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496A - 살수 노즐 - Google Patents

살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496A
KR20140106496A KR1020147007391A KR20147007391A KR20140106496A KR 20140106496 A KR20140106496 A KR 20140106496A KR 1020147007391 A KR1020147007391 A KR 1020147007391A KR 20147007391 A KR20147007391 A KR 20147007391A KR 20140106496 A KR20140106496 A KR 20140106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body
flow rate
nozzle
gri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오다
나오키 기쿠치
가즈노리 가네쿠라
다카유키 스나바
히로키 유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카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카기
Publication of KR2014010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3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Landscapes

  • Nozzl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그립부(3)를 파지하고 있는 손으로 용이하게 유량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살수 노즐(1)을 제공한다. 물도입용 접속구(2)를 형성한 기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부(3)와, 이 그립부(3)의 대략 상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선단에 살수구(5a)를 형성한 대략 통 형상의 노즐부(4)와, 그립부(3)의 접속구(5)로부터 노즐부(4)의 살수구(5a)에 걸쳐 연재되는 물의 유로(10)를 가지는 굴곡 형상의 노즐 본체(6)를 가지는 살수 노즐(1)로서, 이 노즐 본체(6)의 유로(10) 중에 배치되어, 회동함으로써 유로(1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회동 밸브체(17)와, 그립부(3)의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그립부(3)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회동 밸브체(17)에 연결되는 유량 조작 부재(18)로 이루어지는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했다.

Description

살수 노즐{WATER SPRAY NOZZLE}
본 발명은, 주로 가정 등에서 원예나 농업, 청소 등에 이용되고, 호스를 통하여 수도 등의 급수 설비의 선단에 접속되어 살수를 행하는 살수 노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용자가 손에 들고 조작하는 살수 노즐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는, 호스의 선단에 부착되어 임의로 살수와 지수(止水)를 전환하는 살수 노즐이 널리 원예, 농업, 청소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살수 노즐은, 호스를 통하여 수도 등의 급수 설비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선단에 형성된 살수구로부터 살수를 행한다
종래의 살수 노즐은, 호스에 접속되는 기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의 그립부와, 이 그립부의 대략 상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의 노즐부를 가지고 있고, 전체적으로 L자형, 〈형 혹은 피스톨형 등의 굴곡 형상으로 형성된 노즐 본체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살수 노즐에는, 내부에 형성된 물의 유로 도중에 유로를 개폐하는 지수 밸브를 설치함과 함께, 이 지수 밸브를 조작하는 지수 조작부를 외부로 돌출 시킨 것도 있었다.
또, 종래의 살수 노즐에는, 상기 지수 밸브와는 별체로, 살수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한 것이 있었다. 또, 지수 밸브에 유량 조정 밸브의 기능을 겸하게 한 것도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굴곡 부분의 유로 중에 상기 유로를 막는 통 형상의 회동 밸브체를 배치하고, 그립부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한 유량 조작부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의 축 주위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회동 밸브체를 회동하는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한 살수 노즐이 기재되어 있다.
이 회동 밸브체에는, 유로에 접하는 통의 둘레면부에 원주 방향을 향하여 면적이 증감하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고, 회동 밸브체를 회동함으로써, 유로에 접하는 절결부의 면적을 증감시켜, 절결부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었다.
특허문헌 1의 살수 노즐에서는, 그립부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한 유량 조작부의 조작은, 그립부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나, 다른 쪽 손으로 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 유량 조작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의 축 주위로 회동 조작하는 다이얼 방식이기 때문에, 그립부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로는 정확한 회동 조작이 어려웠다. 그 때문에, 다른 쪽 손으로 유량 조작부를 조작하게 되지만,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양손이 살수 노즐 다루는데 일손에 여유가 없어져 버려, 원예나 청소에 있어서 불편했다.
또, 특허문헌 1의 살수 노즐에서는, 특히 물을 소량 살수시에, 유량 제어 밸브의 회동 밸브체의 둘레면에 하류측으로부터 강한 수압이 걸린다. 그 때문에, 반복 사용함으로써 유량 조작부의 조작감이 둔해져, 조작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는, 굴곡 부분의 유로 중에 통 형상의 회동 밸브체를 배치하고, 그립부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한 개폐 조작부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의 축 주위로 회동함으로써, 회동 밸브체를 회동하는 지수 밸브를 설치한 살수 노즐이 기재되어 있다.
이 지수 밸브의 회동 밸브체에서도, 둘레면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있고, 지수 조작부를 그립부 후면 상부로부터 노즐부 상부에 걸쳐 상하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회동 밸브체가 회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상기 개구가 유로에 대하여 연이여 통하거나 차단하여, 유로의 개폐 및 유량 조정을 행할 수 있었다.
특허문헌 2의 살수 노즐에서는, 지수 밸브의 지수 조작부를 그립부 후면 상부로부터 노즐부 상부에 걸쳐 상하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을, 그립부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로 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 조작은, 지수 조작부를 억제하면서 엄지를 펴거나 구부리게 하는 움직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조작이 어려움과 함께, 조작에 수반하여 살수 노즐의 살수하는 방향이 겨냥하는 것으로부터 빗나가는 경우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의 살수 노즐에서는, 회전 밸브체 둘레면의 개구에 시일 부재(O링)를 둘레에 설치함으로써, 조작부로부터 손을 떼어도 통수(通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반복 사용에 의하여, 시일 부재가 유로의 내벽과의 마찰로 마모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실용신안 공보 소 63-136750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938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립부를 파지하고 있는 손으로 용이하게 유량 조정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한 살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수단은 이하와 같다.
