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124A -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124A
KR20140111124A KR1020130024395A KR20130024395A KR20140111124A KR 20140111124 A KR20140111124 A KR 20140111124A KR 1020130024395 A KR1020130024395 A KR 1020130024395A KR 20130024395 A KR20130024395 A KR 20130024395A KR 20140111124 A KR20140111124 A KR 20140111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site
plant construction
plant
abnormal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중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124A/ko
Publication of KR2014011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플랜트 공사현장에 속한 각 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SI: abnormal situation Seriousness Index of a work class within the setting period)의 산출기반이 되는 SI 산출 기반정보(예컨대,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발생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에 대한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점검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구체적인 이상상황 내역정보, 이상상황처리 부서 내역정보, 이상상황 점검주체 내역 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별 관련 하청업체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취득 완료된 SI 산출 기반정보 및 기 저장되어 있던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토대로 식 [
Figure pat00021
](여기서,
Figure pat00022
는 C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d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
Figure pat00023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
Figure pat00024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발생수량, K는 이상상황 발생수량 보정상수)을 연산하여, SI를 자동 산출하고, 산출 완료된 SI가 반영된 SI 보고정보를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 등으로 전송/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각 클래스의 이상상황 심각성 정도가 SI를 토대로 하여,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체계적/통계적으로 자동 점검/관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플랜트 주문고객 등에서, 특정 작업클래스(예를 들어,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용접클래스, 도장클래스, 도면클래스 등)가 심각한 이상상황을 나타내거나, 시간이 갈수록 그 이상상황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면서, 플랜트 시설의 품질저하에 따른 각종 유/무형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Device which manages abnormal situations about a field of plant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플랜트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상상황(예컨대, 작업의 이상상황, 장비의 이상상황, 자재의 이상상황, 성능의 이상상황, 용접의 이상상황, 도면의 이상상황, 도장의 이상상황, 보온의 이상상황 등)을 관리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플랜트 주문고객 등에서 각 작업클래스(예를 들어,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용접클래스, 도장클래스, 도면클래스 등)가 심각한 이상상황을 나타내거나, 시간이 갈수록 그 이상상황의 심각성이 증가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면서, 플랜트 시설의 품질저하에 따른 각종 유/무형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공업 관련기술이 진일보를 이루면서, 국내외의 대형 플랜트공사를 수주/시공하는 기업의 숫자 또한 빠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랜트공사의 시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각종 백업 기술들의 중요성 또한 점차 확대되는 상황에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랜트공사관련 백업기술들로써,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04-41054호(명칭: 플랜트시스템, 플랜트 감시장치 및 플랜트데이터 선택방법)(2004.5.13.자 공개)에는 <외부로 송신하고 있는 플랜트 데이터 중, 읽히고 싶지 않은 데이터를 데이터마다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에 송신하고 있는 플랜트 데이터 중, 플랜트를 운전/감시/보수하고 있는 측에서 읽히고 싶지 않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데이터만 마스크 함으로써, 외부로 송신하고 있는 플랜트 데이터를 보고하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 제10-2005-96157호(명칭: 풍력발전 플랜트 건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시공한 풍력발전 플랜트)(2005.10.5.자 공개)에는 <풍력발전 설비의 시공이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고, 나아가, 국내공개특허 제10-2011-104098호(명칭: 플랜트 운전 방법 및 플랜트 운전 시스템)(2011.9.21.자 공개)에는 <플랜트 구조재를 구성하는 원소의 용출을 억제시킴과 아울러, 플랜트 구조재의 부식을 억제시키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플랜트 공사기술 체제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을 관리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예컨대,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품질관리팀 업무담당자, 플랜트 주문고객 측 공사감독자 등) 측에서는 플랜트 공사현장과 관련된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장비요소들(예컨대, 전기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전기장비들, 기계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기계장비들, 토목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토목장비들, 건축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건축장비들, 배관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배관장비들 등), 각 작업클래스의 기술요소들(예컨대, 도장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피 도장체의 도장상태, 용접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피 용접체의 용접상태, 도면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구조물에 대한 도면의 작도상태 등) 등을 점검한 후, 해당 점검결과에 상응하는 점검결과표를 작성하고, 작성 완료된 점검결과표를 플랜트 공사현장의 플랜트 시공주체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플랜트 공사를 담당하는 플랜트 시공주체 측에서는 점검결과표를 면밀히 살펴보면서,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예컨대, 전기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전기장비들, 기계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기계장비들, 도장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피 도장체, 용접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피 용접체 등)의 이상상황(예컨대, 전기장비들의 고장상황, 기계장비들의 고장상황, 피 도장체의 도장 불량상황, 피 용접체의 용접 불량상황 등)을 적절히 치유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각 작업클래스(예컨대,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도장클래스, 용접클래스 등)에 부속된 이상상황(예컨대, 전기장비들의 고장상황, 기계장비들의 고장상황, 피 도장체의 도장 불량상황, 피 용접체의 용접 불량상황 등)은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심각성을 보이게 된다. 