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142A - Touch pad structure using dummy pattern for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Touch pad structure using dummy pattern for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142A
KR20140107142A KR1020140023103A KR20140023103A KR20140107142A KR 20140107142 A KR20140107142 A KR 20140107142A KR 1020140023103 A KR1020140023103 A KR 1020140023103A KR 20140023103 A KR20140023103 A KR 20140023103A KR 20140107142 A KR20140107142 A KR 20140107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s
dummy
sensor
pattern
dumm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0886B1 (en
Inventor
김태일
최범희
김상진
김달수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ublication of KR2014010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Abstract

A touch pad structure using a dummy pattern for a capacitance type touch screen by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The touch pad structure using the dummy pattern for the capacitance typ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s sensor unit in which first sensor pattern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first dummy patterns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are aligned; and a second sensor unit which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sensor unit, and in which second sensor patterns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second dummy patterns form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are aligned. The first and second dummy patterns are formed of at least two sub dummy patterns each of which is physically separated.

Description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TOUCH PAD STRUCTURE USING DUMMY PATTERN FOR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본 발명은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터치 패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touch pad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최근 휴대전화, PDA,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휴대 단말들은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사이즈가 소형화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 단말들을 통해 양호한 품질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는 대형화되고 있다. 휴대 단말 자체의 소형화와 이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자체에 사용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주로 채용되고 있다. 또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대형 TV 또는 모니터에서도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cellular phone, a PDA, and an MP3 player have been miniaturized in order to improve portability. In addition, the displays applied to these portable terminals are being enlarged to provide images of good quality. 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and the enlargement of the display to be applied thereto, a touch screen method which enables the user to input on the display itself is mainly employed. In addition, a large-sized TV or monitor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 PDP (Plasma Display Panel),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n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직접 스크린에 나타나는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이나 터치 팬의 접촉이 있는 경우 접촉된 위치의 좌표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그 동작 원리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이 있다.Such a touch screen is a device that enables the user to input by recognizing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position when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touch panel or the touch of a human hand or a specific position.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a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a resistance film type, a surface ultrasonic type, and an infrared type according to its operation principle.

특히,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센서 패턴이 주변의 다른 센서 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In particular, a capacitive touch screen converts a contact posi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a change in capacitance that a conductive sensor pattern forms with other nearby sensor patterns or ground electrodes when a human hand or an object is touched.

이때, 접촉면에서의 접촉 위치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센서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서 패턴들 또는 X방향 패턴들과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서 패턴들 또는 Y방향 패턴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determine the contact position on the contact surface, the sensor pattern may include first sensor patterns formed to be connec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or second sensor patterns formed to connect with the X direction patterns along the second direction, Patterns. ≪ / RTI >

제1 센서 패턴들과 제2 센서 패턴들은 각각 서로 다른 레이어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센서 패턴들은 상부 레이어에 위치하고 제2 센서 패턴들은 하부 레이어에 위치하며, 제1 센서 패턴 사이와 제2 센서 패턴들 사이에 더미 패턴이 배치된다.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are disposed on different layer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patterns are located in the upper layer, the second sensor patterns are located in the lower layer, and a dummy patter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layout of a sensor pattern and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패드 내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 더미 패턴들(111)이 배치되되, 더미 패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간의 부분 합선 시 센서 패턴으로부터 전류가 하나의 더미 패턴으로 유입된다.Referring to FIG. 1A, dummy patterns 111 are disposed between sensor patterns 110 in a conventional touch pad, and the dummy pattern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artial short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the current flows from the sensor pattern into one dummy pattern.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패드 내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 더미 패턴들(111a)이 배치되되, 더미 패턴들도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11b).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간의 부분 합선 시 센서 패턴으로부터 전류가 더미 패턴 전체로 유입된다.Referring to FIG. 1B, the dummy patterns 111a are arrang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in the conventional touch pad, and the dummy patterns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111b). When a partial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current flows from the sensor pattern to the entire dummy pattern.

도 2a 내지 도 2b는 터치 패널 내 합선에 따른 오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alfunction according to a short circuit in the touch panel.

도 2a를 참조하면, 터치 패드 내 특정 센서 패턴의 부위를 터치하면 이 부분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X축과 Y축에 연결된 각각의 센서에서 인식하여 터치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if a portion of a specific sensor pattern in the touch pad is touched, the touch coordinates can be grasped by recogniz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specific portion in each sensor connected to the X axis and the Y axis.

도 2b를 참조하면,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간의 부분 합선이 발생한 경우 특정 센서 패턴의 부위가 터치되면 센서 패턴으로부터 전류가 더미 패턴으로 유입된다.Referring to FIG. 2B, when a partial short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is generated, a portion of the specific sensor pattern is touched, and current flows from the sensor pattern into the dummy pattern.

특히, 더미 패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더미 패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간의 부분 합성이 발생하게 되면 센서 패턴으로부터 유입된 전류가 더미 패턴들 전체로 유입되기 때문에 과도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어 정확한 접촉 위치를 판단하는데 방해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dummy patter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ummy pattern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partial synthesis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occurs,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ensor pattern flows into the entire dummy patterns, It causes a change in capacity and thus acts as an obstacle to judge an accurate contact position.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더미 패턴을 배치하되,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다수 개의 기 설정된 형태로 분할하여 형성하도록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acitive touch screen in which a dummy pattern is disposed between sensor patterns, and a dummy patter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atter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더미 패턴을 배치하되,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형성하도록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in which a dummy pattern is arranged between sensor patterns so that meshes constituting a dummy pattern to be formed are form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더미 패턴을 배치하되,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사이에 위치하여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간의 경계면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보조 더미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mmy pattern between sensor patterns, which is located between a sensor pattern and a dummy pattern an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n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ructure of a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1 센서 패턴들 사이에 제1 더미 패턴들이 배열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센서 패턴들 사이에 제2 더미 패턴들이 배열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the touch pad including first sensor pattern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sensor unit in which first dummy patterns are arranged; And a second sensor unit having second sensor pattern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sensor unit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nd second dummy patterns arrang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s formed of at least two sub-dummy pattern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더미 패턴들은 상기 제2 센서 패턴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더미 패턴들은 상기 제1 센서 패턴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ummy patterns are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are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pattern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개수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ncludes at least two sub-dummy patterns, and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have different numbers of sub-dummy patterns.

바람직하게, 분리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경계선은 해당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oundary of each of the separated at least two sub-dummy patterns is form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mesh forming the dummy pattern.

바람직하게, 분리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경계선은 해당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oundary line of each of the separated at least two sub-dummy patterns is form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mesh constituting the dummy patter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은 제1 더미 패턴 또는 제2 더미 패턴의 전체 외곽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균등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each include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each of the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includes a first dummy pattern or a second dummy pattern, And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entire outer shape of the pattern and to have an equal area.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은 제1 더미 패턴 또는 제2 더미 패턴의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되 균등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each include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each of the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includes a first dummy pattern or a second dummy pattern, And is formed so as to have a uniform are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entire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은 제1 더미 패턴 또는 제2 더미 패턴의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고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each include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each of the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includes a first dummy pattern or a second dummy pattern, And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area from that of the entire outer shape of the patter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그 내부의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s formed of at least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physically separat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connection of the meshes therei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할 수 있는데,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divides the mesh by regularly breaking the mes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rein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are formed to be the sam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할 수 있는데,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divides the mesh by irregularly breaking the mes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rein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보조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는 상기 제1 센서 패턴과 상기 제1 더미 패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센서 패턴과 상기 제1 더미 패턴 간의 경계면을 따라 이격되어 제1 더미 패턴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제1 보조 더미 패턴; 및 상기 제2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더미 패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더미 패턴 간의 경계면을 따라 이격되어 제2 더미 패턴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제2 보조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tructure of the touch pad using the auxiliary dummy pattern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 and the first dummy pattern and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 and the first dummy pattern A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spaced along the interface and formed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dummy pattern; And a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locat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and spaced apart from an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o as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second dummy pattern,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보조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1 센서 패턴들 사이에 제1 더미 패턴들과 제1 보조 더미 패턴이 배열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센서 패턴들 사이에 제2 더미 패턴들과 제2 보조 더미 패턴이 배열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간의 경계면을 따라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은 상기 제2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은 상기 제2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간의 경계면을 따라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of a touch pad using an auxiliary dummy pattern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includes first sensor pattern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first dummy patterns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a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rranged on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nd second sensor pattern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sensor unit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nd second dummy patterns and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s arrang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2 sensor portion, wherein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first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과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 각각은 해당하는 상기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센서 패턴들의 외곽선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센서 패턴들의 외곽선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outline of the corresponding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2 sensor patterns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s of the two sensor pattern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과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 각각은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상기 제2 더미 패턴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더미 연결부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is formed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And each of the patterns is formed in combination with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과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 각각은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상기 제2 더미 패턴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더미 연결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is formed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Each of the patterns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과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 각각은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상기 제2 더미 패턴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is formed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y of the patterns.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는 기판에 형성되어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 패턴들;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배선 전극들; 및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 전극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다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formed on a substrate to sense a touch signal; A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to transmit the touch signal; And a plurality of dummy pattern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or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includes two or more sub dummy pattern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은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센서 패턴들; 및 상기 제1 센서 패턴들이 배치된 동일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센서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제2 센서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제1 센서 패턴들에 상기 배선 전극들이 연결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ensor patterns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pattern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on the same surface on which the first sensor patterns are disposed, wherein the dummy patterns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pace formed by connecting the wiring electrodes to the sensor patterns.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은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센서 패턴들;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센서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ensor patterns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pattern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더미패턴들은 상기 다수의 센서패턴들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sizes of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or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개수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includes at least two sub-dummy patterns, and the sub-dummy patterns include a different number of sub-dummy patterns.

바람직하게, 분리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경계선은 해당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oundary of each of the separated at least two sub-dummy patterns is form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mesh forming the dummy pattern.

바람직하게, 분리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경계선은 해당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oundary line of each of the separated at least two sub-dummy patterns is form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mesh constituting the dummy pattern.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은 해당 더미 패턴의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고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includes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each of the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has a different shape from the shape of the entire outline of the corresponding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그 내부의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physically separat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connecting meshes therein.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하되,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divides the mesh by irregularly breaking the mes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는 기판에 형성되어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 패턴들;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배선 전극들;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 전극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다수의 더미 패턴들; 및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다수의 배선 전극들과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formed on a substrate to sense a touch signal; A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to transmit the touch signal; A plurality of dummy pattern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or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dummy pattern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or between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더미패턴들은 상기 다수의 센서패턴들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sizes of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or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보조 더미 패턴들 각각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dummy patterns are each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더미 패턴을 배치하되,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다수 개의 기 설정된 형태로 분할하여 형성하거나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형성하거나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사이에 위치하여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간의 경계면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보조 더미 패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간의 부분 합선이 발생되더라도 기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 dummy pattern is disposed between sensor patterns, and the dummy pattern formed by dividing the dummy pattern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atterns is form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connection of the meshes constituting the dummy pattern, By forming an auxiliary dummy pattern that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ummy patter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even if a partial short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is genera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cured.

