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261A -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261A
KR20140109261A KR1020140018716A KR20140018716A KR20140109261A KR 20140109261 A KR20140109261 A KR 20140109261A KR 1020140018716 A KR1020140018716 A KR 1020140018716A KR 20140018716 A KR20140018716 A KR 20140018716A KR 20140109261 A KR20140109261 A KR 20140109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river
gate driver
display
driv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후미 타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4010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1Arrangement of scan or data electrode driver circuits at the periphery of a panel not inherent to a split matrix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에서도 베젤의 형상과 표시 영역의 형상을 동일 또는 같게 하고, 또한 슬림 베젤화를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외주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를 갖고, 구동 회로부는 적어도 2개의 게이트 드라이버와, 적어도 2개의 소스 드라이버를 갖고, 둘 중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와 다른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는 이격하도록 배치되고, 둘 중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와 다른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는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물건, 방법, 제조 방법, 프로세스(process), 기계(machine), 제품(manufacture), 또는 조성물(composition of matte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예를 들어 반도체 장치,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전자 기기, 이들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예를 들어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의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예를 들어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란 표시 소자를 갖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장치는 다른 기판 위에 배치된 제어 회로, 전원 회로, 신호 생성 회로 등을 포함한다.
텔레비전용, 휴대형 단말용 등으로서 이미 널리 응용되고 있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는 새로운 요구로서 손목 시계, 차량 내에 탑재되는 기기, 특히 계기판용 등으로서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종래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는 표시 영역이 직사각형이므로 표시 영역을 행 단위 및 열 단위로 제어하는 매트릭스 구동과 상성(相性)이 좋고,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대부분에 매트릭스 구동이 채용되고 있다. 그 한편, 손목 시계나 차량 내에 탑재되는 기기로의 응용을 생각하면, 디자인적 관점에서 보아 표시 영역을 비직사각형으로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표시 영역을 비직사각형으로 하는 표시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및 비특허문헌 1과 같은 문헌이 공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6-276359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9-69768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7-272203호 공보
SID 08 DIGEST page 951-954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표시 영역의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구동 회로로부터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을 향하여 신호선이 리드되는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이 비직사각형인 경우, 종래와 같은 매트릭스 구동이 가능하지만 표시 영역의 외측에 적절한 베젤 영역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경우 구동 회로의 배치 영역과 신호선의 리드 영역에 따라, 패널의 외형은 사각형이나 팔각형 등이 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표시 영역을 비직사각형으로 할 수 있더라도 하우징의 디자인에 대한 제약이 커진다.
한편, 특허문헌 3 및 비특허문헌 1에는, 구동 회로의 배치를 고안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매트릭스 구동을 가능하게 하며 표시 영역이 비직사각형을 가지면서 슬림 베젤화를 실현한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으로는 데이터 드라이버(소스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 사이에는 표시 영역의 정점이 적어도 하나 필요하기 때문에 표시 영역도 그 조건에 제한된다. 예를 들어 원형이나 타원형 등 사실상 정점을 갖지 않는 형상이나, 정점이 직각으로부터 크게 일탈한 둔각을 갖는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표시 영역에는 대응할 수 없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에서도 베젤의 형상과 표시 영역의 형상을 동일 또는 같게 하고, 또한 슬림 베젤화를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공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표시 영역의 형상에서도 베젤의 형상과 표시 영역의 형상을 동일 또는 같게 하고, 또한 슬림 베젤화를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공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표시 영역의 형상에서도 베젤의 형상과 표시 영역의 형상을 동일 또는 같게 하고, 또한 슬림 베젤화를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신규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는 다른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과제 모두를 해결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외의 과제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확해지는 것이며,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상기 이외의 과제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외주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를 갖고, 구동 회로부는 적어도 2개의 게이트 드라이버와, 적어도 2개의 소스 드라이버를 갖고, 둘 중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와 다른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는 이격하도록 배치되고, 둘 중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와 다른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는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표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표시 영역의 형상에 높은 자유도를 갖게 하면서 슬림 베젤화에 의한 표시 장치 외형의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적 제약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상면 모식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표시 장치의 상면 모식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표시 장치가 갖는 구동 회로부의 타이밍 차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표시 장치가 갖는 구동 회로부의 타이밍 차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표시 장치의 상면 모식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화소 회로 및 보호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7은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제한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크기, 층의 두께, 또는 영역은, 명료화를 위하여 과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그 스케일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은, 이상적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면에 나타내는 형상 또는 값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노이즈에 의한 신호, 전압, 또는 전류의 편차, 또는 타이밍의 어긋남에 의한 신호, 전압, 또는 전류의 편차 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 1", "제 2", "제 3"이란 서수사는, 구성 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붙인 것이며, 수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부기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A와 B가 접속된다라는 말은, A와 B가 직접 접속되는 것 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A와 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라는 말은, A와 B 사이에, 어떠한 전기적 작용을 갖는 대상물이 존재할 때 A와 B의 전기 신호의 수수(授受)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위에", "아래에" 등 배치를 나타내는 어구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끼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구성끼리의 위치 관계는, 각 구성을 묘사하는 방향에 따라 적절히 변화된다. 따라서, 명세서에서 설명한 어구에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바꿔 말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블록도에 있어서, 각 회로 블록의 배치는, 설명을 위하여 위치 관계를 특정하는 것이며, 상이한 회로 블록에서 각각 다른 기능을 실현하도록 도시되어 있어도, 실제의 회로나 영역에서는 같은 회로나 같은 영역 내에서 각각 다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면의 블록도에 있어서, 각 회로 블록의 기능은, 설명을 위하여 기능을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의 회로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어도, 실제의 회로나 영역에서는 하나의 회로 블록으로 수행하는 처리를 복수의 회로 블록으로 수행하도록 제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상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표시 영역이 원형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표시 영역은 원형에 제한되지 않고 비직사각형이라면 좋다. 비직사각형의 예로서는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정원형, 타원형, 또는 원호 및 직선을 포함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들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102)과,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102)의 외주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104)를 갖고, 구동 회로부(104)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와,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를 갖는다.
