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671A - 전단기 - Google Patents

전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671A
KR20140102671A KR1020147015685A KR20147015685A KR20140102671A KR 20140102671 A KR20140102671 A KR 20140102671A KR 1020147015685 A KR1020147015685 A KR 1020147015685A KR 20147015685 A KR20147015685 A KR 20147015685A KR 20140102671 A KR20140102671 A KR 2014010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tary drum
adjustment
block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오 우에스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헤이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헤이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헤이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0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5/00Machines or arrangements for shearing stock while the latter is travelling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 B23D25/12Shearing machines with blades on coacting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1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5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홈부(16, 18)를 가지는 회전 드럼(12, 14), 홈부(16, 18)에 설치되는 절단날(20, 22), 절단날(20, 22)을 홈부(16)에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28), 절단날(22)을 홈부(18)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 일단측이 고정 블록(28)에 나사결합되고, 타단측이 회전 드럼(12)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 일단측이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에 나사결합되고, 타단측이 회전 드럼(14)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를 포함하고, 고정 블록(28)은,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해지고, 조정 블록(32, 34)은,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전단기{SHEARING MACHINE}
본 발명은, 전단기(剪斷機; shearing machine)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절단날이 공동(共動)하는 드럼형의 회전 보디(이하, 회전 드럼이라고 함)에 장착되고, 냉연(冷延) 강판, 도금 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알루미늄 강판 등의 금속판, 골판지, 종이, 필름 등의 피절단물을 전단에 의해 절단하는, 전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으로 되는 종래의 전단기에는, 대향 회전되는 2개의 드럼의 각각의 주위면에 나이프를 장착하고, 양 드럼의 회전에 의한 양 나이프의 걸어맞춤에 의해, 양 드럼 사이에 공급되는 피절단재를 절단하도록 한 회전식 드럼 쉐어(drum shear)가 있었다. 이 회전 드럼 쉐어에서는, 상하의 드럼의 주위면에 나선형으로 장착면을 형성하고, 거기에 각각 상하의 나이프를 따르게 하고, 다수의 볼트(이하, 고정 볼트라고 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하의 나이프의 뒤쪽에는 다수의 조정 볼트 및 조정 너트가 설치되어 있고, 나이프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 소60―48212호 공보(제3면, 도 3 참조)
그러나, 이 종래의 회전식 드럼 쉐어에서는, 상하의 나이프가 장착면에 고정 볼트에 의해 직접 고정되고, 상하의 나이프의 위치가 조정 볼트 및 조정 너트에 의해 조정되고 있으므로, 피절단재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따른 나이프의 종류 변경이나 사이즈 변경, 또는 나이프 날끝(cutting edge)의 마모나 연마 등에 의한 나이프의 교체 작업을 위해 필요한 나이프의 착탈(着脫), 및 상하의 나이프의 클리어런스나 랩 등의 위치 조정에 매우의 수고와 시간이 걸려,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즉, 나이프의 교체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조정 볼트 및 조정 너트를 풀어간 후, 모든 고정 볼트를 분리함으로써, 나이프를 장착면으로부터 분리하고 있었다. 그리고, 새로운 나이프를 고정 볼트로 장착면에 가고정(假固定)하고, 상하의 나이프 사이의 클리어런스 및 랩을 조정하면서, 상하의 나이프의 위치맞춤을 한 후, 재차, 고정 볼트, 조정 볼트 및 조정 너트를 체결하여 나이프를 최종적으로 장착면에 고정하고 있었다.
여기서 말하는 상하의 나이프 사이의 「클리어런스」란, 「상하 날의 나이프의 날끝 사이의 수평 방향의 간극」을 나타내고, 「랩」이란, 「상하의 나이프의 날끝 사이의 수직 방향의 간극」을 나타내고, 이하, 상하 날의 나이프의 날끝 사이의 수평 거리를 「클리어런스량」이라고 하고, 상하 날의 나이프의 날끝 사이의 수직 거리를 「랩량」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다음에 이 종래의 회전식 드럼 쉐어에서의 상하의 나이프 사이의 클리어런스량 및 랩량의 조정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하의 나이프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측 나이프의 장착면과 상기 상측 나이프와의 사이에 적절히 심(shim) 등을 삽입 배치하고, 상기 상측 나이프의 장착면으로부터의 장착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상하의 나이프 사이의 클리어런스량을 조정하고 있었다. 이 경우, 상측 나이프를 장착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의 볼트공과 대응하는 삽통공(揷通孔)을 가지는 심을 별도 준비하는 한편, 조정 볼트 및 조정 너트를 풀어 가고, 고정 볼트를 상측 나이프로부터 모두 분리한다. 그리고, 장착면과 상측 나이프와의 사이에 상기 심을 삽입 배치하고, 고정 볼트로 상측 나이프를 가고정한다. 그리고, 상측 나이프 및 하측 나이프 사이의 클리어런스량을 조정한 후, 재차, 고정 볼트, 조정 볼트 및 조정 너트를 체결하여 상측 나이프를 장착면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하의 나이프 사이의 랩의 거리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측 나이프의 고정 볼트를 적절히 풀어지게 하여 상측 나이프를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 후, 경사진 상태의 상기 상측 나이프를 조정 볼트 및 조정 너트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적절한 구배면(勾配面)을 가지는 심 등을 상측 나이프의 장착면과 상기 상측 나이프와의 사이에 삽입 배치하고, 상기 상측 나이프를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여 장착하는 등의 방법이 채용되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회전식 드럼 쉐어에서의 상하의 나이프 사이의 클리어런스량 및 랩량의 조정 작업에서는, 매우 수고를 요하여 작업성도 나쁘고, 상기 클리어런스량 및 랩량의 미세 조정도 극히 곤란한 것이었다.
이 종래의 회전식 드럼 쉐어에서는, 상하의 나이프의 위치를 조정할 때, 상하의 나이프 위치를 위치맞춤한 후, 조정 볼트의 선단부에서 상하의 나이프의 폭 방향의 일단을 압압(押壓)하고, 조정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상하의 나이프 위치가 조정되고 있다. 이 때, 상하의 나이프는, 다수의 조정 볼트의 선단부에서, 이른바, 점(点)에서 압압 유지되는 상태로 되므로, 상하의 나이프를 장착면에 안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곤란해져, 정확하게 상하의 나이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다.
또한, 이 종래의 회전식 드럼 쉐어에서는, 상하의 나이프에 고정 볼트를 삽통하기 위한 삽통공을 다수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나이프의 강성(剛性)이 저하되고, 피절단재를 절단할 때의 절단 저항, 이 경우, 전단 저항에 대한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는 동시에, 가공 공정수가 증가하고,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이 종래의 회전식 드럼 쉐어에서는, 고정 볼트, 조정 볼트 및 조정 너트에 풀림이 생기고 있으면, 피절단물을 절단할 때 상하의 나이프 전단 반력(反力)(절단 반력)이 작용했을 때, 조정 볼트의 선단부가 나이프와 맞닿는 맞닿는 점(접촉점)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상하의 나이프에 진동이 생겨, 나이프 자체에 채터링 진동이 발생하고 쉬운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치핑(chipping)이나 나이프 날끝의 마모 등이 생기고, 나이프의 수명이 짧아져, 또한 상하의 나이프의 조정 위치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절단날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회전 드럼에 절단날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절단날의 장착, 분리 작업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전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은, 반송(搬送)되는 피절단물을 협지(sandwich)하여 대향하도록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드럼과, 회전 드럼의 외주면에서 회전 드럼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홈부와,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쪽의 절단날과,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른 쪽의 절단날과, 한쪽의 절단날을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 고정시키는 구배면을 구비한 고정 블록과, 피절단물이 한쪽의 절단날의 날끝과 다른 쪽의 절단날의 날끝에서 끼워넣어져 절단되도록, 다른 쪽의 절단날의 장착 위치를 조정하고, 다른 쪽의 절단날을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주면측(主面側) 및 다른 쪽 주면측으로부터 협지하여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 고정시키는 구배면을 구비한 한 쌍의 조정 블록과, 일단측이 고정 블록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한쪽의 회전 드럼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와, 일단측이 한 쌍의 조정 블록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다른 쪽의 회전 드럼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를 포함하고, 고정 블록을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정 블록의 구배면을 통하여 한쪽의 절단날을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의 내면으로 압압 가능하게 하고, 한 쌍의 조정 블록을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쌍의 조정 블록의 구배면을 통하여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주면 및 다른 쪽 주면을 압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한쪽의 절단날과 홈부와의 사이에 고정 블록이 삽입되면, 고정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해, 고정 블록의 구배면이 한쪽의 절단날을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의 측면에 압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고정 블록은, 그 구배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맞닿는 홈부의 측면(고정 블록 받이면)이 기점(起点)으로 되어, 고정 블록의 구배면 전체면에서 한쪽의 절단날의 한쪽 주면을 압압하고, 상기 절단날의 다른 쪽 주면을 고정 블록 받이면과는 반대측의 홈부의 측면(절단날 받이면)에 견고하게 압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정 블록을 삽입할 때는, 고정 블록의 구배면과 한쪽의 절단날의 접촉면에 마찰력도 작용하므로, 한쪽의 절단날을 더욱 한층 견고하게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의 측면(절단날 받이면)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는,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주면측 및 다른 쪽 주면측으로부터 상기 절단날을 협지하도록, 한 쌍의 조정 블록이 삽입되면, 한 쌍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조정 블록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이, 각각,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주면을 압압 협지하고, 다른 쪽의 절단날을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 내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한 쌍의 조정 블록은, 각각, 그 구배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맞닿는 홈부의 측면(고정 블록 받이면)이 기점으로 되어, 한 쌍의 조정 블록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 전체면에서,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주면을 압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 쌍의 조정 블록을 삽입할 때는, 한 쌍의 조정 블록의 구배면과 다른 쪽의 절단날과의 접촉면에, 마찰력도 작용하므로,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주면을 더욱 한층 견고하게 압압 협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한쪽의 절단날을 한쪽의 회전 드럼에 장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먼저, 한쪽의 절단날이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의 절단날 받이면에 배치된다. 다음에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일단측이 고정 블록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타단측이 한쪽의 회전 드럼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를 그 일단측으로부터 체결함으로써, 고정 블록이 홈부 내를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왕동(往動; 전진)하여 간다. 이 때, 한쪽의 절단날은, 고정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해 절단날 받이면에 압압되고, 홈부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반대로,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를 그 일단측으로부터 풀어 가면, 그에 연동하여 고정 블록이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복동(復動; 후퇴)하여 간다. 이 때, 한쪽의 절단날은, 고정 블록의 쐐기 작용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한쪽의 회전 드럼으로부터 분리해내진다.
또한, 다른 쪽의 절단날을 다른 쪽의 회전 드럼에 장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먼저,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일단측이 한쪽의 조정 블록에 나사결합된다. 다음에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타단측이 다른 쪽의 회전 드럼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다른 쪽의 절단날이 한쪽의 조정 블록의 구배면과 맞닿아 배치된다. 또한,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일단측이 다른 쪽의 조정 블록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타단측이 다른 쪽의 회전 드럼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한쪽 및 다른 쪽의 조정 블록에 나사결합된 한쪽 및 다른 쪽의 조정용 나사 부재가, 각각, 그 일단측으로부터 체결되는 것에 의해, 한쪽 및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은, 각각, 한쪽 및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홈부 내를 왕동(전진)하여 간다. 이 때, 한 쌍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해,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주면 및 다른 쪽 주면이 한 쌍의 조정 블록에 압압·협지되는 것에 의해, 다른 쪽의 절단날은 홈부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한쪽의 절단날의 날끝과 다른 쪽의 절단날의 날끝에서 피절단물이 끼워넣어져 절단되도록, 다른 쪽의 절단날의 장착 위치가 한 쌍의 조정 블록에 의해 조정되고, 한쪽의 절단날과 다른 쪽의 절단날의 날끝 사이의 위치맞춤이 행해진다.
다른 쪽의 절단날을 다른 쪽의 회전 드럼으로부터 분리해내는 경우, 예를 들면,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를 그 일단측으로부터 풀어 가면, 한쪽의 조정 블록은 복동(후퇴)하여 나가, 마침내는, 한쪽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이 해제된다. 동일하게 하여,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를 그 일단측으로부터 풀어 가면,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은 복동(후퇴)하여 나가, 마침내는,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을 해제함으로써, 다른 쪽의 절단날이 다른 쪽의 회전 드럼으로부터 분리해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함으로써,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을, 각각, 한쪽의 회전 드럼 및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 내를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왕동 및 복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한쪽의 회전 드럼 및 다른 쪽의 회전 드럼에 대하여, 각각, 한쪽의 절단날 및 다른 쪽의 절단날의 장착, 분리를 간단하게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한쪽의 절단날과 다른 쪽의 절단날의 날끝 사이의 위치맞춤이 한 번 행해진 후, 예를 들면, 다른 쪽의 절단날을 새로운 절단날로 교환하는 경우, 한 쌍의 조정 블록 중의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을 복동(후퇴)시켜,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한 상기 절단날에 대한 압압력(押壓力)을 느슨하게 한 후, 상기 절단날을 홈부 내로부터 분리해낸다. 다음에, 준비한 새로운 절단날을 한 쌍의 조정 블록의 한쪽의 조정 블록의 구배면과 맞닿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을 왕동(전진)시켜 간다. 그에 따라,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은, 그 쐐기 작용에 의해, 한쪽의 조정 블록과의 사이에 새로운 절단날을 압압·협지한다. 이 때, 한쪽의 조정 블록은, 한쪽의 절단날과 다른 쪽의 절단날의 날끝 사이의 위치맞춤에서의 기준이 되는 위치 결정 블록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른 쪽의 절단날을 새로운 절단날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다른 쪽의 조정 블록만을 복동(후퇴)시켜 낡은 절단날을 분리해내는 것만으로 되므로, 한쪽의 조정 블록(위치 결정 블록)을 아무런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른 쪽의 절단날의 교환 작업이 극히 간편한 것으로 된다.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특히,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함으로써, 홈부의 측면과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주면 및 다른 쪽 주면과의 사이에 삽입된 한 쌍의 조정 블록이,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 내를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왕동 및 복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한쪽의 조정 블록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의 사이에 장단의 차이를 설정함으로써, 한 쌍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한 다른 쪽의 절단날에 대한 압압력의 강약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한쪽의 조정 블록을 복동(후퇴)시키고 나서,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을 왕동(전진)시키면,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한 다른 쪽의 절단날에 대한 압압력은, 한쪽의 조정 블록의 압압력보다 강해지므로,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의 압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 경우,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을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하는 조작만으로, 한 쌍의 조정 블록은,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 내를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동 및 복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성이 간단해져, 한쪽의 절단날 및 다른 쪽의 절단날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종속되는 발명으로서,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는, 각각, 축부(軸部) 본체와,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설치되고,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중간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면과,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 중의 적어도 일단면에 형성되고, 축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공구의 걸어맞춤홈을 포함하고, 고정 블록은,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한쪽의 회전 드럼은,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한 쌍의 조정 블록은,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은,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걸어맞춤홈에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고, 축부 본체를 축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은, 각각,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동(전진)되어 축부 본체를 축 회전시킨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은, 각각,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복동(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에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고, 축부 본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블록은,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동(전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반대로, 축부 본체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블록은,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복동(후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에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고, 축부 본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조정 블록은,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동(전진)하고, 반대로, 축부 본체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조정 블록은,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복동(후퇴)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에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고, 축부 본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면,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은, 한쪽의 회전 드럼의 나사면에 나사삽입(왕동·전진) 가능해지고, 고정 블록은,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을 따라, 한쪽의 회전 드럼의 나사면을 향해 왕동(전진) 가능해진다. 반대로, 축부 본체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면,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은, 한쪽의 회전 드럼의 나사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복동·후퇴) 가능해지고, 고정 블록은,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을 따라,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복동(후퇴) 가능해진다.
