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744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744A
KR20140140744A KR1020130061498A KR20130061498A KR20140140744A KR 20140140744 A KR20140140744 A KR 20140140744A KR 1020130061498 A KR1020130061498 A KR 1020130061498A KR 20130061498 A KR20130061498 A KR 20130061498A KR 20140140744 A KR20140140744 A KR 20140140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us bar
hole
terminal por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장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0744A/ko
Priority to US14/189,807 priority patent/US9324986B2/en
Priority to EP14170146.6A priority patent/EP2808927A1/en
Publication of KR2014014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8Interconnections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일 방향으로 정렬되되, 각각 일면에 단자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배터리셀, 서로 다른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단자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서로 다른 배터리셀의 상기 단자부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영역, 및 상기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영역 각각에는 하나의 상기 단자부가 관통되는 2개 이상의 관통홀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부에 억지끼움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단자부에 대한 버스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은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터리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채용하는 기기들이 늘어나면서 배터리 모듈의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기들의 외관이 다양해지면서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 모듈의 형태도 다양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단, 배터리 모듈은 기본적으로 안전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바, 이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편, 복수의 배터리셀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버스바가 이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버스바의 경우 단자부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나 너트 등의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고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단자부에 고정될 수 있는 버스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일 방향으로 정렬되되, 각각 일면에 단자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배터리셀, 서로 다른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단자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서로 다른 배터리셀의 상기 단자부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영역, 및 상기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영역 각각에는 하나의 상기 단자부가 관통되는 2개 이상의 관통홀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부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영역은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버스바에 장력을 제공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단자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버스바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를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영역은, 상기 연결영역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단자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관통영역, 상기 제1 관통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영역, 및 상기 지지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단자부가 관통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관통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단자부가 구비된 면을 덮되,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버스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은 중심이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영역에는 상기 단자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를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내측에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보조 버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버스바는 보조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 버스바에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조 버스바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를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제1 관통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2 관통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2 연결영역 각각에는 절곡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영역의 절곡부와 상기 제2 연결영역의 절곡부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관통영역의 상기 제1 관통홀의 외측부에는 상기 단자부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단자부를 상기 버스바의 내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제1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관통영역의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측부에는 상기 단자부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단자부를 상기 버스바의 외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제2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영역은 하나의 단자부가 관통되는 3개의 관통홀이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영역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의 단자부가 관통되는 A 관통영역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에 인접한 배터리셀의 단자부가 관통되는 B 관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영역은 A 관통영역 및 B 관통영역 간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관통영역 및 상기 B 관통영역은 각각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관통영역,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관통영역, 및 제3 관통홀이 형성된 제3 관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A 관통영역 및 B 관통영역의 상기 제1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 상기 제2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영역, 및 상기 제3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제3 연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A 관통영역의 제1 관통영역, 상기 제1 연결영역, 상기 B 관통영역의 제1 관통영역, 상기 B 관통영역의 제2 관통영역, 상기 제2 연결영역, 상기 A 관통영역의 제2 관통영역, 상기 A 관통영역의 제3 관통영역, 상기 제3 연결영역, 및 상기 B 관통영역의 제3 관통영역의 순서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일체로 연장된 S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관통영역 및 제3 관통영역의 내측부에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자부를 상기 버스바의 외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와 상기 관통홀은 후크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에는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의 상기 제1 관통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후크홈에 안착되어,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부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버스바를 단자부에 억지끼움하여 고정하는바,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버스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의 연결영역에 절곡부를 구비하여 버스바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버스바와 단자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가 단자부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 및 보조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버스바 및 보조 버스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버스바 및 보조 버스바가 단자부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버스바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버스바가 단자부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버스바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버스바가 단자부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가 단자부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a)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100a)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a)은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배터리셀(110), 서로 다른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120), 및 단자부(111)가 구비된 배터리셀(110)의 상면(118)을 덮는 커버부재(150)를 포함하며,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버스바(120)를 단자부(111)에 고정할 수 있다.