또한, 본 발명은 더미 패턴의 분할이나 메시의 단선을 통해 센서 패턴에서 더미 패턴으로 유입되는 전류를 최소화하여 센서 동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a current flowing into a dummy pattern in a sensor pattern through division of a dummy pattern or disconnection of a mesh, thereby improving the sensor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이 일부 합선이 되더라도 그 합선 범위가 작아 제품 자체를 폐기할 정도로 제품 사용에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are partially short-circuited, the short-circuit range is small, so that the product itself is discarded and the yield is improved.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터치 패널 내 합선에 따른 오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패턴들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와 연결부 및 더미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와 연결부 및 더미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와 연결부 및 더미부를 형성하는 메시 형상의 패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센서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11a 내지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3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4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5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더미 패턴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6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7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센서 패턴, 더미 패턴, 배선 전극의 형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더미 패턴의 배치 위치와 형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layout of a sensor pattern and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S. 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alfunction according to a short circuit in the touch panel.
FIG. 3 is a view showing a form of sensor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nsing unit, a connection unit, and a dummy unit of a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sensing unit, a connection unit, and a dummy unit of a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sh-like pattern forming the sensing unit, the connection unit, and the dummy unit of the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scree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first diagrams showing the shape of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are second diagrams illustrating the shape of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B are first diagrams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second diagrams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hrough 13B are third diagrams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A and 14B are fourth views illustrating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ifth diagram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uxiliary dummy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xth diagram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8A and 18B are diagrams showing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ensor pattern, the dummy pattern, and the wiring electrode shown in Fig.
FIG. 2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arrangement position and a shape of the dummy pattern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ortion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o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hereto even though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even in such a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r does not mean that the different components have the same function. I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exampl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센서 패턴들 사이에 더미 패턴을 배치하되, 1)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다수개의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하여 형성하거나 2)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내부의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형성하거나 3)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사이에 위치하여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간의 경계면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보조 더미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새로운 터치 패드 또는 센서 기판의 구조를 제안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dummy pattern is disposed between sensor patterns, and 1) a dummy pattern to be dispose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hapes, or 2) Or 3) a new touch that is located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and forms a physically separated auxiliary dummy patter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A structure of a pad or a sensor substrate is proposed.

이렇게 센서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하거나 더미 패턴과 보조 더미 패턴으로 분할하는 이유는 합선 시 센서 패턴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류가 더미 패턴 전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dummy patterns arrang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are divided into the sub dummy patterns or into the dummy patterns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s is to prevent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ensor pattern in the short circuit from flowing into the entire dummy patter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패턴들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form of sensor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패턴들은 서로 교차 배열되는데, X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패턴들(110)과 Y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 패턴들(21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ensor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an intersecting relation to each other.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for sensing the X coordinate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for sensing the Y coordinate .

예컨대, 제1 센서 패턴들(110)은 X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패턴들로 제1 방향 예컨대, 세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서 패턴들(210)은 Y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패턴들로 제2 방향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may be regularly formed in a first direction, e.g.,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patterns for sensing the X coordinate.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may be regularly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e.g., a horizontal direction, with patterns for sensing Y coordinates.

제1 센서 패턴들(110)은 다수의 제1 감지부(110a)와 그 제1 감지부(110a)를 연결하는 연결부(110b)를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제2 센서 패턴들(210) 또한 다수의 제2 감지부(210a)와 그 제2 감지부(210a)를 연결하는 연결부(21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portions 110a and a connecting portion 110b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portions 110a. Similarly,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include a plurality of And a connection part 210b connecting the second sensing part 210a and the second sensing part 210a.

도 4a 내지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와 연결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A to 4C are views illustrating the sensing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of the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센서 기판은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감지부(110a) 및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110a)를 연결하는 연결부(110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A, the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portions 110a formed by electrodes connected to a surface of a substrate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pattern in the same or similar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rt 110b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nsing part 110a.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센서 기판은 감지부(110a)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110a)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더미 패턴(111a)을 사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is formed of electrodes adjacent to the sensing unit 110a and connected in a pattern identical or similar to the direction of the pattern,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sensing unit 110a A plurality of dummy patterns 111a are used.

여기서 감지부(110a) 및 더미패턴은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전극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여기의 전도성 재료는 불투명성인 것일 수 있다.Here, the sensing unit 110a and the dummy pattern are electrodes for sensing a touch signal of a user, and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opaque.

또한 더미 패턴(111a)은 감지부(110a)와 이웃하여, 또는 인접하여 형성되는 전극으로 명칭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더미(dummy) 즉, 감지부(110a)와 유사한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감지하지는 못하도록 불활성 상태로 형성되는 전극 또는 그 조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지부(110a)와 더미 패턴(111a)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된다. 더미 패턴(111a)을 기재에 형성하는 이유는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지 않는 감지부(110a)가 터치 스크린 센서에 전면에 형성되며, 터치 스크린 센서에 조사되는 외부 광에 의해 감지부(110a)가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dummy pattern 111a is formed adjacent to or adjacent to the sensing unit 110a. The dummy pattern 111a is formed in a pattern similar to a dummy, that is, a shape similar to the sensing unit 110a, Means an electrode formed in an inactive state so as not to sense a touch signal, or a combination thereof. Therefore, the sensing portion 110a and the dummy pattern 111a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The reason why the dummy pattern 111a is formed on the substrate is that the sensing unit 110a not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sensor and the sensing unit 110a Thi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being recognized.

또한 도 4a 내지 도 4b의 경우 감지부(110a)와 더미 패턴(111a)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됨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 되지 않고 다양한 패턴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감지부(110a)의 전체 형상을 다이아몬드, 사다리꼴, 마름모 등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4A and 4B, the sensing unit 110a and the dummy pattern 111a are formed in a linear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ing unit 110a and the dummy pattern 111a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orm the entire shape of the portion 110a in the shape of diamond, trapezoid, rhombus, or the like.

한편, 전극은 감지부(110a)에서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해 구비되는 전극으로, 기재에 감지부(110a) 및 더미 패턴(111)을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에 관한 사항은 발명의 범주를 넘어서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electrode is provided to transmit a touch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110a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not shown). When the sensing unit 110a and the dummy pattern 111 are formed on the substrate, .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tters relating to the electrodes are beyo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110a), 더미 패턴(111a) 및 감지 연결부(110b)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미 연결부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더미 연결부도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C, the sensing unit 110a, the dummy pattern 111a, and the sensing connection unit 110b of the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of electrod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ame or similar pattern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When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is included,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of an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or similar patter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일정한 방향의 패턴이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메시 형상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ttern in a certain direction is a continuous patter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is a mesh pattern in which the lines formed in the certain direction cross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패턴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는 것은 패턴의 반복에 있어서 그 반복 주기 및 반복되는 형태가 기하학적으로 동일하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 반복 주 와 반복 형태가 소프트웨어적으로 미리 결정된 용인 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110a)와 더미 패턴(111a)의 전극 패턴뿐만 아니라 이들을 연결하는 감지 연결부(110b) 및 더미 연결부(111b)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111b)의 전극 패턴이 동일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해 감지부(110a)가 인식되는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fact that the patterns are the same or similar in this embodiment means not only that the repetition period and the repetition pattern are geometrically the same in repetition of the pattern but also that the repetition pattern and the repetition pattern are formed within a tolerable error range which is predetermined by softwa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ase wher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re are not only the electrode patterns of the sensing unit 110a and the dummy pattern 111a but also the sensing connection unit 110b and the dummy connection unit 111b for connecting them, the electrode patterns of the dummy connection unit 111b are the same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sensing unit 110a recognized by the user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일정한 방향의 패턴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상기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상기 감지부(110a)와 상기 더미 패턴(111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감지부(110a), 상기 더미 패턴(111a) 및 상기 감지 연결부(110b) 및 더미 연결부(111b)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111b)의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s formed as a continuous pattern, and the sensing portion 110a and the dummy pattern 111a are formed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pattern. Part of the pattern is broken when the edge of the pattern of the dummy connection part 111b is opened when the sensing part 110a, the dummy pattern 111a, the sensing connection part 110b and the dummy connection part 111b are present .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10a)와 더미 패턴(111a)의 경계에서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상기 감지부(110a)와 상기 더미 패턴(111a)이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끊어진 것으로 상기 감지부(110a)와 상기 더미 패턴(111a)의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된 것은 도 5와 같이 가장자리가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도 4b의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가장자리가 개방됨으로써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어 연속성이 사라져 단절되어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고 실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전극을 사용자가 연속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감지부(110a)의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patter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nsing unit 110a and the dummy pattern 111a is broken because the sensing unit 110a and the dummy pattern 111a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The edge of the pattern of the portion 110a and the pattern of the dummy pattern 111a is opened, which means that the edge is not connected to the edge electrode as shown in FIG.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4B. Referring to FIG. 5, the edge is opened to connect to the edge electrod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tinuity disappears and is disconnected. In pract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sibility of the sensing unit 110a.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메시 형상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메시 형상은 정형 메시 형상과 비정형 메시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메시 형상은 전체적으로 망상형 또는 그물형의 메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is a mesh-like pattern in which lines formed in a certain direction cross each other as shown in Figs. 4A to 4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shape may include both the regular mesh shape and the irregular mesh shape. The mesh shape in which lines formed in a certain direction cross each other means that a mesh-like pattern as a whole is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or net.

또한 패턴의 상호 교차되는 메시 형상의 선들은 선폭 및 상기 선들간의 간격을 정의하는 피치(pitch)가 동일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유사도의 선폭 또는 피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선폭 또는 피치가 동일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유사도의 선폭 또는 피치를 가진다는 것은 미리 정한 채움 비율(Fill Factor)를 얻을 수 있도록 [표 1]에 표시된 일정한 범위의 값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mutually intersecting mesh-shaped lines of the pattern have a line width and pitch defi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lines, or have line widths or pitches of predetermined similarity. In this embodiment, the line width or the pitch of the lines having the same line width or pitch or the predetermined similar line width or pitch means that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shown in Table 1 is obtained so as to obtain a predetermined fill factor.

선폭(㎛)Line width (탆) 피치(㎛)Pitch (占 퐉) Fill Factor(%)Fill Factor (%) 1~51-5 100100 1.9~101.9 to 10 200200 2.5~502.5 to 50 300300 1.9~3.51.9 to 3.5 400400 1.4~2.51.4 to 2.5 500500 0.4~1.90.4 to 1.9 600600 0.3~1.70.3 to 1.7 6~106 to 10 100100 11~1911-19 200200 5.9~105.9-10 300300 3.9~7.03.9 to 7.0 400400 2.9~5.02.9 to 5.0 500500 2.3~3.92.3 ~ 3.9 600600 1.9~3.31.9 to 3.3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호 교차되는 메시 형상의 선들은 미리 결정된 각도에 따라 틸팅(tilt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형성되는 선들은 수평축을 기준으로 45°기울어진 형태의 패턴을 가지며,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는 것은 단위 면적당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전극의 비율을 높여 감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 틸팅 되는 미리 결정된 각은 일정한 방향의 패턴과 상기 패턴과 다른 패턴의 상호 간섭에 따른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결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패턴과 다른 패턴의 간섭은 각각 다른 방향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기판이 적층됨에 있어서 기판에 형성된 전극의 패턴이 간섭을 일으키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정보 표시부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이 형성하는 패턴들과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mutually intersecting mesh-like lines are preferably til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ngle. Referring to FIG. 6, line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ve a pattern inclin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axis, and inclined shapes increase the ratio of electrodes for sensing touch input per unit area, And the predetermined angle to be tilted is preferably an angle determined to prevent generation of a moire phenomenon due to mutual interference between a pattern in a certain direction and another patter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terference between patterns and other patterns may be caused by interferences of patterns of electrodes formed on a substrate when a plurality of substrates sensing touch positions in different directions are stacked, or an image information display unit May be generated with the patterns formed by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pixel.

