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857A - Apparatus for dry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mois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y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mois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857A
KR20140115857A KR1020130031094A KR20130031094A KR20140115857A KR 20140115857 A KR20140115857 A KR 20140115857A KR 1020130031094 A KR1020130031094 A KR 1020130031094A KR 20130031094 A KR20130031094 A KR 20130031094A KR 20140115857 A KR20140115857 A KR 2014011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rying chamber
drying
air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우
이현정
이필진
장봉기
이종화
서유덕
김태훈
김태경
Original Assignee
박승우
이필진
이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우, 이필진, 이현정 filed Critical 박승우
Priority to KR102013003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857A/en
Publication of KR2014011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8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chamber surrounded by an outer wall and discharging waste materials to the outside after drying the waste materials containing moisture which is flowed inside by air supplied. The wind power drying apparatus includes: a waste transfer means to transfer the inlet waste materi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and parallel to the ground, and including multiple screw blades which are connected to a rotary shaf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ich rotates alo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 first heating mean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drying chamber, which is a fluid flowing passage dispos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facing the outer wall for heating the air by the heated fluid which is flowed into the fluid flowing passage.

Description

습기 함유 폐기물용 건조 장치{APPARATUS FOR DRY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MOIS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for moisture-

본 기술은 폐기물 처리에 관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습기 함유 폐기물의 건조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This technology is a technology related to waste disposal, specifically, a technology relating to a drying system of moisture-containing waste such as food waste.

통상 가정 폐기물 또는 산업 폐기물 등의 각종 폐기물은 폐수 또는 폐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로 인한 추가적인 환경 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폐기물 등이 부패 시 발생하는 가스도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Various wastes such as household wastes or industrial wastes usually contain wastewater or waste water, which may cause additional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dition, gas generated when such waste is decomposed may als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최근 이러한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재활용 또는 폐기물 가공을 통한 제품 생산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상기 폐기물의 건조가 필수적이다. 특히, 상기 폐기물을 분말화하여 1차 소재로 가공하는 경우 건조 과정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Recent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cycle these wastes. However, in order to produce the product through recycling or waste processing, it is necessary to dry the waste first. In particular, when the waste is pulverized and processed into a primary material, the drying process may be very important.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처리를 위한 제품은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플랜트 수준의 대량생산 및 연속 공정을 전제한 건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관심과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환경 오염 방지와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국가 정책 실현을 위하여, 폐기물 처리의 각 요소 기술들을 플랜트 수준의 시스템으로 개발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Although there are various products for the treatment of household garbage generated at home, interest and efforts on the dry processing system that is based on plant mass production and continuous process are insufficient. In order to realize the national policy of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cycling of resources, it is an urgent task to develop each element technology of waste treatment into a plant-level system.

본 발명은 이러한 당면 과제를 고려한 발명으로서, 플랜트 수준의 대량생산 및 연속 공정이 가능하며, 이차적인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음은 물론 고 에너지 효율을 갖고 친환경적인 풍력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friendly wind-drying apparatus that can be mass-produced at a plant level and continuously operated, does not cause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as high energy efficiency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건조 장치는 외측벽으로 둘러 쌓여 있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내부로 유입된 습기 함유 폐기물을 건조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 챔버로서, 유입된 상기 폐기물을 상기 건조 챔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고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스크류 날개들을 포함하는 폐기물 이송수단; 및 상기 건조 챔버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과 마주보는 내측벽 및, 상기 외측벽 및 내측벽 사이에 형성된 유체 이동로로서, 상기 유체 이동로로 유입된 가열된 액체에 의하여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제1 가열 수단을 포함한다. A wind-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ing chamber enclosed by an outer wall for drying moisture-containing wastes introduced into the inside by air supplied from outside, and discharging the moisture-containing wastes to the outside, A waste conveying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screw vanes for convey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and connected to a rotary shaf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ing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 fluid passage formed in one area of the drying chamber, the fluid passage being formed between an inner wall facing the outer wall, and an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wherein the fluid is heated by the heated liquid flowing into the fluid passage And a first heating means.

