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366A - 축전 소자 및 축전 장치 - Google Patents

축전 소자 및 축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366A
KR20140104366A KR1020140018526A KR20140018526A KR20140104366A KR 20140104366 A KR20140104366 A KR 20140104366A KR 1020140018526 A KR1020140018526 A KR 1020140018526A KR 20140018526 A KR20140018526 A KR 20140018526A KR 20140104366 A KR20140104366 A KR 20140104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case body
opening
opening ed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638B1 (ko
Inventor
마사카즈 쓰쓰미
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4010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케이스 내부의 용적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커버판을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위치결정할 수 있는 축전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는, 케이스 본체와 커버판을 가지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커버판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또한 커버판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축전 소자 및 축전 장치{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UNIT}
본 발명은,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판을 가지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축전 소자 및 상기 축전 소자를 구비하는 축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지(리튬 이온 전지, 니켈수소전지 등), 커패시터(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 등의 충방전(充放電) 가능한 축전 소자가 차량(자동차, 자동 이륜차 등), 각종 기기(機器)(휴대 단말기, 노트북형 PC 등) 등의 동력원으로서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지[각형(角型) 전지]는, 전극체(전지 엘리먼트)와,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본체 케이스)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막는 커버판(커버체)을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단차부(段差部)가 커버판에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는, 커버판을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지의 케이스는,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밀폐된다.
특허 문헌 1의 단차부는, 커버판의 주위 에지부를 제외한 영역이 케이스 본체의 내측을 향해 일정하게 면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 단차부의 체적분의 용적을, 전극체를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용적으로서 이용할 수 없다. 즉, 단차부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 내부의 용적으로부터 손상된다. 케이스의 내부의 용적이 저하되면, 전지의 축전에 기여하는 전극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적어진다. 이로써, 전지의 단위 체적 근처의 축전 용량이 저하된다.
이 종류의 문제는, 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커패시터(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 공개특허 평10―269999호 공보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의 용적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커버판을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는 축전 소자 및 축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는,
서로 절연된 플러스극판 및 마이너스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는 커버판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판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적어도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또한 상기 커버판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전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4는, 동 전지의 케이스의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 위치의 커버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 위치의 커버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동 전지의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에 탑재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스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판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스 본체와 커버판과의 접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는,
서로 절연된 플러스극판 및 마이너스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는 커버판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판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중 적어도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또한 상기 커버판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의 돌출부가, 제2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의 내측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은, 제2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돌출부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는 커버판의 부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의 용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지할뿐이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일 태양(態樣)으로서,
커버판은, 돌출부를 가지는 개소(箇所)의 외면측에 오목부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가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커버판의 중량은, 돌출부의 체적에 상당하는 중량만큼, 증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커버판에 의하면, 돌출부를 가지는 개소의 외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오목부의 용적분의 중량이 커버판의 중량으로부터 감소한다. 따라서, 돌출부가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에 의한 커버판의 중량의 증가는, 오목부에 의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태양으로서,
케이스 본체는, 바닥이 있는 사각 통형이며,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 중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의 각각 적어도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의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 중 대향하는 한 쌍의 변에서의 내측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서의 한 쌍의 변과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한 쌍의 변의 각각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의 용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지할뿐이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이 경우,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 중 대향하는 한쪽의 한 쌍의 변의 각각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다른 쪽의 한 쌍의 변의 각각 적어도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의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 중 대향하는 한쪽의 한 쌍의 변 및 다른 쪽의 한 쌍의 변에서의 내측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은, 한 쌍의 변과 평행한 방향과 상기 한 쌍의 변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 중 대향하는 한쪽의 한 쌍의 변의 각각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다른 쪽의 한 쌍의 변의 각각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의 용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지할뿐이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태양으로서,
케이스 본체는, 개구 에지가 복수의 코너부와, 복수의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와 인접한 코너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변을 가지는 각형상(角形狀)이며,
돌출부는, 복수의 코너부 중 1개 이상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의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복수의 코너부 중 1개 이상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 중 복수의 코너부 중 1개 이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의 용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지할뿐이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측을 따라 환형(環形)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의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 중 내측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측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의 용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지할뿐이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돌출부의 외주 에지는, 개구 에지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돌출부의 외주 에지는, 커버판의 주위 에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의 전체가 아니고,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의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의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의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의 용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지할뿐이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커버판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대향하는 커버판의 상면의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가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커버판의 중량은, 돌출부의 체적에 상당하는 중량만큼, 증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커버판에 의하면, 커버판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대향하는 커버판의 상면의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오목부의 용적분의 중량이 커버판의 중량으로부터 감소한다. 따라서, 돌출부가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에 의한 커버판의 중량의 증가는, 오목부에 의해 억제된다.