모아레 현상이란 일반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주기적인 패턴들이 일정 각도로 적층될 경우에 형성되는 자연적인 간섭현상(interference phenomenon)이다. 모아레 패턴은 물결 형태의 곡선(wave), 잔물결(ripple), 스크린의 표시 영상과 적층되어 보이는 작은 다발(wisp) 형태의 강도 변동 등을 의미한다.The moire phenomenon is generally a natural interference phenomenon formed when two independent periodic patterns are stacked at an angle. The moiré pattern refers to wave-like waves, ripples, and intensity fluctuations in the form of small wisps that are stacked with the display image of the scree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센서 기판의 단면도이다.7A to 7C are sectional views of a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기재(100b), 수지층(100a) 및 전극층(112)을 포함한다.7A to 7C, the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100b, a resin layer 100a, and an electrode layer 112. [

기재(100b)는 투명기재(100b)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 투명도를 갖는 기재(100b)로, 투명기재(100b)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mide), 아크릴(Acryl), 폴리카보네이트(PC),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즈(TAC), 폴리메틸메타크 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또는 글라스(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투명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bstrate 100b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substrate 100b. That is,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b is made of a substrate 100b having a certain transparency,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b is mad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I (polymide), acrylic, polycarbonate (PC), triacetate cellulos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thin film by using at least one of polyacrylate (PMMA), polyethersulfone (PE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glass.

수지층(100a)은 상기 기재(100b)에 적층되며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투명기재(100b)에는 수지층(100a)이 적층되며, 그와 같은 음각 형상은, 원하는 음각 형상에 대응되는 양각 형상의 몰드(mold)를 이용하여 수지층(100a)에 임프린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양각 형상의 몰드를 이용하여 수지층(100a)에 음각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음각이 어떠한 패턴을 이루게 된다. 음각이 형성된 수지층(100a)의 단면은 사각형, 삼각형, 및, 사다리꼴중 어느 하나의 음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몰드의 양각 형상이 사각형이면 수지층(100a)에 형성된 음각 형상도 사각형이고, 몰드의 양각 형상이 삼각형이면 수지층(100a)에 형성된 음각 형상도 삼각형이고, 몰드의 양각 형상이 사다리꼴이면 수지층(100a)에 형성된 음각 형상도 사다리꼴임은 물론이다. 수지층(100a)에서 음각의 폭은 1㎛ 내지 10㎛에 속하고, 깊이는 1㎛ 내지 10㎛에 속하고, 음각과 음각 사이의 피치는 200㎛ 내지 600㎛에 속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음각의 폭, 깊이 및 피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수지층(100a)은 UV(UltraViolet)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in layer 100a is laminated on the substrate 100b and has a patterned engraved pattern on one side. Specifically, the resin layer 100a is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b, and such intaglio shape is imprinted on the resin layer 100a by using a mold having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a desired engraved shape . That is, the engraved pattern is formed in the resin layer 100a by using a mold having a relief shape. Whereby one or more engraved patterns are formed in a pattern. The cross section of the resin layer 100a formed with the engraved portion may have a concave shape of any one of a rectangle, a triangle, and a trapezoid. If the embossed shape of the mold is quadrilateral, the depressed shape formed in the resin layer 100a is also a quadrangle. If the embossed shape of the mold is triangular, the depressed shape formed in the resin layer 100a is triangular. If the embossed shape of the mold is a trapezoid, 100a are also trapezoidal. In the resin layer 100a, the width of the engraved area belongs to 1 to 10 mu m, the depth to 1 to 10 mu m, and the pitch between the engraved and depressed areas can belong to 200 to 600 mu m. Of course,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width, depth and pitch of the engraving can be variously modified. The resin layer 100a is preferably formed of UV (ultraviolet) resin or thermosetting resin.

전극층(112)은 상기 음각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110a)와 상기 더미 패턴(111) 및 감지 연결부(110b) 및 더미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미도시)는 상기 전극층(112)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도성 재료의 일례로는 동(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니켈-인(Ni-P) 등 일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112 is formed by filling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depressed portion. When the sensing portion 110a, the dummy pattern 111, the sensing connection portion 110b, and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exist,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And is formed on the electrode layer 112. Examples of the conductive material include copper, silver, aluminum, nickel, chromium, nickel-phosphorus, and the like.

감지부(110a)와 더미 패턴(111)는 동시에 형성됨이 가능하며, 동일한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10a)는 터치신호를 감지하고 전송하는 전기적으로 활성인 전극이며, 더미 패턴(111)은 전기적으로 불활성인 전극이다.The sensing unit 110a and the dummy pattern 111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and are formed of the same conductive material.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unit 110a is an electrically active electrode that senses and transmits a touch signal, The pattern 111 is an electrode that is electrically inactiv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전극층(112)에 형성된 감지부(110a), 더미 패턴(111) 및 감지 연결부(110b) 및 더미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미도시)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블랙층(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층(114)은 상기 음각의 전극층(112) 상부 또는 수지층(100a)과 전극층(112) 사이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블랙층(114)은 수지층(100a)과 전극층(112) 사이에 적층되어, 수지층(100a)에 형성된 음각에서 전극층(112)을 감싸는 형태의 블랙층(114)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전극층(112)의 시인성을 감소 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7b를 참조하면, 블랙층(114)이 전극층(112)을 감싸는 형태가 아닌 음각의 내부에서 전극층(112)을 덮는 형태로 적층 시킨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판은 블랙층을 이용하여 전극층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랙층은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전도성을 띠며 검은색의 금속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ing portion 110a, a dummy pattern 111, a sensing connection portion 110b, and a dummy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electrode layer 112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a dummy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And the black layer 114 is stacked on the intaglio electrode layer 112 or between the resin layer 100a and the electrode layer 112. In addition, 7A, a black layer 114 is stacked between a resin layer 100a and an electrode layer 112 to form a black layer (not shown) that surrounds the electrode layer 112 at a recessed angle formed in the resin layer 100a Referring to FIG. 7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lack layer 114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of an obtuse angle (not shown) that surrounds the electrode layer 112, And the electrode layer 112 is laminated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the electrode layer 112 inside. Accordingly, the sensing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black layer to prevent the electrode layer from being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black layer is made of a conductive black material including carbon black.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7c를 참조하면, 전극층(112)은 수지층(100a)에 형성된 음각의 내부에 형성될 뿐 아니라 수지층(100a) 상에 양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극층(112)은 양각 형상의 전도성 재료가 수치층(100a)에 전사 또는 리소그래피 공정 등으로 형성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de layer 112 may be formed not only inside the depressed portion formed in the resin layer 100a but also embossed on the resin layer 100a. The electrode layer 112 may be formed by emboss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numerical layer 100a by a transfer process or a lithography process.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8A to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ouch screen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를 참조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100)과 제2 센서부(200)는 서로 접합되어 터치 스크린 센서를 형성한다. 즉 제1 센서부(100)과 제2 센서부(200)는 상, 하부 기판이 되어 서로 접합되며, 이들 사이에는 점착제층(300)이 게재될 수 있다. 접착제층(300)은 광학적 투명 점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로 하여 터치 스크린 센서의 투명성을 유지함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8A, the first sensor unit 100 and the second sensor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 touch screen sensor. That is, the first sensor unit 100 and the second sensor unit 200 are bonded to each other as upper and lower substrates,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0 may be disposed therebetween. The adhesive layer 300 may be made of optical clear adhesive (OCA) to maintain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sensor.

제2 센서부(200)는 기재의 타면에 일정한 방향 제2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부(210a)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지부(210)를 연결하는 제2 감지 연결부(210b)를 포함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타면은 제1 센서부(100) 및 제2 센서부(200)이 동일한 기재에 대하여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기판이 형성되는 면을 일면이라 하였을 때 기판이 형성되지 않은 기재의 다른 면을 타면이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제2 센서부(100, 200)은 서로 등진 상태로 점착제층(300)을 매개로 접합되어 있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기판이 서로 마주보고 접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는 복수의 기재에 대하여 각각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ensing units 210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in the form of electrodes connected in a pattern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sensing connection part 210b connecting the second sensing part 210. [ 8B,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irst sensor unit 100 and the second sensor unit 200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ame substrate, the surface on which one substrate is formed is referred to as one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substrate is not formed is referred to as a surfac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ensor units 100 and 200 are shown to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0, but they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o be. Further, the first sensor portion and the second sensor portion may be formed on each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ubstrate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중 제1 센서부(100)는 상기 제1 감지부(110a)에 인접하며 상기 제1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110a)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1 더미 패턴(111)과 상기 제1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더미 패턴(111)을 연결하는 제1 감지 연결부(110b)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의 일면은 상기 제2 감지부(210a)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더미 패턴(111)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sensor unit 100 of the touch scree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as an electrode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unit 110a and connected in a pattern in the same or similar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first pattern, A plurality of first dummy patterns 111 for reducing the visibility of the sensing unit 110a, and electrodes connected in a pattern in the same or similar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first patterns, And a first dummy pattern 11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ensing unit 210a.

또한 제2 센서부(200)는 상기 제2 감지부(210a)에 인접하며 상기 제2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210a)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2 더미 패턴(211) 및 나아가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더미 패턴(111)을 연결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sensor unit 200 may be formed as an electrode adjacent to the second sensing unit 210a and connected in the same or similar pattern as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attern, thereby reducing the visibility of the sensing unit 210a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dummy patterns 111. The second dummy patterns 211 and the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are formed of electrodes connected in a pattern having the same or similar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pattern,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100)과 제2 센서부(200)의 접합은 제1 센서부(100)에 형성된 제1 감지부(110a)와 제2 센서부(200)에 형성된 제2 감지부(210a)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감지부(110a)의 제1 방향이 좌표축상의 y방향이면, 제2 감지부(210a)의 제2 방향은 좌표축상의 x방향이 될 수 있도록 서로 접합된다.The first sensor unit 100 and the second sensor unit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sensing unit 110a formed on the first sensor unit 10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110a formed on the second sensor unit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portions 210a are bon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sensing unit 110a is the y direction on the coordinate axis,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10a is bonded to the x direction on the coordinate axis.