배터리셀(110)은 에너지를 발생하는 부재로서, 복수로 구성되어 일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배터리셀(110)은 일면이 개구된 전지케이스와 전지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전지케이스는 예를 들어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110)의 상면(118)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110)의 상면(118)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양극단자(112)와 음극단자(113)를 포함하는 단자부(111)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배터리셀(110)의 안전수단으로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로 작용하는 벤트부(1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모듈(100a)은 배터리셀(110)을 일 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하여 고정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15)는 배터리셀(110)의 외측에 배치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116)와 엔드플레이트(116) 간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17)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116) 사이에는 복수의 배터리셀(110)이 정렬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셀(110)은 넓은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정부(115)는 배터리셀(1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함으로, 본 실시예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셀(110)을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의 형태도 고정부(115)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110)의 연결 구조 및 배터리셀(110)의 개수는 배터리 모듈(100a)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인접한 배터리셀(110)이 서로 접촉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셀(110)이 이격되어 위치되거나, 이격된 공간에 스페이서가 구비된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100a)의 버스바(12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100a)의 버스바(120)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100a)의 버스바(120)가 단자부(111)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버스바(120)는 서로 다른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버스바(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110)의 양극단자(112)와 인접한 다른 배터리셀(110)의 음극단자(113)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두 배터리셀(110)을 직렬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버스바(120)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110)의 양극단자(112)와 인접한 다른 배터리셀(110)의 양극단자(112)를, 또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110)의 음극단자(113)와 인접한 다른 배터리셀(110)의 음극단자(113)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두 배터리셀(110)을 병렬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버스바(120)는 단자부(111)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금, 은, 구리, 니켈 등의 전기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120)는 단자부(111)에 대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너트나 볼트와 같은 다른 고정부재 없이 단자부(11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버스바(120)는 단자부(111)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가 관통되는 두 관통영역(130), 및 두 관통영역(130) 간을 연결하는 연결영역(14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관통영역(130)은 서로 다른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가 각각 관통되는 영역으로서 버스바(1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가 관통되는 부분을 A 관통영역(130a),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110)에 인접한 다른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가 관통되는 부분을 B 관통영역(130b)이라 하겠다.
여기서, 각 관통영역(130)에는 하나의 단자부(111)가 두 개의 관통홀(133, 134)을 관통하도록, 두 개의 관통홀(133, 134)이 복층식으로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영역(130)은 연결영역(140)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관통홀(133)이 형성된 제1 관통영역(131), 제1 관통영역(131)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고 단자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영역(135), 및 지지영역(135)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2 관통홀(134)이 형성된 제2 관통영역(1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120)의 체결시에 단자부(111)는 제2 관통홀(134)을 먼저 통과한 후 제1 관통홀(133)을 통과하여, 두 개의 관통홀(133, 134)에 의해 그 측면을 지지받을 수 있다. 