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560A -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 Google Patents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560A
KR20140138560A KR1020140147124A KR20140147124A KR20140138560A KR 20140138560 A KR20140138560 A KR 20140138560A KR 1020140147124 A KR1020140147124 A KR 1020140147124A KR 20140147124 A KR20140147124 A KR 20140147124A KR 20140138560 A KR20140138560 A KR 2014013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eel wire
ropes
rop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168B1 (ko
Inventor
홍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14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1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는, 진입공간에서부터 탈출공간으로 연결된 인공구조물을 이용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어드벤처 시설물의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상기 탈출공간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 상기 진입공간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탈출공간까지 연장되며, 상기 탈출공간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낙하방지그물망;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에 연결되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복수의 강선;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이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강선들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하는 상측 강선통과부 및 하측 강선통과부; 및 상기 낙하방지그물망과 상기 복수의 강선에 권취되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과 상기 복수의 강선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이 상기 복수의 강선의 배치 상태와 대응되도록 유지시키는 연결강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은 진입공간에서부터 탈출공간으로 연결된 인공구조물을 이용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어드벤처 시설물에 있어서,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상기 인공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구조물은,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로프를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로프인공구조물, 다양한 형태의 판넬 또는 고리와 복수개의 로프를 연결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로프판넬인공구조물 및 복수의 인공물이 부착된 인공벽을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인공벽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는, 상기 로프인공구조물, 로프판넬인공구조물 및 인공벽구조물 각각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Assembly for preventing fall and Adventure facility the same}
본 발명은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양한 어드벤처 시설물과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에 설치되어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 방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놀이시설물로 가장 보편적인 것이 그네, 미끄럼틀 등과 같은 개별 놀이기구나, 이들 각각을 적절하게 조합한 놀이기구이다.
하지만, 이들은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을 위한 단순한 유희기구로서 그 구성이 너무 단조로워 어린이들이 싫증을 쉽게 느끼는 등 놀이시설물로는 부족한 점이 많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를 곳곳에 배치하고 이들 각각을 계단 또는 출렁다리, 사다리 등으로 연결하여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소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복합 놀이시설물이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놀이시설물은 놀이 과정에서 어린이들이 다양한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배우기 힘든 끈기와 인내, 질서의식은 물론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키울 수가 있게 된다.
하지만, 이들 놀이시설물을 구성하는 놀이기구들은 종래 놀이기구로 널리 사용되어 왔던 것들을 단순히 조합한 것이라는 점에서 어린이들이 자주 접하게 되면 더 이상 흥미를 유발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어린이들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더욱이, 종래 알려진 놀이시설물 대부분은 그 자체가 어린이들을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성인들은 이용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최근 짜릿함을 체험하기 위해 다양한 신종 레저 스포츠가 일반인들 사이에 확대 보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사람의 모험심을 자극하는 레저 스포츠는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즉, 어린이와 성인 모두가 흥미롭게 체험할 수 있는 어드벤처 시설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이러한 어드벤처 시설물은 대개 높이에서 주는 스릴을 사용자에게 주기 위하여 높은 위치에 설치되기 일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드벤처 시설물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안전로프로 연결된 벨트를 착용하여 어드벤처 시설물을 이용하는 중에 생길 수 있는 추락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어드벤처 시설물에서 이탈하는 경우에 벨트에 의한 충격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일이 다수 발생하며, 또한, 활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순한 구조의 벨트를 사용함에 따라 벨트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남녀노소가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어드벤처 시설물을 제공하고, 간단한 구조로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에 설치되어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 방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는, 진입공간에서부터 탈출공간으로 연결된 인공구조물을 이용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어드벤처 시설물의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상기 탈출공간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 상기 진입공간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탈출공간까지 연장되며, 상기 탈출공간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낙하방지그물망;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에 연결되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복수의 강선;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이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강선들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하는 