상기 건조 챔버의 일 말단 영역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외부의 공기를 회전력에 의하여 공급하는 풍력 공급 팬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풍력 공급 팬과 상기 폐기물 이송수단 사이에는 상기 유입된 습기 함유 폐기물이 상기 풍력 공급 팬 방햐으로 역행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wind power supply fan for supplying external ai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otational force may be disposed at one end region of the drying chamber, and the introduced moisture-containing wast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ind power supply fan and the waste transportation means, And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film block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wind power supply fan.

상기 스크류 날개는 상기 습기 함유 폐기물이 상기 풍력 공급 팬이 배치된 영역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회전한다. The screw blade rotates so that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is transferred in a direction away from an area where the wind power supply fan is disposed.

상기 풍력 공급 팬이 배치된 영역의 반대 편 말단 영역에는 건조된 폐기물을 지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건조 폐기물 배출구 및 상기 건조 챔버 내에서 발생된 폐 공기를 지면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하는 폐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 공기 배출구의 일 영역에는 폐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공기 필터 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 drying waste outlet for discharging the dried waste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and a waste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ste air generated in the drying chambe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ground surface are provided in the opposite end region of the area where the wind- . An air filter member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waste air may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waste air outlet.

상기 제1 가열 수단은 상기 폐기물 이송 수단이 배치된 영역의 주변을 둘러 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heating means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region where the waste transfer means is disposed.

상기 건조 챔버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건조 챔버 외부에 배치된 감압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펌프는 상기 폐 공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And a decompression pump disposed outside the drying chamber to maintain the interior of the drying chamber in a reduced pressure state. The decompression pump may be connected to the waste air outlet.

상기 스크류 날개의 표면에는 공급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screw blade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supplied air can move.

상기 외측벽의 일 영역 상에는 건조 챔버 내부로 열을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제2 가열 수단이 더 배치될 수 있다. And a second heating means for additionally supplying heat to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한편, 상기 습기 함유 폐기물은 음식물 폐기물 슬러지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includes food waste sludge.

본 발명에 따른 풍력 건조 장치는 플랜트 수준의 연속 공정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어 대량의 습기 함유 폐기물을 건조 하는 데 적합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wind-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lant-level continuous process system to provide a system suitable for dry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containing was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 건조 장치는 가열된 유체에 의하여 장치 내부에 유입된 폐기물을 건조함으로써 공급된 열 에너지의 유지 효율이 우수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운용 효율이 매우 높다. In addition, the wind-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maintenance efficiency of the supplied thermal energy by drying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by the heated fluid, and thus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is very high.

한편, 상기 풍력 건조 장치는 건조 처리 후 발생된 폐 공기의 정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폐 공기에 의한 2차적인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drying apparatus includes the means for purifying the waste air generated after the drying process,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waste ai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건조 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스크류를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표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건조 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단막의 평면적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 wind-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surface structure when the screw of FIG. 1 is viewed from the fron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wind-drive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for conceptually showing the planar structure of the barrier film of FIG. 3.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반응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들은 본 발명에 대한 예시적인 기재일 뿐, 하기 설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후술할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fluid re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ly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that follow.

