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250A - 광택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택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250A
KR20140102250A KR1020147017335A KR20147017335A KR20140102250A KR 20140102250 A KR20140102250 A KR 20140102250A KR 1020147017335 A KR1020147017335 A KR 1020147017335A KR 20147017335 A KR20147017335 A KR 20147017335A KR 20140102250 A KR20140102250 A KR 2014010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polymer
mass
presen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106B1 (ko
Inventor
미노루 가토
마사루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테크
Publication of KR2014010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6Other polishing compositions
    • C09G1/14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non-waxy substances
    • C09G1/16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non-waxy substances on natural or synthetic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두 자국이나 손상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성능, 내구성 및 광택 유지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중복 도포하는 경우에도 광택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려운 광택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어부 (150)과 상기 코어부 (150)을 덮는 셸부 (200)을 갖는 평균 입경 40 내지 200nm의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을 포함하고, 코어부 (150)이 유리 전이점이 -70 내지 0℃이며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이 0 내지 20질량%인 공중합체 (A)를 포함하고, 셸부 (200)이 유리 전이점 20 내지 70℃의 공중합체 (B)를 포함하고,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8만 내지 80만이며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이 0 내지 30질량%인 광택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택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POLISH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광택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닥재 등의 보호나, 바닥재 등의 아름다운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 광택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광택제를 바닥재에 바르면 광택제의 피막이 바닥재의 표면에 형성되고, 그 결과 바닥재에 광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바닥재의 표면이 광택제의 피막에 의해 덮임으로써, 바닥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바닥재는 통상 구두 등으로 빈번히 밟힌다. 그 때문에, 바닥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광택제의 피막에는, 내구성(예를 들면, 바닥재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움)이나 구두 자국 등이 생기기 어려울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광택성이나 내구성의 향상 및 구두 자국 등의 발생 억제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로서, 아크릴 수지 에멀션을 포함하는 광택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917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5054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기술에서는, 광택제를 바닥재에 도포하여 장기간 경과하면 광택제로 형성된 피막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에서는, 광택제의 피막으로 코팅된 바닥재를 구두 등으로 강하게 힘껏 밟은 경우에는, 여전히 바닥재나 피막에 다수의 구두 자국이나 손상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에서는, 중복 도포한 경우에 광택의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구두 자국이나 손상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성능, 내구성 및 광택 유지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중복 도포하는 경우에도 광택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려운 광택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광택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이다.
[1]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덮는 셸부를 갖는 평균 입경 40 내지 200nm의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가, 유리 전이점이 -70 내지 0℃이며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이 0 내지 20질량%인 공중합체 (A)를 포함하고, 상기 셸부가 유리 전이점 20 내지 70℃의 공중합체 (B)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셸 구조 입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8만 내지 80만이며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이 0 내지 30질량%인 광택제용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셸부에 있어서는, 상기 공중합체 (B)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상기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인 광택제용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셸부에 있어서는, 상기 공중합체 (B)가 카르복실기를 갖고, 상기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1 화학 당량 미만의 다가 금속을 포함하는 광택제용 조성물.