이 때, 제1 감지부(110a)와 대응하는(마주보는) 위치의 제2 센서부(200)에는 제2 더미 패턴(211)이 형성되며, 제2 감지부(210a)와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센서부(100)에는 제1 더미 패턴(111)이 형성된다. 제1 더미 패턴(111)은 상기 제2 감지부(210a)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일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반대로 제2 더미 패턴(211)은 상기 제1 감지부(110a)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타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dummy pattern 211 is formed on the second sensor unit 2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unit 110a and the second sensor unit 20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or unit 210a. A first dummy pattern 111 is formed on the first sensor unit 100. The first dummy pattern 111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10a. On the contrary, the second dummy pattern 211 is formed on the first sensing unit 210a 110a, respectively, of the substrate.

도 8b를 참조 하면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센서 상에서 X축 방향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00a)의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Y축 방향의 더미 패턴(211)이 기재의 타면에 위치되며, 반대로 Y축 방향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200a)의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X축 방향의 더미 패턴(111)가 기재의 일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감지부(100a)와 제2 감지부(200a)는 교호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신호 입력 시 그 좌표를 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B,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ummy pattern 211 in the Y-axis direction at a position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100a sensing the touch position in the X- And a dummy pattern 111 in the X axis direction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t a position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200a sensing the touch position in the Y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sensing unit 100a and the second sensing unit 200a are arranged alternately so that their coordinates can be calculated when a user's touch signal is input.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는 상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기재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 가능하며 또는 각각 다른 기재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nsor portion and the second sensor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ame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formed on each of different substrates.

다른 기재에 대하여 제1 및 제2 센서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재에 형성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의 접합은 제1 센서부에 형성된 제1 감지부와 제2 센서부에 형성된 제2 감지부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감지부의 제1 방향이 좌표축상의 y방향이면, 제2 감지부의 제2 방향은 좌표축상의 x방향이 될 수 있도록 서로 접합된다.In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nsor portions are formed with respect to different substrates, similar to the case where the first sensor portion and the second sensor portion are formed on the same substrate, the first sensor portion and the second sensor portion, And the second sensing parts formed on the second sensing part are bond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sensing unit is the y-direction on the coordinate axis,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is bonded to the x-direction on the coordinate axis.

이때, 제1 감지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제2 센서부에는 제2 더미 패턴이 형성되며, 제2 감지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센서부에는 제1 더미 패턴이 형성된다. 제1 더미 패턴은 상기 제2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일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반대로 제2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타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econd dummy pattern is formed on the second senso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portion, and a first dummy pattern is formed on the first senso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ing portion. The first dummy patter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f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ensing unit .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9A to 9C are first diagrams showing the shape of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 패턴들(110)과 제2 센서 패턴들(210)은 서로 다른 레이어(layer)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 패턴들(110)은 상부 레이어인 제1 센서부(100)에 배치되고 제2 센서 패턴들(210)은 하부 레이어인 제2 센서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9A to 9C,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layers.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ensor unit 100, which is an upper layer,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may be disposed on a second sensor unit 200, which is a lower layer.

여기서,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20)의 사이에는 점착제층(도시되지 않음)이 게재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Here, an adhesive layer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unit 100 and the second sensor unit 2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때, 도 9a처럼 제1 센서 패턴들(110) 사이와 제2 센서 패턴들(210) 사이에 각각 더미 패턴(111, 211)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더미 패턴들은 센서 패턴들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한 패턴들로서 센서 패턴들과 같이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9A, dummy patterns 111 and 21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respectively, And does not perform the function of sensing the contact position such as the sensor patterns.

예컨대, 제1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 제1 더미 패턴들(111)이 교차 배치될 수 있는데, 제2 센서 패턴들(210)의 위치에 대응하는 빈 영역에 제1 더미 패턴들(111)이 교차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dummy patterns 111 may be interleav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the first dummy patterns 111 may be disposed in the empty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 ) Can be arranged in a crossing manner.

마찬가지로, 제1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 제2 더미 패턴들(211)이 교차 배치될 수 있는데, 제2 센서 패턴들(210)의 위치에 대응하는 빈 영역에 제2 더미 패턴들(211)이 교차 배치될 수 있다.Likewise, the second dummy patterns 211 may be disposed alternately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The second dummy patterns 211 may be disposed in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 Can be arranged in a crossing manner.

또한, 도 9b처럼 제1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는 제1 더미 패턴들(111)이 교차 배치될 수 있고 제2 센서 패턴들(210) 사이에는 더미 패턴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9B, the first dummy patterns 11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the dummy patterns may not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물론, 도 9c처럼 이와 반대로 제2 센서 패턴들(210) 사이에만 제2 더미 패턴들(211)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는 더미 패턴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Of course, as shown in FIG. 9C, the second dummy patterns 211 may be disposed only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and the dummy patterns may not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이러한 더미 패턴들은 센서 패턴들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더미 패턴들은 필요에 따라 인접한 다른 더미 패턴들과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거나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se dummy patterns may be formed with the same size as the size of the sensor patterns and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urther, the dummy patterns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other adjacent dummy patterns as necessary, or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10A to 10C are second diagrams illustrating the shape of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는 제1 센서 패턴들(110)과 제1 더미 패턴들(111)이 교차 배열되는 제1 센서부(100), 및 제2 센서 패턴들(210)과 제2 더미 패턴들(211)이 교차 배열되는 제2 센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 패턴들(110) 사이와 제2 센서 패턴들(210) 사이의 빈 공간에 각각 더미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a touch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100 in which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first dummy patterns 111 are arranged in an intersecting manner, and a second sensor unit 210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211 are arranged in an intersecting manner. That is, the dummy patterns may be dispos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respectively.

이때, 센서 패턴들과 더미 패턴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5㎛ ~ 30㎛ 이내로 하되, 특히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센서 패턴들과 제1 더미 패턴들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제2 센서 패턴들과 제2 더미 패턴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15㎛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sensor patterns and the dummy patterns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5 탆 to 30 탆, particularly preferably 15 탆 or more. 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first dummy patterns o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may be 15 占 퐉.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는 제1 센서 패턴들(110)과 제1 더미 패턴들(111)이 교차 배열되는 제1 센서부(100), 및 제2 센서 패턴들(210)이 배열되는 제2 센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 패턴들(110) 사이의 빈 공간에만 더미 패턴들이 배치되고 제2 센서 패턴들(210) 사이의 빈 공간에는 더미 패턴들이 배치되지 않는다.10B, the touch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100 in which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first dummy patterns 111 are arranged in an intersecting manner, and a second sensor unit 210 And a second sensor unit 200 in which the first sensor unit 200 and the second sensor unit 200 are arranged. That is, the dummy patterns are disposed only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the dummy patterns are not dispos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도 1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는 제1 센서 패턴들(110) 사이의 빈 공간에는 더미 패턴들이 배치되지 않고 제2 센서 패턴들(210) 사이의 빈 공간에만 더미 패턴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C, in the touch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patterns are not arrang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but the dummy patterns are arranged only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It is possible.

이때, 본 발명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그 분할하는 방식은 예컨대, 1)전체 외곽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균등 면적을 갖도록 분할하는 방식, 2)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되 균등 면적을 갖도록 분할하는 방식, 3)가상의 분할 패턴에 따라 분할하되 가상의 분할 패턴 내 라인과 더미패턴 내 메시 간에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분할하는 방식, 4)더미패턴 내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하는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dividing a dummy pattern disposed between sensor patterns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dividing method includes, for example, 1) (2) a method of dividing the mesh into two parts having a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the entire outer shape but having an equal area, (3) dividing according to a virtual division pattern, (4) a method of dividing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viding the mesh, and the like.

이러한 더미패턴의 분할을 통해 센서패턴과 더미패턴이 부분 합선 되면 센서패턴으로부터 해당 더미패턴 중 합선된 서브 더미패턴에만 전류가 유입되어 더미패턴 전체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센서패턴에서 더미패턴으로 유입되는 유전율을 최소화하여 센서 동작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are partially short-circuited by dividing the dummy pattern, current flows only into the short-circuited sub-dummy pattern of the dummy pattern from the sensor pattern, thereby preventing current from flowing into the entire dummy pattern, And the sensor operation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dielectric constant flowing into the dummy pattern from the sensor pattern.

도 11a 내지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11A to 11B are first diagrams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 각각을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하여 형성하되, 더미 패턴의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전체 외곽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균등 면적을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11A to 11B,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dummy patterns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having predetermined shapes, and a part of the pattern having continuity of dummy patterns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entire outer shape and have an equal area.

도 11a에서는 더미 패턴(111)의 파단되는 라인과 더미 패턴 내 메시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11A, the line in which the dummy pattern 111 is broken and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can be formed in parallel.

도 11b에서는 더미 패턴(111)의 파단되는 라인과 더미 패턴 내 메시가 평행하지 않게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Fig. 11B, the line in which the dummy pattern 111 is broken and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y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더미 패턴은 다수 개로 분할되되 더미 패턴 내 메시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전체 외곽 형성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균등 분할된다. 예컨대, 사각형 형상의 더미 패턴(111)은 사각형 형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111g, 111h, 111i)로 분할된다.In other words, the dummy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is equally divided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entire contour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For example, the quadrangular dummy pattern 111 is divided into sub-dummy patterns 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111g, 111h and 111i.

이상의 도 11b에서와 같이 더미 패턴이 파단되는 라인과 더미 패턴 내 메시가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호 모아레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B, since the line in which the dummy pattern is broken and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are formed to have predetermined angle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blem that mutual moiré is generated.

더미 패턴은 패턴의 일부가 끊어져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분할된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게 된다.Since the dummy patter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pattern, the edge of each of the divided sub-dummy patterns is formed to be opened.

서브 더미 패턴의 경계에서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서브 더미 패턴들 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끊어진 것으로 서브 더미 패턴의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가장자리가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A part of the pattern at the boundary of the sub-dummy pattern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sub-dummy patterns. Also, the edge of the pattern of the sub-dummy pattern is formed to be disconnected, meaning that the edge is not connected to the edge electrode do.

서브 더미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됨으로써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어 연속성이 사라져 단절되어 보이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전극을 사용자가 연속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게 한다.The edge of the sub dummy pattern is connected to the edge electrode,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the continuity disappears and is disconnected. In addition, although the electrode is separated at a minute interval, the electrode is recognized as continuous by the user as a whole.

이때, 본 실시예처럼 더미 연결부가 없을 경우 더미 패턴의 외곽 형상을 명확히 알 수 있지만, 더미 연결부가 있을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더미 연결부와 더미 패턴 간의 구획을 적절히 나누어서 더미 패턴의 외곽 형상을 정의해야 한다.In this case, the outer shape of the dummy pattern can be clearly known when there is no dummy connection por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if there is a dummy connection portion, the outer shape of the dummy pattern should be defined by appropriately dividing the division between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and the dummy pattern do.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12A and 12B are second diagrams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내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 각각을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하여 형성하되, 더미 패턴의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되 균등 면적을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12A to 12B,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dummy patterns disposed between sensor pattern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art of the pattern having continuity of dummy patterns So as to have a uniform area but different shape from the shape of the entire outer periphery.

도 12a에서는 분할되지 않은 상태의 육각형 형상을 갖는 더미 패턴(111)을 보여주고 있다.12A shows a dummy pattern 111 having a hexagonal shape without being divided.