제 1의 발명은, 물 도입용 접속구를 형성한 기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부와, 이 그립부의 대략 상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선단(先端)에 살수구를 형성한 대략 통 형상의 노즐부와, 상기 그립부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살수구에 걸쳐 연재(延在)되는 물의 유로를 가지는 굴곡 형상의 노즐 본체를 가지는 살수 노즐로서, 이 노즐 본체의 상기 유로 중에 배치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회동 밸브체와, 상기 그립부의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상기 그립부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회동 밸브체에 연결되는 유량 조작 부재로 이루어지는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의 발명은, 상기 그립부를 위쪽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도달하는, 상기 회동 밸브체를 끼워넣기 위한 삽입용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의 발명은, 상기 회동 밸브체를 상기 노즐 본체의 굴곡 부분의 상기 유로 중에 배치하고, 상기 그립부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상기 유로에 접하는 상기 회동 밸브체의 외면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를 형성하여, 회동에 의해 상기 절결부가 상기 유로에 합치될 때 물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의 발명은, 상기 유량 조작 부재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에 위치할 때에, 상기 유로 조정 밸브의 물의 유량이 최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의 발명은, 상기 유량 조작 부재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노즐 본체 또는 상기 유량 조작 부재의 한쪽에 설치한 수(雄)부재와 다른 쪽에 설치한 암(雌)부재가 걸어 맞춰져,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感得)시키는 클릭감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의 발명은, 다른 부품에 접속되는 기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의 그립부와, 이 그립부의 대략 상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선단에 살수구를 형성한 대략 통 형상의 노즐부와, 상기 그립부의 기단부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살수구에 걸쳐 연재되는 물의 유로를 가지는 굴곡 형상의 노즐 본체를 가지는 살수 노즐로서, 이 노즐 본체의 굴곡 부분 부근의 상기 유로 중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밸브체를 가지는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그립부를 위쪽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도달하는, 상기 밸브체를 끼워넣기 위한 삽입용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의 발명은, 상기 유량 조작 부재와 별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 밸브체에 접촉하여 상기 유로의 수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의 발명에 의하면, 노즐 본체의 상기 유로 중에 배치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회동 밸브체와, 상기 그립부의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상기 그립부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회동 밸브체에 연결되는 유량 조작 부재로 이루어지는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유량 조작 부재를 그립부에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 즉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어, 그립부를 파지한 손의 엄지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그립부를 위쪽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도달하는, 상기 회동 밸브체를 구비하기 위한 삽입용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회동 밸브체의 수용 위치에 가까운 삽입용 통로로부터 회동 밸브체를 구비할 수 있어, 살수 노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노즐 본체를 성형할 경우에, 금형(수금형)을 삽입용 통로의 구멍로부터도 넣을 수 있고, 회동 밸브체의 수용부를 유로의 출입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동 밸브체를 상기 노즐 본체의 굴곡 부분의 상기 유로 중에 배치하고, 상기 그립부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상기 유로에 접하는 상기 회동 밸브체의 외면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를 형성하여, 회동에 의해 상기 절결부가 상기 유로에 합치될 때 물이 상기 유로를 통과함으로써, 유량 조정 밸브에 의한 물의 유량 조정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 회동 밸브체에 설치하는 누수 방지용 시일 부재를, 삽입용 통로 측에 1개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량 조작 부재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에 위치할 때에, 상기 유로 조정 밸브의 물의 유량이 최대가 됨으로써, 사용자가 그립부를 좌우 어느 쪽의 손으로 파지해도,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유량 조정 밸브를 조작할 수 있다.
제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량 조작 부재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노즐 본체 또는 상기 유량 조작 부재의 한쪽에 설치한 수부재와, 다른 쪽에 설치한 암부재가 걸어 맞춰져,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시키는 클릭감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물의 유량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제 6의 발명에 의하면, 노즐 본체의 굴곡 부분 부근의 상기 유로 중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밸브체를 가지는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그립부를 위쪽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도달하는, 상기 밸브체를 끼워넣기 위한 삽입용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회동 밸브체의 수용 위치에 가까운 삽입용 통로로부터 회동 밸브체를 끼워넣을 수 있어, 살수 노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노즐 본체를 성형할 경우에, 금형(수금형)을 삽입용 통로의 구멍으로부터도 넣을 수 있고, 회동 밸브체의 수용부를 유로의 출입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량 조작 부재와 별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 밸브체에 접촉하여 상기 유로의 수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회동 밸브체에 수압이 걸려도 유량 조작 부재가 눌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유량 조정 밸브의 조작감이 수압의 영향으로 악화되지 않아, 양호한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살수 노즐을 나타내는 후면 윗쪽 사시도 이다.
도 2a는, 상기 살수 노즐의 평면도, (b)는 상기 살수 노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살수 노즐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살수 노즐의 유량 조정 밸브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a)는 도 3중 A부의 확대도이며 회동 가능 범위 중앙의 유량 최대 위치, (b)는 회동 가능 범위 좌단의 유량 최소 위치, (c)는 회동 가능 범위 우단의 유량 최소 위치를 나타낸다.
도 5는,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회동 밸브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앞면 윗쪽 사시도, (b)는 후면 윗쪽 사시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유량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후면 윗쪽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후면 하방 사시도, (d)는 정면도, (e)는 (c)중 B부의 확대도, (f)는 (d) 중 C부의 확대도 이다.
도 7은, 상기 살수 노즐의 통수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후면 윗쪽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살수 노즐의 배면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후면 윗쪽 사시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 (d)는 (a)중 D부의 확대도, (e)는 (b)중 E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다른 형태의 하나에 따른 살수 노즐의 유량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후면 하방 사시도, (b)는 (a)중 F부의 확대도, (c)는 저면도, (d)는 정면도이다.
도 10는, 상기 살수 노즐의 통수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후면 윗쪽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b)중 G부의 확대도, (d)는 하방 사시도, (e)는 (d)중 H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상기 살수 노즐의 클릭감 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다른 형태에 따른 살수 노즐의 노즐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중의 I부의 확대도이다.
도 14(a)는, 상기 살수 노즐의 회동 밸브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상기 회동 밸브체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살수 노즐의 스토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윗쪽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살수 노즐의 유량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윗쪽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살수 노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살수 노즐(1)은, 원예, 농업, 청소, 그 외의 용도에 있어서, 호스를 통하여 수도 등의 급수 설비의 선단에 접속되어 살수를 행하는 기구로서,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하는 것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1)은, 호스 등에 접속되어 물을 도입하는 접속구(2)를 형성한 기단부(3a)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 그립부(3)와, 이 그립부(3)의 상단(그립부(3)의 노즐부(4)측의 단부)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선단에 살수구(5a, 5b)를 형성한 노즐부(4)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L자형, 〈형 혹은 피스톨형 등의, 그립부(3)와 노즐부(4)의 연속 부위에서 굴곡된 굴곡 형상으로 형성된 노즐 본체(6)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6)의 내부에는, 접속구(2)로부터 살수구(5a, 5b)까지 연재되는 물의 유로(10)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본체(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된 통수 파이프(7)(도 7)에, 호스 니플(Hose nipple)(8)이나 토수(吐水) 헤드(9)를 접속하고, 외주를 덮는 복수의 커버를 조립하여 이루어지지만, 이들 중 몇 개인가에 대하여 일체로 성형한 것이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살수 노즐(1)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라 함은 노즐부(4)의 연재 방향을, 전(前)이란, 노즐부(4)의 살수구(5a, 5b)측, 후(後)란, 그립부(3)측을 의미한다. 또, 상하란, 노즐부(4)를 지면에 평행하게 하여 그립부(3)의 접속구(2)를 지면 측에 배치한 상태에서의 지면에 대한 상하를 의미하고, 상(上)이란, 지면에 대하여 위쪽, 즉 노즐부(4)측을 의미하며, 하(下)란 지면측, 즉 접속구(2)측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대략 통 형상이란, 내부에 물의 유로를 가지는 형상을 넓게 의미하고, 외면, 내면이 함께 단면이 진원 형상의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다각형 형상 그 외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을 포함한다.
그립부(3)는, 기단부(3a)로부터 노즐부(4)를 향하여 위쪽으로 연장하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잘 다룰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립부(3)의 기단부(3a)에서는, 호스에 부착된 수납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하기 위한 요철이나 O링을 외주면에 설치함과 함께, 그 중심에 급수 설비로부터의 물을 도입하는 접속구(2)를 개구한 호스 니플(8)이 통수 파이프(7)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다.