즉, 같은 이상상황이라 하더라도 어떤 이상상황은 그 관련업무에 따라 플랜트 공사현장의 안전 및 성능에 매우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이상상황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어떤 이상상황은 그 관련업무에 따라 단순 치유작업만이 필요한 심플한 이상상황일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인프라 하에서, 각 이상상황의 서로 다른 심각성을 각 작업클래스별로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선별적으로 강구하는 문제는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만약, 전기클래스 및 기계클래스 모두에 일련의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전기클래스의 이상상황이 기계클래스의 이상상황에 비해 더 심각한 이상상황이어서, 그에 대한 대책을 더 빠르고 정교하게 수립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플랜트 시공주체 등에서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될 경우, 심각한 이상상황의 발생사례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문제점은 물론, 해당 이상상황의 치유/종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 이상상황의 치유/종결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 이상상황의 사전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되고, 결국, 최종 완공되는 플랜트 시설이 지극히 낮은 품질을 나타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에서는 단순히, 일련의 점검결과표를 플랜트 공사현장 측으로 피드-백 시키고, 이에 맞추어, 각 클래스에 속한 이상상황을 치유/종결하는 절차만을 단순 진행하였을 뿐, 각 클래스의 이상상황 심각성 정도를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체계적/통계적으로 자동 점검하고, 그 점검결과를 적극 관리하는 절차를 전혀 진행하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플랜트 시공주체 등에서는 특정 작업클래스(예를 들어,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용접클래스, 도장클래스, 도면클래스 등)가 심각한 이상상황을 나타내거나, 시간이 갈수록 그 이상상황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더라도 이를 전혀 파악할 수 없었으며, 결국,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플랜트 주문고객 측에서는 플랜트 시설의 품질저하에 따른 각종 유/무형의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4-41054호(명칭: 플랜트시스템, 플랜트 감시장치 및 플랜트데이터 선택방법)(2004.5.13.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5-96157호(명칭: 풍력발전 플랜트 건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시공한 풍력발전 플랜트)(2005.10.5.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1-104098호(명칭: 플랜트 운전 방법 및 플랜트 운전 시스템)(2011.9.21.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플랜트 공사현장에 속한 각 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SI: abnormal situation Seriousness Index of a work class within the setting period)의 산출기반이 되는 SI 산출 기반정보(예컨대,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발생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에 대한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점검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구체적인 이상상황 내역정보, 이상상황처리 부서 내역정보, 이상상황 점검주체 내역 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별 관련 하청업체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취득 완료된 SI 산출 기반정보 및 기 저장되어 있던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토대로 식 [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C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d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
Figure pat00003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
Figure pat00004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발생수량, K는 이상상황 발생수량 보정상수)을 연산하여, SI를 자동 산출하고, 산출 완료된 SI가 반영된 SI 보고정보를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 등으로 전송/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각 클래스의 이상상황 심각성 정도가 SI를 토대로 하여,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체계적/통계적으로 자동 점검/관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플랜트 주문고객 등에서, 특정 작업클래스(예를 들어,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용접클래스, 도장클래스, 도면클래스 등)가 심각한 이상상황을 나타내거나, 시간이 갈수록 그 이상상황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면서, 플랜트 시설의 품질저하에 따른 각종 유/무형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와 통신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에 속한 각 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SI: abnormal situation Seriousness Index of a work class within the setting period)의 산출절차 및 보고절차를 제어하는 SI 유통 제어모듈과;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SI 산출의 기반이 되는 SI 산출 기반정보를 취득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SI 산출 기반정보 및 기 저장되어 있던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토대로 하기 식 [
Figure pat00005
](여기서,
Figure pat00006
는 C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d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
Figure pat00007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
Figure pat00008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발생수량, K는 이상상황 발생수량 보정상수)을 연산하여, SI를 산출하는 SI 산출모듈과;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SI 산출모듈에 의해 상기 SI가 산출되는 상황에서, 해당 SI가 반영된 SI 보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SI 보고정보를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SI 보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플랜트 공사현장에 속한 각 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SI: abnormal situation Seriousness Index of a work class within the setting period)의 산출기반이 되는 SI 산출 기반정보(예컨대,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발생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에 대한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점검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구체적인 이상상황 내역정보, 이상상황처리 부서 내역정보, 이상상황 점검주체 내역 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별 관련 하청업체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취득 완료된 SI 산출 기반정보 및 기 저장되어 있던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토대로 식 [