[4] 유리 전이점 -70 내지 0℃, 평균 입경 20 내지 110nm,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이 0 내지 20질량%인 공중합체 (A)를 1 내지 10질량부로 포함하는 반응계 하에서,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 5 내지 30질량부와, 상기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b2) 60 내지 94질량부[단, (A)+(b1)+(b2)=100질량부]를 유화 중합함으로써 공중합체 (B)를 얻는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 따르면, 구두 자국이나 손상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성능, 내구성 및 광택 유지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중복 도포하는 경우에도 광택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구두 자국이나 손상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성능, 내구성 및 광택 유지성이 우수하고, 중복 도포하는 경우에도 광택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려운 광택제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한 실시 형태에 포함되어 있는 코어-셸 구조 입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한 실시 형태의 사용 형태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변경, 수정, 개량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1. 광택제용 조성물: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덮는 셸부를 갖는 평균 입경 40 내지 200nm의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코어부가, 유리 전이점이 -70 내지 0℃이며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이하, 「THF 불용분」이라고 함)이 0 내지 20질량%인 공중합체 (A)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셸부가 유리 전이점 20 내지 70℃의 공중합체 (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코어-셸 구조 입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8만 내지 80만이며 THF 불용분이 0 내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광택제 조성물처럼, 유리 전이점이 -70 내지 0℃이며 THF 불용분 0 내지 20질량%의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유리 전이점 20 내지 70℃의 공중합체 (B)를 포함하는 셸부를 갖는 코어-셸 구조 입자를 함유하고, 나아가 코어-셸 구조 입자가 중량 평균 분자량이 8만 내지 80만이며 THF 불용분 0 내지 30질량%인 경우에는, 구두 자국이나 손상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성능, 내구성 및 광택 유지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중복 도포하는 경우에도 광택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내구성과 광택 유지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코어부가, 유리 전이점이 -70 내지 0℃이며 THF 불용분이 0 내지 20질량%인 공중합체 (A)를 포함하고, 셸부가 유리 전이점 20 내지 70℃의 공중합체 (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 조성물에서는 내구성 발현이 우수하고, 나아가 광택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피막이 충격을 받았을 때에 당해 충격을 완충하는 작용이 보다 높아진다는 이유로부터, 코어-셸 구조 입자의 코어부에 포함되어 있는 공중합체 (A)를 상온 건조하여 얻어진 고화물이 페이스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말하는 「페이스트상」이란, 공중합체 (A)를 상온 건조시키면 변형에 대하여 회복하는 필름을 형성하지 않고, 반고형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포함되어 있는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코어-셸 구조 입자 (100)에는 중심 부분에 코어부 (150)이 존재한다. 또한, 코어부 (150)의 주위가 셸부 (200)에 의해 덮여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한 사용 형태에 관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을 사용할 때에는 바닥 (500) 등에 도포하여, 광택제용 조성물을 포함한 피막 (300)을 형성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된 피막 (300) 중에서는 다수의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이 피막 (300) 전체에 산재하고 있다. 이러한 피막 (300)으로 바닥 (500)의 표면을 덮으면, 피막 (300)에 포함되어 있는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의 작용에 의해 바닥 (500)의 표면 광택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의 코어부 (150)은, 실온(20℃)보다 낮은 유리 전이점(-70 내지 0℃) 및 THF 불용분 0 내지 20질량%의 공중합체 (A)를 포함하기 때문에, 실온(20℃)의 환경하에서는 부드럽고, 그 결과 충격에 대한 완충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막 (300)을 바닥 (500)의 표면에 형성해두면, 통상의 환경하에서는 바닥 (500)이나 피막 (300)에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의 코어부 (150)의 완충 작용에 의해 바닥 (500)이나 피막 (300)에 있어서의 손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공중합체 (A)[유리 전이점: -70 내지 0℃]처럼, 유리 전이점이 실온(20℃) 미만인 경우, 실온(20℃)의 환경하에서는 끈적거림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코어부 (150)이 셸부 (200)에 의해 감싸여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피막 (300)의 표면 (350)에,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코어부 (150)이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셸부 (200)에 포함되어 있는 공중합체 (B)에 대해서는, 실온(20℃) 이상의 유리 전이점(20 내지 70℃)을 갖기 때문에, 끈적거림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피막 (300)의 표면 (350)은 끈적거림이 억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피막 (300)의 표면 (350)의 끈적거림이 억제되어 있으면, 피막 (300)의 표면 (350)에 먼지 등이 부착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닥 (500) 및 피막 (300)의 표면에 있어서의 오염의 부착이나, 오염의 부착에 기인하는 구두 자국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피막 (300)에서는 상술한 코어부 (150)에 의한 완충 작용이 있기 때문에, 바닥 (500)이나 피막 (300)을 구두 바닥에 의해 강하게 힘껏 밟거나, 무거운 책상이나 의자를 두는 경우에도, 구두 바닥 및 책상이나 의자 다리로부터의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피막 (300)으로 바닥 (500)을 덮어 두면, 구두 바닥이나, 책상이나 의자의 다리에 오염이 있는 경우에도, 이러한 오염을 바닥 (500) 및 피막 (300)의 표면에 눌러 붙이는 압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구두 바닥이나 책상 등의 다리에 붙어 있는 오염이 바닥 (500) 및 피막 (300)에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피막 (300)으로 바닥 (500)을 덮어 두면, 바닥 (500) 및 피막 (300)의 표면에 있어서의 구두 자국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의 평균 입경이 40 내지 200nm이다. 