또한,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에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고, 축부 본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은,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나사면에 나사삽입(왕동·전진) 가능해지고, 한 쌍의 조정 블록은,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을 따라,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나사면을 향해 왕동(전진) 가능해진다. 반대로, 축부 본체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은,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나사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복동·후퇴) 가능해지고, 한 쌍의 조정 블록은,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을 따라,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복동(후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종속되는 발명으로서, 절단날의 폭 방향의 길이를 L1, 홈부의 깊이를 L2,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의 나사공의 길이를 L3,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드럼의 나사공의 길이를 L4,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부 본체의 전체 길이를 L5,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의 축 방향의 길이를 L6, 한쪽의 회전 드럼 및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의 축 방향의 길이를 L7이라고 했을 때, L1>L2>L5>L3을 만족시키고, 또한 L4 또는 L5>L6 또는 L7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은, 각각, 한쪽의 회전 드럼 및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의 바닥면과,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의 삽입측의 선단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가진 상태로, 한쪽의 절단날 및 다른 쪽의 절단날의 고정 및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은, 한쪽의 회전 드럼 및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 있어서, 각각, 유효하게 쐐기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한 상기 각 블록의 삽입측의 선단면과 홈부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각 블록에 쐐기 작용을 작용하게 할 수 없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에 종속되는 발명으로서, 전단기는, 한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한쪽에 설치되고, 한쪽의 회전 드럼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기구와, 한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피절단물의 반송 속도에 대응한 주속도(周速度)로 한쪽의 회전 드럼 및 상기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을 역방향으로 동기(同期) 회전시키는 종동(從動) 기구와, 종동 기구(機構)에 내장되며, 한쪽의 절단날과 다른 쪽의 절단날과의 사이의 장착 위치의 조정을 지원하는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를 포함하고, 구동 기구는, 회전 구동력을 기동시키기 위한 구동원과, 구동원의 출력축에 커플링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원축(原軸)에 접속되고, 한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한쪽에 고정되는 한쪽의 구동 기어와, 한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다른 쪽에 고정되는 다른 쪽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종동 기구는,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다른 쪽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구동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종동 기어와, 종동 기어를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다른 쪽에 고정시키는 부위에 배치되고, 종동 기어의 축공(軸孔)의 주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와, 종동 기어 및 보강 부재에 삽통(揷通)되고, 종동 기어 및 보강 부재를 연결 가능하게 하는 연결축부와, 보강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축 방향의 중간부에 걸쳐 설치되는 환형(環形)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는, 연결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연결축부의 주위면의 일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단면(斷面)이 호형(弧形)인 끼워맞춤면과, 끼워맞춤면의 반대측에 구배면을 구비한 한 쌍의 접촉 블록과, 환형의 오목부의 내주면과 한 쌍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과의 사이에 삽입되고, 한 쌍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과 맞닿는 구배면을 구비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과, 일단측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보강 부재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를 포함하고,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을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한 쌍의 접촉 블록을 통하여 연결축부를 종동 기어의 회전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이, 각각, 접촉 블록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을 압압한다. 즉,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접촉 블록을 통하여 연결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의 상기 연결축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축부를 협지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각각, 그 구배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맞닿는 환형의 오목부의 내측면(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받이면)이 기점으로 되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 전체면에서, 한 쌍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을 압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을 삽입할 때는,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구배면과 한 쌍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의 접촉면에는, 마찰력도 작용하므로, 연결축부를 더욱 한층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결축부는, 환형의 오목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보강 부재 내에 내장되게 되어 있다.
청구항 4항에 관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접촉 블록 및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을 보강 부재의 환형의 오목부와 연결축부와의 사이에 장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먼저,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일단측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에 나사결합된다. 다음에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구배면과 한쪽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을 서로 맞대고, 또한 한쪽의 접촉 블록의 끼워맞춤면을 연결축부의 주위면의 일부에 끼워맞춤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한쪽의 접촉 블록이 환형의 오목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타단측이 보강 부재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연결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쪽에,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한쪽의 접촉 블록이 배치된다.
동일하게 하여, 연결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다른 쪽에,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다른 쪽의 접촉 블록이 배치된다.
그리고, 한쪽 및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에 나사결합된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가, 각각, 그 일단측으로부터 체결되는 것에 의해, 한쪽 및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각각, 한쪽 및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환형의 오목부 내를 왕동(전진)하여 간다. 이 때,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구배면에 압압된다. 이 때, 연결축부는,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에 의해, 한 쌍의 접촉 블록을 통하여 상기 연결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압압·협지되게 되고, 환형의 오목부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반대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한 쌍의 접촉 블록을 보강 부재의 환형의 오목부와 연결축부와의 사이로부터 각각 분리해내는 경우, 예를 들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를 그 일단측으로부터 풀어 가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환형의 오목부 내를 복동(후퇴)하여 나가, 마침내는,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쐐기 작용이 해제된다. 그러므로,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한쪽의 접촉 블록을 환형의 오목부와 연결축부와의 사이로부터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를 그 일단측으로부터 풀어 가면,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환형의 오목부 내를 복동(후퇴)하여 나가, 마침내는,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쐐기 작용이 해제된다. 그러므로,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다른 쪽의 접촉 블록을 환형의 오목부와 연결축부와의 사이로부터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쐐기 작용이 해제됨으로써,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한 쌍의 접촉 블록이 환형의 오목부와 연결축부와의 사이로부터 분리해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접촉 블록을, 각각,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 즉 환형의 오목부 내로 삽입하는 방향 및 환형의 오목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환형의 오목부의 내주면과 연결축부의 외주면과의 사이로의 상기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접촉 블록의 장착, 분리도 간단하게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의 사이에 장단의 차이를 설정함으로써,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한 연결축부에 대한 압압력의 강약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을 복동(후퇴)시키고 나서,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을 왕동(전진)시키면,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쐐기 작용에 의한 연결축부에 대한 압압력은,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압압력보다 강해지므로,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압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 경우, 종동 기어의 원주 방향으로,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을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보강 부재 및 종동 기어는, 연결축부를 통하여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은 그 회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한쪽의 절단날 및 다른 쪽의 절단날의 장착 위치의 미세 조정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전단기에서는, 이미, 전술한 한 쌍의 조정 블록을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 홈부 내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쪽의 절단날에 대한 다른 쪽의 절단날의 장착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한쪽의 절단날 및 다른 쪽의 절단날의 날끝 사이의 예를 들면, 클리어런스량 및 랩량을 적절하게 미세 조정하는 것이지만, 상기한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의 작용에 의해, 한쪽의 절단날 및 다른 쪽의 절단날의 날끝 사이의 미세 조정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조정 블록의 왕복 이동에 의한 쐐기 작용과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에 의한 작용의 상승 작용에 의해,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한쪽의 절단날 및 다른 쪽의 절단날의 날끝 사이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을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간단하게 왕동 및 복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조작이 간단해져, 한쪽의 절단날 및 다른 쪽의 절단날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종속되는 발명으로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는, 축부 본체와,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설치되고,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중간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면과,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 중의 적어도 일단면에 형성되고, 축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공구의 걸어맞춤홈을 포함하고,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보강 부재는,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걸어맞춤홈에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고, 축부 본체를 축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동(전진)되고, 축부 본체를 축 회전시킨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복동(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의 전단기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에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고, 축부 본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동(전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반대로, 축부 본체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복동(후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의 전단기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에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고, 축부 본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은, 보강 부재의 나사면에 나사삽입(왕동·전진) 가능해지고,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을 따라, 보강 부재의 나사면을 향해 왕동(전진) 가능해진다. 반대로, 축부 본체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은, 보강 부재의 나사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복동·후퇴) 가능해지고,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을 따라, 보강 부재의 환형의 오목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복동(후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날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회전 드럼에 절단날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절단날의 장착, 분리 작업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전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단기의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의 (A)는 그 개략 평면도이며, 도 1의 (B)는 그 개략 정면도이며, 도 1의 (C)는 그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B)의 상세를 나타낸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3은 한쪽의 회전 드럼(하부 회전 드럼)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스파이럴형의 홈부를 상기 하부 회전 드럼의 측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한 쌍의 회전 드럼(하부 회전 드럼, 상부 회전 드럼)의 홈부에 각각 장착되는 절단날을 상기 한 쌍의 회전 드럼의 측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회전 드럼 및 상기 한 쌍의 회전 드럼에 장착되는 절단날을 도 2의 우측으로부터 본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반송되는 피절단물을 한 쌍의 회전 드럼에 장착된 절단날의 날끝으로 절단할 때의 한 쌍의 회전 드럼 및 절단날 상태를 도 2의 우측으로부터 본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반송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할 때의 절단날의 절단 개시 시에서의 날붙이(bladed object) 각도를 도 2의 우측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B―B 절단부의 단면도이며, 도 9의 (B)는 도 8의 C―C 절단부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10은 도 8의 D―D 절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쪽의 회전 드럼(상부 회전 드럼)의 홈부에 절단날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조정 블록 중의 한쪽의 조정 블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1의 (A)는 그 평면도이며, 도 11의 (B)는 그 정면도이며, 도 11의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 절단날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조정 블록 중의 다른 쪽의 조정 블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의 (A)는 그 평면도이며, 도 12의 (B)는 그 정면도이며, 도 12의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 절단날을 고정시키는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그 주요부를 상기 회전 드럼의 측방으로부터 본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 절단날을 고정시키는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그 주요부를 상기 회전 드럼의 측방으로부터 본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5의 (A)는, 한 쌍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 절단날을 고정하고, 또한 상기 절단날의 위치맞춤을 한 상태의 일례를, 도 15의 (B)는, 상기 위치맞춤한 상태의 다른 예를, 각각, 상기 한 쌍의 회전 드럼의 측방으로부터 본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5의 (C)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의 (A)는, 도 15의 (A)의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을 설명하고, 도 16의 (B)는, 도 15의 (B)의 고정 블록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각각, 그 주요부를 상기 회전 드럼의 측방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전단기의 한쪽의 회전 드럼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기구의 일례의 상세를 나타낸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주요부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구동 기구에 포함되는 한쪽의 구동 기어의 백래시(backlash)를 조정하기 위한 백래시 조정 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 19의 (A), (B)는, 백래시를 조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9의 (A)는, 도 18의 E부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19의 (B)는, 도 19의 (A)의 F―F 절단부의 확대 단면 도해도이다. 도 19의 (C), 도 19의 (D)는, 백래시를 조정한 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9의 (C)는, 그 주요부 확대 좌측면도이며, 도 19의 (D)는, 도 19의 (C)의 G―G 절단부의 확대 단면 도해도이다.
도 20의 (A)는, 접촉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0의 (B)는, 백래시 조정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나타낸 백래시 조정 기구에서의 백래시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확대 단면 도해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나타낸 백래시 조정 블록의 쐐기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도 22의 (A)는, 백래시를 조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 도해도이며, 도 22의 (B)는, 백래시를 조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 도해도이다.