Figure pat00009
]을 연산하여, SI를 자동 산출하고, 산출 완료된 SI가 반영된 SI 보고정보를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 등으로 전송/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각 클래스의 이상상황 심각성 정도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상기 SI를 토대로 하여,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체계적/통계적으로 자동 점검/관리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플랜트 주문고객 등에서는 특정 작업클래스(예를 들어,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용접클래스, 도장클래스, 도면클래스 등)가 심각한 이상상황을 나타내거나, 시간이 갈수록 그 이상상황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면서, 플랜트 시설의 품질저하에 따른 각종 유/무형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I 산출 기반정보 취득모듈, SI 산출모듈, SI 보고모듈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I의 산출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I 보고정보의 기재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상황 세부정보 제공모듈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모듈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 지원모듈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SI/기성지급 연계 지원모듈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채용한 플랜트 공사기술 체제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을 관리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예컨대,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품질관리팀 업무담당자, 플랜트 주문고객 측 공사감독자 등) 측에서는 플랜트 공사현장과 관련된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장비요소들(예컨대, 전기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전기장비들, 기계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기계장비들, 토목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토목장비들, 건축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건축장비들, 배관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배관장비들 등), 각 작업클래스의 기술요소들(예컨대, 도장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피 도장체의 도장상태, 용접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피 용접체의 용접상태, 도면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구조물에 대한 도면의 작도상태 등) 등을 점검한 후, 해당 점검결과에 상응하는 점검결과표를 작성하고, 작성 완료된 점검결과표를 플랜트 공사현장의 플랜트 시공주체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플랜트 공사를 담당하는 플랜트 시공주체 측에서는 점검결과표를 면밀히 살펴보면서,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예컨대, 전기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전기장비들, 기계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의 기계장비들, 도장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피 도장체, 용접클래스에 속한 플랜트 공사현장 내 피 용접체 등)의 이상상황(예컨대, 전기장비들의 고장상황, 기계장비들의 고장상황, 피 도장체의 도장 불량상황, 피 용접체의 용접 불량상황 등)을 적절히 치유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각 작업클래스(예컨대,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도장클래스, 용접클래스 등)에 부속된 이상상황(예컨대, 전기장비들의 고장상황, 기계장비들의 고장상황, 피 도장체의 도장 불량상황, 피 용접체의 용접 불량상황 등)은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심각성을 보이게 된다. 즉, 같은 이상상황이라 하더라도 어떤 이상상황은 그 관련업무에 따라 플랜트 공사현장의 안전 및 성능에 매우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이상상황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어떤 이상상황은 그 관련업무에 따라 단순 치유작업만이 필요한 심플한 이상상황일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인프라 하에서, 각 이상상황의 서로 다른 심각성을 각 작업클래스별로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선별적으로 강구하는 문제는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만약, 전기클래스 및 기계클래스 모두에 일련의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전기클래스의 이상상황이 기계클래스의 이상상황에 비해 더 심각한 이상상황이어서, 그에 대한 대책을 더 빠르고 정교하게 수립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플랜트 시공주체 등에서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될 경우, 심각한 이상상황의 발생사례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문제점은 물론, 해당 이상상황의 치유/종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 이상상황의 치유/종결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 이상상황의 사전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되고, 결국, 최종 완공되는 플랜트 시설이 지극히 낮은 품질을 나타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13)에 접속 중인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SI 및 그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면밀하게 산출 및 유통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고유의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100)를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100)는 상황에 따라,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의 프로그램 블록 내에 종속 설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때,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측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13)을 매개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예컨대, 플랜트 공사 현장정보, 참여업체 정보, 각종 장비정보, 공사관련 금융 유통정보, 기성지급 관련정보, 통신 인프라 정보, 인사정보, 홈페이지 관리정보, 사내 유통정보, 전자 메일 정보 등)을 수집/저장/유통시키는 통합 서버로서의 기능을 다채롭게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는 플랜트 공사현장을 관리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예컨대,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품질관리팀 업무담당자, 플랜트 주문고객 측 공사감독자 등)가 보유한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PC, PDA, 스마트폰 등의 정보처리기기를 의미하며,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역시, SI 수요처(예컨대, 플랜트 공사를 담당하는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공사 감독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경영주체, 플랜트 주문고객 측 관리주체 등)가 보유한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PC, PDA, 스마트폰 등의 정보처리기기를 의미한다.