한편, 이하에서 사용되는 각 구성 요소의 명칭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명칭의 개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ame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below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cept of such nam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건조 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 wind-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풍력 건조 장치(1000)는 외측벽(1120)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벽(1120)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구획된 영역은 건조 챔버(1100)로서 기능한다. 상기 건조 챔버(1100)의 일 영역에는 습기 함유 폐기물이 유입 또는 공급되는 습기 폐기물 유입구(13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폐기물 유입구(1310)은 상기 건조 챔버(110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습기 함유 폐기물은 기본적으로 상기 폐기물 유입구(1310)를 따라 중력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건조 챔버(110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유입구(1310)의 구조, 직경이나 길이등의 요소는 상기 습기 함유 폐기물을 공급하는 공급 탱크(미 도시) 등의 규모나 상기 폐기물 종류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습기 함유 폐기물은 음식물 폐기물 슬러지 등 다양한 습기 함유 폐기물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본 풍력 건조 장치(1000)는 음식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 공정 등의 중간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wind-driven drying apparatus 1000 includes an outer wall 1120. The space spatially divided by the outer wall 1120 functions as a drying chamber 1100. In one region of the drying chamber 1100, a moisture waste inlet 1310 through which moisture-containing waste is introduced or supplied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waste inlet 1310 is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drying chamber 1100 so that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basically falls down in the gravity direction along the waste inlet 1310, Lt; / RTI > The structure, diameter, length, etc. of the waste inlet 1310 can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cale of the supply tank (not shown) for supplying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an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waste type.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may include various moisture-containing wastes such as food waste sludge, and thus the present wind-drying apparatus 1000 can be utilized at an intermediate stage such as a feed manufacturing process using food waste.

상기 습기 폐기물 유입구(1310)로 유입된 습기 함유 폐기물은 상기 건조 챔버(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 되면서 건조 된 후 상기 건조 챔버(1100)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 챔버(1100)의 길이 방향이란, 지면과 평행한 방향이다.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flowing into the moisture waste inlet 1310 is transpo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1100, dri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chamber 1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1100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상기 습기 폐기물 유입구(1310)이 위치한 상기 풍력 건조 장치(1000)의 말단 영역에는 외부 공기 공급 수단으로서, 풍력 공급 팬(1600)을 포함한다. 상기 풍력 공급 팬(1600)은 상기 폐기물 유입구(1310)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되 말단 영역에 더 근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풍력 공급 팬(1600)은 회전력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진공 챔버(11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공지된 다양한 풍력 공급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풍력 공급 팬(1600)은 회전 날개를 갖는 팬 형태의 구조이며, 상기 회전 날개의 개수 또는 회전 날개의 크기 등은 유입되는 습기 함유 폐기물의 종류, 상기 진공 챔버(1100)의 용량, 폐기물의 수분 함유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고려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풍력 공급 팬(1600)의 회전 강도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end region of the wind-driven drying apparatus 1000 in which the moisture waste inlet 1310 is located includes a wind power supply fan 1600 as external air supply means.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is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waste inlet 1310 and disposed closer to the end area.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may include various known wind power supply means as means for supplying external air into the vacuum chamber 1100 by rotational for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has a fan-shaped structure having a rotating blade. The number of the rotating blades, the size of the rotating blades, and the like are determined by the type of the moisture- The degree of moisture content of the waste, and the like. Furthermore, the rotational intensity of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can be appropriately set.

상기 풍력 공급 팬(1600)이 형성된 말단 영역의 반대 측 말단 영역에는, 건조된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 폐기물 배출구(1320)가 상기 건조 챔버(1100)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건조 폐기물 배출구(1320)는 중력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출의 효율성을 극대화 될 수 있다. A drying waste outlet 1320 for discharging the dried waste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lower end area of the end area where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1100. That is, the dry waste outlet 1320 is formed in the gravity direction,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discharge can be maximized.

한편, 상기 풍력 공급 팬(1600)이 형성된 말단 영역의 반대 측 말단 영역에는, 건조 후 발생된 폐 공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폐 공기 배출구(15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 공기 배출구(15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 챔버(1100)의 상부 방향, 즉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및 연장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waste air outlet 1520 for discharging waste air (gas) generated after drying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end region opposite to the end region where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is formed. As shown in FIG. 1, the waste air outlet 1520 protrudes and extend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1100, that i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vitational force.

