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825A -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825A
KR20140099825A KR1020140010705A KR20140010705A KR20140099825A KR 20140099825 A KR20140099825 A KR 20140099825A KR 1020140010705 A KR1020140010705 A KR 1020140010705A KR 20140010705 A KR20140010705 A KR 20140010705A KR 20140099825 A KR20140099825 A KR 2014009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solder
conductive terminals
receptacl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쿠보
히로시 다케우치
요시히코 시노
요시히코 코다이라
히로시 시라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4009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납땜 펙에 있어서 전기적 도통이 가능함과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각각 하우징 및 복수의 도전 단자를 구비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및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는 도전 단자와 동일한 피치로 도전 단자와 동일한 열에 배치된 접촉부를 갖는 납땜 펙을 더욱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fore}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기 위해 한 쌍의 기판에 각각 실장되는 한 쌍의 서로 감합하는 전기 커넥터로 구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가 종래부터 이용되어 왔다. 이들 한 쌍의 전기 커넥터의 일방 또는 쌍방은 기판으로의 접합 강도(실장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납땜 펙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납땜 펙은 기판으로의 접합 강도의 확보뿐만 아니라 접지 접속 등을 위해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특허 문헌 1)나 감합 완료 검지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갖는 경우(특허 문헌 2)가 있다.
특개평10-50371호 공보 특개2011-243332호 공보
그러나 납땜 펙을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수용하기 위해서는 무시할 수 없는 공간이 필요하다. 특히 한 쌍의 전기 커넥터의 쌍방에 납땜 펙을 설치한 경우에는 소형화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납땜 펙에 있어서 전기적 도통이 가능함과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납땜 펙에 있어서 비교적 큰 용량의 통전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각각 하우징과, 하우징에 적어도 1열로 배열된 복수의 도전 단자를 구비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및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는 도전 단자와 동일한 피치로 도전단자와 동일한 열로 배열된 접촉부를 갖는 납땜 펙을 더욱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의 도전 단자 및 납땜 펙의 접촉부와 감합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모든 도전 단자는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의 도전 단자의 배열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동일 형상의 도전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납땜 펙의 접촉부는 납땜 펙의 대략 C자형 스프링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아암의 두께는 접촉부의 두께보다 부분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납땜 펙은 도전 단자의 판 두께보다 두꺼운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납땜 펙의 접촉부는 납땜 펙의 광폭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대략 U자형 스프링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최외단의 도전 단자는 납땜 펙의 베이스부의 타측에 접촉하고, 최외단의 도전 단자의 이웃에 위치하는 도전 단자는 납땜 펙의 베이스부의 일측 및 접촉부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적어도 1열로 배열된 복수의 도전 단자를 구비하는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도전 단자와 동일한 피치로 도전 단자와 동일한 열로 배열된 접촉부를 갖는 납땜 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납땜 펙의 접촉부는 납땜 펙의 대략 C자형의 스프링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아암의 두께는 접촉부의 두께보다 부분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납땜 펙은 도전 단자의 판 두께보다 두꺼운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납땜 펙의 접촉부는 납땜 펙의 광폭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대략 U자형 스프링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납땜 펙의 접촉부와 도전 단자의 피치는 비교적 작은 도전 단자끼리의 피치와 동일하므로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전기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나아가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실시형태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도 1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 도 1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c] 도 1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d] 도 1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a] 도 2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 도 2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c] 도 2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d] 도 2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의 제1실시형태의 납땜 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3a 및 도 4a의 Ⅵ-Ⅵ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감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2실시형태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2실시형태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도 7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b] 도 7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c] 도 7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a] 도 8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b] 도 8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c] 도 8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 본 발명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의 제2실시형태의 납땜 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도 9a 및 도 10a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감합 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실시형태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도 3d는 도 1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도 4d는 도 2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의 제1실시형태의 납땜 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1; 이하 단순히 리셉터클 커넥터라 함)와,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00; 이하 단순히 플러그 커넥터라 함)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에 2열로 배열된 합계 40개의 도전 단자(30)와, 하우징(10)의 양단에 각각 2개 배치된 납땜 펙(50, 5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액정폴리머 등의 합성 수지로 성형하여 형성되고, 전체가 대략 직방체를 이룬다. 하우징(10)에는 그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2열의 캐비티(12)가 형성되고 각 도전 단자(30)를 수용하는 단자수용실(14)이 캐비티(12)에 연통한다.