또한, 지지영역(135)은 단자부(111)의 측면에 접촉되어 단자부(111)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영역(140)은 서로 다른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가 관통된 A 관통영역(130a)과 B 관통영역(130b)을 연결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연결영역(140)은 관통영역(130)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절곡부(141)를 구비함으로써 버스바(120)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부(141)는 버스바(120)의 관통영역(130)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늘어나는 힘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자부(111)와 버스바(120)의 억지끼움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버스바(120)의 연결영역(140)이 관통영역(130)의 상부(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관통영역(131))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버스바(120)의 연결영역(140)이 관통영역(130)의 하부에서 연결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버스바(120)를 반대 방향으로 뒤집어 단자부(111)에 삽입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단자부(111)가 버스바(120)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120)가 단자부(111)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버스바(120)의 관통영역(130) 중 제2 관통영역(132)이 버스바(120)의 내측으로 다소 당겨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120)는 전체적으로 약간 휘어진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관통홀(134)의 내측부(134a)가 제1 관통홀(133)의 내측부(133a)보다 다소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관통홀(133) 및 제2 관통홀(134)의 중심이 어긋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120)의 관통홀(133, 134)에 단자부(111)가 삽입되면, 버스바(120)는 하나의 단자부(111)가 두 개의 관통홀(133, 13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약간 휘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관통홀(134)의 내측부(134a)가 외측으로 밀리면서 제1 관통홀(133)의 내측부(133a)와 동일 수직선 상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통홀(133)의 내측부(133a) 및 제2 관통홀의 내측부(134a)는 단자부(111)를 버스바(120)의 외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지지영역(135)은 단자부(111)를 버스바(120)의 내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즉, 단자부(111)는 상부 및 하부에서 버스바(120)의 외측을 향하는 힘을, 중간부에서 버스바(120)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스바(120)는 단자부(111)에 억지끼움될 수 있고, 별도의 볼트나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가 없이도 단자부(11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100a)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a)의 커버부재(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커버부재(150)는 배터리셀(110)의 상면(118), 즉 단자부(111)가 인출되는 배터리셀(110)의 면을 덮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자부(111) 또는 버스바(120)가 외부 전도체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50)의 내측에는 리브(151)가 돌출될 수 있으며, 리브(151)는 버스바(120)의 연결영역(140)의 절곡부(141)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리브(151)는 버스바(120)가 단자부(1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50)의 내측에는 단자부(111)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홈(15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50)는 고정부(115)의 엔드플레이트(116)나 연결플레이트(117)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단자홈(152)에 단자부(111)가 억지끼움되어 배터리 모듈(100a)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6에서는 커버부재(150)가 복수의 배터리셀(110)의 어느 일측의 단자부(111)들을 커버할 수 있도록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두 단자부(111), 즉 어느 하나의 버스바(120)만을 커버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셀(110)의 상면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구현되어 양측의 단자부(111)들을 모두 커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220) 및 보조 버스바(26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버스바(220) 및 보조 버스바(260)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버스바(220) 및 보조 버스바(260)가 단자부(111)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버스바(220)의 관통영역(230)의 지지영역(235)에 돌출부(236)가 구비되고, 보조 버스바(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스바(220)는 제1 관통영역(231), 지지영역(235), 및 제2 관통영역(232)을 포함하는 두 관통영역(230), 및 두 관통영역(230)인 A 관통영역(230a)과 B 관통영역(230b)을 상호 연결하되 절곡부(241)를 구비한 연결영역(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영역(230)의 지지영역(235)에는 단자부(111)를 향해 돌출부(2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영역(235)에는 돌출부(236)가 구비되는바, 돌출부(236)는 단자부(111)를 버스바(220)의 내측으로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220)가 단자부(111)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버스바(220)의 돌출부(236)의 선단이 관통홀(233, 234)의 외측부(233b, 234b)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111)가 버스바(220)에 삽입되면 돌출부(236)는 버스바(220)의 외측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돌출부(236)는 버스바(220)의 내측으로 단자부(111)를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233, 234)의 내측부(233a, 234a)는 이에 대한 반력으로서 단자부(111)를 외측으로 미는 힘을 가하게 될 수 있다. 