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305A -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305A
KR20140104305A KR1020130018326A KR20130018326A KR20140104305A KR 20140104305 A KR20140104305 A KR 20140104305A KR 1020130018326 A KR1020130018326 A KR 1020130018326A KR 20130018326 A KR20130018326 A KR 20130018326A KR 20140104305 A KR20140104305 A KR 2014010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smart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out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수
Original Assignee
서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수 filed Critical 서인수
Priority to KR1020130018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305A/ko
Publication of KR2014010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정보를 신속하게 출력 및 검색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포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출력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 출력되는 화면의 문자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변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자 출력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부착되어 6개의 돌출부로 구성되어 점자의 요소를 출력하는 복수의 단위로 구성되는 단위줄이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 단위줄의 좌우측에는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작동핀을 포함하는 점자표시기;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스위치;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입력스위치와 상기 작동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점자표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모듈은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정보를 상기 점자표시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Output system of braille for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점자로 출력하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IT산업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정보의 전달은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스마트 폰의 발달로 인하여 종래 서적이나 컴퓨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작업들의 많은 부분들이 스마트 폰 기반으로 추가되고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우의 경우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한 정보의 전달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방법을 강구해야될 필요가 있다.
시각장애우들은 종래 출판물의 정보를 점자 형태로 인식하므로, 출판물은 점자를 병기하거나 또는 별도의 점자 서적을 별도로 출판하여 시각장애우들이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의 경우에는 별도의 점자 출력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시각장애인들의 스마트 기기의 사용은 음성 정보를 위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점자 출력 기능을 갖는 장치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501896호는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하여 점자정보를 입력받아 점자 번역부를 통해 번역하여 처리하고, 외부의 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점자 번역부를 통하여 점자정보로 번역한 후, 상기 점자정보에 따라 키패드의 각 버튼에 장착된 진동자를 진동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수신된 문자 데이터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381870호는 휴대용 점자 출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부 연결기기와의 접속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출력수단; 상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를 독출하여, 점자용 도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상기 변환된 점자용 도트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점자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수단; 및 상기 점자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접촉 감지될 수 있는 형태의 점자를 출력 표시하는 점자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연결기기와의 연결 접속을 통해 전송 수신 및 저장되는 일반 텍스트 데이터 등을, 시각 장애인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점자로 표시 출력함과 아울러, 시각 장애인이 자신의 손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점자 인식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1-0063600호는 시각장애우용 점자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입력부와, 입력된 점자를 문자신호로 변환하는 문자신호변환부와, 변환된 문자신호를 외부의 컴퓨터, 단말기로 송신하고, 외부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문자를 수신하는 송수신인터페이스와, 수신된 문자를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점자신호변환부와, 변환된 점자신호에 따라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출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자출력부에는 변환된 점자신호에 따라 촉감발생소자를 각각 구동하는 구동부와, 촉감발생소자와 연계되어 시각장애우가 손가락으로 촉감을 인지하는 6개의 촉감핀이 1개의 점자단위를 이루어 패드에 배열되고, 상기 점자입력부와 송수신인터페이스와 점자출력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특허들은 일반적인 문자 정보를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에서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나, 스마트 기기에서 출력되는 인터넷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은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히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의 경우에는 인터넷 브라우저 기반의 하이퍼 텍스트로 화면을 출력하여 검색의 편이를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에 개시된 특허들은 이러한 인터넷 특성을 전혀 고려할 수 없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 정보를 신속하게 출력 및 검색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포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출력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 출력되는 화면의 문자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변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자 출력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부착되어 6개의 돌출부로 구성되어 점자의 요소를 출력하는 복수의 단위로 구성되는 단위줄이 북수개로 구성되고, 각 단위줄의 좌우측에는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작동핀을 포함하는 점자표시기;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스위치;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입력스위치와 상기 작동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점자표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모듈은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정보를 상기 점자표시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스위치는 상하 스크롤 기능을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스크롤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점자표시기에 출력되는 점자가 상하 스크롤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스위치는 웹 브라우저의 이전, 홈 및 다음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하는 동작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작동핀이 동작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되는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하이퍼 텍스트가 있는 경우 해당 하이퍼 텍스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스위치는 음성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스위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점자표시기에 출력되는 점자를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스마트 기기에 출력되는 화면을 바로 점자로 출력하고, 또한 사용자는 점자 출력기에 구비된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 특히 웹 브라우저에서의 하이퍼 텍스트의 사용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어, 종래 문자만을 출력하는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여 시각장애우들의 웹 브라우저의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기기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점자 출력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점자 출력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1)와 상기 스마트 기기(1)와 무선 통신에 의하여 통신하여 점자를 출력하고 또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점자 출력기(2)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기기(1)는 무선 통신 기능, 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스마트 폰, 테이블릿 피씨, PDA 또는 노트북 피씨 중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폰이다.