상측 강선통과부 및 하측 강선통과부; 및 상기 낙하방지그물망과 상기 복수의 강선에 권취되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과 상기 복수의 강선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이 상기 복수의 강선의 배치 상태와 대응되도록 유지시키는 연결강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상측 강선통과부 및 하측 강선통과부를 각각 통과한 제1 강선과 제2 강선을 서로 연결하는 강선연결부 및 상기 제1 강선 및 상기 제2 강선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강선 및 상기 제2 강선이 상기 강선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강선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선연결부는, 상기 제1 강선이 통과되며 제1 수나사부를 구비한 제1 고리부, 상기 제2 강선이 통과되며 제2 수나사부를 구비한 제2 고리부 및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제1 암나사부와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제2 암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상기 제1 암나사부의 결합과 상기 제2 수나사부와 상기 제2 암나사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고리부와 상기 제2 고리부를 연결하는 고리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강선결합부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밴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밴딩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돌출부재 및 제2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밴딩부, 상기 제1 돌출부재 및 상기 제2 돌출부재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홈을 관통한 상기 제1 돌출부재 및 상기 제2 돌출부재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밴딩부와 상기 수용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수용부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는 상기 제1 강선 또는 상기 제2 강선에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은, 진입공간에서부터 탈출공간으로 연결된 인공구조물을 이용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어드벤처 시설물에 있어서,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상기 인공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구조물은,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로프를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로프인공구조물, 다양한 형태의 판넬 또는 고리와 복수개의 로프를 연결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로프판넬인공구조물 및 복수의 인공물이 부착된 인공벽을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인공벽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는, 상기 로프인공구조물, 로프판넬인공구조물 및 인공벽구조물 각각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로프인공구조물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개의 메인로프를 구비하고, 상기 세 개의 메인로프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구조물,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를 구비하는 제2 구조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3 구조물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3 이상의 메인로프와 상기 3 이상의 메인로프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4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는, 상기 로프인공구조물에 포함되는 상기 구조물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로프판넬인공구조물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정한 너비의 판넬 및 상기 일정한 너비의 판넬을 상기 두개의 메인로프에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제5 구조물,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 개의 메인로프, 상기 세 개의 메인로프 중 하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판넬 및 상기 세 개의 메인로프 중 상측에 배치되는 메인로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자유단인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6 구조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와 각각의 메인로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자유단인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7 구조물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의 메인로프와 상기 하나의 메인로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자유단인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8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지형지물과 조합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드벤처 시설물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추락에 의한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방법이 단순하여, 수리 보수가 용이하고, 설치 및 해체를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가 설치된 어드벤처 시설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 강선통과부 및 강선연결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연결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결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결합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 강선통과부, 강선연결부 및 강선결합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제1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제2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제3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제4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제5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제6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인공벽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6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다른 구조물들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가 설치된 어드벤처 시설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드벤처 시설물은 진입공간(S1)에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연결된 인공구조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험훈련을 할 수 있는 시설이다.