이 경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등은 유/무선 온라인망(13)을 통해, 본 발명의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100) 측에 직접적으로 통신 접속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를 중간 경유하여, 본 발명의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100) 측에 간접적으로 통신 접속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100)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3) 등을 매개로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이상상황과 관련된 SI의 산출절차 및 산출 완료된 SI의 보고절차, 그리고, 해당 SI의 유통절차 등을 전체적으로 총괄 제어하는 SI 유통 제어모듈(101)과, 이 SI 유통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SI 산출 기반정보 취득모듈(104),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SI 산출모듈(106),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보고모듈(108), 이상상황 세부정보 제공모듈(109),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모듈(110),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 지원모듈(111), SI/기성지급 연계 지원모듈(112)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SI 유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측에서는 자신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SI의 산출 및 유통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SI 산출에 필요한 SI 산출 설정정보(예컨대, SI 산출대상 설정정보, SI 산출기간 설정정보 등),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의 등록정보,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의 등록정보,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의 등록정보, 통신 세션 연결을 위한 인프라 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기능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예컨대,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품질관리팀 업무담당자, 플랜트 주문고객 측 공사감독자 등)의 등록정보, SI 수요처(예컨대, 플랜트 공사를 담당하는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공사 감독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경영주체, 플랜트 주문고객 측 관리주체 등)의 등록정보, 기성지급대상 업체 등록정보, 표/문자/그림/영상 등을 구성/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 유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SI 산출 기반정보 취득모듈(104)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3) 등을 매개로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 산출의 기반이 되는 SI 산출 기반정보(예컨대,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발생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에 대한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점검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구체적인 이상상황 내역정보, 이상상황처리 부서 내역정보, 이상상황 점검주체 내역 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별 관련 하청업체정보 등)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SI 산출 기반정보를 취득/접수한 후,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측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취득/접수 완료된 SI 산출 기반정보를 저장 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SI 산출/유통 서비스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SI 산출의 기반이 되는 SI 산출 기반정보(예컨대,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발생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에 대한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점검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구체적인 이상상황 내역정보, 이상상황처리 부서 내역정보, 이상상황 점검주체 내역 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별 관련 하청업체정보 등)가 저장 관리되는 상황에서, SI 유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SI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3) 등을 매개로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를 검토하기 위한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체크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때,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를 검토하기 위한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SI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해당 SI 보고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SI 보고대상 내역)을 판독한 후,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등과 통신을 취하여, SI 산출에 필요한 SI 산출 설정정보(예컨대, SI 산출대상 설정정보, SI 산출기간 설정정보 등), SI 산출 기반정보(예컨대,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발생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에 대한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점검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SI 산출 설정정보(예컨대, SI 산출대상 설정정보, SI 산출기간 설정정보 등), SI 산출 기반정보(예컨대,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발생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에 대한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점검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 등이 판독 완료되면, SI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판독 완료된 SI 산출 설정정보, SI 산출 기반정보,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 등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대입/연산하여, 플랜트 공사현장의 각 작업클래스별 이상상황과 관련된 SI를 산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Figure pat00011
는 C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d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
Figure pat00012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
Figure pat00013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발생수량, K는 이상상황 발생수량 보정상수)