또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와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는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와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와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는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와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 또는 소스 드라이버를 대향시켜서 배치함으로써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102)의 매트릭스 구동을 적합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102)의 형상이 상하좌우 대칭의 구성인 경우 구동 회로의 일부를 대향시켜서 배치하는 방법은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소스 드라이버가 각각 2개로 분할되는 구성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와 소스 드라이버가 각각 3개 이상으로 분할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가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라면 좋다. 또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가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라면 좋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변형예이고,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102)과,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102)의 외주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104) 사이에 보호 회로(106a, 106b, 106c, 106d)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B)에서, 보호 회로(106a)는 구동 회로인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보호 회로(106b)는 구동 회로인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보호 회로(106c)는 구동 회로인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보호 회로(106d)는 구동 회로인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보호 회로는 상기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면 좋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영역을 매트릭스 구동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표시 영역(102)의 외연(外緣), 즉 원호를 복수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외연의 각각의 주변에 구동 회로(게이트 드라이버, 및/또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표시 영역을 바람직하게 매트릭스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이 원형인 경우 그 원호를 4개로 분할한다. 어느 방향을 정상(正常) 위치로 한 방향으로부터 표시 영역(102)을 본 경우, 오른쪽 위, 오른쪽 아래, 왼쪽 위, 왼쪽 아래의 4영역으로 분할된다.
도 1에서는, 횡(橫)방향의 주사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를 오른쪽 위에 배치하고, 횡방향의 주사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를 왼쪽 아래에 배치한다. 또한, 종(縱)방향의 신호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를 왼쪽 위에 배치하고, 종방향의 신호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를 오른쪽 아래에 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오른쪽 위에 배치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는 화면 위 절반 부분의 행 선택을 담당하고, 왼쪽 아래에 배치된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는 화면 아래 절반 부분의 행 선택을 담당한다. 또한, 왼쪽 위에 배치된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는 화면 왼쪽 절반 부분의 신호 입력을 담당하고, 오른쪽 아래에 배치된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화면 오른쪽 절반 부분의 신호 입력을 담당한다.
구동 회로의 배치 방법 및 제어 방법을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하에 기재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 예를 들어 원형의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를 매트릭스 구동시키는 경우, 종래의 제어 방법으로는 표시 영역의 모든 행 및 모든 열을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 회로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즉, 원형의 표시 영역의 경우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는 적어도 어딘가 반주(半周)에 걸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드라이버를 반주, 게이트 드라이버를 나머지 반주에 배치한 경우에는 주사 방향이 직행 또는 이에 따른 방향이 되도록 절대로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 영역의 외연에서 떨어진 위치에 드라이버를 직선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영역의 외연에서 떨어진 위치에 드라이버를 배치한 경우에는 표시 영역 외주에 구동 회로를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슬림 베젤화에 의한 표시 장치 외형의 최소화를 실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의 외연, 즉 원호를 복수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외연의 각각의 주변에 구동 회로를 배치함으로써 슬림 베젤화에 의한 표시 장치 외형의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자세한 사항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영역>
표시 영역(102)은 X행(X는 2 이상의 자연수) Y열(Y는 2 이상의 자연수)로 배치된 복수의 표시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화소 회로부라고도 함)를 갖는다. 이 화소 회로부에는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주사선 중 하나를 통하여 펄스 신호가 입력되고,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신호선 중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화소 회로부는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하여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기록 및 유지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소 회로부는 주사선을 통하여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펄스 신호가 입력되고, 주사선의 전위에 따라 신호선을 통하여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다.
<구동 회로부>
구동 회로부(104)는 표시 영역(102)이 갖는 화소 회로부를 선택하는 신호(주사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게이트 드라이버라고도 함)와, 표시 영역(102)이 갖는 화소 회로부의 표시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소스 드라이버라고도 함) 등의 구동 회로를 갖는다. 구동 회로부(104)의 일부 또는 전부는 표시 영역(102)과 동일 기판 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부품 수나 단자 수를 줄일 수 있다. 다만, 구동 회로부(104)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동 회로부(104)는 표시 영역(102)과 동일 기판 위에 형성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구동 회로부(104)의 일부는 COG나 TAB에 의하여 실장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는 예를 들어 시프트 레지스터 등을 갖는다.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거나,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는 스타트 펄스 신호, 클록 신호 등이 입력되거나,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는 주사 신호가 공급되는 배선의 전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는 초기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는 다른 신호를 공급할 수도 있다.
<소스 드라이버>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시프트 레지스터 등을 갖는다.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 외에도 데이터 신호의 바탕이 되는 신호(화상 신호)가 입력된다.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화상 신호를 바탕으로 표시 영역(102)이 갖는 화소 회로부에 기록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스타트 펄스 신호, 클록 신호 등이 입력되어 얻어지는 펄스 신호에 따라 데이터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배선의 전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는,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초기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다른 신호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아날로그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는 복수의 아날로그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온 상태로 함으로써 화상 신호를 시분할한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 등을 사용하여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를 구성하여도 좋다.
<보호 회로>
보호 회로(106a, 106b, 106c, 106d)는 예를 들어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또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와 표시 영역(102)이 갖는 화소 회로부 사이의 배선인 주사선에 접속된다. 또는, 보호 회로(106a, 106b, 106c, 106d)는 제 1 소스 드라이버(104s1) 및/또는 제 2 소스 드라이버(104s2)와 표시 영역(102)이 갖는 화소 회로부 사이의 배선인 신호선에 접속된다. 보호 회로(106a, 106b, 106c, 106d)는 각각이 접속되는 배선에 일정 범위를 넘는 전위가 공급되면 상기 배선과 다른 배선을 도통 상태로 하는 회로이다.
다음에 도 1의 (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더욱 구체적인 일례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상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표시 영역이 원형이고 직경 방향의 화소수는 48도트인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202)과,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202)의 외연의 일부를 따라서 배치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204g1)와,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202)의 외연의 일부를 따라서 배치된 제 2 게이트 드라이버(204g2)와,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202)의 외연의 일부를 따라서 배치된 제 1 소스 드라이버(204s1)와,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202)의 외연의 일부를 따라서 배치된 제 2 소스 드라이버(204s2)를 갖는다.