도 23은 도 1에 나타낸 전단기에 적용되고, 반송되는 피절단물의 반송 속도에 대응한 주속도로 한쪽의 회전 드럼 및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을 역방향으로 동기 회전시키는 종동 기구의 일례의 상세를 나타낸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주요부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종동 기구에 내장된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 25의 (A), (B)는, 클리어런스를 조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5의 (A)는, 도 24의 H부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25의 (B)는, 도 25의 (A)의 I―I절단부의 확대 단면 도해도이다. 도 25의 (C), 도 25의 (D)는, 클리어런스를 조정한 후 상태를 나타내고, 도 25의 (C)는, 그 주요부 확대 우측면도이며, 도 25의 (D)는, 도 25의 (C)의 J―J 절단부의 확대 단면 도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낸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쐐기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도 26의 (A)는, 클리어런스를 조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 도해도이며, 도 26의 (B)는, 클리어런스를 조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 도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단기의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의 (A)는 그 개략 평면도이며, 도 1의 (B)는 그 개략 정면도이며, 도 1의 (C)는 그 개략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B)의 상세를 나타낸 주요부 정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단기(10)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전단기(10)는, 주로, 피절단물을 협지하여, 예를 들면, 상하로 대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를 들면, 한 쌍의 원기둥형의 회전 드럼[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에 각각 설치되는 스파이럴형의 하측 홈부(16) 및 상측 홈부(18), 하측 홈부(16) 및 상측 홈부(18)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 하부 회전 드럼(12)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기구(24), 반송되는 피절단물의 반송 속도에 대응한 주속도로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을 역방향으로 동기 회전시키는 종동 기구(2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단기(10)는, 예를 들면, 도 6,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절단날(20)을 하측 홈부(16)에 고정시키는 구배면을 구비한 고정 블록(28), 일단측이 고정 블록(28)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하부 회전 드럼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 블록(28)을 하부 회전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 피절단물이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 사이에 끼워넣어져 절단되도록,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를 조정하고, 상부 절단날(22)을 상측 홈부(18)에 고정시키는 구배면을 구비한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 일단측이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상부 회전 드럼(1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을 상부 회전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 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전단기(10)에서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할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고정 블록(28)을 하부 회전 드럼(12)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28)의 쐐기 작용에 의해 하부 절단날(20)을 하부 회전 드럼(12)에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하부 절단날(20)의 분리 작업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할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정 블록(32, 34)을 상부 회전 드럼(14)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부 절단날(20)에 대한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정 블록(32, 34)의 쐐기 작용에 의해 상부 절단날(22)을 상부 회전 드럼(14)에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장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상부 절단날(22)의 분리 작업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전단기(10)의 구조에 대하여, 상기한 각각의 구성 및 그 주변의 구성을 중심으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단기(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 드럼[이하,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이라고 함]을 지지하는 가대(架臺)(40)를 포함한다. 가대(40)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고정 가대(42) 및 가동 가대(44)를 가진다. 가동 가대(44)는, 변위 수단(46)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 수단(46)은, 예를 들면, 도 1의 (A)에서 볼 때, 가동 가대(44)를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변위 수단(46)은, 예를 들면, 3개의 고정 베이스(48A, 48B, 48B)를 포함한다. 고정 베이스(48A, 48B, 48B)의 상면에는, 각각, 가동 베이스(50A, 50B, 50C)가 배치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48A, 48B, 48B) 및 가동 베이스(50A, 50B, 50C)는, 각각,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고정 가대(42)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48A, 48B, 48B)는, 각각, 고정 가대(42) 상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착되고, 가동 베이스(50A, 50B, 50C)는, 각각, 고정 베이스(48A, 48B, 48B)의 상면에 탑재되어 배치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48A) 및 가동 베이스(50A)는, 각각, 그 중심부가 고정 가대(42)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고정 베이스(48B), 가동 베이스(50B) 및 고정 베이스(48C), 가동 베이스(50C)는, 각각, 고정 베이스(48A), 가동 베이스(50A)와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가대(42)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베이스(50A)는, 그 중심부가 핀 등의 추축부(52)에 의해 고정 베이스(48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48B, 48C)와 가동 베이스(50B, 50C)는, 각각, 가동 베이스(50B, 50C)의 위로부터 긴완(緊緩) 가능하게 나사삽입된 복수의 멈춤 나사 부재(5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동 베이스(50A, 50B, 50C) 상에는, 가동 가대(44)가 탑재되고, 가동 가대(44)와 가동 베이스(50A, 50B, 50C)는, 용접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베이스(48B 및 48C)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가동 베이스(50B 및 50C)의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가동 베이스(50B 및 50C)를 압압 가능하게 하는 압압부(56a, 56b 및 56c, 56d)가 설치되어 있다. 압압부(56a, 56b 및 56c, 56d)는, 각각, 가압하여 나사 등의 압압축부(58a, 58b 및 58c, 58d)를 포함한다. 압압축부(58a, 58b 및 58c, 58d)는, 각각, 브래킷(60a, 60b 및 60c, 60d)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60a, 60b 및 60c, 60d)는, 각각,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장착 볼트(62)에 의해, 고정 베이스(48B 및 48C)의 길이 방향의 일단 및 타단에서 또한 그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고착되어 있다. 브래킷(60a, 60b 및 60c, 60d)은, 각각, 나사공(64a, 64b 및 64c, 64d)을 가진다. 나사공(64a, 64b 및 64c, 64d)에는, 각각, 압압축부(58a, 58b 및 58c, 58d)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압압축부(58a, 58b 및 58c, 58d)는, 각각, 가동 베이스(50B 및 50C)의 길이 방향의 일단 및 타단에서 또한 그 폭 방향의 중간부의 단면(端面) 부위를 압압 가능하게 나사공(64a, 64b 및 64c, 64d)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압압축부(58a 및 58b)는, 각각, 가동 베이스(50B)의 폭 방향의 중앙보다 가동 가대(44)의 길이 방향의 한쪽 가까이의 위치에서, 가동 베이스(50B)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을 압압하게 되어 있다. 반대로, 압압축부(58c 및 58d)는, 각각, 가동 베이스(50C)의 폭 방향의 중앙보다 가동 가대(44)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 가까이의 위치에서, 가동 베이스(50C)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을 압압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 전단기(10)의 가대(40)에서는, 복수의 멈춤 나사 부재(54)를 풀어 가고, 고정 베이스(48B, 48C)에 대하여 가동 베이스(50B, 50C)를 프리인 상태로 한 후, 압압축부(58a)와 가동 베이스(B)를 압압하거나, 또는 압압축부(58d)와 가동 베이스(50C)를 압압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1의 (A)에서 볼 때, 가동 가대(44)는, 추축부(52)를 중심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대로, 압압축부(58b)와 가동 베이스(B)를 압압하거나, 또는 압압축부(58c)와 가동 베이스(50C)를 압압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1의 (A)에서 볼 때, 가동 가대(44)는, 추축부(52)를 중심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서는, 4개의 압압부(56a∼56d)에 의해 가동 가대(44)를 변위시키는 것이었지만, 압압부의 수는, 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압압부(56a)와 (56b), 압압부(56c)와 (56d), 압압부(56a)와 (56 c), 압압부(56b)와 (56d)와 같이, 2개의 압압부만을 가지는 구성이라도 된다.
가동 가대(44) 상에는, 도 1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및 다른 쪽에,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지지대(66A 및 66B)가 고착되어 있다. 지지대(66A 및 66B) 상에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지지 베이스(68A 및 68B)가 복수의 고정 볼트(69)로 고정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68A 및 68B) 상에는, 각각, 하우징(70A 및 70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 및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은, 그 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하우징(70A 및 70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하우징(70A)은, 예를 들면, 도 2,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수직 프레임(71 및 72)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72)의 외측에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다른 수직 프레임(73)이 장착 볼트(74)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71)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베어링 케이스(82 및 84)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 케이스(82 및 84)는, 각각, 조합 앵귤러 볼베어링 등의 베어링(76), 오일 실링(78), O링(80) 등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73)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래디얼 볼베어링 등의 베어링(86 및 88)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86 및 88)은, 각각, 베어링 커버(90 및 92)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은,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축 방향의 한쪽이 베어링 케이스(82)를 통하여, 수직 프레임(7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의 축 방향의 일단부는, 베어링(86)을 통하여, 수직 프레임(7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회전축(12A)은,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일단측 가까이의 부위가 베어링 케이스(82)와 수직 프레임(7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12A)의 축 방향의 일단측 가까이의 부위가 베어링(86)에 의해 수직 프레임(7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2A)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는, 정밀 록 너트(94)가 세팅되어 있다. 정밀 록 너트(94)는, 회전축(12A)의 평행도, 굴곡 등을 교정하는 동시에, 베어링(86)을 위치 결정 고정하고 있다. 또한, 회전축(12A)의 축 방향의 일단부와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일단측 가까이의 부위와의 사이의 대략 중앙에는, 정밀 록 너트(95)가 세팅되어 있다. 정밀 록 너트(95)는, 회전축(12A)의 평행도, 굴곡 등을 교정하는 동시에, 베어링 케이스(82)를 위치 결정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은, 그 축 방향의 한쪽이 베어링 케이스(84)를 통하여, 수직 프레임(7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4A)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는, 정밀 록 너트(96)가 세팅되어, 정밀 록 너트(96)는, 회전축(14A)의 평행도, 굴곡 등을 교정하는 동시에, 베어링 케이스(84)를 위치 결정 고정하고 있다.
한편, 하우징(70B)은, 예를 들면, 도 2,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96 및 97)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96)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베어링 케이스(98 및 100)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 케이스(82 및 84)와 마찬가지로, 베어링 케이스(98 및 100)는, 각각, 조합 앵귤러 볼베어링 등의 베어링(76), 오일 실링(78), O링(80) 등을 내장하고 있다.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은,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축 방향의 다른 쪽이 베어링 케이스(98)를 통하여, 수직 프레임(9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2A)은,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타단측 가까이의 부위가 베어링 케이스(98)로 수직 프레임(9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2A)에는, 정밀 록 너트(102)가 세팅되고, 정밀 록 너트(102)는, 회전축(12A)의 평행도, 굴곡 등을 교정하는 동시에, 베어링 케이스(98)를 위치 결정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은, 그 축 방향의 다른 쪽이 베어링 케이스(100)를 통하여, 수직 프레임(9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4A)은, 상부 회전 드럼(14)의 축 방향의 타단측 가까이의 부위가 베어링 케이스(100)에 의해 수직 프레임(9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4A)에는, 정밀 록 너트(104)가 세팅되고, 정밀 록 너트(104)는, 회전축(14A)의 평행도, 굴곡 등을 교정하는 동시에, 베어링 케이스(100)를 위치 결정 고정하고 있다.
다음에, 구동 기구(24) 및 종동 기구(26)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17, 도 18, 도 23, 도 24를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 기구(24)는,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의 축 방향의 한쪽에 설치되고, 하부 회전 드럼(12)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구동 기구(2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력을 기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예를 들면, 서보 모터(M)를 포함한다. 서보 모터(M)의 출력축(MS)은, 커플링부(110)를 통하여, 원축(이하, 「주축」이라고 함)(112)과 연결되어 있다. 주축(112)은, 도 2,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70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축(112)은, 그 축 방향의 일단측이 베어링(88)을 통하여 수직 프레임(7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축 방향의 타단측이 베어링(114)을 통하여 수직 프레임(7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축(112)에는, 주축(112)의 평행도, 굴곡 등을 교정하는 정밀 록 너트(116 및 118)가 세팅되어 있다. 또한, 정밀 록 너트(116 및 118)는, 각각, 베어링(88 및 114)을 위치 결정 고정하고 있다. 베어링(88)은, 베어링 커버(92)에 내장된 오일 실링(12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주축(112)의 축 방향의 중간부에는, 그 외주면에, 예를 들면, 헬리컬 톱니형을 형성한 톱니형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톱니형부(122)는, 주축(112)의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다. 톱니형부(122)는, 후술하는 구동 기어부(124)의 헬리컬 기어(128, 130)와 서로 맞물리는 것이며, 주축(112)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톱니형부(122)의 길이는, 구동 기어부(124)의 헬리컬 기어(128)의 톱니폭 및 기어(130)의 톱니폭을 맞춘 톱니폭과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기구(2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의 축 방향의 한쪽 및 다른 쪽에 고정되는 한 쌍의 구동 기어부(124 및 126)를 더 포함한다.
한쪽의 구동 기어부(124)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개의 헬리컬 기어(128 및 130)를 포함한다. 헬리컬 기어(128 및 130)는, 중첩되고, 도 17,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6개의 고정 볼트(13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헬리컬 기어(128)는, 예를 들면, 마찰식 체결구(134)(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쓰바키모토 체인사 제조의 파워 록)에 의해 회전축(12A)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다른 쪽의 헬리컬 기어(130)는, 한쪽의 헬리컬 기어(128)에 고정 볼트(13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헬리컬 기어(128 및 130)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축(112)의 톱니형부(122)와 맞물린다.
다른 쪽의 구동 기어부(126)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개의 헬리컬 기어(136 및 138)를 포함한다. 헬리컬 기어(136 및 138)는, 중첩되고, 도 23,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6개의 고정 볼트(1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헬리컬 기어(136)는, 예를 들면, 마찰식 체결구(142)(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쓰바키모토 체인사 제조의 파워 록)에 의해 회전축(12A)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다른 쪽의 헬리컬 기어(138)는, 한쪽의 헬리컬 기어(136)에 고정 볼트(1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종동 기구(26)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동 기구(26)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구동 기어부(126)에 서로 맞물리는 종동 기어부(150)를 포함한다. 종동 기어부(150)는, 예를 들면, 1개의 헬리컬 기어(152) 및 보스 등의 보강 부재(154)를 포함한다. 헬리컬 기어(152)의 톱니폭은, 상기한 구동 기어부(126)의 헬리컬 기어(136 및 138)의 톱니폭을 맞춘 톱니폭과 대략 같은 톱니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헬리컬 기어(152)의 톱니수와 헬리컬 기어(136 및 138)의 톱니수는, 동일한 톱니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헬리컬 기어(136 및 138)는, 동시에, 1개의 헬리컬 기어(152)와 서로 맞물려 역방향으로 동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헬리컬 기어(152)는,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에 고정된 보강 부재(154)에 고정되어 있다. 보강 부재(154)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원통형의 보강 부재 본체(154A)와, 보강 부재 본체(154A)의 축 방향의 일단측에 설치된 플랜지부(154B)로 형성되고, 보강 부재 본체(154A)와 플랜지부(154B)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154)는, 헬리컬 기어(152)의 축공(도시하지 않음)의 주위를 보강하는 부재로서 사용되고, 고정 볼트(156)에 의해 헬리컬 기어(152)와 고정되어 있다. 보강 부재(154)는, 예를 들면, 마찰식 체결구(158)(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쓰바키모토 체인사 제조의 파워 록)에 의해, 회전축(14A)과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종동 기구(26)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 조작 기구(160)가 내장되어 있다. 수동 조작 기구(160)는, 이 전단기(10)의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의 조정, 분리 및 장착 등을 포함하는 유지보수 작업 시에,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을 수동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구이다. 수동 조작 기구(160)는, 통형(筒形)의 외부 케이스(162)를 포함하고, 외부 케이스(162) 중에는, 통형의 내부 케이스(164)가 외부 케이스(162)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162)는, 그 축선이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의 축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플랜지부(166)에 의해 하우징(70B)의 수직 프레임(96)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부(166)는, 외부 케이스(16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고, 복수의 고정 볼트(167)에 의해 수직 프레임(96)에 고정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164)에는, 클러치 축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핸들축(168)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핸들축(168)은, 그 축 방향의 한쪽 및 다른 쪽이 베어링(170a 및 170b)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내부 케이스(164)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핸들축(168)에는, 그 축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핸들(172) 및 클러치 기어(174)가 고정되어 있다. 핸들(172) 및 클러치 기어(174)는, 각각, 내부 케이스(164)의 축 방향의 일단 및 타단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축(168)은, 핸들(172)의 푸시풀에 의해, 내부 케이스(164) 내를 핸들축(168)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어(174)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헬리컬 기어 등의 중계 기어(176)를 통하여, 종동 기어부(150)의 헬리컬 기어(152)에 맞물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중계 기어(176)는, 외부 케이스(162)의 플랜지부(166)에 지지된 지지축(17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178)의 축 방향의 일단측(근원측)은, 수직 프레임(96)에 삽통되고, 플랜지부(166)에 고착되어 있다. 지지축(178)의 축 방향의 타단측(선단측)에는, 베어링(180)이 설치되고, 중계 기어(178)는, 베어링(180)에 의해 지지축(178)의 축 방향의 타단측(선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기어(174)가 중계 기어(176)와 서로 맞물림 상태로 되어, 중계 기어(176)가 헬리컬 기어(152)와 서로 맞물림 상태로 되는 경우, 핸들(172)의 수동 조작에 의해 헬리컬 기어(152)를 회전시켜,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대로, 핸들(172)을 인장(引張)시켜 핸들축(168)을 도 2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클러치 기어(174)와 중계 기어(176)와의 서로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여 비(非)맞물림 상태로 했을 때,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 및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이 서보 모터(M)로부터의 전동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수동 조작 기구(160)에는, 핸들(172)의 수동 조작을 안전하게 행하기 위해, 서보 모터(M)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예를 들면, 리미트 스위치(182)가 설치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82)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를 포함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되고, 서보 모터(M)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의 ON/OFF가 제어된다.