도 12b에서는 육각형 형상의 더미 패턴(111)을 분할하여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는 서브 더미 패턴들을 형성하되 각 더미 패턴들의 면적은 동일하게 된다.In FIG. 12B, the hexagonal dummy patterns 111 are divided to form sub dummy patterns having different shapes from those of the entire outline, and the areas of the dummy patterns are the same.

예컨대, 도 12a처럼 육각형 형상을 갖는 더미 패턴(111)의 면적이 90이라고 하면, 도 12b처럼 육각형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갖는 9개의 서브 더미 패턴들(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111g, 111h, 111i) 각각의 면적이 10이 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rea of the hexagonal dummy pattern 111 is 90 as shown in FIG. 12A, nine sub-dummy patterns 111a, 111b, 111c, 111d, 111e, and 111f , 111g, 111h, and 111i is 10.

이상의 도 12b에서와 같이 더미 패턴이 파단되는 라인과 더미 패턴 내 메시 간에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호 모아레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B, since the line in which the dummy pattern is broken and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are formed to have predetermined angle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blem that mutual moire can be generated.

더미 패턴은 패턴의 일부가 끊어져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분할된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게 된다.Since the dummy patter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pattern, the edge of each of the divided sub-dummy patterns is formed to be opened.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3 도면이다.13A through 13B are third diagrams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내지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 각각을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하여 형성하되, 더미 패턴의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고 다른 면적을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13A to 13B,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dummy patterns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having predetermined shapes, and a part of the pattern having continuity of dummy patterns So as to have a different area from that of the entire outer shape.

도 13a에서는 가상의 분할 패턴(130) 내 라인과 더미패턴(111) 내 메시 간에 서로 평행하게 분할한다.13A, the lines in the virtual divided pattern 130 and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111 are divided in parallel to each other.

도 13b에서는 가상의 분할 패턴(130) 내 라인과 더미패턴(111) 내 메시 간에 서로 평행하지 않게 분할한다.In Fig. 13B, the lines in the virtual divided pattern 130 and the meshes in the dummy pattern 111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이때, 본 발명은 가상의 분할 패턴을 이용하여 분할하되 가상의 분할 패턴 내 라인과 더미패턴 내 메시 간에 서로 평행하거나 평행하지 않게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 이렇게 분할된 서브 더미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더미 패턴이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고 다른 면적을 갖도록 분할된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by using a virtual division pattern, but dividing the line in the virtual division pattern and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not parallel or parallel to each other. At least one sub dummy pattern among the divided sub dummy patterns is divided so as to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ntire outer shape and to have a different area.

이상의 도 13b에서와 같이 더미 패턴이 파단되는 라인과 더미 패턴 내 메시 간에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호 모아레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B, since the line in which the dummy pattern is broken and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are formed to have predetermined angle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blem that mutual moire can be generated.

또한 더미 패턴 내 메시를 서로 평행하지 않게 분할하여 서브 더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모아레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인성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Further, dividing the meshes in the dummy pattern so as not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forms a sub-dummy pattern, which can prevent moiré, and can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visibility.

더미 패턴은 패턴의 일부가 끊어져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분할된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게 된다.Since the dummy patter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pattern, the edge of each of the divided sub-dummy patterns is formed to be opened.

여기서, 본 발명은 가상의 분할 패턴을 이용하여 더미 패턴을 분할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데, 가상의 분할 패턴은 도 11a 내지 도 12b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principle of dividing a dummy pattern using a virtual divided pattern, and a virtual divided pattern can be applied to both of FIGS. 11A to 12B.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4 도면이다.FIGS. 14A and 14B are fourth views illustrating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내지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 각각을 다수 개의 기 설정된 형태로 분할하여 형성하되, 더미 패턴의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더미패턴 내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4A to 14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dummy patterns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atterns, and a part of the pattern having continuity of the dummy patterns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mesh by regularly or irregularly breaking i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이렇게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서브 더미 패턴의 길이는 0.3mm ~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regularly or irregularly formed sub-dummy pattern is preferably 0.3 mm to 1.5 mm.

도 14a에서는 더미패턴(111) 내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할 수 있는데,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Fig. 14A, the meshes in the dummy pattern 111 can be regularly broken and divid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can be formed to be the same.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파단된 선의 길이 Lx와 세로 방향으로 파단된 선의 길이 Ly는 동일하다.For example, the length Lx of the line broke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ength Ly of the line brok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the same.

도 14b에서는 더미패턴(111) 내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할 수 있는데,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In Fig. 14B, the meshes in the dummy pattern 111 can be irregularly broken and divid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can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물론 파단된 선들의 길이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can be formed different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판단된 선들의 길이 Lx1과 Lx2 또는 Ly1와 Ly2는 랜덤하게 결정되어 서로 다르다.For example, the lengths Lx1 and Lx2 or Ly1 and Ly2 of the lines determ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determined randomly a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더미 패턴은 패턴의 일부가 끊어져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분할된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게 된다.Since the dummy patter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pattern, the edge of each of the divided sub-dummy patterns is formed to be opened.

이상에서 설명한 도 11a 내지 도 14b에서와 같이 더미 패턴을 다수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하되, 분할된 각 서브 더미 패턴은 단위 메시 5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이유는 시인성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11A to 14B,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dummy pattern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and each divided sub-dummy pattern is desirably formed with five or more unit meshes, which i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visibility .

이때, 본 발명은 센서 패턴들 사이에 더미 패턴을 배치하되,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사이에 위치하여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간의 경계면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더미 패턴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보조 더미 패턴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더미 패턴은 필요에 따라 분할되어 형성할 수 있다.The dummy patterns are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The sensor patter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s and the dummy patterns. The dummy patterns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ummy patterns. Can be additionally formed. Further, the auxiliary dummy pattern can be formed by dividing it as necessary.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5 도면이다.FIG. 15 is a fifth diagram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더미 패턴들 간에 더미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 더미 패턴(111)을 배치하고,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사이에 보조 더미 패턴(112)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센서패턴과 더미패턴 사이에는 다수개의 보조 더미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다.15, when a dummy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dummy patterns, a dummy pattern 111 is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and a dummy pattern 111 is formed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s 111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can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In addi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dummy patterns may be formed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as neede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더미 패턴과 더미 연결부를 구분하지 않고 더미 패턴으로만 설명하고 있지만, 더미 연결부를 포함하는 더미 패턴을 의미하는 것이다.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pattern and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are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ut only the dummy pattern, but the dummy pattern includes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이때,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되,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더미 패턴(112)은 일측의 센서 패턴(110)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타측의 더미 패턴(111)과도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nsor pattern 110 on one sid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ummy pattern 111 on the other side.

또한,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의 이격 거리와 더미 패턴(111)과의 이격 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istance from the dummy pattern 111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렇게 형성된 보조 더미 패턴(112)은 해당 센서 패턴(110)의 외곽선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센서 패턴(110)의 외곽선과 동일한 형상을 갖게 된다.Sinc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utline of the sensor pattern 110,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has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 of the sensor pattern 110.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동일한 방향의 동일한 라인 예컨대, X축 방향의 동일한 x좌표 또는 Y축 방향의 동일한 y좌표 상에는 하나의 보조 더미 패턴(1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Sinc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the same x-coordinate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same y-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물론, 동일한 방향의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하는 보조 더미 패턴(112)은 연속성이 있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즉,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다수 개의 보조 더미 패턴(112)으로 분할될 수 있다.Of course, the auxiliary dummy patterns 112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same direction can be formed in a continuous patter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divided as necessary. That is, a part of the continuity pattern may be broken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uxiliary dummy patterns 112.

또한 더미 패턴(111)은 다수 개의 기 설정된 형태로 분할되어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mmy pattern 111 may be form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connecting the meshes constituting the dummy pattern formed or arranged 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hapes.

이러한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게 된다.The edge of each of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opened.

이처럼,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경계에서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끊어진 것으로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가장자리가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A part of the pattern is broke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are formed so that the edges of the patterns are not open to the edge electrodes.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더미 패턴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uxiliary dummy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더미 패턴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는데, 일측의 센서 패턴(110)과 기 설정된 거리 d1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패턴(110)과의 이격 거리 d1은 30㎛ 이하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auxiliary dummy pattern is form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pattern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1. Her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sensor pattern 110 may be 30 占 퐉 or less.

반면 보조 더미 패턴(112)은 타측의 더미 패턴(111)과도 기 설정된 거리 d2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더미 패턴(111)과의 이격 거리 d2는 20㎛ 이하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dummy pattern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2. Here, the distance d2 between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and the dummy pattern 111 may be 20 占 퐉 or less.

이렇게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의 이격 거리와 더미 패턴(111)과의 이격 거리가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to have a spacing distance from the sensor pattern 110 and a spacing distance from the dummy pattern 111 to have the same or a different spacing distance.

또한,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사이에 띠 형태로 형성되는데, 두께 w는 일정한 크기일 수 있다. 여기서, 두께 w는 100㎛ 이하가 될 수 있다.Also,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in a band shap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thickness w may be a constant size. Here, the thickness w may be 100 탆 or less.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6 도면이다.17 is a sixth diagram showing a form of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더미 패턴들 간의 더미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 더미 패턴(111)을 배치하고,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사이에 보조 더미 패턴(112)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17, when a dummy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dummy patterns, a dummy pattern 111 is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and a sensor pattern 110 and a dummy pattern 111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can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본 발명에서는 더미 패턴(111a)과 더미 연결부(111b)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pattern 111a and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111b may be physically separated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되,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더미 패턴(112)은 일측의 센서 패턴(110)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타측의 더미 패턴(111)과도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nsor pattern 110 on one sid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ummy pattern 111 on the other side.

또한,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의 이격 거리와 더미 패턴(111)과의 이격 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istance from the dummy pattern 111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렇게 형성된 보조 더미 패턴(112)은 해당 센서 패턴(110)의 외곽선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센서 패턴(110)의 외곽선과 동일한 형상을 갖게 된다.Sinc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utline of the sensor pattern 110,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has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 of the sensor pattern 110.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동일한 방향의 동일한 라인 예컨대, X축 방향의 동일한 x좌표 또는 Y축 방향의 동일한 y좌표 상에는 하나의 보조 더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Sinc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the same x-coordinate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same y- Can be formed.

물론, 동일한 방향의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하는 보조 더미 패턴(112)은 연속성이 있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즉,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다수 개의 보조 더미 패턴(112)으로 분할될 수 있다.Of course, the auxiliary dummy patterns 112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same direction can be formed in a continuous patter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divided as necessary. That is, a part of the continuity pattern may be broken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uxiliary dummy patterns 112.

또한 더미 패턴(111)은 다수 개의 기 설정된 형태로 분할되어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mmy pattern 111 may be form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connecting the meshes constituting the dummy pattern formed or arranged 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hapes.

이러한 더미 패턴(111a)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게 된다. 물론 더미 패턴(111a)과 분리된 더미 연결부(111b)의 가장 자리도 개방되어 형성되게 된다.The edge of each of the dummy pattern 111a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opened. Of course, the edges of the dummy pattern 111a and the separated dummy connection portion 111b are also opened.