또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204g1)는 제 1 주사선(208g1)~제 24 주사선(208g24)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게이트 드라이버(204g2)는 제 25 주사선(208g25)~제 48 주사선(208g48)에 접속된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204s1)는 제 1 신호선(208s1)~제 24 신호선(208s24)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소스 드라이버(204s2)는 제 25 신호선(208s25)~제 48 신호선(208s48)에 접속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X방향이 주사선(제 1 주사선(208g1)~제 48 주사선(208g48))의 방향을 나타내고, Y방향이 신호선(제 1 신호선(208s1)~제 48 신호선(208s48))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도 2에 있어서는 제 2 주사선(208g2)~제 23 주사선(208g23), 제 26 주사선(208g26)~제 47 주사선(208g47), 제 2 신호선(208s2)~제 23 신호선(208s23), 및 제 26 신호선(208s26)~제 47 신호선(208s47)의 부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도 2 중의 화살표의 방향은, 각 구동 회로(제 1 게이트 드라이버(204g1), 제 2 게이트 드라이버(204g2), 제 1 소스 드라이버(2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204s2))에 접속되는 주사선 또는 신호선이 리드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원형의 표시 영역의 원주부에 배치된 화소가 각각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 원주부의 형상은 도트에 따라 계단 형상이 된다. 또한 표시 영역의 원주부의 화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주부에 배치된 화소의 화소 전극의 형상을 원주부의 형상에 맞춰서 한 변 또는 두 변에 원호를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각 화소의 원호가 외연에서 연결되도록 원주부를 구성하여도 좋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게이트 드라이버(204g1)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202)의 위 절반 부분의 주사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게이트 드라이버(204g2)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202)의 아래 절반 부분의 주사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204s1)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202)의 왼쪽 절반 부분의 신호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소스 드라이버(204s2)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202)의 오른쪽 절반 부분의 신호선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기록에 관한 타이밍 차트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냈다.
도 3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는, 제 1 주사선(208g1)에 입력되는 주사 신호(G1)로부터 제 24 주사선(208g24)에 입력되는 주사 신호(G24)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204g1)가 제어하고, 다음의 제 25 주사선(208g25)에 입력되는 주사 신호(G25) 이후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204g2)가 제어한다. 제 1 게이트 드라이버(204g1)가 제 24 주사선(208g24)에 입력되는 주사 신호(G24)를 제어한 후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204g2)가 제 25 주사선(208g25)에 입력되는 주사 신호(G25)를 제어하도록 타이밍 신호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오른쪽 위에 배치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204g1)와 왼쪽 아래에 배치된 제 2 게이트 드라이버(204g2)로부터의 펄스 출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각 게이트 드라이버의 동작 시작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표시 영역의 윗부분으로부터 아랫부분으로 연속적으로 주사할 수 있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2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204s2)의 구동 방법으로서는, 1행의 선택 기간 내에서 선 순차 구동을 수행하여 제어하여도 좋고, 점 순차 구동을 수행하여 제어하여도 좋다.
점 순차 구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하는 주사선(도 4의 (A) 중에서의 제 n 주사선(208gn))이 선택되는 기간 중에, 원하는 신호선에 데이터 신호(도 4의 (A) 중에서의 제 1 신호선(208s1)으로부터 제 48 신호선(208s48)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S1~S48))를 입력하면 좋다. 또한, 도 4의 (A)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에서, 해칭(hatching) 영역은 신호선에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은 상태, 백색의 영역은 신호선에 원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선 순차 구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하는 주사선(도 4의 (B) 중에서의 제 n 주사선(208gn))이 선택되는 기간 중에 신호선에는 같은 타이밍으로 데이터 신호(도 4의 (B) 중에서의 S1~S48)가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제시한 표시 장치에서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에 대하여 구동 회로부인 게이트 드라이버 및 소스 드라이버를 각각 분할하고, 이격하도록 배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의 구동을 매트릭스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의 형상에 높은 자유도를 갖게 하면서 슬림 베젤화에 의한 표시 장치 외형의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적 제약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시한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시하는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의 표시 장치와는 다른 구성에 대하여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장치이고, 표시 장치의 상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은 각 구동 회로에 접속되는 주사선 또는 신호선의 제어를 수행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변형예이고,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402)과,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402)의 외주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를 갖고, 구동 회로부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404g1),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04g2), 제 3 게이트 드라이버(404g3), 및 제 4 게이트 드라이버(404g4)와, 제 1 소스 드라이버(404s1), 제 2 소스 드라이버(404s2), 제 3 소스 드라이버(404s3), 및 제 4 소스 드라이버(404s4)를 갖는다.
또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404g1)와 제 3 게이트 드라이버(404g3) 및/또는 제 4 게이트 드라이버(404g4)는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04g2)와 제 3 게이트 드라이버(404g3) 및/또는 제 4 게이트 드라이버(404g4)는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404s1)와 제 3 소스 드라이버(404s3) 및/또는 제 4 소스 드라이버(404s4)는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소스 드라이버(404s2)와 제 3 소스 드라이버(404s3) 및/또는 제 4 소스 드라이버(404s4)는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의 (A)는, 3개 이상의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와, 3개 이상의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를 갖는 구성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와 다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적어도 하나가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와, 상기 소스 드라이버와 다른 소스 드라이버의 적어도 하나가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
도 5의 (A)에서는, 횡방향의 주사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1 게이트 드라이버(40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04g2))를 오른쪽 위에 배치하고, 횡방향의 주사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3 게이트 드라이버(404g3) 및 제 4 게이트 드라이버(404g4))를 왼쪽 아래에 배치하고, 종방향의 신호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1 소스 드라이버(4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404s2))를 왼쪽 위에 배치하고, 종방향의 신호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3 소스 드라이버(404s3) 및 제 4 소스 드라이버(404s4))를 오른쪽 아래에 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오른쪽 위에 배치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40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04g2)는 화면 위 절반 부분의 행 선택을 담당하고, 왼쪽 아래에 배치된 제 3 게이트 드라이버(404g3) 및 제 4 게이트 드라이버(404g4)는 화면 아래 절반 부분의 행 선택을 담당한다. 또한, 왼쪽 위에 배치된 제 1 소스 드라이버(40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404s2)는 화면 왼쪽 절반 부분의 신호 입력을 담당하고, 오른쪽 아래에 배치된 제 3 소스 드라이버(404s3) 및 제 4 소스 드라이버(404s4)는 화면 오른쪽 절반 부분의 신호 입력을 담당한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의 배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 4 게이트 드라이버(404g4)는 표시 영역(402)의 원호 전체의 1/8에 상당하는 왼쪽 아래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제 4 게이트 드라이버(404g4)의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402)의 원호의 양단의 법선이 서로 교차되는 각도는 45도이다.