리미트 스위치(182)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70B)의 다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된 브래킷(184)에 의해, 외부 케이스(162)의 근방에 장착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162)는, 그 축 방향의 한쪽으로 또한 그 직경 방향의 하부에, 긴 구멍(186)을 가진다. 긴 구멍(186)은, 외부 케이스(162)의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82)는, 그 작동편(182a)이, 리미트 스위치(182)의 근방에 설치된 센서 도그(sensor dog)의 기능을 가지는 위치결정핀(188)과 맞닿음으로써 작동한다. 위치결정핀(188)은, 내부 케이스(164)의 축 방향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핀(188)은, 그 축 방향의 상단측(근원측)이 내부 케이스(164)에 고정되고, 그 축 방향의 하단측이 외부 케이스(162)의 긴 구멍(186)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위치결정핀(188)은, 센서 도그로서의 기능 외에, 핸들(172)의 푸시풀에 의해, 내부 케이스(164)가 외부 케이스(162)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 방지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이 전단기(10)에서는, 도 23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핸들(172)을 인장시켜 핸들축(168)을 도 2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내부 케이스(164)가 축 방향의 한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외부 케이스(162)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클러치 기어(174)가 중계 기어(176)와 이격되어 클러치 기어(174)와 중계 기어(176)가 비(非)맞물림 상태로 된다. 이 때, 위치결정핀(188)은, 내부 케이스(164)에 연동하여 외부 케이스(162)의 축 방향의 한쪽으로 긴 구멍(186)을 이동하고, 리미트 스위치(182)의 작동편(182a)과 맞닿는다. 위치결정핀(188)과 리미트 스위치(182)의 작동편(182a)이 맞닿은 상태에 있는 경우, 서보 모터(M)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ON 상태로 되고, 서보 모터(M)가 구동하여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을 회전시키므로 상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이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핸들(172)을 밀어넣어 핸들축(168)을 도 2에서 볼 때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164)가 축 방향의 다른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외부 케이스(162)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클러치 기어(174)가 중계 기어(176)와 서로 맞물려 클러치 기어(174)와 중계 기어(176)가 서로 맞물림 상태로 된다. 이 때, 위치결정핀(188)은, 내부 케이스(164)에 연동하여 외부 케이스(162)의 축 방향의 다른 쪽으로 긴 구멍(186)을 이동하고, 리미트 스위치(182)의 작동편(182a)과 이격된다. 위치결정핀(188)과 리미트 스위치(182)의 작동편(182a)이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즉 수동 조작 시에 있어서는, 서보 모터(M)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OFF 상태로 되어, 서보 모터(M)에 대한 전력 공급은 확실하게 정지된 상태로 된다.
상기한 수동 조작 기구(160)에서는, 핸들(172)의 푸시풀에 의해 핸들축(168)이 내부 케이스(164)와 연동하여 외부 케이스(162)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 후, 핸들축(168)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위치 결정 부재로서의 예를 들면, 노브를 가지는 인덱스 플런저(190)가 설치되어 있다. 인덱스 플런저(190)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62)에 장착되고, 내부 케이스(164)의 외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공(164a 및 164b)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 내부 케이스(164)의 축 방향의 위치를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것이다. 인덱스 플런저(190)는, 그 노브(192)를 가압하여 노즈(nose)(194)를 위치 결정공(164a 또는 164b)에 돌출시킴으로써, 내부 케이스(164)를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노브(192)를 빼면 노즈(194)가 내장(內藏)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인입(引入)되어, 위치 결정 고정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
위치결정핀(188)과 리미트 스위치(182)의 작동편(182a)이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인덱스 플런저(190)의 노즈(194)가 위치 결정공(164a)으로 돌출되고, 위치결정핀(188)과 리미트 스위치(182)의 작동편(182a)이 맞닿은 상태에 있는 경우, 인덱스 플런저(190)의 노즈(194)가 위치 결정공(164b)으로 돌출되도록, 인덱스 플런저(190) 및 위치 결정공(164a, 164b)의 형성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위치결정핀(188)의 축 중심과 인덱스 플런저(190)의 노즈(194)는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공(164a 및 164b)의 축 중심 사이의 길이는, 긴 구멍(186)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전단기(10)에서는, 구동 기어부(126)의 헬리컬 기어(136 및 138)와 서로 맞물리는 종동 기어부(150)의 헬리컬 기어(152)의 톱니수가 동일 톱니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과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이 역방향으로 동기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은,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되는 피절단물(W)의 반송 속도에 대응한 주속도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 기구(24) 측에 위치하는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일단측이며, 또한 그 근방에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 원점의 검출을 행하기 위한 회전 드럼 원점 센서(200)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드럼 원점 센서(200)는, 특히,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근접 스위치(202)를 포함한다. 근접 스위치(202)는, 브래킷(204)을 통하여, 하우징(70A)의 수직 프레임(71)에 지지되고, 하부 회전 드럼(12) 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75)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일단측 근방에, 센서 도그(206)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도그(206)는,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에, 고정용 나사 부재(20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센서 도그(206)는,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일단측 가까이의 부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회전 드럼(12)이 회전하고, 센서 도그(206)가 근접 스위치(202)를 통과할 때, 근접 스위치(202)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의 원점[서보 모터(M)의 회전축의 각도 원점]이 검출된다. 검출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된다. 제어부에서는,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하부 회전 드럼(12)이 피절단물(W)의 반송 속도에 대응한 주속도로 회전하도록 서보 모터(M)의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이 전단기(10)에서는, 구동 기구(24) 및 종동 기구(26)를 가지는 것에 의해, 먼저, 구동 기구(24) 측에 있어서, 서보 모터(M)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주축(112)에 전동(傳動)된다. 다음에, 회전 구동력은, 주축(112)의 톱니형부(122)를 통하여 구동 기어부(124)의 헬리컬 기어(128, 130)에 전동되어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에 부여된다. 또한, 회전축(12A)을 회전시키고 있는 회전 구동력은, 종동 기구(26) 측에 있어서, 구동 기어부(126)의 헬리컬 기어(136, 138)를 통하여 종동 기어부(150)의 헬리컬 기어(152)에 전동되어,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에 부여된다.
이 전단기(10)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펌프(210)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機器)(212)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기기(212)는, 베어링 케이스(82, 84, 98, 100), 베어링 커버(90, 92), 베어링(86, 88, 170a, 170b, 180), 정밀 록 너트(94, 95, 96, 102, 104, 116, 118) 등 및 그 윤활면에 윤활유를 주유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도 3, 도 5, 도 6, 도 8∼도 15 등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기둥형의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은, 각각, 회동 가능한 회전축(12A 및 14A) 주위에 설치되고, 피절단물을 협지하여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은, 각각, 회전축(12A 및 14A)과 함께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은,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의 외주부의 동기 위치에 각각 장착되어 있어, 하부 절단날(20)이 하부 회전 드럼(12)의 최상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부 절단날(22)이 상부 회전 드럼(14)의 최하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은, 각각,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의 외주부에 형성된 하측 홈부(16) 및 상측 홈부(1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하측 홈부(16) 및 상측 홈부(18)는, 각각,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의 외주면에, 회전축(12A 및 14A)를 중심으로 한 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회전 드럼(1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연장 형성된 예를 들면, 1개의 하측 홈부(16)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홈부(1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회전 드럼(12)의 원주 방향으로 비틀림 각(쉐어링 각) γ을 가지고, 회전축(12A)의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측 홈부(1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회전 드럼(12)의 원주 방향에 대향하는 하측 홈 측면(16a 및 16b)을 가진다. 하측 홈 측면(16a 및 16b)은, 각각, 회전축(12A)의 중심[축심(軸心)] o1을 통과하여 하부 회전 드럼(12)의 원주에 양단을 가지는 선분, 이른바, 직경에 평행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측 홈 측면(16a)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경 o―o선에 평행하게 또한 간격(d)을 가진 위치에 형성되고, 하측 홈 측면(16b)은, 다른 직경(도시하지 않음)에 평행하게 또한 간격을 가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홈부(16)는, 하측 홈 측면(16a 및 16b)과 각각 교차각 θ1 및 θ2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하측 홈바닥면(16c 및 16d)을 가진다. 하측 홈바닥면(16c과 16d)은, 교선(交線)(16e)을 공유하여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홈부(16)는, 하측 홈 측면(16a) 및 하측 홈바닥면(16c)을 하부 절단날(20)의 장착 기준면으로 했을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기준면은,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하부 회전 드럼(12)의 원주 방향으로 비틀림 각(쉐어링 각) γ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예를 들면,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길이가 1120㎜로 형성되고, 비틀림 각(쉐어링 각) γ이 11.2°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홈 측면(16a)과 하측 홈바닥면(16c)과의 교차각 θ1 및 하측 홈 측면(16b)과 하측 홈바닥면(16d)과의 교차각 θ2는, 각각,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절단날(2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예를 들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절단날(20)은, 그 길이 방향의 길이가 하부 회전 드럼(12)의 축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고, 그 폭 방향의 길이가 하측 홈부(16)의 하측 홈 측면(16a)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즉 하측 홈부(16)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절단날(20)의 두께 방향의 길이는, 하측 홈부(16)의 하측 홈바닥면(16c)과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절단날(20)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절단물(W)의 수평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날끝(21)의 면에서, 2단의 경사각 θ3 및 θ4를 가진다. 이 경우, 하부 절단날(20)은, 절단감이 양호한 동시에 날끝(21)에 작용하는 전단 하중이 저감되므로, 날끝(21)의 균열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耐久性)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측 홈부(16) 내에는, 예를 들면, 도 3, 도 5, 도 6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절단날(20)과 구배면(28a)을 구비한 쐐기형의 고정 블록(28)이 배치된다.
고정 블록(28)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육면체형의 블록 본체(28A)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28A)는, 특히, 1개의 면이 구배면(29)에 형성되어 있다. 구배면(29)의 구배는, 예를 들면 1/5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 본체(28A)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으로, 또한 구배면(29)의 반대면측 쪽으로,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나사공(28a)을 가진다. 나사공(28a)은, 블록 본체(28A)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에 걸쳐 관통하고 있다. 고정 블록(28)의 이 나사공(28a)에는, 예를 들면, 좌나사면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a)과 나사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하부 회전 드럼(12)에는, 도 5, 도 6, 도 1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홈부(16)의 하측 홈바닥면(16d)에, 예를 들면, 우나사면을 형성하는 나사공(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공(12b)에는, 후술하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b)이 나사결합된다.
즉,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는, 축부 본체(31)를 포함한다. 축부 본체(31)는, 그 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설치되고, 축부 본체(31)의 축 방향의 중간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면(31a 및 31b)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축부 본체(31)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경계로 하여, 예를 들면, 나사면(31a)이 좌나사면에 형성되고, 나사면(31b)이 우나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 본체(31)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나사면 비형성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 본체(31)의 축 방향의 일단면[나사면(31a)이 형성되어 있는 측]에, 축부 본체(31)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공구의 걸어맞춤홈(31d)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절단날(20)을 하부 회전 드럼(12)에 장착하는 경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하부 절단날(20)이, 하부 회전 드럼(12)의 하측 홈부(16)에 배치된다. 다음에,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일단측이 고정 블록(28)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하측 홈부(16)의 외측으로부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걸어맞춤홈(31d)에 육각 렌치 등의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맞추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를 체결하여 가면,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타단측이 하부 회전 드럼(12)에 나사결합된다. 이 경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a)이 고정 블록(28)의 나사공(28a)의 나사면에 나사결합되고,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b)이 하부 회전 드럼(12)의 나사공(12b)의 나사면에 나사결합된다.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를 체결하여 가면,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b)(우나사면)이 하부 회전 드럼(12)의 나사공(12b)의 나사면(우나사면)에 나사삽입되어 간다. 한편, 고정 블록(28)은, 그 나사공(28a)이 좌나사면에 형성되고, 상기 좌나사공(28a)에 나사결합되고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a)이 좌나사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측 홈부(16) 내를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축 방향을 따라, 하부 회전 드럼(12)의 나사공(12b) 측을 향해 왕동(전진)하여 간다. 이 때, 하부 절단날(20)은, 고정 블록(28)의 구배면(29)의 쐐기 작용에 의해, 하측 홈 측면(16a)(절단날 받이면)에 압압되고, 하측 홈부(16)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반대로, 하측 홈부(16)의 외측으로부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걸어맞춤홈(31d)에 육각 렌치 등의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맞추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를 풀어 가면,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b)이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축 방향을 따라, 하부 회전 드럼(12)의 나사공(12b)의 나사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복동·후퇴)하여 간다. 그에 연동하여, 나사공(28a)(좌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나사공(28a)에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a)(좌나사면)이 나사결합되고 고정 블록(28)은, 하측 홈부(16)의 외측으로 이동(복동·후퇴)하여 간다. 이 때, 하부 절단날(20)은, 고정 블록(28)의 구배면(29)의 쐐기 작용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하측 홈부(16)로부터 분리해내진다.
