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506A -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506A
KR20140126506A KR1020130044747A KR20130044747A KR20140126506A KR 20140126506 A KR20140126506 A KR 20140126506A KR 1020130044747 A KR1020130044747 A KR 1020130044747A KR 20130044747 A KR20130044747 A KR 20130044747A KR 20140126506 A KR20140126506 A KR 2014012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ge
stylus pen
comman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832B1 (ko
Inventor
김도현
이재웅
이동혁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83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방법은, 오브젝트(object)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도록 하는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 DEVICE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STYLUS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입력 모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종래에 키보드나 마우스 같은 입력 모듈이 전자 장치에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이 입력 모듈로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전자 장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의 역할과 함께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입력 모듈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은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이 구현된 터치 패널을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통해 터치스크린의 하나의 지점을 터치하는 것 이외의 다른 입력은 받아들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에 직접적으로 손가락을 닿게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터치 이외의 인터페이스는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터치스크린은 직접적인 터치에 대한 효과만을 화면상에 표시할 뿐, 그 이외의 효과는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직접적인 터치 이외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한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이용하여 조작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되었다. 다만, 스타일러스 펜은 전자 장치에 선을 긋는 것 또는 단순한 터치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단순한 입력만을 입력할 수 있는 제한을 가졌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발 요청에 응답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오브젝트(object)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도록 하는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는, 오브젝트(object)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도록 하는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이 검출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도록 하는 편집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2 변경이 검출되면, 상기 편집 모드를 종료하고 편집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이 검출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도록 하는 편집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표시하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2 변경이 검출되면, 상기 편집 모드를 종료하고 편집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된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누르지 않은 상태로 전환하여 오브젝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과 EMR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된 터치스크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사이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8i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10h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잘라내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2a 내지 12l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a 내지 14k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5a 내지 1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6a 내지 16c는 도 15b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7a 내지 17e는 도 15c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Cradle),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DMB 안테나,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대표적인 예로서 모바일 전자 장치(100)일 수 있으나, 태블릿, 데스크탑 PC, 스마트 TV, 노트북, 뮤직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 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전자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자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전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전자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도킹 스테이션일 수 있고, 데이터는 외부 입력 장치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와 전자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170)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예, 전자 장치(100)의 회전, 전자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할 수 있고,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할 수도 있으며,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모듈(170)은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9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전자기유도(EMR:Electronic Magnetic Resonance) 방식(이하 EMR 방식이라 칭함),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방식이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터치스크린(190)가 배치된다. 터치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도 2에서는,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애플리케이션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전환키(191-4)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버튼(161a)이 눌려지면(또는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61a)이 눌려지면(또는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애플리케이션에 연결된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후면(100c)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1d), 음량 조절 버튼(161e),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DMB 안테나(141a)는 전자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후면(100c) 상부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전자 장치(100)와 별도로 구성된 펜(2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68)가 구비될 수 있으며, 펜 삽입구(168)에 펜(2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190)이 정전용량 방식과 EMR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과 EMR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된 터치스크린(190)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90)은 표시 패널(197), 제1 터치 패널(198), 제2 터치 패널(199)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97)은 LCD, AMOLED 등과 같은 패널이 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각종 동작 상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을 표시한다.
제1 터치 패널(198)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서,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산화 인듐주석) 막 등)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로 코팅된 패널이다. 이러한 제1 터치 패널(198)의 표면에 입력 수단(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되면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터치된 위치로 이동하고, 제1 터치 패널(198)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해서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제1 터치 패널(198)을 통해서는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입력 수단인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의 감지가 모두 가능하다.