이 경우,
평면에서 볼 때, 오목부는, 돌출부에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를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는 돌조(突條)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돌출부에서의 돌출 방향의 선단의 단면(斷面) 형상은, 원호형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판을 케이스 본체에 끼울 때, 돌조와 케이스 본체의 내측이 스치는 것에 의한 금속분(金屬粉)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축전 소자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축전 소자와, 상기 2개 이상의 축전 소자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개 이상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의 돌출부가, 제2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의 내측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상기 1개 이상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커버판은, 제2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돌출부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는 커버판의 부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1개 이상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돌출부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의 용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지할뿐이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는,
서로 절연된 플러스극판 및 마이너스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전극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고, 개구부를 덮는 커버판을 구비하고,
커버판은, 상기 커버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돌출부의 외주 에지는, 커버판의 주위 에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의 돌출부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일 태양으로서,
돌출부의 외주 에지는, 개구 에지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의 전체가 아니고,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의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의 전체가 아니고,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의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의 용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지할뿐이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돌출부에 대향하는 커버판의 상면의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가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커버판의 중량은, 돌출부의 체적에 상당하는 중량만큼, 증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커버판에 의하면, 돌출부에 대향하는 커버판의 상면의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오목부의 용적분의 중량이 커버판의 중량으로부터 감소한다. 따라서, 돌출부가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에 의한 커버판의 중량의 증가는, 오목부에 의해 억제된다.
이 경우,
평면에서 볼 때, 오목부가 돌출부에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돌조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돌출부에서의 돌출 방향의 선단의 단면 형상은, 원호형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축전 소자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축전 소자와, 2개 이상의 축전 소자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개 이상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커버판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의 돌출부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의 내측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상기 1개 이상의 축전 소자에 있어서, 커버판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내부의 용적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커버판을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일실시형태인 전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는, 비수 전해질 2차 전지,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는, 도 1∼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2)와, 상기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는 커버판(3)으로서,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를 막아 밀폐하는 커버판(3)을 가지는 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1) 내에 수납된 전극체(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 구조(9)가 커버판(3)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의 케이스 본체(2) 및 커버판(3)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알루미늄계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2)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 통형상의 권취형(卷取型)의 전극체(4)를 수납하기 위해, 폭 방향으로 편평한 바닥이 있는 각통형(角筒形)이다. 커버판(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에 대응한 직사각형상의 판재이다.
케이스 본체(2)에서는,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부(2b, 2b)와 대향하는 한 쌍의 단판부(端板部)(2c, 2c)가 직사각형상의 바닥부(2a)의 주위 에지에 제1 방향(A1)(높이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단판부(2c, 2c)는, 직사각형상의 바닥부(2a)의 폭 방향인 제2 방향(A2)에 따른 바닥부(2a)의 에지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부(2b, 2b)는, 바닥부(2a)의 길이 방향인 제3 방향(A3)에 따른 바닥부(2a)의 에지에 세워 설치된다. 케이스 본체(2)는, 한 쌍의 단판부(2c, 2c)가 한 쌍의 측판부(2b, 2b)보다 협폭(狹幅)으로 되는 것에 의해, 안쪽의 작은 박형(薄形)의 바닥이 있는 사각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방향(A2)」및 「제3 방향(A3)」는, 본 발명의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방향은, 본 실시형태의 「제2 방향(A2)」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제3 방향(A3)」를 제외한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측판부(2b, 2b)의 각각은, 바닥부(2a) 측에 형성되는 제1 변(P1)과, 상기 제1 변(P1)에 대향하는 제2 변(P2)과, 제1 방향(A1)에 따른 한 쌍의 변(P3, P4)을 가진다. 한 쌍의 단판부(2c, 2c)의 각각도 측판부(2b)와 마찬가지로, 바닥부(2a) 측에 형성되는 제1 변(P1)과, 상기 제1 변(P1)에 대향하는 제2 변(P2)과, 제1 방향(A1)에 따른 한 쌍의 변(P3, P4)을 가진다. 바닥부(2a)와 대응한 개구부(2d)가, 한 쌍의 측판부(2b, 2b)의 제2 변(P2, P2) 및 한 쌍의 단판부(2c, 2c)의 제2 변(P2, P2)이 포위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판(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관통공(31)이 각각 제3 방향(A3)으로 간격을 두고 커버판(3)에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상의 가스 배출 밸브(32)가 커버판(3)의 중앙부에 상기 커버판(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대략 Y자형의 박육부(薄肉部; thin portion)가 가스 배출 밸브(32)에 형성되어 있다. 가스 배출 밸브(32)는, 케이스(1)의 내압(內壓)이 이상(異常)으로 상승한 경우에 박육부가 찢어져 케이스(1) 내를 감압한다. 소경의 주액공(33)이, 커버판(3)에서의 가스 배출 밸브(32)의 가로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주액공(33)은, 케이스(1) 내로의 전해액의 주액 후에, 전체(13)에 의해 폐쇄된다.