도 5의 (B)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이 소위 꽃 형상인 경우의 구성예이고,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412)과,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412)의 외주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를 갖고, 구동 회로부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414g1),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14g2), 제 1 소스 드라이버(41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414s2)를 갖는다.
또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414g1)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14g2)는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414s1)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414s2)는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의 (A)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영역(415, 416, 417, 418)에서 내측으로 칼자국을 낸 형상을 갖는데, 구동 회로부의 분할 방법은 도 1의 (A)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의 배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14g2)는 표시 영역(412)의 외연 전체의 1/4에 상당하는 왼쪽 아래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14g2)의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412)의 외연의 양단의 법선이 서로 교차되는 각도는 90도이다.
도 5의 (C)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도 5의 (A) 및 (B)보다 복잡한 형상을 갖는 표시 영역의 구성예이고,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422)과,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422)의 외주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를 갖고, 구동 회로부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424g1),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24g2), 및 제 3 게이트 드라이버(424g3)와, 제 1 소스 드라이버(424s1), 제 2 소스 드라이버(424s2), 및 제 3 소스 드라이버(424s3)를 갖는다.
또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424g1)와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24g2)와 제 3 게이트 드라이버(424g3)는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424s1)와 제 3 소스 드라이버(424s3)는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2 소스 드라이버(424s2)와 제 3 소스 드라이버(424s3)는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도 5의 (C)에서는, 횡방향의 주사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1 게이트 드라이버(424g1))를 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의 짧은 변에 배치하고, 횡방향의 주사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2 게이트 드라이버(424g2))를 원형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 위에 배치하고, 횡방향의 주사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3 게이트 드라이버(424g3))를 원형의 표시 영역의 왼쪽 아래에 배치하고, 종방향의 신호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1 소스 드라이버(424s1))를 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의 긴 변에 배치하고, 종방향의 신호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2 소스 드라이버(424s2))를 원형의 표시 영역의 왼쪽 위에 배치하고, 종방향의 신호선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제 3 소스 드라이버(424s3))를 원형의 표시 영역의 오른쪽 아래에 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 1 게이트 드라이버(424g1)는 화면 중앙의 행 선택을 담당하고,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24g2)는 화면 위쪽의 행 선택을 담당하고, 제 3 게이트 드라이버(424g3)는 화면 아래쪽의 행 선택을 담당한다. 또한, 제 1 소스 드라이버(424s1)는 화면 왼쪽의 신호 입력을 담당하고, 제 2 소스 드라이버(424s2)는 화면 중앙의 신호 입력을 담당하고, 제 3 소스 드라이버(424s3)는 화면의 오른쪽의 신호 입력을 담당한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의 배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 3 소스 드라이버(424s3)는 표시 영역(422)의 일부가 갖는 원호 전체의 1/4에 상당하는 오른쪽 아래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제 3 소스 드라이버(424s3)의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422)의 원호의 양단의 법선이 서로 교차되는 각도는 90도이다. 또한, 제 2 소스 드라이버(424s2),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24g2), 및 제 3 게이트 드라이버(424g3)는 표시 영역(422)의 일부가 갖는 원호의 왼쪽 위의 일부, 오른쪽 위의 일부, 및 왼쪽 아래의 일부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제 2 소스 드라이버(424s2), 제 2 게이트 드라이버(424g2), 및 제 3 게이트 드라이버(424g3)의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422)의 원호의 양단의 법선이 서로 교차되는 각도는 90도보다 작게 된다.
도 5의 (C)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계기판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도 도 1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의 원형의 표시 영역과 같은 구동 회로의 배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영역의 외연상에 있는 어느 점을 기준으로 하여 외연을 복수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외연의 각각의 주변에 구동 회로를 배치한다.
또한, 표시 영역의 외연을 복수로 분할하는 경우, 분할된 부분의 양단의 법선이 서로 교차되는 각도가 직각을 넘지 않는 각도, 또는 직각으로부터 크게 일탈하지 않는 각도가 되도록 분할 부분을 설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의 표시 영역,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위 꽃 형상의 표시 영역, 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과 원호가 복합되어 형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에 대하여 구동 회로부인 게이트 드라이버, 및 소스 드라이버를 각각 분할하고 이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의 구동을 매트릭스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의 형상에 높은 자유도를 갖게 하면서 슬림 베젤화에 의한 표시 장치의 외형의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적 제약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시한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시하는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의 (A)에 도시된 표시 영역(102)이 갖는 화소 회로부에 사용할 수 있는 회로 구성에 대하여 도 6의 (A) 및 (B)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 다음에 도 1의 (B)에 도시된 보호 회로(106a, 106b, 106c, 106d)에 사용할 수 있는 회로 구성에 대하여 도 6의 (C) 및 (D)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앞의 실시형태에서 제시한 것과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회로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화소 회로부(510)는 액정 소자(504)와, 트랜지스터(502_1)와, 용량 소자(506_1)를 갖는다.
트랜지스터(502_1)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사용할 수 있다. 이 TFT는 스태거형 TFT라도 좋고 역 스태거형 TFT라도 좋다. 또한, TFT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로서는,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TFT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로서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적어도 인듐(In), 아연(Zn) 및 M(Al, Ga, Ge, Y, Zr, Sn, La, Ce 또는 Hf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In-M-Zn 산화물로 표기되는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In과 Zn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의 편차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In 및 Zn과 함께 스테빌라이저(stabiliz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FT 기판에 형성되는 구동 회로도, N형 및 P형의 TFT로 이루어진 것이라도 좋고, 또는 N형 및 P형 중 어느 한쪽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도 좋다.