이때, 상기 <수학식1>에 포함되어 있는 이상상황 발생수량 보정상수 K는 예컨대, 과거 여러 플랜트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이상상황을 고려하여 책정한 경험상수로써, 그 값은 바람직하게, 1~10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SI 산출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클래스의 2013.1.1-2013.1.15 동안의 SI 값이 얼마인지 확인/산출될 필요가 있을 경우(이 필요내역은 예컨대, SI 보고요청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다), SI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SI 산출 기반정보를 판독하여, 2013.1.1-2013.1.15 동안 전기클래스에서는 이상상황1, 이상상황2, 이상상황3, 이상상황4, 이상상황5 등 총 5회의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전기클래스에 부속된 첫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1은 설계1을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설계1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10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전기클래스에 부속된 두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2는 설계2를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설계2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5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전기클래스에 부속된 세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3은 구매2를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구매2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5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전기클래스에 부속된 네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4는 시공3을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시공3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2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전기클래스에 부속된 다섯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5는 구매3을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구매3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2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등을 진행한 후, 상기 파악된 정보들을 하기의 <수학식 2>(도 3에 도시된 수학식 및 앞의 수학식 1과 동일한 식임)에 대입/연산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이때, K는 2인 것으로 상정).
Figure pat00014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학식 2>의 연산 값이 24/10을 나타낼 경우, 본 발명의 SI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전기클래스의 2013.1.1-2013.1.15 동안의 SI 값을 2.4로 산출하게 된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클래스의 2013.1.1-2013.1.15 동안의 SI 값이 얼마인지 확인/산출될 필요가 있을 경우(이 필요내역은 예컨대, SI 보고요청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다), SI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SI 산출 기반정보를 판독하여, 2013.1.1-2013.1.15 동안 기계클래스에서는 이상상황6, 이상상황7, 이상상황8, 이상상황9, 이상상황10 등 총 5회의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기계클래스에 부속된 첫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6은 시공2를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시공2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5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기계클래스에 부속된 두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7은 구매2를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구매2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5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기계클래스에 부속된 세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8은 설계2를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설계2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5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기계클래스에 부속된 네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9는 시공3을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시공3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2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판독하여, 기계클래스에 부속된 다섯 번째 이상상황인 이상상황10은 시공4를 그 관련업무로 하고 있으며, 해당 시공4에 배정된 심각성 가중치는 1이다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절차> 등을 진행한 후, 상기 파악된 정보들을 하기의 <수학식 3>(도 4에 도시된 수학식 및 앞의 수학식 1과 동일한 식임)에 대입/연산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이때에도, K는 2인 것으로 상정).
Figure pat00015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학식 3>의 연산 값이 18/10을 나타낼 경우, 본 발명의 SI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기계클래스의 2013.1.1-2013.1.15 동안의 SI 값을 1.8로 산출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의 각 작업클래스(예컨대,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등)별 이상상황(전기장비의 고장상황, 기계장비의 고장상황 등)과 관련된 SI가 산출 완료되면, SI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산출 SI 저장모듈(107)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산출 완료된 <플랜트 공사현장의 각 작업클래스(예컨대,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등)별 이상상황(전기장비의 고장상황, 기계장비의 고장상황 등)과 관련된 SI>를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산출 SI 저장모듈(107)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플랜트 공사현장의 각 작업클래스(예컨대,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등)별 이상상황(전기장비의 고장상황, 기계장비의 고장상황 등)과 관련된 SI>가 저장 완료되는 상황에서, SI 유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SI 보고모듈(108) 측에서는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4)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SI, SI 산출 기반정보 중에서, SI 보고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SI 보고대상 내역)에 상응하는 SI, SI 산출 기반정보 등을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렇게 하여,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4) 등에 저장되어 있던 SI, SI 산출 기반정보 중에서, SI 보고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SI 보고대상 내역)에 상응하는 SI, SI 산출 기반정보 등이 추출 완료되면, SI 보고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SI, SI 산출 기반정보 등이 반영된 SI 보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SI 보고정보를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SI 보고모듈(108)의 기능수행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예컨대,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품질관리팀 업무담당자, 플랜트 주문고객 측 공사감독자 등), SI 수요처(예컨대, 플랜트 공사를 담당하는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공사 