제2 터치 패널(199)은 EMR 방식 터치 패널로서,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터치 패널(199)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티치용 펜(200)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스타일러스 펜(200)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전류를 기초로 하여, 스타일러스 펜(200)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210)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제2 터치 패널(199)은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스타일러스 펜(200)의 호버링(Hovering) 위치, 터치 위치, 그리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0)까지의 높이가 감지된다. 제2 터치 패널(199)을 통해서는 전자기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입력 수단이라면 호버링 및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제2 터치 패널(19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스타일러스 펜(200)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 감지 전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200)은 전자기 펜 또는 EMR 펜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200)은 제1 터치 패널(198)을 통해 감지되는 공진회로가 포함되지 아니한 일반적인 펜과는 상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0)는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와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제1 터치 패널(198)로부터 손 또는 펜 터치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컨대 X, Y, Z 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제2 터치 패널(199)로부터스타일러스 펜(200)의 호버링 또는 터치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 및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로부터 각각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97), 제1 터치 패널(198), 제2 터치 패널(199)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손가락이나 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200) 등의 호버링 또는 터치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197)에 미리 정해진 형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하면 제1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고, 제2 터치 패널은 스타일러스 펜(200)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와 스타일러스 펜(200)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와 스타일러스 펜(200)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 장치(110)의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EMR 방식 터치 패널로 형성된 제2 터치 패널(199)을 통해, 공진회로와 코일를 내장하는 스타일러스 펜(200)과의 호버링 위치(700)와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은 호버링 높이(h)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a에서 5b로 진행되는 것과 같이스타일러스 펜(200)이 호버링 높이(h)보다 높게 배치되다가 호버링 높이(h) 미만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호버 엔터(hover enter) 이벤트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 5b에서 5c로 진행되는 것과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이 호버링 높이(h)보다 낮게 배치되다가 호버링 높이(h)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호버 엑시트(hover exit) 이벤트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타일러스 펜(200)이 터치스크린(190)와 접촉되지 않다가 특정 지점에서 접촉되는 것을 터치 다운(touch down) 이벤트라고 명명하며, 스타일러스 펜(200)이 터치스크린(190)와 특정 지점에서 접촉되다가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터치 업(touch up) 이벤트라고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200)은 버튼(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버튼(22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0)의 버튼(220)이 눌려지면, 스타일러스 펜(20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적 신호가 변경될 수 있고, 변경된 전자기적 신호를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가 감지하여, 제어부(110)가 스타일러스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변경된 전자기적 신호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이 눌려질때 스타일러스 펜(200)에 포함된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유도 자계가 변경되어 생성되는 전자기적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EMR 방식 터치 패널인 제2 터치 패널(199)을 통하여 변경된 전자기적 신호를 감지하여,스타일러스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버튼(220)이 눌려진 경우 및 눌려지지 않은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제 1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10)는 버튼(220)이 눌려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제 2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10)는 버튼(220)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할 수 있다(S601). 여기에서, 오브젝트는 텍스트, 도형, 아이콘, 버튼, 체크박스, 사진, 동영상, 웹(web), 맵(map)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터치할 경우, 객체에 미리 정해진 기능 또는 이벤트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객체는 운영체제에 따라 뷰(view)라고 불리울 수 있다. 타이틀 바는 윈도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키는 윈도우 표시 최소화 버튼, 윈도우 표시 최대화 버튼 및 윈도우 종료 버튼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갤러리(gallery)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는 단일 오브젝트 또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한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S603).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세기가 변경되는 등의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브젝트 편집 명령은 편집 대상 오브젝트 지정 및 편집 종류 지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편집 종류는 오브젝트 복사, 붙여넣기, 잘라내기, 확대, 축소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출된 오브젝트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대상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으며(S605), 편집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60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8a 내지 8i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내지 8i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701).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에 의한 복사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S703). 여기에서, 복사 명령은 복사 대상 오브젝트 지정 및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오브젝트(801)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0)이 터치스크린(190) 상의 어느 지점을 지시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8b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에 의한 복사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버튼(220)이 눌려지지 않았다가 눌려지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지정하는 지점을 검출할 수 있으며, 복사 명령이 801 오브젝트에 대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버튼(220)을 누를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200)은 제 1 신호를 송신하다가 이를 변경하여 제 2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신호는 버튼(220)이 눌리지 않은 경우에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제 2 신호는 버튼(220)이 눌린 경우에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사 명령은 801 오브젝트의 지정 및 제 1 신호로부터 제 2 신호로의 제 1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복사 명령에 대응하여 801 오브젝트를 복사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2 변경에 의한 붙여넣기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S705).
예를 들어, 도 8c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복사한 오브젝트를 붙여넣기하고 싶은 지점으로 스타일러스 펜(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도 8d에서와 같이 붙여넣기하고 싶은 지점에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붙여넣기 명령은 눌려진 버튼(220)을 다시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0)은 제 2 신호를 송신하다가 제 1 신호로 변경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가 제 2 신호로부터 제 1 신호로 변경된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붙여넣기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2 신호로부터 제 1 신호로 변경된 시점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이 지정하는 지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복사하였던 오브젝트(802)를 도 8e와 같이 붙여넣기 할 수 있다(S707).