도전 단자(30)는 동합금 등의 탄성을 갖는 양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고, 측면에서 본 때 대략 U자형의 접촉부(32, 33), 고정부(34) 및 표면실장형 납땜접속부(36)를 갖는다. 도전 단자(30)는 캐비티(12)를 따라 2열로 배열된다. 각 도전 단자(30)는 그 고정부(34)가 각 단자수용실(14) 내에서 삽입 고정된다. 도전 단자(30)는 각 열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P1)로 배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납땜 펙(50, 50´)은 도전 단자(30)의 판두께보다 두껍고 탄성을 갖는 양도전성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 납땜 펙(50, 50´)은 서로 거울면 대칭이므로 이하에서는 일방의 납땜 펙(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납땜 펙(50)은 선단에 접촉부(52)가 형성된 평면에서 본 때 대략 C자형의 스프링 아암(54), 납땜접속부(56), 스토퍼(58) 및 삽입부(60)를 갖는다. 납땜 펙(50)은 하우징(10)의 긴 쪽 방향 양단의 펙 수용 요부(16) 내에 수용되고, 삽입부(60)에서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접촉부(52)의 두 둘레는 모따기(53)되어 있다.
스프링 아암(54)은 압연 가공에 의해 접촉부(52)와 비교하여 부분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스프링 아암(54)에 발생하기 쉬운 과대한 응력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 아암(54)의 소성 변형을 방지한다. 스프링 아암(54)의 외측 방향(도 3a에서의 상하 방향)에는 하우징(10)의 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프링 아암(54)은 하우징(10)에 저해되지 않고 외측 방향으로 휠 수 있다.
납땜 펙(50)의 스토퍼(58)는 하우징(10)의 양단에 위치하는 스탠드부(18)의 상면에 배치되고, 하우징(10) 긴 쪽 방향 외측으로의 납땜 펙(50)의 쓰러짐을 방지한다. 납땜 펙(50)의 접촉부(52) 및 인접하는 도전 단자(30) 사이의 중심선간 거리(피치)는 P2이며, P2는 도전 단자(30)의 P1와 동등하다. 그리고 납땜 펙(50, 50´)의 판두께는 도전 단자(30)의 판두께보다 두껍기 때문에 도전 단자(30)와 비교하여 기판으로의 접합 강도가 높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에 2열로 배열된 합계 44개의 도전 단자(13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액정폴리머 등의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하우징(110)에는 2열의 돌조(112, 112)와 이들 돌조(112, 112)의 사이에 캐비티(114)가 형성된다. 캐비티(114)는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100)의 감합 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조(20; 도 1참조)를 수용한다.
도전 단자(130)는 동합금 등의 양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고, 측면에서 본 때 U자형 접촉부(132) 및 표면실장형 납땜접속부(136)를 갖는다. 접촉부(132)는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100)의 감합 시에 도전 단자(30)의 접촉부(32, 33) 사이에 삽입된다.
도전 단자(130)는 2열의 돌조(112)를 따라 2열로 배열된다. 각 도전 단자(30)의 납땜접속부(136)는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부(116)에 의해 고정된다. 납땜접속부(136)의 판상부(116)의 고정은 도전 단자(130)의 하우징(110)으로의 인서트 성형 시에 행해진다. 도전 단자(130)는 각 열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도전 단자(30)의 배열 피치와 동일한 피치(P1)로 배열된다.
플러그 커넥터(100)에는 납땜 펙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다. 이것은 도전 단자(130)가 하우징(110)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으므로 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100)에 외력이 가하더라도 도전 단자(13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탈락할 염려가 매우 낮기 때문이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납땜 펙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하우징(110) 외에는 동일 형상의 도전 단자(130)만을 구비하므로 플러그 커넥터(100)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6은 도 3a 및 도 4a의 Ⅵ-Ⅵ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감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100)의 감합 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0)의 도전 단자(130; 긴 쪽 방향 양단의 도전 단자(130)를 제외함)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도전 단자(30)에 접촉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0)의 긴 쪽 방향 양단의 도전 단자(13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납땜 펙(50, 50´)의 접촉부(52)에 접촉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 단자(30) 및 납땜 펙(50, 50´)의 접촉부(52)사이의 피치(P2)는 도전 단자(30)사이의 피치(P1)와 동등하다. 그리고 도전 단자(30) 및 납땜 펙(50, 50´)의 접촉부(52)와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도전 단자(130)의 피치도 일정한 P1이다. 이 때문에 납땜 펙(50, 50´)을 도전 단자로서 사용해도 전기 커넥터 조립체(특히 플러그 커넥터(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100)가 실장되는 기판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는 C자형의 스프링 아암을 비교적 길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납땜 펙(50, 50´)의 접촉부(52)와 도전 단자(130)와의 접촉신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납땜 펙(50, 50´)은 도전 단자(30)의 판두께보다 두꺼운 금속판으로 형성되므로 기판으로의 접합 강도가 높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와의 상이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와 동등한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2실시형태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2실시형태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도 9c는 도 7의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도 10c는 도 8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제2실시형태의 납땜 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201; 이하 단순히 리셉터클 커넥터라 함)와,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300; 이하 플러그 커넥터라 함)로 구성된다.