감독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경영주체, 플랜트 주문고객 측 관리주체 등) 측에서는 SI 보고정보를 살펴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각 클래스의 이상상황 심각성 정도를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체계적/통계적으로 자동 점검하고, 그 점검결과를 적극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13)에 접속 중인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플랜트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SI의 산출기반이 되는 SI 산출 기반정보(예컨대,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발생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에 대한 특정 설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점검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구체적인 이상상황 내역정보, 이상상황처리 부서 내역정보, 이상상황 점검주체 내역 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별 관련 하청업체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로부터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취득 완료된 SI 산출 기반정보 및 기 저장되어 있던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토대로 식 [
Figure pat00016
]을 연산하여, SI를 자동 산출하고, 산출 완료된 SI가 반영된 SI 보고정보를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 전송/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각 클래스의 이상상황 심각성 정도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상기 SI를 토대로 하여,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체계적/통계적으로 자동 점검/관리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플랜트 주문고객 등에서는 특정 작업클래스(예를 들어, 전기클래스, 기계클래스, 용접클래스, 도장클래스, 도면클래스 등)가 심각한 이상상황을 나타내거나, 시간이 갈수록 그 이상상황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면서, 플랜트 시설의 품질저하에 따른 각종 유/무형의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 유통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는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 이외에도, 이상상황 세부정보 제공모듈(109),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모듈(110),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 지원모듈(111), SI/기성지급 연계 지원모듈(112) 등이 추가 배치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 유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이상상황 세부정보 제공모듈(109)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3) 등을 매개로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의 세부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SI 세부정보 열람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의 세부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SI 세부정보 열람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이상상황 세부정보 제공모듈(109) 측에서는 해당 SI 세부정보 열람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이상상황 세부정보 열람대상내역)을 판독한 후,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보고모듈(108)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중에서, SI 세부정보 열람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이상상황 세부정보 열람대상내역)에 상응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등을 추출/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보고모듈(108) 등에 저장되어 있던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중에서, SI 세부정보 열람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이상상황 세부정보 열람대상내역)에 상응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등이 추출/판독 완료되면, 이상상황 세부정보 제공모듈(109)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일련의 이상상황 세부정보(예컨대,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특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발생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에 대한 특정기간 동안의 이상상황 점검내역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들의 구체적인 이상상황 내역정보, 이상상황처리 부서 내역정보, 이상상황 점검주체 내역 정보, 각 작업클래스에 속한 각 이상상황 발생원인요소별 관련 하청업체정보 등)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이상상황 세부정보를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이상상황 세부정보 제공모듈(109)의 기능수행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예컨대,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품질관리팀 업무담당자, 플랜트 주문고객 측 공사감독자 등), SI 수요처(예컨대, 플랜트 공사를 담당하는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공사 감독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경영주체, 플랜트 주문고객 측 관리주체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이상상황 세부정보를 살펴보면서, SI 보고정보에 상응하는 각 이상상황의 세부내역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각 전산모듈들과 함께, SI 유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모듈(110)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3) 등을 매개로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SI의 변화추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SI의 변화추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모듈(110) 측에서는 해당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변화추이의 열람이 필요한 대상 SI)을 판독한 후,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보고모듈(108)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중에서,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변화추이의 열람이 필요한 대상 SI)에 상응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등을 추출/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보고모듈(108) 등에 저장되어 있던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중에서,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변화추이의 열람이 필요한 대상 SI)에 상응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등이 추출/판독 완료되면,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모듈(110)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SI에 상응하는 일련의 SI 변화추이 정보(예컨대, 전기/기계/용접 작업클래스 각각의 특정기간 동안의 SI 변화가 그래프로 표현된 변화추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SI 변화추이 정보를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7 참조).