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은 인공구조물을 직접 또는 지형지물과 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인공구조물은 대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인공구조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해를 입을 수 있을 정도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1)는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인공구조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지면으로 낙상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1)는 상기 진입공간(S1)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 상기 탈출공간(S2)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30) 및 제4 프레임(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상기 제2 프레임(20)은 기둥 형태로 지면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상기 제2 프레임(20)은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1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상기 제2 프레임(20)을 각각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 공각이 생기도록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상기 제2 프레임(20)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 프레임(12) 및 제2-2 프레임(22)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프레임(10), 제2 프레임(20), 제1-2 프레임(12) 및 제2-2 프레임(22)을 연결하는 판넬(25)이 연결되어 사용자를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은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상기 제2 프레임(2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 사이에 이하 설명할 어드벤처 시설물이 위치할 수 있으며, 대략 10m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을 각각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 공간이 생기도록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2 프레임(32) 및 제4-2 프레임(42)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진입공간(S1)이란,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상기 제2 프레임(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에 진입하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탈출공간(S2)이란,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로부터 이탈하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낙하 방지 구조체는, 낙하방지그물망(50), 복수의 강선(60), 상측 강선통과부(82), 하측 강선통과부(84) 및 강선연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은 상기 진입공간(S1)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2 프레임(20)에 연결되고, 탈출공간(S2)까지 연장되며, 상기 탈출공간(S2)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3 프레임(3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의 상측으로 어드벤처 시설물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측을 제외한 3면에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이 위치하므로,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에 의해 추락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은,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로 다수의 그물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강선통과부(82) 및 하측 강선통과부(84)는,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이 상기 제1 프레임(10), 상기 제2 프레임(20),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에 고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강선(60)들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측 강선통과부(82) 및 상기 하측 강선통과부(84)는, 각각의 프레임(제1 프레임(10), 제2 프레임(20), 제3 프레임(30), 제4 프레임(4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강선(60)은,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에 연결되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강선(62)은, 상기 제1 프레임(10)의 상측 강선통과부(82)와 상기 제3 프레임(30)의 상측 강선통과부(82)를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강선(64)은, 상기 제1 프레임(10)의 하측 강선통과부(84)와 상기 제3 프레임(30)의 하측 강선통과부(84)를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은 상기 제1 강선(62) 및 상기 제2 강선(64)에 연결되므로, 상기 제1 강선(62) 및 상기 제2 강선(64)에 의해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강선(60)이 포진된 위치에 따라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강선(60)이 다각형 형태로 포진되면, 상기 다각형 형태로 포진된 상기 복수의 강선(60)과 연결되는 낙하방지그물망(50)은 다각형 형태로 유지되며, 상기 복수의 강선(60)이 타원 또는 원의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면, 낙하방지그물망(50) 또한 타원 또는 원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1)는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과 상기 복수의 강선에 권취되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과 상기 복수의 강선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이 상기 복수의 강선의 배치 상태와 대응되도록 유지시키는 연결강화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강화부(45)는, 상기 제1 강선(62) 및 상기 제2 강선(64)과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과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이 상기 제1 강선(62) 및 상기 제2 강선(6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강화부(45)는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의 그물코에 지그재그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을 감싸듯이 싸고 돌아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이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을 기준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강선 및 상기 제2 강선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선연결부(70)는, 상기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상측 강선통과부(82) 및 하측 강선통과부(84)를 각각 통과한 제1 강선(62)과 제2 강선(64)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강선연결부(70)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 강선통과부 및 강선연결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연결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1)의 상기 강선연결부(70)는, 제1 고리부(72), 제2 고리부(74) 및 고리결합부(76)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강선연결부(70)는, 