본 실시 형태의 광택제용 조성물처럼,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의 평균 입경이 40 내지 200nm인 경우에는, 광택제용 조성물의 피막 (300)을 형성할 때에 광택제용 조성물을 바닥 (500)에 중복 도포하여도, 무수한 코어-셸 구조 입자 (100)이 피막 (300) 전체에 균일하게 박힌 상태가 되기 쉽고, 그 결과 광택 저하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한 피막의 표면이나 당해 피막으로 코팅한 바닥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손상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코어부에 있어서는 공중합체 (A)의 유리 전이점이 -6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0 내지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중복 도포성을 보다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부터, 코어부에 있어서는 공중합체 (A)의 평균 입경이 20 내지 11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0 내지 9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0 내지 60n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말하는 「중복 도포성」이란, 광택제용 조성물을 중복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건조시켜 피막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당해 피막에서 광택 저하의 발생을 억제하는 성능을 말한다. 중복 도포성이 향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택제용 조성물을 여러 겹으로 중복 도포하여도, 광택의 저하의 발생이 유의하게 억제되게 된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공중합성이 양호하며, 유리 전이점의 조절이 용이하다는 이유로부터, 코어부에 포함되어 있는 공중합체 (A)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공중합성」이란, 2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시키기 쉬운 성능을 말한다((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함).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내구성의 향상이나 구두 자국 등의 발생을 보다 한층 더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이유로부터, 셸부에 있어서는 공중합체 (B)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내구성의 향상이나 구두 자국 등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광택제용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이유로부터, 셸부에 있어서는 공중합체 (B)가 카르복실기를 갖고, 상기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1 화학 당량 미만의 다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다가 금속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광택제용 조성물로부터 형성한 피막의 표면에 있어서의 구두 자국 등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는 이유로부터, 셸부에 있어서는 공중합체 (B)의 유리 전이점이 3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내구성의 발현이 양호해진다는 이유나, 코어-셸 구조 입자를 제조할 때에 중합 안정성의 부여가 양호해진다는 이유로부터, 코어-셸 구조 입자는 코어부와 셸부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하는 경우에 코어부가 1 내지 10질량부이며, 셸부가 90 내지 99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서는 중복 도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부터, 코어-셸 구조 입자는 THF 불용분이 0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는 것이 가능하다.
2.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유리 전이점 -70 내지 0℃, 평균 입경 20 내지 110nm, THF 불용분이 0 내지 20질량%인 공중합체 (A)를 1 내지 10질량부로 포함하는 반응계 하에서,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 5 내지 30질량부와, 상기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b2) 60 내지 94질량부[단, (A)+(b1)+(b2)=100질량부]를 유화 중합함으로써 공중합체 (B)를 얻는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코어부의 주위를, 공중합체 (B)를 포함하는 셸부가 덮는 형태의 코어-셸 구조 입자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공중합체 (A)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공중합체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 해당하는 단량체의 1종 이상, 나아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다관능성 단량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단량체의 1종 이상을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적어도 포함하고, 나아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다관능성 단량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과, 유화제를 혼합함으로써, 단량체를 유화제에 미리 분산시켜 두고, 과황산염 등의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유화 중합을 행함으로써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공중합체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가 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알킬아크릴레이트로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가 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실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열거한 것 중에서는 범용성이 많은 원료인 것과 공중합성이 양호한 것, 손상의 발생이나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된 피막 표면의 구두 자국 등을 억제하는 성능이 향상된다는 이유로부터, 적어도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1종 이상을, 공중합체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로 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공중합체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가 되는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비닐아세트산, 이타콘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열거한 것 중에서는 범용성이 많은 원료인 것과 공중합성이 양호한 것, 산가의 조절이 용이하다는 이유로부터, 적어도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공중합체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로 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공중합체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가 되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α-클로로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p-아미노스티렌, p-아세톡시스티렌, 스티렌술폰산나트륨, α-비닐나프탈렌, 1-비닐나프탈렌-4-술폰산나트륨, 2-비닐플루오렌,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열거한 것 중에서는 범용성이 많은 원료인 것과 광택 부여의 관점에서, 적어도 스티렌을, 공중합체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로 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공중합체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가 되는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알릴메타크릴레이트, 프탈산디알릴, 시아누르산트리알릴, 이소시아누르산트리알릴,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열거한 것 중에서는, 공중합성이 양호한 것과 내구성ㆍ광택 유지성을 높임에 있어서 중요한 THF 불용분의 조절이 용이하다는 이유로부터, 적어도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1종 이상을, 