액정 소자(504)의 한 쌍의 전극 중 한쪽의 전위는 화소 회로부(510)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액정 소자(504)는 기록되는 데이터에 따라 배향 상태가 설정된다. 또한, 복수의 화소 회로부(510) 각각이 갖는 액정 소자(504)의 한 쌍의 전극 중 한쪽에 공통 전위(코먼 전위)를 공급하여도 좋다. 또한, 각 행의 화소 회로부(510)의 액정 소자(504)의 한 쌍의 전극 중 한쪽에 상이한 전위를 공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액정 소자(504)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는, TN 모드, STN 모드, VA 모드, ASM(Axially Symmetric Aligned Micro-cell)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모드, FLC(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모드, AFLC(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모드, MVA 모드,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 IPS 모드, FFS 모드, 또는 TBA(Transverse Bend Alignment) 모드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구동 방법 외에,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모드, PNLC(Polymer Network Liquid Crystal) 모드, 게스트 호스트 모드 등이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정 소자 및 그 구동 방식으로서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블루상(Blue Phase)을 나타내는 액정과 키랄제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로 액정 소자를 구성하여도 좋다. 블루상을 나타내는 액정은 응답 속도가 1msec 이하로 짧고, 광학적 등방성을 갖기 때문에 배향 처리가 불필요하며 시야각 의존성이 작다.
m행 n열째(m, n은 각각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냄)의 화소 회로부(510)에서 트랜지스터(502_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신호선 DL_n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은 액정 소자(504)의 한 쌍의 전극 중 다른 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502_1)의 게이트는, 주사선 GL_m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502_1)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가 됨으로써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용량 소자(506_1)의 한 쌍의 전극 중 한쪽은 전위가 공급되는 배선(이하, 전위 공급선 V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은 액정 소자(504)의 한 쌍의 전극 중 다른 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위 공급선 VL의 전위 값은 화소 회로부(510)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용량 소자(506_1)는 기록된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 용량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화소 회로부(510)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또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에 의하여 각 행의 화소 회로부(510)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트랜지스터(502_1)를 온 상태로 하여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데이터가 기록된 화소 회로부(510)는 트랜지스터(502_1)가 오프 상태가 됨으로써 유지 상태가 된다. 이 동작을 행마다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화소 회로부(510)는, 트랜지스터(502_2)와, 용량 소자(506_2)와, 트랜지스터(503)와, 발광 소자(508)를 갖는다.
트랜지스터(502_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신호선 DL_n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502_2)의 게이트는 주사선 GL_m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502_2)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가 됨으로써,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용량 소자(506_2)의 한 쌍의 전극 중 한쪽은 전원이 공급되는 배선(이하, 전원선 VL_a라고 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은 트랜지스터(503)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용량 소자(506_2)의 배치는, TFT의 극성에 따라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트랜지스터(503)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좋다.
용량 소자(506_2)는 기록된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 용량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트랜지스터(50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전원선 VL_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503)의 게이트는 트랜지스터(502_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광 소자(508)의 양극(anode) 및 음극(cathode) 중 한쪽은 전원선 VL_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은 트랜지스터(50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광 소자(508)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유기 EL 소자라고도 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발광 소자(508)로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EL 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전원선 VL_a 및 전원선 VL_b 중 한쪽에는, 고전원 전위 VDD가 공급되고 다른 쪽에는 저전원 전위 VSS가 공급된다. 이 경우 발광 소자(508)에는 전원선 VL_a로부터 전원선 VL_b로 전류가 흐르지만 역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전원 전위가 공급되는 경우도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화소 회로부(510)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또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에 의하여 각 행의 화소 회로부(510)가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트랜지스터(502_2)를 온 상태로 하여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데이터가 기록된 화소 회로부(510)는 트랜지스터(502_2)가 오프 상태가 됨으로써 유지 상태가 된다. 또한 기록된 데이터 신호의 전위에 따라 트랜지스터(503)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이 제어되고, 발광 소자(508)는 흐르는 전류량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이 동작을 행마다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갖는 장치인 표시 장치,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를 갖는 장치인 발광 장치는, 다양한 형태를 사용하는 것, 또는 다양한 소자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소자, 표시 장치,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의 일례로서는, EL(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유기물 및 무기물을 포함하는 EL 소자, 유기 EL 소자, 무기 EL 소자), LED(백색 LED, 적색 LED, 녹색 LED, 청색 LED 등), 트랜지스터(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트랜지스터), 전자 방출 소자, 액정 소자, 전자 잉크, 전기 영동 소자, 회절 광 밸브(GLV: Grating Light Valv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를 사용한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 DMS(Digital Micro Shutter), MIRASOL(등록 상표), IMOD(Interferometic Modulator Display) 소자,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카본 나노 튜브 등 전기 자기적 작용에 의하여, 콘트라스트, 휘도, 반사율, 투과율 등이 변화되는 표시 매체를 갖는 것이 있다. EL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EL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전자 방출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FED) 또는 SED(SED: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방식 평면형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액정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직시형 액정 디스플레이, 투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전자 잉크 또는 전기 영동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전자 페이퍼 등이 있다.