상기 제1 강선(62)이 통과되며 제1 수나사부(73)를 구비한 제1 고리부(72), 상기 제2 강선(64)이 통과되며 제2 수나사부(75)를 구비한 제2 고리부(74) 및 상기 제1 수나사부(73)에 대응되는 제1 암나사부(77)와 상기 제2 수나사부(75)에 대응되는 제2 암나사부(78)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수나사부(73)와 상기 제1 암나사부(77)의 결합과 상기 제2 수나사부(75)와 상기 제2 암나사부(78)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고리부(72)와 상기 제2 고리부(74)를 연결하는 고리결합부(7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리부(72)는, 상기 제1 강선(6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수나사부(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리부(72)의 일측은 일부 개방된 고리형태이거나 폐쇄된 고리형태 일 수 있으며, 고리형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제1 강선(62)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리부(72)의 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수나사부(7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할 제1 암나사부(77)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리부(74)는, 상기 제2 강선(64)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수나사부(7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리부(74)의 일측은 일부 개방된 고리형태이거나 폐쇄된 고리형태 일 수 있으며, 고리형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제2 강선(64)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리부(74)의 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수나사부(7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할 제2 암나사부(78)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리결합부(76)는, 상기 제1 수나사부(73)와 대응되는 제1 암나사부(77) 및 상기 제2 수나사부(75)와 대응되는 제2 암나사부(78)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수나사부(73) 및 상기 제1 암나사부(77)의 결합과 상기 제2 수나사부(75) 및 상기 제2 암나사부(78)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고리부(72) 및 상기 제2 고리부(74)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고리부(72)는 상기 제1 강선(6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리부(74)는 상기 제2 강선(64)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리결합부(76)에 의해 상기 제1 강선(62)과 상기 제2 강선(64)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수나사부(73) 및 제2 수나사부(75)는 볼트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암나사부(77) 및 제2 암나사부(78)는 너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리부(72)와 상기 제2 고리부(74)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수나사부(73)와 상기 제1 암나사부(77)의 나사 결합 정도와 상기 제2 수나사부(75)와 상기 제2 암나사부(78)의 나사 결합 정도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수나사부(73)가 상기 제1 암나사부(77)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된 거리가 늘어날수록 상기 제1 고리부(72) 및 상기 제2 고리부(74)의 이격 거리는 줄어들고, 상기 제1 수나사부(73)가 상기 제1 암나사부(77)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된 거리가 줄어들수록 상기 제1 고리부(72) 및 상기 제2 고리부(74)의 이격 거리는 늘어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나사부(73)와 상기 제1 암나사부(77) 또는 상기 제2 수나사부(75)와 상기 제2 암나사부(78)의 체결된 정도를 달리하여 상기 강선연결부(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1)는 상기 제1 강선(62) 및 상기 제2 강선(64)은, 상기 제1 고리부(72)와 상기 제2 고리부(74)의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긴장상태가 조절되고,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은, 상기 제1 강선(62) 및 상기 제2 강선(64)의 긴장상태에 기초하여 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리부(72)와 상기 제2 고리부(74)의 이격거리는, 상기 강선연결부(70)에 연결된 강선에 텐션(tention)에 주어, 상기 강선이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강선과 연결된 상기 낙하방지그물망(50)이 팽팽한 상태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결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결합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의 강선, 강선통과부, 강선연결부 및 강선결합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1)는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이 상기 강선연결부(7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강선결합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선결합부(90)는, 상기 강선연결부(70)의 상측에서 상기 제1 강선(62)과 연결되는 제1 강선결합부(90a, 90b) 및 상기 강선연결부(70)의 하측에서 상기 제2 강선(64)과 연결되는 제2 강선결합부(90c, 90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선연결부(70)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두 개의 강선결합부(90)가 위치할 수 있으나, 상기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한 개의 강선결합부(90)가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과 연결되는 상기 강선결합부(9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이 상기 강선연결부(7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의 긴장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선결합부(90)는 밴딩부(92), 수용부(95) 및 결합부(96)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선결합부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밴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밴딩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돌출부재(93) 및 제2 돌출부재(94)를 구비하는 밴딩부(92),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상기 제2 돌출부재(94)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h1, h2)이 구비된 수용부(95) 및 상기 수용홈(h1, h2)을 관통한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상기 제2 돌출부재(94)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밴딩부(92)와 상기 수용부(95)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수용부(95)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는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에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결합부(96)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밴딩부(92)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밴딩되며, 