그립부(3)의 방향은, 노즐부(4)의 연재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라도 좋지만,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재 방향과 수직인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그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윗쪽으로 그립부(3)의 연재 방향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라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부(4)는, 그립부(3)의 상단으로부터 앞쪽(노즐부(4)의 살수구(5a, 5b)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4)의 선단에서는, 통수 파이프(7)의 선단에 토수 헤드(9)를 부착하고 있다.
토수 헤드(9)는, 통수 파이프(7)에 접속되는 제 1 부재(11)와, 이 제 1 부재(11)의 선단에 부착되어, 샤워 살수구(5a) 및 스트레이트 살수구(5b)를 형성한 제 2 부재(12)로 이루어진다.
제 1 부재(11)의 둘레면에는 통수 파이프(7)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 2 부재(12)측으로 흘리기 위한 전환구(11a)가 형성되고, 제 2 부재(12)는 제 1 부재(11)에 대하여, 나선 진행에 의하여 전후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재(11)에 대한 제 2 부재(12)의 위치에 의하여, 전환구(11a)를 샤워 살수구(5a) 또는 스트레이트 살수구(5b)에 연결시켜, 샤워 살수와 스트레이트 살수를 전환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살수 노즐(1)은, 통수 파이프(7)의 유로 중에, 통수와 지수를 전환하는 지수 밸브 및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유량 조정 밸브를 가지고 있다.
지수 밸브는 유량 조정 밸브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통수 파이프(7)의 그립부(3)측의 유로(10)에 배치된 지수 밸브체(13)를 가지고 있다. 지수 밸브체(13)는, 통수 파이프(7)에 내접하는 뚜껑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뚜껑 위에 돌기 형상의 밸브체부(13a)를 형성하고 있다. 지수 밸브체(13) 외주면의 2개소에는 O링(13c, 13c)을 배치하여 지수 밸브체(13)의 외주를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함과 함께, O링(13c)보다 위의 외주면에 통수구(13b)를 형성하고 있다. 통수 파이프(7)의 기단(하방)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지수 밸브체(13)의 내부를 통과하여 통수구(13b)로부터 외주로 유출하여, 하류로 흐르게 되어 있다.
지수 밸브체(13)의 밸브체부(13a)는, 통수 파이프(7)에 설치된 지수 밸브시트(7a)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호스 니플(8)과 지수 밸브체(13)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14)에 의하여, 지수 밸브시트(7a)측으로 힘이 가해져 유로(10)를 폐색 한다(지수 상태). 이 미는 힘에 반하여 밸브체부(13a)가 지수 밸브시트(7a)로부터 이간되면, 유로(10)가 개방되어 물이 통수된다(통수 상태).
지수 밸브체(13)를 조작하기 위해, 그립부(3)의 앞쪽에는 지수 조작 레버(1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지수 조작 레버(15)는, 하단을 고정단으로 하여 그립부(3)의 하부에 부착하고, 상단을 자유단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립부(3)를 가진 손으로 잡음으로써 하단을 고정단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수 파이프(7)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부(3) 측부분의 앞면에 개구(7b)를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단면 L자 형상의 밸브 개폐용 아암(16)이, 일단에서 지수 조작 레버(15)에 접촉하고, 타단에서 지수 밸브체(13)에 접촉하여, L자 형상의 굴곡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통수 파이프(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수 조작 레버(15)를 잡으면, 밸브 개폐용 아암(16)을 사이에 두고, 코일 스프링(14)의 미는 힘에 반하여 지수 밸브체(13)를 지수 밸브시트(7a)로부터 이간시켜, 통수 상태로 할 수 있다.
통수 파이프(7)의 개구(7b)는 상시 지수 밸브체(13)의 2개의 O링(13c, 13c)의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이 개구(7b)로부터 통수 파이프(7)의 외측으로 새지 않는다.
지수 밸브의 하류측에 해당하는 통수 파이프(7)의 굴곡 부분의 유로(10) 내에는, 살수량을 조정할 수 있는 유량 조정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밸브는, 유로 중에 배치되어, 회동함으로써 물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회동 밸브체(17)와, 이 회동 밸브체(17)에 연동함과 함께 그립부(3)의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하고, 엄지로 조작되는 유량 조작 부재(18)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밸브체(17)는, 하단을 개방하고 상단을 덮은 뚜껑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앞쪽 일부를 하방으로 잘라낸 절결부(19)를 형성하고 있다.
절결부(19)는, 통수 파이프(7)의 굴곡 부분에 배치할 수 있도록(도 4(c) 참조), 회동 밸브체(17)의 앞면을 대략 180도에 걸쳐서 일정한 높이로 잘라내어 이루어진다. 또한, 게다가 절결부(19)의 중앙에서는, 상부를 더욱 반타원 형상으로 잘라낸 반타원 절결부(19a)를 형성하여, 회동 밸브체(17)의 회동에 의해 물의 유량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회동 밸브체(17)의 외주면에는, 누수 방지용 O링(17a)(도 4 참조)을 절결부의 윗쪽에 부착하고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밸브체(17)의 통 내경은, 통수 파이프(7)의 그립부(3) 측부분의 내경과 대략 같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자의 내경을 φ16.4mm로 설정했다. 이것보다 작게 하면 수류량이 불충분하게 되고, 이것보다 크게 하면 수압이 커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반타원 절결부(19a)의 테두리와, 밸브시트인 통수 파이프(7)의 노즐부(4)측의 유로(10)의 테두리에는, 평행한 부분은 없기 때문에, 회동 밸브체(17)의 회동과 함께 물의 유량을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의 전체 부분의 50% 이상, 또한 80% 이상이 회동 밸브체(17)의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테두리의 전체 부분이 평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타원 절결부(19a)의 테두리는 직선 및/또는 곡선이 부드럽게 연결된 라인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동 밸브체(17)의 회동시에 통수 파이프(7)와의 접촉 개소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회동 밸브체(17)의 뚜껑은 두껍게 형성되고, 유량 조작 부재(18)에 연결 유지되기 위한 유지용 구멍(17b)을 전후방향으로 관통시키고 있다.
또, 유지용 구멍(17b)의 좌우에서는, 뚜껑을 약간 잘라내어, 살수 노즐(1)의 보수, 분해시에 사용자가 회동 밸브체(17)를 끄집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회동 밸브체(17)의 재료로는, PP(폴리프로필렌),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POM(폴리아세탈)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염가라는 이유에서, 특히 PP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P를 채용하고 있다.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작 부재(18)는, 회동 밸브체(17)에 연결함과 함께 일부를 그립부(3)의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시켜 있고, 사용자가 유량 조작 부재(18)를 회동함으로써 회동 밸브체(17)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작 부재(18)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킨 만곡판(18c)으로부터 내주측 앞쪽에 밸브체 유지 설편(舌片)(18a)을 돌출시키고, 외주측 후방에 손가락 걸이부(18b)를 돌출시켜 이루어진다.