공중합체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로 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공중합체 (A)의 평균 입경이 20 내지 110nm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코어-셸 구조 입자의 평균 입경이 40 내지 200nm가 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의 하프 에스테르체,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열거한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은 1종류만,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여기에 열거한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 중에서는, 중합시의 안정성이 양호해진다는 관점 및 얻어지는 광택제 조성물의 내구성이 높아진다는 관점에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 (b2)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구체예로서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i-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열거한 것 중에서는,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된 피막에 의해 바닥재 등의 손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이나,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된 피막의 표면에 있어서의 구두 자국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i-부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단량체 (b2)로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 (b2)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3 이하인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환상 알킬에스테르; 페녹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히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부틸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미드; 비닐메틸케톤, 비닐에틸케톤, 비닐-n-프로필케톤, 비닐-i-프로필케톤, 비닐-n-부틸케톤, 비닐-i-부틸케톤, 비닐-t-부틸케톤, 비닐페닐케톤, 비닐벤질케톤, 디비닐케톤,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의 알도기 및/또는 케토기 함유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크로톤니트릴, 2-시아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시아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시아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니트릴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디비닐벤젠,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단량체; 스티렌, o-비닐톨루엔, m-비닐톨루엔, p-비닐톨루엔, p-에틸비닐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플루오로스티렌 등의 모노 비닐 방향족 화합물;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류;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열거한 것 중에서는,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된 피막에 의해 바닥재 등의 손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이나,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된 피막의 표면에 있어서의 구두 자국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단량체 (b2)로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단량체 (b2)로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α-클로로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p-아미노스티렌, p-아세톡시스티렌, 스티렌술폰산나트륨, α-비닐나프탈렌, 1-비닐나프탈렌-4-술폰산나트륨, 2-비닐플루오렌,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여기에 열거한 것 중에서도, 스티렌계의 단량체는 다른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범용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을 억제하는 것과 광택의 향상이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에 단량체 (b2)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화 중합할 때에 공중합체 (A)의 존재하에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 단량체 (b2), 분자량 조절제 및 물 등을 혼합하고, 여기에 유화제를 가하여 유화함으로써 미리 프리 에멀션(pre emulsion)을 제조해둘 수도 있다. 또한, 이 프리 에멀션을 사용하여, 통상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중합 반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셸부[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과 단량체 (b2)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공중합체 (B)를 포함함]를 갖는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한 공중합체 분산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화 중합 반응은 프리 에멀션 및 중합 개시제를 반응계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과황산염이나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염만을 사용할 수도, 또는 과황산염과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는, 산화제와 환원제를 조합한 중합 개시제이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에 사용하는 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과산화수소,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t-부틸퍼옥시말레산, 숙신산퍼옥시드, 벤조일퍼옥시드, 쿠멘히드로퍼옥시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쿠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쿠밀퍼옥시옥토에이트, 디이소프로필벤젠히드로퍼옥시드, p-멘탄히드로퍼옥시드,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등의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에 사용하는 환원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성 아황산나트륨, 아디티온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론갈리트, 아스코르브산, 과당 등의 환원 당류, 황산제1철, 황산제2철 등의 철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환원제를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 등의 킬레이트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에 사용하는 산화제는 1종만[예를 들면, 앞서 열거한 과황산칼륨 등의 산화제 중 1종류]일 수도, 또는 복수종[예를 들면, 앞서 열거한 과황산칼륨 등의 산화제 중 2종류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에 사용하는 환원제도 1종만[예를 들면, 앞서 열거한 산성 아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제 중 1종류]일 수도, 또는 복수종[예를 들면, 앞서 열거한 산성 아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제 중 2종류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합 반응에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앞서 예시한 산화제, 환원제, 킬레이트제의 조합으로서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2조의 조합(조합 A, 조합 B)을 들 수 있다.