커버판(3)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내측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에 대향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는, 커버판(3)으로부터 선형으로 돌출된 돌조(34)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돌조(34)(돌출부)는, 커버판(3)의 하면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위치한다. 이 돌조(34)는, 한 쌍의 단판부(2c, 2c)의 제2 변(P2, P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돌조(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2d)의 내면에 내접하도록 커버판(3)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조(34)는, 커버판(3)의 주위 에지부에서의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와 맞닿는 영역보다 내측에 있어서 단판부(2c)의 제2 변(P2)을 따라 형성된다. 돌출형(34)의 양단은, 한 쌍의 측판부(2b, 2b)의 제2 변(P2, P2)의 일부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돌조(34)는, 케이스 본체(2)의 한 쌍의 단판부(2c, 2c)를 따라, 커버판(3)으로부터 케이스 본체(2)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돌조(34)는, 코이닝(coin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돌조(34)는, 커버판(3)의 상면(외면) 측을 오목형으로 오목하게 하여 커버판(3)의 하면(내면) 측을 철형(凸形)으로 융기시킨 부분이다. 오목부(35)는, 커버판(3)의 상면(외면)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3)의 하면(내측)에서의 돌조(34)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오목부(35)가 커버판(3)의 상면을 들어가게 할 수 있었던 용적은, 커버판(3)의 하면으로부터 융기된 돌조(34)의 체적과 대략 동일하다. 돌조(34)에서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는, 원호형의 단면을 가진다. 그러므로, 커버판(3)을 케이스 본체(2)에 끼울 때, 돌조(34)와 케이스 본체(2)의 내측이 스치는 것에 의한 금속분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판(3)에서의 케이스 본체(2)에 대향하는 돌조(34)는, 케이스 본체(2)와 맞닿아 있다. 돌조(3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판(3)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버판(3)은, 이들 한 쌍의 돌조(34, 34)에 의해 케이스 본체(2)에 위치 결정된다.
전극체(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형의 플러스극 시트(5)와 밴드형의 마이너스극 시트(6)를, 상기 플러스극 시트(5) 및 상기 마이너스극 시트(6)의 사이에 밴드형의 세퍼레이터(separator)(7)를 협지한 상태에서 좌우의 상이한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타원으로 되는 타원 통형상으로 권취한 것이다. 전극체(4)는, 절연성 시트에 의해 형성된 절연 커버에 의해 전체가 덮히고, 케이스(1)과 절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 내에 수납되어 있다. 플러스극 시트(5)는, 알루미늄박의 표면에 플러스극 활물질(活物質)을 담지(擔持)시킨 것이다. 마이너스극 시트(6)는, 동박(銅箔)의 표면에 마이너스극 활물질을 담지시킨 것이다. 플러스극 시트(5) 및 마이너스극 시트(6)는, 활물질의 미도공부(未塗工部)를, 좌우의 어긋남 방향의 끝에지부에 각각 가지고 있다. 이로써, 알루미늄박 및 동박이 전극체(4)의 좌우의 단부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 즉, 전극체(4)의 좌우의 단부에서는, 전극의 금속박(전극에 있어서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부위)이 권취된 감은 다발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집전체(8)가, 전극체(4)의 좌우의 단부에 있어서 노출되는 금속박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집전체(8)는, 상하로 장척(長尺)의 도전성(導電性) 금속 부재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스극의 집전체(8)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이너스극의 집전체(8)는, 예를 들면, 동(銅) 또는 동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집전체(8)의 상부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되도록 절곡되어 접속부(8a)로 된다. 집전체(8)에서의 상기 접속부(8a)보다 아래쪽의 부분은, 전후로 양다리로 나누어져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다리로 나누어진 부분은, 전극체(4)의 단부와 함께 협지판에 끼워져,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전극체(4)의 단부(端部)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단자 구조(9)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스극의 단자 구조(9)와 마이너스극의 단자 구조(9)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단자 구조(9)는, 수지 플레이트(10)와, 외부 개스킷(개스킷)(11)과, 외부 단자(12)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 플레이트(10) 및 외부 개스킷(11)은, 커버판(3)의 좌우에 있어서 관통공(31)을 내외에서 협지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외부 단자(12)는, 상기 수지 플레이트(10) 및 외부 개스킷(11)을 통하여 관통공(31)에 삽통(揷通)되고, 집전체(8)의 접속부(8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케이스(1) 내의 전극체(4)와 외부 단자(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부 단자(12)로서, 마이너스극 외부 단자(12)와 플러스극 외부 단자(12)가 있다. 각각의 외부 단자(12)는, 헤드부(12a)와, 헤드부(12a)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축부(軸部)(12b)를 각각 가진다. 