상기 밴딩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돌출부재(93) 및 제2 돌출부재(9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딩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되게 굴곡된 것과 소정의 각이 형성되도록 굴곡된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밴딩부(92)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제2 돌출부재(94)는 굴곡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95)는,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상기 제2 돌출부재(94)를 수용하는 수용홈(h1, h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h1, h2)에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상기 제2 돌출부재(94)가 삽입되면, 상기 밴딩부(92)의 개방된 일측이 상기 수용부(95)에 의해 폐쇄되게 되어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홈(h1, h2)을 통과한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상기 제2 돌출부재(94)와 체결되어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상기 제2 돌출부재(94)가 상기 수용홈(h1, h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96)는 너트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상기 제2 돌출부재(94)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상기 제2 돌출부재(94)와 볼트/너트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재(93) 및 상기 제2 돌출부재(94)와 상기 결합부(96)의 체결된 정도를 달리하여 상기 수용부(95)와 상기 밴딩부(92)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을 가압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선연결부(70)의 제1 고리부(72)를 통과한 상기 제1 강선(62)의 일정 부분과 상기 제1 고리부(72)를 통과하지 않은 상기 제1 강선(62)의 일정 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후, 상기 결합부(96)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제1 고리부(72)를 통과한 상기 제1 강선(62)부의 일정 부분과 상기 제1 고리부(72)를 통과하지 않은 상기 제1 강선(62)의 일정 부분이 상기 결합부(96)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강선결합부(9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강선(62) 또는 상기 제2 강선(64)은 상기 강선연결부(70)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결합부(9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제1 강선(62) 및 상기 제2 강선(64)은 상기 강선연결부(70)의 상기 제1 고리부(72)와 상기 제2 고리부(74)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조절함으로써, 긴장상태 또는 이완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강선(60), 상측 강선통과부(82) 및 하측 강선통과부(84), 강선연결부(70) 및 강선결합부(90)는, 후술한 어드벤처 시설물의 각 구조물을 상기 제1 프레임(10) 내지 제4 프레임(40)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인공구조물의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로프판넬인공구조물의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의 인공벽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은 낙하 방지 조립체(1, 도 1 참조), 로프인공구조물, 로프판넬인공구조물 및 인공벽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은 낙하 방지 조립체(1); 및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인공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구조물은,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로프를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로프인공구조물, 다양한 형태의 판넬 또는 고리와 복수개의 로프를 연결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로프판넬인공구조물 및 복수의 인공물이 부착된 인공벽을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인공벽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는, 상기 로프인공구조물, 로프판넬인공구조물 및 인공벽구조물 각각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1)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한 설명을 참조한다.
상기 로프인공구조물은,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로프를 연결하는 방법의 차이에 따른 구조 변경을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인공구조물은, 제1 구조물 내지 제4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A1, A2)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A1, A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개의 메인로프(A3)를 구비하고, 상기 세 개의 메인로프(A1, A2, A3)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a)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구조물(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조물(110)은, 상부에 두 개의 메인로프(A1, A2)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에 나머지 한 개의 메인로프(A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의 두 개의 메인로프(A1, A2)에 보조로프(a)가 연결되되 하부의 한 개의 메인로프(A3)를 경유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V자 형태를 띠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하부의 메인로프(A3)에 발을 디딘 상태에서 상부의 두 개의 메인로프(A1, A2) 또는 보조로프(a)를 그립하여 진입공간(S1, 도 1 참조)으로부터 탈출공간(S2, 도 1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조물은(120)은, 상기 제1 프레임(10), 상기 제2 프레임(20),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과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B1, B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구조물(120)은, 두 개의 로프(B1, B2)가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는 하부에 위치한 로프(B2)에 발을 디딘 채 상부에 위치한 로프(B1)를 그립하여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조물은(18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G1, G2)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G1, G2)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로프(g)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G1, G2)에 이격되어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로프(g)에 발을 디딘 채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G1, G2) 또는 상기 보조로프(g)을 그립하여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4 구조물(130)은, 상기 제1 프레임(10), 상기 제2 