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895A -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895A
KR20140136895A KR20140060496A KR20140060496A KR20140136895A KR 20140136895 A KR20140136895 A KR 20140136895A KR 20140060496 A KR20140060496 A KR 20140060496A KR 20140060496 A KR20140060496 A KR 20140060496A KR 20140136895 A KR20140136895 A KR 20140136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electric conversion
optical
substrate
un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4013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6Opt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25Out-coupling of light
    • H01S5/02253Out-coupling of light usin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 단자와 기판의 접속 부분에 생기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대쪽 광학 부재(90)가 감합 가능한 감합부(112)를 가지며, 적어도 이 감합부(112)를 포함하는 광 신호의 경로가 되는 부분이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광학 유닛(10)과, 상대쪽 광학 부재(90)와 광축(C)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광전 변환 소자(21)를 갖는 광전 변환 유닛(20)과, 이 광전 변환 유닛(20)에 접속되고, 광전 변환 소자(21)를 기판(8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리드 단자(30)를 구비하고, 광학 유닛(10)에는, 기판(80)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21)가 설치되어 있는 광전 변환 커넥터(1)로 한다.

Description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SUBSTRATE MOUNTING TYPE PHOTOELECTRIC CONVERSION CONNECTOR}
본 발명은, 광전 변환 소자를 구비한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이 종류의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이하, 간단히 광전 변환 커넥터로 지칭하는 경우도 있음)가 기재되어 있다. 이 종류의 광전 변환 커넥터에는, 광전 변환 후 또는 광전 변환 전의 전기 신호를, 이 광전 변환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기판에 형성된 회로)과 송수신하기 위한 리드 단자[단자 금구(24)]가 설치된다. 이 리드 단자가 이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광전 변환 커넥터와 기판의 전기적이며 물리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37537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전 변환 커넥터는, 상대쪽 광학 부재가 감합 가능한 감합부[슬리브(34)]를 갖는다. 상대쪽 광학 부재가 감합될 때에 감합부에 가해지는 힘은, 그대로 커넥터 전체에 전해져, 리드 단자와 기판의 접속 부분에 생기는 응력이 된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전 변환 커넥터에서는, 상대쪽 광학 부재가 감합될 때의 힘에 의해, 리드 단자와 기판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드 단자와 기판의 접속 부분에 생기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는, 상대쪽 광학 부재가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가지며, 적어도 이 감합부를 포함하는 광 신호의 경로가 되는 부분이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광학 유닛과, 상기 상대쪽 광학 부재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광전 변환 소자를 갖는 광전 변환 유닛과, 이 광전 변환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광전 변환 소자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리드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유닛에는,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 접속부는,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광학 유닛은,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와, 상기 광전 변환 유닛을 구성하는 면과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는 실드부를 포함하는 접속용 금속 부재를 갖는 것이면 좋다.
상기 접속용 금속 부재의 실드부에는, 광 신호의 경로가 되는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접속용 금속 부재의 실드부가 대향하는 면 이외의, 상기 광전 변환 유닛을 구성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도록, 실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광학 유닛 및 상기 광전 변환 유닛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맞대어져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광전 변환 소자가 이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상기 광학 유닛은, 상기 상대쪽 광학 부재로부터 출사된 광, 또는 상기 광전 변환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를 가지며, 이 렌즈부가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는, 광전 변환 유닛에 설치되는 리드 단자뿐만 아니라, 광학 유닛에 설치되는 기판 접속부가 기판에 접속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감합부에 상대쪽 광학 부재가 감합되었을 때에 걸리는 힘의 대부분은 기판 접속부와 기판의 접속 부분에 작용한다. 즉, 전기적 접속 부분인 리드 단자와 기판의 접속 부분에 생기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이 부분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기판 접속부가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면, 기판과 리드 단자의 접속 및 기판과 기판 접속부의 접속을, 납땜 등에 의해 한번에 행할 수 있다.