(조합 A) 과황산염, 산성 아황산나트륨, 황산제1철
(조합 B)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산성 아황산나트륨, 황산제1철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광택제용 조성물(또는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피막)의 내구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이유나, 경시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이유로부터,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의 사용 비율은, 공중합체 (A)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과 단량체 (b2)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1 내지 3.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1 내지 2.0질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에 사용하는 산화제가 과황산염뿐인 경우에는, 공중합체 (A)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과 단량체 (b2)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의 사용 비율이 0.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중합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다환 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중합 안정성의 향상이라는 관점 및 얻어지는 코어-셸 구조 입자의 입경을 원하는 크기로 제어하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유화제의 사용 비율은 공중합체 (A)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과 단량체 (b2)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7.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3 내지 5.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5 내지 3.0질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중합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분자량 조절제로서는 부틸머캅탄, 도데실머캅탄, 티오글리콜산옥틸, 이소프로필알코올, 메탄올, 사염화탄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하는 경우, 분자량 조절에 의해, 얻어지는 광택제용 조성물(또는 광택제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피막)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관점에서, 분자량 조절제의 사용 비율은 공중합체 (A)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과 단량체 (b2)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8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05 내지 0.6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01 내지 0.40질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분자량 조절제의 종류나 사용 비율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 분산체(광택제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코어-셸 구조 입자를 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원하는 THF 불용분의 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얻어지는 광택제용 조성물(또는 광택제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피막)의 내구성이나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구두 자국 등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광택제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이유로부터, 코어-셸 구조 입자를 분산시키고 있는 공중합체 분산체에 다가 금속 화합물을 슬러리 상태 또는 킬레이트액으로서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의 제조 후에 첨가할 수 있는 다가 금속 화합물로서는, 산화아연,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아연암모니아, 탄산칼슘, Mg(OH)2, MgO, MgCO3 및 Mg(OH)2ㆍ3H2O, 아세트산아연암모늄, 아크릴산아연암모니아, 말산아연암모니아, 알라닌칼슘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가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광택제용 조성물의 점성 조정 및 첨가ㆍ혼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다가 금속 화합물의 사용 비율은 공중합체 (A)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과 단량체 (b2)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7.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0 내지 5.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5 내지 4.0질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다가 금속의 종류나 사용 비율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광택제용 조성물의 사용시에 광택제용 조성물의 도막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코어-셸 구조 입자의 셸부에 포함되어 있는 공중합체 (B)와, 다가 금속이 금속 가교하고, 그 결과 내구성, 내수성 및 박리성 향상과 같은 각종 성능을 보다 한층 더 확실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2 내지 8, 10, 11)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2 내지 8, 10, 11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난 배합으로 각 단량체 (a)를 혼합하고,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코어부의 공중합체 (A)를 얻었다. 표 1에 있어서, 각 단량체 (a)의 란에 나타낸 수치는 당해 단량체 (a)의 양을 「질량부」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 1 중에 있어서, 각 단량체 (a)의 란에 수치가 아닌 「-」로 나타낸 것에 대해서는, 당해 단량체 (a)가 사용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반응 용기에 비반응성의 유화제[에말 2FG 또는 라테멀 E-118B(모두 가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또는 반응성의 유화제[KH-1025(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와, 물과, 단량체 (a)를 투입하고, 질소 기류하에 있어서 교반시키면서 액의 온도를 65℃까지 승온시켰다. 그 후, 촉매 수용액(0.5% 과황산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고, 0.75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코어부의 공중합체 (A)를 얻었다.
또한, 코어부의 공중합체 (A)의 존재하에서 표 1에 나타난 배합으로 단량체 (b)를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셸부의 공중합체 (B)를 합성하고,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광택제용 조성물)를 얻었다. 표 1에 있어서, 각 단량체 (b)의 란에 나타낸 수치는 당해 단량체 (b)의 양을 「질량부」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 1 중에 있어서, 각 단량체 (b)의 란에 수치가 아닌 「-」로 나타낸 것에 대해서는, 당해 단량체 (b)가 사용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량체 (b)의 혼합 용액, 물 24질량부 및 반응성 또는 비반응성의 유화제 0.9질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프리 유화함으로써, 프리 에멀션을 얻었다. 이어서, 코어부의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분산체를 향해 프리 에멀션과 촉매 수용액(0.25% 과황산암모늄 수용액)을 병렬로 약 3시간에 걸쳐서 75℃에서 적하하고, 적하를 종료한 후에도 계속해서 85℃에서 약 2시간 보온하여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 내지 8, 10, 11에 대해서는, 코어-셸 구조 입자의 셸부에 포함되어 있는 공중합체 (B)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1 화학 당량 미만의 Zn이 포함되도록,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에 80℃하에서 Zn을 포함하는 킬레이트액 또는 ZnO 슬러리를 첨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5에 대해서는, 코어-셸 구조 입자의 셸부에 포함되어 있는 공중합체 (B)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1 화학 당량 미만의 Mg가 포함되도록,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에 80℃하에서 Mg(OH)2를 첨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4에 대해서는,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에 탄산칼륨을 사용하여 pH를 7.0으로 조정하고, 2시간 교반하였다.