도 7 및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201)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에 2열로 배열된 합계 40개의 도전 단자(230)와, 하우징(210)의 양단 근방에 각각 2개 배치된 납땜 펙(250, 250´)을 구비한다. 하우징(210)은 액정폴리머 등의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전체가 대략 직방체를 이룬다. 하우징(210)에는 그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2열의 캐비티(212)가 형성되고 각 도전 단자(230)를 수용하는 단자수용실(214)이 캐비티(212)에 연통한다.
2열의 캐비티(212. 212) 사이에는 돌조(220)가 하우징(210)의 긴 쪽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돌조(220)의 상면은 평탄하며 비교적 광폭이고 나아가 그 양측의 외벽보다 약간 높기(도 9b참조) 때문에 흡착 노즐(미도시)의 액세스가 용이하다.
도전 단자(230)는 동합금 등의 탄성을 갖는 양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고, 평면에서 본 때 대략 U자형의 접촉부(232, 233), 고정부(234) 및 표면실장형 납땜접속부(236)를 갖는다. 도전 단자(230)는 캐비티(212)를 따라 2열로 배열된다. 각 도전 단자(230)는 그 고정부(234)가 각 단자수용실(214) 내에서 삽입 고정된다. 도전 단자(230)는 각 열에 있어서 예를 들면 0.35㎜ 등의 소정의 피치(P1;도 9a 참조)로 배열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 납땜 펙(250, 250´)은 탄성을 갖는 양도전성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 납땜 펙(250, 250´)은 서로 거울면 대칭이므로 이하에서는 일방의 납땜 펙(2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납땜 펙(250)은 버브 형태의 삽입부(260)를 갖는 광폭의 베이스부(251), 베이스부(251)의 폭 방향의 일방측에서 연장됨과 동시에 선단에 접촉부(252)가 형성된 측면에서 본 때 대략 U자형의 스프링 아암(254) 및 납땜접속부(256)를 갖는다. 납땜 펙(250)은 하우징(210)의 긴 쪽 방향 양단 근방의 펙 수용 요부(216) 내에 수용되고, 삽입부(260)에서 하우징(210)에 고정된다. 접촉부(252)의 양측은 모따기되어 있다(부호 253 참조). 납땜 펙(250)의 접촉부(252) 및 인접하는 도전 단자(230) 사이의 중심선 거리(피치)는 P2이며, P2(도 9a 참조)는 도전 단자(230)의 피치(P1)와 동등하다. 펙(250)은 하우징(210)의 저면측에서 하우징(210)에 삽입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300)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 내에 2열로 배열된 합계 44개의 도전 단자(330)를 구비한다. 하우징(310)은 액정폴리머 등의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하우징(310)에는 2열의 돌조(312, 312)와 이들 돌조(312, 312)의 사이에 캐비티(314)가 형성된다. 캐비티(314)는 리셉터클 커넥터(201) 및 플러그 커넥터(300)의 감합 시에 리셉터클 커넥터(201)의 돌조(220; 도 1참조)를 수용한다. 캐비티(314)의 저면은 평탄하며 비교적 광폭이므로 흡착노즐(미도시)의 액세스가 용이하다.
도전 단자(330)는 동합금 등의 양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고, 평면에서 본 때 역U자형 접촉부(332) 및 표면실장형 납땜접속부(336)를 갖는다. 접촉부(332)는 리셉터클 커넥터(201) 및 플러그 커넥터(300)의 감합 시에 도전 단자(230)의 접촉부(232, 233) 사이에 삽입되고, 내측 접점(333) 및 외측 접점(334)에서 2점 접촉한다.