상기 풍력 건조 장치(1000)는 건조 챔버(1100) 내에 폐기물 이송수단(1400)을 포함한다. 상기 폐기물 이송수단(1400)은 상기 습기 폐기물 유입구(1310)를 경유하여 유입된 습기 함유 폐기물을 상기 습기 폐기물 유입구(1310) 쪽에서 상기 건조 폐기물 배출구(1320)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폐기물 이송수단(1400)은 상기 건조 챔버(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1410) 및 상기 회전축(141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4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스크류 날개(1420)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날개(1420)는 회전하면서 유입된 습기 함유 폐기물들을 상기 건조 폐기물 배출구(1320)가 형성된 말단 영역으로 이송 시킨다. 상기 스크류 날개(1420)의 회전속도(RPM)는 건조 챔버(1100)의 용량이나 유입된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날개(1420)의 회전 속도는 결국, 습기 함유 폐기물이 상기 건조 챔버(1100)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날개(1420)의 휨 정도 및 날개의 직경 역시 폐기물의 종류나 건조 챔버(1100)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 날개(1420)의 직경은 상기 건조 챔버(1100)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여 상기 스크류 날개(1420)와 건조 챔버의 내측벽(1110) 사이가 넓지 않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nd-dry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waste transfer means 1400 in a drying chamber 1100. The waste transporting means 1400 physically transports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flowing through the moisture waste inlet 1310 from the moisture waste inlet 1310 toward the dry waste outlet 1320. The waste transfer means 1400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1100 and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4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410 And a plurality of screw blades 1420 rotated by the screw. The screw vanes 1420 transfer the moisture-containing wastes that have been rotated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end region where the dry waste outlet 1320 is formed.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screw blade 1420 may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drying chamber 1100 or the type of the waste materia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crew blade 1420 eventually serves to determine the residence time of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in the drying chamber 1100.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crew blade 1420 and the diameter of the blades can also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waste, the capacity of the drying chamber 1100, and the like. The diameter of the screw blade 142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drying chamber 110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w blade 1420 and the inner wall 1110 of the drying chamber is adjusted not to be wider.

도 2는 상기 도 1의 스크류를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표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도면이다. FIG. 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surface structure when the screw of FIG. 1 is viewed from the front; FIG.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 날개(1420)의 표면은 회전축(1410)이 체결될 수 있는 중심홀(1422) 및 상기 풍력 공급 팬(160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통과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관통공(1424)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날개(1420)는 인접한 날개(1420)와 날개(1420) 사이의 공간을 일종의 서브 공간으로 구획하여 건조 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한다. 2, the surface of the screw blade 1420 includes a center hole 1422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1410 can be fasten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12 through which the air supplied from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can pass, Holes 1424. [ The screw vane 1420 divides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vanes 1420 and the vanes 1420 into a sort of sub space to maximize drying efficiency.

상기 풍력 공급 팬(1600)에 의하여 공급된 외부 공기는 상기 진공 챔버(1100) 내부에서 가열되어 유입된 습기 함유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킨다. The external air supplied by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is heated inside the vacuum chamber 1100 to efficiently dry the introduced moisture-containing waste.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풍력 건조 장치(1000)의 일 영역에는 외측벽(1120)과 마주보는 내측벽(1110) 및 상기 외측벽(1120) 및 내측벽(1110) 사이에 형성된 유체 이동로(1130)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이동로(1130)는 일종의 가열 수단으로 사용되며, 상기 이송 수단(1400)이 형성된 주변 영역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풍력 건조 장치(1000)는 상기 유체 이동ㄹ로(1130)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통로인 유체 주입구(1910) 및 상기 유체 이동로(1130)로 배출된 유체의 배출구 역할을 하는 유체 배출구(1920)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주입구(1910)와 상기 유체 배출구(1920)는 서로 다른 말단 영역에 배치되고 수직적인 방향도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로는 물 또는 비점이 높은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체의 종류에 따라 건조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에 의한 가열 방식은 열 에너지의 유지 시간이 길어 풍력 건조 장치(1000)의 건조 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1, an area of the wind-driven dryer 1000 includes an inner wall 1110 facing the outer wall 1120 and a fluid passage 1130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1120 and the inner wall 1110 ). The fluid path 1130 is used as a kind of heating means and is formed to surround all or at least a part of the peripheral region where the transfer means 1400 is formed. The wind-dry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fluid inlet 1910 serving as a passage for supplying fluid to the fluid transfer path 1130 and a fluid outlet 1920 serving as a discharge port for the fluid discharged to the fluid path 11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id inlet 1910 and the fluid outlet 1920 are disposed at different end regions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opposite. As the fluid, water or an organic solvent having a high boiling point may be used. The drying temperature can be easi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fluid. The heating method using the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wind-driven drying apparatus 1000 because the holding time of the thermal energy is long.