상기 스마트 기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변환모듈(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변환모듈(10)은 노트북인 경우에는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다른 스마트 기기(1)의 경우에는 앱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변환 모듈(10)은 스마트 기기(1)를 통하여 검색된 웹화면의 문자 정보를 스마트 기기(1)의 무선 통신 포터(11)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스마트 기기(1)의 자체도 스마트 기기 제어장치를 통하여 제어한다.
또한 무선 통신 포터(11)를 통하여 점자 출력기(2)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 포터(11)는 바람직하게 블루투스의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점자 출력기(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 측면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입력스위치(30)와 상기 케이스(20) 중앙에 형성되는 점자 표시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점자 표시기(40)는 6개의 단위 점자를 하나의 단위(41)로 적어도 20개 이상 40개 이하로 구성된 단위줄(42)이 5개 이상 14개 이하로 구성한다.
상기 단위(41)가 20개 미만이면, 한줄에 표현되는 문자의 수가 제한되어 정보를 읽기에 다소 불편하고, 40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제 제작 시 가격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상기 단위줄(42) 역시 5개 미만인 경우 한면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가 제한되어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14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역시 제작 시 가격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상기 단위(41)는 6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위(41)는 후술하는 제어장치(50)의 신호에 따라 해당 돌출부가 점자를 표현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점자 표시기(40)의 각 단위줄(42)의 측면 좌우측에는 하이퍼 텍스트 작동을 위한 작동핀(43)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작동핀(43)은 해당 단위줄(42)에 하이퍼 텍스터가 있을 경우 해당 하이퍼 텍스트를 링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입력스위치(30)는 상단에 이전(31), 홈(32), 다음(33)과 같이 웹 브라우즈용 스위치를 포함하며, 측면에는 상하 스크롤(34)를 제어하는 2개의 스위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음성출력을 지시하는 음성(36)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어, 필요한 경우 상기 점자 표시장치(40)에서 표시되는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점자 출력기(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장치(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50)는 메모리(51), 통신 모듈(52), 배터리(53), 스피커(54), 입력스위치(30), 점자 표시기(40) 및 작동핀(43)과 연동하여 전체 점자 출력기(2)를 제어하고 또한 스마트 기기(1)와 통신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제어장치(50)는 상기 통신 모듈(52)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송되는 브라우저의 문자 정보를 수신하여 점자로 변환한 후 상기 점자 표시기(4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50)는 단위(41)와 단위줄(42)에 순차적으로 상기 변환된 문자를 표현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문자 정보는 상기 메모리(51)에 동시에 저장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하 스크롤(34)를 작동시키면, 작동 여부와 작동 시간을 고려하여 문자 출력을 스크롤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작동핀(43)을 작동시키는 경우 해당 문자 열의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52)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1)로 전송한다.
상기 작동핀(43)의 동작 신호와 해당 문자열의 정보를 수신한 스마트 기기(1)의 변환 모듈(10)은 해당 문자열에 하이퍼 텍스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하이퍼 텍스트가 있는 경우 하이퍼 텍스트를 링크하여 브라우저의 화면을 해당 링크의 화면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화면의 문자 정보를 송신하다.