광전 변환 유닛 중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실드부를 포함하는 접속용 금속 부재가 설치된 구성으로 하면, 광전 변환 유닛에 대한 전자적 실드 효과가 높아진다. 이 실드부는, 기판 접속부와 함께 접속용 금속 부재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접속용 금속 부재는, 상기 리드 단자와 기판의 접속 부분에 생기는 응력을 저감하는 작용을 발현하고, 실드 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발현하는 것이다.
접속용 금속 부재의 실드부에 광 신호의 경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개구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광전 변환 유닛을 덮는 부분을 크게 할 수 있어, 실드 효과가 높아진다.
광전 변환 유닛에서의 실드부가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도록, 실드 부재가 설치된 구성으로 하면, 광전 변환 유닛에 대한 실드 효과가 더 높아진다. 별도의 견해로 보면, 접속용 금속 부재의 실드부는, 실드 부재로 덮을 수 없는 지점을 보완적으로 덮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광학 유닛과 광전 변환 유닛이 일체화되고, 이 공간 내에 광전 변환 소자나, 렌즈부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광전 변환 소자(의 수광부 또는 발광부)나 렌즈부에 티끌 등이 부착되는 것을 요인으로 하는 노이즈의 발생이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의 단면도(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외부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것을 도시함).
도 3은 광학 유닛, 광전 변환 유닛, 및 리드 단자가 일체화된 조합체의 외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폭 방향이란 커넥터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서 도 1에서의 X축 방향을 말하고, 전후 방향[광축(C) 방향; 광전 변환 소자(21)측을 전(前), 감합부(112)측을 후(後)로 함]이란 커넥터의 긴 길이 방향으로서 도 1에서의 Y축 방향을 말하며, 상하 방향이란 폭방향 및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도 1에서의 Z축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평면 방향이란, 외부 기판(80)의 표면(실장면)에 평행한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1)는, 외부 기판(80)(본 발명에서의 기판에 상당함; 도 2 참조)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전기 신호를 외부 기판(80)에 설치된 회로에 보내는 것이다. 광전 변환 커넥터(1)는, 광학 유닛(10)과, 광전 변환 유닛(20)과, 리드 단자(30)와, 하우징(40)과, 실드 부재(50)를 구비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광학 유닛(10)은, 상대쪽 광학 부재(90)가 감합하는 감합부(112)(슬리브 등으로도 지칭됨)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접속용 금속 부재(12) 이외의 부분은, 광 투과성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광 신호의 경로가 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광 투과성 재료 이외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11)은, 본체부(111), 감합부(112), 렌즈부(113), 및 벽부(114)를 갖는, 트레이형 부분이다.
본체부(111)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위치하는 판형상 부분이다. 감합부(112)는, 전후 방향[광축(C) 방향]에 직교하는 본체부(111)의 한쪽 면에서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통형상 부분이다. 이 감합부(112)의 「통」의 중심축은, 각 광학 부재의 광축(C)과 일치한다. 감합부(112)는, 도 2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대쪽 광학 부재(90)[광파이버(92)가 고정된 페룰(91)]가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대쪽 광학 부재(90)가 감합부(112)에 감합되면, 광파이버(92)의 축선이 광축(C)에 일치한 상태가 된다.
렌즈부(113)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본체부(111)의 다른쪽 면에서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다. 이 렌즈부(113)는, 그 광축(C)이 상기 감합부(112)의 「통」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집속 렌즈이다. 감합부(112)에 감합된 상대쪽 광학 부재(90)의 광파이버(92)로부터 출사된 광은, 발산광이 되어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11)을 통과하고, 렌즈부(113)에 의해 집속광이 된다. 렌즈부(113)는, 이 집속광의 초점이 광전 변환 소자(21)의 수광부가 되는 형상, 위치에 설치된다.