손가락 걸이부(18b)는 만곡판(18c)으로부터 돌출된 비교적 폭넓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좌우 방향 중앙에 그립부(3)의 연재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은 표시부(18d)를 가진다. 표시부(18d)를 손가락 걸이부(18b)의 중앙에 설치함으로써, 표시부(18d)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유량 조정 밸브의 중앙 위치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표시부(18d)는 손가락 걸이부(18b)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것이 시인성(視認性)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 사용자의 엄지가 손가락 걸이부(18b)의 다른 부분에서 들려 빠져 있을 때에도, 돌출되어 있는 표시부(18d)에 엄지를 걸어 유량 조작 부재(18)를 회동 조작하기 쉬운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밸브체 유지 설편(18a)의 연장 방향과 손가락 걸이부(18b)의 연재 방향과는 교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량 조작 부재(18)의 회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밸브체 유지 설편(18a)으로의 응력을 완화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유량 조작 부재(18)의 재료로는, POM, ABS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항복강도나 마찰 내구력이 우수하다고 하는 이유에서, 특히 POM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염가인 것과 함께 성형이 용이하다고 하는 이유에서, ABS를 채용하고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유지 설편(18a)은 평판 형상으로 성형되고, 통수 파이프(7)의 후면 상부의 둘레면에 형성된 개구(7c)(도 7(a)(b) 참조), 회동 밸브체(17)의 유지용 구멍(17b)을 관통하며, 선단을 통수 파이프(7) 내주면에 형성된 홈(7d)에 수용됨으로써, 회동 밸브체(17)를 유로 내에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유량 조작 부재(18)를 그립부(3)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 즉 대략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면, 회동 밸브체(17)가 연동하여, 그립부(3)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로 회동한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유지 설편(18a)의 중앙 부분은, 회동 밸브체(17)의 유지용 구멍(17b)과 동일한 폭으로 폭을 넓게 하여, 회동 밸브체(17)가 흔들리지 않고 유량 조작 부재(18)에 연동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밸브는, 통수 파이프(7)의 개구(7c) 또는 홈(7d)과 밸브체 유지 설편(18a)과의 접촉에 의하여, 유량 조작 부재(18)의 회동 가능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이것을 대신하여, 회동 밸브체(17)의 절결부(19)의 옆테두리와 통수 파이프(7)의 내벽과의 접촉에 의하여, 회동 밸브체(17)의 회동 가능 범위가 제한되도록 해도 좋다.
유량 조정 밸브의 회동 가능 범위는, 유량의 미세한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회동 조작시에 만곡판(18c)이 통수 파이프(7)에 간섭하지 않도록, 만곡판(18c)에 잘라냄 등의 오목 형상을 형성하거나 만곡판(18c)를 짧게 하거나 할 필요가 있으며, 유량 조정 밸브의 회동 가능 범위를 너무 크게 하면, 회동 조작시에, 이 오목 형상 등이 노즐 본체(6)를 구성하는 커버 등으로부터 외면에 노출하여(도 1, 도 2(a) 참조), 외관이 악화됨과 함께 티끌 등이 침입할 우려도 있다. 이들 이유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량 조정 밸브의 회동 가능 범위를 대략 86도로 했다.
이하에서는, 유량 조정 밸브에 의한 살수량의 조정에 대하여 기재한다.
이 유량 조정 밸브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작 부재(18)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에 위치하고, 손가락 걸이부(18b)가 후방 중앙에 위치할 때에, 회동 밸브체(17)의 반타원 절결부(19a)의 전체 범위가 통수 파이프(7)의 노즐부(4)측의 유로(10)에 합치한다.
그 때문에, 통수 파이프(7)의 그립부(3)측의 유로(10)로부터 회동 밸브체(17)에 유입되어, 반타원 절결부(19a)로부터 하류측의 유로(10)로 흘러가는 물의 유량이 최대가 된다.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로부터, 유량 조작 부재(18)를 사용자로부터 향하여 좌측으로 회동해 가면, 회동 밸브체(17)가 연동하고, 반타원 절결부(19a)와 통수 파이프(7)의 노즐부(4)측의 유로(10)와의 합치 부분이 작게 되어, 물의 유량이 서서히 감소해 간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작 부재(18)가 회동 가능 범위의 좌단(중앙 위치로부터 대략 43도)에 위치할 때에는, 반타원 절결부와 통수 파이프의 노즐부측의 유로와의 합치 부분이 거의 없어지든지, 전혀 합치되지 않고, 물의 유량이 최소 또는 제로가 된다.
또,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로부터, 유량 조작 부재(18)를 사용자로부터 향하여 우측으로 회동했을 때에도, 회동 밸브체(17)가 연동하고, 반타원 절결부(19a)와 통수 파이프(7)의 노즐부(4)측의 유로(10)와의 합치 부분이 작게 되어, 물의 유량이 서서히 감소해 간다.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작 부재(18)가 회동 가능 범위의 우단(중앙 위치로부터 대략 43도)에 위치할 때에는, 반타원 절결부와 통수 파이프의 노즐부측의 유로와의 합치 부분이 거의 없어지든지 전혀 합치되지 않고, 물의 유량이 최소 또는 제로가 된다.
이 살수 노즐(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부(3)의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하는 유량 조작 부재(18)를 그립부(3)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 즉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그립부(3)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를 유량 조작 부재(18)의 손가락 걸이부(18b)에 닿게 하여 회동 조작할 수 있다.
그립부(3)를 파지하고 있는 손에서는, 엄지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유량 조작 부재(18)의 조작은 극히 용이하다. 또, 회동 조작시에도, 손바닥의 대부분이 그립부(3)에 접한 채로 엄지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조작에 수반하여 살수 노즐(1)을 다루는 것이나 겨냥에 흔들림 발생이 없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살수 노즐(1)에서는, 회동 밸브체(17)가, 유지용 구멍(17b)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량 조작 부재(18)의 밸브체 유지 설편(18a)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갑자기 유량 조작 부재(18)의 손가락 걸이부(18b)를 앞쪽으로 눌러 버려도, 유지용 구멍(17b) 내에서 밸브체 유지 설편(18a)이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뿐이며(도 4(a) 참조), 회동 밸브체(17)가 변위하거나 파손하거나 하여 고장나지 않는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밸브에서는, 유량 조작 부재(18)의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서 물의 유량이 최대가 되고, 좌우 어느 방향으로 회동시켜도 유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좌우 어느 쪽의 손으로 조작해도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살수 노즐(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6)를 구성하는 통수 파이프(7)의 굴곡 부분에, 통수 파이프(7)를 위쪽으로부터 관통하여 그립부(3)측의 유로(10)에 도달하는 삽입용 통로(20)를 형성하고, 회동 밸브체(17)를 위쪽으로부터 통수 파이프(7)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b),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수 파이프(7)에 형성된 삽입용 통로(20)는, 위쪽으로부터 통수 파이프(7)를 관통하여, 그립부(3)측의 유로(10)에 일직선 형상으로 연이어 통하여 있다. 도 7(a),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유량 조작 부재(18)의 부착용 개구(7c)와 홈(7d)은, 함께 삽입용 통로(20)의 둘레벽에 설치되어 있다.