버스 바(bus bar)가, 헤드부(12a)의 표면(노출면)에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마이너스극 외부 단자(12)는, 예를 들면, 동 또는 동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플러스극 외부 단자(1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전지(1)를 제조할 때, 먼저, 플러스극 시트(5), 마이너스극 시트(6), 세퍼레이터(7) 및 집전체(8)가 조립된 전극체(4)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로부터 케이스 본체(2) 내에 수용된다. 이어서, 커버판(3)이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의 개구 에지의 적당한 위치에 탑재된다. 이 때, 커버판(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 대하여 돌조(34)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커버판(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와의 조인트를 전체 주위에 걸쳐 레이저 용접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 본체(2)에 접합된다. 이로써,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가 커버판(3)에 의해 막혀, 케이스(1)가 밀폐된다. 케이스(1)가 밀폐된 후, 외부 개스킷(11)이 커버판(3)에 탑재되고, 외부 단자(12)가 외부 개스킷(11)의 개구부, 커버판(3)의 관통공(31), 및 케이스(1) 내에 배치되는 집전체(8)의 접속부(8a)의 개구부에 삽통된다. 그리고,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외부 단자(12)의 선단부가 코킹(caulking)되고, 이로써, 외부 단자(12)와 전극체(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결과, 전지(1)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1)에 의하면, 커버판(3)이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면, 커버판(3)의 돌조(34)가 커버판(3)을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커버판(3)이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커버판(3)의 돌조(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의 제2 방향(A2)에서의 양 단부에 있어서, 개구 에지의 내측에 내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서의 제2 방향(A2)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커버판(3)의 돌조(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의 제3 방향(A3)에서의 양 단부에 있어서, 개구 에지의 내측에도 내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서의 제3 방향(A3)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돌조(34)는, 제2 방향(A2)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는 부분과, 제3 방향(A3)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는 부분에 부분적(국소적)에 형성되어 있는데 불과하다. 그러므로, 돌조(34)의 체적분의 용적이 케이스(1)의 용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지할뿐이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각 부재의 제조 시의 치수 정밀도의 오차, 근소한 요철(凹凸) 등에 의해, 커버판(3)의 하면과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스(1)에서는, 커버판(3)의 돌조(34)가, 케이스 본체(2)의 외측으로부터 이 간극을 통한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레이저 용접에 의해 커버판(3)과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를 접합할 때, 이 간극을 레이저광이 통과해도, 커버판(3)의 돌조(34)가 레이저광의 전방을 차단하고, 이로써, 레이저광이 돌출형(34)보다 케이스(1)의 내부측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레이저광이 케이스(1)의 내부의 수용물까지 관통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조(34)가 커버판(3)을 코이닝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판(3)의 중량이 돌조(34)를 형성한 것에 의해 증가하지 않는다. 즉, 돌조(34)가 커버판(3)에 형성되면, 통상, 커버판(3)의 중량은, 돌조(34)의 체적에 상당하는 중량만큼, 증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커버판(3)에서는, 돌조(34)를 가지는 개소의 외면측에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오목부(35)의 용적분의 중량이 커버판(3)의 중량으로부터 감소한다. 따라서, 돌조(34)는, 오목부(35)에 의해 상기 커버판(3)에 돌조(34)가 형성되는 것에 의한 커버판(3)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레이저광이 케이스(1)의 내부의 수용물까지 관통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케이스(1)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조(34)가 한 쌍의 단판부(2c, 2c)의 제2 변(P2, P2)과 한 쌍의 측판부(2b, 2b)의 제2 변(P2, P2)의 단부의 일부와의 각각에 대응하여 커버판(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34, 134)는, 한 쌍의 단판부(2c, 2c)의 제2 변의 각각에만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돌출부(134, 134)는, 커버판(103)의 단변(短邊)을 따라 형성된 직선형의 돌조라도 된다. 