벽부(114)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본체부(111)의 다른쪽 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부분이다. 그 돌출 높이는, 렌즈부(113)의 돌출 높이[본체부(111)의 다른쪽 면과 렌즈부(113)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11)에는, 접속용 금속 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속용 금속 부재(12)의 일부[후술하는 실드부(122)]가 상기 본체부(111) 내에 매립됨으로써 양자가 일체화되어 있다. 접속용 금속 부재(12)는, 단면에서 봤을 때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기판 접속부(121) 및 실드부(122)를 갖는다.
기판 접속부(121)는, 접속용 금속 부재(12)의 하단에 형성된, 평면 방향을 따른 부분이다. 기판 접속부(121)는, 후술하는 하우징(40)에 형성된 개구(422)를 통해 노출되어 있고, 하우징(40)의 하단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이 기판 접속부(121)는, 납땜 등에 의해 외부 기판(80)에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외부 기판(80)에 형성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외부 기판(80)에 형성된 회로를 통해, 기판 접속부(121)는 접지에 접속된다.
실드부(122)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위치하고, 전후 방향에서 광전 변환 유닛(20) 중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는 부분이다. 본체부(111) 내에 매립된 실드부(122)에는, 광축(C)과 교차하는 지점에 개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23)는, 상대쪽 광학 부재(90)의 광파이버(92)로부터 출사된 발산광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크기(형상)로 형성되어 있다. 단, 개구(123)가 너무 크면, 실드부(122)에 의한 전자적 실드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개구(123)의 크기는 될 수 있는 한 작은 편이 좋다. 광학 유닛(10)의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11)은, 상대쪽 광학 부재(90)의 광파이버(92)로부터 출사되는 발산광의 전부가 렌즈부(113)에 입사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에서 봤을 때, 개구(123)와 렌즈부(113)가 대략 동일한 형상[렌즈부(113)의 외주 가장자리와 개구(123)의 외주 가장자리가 대략 일치하는 형상]이면, 광을 차단하지 않고, 실드 효과가 크게 저하되지 않는 실드부(122)가 된다.
광전 변환 유닛(20)은, 광파이버(92)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21)(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닛이다. 광전 변환 소자(21)는, 변환된 전기 신호를 외부 기판(80)에 송신하기 위한 회로 등이 형성된 내부 기판(22)상에 실장된다. 광전 변환 소자(21)의 광축(수광부의 중심)은, 상대쪽 광학 부재(90)의 광파이버(92)의 광축과 일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대쪽 광학 부재(90)의 광파이버(92)로부터 출사되고, 렌즈부(113)에 의해 집속광이 된 광의 초점이, 광전 변환 소자(21)의 수광부의 중심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 광전 변환 소자(21) 및 이 광전 변환 소자(21)가 실장된 내부 기판(22)과, 세부 사항을 후술하는 지지 부재(23)에 의해 광전 변환 유닛(20)이 구성된다.
내부 기판(22)에 형성된 전기 신호를 외부 기판(80)에 송신하기 위한 회로에는, 복수의 리드 단자(30)가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리드 단자(30)는, 그 일부가 하우징(40)의 외부까지 인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드 단자(30)에서의 내부 기판(22)에 접속된 측의 반대측 단부에는, 평면 방향을 따른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이 하우징(40)의 외부까지 인출되어 있다. 이 리드 단자(30)의 평면방향을 따른 부분은, 상기 기판 접속부(121)[접속용 금속 부재(12)의 평면 방향을 따른 부분]와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가 동일하다.