(비교예 1, 9)
비교예 1, 9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난 배합으로 단량체 (b)를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광택제용 조성물)를 얻었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단량체 (a) 및 단량체 (b)에 관한 약어의 내용은 하기와 같다.
BA: 부틸아크릴레이트[와코 쥰야꾸 고교(주) 제조]
2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도아 고세(주) 제조]
ST: 스티렌[미쯔비시 가가꾸(주) 제조]
MAA: 메타크릴산[(주)구라레 제조]
AMA: 알릴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조]
EDMA: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 제조]
MMA: 메타크릴산메틸[미쯔비시 레이온(주) 제조]
CHM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 레이온(주) 제조]
AA: 아크릴산[도아 고세(주) 제조]
NASS: p-스티렌술폰산나트륨[도소 유기 가가꾸(주) 제조]
DVB: DVB-570[신닛데쯔 가가꾸(주) 제조]
Figure pct00001
(2) 평균 입경의 측정:
평균 입경은 FPAR-1000[오츠카 덴시(주) 제조]에 의해 동적 광산란법을 사용하여 검출된 확산 계수 D(m2/s)로부터 스톡스-아인슈타인(Stokes-Einstein)식[하기 식 (I)]에 의해 구한 스톡스 직경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식 (I): d=kT/3πη0D
[식 (I) 중, d는 평균 입경(m), k는 볼츠만 상수(=1.3806488×10-23J/K), T는 절대 온도(K), η0은 용매의 점도(Paㆍs)임]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2 내지 8, 10, 11에 있어서 얻어진 코어부의 공중합체 (A)에 관한 평균 입경(nm),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2 내지 8, 10, 11에서 얻어진 코어-셸 구조 입자의 평균 입경(nm) 및 비교예 1, 9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평균 입경(nm)을 표 1에 나타낸다.
(3) 유리 전이점의 측정:
유리 전이점의 측정에서는, 우선 1 내지 10g의 공중합체를 유리판에 얇게 잡아늘이고, 25℃에서 3일간 건조시킴으로써 건조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건조 필름을 시차 주사 열량 분석계(TA 인스트루먼트사 제조, MDSC Q200형)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를 20℃/분, 온도 범위를 -90℃ 내지 100℃의 질소 분위기하에서 측정하였다. 시료의 양은 5 내지 10mg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에 의해 얻어진 시차 주사 열량 분석의 미분 곡선의 변곡의 개시점과 종점의 중간 온도를 유리 전이점(Tg)(℃)으로 하였다[이상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유리 전이점(Tg)(℃)을 본 명세서에 말하는 「유리 전이점(℃)」으로 함]. 또한, 시료로서 유리판에 얇게 잡아늘인 공중합체에 대해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행한, 각 단계의 중합 반응의 산물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2 내지 8, 10, 11에 있어서 얻어진 코어부의 공중합체 (A)에 관한 유리 전이점,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2 내지 8, 10, 11에서 얻어진 셸부의 공중합체 (B)의 유리 전이점 및 비교예 1, 9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점(℃)을 표 1에 나타낸다.