도전 단자(330)는 2열의 돌조(312)를 따라 2열로 배열된다. 각 도전 단자(330)의 납땜접속부(336)는 하우징(31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부(316)에 의해 고정된다. 납땜접속부(336)의 판상부(316)의 고정은 도전 단자(330)의 하우징(310)으로의 인서트 성형 시에 행해진다. 도전 단자(330)는 각 열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201)의 도전 단자(230)의 배열 피치와 동일한 피치(P1)로 배열된다(도 10a 참조).
플러그 커넥터(300)에는 제1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로 인해 납땜 펙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플러그 커넥터(300)는 납땜 펙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하우징(310) 외에는 동일 형상의 도전 단자(330)만을 구비하므로 플러그 커넥터(300)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2는 도 9a 및 도 10a의 ⅩⅡ-ⅩⅡ에 따른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리셉터클 커넥터(201) 및 플러그 커넥터(300))의 감합 전의 단면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201) 및 플러그 커넥터(300)의 감합 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300)의 도전 단자(330;긴 쪽 방향 양단의 2개의 도전 단자(330)를 제외함)는 리셉터클 커넥터(201)의 도전 단자(230)에 접촉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300)의 긴 쪽 방향 최외단의 도전 단자(330) 및 그 이웃(즉 최외단에서 두번째)의 합계 2개의 도전 단자(330)는 리셉터클 커넥터(201)의 한 개의 납땜 펙(250, 250´)에 접촉한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 단자(230) 및 납땜 펙(250, 250´)의 접촉부(252) 사이의 피치(P2)는 도전 단자(230) 사이의 피치(P1)와 동등하다. 그리고 도전 단자(230) 및 납땜 펙(250, 250´)의 접촉부(252)와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300)의 도전 단자(330)의 피치도 일정한 P1이다. 이 때문에 납땜 펙(250, 250´)을 도전 단자로서 사용해도 전기 커넥터 조립체(특히 플러그 커넥터(3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201) 및 플러그 커넥터(300)가 실장되는 기판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납땜 펙(250, 250´)은 접촉부(252) 외에 베이스부(251)의 접촉부(252)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접점(255)을 베이스부(251)의 폭 방향 타측의 제2접점(255)에 인접하는 위치에 제3접점(257)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201) 및 플러그 커넥터(300)의 감합 시에 납땜 펙(250, 250´)의 접촉부(252)는 플러그 커넥터(300)의 최외단에서 두번째 도전 단자(330)의 내측 접점(333)과 접촉한다. 또한 납땜 펙(250, 250´)의 제2접점(255)은 플러그 커넥터(300)의 최외단에서 두번째 도전 단자(330)의 외측 접점(334)과 접촉한다. 더욱이 납땜 펙(250, 250´)의 제3접점(257)은 플러그 커넥터(300)의 최외단 도전 단자(330)의 외측 접점(334)과 접촉한다. 이 때문에 각 납땜 펙(250, 250´)은 플러그 커넥터(300)의 2개의 도전 단자(330)와 합계 3점 접촉하므로 예를 들면1.2A 등의 비교적 큰 통전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납땜 펙(250, 250´)을 전원 단자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기판 대 기판커넥터였지만 기판 대 전선 커넥터 등, 다른 타입의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1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전기 커넥터)
10 하우징
30 도전 단자
50, 50´ 납땜 펙
52 접촉부
100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110 하우징
130 도전 단자
201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전기 커넥터)
210 하우징
230 도전 단자
250, 250´ 납땜 펙
252 접촉부
300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310 하우징
330 도전 단자

Claims (10)

  1. 각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1열로 배열된 복수의 도전 단자를 구비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및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는 상기 도전 단자와 동일한 피치로 상기 도전단자와 동일한 열로 배열된 접촉부를 갖는 납땜 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의 상기 도전 단자 및 상기 납땜 펙의 접촉부와 감합하는 상기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모든 상기 도전 단자는, 상기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의 상기 도전 단자의 배열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동일 형상의 상기 도전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납땜 펙의 대략 C자형 스프링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아암의 두께는 상기 접촉부의 두께보다 부분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펙은 상기 도전 단자의 판 두께보다 두꺼운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펙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납땜 펙의 광폭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대략 U자형 스프링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최외단의 상기 도전 단자는 상기 납땜 펙의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접촉하고,
    상기 최외단의 도전 단자의 이웃에 위치하는 상기 도전 단자는 상기 납땜 펙의 베이스부의 일측 및 상기 접촉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7.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1열로 배열된 복수의 도전 단자를 구비하는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도전 단자와 동일한 피치로 상기 도전 단자와 동일한 열로 배열된 접촉부를 갖는 납땜 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납땜 펙의 대략 C자형의 스프링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아암의 두께는 상기 접촉부의 두께보다 부분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펙은 상기 도전 단자의 판 두께보다 두꺼운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펙의 접촉부는 상기 납땜 펙의 광폭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대략 U자형 스프링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40010705A 2013-02-05 2014-01-28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 KR20140099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0086 2013-02-05
JPJP-P-2013-020086 2013-02-05
JPJP-P-2013-122323 2013-06-11
JP2013122323A JP2014170726A (ja) 2013-02-05 2013-06-11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825A true KR20140099825A (ko) 2014-08-13

Family