광전 변환 소자(21)가 실장된 내부 기판(22) 및 리드 단자(30)는, 지지 부재(23)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23)는, 상기 광학 유닛(10)의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11)의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상(트레이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본체부(231) 및 벽부(232)를 갖는다. 본체부(231)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판형상 부분이며, 벽부(232)는 본체부(2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광학 유닛(10)측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광전 변환 소자(21)가 실장된 내부 기판(22)은, 지지 부재(23)의 본체부(231)의 광학 유닛(10)측의 면(내측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리드 단자(30)는, 지지 부재(23)의 하측 벽부(232)를 관통하고, 하우징(40)의 하측에 인출되어 있다. 즉, 내부 기판(22)에 접속된 리드 단자(30)가, 지지 부재(23)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압입됨으로써, 광전 변환 소자(21)가 실장된 내부 기판(22) 및 리드 단자(30)는 지지 부재(23)에 고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광전 변환 소자(21) 및 이 광전 변환 소자(21)가 실장된 내부 기판(22)과 지지 부재(23)에 의해 구성되는 광전 변환 유닛(20)에 리드 단자(30)가 접속된 조합체가 얻어진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전 변환 유닛(20)[광전 변환 유닛(20)과 리드 단자(30)의 조합체]은, 상기 광학 유닛(10)과 일체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전 변환 유닛(20)이 갖는 지지 부재(23)의 광학 유닛(10)측으로 돌출된 벽부(232)와, 광학 유닛(10)이 갖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11)의 광전 변환 유닛(20)측으로 돌출된 벽부(114)가 맞대어지도록 하여 양자는 일체화된다. 이 일체화의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광전 변환 소자(21)와 렌즈부(113)의 위치 관계가 전술한 관계가 되도록 위치 결정한 뒤에 일체화되는 것이면, 어떠한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트레이형 부재인 지지 부재(23)와 광학 유닛(10)의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11)의 일부가 맞대어지기 때문에, 양자의 벽부(114, 232)의 내측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이 벽부(114, 232)로 둘러싸인 공간(S) 내에, 광전 변환 소자(21) 및 그것이 실장된 내부 기판(22), 및 렌즈부(113)가 배치된 구성이 된다.
하우징(40)은, 상부 하우징(41)과 하부 하우징(42)으로 구성되고, 커넥터 계합부(43) 및 유닛 수용부(44)가 형성된 부재이다. 커넥터 계합부(43)는, 상대쪽 광학 부재(90)가 고정된 도시되지 않는 광커넥터가 계합되는 부분이다. 유닛 수용부(44)는, 일체화된 광학 유닛(10) 및 광전 변환 유닛(20)[(감합부(112)를 제외]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커넥터 계합부(43)와 유닛 수용부(44)는 구획판부(45)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고, 이 구획판부(45)에 형성된 관통 구멍(451) 내에 통형상의 감합부(112)가 통과된다. 이 관통 구멍(451)은, 상부 하우징(41)의 구획판부(45)를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된 반원형 부분과, 하부 하우징(42)의 구획판부(45)를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된 반원형 부분이 일체가 되어 형성된다. 하우징(40)[하부 하우징(42)]의 하면의 전측에는, 폭방향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나열된 각 리드 단자(30)가 통과되는 홈(4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0)[하부 하우징(42)]의 하면에서의 홈(421)이 형성된 지점보다 후측에는, 기판 접속부(121)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422)가 형성되어 있다. 광학 유닛(10), 광전 변환 유닛(20), 및 리드 단자(30)가 일체화된 조합체를 하부 하우징(42)에 대하여 조립한(각 부재가 정해진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립한) 후, 하부 하우징(42)에 상부 하우징(41)을 접속함으로써, 광학 유닛(10), 광전 변환 유닛(20), 및 리드 단자(30)가 일체화된 조합체와 하우징(40)이 일체화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41)과 하부 하우징(42)의 접속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드 부재(50)는, 광전 변환 유닛(20)에 대한 전자적 실드 효과를 발휘하는 부재이며, 이 광전 변환 유닛(20)을 덮도록 하우징(40)에 부착된 금속제의 부재이다. 실드 부재(50)는, 광전 변환 유닛(20)의 상면에 대향하는 부분(51), 폭방향 양측면에 대향하는 부분(52), 전면에 대향하는 부분(53)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전 변환 유닛(20)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접속용 금속 부재(12)의 실드부(12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전 변환 유닛(20)은 하측을 제외한 주위가 실드 부재(50)[실드부(122)]에 덮여 있다는 것이다.