또, 회동 밸브체(17)의 수용 위치에서는, 회동 밸브체(17)의 받침대를 겸하고, 통수 파이프(7)의 내경을 상류측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삽입용 통로(20)를 형성함으로써, 살수 노즐(1)의 조립시에, 회동 밸브체(17)를 삽입용 통로(20)로부터 통수 파이프(7) 내에 용이하게 구비할 수 있다.
또, 회동 밸브체(17)가 그립부(3)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에 회동하기 때문에, 이 삽입용 통로(20)로부터의 누수를 막기 위해서 회동 밸브체(17)에 설치하는 시일 부재(O링(17a))가 유로 위쪽의 1개만으로 충분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회동 밸브체(17)의 위쪽에 삽입용 통로(20)를 덮는 캡(25)을 설치해도 좋다(도 2에서 도 4).
또, 종래, 통수 파이프(7)는,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고, 금형에 의하여 성형되었다.
종래는, 굴곡된 관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관의 양단의 입구로부터 굴곡 부분까지 닿는 2개의 금형(수금형)을 이용할 필요가 있고, 금형이 대형화하여 인발시의 슬라이드량이 컸기 때문에, 금형의 강도가 부족하거나, 인발에 시간이 걸려 제조 효율이 나빴다.
다른 한편, 본 실시 형태의 통수 파이프(7)에서는, 삽입용 통로(20)를 형성했기 때문에, 성형시에 관의 양단 입구로부터 인발하는 금형(수금형) 외에, 삽입용 통로(20)의 구멍으로부터 인발되는 금형(수금형)을 이용할 수 있고, 금형 한 개당 소형화할 수 있어, 강도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수 파이프(7)의 재료로는, POM(폴리아세탈),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항복강도나 마찰 내구력이 우수하다고 하는 이유에서, 특히 POM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POM을 채용하고 있다.
또, 종래는 수금형을 인발하기 위해서, 통수 파이프(7)의 굴곡 부분의 내경을 양단 구멍의 내경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굴곡 부분 부근에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밸브체의 형상을 소형으로 해야만 하여, 제조가 곤란함과 함께, 유로 저항이 컸다.
다른 한편, 본 실시 형태의 통수 파이프(7)에서는, 삽입용 통로(20)의 구멍으로부터 인발 금형에 의해, 굴곡 부분의 내경을 양단의 구멍의 내경과 동등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밸브체 형상의 자유도가 더함과 함께, 유량 조정 밸브에 의한 유로 저항의 증가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살수 노즐(1)에는, 유량 조정 밸브의 유량이 최대가 되었을 때에,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시키는 클릭감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클릭감이란, 저항감의 변화나 진동 등, 촉각에의 작용에 따라 사용자에게 감득되는 감각을 말한다.
클릭감 기구는, 유량 조작 부재(18)의 만곡판(18c)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암부재(21)(도 6(c)에서 (f)참조)와, 노즐 본체(6)를 구성하여 통수 파이프(7)의 배면측을 덮는 배면 커버(22)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수부재(23)(도 8 참조)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시키는 것이다.
도 6(c)에서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재(21, 21)는, 유량 조작 부재(18)의 만곡판(18c)의 중앙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부재이고, 양자의 사이에 노치(24)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암부재(21)는 아래쪽으로 산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고, 정수리부로부터 노치(24)측으로의 경사면은 급경사로, 정수리부로부터 좌우 외측으로의 경사면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부재(23)는, 배면 커버(22)의 상단으로부터 윗쪽으로 대략 반원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기이다. 살수 노즐 조립 후에 있어서, 배면 커버(22)는 유량 조작 부재(18)의 바로 아래에 부착되기 때문에, 수부재(23)는 암부재(21, 21)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수부재(23)의 정수리부는 암부재(21, 21)의 정수리부보다 약간 위에 위치한다.
수부재(23)의 폭은, 노치(24)의 폭과 대략 같다.
클릭감 기구를 설치한 살수 노즐(1)에서는, 유량 조작 부재(18)를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회동시키면, 수부재(23)가 암부재(21)의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서 노치(24)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수부재(23) 또는 암부재(21)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약간의 저항을 느낀다.
유량 조작 부재(18)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 이르면, 수부재(23)가 양쪽 암부재(21)에 끼워져 노치(24)에 끼워 넣고, 수부재(23) 또는 암부재(21)가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귀하여,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때 물의 유량은 최대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살수 노즐(1)에서는, 유량 조작 부재(18)의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서 물의 유량이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중앙 위치를 시각에 의하여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어려웠지만, 클릭감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유량 조작 부재가 상기 중앙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클릭감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유량이 최대가 된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다른 형태〉
클릭감 기구는, 상기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시킬 수 있는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몇 개의 예를 기재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수부재(23)를 배면 커버(22)에 설치했지만, 수부재(23)는 노즐 본체(6)측의 어느 부재에 설치해도 좋고, 통수 파이프(7)에 설치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암부재(21)를 설치하는 개소는 유량 조작 부재(18)로 한정되지 않고, 노즐 본체(6)에 대하여 유량 조작 부재(18)와 함께 회동하는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부재에 설치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본체(6)에 수부재(23)를 설치하고, 유량 조작 부재(18)에 암부재(21)를 설치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노즐 본체(6)에 암부재를 설치하고, 유량 조작 부재(18)에 수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위쪽으로 돌출한 수부재(23)와 아래쪽으로 돌출한 암부재(21)가 접촉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클릭감 기구를 설치했지만, 유량 조작 부재(18)의 만곡판(18c)의 내주면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암부재와, 노즐 본체(6)(통수 파이프(7))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수부재가 접촉하며,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함과 함께, 수부재가 노치(24)에 끼워 넣어질 때에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시키는 클릭감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수부재(23) 및 암부재(21)는, 각각 노즐 본체(6) 또는 유량 조작 부재(18)에 일체로 성형된 수지제의 부재이지만,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노즐 본체(6) 또는 유량 조작 부재(18)에 부착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판금을 Ω자 형상으로 절곡 가공하여 노즐 본체(6) 또는 유량 조작 부재(18)에 부착함으로써, 돌출한 수부재 또는 암부재를 형성해도 좋다.
또, 수부재 및 암부재를 노즐 본체(6) 및 유량 조작 부재(18)의 대략 중앙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좌우의 단 부근에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작 부재(18)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유량 조작 부재(18)의 만곡판(18c)의 좌우 양단 위치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수부재가, 노즐 본체(6)(통수 파이프(7))의 좌우 양단 위치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암부재에 내접하고,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9는, 이러한 클릭감 기구의 수부재(26)를 형성한 유량 조작 부재(18)를 나타내고 있다.
유량 조작 부재(18)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유량 조작 부재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만곡판(18c)과, 밸브체 유지 설편(18a)과, 손가락 걸이부(18b)와, 표시부(18d)를 가진다.