결국, 단자부(111)는 상부에서 제1 관통홀(233)의 내측부(233a)에 의해 버스바(220)의 외측을 향하는 힘을, 중간부에서 돌출부(236)에 의해 버스바(220)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하부에서 제2 관통홀(234)의 내측부(234a)에 의해 버스바(220)의 외측을 향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220)는 단자부(11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단자부(11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달리 버스바(220)가 반대로 뒤집혀서 단자부(111)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 버스바(260)는 버스바(220)의 내측에 버스바(220)와 단자부(111)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보조 버스바(260)가 더 구비됨으로써, 단자부(111)의 외측에는 버스바(220), 내측에는 보조 버스바(260)가 위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보조 버스바(260)에는 버스바(220)와 같이 보조 절곡부(261)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조 버스바(260)에도 장력이 부여되어 보조 버스바(260)는 단자부(111)를 버스바(22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며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버스바(260)에는 보조 절곡부(261)로부터 연장되는 보조 지지영역(262)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 지지영역(262)은 단자부(111)의 측면과 면접촉하여 단자부(111)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 버스바(260)는 버스바(2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자부(111)의 상부, 중간부,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버스바(260)의 보조 절곡부(261)는 버스바(220)의 절곡부(241)에 대응되도록,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겹쳐 접촉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서로의 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32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버스바(320)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버스바(320)가 단자부(111)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320)는 서로 다른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가 관통되는 두 관통영역(330) 및 관통영역(330) 간을 연결하는 연결영역(340)을 포함하되, 연결영역(340)이 제1 연결영역(340a)과 제2 연결영역(340b)을 포함하고, 각 연결영역(340)이 모두 절곡부(341a, 341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통영역(330)은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가 관통되는 부분으로서, 제1 관통영역(331), 지지영역(335), 및 제2 관통영역(3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통영역(331)에는 제1 관통홀(33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관통영역(332)에는 제2 관통홀(33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111)가 버스바(320)에 삽입될 때 하나의 단자부(111)는 차례대로 제2 관통홀(334)을 관통한 후 제1 관통홀(333)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지지영역(335)은 제1 관통영역(331)과 제2 관통영역(332)을 상호 연결해주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홀(333) 및 제2 관통홀(334)의 주위에는 지지부(336, 337)가 구비되어, 단자부(111)를 지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관통홀(333)의 외측부(333b)에는 제1 지지부(336)가 형성되고, 제2 관통홀(334)의 내측부(334a)에는 제2 지지부(337)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지지부(336) 및 제2 지지부(337)는 단자부(111)의 측면에 접촉하여 각각 단자부(111)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111)와 버스바(32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320)가 단자부(111)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경우, 제1 지지부(336)는 제1 관통홀(333)의 외측부(333b; 도 10에 도시)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지지부(337)는 제2 관통홀(334)의 내측부(334a; 도 10에 도시)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111)가 버스바(320)에 삽입되면서 제1 지지부(336) 및 제2 지지부(337)를 각각 외측 및 내측으로 밀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지지부(336)는 단자부(111)를 버스바(320)의 내측으로 미는 힘을 가하며 제2 지지부(337)는 단자부(111)를 버스바(320)의 외측으로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111)의 상부는 버스바(320)에 대하여 제1 지지부(336) 및 제1 관통홀(333)의 내측부(333a) 간에 억지끼움되고 단자부(111)의 하부는 제2 지지부(337) 및 제2 관통홀(334)의 외측부(334b) 간에 억지끼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관통홀(333) 및 제2 관통홀(334)의 중심은 이전 실시예와 같이 약간 어긋나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자부(111)가 삽입될 때 버스바(320)의 형태가 변하면서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연결영역(340)은 A 관통영역(330a)과 B 관통영역(330b)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제1 연결영역(340A)과 제2 연결영역(34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영역(340a)에는 제1 절곡부(341a)가 구비되고 제2 연결영역(340b)에는 제2 절곡부(341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341a, 341b)는 버스바(320)에 장력을 부여하며, 이에 따라 단자부(111) 및 버스바(32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341a) 및 제2 절곡부(341b)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절곡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320)는 연결영역(340)을 두 개 포함하는바, 제1 연결영역(340a)에는 제1 관통영역(331)이 연결되고, 제2 연결영역(340b)에는 제2 관통영역(332)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320)는 전체의 