풍력 건조 장치(1000)는 추가적인 가열 수단으로서 상기 건조 챔버(1000)의 외측벽(1120)의 일 영역에 형성된 추가적인 가열 수단을 포함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가열 수단으로서 상기 풍력 건조 장치(1000)는 상기 외측벽(1120)의 일 영역에 형성된 히터층(1170)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층(1170)은 상기 유체 이동로(1130)에 유입된 가열 유체에 의한 수단에 더하여 추가적인 열 공급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히터층(1170)으로서는 코일 형태의 가열 수단 또는 밴드 히터(band hea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wind-dry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additional heating means formed in one area of the outer wall 1120 of the drying chamber 1000 as additional heating mean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additional heating means, the wind-dry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heater layer 1170 formed in one region of the outer side wall 1120. The heater layer 1170 may be utilized as an additional heat supply means in addition to the heat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path 1130. As the heater layer 1170, a heating means in the form of a coil or a band heater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 풍력 건조 장치(1000)는 상기 건조 챔버(1000) 외부에 감압 펌프(18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압 펌프(1800)는 상기 건조 챔버(1000)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가열 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감압 펌프(1800)는 본 실시예에서, 폐 공기 배출구(1510)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driven dry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vacuum pump 1800 outside the drying chamber 1000. The decompression pump 1800 reduces the pressure inside the drying chamber 1000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and prevent the odor generated therein from being diffused to the outside. The decompression pump 1800 may be spatially connected to the waste air outlet 1510 in this embodiment.

상기 폐공기 배출구(1510)의 공기 배출로에는 공기 필터 부재(15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필터 부재(1520)는 건조 후 발생된 폐 공기(가스)를 1차적으로 정화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공기 필터 부재(1520)의 종류로서는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활선 탄소 층을 포함하는 공기 필터 부재(152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차 정화되어 배출된 폐 공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에 배치된 재연소 장치나 증류탑 등을 거치면서 완전하게 악취가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n air filter member 1520 is formed in the air exhaust passage of the waste air outlet 1510. The air filter member 1520 primarily purifies and discharges waste air (gas) generated after drying. The type of the air filter member 15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air filter member 1520 including, for example, a live carbon layer may be used. The primary purified and discharged waste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completely removing odors while passing through a re-burning device or a distillation tower disposed outside, though not shown.

상기 풍력 건조 장치는 상기 풍력 공급 팬(1600) 및 상기 습기 폐기물 유입구(1310) 사이에, 유입된 습기 함유 폐기물이 역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막(11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drying apparatus may include a shielding film 1150 between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and the moisture waste inlet 1310 to prevent the introduced moisture-containing waste from being reversed.

한편, 전술한 이송 수단(1400)은 회전 동력 전달 장치(모터)(1700)에 의하여 구동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풍력 공급 팬(1600)이 상기 회전 동력 전달 장치(1700)를 공유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여 이송 수단(1400)의 회전축(1410)과 다른 회전 속도로 그리고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eantime, the above-described conveying means 1400 is driven by a rotary power transmission device (motor) 1700,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 power supply fan 1600 is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share the rotary power transmission device 1700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otor so that it can be variably controlled at a different rotational speed than the rotational axis 1410 of the conveying means 1400.