EL 소자의 일례로서는 양극과, 음극과, 양극과 음극 사이에 끼워진 EL층을 갖는 소자 등이 있다. EL층의 일례로서는, 1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형광)을 이용하는 것, 3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인광)을 이용하는 것, 1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형광)을 이용하는 것과 3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인광)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유기물에 의하여 형성된 것, 무기물에 의하여 형성된 것, 유기물에 의하여 형성된 것과 무기물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 고분자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 저분자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 또는 고분자의 재료와 저분자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 등이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EL 소자로서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소자의 일례로서는, 액정의 광학적 변조 작용에 의하여 광의 투과 또는 비투과를 제어하는 소자가 있다. 그 소자는 한 쌍의 전극과 액정층으로 구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정의 광학적 변조 작용은, 액정에 가해지는 전계(횡방향의 전계, 종방향의 전계 또는 경사방향의 전계를 포함함)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구체적인 액정 소자의 일례로서는, 네마틱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스멕틱 액정, 디스코틱 액정, 서모트로픽 액정, 레오트로픽(lyotropic) 액정, 저분자 액정, 고분자 액정,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강유전 액정, 반강유전 액정, 주쇄형 액정, 측쇄형 고분자 액정, 바나나형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페이퍼의 표시 방법의 일례로서는, 분자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광학 이방성, 염료 분자 배향 등), 입자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전기 영동, 입자 이동, 입자 회전, 상변화 등), 필름의 일단(一端)이 이동함으로써 표시되는 것, 분자의 발색/상변화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 분자의 광 흡수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 또는 전자와 홀(hole)이 결합하여 자발광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페이퍼의 표시 방법의 일례로서는 마이크로 캡슐형 전기 영동, 수평 이동형 전기 영동, 수직 이동형 전기 영동, 구상(球狀) 트위스트 볼, 자기 트위스트 볼, 원주 트위스트 볼 방식, 대전 토너, 전자 가루 유체, 자기 영동형, 자기 감열식, 일렉트로웨팅(electro wetting), 광 산란(투명/백탁 변화), 콜레스테릭 액정/광 도전층, 콜레스테릭 액정, 쌍안정성 네마틱 액정, 강유전성 액정, 이색성 색소·액정 분산형, 가동 필름, 류코(leuco) 염료에 의한 발소색, 포토크로믹, 일렉트로크로믹, 일렉트로디포지션, 플렉시블 유기 EL 등이 있다. 다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 페이퍼 및 그 표시 방법으로서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캡슐형 전기 영동을 이용함으로써, 영동 입자의 응집, 침전을 해결할 수 있다. 전자 가루 유체는 고속 응답성, 고반사율, 광시야각, 저소비전력, 메모리성 등의 장점을 갖는다.
다음에, 도 6의 (C) 및 (D)에 도시된 회로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C)에 도시된 보호 회로(106)는 배선(522)과 배선(524)에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526) 및 트랜지스터(528)가 접속된다. 배선(522)은 예를 들어 주사선이나 신호선에 접속되는 배선이다.
또한, 배선(522)은, 예를 들어 도 1의 (A)에 도시된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또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의 전위(VDD, VSS 또는 GND)가 공급되는 배선이다. 또는, 공통 전위(코먼 전위)가 공급되는 배선(공통선)이다. 일례로서는, 배선(522)은 제 1 게이트 드라이버(104g1) 및/또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104g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 특히, 낮은 전위를 공급하는 배선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D)에 도시된 보호 회로(106)는 배선(530), 배선(532), 배선(534), 배선(536), 및 배선(540)에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542), 트랜지스터(544), 트랜지스터(546), 및 트랜지스터(548)가 접속된다. 배선(530)과 배선(532)과 배선(534)은 예를 들어 신호선 DL이다.
표시 장치에 보호 회로(106)를 제공함으로써, 표시 영역(102) 및 구동 회로부(104)는, ESD(Electro Static Discharge: 정전기 방전)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과전류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시한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시하는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의 실시형태 1~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를 갖는 전자 기기의 일례에 대하여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A)는, 오토바이 또는 자동차의 계기판을 도시한 것이고, 하우징(602), 표시 패널(605, 606, 607, 608), 바늘(610, 611, 612), 지표(indicator)(621, 622) 등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605, 606, 607, 608)은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패널(605, 606, 607, 608)이 분리된 구성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표시 패널(605, 606, 607, 608)을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라도 좋다.
표시 패널(605, 606, 607, 608)은 스피드 미터, 태코미터(tachometer), 연료계, 수온계, 거리계 등 오토바이 또는 자동차의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표(621, 622)는 방향 지지기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고, 지표(621, 622)에도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스마트 워치이고, 하우징(702), 표시 패널(704), 조작 버튼(711, 712), 접속 단자(713), 밴드(721), 버클(722) 등을 가질 수 있다.
베젤 부분을 겸하는 하우징(702)에 탑재된 표시 패널(704)은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을 갖는다. 표시 패널(704)은 시각을 표시하는 아이콘(705), 기타 아이콘(706)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스마트 워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정보(정지 화상, 동영상, 텍스트 화상 등)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기능, 터치 패널 기능, 달력, 날짜 또는 시각 등을 표시하는 기능, 다양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를 제어하는 기능, 무선 통신 기능,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다양한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다양한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기능,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702)의 내부에, 스피커, 센서(힘, 변위, 위치, 속도, 가속도, 각속도, 회전수, 거리, 광, 액체, 자기, 온도, 화학 물질, 음성, 시간, 경도(硬度), 전기장, 전류, 전압, 전력, 방사선, 유량, 습도, 경사도(傾斜度), 진동, 냄새 또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 마이크로폰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시한 구성 등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시한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2: 표시 영역
104: 구동 회로부
104g1: 게이트 드라이버
104g2: 게이트 드라이버
104s1: 소스 드라이버
104s2: 소스 드라이버
106: 보호 회로
106a: 보호 회로
106b: 보호 회로
106c: 보호 회로
106d: 보호 회로
202: 표시 영역
204g1: 게이트 드라이버
204g2: 게이트 드라이버
204s1: 소스 드라이버
204s2: 소스 드라이버
208g1: 주사선
208g2: 주사선
208g23: 주사선
208g24: 주사선
208g25: 주사선
208g26: 주사선
208g47: 주사선
208g48: 주사선
208s1: 신호선
208s2: 신호선
208s23: 신호선
208s24: 신호선
208s25: 신호선
208s26: 신호선
208s47: 신호선
208s48: 신호선
402: 표시 영역
404g1: 게이트 드라이버
404g2: 게이트 드라이버
404g3: 게이트 드라이버
404g4: 게이트 드라이버
404s1: 소스 드라이버
404s2: 소스 드라이버
404s3: 소스 드라이버
404s4: 소스 드라이버
412: 표시 영역
414g1: 게이트 드라이버
414g2: 게이트 드라이버
414s1: 소스 드라이버
414s2: 소스 드라이버
415: 영역
416: 영역
417: 영역
418: 영역
422: 표시 영역
424g1: 게이트 드라이버
424g2: 게이트 드라이버
424g3: 게이트 드라이버
424s1: 소스 드라이버
424s2: 소스 드라이버
424s3: 소스 드라이버
502_1: 트랜지스터
502_2: 트랜지스터
503: 트랜지스터
504: 액정 소자
506_1: 용량 소자
506_2: 용량 소자
508: 발광 소자
510: 화소 회로부
522: 배선
524: 배선
26: 트랜지스터
528: 트랜지스터
530: 배선
532: 배선
534: 배선
536: 배선
540: 배선
542: 트랜지스터
544: 트랜지스터
546: 트랜지스터
548: 트랜지스터
602: 하우징
605: 표시 패널
606: 표시 패널
607: 표시 패널
608: 표시 패널
610: 바늘
611: 바늘
612: 바늘
621: 지표
622: 지표
702: 하우징
704: 표시 패널
705: 아이콘
706: 아이콘
711: 조작 버튼
712: 조작 버튼
713: 접속 단자
721: 밴드
722: 버클

Claims (21)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소를 포함하는,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의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주에 있는 구동 회로부로서,
    서로 이격되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와;
    서로 이격되는 제 1 소스 드라이버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제 2 게이트 드라이버와 대향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와 대향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 1 영역에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 2 영역에 신호를 입력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내측으로 칼자국을 낸 형상을 갖거나 직사각형의 부분 및 원형의 부분을 갖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화소 전극의 형상은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비직사각형에 따라 원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따른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8.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소를 포함하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주에 있는 구동 회로부로서,