프레임(20),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과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3 이상의 메인로프(C)와 상기 3 이상의 메인로프(C)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 구조물(130)은, 상기 3 이상의 메인로프(C)와 상기 복수의 보조로프(c)가 그물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로프(C, c)는 가로세로 일정하게 배치되어 그물 형태를 만들 수도 있지만, 가로세로, 대각선 등 일정하지 않은 형태로 배치되어 그물 형태를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1)는 상기 로프인공구조물에 포함되는 상기 구조물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구조물(110)에 배치되는 낙하 방지 조립체는 1개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제4 구조물(130)에 배치되는 낙하 방지 조립체는 2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구조물(110) 내지 상기 제4 구조물(130)을 배치하는 구성에 따라, 각각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낙하 방지 조립체는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프판넬인공구조물은, 다양한 형태의 판넬 또는 고리와 복수개의 로프를 연결하는 방법의 차이에 따른 구조 변경을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판넬인공구조물은, 제5 구조물(230) 내지 제8 구조물(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구조물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정한 너비의 판넬 및 상기 일정한 너비의 판넬을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에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넬은, 인공적인 소재로 만들어진 인공판넬 일 수 있으며, 또는, 목재를 가공하여 제작된 널빤지 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넬의 형상은 원기둥, 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5 구조물의 실시예들을, 제5-1 구조물(230) 내지 제5-4 구조물(200)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5-1 구조물(230) 내지 상기 제5-4 구조물(200)은,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5-1 구조물(23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L1, L2)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L1, L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정한 너비의 판넬(U) 및 상기 일정한 너비의 판넬(U)을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L1, L2)에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l)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L1, L2) 또는 상기 보조로프(l)를 그립한 상태에서, 복수의 일정한 너비의 판넬(U)에 발을 디딤으로써,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5-2 구조물(14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D1, D2)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D1, D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정한 너비의 판넬(M) 및 상기 일정한 너비의 판넬(M)을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D1, D2)에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넬(M)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진행하여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닌, 다방향으로 진행을 바꾸어가면서, 상기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5-3 구조물(15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E1, E2)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E1, E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정한 너비의 판넬(N)을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E1, E2)에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e)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E1, E2) 또는 상기 보조로프(e)를 그립한 상태에서, 복수의 일정한 너비의 판넬(N)에 발을 디딤으로써,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5-4 구조물(20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W1, W2)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W1, W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정한 너비의 판넬(R)을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W1, W2)와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w)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로프(w)는 네 개가 한 쌍이 되어 개구가 형성된 판넬(R)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6 구조물(190)은, 상기 제1 프레임(10), 상기 제2 프레임(20),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 개의 메인로프(H1, H2, H3), 상기 세 개의 메인로프(H1, H2, H3) 중 하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H1, H2)에 연결되는 복수의 판넬(Q) 및 상기 세 개의 메인로프(H1, H2, H3) 중 상측에 배치되는 메인로프(H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자유단인 보조로프(h)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상기 보조로프(h)는, 상기 상측의 메인로프(H3)와 연결된 채, 밑 단이 상기 하측의 메인로프(H1, H2)와 상기 상측의 메인로프(H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판넬(Q)을 통해 이동하는 사용자가 상기 보조로프(h)를 그립하여,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하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자유단이란, 어떤 부재에도 연결되지 않은 채,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7 구조물(21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J1, J2)와 각각의 메인로프(J1, J2)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자유단인 보조로프(j)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로프(j)에 자유단에, 고리형태의 인공물(Z)이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J1, J2) 또는 상기 보조로프(j)를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인공물(Z)에 발을 디딤으로써,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8 구조물(160)은, 상기 제1 프레임(10), 상기 제2 프레임(20), 상기 제3 프레임(30) 및 상기 제4 프레임(4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의 메인로프(F)와 상기 하나의 메인로프(F)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자유단인 보조로프(f)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로프(f)의 자유단에, 다양한 입체인공물(O)이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보조로프(f)를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입체인공물(O)에 발을 디딤으로써,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인공벽구조물(170)은 