영역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420)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버스바(420)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버스바(420)가 단자부(111)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420)는 관통영역(430) 및 연결영역(440)을 포함하되, 버스바(420) 전체 형상이 "S" 형상을 이루고 A 관통영역(430a) 및 B 관통영역(430b) 각각에 3개의 관통홀(434, 435, 4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스바(420)는 서로 다른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가 관통된 A 관통영역(430a)과 B 관통영역(430b), 및 두 관통영역(430) 간을 연결하는 연결영역(4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 관통영역(430a)과 B 관통영역(430b) 각각은 제1 관통영역(431), 제2 관통영역(432), 및 제3 관통영역(4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영역(431)에는 제1 관통홀(434), 제2 관통영역(432)에는 제2 관통홀(435), 제3 관통영역(433)에는 제3 관통홀(4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단자부(111)가 상기 3개의 관통홀(434, 435, 436)을 모두 통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연결영역(440)은 3개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영역(440)은 A 관통영역(430a)의 제1 관통영역(431)과 B 관통영역(430b)의 제1 관통영역(431)을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440a), A 관통영역(430a)의 제2 관통영역(432)과 B 관통영역(430b)의 제2 관통영역(432)을 연결하는 제2 연결영역(440b), A 관통영역(430a)의 제3 관통영역(433)과 B 관통영역(430b)의 제3 관통영역(433)을 연결하는 제3 연결영역(44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 관통영역(430a)의 제1 관통영역(431)으로부터 제1 연결영역(440a)이 연장되고, 제1 연결영역(440a)으로부터 B 관통영역(430b)의 제1 관통영역(431)이 연장되며, B 관통영역(430b)의 제1 관통영역(431)으로부터 절곡되어 B 관통영역(430b)의 제2 관통영역(432)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B 관통영역(430b)의 제2 관통영역(432)으로부터 제2 연결영역(440b)이 연장되고, 제2 연결영역(440b)으로부터 A 관통영역(430a)의 제2 관통영역(432)이 연장되며, A 관통영역(430a)의 제2 관통영역(432)으로부터 절곡되어 A 관통영역(430a)의 제3 관통영역(433)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A 관통영역(430a)의 제3 관통영역(433)으로부터 제3 연결영역(440c)이 연장되고, 제3 연결영역(440c)으로부터 B 관통영역(430b)의 제3 관통영역(433)이 연장될 수 있다. 즉, A 관통영역(430a)의 제1 관통영역(431), 제1 연결영역(440a), B 관통영역(430b)의 제1 관통영역(431), B 관통영역(430b)의 제2 관통영역(432), 제2 연결영역(440b), A 관통영역(430a)의 제2 관통영역(432), A 관통영역(430a)의 제3 관통영역(433), 제3 연결영역(440c), 및 B 관통영역(430b)의 제3 관통영역(433)이 순서대로 연장됨으로써, 버스바(420)는 전체적으로 3개의 관통영역(431, 432, 433)과 연결영역(440a, 440b, 440c)이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S"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B 관통영역(430b)의 제1 관통영역(431)과 제2 관통영역(432) 사이에는 제1 지지영역(437a)이 더 포함되고, A 관통영역(430a)의 제2 관통영역(432)과 제3 관통영역(433) 사이에는 제2 지지영역(437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관통영역(430)에는 단자부(111)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38, 439)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관통영역(431)의 제1 관통홀(434)의 내측부(434a; 도 13에 도시)에는 제1 지지부(438)가 구비되고, 제3 관통영역(433)의 제3 관통홀(436)의 내측부(436a; 도 13에 도시)에는 제2 지지부(43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438) 및 제2 지지부(439)는 단자부(111)의 분리 상태에서 관통홀(434, 436)의 내측부(434a, 436a; 도 13에 도시)보다 버스바(42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111)가 삽입되면서 내측으로 밀릴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111)는 상부가 제1 지지부(438) 및 제1 관통홀(434)의 외측부(434b) 사이에, 하부가 제2 지지부(439) 및 제3 관통홀(436)의 외측부(436b) 사이에 끼워져서 버스바(420)에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홀(435)의 내측부에도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420)는 하나의 부재가 절곡되어 "S"자 형상을 이루는바, 외력에 의해 잘 휘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연결영역(440a), 제2 연결영역(440b), 및 제3 연결영역(440c)을 한 번에 연결하는 연결부재(44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441)는 각 연결영역(440a, 440b, 440c)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520)가 단자부(511)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단자부(511)에는 후크홈(515)이 형성되어, 단자부(511)와 버스바(520)가 후크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단자부(511)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후크홈(5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스바(520)의 관통영역(530)은 제1 관통영역(531), 제2 관통영역(532), 및 지지영역(535)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관통영역(531)의 제1 관통홀(533)은 후크홈(515)에 안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관통홀(533)의 내측부(533a)가 단자부(511)의 후크홈(515)에 안착되며, 이에 따라 버스바(520)와 단자부(511) 간의 후크 결합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버스바(520)가 단자부(511)로부터 분리되는 힘이 발생되더라도, 제1 관통홀(533)의 내측부(533a) 상단이 단자부(511)의 후크홈(515) 하단에 걸려, 버스바(520)가 분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홀(533)의 내측부(533a)가 단자홈(511)의 후크홈(515)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관통영역(531)의 두께는 후크홈(515)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작게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관통홀(533)은 후크홈(515)에 안착되도록 내측부(533a)가 더욱 외측으로 연장되므로, 제2 관통홀(534)에 비하여 개구된 크기가 작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단자부(511)와 버스바(520) 간의 결합은, 버스바(520)의 억지끼움에 의한 결합에 더불어 후크 결합까지 이용하므로, 단자부(511)와 버스바(520)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할 수 있다. 