커버판(10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서의 한 쌍의 단판부(2c, 2c)의 제2 변과 교차하는 방향, 즉 제3 방향(A3)에 위치 결정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1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방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커버판(10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케이스(1)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판(103)과 케이스 본체(2)의 한 쌍의 단판부(2c, 2c)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레이저광이 돌출부(134)보다 케이스(1)의 내부측을 관통하거나, 또는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234, 234)는, 한 쌍의 측판부(2b, 2b)의 제2 변의 각각에만 대응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커버판(20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서의 한 쌍의 측판부(2b, 2b)의 제2 변과 교차하는 방향, 즉 제2 방향(A2)에 위치 결정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2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커버판(20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판(203)과 케이스 본체(2)의 한 쌍의 측판부(2b, 2b)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레이저광이 돌출부(234)보다 케이스(1)의 내부측을 관통하는 것이 방지된다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334)가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측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커버판(303)은, 제2 방향(A2) 및 제3 방향(A3)의 양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3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커버판(30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판(303)과 케이스 본체(2)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레이저광이 돌출부(334)보다 케이스(1)의 내부측을 관통하거나, 또는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434)가,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 중 측판부(2b)와 단판부(2c)와의 접속부[케이스 본체(2)의 코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434)는, 케이스 본체(2)의 4코너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므로, 커버판(403)은, 제2 방향(A2) 및 제3 방향(A3)의 양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4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커버판(40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출부가 커버판(3)으로부터 선형으로 돌출된 돌조(34)인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돌출부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534)가 커버판(503)으로부터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돌출부(634)가 커버판(603)으로부터 직사각형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도, 커버판(503, 60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들 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534, 6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커버판(503, 60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734, 734)는, 그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한 변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의 내주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의 한 변에서의 일부의 내주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으면 된다. 즉, 돌출부(734, 734)의 양 단부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서의 단판부(2c, 2c)에 이르기까지, 상기 돌출부(734)가 상기 내주면에 대하여 연속하여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834, 834)는, 상기 돌출부(834)의 양 단부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서의 측 단부(2b)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834)의 중앙부가 단판부(2c)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한편, 상기 돌출부(834)의 상기 양 단부와 상기 중앙부와의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서 개구부(2d)의 코너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코너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지 않은 형상이라도 된다.
돌출부(734, 834)가 이와 같은 형상이면, 커버판(703, 803)에서의 돌출부(734, 834)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커버판(703, 803)이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2d)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들 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734, 8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커버판(703, 80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가 바닥이 있는 사각 통형이며, 커버판(3)이 직사각형상의 판재인 예를 나타낸다. 즉, 케이스(1)가 사각 상자형인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902)는, 개구 에지(902d)가 복수의 코너부(902e)와 서로 인접하는 코너부(902e)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변(902b, 902b, 902c, 902c)을 가지는 각형상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복수의 변(902b, 902b)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측판부(2b, 2b)에 대응한다. 복수의 변(902c, 902c)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판부(2c, 2c)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코너부(902e)를 가지는 각형상의 케이스 본체(902)의 경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934, 934)는, 인접하는 2개의 코너부(902e, 902e)와 코너부(902e) 사이의 변(902c)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커버판(903)에 형성된다.