다양한 형태의 인공물이 부착된 하나의 인공벽(P)을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인공암벽등반으로 널리 사용되는 시설물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드벤처 시설물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어드벤처 시설물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인공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로프판넬인공구조물의 일 형태일 수 있으며, 제10 구조물 및 제11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0 구조물(22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메인로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로프는 상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K1, K2)와 하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K3, K4)로 구성되며, 상기 하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K3, K4)에는 일정한 너비의 복수개의 판넬(T)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상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K1, K2) 중 적어도 하나를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판넬(T)에 발을 디딤으로써,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1 구조물(24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3 프레임(30), 상기 제2 프레임(20)과 상기 제4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메인로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로프는 상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Y1, Y2)와 하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Y3, Y4)로 구성되며, 상기 하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Y3, Y4)에는 일정한 너비의 복수개의 판넬(V)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조로프(y)가 상기 상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Y1, Y2)와 상기 판넬(V)을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상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Y1, Y2) 또는 상기 복수의 보조로프(y)를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판넬(V)에 발을 디딤으로써, 진입공간(S1)으로부터 탈출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2를 참조로 한 각 구조물에는 상술한 낙하 방지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조물이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구조물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구조물이 모두 함께 쓰일 필요는 없으며, 각 구조물에 또 다른 구조물이 포함되거나, 상술한 구조물 중에 어느 하나가 빠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낙하 방지 조립체
10: 제1 프레임
20: 제2 프레임
30: 제3 프레임
40: 제4 프레임
50: 낙하방지그물망
60: 강선
70: 강선연결부
80: 강선통과부
90: 강선결합부

Claims (5)

  1. 진입공간에서부터 탈출공간으로 연결된 인공구조물을 이용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어드벤처 시설물의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상기 탈출공간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
    상기 진입공간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탈출공간까지 연장되며, 상기 탈출공간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낙하방지그물망;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에 연결되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복수의 강선;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이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강선들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하는 상측 강선통과부 및 하측 강선통과부; 및
    상기 낙하방지그물망과 상기 복수의 강선에 권취되어 상기 낙하방지그물망과 상기 복수의 강선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낙하방지그물망이 상기 복수의 강선의 배치 상태와 대응되도록 유지시키는 연결강화부;를 포함하는 낙하 방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상측 강선통과부 및 하측 강선통과부를 각각 통과한 제1 강선과 제2 강선을 서로 연결하는 강선연결부 및 상기 제1 강선 및 상기 제2 강선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강선 및 상기 제2 강선이 상기 강선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강선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선연결부는, 상기 제1 강선이 통과되며 제1 수나사부를 구비한 제1 고리부, 상기 제2 강선이 통과되며 제2 수나사부를 구비한 제2 고리부 및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제1 암나사부와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제2 암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상기 제1 암나사부의 결합과 상기 제2 수나사부와 상기 제2 암나사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고리부와 상기 제2 고리부를 연결하는 고리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강선결합부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밴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밴딩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돌출부재 및 제2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밴딩부, 상기 제1 돌출부재 및 상기 제2 돌출부재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홈을 관통한 상기 제1 돌출부재 및 상기 제2 돌출부재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밴딩부와 상기 수용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수용부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는 상기 제1 강선 또는 상기 제2 강선에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방지 조립체.