특히, 단자부(511)의 후크홈(515) 내측 삼면이 버스바(520)의 제1 관통홀(533) 내측부(533a)의 외측 삼면을 둘러쌈으로써, 결합력이 더욱 견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홈(515)이 단자부(511)의 상단에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홈(515)이 단자부(511)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2 관통홀(534)이 후크홈(515)에 안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단자부(511)의 상단이 평평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단자부(511)의 상단을 테이퍼지게 구현하여 관통홀(533, 534)이 단자부(511)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배터리셀 111, 511 : 단자부
120, 220, 320, 420, 520 : 버스바
130, 230, 330, 430, 530 : 관통영역
131, 231, 331, 431, 531 : 제1 관통영역
132, 232, 332, 432, 532 : 제2 관통영역
133, 233, 333, 434, 534 : 제1 관통홀
134, 234, 334, 435, 535 : 제2 관통홀
140, 240, 340, 440, 540 : 연결영역
141, 241, 341a, 341b, 541 : 절곡부 150 : 커버부재
151 : 리브 260 : 보조 버스바
261 : 보조 절곡부 336, 337, 438, 439 : 지지부
433 : 제3 관통영역 436 : 제3 관통홀
515 : 후크홈

Claims (20)

  1. 일 방향으로 정렬되되, 각각 일면에 단자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배터리셀;
    서로 다른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단자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서로 다른 배터리셀의 상기 단자부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영역, 및 상기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영역 각각에는 하나의 상기 단자부가 관통되는 2개 이상의 관통홀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부에 억지끼움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은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버스바에 장력을 제공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단자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버스바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를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영역은,
    상기 연결영역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단자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관통영역;
    상기 제1 관통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영역; 및
    상기 지지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단자부가 관통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관통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단자부가 구비된 면을 덮되,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버스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은 중심이 어긋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영역에는 상기 단자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를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내측에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보조 버스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스바는 보조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 버스바에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조 버스바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를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제1 관통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2 관통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2 연결영역 각각에는 절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영역의 절곡부와 상기 제2 연결영역의 절곡부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영역의 상기 제1 관통홀의 외측부에는 상기 단자부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단자부를 상기 버스바의 내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제1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관통영역의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측부에는 상기 단자부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단자부를 상기 버스바의 외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제2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영역은 하나의 단자부가 관통되는 3개의 관통홀이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영역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의 단자부가 관통되는 A 관통영역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에 인접한 배터리셀의 단자부가 관통되는 B 관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영역은 A 관통영역 및 B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관통영역 및 상기 B 관통영역은 