(4) 테트라히드로푸란 불용분(THF 불용분)의 측정: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THF 불용분)의 측정 방법에서는, 우선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2 내지 8, 10, 11의 코어부의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단량체 (a)를 공중합 반응시킨 반응 산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2 내지 8, 10, 11의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광택제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9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광택제용 조성물) 각각을 플라스틱 트레이(애즈원(주) 제조 디스포트레이 DT-1)에 도포하고, 상온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피막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피막 0.15g을 5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가하고, 16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JISP3801의 2종에 상당하는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 10mL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건고된 질량으로부터 불용해분(겔 분율)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2 내지 8, 10, 11의 코어부의 공중합체 (A),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2 내지 8, 10, 11의 코어-셸 구조 입자 및 비교예 1, 9의 공중합체에 관한 THF 불용분(질량%)을 표 1에 나타낸다.
(5)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2 내지 8, 10, 11의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광택제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9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분산체(광택제용 조성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해서는, 상기 조성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상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테트라히드로푸란 용해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고,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6) 내 블랙 힐 마크(Black Heel Mark)(BHM)성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1의 공중합체 분산체(광택제용 조성물)를 도포량 10g/m2로 호모지니어스 타일 상에 도포하여 건조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함으로써, 평가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 평가용 샘플을 사람의 왕래가 많은 장소(통행량=50 내지 100인/일)에 바닥재로서 10일간 설치하고, 블랙 힐 마크(BHM)의 부착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블랙 힐 마크(BHM)에 대해서는,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평가되는 내BHM성은, 광택 유지율이나 피막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지표가 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평가 기준에 있어서 4 이상인 경우를 합격으로 판정하고, 4 미만인 경우를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5: BHM의 부착이 확인되지 않음(BHM이 10개 이하)
4.5: BHM의 부착이 거의 확인되지 않음(BHM이 11 내지 20개)
4: BHM의 부착이 적음(BHM이 21 내지 40개)
3: BHM의 부착이 약간 많음(BHM이 41 내지 60개)
2: BHM의 부착이 많음(BHM이 61 내지 80개)
1: BHM의 부착이 매우 많음(BHM이 81개 이상)
(7) 광택 유지성:
「내 블랙 힐 마크(BHM)성」의 평가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평가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평가용 샘플에 대하여, 제작 직후의 60° 반사율(초기 광택) 및 2주일 방치 후의 60° 반사율(방치 후 광택)을 측정하고, 하기 계산식을 사용하여 광택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60° 반사율은, 빅 가드너사 제조 micro-TRI-glos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택 유지율(%)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광택 유지율 91% 이상을 합격으로 판정하고, 91% 미만을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광택 유지율(%)=(방치 후 광택×100)/(초기 광택)
(8) 중복 도포성: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1의 공중합체 분산체(광택제용 조성물)를 도포량 10g/m2로 호모지니어스 타일 상에 도포하여 건조하는 조작을 5회 반복함으로써, 평가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 평가용 샘플의 표면에 있어서의 광택의 저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광택의 저하 상태에 대해서는,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양호: 광택의 저하 없음
불량: 광택의 저하 있음
본 발명은 바닥재 등의 광택에 사용하는 광택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00: 코어-셸 구조 입자, 150: 코어부, 200: 셸부, 300: 피막, 350: (피막의) 표면, 500: 바닥.

Claims (4)

  1.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덮는 셸부를 갖는 평균 입경 40 내지 200nm의 코어-셸 구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가, 유리 전이점이 -70 내지 0℃이며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이 0 내지 20질량%인 공중합체 (A)를 포함하고,
    상기 셸부가 유리 전이점 20 내지 70℃의 공중합체 (B)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셸 구조 입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8만 내지 80만이며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이 0 내지 30질량%인 광택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셸부에 있어서는, 상기 공중합체 (B)가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상기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인 광택제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셸부에 있어서는, 상기 공중합체 (B)가 카르복실기를 갖고, 상기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1 화학 당량 미만의 다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광택제용 조성물.