만곡판(18c)의 내주면 하부의 좌우 양단 부근에는, 각각 수부재(26, 26)를 안쪽으로 대략 반원 형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도 10은, 이 클릭감 기구의 암부재(27)를 형성한 통수 파이프(7)를 나타내고 있다.
통수 파이프(7)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통수 파이프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내부에 유로(10)를 가지는 굴곡관으로서, 굴곡 부분에는, 삽입용 통로(20)를 형성하고 있다.
통수 파이프(7)의 유량 조작 부재(18)가 부착되는 높이에는, 암부재(27, 27)를 각각 측 둘레면으로부터 좌우로 돌출시키고 있다. 도 10(e),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암부재(27)는 바깥쪽(지름 방향)으로 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수리부로부터 뒤쪽으로의 경사면은 급경사로, 정수리부로부터 앞쪽으로의 경사면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살수 노즐(1)을 조립하여, 도 11과 같이 유량 조작 부재(18)를 회동 가능 범위의 좌우 어느 단(도 11에서는 좌단)으로 회동시킨 상태로부터 중앙 위치로 회동시키면, 한쪽의(도 11에서는 왼쪽의) 수부재(26)가 암부재(27)의 외측(도 11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서 중앙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수부재(26) 또는 암부재(27)가 전후(지름)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약간 저항을 느낀다.
유량 조작 부재(18)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 이르면, 수부재(26)가 암부재(27)의 급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수부재(26) 또는 암부재(27)가 탄성변형으로부터 복귀하여,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시킨다.
이 중앙 위치로 회동할 때, 다른 쪽의(도 11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오른쪽의) 수부재(26)는 통수 파이프(7)의 중앙측으로부터 암부재(27)로 내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상기 다른 형태에서는 유량 조정 밸브의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 있어서, 클릭감 기구의 수부재(26, 26)가 암부재(27, 27)의 내측 위치에 걸어 맞춰지도록 했지만, 이 다른 형태의 변형 예로서, 이것과는 반대로, 유량 조작 부재(18)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유량 조작 부재(18)의 각 수부재가 노즐 본체측의 각 암부재보다 외측 위치에 걸어맞춰지도록 형성하고, 수부재가 암부재에 외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 2 다른 형태〉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밸브체(17)의 유지용 구멍(17b)에 유량 조작 부재(18)의 밸브체 유지 설편(18a)을 삽입 통과하여 연동하도록 걸어맞춰진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 2 다른 형태에서는,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밸브의 조작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회동 밸브체(30)와, 스토퍼(31)와, 유량 조작 부재(32)로 이루어지는 이하의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다른 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회동 밸브체(30)와 스토퍼(31)와는 점 접촉하던지, 또는, 접촉 면적이 작은 면접촉을 하는 것이다. 도 12에서 도 16의 예에서는 점 접촉으로 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밸브체(30)는, 상기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단을 개방하고 상단을 막은 뚜껑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앞쪽 일부를 아래쪽으로 잘라낸 절결부(33)를 형성하고 있다.
절결부(33)는, 통수 파이프(7)의 굴곡 부분에 배치할 수 있도록(도 12 참조), 회동 밸브체(30)의 앞면을 대략 100도에 걸쳐서 잘라내어 이루어진다.
또한, 절결부(33) 좌측은, 상부를 산 모양으로 더 잘라낸 산 형상 절결부(33a)를 형성하고, 회동 밸브체(30)의 회동에 의해 물의 유량을 증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4(b)와 같이, 산 형상 절결부(33a)는, 좌측만큼 높게 잘라내어 있다. 산 형상 절결부(33a) 테두리와, 밸브시트인 통수 파이프(7)의 노즐부(4)측의 유로(10)의 테두리에는, 평행한 부분이 없기 때문에, 회동 밸브체(30)의 회동과 함께 물의 유량을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다.
또, 회동 밸브체(30)의 외주면에는, 누수 방지용 O링(30a)(도 13 참조)을 절결부(33) 윗쪽에 부착하고 있다.
제 2 다른 형태의 회동 밸브체(30)는, 뚜껑 상부에, 반구를 더 이분할한 형상의 돌출 접촉부(30b)를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접촉부(30b)가 구면의 정점에서 스토퍼(31)에 점 접촉함으로써, 수압으로 회동 밸브체(30)가 윗쪽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 돌출 접촉부(30b)의 후단은, 도 13에 나타내는 조립 후에 유량 조작 부재(32)의 밸브체 조작설편(32a)과 간섭하지 않도록 대략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 접촉부(30b)와 스토퍼(31)와는 점 접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접촉 면적이 충분히 작고, 회동시에 있어서의 회동 밸브체(30)와 스토퍼(31)와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면, 면접촉으로 해도 좋다.
돌출 접촉부(30b)의 형상은, 구면 형상 외에, 그 외의 곡면 형상, 원뿔 형상이나 사각뿔 형상 등의 첨예 형상, 원통 형상, 그 외 여러 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제 2 다른 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돌출 접촉부(30b)와 스토퍼(31)와의 접촉 형태는, 이하의 어느 쪽도 가능하다.
(A) 1점에서 점 접촉하는 형태(도 12에서 도 16)
(B) 복수의 점에서 점 접촉하는 형태
(C) 1개의 면접촉 부분에서 접촉하는 형태
(D) 복수의 면접촉 부분에서 접촉하는 형태
(E) 1 이상의 점 접촉과, 1 이상의 면접촉 부분에서 접촉하는 형태
제 2 다른 형태의 발명에서는, 상기(A)~(E)의 어느 쪽의 형태에 있어서도, 접촉하는 부분의 합계 면적은 100㎟ 이하, 또한 50㎟ 이하, 특히 20㎟가 좋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면적이 한없이 작은 (A)의 구성이다. 도 12에서 도 16의 예에서는 (A)의 구성으로 했다.
제 2 다른 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B)(D)(E)와 같이 회동 밸브체(30)와 스토퍼(31)를 복수의 부분에서 접촉하는 형태로 하는 경우는, 접촉하는 부분의 수가 너무 많으면, 접촉의 합계 면적이 커지고 조작성이 저하하거나 또, 접촉하는 부분이 작아져 강도 부족이 발생하거나 하기 쉬워지므로, 그 수는 10개 이하, 또한 5개 이하, 특히 3개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도 12에서 도 16의 예에서는 1개로 했다.
회동 밸브체(30) 뚜껑의 상부에는, 돌출 접촉부(30b)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걸어멈춤 측벽(30c, 30c)도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멈춤 측벽(30c, 30c)의 간격은, 후술하는 유량 조작 부재(32)의 밸브체 조작 설편(32a)의 폭과 대략 같다. 유량 조정 밸브의 조립 후에는, 양 걸어멈춤 측벽(30c, 30c)의 사이에 밸브체 조작 설편(32a)이 배치되고, 유량 조작 부재(32)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조작으로 회동 밸브체(30)를 연동시킬 수 있다.