각각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관통영역,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관통영역, 및 제3 관통홀이 형성된 제3 관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A 관통영역 및 B 관통영역의 상기 제1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 상기 제2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영역, 및 상기 제3 관통영역 간을 연결하는 제3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A 관통영역의 제1 관통영역, 상기 제1 연결영역, 상기 B 관통영역의 제1 관통영역, 상기 B 관통영역의 제2 관통영역, 상기 제2 연결영역, 상기 A 관통영역의 제2 관통영역, 상기 A 관통영역의 제3 관통영역, 상기 제3 연결영역, 및 상기 B 관통영역의 제3 관통영역의 순서대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일체로 연장된 S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영역 및 제3 관통영역의 내측부에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자부를 상기 버스바의 외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와 상기 관통홀은 후크 구조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에는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의 상기 제1 관통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후크홈에 안착되어,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부와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30061498A 2013-05-30 2013-05-30 배터리 모듈 KR20140140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498A KR20140140744A (ko) 2013-05-30 2013-05-30 배터리 모듈
US14/189,807 US9324986B2 (en) 2013-05-30 2014-02-25 Battery module
EP14170146.6A EP2808927A1 (en) 2013-05-30 2014-05-28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498A KR20140140744A (ko) 2013-05-30 2013-05-30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744A true KR20140140744A (ko) 2014-12-10

Family

ID=5082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498A KR20140140744A (ko) 2013-05-30 2013-05-30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24986B2 (ko)
EP (1) EP2808927A1 (ko)
KR (1) KR2014014074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132A (ko) * 2015-07-15 2017-0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20170039941A (ko) * 2015-10-02 2017-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나사 체결 부위의 비틀림 응력을 완화할 수 있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180108458A (ko) * 2017-03-23 2018-10-04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특히, 전기 비히클에 대한 트랙션 배터리를 위한 연결 어셈블리
KR20180108461A (ko) * 2017-03-24 2018-10-04 도요타 지도샤(주) 조전지
WO2019074206A1 (ko) * 2017-10-10 2019-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접합용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9074211A1 (ko) * 2017-10-11 2019-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접합용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90129234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경신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00029318A (ko) *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KR102124875B1 (ko) * 2019-11-26 2020-06-19 에이에프더블류 주식회사 부스바 제조방법
WO2023194864A1 (en) * 2022-04-05 2023-10-12 Molex, Llc Busba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2264A1 (de) * 2014-06-26 2015-12-31 Robert Bosch Gmbh Zellenverbinder sowie Batteriezelle, Batteriemodul, Batterie, Batteriesystem,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tteriemoduls
US10396405B2 (en) * 2014-11-10 2019-08-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Bus bar for a battery connector system
US10403875B2 (en) * 2015-04-14 2019-09-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bar assembly for vehicle traction battery
KR102408824B1 (ko) * 2015-06-22 2022-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KR102065103B1 (ko) * 2016-11-04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JP6720852B2 (ja) * 2016-12-22 2020-07-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配線モジュール
FR3070549B1 (fr) * 2017-08-29 2020-12-04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et refroidissement de celui ci
EP3499655B1 (en) * 2017-12-13 2021-03-31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bus bar
US11621461B2 (en) * 2020-01-29 2023-04-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ar module terminal assemblies having pairs of elongated terminal plates
US11721875B2 (en) * 2020-03-02 2023-08-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attery pack assemblies having elongated terminal connectors and vehicles having the same