변경된 화면의 문자 정보를 수신한 제어장치(50)는 해당 문자 정보를 다시 점자 표시기(40)에 변환하여 표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전(31)의 스위치를 작동하는 경우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어장치(50)는 해당 신호를 상기 스마트 기기(1)로 전송하고, 변환모듈(10)은 이전 화면의 브라우저 화면을 출력하고 해당 화면을 점자 출력기(2)로 전송하면, 상기 점자 출력기(2)는 이전 화면에 해당하는 문자를 변환하여 점자 표시기(40)에 출력한다.
그리고 홈(32), 다음(33)의 스위치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하며, 음성(36) 스위치의 경우에는 작동 시 해당 문자를 스피커(54)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점자 출력기(2)는 별도의 스마트 기기(1)를 작동하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스마트 기기(1)의 브라우저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점자 출력기(2)는 스마트 기기(1)의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위치정보 등의 정보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동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도 정보에서 해당 지역의 문자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작동핀(43) 작동시키는 경우 해당 지역의 자세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하이퍼 텍스트 기능과 유사한 다른 다양한 기능들을 상기 작동핀(43)과 연계하여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스마트 기기 2: 점자 출력기
10: 변환모듈 11: 무선 통신 포터
20: 케이스 30: 입력스위치
31: 이전 32: 홈
33: 다음 34: 상하 스크롤
36: 음성 40: 점자 표시기
41: 단위 43: 단위줄
43: 작동핀 50: 제어장치
51: 메모리 52: 통신 모듈
53: 배터리 54: 스피커
100: 점자 출력시스템

Claims (5)

  1. 무선 통신 포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출력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 출력되는 화면의 문자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변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자 출력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부착되어 6개의 돌출부로 구성되어 점자의 요소를 출력하는 복수의 단위로 구성되는 단위줄이 북수개로 구성되고, 각 단위줄의 좌우측에는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작동핀을 포함하는 점자표시기;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스위치;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입력스위치와 상기 작동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점자표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모듈은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정보를 상기 점자표시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스위치는 상하 스크롤 기능을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스크롤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점자표시기에 출력되는 점자가 상하 스크롤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스위치는 웹 브라우저의 이전, 홈 및 다음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하는 동작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작동핀이 동작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포터를 통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되는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하이퍼 텍스트가 있는 경우 해당 하이퍼 텍스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스위치는 음성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스위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점자표시기에 출력되는 점자를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KR1020130018326A 2013-02-20 2013-02-20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KR20140104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326A KR20140104305A (ko) 2013-02-20 2013-02-20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326A KR20140104305A (ko) 2013-02-20 2013-02-20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305A true KR20140104305A (ko) 2014-08-28

Family

ID=5174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326A KR20140104305A (ko) 2013-02-20 2013-02-20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43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33A1 (ko) * 2020-07-31 2022-02-03 주식회사 닷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KR20220105263A (ko) 2021-01-20 2022-07-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점자 변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33A1 (ko) * 2020-07-31 2022-02-03 주식회사 닷 돌출형 기반 스마트 태블릿
KR20220105263A (ko) 2021-01-20 2022-07-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점자 변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302B2 (en) Terminal apparatus mountable in vehicle, mobile device for work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KR10083386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객체 표시 방법
EP2796993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initial setting
US20090270078A1 (en) Method for configurating keypad of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and the keypad capable of reconfiguration
CN101313270A (zh) 人机接口输入加速***
US10514796B2 (en) Electronic apparatus
US8620392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inuing a telephone call when charging
JP2023500311A (ja) メッセージ処理方法及び電子機器
CN102880284A (zh) 远程用户输入
KR20140104305A (ko)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KR101491039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US11366530B2 (en) Rolly keyboard
KR20150082971A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CN101566906A (zh) 与外部显示装置连结的电子装置
KR102032196B1 (ko) 점자 인식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워치
KR20150123022A (ko) 점자를 입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338598A (zh) 一种消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335436B1 (ko) 한글 입력 검색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검색방법
KR101470900B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음성/텍스트 변환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2013168762A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KR102040851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20050122662A (ko) 이중 센서 기반의 문자입력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20090123502A (ko) 외부 입력기기를 구비한 휴대장치
KR20050077932A (ko)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확장 액정 화면을 이용하는 이동단말기 장치
KR1012897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