한 쌍의 돌출부(934, 934)는, 인접하는 2개의 코너부(902e, 902e)와 상기 코너부(902e) 사이의 변(902c)을 따라 형성된다. 즉, 돌출부(934)는, 이른바, C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므로, 커버판(903)이 케이스 본체(902)의 개구부(902d)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었을 때, 복수의 돌출부(934)는, 케이스 본체(902)의 개구 에지의 복수의 코너부(902e)의 각각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한다. 그러므로, 커버판(903)은, 케이스 본체(902)의 개구부(902d)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934)는, 케이스 본체(902)의 개구부(902d)에서의 복수의 코너부(902e) 중 1개 이상의 코너부(902e)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데 불과하다. 이와 같이, 돌출부(934)는,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커버판(90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이며,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판(1003, 1103)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막는 원형상의 판재인 케이스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034)가, 케이스 본체의 내측 전체 주위에 걸쳐 대향하도록, 커버판(1003)에 있어서 환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134)가, 커버판(1103)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의 일부와 대향하도록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커버판(1003, 1103)은, 돌출부(1034, 1134)에 의해,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들 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1034, 1134)는,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커버판(1003, 1103)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케이스 내부의 용적이 대폭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판(1003, 1103)과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레이저광이 돌출부(1034, 1134)보다 케이스의 내부측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조(34)(돌출부)가 제1 방향(A1)과 직교하는 방향 중 적어도 제2 방향(A2)[또는 제3 방향(A3)]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34)(돌출부)가 제1 방향(A1)과 직교하는 방향 중 적어도 제2 방향(A2)[또는 제3 방향(A3)]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근접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내접하는 경우와 같이, 케이스 본체(2)에 대하여 커버판(3)을 위치결정하는 효과가 있을뿐만 아니라, 커버판(3)을 케이스 본체(2)에 삽입하기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스극의 집전체(8) 및 플러스극의 외부 단자(12)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되고, 마이너스극의 집전체(8) 및 마이너스극의 외부 단자(12)가, 동 또는 동 합금에 의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집전체(8) 및 외부 단자(12)의 재료는, 전지의 종류에 따라 도전성 금속 재료이면, 임의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부 단자(12)의 재료에 대해서도 예시했다. 그러나, 외부 단자(12)의 재료는, 강도나 도전성 등의 특성이 적합한 도전성 금속 재료이면, 임의이다.
또한, 전극체(4)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타원 통형상의 권취형의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체는,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전극체는, 복수의 플러스극 시트와 복수의 마이너스극 시트이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교호적(交互的)으로 적층된 적층형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스(1)가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철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케이스(1)[케이스 본체(2) 및 커버판(3)]의 재질은 임의이다. 따라서, 금속 이외의 것이 케이스(1)의 재료에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절연성 재질이 케이스(1)의 재료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케이스 본체(2) 및 커버판(3)]의 형상 및 구조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와 커버판(3)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케이스 본체(2)와 커버판(3)과의 접합 방법은 임의이다. 케이스 본체(2)와 커버판(3)과의 접합 방법은, 예를 들면, 저항 용접에 의한 접합 방법, 접착제를 통한 접합 방법 등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지의 종류나 크기(용량)는 임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종 2차 전지, 그 외에, 1차 전지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커패시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축전 소자(예를 들면, 전지)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수의 축전 소자를 구비하는 축전 장치(축전 소자가 전지의 경우에는 전지 모듈)(50)에 이용되어도 된다. 축전 장치(50)는, 2개 이상의 축전 소자와, 2개의(상이한) 축전 소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 부재(51)를 가진다. 또한, 축전 장치는, 2개 이상의 축전 소자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이 축전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이 1개 이상의 축전 소자에 적용되어 있으면 된다.