상기한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에서는, 걸어맞춤홈(31d)이 축부 본체(31)의 축 방향의 일단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걸어맞춤홈(31d)은, 축부 본체(31)의 축 방향의 타단면에도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걸어맞춤홈(31d)은, 축부 본체(31)의 축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 중의 적어도 일단면에 형성되고, 축부 본체(31)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다음에, 상부 회전 드럼(1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5, 도 6, 도 8, 도 9,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부 회전 드럼(14)은, 상기한 하부 회전 드럼(12)과 대략 같은 형상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상부 회전 드럼(14)의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연장 형성된 예를 들면, 1개의 상측 홈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홈부(18)는, 상부 회전 드럼(14)의 외주면에, 회전축(14A)을 중심으로 한 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 홈부(18)는, 도 3에 나타낸 하측 홈부(16)와 마찬가지로, 상부 회전 드럼(14)의 원주 방향으로 비틀림 각(쉐어링 각) γ을 가지고, 회전축(14A)의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하부 회전 드럼(12)에서는, 하부 절단날(20)이 1개의 고정 블록(28)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측 홈부(16)의 홈부의 구성이 설정되었지만, 상부 회전 드럼(14)에서는, 도 5, 도 6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절단날(22)이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과 고정되도록 상측 홈부(18)의 홈부 구성이 설정되어 있다. 상부 절단날(22)은, 상기한 하부 절단날(20)과 같은 형상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상측 홈부(18)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회전 드럼(14)의 원주 방향에 대향하는 상측 홈 측면(18a 및 18b)을 가진다. 상측 홈 측면(18a 및 18b)은, 각각,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14A)의 중심(축심) o2을 통과하여 상부 회전 드럼(14)의 직경에 평행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홈 측면(18a)은, 직경 선분(도시하지 않음)에 평행하게 또한 간격을 가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측 홈 측면(18b)은, 다른 직경(도시하지 않음)에 평행하게 또한 간격을 가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홈부(18)는, 상측 홈 측면(18a 및 18b)과 각각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측 홈바닥면(18c 및 18d)을 가진다. 상측 홈바닥면(18c 및 18d)과의 사이에는, 상부 절단날(22)이 평탄한 상측 홈바닥면(18e)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홈부(18) 내에는, 예를 들면, 도 5, 도 6, 도 8, 도 9, 도 10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절단날(22)과 구배면(33)을 구비한 쐐기형의 조정 블록(32) 및 구배면(35)을 구비한 쐐기형의 조정 블록(34)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이 배치된다.
한쪽의 조정 블록(32)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육면체형의 블록 본체(32A)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32A)에는, 1개의 면이 구배면(33)에 형성되어 있다. 구배면(33)의 구배는, 고정 블록(28)의 구배면(29)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1/5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 본체(32A)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으로, 또한 구배면(33)의 반대면측 쪽으로,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나사공(32a)을 가진다. 나사공(32a)은, 블록 본체(32A)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에 걸쳐 관통하고 있다. 조정 블록(32)의 나사공(32a)에는, 예를 들면, 좌나사면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 중의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의 나사공(37a)의 나사면과 나사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블록 본체(32A)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사공(32a)의 양측에, 예를 들면, 2개의 고정용 나사공(32b)을 가지고 있다. 이 고정용 나사공(32b)에는, 후술하는 고정용 나사 부재(208)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은, 그 길이 방향의 길이가 고정 블록(28)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고정 블록(28)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즉,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은, 직육면체형의 블록 본체(34A)를 포함하고, 블록 본체(34A)에는, 1개의 면이 구배면(35)에 형성되어 있다. 구배면(35)의 구배는, 예를 들면 1/5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 본체(34A)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으로, 또한 구배면(35)의 반대면측 쪽으로,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나사공(34a)을 가진다. 나사공(34a)은, 블록 본체(34A)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에 걸쳐 관통하고 있다. 조정 블록(34)의 나사공(34a)에는, 좌나사면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 중의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8)의 나사면(39a)과 나사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부 회전 드럼(14)에는, 도 5, 도 6, 도 1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홈부(18)의 상측 홈바닥면(18c 및 18d)에, 각각, 예를 들면, 우나사면을 형성하는 나사공(14b)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나사공(14b) 및 다른 쪽의 나사공(14b)에는, 각각, 후술하는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및 38)의 나사공(37b 및 39b)의 나사면이 나사결합된다.
즉,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및 38)는, 각각, 축부 본체(37 및 39)를 포함한다. 축부 본체(37 및 39)는, 각각, 그 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설치되고, 축부 본체(37 및 39)의 축 방향의 중간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면(37a, 37b 및 39a, 39b)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축부 본체(37 및 39)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경계로 하여, 각각, 예를 들면, 나사면(37a, 39a)이 좌나사면에 형성되고, 나사면(37b, 39b)이 우나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 본체(37 및 39)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각각,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나사면 비형성부(37c, 39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 본체(37 및 39)의 축 방향의 일단면[나사면(37a, 39a)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는, 각각, 축부 본체(37 및 39)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공구의 걸어맞춤홈(37d 및 39d)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절단날(22)을 상부 회전 드럼(14)에 장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의 일단측의 나사면(37a)이,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나사공(32a)에 나사결합된다. 다음에, 상측 홈부(18)의 외측으로부터,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의 걸어맞춤홈(37d)에 육각 렌치 등의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맞추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를 체결하여 가면,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의 나사면(37b)이 상부 회전 드럼(14)의 한쪽의 나사공(14b)의 나사면에 나사삽입되어 간다. 이 경우,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의 타단측의 나사면(37b)은, 상부 회전 드럼(14)의 한쪽의 나사공(14b)의 나사면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한쪽의 조정 블록(32)은, 그 구배면(33)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측 홈부(18)의 상측 홈 측면(18a)과 맞닿도록 하여, 상측 홈부(18)에 배치된다.
또한, 상부 절단날(22)의 한쪽 주면측이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구배면(33)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8)의 일단측의 나사면(39a)이,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의 나사공(34a)에 나사결합된다. 다음에 상측 홈부(18)의 외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8)의 걸어맞춤홈(39d)에 육각 렌치 등의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맞추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8)를 체결하여 가면,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8)의 나사면(39b)(우나사면)이 상부 회전 드럼(14)의 다른 한쪽의 나사공(14b)의 나사면(우나사면)에 나사삽입되어 간다.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은, 그 나사공(34a)이 좌나사면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34a)에 나사결합된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8)의 나사면(39a)(좌나사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홈부(18) 내를 다른 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8)의 축 방향을 따라, 상부 회전 드럼(14)의 다른 한쪽의 나사공(14b) 측을 향해 왕동(전진)하여 간다.
이 때,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구배면(33) 및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의 구배면(35)의 쐐기 작용에 의해, 상부 절단날(22)의 한쪽 주면 및 다른 쪽 주면은, 각각,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구배면(33) 및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의 구배면(35) 사이에 압압·협지된다. 그에 따라, 상부 절단날(22)은, 상측 홈부(18)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가 한 쌍의 조정 블록(32 및 34)에 의해 조정되고,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날끝 사이의 위치맞춤을 했을 때, 한쪽의 조정 블록(32)은,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면(209)을 가지는 고정용 나사 부재(208)가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복수의 고정용 나사공(32a)에 나사삽입된다. 이 경우, 고정용 나사 부재(208)는, 적어도 그 축 방향의 일단면에, 고정용 나사 부재(208)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공구의 걸어맞춤홈(208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나사 부재(208)의 걸어맞춤홈(208a)에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어 회전시킴으로써, 고정용 나사 부재(208)는, 조정 블록(32)의 고정용 나사공(32a)에 나사삽입된다.
고정용 나사 부재(208)는, 도 9의 (A)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고정용 나사공(32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나사삽입되어 고정용 나사 부재(208)의 축 방향의 선단부가 상측 홈부(18)의 상측 홈바닥면(18c)에 압압되는 것에 의해, 한쪽의 조정 블록(32)이 상측 홈부(18)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반대로, 상부 절단날(22)을 상부 회전 드럼(14)으로부터 분리해내는 경우, 예를 들면, 먼저, 도 8∼도 10에 나타낸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고정용 나사 부재(208)가 풀어져, 상측 홈바닥면(18c)으로의 고정용 나사 부재(208)에 의한 압압이 해제된다. 다음에 상측 홈부(18)의 외측으로부터,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의 걸어맞춤홈(37d)에 육각 렌치 등의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맞추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를 풀어 가면,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는, 그 축 방향을 따라, 상부 회전 드럼(14)의 나사공(14b)의 나사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복동·후퇴)하여 간다. 그에 연동하여, 나사공(32a)(좌나사면)을 가지고, 한쪽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의 나사면(37a)(좌나사면)이 나사결합된 한쪽의 조정 블록(32)은, 상측 홈부(18)의 외측으로 이동(복동·후퇴)하여 간다. 이 때,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구배면(33)의 쐐기 작용이 해제되므로, 상부 절단날(22)을 상측 홈부(18)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함으로써, 고정 블록(28) 및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을, 하부 회전 드럼(12)의 하측 홈부(16) 내 및 상부 회전 드럼(14)의 상측 홈부(18) 내에 있어서, 각각,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축 방향을 따라, 왕동 및 복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 회전 드럼(12) 및 상부 회전 드럼(14)에 대하여, 각각,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분리도 간단하게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전단기(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1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폭 방향의 길이를, 각각, L1이라 하고,
하측 홈부(16) 및 상측 홈부(18)의 깊이를, 각각, L2라 하고,
고정 블록(28)의 나사공(28a) 및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의 나사공(32a, 34a)의 길이를, 각각, L3라 하고,
하부 회전 드럼(12)의 나사공(12b)의 길이, 및 상부 회전 드럼(14)의 나사공(12b, 14b)의 길이를, 각각, L4라 하고,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축부 본체(31)의 전체 길이,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축부 본체(37, 39)의 전체 길이를, 각각, L5라 하고,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a)의 축 방향의 길이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나사면(37a, 39a)의 축 방향의 길이를 L6라 하고,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b)의 축 방향의 길이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나사면(37b, 39b)의 축 방향의 길이를 L7이라 하고,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 비형성부(31c)의 축 방향의 길이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나사면 비형성부(37c, 39c)의 축 방향의 길이를 L8이라 했을 때,
L1>L2>L5>L3을 만족시키고, 또한 L4 또는 L5>L8>L6 또는 L7을 만족시키는 관계로 되어 있다.
이 전단기(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절단날(20)과 하측 홈부(16)와의 사이에 고정 블록(28)이 삽입되면, 고정 블록(28)의 쐐기 작용에 의해, 고정 블록(28)의 구배면(29)이 하부 절단날(20)을 하부 회전 드럼(12)의 하측 홈부(16)의 하측 홈 측면(16a)에 압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블록(28)은, 그 구배면(29)과는 반대측의 면이 맞닿는 하측 홈 측면(16b)(고정 블록 받이면)이 기점으로 되어, 고정 블록(28)의 구배면(29)의 전체면에서 하부 절단날(20)의 한쪽 주면을 압압[도 16의 (A)의 화살표 Ss]하고, 하부 절단날(20)의 다른 쪽 주면을 고정 블록 받이면(16b)과는 반대측의 하측 홈 측면(16a)(절단날 받이면)에 견고하게 압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블록(28)을 삽입할 때는, 고정 블록(28)의 구배면(29)과 하부 절단날(20)의 접촉면에 마찰력[도 16의 (A)의 화살표 Ff]도 작용하므로, 하부 절단날(20)을 더욱 한층 견고하게 하부 회전 드럼(12)의 하측 홈부(16)의 하측 홈 측면(16a)(절단날 받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회전 드럼(14)의 상측 홈부(18)에는, 상부 절단날(22)의 한쪽 주면측 및 다른 쪽 주면측으로부터 상부 절단날(22)을 협지하도록,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이 삽입되면,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의 쐐기 작용에 의해,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구배면(33) 및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의 구배면(35)이, 각각, 상부 절단날(22)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주면을 압압 협지하고, 상부 절단날(22)을 상부 회전 드럼(14)의 상측 홈부(18)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쪽의 조정 블록(32, 34)은, 각각, 그 구배면(33, 35)과는 반대측의 면이 맞닿는 상측 홈 측면(18a, 18b)(고정 블록 받이면)이 기점으로 되고, 한편, 다른 쪽의 조정 블록(32, 34)의 한쪽, 다른 쪽의 구배면(33, 35)의 전체면에서, 상부 절단날(22)의 한쪽, 다른 쪽의 주면을 압압[도 16의 (A)의 화살표 Ss]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을 삽입할 때는,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의 구배면(33, 35)과 상부 절단날(22)과의 접촉면에는, 마찰력[도 16의 (A)의 화살표 Ff]도 작용하므로, 상부 절단날(22)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주면을 더욱 한층 견고하게 압압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단기(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14,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함으로써, 상측 홈부(18)의 상측 홈 측면(18a 및 18b)과, 상부 절단날(22)의 한쪽 주면 및 다른 쪽 주면과의 사이에 삽입된 한 쌍의 조정 블록(32 및 34)이, 상부 회전 드럼(14)의 상측 홈부(18) 내를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축 방향을 따라 왕동 및 복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의 사이에 장단의 차이를 설정함으로써,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의 쐐기 작용에 의한 상부 절단날(22)에 대한 압압력[도 16의 (A)의 화살표 Ss]의 강약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을 복동(후퇴)시키고 나서, 한쪽의 조정 블록(32)을 왕동(전진)시키면,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쐐기 작용에 의한 상부 절단날(22)에 대한 압압력은,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의 압압력보다 강해지므로,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압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즉 상부 회전 드럼(14)의 원주 방향으로 상부 회전 드럼(14)을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부 절단날(22)은,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회전 드럼(14)의 원주 방향으로, Lcr(변위량)의 분만큼 변위된다. 이 경우, 하부 절단날(20)에 대한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날끝 사이의 클리어런스량의 미세 조정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이 변위량이 커지면,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날끝 사이의 랩량의 미세 조정도 가능해진다.