한편, 풍력 건조 장치(1000)의 이송 영역(H1)과 배출 영역(H2)의 공간 구획은 진공 챔버(1000)의 용량이나 유입된 폐기물의 종류 폐기물 단위 조각의 부피 등을 고려하여 장치(1000) 설계시 유효하게 조절될 수 있다. The space division between the transfer area H1 and the discharge area H2 of the wind turbine 1000 may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capacity of the vacuum chamber 1000 and the volume of the waste unit pieces of the introduced waste, It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at design tim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건조 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wind-drive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건조 장치(3000)은 외측벽(3120), 내측벽(3110) 및 양 벽 사이의 유체 이동로(3130)을 포함하는 건조 챔버(3100), 습기 폐기물 유입구(3310) 및 건조 폐기물 배출구(3320), 회전축(3410) 및 회전 날개(3420)을 포함하는 이송 수단(3400), 유체 유입구(1910) 및 유체 배출구(3920), 풍력 공급 팬(3600), 차단막(3150) 및 회전 동력 전달 장치(3700)과 감압펌프(3800)을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The wind-drying apparatus 3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ying chamber 3100 including an outer wall 3120, an inner wall 3110 and a fluid passage 3130 between the both walls, a moisture waste inlet 3310, The fluid inlet 1910 and the fluid outlet 3920 including the waste outlet 3320, the rotary shaft 3410 and the rotary vane 3420, the wind power supply fan 3600, the blocking film 3150, And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3700 and a decompression pump 3800. Sinc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th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풍력 건조 장치(3000)는 도 1의 풍력 건조 장치(1000)와 달리 추가적인 가열 수단으로서의 히터층(도 1의 1170)을 포함하지 않는다.The wind-drying apparatus 3000 does not include a heater layer (1170 in Fig. 1) as an additional heating means unlike the wind-driven apparatus 1000 in Fig.

또한, 상기 풍력 건조 장치(3000)는 습기 폐기물 유입구(3310)에는 별도의 회전축(3312) 및 회전 날개(3314)를 구비한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송 수단은 습기 함유 폐기물의 유입을 물리적으로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건조 폐기물 배출구(3320)에도 배출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d-drying apparatus 3000 includes a transfer means having a rotary shaft 3312 and a rotary blade 3314 in the moisture waste inlet 3310. The conveying means serves to physically assist the introduction of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Likewise, the dry waste outlet 3320 may also include a transfer means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ischarge.

도 4는 도 3의 차단막의 평면적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for conceptually showing the planar structure of the barrier film of FIG. 3. FIG.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막(3150)은 회전축(3410)이 체결되는 중심홀(3152) 및 폐기물의 역행을 방지하기 위한 격자 타입의 망구조(315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막(3150)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원활하게 통과 시키되 습기 함유 폐기물이 풍력 공급 팬(3600)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blocking layer 3150 includes a center hole 315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3410 is coupled, and a grid-type net structure 3154 for prevent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waste. Therefore, the blocking film 3150 can smoothly pass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effectively prevent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from flowing back to the wind power supply fan 3600.

Claims (12)