도 8f 및 8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붙여넣기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8f은, 예를 들어 도 8b의 복사 명령이 입력된 이후의 상황을 설명하는 개념도일 수 있다. 도 8f에서와 같이,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801 오브젝트를 복사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호버링 높이(h) 미만인 경우에 스타일러스 펜(200)이 지정하는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호버링 상태에서 지정하는 지점에 고스트 뷰(ghost view)(803)를 표시할 수 있다. 고스트 뷰(803)는 붙여넣기 수행 결과를 미리 보여주도록 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붙여넣기 수행 결과를 다른 색 또는 다른 밝기로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사된 오브젝트에 대한 붙여넣기 수행 결과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8g에서와 같이, 버튼(220)을 다시 눌러지지 않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가 제 2 신호로부터 제 1 신호로 변경된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붙여넣기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2 신호로부터 제 1 신호로 변경된 시점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이 지정하는 지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복사하였던 오브젝트(802)를 도 8g와 같이 붙여넣기 할 수 있다(S707). 제어부(110)는 고스트 뷰(803)를 오브젝트(802)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h 및 8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사 명령 및 붙여넣기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h와 같이, 복사 명령은 버튼(220)을 눌렀다 다시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조작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가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다시 제 1 신호로 변경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의 순서로의 변경을 복사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0)는 도 8i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가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다시 제 1 신호로 변경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의 순서로의 변경을 붙여넣기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복사 명령이 입력되어, 특정 오브젝트를 복사한 이후에 검출되는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의 순서로의 변경을 붙여넣기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은, 제 2 신호,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으로 변경 실시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10a 내지 10h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a 내지 10h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전자 장치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901).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0a에서와 같이 오브젝트(801)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에 기초한 잘라내기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S903). 예를 들어, 제 1 변경은 버튼(220)의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제 1 신호에서, 버튼(220)이 눌려진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신호로 변경되고, 다시 제 1 신호로 변경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2 신호로부터 제 1 신호로 변경되는 시점에 스타일러스 펜(200)이 지시하는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서,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지시하는 대상이 801 오브젝트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잘라내기 명령이 입력된 대상이 801 오브젝트인 것을 확인하고, 801 대상 오브젝트에 대하여 잘라내기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0c에서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 2 신호로부터의 제 1 신호로의 변경을 검출하여, 잘라내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포이드가 오브젝트를 흡수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잘라내기 명령이 입력된 801 오브젝트를 복사하고, 도 10d와 같이 비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801 오브젝트를 비표시하는 과정에서, 801 오브젝트의 크기를 축소하다가 비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801 오브젝트가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흡수되는 것과 같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2 변경에 의한 붙여넣기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S907).
예를 들어, 도 10d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복사한 오브젝트를 붙여넣기하고 싶은 지점으로 스타일러스 펜(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도 8d에서와 같이 붙여넣기하고 싶은 지점에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붙여넣기 명령은 버튼(220)을 누르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도 10e에서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가 제 1 신호로부터 제 2 신호로 변경된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붙여넣기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신호로부터 제 2 신호로 변경된 시점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이 지정하는 지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복사하였던 오브젝트(802)를 도 10f와 같이 붙여넣기 할 수 있다(S909). 이에 따라, 오브젝트가 스포이드로부터 분사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801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801 오브젝트의 크기를 점층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801 오브젝트가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분사되는 것과 같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g 및 10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붙여넣기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10g은, 예를 들어 도 10b의 잘라내기 명령이 입력된 이후의 상황을 설명하는 개념도일 수 있다. 도 10g에서와 같이, 잘라내기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801 오브젝트를 복사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호버링 높이(h) 미만인 경우에 스타일러스 펜(200)이 지정하는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호버링 상태에서 지정하는 지점에 고스트 뷰(ghost view)(803)를 표시할 수 있다. 고스트 뷰(803)는 붙여넣기 수행 결과를 미리 보여주도록 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붙여넣기 수행 결과를 다른 색 또는 다른 밝기로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사된 오브젝트에 대한 붙여넣기 수행 결과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0h에서와 같이, 버튼(220)을 다시 누르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가 제 1 신호로부터 제 2 신호로 변경된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붙여넣기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신호로부터 제 2 신호로 변경된 시점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이 지정하는 지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복사하였던 오브젝트(802)를 도 10h와 같이 붙여넣기 할 수 있다(S707). 