결국, 상술한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모듈(110)의 기능수행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예컨대,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품질관리팀 업무담당자, 플랜트 주문고객 측 공사감독자 등), SI 수요처(예컨대, 플랜트 공사를 담당하는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공사 감독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경영주체, 플랜트 주문고객 측 관리주체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SI 변화추이 정보를 살펴보면서, 예컨대, 전기/기계/용접 작업클래스 각각의 SI가 특정기간 동안 어떠한 변화를 일으켰는지를 비교/모니터링 하고, 그에 상응하는 대책을 손쉽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각 전산모듈들과 함께, SI 유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 지원모듈(111)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3) 등을 매개로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각 작업클래스별 이상상황의 심각성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SI 심각성 수준 분석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각 작업클래스별 이상상황의 심각성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SI 심각성 수준 분석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 지원모듈(111) 측에서는 해당 SI 심각성 수준 분석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심각성 수준의 분석이 필요한 대상 작업클래스)을 판독한 후,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보고모듈(108)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중에서, SI 심각성 수준 분석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심각성 수준의 분석이 필요한 대상 작업클래스)에 상응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등을 추출/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보고모듈(108) 등에 저장되어 있던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중에서, SI 심각성 수준 분석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심각성 수준의 분석이 필요한 대상 작업클래스)에 상응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등이 추출/판독 완료되면,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 지원모듈(111)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각 작업클래스별 이상상황에 상응하는 일련의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보고정보(예컨대, <2013.1.16 현재, 전기클래스는 2.4의 SI 값을 나타내어, 기준 SI 값인 1.0을 1.4만큼 초과하고 있으므로, 해당 전기클래스의 이상상황은 위험 수준이다>라고 하는 내역이 표/그래프/그림 등으로 표현된 보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보고정보를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 지원모듈(111)의 기능수행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예컨대,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품질관리팀 업무담당자, 플랜트 주문고객 측 공사감독자 등), SI 수요처(예컨대, 플랜트 공사를 담당하는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공사 감독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경영주체, 플랜트 주문고객 측 관리주체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보고정보를 살펴보면서, 예컨대, 각 작업클래스별 이상상황의 심각성 수준을 비교/판별하고, 그에 상응하는 대책을 손쉽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각 전산모듈들과 함께, SI 유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SI/기성지급 연계 지원모듈(112)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3) 등을 매개로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을 해당 이상상황과 관련된 기성지급대상 업체와 연계시키기 위한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부터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SI/기성지급 연계 지원모듈(112) 측에서는 해당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기성지급대상 업체 명단)을 판독한 후,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보고모듈(108)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중에서,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기성지급대상 업체 명단)에 상응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등을 추출/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105), 산출 SI 저장모듈(107), SI 보고모듈(108) 등에 저장되어 있던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중에서,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요청 메시지의 기재내역(예컨대, 기성지급대상 업체 명단)에 상응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 등이 추출/판독 완료되면, SI/기성지급 연계 지원모듈(112)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에 상응하는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정보(예컨대, A 기성지급대상 업체에 상응하는 각 전기장비의 특정 기간 동안의 SI 값이 표/그래프/그림 등으로 표현된 보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정보를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10),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12),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11) 등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9 참조).