실드 부재(50)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접속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 돌기(54)는, 납땜 등에 의해 외부 기판(80)에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외부 기판(80)에 형성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외부 기판(80)에 형성된 회로를 통해, 실드 부재(50)는 접지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의 광전 변환 커넥터(1)는, 외부 기판(80)상에서의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고, 리드 단자(30)와 기판 접속부(121)가 외부 기판(80)에 물리적이며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접속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소위 리플로 방식의 납땜에 의해 광전 변환 커넥터(1)와 외부 기판(80)의 접속을 행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 변환 커넥터(1)는, 광전 변환 유닛(20)에 설치되는 리드 단자(30)뿐만 아니라, 광학 유닛(10)에 설치되는 기판 접속부(121)가 기판에 접속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감합부(112)에 상대쪽 광학 부재(90)가 감합되었을 때 에 걸리는 힘의 대부분은 기판 접속부(121)와 기판의 접속 부분에 작용한다. 즉, 전기적 접속 부분인 리드 단자(30)와 기판의 접속 부분에 생기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이 부분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기판 접속부(121)와 실드부(1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접속용 금속 부재(12)를 구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광전 변환 유닛(20)에 대한 전자적 실드 효과가 높아진다. 즉, 접속용 금속 부재(12)는, 상기 리드 단자(30)와 기판의 접속 부분에 생기는 응력을 저감하는 작용을 발현하고, 실드 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드부(12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기판 접속부(121)도 금속 재료로 구성된 부분이기 때문에, 기판과 리드 단자(30)의 접속 및 기판과 기판 접속부(121)의 접속을, 납땜 등에 의해 한번에 행할 수 있다. 특히, 리플로 방식의 납땜을 이용하면 접속이 용이하다.
또한, 접속용 금속 부재(12)의 실드부(122)에는, 광 신호의 경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123)에 의해 이 경로를 확보한 뒤에, 광전 변환 유닛(20)을 덮는 부분[광전 변환 유닛(20)의 후면에 대향하는 부분]을 크게 한 것이다. 따라서, 실드부(122)에 의한 실드 효과는 높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전 변환 유닛(20)에서의 실드부(122)가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상면, 폭방향 양측면, 전면(前面))에 대향하도록, 실드 부재(50)가 설치된 구성이기 때문에, 광전 변환 유닛(20)에 대한 실드 효과가 우수하다. 별도의 견해로 보면, 접속용 금속 부재(12)의 실드부(122)는, 실드 부재(50)로 덮을 수 없는 지점을 보완적으로 덮는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광학 유닛(10)과 광전 변환 유닛(20)이 일체화되어 생기는 벽부(114, 232)로 둘러싸인 공간(S) 내에는, 광전 변환 소자(21)나 렌즈부(113)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광전 변환 소자(21)(의 수광부 또는 발광부)나 렌즈부(113)에 티끌 등이 부착되는 것을 요인으로 하는 노이즈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전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개변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변환 커넥터(1)는, 상대쪽 광학 부재(90)의 광파이버(92)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를, 광전 변환 소자(21)(수광 소자)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외부 기판(80)에 보내는 것인 것을 설명했지만, 그 반대의 변환을 행하는 커넥터여도 좋다. 즉, 외부 기판(80)으로부터 보내진 전기 신호를 광전 변환 소자(21)(발광 소자)에 의해 광 신호로 변환하고, 그 광 신호가 상대쪽 광학 부재(90)의 광파이버(92)를 향해 출사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광파이버(92)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외부 기판(80)에 보내는 기능과, 외부 기판(80)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고 광파이버(92)에 보내는 기능 양쪽 모두를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 변환 커넥터(1)에서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11)에 고정된 접속용 금속 부재(12)에 기판 접속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했지만,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11)에 기판 접속부(121)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본체부(1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그 돌기가 외부 기판(80)에 형성된 구멍 또는 오목부에 압입되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여도, 감합부(112)에 상대쪽 광학 부재(90)가 감합될 때의 힘의 대부분이 기판 접속부(121)인 돌기와 외부 기판(80)의 접속부에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리드 단자(30)와 외부 기판(80)의 접속부에 생기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1: 광전 변환 커넥터, 10: 광학 유닛, 11: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 112: 감합부, 113: 렌즈부, 12: 접속용 금속 부재, 121: 기판 접속부, 122: 실드부, 123: 개구, 20: 광전 변환 유닛, 21: 광전 변환 소자, 22: 내부 기판, 23: 지지 부재, 30: 리드 단자, 40: 하우징, 50: 실드 부재, 80: 외부 기판, 90: 상대쪽 광학 부재, 92: 광파이버, S: 공간, C: 광축