제어부(110)는 고스트 뷰(803)를 오브젝트(802)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잘라내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잘라내기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오브젝트(1101)를 왜곡시켜 표시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빨려들어가는 듯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l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2a 내지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잘라내기 명령이 입력되면, 오브젝트의 크기를 점층적으로 감소시키다가 비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 1 크기의 오브젝트(801)를 도 12a와 같이 도시하다, 도 12b에서와 같이 잘라내기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도 12c, 12d, 12e에서와 같이 제 2 크기의 오브젝트(811), 제 3 크기의 오브젝트(821) 및 제 4 크기의 오브젝트(831)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4 크기의 오브젝트(831)를 표시하다가 도 12f와 같이 비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오브젝트가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빨려들어가는 듯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2g 내지 12k는 붙여넣기 명령이 입력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개념도들이다. 도 12g에서와 같이 제어부(110)는 붙여넣기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 붙여넣기 명령이 검출되면, 제어부(110)는 도 12h 내지 12k와 같이 제 4 크기의 오브젝트(841), 제 3 크기의 오브젝트(851), 제 2 크기의 오브젝트(861) 및 제 1 크기의 오브젝트(871)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오브젝트가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분사되는 듯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2l에는, 다양한 크기의 오브젝트 크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1100)는 다양한 크기(1100 내지 113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잘라내기 또는 붙여넣기 명령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의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오브젝트의 다양한 크기(1100 내지 1130)들은 스타일러스 펜(200)의 터치 지점(1140)을 중심으로 닮음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가 축소되는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오브젝트가 흡수되는 것과 같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창출되며, 오브젝트가 붙여넣기 수행될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오브젝트가 분사되는 것과 같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의 제어 방법은 도 14a 내지 14k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a 내지 14k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1301). 예를 들어, 도 14a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1401)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에 기초한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S1303). 예를 들어, 도 14a 및 14b에서와 같이,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은 버튼(220)을 눌렀다가 다시 누르지 않은 상태로 전환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특히, 버튼(220)을 눌렀다가 다시 누르지 않은 상태로 전환하는 이벤트는 오브젝트 크기 축소 명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4b 내지 14e에서와 같이, 제어부(110)는 오브젝트 크기 명령이 검출되는 동안 오브젝트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S1305). 특히, 도 14b 내지 14e에서는 제어부(110)는 오브젝트(1401)의 크기를 점층적으로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 1 크기의 오브젝트(1401)를 표시하고, 제 2 크기의 오브젝트(1402)를 표시하고, 제 3 크기의 오브젝트(1403)를 표시하고, 제 4 크기의 오브젝트(1404)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2 변경에 기초한 변경 중단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S1307).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도 14e에서와 같이, 호버링 엑시트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호버링 엑시트 이벤트는 변경 중단 명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9).
도 14f 내지 14k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4 내지 14k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버튼(220)이 눌러지는 이벤트를 오브젝트 크기 확대 명령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오브젝트 크기 확대 명령이 검출되는 동안 도 14f 내지 14j에서와 같이 제 4 크기의 오브젝트(1404) 내지 제 1 크기의 오브젝트(1407)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2 변경에 기초한 변경 중단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S1307).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도 14k에서와 같이, 호버링 엑시트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호버링 엑시트 이벤트는 변경 중단 명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9).
도 15a 내지 1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우선, 도 1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501).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결과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터치스크린(19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에 기초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503). 여기에서, 편집 모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패닝(panning)하거나,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이동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S1505),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2 변경에 기초하여 편집 모드를 종료하고 편집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507).
도 15b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패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b에서의 제어 방법은 도 16a 내지 16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a 내지 16c는 도 15b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501).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도 16a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60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600)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에 기초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503). 예를 들어, 도 16b에서와 같이, 제어부(110)는 버튼(220)이 눌러지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으며(S1515), 검출된 이동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패닝시켜 표시할 수 있다(S1517). 예를 들어, 도 16c에서와 같이,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좌측으로 패닝시켜 패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601)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c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확대/축소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c에서의 제어 방법은 도 17a 내지 17e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a 내지 17e는 도 15c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501).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도 17a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70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700)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에 기초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503). 예를 들어, 도 17b에서와 같이, 제어부(110)는 버튼(220)이 눌러지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으며(S1515), 검출된 이동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0)이 제 1 방향으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S1521-Y),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확대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23). 아울러, 스타일러스 펜(200)이 제 2 방향으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S1525-Y),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27).