결국, 상술한 SI/기성지급 연계 지원모듈(112)의 기능수행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예컨대,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품질관리팀 업무담당자, 플랜트 주문고객 측 공사감독자 등), SI 수요처(예컨대, 플랜트 공사를 담당하는 플랜트 시공주체, 플랜트 공사 감독주체, 플랜트 수주/시공업체 측 경영주체, 플랜트 주문고객 측 관리주체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정보(예컨대, A 기성지급대상 업체에 상응하는 각 전기장비의 특정 기간 동안의 SI 값이 표/그래프/그림 등으로 표현된 보고정보)를 살펴보면서, 예컨대, SI 값이 높은 기성지급대상 업체에는 일련의 페널티를 부여하는 등의 SI/기성지급 연계대책을 손쉽게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사현장의 품질관리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11: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 12: SI 수요처 정보처리기기
13: 유/무선 온라인망 100: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101: SI 유통 제어모듈 102: 인터페이스 모듈
103: 운영정보 저장모듈 104: SI 산출 기반정보 취득모듈
105: SI 산출 기반정보 저장모듈 106: SI 산출모듈
107: 산출 SI 저장모듈 108: SI 보고모듈
109: 이상상황 세부정보 제공모듈
110: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모듈
111: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 지원모듈
112: SI/기성지급 연계 지원모듈

Claims (6)

  1.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하여,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와 통신하면서, 플랜트 공사현장에 속한 각 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SI: abnormal situation Seriousness Index of a work class within the setting period)의 산출절차 및 보고절차를 제어하는 SI 유통 제어모듈과;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SI 산출의 기반이 되는 SI 산출 기반정보를 취득하는 SI 산출 기반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SI 산출 기반정보 및 기 저장되어 있던 각 작업클래스 부속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를 토대로 하기 식을 연산하여, SI를 산출하는 SI 산출모듈과;
    Figure pat00017

    (여기서,
    Figure pat00018
    는 C작업클래스의 설정기간 d 내에서의 이상상황 심각성 지수,
    Figure pat00019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관련업무별 심각성 가중치,
    Figure pat00020
    는 설정기간 d 내에 발생한 C작업클래스 부속 i 번째 이상상황의 발생수량, K는 이상상황 발생수량 보정상수)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SI 산출모듈에 의해 상기 SI가 산출되는 상황에서, 해당 SI가 반영된 SI 보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SI 보고정보를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SI 보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황 발생수량 보정상수 K는 1~10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의 세부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SI 세부정보 열람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에 상응하는 이상상황 세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상황 세부정보를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이상상황 세부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SI의 변화추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SI에 상응하는 SI 변화추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SI 변화추이 정보를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SI 변화추이 모니터링 지원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의 심각성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에 상응하는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보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보고정보를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이상상황 심각성 수준 분석 지원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I 유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을 해당 이상상황과 관련된 기성지급대상 업체와 연계시키기 위한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SI 산출 기반정보, SI, SI 보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SI 보고정보에 기재된 이상상황에 상응하는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성지급대상 업체별 SI 보고정보를 상기 플랜트 공사현장 점검주체 정보처리기기 또는 플랜트 공사현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SI/기성지급 연계 지원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KR1020130024395A 2013-03-07 2013-03-07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KR20140111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95A KR20140111124A (ko) 2013-03-07 2013-03-07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95A KR20140111124A (ko) 2013-03-07 2013-03-07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124A true KR20140111124A (ko) 2014-09-18

Family

ID=5175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95A KR20140111124A (ko) 2013-03-07 2013-03-07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11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WO2022265373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WO2022265373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8872B2 (ja) プロセスモデル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268678B (zh) 一种以动态可靠性为基础的石化设备预防性维修方法
US7016742B2 (en) Decision support for operations and maintenance (DSOM) system
Qingfeng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quipment maintenance and safety integrity management system
Carazas et al. Availability analysis of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used in thermal power plants
Daniewski et al. Analysis of the correctness of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maintenance service actions
JP2010526352A (ja) 統計的な分析を利用した性能障害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hemweno et al. A dynamic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maintenance decision support
Vicente Assessing the cost of unreliability in gas plant to have a sustainable operation
KR20130065800A (ko) 예지 보전 기반의 실시간 협업 기업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1124A (ko)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CN116955955A (zh) 一种管道缺陷模型预测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Al Rashdan et al. Development of a Technology Roadmap for Online Monitoring of Nuclear Power Plants
KR101418671B1 (ko)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KR20140111120A (ko)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KR20140111121A (ko)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Lubis et al. Risk Assessment of Gas Pipeline using Risk based Inpection and Fault Tree Analysis
Opocenska et al. Contribution to maintenance issues in company practice.
Ignat Power plants maintenance optimization based on CBM techniques
Eddouh et al. Age replacement and inspection models for estimating optimal maintenance cost: numerical performance comparisons with a case study from chemical industries
Adoghe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RCM) for asset management i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WO2024004237A1 (ja) 太陽光発電所管理システム、資産管理プラットフォーム、プログラム、機械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ontri et al. Maintenance optimization and nuclear power plant life management—a proposal for an integrated set of maintenance effectiveness indicators
KR20180043155A (ko)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Grace et al. Technical risks and mitigation measures in combustion turbine project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