이처럼,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경계에서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끊어진 것으로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가장자리가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A part of the pattern is broke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are formed so that the edges of the patterns are not open to the edge electrodes.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7 도면이다.FIGS. 18A and 18B are diagrams showing a dumm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더미 패턴들 간의 더미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 더미 패턴(111)을 배치하고,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사이에 보조 더미 패턴(112)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18A, when a dummy connection portion between dummy patterns is not formed, a dummy pattern 111 is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and a sensor pattern 110 and a dummy pattern 111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can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이처럼 더미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센서 패턴들(110) 간의 간격이 도 15 및 도 17에서 설명한 센서 패턴들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is not formed, the gap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may be narrower than the gap between the sensor patterns illustrated in FIGS.

이때,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되,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더미 패턴(112)은 일측의 센서 패턴(110)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타측의 더미 패턴(111)과도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nsor pattern 110 on one sid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ummy pattern 111 on the other side.

또한,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의 이격 거리와 더미 패턴(111)과의 이격 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istance from the dummy pattern 111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렇게 형성된 보조 더미 패턴(112)은 해당 센서 패턴(110)의 외곽선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센서 패턴(110)의 외곽선과 동일한 형상을 갖게 된다.Sinc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utline of the sensor pattern 110,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has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 of the sensor pattern 110.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동일한 방향의 동일한 라인 예컨대, X축 방향의 동일한 x좌표 또는 Y축 방향의 동일한 y좌표 상에는 하나의 보조 더미 패턴(1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Sinc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the same x-coordinate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same y-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물론, 동일한 방향의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하는 보조 더미 패턴(112)은 연속성이 있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즉,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다수 개의 보조 더미 패턴(112)으로 분할될 수 있다.Of course, the auxiliary dummy patterns 112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same direction can be formed in a continuous patter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divided as necessary. That is, a part of the continuity pattern may be broken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uxiliary dummy patterns 112.

또한 더미 패턴(111)은 다수 개의 기 설정된 형태로 분할되어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mmy pattern 111 may be form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connecting the meshes constituting the dummy pattern formed or arranged 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hapes.

이러한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게 된다.The edge of each of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opened.

이처럼,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경계에서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끊어진 것으로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가장자리가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A part of the pattern is broke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are formed so that the edges of the patterns are not open to the edge electrodes.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더미 패턴들 간의 더미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센서 패턴들(110) 사이에 더미 패턴(111)을 배치하고,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사이에 보조 더미 패턴(112)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The dummy pattern 111 is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and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are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In this cas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can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이처럼 더미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센서 패턴들(110) 간의 간격이 도 15 및 도 17에서 설명한 센서 패턴들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is not formed, the gap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may be narrower than the gap between the sensor patterns illustrated in FIGS.

이때,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간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되, 센서 패턴(110)과 더미 패턴(111)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더미 패턴(112)은 일측의 센서 패턴(110)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타측의 더미 패턴(111)과도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form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ummy pattern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nsor pattern 110 on one sid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ummy pattern 111 on the other side.

또한, 보조 더미 패턴(112)은 센서 패턴(110)과의 이격 거리와 더미 패턴(111)과의 이격 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distance from the dummy pattern 111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렇게 형성된 보조 더미 패턴(112)은 해당 더미 패턴(110)의 외곽선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더미 패턴(110)의 외곽선과 동일한 형상을 갖게 된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formed in this mann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utline of the dummy pattern 110 and thus has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 of the dummy pattern 110.

보조 더미 패턴(112)은 더미 패턴(111)의 외곽선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더미 패턴(112)은 더미 패턴(111)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더미 패턴(111)마다 외곽을 둘러싸도록 하나의 보조 더미 패턴(1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보조 더미 패턴(112)마다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along the outline of the dummy pattern 111. [ Since the auxiliary dummy patterns 112 are formed along the outline of the dummy pattern 111, on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may be formed for each dummy pattern 111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meter. That is, the auxiliary dummy patterns 112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물론, 더미 패턴을 둘러싸는 보조 더미 패턴(112)은 연속성이 있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즉,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다수 개의 보조 더미 패턴(112)으로 분할될 수 있다.Of course,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surrounding the dummy pattern can be formed as a continuous pattern,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can be divided as necessary. That is, a part of the continuity pattern may be broken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uxiliary dummy patterns 112.

또한 더미 패턴(111)은 다수 개의 기 설정된 형태로 분할되어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mmy pattern 111 may be form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connecting the meshes constituting the dummy pattern formed or arranged 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hapes.

이러한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게 된다.The edge of each of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is opened.

이처럼,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경계에서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끊어진 것으로 더미 패턴(111)과 보조 더미 패턴(112) 각각의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가장자리가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A part of the pattern is broke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111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 112 are formed so that the edges of the patterns are not open to the edge electrodes.

이처럼 본 발명은 X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부와 Y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로 구성되어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서로 접합되어 형성된 터치 스크린 센서에 다양한 형태의 더미 패턴을 적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X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패턴들과 Y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 패턴들을 단일 기판의 표면에 함께 배열하도록 구성된 터치 스크린 센서에도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ensor unit including first sensor patterns for sensing an X coordinate and a second sensor unit including second sensor patterns for sensing a Y coordina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patterns for sensing the X coordinate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for sensing the Y coordinate may be classified into a single sensor pattern, But also to a touch screen sensor configured to be arranged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물론, 여기서는 단일 기판의 표면에 제1 센서 패턴과 제2 센서 패턴들이 모두 형성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 기판 상에 제1 센서 패턴과 제2 센서 패턴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irst sensor pattern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a single substrate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sensor pattern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It can be formed.

예컨대,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센서 패턴들과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센서 패턴들이 단일 기판의 표면 양 측면에 각각 배열하도록 구성된 터치스크린 센서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더미 패턴을 적용 할 수 있다.For example, a touch screen sensor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ensor pattern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of a single substrate, respectively, Patterns can be applied.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는 하나의 센서부(1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센서부(100)는 X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패턴들(110)과 Y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 패턴들(210)을 하나의 기판에 배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19, the touch scree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sensor unit 100. Here,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first sensor patterns 110 for sensing the X coordinate, And second sensor patterns 210 for sensing the Y coordinate on one substrate.

이때, 제1 센서 패턴들을 센싱 신호를 감지하는 센싱 전극이라 하고 제2 센서 패턴들을 제1 센서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구동 신호를 감지하는 구동 전극이라 가정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ensor patterns may be a sensing electrode sensing a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may be a driving electrod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sensor patterns to sense a driving signal.

이러한 복수의 센싱 전극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감지바 형태로 배치되고 복수의 구동 전극 각각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가로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나타내고 제2 방향은 세로 방향 또는 Y축 방향을 나타낸다.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may be arranged in a sensing bar shape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may b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Here, the first direction indicates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X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Y axis direction.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Y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 패턴들(210)이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센서 패턴들(210)에 나란히 인접하여 X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센서 패턴들(110)이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for sensing the long Y-coordin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X-coordinate is detected adjacent to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A plurality of first sensor pattern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즉, 하나의 제2 센서 패턴들(210)마다 다수의 제1 센서 패턴들(110)이 나란히 배치된다.That is, a plurality of first sensor patterns 110 are arranged side by side for each one of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이와 같이 배치되는 하나의 센싱 전극과 다수의 구동 전극을 포함하는 감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영역은 하나의 센싱 전극과 다수의 구동 전극 사이의 포함 관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 sensing region including one sensing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rrang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The sensing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clusion relation between one sensing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렇게 배치된 제1 센서 패턴들(110)과 제2 센서 패턴들(210) 각각에 배선 전극(40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배선 전극(400)은 제1 센서 패턴들(110)과 제2 센서 패턴들(210)로부터 감지된 터치 신호를 외부 구동회로(미도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wiring electrodes 4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respectively. Here, the wiring electrode 400 transmits touch signals sensed from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not shown).

또한, 제1 센서 패턴들(110) 또는 제2 센서 패턴들(210)과 배선 전극 사이에 더미 패턴(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패턴들(110) 각각에 배선전극들이 연결됨에 따라 배선 전극들 사이에 공간이 생기며, 그 공간에 더미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크기에 따라 더미 패턴의 크기는 달라 질 수 있다. 이러한 더미 패턴(111)은 제1 센서 패턴들(110) 또는 제2 센서 패턴들(210)과 유사한 형상의 패턴 또는 동일한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dummy pattern 111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or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and the wiring electrodes. Also, as the wiring electrode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wiring electrodes, and a dummy pattern can be formed in the space. Also, the size of the dummy pattern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pace. The dummy pattern 111 may be formed in a pattern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ensor patterns 110 or the second sensor patterns 210 or a pattern having the same shape.

이렇게 다수의 센싱 전극과 다수의 감지 전극은 기판의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 단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the substrate to form a single layer structure.

이때 한장의 기판에 제1 센서 패턴과 제2 센서 패턴을 형성할 때 메탈 메시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ITO는 구부릴 수 없기 때문에 플렉서블 기판에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중대형 면적에서 사용하는 불가능한 반면 메탈 메시는 플렉서블과 중대형 면적에 사용 가능할 뿐 아니라 ITO에 비해 응답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At this time, when forming the first sensor pattern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 on a single substrate, the metal mesh is formed. Because ITO can not be bent, it can not be used for a flexible substrate and can not be used in a medium and large area. Mesh is not only flexible and medium-sized, but also has a faster response time than ITO.

또한 한장의 기판에 제1 센서 패턴과 제2 센서 패턴을 형성할 때 더미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메탈 메시로 구성할 때 모아레가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빈 공간에 더미 패턴을 형성하여 모아레를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 dummy pattern is formed when the first sensor pattern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 are formed on a single substrate. This is because a moiré occurs when a metal mesh is formed, so a dummy pattern is formed in the empty space It is to prevent moire.

또한, 기판상에 패턴 밀집도 차이에 의해 패턴이 시인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빈 공간에 더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고루한 패턴으로 인해 패턴이 시인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since a phenomenon that a pattern is visually recognized by a difference in density of patterns on a substrate occurs, a dummy pattern is formed in an empty space in order to suppress the phenomenon that a pattern is visually recognized due to a uniform pattern.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센서 패턴, 더미 패턴, 배선 전극의 형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2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ensor pattern, the dummy pattern, and the wiring electrode shown in Fig.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9의 영역 A를 확대하여 살펴보면 센서 패턴(110, 210), 더미 패턴(111), 배선 전극(400)은 하나의 센서부에 형성되고,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정한 방향의 패턴이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메시 형상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20, the sensor patterns 110 and 210, the dummy patterns 111, and the wiring electrodes 400 are formed on one sensor portion, and the sensor patterns 110 and 210, . The pattern in a certain direction is preferably a mesh-like pattern in which lines formed in a certain direction as a continuous pattern cross each other.

센서 패턴(110, 210), 더미 패턴(111), 배선 전극(400) 각각의 가장 자리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패턴(110, 210), 더미 패턴(111), 배선 전극(400) 각각의 경계에서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끊어진 것으로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가장자리가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The edge of each of the sensor patterns 110 and 210,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wiring electrode 400 may be opened. A part of the patter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and 210, the dummy pattern 111 and the wiring electrode 400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Is not connected to the edge electrode.