즉, 이 전단기(10)에서는,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은, 상부 회전 드럼(14)의 상측 홈부(18) 내를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축 방향으로 왕동 및 복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간단해져,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이 전단기(1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절단날(20)의 날끝(21)의 날끝 원의 직경을 d1이라 하고, 상부 절단날(22)의 날끝(23)의 날끝 원의 직경을 d2라고 했을 때, d1>d2로 되도록 설정되고, 하류측(출측)에 있는 하부 절단날(20)쪽이, 상류측(입측)에 있는 상부 절단날(22)보다 선행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전단기(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6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절단날(20)의 날끝(21)과 상부 절단날(22)의 날끝(23)에서 피절단물(W)이 끼워넣어져 절단되도록,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가 한 쌍의 조정 블록(32 및 34)에 의해 조정되고,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날끝 사이의 위치맞춤이 행해진다.
이 전단기(10)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절단날(20)의 날끝(21)과 상부 절단날(22)의 날끝(23)에서 피절단물(W)이 말려들어가는 개시 위치에 있어서, 상부 절단날(22)에는, 피절단물(W)의 수평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경사각 θ3 및 θ4가 형성되는 경사면(210 및 21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절단날(20)에는, 피절단물(W)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는 각도에 의해 퇴피각 θ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부 절단날(20)에는, 피절단물(W)의 수평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경사각 θ6 및 θ7이 형성되는 경사면(214 및 216)이 형성되어 있다. 퇴피각 θ5는 날끝 각도 θd, θd2 및 경사각 θ6, θ7에 의해 규제된다. 퇴피각 θ5, 경사각 θ6, θ7 및 날끝 각도 θd1, θd2의 관계는, θ5=90―θd1―θ6(도) 또는 θ5=90―θd2―θ7(도)의 범위로 설정되고, 0도 미만이라면 전단성이 나쁘고, 10도를 넘으면 0도 미만과 마찬가지로 전단성이 악화되고, 또한 날끝 각도 θ6, θ7에 따라서는, 피절단물(W)과의 간섭이 생기므로, 0∼10 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절단날(22)에 대해서도 피절단물(W)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는 각도에 의해 퇴피각이 형성되도록 해도 되고, 퇴피각을 θa(도시하지 않음)라고 했을 때, θa, 경사각 θ3, θ4 및 날끝 각도 θu1, θu2의 관계는, θa=90―θu1―θ4(도) 또는θa=90―θd2―θ3(도)의 범위로 설정되고, 하부 절단날(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퇴피각은, 0°∼10°의 사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단기(10)에서는, 특히, 하부 절단날(20)의 날끝(21) 및 상부 절단날(22)의 날끝(23) 사이의 위치맞춤이 한 번 행해진 후, 예를 들면, 상부 절단날(22)을 새로운 절단날(도시하지 않음)로 교환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 중의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을 복동(후퇴)시켜,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의 쐐기 작용에 의한 상부 절단날(22)에 대한 압압력을 느슨하게 한 후, 상부 절단날(22)이 상측 홈부(18) 내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에, 준비한 새로운 절단날은,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의 한쪽의 조정 블록(32)의 구배면(33)과 맞닿도록 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을 왕동(전진)시켜 가는 것에 의해,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은, 그 쐐기 작용에 의해, 한쪽의 조정 블록(32)과의 사이에 새로운 절단날을 압압·협지한다. 이 때, 한쪽의 조정 블록(32)은, 하부 절단날(20)의 날끝(21) 및 상부 절단날(22)의 날끝(23) 사이의 위치맞춤에서의 기준이 되는 위치 결정 블록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절단날(22)을 새로운 절단날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다른 쪽의 조정 블록(34)만을 복동(후퇴)시켜 상부 절단날(22)(낡은 절단날)을 분리해내는 것만으로 되고, 한쪽의 조정 블록(32)(위치 결정 블록)을 아무런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부 절단날(22)의 교환 작업이 극히 간편하게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전단기(10)는, 구동 기구(24)의 구동 기어부(124 및 126)에, 조작이 간단한 기구를 가지는 백래시 조정 기구(220)가 내장되어 있다. 백래시 조정 기구(220)는, 백래시 때문에 구동 기어부(124, 126)의 회전량이 지연되어, 서보 모터(M)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부정확해지는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의 회전 방향을 정역(正逆)으로 전환할 때, 백래시 상당량의 회전 지연을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동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백래시 조정 기구에 의하면, 백래시를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고, 또한 동력 전달을 상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구동 기어부(124 및 126)에 내장되어 있는 백래시 조정 기구(220)는,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한쪽의 구동 기어부(124)의 백래시 조정 기구(2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9,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회전 드럼(12)의 회전축(12A)에 고정되어 있는 헬리컬 기어(128)를 주기어라고 하고, 헬리컬 기어에 연결되는 헬리컬 기어(130)를 조정 기어라고 한다.
백래시 조정 기구(220)는, 예를 들면, 도 17, 도 18,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기어부(124)의 주기어(128) 및 조정 기어(130)를 연결하는 연결축부(222)를 포함한다. 연결축부(222)는, 그 축 방향의 일단측이 조정 기어(130)의 주면측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축 방향의 타단측이 주기어(128)의 주면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연결축부(222)의 축 방향의 타단측은, 도 17,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림 방지 너트 등의 고정구(2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조정 기어(130)는, 도 19,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222)의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축 방향의 중간부에 걸쳐, 상기 연결축부(222)의 주위에 환형의 오목부(226)를 가진다. 환형의 오목부(226)는, 주기어(128) 및 조정 기어(130)에 설치되어 연결축부(222)가 삽통되는 삽통공(228)과 연통되게 되어 있다. 또한, 환형의 오목부(226)의 접촉면(226a)에는, 특히,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222) 측 가까이의 부위에, 예를 들면, 단면 직사각형의 볼록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백래시 조정 기구(220)는, 도 19,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22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 블록(232), 및 환형의 오목부(226)의 내주면(226b)과 한 쌍의 접촉 블록(232)과의 사이에 삽입되고, 한 쌍의 접촉 블록(232)과 맞닿는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을 더 포함한다.
한 쌍의 접촉 블록(232)은, 도 20의 (A)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4각형의 블록형의 블록 본체(232A)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232A)는, 그 한쪽 주면에 예를 들면, 원호형의 끼워맞춤면(236)이 형성되고, 그 다른 쪽 주면에 구배면(238)이 형성되어 있다. 구배면(238)은, 블록 본체(232A)의 다른 쪽 주면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예를 들면 5/30의 구배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접촉 블록(232)은, 그 끼워맞춤면(236)이 연결축부(222)의 주위면의 일부에 끼워맞추어지도록, 연결축부(22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도 20의 (B)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4각형의 블록형의 블록 본체(234A)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234A)는, 그 한쪽 주면에 예를 들면, 반원통형의 팽출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블록 본체(234A)는, 상기 블록 본체(234A)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에 걸쳐 관통하는 나사공(240a)을 가진다. 이 나사공(240a)은, 팽출부(240)의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블록 본체(234A)의 다른 쪽 주면에는, 구배면(242)이 형성되어 있다. 구배면(242)은, 블록 본체(234A)의 다른 쪽 주면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예를 들면 5/30의 구배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그 구배면(242)이 한 쌍의 접촉 블록(232)의 구배면(238)에 맞닿고, 그 팽출부(240)가 환형의 오목부(226)의 내주면(226b)과 맞닿도록 조정 기어(130) 내에 배치된다.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조정 기어(130)의 주면측의 외측으로부터 환형의 오목부(226) 내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또한, 백래시 조정 기구(220)는, 도 19,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를 포함한다.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 본체(250A)를 포함하고, 축부 본체(250A)는, 그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면(252 및 254)을 가진다. 예를 들면, 나사면(252)은 좌나사면에 형성되고, 나사면(254)은 우나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 본체(250A)는, 그 축 방향의 일단측에, 축부 본체(250A)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의 걸어맞춤홈(256)을 가지고, 그 축 방향의 중간부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나사면 비형성부(258)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는, 각각, 축 방향의 일단측이 백래시 조정 블록(234)에 나사삽입되어 축 방향의 타단측이 조정 기어(130)에 나사삽입된다. 이 경우, 조정 기어(130)는, 환형의 오목부(226)의 접촉면(260a)에, 나사공(260)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260)은, 조정 기어(130)의 톱니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접촉면(260a)의 단면(端面)으로부터 조정 기어(130) 및 주기어의 맞닿은 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는, 각각, 그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252)과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나사공(240a)의 나사면이 나사결합되고, 그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254)과 조정 기어(130)의 나사공(260)의 나사면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전단기(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21 및 도 2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쐐기 작용에 의해,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242)이, 각각, 접촉 블록(232)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238)을 압압한다.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접촉 블록(232)을 통하여 연결축부(22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연결축부(22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축부(222)를 협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각각, 그 구배면(242)과는 반대측의 면이 맞닿는 환형의 오목부(226)의 내주면(226b)(백래시 조정 블록 받이면)이 기점으로 되어,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242)의 전체면에서, 한 쌍의 접촉 블록(232)의 구배면(238)을 압압[도 22의 (A)의 화살표 Ss]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을 삽입할 때는,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구배면(242)과 한 쌍의 접촉 블록(232)의 구배면(238)의 접촉면에는, 마찰력[도 22의 (A)의 화살표 Ff]도 작용하므로, 연결축부(222)를 더욱 한층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축부(222)는, 환형의 오목부(226)로부터 이탈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조정 기어(130) 내에 내장된다.
그래서, 한 쌍의 접촉 블록(232) 및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을 조정 기어(130)에 장착하는 방법 및 분리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각각, 도 19∼도 22를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한 쌍의 접촉 블록(232) 및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을 조정 기어(130)의 환형의 오목부(226)와 연결축부(222)와의 사이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먼저, 한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일단측이 한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에 나사결합된다.
다음에, 한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구배면(242)과 한쪽의 접촉 블록(232)의 구배면(238)을 서로 맞대고, 또한 한쪽의 접촉 블록(232)의 구배면(238)을 연결축부(222)의 주위면의 일부에 끼워맞춘 상태로, 한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 및 한쪽의 접촉 블록(232)이 환형의 오목부(226)에 삽입된다. 이 경우, 연결축부(22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쪽에, 한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 및 한쪽의 접촉 블록(232)이 배치된다.
동일하게 하여, 연결축부(22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다른 쪽에,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 및 다른 쪽의 접촉 블록(232)이 배치된다.
그리고, 한쪽 및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에 나사결합되고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가, 각각, 그 일단측으로부터 체결되는 것에 의해, 한쪽 및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각각, 한쪽 및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축 방향을 따라, 환형의 오목부(226) 내를 왕동(전진)하여 간다. 즉, 조정 기어(130)의 주면측의 외측으로부터,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걸어맞춤홈(256)에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맞추어 축부 본체(250A)를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 가면,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254)은, 조정 기어(130)의 나사공(260)의 나사면에 나사삽입(왕동·전진)되어 간다. 그에 연동하여, 나사공(240a)(좌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나사공(240a)에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나사면(252)(좌나사면)이 나사결합된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각각,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252)을 따라, 조정 기어(130)의 나사공(260)의 나사면을 향해 왕동(전진)하여 가게 된다.
이 때,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쐐기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접촉 블록(232)의 구배면(238)이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구배면(242)에 압압된다. 연결축부(222)는,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에 의해, 한 쌍의 접촉 블록(238)을 통하여 연결축부(22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압압·협지되게 되고, 환형의 오목부(226)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반대로,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 및 한 쌍의 접촉 블록(232)을 조정 기어(130)의 환형의 오목부(226)와 연결축부(222)와의 사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가, 그 일단측으로부터 풀어지게 하는 것에 의해,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축 방향을 따라, 환형의 오목부(226) 내를 복동(후퇴)하여 간다.
즉, 조정 기어(130)의 주면측의 외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걸어맞춤홈(256)에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맞추어 축부 본체(250A)를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 가면,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254)은, 조정 기어(130)의 나사면(26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복동·후퇴)하여 간다. 그에 연동하여, 나사공(240a)(좌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나사공(240a)에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나사면(252)(좌나사면)이 나사결합된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252)을 따라, 조정 기어(130)의 환형의 오목부(22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복동·후퇴)하여 간다.
이 때,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쐐기 작용이 해제되므로, 환형의 오목부(226)와 연결축부(222)와의 사이로부터,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 및 다른 쪽의 접촉 블록(232)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 및 접촉 블록(232)을, 각각,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의 축 방향, 즉 환형의 오목부(226) 내로 삽입하는 방향 및 환형의 오목부(22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환형의 오목부(226)의 내주면(226b)과 연결축부(222)의 외주면과의 사이로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 및 접촉 블록(232)의 장착, 분리도 간단하게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나사면(252)(좌나사면), 나사면(254)(우나사면)의 1회전당의 진행량(리드)을 η으로 하고,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회전량을 n으로 하고,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나사면(252, 254)의 전진량을 X, Y라고 했을 때, X=η×n, Y=η×n으로 되어,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은, [X+Y=2η×n]에 의해 구해지는 양 Z(전진량)으로 전진·이동한다.
즉,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는, 그 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나사면(252)(좌나사면) 및 나사면(254)(우나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산출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회전당, 리드 η의 2배만큼,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을 왕동(전진) 또는 복동(후퇴)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전단기(10)에서는,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에 대한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장착, 분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백래시 조정 블록(234) 및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조정 기어(130)에 대한 내장 작업의 단축화에도 연결된다.