ID=5000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705A KR20140099825A (ko) 2013-02-05 2014-01-28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03172B2 (ko)
EP (1) EP2763244A1 (ko)
JP (1) JP2014170726A (ko)
KR (1) KR20140099825A (ko)
CN (1) CN103972748A (ko)
TW (1) TWM48420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97353U (zh) * 2014-08-20 2015-03-1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td 電連接器及其組合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13509B2 (ja)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6256426B2 (ja) 2015-07-29 2018-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1579147S (ko) * 2016-09-07 2017-06-19
JP6761736B2 (ja) * 2016-11-11 2020-09-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6364218U (zh) * 2016-12-20 2017-07-2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2100189B1 (ko) * 2019-10-15 2020-04-13 주식회사 케이포스 표면 실장형 탄성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7270643B2 (ja) * 2020-03-13 2023-05-10 サンウェイ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ジアンス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伝送性能の高いrfコネクタ
JP7454995B2 (ja) 2020-05-11 2024-03-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JP7441147B2 (ja) * 2020-09-17 2024-02-29 株式会社フジクラ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1704153S (ja) * 2021-04-05 2022-01-12 コネクタ
JP1728996S (ja) * 2022-04-26 2022-11-02 電気コネクタ
USD1012863S1 (en) * 2022-05-19 2024-01-30 Dongguan Xunkai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08625T2 (de) 1996-05-31 2002-08-01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Steckverbinder für wiederaufladbare batterien
JP3705866B2 (ja) 1996-07-31 2005-10-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634998B2 (ja) 2000-02-09 2005-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734217B2 (ja) * 2001-01-30 2006-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に用いる基板
JP2004265598A (ja) 2002-12-16 2004-09-24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US7455556B2 (en) 2003-06-11 2008-11-25 Cinch Connectors, Inc. Electrical contact
JP3940387B2 (ja) 2003-07-29 2007-07-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270085A (ja) *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CN201072831Y (zh) * 2007-05-25 2008-06-1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JP4574692B2 (ja) * 2008-02-29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1215839Y (zh) * 2008-06-25 2009-04-01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板对板电连接器
KR101524312B1 (ko) 2008-11-28 2015-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JP4804526B2 (ja) * 2008-11-28 2011-11-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688944B2 (ja) * 2009-04-21 2011-05-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47434B2 (ja) 2010-05-14 2014-12-24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ネーデルランド ビーヴイTE Connectivity Nederland BV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5631074B2 (ja) *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270703B2 (ja) * 2011-02-17 2013-08-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2395194U (zh) * 2011-09-23 2012-08-22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及其电连接器总成
US8469722B2 (en) * 2011-11-24 2013-06-2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72748A (zh) 2014-08-06
TWM484203U (zh) 2014-08-11
US20140220830A1 (en) 2014-08-07
EP2763244A1 (en) 2014-08-06
JP2014170726A (ja) 2014-09-18
US9203172B2 (en)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9825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
CN110800169B (zh) 电连接器装置
US8025532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JP3150303U (ja) 電気コネクタ
US751044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based element
US7794285B1 (en) Audio jack connector
US686357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ck support
US7635276B1 (en) Electrical connector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US753414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etal spring
US2006025821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US20050112952A1 (en) Power jack connector
US905444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US913032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adapter assembled thereof
US893208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retention structure
JP5424003B2 (ja) トレイ式カードコネクタ
SG176335A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CN112086780A (zh) 夹层式电连接器
US8398422B2 (en) Card edge connector
US652413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03386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 having elastic portion abutting against optical drive disk
CN108281813B (zh) 电连接器
US810070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butting ribs against PCB
US2006027027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077674B2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