1…케이스, 2…케이스 본체, 2a…바닥부, 2b…측판부, 2c…단판부, 2d…개구부, 3…커버판, 31…관통공, 32…가스 배출 밸브, 33…주액공, 34…돌조(돌출부), 35…오목부, 36…케이스 내측부, 4…전극체, 5…플러스극 시트, 6…마이너스극 시트, 7…세퍼레이터, 8…집전체, 8a…접속부, 9…단자 구조, 10…수지 플레이트, 11…외부 개스킷, 12…외부 단자, 12a…헤드부, 12b…축부, 13…전체, 103…커버판, 134…돌출부, 203…커버판, 234…돌출부, 303…커버판, 334…돌출부, 403…커버판, 434…돌출부, 503…커버판, 534…돌출부, 603…커버판, 634…돌출부, 703…커버판, 734…돌출부, 803…커버판, 834…돌출부, 902…케이스 본체, 902b…측판부, 902c…단판부, 902d…개구부, 902e…코너부, 903…커버판, 934…돌출부, 1003…커버판, 1034…돌출부, 1103…커버판, 1134…돌출부, 50…축전 장치, 51…버스 바 부재, A1…제1 방향, A2…제2 방향, A3…제3 방향, P1…제1 변, P2…제2 변, P3, P4…변

Claims (22)

  1. 서로 절연된 플러스극판 및 마이너스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 및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는 커버판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판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중 적어도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또한 상기 커버판의 주위 에지 부근에 국소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축전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상기 돌출부를 가지는 개소(箇所)의 외면측에 오목부를 구비하는, 축전 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바닥이 있는 사각 통형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 중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의 각각 적어도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는, 축전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 중 대향하는 한쪽의 한 쌍의 변의 각각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다른 쪽의 한 쌍의 변의 각각 적어도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는, 축전 소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개구 에지가 복수의 코너부와, 상기 복수의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와 인접한 코너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변을 가지는 각형상(角形狀)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코너부 중 1개 이상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는, 축전 소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의 내측을 따라 환형(環形)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전 소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주 에지는, 상기 개구 에지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축전 소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돌출부의 외주 에지는, 상기 커버판의 주위 에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축전 소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의 내면의 전체가 아니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의 내면의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는, 축전 소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에 대향하는 상기 커버판의 상면의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축전 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에 중첩되는, 축전 소자.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를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는 돌조(突條)인, 축전 소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서의 돌출 방향의 선단의 단면(斷面) 형상은 원호형인, 축전 소자.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소자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축전 소자; 및
    상기 2개 이상의 축전 소자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
  15. 서로 절연된 플러스극판 및 마이너스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 및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 에지에 탑재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판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커버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구 에지의 내면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 에지는, 상기 커버판의 주위 에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축전 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주 에지는, 상기 개구 에지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축전 소자.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의 내면의 전체가 아니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의 내면의 일부에 내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는, 축전 소자.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대향하는 상기 커버판의 상면의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축전 소자.
  19. 제18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오목부가 상기 돌출부에 중첩되는, 축전 소자.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돌조인, 축전 소자.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서의 돌출 방향의 선단의 단면 형상은 원호형인, 축전 소자.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소자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축전 소자; 및
    상기 2개 이상의 축전 소자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
KR1020140018526A 2013-02-20 2014-02-18 축전 소자 및 축전 장치 KR102230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1292 2013-02-20
JP2013031292A JP6124175B2 (ja) 2013-02-20 2013-02-20 蓄電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366A true KR20140104366A (ko) 2014-08-28
KR102230638B1 KR102230638B1 (ko) 2021-03-19

Family

ID=5126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526A KR102230638B1 (ko) 2013-02-20 2014-02-18 축전 소자 및 축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7965B2 (ko)
JP (1) JP6124175B2 (ko)
KR (1) KR102230638B1 (ko)
CN (1) CN103996806B (ko)
DE (1) DE1020142030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366A (ko) * 2016-11-07 2018-05-16 도요타 지도샤(주)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20180137509A (ko) * 2016-04-19 2018-12-27 블루 솔루션즈 캐나다 인크. 가압된 리튬 금속 중합체 배터리
US10665887B2 (en) 2016-10-12 2020-05-26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including aligning projection contacting energy storage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705B1 (ko) * 2015-03-03 2022-0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커버를 갖는 이차 전지