이 전단기(10)에서는, 도 2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의 사이에 장단의 차이를 설정함으로써,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쐐기 작용에 의한 연결축부(222)에 대한 압압력의 강약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을 복동(후퇴)시키고 나서,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을 왕동(전진)시키면,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쐐기 작용에 의한 연결축부(222)에 대한 압압력[도 22의 (B)의 화살표 Ss]은, 한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압압력보다 강해지므로,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압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조정 기어(130)의 원주 방향]으로, 상부 회전 드럼(14)을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연결축부(222)의 중심축 op는, 도 2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기어(13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δ]만큼 변위한다. 그러므로, 연결축부(222)의 중심선 op가, 도 22의 (B)에 나타낸, 중심선 opδ의 위치로 어긋난다.
이 변위량[δ]은, 한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를 복동(후퇴)시키고, 또한 다른 쪽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를 왕동(전진)시켰을 때의 진퇴량(進退量)[Z]과, 한 쌍의 접촉 블록(232) 및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이 맞닿는 양쪽의 구배면(238 및 242)의 구배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구배면(238 및 242)의 구배가 5/30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퇴량[Z]을 예를 들면, 2㎜로 하면, 변위량[δ]은, 2(㎜)×(5/30)로 산출되고, 약 0.333㎜로 된다.
조정 기어(130) 및 주기어(128)는, 연결축부(222)를 통하여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상부 회전 드럼(14)은 그 회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조정 기어(130) 및 주기어(128)의 톱니의 어긋남을 조정할 수 있고, 구동 기어부(124)와 원축(주축)(112)의 톱니형부(122)와의 사이의 백래시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이 전단기(10)에서는,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을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축 방향을 따라 간단하게 왕동 및 복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단해져, 구동 기어부(124) 및 원축(주축)(112)의 톱니형부(122) 사이의 서로 맞물림에서의 백래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기어부(124)에 내장되는 백래시 조정 기구(220)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축(주축)(112)의 톱니형부(122), 주기어(128) 및 조정 기어(130)의 톱니폭과 토크(torque)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 전단기(10)는,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의 미세 조정을 간단하게 지원할 수 있는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270)를 포함하고,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270)는, 예를 들면, 종동 기구(26)의 종동 기어부(150)에 내장되어 있다.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270)는, 예를 들면, 도 23, 도 24,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 기어부(150)의 헬리컬 기어(152) 및 보강 부재(154)를 연결하는 연결축부(272)를 포함한다. 연결축부(272)는, 그 축 방향의 일단측이 보강 부재(154)의 주면측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축 방향의 타단측이 헬리컬 기어(152)의 주면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연결축부(272)의 축 방향의 타단측은, 도 23,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림 방지 너트 등의 고정구(27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보강 부재(154)는, 도 25,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272)의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축 방향의 중간부에 걸쳐, 상기 연결축부(272)의 주위에 환형의 오목부(276)를 가진다. 환형의 오목부(276)는, 헬리컬 기어(152) 및 보강 부재(154)에 설치되어 연결축부(222)가 삽통되는 삽통공(278)과 연통되게 되어 있다. 또한, 환형의 오목부(276)의 접촉면(276a)에는, 특히,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272) 측 가까이의 부위에, 예를 들면, 단면 직사각형의 볼록부(27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270)는, 도 25,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27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 블록(280), 및 환형의 오목부(276)의 내주면(276b)과 한 쌍의 접촉 블록(280)과의 사이에 삽입되고, 한 쌍의 접촉 블록(280)과 맞닿는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을 더 포함한다. 한 쌍의 접촉 블록(280)은, 백래시 조정 기구(220)의 구성 부재 내의 1개인 접촉 블록(232)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도 20의 (A) 참조].
즉, 한 쌍의 접촉 블록(280)은, 단면 4각형의 블록형의 블록 본체(280A)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280A)는, 그 한쪽 주면에 예를 들면, 원호형의 끼워맞춤면(284)이 형성되고, 그 다른 쪽 주면에 구배면(286)이 형성되어 있다. 구배면(286)은, 블록 본체(280A)의 다른 쪽 주면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예를 들면 5/30의 구배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접촉 블록(280)은, 그 끼워맞춤면(284)이 연결축부(272)의 주위면의 일부에 끼워맞추어지도록, 연결축부(27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백래시 조정 기구(220)의 구성 부재 내의 1개인 백래시 조정 블록(234)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도 20의 (B) 참조]. 즉,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단면 4각형의 블록형의 블록 본체(282A)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282A)는, 그 한쪽 주면에 예를 들면, 반원통형의 팽출부(28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블록 본체(282A)는, 상기 블록 본체(282A)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에 걸쳐 관통하는 나사공(288a)을 가진다. 이 나사공(288a)은, 팽출부(288)의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블록 본체(282A)의 다른 쪽 주면에는, 구배면(290)이 형성되어 있다. 구배면(290)은, 블록 본체(282A)의 다른 쪽 주면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예를 들면 5/30의 구배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그 구배면(290)이 한 쌍의 접촉 블록(280)의 구배면(286)에 맞닿고, 그 팽출부(288)가 환형의 오목부(276)의 내주면(276b)과 맞닿도록 보강 부재(154) 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보강 부재(154)의 주면측의 외측으로부터 환형의 오목부(276) 내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또한,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270)는, 도 25,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를 포함한다.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는, 백래시 조정 기구(220)의 구성 부재 내의 1개인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즉,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 본체(300A)를 포함하고, 축부 본체(300A)는, 그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면(302 및 304)을 가진다. 예를 들면, 나사면(302)은 좌나사면에 형성되고, 나사면(304)은 우나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 본체(300A)는, 그 축 방향의 일단측에, 축부 본체(300A)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의 걸어맞춤홈(306)을 가지고, 그 축 방향의 중간부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나사면 비형성부(308)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는, 각각, 축 방향의 일단측이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에 나사삽입되어 축 방향의 타단측이 보강 부재(154)에 나사삽입된다. 이 경우, 보강 부재(154)는, 환형의 오목부(276)의 접촉면(276a)에, 나사공(310)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310)은, 보강 부재(154)의 플랜지부(154B)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접촉면(276a)의 단면으로부터 보강 부재(154) 및 헬리컬 기어(152)의 맞닿은 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는, 각각, 그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302)과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나사공(288a)의 나사면이 나사결합되고, 그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304)과 보강 부재(154)의 나사공(310)의 나사면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전단기(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2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쐐기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290)이, 각각, 접촉 블록(280)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286)을 압압한다.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접촉 블록(280)을 통하여 연결축부(27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연결축부(27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축부를 협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각각, 그 구배면(290)과 반대측의 면이 맞닿는 환형의 오목부(276)의 내주면(276b)(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받이면)이 기점으로 되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한쪽 및 다른 쪽의 구배면(290)의 전체면에서, 한 쌍의 접촉 블록(280)의 구배면(286)을 압압[도 26의 (A)의 화살표 Ss]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을 삽입할 때는,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구배면(290)과 한 쌍의 접촉 블록(280)의 구배면(286)의 접촉면에는, 마찰력[도 26의 (A)의 화살표 Ff]도 작용하므로, 연결축부(272)를 더욱 한층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축부(272)는, 환형의 오목부(276)로부터 이탈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보강 부재(154) 내에 내장된다.
그래서, 한 쌍의 접촉 블록(280) 및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을 보강 부재(154)에 장착하는 방법 및 분리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각각, 도 23∼도 26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한 쌍의 접촉 블록(280) 및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을 보강 부재(154)의 환형의 오목부(276)와 연결축부(272)와의 사이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먼저,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일단측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에 나사결합된다.
다음에,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구배면(290)과 한쪽의 접촉 블록(282)의 구배면(286)을 서로 맞대고, 또한 한쪽의 접촉 블록(280)의 끼워맞춤면(284)을 연결축부(272)의 주위면의 일부에 끼워맞춤시킨 상태로,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 및 한쪽의 접촉 블록(280)이 환형의 오목부(276)에 삽입된다. 이 경우, 연결축부(27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쪽에,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 및 한쪽의 접촉 블록(280)이 배치된다.
동일하게 하여, 연결축부(27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다른 쪽에,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 및 다른 쪽의 접촉 블록(280)이 배치된다.
그리고, 한쪽 및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에 나사결합된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가, 각각, 그 일단측으로부터 체결되는 것에 의해, 한쪽 및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각각, 한쪽 및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축 방향을 따라, 환형의 오목부(276) 내를 왕동(전진)하여 간다. 즉, 보강 부재(154)의 플랜지부(154B)의 주면측의 외측으로부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걸어맞춤홈(306)에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맞추어 축부 본체(300A)를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 가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304)은, 보강 부재(154)의 나사공(310)의 나사면에 나사삽입(왕동·전진)되어 간다. 그에 연동하여, 나사공(288a)(좌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나사공(288a)에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나사면(302)(좌나사면)이 나사결합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302)에 따라, 보강 부재(154)의 나사공(310)의 나사면을 향해 왕동(전진)하여 가게 된다.
이 때,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쐐기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접촉 블록(280)의 구배면(286)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구배면(290)에 압압된다. 연결축부(272)는,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에 의해, 한 쌍의 접촉 블록(280)을 통하여 연결축부(272)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압압·협지되게 되고, 환형의 오목부(276)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반대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 및 한 쌍의 접촉 블록(280)을 보강 부재(154)의 환형의 오목부(276)와 연결축부(272)와의 사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 중의 예를 들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가, 그 일단측으로부터 풀어지게 하는 것에 의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축 방향을 따라, 환형의 오목부(276) 내를 복동(후퇴)하여 간다.
즉, 보강 부재(154)의 플랜지부(154B)의 주면측의 외측으로부터,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걸어맞춤홈(306)에 회전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맞추어 축부 본체(300A)를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 가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304)은, 보강 부재(154)의 나사면(3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복동·후퇴)하여 간다. 그에 연동하여, 나사공(288a)(좌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나사공(288a)에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나사면(좌나사면)이 나사결합된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302)을 따라, 보강 부재(154)의 환형의 오목부(27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복동·후퇴)하여 간다.
이 때,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쐐기 작용이 해제되므로, 환형의 오목부(276)와 연결축부(272)와의 사이로부터,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 및 한쪽의 접촉 블록(280)을 각각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 및 접촉 블록(280)을, 각각,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축(14A)의 축 방향, 즉 환형의 오목부(276) 내로 삽입하는 방향 및 환형의 오목부(27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환형의 오목부(276)의 내주면(276b)과 연결축부(272)의 외주면과의 사이로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 및 접촉 블록(280)의 장착, 분리를 간단하게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나사면(302)(좌나사면), 나사면(304)(우나사면)의 1회전당의 진행량(리드)을 η으로 하고,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회전량을 n으로 하고,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나사면(302, 304)의 전진량을 X, Y로 했을 때, X=η×n, Y=η×n으로 되고,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은, [X+Y=2η×n]로 구해지는 양 Z(전진량)으로 전진·이동한다.
즉,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는, 그 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나사면(302)(좌나사면) 및 나사면(304)(우나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산출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회전당, 리드 η의 2배만큼,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을 왕동(전진) 또는 복동(후퇴)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전단기(10)에서는,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에 대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장착, 분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 및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보강 부재(154)에 대한 내장 작업의 단축화에도 연결된다.
이 전단기(10)에서는, 도 2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왕동 거리(전진 거리)와의 사이에 장단의 차이를 설정함으로써,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쐐기 작용에 의한 연결축부(272)에 대한 압압력의 강약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을 복동(후퇴)시키고 나서,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을 왕동(전진)시키면,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쐐기 작용에 의한 연결축부(272)에 대한 압압력[도 26의 (B)의 화살표 Ss]는,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압압력보다 강해지므로,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압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종동 기어(152)의 원주 방향]으로, 상부 회전 드럼(14)을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연결축부(272)의 중심축 op는, 도 2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 기어(152)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δ]만큼 변위한다. 그러므로, 연결축부(272)의 중심선 op가, 중심선 opδ의 위치로 어긋난다.
이 변위량[δ]은, 한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를 복동(후퇴)시키고, 또한 다른 쪽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를 왕동(전진)시켰을 때의 진퇴량[Z]과, 한 쌍의 접촉 블록(280) 및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이 맞닿는 양쪽의 구배면(286 및 290)의 구배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구배면(286 및 290)의 구배가 5/30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퇴량[Z]을 예를 들면, 2㎜로 하면, 변위량[δ]은, 2(㎜)×(5/30)으로 산출되고, 약 0.333㎜로 된다.
보강 부재(154) 및 종동 기어(152)는, 연결축부(272)를 통하여 상부 회전 드럼(14)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상부 회전 드럼(14)은 그 회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의 조정을 간단하게 지원할 수 있다. 이 전단기(10)에서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을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 홈부(18) 내를 왕동(전진) 및 복동(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하부 절단날(20)에 대한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 사이의 클리어런스량 및 랩량을 미세 조정하는 것이지만, 이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270)의 작용에 의해, 하부 절단날(20)의 날끝(21) 및 상부 절단날(22)의 날끝(23) 사이의 예를 들면, 클리어런스량 및 랩량의 미세 조정을 간단하게 지원할 수 있다.
즉, 이 전단기(10)에서는,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 및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작용·효과와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270)의 작용·효과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이 전단기(10)에서는,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를 체결하거나 풀어지게 하거나 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을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축 방향을 따라 간단하게 왕동 및 복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단해져,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의 미세 조정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이 전단(10)에서는,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의 조정(위치맞춤)을 행하는 경우,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 사이에, 예를 들면, 박지(薄紙) 등을 삽입하고, 상부 회전 드럼(14)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이 박지를 절단한다. 이 때의 박지의 단면으로부터 하부 절단날(20) 및 상부 절단날(22)의 날의 상황을 확인한다. 그리고,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에 의한 상부 절단날(22)의 장착 위치의 조정 작업 및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270)에 의한 조정 작업 등에 의해, 하부 절단날(20)의 날끝(21) 및 상부 절단날(22)의 날끝(23) 사이의 클리어런스량 및 랩량을 미세 조정하여 최적의 절단 상태로 실제의 절단 작업이 행해진다.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전단기(10)에서는, 고정 블록(28)의 나사공(28a),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a), 한 쌍의 조정 블록(32, 34)의 나사공(32a, 34a),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나사면(37a, 39a),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234)의 나사공(240a),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나사면(252),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282)의 나사공(288a) 및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나사면(302)이, 각각, 좌나사면에 형성되고, 하부 회전 드럼(12)의 나사공(12a), 상부 회전 드럼(14)의 나사공(14a),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30)의 나사면(31b),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36, 38)의 나사면(37b, 39b), 한 쌍의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250)의 나사면(254) 및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300)의 나사면(304)이, 각각, 우나사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前者)가 우나사면에 형성되고, 후자가 좌나사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절단날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회전 드럼에 절단날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전단기를 제공한다.
