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6343952A (ja) 製造管理装置、製造管理方法および製造管理プログラム
CN102576328A (zh) ***操作管理装置、***操作管理方法和程序存储介质
JP6977296B2 (ja) 作業時間計測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作業指示システム
KR101672832B1 (ko) 제조공정의 관리지원장치
US20090292384A1 (en) Manufacturing instruction evaluation support system, manufacturing instruction evaluation support method, and manufacturing instruction evaluation support program
CN111340378A (zh) 一种产品项目排产方法及相关装置
CN109472484B (zh) 一种基于流程图的生产过程异常记录方法
CN110059070B (zh) 将数据从数据源收集到制造运营管理数据仓库
JP2022132848A (ja) 稼働監視装置、及び稼働監視方法
JP2017072910A (ja) 計画生成装置および計画生成方法
JP2007265361A (ja) 製造工程に使用されるツール情報を管理,運用する方法
JP6451314B2 (ja) 管理装置、表示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08194854A (ja) 生産情報収集システム
DE112016006839T5 (de) Längenmessungskontrollvorrichtung, Fertigungssystem, Längenmessungskontrollverfahren und Längenmessungskontrollprogramm
JP2020194393A (ja) 作業監視システム
CN111819506A (zh) 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和程序
JP2006018735A (ja) コーディング規準遵守状況監視システム
JP6997489B1 (ja) 営業組織のマネジメント支援装置、営業組織の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営業組織のマネジメント支援方法、営業組織のマネジメント支援プログラム
JP7052827B2 (ja) 配置計画装置、配置計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60985B2 (ja) 稼働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