    서로 이격되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와;
    서로 이격되는 제 1 소스 드라이버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 회로부와;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의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제 2 게이트 드라이버와 대향하는,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와 대향하는, 표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 1 영역에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 2 영역에 신호를 입력하는, 표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내측으로 칼자국을 낸 형상을 갖거나 직사각형의 부분 및 원형의 부분을 갖는, 표시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화소 전극의 형상은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비직사각형에 따라 원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8 항에 따른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5.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소를 포함하는, 비직사각형의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주에 있는 구동 회로부로서,
    서로 이격되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제 2 게이트 드라이버와;
    서로 이격되는 제 1 소스 드라이버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외연의 제 1 부분을 따라서 위치하고,
    상기 제 2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외연의 제 2 부분을 따라서 위치하고,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외연의 제 3 부분을 따라서 위치하고,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외연의 제 4 부분을 따라서 위치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제 2 게이트 드라이버와 대향하는, 표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와 대향하는, 표시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 1 영역에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 2 영역에 신호를 입력하는, 표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내측으로 칼자국을 낸 형상을 갖거나 직사각형의 부분 및 원형의 부분을 갖는, 표시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화소 전극의 형상은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비직사각형에 따라 원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 15 항에 따른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40018716A 2013-03-05 2014-02-18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401092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42518 2013-03-05
JPJP-P-2013-042518 2013-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261A true KR20140109261A (ko) 2014-09-15

Family

ID=5138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716A KR20140109261A (ko) 2013-03-05 2014-02-18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53419A1 (ko)
JP (5) JP6430706B2 (ko)
KR (1) KR20140109261A (ko)
DE (1) DE102014203824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047A (ko) * 2014-10-30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69289A (ko) * 2014-12-08 2016-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박막 증착용 마스크
KR20160095241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원형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101737A (ko) * 2015-02-17 2016-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33054A (ko) * 2015-05-11 2016-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KR20160141352A (ko) * 2015-05-28 2016-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14950A (ko) * 2015-07-31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4970A (ko) * 2015-10-16 2017-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9837022B2 (en) 2015-02-12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Non-quadrangular display
KR20180049005A (ko) * 2016-01-21 2018-05-10 애플 인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전력 및 데이터 라우팅 구조들
CN108565281A (zh) * 2018-05-14 2018-09-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屏、显示装置及显示屏的制作方法
KR20190053585A (ko) * 2017-11-10 2019-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393893B2 (en) 2019-07-29 2022-07-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6900B2 (en) 2007-10-23 2017-04-18 Japan Display Inc. Electro-optical device
USD769202S1 (en) * 2012-02-29 2016-10-18 Samsung Display Co., Ltd. Dish shaped display device
KR102126435B1 (ko) * 2014-02-11 2020-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463082B (zh) 2014-06-23 2019-07-1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05469732B (zh) * 2014-09-05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装置和电子设备
DE102014223773B4 (de) 2014-11-21 2021-06-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mart-Cloth Steuerung
DE102014017599B4 (de) 2014-11-27 2017-01-05 Elektrobit Automotive Gmbh Tragbare Vorrichtung zur Verwendung durch einen Fahrer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r Verwendung der Vorrichtung
KR102239481B1 (ko) * 2014-12-31 2021-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2868B1 (ko) * 2014-12-31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 방법
CN104599655B (zh) * 2015-02-05 2017-05-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非矩形显示器及其驱动方法
KR102544696B1 (ko) * 2015-02-16 2023-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원형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4732936B (zh) * 2015-03-20 2017-03-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不等行驱动宽度的液晶面板的源极驱动器及源极驱动方法
KR102307261B1 (ko) * 2015-05-27 2021-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940866B2 (en) * 2015-06-01 2018-04-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with curved edges
TWI557699B (zh) * 2015-08-06 2016-1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5096804B (zh) * 2015-08-28 2018-06-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CN105137684B (zh) 2015-09-06 2019-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器件和可穿戴设备
CN105137632B (zh) * 2015-09-08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83379B1 (ko) * 2015-09-21 2023-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80308443A1 (en) * 2015-10-23 2018-10-25 Sharp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CN105487314A (zh) * 2016-01-07 2016-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和显示装置
CN105513521B (zh) * 2016-01-25 2018-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异形显示屏图像阵列的分区显示***及方法
JP6607798B2 (ja) * 2016-01-29 2019-11-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777559B2 (ja) 2016-01-29 2020-10-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ヘッドフォン
JP6689088B2 (ja) 2016-02-08 2020-04-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7142303A (ja) 2016-02-08 2017-08-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11482176B2 (en) * 2016-02-29 2022-10-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504129B1 (ko) * 2016-03-31 2023-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17167B1 (ko) 2016-04-20 202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59644B2 (en) * 2016-05-17 2020-02-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513988B1 (ko) * 2016-06-01 2023-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47973B2 (en) 2016-06-01 2023-1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f uniform brightness
JP6747156B2 (ja) * 2016-08-05 2020-08-26 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
KR20180018930A (ko) 2016-08-11 2018-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23988B1 (ko) 2016-08-29 2023-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곡선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구동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807480B (zh) * 2016-09-08 2021-04-20 株式会社日本显示器 显示装置