Claims (7)

  1. 상대쪽 광학 부재가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감합부를 포함하는 광 신호의 경로가 되는 부분이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광학 유닛과,
    상기 상대쪽 광학 부재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광전 변환 소자를 갖는 광전 변환 유닛과,
    이 광전 변환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광전 변환 소자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리드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유닛에는,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접속부는,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은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와, 상기 광전 변환 유닛을 구성하는 면과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는 실드부를 포함하는 접속용 금속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금속 부재의 실드부에는, 광 신호의 경로가 되는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금속 부재의 실드부가 대향하는 면 이외의, 상기 광전 변환 유닛을 구성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도록, 실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 및 상기 광전 변환 유닛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맞대어져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광전 변환 소자가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은, 상기 상대쪽 광학 부재로부터 출사된 광, 또는 상기 광전 변환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를 가지며, 이 렌즈부가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KR20140060496A 2013-05-21 2014-05-20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KR201401368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6680 2013-05-21
JP2013106680A JP2014228607A (ja) 2013-05-21 2013-05-21 基板実装型の光電変換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895A true KR20140136895A (ko) 2014-12-01

Family

ID=5186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0496A KR20140136895A (ko) 2013-05-21 2014-05-20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48474A1 (ko)
JP (1) JP2014228607A (ko)
KR (1) KR20140136895A (ko)
CN (1) CN104181654A (ko)
DE (1) DE1020142094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2559B2 (ja) * 2001-11-30 200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送受信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4222792B2 (ja) * 2002-06-26 2009-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測距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ならびに測距センサの製造方法
JP4085276B2 (ja) * 2003-08-25 2008-05-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4978408B2 (ja) * 2007-10-02 2012-07-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JP5412069B2 (ja) * 2008-07-30 2014-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光コネクタ及び雌型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625893B2 (ja) 2010-12-24 2014-11-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光コネクタ
JP2013037114A (ja) * 2011-08-05 2013-02-21 Toshiba Corp 光リンク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09449A1 (de) 2014-11-27
US20140348474A1 (en) 2014-11-27
CN104181654A (zh) 2014-12-03
JP2014228607A (ja)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875B2 (en) Optical connector having resin member including lens
KR20190137962A (ko) 커넥터 조립체
JP4269291B2 (ja) 光モジュール
JP6354102B2 (ja) 光コネクタ
JP2012230319A (ja) 保護キャップ付き光コネクタ、及び保護キャップ
JP2009075396A (ja) 光コネクタ
KR20140136895A (ko) 기판 실장형의 광전 변환 커넥터
JP2009111114A (ja) シールドケース及び光モジュール
JP2009151128A (ja) 光コネクタ
JP2021034273A (ja) 基板実装型の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基板
WO2020029726A1 (zh) 光器件及光模块
US11428881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device
JP2019184994A (ja) 光コネクタ
JP7099993B2 (ja) コネクタ
JP2019160601A (ja) 光電センサ
JP2019184745A (ja) 光コネクタ
JP2014164252A (ja) 光モジュール
JP2009130278A (ja) 光コネクタ
JP2006119515A (ja) 光ファイバ接続構造
JP2021063894A (ja) 光コネクタ
JP2013190638A (ja) 光トランシーバ
US20190310425A1 (en) Optical connector
WO2018110548A1 (ja) コネクタセット及び光伝送モジュール
JP2009069204A (ja) 光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これを用いた光伝送モジュール
JP2013186161A (ja) 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