10 전단기
12 하부 회전 드럼
12b 하부 회전 드럼의 나사공
14 상부 회전 드럼
14b 상부 회전 드럼의 나사공
16 하측 홈부
16a, 16b 하측 홈 측면
16c, 16d 하측 홈바닥면
18 상측 홈부
18a, 18b 상측 홈 측면
18c, 18d, 18e 상측 홈바닥면
20 하부 절단날
21 하부 절단날의 날끝
22 상부 절단날
23 상부 절단날의 날끝
24 구동 기구
26 종동 기구
28 고정 블록
28A 고정 블록의 블록 본체
28a 고정 블록의 나사공
29 고정 블록의 구배면
30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31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부 본체
31a, 31b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나사면
31c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나사면 비형성부
31d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
32, 34 한 쌍의 조정 블록
32A, 34A 한 쌍의 조정 블록의 블록 본체
33, 35 한 쌍의 조정 블록의 구배면
32a, 34a 한 쌍의 조정 블록의 나사공
32b 한 쌍의 조정 블록 중의 한쪽의 조정 블록의 고정용 나사공
36, 38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
37, 39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부 본체
37a, 37b, 39a, 39b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나사면
40 가대
42 고정 가대
44 가동 가대
46 변위 수단
48A, 48b, 48C 고정 베이스
50A, 50B, 50C 가동 베이스
52 추축부
54 멈춤 나사 부재
56a, 56b, 56c, 56d 압압부
58a, 58b, 58c, 58d 압압축부
60a, 60b, 60c, 60d, 184, 204 브래킷
62, 74 장착 볼트
64a, 64b, 64c, 64d 나사공
66A, 66B 지지대
68A, 68B 지지 베이스
69, 132, 140, 156, 167 고정 볼트
70A, 70B 하우징
71, 72, 73, 96, 97 수직 프레임
75 수평 프레임
76, 86, 88, 114, 170a, 170b, 180 베어링
78, 120 오일 실링
80 O링
82, 84, 98, 100 베어링 케이스
90, 92 베어링 커버
94, 95, 96, 102, 104, 116, 118 정밀 록 너트
110 커플링부
112 원축(주축)
122 톱니형부
124, 126 구동 기어부
128, 130, 136, 138, 152 헬리컬 기어
134, 142, 158 마찰식 체결구
150 종동 기어부
154 보강 부재
160 수동 조작 기구
162 외부 케이스
164 내부 케이스
164a, 164b 위치 결정공
166 플랜지부
168 핸들축
172 핸들
174 클러치 축
176 중계 기어
178 지지축
182 리미트 스위치
182a 작동편
186 긴 구멍
188 위치결정핀
190 인덱스 플런저
192 노브
194 노즈
200 회전 드럼 원점 센서
202 근접 스위치
206 센서 도그
208 고정용 나사 부재
208a 고정용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
209 고정용 나사 부재의 나사공
210, 212, 214, 216 경사면
220 백래시 조정 기구
222 백래시 조정 기구의 연결축부
224 고정구
226 환형의 오목부
226a 환형의 오목부의 접촉면
226b 환형의 오목부의 내주면
228 삽통공
230 볼록부
232 백래시 조정 기구의 한 쌍의 접촉 블록
232A 한 쌍의 접촉 블록의 블록 본체
236 한 쌍의 접촉 블록의 끼워맞춤면
238 한 쌍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
234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
234A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의 블록 본체
240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의 팽출부
240a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의 나사공
242 한 쌍의 백래시 조정 블록의 구배면
250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
250A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의 축부 본체
252, 254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의 나사면
256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
258 백래시 조정용 나사 부재의 나사 비형성부
260 조정 기어(헬리컬 기어)의 나사공
270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
272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의 연결축부
274 고정구
276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의 환형의 오목부
276a 환형의 오목부의 접촉면
276b 환형의 오목부의 내주면
277 볼록부
278 삽통공
280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의 한 쌍의 접촉 블록
280A 한 쌍의 접촉 블록의 블록 본체
282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282A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블록 본체
284 한 쌍의 접촉 블록의 끼워맞춤면
286 한 쌍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
288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팽출부
288a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나사공
290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의 구배면
300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
300A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부 본체
302, 304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나사면
306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걸어맞춤홈
308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나사면 비형성부
310 보강 부재의 나사공
M 서보 모터
γ 비틀림 각(쉐어링 각)
θ1, θ2 교차각
θ3, θ4, θ6, θ7 경사각
θ5 퇴피각
θd1, θd2 하부 절단날의 날끝 각도
θu1, θe2 상부 절단날의 날끝 각도

Claims (5)

  1. 반송(搬送)되는 피절단물을 협지(sandwich)하여 대향하도록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드럼;
    상기 회전 드럼의 외주면에서 상기 회전 드럼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홈부;
    한쪽의 상기 회전 드럼의 홈부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쪽의 절단날;
    다른 쪽의 상기 회전 드럼의 홈부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른 쪽의 절단날;
    상기 한쪽의 절단날을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 고정시키는 구배면(勾配面)을 구비한 고정 블록;
    상기 피절단물이 상기 한쪽의 절단날의 날끝(cutting edge)과 상기 다른 쪽의 절단날의 날끝에서 끼워넣어져 절단되도록, 상기 다른 쪽의 절단날의 장착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다른 쪽의 절단날을 상기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주면측(主面側) 및 다른 쪽 주면측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에 고정시키는 구배면을 구비한 한 쌍의 조정 블록;
    일단측이 상기 고정 블록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일단측이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상기 다른 쪽의 회전 드럼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록을 상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의 구배면을 통하여 상기 한쪽의 절단날을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의 홈부의 내면으로 압압(押壓) 가능하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을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의 구배면을 통하여 상기 다른 쪽의 절단날의 한쪽 주면 및 다른 쪽 주면을 압압 가능하게 하는, 전단기(剪斷機).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는, 각각, 축부(軸部) 본체, 상기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중간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면, 및 상기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 중의 적어도 상기 일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축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공구의 걸어맞춤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은, 상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은,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은,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홈에 상기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어 상기 축부 본체를 축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은, 각각, 상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동(往動; 전진)되고, 상기 축부 본체를 상기 축 회전시킨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은, 각각, 상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복동(復動; 후퇴)되는, 전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의 폭 방향의 길이를 L1, 상기 홈부의 깊이를 L2, 상기 고정 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의 나사공의 길이를 L3, 상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드럼의 나사공의 길이를 L4, 상기 고정 블록용 나사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용 나사 부재의 축부 본체의 전체 길이를 L5, 상기 고정 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조정 블록의 상기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상기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의 축 방향의 길이를 L6,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 및 상기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상기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의 축 방향의 길이를 L7이라고 했을 때,
    L1>L2>L5>L3을 만족시키고, 또한 L4 또는 L5>L6 또는 L7을 만족시키는, 전단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기는,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기구;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피절단물의 반송 속도에 대응한 주속도(周速度)로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 및 상기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을 역방향으로 동기(同期) 회전시키는 종동(從動) 기구(機構), 및
    상기 종동 기구에 내장되며, 상기 한쪽의 절단날과 상기 다른 쪽의 절단날과의 장착 위치의 조정을 지원하는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회전 구동력을 기동시키기 위한 구동원;
    상기 구동원의 출력축에 커플링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원축(原軸)에 접속되고,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한쪽에 고정되는 한쪽의 구동 기어; 및
    상기 한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다른 쪽에 고정되는 다른 쪽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 기구는,
    상기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다른 쪽에 고정되고, 상기 다른 쪽의 구동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종동 기어;
    상기 종동 기어를 상기 다른 쪽의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다른 쪽에 고정시키는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종동 기어의 축공(軸孔)의 주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
    상기 종동 기어 및 상기 보강 부재에 삽통(揷通)되고, 상기 종동 기어와 상기 보강 부재를 연결 가능하게 하는 연결축부, 및
    상기 보강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축 방향의 중간부에 걸쳐 설치되는 환형(環形)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위치 조정 지원 기구는,
    상기 연결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연결축부의 주위면의 일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단면(斷面)이 호형(弧形)인 끼워맞춤면과, 상기 끼워맞춤면의 반대측에 구배면을 구비한 한 쌍의 접촉 블록;
    상기 환형의 오목부의 내주면과 상기 한 쌍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과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 블록의 구배면과 맞닿는 구배면을 구비한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일단측이 상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상기 보강 부재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을 상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접촉 블록을 통하여 상기 연결축부를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 방향으로 압압하는, 전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는, 축부 본체, 상기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중간부를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면, 및 상기 축부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 중의 적어도 상기 일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축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공구의 걸어맞춤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상기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나사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면을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홈에 상기 회전 공구를 걸어맞추어 상기 축부 본체를 축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상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왕동(전진)되고, 상기 축부 본체를 상기 축 회전시킨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블록은, 상기 장착 위치 조정 지원 나사 부재의 축 방향으로 복동(후퇴)되는, 전단기.
KR1020147015685A 2011-12-14 2011-12-14 전단기 KR20140102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8937 WO2013088531A1 (ja) 2011-12-14 2011-12-14 せん断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671A true KR20140102671A (ko) 2014-08-22

Family

ID=4667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685A KR20140102671A (ko) 2011-12-14 2011-12-14 전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79841B1 (ko)
KR (1) KR20140102671A (ko)
CN (1) CN103998168B (ko)
WO (1) WO20130885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148A (ko) * 2017-12-18 2019-06-26 노종진 이중 분할 헬리컬 기어가 구비된 커터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3199B1 (fr) 2014-07-03 2018-01-19 Fives Dms Dispositif de cisaillement
CN105382329A (zh) * 2015-12-25 2016-03-09 德阳宏广科技有限公司 一种板材滚剪机
CN105382328A (zh) * 2015-12-25 2016-03-09 德阳宏广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滚剪机
CN106808012A (zh) * 2017-03-09 2017-06-09 福州大学 管体均匀剪切组合刀具及其工作方法
CN108839096A (zh) * 2018-06-07 2018-11-20 佛山市南海毅创设备有限公司 纸张切断装置
CN114888346B (zh) * 2022-05-24 2024-05-17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一种新型螺旋剪刃侧间隙均匀度调整***及调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0348A (en) * 1968-11-25 1971-03-16 Hallden Machine Co Rotary shear
JPS5537363B2 (ko) * 1975-02-08 1980-09-27
DE2606036C2 (de) * 1976-02-14 1982-02-18 Bwg Bergwerk- Und Walzwerk-Maschinenbau Gmbh, 4100 Duisburg Rotierende Schere
WO1980002812A1 (en) * 1979-06-19 1980-12-24 Sandvik Ab Milling cutter
JPS58106193U (ja) * 1982-01-13 1983-07-19 株式会社リコー 回転式シ−ト栽断機の栽断刃調整装置
JPH09234619A (ja) * 1996-02-29 1997-09-09 Ngk Spark Plug Co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これを含む切削工具
SE514029C2 (sv) * 1998-10-27 2000-12-11 Sandvik Ab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JP4330842B2 (ja) * 2002-04-15 2009-09-16 東洋刃物株式会社 ドラム型剪断機用刃物
JP2004314261A (ja) * 2003-04-18 2004-11-11 Kawasaki Heavy Ind Ltd せん断機
CN201295791Y (zh) * 2008-12-02 2009-08-26 中冶陕压重工设备有限公司 液压剪剪刃间隙调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148A (ko) * 2017-12-18 2019-06-26 노종진 이중 분할 헬리컬 기어가 구비된 커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8531A1 (ja) 2013-06-20
CN103998168A (zh) 2014-08-20
CN103998168B (zh) 2016-10-26
JPWO2013088531A1 (ja) 2015-04-27
JP4979841B1 (ja)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2671A (ko) 전단기
RU24678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ез снятия стружки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наружного профиля на заготовке
JP6808540B2 (ja) ポリゴン加工用工具
CN101861223A (zh) 切削刀具和用于切削刀具的刀片
CN220073442U (zh) 一种汽车改装件加工的锯床夹持组件
CN201633079U (zh) 带锯锯条张紧机构及带锯机
CN110814446B (zh) 一种mj内螺纹滚压强化装置及强化方法
CN201659315U (zh) 螺栓孔沉孔反锪刀具装置
CN109332737B (zh) 一种可侧面锁紧刀片的刀具
CN102398070A (zh) 碎边剪刀轴***
CN212945667U (zh) 一种带倒角的拉刀铣削装置
CN200948521Y (zh) 自动旋风铣螺纹机床
CN110814790B (zh) 机床主轴盘形刀具装刀、松刀装置及方法
US20090277316A1 (en) Groove cutting assembly
CN107775727B (zh) 一种模切工位
RU2338631C1 (ru) Фрез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лоских торцов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заготовок деталей из мягких материалов
KR20130021594A (ko) 브로칭 툴 및 브로치
CN202356698U (zh) 铣面刀
CN201712022U (zh) 分切机的刀座安装结构
JP2000317714A (ja) 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並びに前記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を用いた剪断加工装置
CN117381504B (zh) 一种数控车床非圆和偏心圆车削的进给刀架
CN214488978U (zh) 一种欧标螺栓铣床设备组件
CN208163890U (zh) 一种设置无爆边木板切线器的板材切割装置
JPH01109017A (ja) 金属薄板切断装置
CN215787135U (zh) 一种切断锯片的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