GB2600147B (en) * 2020-10-23 2022-11-23 Ricardo Uk Ltd Battery packs
JP7254430B2 (ja) * 2020-11-06 2023-04-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
EP4207473A1 (fr) * 2021-12-29 2023-07-05 Automotive Cells Company SE Ensemble d'interconnexion de cellules électrochimiques et procédé d'installation associ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9327B2 (en) 2005-05-25 2007-06-12 Alcoa Fujikura Limite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WO2010052788A1 (ja) 2008-11-07 2010-05-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用ブスバー及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1050318B1 (ko) 2009-04-16 2011-07-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EP2441103B2 (de) * 2009-06-08 2018-09-12 Auto-Kabel Management GmbH Batteriezellenverbinder
JP5595830B2 (ja) * 2009-08-26 2014-09-24 株式会社東芝 電池、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KR101222371B1 (ko) * 2010-11-12 2013-01-1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의 단자, 이차 전지의 단자 조립 방법,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DE102011076624A1 (de) * 2011-05-27 2012-11-29 Elringklinger Ag Zellverbinder
JP2013031291A (ja) 2011-07-28 2013-02-07 Yazaki Corp 端子金具とバスバとの接続構造
DE102012202623A1 (de) * 2012-02-21 2013-08-22 Elringklinger Ag Zellverbinder
JP5606481B2 (ja) * 2012-03-23 2014-10-15 株式会社東芝 組電池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132A (ko) * 2015-07-15 2017-0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10553836B2 (en) 2015-07-15 2020-02-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20170039941A (ko) * 2015-10-02 2017-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나사 체결 부위의 비틀림 응력을 완화할 수 있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180108458A (ko) * 2017-03-23 2018-10-04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특히, 전기 비히클에 대한 트랙션 배터리를 위한 연결 어셈블리
JP2018160454A (ja) * 2017-03-23 2018-10-11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ジャーマ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TE Connectivity Germany GmbH 特に電気自動車用の主電池の接続アセンブリ
US10490800B2 (en) 2017-03-24 2019-11-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pack
KR20180108461A (ko) * 2017-03-24 2018-10-04 도요타 지도샤(주) 조전지
WO2019074206A1 (ko) * 2017-10-10 2019-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접합용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10710027A (zh) * 2017-10-10 2020-01-17 株式会社Lg化学 用于电极引线接合的汇流条组件和包括该汇流条组件的电池模块
US11302998B2 (en) 2017-10-10 2022-04-12 Lg Energy Solution, Ltd. Bus 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WO2019074211A1 (ko) * 2017-10-11 2019-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접합용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1158912B2 (en) 2017-10-11 2021-10-26 Lg Chem, Ltd. Bus 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KR20190129234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경신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00029318A (ko) *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KR102124875B1 (ko) * 2019-11-26 2020-06-19 에이에프더블류 주식회사 부스바 제조방법
WO2023194864A1 (en) * 2022-04-05 2023-10-12 Molex, Llc Busba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8927A1 (en) 2014-12-03
US9324986B2 (en) 2016-04-26
US20140356691A1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0744A (ko) 배터리 모듈
KR101688488B1 (ko) 배터리모듈
JP6088185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EP2648243B1 (en) Battery module
JP6441589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EP2562843B1 (en) Battery module
JP6411742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US8512889B1 (en) Battery module
JP6393086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9012063B2 (en) Battery module
US20140295235A1 (en) Battery module
US10381614B2 (en) Battery module
US8703312B2 (en) Battery module
KR20150024999A (ko) 배터리 모듈
US8916286B2 (en) Battery pack
KR20150117015A (ko) 배터리모듈
KR20150069733A (ko) 배터리 모듈
KR20130023562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KR20160069348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구비한 전지 팩
US9627674B2 (en) Battery module
KR20150069810A (ko) 배터리모듈
US11165124B2 (en) Battery pack
KR20140123693A (ko) 배터리 팩
US20150221924A1 (en)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