KR102341400B1 (ko) * 2015-05-06 2021-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베터리 팩
WO2017082317A1 (ja) * 2015-11-10 2017-05-18 株式会社 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US11011316B2 (en) * 2016-09-28 2021-05-18 Nippon Chemi-Con Corporation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7507707A (zh) * 2017-07-19 2017-12-22 无锡烯晶碳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内串超级电容器结构及其组装方法
US11640880B2 (en) * 2017-12-12 2023-05-02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device
CN207800714U (zh) * 2018-02-05 2018-08-3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模组的壳体及电池模组
CN110880563B (zh) 2019-10-10 2021-12-14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壳体组件及具有所述电池壳体组件的电池
WO2023155204A1 (zh) * 2022-02-21 2023-08-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和制造***、电池以及用电装置
CN217485584U (zh) * 2022-04-02 2022-09-2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端盖、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CN218334016U (zh) * 2022-09-05 2023-01-17 苏州中科瑞龙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壳体及电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999A (ja) 1997-03-24 1998-10-09 Sony Corp 角形電池
KR20000069844A (ko) * 1997-11-07 2000-11-25 이데이 노부유끼 각형 밀폐식 전지
KR20000076885A (ko) * 1999-03-17 2000-12-26 다카노 야스아키 슬림형의 각형상 제조에 적합한 밀폐식 배터리
KR20100099983A (ko) * 2009-03-04 2010-09-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KR101034057B1 (ko) * 2007-07-23 2011-05-12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케이스 및 밀봉판을 구비하는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7509A (en) * 1959-08-17 1963-02-12 Electro Acid Corp Electric storage battery
JP3754291B2 (ja) 2000-12-15 2006-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
JP2002329484A (ja) 2001-04-27 2002-11-15 Yuasa Corp 密閉形電池
JP4643176B2 (ja) 2004-05-20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缶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56124A (ja) 2004-11-29 2006-06-15 Kyocera Corp セラミック容器ならびに電池または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7651813B2 (en) 2004-11-25 2010-01-26 Kyocera Corporation Container, battery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KR100709834B1 (ko) * 2005-04-26 2007-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023105B1 (ko) 2009-03-11 2011-03-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JP2010225372A (ja) 2009-03-23 2010-10-07 Toyota Motor Corp 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US8268478B2 (en) 2009-08-17 2012-09-18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nti-vibration member
JP2011204396A (ja) 2010-03-24 2011-10-13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とその製造方法
CN102222801B (zh) * 2010-04-13 2014-04-09 夏普株式会社 二次电池
JP5543269B2 (ja) * 2010-05-12 2014-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
JP2012104414A (ja) 2010-11-11 2012-05-31 Toyota Motor Corp 密閉型電池及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5374531B2 (ja) 2011-03-18 2013-12-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
JP6024092B2 (ja) * 2011-10-26 2016-11-09 株式会社Gsユアサ 金属容器の製造方法、金属容器、蓄電素子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2013105674A (ja) 2011-11-15 2013-05-30 Hitachi Vehicle Energy Ltd 組電池
JP6064434B2 (ja) * 2012-08-20 2017-01-25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999A (ja) 1997-03-24 1998-10-09 Sony Corp 角形電池
KR20000069844A (ko) * 1997-11-07 2000-11-25 이데이 노부유끼 각형 밀폐식 전지
KR20000076885A (ko) * 1999-03-17 2000-12-26 다카노 야스아키 슬림형의 각형상 제조에 적합한 밀폐식 배터리
KR101034057B1 (ko) * 2007-07-23 2011-05-12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케이스 및 밀봉판을 구비하는 전지
KR20100099983A (ko) * 2009-03-04 2010-09-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509A (ko) * 2016-04-19 2018-12-27 블루 솔루션즈 캐나다 인크. 가압된 리튬 금속 중합체 배터리
CN109937509A (zh) * 2016-04-19 2019-06-25 加拿大蓝色解决方案有限公司 受压锂金属聚合物电池组
US10665887B2 (en) 2016-10-12 2020-05-26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including aligning projection contacting energy storage devices
KR20180051366A (ko) * 2016-11-07 2018-05-16 도요타 지도샤(주)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15071A1 (en) 2014-10-23
JP2014160618A (ja) 2014-09-04
CN103996806B (zh) 2018-11-13
CN103996806A (zh) 2014-08-20
DE102014203070A1 (de) 2014-08-21
KR102230638B1 (ko) 2021-03-19
US9767965B2 (en) 2017-09-19
JP6124175B2 (ja)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4366A (ko) 축전 소자 및 축전 장치
KR101895340B1 (ko) 축전 소자
JP6226413B2 (ja) 蓄電素子及び蓋板の製造方法
US8673470B2 (en) Secondary cell
US9819002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JP6427462B2 (ja) 角形二次電池
KR101146414B1 (ko) 이차 전지
US9299964B2 (en) Energy storage element
CN107026248B (zh) 蓄电元件、蓄电装置以及蓄电元件的制造方法
US9172078B2 (en) Energy storag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432952B1 (ja) 電気化学セル
JP6476746B2 (ja) 蓄電素子、電源モジュール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2018107054A (ja) 角形二次電池
JP2019133827A (ja) 蓄電素子
WO2014041987A1 (ja) 蓄電装置
JP2020149952A (ja) 蓄電素子
JP2019145294A (ja) 蓄電素子
JP7247893B2 (ja) 蓄電素子
JP6864863B2 (ja)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KR20190098494A (ko) 이차 전지
JP6094343B2 (ja) 蓄電素子
WO2024142444A1 (ja) 角型二次電池
JP7040060B2 (ja) 蓄電素子
JP7259261B2 (ja) 蓄電素子
KR20230057963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