이러한 센서 패턴(110, 210), 더미 패턴(111), 배선 전극(400)은 양각 형상 또는 음각 형상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센서 패턴(110, 210)과 배선 전극(400)은 전기적으로 활성인 전극으로 형성되고 더미 패턴(111)은 전기적으로 불황성인 전극으로 형성된다.The sensor patterns 110 and 210, the dummy patterns 111 and the wiring electrodes 400 may be formed using embossed or depressed shapes. The sensor patterns 110 and 210 and the wiring electrodes 400 may be electrically And the dummy pattern 111 is formed of an electrode that is electrically depressurized.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더미 패턴의 배치 위치와 형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arrangement position and a shape of the dummy pattern shown in FIG.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9의 영역 B를 확대하여 살펴보면 센서 패턴(110, 210)과 배선 전극(400) 사이에 더미 패턴(111)을 형성하되, 이러한 더미 패턴(111)은 센서 패턴(110, 210)과 배선 전극(400) 간의 간격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19, the dummy pattern 111 is form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and 210 and the wiring electrode 400, and the dummy pattern 111 is formed between the sensor pattern 110 and the wiring electrode 400, The size of the electrode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110 and 210 and the wiring electrodes 400.

예컨대, 더미 패턴(111a2)은 더미 패턴(111a1)보다 그 폭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는데, 센서 패턴(110, 210)과 배선 전극(400) 간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더미 패턴(111)의 폭도 넓어지게 된다.이때, 더미 패턴은 분할되어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패턴들로 형성될 수 있다. 더미 패턴들 각각은 서로 다른 개수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더미 패턴의 크기에 따라 서브 더미 패턴의 개수가 달라 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dummy pattern 111a2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dummy pattern 111a1.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and 210 and the wiring electrode 400 increases, At this time, the dummy pattern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Each of the dummy patterns may be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a different number of sub-dummy pattern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ub-dummy patterns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ummy pattern.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더미 패턴(111)이 센서 패턴(110,210)과 배선 전극(400)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 패턴과 센서 패턴 사이 또는 배선 전극과 배선 전극 사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더미 패턴(111)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데, 그 방식은 다양하다.Although a dummy pattern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110 and 210 and the wiring electrode 400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etween the electrodes, or the like. The dummy pattern 111 thus forme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일 예로, 1)도 11a 내지 도 11b처럼, 더미 패턴의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전체 외곽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균등 면적을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For example, (1)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a part of a pattern having continuity of a dummy pattern may be broken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entire outer shape and have a uniform area.

이때, 도 11a처럼 더미 패턴의 파단되는 라인과 더미 패턴 내 메시가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도 11b처럼 더미 패턴과 파단되는 라인과 더미 패턴 내 메시가 평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ne in which the dummy pattern is broken and the meshes in the dummy pattern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or the meshes in the dummy pattern and the line in which the dummy pattern is broken as shown in FIG. 11B are not parallel but have a predetermined angle.

다른 예로, 2)도 12a 내지 도 12b처럼, 더미 패턴의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성을 갖되, 균등 면적을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2) it is possible to divide a part of the pattern having continuity of the dummy pattern, as shown in Figs. 12A to 12B, so as to have a uniform area but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entire outer periphery.

다른 예로, 3)도 13a 내지 도 13b처럼, 더미 패턴의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고 다른 면적을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3) a part of the pattern having the continuity of the dummy pattern may be cut off as shown in FIGS. 13A to 13B so as to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the entire outer shape and have different areas.

이때, 도 13a처럼 가상의 분할 패턴 내 라인과 더미 패턴 내 메시 간에 서로 평행하게 분할되거나, 도 13b처럼 가상의 분할 패턴 내 라인과 더미 패턴 내 메시 간에 서로 평행하지 않게 분할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nes in the hypothetical divided pattern and the meshes in the dummy pattern may be di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3A, or may not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meshes in the virtual divided pattern and the meshes in the dummy pattern as shown in FIG.

다른 예로, 도 14a 내지 도 14b처럼, 더미 패턴의 연속성이 있는 패턴의 일부를 끊어서 더미 패턴 내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규칙적 또는 볼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14A to 14B,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can be divided by dividing the meshes regularly or ball-regular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breaking a part of the continuity pattern of the dummy pattern.

이때, 도 14a처럼 더미 패턴 내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규칙적으로 파단하고 그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도 14b처럼 더미 패턴 내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판단하고 그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4A, the meshes in the dummy pattern are regularly broke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are formed to be the same, or the mesh in the dummy pattern is irregularly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s shown in FIG. The lengths of the lines can be formed differently.

다른 예로, 도 15처럼 더미 패턴들 간에 더미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센서 패턴들 사이에 더미 패턴을 배치하고,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사이에 보조 더미 패턴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dummy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dummy patterns as shown in FIG. 15, a dummy patter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tterns, and an auxiliary dummy pattern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다른 예로, 도 17처럼 더미 패턴들 간의 더미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사이에 보조 더미 패턴을 추가로 형성하되, 더미 패턴과 더미 연결부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dummy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dummy patterns as shown in FIG. 17, an auxiliary dummy pattern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so that the dummy pattern and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다른 예로, 도 18a 내지 도 18b처럼, 더미 패턴들 간의 더미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사이에 보조 더미 패턴을 추가로 형성하되, 도 18a처럼 센서 패턴들 간의 간격이 도 15 및 도 17에서 설명한 센서 패턴들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거나 도 18b처럼 더미 패턴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no dummy connection is formed between the dummy patterns, an auxiliary dummy pattern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as shown in FIGS. 18A and 18B,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gap between the sensor patterns described in FIG. 17 or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ummy pattern as shown in FIG. 18B.

이때, 더미 패턴과 보조 더미 패턴 각각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dummy patterns and the auxiliary dummy pattern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또한 보조 더미 패턴은 더미 패턴의 형태나 위치에 따라 센서 패턴과 더미 패턴 사이뿐 아니라 센서 패턴과 센서 패턴 사이, 또는 배선 전극과 배선 전극 사이에도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ummy pattern may be formed not only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dummy pattern but also between the sensor pattern and the sensor pattern or between the wiring electrode and the wiring electrode depending on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dummy pattern.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 센서부
110: 제1 센서 패턴
110a: 제1 감지부
110b: 제1 감지 연결부
111, 111a: 제1 더미 패턴
111b: 제1 더미 연결부
200: 제2 센서부
210: 제2 센서 패턴
210a: 제2 감지부
210b: 제2 감지 연결부
211, 211a: 제2 더미 패턴
211b: 제2 더미 연결부
300: 점착제층
400: 배선전극
100: first sensor unit
110: first sensor pattern
110a: first sensing unit
110b: first sensing connection
111, 111a: first dummy pattern
111b: first dummy connection portion
200: second sensor unit
210: second sensor pattern
210a: a second sensing unit
210b: second sensing connection
211, 211a: a second dummy pattern
211b: second dummy connection portion
300: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400: wiring electrode

Claims (30)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1 센서 패턴들 사이에 제1 더미 패턴들이 배열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센서 패턴들 사이에 제2 더미 패턴들이 배열되는 제2 센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A first sensor unit having first sensor pattern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nd first dummy patterns arrang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A second sensor part overlapping the first sensor part and having second sensor pattern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nd second dummy patterns arrang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Wherein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each comprise at least two or more sub dummy pattern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tructure of pa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들은 상기 제2 센서 패턴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더미 패턴들은 상기 제1 센서 패턴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ummy patterns ar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patterns,
Wherein the second dummy patterns are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patter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개수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comprises at least two or more sub dummy patterns and includes a different number of sub dummy patterns. The structure of the touch pad using.
제1 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경계선은 해당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undary of each of the separated at least two sub dummy patterns is formed to be parallel to a direction of a mesh forming the dummy pattern.
제1 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경계선은 해당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undary of each of the separated at least two sub dummy patterns is form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a direction of a mesh forming the dummy pattern.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은 제1 더미 패턴 또는 제2 더미 패턴의 전체 외곽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균등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ncludes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each of the two or more sub dummy patterns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entire outer shape of the first dummy pattern or the second dummy pattern and have a uniform area. Structure of pa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은 제1 더미 패턴 또는 제2 더미 패턴의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되 균등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ncludes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each of the two or more sub dummy patterns has a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the first dummy pattern or the second dummy pattern and has a uniform area. Structure of the touch pa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은 제1 더미 패턴 또는 제2 더미 패턴의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고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ncludes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each of the two or more sub dummy patterns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the first dummy pattern or the entire outline of the second dummy pattern and has a different area. Structure of the touch pa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그 내부의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comprises at least two sub dummy patterns physically separat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posing meshes therein. Structure of the touch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할 수 있는데,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s capable of regularly breaking and dividing the mes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rein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are formed to be the same. The structure of the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할 수 있는데,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s capable of dividing the mesh by irregularly breaking the mes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rein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tructure of the touch pad using a dummy pattern f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패턴과 상기 제1 더미 패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센서 패턴과 상기 제1 더미 패턴 간의 경계면을 따라 이격되어 제1 더미 패턴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제1 보조 더미 패턴; 및
상기 제2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더미 패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더미 패턴 간의 경계면을 따라 이격되어 제2 더미 패턴과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제2 보조 더미 패턴;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 and the first dummy pattern and spaced apart from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 and the first dummy pattern and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dummy pattern; And
A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locat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and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and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second dummy pattern;
The touch 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pad is a touch pad.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1 센서 패턴들 사이에 제1 더미 패턴들과 제1 보조 더미 패턴이 배열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센서 패턴들 사이에 제2 더미 패턴들과 제2 보조 더미 패턴이 배열되는 제2 센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보조 더미패턴은상기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간의 경계면을 따라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은 상기 제2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보조 더미패턴은상기 제2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간의 경계면을 따라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A first sensor unit in which first dummy patterns and a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re arranged between first sensor pattern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And second sensor pattern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nd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and second dummy patterns and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s arrang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2 sensor unit;
Wherein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is spac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The touchpa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과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 각각은 해당하는 상기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센서 패턴들의 외곽선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센서 패턴들과 상기 제2 센서 패턴들의 외곽선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outline of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Wherein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have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 of the first sensor patterns and the second sensor patterns.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과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 각각은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상기 제2 더미 패턴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더미 연결부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Wherein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s coupled to a dummy connection portion.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과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 각각은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상기 제2 더미 패턴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 각각은 더미 연결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Wherein each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ummy connection portion. ≪ RTI ID = 0.0 > 8. The < / RTI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더미 패턴과 상기 제2 보조 더미 패턴 각각은 상기 제1 더미 패턴들, 상기 제2 더미 패턴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제2 더미 패턴들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uxiliary dummy pattern and the second auxiliary dummy pattern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Wherein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ar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edges of the first dummy pattern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기판에 형성되어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패턴들;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배선 전극들; 및
상기 다수의 센서패턴들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다수의 더미 패턴들;
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A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sensing a touch signal;
A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to transmit the touch signal; And
A plurality of dummy pattern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or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comprises at least two sub dummy patterns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은,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센서 패턴들; 및
상기 제1 센서패턴들이 배치된 동일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센서 패턴들;
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패턴들은 상기 제2 센서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제1 센서패턴들에 상기 배선전극들이 연결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A plurality of first sensor patterns arranged on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patterns arranged on a same plane on which the first sensor patterns ar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dummy patterns are arranged in a space formed by connecting the wiring electrodes to the first sensor pattern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ensor patterns. Structure of the touchpad used.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은,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센서 패턴들;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센서 패턴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A plurality of first sensor patterns arranged on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patterns arrang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touch 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pad is a touch pad.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더미패턴들은 상기 다수의 센서패턴들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a size of a spac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or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Structure of pads.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개수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comprises at least two sub dummy patterns, and the sub dummy patterns comprise a different number of sub dummy patterns. .
제18 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경계선은 해당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boundary of each of the separated at least two sub dummy patterns is formed to be parallel to a direction of a mesh forming the dummy pattern.
제18 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의 경계선은 해당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메시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 boundary of each of the separated at least two sub dummy patterns is form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a direction of a mesh forming the dummy pattern.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 각각은 해당 더미 패턴의 전체 외곽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고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comprises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each of the two or more sub dummy patterns has a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the entire outer shape of the corresponding dummy pattern and has a different area.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그 내부의 메시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단선시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더미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comprises at least two or more sub-dummy patterns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by regularly or irregularly disconnecting meshes in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Structure of pads.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각각은 메시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파단하여 분할하되, 파단된 선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is formed by irregularly breaking and dividing the mes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rein the lengths of the broken lin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tructure.
기판에 형성되어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 패턴들;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배선 전극들;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 전극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다수의 더미 패턴들; 및
상기 다수의 센서 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다수의 배선 전극들과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더미 패턴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A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sensing a touch signal;
A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to transmit the touch signal;
A plurality of dummy pattern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or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dummy pattern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or between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The touch 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pad is a touch pad.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더미패턴들은 상기 다수의 센서패턴들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a size of a spac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patterns or the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Structure of pads.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더미 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보조 더미 패턴들 각각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mmy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dummy pattern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 RTI ID = 0.0 > 11. < / RTI >
KR1020140023103A 2013-02-27 2014-02-27 Touch pad structure using dummy pattern for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KR1024308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292 2013-02-27
KR20130021292 2013-02-27
KR20130046727 2013-04-26
KR1020130046727 2013-04-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478A Division KR101449493B1 (en) 2014-04-14 2014-04-14 Touchscreen panel with dummy pattern
KR1020140044479A Division KR101449499B1 (en) 2014-04-14 2014-04-14 Touchscreen panel with dummy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142A true KR20140107142A (en) 2014-09-04
KR102430886B1 KR102430886B1 (en) 2022-08-09