  3. 진입공간에서부터 탈출공간으로 연결된 인공구조물을 이용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어드벤처 시설물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상기 인공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구조물은,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로프를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로프인공구조물, 다양한 형태의 판넬 또는 고리와 복수개의 로프를 연결하여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로프판넬인공구조물 및 복수의 인공물이 부착된 인공벽을 통해 모험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인공벽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는, 상기 로프인공구조물, 로프판넬인공구조물 및 인공벽구조물 각각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인공구조물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개의 메인로프를 구비하고, 상기 세 개의 메인로프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구조물,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를 구비하는 제2 구조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3 구조물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3 이상의 메인로프와 상기 3 이상의 메인로프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4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 방지 조립체는, 상기 로프인공구조물에 포함되는 상기 구조물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판넬인공구조물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와 상기 두 개의 메인로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정한 너비의 판넬 및 상기 일정한 너비의 판넬을 상기 두개의 메인로프에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로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제5 구조물,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 개의 메인로프, 상기 세 개의 메인로프 중 하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판넬 및 상기 세 개의 메인로프 중 상측에 배치되는 메인로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자유단인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6 구조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로프와 각각의 메인로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자유단인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7 구조물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의 메인로프와 상기 하나의 메인로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자유단인 보조로프를 구비하는 제8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KR1020140147124A 2014-10-28 2014-10-28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KR10159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24A KR101596168B1 (ko) 2014-10-28 2014-10-28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24A KR101596168B1 (ko) 2014-10-28 2014-10-28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560A true KR20140138560A (ko) 2014-12-04
KR101596168B1 KR101596168B1 (ko) 2016-02-22

Family

ID=5245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124A KR101596168B1 (ko) 2014-10-28 2014-10-28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801B1 (ko) * 2016-05-02 2017-01-06 어드벤처닷케이알(주) 네트 어드벤처 놀이시설물
KR102521886B1 (ko) * 2022-09-08 2023-04-24 어드벤처 주식회사 하늘숲길의 안전망을 이용하여 체험자의 위험을 방지하는 상부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429B1 (ko) 2017-08-02 2018-02-28 주식회사 아이엔오기술 케이블을 이용한 태양광 설비 시스템
KR101855415B1 (ko) * 2017-12-21 2018-05-08 (주)인플레이 네트 놀이대
KR102211309B1 (ko) * 2018-02-22 2021-02-03 (주)아이엔오기술 케이블을 이용한 태양광 설비 시스템
KR102266316B1 (ko) * 2018-02-22 2021-06-17 (주)아이엔오기술 케이블을 이용한 태양광 설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141A (ja) * 1996-01-29 1997-08-12 Kazuo Yoshitake ワイヤロープ係止具
KR101232775B1 (ko) * 2012-10-22 2013-02-15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놀이기구
KR200466401Y1 (ko) * 2013-03-12 2013-04-12 길기만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KR101393650B1 (ko) * 2014-02-21 2014-05-13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놀이시설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141A (ja) * 1996-01-29 1997-08-12 Kazuo Yoshitake ワイヤロープ係止具
KR101232775B1 (ko) * 2012-10-22 2013-02-15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놀이기구
KR200466401Y1 (ko) * 2013-03-12 2013-04-12 길기만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KR101393650B1 (ko) * 2014-02-21 2014-05-13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놀이시설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801B1 (ko) * 2016-05-02 2017-01-06 어드벤처닷케이알(주) 네트 어드벤처 놀이시설물
KR102521886B1 (ko) * 2022-09-08 2023-04-24 어드벤처 주식회사 하늘숲길의 안전망을 이용하여 체험자의 위험을 방지하는 상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168B1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168B1 (ko)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DE2946918C2 (de) Trampolinartiges Sportgerät
US7572207B2 (en) Climb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220241636A1 (en) Playground climber unit comprising one or more net-containing portions and/or one or more suspended tube portions
JP7153389B2 (ja) ネット遊具
US20210016114A1 (en) Fall Prevention System
KR101693801B1 (ko) 네트 어드벤처 놀이시설물
US20060270523A1 (en) Balance beam spotting apparatus
KR102445131B1 (ko)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네트 놀이시설 및 네트 연결기구
DE202013000749U1 (de) Trainingsgerät für Ganzkörpertraining
DE10259377B4 (de) Schaukel
CN203663328U (zh) 一种户外拓展训练组合装置
CN201248988Y (zh) 单菱形横向三角心理行为训练器械
GB2464814A (en) Modular bungee-cord acrobatic suspension and trampoline structure
AT525175B1 (de) Mobiles In- und Outdoor - Kalistenie-Trainingsgerät
DE3912970A1 (de) Klettergeraet, insbesondere sicherheitsvorrichtung zum abseilen aus einem gebaeude im gefahrenfall
AT511848B1 (de) Mobiles, multifunktionales, variables gurtsystem
CN201248985Y (zh) 双三角倒梯形心理行为训练器械
AT16841U1 (de) Spiel- und Sportgerät
CN201248989Y (zh) 双三角正梯形心理行为训练器械
DE29812660U1 (de) Hängeschaukel
JP3034229B2 (ja) ネットを使用した高所作業用の安全装置
DE10140632B4 (de) Vorrichtung zum Aufhängen von Sportgeräten
DE9420415U1 (de) Trainingsgerät Longe zum Erlernen und Sichern von Sprüngen
IT202000014293A1 (it) Attrezzo per allenamento multifunzionale in sospensione con gli elastic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