걸어멈춤 측벽(30c)의 높이는, 돌출 접촉부(30b)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되어 있다. 또, 걸어멈춤 측벽(30c)은, O링(30a)을 부착 때에 걸려 방해가 되지 않도록 후단을 적당히 모따기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 밸브체(30)의 재료로는, 수지,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염가이며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POM이 바람직하다.
통수 파이프(7)는, 상기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위쪽으로부터 그립부(3)내로 관통하는 삽입용 통로(20)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삽입용 통로(20)로부터 회동 밸브체(30)를 꺼내 넣을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31)는, 하면(31a)을 평탄한 면으로 형성한 대략 원반 형상의 부재이다. 스토퍼(31)의 직경은 삽입용 통로(20)의 직경과 대략 같고, 삽입용 통로(20)를 위쪽에서 막을 수 있다(도 13).
회동 밸브체(30)의 돌출 접촉부(30b)와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 스토퍼(31)의 하면(31a)의 면 거칠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다른 형태의 발명에서는, 스토퍼(31)에 접촉하는 회동 밸브체(30)의 부위인 회동 밸브체 접촉부위 및/또는 회동 밸브체(30)에 접촉하는 스토퍼(31)의 부위가 되는 스토퍼 접촉부위는, 매끄러운 평면 및/또는 만곡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12에서 도 16의 예에서는 회동 밸브체 접촉부를 스토퍼 측으로 돌출하는 형태의 매끄러운 만곡면(돌출 접촉부(30b))으로 하고, 스토퍼 접촉부위는 평면(하면(31a))으로 했다. 이 예에서, 그 평면과 그 만곡면과는 서로 접하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 형태는 (A) 1점에서 접촉하는 점 접촉으로서 정의한다.
스토퍼(31)의 상면에는 방사 형상으로 3개의 리브(31b)를 설치하고, 보강하여 변형을 방지한다. 또, 스토퍼(31)의 뒤측에는 손잡이(31c)를 돌출 형성하여, 통수 파이프에의 탈착 시에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스토퍼(31)의 앞측에는, 2개의 걸어맞춤조(31d)를 앞쪽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걸어맞춤조(31d)를 통수 파이프(7)에 설치된 홈(도시 하지 않고)에 꽂아 넣음으로써, 스토퍼(31)를 통수 파이프(7)에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고, 회동 밸브체(30)를 수압에 대하여 지지하고,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31)의 재료로는, 수지,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염가이며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POM이 바람직하다.
유량 조작 부재(32)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킨 만곡판(32c)으로부터 내주측 앞쪽으로 밸브체 조작 설편(32a)을 돌출시키고, 외주측 뒷쪽으로 손가락 걸이부(32b)를 돌출시켜 이루어진다.
손가락 걸이부(32b)는 만곡판(32c)으로부터 돌출된 비교적 폭넓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좌우 방향 중앙으로 그립부(3)의 연재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은 표시부(32d)를 가진다.
표시부(32d)는 손가락 걸이부(32b)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로서 설치되는 것이 시인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 사용자의 엄지가 손가락 걸이부(32b)의 다른 부분에서 들려 빠져 있을 때에도, 돌출하고 있는 표시부(32d)에 엄지를 걸어 유량 조작 부재(32)를 회동 조작하기 쉬운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밸브체 조작 설편(32a)의 만곡판(32c)측의 근원 부분은 굽은 (R)형상에 의하여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량 조작 부재(32)의 회동 조작시에 밸브체 조작 설편(32a)에 걸리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 2 다른 형태의 밸브체 조작 설편(32a)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 유지 설편(18a)보다 짧은 평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유량 조절 밸브의 조립 후에는, 밸브체 조작 설편(32a)이 통수 파이프(7)의 후면 상부의 둘레면에 형성된 개구(7c)(도면 참조)를 관통하여, 회동 밸브체(30)의 걸어멈춤 측벽(30c, 30c)의 중간에 배치됨으로써, 회동 밸브체(30)를 유량 조작 부재(32)에 연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량 조작 부재(32)를 그립부(3)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 즉 대략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면, 회동 밸브체(30)가 연동하고, 그립부(3)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로 회동한다.
상기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2 다른 형태에서도, 통수 파이프(7)의 개구(7c)와 밸브체 조작 설편(32a)과의 접촉에 의하여, 유량 조작 부재(18)의 회동 가능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이것을 대신하여, 회동 밸브체(30)의 절결부(33)의 옆테두리와 통수 파이프(7)의 내벽과의 접촉에 의하여, 회동 밸브체(30)의 회동 가능 범위가 제한되도록 해도 좋다.
유량 조작 부재(32)의 재료로는, POM, ABS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항복강도나 마찰 내구력이 우수하다고 하는 이유에서, 특히 POM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염가인 것과 함께 성형이 용이하다고 하는 이유에서, ABS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조정 밸브에서는, 유량 조작 부재(32)를 회동 가능 범위의 가장 우측의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회동 밸브체(30) 좌측의 산 형상 절결부(33a)가 유로(10)에 일치하여 물의 유량이 최대가 된다. 또, 유량 조작 부재(32)를 회동 가능 범위의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회동 밸브체(30)도 연동하여 회동하고, 산 형상 절결부(33a)와 유로(10)와의 합치 부분이 감소하여, 유량이 서서히 감소한다.
제 2 다른 형태에서는, 회동 밸브체(30)의 돌출 접촉부(30b)가 스토퍼(31)에 의하여 수압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수압에 의한 회동 밸브체(30)의 빠짐이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돌출 접촉부(30b)와 스토퍼(31)의 하면(31a)이 점 접촉이기 때문에, 회동 밸브체(30)가 회동할 때의 회동 밸브체(30)와 스토퍼(31)와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작 하중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 회동 밸브체(30)가 스토퍼(31)에 지지됨으로써, 유량 조작 부재(32)의 밸브체 조작 설편(32a)은, 걸어멈춤 측벽(30c, 30c)과 좌우 방향으로 접촉할 뿐이며, 회동 밸브체(30)의 상면과는 접촉하지 않든지, 만일 접촉해도 수압을 받은 회동 밸브체(30)에 의하여 윗쪽으로 눌리지 않는다.