Family

ID=5175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103A KR102430886B1 (en) 2013-02-27 2014-02-27 Touch pad structure using dummy pattern for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6674257B2 (en)
KR (1) KR102430886B1 (en)
CN (1) CN105009050B (en)
TW (1) TWI615759B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31A1 (en) * 2014-12-30 2016-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KR20160122900A (en) * 2015-04-14 2016-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7430458A (en) * 2015-03-19 2017-12-01 三菱制纸株式会社 Pattern formation method
KR20180046765A (en) * 2016-10-28 2018-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Strip substrate
KR20190051821A (en) * 2017-11-06 2019-05-15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KR20200002212U (en) * 2019-03-28 2020-10-08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Capacitive touch glass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4677B (en) * 2014-10-03 2016-05-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Touch panel
KR101643968B1 (en) * 2015-12-21 2016-08-01 (주)라온스퀘어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bject data using slot device with object card insert slot
JP6605383B2 (en) * 2016-04-01 2019-11-13 株式会社Vtsタッチセンサー Touch sensor electrod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TWI611324B (en) * 2016-05-12 2018-01-11 敦泰電子有限公司 Touch electrode structure
JP2017227983A (en) * 2016-06-20 2017-12-28 凸版印刷株式会社 Touch sensor electrod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0073319B (en) * 2016-12-14 2022-05-03 夏普株式会社 Wiring board, position input device, display panel with position input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board
CN106843625B (en) * 2017-01-18 2020-01-14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Reduced visibility metal grid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7908710A (en) * 2017-03-06 2024-04-19 富士胶片株式会社 Conductive member and touch panel
JP6369589B1 (en) * 2017-03-30 2018-08-08 Smk株式会社 Capacitive touch panel
TWI613578B (en) * 2017-04-10 2018-0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Touch electrode array and touch display apparatus
KR102491224B1 (en) 2017-06-01 2023-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KR102348022B1 (en) * 2017-07-11 2022-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display device
JP7375294B2 (en) 2017-07-28 2023-11-08 Tdk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substrat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9036005A (en) 2017-08-10 2019-03-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JP2019079133A (en) * 2017-10-20 2019-05-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Touch panel
KR20190067621A (en) * 2017-12-07 2019-06-17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sensor panel
TWI632503B (en) * 2017-12-15 2018-08-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Touch panel
CN108776551B (en) * 2018-05-31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rray substrate and touch screen
CN110658957A (en) * 2018-06-28 2020-01-07 宸美(厦门)光电有限公司 Touch panel
CN108958561B (en) * 2018-06-30 2022-08-12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159857B2 (en) * 2018-12-26 2022-10-25 凸版印刷株式会社 Touch sensor electrod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9782953B (en) * 2019-01-21 2022-04-15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Touch structure and touch display device
CN114824750A (en) * 2021-01-29 2022-07-29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Antenna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987A (en) * 2008-07-11 2010-0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US20100045625A1 (en) * 2008-08-21 2010-02-25 Tpo Displays Corp. Touch panel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utilizing the same
KR20120131874A (en) * 2011-05-26 2012-1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window
KR20130006296A (en) * 2011-07-06 2013-01-16 (주)멜파스 Panel for sensing touch inpu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KR101196342B1 (en) * 2005-05-26 2012-11-01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Transparent planar body and transparent touch switch
JP4610416B2 (en) * 2005-06-10 2011-01-1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Capacitive touch panel
JP2008129708A (en) * 2006-11-17 2008-06-05 Alps Electric Co Ltd Transparent touch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I367437B (en) * 2007-09-29 2012-07-01 Au Optronics Corp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945483B2 (en) * 2008-02-27 2012-06-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Display panel
CN102016768B (en) * 2008-02-28 2014-11-19 3M创新有限公司 Touch screen sensor having varying sheet resistance
JP4720857B2 (en) * 2008-06-18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Capacitance type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input function
JP5138529B2 (en) * 2008-10-03 2013-02-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Touch panel
KR101048980B1 (en) * 2009-01-16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174745B2 (en) * 2009-06-09 2013-04-03 グンゼ株式会社 Touch switch
JP2011059771A (en) * 2009-09-07 2011-03-24 Hitachi Chem Co Ltd Mesh-shaped conductive pattern and base material with conductor layer pattern and touch panel member
JP5123370B2 (en) * 2010-01-28 2013-01-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nductive sheet, method of using conductive sheet, and capacitive touch panel
JP2011175412A (en) * 2010-02-24 2011-09-08 Shin Etsu Polymer Co Ltd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switch
TWI435292B (en) * 2010-06-17 2014-04-21 Au Optronics Corp Sensing display device
TWI427521B (en) * 2010-09-15 2014-02-21 Au Optronics Corp Capacitive touch sensor and capacitive touch apparatus
JP5606242B2 (en) * 2010-09-24 2014-10-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Display device
JP5667938B2 (en) * 2010-09-30 2015-0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apacitive touch panel
JP5638027B2 (en) * 2011-05-17 2014-1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nductive sheet and capacitive touch panel
KR101978666B1 (en) * 2011-06-10 2019-05-15 미래나노텍(주) Substrate for Touch Screen Sensor, Touch Screen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EP2538313B1 (en) * 2011-06-20 2015-05-20 Melfas, Inc. Touch sensor panel
CN202267943U (en) * 2011-06-29 2012-06-06 苏州超联光电有限公司 Capacitive touch sensing device
JP5681674B2 (en) * 2011-07-11 2015-03-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nductive sheet,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JP5809475B2 (en) * 2011-07-29 2015-11-11 三菱製紙株式会社 Light 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
TWI451300B (en) * 2011-08-05 2014-09-01 Fortrend Taiwan Scient Corp A dummy pattern of touch panel structure
TWI472982B (en) * 2012-11-30 2015-02-11 Henghao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987A (en) * 2008-07-11 2010-0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US20100045625A1 (en) * 2008-08-21 2010-02-25 Tpo Displays Corp. Touch panel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utilizing the same
KR20120131874A (en) * 2011-05-26 2012-1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window
KR20130006296A (en) * 2011-07-06 2013-01-16 (주)멜파스 Panel for sensing touch inpu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31A1 (en) * 2014-12-30 2016-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US10228580B2 (en) 2014-12-30 2019-03-12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CN107430458A (en) * 2015-03-19 2017-12-01 三菱制纸株式会社 Pattern formation method
CN107430458B (en) * 2015-03-19 2020-07-14 三菱制纸株式会社 Pattern forming method
KR20160122900A (en) * 2015-04-14 2016-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80046765A (en) * 2016-10-28 2018-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Strip substrate
KR20190051821A (en) * 2017-11-06 2019-05-15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KR20200002212U (en) * 2019-03-28 2020-10-08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Capacitive touch glass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7895A (en) 2014-10-01
KR102430886B1 (en) 2022-08-09
JP2016508648A (en) 2016-03-22
JP2018152123A (en) 2018-09-27
CN105009050B (en) 2018-09-21
TWI615759B (en) 2018-02-21
CN105009050A (en) 2015-10-28
JP6674257B2 (en) 2020-04-01
JP2018152122A (en) 2018-09-27
JP6568982B2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7142A (en) Touch pad structure using dummy pattern for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KR101978666B1 (en) Substrate for Touch Screen Sensor, Touch Screen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KR101301480B1 (en) Touch screen sens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the fabricating method of thereof
KR101452042B1 (en)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screen apparatus
US9323370B2 (en) Electrode sheet,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449493B1 (en) Touchscreen panel with dummy pattern
JP2011175412A (en)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switch
KR101337913B1 (en) Touchscreen sensor and touchscreen panel comprising the same
US9419612B2 (en) Touch panel
TWI506503B (en)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4571678A (en) Touch panel
TW201519031A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US10496232B2 (en) Capacitive touch panel
JP2013105275A (en) Touch panel
TW201923531A (en) Electroconductive member and touch panel
KR102281616B1 (en)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870945B2 (en) Touch scre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449499B1 (en) Touchscreen panel with dummy pattern
KR101455287B1 (en) Touch pad using auxiliary dummy pattern
KR101352797B1 (en) Touchscreen sensor board
JP6572748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sensor and touch position detection function
JPWO2015118879A1 (en) Touch panel
JP2014203421A (en) Capacitive touch panel
US8710516B2 (en) Touch pane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2133487A (en) Transparent electrode member, capacitive sensor, and input and outpu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