예를 들어, 도 17c에서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이 터치스크린(190)의 중심으로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 제어부(110)는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7d에서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이 터치스크린(190)의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면, 제어부(110)는 확대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72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전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48)

  1.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오브젝트(object)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도록 하는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놀려진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2 신호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놀려진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은 상기 오브젝트 복사 명령이며,
    상기 오브젝트 복사 명령이 검출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지정하는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지점에 대한 붙여넣기 명령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 변경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지점에 복사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붙여넣기 명령은, 상기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신호로의 변경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 또는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 또는 상기 제 2 신호,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붙여넣기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붙여넣기 명령의 결과를 미리 보여주는 고스트 뷰(ghost view)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스트 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호버링 상태에서 지정하는 지점에 상기 고스트 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은 상기 오브젝트 잘라내기 명령이며,
    상기 오브젝트 복사 명령이 검출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지정하는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복사하며, 상기 오브젝트를 비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비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점층적으로 감소시키다가 비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지점에 대한 붙여넣기 명령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 변경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지점에 복사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붙여넣기 명령은, 상기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신호로의 변경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 또는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 또는 상기 제 2 신호,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은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이며,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이 검출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지정하는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놀려진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2 신호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이 검출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 변경에 기초한 크기 변경 중단 명령이 검출되기 이전까지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점층적으로 확대하거나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변경 중단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크기 변경 중단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의 크기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변경 중단 명령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는 호버링 엑시트(hovering exit)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오브젝트(object)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도록 하는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놀려진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2 신호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놀려진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은 상기 오브젝트 복사 명령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복사 명령이 검출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지정하는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 변경에 기초하여 제 2 지점에 대한 붙여넣기 명령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지점에 복사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붙여넣기 명령은, 상기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신호로의 변경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 또는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 또는 상기 제 2 신호,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붙여넣기 명령을 검출하기 이전에, 상기 붙여넣기 명령의 결과를 미리 보여주는 고스트 뷰(ghost view)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호버링 상태에서 지정하는 지점에 상기 고스트 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8.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은 상기 오브젝트 잘라내기 명령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복사 명령이 검출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지정하는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복사하며, 상기 오브젝트를 비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점층적으로 감소시키다가 비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 변경에 기초하여 제 2 지점에 대한 붙여넣기 명령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지점에 복사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붙여넣기 명령은, 상기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신호로의 변경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 또는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 또는 상기 제 2 신호,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2.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 명령은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이 검출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지정하는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놀려진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2 신호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크기 변경 명령이 검출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 변경에 기초한 크기 변경 중단 명령이 검출되기 이전까지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점층적으로 확대하거나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변경 중단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기 변경 중단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의 크기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변경 중단 명령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는 호버링 엑시트(hovering exit)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7.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이 검출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도록 하는 편집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2 변경이 검출되면, 상기 편집 모드를 종료하고 편집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경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놀려진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2 신호로의 변경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패닝(panning)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이 제 1 방향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이 제 2 방향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의 방향이며,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의 방향의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3.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1 변경이 검출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도록 하는 편집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표시하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신호의 제 2 변경이 검출되면, 상기 편집 모드를 종료하고 편집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경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되는 버튼이 놀려진 상태에서 송신되는 제 2 신호로의 변경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로의 변경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신호,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의 순차적인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패닝(panning)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이 제 1 방향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이 제 2 방향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의 방향이며,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의 방향의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44747A 2013-04-23 2013-04-23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747A KR102146832B1 (ko) 2013-04-23 2013-04-23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747A KR102146832B1 (ko) 2013-04-23 2013-04-23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506A true KR20140126506A (ko) 2014-10-31
KR102146832B1 KR102146832B1 (ko) 2020-08-21

Family

ID=5199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747A KR102146832B1 (ko) 2013-04-23 2013-04-23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8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1617B2 (en) 2015-10-14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coordinate through touch panel thereof
CN112567320A (zh) * 2018-08-09 2021-03-26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按钮的电子装置以及用于电子装置中的操作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6055A1 (en) * 2011-07-13 2013-01-17 Chih-Hung Chuang Wireless transmitting stylus and touch display system
KR20140096752A (ko) * 2013-01-29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6055A1 (en) * 2011-07-13 2013-01-17 Chih-Hung Chuang Wireless transmitting stylus and touch display system
KR20140096752A (ko) * 2013-01-29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1617B2 (en) 2015-10-14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coordinate through touch panel thereof
CN112567320A (zh) * 2018-08-09 2021-03-26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按钮的电子装置以及用于电子装置中的操作的方法
CN112567320B (zh) * 2018-08-09 2024-04-16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按钮的电子装置以及用于电子装置中的操作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832B1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05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nged shortcut icon corresponding to a status thereof
US10635232B2 (en) Mobile apparatus displaying end eff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74445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 photograph by using widget
EP2690542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058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5720B1 (ko)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11088A (ko) 문지르기 제스처를 검출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0150A (ko)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1171A (ko) 컨텐츠의 스크롤 시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5331A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4011954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112911A (ko)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6815B1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CN104035710B (zh) 具有在对象上的预执行的功能的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40089868A (ko) 하이브리드 위젯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6832B1 (ko)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1051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6110A (ko)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248263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89714A (ko) 상태 바를 변경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5957B1 (ko) 종료 효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878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90321A (ko) 트리거를 기반으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5655A (ko)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