그 때문에, 회동 밸브체(30)에 수압이 걸려도, 이것에 의하여 밸브체 조작 설편(32a)이 눌려 유량 조작 부재(32)와 통수 파이프(7)의 개구(7c) 테두리와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지 않고, 회동 조작의 조작 하중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2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비하여, 유량 조정 밸브의 조작감이 수압의 영향으로 악화되지 않고, 양호한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 다른 형태에서는 회동 밸브체(30)에 돌출 접촉부(30b)를 형성하고 있지만, 스토퍼(31)의 하면(31a)에 돌출 접촉부를 설치하고, 회동 밸브체(30)의 뚜껑 상면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1. 살수 노즐 2. 접속구
3. 그립부 3a. 기단부
4. 노즐부 5a. (샤워) 살수구
5b. (스트레이트) 살수구 6. 노즐 본체
7. 통수 파이프 7c. 개구
7d. 홈 10. 유로
17. 회동 밸브체 17a. O링
17b. 유지용 구멍 18. 유량 조작 부재
18a. 밸브체 유지 설편 18b. 손가락 걸이부
18c. 만곡판 18d. 표시부
19. 절결부 19a. 반타원 절결부
20. 삽입용 통로 21. 암부재
22. 배면 커버 23. 수부재
24. 노치 25. 캡
26. 수부재 27. 암부재
30. 회동 밸브체  30a. O링
30b. 돌출 접촉부 30c. 걸어멈춤 측벽
31. 스토퍼 31a. 하면
31b. 리브 31c. 손잡이
31d. 걸어맞춤 조 32. 유량 조작 부재
32a. 밸브체 조작 설편 32b. 손가락 걸이부
32c. 만곡판 32d. 표시부
33. 절결부 33a. 산 형상 절결부

Claims (7)

  1. 물 도입용 접속구를 형성한 기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부와,
    이 그립부의 대략 상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선단(先端)에 살수구를 형성한 대략 통 형상의 노즐부와,
    상기 그립부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살수구에 걸쳐 연재(延在)되는 물의 유로를 가지는 굴곡 형상의 노즐 본체를 가지는 살수 노즐로서,
    이 노즐 본체의 상기 유로 중에 배치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회동 밸브체와,
    상기 그립부의 후면 상부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상기 그립부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회동 밸브체에 연결되는 유량 조작 부재로 이루어지는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를 위쪽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도달하는, 상기 회동 밸브체를 끼워넣기 위한 삽입용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 노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밸브체를 상기 노즐 본체의 굴곡 부분의 상기 유로 중에 배치하고, 상기 그립부와 대략 평행한 축의 축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상기 유로에 접하는 상기 회동 밸브체의 외면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를 형성하여, 회동에 의해 상기 절결부가 상기 유로에 합치될 때 물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작 부재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에 위치할 때에, 상기 유로 조정 밸브의 물의 유량이 최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 노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작 부재가 회동 가능 범위의 중앙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노즐 본체 또는 상기 유량 조작 부재의 한쪽에 설치한 수(雄)부재와 다른 쪽에 설치한 암(雌)부재가 걸어 맞춰져,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감득(感得)시키는 클릭감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 노즐.
  6. 다른 부품에 접속되는 기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의 그립부와,
    이 그립부의 대략 상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선단에 살수구를 형성한 대략 통 형상의 노즐부와,
    상기 그립부의 기단부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살수구에 걸쳐 연재되는 물의 유로를 가지는 굴곡 형상의 노즐 본체를 가지는 살수 노즐로서,
    이 노즐 본체의 굴곡 부분 부근의 상기 유로 중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밸브체를 가지는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그립부를 위쪽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도달하는, 상기 밸브체를 끼워넣기 위한 삽입용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 노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작 부재와 별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 밸브체에 접촉하여 상기 유로의 수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 노즐.
KR1020147007391A 2011-12-07 2012-10-01 살수 노즐 KR201401064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8327 2011-12-07
JP2011268327 2011-12-07
PCT/JP2012/075356 WO2013084569A1 (ja) 2011-12-07 2012-10-01 散水ノズ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496A true KR20140106496A (ko) 2014-09-03

Family

ID=4857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391A KR20140106496A (ko) 2011-12-07 2012-10-01 살수 노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44821B2 (ko)
KR (1) KR20140106496A (ko)
DE (1) DE112012005155T5 (ko)
WO (1) WO20130845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28A (ko) * 2018-07-02 2020-01-10 (주)케맥스 에어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3800B4 (de) 2017-02-23 2019-01-17 Yuan Pin Industrial Co., Ltd. Wasseraustrittssteueranordnung einer Gartenbrause
DE202019004448U1 (de) 2019-10-30 2019-11-25 Ute SCHLEPPY Sprühkopf mit Führgestänge zum Reinigen zylindrischer Filterbürst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155U (ja) * 1993-11-17 1995-06-13 株式会社トヨックス 散水ノズル
JP2550620Y2 (ja) * 1995-05-29 1997-10-15 株式会社三洋化成 散水用ノズル
IL117818A (en) * 1996-04-03 2000-06-01 Netafim Irrigation Equipment & Irrigation hose nozzle with adjustable passage
JPH1071344A (ja) * 1996-06-27 1998-03-17 Earth Chem Corp Ltd 噴霧用ノズル構造体
JP4358948B2 (ja) * 1999-11-26 2009-11-04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散水器
US6367716B1 (en) * 2000-11-03 2002-04-09 Hsin-Fa Wang Structure for controlling water emission of pistol nozzle
JP3714626B2 (ja) * 2003-06-24 2005-11-09 株式会社トヨックス 散水ノズル
JP3115073U (ja) * 2005-07-25 2005-11-0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漏液防止機構及び該漏液防止機構を用いた液体噴射装置
TWM283682U (en) * 2005-07-26 2005-12-21 Yuan Mei Corp Sprinkle-nozzle structure
JP3115679U (ja) * 2005-08-11 2005-11-10 陳 鶴進 ウォーターガンの噴水調整制御機構
JP2008043917A (ja) * 2006-08-21 2008-02-28 Toyox Co Ltd 流量調整弁機構及びそれを使用したワンハンドノズル
CN201711235U (zh) * 2010-06-12 2011-01-19 余章军 带有功能切换滚轮的花洒手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28A (ko) * 2018-07-02 2020-01-10 (주)케맥스 에어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5155T5 (de) 2014-10-23
WO2013084569A1 (ja) 2013-06-13
JP5844821B2 (ja) 2016-01-20
JPWO2013084569A1 (ja)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939B2 (en) Hand-held dispenser
US6691937B2 (en) One touch actuated valve
EP2344280B1 (en) Modular coatings sprayer
US8490948B2 (en) Apparatus for flow control and shutoff
JPH0592154A (ja) スプレーガン
JP5607328B2 (ja) 散水ノズル
KR20140106496A (ko) 살수 노즐
US6036117A (en) Hose nozzle
US6644625B1 (en) Pistol grip hose nozzle with proportional flow control
JP5583104B2 (ja) 散水ノズル
JP5619053B2 (ja) 散水ノズル
JP5749661B2 (ja) 散水ノズル
US6425538B1 (en) Nozzle with automatic disengaging bale
JP5667148B2 (ja) 散水ノズル
AU2014386394B2 (en) Water application device with ergonomic volume control
EP3209425A1 (en) Fluid dispensing device
JP5681159B2 (ja) 散水装置
CN111375503B (zh) 一种圆形喷淋水枪
CN212633087U (zh) 一种圆形喷淋水枪
JP6959648B2 (ja) 散水ノズル
TWI353887B (ko)
JP5651155B2 (ja) 散水装置
KR20170037846A (ko) 노즐 건 및 레버 잠금기구
KR101795496B1 (ko) 다양한 노즐의 선택 사용이 가능한 분무기용 노즐대 손잡이
US20080066826A1 (en) Glass fi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