US10409102B2 (en) * 2016-09-08 2019-09-10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KR102619425B1 (ko) * 2016-11-21 2023-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DE102017200854A1 (de) * 2017-01-19 2018-07-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inspurfahrzeug
WO2018158660A1 (ja) 2017-03-03 2018-09-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WO2018190206A1 (ja) * 2017-04-11 2018-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155211B1 (ko) 2017-12-07 2020-09-11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CN108154838A (zh) * 2017-12-21 2018-06-12 威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三角形模块显示驱动电路实现方法及驱动电路
JP2019144326A (ja) * 2018-02-16 2019-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パネル
CN111937056A (zh) * 2018-04-12 2020-11-1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CN109712567B (zh) * 2019-01-18 2020-04-1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数据的修正方法、显示驱动方法和显示装置
KR20210042761A (ko) * 2019-10-10 2021-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방법
CN111192903B (zh) * 2020-01-03 2023-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模组和电子设备
US11917891B2 (en) 2020-09-22 2024-02-27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0693A (en) * 1991-08-19 1993-12-14 Smiths Industries, Inc. Enlarged area addressable matrix
US6125081A (en) * 1995-09-11 2000-09-26 Flynn; Firman J. Golfer's wristwatch with score keeping capabilities
JP2001235723A (ja) * 2000-02-24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GB0212566D0 (en) 2002-05-31 2002-07-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JP4712397B2 (ja) * 2004-01-14 2011-06-2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4781009B2 (ja) * 2004-05-21 2011-09-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76359A (ja) 2005-03-29 2006-10-12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7272203A (ja) 2006-03-06 2007-10-18 Nec Corp 表示装置
JP4557228B2 (ja) * 2006-03-16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07108151A1 (ja) * 2006-03-17 2007-09-27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20682B2 (ja) * 2006-07-20 2009-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US8638280B2 (en) * 2007-04-27 2014-01-28 Nlt Technologies, Ltd. Non-rectangular display apparatus
JP5278729B2 (ja) * 2007-04-27 2013-09-04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非矩形表示装置
CN104092019B (zh) 2007-07-04 2017-04-1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无线ic器件及无线ic器件用元器件
JP2009069768A (ja) 2007-09-18 2009-04-0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5191286B2 (ja) * 2007-11-09 2013-05-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
KR101535929B1 (ko) * 2008-12-02 2015-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기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N102576508A (zh) 2009-10-08 2012-07-11 夏普株式会社 将具有发光部的多个面板连接而成的发光面板装置、具备该装置的图像显示装置和照明装置
WO2011052437A1 (en) * 2009-10-30 2011-05-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linear element, display device including non-linear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device
KR20190038687A (ko) * 2010-02-05 2019-04-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1096153A1 (en) 2010-02-05 2011-08-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101152575B1 (ko) * 2010-05-10 2012-06-0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047A (ko) * 2014-10-30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69289A (ko) * 2014-12-08 2016-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박막 증착용 마스크
US11862063B2 (en) 2015-02-02 2024-01-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95241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원형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024216B2 (en) 2015-02-02 2021-06-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87493B2 (en) 2015-02-02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87689B2 (en) 2015-02-12 2021-08-10 Samsung Display Co., Ltd. Non-quadrangular display
US10325559B2 (en) 2015-02-12 2019-06-18 Samsung Display Co., Ltd. Non-quadrangular display
US9837022B2 (en) 2015-02-12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Non-quadrangular display
US11915652B2 (en) 2015-02-12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Non-quadrangular display
KR20160101737A (ko) * 2015-02-17 2016-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33054A (ko) * 2015-05-11 2016-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KR20160141352A (ko) * 2015-05-28 2016-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14950A (ko) * 2015-07-31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4970A (ko) * 2015-10-16 2017-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101337B2 (en) 2016-01-21 2021-08-24 Apple Inc. Power and data routing structure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US11257883B2 (en) 2016-01-21 2022-02-22 Apple Inc. Power and data routing structure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US11342395B2 (en) 2016-01-21 2022-05-24 Apple Inc. Power and data routing structure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US11665933B2 (en) 2016-01-21 2023-05-30 Apple Inc. Power and data routing structure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KR20180049005A (ko) * 2016-01-21 2018-05-10 애플 인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전력 및 데이터 라우팅 구조들
KR20190053585A (ko) * 2017-11-10 2019-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565281A (zh) * 2018-05-14 2018-09-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屏、显示装置及显示屏的制作方法
US11393893B2 (en) 2019-07-29 2022-07-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81698B2 (ja) 2023-11-15
JP2014197179A (ja) 2014-10-16
JP2024012487A (ja) 2024-01-30
JP6430706B2 (ja) 2018-11-28
DE102014203824A1 (de) 2014-09-11
US20140253419A1 (en) 2014-09-11
JP2020154330A (ja) 2020-09-24
JP2019053311A (ja) 2019-04-04
JP2023018118A (ja)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1698B2 (ja) 表示装置
US11282464B2 (en) Display panel
JP4201041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及び表示装置
US8004490B2 (en) Active-matrix bistable display device
CN101377579B (zh) 电光装置及电子设备
JP5080119B2 (ja) 横電界方式の液晶表示装置用アレイ基板及びそのアレイ基板を含む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10283063B2 (en) Display device and shift register circuit
US10775677B2 (en) Transparent display panel comprising a trigger component connected to a chromic material to enable reversible change between a transparent state and a colored state of the chromic material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01136B1 (ko)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평면 표시 장치
JP4270263B2 (ja) 表示装置
KR20090021045A (ko) 전자 종이에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
KR2007002489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40055404A (ko) 강유전성 액정의 전계배향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4501920B2 (ja) 表示装置
US20050253803A1 (en) Electric paper display with a thin film transistor active matrix and integrated addressing logic
KR101931339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KR20040051421A (ko) 강유전성 액정의 전계배향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36376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65833B1 (ko) 에스티엔 엘시디 구동장치
JP682196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23142982A (ja) 表示装置
KR20150002336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23349B1 (ko)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JP2019078979A (ja) 表示装置及び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