  4. 유리 전이점 -70 내지 0℃, 평균 입경 20 내지 110nm,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이 0 내지 20질량%인 공중합체 (A)를 1 내지 10질량부로 포함하는 반응계 하에서,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1) 5 내지 30질량부와, 상기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b2) 60 내지 94질량부[단, (A)+(b1)+(b2)=100질량부]를 유화 중합함으로써 공중합체 (B)를 얻는 광택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47017335A 2011-12-05 2012-05-07 광택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95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5373 2011-12-05
JP2011265373 2011-12-05
PCT/JP2012/061643 WO2013084519A1 (ja) 2011-12-05 2012-05-07 艶だし剤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250A true KR20140102250A (ko) 2014-08-21
KR101895106B1 KR101895106B1 (ko) 2018-09-04

Family

ID=4857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335A KR101895106B1 (ko) 2011-12-05 2012-05-07 광택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98555B2 (ko)
KR (1) KR101895106B1 (ko)
TW (1) TWI573849B (ko)
WO (1) WO2013084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8509B2 (ja) * 2013-08-30 2017-10-25 東邦化学工業株式会社 水性床用艶出し剤組成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520A (ja) * 1999-09-24 2001-05-29 Rohm & Haas Co ペレット
JP2004091713A (ja) 2002-09-03 2004-03-25 Jsr Corp 艶出し剤用組成物
JP2005350543A (ja) 2004-06-09 2005-12-22 Jsr Corp アクリル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2009035577A (ja) * 2007-07-31 2009-02-19 Yuho Chem Kk 揮発性有機化合物を含有しないフロアポリッシュ組成物
JP2010095651A (ja) * 2008-10-17 2010-04-30 Yushiro Chem Ind Co Ltd フロアーポリッシュ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6171A (en) * 1984-07-25 1990-04-10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s comprising alkali-insoluble core/alkali-soluble shell and copositions thereof
JPH0465472A (ja) * 1990-07-06 1992-03-02 Sansui Kk 床用艶出し剤組成物及び、床の艶出し方法
JP4342816B2 (ja) * 2003-02-04 2009-10-14 東邦化学工業株式会社 水性フロアーポリッシュ用組成物
US8575259B2 (en) * 2007-12-12 2013-11-05 Kansai Paint Co., Ltd. Water-based paint compositions
JP2010013559A (ja) * 2008-07-03 2010-01-21 Yushiro Chem Ind Co Ltd フロアーポリッシュ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520A (ja) * 1999-09-24 2001-05-29 Rohm & Haas Co ペレット
JP2004091713A (ja) 2002-09-03 2004-03-25 Jsr Corp 艶出し剤用組成物
JP2005350543A (ja) 2004-06-09 2005-12-22 Jsr Corp アクリル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2009035577A (ja) * 2007-07-31 2009-02-19 Yuho Chem Kk 揮発性有機化合物を含有しないフロアポリッシュ組成物
JP2010095651A (ja) * 2008-10-17 2010-04-30 Yushiro Chem Ind Co Ltd フロアーポリッシュ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73849B (zh) 2017-03-11
JP5798555B2 (ja) 2015-10-21
JPWO2013084519A1 (ja) 2015-04-27
KR101895106B1 (ko) 2018-09-04
TW201323548A (zh) 2013-06-16
WO2013084519A1 (ja)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1282B2 (ja) リン酸官能化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895106B1 (ko) 광택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WO1994007959A1 (en)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KR20040020834A (ko) 수성 공중합체 에멀젼과 다가 금속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및 이를 함유하는 광택제용 조성물
JP6524480B1 (ja) 屋外堆積物飛散防止用コート剤
JP2517965B2 (ja) 床用光沢組成物用共重合体エマルジョン
JP5881496B2 (ja) 剥離基材用下塗り剤
JPH0995642A (ja) フロアーポリッシュ用水性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3157464B2 (ja) 成膜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床用光沢剤組成物
JP5944798B2 (ja) 水性分散液及びこれを用いた床用光沢剤
JP4156697B2 (ja) 水系美爪料
JPH06128444A (ja) 水性共重合体分散液
JP2016121247A (ja) フロアーポリッシュ用水性樹脂
JP2011057891A (ja) 塗料用水性重合体分散液の製造方法及びその分散液
JP2009149864A (ja) 多段階重合体と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JP2021134235A (ja) アクリル樹脂エマルジョン
JPS63275512A (ja) ネイルエナメル
US20040198880A1 (en) Floor polish composition
JP2016098358A (ja) フロアーポリッシュ用水性樹脂
JP5912373B2 (ja) 重合体水性分散液及びこれを用いた床用光沢剤
JP4070017B2 (ja) 水性樹脂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690418B1 (ja) アクリル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5170237B2 (ja) フロアポリッシュ用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ロアポリッシュ組成物
JP3760665B2 (ja) 床用艶出し剤
JP6736421B2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