외측벽으로 둘러 쌓여 있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내부로 유입된 습기 함유 폐기물을 건조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 챔버로서,
유입된 상기 폐기물을 상기 건조 챔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고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스크류 날개들을 포함하는 폐기물 이송수단; 및
상기 건조 챔버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과 마주보는 내측벽 및, 상기 외측벽 및 내측벽 사이에 형성된 유체 이동로로서, 상기 유체 이동로로 유입된 가열된 액체에 의하여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제1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풍력 건조 장치.
A drying chamber enclosed by an outer wall for drying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by the air supplied from outside, and discharging the moisture-
And a plurality of screw blades connected to a rotary shaf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ing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Conveying means; And
A fluid passag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drying chamber and facing the outer wall, and a fluid passage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the fluid passage being provided with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by the heated liquid flowing into the fluid passage, 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챔버의 일 말단 영역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외부의 공기를 회전력에 의하여 공급하는 풍력 공급 팬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end region of the drying chamber is provided with a wind power supply fan for supplying outside ai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otating for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공급 팬과 상기 폐기물 이송수단 사이에는 상기 유입된 습기 함유 폐기물이 상기 풍력 공급 팬 방햐으로 역행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hielding film interposed between the wind power supply fan and the waste conveying means to block the backflow of the introduced moisture-containing waste toward the wind power supply fa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날개는 상기 습기 함유 폐기물이 상기 풍력 공급 팬이 배치된 영역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crew blade rotates so that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is transferred in a direction away from an area where the wind power supply fan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공급 팬이 배치된 영역의 반대 편 말단 영역에는 건조된 폐기물을 지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건조 폐기물 배출구 및 상기 건조 챔버 내에서 발생된 폐 공기를 지면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하는 폐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ying waste outlet for discharging the dried waste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and a waste air outlet for discharging waste air generated in the drying cha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ound, Wherein the wind-drying device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 공기 배출구의 일 영역에는 폐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공기 필터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air filter member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waste air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waste air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수단은 상기 폐기물 이송 수단이 배치된 영역의 주변을 둘러 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ing means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region where the waste transfer means is dispos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챔버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건조 챔버 외부에 배치된 감압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decompression pump disposed outside the drying chamber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in a reduced pressure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펌프는 상기 폐 공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decompression pump is connected to the waste air discharge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날개의 표면에는 공급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crew vane so that the supplied air can m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일 영역 상에는 건조 챔버 내부로 열을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제2 가열 수단이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heating means for further supplying heat to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is furth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함유 폐기물은 음식물 폐기물 슬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isture-containing waste is a food waste sludge.
KR1020130031094A 2013-03-22 2013-03-22 Apparatus for dry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moisture KR201401158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94A KR20140115857A (en) 2013-03-22 2013-03-22 Apparatus for dry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mois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94A KR20140115857A (en) 2013-03-22 2013-03-22 Apparatus for dry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mois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57A true KR20140115857A (en) 2014-10-01

Family

ID=5199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094A KR20140115857A (en) 2013-03-22 2013-03-22 Apparatus for dry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mois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85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530A (en) * 2016-02-18 2017-08-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ood waste treatment system
CN108195175A (en) * 2017-12-30 2018-06-22 郑州默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energy-efficient baking oven based on turned heating
KR102038682B1 (en) * 2019-04-01 2019-10-30 주식회사 일신에코텍 Apparatus for drying slud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530A (en) * 2016-02-18 2017-08-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ood waste treatment system
CN108195175A (en) * 2017-12-30 2018-06-22 郑州默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energy-efficient baking oven based on turned heating
KR102038682B1 (en) * 2019-04-01 2019-10-30 주식회사 일신에코텍 Apparatus for drying slu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5307B (en) High temperature carbonization system of sludge and carbonization process
KR100792689B1 (en) Device of Drying Waste Sludge
JP4679336B2 (en) Kitchen garbage dryer
KR100759416B1 (en) Sludge drying device for shaftless spiralscrew
CN102674655A (en) Sludge harrow type drying method and device
JP5193322B2 (en) Indirect heating dryer
CN105417923B (en) A kind of sludge drying system
KR100852024B1 (en) Drier for organic waste treatment using thermal wind
CN102557383A (en) Inclined disk blade dryer for drying sludge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KR101387011B1 (en) Rotary-type multi-pass dryer for waste material
KR20140115857A (en) Apparatus for dry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moisture
KR101210376B1 (en) Module type drying apparatus
KR100894268B1 (en) The disposal apparatus for process organic matter
KR101109759B1 (en) Apparatus for drying sludge
KR20110044700A (en) Sludge treating apparatus
CN201446120U (en) Rotary fumigating and drying equipment for kitchen waste
KR10161880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solid fuel from livestock sludge
CN102335672A (en) Harmless dehydrator
WO2016090445A1 (en) Simultaneous pulper and dryer for solids
CN105000778A (en) Sludge reduction processing system
CN202164220U (en) Sludge drying device
KR101160550B1 (en) Sludge drying system for using catalyst-heater
KR101001565B1 (en) Sludge Drying Machine having sludge guide instrument
KR102060106B1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KR20210148610A (en) High-speed sludge dr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